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75802B1 - 도광체, 도광체의 제조 방법, 광셔터 및 면광원 장치 - Google Patents

도광체, 도광체의 제조 방법, 광셔터 및 면광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802B1
KR101775802B1 KR1020157009461A KR20157009461A KR101775802B1 KR 101775802 B1 KR101775802 B1 KR 101775802B1 KR 1020157009461 A KR1020157009461 A KR 1020157009461A KR 20157009461 A KR20157009461 A KR 20157009461A KR 101775802 B1 KR101775802 B1 KR 101775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guide
main surface
light source
output mechanis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9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8318A (ko
Inventor
야스오 와쿠이
도모나리 요시무라
겐지 야기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58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80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2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6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for extracting light out both the major surfaces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3Light emitting diode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 G02B6/0043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과제] 셔터 열림의 상태에서는 투명성이 높고, 셔터 닫힘의 상태에서는 높은 은폐 기능을 갖는 광셔터를 구성할 수 있는 도광체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대향하는 2개의 주면이 광출사면(6A, 6B)이고, 적어도 1개의 측단면이 광입사면(5)인 판형상의 도광체(4)로서, 적어도 한쪽 주면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광출사 기구(6)가 형성되어 있고, 광출사 기구가 형성된 영역에 있어서의 담가가 3% 이하이며, 적어도 1개의 광입사면(5)으로부터 완전 확산광이 입사되었을 때에, 주면으로부터의 출사광(8)의 광도가 극대가 되는 각도(θA, θB)가, 주면의 법선을 중심으로 -60° 이상 +60° 이하의 범위 내에 있고, 출사광 효율이 15% 이zz상인 도광체(4).

Description

도광체, 도광체의 제조 방법, 광셔터 및 면광원 장치{LIGHT-GUIDING BODY, LIGHT-GUIDING BODY FABRICATION METHOD, OPTICAL SHUTTER, AND PLANAR LIGHT SOURCE DEVICE}
본 발명은 도광체, 도광체의 제조 방법, 광셔터 및 면광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강화 유리판이나 메타크릴 수지판 등의 투명 판재는 투명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예컨대 광셔터 용도 및 백라이트, 조명 장치 등의 면광원 용도에 도광체로서 이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광셔터용 도광체로서, 표면에 간유리 처리 등의 조면(粗面) 가공을 실시한 강화 유리판이나 메타크릴 수지판 등이 기재되어 있다. 이 광셔터에는, 셔터 영역 전체면이 조면화된 도광체가 사용되고 있고, 이 도광체의 단면(端面)에 LED(발광 다이오드) 광원이 배치되어 있다. 이 광셔터는, LED 광원 소등 시에는 정면으로부터 이면측을 시인할 수 있고, LED 광원 점등 시에는, 조면화부에서 확산된 광이 도광체의 주면(主面)으로부터 출사되는 것에 의해, 이면측을 시인할 수 없는 은폐 상태가 된다. 즉, 이 광셔터는 광원 소등 시가 셔터 열림의 상태가 되고, 광원 점등 시가 셔터 닫힘의 상태가 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에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용 도광체로서, 표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메타크릴 수지판이 기재되어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도광체는, 레이저 가공에 의해 형성된 직경 260∼450㎛ 정도의 오목부를 갖고, 액정 표시 장치의 면광원 용도에 적합하다.
일본 특허공개 2003-149,410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0-103,068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도광체는 셔터 영역 전체면이 조면화되어 있기 때문에, 셔터 열림의 상태에 있어서 셔터의 정면으로부터 이면측을 시인할 수 있지만, 셔터의 투명성이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또한, 셔터 닫힘의 상태에서는, 조면화에 의한 광출사 방향의 컨트롤이 어려워, 셔터의 정면 방향의 광량이 낮아지기 때문에, 은폐 기능이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한편, 최근 에너지 절약의 관점에서 LED 광원을 이용한 면광원 장치가 조명 장치로서 사용되도록 되고 있다. 나아가, 의장성의 면에서, 소등 시에는 투명하고 존재감이 낮은 면광원 장치에 대한 요망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면광원 장치는, 광원 소등 시의 도광체의 투명성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이 요망에 충분하게는 대응할 수 없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셔터 열림의 상태에서는 투명성이 높고, 셔터 닫힘의 상태에서는 높은 은폐 기능을 갖는 광셔터 및 그것에 이용하는 도광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광원 소등 시에 투명성이 높고, 의장성이 우수한 면광원 장치 및 그것에 이용하는 도광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이하의 본 발명 [1]∼[6]에 의해서 해결된다. 즉, 상기 목적 중 어느 하나는 이하의 본 발명 [1]∼[6]에 의해 달성된다.
[1] 대향하는 2개의 주면이 광출사면이고, 적어도 1개의 측단면(側端面)이 광입사면인 판형상의 도광체로서, 적어도 한쪽 주면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광출사 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광출사 기구가 형성된 영역에 있어서의 담가(曇價)가 3% 이하이며, 적어도 1개의 광입사면으로부터 완전 확산광이 입사되었을 때에, 주면의 광출사 기구가 형성된 영역으로부터의 출사광의 광도가 극대가 되는 각도(이하, 「출사 극대 각도」라고 한다)가, 주면의 법선을 중심으로 -60° 이상 +60° 이하의 범위 내에 있고, 출사광 효율이 15% 이상인 도광체.
[2] 적어도 1개의 광입사면으로부터 완전 확산광이 입사되었을 때에, 한쪽 주면의 출사 극대 각도가, 주면의 법선을 중심으로 -30° 이상 +30° 이하의 범위 내에 있고, 다른 한쪽 주면의 출사 극대 각도가 -60° 이상 -30° 이하의 범위 내, +30° 이상 +60° 이하의 범위 내 또는 -60° 이상 -30° 이하와 +30° 이상 +60°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1]에 기재된 도광체.
[3] 대향하는 2개의 주면이 광출사면이고, 적어도 1개의 측단면이 광입사면인 판형상의 도광체로서, 적어도 한쪽 주면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광출사 기구로서 미소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의 깊이 또는 볼록부의 높이가 30㎛ 이상 70㎛ 이하이며,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직경이 40㎛ 이상 150㎛ 이하이고,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면 밀도가 1평방인치당 450도트 이상 5,000도트 이하인 도광체. 여기에서, 「도트」는 개수 단위이며, 1도트는 1개인 것을 나타낸다.
[4] 도광체 원판의 적어도 한쪽 주면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광출사 기구를 형성하는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도광체의 제조 방법.
[5]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도광체의 광입사면에 대향하여 광원이 배치되어 있는 광셔터.
[6]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도광체의 광입사면에 대향하여 광원이 배치되어 있는 면광원 장치.
본 발명의 도광체에 의해, 셔터 열림의 상태에서는 투명성이 높고, 셔터 닫힘의 상태에서는 높은 은폐 기능을 갖는 광셔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광체에 의해, 광원 소등 시에는 투명성이 높고, 의장성이 우수한 면광원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도광체 중의 광출사 기구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단면도 및 오목부를 위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도광체의 1개의 측단면으로부터 광이 입사되었을 때의, 주면으로부터의 출사광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측면도 및 모식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도광체의 주면으로부터의 출사광 패턴 a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도광체의 주면으로부터의 출사광 패턴 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도광체의 주면으로부터의 출사광 패턴 c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도광체의 주면으로부터의 출사광 패턴 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도광체를 이용한 광셔터 또는 면광원 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모식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도광체를 이용한 광셔터 또는 면광원 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모식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도광체의 출사 극대 각도를 측정하는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도광체의 출사광 효율을 측정하는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대향하는 2개의 측단면을 광입사면으로 한 본 발명의 도광체를 이용한 광셔터 또는 면광원 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모식 측면도 및 모식 상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도광체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 측면도이다.
<광출사면>
광출사면은 본 발명의 도광체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2개의 주면의 각각에 의해 구성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도광체의 어느 2개의 면에 관하여 「대향한다」란, 도광체 내측을 향해서 서로 마주 보는 것을 의미한다.
<광입사면>
광입사면은 본 발명의 도광체에 있어서의 적어도 1개의 측단면에 의해 구성된다.
광입사면은 1개의 측단면이어도 되고, 2개 이상의 복수의 측단면의 각각이어도 된다.
광입사면이 2개 있는 경우는, 대향하는 2개의 측단면의 각각이 광입사면이어도 되고, 직교하는 2개의 측단면의 각각이 광입사면이어도 된다. 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균일성의 면에서, 예컨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향하는 2개의 측단면의 각각이 광입사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출사 기구>
광출사 기구는 본 발명의 도광체에 입사된 광을 본 발명의 도광체의 외부로 출사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광출사 기구는 본 발명의 도광체의 적어도 한쪽 주면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광출사 기구는 도광체의 2개의 주면 중의 적어도 1개의 주면에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양쪽의 주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광출사 기구는 주면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주면의 전역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광출사 기구는 주면의 복수의 영역에 분할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광출사 기구로서는, 예컨대 주면의 표면에 미소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형성시킨 것 및 주면의 표면에 산화타이타늄 입자 등의 산란체를 아크릴계 등의 바인더 수지 중에 분산시킨 수지층을 형성시킨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광출사의 효율의 면에서, 주면의 표면에 미소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형성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광출사 기구가 주면의 표면에 미소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형성시킨 것인 경우에는, 오목부의 깊이 또는 볼록부의 높이는 30㎛ 이상 70㎛ 이하가 바람직하고,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에 관하여 30㎛ 이상 70㎛ 이하의 범위 내에서 편차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오목부의 깊이 또는 볼록부의 높이란,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단면(斷面)에 있어서의 최저부 또는 최정상부로부터 주면(여기에서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제외한 평탄면 부분)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이하에, 오목부를 예로 들어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도광체 중의 광출사 기구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단면(1) 및 위로부터 본 오목부(2)를 나타낸다. 오목부의 깊이는 오목부 단면(1)에 있어서의 최저부로부터 주면까지의 거리(Y)이다.
오목부의 깊이 또는 볼록부의 높이가 30㎛ 이상인 경우에, 광출사 기구를 갖는 쪽의 주면에 대한 출사 극대 각도를, 주면의 법선을 중심으로 +60° 이하로 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이 경우에, 광출사 기구를 갖지 않는 쪽의 주면에 대한 출사 극대 각도를, 주면의 법선을 중심으로 +30° 이하로 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오목부의 깊이 또는 볼록부의 높이가 70㎛ 이하인 경우에, 광출사 기구를 갖지 않는 쪽의 주면에 대한 출사 극대 각도를 주면의 법선을 중심으로 -30° 이상으로 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오목부의 깊이 또는 볼록부의 높이의 범위의 하한치는 35㎛가 보다 바람직하고, 40㎛가 특히 바람직하다.
오목부의 깊이 또는 볼록부의 높이의 범위의 상한치는 65㎛가 보다 바람직하다.
광출사 기구가 주면의 표면에 미소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형성시킨 것인 경우에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직경은 40㎛ 이상 150㎛ 이하가 바람직하고,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에 관하여 40㎛ 이상 150㎛ 이하의 범위 내에서 편차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직경이란,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최대 내경을 나타낸다. 이하에, 오목부를 예로 들어 도 1의 위로부터 본 오목부(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오목부의 직경은 오목부(2) 중에 점선으로 나타낸 오목부의 최대 내경(X)이다.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직경이 40㎛ 이상인 경우에, 본 발명의 도광체의 출사광 효율이 15% 이상이 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출사광 효율이란, 광입사면으로부터 입사된 입사광속(束)에 대한 광출사 기구를 갖는 광출사면으로부터의 출사광속과 광출사 기구를 갖지 않는 광출사면으로부터의 출사광속의 합의 비율을 나타낸다.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직경이 150㎛ 이하인 경우에, 본 발명의 도광체의 담가가 3% 이하가 되는 경향이 있다.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직경의 범위의 하한치는 50㎛가 보다 바람직하고, 60㎛가 특히 바람직하다.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직경의 범위의 상한치는 130㎛가 보다 바람직하고, 110㎛가 특히 바람직하다.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면 밀도는 1평방인치당 450도트 이상 5,000도트 이하가 바람직하다.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면 밀도가 1평방인치당 450도트 이상인 경우에, 본 발명의 도광체의 출사광 효율이 15% 이상이 되는 경향이 있다.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면 밀도가 1평방인치당 5,000도트 이하인 경우에, 본 발명의 도광체의 담가가 3% 이하가 되는 경향이 있다.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면 밀도의 범위의 하한치는 1평방인치당 500도트가 보다 바람직하고, 600도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면 밀도의 범위의 상한치는 1평방인치당 4,000도트가 보다 바람직하고, 2,800도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도광체>
본 발명의 도광체는, 각각이 광출사면인 대향하는 2개의 주면 및 적어도 1개가 광입사면인 측단면을 갖고, 판형상이다.
본 발명의 도광체는, 예컨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다층화한 판형상체로 할 수 있다. 도 12의 도광체(4)는 저굴절률 수지층(17A), 고굴절률 수지층(17B) 및 저굴절률 수지층(17A)의 3층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도광체(4)의 표면이 먼지나 지문에 의해 더러워져도, 그 오염이 눈에 띄기 어렵다는 특장점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2에 있어서, 광입사면(5), 및 광출사 기구를 갖지 않는 광출사면(6A) 및 광출사 기구(6)를 갖는 광출사면(6B)이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도광체는, 필요에 따라 곡률을 가지게 한 판형상체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광체의 두께로서는, 예컨대 0.5∼6mm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도광체의 크기는 제한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광체의 형상으로서는, 예컨대 정방형, 직사각형, 5각형 이상의 다각형 및 원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도광체는, 대향하는 2개의 주면의 각각을 광출사면으로 하는 것이다.
광출사면에는, 그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광출사 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광입사면으로부터 입사된 광은 광출사 기구를 통해서 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된다.
본 발명의 도광체는, 바람직하게는 담가가 3% 이하이다.
본 발명의 도광체의 담가를 3%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도광체를 광셔터에 이용한 경우에, 셔터 열림의 상태에 있어서의 이면측의 시인성이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광체의 담가를 3%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도광체를 조명 등의 면광원 장치에 이용한 경우에, 광원 소등 시에는 투명성이 높고, 우수한 의장성을 갖는 면광원 장치를 얻을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도광체의 담가는 2.5% 이하가 바람직하고, 2%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광체의 담가는, 일반적으로는 0.1% 이상이다.
본 발명의 도광체는, 적어도 1개의 광입사면으로부터 완전 확산광이 입사되었을 때에, 바람직하게는 출사 극대 각도가 주면의 법선을 중심으로(즉 주면의 법선의 방향을 0°로 해서) -60° 이상 +60° 이하이다.
완전 확산광이란, 램버시안 분포(모든 방향에 대하여 휘도가 동등한 광의 분포)를 가지는 광이며, 예컨대 집광 렌즈가 없는 LED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들 수 있다.
출사 극대 각도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도광체의 1개의 측단면으로부터 광이 입사되었을 때의, 주면으로부터의 출사광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측면도를 모식 상면도와 함께 나타내는 것이다.
광입사면(5)에 대향하여 배치된 LED 광원(3)으로부터 출사된 광(7)은, 광입사면(5)으로부터 도광체(4)에 입사되고, 광출사 기구를 갖지 않는 광출사면(6A) 및 광출사 기구를 갖는 광출사면(6B)에 의해 반복해서 내면 반사되어 진행하며, 광출사 기구의 작용에 의해 광출사면(6A, 6B)으로부터 각각 출사광(8)으로서 출사된다.
출사 극대 각도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도가 극대가 될 때의 출사 각도이며,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출사면(6A, 6B)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방향과 주면의 법선이 이루는 각도(θA 또는 θB)로서, 법선 방향을 0°로 하고, 법선에 대하여 광원측을 -로 하고, 광원의 반대측을 +로 하여 표기한다.
출사 극대 각도가 주면의 법선을 중심으로 -60° 이상 +60° 이하이면, 셔터 닫힘의 상태에 있어서 높은 은폐 기능을 발현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출사 극대 각도가 -60° 이상 +60° 이하가 되는 출사광의 패턴으로서는, 예컨대 도 3∼도 6에 나타내는 패턴을 들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출사광 패턴(출사광 패턴 a)은, 광출사 기구를 갖는 주면이 1개이며, 1개의 측단면만이 광입사면인 경우의, 광출사 기구를 갖지 않는 주면으로부터의 출사광 패턴의 예이다. 이 예에서는, 출사 극대 각도가 +10° 부근에 존재하고 있다. 한편, 대향하는 2개의 측단면이 광입사면인 경우도 거의 마찬가지의 패턴을 나타내고, 출사 극대 각도가 법선 근변, 예컨대 -15°∼+ 15°, 특히 -10°∼+10°에 존재한다.
도 4에 나타내는 출사광 패턴(출사광 패턴 b)은, 광출사 기구를 갖는 주면이 1개이며, 1개의 측단면만이 광입사면인 경우의, 광출사 기구를 갖는 주면으로부터의 출사광 패턴의 예이다. 이 예에서는, 출사 극대 각도가 +50° 부근에 존재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출사광 패턴(출사광 패턴 c)은, 광출사 기구를 갖는 주면이 1개이며, 대향하는 2개의 측단면이 광입사면인 경우의, 광출사 기구를 갖는 주면으로부터의 출사광 패턴의 예이다. 이 예에서는, 출사 극대 각도가 -50° 부근 및 +50° 부근에 존재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출사광 패턴(출사광 패턴 d)은, 광출사 기구를 갖는 주면이 2개이며, 대향하는 2개의 측단면이 광입사면인 경우의, 주면으로부터의 출사광 패턴의 예이다. 이 예에서는, 출사 극대 각도가 -50°로부터 +50°에 걸쳐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3∼도 6에 나타낸 출사광 패턴과 같이, 광원 점등 시의 출사광을 효율적으로 광출사면의 정면으로 출사시킬 수 있고, 이면측을 시인하기 어려운 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셔터 기능, 즉 높은 은폐 기능을 발현시킬 수 있다.
광셔터로서는, 한쪽 주면의 출사광 패턴이 출사광 패턴 a이고, 다른 한쪽 주면의 출사광 패턴이 출사광 패턴 c인 도광체, 및 양쪽 주면의 출사광 패턴이 출사광 패턴 d인 도광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면광원 장치, 특히 매달기식 조명 장치로서는, 한쪽 주면의 출사광 패턴이 출사광 패턴 a이고, 다른 한쪽 주면의 출사광 패턴이 출사광 패턴 c인 도광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광체는, 바람직하게는 출사광 효율이 15% 이상이다.
출사광 효율이 15% 이상이면, 셔터 닫힘의 상태에 있어서 높은 은폐 기능을 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광체의 소재로서는, 예컨대 유리 등의 투명 무기 재료 및 투명 수지 재료를 들 수 있다.
투명 수지 재료에 사용되는 투명 수지로서는, 예컨대 메타크릴 수지, 스타이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지환식 폴리올레핀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레이저 가공성의 점에서, 메타크릴 수지가 바람직하다.
메타크릴 수지로서는, 예컨대 메타크릴산 에스터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메타크릴산 에스터로서는, 예컨대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프로필 및 메타크릴산 사이클로헥실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타크릴산 에스터에,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n-아크릴산 뷰틸 등의 아크릴산 에스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무수 말레산 등의 α,β-에틸렌성 불포화 카복실산, 스타이렌 등의 방향족 바이닐 단량체, 아크릴로나이트릴 등의 사이안화 바이닐 단량체 등의 다른 바이닐 단량체를 공중합시켜도 된다.
메타크릴 수지로서는, 가공성 및 염가인 점에서, 메타크릴산 메틸 단독중합체 또는 메타크릴산 메틸을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도광체 내부에 산란체를 분산시킬 수 있다.
산란체로서는, 예컨대 무기 확산제 및 유기 확산제를 들 수 있다.
무기 확산제로서는, 예컨대 유리 미립자 및 실리카 미립자를 들 수 있다.
유기 확산제로서는, 예컨대 실리콘 미립자 및 스타이렌 미립자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도광체는, 예컨대 판형상의 도광체 소재, 즉 도광체 원판(도광체 블랭크)의 주면에 광출사 기구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광출사 기구로서 오목부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레이저 가공법 및 날붙이를 이용한 기계 가공법을 들 수 있다.
광출사 기구로서 볼록부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핫 프레스법, 사출 성형법, 스크린 인쇄법 및 잉크젯 인쇄법을 들 수 있다.
광출사 기구로서 스크린 인쇄법, 잉크젯 인쇄법 등의 인쇄법에 의해 볼록부를 형성하는 경우, 볼록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잉크 중에 산란체를 함유시킬 수 있다.
도광체 원판의 주면에 광출사 기구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가공성 및 양산성의 면에서, 레이저 가공법에 의해 오목부를 형성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레이저 가공법에 의해 오목부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도광체 원판의 주면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레이저로서는, 도광체 원판에 대한 가공 효율이 좋은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탄산 가스 레이저(CO2 레이저) 등의 적외 레이저를 들 수 있다. 특히, 도광체 원판에 메타크릴 수지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는 9.3㎛ 또는 10.6㎛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가 바람직하다. 이 파장의 레이저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메타크릴 수지 시트가 레이저광을 흡수하여, 가열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레이저 가공할 수 있다.
탄산 가스 레이저 가공 장치로서는, 예컨대 유니버셜레이저(주)제 CO2 가스 레이저 가공기 PLS4.75(상품명, 파장: 10.6㎛, 평균 출력: 40W)를 들 수 있다.
레이저의 출력, 주사 속도, 초점 위치(포커스 위치), 집광 렌즈의 개구수 등의 조사 조건을 변화시킴으로써, 오목부의 형상(직경, 깊이)을 제어할 수 있다. 레이저는 펄스 형상으로 조사되기 때문에, 주사에 수반하여, 서로 격리된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된다.
<광셔터, 면광원 장치>
본 발명의 광셔터 및 면광원 장치는 본 발명의 도광체의 광입사면에 대향하여 광원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광원으로서는, 예컨대 LED 및 냉음극관 형광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소비 전력을 적게 할 수 있는 점이나 구동 회로를 간략화할 수 있는 점에서, LED가 바람직하다.
LED로서는, 백색의 LED를 이용해도 되고, 용도에 따라 착색의 LED를 이용해도 되며, 상이한 색의 LED를 조합해도 된다. 또한, LED로서는, 렌즈가 없는 LED(완전 확산광을 출사하는 LED)를 이용해도 되고, 평행광을 출사하는 것이 아니면 렌즈 부착 LED를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목적에 따라 상기의 LED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셔터 또는 면광원 장치의 광원으로서 LED 광원을 사용하는 경우는, 1개의 측단면에 대향하여 1개 또는 복수개의 LED 광원을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셔터 및 면광원 장치에 이용되는 도광체는, 광입사면은 적어도 1개 있으면 되고, 광입사면이 2개 있는 경우는, 대향하는 2개의 측단면을 광입사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셔터 또는 면광원 장치에 이용되는 도광체는 한쪽 주면에 광출사 기구가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양쪽 주면에 광출사 기구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한쪽 주면에 광출사 기구로서 오목부가 형성된 도광체를 이용하고, 대향하는 2개의 측단면의 각각을 광입사면으로 한 광셔터 또는 면광원 장치에 대하여,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대향하는 2개의 측단면의 각각을 광입사면(5)으로 하고, 한쪽 주면에 광출사 기구(6)로서 오목부가 형성된 도광체(4)를 이용한 광셔터 또는 면광원 장치의 모식 측면도이다.
광원(3)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광입사면(5)으로부터 도광체(4)에 입사하고 광출사 기구를 갖지 않는 출사면(6A) 및 광출사 기구(6)를 갖는 출사면(6B)으로부터 출사된다. 이때, 광출사 기구를 갖지 않는 출사면(6A)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광출사 기구(6)에서 반사된 광이기 때문에, 출사광 패턴은 전술한 출사광 패턴 a가 된다.
한편, 광출사 기구를 갖는 출사면(6B)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광출사 기구(6)에서 굴절된 광이기 때문에, 출사광 패턴은 전술한 출사광 패턴 c가 된다.
또한, 양쪽 주면에 광출사 기구로서 오목부가 형성된 도광체를 이용하고, 대향하는 2개의 측단면의 각각을 광입사면으로 한 광셔터 또는 면광원 장치에 대하여,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광원(3)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광입사면(5)으로부터 도광체(4)에 입사되고 서로 대향하는 2개의 광출사 기구(6)를 갖는 출사면(6B)으로부터 출사된다. 이때, 광출사 기구(6)를 갖는 출사면(6B)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출사광 패턴은, 양쪽 주면에 광출사 기구(6)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출사광 패턴 a와 출사광 패턴 c가 믹싱되어 전술한 출사광 패턴 d가 된다.
본 발명의 광셔터는 광원 소등 시에는 셔터 열림의 상태가 되고, 광원 점등 시에는 셔터 닫힘의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광셔터는 본 발명의 도광체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셔터 열림의 상태에서는, 광셔터의 정면으로부터 이면측을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고, 셔터 닫힘의 상태에서는, 높은 은폐 기능을 발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높은 은폐 기능이란, 광셔터의 정면으로부터 보아도, 사선으로부터 보아도 셔터로서의 은폐성이 높아, 이면측을 시인할 수 없게 되는 기능을 말한다.
광셔터로서는, 한쪽 주면의 출사광 패턴이 출사광 패턴 a이고, 다른 한쪽 주면의 출사광 패턴이 출사광 패턴 c인 도광체 또는 양쪽 주면의 출사광 패턴이 출사광 패턴 d인 도광체를 이용하는 것이, 높은 은폐 기능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면광원 장치는, 본 발명의 도광체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광원 소등 시에 투명성이 높고, 의장성이 우수한 조명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면광원 장치를 매달기식 조명 장치에 이용하는 경우는, 출사광 패턴 c의 광을 출사하는 주면을 갖는 도광체를 이용하고, 이 주면이 천장측을 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간접광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있어서 「부」는 「질량부」를 나타낸다.
(1) 도광체의 평가
(a) 오목부의 깊이 및 직경
레이저 현미경(올림푸스(주)제, OLS-3500(상품명))을 이용하여 도광체 시험편의 오목부의 깊이 및 직경을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우선, 도광체 시험편의 중앙 부분의 임의의 오목부를 1개 선택하고, 대물 렌즈(×50)를 이용하여 오목부의 깊이 방향의 측정 피치를 0.25㎛로 설정하고, 레이저 강도 레벨을 100으로 설정하여 오목부의 3차원 화상의 데이터를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3차원 화상의 데이터에 대하여, 레이저 현미경에 내장되어 있는 요철 형상용 노이즈 제거 처리 조작을 1회 행해서, 암(暗) 노이즈를 제거하고, 레이저 현미경에 내장되어 있는 단차 계측 조작에 의해 상기의 오목부의 깊이 및 직경을 측정했다.
한편, 오목부의 직경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광체 시험편의 상면을 기준으로 한 최대 내경(X)이다. 또한, 오목부의 깊이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광체 시험편의 상면을 기준으로 한 오목부의 가장 깊은 개소까지의 거리(Y)이다.
(b) 오목부의 면 밀도
레이저 현미경(올림푸스(주)제, OLS-3500(상품명))을 이용하여 도광체 시험편의 오목부의 면 밀도를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우선, 대물 렌즈(×10)를 선택하여 도광체 시험편의 광출사 기구를 갖는 주면(세로 10.24mm×가로 10.24mm)의 2차원 화상의 데이터를 얻은 후, 1평방인치당 오목부의 개수를 구하여, 오목부의 면 밀도를 얻었다.
(c) 담가
HAZEMETER((주)무라카미색채기술연구소제, HM-150(상품명))의 수광측에 도광체 시험편의 광출사 기구를 갖는 주면을 세팅하고, JIS K 7136에 준거하여 담가를 측정했다.
(d) 출사 극대 각도
출사 극대 각도는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출사 기구 형성 주면의 반대측의 주면을 휘도계(9)를 향하게 해서 상측으로 한 광셔터용 시험편(15)의 1개의 측단면에 LED 광원(3)(니치아화학공업(주)제, 상품명: NS2W123B)을 부착하고, 상측 주면을 중앙부에 직경 10mm의 원형의 개구부를 가지는 차광 커버(16)로 차광한 후, 측정각을 2°로 설정한 휘도계(9)((주)탑콘제, BM-7(상품명))를 광셔터용 시험편(15)의 상방에 설치하고, 광셔터용 시험편(15)의 상측 주면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휘도계(9)로부터 상측 주면의 중앙부까지의 거리가 일정 거리(Z = 650mm)가 되는 조건에서 도시되는 방향으로 1°씩 휘도계(9)를 이동시켜 상대 광도를 측정하여, 출사 극대 각도를 구했다. 한편, 차광 커버(16)를 설치하고, 휘도계(9)의 측정각을 크게 함(2°)으로써, 휘도계를 광도계로서 기능하게 했다.
(e) 출사광 효율
출사광 효율은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광체 시험편(10)의 1개의 측단면에 LED 광원(3)(니치아화학공업(주)제, 상품명: NS2W123B)을 부착하고, 주면의 상면 이외의 면을 차광 커버(11)로 차광한 후, 반달꼴 적분구(12)(오츠카전자(주), 상품명: HM-1030) 내에 설치하고, LED 광원(3)에 전류 60mA를 인가하여 13.5lm의 광속을 도광체 시험편(10)에 입사시키도록 했다. 여기에서, 도광체 시험편(10)의 광출사 기구를 갖는 주면 및 광출사 기구를 갖지 않는 주면을 각각 상면으로 해서 배치하고, 도광체 시험편(10)의 광출사 기구를 갖는 주면의 출사광속 Ia 및 광출사 기구를 갖지 않는 주면의 출사광속 Ib를 각각 반달꼴 적분구에 접속된 광속 검출기(13)(오츠카전자(주)제, 상품명: MCPD-9800)를 이용해 측정하여, 하기 식에 의해 출사광 효율을 구했다.
출사광 효율(%) = ({출사광속 Ia(lm)+출사광속 Ib(lm)}/입사광속(13.5(lm))*100
(2) 광셔터의 평가
(a) 투명성
광셔터의 도광체의 광출사 기구를 갖지 않는 주면의 후측의 20cm 떨어진 위치에 자료를 배치했다. 이어서, 광셔터의 도광체의 광출사 기구를 갖는 주면의 앞측의 20cm 떨어진 위치로부터, 광셔터의 광원을 소등한 상태에서 자료의 시인성을 확인하여, 광셔터의 도광체의 투명성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자료의 문자를 시인하기 쉬워서, 광원 소등 시의 투명성이 양호하다.
×: 자료의 문자를 시인하기 어려워서, 광원 소등 시의 투명성이 불량하다.
(b) 은폐성 A(사선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은폐 기능)
광셔터의 도광체의 광출사 기구를 갖지 않는 주면의 후측의 20cm 떨어진 위치에 자료를 배치했다. 이어서, 광셔터의 도광체의 광출사 기구를 갖는 주면의 앞측의 20cm 떨어진 위치로부터 사선 45°의 각도로, 광셔터의 광원을 점등한 상태에서 자료의 시인성을 확인하여, 광셔터의 사선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은폐 기능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자료의 문자를 시인하기 어려워서, 은폐 기능이 양호하다.
×: 자료의 문자를 시인하기 쉬워서, 은폐 기능이 불량하다.
(c) 은폐성 B(정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은폐 기능)
광셔터의 도광체의 광출사 기구를 갖지 않는 주면의 후측의 20cm 떨어진 위치에 자료를 배치했다. 이어서, 광셔터의 도광체의 광출사 기구를 갖는 주면의 앞측의 20cm 떨어진 위치로부터 출사면 법선 방향으로, 광셔터의 광원을 점등한 상태에서 자료의 시인성을 확인하여, 광셔터의 출사면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셔터 기능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자료의 문자를 시인하기 어려워서, 은폐 기능이 양호하다.
×: 자료의 문자를 시인하기 쉬워서, 은폐 기능이 불량하다.
〔제조예 1〕 도광체 원판(α)의 제조
냉각관, 온도계 및 교반기를 구비한 반응기에, 메타크릴산 메틸 98부, 아크릴산 n-뷰틸 2부, 분자량 조정제로서 n-도데실 머캅탄 0.063부 및 이형제로서 다이옥틸설포석신산나트륨 0.005부를 공급했다.
반응기 내를 교반하면서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2,4-다이메틸발레로나이트릴) 0.10부를 첨가한 후에 내온 90℃까지 승온시켜, 10분간 유지했다. 이어서, 반응 용기를 실온까지 냉각시켜, 중합체 함유율 26질량%, 질량 평균 분자량 11.6만, 20℃에서의 절대 점도 1.8Pa·s의 시럽을 얻었다.
이 시럽 100부에 t-헥실 퍼옥시피발레이트(니치유(주)제, 퍼헥실 PV(상품명)) 0.35부 및 분자량 조정제로서 n-도데실 머캅탄 0.13부를 첨가한 후에 교반하여, 열중합성 점성 액체를 조제했다.
이 열중합성 점성 액체를, 폴리염화바이닐제 개스킷을 개재해서 2.3mm 간격으로 마주 하는 2장의 강화 유리판으로 협지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주형에 주입하고, 80℃의 온수 중에 45분간 침지하여 중합시킨 후, 135℃의 공기 가열로 중에서 60분간 열처리했다. 열처리 종료 후, 실온 하에서 냉각시키고, 개스킷 및 강화 유리판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 판 두께 3mm의 도광체 원판(α)을 얻었다.
〔제조예 2〕 도광체 원판(β)의 제조
성형 재료용 투명 메타크릴 수지(미쓰비시레이온(주)제, 아크리펫트 VH6#001(상품명))를 65mmφ 벤트 부착 일축 압출기로 용융 혼련하고, T 다이로부터 수지 온도 260℃에서 용융 압출하여, 표면이 평활한, 하 롤러, 중 롤러 및 상 롤러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3본 롤러를 이용해 하 롤러의 표면 온도 90℃, 중 롤러의 표면 온도 175℃ 및 상 롤러의 표면 온도 120℃로 설정해서 프레스 성형하여, 두께 3mm의 도광체 원판(β)을 얻었다.
〔실시예 1〕
제조예 1에서 얻어진 도광체 원판(α)으로부터, 패널 쏘우(panel saw)(신크스(주)제, SZ-III(상품명))를 이용하여, 210mm×300mm의 광셔터용 원판과 60mm×60mm의 도광체 시험편용 원판을 절출했다.
이어서, 플라 피니셔(아사히테크노(주)제, PLA-Finisher(상품명))를 이용하여, 회전날의 회전수 90rpm, 가공 속도 2.5mm/분의 조건에서, 광셔터용 원판 및 도광체 시험편용 원판의 모든 측단면을 경면 상태로 가공했다.
이 다음, 집광 렌즈(유니버셜레이저(주)제, HPDFO(상품명))를 부착한 CO2 레이저 가공기(유니버셜레이저(주)제, PLS4.75(상품명))를 이용하여, 표 1에 나타내는 레이저 가공 조건(레이저 파워, 레이저 주사 속도, 레이저 주사 피치 및 해상도)에서, 광셔터용 원판 및 도광체 시험편용 원판의 각각 1개의 주면에 레이저 가공을 행하고 미소한 오목부인 광출사 기구를 갖는 주면을 형성하여, 광셔터용 시험편과 도광체 시험편을 얻었다.
오목부의 깊이는 46㎛이고, 오목부의 직경은 72㎛이며, 오목부의 면 밀도는 645도트/(인치)2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도광체 시험편의 담가는 1.3%, 출사 극대 각도는 12° 및 출사광 효율은 32%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얻어진 광셔터용 시험편(15)의 대향하는 2개의 측단면의 각각에 LED 광원(3)(니치아화학공업(주)제, 상품명: NS2W123B)을 14mm 간격으로 14개 배치했다. 이어서, LED 광원(3)을 커버(13)로 덮어 광셔터를 얻었다.
얻어진 광셔터는 셔터 열림 시(LED 광원 소등 시)의 투명성이 양호하며, 셔터 닫힘 시(LED 광원 점등 시)의 은폐성 A(사선으로부터 본 은폐 기능)도 은폐성 B(정면으로부터 본 은폐 기능)도 함께 양호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15035723088-pct00001
표 1 중의 약호는 이하의 것을 나타낸다.
HPDFO: 집광 렌즈(유니버셜레이저(주)제, 상품명)
1.5in: 집광 렌즈(유니버셜레이저(주)제, 상품명)
Figure 112015035723088-pct00002
Figure 112015035723088-pct00003
〔실시예 2∼8〕
도광체 원판 및 레이저 가공 조건을 표 1과 같이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셔터용 시험편, 도광체 시험편 및 광셔터를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2 및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1∼8〕
도광판 원판 및 레이저 가공 조건을 표 1과 같이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셔터용 시험편, 도광체 시험편 및 광셔터를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2 및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1에서는, 오목부의 면 밀도가 10,323도트/(인치)2이고, 담가가 5.1%로 높아, 광셔터의 투명성이 불량했다.
비교예 2에서는, 오목부의 면 밀도가 10,323도트/(인치)2이고, 담가가 4.2%로 높아, 광셔터의 투명성이 불량했다.
비교예 3에서는, 오목부의 면 밀도가 413도트/(인치)2로 작기 때문에 출사광 효율이 13.1%로 낮아, 은폐성(A) 및 은폐성(B)가 불량했다.
비교예 4에서는, 오목부의 면 밀도가 413도트/(인치)2로 작기 때문에 출사광 효율이 14.0%로 낮아, 은폐성(A) 및 은폐성(B)가 불량했다.
비교예 5에서는, 오목부의 깊이가 105㎛로 깊고, 담가가 4.8%로 높기 때문에 광셔터의 투명성이 불량했다.
비교예 6에서는, 오목부의 깊이가 105㎛로 깊고, 담가가 4.3%로 높기 때문에 광셔터의 투명성이 불량했다.
비교예 7에서는, 오목부의 깊이가 28㎛로 얕기 때문에 출사광 효율이 14.5%로 낮고, 또 출사 극대 각도가 64°로 커서, 은폐성(A) 및 은폐성(B)가 불량했다.
비교예 8에서는, 오목부의 깊이가 28㎛로 얕기 때문에 출사광 효율이 13.9%로 낮고, 또 출사 극대 각도가 65°로 커서, 은폐성(A) 및 은폐성(B)가 불량했다.
〔비교예 9 및 10〕
집광 렌즈를 부착한 CO2 레이저 가공기 대신에 CO2 레이저 마커((주)기엔스제, ML-Z9525(상품명))를 이용하고, 표 4에 나타내는 레이저 가공 조건으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셔터용 시험편과 도광체 시험편을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2 및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15035723088-pct00004
비교예 9에서는, 오목부의 직경은 200㎛로 크기 때문에 담가가 6.4%로 높아, 광셔터의 투명성이 불량했다.
비교예 10에서는, 오목부의 직경은 206㎛로 크기 때문에 담가가 10.5%로 높아, 광셔터의 투명성이 불량했다.
본 발명의 도광체는 광셔터에 사용할 수 있고, 파티션이나 천창 등의 건축물의 창의 용도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도광체는 면광원 장치에 사용할 수 있고, 실링 라이트 등의 조명 장치의 용도에 적합하다.
1: 오목부의 단면
2: 위로부터 본 오목부
3: LED 광원
4: 도광체
5: 광입사면
6: 광출사 기구
6A: 광출사 기구를 갖지 않는 광출사면
6B: 광출사 기구를 갖는 광출사면
7: LED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
8: 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9: 휘도계
10: 도광체 시험편
11: 차광 커버
12: 반달꼴 적분구
13: 광속 검출기
14: 커버
15: 광셔터용 시험편
16: 차광 커버
17A: 저굴절률 수지층
17B: 고굴절률 수지층

Claims (6)

  1. 대향하는 2개의 주면(主面)이 광출사면이고, 적어도 1개의 측단면(側端面)이 광입사면인 판형상의 도광체로서, 적어도 한쪽 주면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광출사 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광출사 기구가 형성된 영역에 있어서의 담가(曇價)가 3% 이하이며, 출사광 효율이 15% 이상이고,
    적어도 1개의 광입사면으로부터 완전 확산광이 입사되었을 때에, 한쪽 주면의 광출사 기구가 형성된 영역으로부터의 출사광의 광도가 극대가 되는 각도가, 주면의 법선을 중심으로 -30° 이상 +30° 이하의 범위 내에 있고, 다른 한쪽 주면의 광출사 기구가 형성된 영역으로부터의 출사광의 광도가 극대가 되는 각도가, -60° 이상 -30° 이하의 범위 내, +30° 이상 +60° 이하의 범위 내, 또는 -60° 이상 -30° 이하와 +30° 이상 +60° 이하의 범위 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범위 내에 있는 도광체.
  2. 삭제
  3. 대향하는 2개의 주면이 광출사면이고, 적어도 1개의 측단면이 광입사면인 판형상의 도광체로서, 적어도 한쪽 주면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광출사 기구로서 미소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의 깊이 또는 볼록부의 높이가 30㎛ 이상 70㎛ 이하이며,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직경이 40㎛ 이상 150㎛ 이하이고,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면 밀도가 1평방인치당 450도트 이상 5,000도트 이하이고,
    적어도 1개의 광입사면으로부터 완전 확산광이 입사되었을 때에, 한쪽 주면의 광출사 기구가 형성된 영역으로부터의 출사광의 광도가 극대가 되는 각도가, 주면의 법선을 중심으로 -30° 이상 +30° 이하의 범위 내에 있고, 다른 한쪽 주면의 광출사 기구가 형성된 영역으로부터의 출사광의 광도가 극대가 되는 각도가, -60° 이상 -30° 이하의 범위 내, +30° 이상 +60° 이하의 범위 내, 또는 -60° 이상 -30° 이하와 +30° 이상 +60° 이하의 범위 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범위 내에 있는 도광체.
  4. 도광체 원판의 적어도 한쪽 주면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광출사 기구를 형성하는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기재된 도광체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기재된 도광체의 광입사면에 대향하여 광원이 배치되어 있는 광셔터.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기재된 도광체의 광입사면에 대향하여 광원이 배치되어 있는 면광원 장치.
KR1020157009461A 2012-10-26 2013-10-23 도광체, 도광체의 제조 방법, 광셔터 및 면광원 장치 Active KR101775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36360 2012-10-26
JPJP-P-2012-236360 2012-10-26
PCT/JP2013/078649 WO2014065304A1 (ja) 2012-10-26 2013-10-23 導光体、導光体の製造方法、光シャッター及び面光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318A KR20150058318A (ko) 2015-05-28
KR101775802B1 true KR101775802B1 (ko) 2017-09-06

Family

ID=50544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9461A Active KR101775802B1 (ko) 2012-10-26 2013-10-23 도광체, 도광체의 제조 방법, 광셔터 및 면광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07072B2 (ko)
JP (1) JP6424428B2 (ko)
KR (1) KR101775802B1 (ko)
CN (1) CN104769351A (ko)
TW (1) TWI601989B (ko)
WO (1) WO20140653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30291B2 (ja) * 2014-07-28 2018-11-2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照明装置
KR102397362B1 (ko) * 2015-05-28 2022-05-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램프
WO2017214475A1 (en) * 2016-06-10 2017-12-14 Corning Incorporated Glass articles comprising light extraction features
JP7052808B2 (ja) 2018-05-22 2022-04-12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カラー表示装置、車両内外装部材、照明灯用ランプ、表示用看板及び車両
CN110906272B (zh) * 2018-09-14 2021-11-16 深圳市绎立锐光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光源装置及车灯
DE102021001512B4 (de) * 2021-03-23 2023-03-16 Mercedes-Benz Group AG Zierteil mit einem Flächenlichtleiter
US11149922B1 (en) 2021-04-16 2021-10-19 Eduardo Reyes Light output reducing shutter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76396A1 (en) * 2001-02-14 2004-04-22 Yoshinori Suga Light guiding body, light reflective sheet,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light reflective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ight reflective sheet
JP2004335401A (ja) * 2003-05-12 2004-11-25 Alps Electric Co Ltd 光源ユニット、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3751A (en) * 1995-06-27 1997-03-25 Lumitex, Inc. Light emitting panel assemblies
US6500603B1 (en) * 1999-11-11 2002-12-31 Mitsui Chemicals,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polymer optical waveguide
JP2002023155A (ja) * 2000-07-05 2002-01-23 Nitto Denko Corp 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2003046076A (ja) * 2001-07-27 2003-02-14 Toshiba Corp 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
JP3882108B2 (ja) * 2001-11-14 2007-02-14 株式会社Inax 光シャッター及びこれを用いた収納家具
KR100685548B1 (ko) * 2002-01-18 2007-02-22 미츠비시 레이온 가부시키가이샤 광원 장치
JP4323189B2 (ja) 2002-03-15 2009-09-02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光偏向素子及び面光源装置
JP2007059164A (ja) * 2005-08-23 2007-03-08 Fujifilm Corp 導光板、これを用いる面状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8112611A (ja) * 2006-10-30 2008-05-15 Jikco Ltd プリズムシート、照明装置及び発光標識システム
JP2011520230A (ja) * 2008-05-08 2011-07-1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照明装置
JP2009300989A (ja) 2008-05-15 2009-12-24 Mitsubishi Rayon Co Ltd 光偏向シー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面光源装置
KR20160105527A (ko) * 2008-07-10 2016-09-0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점탄성 도광체
JP2010085425A (ja) 2008-09-29 2010-04-15 Mitsubishi Rayon Co Ltd レンズシート、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0103068A (ja) 2008-10-27 2010-05-06 Kuroda Denki Kk 導光板の製造方法、導光板及び光源装置
JP2010157475A (ja) * 2009-01-05 2010-07-15 Sony Corp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5297522B2 (ja) * 2009-03-31 2013-09-25 株式会社クラレ 発光体
JP2010262742A (ja) * 2009-04-30 2010-11-18 Kowa Co Led照明装置
US20140022813A1 (en) * 2009-12-03 2014-01-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ransparent Emissive Window Element
WO2011093173A1 (ja) * 2010-01-29 2011-08-04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導光体、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5436384B2 (ja) * 2010-09-30 2014-03-05 株式会社クラレ 発光体
JP2012124064A (ja) * 2010-12-09 2012-06-28 Sumitomo Chemical Co Ltd 導光板、面光源装置及び透過型画像表示装置
JP2012156092A (ja) * 2011-01-28 2012-08-16 Fujifilm Corp 面状照明装置
WO2012161996A1 (en) * 2011-05-20 2012-11-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 management film
TWI446240B (zh) * 2011-06-03 2014-07-21 Primax Electronics Ltd 具有發光圖案之輸入裝置
TWI553359B (zh) * 2012-02-29 2016-10-1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導光板及背光模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76396A1 (en) * 2001-02-14 2004-04-22 Yoshinori Suga Light guiding body, light reflective sheet,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light reflective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ight reflective sheet
JP2004335401A (ja) * 2003-05-12 2004-11-25 Alps Electric Co Ltd 光源ユニット、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65304A1 (ja) 2014-05-01
CN104769351A (zh) 2015-07-08
JP6424428B2 (ja) 2018-11-21
US9507072B2 (en) 2016-11-29
TWI601989B (zh) 2017-10-11
KR20150058318A (ko) 2015-05-28
JPWO2014065304A1 (ja) 2016-09-08
TW201430411A (zh) 2014-08-01
US20150301262A1 (en)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5802B1 (ko) 도광체, 도광체의 제조 방법, 광셔터 및 면광원 장치
TWI504838B (zh) 發光體
JP2007304553A (ja) プリズムシート、それを備え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JP4933512B2 (ja) 導光板
KR20130069481A (ko) 광가이드 플레이트 및 엣지 라이트 백라이트 장치
KR102450088B1 (ko) 미세 구조화된 도광판 및 그를 포함하는 장치
US20160139324A1 (en) Laminate,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 light guide body for light source devices, and light source device
JP5375234B2 (ja) エッジライト型照明装置
KR20110034432A (ko) 확산필름이 일체화된 도광판
JP2011033643A (ja) 光路変更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0044269A (ja) 光拡散板、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US20160131817A1 (en)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 laminate, light guide body for light source devices, and light source devices
JP2011064745A (ja) 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814873B1 (ko) 돌출부를 구비한 광 투과성 판
US9920174B2 (en) Thermoplastic resin shaped-articl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hermoplastic resin light guide,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123289B1 (ko) 고휘도 특성을 갖는 도광판
JP2008071716A (ja) 直下型バックライト装置
KR101812385B1 (ko) 돌출부를 구비한 광 투과성 판
KR20160038785A (ko)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1715893B1 (ko) 면광원 커버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평판 조명장치
JP2012188503A (ja) 導光板用樹脂組成物および導光板
KR101211258B1 (ko) 다층구조 광확산판 및 그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JP5267024B2 (ja) 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5120210B2 (ja) 光拡散板、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1214836A (ja) 熱可塑性樹脂シートの欠陥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1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09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8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8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