KR101778080B1 - Drinkable container - Google Patents
Drinkable contai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78080B1 KR101778080B1 KR1020160013898A KR20160013898A KR101778080B1 KR 101778080 B1 KR101778080 B1 KR 101778080B1 KR 1020160013898 A KR1020160013898 A KR 1020160013898A KR 20160013898 A KR20160013898 A KR 20160013898A KR 101778080 B1 KR101778080 B1 KR 1017780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 straw
- inner cup
- outer cup
- cover ca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음료 용기는, 음료를 저장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 본체의 개방된 상측부를 덮는 커버캡; 및 상기 커버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용기 본체에 저장되는 내용물을 상기 커버캡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캡에 절개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음료를 편리하게 마실 수 있고, 보온 및 보냉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서 외부캡과 내부캡을 각자 사용하거나 세척하기 용이하게 된다.A beve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tainer body for storing a beverage; A cover cap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and covering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nd a straw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ver cap and discharges the contents stored in the container body to the outside of the cover cap, wherein a cutout groove is provided in the cover cap.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rink beverage conveniently, obtain a warm and cold effect, and easily use or clean the outer cap and the inner cap individually.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빨대를 결합하여 사용할 때 음료를 편리하게 마실 수 있도록 휘어지게 함과 아울러 이중 구조로 마련되어 보온 및 보냉 효과가 있는 유아용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물을 포함하는 각종 음료가 저장되어 사용되는 음료 용기는 음료가 수용되는 용기와, 수용된 음료가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버로 이루어진다. 특히 유아 내지 아동이 사용하는 음료 용기는 음료의 음용을 편리하게 하도록 빨대가 커버에 구비되는 형태가 대부분이다.Generally, a beverage container in which various beverages containing water are stored and used is composed of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the beverage and a cover for preventing the contained beverage from being poured out. Especially, beverage containers used by infants or children are mostly provided with straws on the cover to facilitate the drinking of beverages.
종래에 유아 내지 아동이 사용하는 커버에 빨대가 구비된 음료 용기, 즉 빨대컵의 경우 빨대가 용기와 수직선상에 배치되므로 유아 내지 아동이 음료를 마시는 데 어려움이 있었고, 또한 어린 유아 내지 아동이 빨대에 부딪혀 부상을 입기도 하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되고 있다.Conventionally, in the case of a beverage container having a straw on a cover used by a child or a child, that is, a straw cup, since the straw is arranged on a vertical line with the container, it is difficult for infants or children to drink the beverage, It is necessary to take measures for improvement.
특히 어린 유아 내지 아동이 사용하고자 빨대를 커버에 결합하는 경우 자연스럽게 빨대가 휘어져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책이 요구되고 있었다.Especially when young children or children use straws to cover them,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measures that can naturally enhanc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한편, 종래 유아 내지 아동이 사용하는 음료 용기는 음료의 온도를 오랫동안 유지하면서도 세척이 용이한 구조가 없어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되고 있었다.Meanwhile, the beverage container used by infants and children has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cleaned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for a long time, and therefore, there has been a demand for an improvement for the beverage container.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described technical structure is a background technique for assis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the prior art widely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빨대를 결합하여 사용할 때 음료를 편리하게 마실 수 있도록 휘어지게 함과 아울러 내부컵과 외부컵 간의 간격이 유지되는 이중 구조로 마련되어 보온 및 보냉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음료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al structure in which a beverage is bent to be easily drinkable when used together with a straw, and a gap between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is maintained, And to provide a beverage container which can be stably and conveniently us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음료를 저장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 본체의 개방된 상측부를 덮는 커버캡; 및 상기 커버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용기 본체에 저장되는 내용물을 상기 커버캡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캡에 절개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ainer comprising: a container body for storing a beverage; A cover cap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and covering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nd a straw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ver cap and discharges the contents stored in the container body to the outside of the cover cap, wherein a cutout groove is provided in the cover cap. have.
또한, 상기 절개홈의 벽부에는 빨대 휨 가이드가 마련되어 상기 빨대에서 상기 커버캡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경사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traw bending guide is provided on a wall portion of the incision groove so that a portion of the straw exposed from the cover cap to the outside is inclined.
또한, 상기 빨대 휨 가이드의 하부 영역인 베이스부에 상기 빨대가 통과하는 빨대홀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traw hole through which the straw passes is provided on a base portion which is a lower region of the straw warping guid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빨대 휨 가이드의 상면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평행하게 마련되고, 상기 상면부의 길이는 상기 빨대홀의 내경보다 작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the upper portion of the straw warp guide is provided parallel to the base portion, and the length of the upper portion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traw hole.
한편, 상기 커버캡은, 상기 빨대 휨 가이드와 이격되도록 상기 절개홈에 마련되어 상기 빨대 휨 가이드에 의해 휘어진 상기 빨대를 지지하는 지지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ver cap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block which is provided in the cutout groov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traw warping guide and supports the straw bent by the straw warping guide.
또한, 상기 빨대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 바닥부에 근접되게 일단부가 배치되는 베이스 바디; 및 상기 커버캡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측부에 상기 베이스 바디의 타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커버캡의 외부로 노출되는 타측부는 상기 빨대 휨 가이드에 의해 휘어지는 휨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휨 바디는 상기 커버캡에 마련되는 빨대 결합부에 끼워 맞춤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traw may further include a base body having one end disposed adjacent to an inner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cover cap,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cap, includes a bending body bent by the straw bending guide, and the bending body Is fitted to the straw coupling portion provided on the cover cap.
또한, 상기 외부컵은 그 전면 중앙부에 상기 커버캡이 외부컵에 결합되어 잠글 시 일정 위치에서 멈추게 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outer cup has a stopper at a center of the front surface thereof to stop the cover cap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hen the cover cap is locked to the outer cup.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외부컵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컵은 핸들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 핸들을 외부컵에 안착시키는 핸들 가이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handle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er cup, and the outer cup further includes a handle guider that is fitted in a groove formed in the handle and seats the handle on the outer cup.
또한,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커버캡 사이의 간극을 실링하는 실링부; 상기 커버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며 동물 형상이 마련되는 페이스캡; 및 상기 외부컵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sealing part sealing the gap betwe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cover cap; A face cap detachably coupled to the cover cap and having an animal shape; And a handle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er cup.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 본체는 외부컵과 상기 외부컵의 내부에 마련되는 내부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컵은 하단이 U자형의 반구형태를 가지고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합성수지제로 되어 있고, 상기 외부컵과 상기 내부컵은 서로 이격 배치되어 외부컵과 내부컵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ainer body comprises an outer cup and an inner cup provided inside the outer cup, the lower end of the inner cup having a U-shaped hemispherical shape and made of stainless steel or synthetic resin, Wherein the cup and the inner cup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provide a space between the outer cup and the inner cup.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컵과 외부컵을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외부컵의 상단에 위치하고, 외부컵과 내부컵이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도록 외부컵 상단부에 내부컵을 안착시키고, 외부컵과 내부컵간의 공간이 마련되도록 간격을 유지시켜 주는 리브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guide member may be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outer cup, and may be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outer cup so that the outer cup and the inner cup ar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nd has a rib shape to hold the cup and to maintain a gap so as to provide a space between the outer cup and the inner cup.
또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컵과 외부컵을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내부컵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컵의 상단은 상기 외부컵의 내벽과 접하게 하고 상기 상단 이외의 부분은 외부컵과의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도록 간격을 유지시켜 주는 굴곡부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guide member further includes a guide member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up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guide member is located at an upper end of the inner cup, and the upper end of the inner cup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outer cup And the portion other than the upper end has a bent portion shape that maintains a gap so that a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cup and the outer cup.
또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컵과 외부컵을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외부컵의 바닥부에 위치하고, 외부컵의 바닥부 상에 내부컵을 안착시키고 외부컵과 내부컵간의 공간이 마련되도록 간격을 유지시켜 주는 리브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guide member further includes a guide member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up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guide member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outer cup, and seats the inner cup on the bottom of the outer cup, And has a rib shape that maintains a gap so as to provide a space between the cup and the inner cup.
또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컵과 외부컵을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외부컵의 바닥부에 위치하고, 상기 외부컵의 바닥부가 상기 내부컵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내부컵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하는 굴곡부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guide member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rein the guide member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outer cup, And has a shape of a ben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cup.
또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컵과 외부컵을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외부컵에서 상기 내부컵의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복수의 포스트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외부컵과 내부컵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guide member further includes a guide member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up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guide member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posts protruding from the outer cup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cup, And a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cup and the inner cup.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컵의 상단부에는 상기 내부컵과 외부컵을 일정 간격 이격시키고 상기 내부컵을 외부컵 상에 안착시키는 굴곡 이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preferably, the upper end of the inner cup is provided with a flexion spacing portion that separates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seats the inner cup on the outer cup.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커버캡에 빨대 휨 가이드가 마련되어 커버캡의 외부로 노출되는 빨대의 영역을 휘어지게 하여 음료를 편리하게 마실 수 있다. 나아가 커버캡에 절개홈을 마련하고, 이 절개홈에 빨대 휨 가이드를 마련하여 빨대 휨 가이드가 커버캡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cap is provided with a straw bending guide to flex the area of the straw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cap, so that the drink can be conveniently poured. Further, a cutting groove is formed in the cover cap, and a straw bending guide is provided in the cutting bending groove, so that the straw bending guid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cap, so that it can be stably used.
또한,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구성으로 외부컵과 내부컵이 서로 이격 배치되어 공간이 마련되므로 보온 및 보냉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서 외부캡과 내부캡을 각자 사용하거나 세척하기 용이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outer cup and the inner cup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simple and effective structure, the outer cap and the inner cap can be individually used or cleaned while a warming and cooling effect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음용하기 편리한 각도로 휘어진 빨대를 통해 보온 또는 보냉된 음료를 음용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사용 및 세척이 용이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drink a warmed or cold beverage through a straw which is bent at an angle convenient for drinking,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it is easy to use and wash with a simpl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외부컵에 핸들이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은 도 2에 도시된 내부컵의 사시도이다.
도 5은 도 2에 도시된 빨대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6는 도 5에 도시된 빨대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커버캡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커버캡에 빨대와 페이스캡이 결합된 단면도이다.
도 9은 도 8에 도시된 구성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커버캡에 결합된 페이스캡의 작동도이다.
도 11는 용기 본체와 커버캡의 사이에 실링부가 마련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은 도 2에 도시된 외부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는 내부컵과 외부컵을 이격시키는 가이드 부재에 내부컵이 지지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내부컵과 외부컵을 이격시키는 가이드 개스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내부컵과 외부컵을 이격시키는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내부컵과 외부컵을 이격시키는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내부컵과 외부컵을 이격시키는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내부컵과 외부컵을 이격시키는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FIG. 3 is a view showing a handle coupled to the outer cup shown in FIG. 2. FIG.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ner cup shown in Figure 2;
Figure 5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raw shown in Figure 2;
6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straw shown i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cap shown i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ver cap shown in FIG. 7 combined with the straw and the face cap.
9 is another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0 is an operational view of a face cap coupled to the cover cap shown in Fig.
1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at a sealing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cover cap.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er cup shown in Fig.
1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at an inner cup is supported on a guide member that separates an inner cup and an outer cup;
14 is a view showing a guide gasket for separating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1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separating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1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separating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1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for separating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1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separating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외부컵에 핸들이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은 도 2에 도시된 내부컵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a handle coupled to an outer cup shown in FIG.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ner cup shown in Figure 2;
또한, 도 5은 도 2에 도시된 빨대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6는 도 5에 도시된 빨대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커버캡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커버캡에 빨대와 페이스캡이 결합된 단면도이고, 도 9은 도 8에 도시된 구성의 다른 단면도이다.Fig. 5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raw shown in Fig. 2, Fig. 6 is a state of use of the straw shown in Fig. 5,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cap shown in Fig.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8; FIG.
한편,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커버캡에 결합된 페이스캡의 작동도이고, 도 11는 용기 본체와 커버캡의 사이에 실링부가 마련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0 is an operation diagram of a face cap coupled to the cover cap shown in FIG. 7, an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a sealing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cover cap.
또한, 도 12은 도 2에 도시된 외부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는 내부컵과 외부컵을 이격시키는 가이드 부재에 내부컵이 지지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내부컵과 외부컵을 이격시키는 가이드 개스킷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er cup shown in Fig. 2, Fig. 1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at the inner cup is supported by a guide member for separating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And a guide gasket for separating the outer cup.
도 15는 내부컵과 외부컵을 이격시키는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내부컵과 외부컵을 이격시키는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내부컵과 외부컵을 이격시키는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내부컵과 외부컵을 이격시키는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1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for separating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Fig. 1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for separating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Fig. And FIG. 1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separating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FIG.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1)는, 용기 본체(100)와, 용기 본체(100)에 결합되어 용기 본체(100)의 개방된 상측부를 덮으며 절개홈(214)이 마련되는 커버캡(200)과, 커버캡(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용기 본체(100)에 저장되는 내용물을 커버캡(20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빨대(300)와, 용기 본체(100)와 커버캡(200) 사이의 간극을 실링하는 실링부(400)와, 커버캡(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동물 형상이 마련되는 페이스캡(500)과, 외부컵(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600)을 구비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핸들(6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0)와 커버캡(200) 사이에 배치되며, 외부컵(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세척이 용이하고 용도에 따라 핸들 없이도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1 and 2, the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핸들(600)은 외부컵(110)에 결합시 도 3에 도시된 외부컵(110)의 핸들 가이더(113)에 의해 쉽게 안착될 수 있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is embodiment, the
용기 본체(100)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컵(110)과 내부컵(120)을 포함하는 이중 구조의 구성으로서, 외부컵(110)과 내부컵(120)은 후술하는 가이드 부재(111) 등의 구성에 의해 서로 이격 배치되어 공간을 형성하므로 보온 및 보냉 효과가 있으며, 용기 외부에 결로 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2 and 6, the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외부컵(110)에는, 도 3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12)와 핸들 가이더(113)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는 커버캡(200)이 외부컵(110)에 결합되어 잠겨지는 경우 외부컵(110)의 전면 중앙부에 스토퍼(112)가 있어 앞면과 뒷면을 편리하게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핸들 가이더(1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600)의 홈에 끼워지므로 핸들(600)을 외부컵(110)에 편리하게 안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외부컵(110)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이나 실리콘 재질 등으로 제작될 수 있고, 외부컵(110)에는 내부컵(120)에 마련되는 눈금 표시부(121)가 마련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 외부컵(110)은 내부컵(120) 없이 독자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Also, in this embodiment, the
본 발명에서 용기 본체(100)의 내부컵(120)은,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특히 스테인레스 스틸제로 형성되는 경우 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호르몬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음료를 섭취할 수 있고 세척시 위생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 내부컵(120)의 내벽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량을 표시하는 눈금 표시부(121)가 마련되어 용량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Also,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a
또한, 본 실시예에서 내부컵(1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형의 반구 형태로 저장된 음료가 반구 가운데에 모여 마지막까지 깔끔하게 마실 수 있고, 둥근 형상이라 세척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U자 형상에 의해 외부컵 간에 공간이 마련되어 보온 및 보냉 효과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6, the beverage stored in a hemispherical shape of the "U" shape is collected in the middle of the hemisphere and can be cleanly cleaned to the end, and the beverage can be easily washed And the space between the outer cups is provided by the U-shape, so that the effect of keeping warm and cooling can be further increased.
본 실시예에서 내부컵(120)은 외부컵(110)의 내부에 후술하는 복수의 가이드 부재(111) 등에 의해 걸림 결합되어, 내부컵(120)과 외부컵(110) 간에는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다.The
본 발명에서 커버캡(200)은, 외부컵(110)에 탈착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될 수 있고, 빨대가 조립되어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음료를 음용할 수 있도록 빨대(300)를 일정 각도로 휘어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실시예에서 커버캡(20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바디(210)와, 캡 바디(210)의 절개홈(214)에 마련되는 빨대 휨 가이드(220)와, 빨대 휨 가이드(220)와 이격 되도록 절개홈(214)에 마련되어 빨대 휨 가이드(220)에 의해 휘어진 빨대(300)를 지지하는 지지 블록(230)을 포함한다.7 and 8, the
커버캡(200)의 캡 바디(2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211)와, 용기 본체(100)의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베이스부(211)에 볼록하게 돌출되며 절개홈(214)이 마련되는 돔부(213)를 포함한다.The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부(211)는, 용기 본체(100)의 상면부에 나사 결합 되어 용기 본체(100)의 상면부를 덮을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대홀(212)이 마련된다.The
본 실시예에서 돔부(2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211) 보다 작은 직경이되 페이스캡(500)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그 중앙부에는 절개홈(214)이 마련된다.2,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돔부(213)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215)이 마련되고, 이 결합홈(215)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스캡(500)의 결합축(520)의 끼워 맞춤 결합 장소로 제공된다.7, the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돔부(213)의 상단 중앙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스토퍼 돌기(216)가 이격 마련된다. 본 실시예는, 도 10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스캡(500)을 회전하여 오픈시 한 쌍의 스토퍼 돌기(216)가 커버캡(200)의 상단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페이스캡(500)의 오픈 시에도 깔끔한 외관을 보여줄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air of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돔부(213)의 내부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대(300)가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 되는 빨대 결합부(217)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빨대 결합부(217)는 원형 이되 내부가 비어 있는 채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8, a
또한, 본 발명에서는 커버캡에 일자형의 빨대를 조립할 때 음료를 편리하게 마실 수 있도록 전방으로 일정하게 휘어지게 하는 특징적인 구조를 구비한다. 즉, 본 발명의 커버캡(200)의 빨대 휨 가이드(22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돔부(213)의 절개홈(214)에 마련되어 빨대(300)를 커버캡(200)에 결합시 커버캡(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빨대(300)의 영역을 사용자가 음료를 편리하게 마실 수 있도록 휘어지게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traight straw is assembled to the cover cap, the drink has a characteristic structure that allows the beverage to be bent constantly forwardly so that it can drink easily. 7 and 8, the
본 실시예에서 빨대 휨 가이드(22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한 삼각형의 돌기 형상으로 그 각도(θ)는 30도 내지 45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 빨대 휨 가이드(2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부가 베이스부(211)와 평행하고 빨대(300)의 휨 바디(320)와 접하는 영역으로부터 돔부(213)의 내벽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고, 빨대 휨 가이드(220)의 상면부는 빨대홀(212)의 직경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빨대가 음료를 편리하게 마실 수 있도록 전방으로 휘어지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커버캡(200)의 지지 블록(23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대 휨 가이드(220)와 이격되도록 절개홈(214)에 마련되어 빨대 휨 가이드(220)에 의해 휘어진 빨대(300)의 영역을 지지한다. 그 결과 본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어진 빨대(300)의 영역이 지지 블록(230)과 빨대 휨 가이드(220)의 사이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 블록(2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대 휨 가이드(220)보다 더 큰 부피로 마련될 수 있다.7 and 8, the support block 230 of the
한편, 빨대(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돔부(213)의 빨대 결합부(217)에 결합 되며, 커버캡(200)에 결합되기 전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형태로 마련된다.8, the
본 실시예에서 빨대(3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0)의 내부 바닥부에 근접되게 일단부가 배치되는 베이스 바디(310)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부에 베이스 바디(310)의 상단부가 결합되며 커버캡(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측부는 빨대 휨 가이드(220)에 의해 휘어지는 휨 바디(320)를 포함한다.5 and 6, the
빨대(300)의 베이스 바디(3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휨 바디(320)의 하측부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The
빨대(300)의 휨 바디(320) 하측부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돔부(213)의 빨대 결합부(217)에 끼워 맞춤 결합되는 결합 돌기(321)가 마련된다.8, a
또한 본 실시예에서 휨 바디(320)의 상단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혀 있고, 막혀진 영역에는 음료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절개된 슬릿홀(322)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는 슬릿홀(322)에 의해 음료의 흘림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슬릿홀(322)은 음료를 마실 때만 압력으로 벌어지고, 음료를 마시지 않을 때는 공기의 유입을 막기 때문에 음료가 흘러 나오지 않는다.In this embodiment, the upper end of the bending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휨 바디(32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323)가 마련되어 커버캡(200)으로부터 빨대(300)를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ending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빨대(300) 중 특히 휨 바디(320)는 가요성이 있는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어 빨대 휨 가이드(220)에 의해 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bending
본 발명에서 페이스캡(500)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캡(200)의 일부 영역을 덮도록 마련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페이스캡(500)은 커버캡(200)의 일부 영역을 덮는 페이스캡 바디(510)와, 페이스캡 바디(510)의 하측부에 마련되는 결합축(520)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페이스캡(500)의 페이스캡 바디(5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로봇 형상 등 유아나 어린 아이들이 좋아하는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이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여러 형상의 페이스캡을 교체 사용할 수도 있다.The
페이스캡(500)의 결합축(520)은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돔부(213)에 마련된 결합홈(215)에 탈착 가능하도록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The pair of
한편 본 발명에서 실링부(4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캡(200)의 하측 내부에 결합되며, 외부컵(110)과 내부컵(120)의 상단부와 밀착되어 있어 음료의 흘림을 방지한다.11, the sealing
본 실시예에서 실링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형상이되 중앙부가 비어 있는 링 형태의 실링 바디(410)와, 실링 바디(410)에 마련되어 실링 바디(410)를 잡고 빼기 쉽도록 하는 돌기 핸들(420)을 포함한다.2, the sealing
본 실시예에서 실링 바디(41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컵(110)의 상단면과 내부컵(120)의 상단면을 동시에 커버하는 넓이로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예는 내부컵(120)을 제외하고 외부컵(110)의 내부에 음료를 담아 사용할 때에도 음료의 흘림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aling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실링부(400)는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the sealing
한편, 본 발명의 음료 용기는 내부컵과 외부컵을 일정 간격 이격시켜 보온 및 보냉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특징적인 구성이 존재한다.Meanwhile, in the beve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for maximizing the effect of keeping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at a certain interval to keep the warming and cooling.
먼저, 본 발명에서 용기 본체(100)의 외부컵(110)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 형태를 갖는 복수의 가이드 부재(111)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가이드 부재(111)는 외부컵(110)과 내부컵(120)을 일정 간격 이격시켜 공간을 형성하고, 내부컵(120)이 외부컵(110)의 내부 중앙에 위치하도록 가이드한다. 도 6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가이드 부재(111)에 의해 내부컵(120)이 외부컵(110)과 일정 간격 이격하고 있어서 내부컵(120) 안의 음료의 온도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으며, 내부컵(120)이 외부컵(110)의 중앙에 정확히 위치하게 되어 빨대를 사용하여 음료를 마시게 되는 경우 빨대가 내부컵(120)의 중앙에 위치하여 음료를 끝까지 깔끔하게 마실 수 있게 된다. 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내부컵을 확실히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3개 이상의 리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ree or more ribs are formed in order to reliably secure the inner cup.
실시예에서 복수의 가이드 부재(111)의 최상단 높이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컵(110)과 내부컵(120)의 결합 시 내부컵(120)의 최상단이 외부컵(110)의 최상단을 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부재(111)는 외부컵(110)의 내부 상단부에 위치하고, 외부컵(110)과 내부컵(120)이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도록 외부컵(110) 상에 내부컵(120)을 안착시키고, 외부컵(110)과 내부컵(120)의 간격을 유지시켜 주는 리브 형태를 가진다. 예를 들어 가이드 부재(111)는 내부컵(120)의 최상단 절곡면의 두께만큼 낮게 마련되고, 내부컵(120)의 절곡면의 폭만큼 컵 내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12 and 13, the uppermost end of the
이때, 내부컵의 상단부가 도 13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컵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굴곡 이격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내부컵에 형성된 굴곡 이격부는 상기 내부컵과 외부컵을 일정 간격 이격시키고 상기 내부컵을 외부컵 상에 안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굴곡 이격부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컵의 외측방향으로 90도 절곡한 후 다시 180도 절곡하여 두번 절곡한 형태로 마련되거나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컵의 외측 방향으로 둥글게 말아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inner cup is provided with a bent spaced portion formed by being bent outwardly of the inner cup as shown in Figs. The bending spacers formed in the inner cup serve to space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o seat the inner cup on the outer cup. 13, the bent portion is bent 90 degrees outwardly of the inner cup and bent 180 degrees again to bend the outer portion of the inner cup twice.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4, . ≪ / RTI >
또한, 본 실시예의 복수의 가이드 부재(111) 대신에,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컵(110)과 내부컵(120)의 사이에 마련되어 외부컵(110)과 내부컵(12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실링하는 가이드 개스킷(111’)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가이드 개스킷(111’)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컵(120)의 절곡면의 하단에 위치하고 외부컵(110)과 내부컵(120)의 사이에 위치하여 외부컵(110)과 내부컵(120) 간의 간격을 이격시키고, 내부컵(120)을 외부컵(110)과 결합하고 사이의 간격을 밀봉하는 역할을 하는 실링 부재이다.14, a plurality of
또한, 본 실시예의 복수의 가이드 부재(111) 대신에,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특징적인 구성을 부가하여 외부컵(110,110b,110c,110d)과 내부컵(120,120a, 120c,120d)의 사이에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5 to 18, the
하기의 특징적인 구성은 상술한 복수의 가이드 부재(111)와 마찬가지로 내부컵과 외부컵을 일정 간격 이격시켜 내부컵 안의 음료의 온도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으며, 내부컵이 외부컵의 중앙에 정확히 위치하게 되어 빨대를 사용하여 음료를 마시게 되는 경우 빨대가 내부컵의 중앙에 위치하여 음료를 끝까지 깔끔하게 마실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The following characteristic features can keep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in the inner cup long for a long time by keeping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like the above-described plurality of
구체적으로,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내부컵과 외부컵을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가이드 부재로서, 내부컵의 상단부에 위치한 굴곡부(122)를 포함하고 있다. 이 굴곡부는 내부컵의 상단은 외부컵의 내벽과 접하게 하고 상기 상단 이외의 부분은 외부컵과의 사이에 공간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Specifically,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5, a guide member that separates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cludes the
즉, 내부컵(120a)의 상단부에서는 내부컵의 외벽을 외부컵(110)의 내벽 상단부와 접하게 하는 직경으로 형성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그 하부는 굴곡되어 내부컵의 하부에서의 내경이 상단부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외부컵(110)과 내부컵(120a) 사이에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That is, at the upper end of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내부컵의 상단부가 도 13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컵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굴곡 이격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내부컵 상단부에 형성된 굴곡 이격부는 상기 내부컵과 외부컵을 일정 간격 이격시키거나 상기 내부컵을 외부컵 상에 안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굴곡 이격부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컵의 외측방향으로 90도 절곡한 후 다시 180도 절곡하여 두번 절곡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이 경우 외부컵의 상단이 내부컵의 최상단 절곡면의 두께만큼 낮게 마련되고, 내부컵의 절곡면의 폭만큼 들어간 형태로 형성되면 내부컵의 굴곡 이격부가 확실히 고정되어 안착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Also,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inner cup is provided with a bent spaced portion formed by being bent outwardly of the inner cup as shown in Figs. The bending part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inner cup serves to separate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r to seat the inner cup on the outer cup. 13, the bent portion may be bent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inner cup by 90 degrees and then bent 180 degrees to be bent twice. In this case, the upper end of the outer cup may be bent to the uppermost bent surface And when the cup is formed to have a width equal to the width of the folded surface of the inner cup,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bent spaced portion of the inner cup can be securely fixed and seated.
또한,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내부컵과 외부컵을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가이드 부재로서, 외부컵(110b)의 바닥부에 복수의 리브(114)를 마련하여 외부컵(110b)과 내부컵(120) 사이에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16, a plurality of
즉, 도 16에 도시된 가이드 부재(114)는 외부컵의 바닥부에 위치하면서, 외부컵의 바닥부 상에 내부컵을 안착시키고 외부컵과 내부컵간의 공간이 마련되도록 간격을 유지시켜 주는 리브 형태를 가지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내부컵의 하단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우묵한 형태를 가져 내부컵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내부컵이 안착되어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That is, the
또한, 내부컵을 확실히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3개 이상의 리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ree or more ribs are formed in order to reliably secure the inner cup.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내부컵의 상단부가 도 13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컵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굴곡 이격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내부컵에 형성된 굴곡 이격부는 상기 내부컵과 외부컵을 일정 간격 이격시키거나 상기 내부컵을 외부컵 상에 안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굴곡 이격부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컵의 외측방향으로 90도 절곡한 후 다시 180도 절곡하여 두번 절곡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이 경우 외부컵의 상단이 내부컵의 최상단 절곡면의 두께만큼 낮게 마련되고, 내부컵의 절곡면의 폭만큼 들어간 형태로 형성되면 내부컵의 굴곡 이격부가 확실히 고정되어 안착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Also,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inner cup is provided with a bent spaced portion formed by being bent outwardly of the inner cup as shown in Figs. The curved spacing portion formed in the inner cup serves to separate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r to seat the inner cup on the outer cup. 13, the bent portion may be bent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inner cup by 90 degrees and then bent 180 degrees to be bent twice. In this case, the upper end of the outer cup may be bent to the uppermost bent surface And when the cup is formed to have a width equal to the width of the folded surface of the inner cup,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bent spaced portion of the inner cup can be securely fixed and seated.
나아가,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내부컵과 외부컵을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가이드 부재로서, 상기 외부컵의 바닥부가 상기 내부컵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내부컵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하는 굴곡부 형태를 가지는 지지부(115)로 할 수 있다. 17, a guide member for separating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uch that the bottom of the outer cup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cup corresponding to the lower shape of the inner cup The
즉,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컵(110c)의 하측부에 내부컵(120c)의 하측부를 지지하는 지지부(115)를 마련하여 외부컵(110c)과 내부컵(110c)의 사이에 공간을 마련하고 있는데, 외부컵의 바닥부가 내부컵의 하부 바닥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컵의 U자형 반구형태와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어, 외부컵의 하부 반구형상에 내부컵이 그대로 안착하여 고정이 되는 구조를 가진다. That is, in this embodiment, a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내부컵(110c)의 상단부에 내부컵(120c)을 외부컵(110c)의 내벽과 이격시키는 굴곡 이격부(123)를 마련하고 있는데, 상기 굴곡 이격부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컵의 외측방향으로 90도 절곡한 후 다시 180도 절곡하여 두번 절곡한 형태로 마련되거나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컵의 외측 방향으로 둥글게 말아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Also,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end of the inner cup 110c is provided with a bending
마지막으로,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내부컵과 외부컵을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가이드 부재로서, 외부컵에서 내부컵의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복수의 포스트 형태의 가이드 부재(116)를 구비할 수 있다.18, a plurality of
즉,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컵(110d)에 내부컵(120d)의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복수의 포스트(116)를 마련하여 외부컵(110d)과 내부컵(120d) 사이에 공간을 마련하면서도 내부컵을 고정할 수 있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또한, 내부컵을 확실히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3개 이상의 포스트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출이 상하로 빠질 수 있는 구조로 위쪽은 2개, 아랫쪽은 1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ree or more posts are formed in order to surely secure the inner cup, and the structure is such that the injection can be vertically released. In the upper part, there are two pieces and the lower part is one piece .
또한, 내부컵의 상단부에 위치한 굴곡부(124)를 포함하여, 내부컵의 굴곡부(124)에 의해 외부컵의 포스트(116)에 더욱 확실히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부컵의 포스트(116)에 의해서도 외부컵과 내부컵의 간격 유지 효과를 달성할 수 있지만, 내부컵의 굴곡부(124)를 함께 형성하면 굴곡부(124)의 하단부가 포스트(116)의 상단부에 안착하여 고정 및 간격유지 효과를 더욱 확실히 할 수 있게 된다. It is also desirable to include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내부컵의 상단부가 도 13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컵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굴곡 이격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내부컵에 형성된 굴곡 이격부는 상기 내부컵과 외부컵을 일정 간격 이격시키고 상기 내부컵을 외부컵 상에 안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Also,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inner cup is provided with a bent spaced portion formed by being bent outwardly of the inner cup as shown in Figs. The bending spacers formed in the inner cup serve to space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o seat the inner cup on the outer cup.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커버캡에 빨대 휨 가이드가 마련되어 커버캡의 외부로 노출되는 빨대의 영역을 휘어지게 하여 음료를 편리하게 마실 수 있다. 나아가 커버캡에 절개홈을 마련하고, 이 절개홈에 빨대 휨 가이드를 마련하여 빨대 휨 가이드가 커버캡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cap is provided with the straw bending guide, so that the area of the straw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cap is bent, so that the beverage can be conveniently drinkable. Further, a cutting groove is formed in the cover cap, and a straw bending guide is provided in the cutting bending groove, so that the straw bending guid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cap, so that it can be stably us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외부컵과 내부컵이 서로 이격 배치되어 공간이 마련되므로 보온 및 보냉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결로 현상을 방지하고 외부컵과 내부컵을 각자 사용 및 세척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uter cup and the inner cup are spaced from each other by a simple structure, a space and a warming and cooling effect can be obtained, thereby preventing condensation and using and cleaning each of the outer cup and the inner cup .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 음료 용기
100 : 용기 본체 110,110b,110c,110d : 외부컵
111 : 가이드 부재 112 : 스토퍼
113 : 핸들 가이더 114 : 리브
115 : 지지부 116 : 포스트
120,120a,120c,120d : 내부컵 121 : 눈금 표시부
122 : 굴곡부 123 : 굴곡 이격부
124 : 굴곡부 200 : 커버캡
210 : 캡 바디 211 : 베이스부
212 : 빨대홀 213 : 돔부
214 : 절개홈 215 : 결합홈
216 : 스토퍼 돌기 217 : 빨대 결합부
220 : 빨대 휨 가이드 230 : 지지 블록
300 : 빨대 310 : 베이스 바디
320 : 휨 바디 321 : 결합 돌기
322 : 슬릿홀 323 : 손잡이
400 : 실링부 410 : 실링 바디
420 : 돌기 핸들 500 : 페이스캡
510 : 페이스캡 바디 520 : 결합축
600 : 핸들1: beverage container
100:
111: guide member 112: stopper
113: handle guider 114: rib
115: support portion 116: post
120, 120a, 120c, 120d: inner cup 121:
122: flexion part 123: flexion separation part
124: bent portion 200: cover cap
210: cap body 211: base portion
212: straw hole 213: dome
214: incision groove 215: engaging groove
216: stopper projection 217: straw coupling portion
220: straw bending guide 230: support block
300: straw 310: base body
320: bending body 321: engaging projection
322: Slit hole 323: Handle
400: sealing part 410: sealing body
420: projection handle 500: face cap
510: Face cap body 520: Combined axis
600: Handle
Claims (11)
상기 커버캡에 절개홈이 마련되고,
상기 절개홈의 벽부에는 빨대 휨 가이드가 마련되어 상기 빨대에서 상기 커버캡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경사지게 하며,
상기 빨대 휨 가이드의 하부 영역인 베이스부에 상기 빨대가 통과하는 빨대홀이 마련되고, 상기 빨대 휨 가이드의 상면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평행하게 마련되고, 상기 상면부의 길이는 상기 빨대홀의 내경보다 작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A container body storing a beverage; A cover cap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and covering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nd a straw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ver cap and discharges contents stored in the container body to the outside of the cover cap,
A cutout groove is formed in the cover cap,
And a straw bending guide is provided on the wall of the cutout groove so that a portion of the straw exposed from the straw to the outside of the straw is inclined,
Wherein a straw hole through which the straw passes is provided in a base portion which is a lower region of the straw bending guide, an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straw bending guide is provided parallel to the base portion, and a length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is small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straw hole Wherein the beverage container comprises a beverage container.
상기 커버캡에 절개홈이 마련되고,
상기 절개홈의 벽부에는 빨대 휨 가이드가 마련되어 상기 빨대에서 상기 커버캡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경사지게 하며,
상기 커버캡은, 상기 빨대 휨 가이드와 이격되도록 상기 절개홈에 마련되어 상기 빨대 휨 가이드에 의해 휘어진 상기 빨대를 지지하는 지지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A container body storing a beverage; A cover cap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and covering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nd a straw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ver cap and discharges contents stored in the container body to the outside of the cover cap,
A cutout groove is formed in the cover cap,
And a straw bending guide is provided on the wall of the cutout groove so that a portion of the straw exposed from the straw to the outside of the straw is inclined,
Wherein the cover cap further comprises a support block provided in the cutout groov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traw warping guide and supporting the straw bent by the straw warping guide.
상기 용기 본체는 외부컵과 상기 외부컵의 내부에 마련되는 내부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컵은 하단이 U자형의 반구형태를 가지고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합성수지제로 되어 있고,
상기 외부컵과 상기 내부컵은 서로 이격 배치되어 외부컵과 내부컵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container body comprises an outer cup and an inner cup provided inside the outer cup,
Wherein the inner cup has a U-shaped hemispherical shape at its lower end and is made of stainless steel or synthetic resin,
Wherein the outer cup and the inner cup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provide a space between the outer cup and the inner cup.
상기 내부컵과 외부컵을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외부컵의 상단에 위치하고, 외부컵과 내부컵이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도록 외부컵 상단부에 내부컵을 안착시키고, 외부컵과 내부컵간의 공간이 마련되도록 간격을 유지시켜 주는 리브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The method of claim 5,
And a guide member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guide member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outer cup and has a rib shape for seating the inner cup on the upper end of the outer cup so that the outer cup and the inner cup are located on the same line, Wherein the beverage container comprises a beverage container.
상기 내부컵과 외부컵을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내부컵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컵의 상단은 상기 외부컵의 내벽과 접하게 하고 상기 상단 이외의 부분은 외부컵과의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도록 간격을 유지시켜 주는 굴곡부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The method of claim 5,
And a guide member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guide member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inner cup, the upper end of the inner cup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outer cup, and the portion other than the upper end is formed into a bent shape to maintain a space Wherein the beverage container comprises a beverage container.
상기 내부컵과 외부컵을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외부컵의 바닥부에 위치하고, 외부컵의 바닥부 상에 내부컵을 안착시키고 외부컵과 내부컵간의 공간이 마련되도록 간격을 유지시켜 주는 리브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The method of claim 5,
And a guide member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rein the guide member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outer cup and has a rib shape that seats the inner cup on the bottom of the outer cup and keeps the space between the outer cup and the inner cup, .
상기 내부컵과 외부컵을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외부컵의 바닥부에 위치하고, 상기 외부컵의 바닥부가 상기 내부컵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내부컵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하는 굴곡부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The method of claim 5,
And a guide member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rein the guide member is located at a bottom portion of the outer cup and the bottom portion of the outer cup has a bent portion shape for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cup corresponding to a lower shape of the inner cup.
상기 커버캡에 절개홈이 마련되고,
상기 용기 본체는 외부컵과 상기 외부컵의 내부에 마련되는 내부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컵은 하단이 U자형의 반구형태를 가지고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합성수지제로 되어 있고, 상기 외부컵과 상기 내부컵은 서로 이격 배치되어 외부컵과 내부컵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내부컵과 외부컵을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외부컵에서 상기 내부컵의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복수의 포스트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외부컵과 내부컵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A container body storing a beverage; A cover cap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and covering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nd a straw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ver cap and discharges contents stored in the container body to the outside of the cover cap,
A cutout groove is formed in the cover cap,
Wherein the container body comprises an outer cup and an inner cup provided inside the outer cup, wherein the inner cup has a U-shaped hemispherical shape and is made of stainless steel or synthetic resin, A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cup and the inner cup,
And a guide member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rein the guide member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posts protruding from the outer cup in a direction of the inner cup so that a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cup and the inner cup.
상기 내부컵의 상단부에는 상기 내부컵과 외부컵을 일정 간격 이격시키고 상기 내부컵을 외부컵 상에 안착시키는 굴곡 이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inner cup is provided with a flexion spacing portion that separates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seats the inner cup on the outer cup.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3898A KR101778080B1 (en) | 2016-02-04 | 2016-02-04 | Drinkable cont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3898A KR101778080B1 (en) | 2016-02-04 | 2016-02-04 | Drinkable contai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92793A KR20170092793A (en) | 2017-08-14 |
KR101778080B1 true KR101778080B1 (en) | 2017-09-13 |
Family
ID=59967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3898A Expired - Fee Related KR101778080B1 (en) | 2016-02-04 | 2016-02-04 | Drinkable contai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7808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8189Y1 (en) * | 2018-03-05 | 2019-04-05 | 김규정 | Double Cupfor Take-out |
KR102547767B1 (en) * | 2021-05-13 | 2023-06-23 | 유정현 | The tumbler cap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76555A (en) * | 2005-12-28 | 2007-07-12 | Tiger Vacuum Bottle Co Ltd | Container for beverage |
JP2008213930A (en) * | 2007-02-09 | 2008-09-18 | Hario Glass Kk | Eating cup |
JP2008213844A (en) * | 2007-02-28 | 2008-09-18 | Pigeon Corp | Beverage container |
-
2016
- 2016-02-04 KR KR1020160013898A patent/KR10177808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76555A (en) * | 2005-12-28 | 2007-07-12 | Tiger Vacuum Bottle Co Ltd | Container for beverage |
JP2008213930A (en) * | 2007-02-09 | 2008-09-18 | Hario Glass Kk | Eating cup |
JP2008213844A (en) * | 2007-02-28 | 2008-09-18 | Pigeon Corp | Beverage contai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92793A (en) | 2017-08-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PT2432349E (en) | Dispensing cap | |
KR102061312B1 (en) | Tumbler for child having holder case | |
TW200908914A (en) | Inventions relating to drinking vessels | |
US20210176958A1 (en) | Pet water dispenser and anti-blocking water pump for pet water dispenser | |
US20180360245A1 (en) | Convertible Silicone Toddler Cup | |
US20080264960A1 (en) | Toddler Cup | |
CN110710849A (en) | Baby straw cup | |
CA2761952A1 (en) | Leak resistant drinking cup and diaphragm therefor | |
US6360912B1 (en) | Straw having valve function | |
US20150344178A1 (en) | Container system | |
KR101778080B1 (en) | Drinkable container | |
US5632407A (en) | Adapter for a drink container | |
CN107920957B (en) | Valve assembly for leak resistant drinking cups | |
US7828170B2 (en) | Rim-mounted drinking aid for liquid containers | |
WO2013171351A1 (en) | Cap with stopper for drinks container | |
KR102165020B1 (en) | Straw for drink container | |
ES2325231T3 (en) | DISPOSABLE PACKAGING FOR DRINKS. | |
EP3257406A1 (en) | Portable beverage container for serving and entertaining children | |
KR101895537B1 (en) | Beverage bottle attached for disposable cup | |
TW201818862A (en) | Baffle-equipped pot capable of confining substances in a receiving space so as to prevent them from escaping to outside | |
KR101725792B1 (en) | Drinking receptacle with a paper cup | |
KR200453033Y1 (en) | Straw Case with Drink Bottle Holder Function | |
JP6291075B2 (en) | Weaning clip | |
KR20220001940U (en) | Tumbler having large diameter hole | |
KR20110004017U (en) | Portable thermos cu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1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9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9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