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76502B1 - 차량의 난방 공조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난방 공조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502B1
KR101776502B1 KR1020160064577A KR20160064577A KR101776502B1 KR 101776502 B1 KR101776502 B1 KR 101776502B1 KR 1020160064577 A KR1020160064577 A KR 1020160064577A KR 20160064577 A KR20160064577 A KR 20160064577A KR 101776502 B1 KR101776502 B1 KR 101776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time
cooling water
vehicle
water tempera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석
이재문
박정수
심홍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4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502B1/ko
Priority to US15/364,908 priority patent/US10682896B2/en
Priority to DE102016224727.1A priority patent/DE102016224727A1/de
Priority to CN201611253494.XA priority patent/CN107433835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50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85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 B60H1/004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for vehicles having a combustion engine and electric drive means, e.g. hybrid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24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riveline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3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auxiliary equipment, e.g. air-conditioning compressors or oil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10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 B60W20/15Control strategie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a particular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20Cooling circuits not specific to a single part of engine or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2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ehicles;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ariable pitch prope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14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omprising means for controlling automatic idle-start-stop
    • F02N11/0818Conditions for starting or stopping the engine or for deactivating the idle-start-stop mode
    • F02N11/0829Conditions for starting or stopping the engine or for deactivating the idle-start-stop mode related to special engine control, e.g. giving priority to engine warming-up or lear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19Control system elements or transfer functions
    • B60W2050/0028Mathematical models, e.g. for simulation
    • B60W2050/0037Mathematical models of vehicle sub-units
    • B60W2050/004Mathematical models of vehicle sub-units of the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2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2Clutches
    • B60W2510/0208Clutch engagement state, e.g. engaged or diseng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2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2Clutches
    • B60W2710/021Clutch engagement st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37/00Cont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60/00Cooling circuits using auxiliaries
    • F01P2060/08Cabin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21Engine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2200/00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 F02N2200/02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N2200/023Engine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2200/00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 F02N2200/08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vehicle or its components
    • F02N2200/0801Vehicle spe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이에 본 발명은 차량의 난방 공조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행패턴에 따른 엔진클러치의 접합 시간을 고려하여 난방 공조를 위한 엔진 온 시간을 제어하여 연비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난방 공조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난방 공조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조건에 따른 엔진클러치의 접합 시간을 고려하여 주행 중 엔진 온 타임을 제어함으로써, 히팅 제어를 위한 엔진 온 횟수, 특히 아이들(idle) 엔진 온 횟수를 최소화하여 배터리 충전량(SOC)의 효율적인 제어를 가능하도록 하고 시동 및 불필요한 실내 난방을 위한 연료소모량을 축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난방 공조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 {Method for controlling engine for interior heating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난방 공조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행패턴에 따른 엔진클러치의 접합 시간을 고려하여 난방 공조를 위한 엔진 온 시간을 제어하여 연비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차량의 난방 공조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일종의 친환경 차량으로서 엔진과 모터를 동력원으로 하는 다양한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할 수 있으며, 엔진클러치가 구비되는 동력전달장치의 경우 엔진 동력의 전달을 위해 엔진을 기동하고 엔진클러치의 양단 속도를 동기화하여 엔진 동력을 차륜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통상 운전자의 요구를 바탕으로 엔진 동력이 필요한 상황에 엔진을 기동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실내 공조를 위한 제어는 쿨링 제어와 히팅 제어로 구분된다.
하이브리드 차량의 공조를 위한 제어, 즉 쿨링 제어와 히팅 제어는 그 방법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데, 실내 냉방을 위한 쿨링 제어는 전동식 컴프레셔가 장착된 에어컨이 배터리를 에너지원으로 구동하여 이루어지고, 실내 난방을 위한 히팅 제어는 엔진의 구동열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히팅 제어에 의해 승온된 엔진 냉각수가 공조장치의 히터코어를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외기와 열교환함으로써 실내 난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히팅 제어의 경우, 배터리 충전상태나 차량의 주행패턴과 상관없이 실내 온도를 맞추기 위한 조건에 의해 엔진을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제어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실내 공조를 위한 제어가 이루어지는 하이브리드 차량은 실내 난방을 목적으로 엔진을 온/오프하는 것 이외에 차량의 가속, 정속, 감속, 정지 등의 차량 주행조건에 따라서도 엔진을 온/오프 제어한다.
이렇게 차량 주행을 위한 엔진 온 제어 및 히팅 제어를 위한 엔진 온 제어가 별도로 이루어짐에 따라 엔진 온/오프 횟수가 잦아지게 되어 혹한기 공조제어가 필요한 차량운행에서 연비가 크게 악화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은 주행패턴에 따른 엔진클러치의 접합 시간을 고려하여 난방 공조를 위한 엔진 온 시간을 제어하여 연비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난방 공조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차량 주행을 위한 엔진 온이 아닌 상태에서, 설정된 기준 냉각수 온도 범위로 실내 난방을 위한 히팅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 엔진 제어 단계: 차량 주행을 위한 엔진 온 상태에서, 기준 냉각수 온도 범위의 하한치를 보다 낮게 설정하는 동시에 상한치를 보다 높게 설정하여 차량 주행을 위한 엔진 온 타임을 증가시키고, 주행을 위한 엔진클러치의 실시간 락업 타임(Lock Up Time)과 평균 락업 타임에 기초하여 엔진 오프 시점을 결정하는 제2 엔진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난방 공조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엔진 제어 단계는, 기준 냉각수 온도 범위가 A < B 일 때, "A ≤ 현재 냉각수 온도"이면 본래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과; "현재 냉각수 온도 < A" 이면 엔진 온 되어 "B ≤ 현재 냉각수 온도" 가 될 때까지 엔진 온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엔진 제어 단계는, 기준 냉각수 온도 범위가 A < B 일 때, "(A-α) ≤ 현재 냉각수 온도"이면 본래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과; "현재 냉각수 온도 < (A-α)"이면 엔진 온을 유지하는 동시에 "(B+β)≤ 현재 냉각수 온도" 까지 엔진 온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α는 기준 냉각수 온도 최저치 감소분이고, 상기 β는 기준 냉각수 온도 최대치 증가분이다.
또한 상기 제2 엔진 제어 단계는, 실시간 락업 타임이 평균 락업 타임 이상인 경우, 차량 주행을 위한 엔진 온에 따른 주행 중 기준시간 이상 히팅 제어를 위한 엔진 온이 유지되고, "(A-α)≤ 현재 냉각수 온도"를 만족하면, 엔진을 오프시키는 과정; 실시간 락업 타임이 평균 락업 타임 미만인 경우, 차량 주행을 위한 엔진 온에 따른 주행 중 기준시간 이상 히팅 제어를 위한 엔진 온이 유지되고, "(A-α)≤ 현재 냉각수 온도"를 만족하면, 추가적인 히팅 제어를 위한 추가 엔진 온 타임 만큼 엔진 오프를 지연시키는 과정; 및 차량 정차시 "(A-α)≤ 현재 냉각수 온도"를 만족하면 엔진을 오프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난방 공조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조건에 따른 엔진클러치의 접합 시간을 고려하여 주행 중 엔진 온 타임을 제어함으로써, 히팅 제어를 위한 엔진 온 횟수, 특히 아이들(idle) 엔진 온 횟수를 최소화하여 배터리 충전량(SOC)의 효율적인 제어를 가능하도록 하고 시동 및 불필요한 실내 난방을 위한 연료소모량을 축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난방 공조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난방 공조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 난방 공조를 위한 엔진 제어에 의한 효과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난방 공조를 위한 엔진 제어에 의한 문제점을 보여주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을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 주행상태에 따른 엔진클러치의 접합 시간을 고려하여 주행중 히팅 제어를 위한 엔진 온 타임(ENG On Time)을 제어하여, 히팅 제어를 위한 엔진 온 횟수, 특히 엔진이 공회전하는 아이들(IDLE) 엔진 온 횟수를 최소화함으로써, 배터리 충전량(SOC)의 효율적인 제어를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시동 및 불필요한 실내 난방 공조로 인한 연료소모량을 축소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원 출원인은 난방 공조를 위한 엔진 제어와 관련하여 등록특허 10-1592712호를 특허출원한바 있는데,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시간 기준의 히팅 제어를 위한 엔진 온 제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차가 없는 빈번한 가속/감속을 반복하는 주행 구간에서, 엔진 효율과 별개의 엔진 온/오프가 발생하게 되고, 또한 히팅 제어를 위한 엔진 온 이후에 차량 주행을 위한 엔진 온 및 히팅 제어를 위한 엔진 온이 발생하여 비효율적인 엔진 온/오프가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혹한기 공조 제어가 필요한 차량 운행에서 연비가 많이 악화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 대비, 본 발명에서는 주행 패턴에 따른 엔진클러치의 접합 시간을 고려하여 차량 실내의 히팅 제어를 위한 엔진 온 타임을 제어함으로써 차량 연비 개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차량 주행(구동)을 위한 엔진 온이 아닌 상태에서는, 설정된 기준 냉각수 온도 범위내에서 차량 실내 난방을 위한 히팅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차량 주행을 위한 엔진 온 상태에서는, 상기 기준 냉각수 온도 범위의 하한치(최저치)를 보다 낮게 설정하는 동시에 상한치(최대치)를 보다 높게 설정함으로써, 차량 주행을 위한 엔진 온 타임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냉각수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기준 냉각수 온도 최저치 감소분(α)을 적용하여 기준 냉각수 온도 범위의 하한치를 보다 낮게 설정하고, 기준 냉각수 온도 최대치 증가분(β)을 적용하여 기준 냉각수 온도 범위의 상한치를 보다 높게 설정한다.
또한, 차량 주행을 위한 엔진 온 상태에서는, 차량 주행을 위해 접합되는 엔진클러치의 실시간 락업 타임(Lock Up Time)과 평균 락업 타임에 기초하여 엔진 오프 시점을 결정함으로써 결정된 엔진 오프 시점에 도달하기 전까지 엔진 온 상태를 유지시켜 냉각수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난방 공조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난방 공조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차량 실내 난방을 위한 FATC(전자동 온도조절) 스위치를 온 시키면, 설정된 기준 냉각수 온도 범위가 "A(최저치) < B(최대치)" 일 때, 현재 냉각수 온도가 A(최저치) 이하인지를 판정한다(S101).
"현재 냉각수 온도 ≤ A"이면, 실내 난방을 위한 히팅 제어를 위해 제1 엔진 제어 단계와 제2 엔진 제어 단계 중 하나의 단계가 진행된다.
이를 위해, 차량 주행을 위한 엔진 온 상태(예를 들어, EV 모드에서 HEV 모드로 전환된 상태) 여부를 판단한다(S102).
이때, 차량 주행을 위한 엔진 온 상태가 아니면, 제1 엔진 제어 단계가 진행된다.
즉, 본래의 설정된 기준 냉각수 온도 범위가 "A(최저치) < B(최대치)" 일 때, "A ≤ 현재 냉각수 온도"이면 본래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과, "현재 냉각수 온도 < A" 이면 엔진 온이 되어 "B ≤ 현재 냉각수 온도"가 될 때까지 엔진 온이 유지되도록 하는 과정(S104)이 진행된다.
다시 말해, "B ≤ 현재 냉각수 온도" 여부를 파악하여(S103), "B ≤ 현재 냉각수 온도" 가 아니면 엔진 온이 되어 "B ≤ 현재 냉각수 온도" 가 될 때까지 엔진 온 상태가 유지되고(S104), "B ≤ 현재 냉각수 온도" 이면 엔진을 오프시킨다.
반면, 차량 주행(구동)을 위한 엔진 온 상태이면, 제2 엔진 제어 단계가 진행된다.
이를 위해, 본래의 설정된 기준 냉각수 온도 범위가 A < B 일 때, "(B+β)≤ 현재 냉각수 온도" 인지를 판정하여(S105), "(B+β)≤ 현재 냉각수 온도"를 만족하면 엔진을 오프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실질적인 제2 엔진 제어 단계로 진입한다. 동시에 FATC(전자동 온도조절) 스위치의 온 이후 차량 주행을 위한 엔진 온 횟수를 카운트한다(S105-1).
상기 제2 엔진 제어 단계에 진입한 후, 본래의 기준 냉각수 온도 범위가 A < B 일 때, "(A-α) ≤ 현재 냉각수 온도"이면 본래 상태(예를 들어, 주행을 위한 엔진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α는 기준 냉각수 온도 최저치 감소분을 의미하고, 상기 β는 기준 냉각수 온도 최대치 증가분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엔진 제어 단계 진입 후, 차량 정차(차속=0) 여부를 파악하여(S106), 차량 정차 상태에서 "(A-α)≤ 현재 냉각수 온도"를 판정하여(S107) "(A-α)≤ 현재 냉각수 온도"를 만족하면 현재 냉각수 온도가 실내 난방이 가능한 정도이므로 엔진을 오프시키고, "(A-α)≤ 현재 냉각수 온도"를 만족하지 않으면 엔진을 온 상태로 유지시킨다(S112).
반면, 상기 제2 엔진 제어 단계에 진입한 후, 차량 정차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B+β)≤ 현재 냉각수 온도" 까지 엔진 온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이에, "(B+β)≤ 현재 냉각수 온도" 여부를 판정하여(S110), "(B+β)≤ 현재 냉각수 온도" 를 만족하면 엔진을 오프시키고 그렇치 않으면 "(B+β)≤ 현재 냉각수 온도" 를 만족할 때까지 엔진을 온 상태로 유지시킨다(S112-1).
좀더 설명하면, 첨부한 도 2에서 히팅 제어를 위한 엔진 온 구간으로서 "난방 ENG ON" 구간이 지시된 바와 같이, 엔진 온 상태에서 "(B+β)≤ 현재 냉각수 온도" 를 만족하지 않으면, "(B+β)≤ 현재 냉각수 온도" 를 만족할 때까지 엔진을 온 상태로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 제2 엔진 제어 단계에 진입한 후, 차량 정차가 아닌 경우에는, 주행을 위해 접합되는 엔진클러치의 실시간 락업 타임과 평균 락업 타임을 기반으로 엔진 오프 시점을 판단하고, 엔진 오프 시점 이전까지는 엔진의 본래 상태(예를 들어, 엔진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엔진클러치가 접합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실시간 락업 타임을 검출하고(S108), 현재까지 엔진 온이 될 때마다 발생한 엔진클러치의 접합 시간에 대한 평균 락업 타임을 계산한다.
현재까지 엔진 온이 될 때마다 발생한 엔진클러치의 접합 시간(락업 타임)을 누적 합산하고(S108-1) 이를 FATC(전자동 온도조절) 스위치의 온 이후 카운트한 주행을 위한 엔진 온의 횟수로 제산하여(S108-2), 상기 평균 락업 타임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실시간 락업 타임이 평균 락업 타임 이상인 경우에는, 차량 주행을 위한 엔진 온에 따른 주행 중, 기준시간(γ) 이상 히팅 제어를 위한 엔진 온 타임이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정하여(S109), 엔진 온 타임이 기준시간(γ) 이상이면, "(A-α)≤ 현재 냉각수 온도"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11).
이에, "(A-α)≤ 현재 냉각수 온도"를 만족하면 엔진을 오프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A-α)≤ 현재 냉각수 온도"를 만족할 때까지 엔진을 온시킨다(S112-2).
실시간 락업 타임이 평균 락업 타임 이상인 경우, 이렇게 기준시간(γ) 이상 히팅 제어를 위한 엔진 온 타임(혹은 엔진 온)이 유지될 때, "(A-α)≤ 현재 냉각수 온도"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엔진을 오프시키는 이유는 기준 냉각수 온도 범위의 확대에 따라 주행 중 엔진 온 타임(ENG On Time)이 너무 길어져 연비 악화를 초래하는 것을 막기 위함에 있다.
그리고, 실시간 락업 타임이 평균 락업 타임 미만인 경우에는, 차량 주행을 위한 엔진 온에 따른 주행 중, 기준시간(γ) 이상 히팅 제어를 위한 엔진 온 타임(혹은 엔진 온)이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정하여(S109-1), 엔진 온 타임이 기준시간(γ) 이상이면, "(A-α)≤ 현재 냉각수 온도"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S111-1), 이에 "(A-α)≤ 현재 냉각수 온도"를 만족하지 않으면 "(A-α)≤ 현재 냉각수 온도"를 만족할 때까지 엔진을 온 상태로 유지시키고, "(A-α)≤ 현재 냉각수 온도"를 만족하는 엔진 오프 시점에 도달하게 되면, 이후 히팅 제어를 위한 "추가 엔진 온 타임" 만큼 엔진 오프 시점을 지연시켜(S113) 엔진 온이 더 유지되도록 한다.
즉, 상기 "(A-α)≤ 현재 냉각수 온도"를 만족하는 엔진 오프 시점에 도달하게 되면, 바로 엔진을 오프시키는 것이 아니라 시간 카운트를 시작하여 추가적인 히팅 제어를 위한 "추가 엔진 온 타임" 동안 엔진 온 상태가 더 유지되도록 한다.
좀더 설명하면, 첨부한 도 2에서 히팅 제어를 위한 엔진 온 구간으로서 "추가적인 난방 ENG ON" 구간이 지시된 바와 같이, 엔진 온 상태에서 "(A-α)≤ 현재 냉각수 온도"를 만족하는 엔진 오프 시점에 도달하더라도 바로 엔진을 오프시키지 않고 추가적인 히팅 제어를 위한 "추가 엔진 온 타임" 동안 엔진을 온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렇게 주행을 위한 엔진 온에 따른 주행중, 실시간 락업 타임이 평균 락업 타임 미만인 경우, 기준시간(γ) 이상 히팅 제어를 위한 엔진 온 타임이 유지될 때, "(A-α)≤ 현재 냉각수 온도"를 만족한 시점에서 바로 엔진을 오프시키지 않고 추가 엔진 온 타임이 경과한 뒤에 엔진을 오프시키는 이유는, 연비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 "(A-α)≤ 현재 냉각수 온도"를 만족한 시점에서 바로 엔진을 오프시킴에 따라 주행 중 엔진 온 타임이 짧아 히팅 제어를 위한 엔진 온이 추가로 요구되고 이에 엔진 온 횟수가 증가하는 것을 막기 위함에 있다.
한편,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 난방 공조를 위한 엔진 제어에 의한 효과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난방 공조를 위한 엔진 제어에 의한 문제점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종래 기술을 적용하는 제어 예의 경우, 엔진클러치의 접합 시간(락업 타임)에 무관하게, 가속/감속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주행구간에서 히팅 제어를 위한 엔진 온이 발생하게 되어, 주행 중 히팅 제어를 위한 엔진 온 횟수가 증가하는 반면(도 4의 은선 원으로 지시된 부분 참조), 본 기술을 적용하는 제어 예의 경우 동일 주행구간에서, 실시간(순간) 락업 타임이 평균 락업 타임 이상인 경우에는 주행을 위한 엔진 온 타임이 길기 때문에 추가 히팅 제어를 위한 엔진 온이 미발생하고 엔진 오프가 이루어지고, 실시간(순간) 락업 타임이 평균 락업 타임 미만인 경우 주행을 위한 엔진 온 타임이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주행을 위한 엔진 온에 이어서 추가 히팅 제어를 엔진 온이 발생하게 된다(도 3의 은선 원으로 지시된 부분 참조).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주행 상태에 따른 엔진클러치의 접합 시간을 고려하여 주행 중 히팅 제어를 위한 엔진 온 타임을 제어함으로써 히팅 제어를 위한 엔진 온 횟수, 특히 엔진이 공회전하는 아이들(IDLE) 엔진 온 횟수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비효율적인 엔진 온/오프 발생을 억제하여 연비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5)

  1. 차량 주행을 위한 엔진 온이 아닌 상태에서, 설정된 기준 냉각수 온도 범위로 실내 난방을 위한 히팅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 엔진 제어 단계:
    차량 주행을 위한 엔진 온 상태에서, 기준 냉각수 온도 범위의 하한치를 보다 낮게 설정하는 동시에 상한치를 보다 높게 설정하여 차량 주행을 위한 엔진 온 타임을 증가시키고, 주행을 위한 엔진클러치의 실시간 락업 타임(Lock Up Time)과 평균 락업 타임에 기초하여 엔진 오프 시점을 결정하는 제2 엔진 제어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엔진 제어 단계는,
    기준 냉각수 온도 범위가 A < B 일 때 "(A-α) ≤ 현재 냉각수 온도"이면 본래 상태를 유지시키고,
    실시간 락업 타임이 평균 락업 타임 미만인 경우, 차량 주행을 위한 엔진 온에 따른 주행 중 기준시간 이상 히팅 제어를 위한 엔진 온이 유지되고, "(A-α)≤ 현재 냉각수 온도"를 만족하면, 추가적인 히팅 제어를 위한 추가 엔진 온 타임 만큼 엔진 오프를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난방 공조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
    여기서, 상기 α는 기준 냉각수 온도 최저치 감소분이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엔진 제어 단계는,
    기준 냉각수 온도 범위가 A < B 일 때, "A ≤ 현재 냉각수 온도"이면 본래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과;
    "현재 냉각수 온도 < A" 이면 엔진 온 되어 "B ≤ 현재 냉각수 온도" 가 될 때까지 엔진 온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난방 공조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엔진 제어 단계는,
    "현재 냉각수 온도 < (A-α)"이면 엔진 온을 유지하는 동시에 "(B+β)≤ 현재 냉각수 온도" 까지 엔진 온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난방 공조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
    여기서, 상기 α는 기준 냉각수 온도 최저치 감소분이고, 상기 β는 기준 냉각수 온도 최대치 증가분이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엔진 제어 단계는,
    실시간 락업 타임이 평균 락업 타임 이상인 경우, 차량 주행을 위한 엔진 온에 따른 주행 중 기준시간 이상 히팅 제어를 위한 엔진 온이 유지되고, "(A-α)≤ 현재 냉각수 온도"를 만족하면, 엔진을 오프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난방 공조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엔진 제어 단계는,
    차량 정차시 "(A-α)≤ 현재 냉각수 온도"를 만족하면 엔진을 오프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난방 공조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
KR1020160064577A 2016-05-26 2016-05-26 차량의 난방 공조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 Active KR101776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577A KR101776502B1 (ko) 2016-05-26 2016-05-26 차량의 난방 공조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
US15/364,908 US10682896B2 (en) 2016-05-26 2016-11-30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engine for vehicle interior heating
DE102016224727.1A DE102016224727A1 (de) 2016-05-26 2016-12-12 System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r Brennkraftmaschine zur Fahrzeuginnenraumheizung
CN201611253494.XA CN107433835B (zh) 2016-05-26 2016-12-30 控制发动机进行车辆内部加热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577A KR101776502B1 (ko) 2016-05-26 2016-05-26 차량의 난방 공조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6502B1 true KR101776502B1 (ko) 2017-09-07

Family

ID=59925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577A Active KR101776502B1 (ko) 2016-05-26 2016-05-26 차량의 난방 공조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82896B2 (ko)
KR (1) KR101776502B1 (ko)
CN (1) CN107433835B (ko)
DE (1) DE1020162247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9470B2 (en) * 2016-08-17 2019-01-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ybrid vehicle propulsion systems and methods
GB2569352B (en) * 2017-12-14 2020-06-17 Jaguar Land Rover Ltd Hybrid vehicle climate control
WO2019116558A1 (ja) * 2017-12-15 2019-06-2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冷却水温度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KR102420666B1 (ko) * 2017-12-21 2022-07-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차량의 엔진 오프 타이머 진단방법
KR102042322B1 (ko) * 2017-12-27 2019-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난방 시 엔진 제어 방법
CN116997493B (zh) * 2021-02-18 2024-10-08 日产自动车株式会社 混合动力车辆控制方法及混合动力车辆控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4209A (en) * 1958-05-20 1960-02-09 Charles S Schott Engine starting device
GB1137730A (en) * 1966-10-21 1968-12-27 Daimler Benz Ag Improvements relating to motor-vehicle engines
US5140826A (en) * 1991-07-11 1992-08-25 Thermo King Corporation Method of operating a transport refrigeration unit
US5345761A (en) * 1993-12-02 1994-09-13 Ford Motor Company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hybrid vehicle
US5667710A (en) * 1996-03-26 1997-09-16 Kraemer; Steve Electrical heater device for heating the interior of an automobile
JP3551178B2 (ja) * 2001-09-10 2004-08-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クラッチ制御装置
US7454910B2 (en) * 2003-06-23 2008-11-25 Denso Corporation Waste heat recovery system of heat source, with Rankine cycle
US7146959B2 (en) * 2004-12-28 2006-12-12 Detroit Diesel Corporation Battery voltage threshold adjustment for automatic start and stop system
US7003395B1 (en) * 2004-12-28 2006-02-21 Detroit Diesel Corporation Automatic thermostat mode time limit for automatic start and stop engine control
US7036477B1 (en) * 2004-12-28 2006-05-02 Detroit Diesel Corporation Engine run time change for battery charging issues with automatic restart system
US7797958B2 (en) * 2006-11-15 2010-09-21 Glacier Bay, Inc. HVAC system controlled by a battery management system
JP4346654B2 (ja) * 2007-04-26 2009-10-21 富士通テン株式会社 空ぶかし検知装置および空ぶかし検知方法
US7861547B2 (en) * 2008-05-28 2011-01-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HVAC system control for improved vehicle fuel economy
US7908877B2 (en) * 2008-07-18 2011-03-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HVAC control
US9702315B1 (en) * 2008-11-14 2017-07-11 Brian Palmer System for enhanced vehicle performance and efficiency
US20110114405A1 (en) * 2009-11-17 2011-05-19 Perhats Frank J Drive isolation system for traction engine driven accessories
KR20130036006A (ko) * 2010-02-23 2013-04-09 이턴 코포레이션 차량용 토크 변환기 제어
US8346422B2 (en) * 2010-05-24 2013-01-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ybrid electric vehicle thermal management system
WO2012172660A1 (ja) * 2011-06-15 2012-12-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暖房制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277293B2 (ja) * 2011-07-27 2013-08-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5609809B2 (ja) * 2011-07-28 2014-10-2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およびその制御装置
JP2013108812A (ja) 2011-11-18 2013-06-06 Lintec Corp 記録装置及びセンシングシステム
US8489267B1 (en) * 2012-08-30 2013-07-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system for adapting engine coolant temperature (ECT) warm-up trajectory based on heater core loading to adjust cabin temperature
KR101338463B1 (ko) 2012-11-23 2013-12-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시동 제어 방법 및 시스템
EP3974637A3 (en) * 2013-05-30 2022-04-20 NISSAN MOTOR Co., Ltd. Starting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nd starting control method
JP6048585B2 (ja) * 2013-09-26 2016-12-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起動制御装置及び起動制御方法
CN203611686U (zh) * 2013-10-30 2014-05-28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车用空调装置以及车辆
US10309363B2 (en) * 2013-12-05 2019-06-04 Ecomplete, Llc Integrated automated idle reduction system and method
KR101534739B1 (ko) 2013-12-26 2015-07-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난방 장치 및 방법
US9822752B2 (en) * 2014-05-19 2017-11-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heating system and method
KR101592712B1 (ko) 2014-06-23 2016-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히팅 공조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
JP6142850B2 (ja) * 2014-07-17 2017-06-07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JP6252495B2 (ja) * 2015-01-07 2017-12-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US9758171B2 (en) * 2015-06-15 2017-09-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ulti-mode powertrain system including an engine having stop/start cap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41487A1 (en) 2017-11-30
CN107433835A (zh) 2017-12-05
DE102016224727A1 (de) 2017-11-30
CN107433835B (zh) 2022-03-08
US10682896B2 (en) 202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6502B1 (ko) 차량의 난방 공조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
KR101619653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난방시 엔진 아이들 운전 제어 방법
CN106183714B (zh) 车辆热管理系统及用于其的控制方法
US8843258B2 (en) Battery unit heating apparatus
JP6264258B2 (ja) 車両の制御装置
CN108136877B (zh) 用于车辆的多区加热、通风和空调系统的能耗管理和方法
CN107284440B (zh) 用于混合动力车辆的发动机启动方法
WO2016098327A1 (ja) ハイブリッド車の制御装置
US8656889B2 (en)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having a prime mover
US20130139532A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N104044591A (zh) 用于优化车辆节能模式可用性的系统和方法
US20210188125A1 (en) Acceleration control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US20160264077A1 (en) Optimized hvac system control for electrified vehicles
JP6156776B2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JP4604047B2 (ja) 内燃機関を自動的にスタートおよびストップさせる方法
KR101592712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히팅 공조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
KR101534739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난방 장치 및 방법
US10495044B2 (en)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WO2009112847A1 (en) Automotive climate control systems
CN110608102A (zh) 车辆的控制装置
CN105074197A (zh) 用于车辆的控制装置及控制方法
KR102042322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난방 시 엔진 제어 방법
KR20220049696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난방 제어 방법 및 장치
RU2715916C2 (ru) Управление нагрузкой обогреваемого ветрового стекла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и максимизации доступности системы остановки-запуска
US11333086B1 (en) System for variably controlling engine-on line in consideration of cooling after FATC engine is turned 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9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9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