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082B1 - Tilt or Tilt and Telescope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Google Patents
Tilt or Tilt and Telescope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74082B1 KR101774082B1 KR1020130135592A KR20130135592A KR101774082B1 KR 101774082 B1 KR101774082 B1 KR 101774082B1 KR 1020130135592 A KR1020130135592 A KR 1020130135592A KR 20130135592 A KR20130135592 A KR 20130135592A KR 101774082 B1 KR101774082 B1 KR 1017740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lt
- gear
- coupled
- reduction gear
- telescop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steering wheel, steering hand lever or steering colum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손잡이부재의 회전력(이는 종래 운전자의 레버 포스에 해당됨)이 감속부재를 통해 리덕션기어로 전달되므로, 손잡이부재에 가하는 회전력을 줄이더라도 어퍼튜브 등을 고정시키기 위한 충분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ull member (which corresponds to the lever force of the conventional driver) is transmitted to the reduction gear through the reduction member, the tilting or tilting- It is possible to obtain a sufficient fixing force for fixing the upper tube or the like even if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pull member is reduc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부재의 회전력(이는 종래 운전자의 레버 포스에 해당됨)이 감속부재를 통해 리덕션기어로 전달되므로, 손잡이부재에 가하는 회전력을 줄이더라도 어퍼튜브 등을 고정시키기 위한 충분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는 자동차의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lting or tilting-telescopic steer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ering apparatus for steering a tilting or telescopic steering wheel of a vehicle, To a tilt or tilt-and-telescope steering system for an automobile which can obtain a sufficient fixing force for fixing an upper tube or the like even if the rotational force is reduced.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조향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steering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도 1을 참고하면, 조향축(101)을 감싸는 튜브(103)에는 디스턴스 부재(110)가 결합되고, 지지 부재(105)를 갖는 상부 브라켓(100)은 차체에 결합된다. 또한, 지지 부재(105) 사이에 끼워진 디스턴스 부재(110)의 양쪽 면에는 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1, a
조절 볼트(125)는 디스턴스 부재(110)의 통공(미도시)과 지지 부재(105)에 형성된 관통공(120)을 관통하여 연장되고, 연장된 조절 볼트(125)에는 지지 부재(105)의 측면을 가압하여 지지 부재(105)와 디스턴스 부재(110) 사이의 조임력을 증대시키거나 해제시키는 캠(130)이 설치된다.The
또한, 조절 레버(150)에는 캠(130)의 일면에 형성된 경사부(155)가 삽입되는 경사부 삽입홈(135)이 형성되고, 조절 볼트(125)의 단부에는 회전을 지지하는 부시(140) 및 조절 볼트(125)와 체결되는 고정 너트(145)가 결합된다.The adjusting
조절 레버(150)의 경사부 삽입홈(135)과 캠(130)의 경사부(155)는 상호 대응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조절 레버(150)를 작동시켜 조절 레버(150)가 회전되면 캠(155)이 경사부(155)로 인해 축방향으로 유동되게 되고, 이에 따라 지지 부재(105)가 디스턴스 부재(110)를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여 틸트 또는 텔레스코프 작동이 이루어진다.The inclined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자동차의 조향장치에서는 캠이 작동되기 위한 작동력이 조절 레버의 회전력에 대응되는 구조이므로, 캠의 작동력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조절 레버의 회전력(이는 운전자가 조절 레버를 회전시키는 레버 포스에 해당됨)을 줄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steering apparatus of the conventional automobile, since the operating force for operating the cam corresponds to the rotational force of the adjusting lever, the rotational force of the adjusting lever in the state where the operating force of the cam is maintained Which is difficult to reduce.
또한, 자동차의 충돌 사고 등이 발생되었을 때, 조절 레버에 의해 운전자가 상해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Further, when a collision or the like of an automobile occurs, the driver may be injured by the control lever.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손잡이부재의 회전력(이는 종래 운전자의 레버 포스에 해당됨)이 감속부재를 통해 리덕션기어로 전달되므로, 손잡이부재에 가하는 회전력을 줄이더라도 어퍼튜브 등을 고정시키기 위한 충분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는 자동차의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from the above background,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ull member (which corresponds to the lever force of the conventional driver) is transmitted to the reduction gear through the reduction member, so that even if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pull member is reduced, And a tilt and telescopic steering system for an automobile capable of obtaining a sufficient fixing force for a tilt and telescopic steering system.
또한, 종래 조절 레버 대신 컴팩트한 구조의 손잡이부재가 제공됨으로써, 자동차의 충돌 사고 등이 발생되었을 때, 종래 조절 레버에 의해 유발되었던 운전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urther, since the handle member of a compact structure is provided in place of the conventional control lev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ilt or tilt-and-telescopic steering system for a vehicle that can prevent injury to the driver caused by a conventional control lever The purpose of the devic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텔레스가이드부의 텔레스장홀과, 텔레스가이드부의 양측에 구비되는 플레이트브라켓에 형성된 제1틸트장홀을 관통하는 회동축; 회동축과 이격배치되도록 텔레스장홀과 플레이트브라켓에 형성된 제2틸트장홀을 관통하는 어드저스트볼트에 결합되는 리덕션기어; 및 플레이트브라켓의 일측에서 회동축에 구비되고, 리덕션기어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감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lescopic hole of a telescopic guide part and a pivot shaft passing through a first tilt elongated hole formed on a plate bracket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elescopic guide part; A reduction gear coupled to an adjustment bolt passing through a second tilt elongated hole formed in the telescopic hole and the plate bracket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ivot shaft; And a decelerating member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at one side of the plate bracket and providing a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reduction gea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손잡이부재의 회전력(이는 종래 운전자의 레버 포스에 해당됨)이 감속부재를 통해 리덕션기어로 전달되므로, 손잡이부재에 가하는 회전력을 줄이더라도 어퍼튜브 등을 고정시키기 위한 충분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ull member (which corresponds to the lever force of the conventional driver) is transmitted to the reduction gear through the reduction member, even if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pull member is reduced, The effect can be obtained.
또한, 종래 조절 레버 대신 컴팩트한 구조의 손잡이부재가 제공됨으로써, 자동차의 충돌 사고 등이 발생되었을 때, 종래 조절 레버에 의해 유발되었던 운전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handle member of a compact structure is provided instead of the conventional control lever,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jury of the driver caused by a conventional control lever when a collision accident occurs.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조향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도 2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steering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ilt or tilt and telescopic steer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and 4 are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Fig. 2.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ilt or tilt-and-telescope steering apparatus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는 데 있어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When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though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other components may be "connected," "coupled," or " connected "between each component.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도 2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ilt or tilt and telescopic steer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and 4 are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Fig. 2.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ilt or tilt-and-telescope steering apparatus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는, 텔레스가이드부(201)의 텔레스장홀(203)과, 텔레스가이드부(201)의 양측에 구비되는 플레이트브라켓(205)에 형성된 제1틸트장홀(301)을 관통하는 회동축(303); 회동축(303)과 이격배치되도록 텔레스장홀(203)과 플레이트브라켓(205)에 형성된 제2틸트장홀(305)을 관통하는 어드저스트볼트(209)에 결합되는 리덕션기어(207); 및 플레이트브라켓(205)의 일측에서 회동축(303)에 구비되고, 리덕션기어(207)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감속부재(2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tilt or tilt and telescopic steering system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조향축(213)은 어퍼튜브(215)와 로어튜브(217) 내측에 구비되는데, 로어튜브(217)의 일측은 어퍼튜브(215)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The
어퍼튜브(215)의 외주면 하측에는 텔레스가이드부(201)가 결합되는데, 텔레스가이드부(201)에는 축방향으로 텔레스장홀(203)이 형성되어 있다.A
플레이트브라켓(205)은 텔레스가이드부(201)의 양측에 구비되는데, 플레이트브라켓(205)은 전체적으로 '∩' 형상으로 이뤄지며, 플레이트브라켓(205)의 상부는 마운팅브라켓(219)에 결합되고, 마운팅브라켓(219)은 캡슐(221)을 매개로 차체에 결합되게 된다.The
그리고 플레이트브라켓(205)에는 제1틸트장홀(301)과 제2틸트장홀(305)이 형성되어 있는데, 회동축(303)은 텔레스가이드부(201)의 텔레스장홀(203)과 플레이트브라켓(205)에 형성된 제1틸트장홀(301)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어드저스트볼트(209)는 텔레스가이드부(201)의 텔레스장홀(203)과 플레이트브라켓(205)에 형성된 제2틸트장홀(305)을 관통하여 결합된다.A first tilt
이어서, 리덕션기어(207)는 회동축(303)과 이격배치되도록 텔레스장홀(203)과 플레이트브라켓(205)에 형성된 제2틸트장홀(305)을 관통하는 어드저스트볼트(209)에 결합되는데, 어드저스트볼트(209)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리덕션기어(207)의 내주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리덕션기어(207)는 어드저스트볼트(209)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The
이어서, 감속부재(211)는 플레이트브라켓(205)의 일측에서 회동축(303)에 구비되고, 리덕션기어(207)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러한 감속부재(211)의 구성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감속부재(211)는 플레이트브라켓(205)의 일측에서 회동축(303)에 결합되는 선기어(307); 선기어(307)의 외주면에 치합되는 유성기어(309); 유성기어(309)가 내주면에 치합되고 외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되어 리덕션기어(207)와 치합되는 링기어(311); 및 회동축(303)이 관통되고, 유성기어(309)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플레이트브라켓(205)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캐리어부재(3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ecelerating
선기어(307)는 플레이트브라켓(205)의 일측에서 회동축(303)에 결합되는데, 선기어(307)의 내주면에는 세레이션이 형성되어 있어서, 회동축(303)의 외주면에 형성된 세레이션부(315)와 세레이션 결합된다.The
이어서, 유성기어(309)는 선기어(307)의 외주면에 치합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4개의 유성기어(309)가 구비된 예를 도시하였다.The
이어서, 링기어(311)는 유성기어(309)가 내주면에 치합되고 외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되어서 리덕션기어(207)와 치합된다.Next, the
이어서, 캐리어부재(313)는 회동축(303)이 관통되고, 유성기어(309)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플레이트브라켓(205)에 결합되어 고정되는데, 이러한 캐리어부재(313)는 일예로, 중공이 형성되어 있되 일면에 유성기어(309)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317)이 돌출형성되고, 타면에 연결부(319)가 돌출형성된 유성기어고정부재(321); 및 중공이 형성되어 있되 일면에 연결부(319)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타면에 제1틸트장홀(301)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지지부(미도시)가 형성된 연결지지부재(3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유성기어고정부재(321)는 중공의 링 형상의 몸체부(325) 일면에 회전축(317)이 축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데, 회전축(317)에는 유성기어(309)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The planetary
그리고 몸체부(325)의 타면에는 축방향으로 연결부(319)가 돌출형성되는데, 이러한 연결부(319)는 연결지지부재(323)에 형성된 삽입홈(327)에 삽입되어 결합되게 된다.A
이어서, 연결지지부재(323)는 중공의 링 형상으로 마련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지지부재(323)의 일면에는 삽입홈(327)이 형성되어 있어서, 유성기어고정부재(321)의 연결부(319)가 삽입홈(327)에 삽입되어 결합되게 되고, 타면에는 제1틸트장홀(301)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지지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The
즉, 비록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연결지지부재(323)의 타면에 형성된 삽입지지부(미도시)가 제1틸트장홀(301)에 삽입되어 지지됨으로써, 연결지지부재(323)와 이에 결합된 유성기어고정부재(321)는 회전하지 않게 되며, 이러한 삽입지지부(미도시)는 일예로 제1틸트장홀(301)에 삽입되어 제1틸트장홀(301)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블럭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insertion support portion (not shown)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따라서, 선기어(307)가 회전될 때, 유성기어(309)는 선기어(307) 외주면을 따라 공전하지 않고 자전만 하게 되며, 선기어(307)가 입력이 될 때, 링기어(311)가 출력이 된다.Therefore, when the
한편, 연결지지부재(323)와 선기어(307) 사이에 마찰을 방지하도록, 연결지지부재(323)와 선기어(307) 사이에는 베어링부재(329)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베어링부재(329)는 유성기어고정부재(321)의 중공을 통과하여 연결지지부재(323)의 일면(즉, 삽입홈(327)이 형성된 면)에 지지되며, 더불어 베어링부재(329)와 선기어(307) 사이에는 지지판(331)이 더 구비될 수 있다.A
여기서 베어링부재(329)는 일예로 니들베어링으로 제공되고, 지지판(331)은 일예로 중공의 원판 형상의 와셔로 제공될 수 있다.Here, the bearing
또한, 감속부재(211)가 회동축(30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동축(303)에 고정부재(333)가 결합되며, 고정부재(333)와 감속부재(211) 좀 더 구체적으로 선기어(307) 사이에는 지지판(335)이 더 구비될 수 있다.A
여기서 지지판(335)은 중공의 원판 형상의 와셔로 제공될 수 있는데, 지지판(335)의 직경은 선기어(307) 및 유성기어(309)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즉, 지지판(335)은 선기어(307) 및 유성기어(309)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이어서, 리덕션기어(207)는 회동축(303)과 이격배치되도록 텔레스장홀(203)과 플레이트브라켓(205)에 형성된 제2틸트장홀(305)을 관통하는 어드저스트볼트(209)에 결합되는데, 리덕션기어(207)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어드저스트볼트(209)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되어 어드저스트볼트(209)를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The
한편, 리덕션기어(207)가 어드저스트볼트(209)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어드저스트볼트(209)에 이탈방지부재(337)가 결합되고, 리덕션기어(207)와 이탈방지부재(337) 사이의 마찰을 방지하도록 리덕션기어(207)와 이탈방지부재(337) 사이에 회전지지부재(339)가 구비될 수 있으며, 여기서 회전지지부재(339)는 일예로 니들베어링으로 제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플레이트브라켓(205)의 일측면과 리덕션기어(207) 사이의 마찰을 방지하도록 플레이트브라켓(205)의 일측면과 리덕션기어(207) 사이에 마찰방지판재(341)가 구비되고, 이탈방지부재(337)와 회전지지부재(339) 사이에 지지판(343)이 구비될 수 있는데, 여기서 마찰방지판재(341)와 지지판(343)은 일예로 중공의 원판 형상의 와셔로 제공될 수 있다.A
이어서, 회동축(303)에는 손잡이부재(223)가 더 결합되는데, 이러한 손잡이부재(223)는 일예로, 회동축(303)의 단부에 결합되는 몸체부(225)와, 몸체부(225)에 일체로 돌출형성된 돌출턱부(22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몸체부(225)는 원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돌출턱부(227)는 몸체부(225)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바 형상으로 마련되어서, 운전자가 돌출턱부(227)를 잡고 손잡이부재(223)를 돌리기에 용이하도록 한다.The protruding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재(501)는 회동축(303)의 단부에 결합되는 원판 형상의 몸체부(503)와, 몸체부(503)로부터 굴곡지며 연장되는 연장부(50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5, the pull-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tilt or tilt and telescopic steering apparatus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운전자가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작동을 완료하고 어퍼튜브(215)와 로어튜브(217) 등의 위치를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 손잡이부재(22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회동축(303)과 결합된 선기어(307)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선기어(307)의 회전력은 유성기어(309)를 매개로 링기어(311)로 전달되게 되며, 링기어(311)가 회전됨에 따라 이에 치합결합된 리덕션기어(207)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When the driver completes the operation of the tilting or tilting-and-telescope and tries to fix the positions of the
한편, 리덕션기어(207)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어드저스트볼트(209)를 따라 플레이트브라켓(205)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리덕션기어(207)가 플레이트브라켓(205)을 가압하여 조이게 되어서, 결국 어퍼튜브(215) 등의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반대로, 운전자가 손잡이부재(223)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선기어(307)가 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리덕션기어(207)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어드저스트볼트(209)를 따라 플레이트브라켓(205)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서, 조여져 있던 플레이트브라켓(205)을 원상복귀시키게 되며, 운전자는 어퍼튜브(215) 등의 위치를 다시 조정할 수 있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driver rotates the
물론, 도면들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리덕션기어(207)의 축방향 폭은 링기어(311)의 축방향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서, 리덕션기어(207)가 어드저스트볼트(209)를 따라 이동하더라도 리덕션기어(207)와 링기어(311)의 치합 상태가 계속 유지되게 된다.Of course,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axial width of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손잡이부재의 회전력(이는 종래 운전자의 레버 포스에 해당됨)이 감속부재를 통해 리덕션기어로 전달되므로, 손잡이부재에 가하는 회전력을 줄이더라도 어퍼튜브 등을 고정시키기 위한 충분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knob member (corresponding to the lever force of the conventional driver) is transmitted to the reduction gear through the reduction gear, even if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knob member is reduced, It is possible to obtain a sufficient fixation force for fixing the light-emitting diode and the like.
또한, 종래 조절 레버 대신 컴팩트한 구조의 손잡이부재가 제공됨으로써, 자동차의 충돌 사고 등이 발생되었을 때, 종래 조절 레버에 의해 유발되었던 운전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handle member of a compact structure is provided instead of the conventional control lever,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jury of the driver caused by a conventional control lever when a collision accident occur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01 : 텔레스가이드부 205 : 플레이트브라켓
207 : 리덕션기어 209 : 어드저스트볼트
211 : 감속부재 223 : 손잡이부재
303 : 회동축 307 : 선기어
309 : 유성기어 311 : 링기어
313 : 캐리어부재 321 : 유성기어고정부재
323 : 연결지지부재201: Telescopic guide part 205: Plate bracket
207: Reduction gear 209: Adjusting bolt
211: reduction member 223: pull member
303: Pivot 307:
309: planetary gear 311: ring gear
313: Carrier member 321: Planetary gear fixing member
323:
Claims (12)
상기 회동축과 이격배치되도록 상기 텔레스장홀과 상기 플레이트브라켓에 형성된 제2틸트장홀을 관통하는 어드저스트볼트에 결합되는 리덕션기어; 및
상기 플레이트브라켓의 일측에서 상기 회동축에 구비되고, 상기 리덕션기어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감속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A telescopic hole in a telescopic guide part; a pivot shaft passing through a first tilt elongated hole formed in a plate bracket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elescopic guide part;
A reduction gear coupled to an adjustment bolt passing through the telescopic hole and the second tilt elongated hole formed in the plate bracket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shaft; And
A decelerating member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at one side of the plate bracket and providing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reduction gear;
And a tilt or telescopic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상기 감속부재는,
상기 플레이트브라켓의 일측에서 상기 회동축에 결합되는 선기어;
상기 선기어의 외주면에 치합되는 유성기어;
상기 유성기어가 내주면에 치합되고 외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되어 상기 리덕션기어와 치합되는 링기어; 및
상기 회동축이 관통되고, 상기 유성기어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플레이트브라켓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캐리어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celeration member
A sun gear coupled to the pivot shaft at one side of the plate bracket;
A planetary gear engaged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n gear;
A ring gear which meshes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lanetary gear and has gear teeth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nd meshes with the reduction gear; And
A carrier member through which the rotation shaft passes, the planetary gear rotatably coupled, and fixedly coupled to the plate bracket;
And a tilt or telescopic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상기 캐리어부재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되, 일면에 상기 유성기어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이 돌출형성되고, 타면에 연결부가 돌출형성된 유성기어고정부재; 및
중공이 형성되어 있되, 일면에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타면에 상기 제1틸트장홀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지지부가 형성된 연결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arrier member comprises:
A planetary gear fixing member on which a hollow is formed, a rotation shaft on which the planetary gear is rotatably engaged is formed on one surface, and a connecting portion is protruded on the other surface; And
A connection support member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t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surface and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tilt elec- trode on the other surface,
And a tilt or telescopic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상기 연결지지부재와 상기 선기어 사이에 마찰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결지지부재와 상기 선기어 사이에 구비되는 베어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bear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on support member and the sun gear to prevent friction between the connection support member and the sun gear.
상기 베어링부재와 상기 선기어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support plate provided between the bearing member and the sun gear. The tilting or tilting telescopic steering apparatus of claim 1,
상기 감속부재가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동축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pivot shaft to prevent the deceleration member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pivot shaft.
상기 감속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plate provided between the deceleration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The tilting or tilting-telescopic steering apparatus of claim 1,
상기 리덕션기어가 상기 어드저스트볼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어드저스트볼트에 결합되는 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lease preventing member coupled to the adjuster bolt to prevent the reduction gear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adjuster bolt. ≪ Desc / Clms Page number 19 >
상기 리덕션기어와 상기 이탈방지부재 사이의 마찰을 방지하도록, 상기 리덕션기어와 상기 이탈방지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회전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rotation support member provided between the reduction gear and the release preventing member to prevent friction between the reduction gear and the release preventing member.
상기 플레이트브라켓의 일측면과 상기 리덕션기어 사이의 마찰을 방지하도록, 상기 플레이트브라켓의 일측면과 리덕션기어 사이에 구비되는 마찰방지판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friction-preventing plate disposed between one side of the plate bracket and the reduction gear to prevent friction between one side of the plate bracket and the reduction gear, characterized in that the tilt- Device.
상기 이탈방지부재와 회전지지부재 사이에 지지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support plate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and the rotation support member.
상기 회동축에 결합되는 손잡이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부재는 상기 회동축의 단부에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일체로 돌출형성된 돌출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grip member coupled to the pivot shaft,
Wherein the pull member includes a body portion coupled to an end of the pivot shaft and a protruding protrusion integrally formed on the body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35592A KR101774082B1 (en) | 2013-11-08 | 2013-11-08 | Tilt or Tilt and Telescope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35592A KR101774082B1 (en) | 2013-11-08 | 2013-11-08 | Tilt or Tilt and Telescope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53532A KR20150053532A (en) | 2015-05-18 |
KR101774082B1 true KR101774082B1 (en) | 2017-09-01 |
Family
ID=53390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35592A Active KR101774082B1 (en) | 2013-11-08 | 2013-11-08 | Tilt or Tilt and Telescope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74082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99610A (en) | 2003-03-31 | 2004-10-28 | Calsonic Kansei Corp | Steering device for vehicle |
JP4701057B2 (en) | 2005-09-30 | 2011-06-15 | 富士機工株式会社 | Electric tilt telescopic steering column |
-
2013
- 2013-11-08 KR KR1020130135592A patent/KR10177408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99610A (en) | 2003-03-31 | 2004-10-28 | Calsonic Kansei Corp | Steering device for vehicle |
JP4701057B2 (en) | 2005-09-30 | 2011-06-15 | 富士機工株式会社 | Electric tilt telescopic steering colum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53532A (en) | 2015-05-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31627B1 (en) | Steering column unit | |
JP5528868B2 (en) | Steering device | |
JP5708838B2 (en) | Steering device | |
US11052935B2 (en) | Motor-adjustable steering column for a motor vehicle | |
KR100848500B1 (en) | Tilt and Telescope Steering | |
US8640567B2 (en) | Steering column device | |
EP2602170B1 (en) | Steering apparatus | |
JP5958887B2 (en) | Steering device | |
JP2016190587A (en) | Steering device | |
JP2012011837A (en) | Steering column apparatus | |
US20080245176A1 (en) | Steering column assembly having an actuation mechanism for telescoping and tilting movement | |
US9446780B2 (en) | Steering apparatus | |
KR101774082B1 (en) | Tilt or Tilt and Telescope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
JP6442933B2 (en) | Steering device | |
JP2004034883A (en) | Steering device with electric power steering | |
JP2018052210A (en) | Vehicle steering device | |
JP7355388B2 (en) | Motor mounting mechanism for handle | |
JP2013184682A (en) |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 |
KR20150142395A (en) |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
JP2019116274A (en) | Steering device | |
KR101610394B1 (en) | Knob Moving Device of Transmission Gear Shift Gear Lever | |
JP2013226875A (en) | Steering device for vehicle | |
JP6536888B2 (en) | Steering device | |
KR101098154B1 (en) | Tilt and Telescope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
JPH11291922A (en) | Steer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08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409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11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1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8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8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