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765B1 - Flatbed knitting machine equipped with movable sinker - Google Patents
Flatbed knitting machine equipped with movable sink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73765B1 KR101773765B1 KR1020160012204A KR20160012204A KR101773765B1 KR 101773765 B1 KR101773765 B1 KR 101773765B1 KR 1020160012204 A KR1020160012204 A KR 1020160012204A KR 20160012204 A KR20160012204 A KR 20160012204A KR 101773765 B1 KR101773765 B1 KR 1017737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
- sinker
- movable sinker
- needle
- needle b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04B15/36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two needle beds in V-formation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 D04B15/90—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비작용구간에 선행하여 가동싱커의 작용정지를 시작하는 것이 가능한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싱커제어캠(11)은, (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편침(3)이 니들베드갭(5)으로부터 후퇴할 때 등에 가동싱커(4)도 니들베드갭(5)에서 편사수용부(4b)를 루프에 작용시키지 않는 비작용구간을 설정한다. 편침(3)이 니들베드갭(5)으로 진행하는 때에는, 편사수용부(4b)를 루프에 작용시켜 루프가 딸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비작용구간에 선행하여 가동싱커(4)를 비작용으로 절환할 수도 있다. 가동싱커(4)를 비작용구간에 선행하여 비작용이 되도록 절환하면, 끊어지기 쉬운 약한 편사를 사용하는 경우나 과도하게 스티치의 간격을 좁혀 루프길이가 짧은 스티치를 편성하는 경우 등의 편성조건에 따라, 적절한 편성을 할 수 있다.(assign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eft knitting machine comprising a movable sinker capable of starting the operation stop of the movable sinker prior to the non-action section.
(Solution)
The sinker control cam 11 moves the movable sinker 4 from the needle bed gap 5 to the knitting yarn accommodating portion 5 when the knitting needle 3 is retracted from the needle bed gap 5 as shown in (c) 4b are not operated on the loop. When the knitting needle 3 advances to the needle bed gap 5, the knitting yarn receiving portion 4b is caused to act on the loop to prevent the loops from climbing up, and the movable sinker 4 is not operated . When the movable sinker 4 is switched so as to be inactive prior to the non-operation section, the knitting conditions such as the case of using a weak knitting yarn that is easily broken or the knitting of a stitch having a short loop length by excessively narrowing the interval between stitche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ake an appropriate knitt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에서 루프(loop)에 작용하여, 루프가 편침(編針)과 함께 딸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는 가동싱커(可動sinker)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ft knitting machine having a movable sinker that acts on a loop in a needle bed gap to prevent the loop from hanging up with a knitting needle, .
종래부터 횡편기에는, 적어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가 니들베드 사이의 니들베드갭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도록 구비된다. 니들베드의 니들홈(needle groove)에 수용되어 있는 편침은,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캐리지(carriage)에 탑재되는 캠시스템(cam system)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구동된다. 편침의 선단(先端)에 형성되는 훅(hook)을 니들베드갭에서 진퇴(進退)시키면, 편사로 스티치(stitch)를 형성하는 편성동작이나 니들베드갭을 사이에 두고 편침 간에 스티치를 주고받는 트랜스퍼 동작 등을 할 수 있다. 니들베드갭을 면(面)하도록 편침 사이에 설치되는 싱커(sinker)는, 스티치를 형성할 때에, 니들베드갭에서 급사(給絲)를 받아 니들베드로 인입(引入)되면서 니들루프(needle loop)(이하, 「신루프(新loop)」로 기재한다)를 형성하는 훅과 협동하여, 니들베드갭에서 싱커루프(sinker loop)를 형성하는 스티치의 크기를 결정하는 작용을 한다. 싱커로서, 요동변위(搖動變位)에 의하여 선단부분을 니들베드갭에서 진퇴시키는 것이 가능한 가동싱커(可動sinker)도 사용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3 참조). 가동싱커는, 선단부분의 일부에, 훅에 지지되는 니들루프(이하, 「구루프(舊loop)」로 기재한다)에 연속해 있는 싱커루프에 작용하여 훅을 니들베드갭으로 진출시킬 때에 니들루프가 딸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는 편사수용부 등으로 불리는 부분을 구비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스티치의 니들루프나 싱커루프를 간단히 「루프」라고 총칭한다.Conventionally, at least one pair of needle beds are provided in the flat knitting machine so as to face each other with the needle bed gap between the needle beds therebetween. The knitting needle received in the needle groove of the needle bed is selectively driven by a cam system mounted on a carriage reciproc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edle bed. When a hook formed at the tip of the knitting needle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in the needle bed gap, a knitting operation for forming a stitch by the knitting yarn or a transfer operation for transferring stitches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through the needle bed gap Operation and so on. A sinker provided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to face the needle bed gap receives needle yarn from the needle bed gap to form a needle loop while being drawn into the needle bed at the time of forming the stitch,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 new loop ") and serves to determine the size of the stitch forming the sinker loop in the needle bed gap. As the sinker, a movable sinker capable of advancing and retracting the tip portion by the swinging displacement (swinging displacement) from the needle bed gap can be used (for example, see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는 가동싱커에서는, 가동싱커가 루프에 작용할 때에, 작용하는 부분의 상부가 니들베드 사이에서 접촉하고 니들베드갭을 가린다. 훅을 니들베드갭으로 진출시켜 신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편사의 공급을 받는 급사를 할 때에는, 가동싱커는 선단부분이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퇴출하는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제어된다. 니들베드갭에서 편사의 공급을 받은 훅을 니들베드로 인입할 때에는, 가동싱커는 선단부분이 니들베드갭으로 진출하는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제어되어, 스티치의 크기를 결정하는 작용에 이용된다.In the movable sinker disclosed in
특허문헌2에 개시되어 있는 가동싱커에서는, 스프링의 가압에 의하여 루프를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하여, 편성된 편성포를 누를 수 있다. 가동싱커의 작용은, 훅을 니들베드갭으로 진출시키기 전에 일단 정지되고 훅을 니들베드갭으로 진출시킬 때에는 재개되어, 루프가 확실하게 가압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급사를 할 때에는 가동싱커의 작용은 정지되고, 급사 후에는 루프를 가압하는 작용이 재개되어, 스티치 크기의 결정이 이루어진다.In the movable sinker disclosed in
특허문헌3에 개시되어 있는 가동싱커는, 니들베드의 니들베드갭 측에 고정하여 설치되는 고정싱커와 병용된다. 가동싱커는 루프가 딸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지만, 스티치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은 고정싱커로 하기 때문에, 급사로부터 스티치 크기의 결정에 이르는 구간에서는 싱커루프에의 작용을 정지한다. 스티치의 크기를 결정한 후에는, 가동싱커가 루프에 작용하는 상태에서 제어를 종료한다.
The movable sinker disclosed in
특허문헌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가동싱커는, 구루프를 지지하는 편침을 니들베드갭으로 진출시킬 때에 루프가 딸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루프에 작용하고, 편침이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퇴출하여 급사로부터 스티치 크기의 결정에 이르는 신루프를 형성하는 동안에 작용을 정지하는 비작용구간을 설정한다. 그러나 편사로서 강도(强度)가 약해 끊어지기 쉬운 실을 사용하는 경우나 과도하게 간격을 좁힌 스티치를 편성하는 경우 등의 편성조건에 따라서는, 비작용구간에 선행하여 싱커루프에 가동싱커를 작용시키면 실이 끊어질 우려가 있다.The movable sinkers as shown in
본 발명의 목적은, 비작용구간에 선행하여 가동싱커의 작용정지를 시작하는 것이 가능한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eft knitting machine comprising a movable sinker capable of starting the operation stop of the movable sinker prior to the non-action section.
본 발명은, 니들베드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니들홈에 수용되는 편침 사이에, 니들베드갭에서 진퇴하도록 요동하는 가동싱커가 배치되고,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movable sinker that rocks so as to move back and forth in a needle bed gap is disposed between knitting needles accommodated in a needle groove formed in parallel to the needle bed,
니들베드를 따라 왕복주행하는 캐리지에 탑재되는 캠시스템에 의하여 편침을 니들베드갭에서 진퇴시키고,The needle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in the needle bed gap by the cam system mounted on the carriage reciprocating along the needle bed,
니들베드갭 측의 선단에 형성하는 훅으로 루프를 지지하는 편침을 니들베드갭으로 진출시킬 때에는, 가동싱커가 니들베드갭으로 진출하여 가동싱커의 니들베드갭 측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편사수용부가 루프에 작용하여, 루프가 편침과 함께 딸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고,When the knitting needle for supporting the loop is advanced to the needle bed gap by the hook formed at the tip of the needle bed gap side, the movable sinker advances to the needle bed gap, and the knitting yarn accommodating portion loop formed at the tip portion of the movable sinker on the needle bed gap side Thereby preventing the loops from hanging up with the knitting needle,
편침을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퇴출시킬 때에, 가동싱커도 선단부가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퇴출하여 니들베드갭에서 편사수용부가 루프에 작용하는 것을 정지하는 비작용구간을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싱커제어캠을 캠시스템에 포함하는A sinker control cam for controlling to set a non-operation section for stopping the tip of the movable sinker from exiting from the needle bed gap and acting on the loop of the yarn accepting section in the needle bed gap when the knitting needle is withdrawn from the needle bed gap, Included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에 있어서,In a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a movable sinker,
싱커제어캠은, 캐리지의 주행방향에 관한 것으로서, 비작용구간의 시작보다도 선행하는 위치에서, 당해 위치로부터 당해 비작용구간의 시작까지 편사수용부가 루프에 작용하는 상태의 가동싱커의 작용을 정지할 것인지 아닌지를 절환하는 것이 가능하고, 비작용구간의 종료보다도 후행하는 위치에서, 당해 위치까지 편사수용부가 루프에 작용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가동싱커에 대하여, 당해 위치로부터 당해 비작용구간의 시작까지 당해 작용을 정지할 것인지 아닌지를 절환하는 것이 가능한 캠을 포함하는The sinker control cam is related to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carriage and stops the action of the movable sinker in a state in which the yarn accepting portion acts on the loop from the position to the start of the inactivity section at a position preceding the beginning of the inactive section To the movable sinker which maintains the state in which the yarn accepting portion is in a state of acting on the loop from the position following the end of the non-action period to the position until the start of the non-action period, Including a cam capable of switching whether or not to stop the action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이다.Wherein the movable sinker is a flat knitting machin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싱커제어캠은,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비작용구간에서 상기 가동싱커의 편사수용부의 작용이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구간캠과,A section cam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yarn accepting section of the movable sinker to stop in the non-operation section,
상기 캐리지의 주행방향에 관한 것으로서, 비작용구간으로부터 멀어지는 선행측과 후행측이 되는 양측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편사수용부의 작용을 정지할 것인지 아닌지를 절환하는 것이 가능한 캠으로서, 출몰에 의하여 절환하는 출몰캠을The cam is provided at a position on both sides of a leading side and a trailing side which are away from the non-action section and capable of switching whether or not to stop the action of the knitting yarn accepting section. Haunting cam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싱커제어캠은,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캐리지의 주행방향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양측의 출몰캠의 중간 근방의 위치에 각각 지점을 구비하고, 각 출몰캠을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암으로 지지하고, 지점 주위에서 요동하는 요동레버와,A pivotal lever that is provided at each of positions near the middle of the protruding and retracting cams on both sides and supports each of the protruding and retreating cams by an arm extending from the point,
양측의 요동레버에 각각 설치되고, 각 요동레버가 지점을 중심으로 요동하여, 출몰캠을 돌출시켜 상기 가동싱커의 편사수용부가 루프에의 작용을 정지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과,A spring that is provided on both pivotal levers on both sides and pivots each pivotal lever about a point to project the protruding and retreating cam so as to stop the action of the yarn receiving portion of the movable sinker to the loop,
스프링의 가압에 저항하여 양측의 요동레버를 출몰캠이 침몰하도록 요동시켜, 가동싱커의 편사수용부가 루프에의 작용을 정지하지 않도록 절환하는 것이 가능한 동일한 구동원과,The same driving source capable of switching the swing levers on both sides against the pressure of the spring so as to sink the projecting cam so as not to stop the action of the yarn receiving portion of the movable sinker in the loop,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양측의 요동레버에 전달하는 전달기구를A transmitting mechanism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from the driving source to the pivotal levers on both sides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싱커제어캠은, 상기 편사수용부의 작용을 정지할 것인지 아닌지를 절환하는 것이 가능한 캠으로서, 상기 위치와 상기 비작용구간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이동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ker control ca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m is capable of switching whether or not to stop the action of the yarn receiving section, and includes a moving cam which moves between the position and the non-action section .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가동싱커는, 상기 편사수용부가 상기 루프에 작용하는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스프링에 의하여 가압되고,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sinker is urged by a spring so that the yarn receiving portion swings in a direction acting on the loop,
상기 싱커제어캠은, 상기 편침의 상기 니들베드갭으로의 진퇴방향으로 진퇴하는 잭을 통하여 가동싱커를 제어하고,Wherein the sinker control cam controls the movable sinker through a jack which moves back and forth in the retracting direction of the needle into the needle bed gap,
잭은, 진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동싱커를 구동하여, 편사수용부의 루프에의 작용을 정지하는 방향으로 요동시키는The jack drives the movable sinker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dvancing / retreating direction, and swings in the direction of stopping the action of the loop of the yarn receiving portion
것을 특징으로 한다.
.
본 발명에 의하면, 훅으로 루프를 지지하는 편침을 니들베드갭으로 진출시킬 때에 루프가 편침과 함께 딸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동싱커는, 선단부에 형성하는 편사수용부가 니들베드갭에서 루프에 작용한다. 싱커제어캠은, 편사수용부가 루프에 작용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가동싱커에 대하여, 편침을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퇴출시킬 때에 설정되는 비작용구간에서 작용의 정지를 함과 아울러, 캐리지의 주행방향에 관한 것으로서, 비작용구간의 시작보다도 선행하는 위치에서 시작하도록 절환(切換)할 수 있다. 가동싱커의 편사수용부를 루프에 작용시킨 후에, 끊어지기 쉬운 약한 편사를 사용하는 경우나 과도하게 스티치의 간격을 좁혀 루프길이가 짧은 스티치를 편성하는 경우 등의 편성조건에 따라, 가동싱커의 루프에의 작용을 정지시키는 범위를 절환하여 적절한 편성을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ovable sinker capable of preventing the loops from sticking together with the knitting needle when the knitting needle for supporting the loops by the hook is advanced to the needle bed gap, the knitting yarn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at the tip end acts on the loops in the needle bed gap do. The sinker control cam is configured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sinker holding the state in which the knitting yarn accepting portion operates on the loop in the non-operation interval set when the knitting needle is withdrawn from the needle bed gap, And can be switched to start at a position preceding the start of the non-action interval. In the case where a weak knitting yarn which is easy to be broken is used after the knitting yarn accepting portion of the movable sinker is made to act on the loop or when the interval between the stitches is excessively narrowed to knit a stitch having a short loop length, It is possible to switch the range for stopping the action of the knob to make an appropriate knitting.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비작용구간에 설치되는 구간캠에 대하여, 캐리지의 주행방향의 선행측이 되는 출몰캠에 의하여 가동싱커의 편사수용부의 루프에의 작용을 정지하도록 절환하면, 비작용구간까지 계속 비작용으로 할 수 있다. 후행측의 출몰캠은, 캐리지의 주행방향이 반전하면 선행측이 되고, 비작용구간에 선행하여 편사수용부의 작용을 정지할 것인지 아닌지를 절환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tion cam provided in the non-action section is switched so as to stop the action of the loop of the movable yarn accepting section of the movable sinker by the projecting / withdrawing cam that is the preceding side in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carriage, It can be kept inactive. The projecting / withdrawing cam on the trailing side becomes the leading side when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carriage is reversed, and it is possible to switch whether or not to stop the action of the yarn accepting portion preceding the non-acting sec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싱커제어캠은, 양측의 요동레버의 암으로 각각 지지하는 양측의 출몰캠을 단일한 구동원으로 구동하는 요동레버의 요동에 의하여 출몰시켜, 가동싱커의 편사수용부가 루프에 작용하는 상태를 정지할 것인지 아닌지를 절환할 수 있다. 구동원이 단일하기 때문에, 기구를 간략화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ker control cam is projected and withdrawn by the rocking of the pivotal lever which is driven by a single driving source, on both sides of the sinker control cams which support the swinging levers of both sides,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switch whether or not to stop the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is stopped. Since the drive source is single, the mechanism can be simplifi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싱커제어캠은, 이동캠의 위치를 이동시켜, 캐리지의 주행방향에 관하여 선행하는 위치와 비작용구간에서 가동싱커의 편사수용부가 루프에 작용하는 상태를 정지할 것인지 아닌지를 절환할 수 있다. 편성조건에 따라 이동캠의 이동하는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편성포의 완성도의 향상이나 루프의 딸려 올라감을 방지하는 등의 효과를 조정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ker control cam moves the position of the moving cam so a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stop the state in which the yarn accepting portion of the movable sinker acts on the loop in the preceding position and the non-action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carriage Can be switched. The moving position of the moving cam can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knitting conditions, so that it is possible to adjust effects such as improvement in the completeness of the knitted fabric and prevention of the looping up of the knitted fabric.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잭이 진퇴하여, 가동싱커를 편사수용부가 루프에 작용하는 상태를 정지하도록, 작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에 저항하여 구동하면, 잭이 가동싱커로부터 받는 반력은 진퇴방향과 직교한다. 가동싱커를 구동할 때에 받는 반력이 잭을 진퇴시키지 않기 때문에, 비작용구간에 선행하는 위치에서 편사수용부가 루프에 작용하는 상태를 정지하도록 절환하면, 비작용구간까지 작용의 정지를 유지할 수 있어, 싱커제어캠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jack moves forward and backward to drive the movable sinker against the spring that press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knitting yarn accepting portion stops acting on the loop, the reaction force received by the jack from the movable sinker becomes It is orthogonal. Since the reaction force received when the movable sinker is driven does not move the jack forward and backward, the stopping of the operation up to the non-operation section can be maintained by switching the state in which the yarn accepting section is in the position preceding the non- The configuration of the sinker control cam can be simplified.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1로서의 가동싱커(4)를 구비하는 횡편기의 캠시스템(10)의 개략적인 캠의 배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가동싱커(4)의 작용과 비작용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측면도이다.
도2는, 도1의 가동싱커(4)를 구동하는 구성을, 작용상태와 비작용상태에서 편침(3)과 함께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3은, 도1의 (1)에 나타내는 위치에서 가동싱커(4)가 작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측면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의 (2)에 나타내는 위치에서 가동싱커(4)가 작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측면 단면도이다.
도5는, 도1의 (3)에 나타내는 위치에서 가동싱커(4)가 작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측면 단면도이다.
도6은, 도1의 출몰캠(13, 14)을 출몰시키는 싱커제어캠(11)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7은, 도1의 출몰캠(13, 14)을 출몰시키는 싱커제어캠(11)의 구성을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이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2로서의 가동싱커(4)를 구비하는 횡편기의 캠시스템(30)의 개략적인 캠의 배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9는, 도8의 (4)에 나타내는 위치에서 가동싱커(4)가 작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측면 단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 schematic cam arrangement of a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for driving the
Fig. 3 is a partial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g. 4 is a partial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5 is a partial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7 is a back view showing a simplified structure of the
8 is a front view showing a schematic cam arrangement of a
9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이하, 도1∼도7 및 도8∼도9에 본 발명의 실시예1 및 실시예2로서의 가동싱커(可動sinker)(4)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의 구성 및 동작을 각각 나타낸다. 각 실시예에서는,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설명의 대상이 되는 도면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 다른 도면에 기재되는 참조부호를 붙여 언급하는 경우가 있다.1 to 7 and Figs. 8 to 9 illustrate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a weft knitting machine having a
(실시예1)(Example 1)
도1은, (a)에 본 발명의 실시예1로서의 가동싱커(4)를 구비하는 횡편기의 캠시스템(cam system)(10)의 개략적인 캠의 배치, (b), (c)에 가동싱커(4)의 작용과 비작용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b), (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편침(3)은 도시(圖示)하는 것을 생략하는 니들베드(needle bed)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니들홈(needle groove)에 수용된다. 편침(3)의 사이에 배치되는 가동싱커(4)는, 선단부(先端部)(4a)가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5)에서 진퇴하도록 요동(搖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싱커(4)와 아울러, 후술하는 바와 같은 고정싱커(固定sinker)(6)도 설치된다. 니들베드를 따라 왕복주행하는 캐리지(carriage)에 탑재되는 캠시스템(10)으로 편침(3)을 니들베드갭(5)에서 진퇴시킨다. 이하에 캐리지가 좌측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면의 좌측이 선행측(先行側), 우측이 후행측(後行側)이 되지만, 캐리지의 주행방향이 우측방향이 되는 경우에는 도면의 우측이 선행측, 좌측이 후행측이 되는 것이 다를 뿐 동일한 동작을 한다.1 is a schematic cam arrangement of a
캠시스템(10)은 싱커제어캠(sinker制御cam)(11)을 포함한다. 싱커제어캠(11)은,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니들베드갭(5) 측의 선단에 형성하는 훅(hook)(3a)으로 후술하는 루프(7)를 지지하는 편침(3)을 니들베드갭(5)으로 진출시키는 때에는, 가동싱커(4)의 선단부(4a)가 니들베드갭(5)으로 진출하는 방향으로 요동하고 선단부(4a)에 형성되는 편사수용부(4b)가 루프(7)에 작용하여, 루프(7)가 편침(3)과 함께 딸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편침(3)을 니들베드갭(5)으로부터 퇴출시키는 때 등에 있어서, 가동싱커(4)도 선단부(4a)가 니들베드갭(5)으로부터 퇴출하는 방향으로 요동하면, 니들베드갭(5)에서 편사수용부(4b)의 루프(7)에의 작용이 정지하여 비작용이 되는 비작용구간이 형성된다.The cam system (10) includes a sinker control cam (11). The
도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캠시스템(10)은, 편침(3)을 구동하는 버트(3b)를 안내하는 니들 레이징캠(needle raising cam)(10a), 브릿지캠(bridge cam)(10b), 스티치캠(stitch cam)(10c, 10d)을 구비한다. 또한 편침(3)은 훅(3a)을 슬라이더(slider)(3e)의 텅(tongue)(3f)으로 개폐하는 복합바늘이고, 캠시스템(10)은 슬라이더(3e)를 제어하는 버트(3g)를 안내하는 슬라이더캠(10e)을 구비한다. 또한 싱커제어캠(11)은, 구간캠(12)과, 출몰캠(13, 14)을 포함한다. 구간캠(12)은, 가동싱커(4)를 구동할 때에 삽입되는 싱커잭(9)에 형성하는 버트(9b)에 접촉하여, 싱커잭(9)을 니들베드갭(5)으로 진출시키는 방향으로 구동한다. 구간캠(12)은,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단(12a)과 우단(12b)의 사이로 이동범위가 설정되어 있다. 구간캠(12)은, 구동할 때에 버트(9b)로부터 받는 반력(反力)으로 캐리지의 주행방향에 관하여 후행측의 단부, 도면에서는 우단이 이동범위의 우단(12b)에서 정지할 때까지 이동한다. 이 위치까지 이동한 구간캠(12)은, 산(山) 모양의 캠 형상에 따라 싱커잭(9)의 버트(9b)를 니들베드갭(5) 측으로 구동한다. 산 모양의 캠 형상으로 상승 경사면이 종료하면 가동싱커(4)는 루프(7)에의 작용을 정지하기 때문에, 구간캠(12)은, 훅(3a)이 급사구(8)로부터 편사의 공급을 받는 급사의 위치까지 편사수용부(4b)의 루프(7)에의 작용을 정지시켜, 비작용구간을 시작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작용구간이 시작되면, 구간캠(12)에 의한 구동이 종료하더라도 가동싱커(4)의 비작용상태가 계속된다.1A, the
다만 본 실시예의 싱커제어캠(11)은 싱커캠(11a)도 포함한다. 싱커캠(11a)은, 캐리지의 주행방향에 관하여 비작용구간보다도 후행측의 위치에, 가동싱커(4)의 편사수용부(4b)가 루프(7)에 작용하는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작용캠부(11c)를 구비한다. 작용캠부(11c)에 의하여, 후행측으로 빠지는 가동싱커(4)는 작용상태를 유지한다. 선행측에 형성되는 작용캠부(11b)는, 선행측에서부터 도입되는 가동싱커(4)가 작용을 정지하는 상태에 있더라도 작용상태로 바꾸고, 작용상태로 도입되는 가동싱커(4)에 대해서는 작용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스프링의 가압에 의하여 가동싱커 자체가 작용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작용캠부(11b, 11c)를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However, the
캐리지의 주행방향에 관한 것으로서 구간캠(12)에 의한 비작용구간의 시작보다도 선행하는 위치, 도1(a)에서는 (1)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버트(9b)로의 구동이 시작될 수 있도록 출몰캠(13)이 설치된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몰캠(13)을 돌출시키면, 상기 위치로부터 출몰캠(13)의 산 모양의 캠 형상을 따라 싱커잭(9)의 버트(9b)를 구동하고, 상승 경사면이 종료하여 가동싱커(4)의 루프(7)에의 작용을 정지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비작용구간의 시작까지 편사수용부(4b)의 루프(7)에의 작용을 정지하는 상태가 된다. 출몰캠(13)을 침몰시키면, 가동싱커(4)의 편사수용부(4b)가 루프에 작용하는 상태를 계속하도록 절환된다. 캐리지는 왕복주행을 하기 때문에, 캐리지가 우측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의 선행측이 되는 우측의 위치에도 출몰캠(14)이 설치된다.(See Fig. 1 (a)) in order to start driving to the butt 9b with respect to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carriage, that is, a position preceding the start of the inactive section by the
즉 싱커제어캠(11)은, 비작용구간에서 가동싱커(4)의 편사수용부(4b)의 루프에의 작용이 정지하여 비작용이 되도록 제어하는 구간캠(12)과, 출몰캠(13, 14)을 구비한다. 출몰캠(13, 14)은, 캐리지의 주행방향에 관한 것으로서 구간캠(12)이 가동싱커(4)를 비작용이 되도록 제어하는 비작용구간으로부터 멀어지는 선행측과 후행측이 되는 양측의 위치에 설치된다.That is, the
출몰캠(13)을 설치하는 위치는, 캐리지의 주행방향에 관한 것으로서 작용캠부(11b)보다도 후행하고, 구간캠(12)으로 가동싱커(4)를 비작용으로 하는 구동을 시작하는 위치에 선행하면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니들베드갭(5)으로 진출한 편침(3)의 훅(3a)을 향하여 급사구(8)로부터 편사를 공급하는 급사의 위치까지, 구간캠(12)으로 비작용구간을 시작하고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후술하는 고정싱커(6)를 병용하며 고정싱커(6)로 스티치의 크기를 결정하는 경우에는, 스티치캠(10d)이 편침(3)의 버트(3b)를 구동하고, 신루프(新loop)를 훅(3a)으로 인입(引入)하기 시작하는 얀 캐칭(yarn catching)의 위치까지, 구간캠(12)으로 비작용구간이 되도록 이동범위를 설정하여도 좋다. 출몰캠(13)을 설치하는 위치는, 구간캠(12)의 후행측의 단부가 이동범위의 우단(12b)에서 정지하는 위치보다도 선행하는 위치까지 가능하다. 후술하는 도3∼도5의 설명에서는, 출몰캠(13)을 (1)의 위치와 아울러 (2), (3)의 위치에 설치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다만 출몰캠(13)을 (2), (3)의 위치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구간캠(12)을 이동시키지 않고 이동범위의 좌단(12a) 측과 우단(12b) 측의 양측에 설치하고 출몰이 가능하게 하여 두고, 선행측을 침몰, 후행측을 돌출로 하여 둔다. 즉 (2)의 위치에 출몰캠(13)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선행측의 구간캠(12)이 계속 침몰되어 있다. (3)의 위치는 캠시스템(10)의 중심이기 때문에, 선행측에서 침몰된 구간캠(12)과 후행측에서 돌출된 구간캠(12)의 중간에, 단일의 출몰캠(13)을 설치하면 좋다. (2)와 (3)의 사이에서, 선행측의 구간캠(12)을 설치하는 위치에서 가동싱커(4)의 작용을 정지하도록 절환하는 경우에는, 선행측의 구간캠(12)을 출몰캠(13)으로서 겸용하고, 출몰캠(13)을 설치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position at which the projecting / retreating cam 13 is provided is a position relative to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carriage, which is later than the action cam portion 11b, and precedes the
도2는, 도1의 가동싱커(4)를 구동하는 구성을 (a)의 작용상태와 (b)의 비작용상태로 나누고, 편침(3)과 함께 간략화하여 나타낸다. 후술하는 니들베드(1)는, 니들베드갭(5) 측이 높고, 니들베드갭(5)으로부터 멀어지면 낮게 경사진다. 다만 도2부터의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니들베드(1)가 수평인 상태로 하여 설명한다.Fig. 2 shows the configuration for driving the
본 실시예의 편침(3)은, 니들베드갭(5) 측의 선단에 훅(3a)을 구비하는 바늘 본체(3c)와, 미단(尾端) 부근에 버트(3b)를 구비하고 선단이 바늘 본체(3c)의 미단 부근에 결합되는 니들잭(3d)과, 슬라이더(3e)를 포함한다. 가동싱커(4)는, 선단부(4a)에 딸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루프를 가압하는 편사수용부(4b)를 구비하고, 니들베드갭(5)으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인 후방에 선단부(4a)로부터 간격을 두고 피벗지지부(pivot支持部)(4c)를 구비한다. 가동싱커(4)는, 피벗지지부(4c)로부터 더 후방으로 연장되고 나서 니들베드갭(5) 측으로 되돌려지는 스프링부(4d)와, 피벗지지부(4c)로부터 후방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구동부(4e)를 더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가동싱커(4)에는 스프링부(4d)가 일체적(一體的)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별도의 선 스프링(線 spring)을 조합하여도 좋다. 싱커잭(9)은, 구동캠부(9a)와 버트(9b)를 구비한다.The
도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싱커잭(9)의 후방으로의 이동에서는, 구동캠부(9a)가 가동싱커(4)의 구동부(4e)를 하방으로 가압하지 않는다. 가동싱커(4)의 선단부(4a)는, 스프링부(4d)에 의한 가압으로 니들베드갭(5)으로 진출하고, 편사수용부(4b)가 루프에 작용 가능한 작용상태가 된다. 도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싱커잭(9)을 니들베드갭(5) 측으로 진행하는 방향인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구동캠부(9a)가 가동싱커(4)의 구동부(4e)를 스프링부(4d)의 가압에 저항하여 하방으로 가압한다. 가동싱커(4)는, 피벗지지부(4c)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요동하고, 편사수용부(4b)가 루프에 작용하는 것을 정지하는 비작용상태가 된다.The drive cam portion 9a does not press the drive portion 4e of the
본 실시예에서는, 싱커잭(9)이 니들베드갭(5) 측으로 진행하면 가동싱커(4)가 비작용이 되도록 구동한다. 스프링부(4d)는 가동싱커(4)를 작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비작용으로는 스프링부(4d)의 가압에 저항하여 구동한다. 비작용상태에서는, 싱커잭(9)의 구동캠부(9a)가 가동싱커(4)의 구동부(4e)로부터 받는 반력이 진퇴방향과 직교하는 도면의 상향(上向)이 된다. 구동캠부(9a)가 받는 반력은, 싱커잭의 진퇴방향과 직교하기 때문에 싱커잭(9)을 진퇴시키지 않는다. 다만 이 경우의 직교는, 각도가 90도에 가깝고, 반력의 진퇴방향의 성분이 진퇴방향에 수직인 성분과 비교하여 충분히 작은 범위이면 좋다. 출몰캠(13)을 돌출시켜 비작용구간의 선행측의 위치에서 가동싱커(4)를 비작용으로 절환하면, 비작용구간까지 비작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싱커제어캠(11)은 비작용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캠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도3∼5는, 도1의 (1), (2), (3)에 나타내는 위치를 대표로 하여, 가동싱커(4)가 작용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니들베드(1)는 수평인 상태로 나타내고, 원래는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니들베드갭 중심선(5a)을 경사지게 하여 나타낸다. 니들베드(1)의 기판(20)에는, 니들 플레이트(21)를 삽입하는 홈(groove)이 형성된다. 니들 플레이트(21)는, 기판(20)에,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고, 니들 플레이트(21) 사이는 니들홈(2)이 되어 편침(3)을 수용한다. 기판(20)에 니들 플레이트(21)가 삽입되면, 니들베드갭(5) 측의 선단 부근의 톱니(22)가 되는 와이어와 함께, 고정싱커(6) 및 니들 플레이트(21)를 고정하는 와이어(23) 및 와이어(24, 25)를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각각 삽입시킨다. 가동싱커(4)의 상방에는, 슬라이더(3e)가 니들베드갭(5) 측으로 진출할 때에 상방을 가압하는 밴드(band)(26)도 설치된다. 니들베드(1)의 니들베드갭(5) 측의 선단에는 고정싱커(6)가 설치되고, 신루프를 형성함에 있어서의 스티치의 크기를 결정할 때에는 가동싱커(4)를 비작용으로 할 필요가 있다. 다만 출몰캠(13)을 설치하는 위치는, 도1(a)의 (1), (2), (3)에 나타내는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구간캠(12)에 선행하는 위치이면 좋다.Figs. 3 to 5 respectively show states in which the
도3에서 편침(3)의 바늘 본체(3c)의 버트(3b)는, 도1의 (1)의 위치에 있고 니들 레이징캠(10a)에 의한 편침(3)의 니들베드갭(5)으로 진출하는 구동은 시작되고 있지 않다. 출몰캠(13)을 돌출시키면, 가동싱커(4)의 편사수용부(4b)는 루프(7)에의 작용을 정지하는 비작용의 상태가 된다. 싱커캠(11a)의 작용캠부(11b)로부터 (1)의 위치까지는, 편사수용부(4b)에서 루프(7)를 가압하는 작용의 상태이기 때문에, 편성포가 뜨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출몰캠(13)을 돌출시켜 (1)의 위치에서 버트(3g)의 구동을 시작하면, 편침(3)이 니들베드갭(5)으로 진출하기 전에 가동싱커(4)가 비작용으로 절환되기 때문에, 끊어지기 쉬운 약한 편사를 사용하는 경우나 과도하게 스티치의 간격을 좁혀 루프길이가 짧은 스티치를 편성하는 경우에, 실이 끊어질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다.3, the butt 3b of the needle body 3c of the
도4에서는, 도1의 (2)의 위치에서 편침(3)은 니들 레이징캠(10a)에 의한 버트(3b)로의 구동으로, 훅(3a)이 니들베드갭(5) 측으로 진출을 시작하고 있다. 이 위치까지 가동싱커(4)를 작용시키면, 훅(3a)에 지지되는 구루프(舊loop)(7a)의 직전에 형성된 선행 루프(7d)가 확실하게 바늘 본체(3c)에 의하여 훅(3a)의 하측의 위치에 멈춘다. 출몰캠(13)을 돌출시켜 (2)의 위치에서 버트(3g)의 구동을 시작하고, 산 모양의 캠 형상에 따라 가동싱커(4)를 비작용으로 절환하여도, (2)의 위치까지의 작용에 의하여 선행 루프(7d)가 훅(3a) 선단의 만곡(彎曲)된 외측을 따라 이동하는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In Fig. 4, the
도5에서는, 도1의 (3)에 나타내는 위치에서 편침(3)의 훅(3a)은 니들베드갭(5)으로 최대한 진출하고, 훅(3a)에 지지되어 있던 구루프(7a)는 (2)에서부터 (3)의 위치까지의 도중에 클리어(clear) 되어 있고, 슬라이더(3e)의 텅(3f)으로 이행하고 있다. 편침(3)으로서 래치니들(latch needle)을 사용하는 횡편기이면, 구루프(7a)는 래치를 열고 훅(3a)으로부터 바늘줄기로 이동한다. 출몰캠(13)을 돌출시켜 (3)의 위치에서 버트(3g)의 구동을 시작하고, 산 모양의 캠 형상에 따라 가동싱커(4)를 비작용으로 절환하면, 가동싱커(4)의 작용에 의하여, 딸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고 구루프(7a)를 확실하게 클리어 시킬 수 있다.5, the hook 3a of the
상기한 바와 같이 출몰캠(13)을 돌출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비작용구간에 설치하는 구간캠(12)으로 가동싱커(4)를 비작용이 되도록 절환할 수 있다. 끊어지기 쉬운 약한 편사를 사용하는 경우나 과도하게 스티치의 간격을 좁혀 루프길이가 짧은 스티치를 편성하는 경우 등의 편성조건에 따라, 출몰캠(13)으로 비작용구간보다도 선행하고 가동싱커(4)의 작용을 정지하는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When the projecting / retracting cam 13 is not projected as described above, the
도6 및 도7은, 도1의 출몰캠(13, 14)을 출몰시키는 싱커제어캠(11)의 주요부분의 구성을 구성부분을 지지하는 브래킷(bracket) 등을 생략하여 나타낸다. 도6은, 니들베드갭(5) 측에서 본 구성, 도7은 도1의 이면측에서 본 구성을 각각 나타낸다.6 and 7 show the main portion of the
싱커제어캠(11)은, 요동레버(搖動lever)(15, 16)와, 스프링(17, 18)과, 구동원(驅動源)(19)을 포함한다. 다만 도6(a)에서는 스프링(17, 18)을 도시하는 것을 생략하고 있다. 요동레버(15, 16)는, 캐리지의 주행방향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의 출몰캠(13, 14)의 중간 근방의 위치에 각각 지점(15b, 16b)을 구비하고, 각 출몰캠(13, 14)을 지점(15b, 16b)으로부터 연장되는 암(arm)(15a, 16a)으로 지지하고, 지점(15b, 16b) 주위에서 요동한다. 스프링(17, 18)은, 도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양측의 요동레버(15, 16)의 암(15a, 16a)의 선단 부근과 출몰캠(13, 14)과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고, 각 요동레버(15, 16)가 지점(15b, 16b)을 중심으로 요동하여 출몰캠(13, 14)을 돌출시켜, 가동싱커(4)의 선단부(4a)가 루프(7)에의 작용을 정지하도록 가압한다. 단일의 구동원(19)은, 양측의 요동레버(15, 16)를 출몰캠(13, 14)이 침몰하도록 요동시켜, 가동싱커(4)의 선단부(4a)가 루프(7)에 작용하도록 절환하는 구동을 한다. 본 실시예의 구동원(19)은 솔레노이드(solenoid)이며, 구동원(19)의 출력을 전달하는 전달기구가 되는 요동편(19a) 및 접동판 캠(摺動板 cam)(19b)을 통하여 요동레버(15, 16)를 구동한다.The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원(19)으로서의 솔레노이드의 플런저(plunger)로부터의 출력으로 요동편(19a)이 요동하고, 접동판 캠(19b)이 도면의 좌우방향으로 이동한다. 요동레버(15, 16)에는, 지점(15b, 16b)으로부터 접동판 캠(19b) 측으로 연장되는 구동부(15c, 16c)가 설치되고, 선단에 설치되는 팔로워(follower)(15d, 16d)가 접동판 캠(19b)에 형성되는 캠면(cam面)(19c)의 볼록부에 접촉하고 있다. 도6(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동판 캠(19b)이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요동레버(15, 16)는 스프링(17, 18)의 가압에 저항하여 지점(15b, 16b)을 중심으로 하는 반시계방향, 시계방향으로 각각 회전하고, 출몰캠(13, 14)은 침몰상태가 된다. 도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동판 캠(19b)이 도면의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요동레버(15, 16)는 스프링(17, 18)에 의한 가압으로, 팔로워(15d)가 캠면(19c)의 오목부에 접촉할 때까지 요동레버(15, 16)는 지점(15b, 16b)을 중심으로 하는 시계방향,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회전하고, 출몰캠(13, 14)은 돌출상태가 된다. 또한 캠면(19c)의 형상을 바꾸어 팔로워(15d, 16d)의 일방이 오목부, 타방이 볼록부에 접촉하도록 하면, 출몰캠(13, 14)의 일방을 돌출, 타방을 침몰로 절환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the swinging piece 19a is oscillated by the output from the plunger of the solenoid as the
출몰캠(13, 14)으로서는, 캐리지의 주행방향에 관하여 선행측만 돌출시키고, 후행측은 침몰시켜 두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출몰캠(14)은 구간캠(12)보다도 후행측에 있기 때문에, 출몰을 절환하여도 이미 비작용상태가 되어 있는 가동싱커(4)에는 영향이 없다. 따라서 출몰캠(13, 14)을 동시에 돌출하도록 절환하더라도, 가동싱커(4)를 작용에서 비작용으로 절환하는 것은 선행측일 뿐이며, 후행측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As the projecting / descending
구동원(19)으로서 모터를 사용하고, 접동판 캠(19b)에 랙을 설치하고, 모터의 출력축에 피니언을 부착하여 접동판 캠(19b)을 구동하는 등, 다른 구성으로도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구동원(19)을 각 출몰캠(13, 14)에 설치하면, 구간캠(12)에 선행하는 측의 출몰캠(13, 14)만을 돌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The same function can be realized in other configurations by using a motor as the driving
(실시예2)(Example 2)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2로서의 가동싱커(4)를 구비하는 횡편기의 캠시스템(30)의 개략적인 캠의 배치를 나타낸다. 캠시스템(30)이 포함하는 싱커제어캠(31)은, 도1의 싱커제어캠(11)의 구간캠(12) 및 출몰캠(13, 14)이 아니라 이동캠(32)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이동캠(32)은, 구간캠(12)이 설치되는 비작용구간보다도 넓은 구간을 비작용구간으로 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기구와 구동원을 구비하고 있어, 캐리지의 주행방향에 관하여 비작용구간에 선행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Fig. 8 shows a schematic cam arrangement of the
본 실시예의 비작용구간은, 스티치캠(10d)이 편침(3)의 버트(3b)를 구동하고, 신루프를 훅(3a)으로 인입하기 시작하는 얀 캐칭의 위치를 포함하는 구간으로서 설정된다. 도1의 구간캠(12)과 동일한 위치를 비작용구간으로 하여도 좋다. 비작용구간에 선행하여 이동 가능한 위치를 대표하여 (1), (2), (3), (4)에 나타낸다. 이동캠(32)을 비작용구간에 선행하는 위치와 비작용구간으로 이동시키면, 가동싱커(4)의 편사수용부(4b)의 루프(7)에의 작용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절환할 수 있다. 이동캠(32)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사용하는 편사나 형성하는 스티치 등의 편성조건에 따라 편성포의 완성도의 향상이나 루프의 딸려 올라감을 방지하는 등의 효과를 조정할 수 있다.The nonoperating sec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set as a section including the position of the yarn catching where the stitch cam 10d drives the butt 3b of the
도9는, 도8의 (4)에 나타내는 위치이며, 니들베드갭(5)으로 진출시킨 후에 퇴출을 시작한 훅(3a)에 대하여 급사구(8)로부터 편사를 공급하여 급사시키는 위치에서도 가동싱커(4)를 작용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8의 (1), (2), (3)의 위치에서의 가동싱커(4)의 작용상태는, 도3, 도4, 도5에서와 각각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가동싱커(4)는, 급사도 무방하기 때문에, 도1에서도 도8의 (4)에 상당하는 위치에서의 급사를 할 때에도 구루프(7a)를 편사수용부(4b)로 가압하도록 작용시켜 둘 수 있다. (3)∼(4)와 같이, 니들베드갭(5)으로 진출한 훅(3a)을 니들베드갭(5)으로부터 퇴출시킬 때에도 가동싱커(4)를 작용시키면, 구루프(7a)가 슬라이더(3e)의 텅(3f)으로부터 빠져 훅(3a) 내로 되돌아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래치니들에서는, 구루프(7a)를 클리어 할 때에 열린 래치의 선단이 구루프(7a)에 간섭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가동싱커(4)의 형상에 따라 급사에 지장이 있는 경우에는, 가동싱커(4)를 비작용으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고정싱커(6)를 설치하지 않고 가동싱커(4)를 스티치의 크기 결정에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급사나 얀 캐칭을 할 때에 일단 가동싱커(4)를 비작용으로 하고 스티치의 크기 결정을 하기 전에 가동싱커(4)를 작용시킴으로써, 루프(7)를 확실하게 가압하도록 한다.9 shows a state in which the yarn is fed from the
본 발명은, 가동싱커(4)에 루프가 딸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이 있으면, 형상이나 구동방식, 스프링의 가압 유무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다. 가동싱커(4)가 작용에서 비작용으로 절환되어도 비작용의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에는, 비작용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캠이나 스토퍼 등을 추가하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스티치를 형성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트랜스퍼(transfer)를 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편침은, 슬라이더(3e)로 훅(3a)을 개폐하는 복합바늘뿐만 아니라, 래치로 훅을 개폐하는 래치니들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니들베드갭(5)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도록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1)를 구비하는 2베드 횡편기 뿐만 아니라, 상하 2단으로 설치되는 4베드 횡편기나 보조 베드가 설치되는 횡편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the shape, the drive system, and whether or not the spring is pressurized, provided that the
3 : 편침
3a : 훅
4 : 가동싱커
4a : 선단부
4b : 편사수용부
4c : 피벗지지부
4d : 스프링부
4e : 구동부
5 : 니들베드갭
6 : 고정싱커
7 : 루프
8 : 급사구
9 : 싱커잭
9a : 구동캠부
9b : 버트
10, 30 : 캠시스템
11, 31 : 싱커제어캠
11a : 싱커캠
1lb, 11c : 작용캠부
12 : 구간캠
13, 14 : 출몰캠
15, 16 : 요동레버
17, 18 : 스프링
19 : 구동원3:
3a: Hook
4: movable sinker
4a:
4b:
4c: pivot support
4d: spring portion
4e:
5: needle bed gap
6: Fixed sinker
7: Loop
8:
9: sinker jack
9a: drive cam portion
9b: Butt
10, 30: cam system
11, 31: sinker control cam
11a: sinker cam
11b, 11c: Working cam portion
12:
13, 14: Attendance cam
15, 16: Pivot lever
17, 18: spring
19: driving source
Claims (5)
니들베드를 따라 왕복주행하는 캐리지(carriage)에 탑재되는 캠시스템(cam system)에 의하여 편침을 니들베드갭에서 진퇴시키고,
니들베드갭 측의 선단(先端)에 형성하는 훅(hook)으로 루프(loop)를 지지하는 편침을 니들베드갭으로 진출시킬 때에는, 가동싱커가 니들베드갭으로 진출하여 가동싱커의 니들베드갭 측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편사수용부가 루프에 작용하여, 루프가 편침과 함께 딸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고,
편침을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퇴출시킬 때에, 가동싱커도 선단부가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퇴출하여 니들베드갭에서 편사수용부가 루프에 작용하는 것을 정지하는 비작용구간을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싱커제어캠(sinker制御cam)을 캠시스템에 포함하는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
싱커제어캠은, 캐리지의 주행방향에 관한 것으로서, 비작용구간의 시작보다도 선행(先行)하는 위치에서, 당해 위치까지 편사수용부가 루프에 작용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가동싱커에 대하여, 당해 위치로부터 당해 비작용구간의 시작까지 당해 작용을 정지할 것인지 아닌지를 절환(切換)하는 것이 가능한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A movable sinker that moves back and forth in a needle bed gap is disposed between knitting needles accommodated in a needle groove formed in parallel to a needle bed ,
The knitting needle is advanced and retracted from the needle bed gap by a cam system mounted on a carriage reciprocating along the needle bed,
When the needle for supporting the loop is advanced to the needle bed gap by the hook formed at the tip of the needle bed gap side, the movable sinker advances to the needle bed gap and the needle bed gap side of the movable sinker The yarn receiving portion formed at the tip end of the knitting yarn acts on the loop to prevent the loop from being hooked up with the knitting needle,
A sinker control cam for controlling to set a non-operation section for stopping the action of the movable sinker from the needle bed gap and the action of the yarn accepting section in the needle bed gap when the needle is withdrawn from the needle bed gap ) To the cam system
A horizontal knitting machine having a movable sinker,
The sinker control cam is related to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carriage. The sinker control cam is provided with a movable sinker which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yarn accepting portion operates in the loop from the position preceding the start of the non- And a cam capable of switching (switching) whether or not to stop the action until the start of the non-action interval
Wherein the movable sinker is provided with a movable sinker.
상기 싱커제어캠은,
상기 비작용구간에서 상기 가동싱커의 편사수용부의 작용이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구간캠(區間cam)과,
상기 캐리지의 주행방향에 관한 것으로서, 비작용구간으로부터 멀어지는 선행측과 후행측이 되는 양측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편사수용부의 작용을 정지할 것인지 아닌지를 절환하는 것이 가능한 캠으로서, 출몰(出沒)에 의하여 절환하는 출몰캠(出沒cam)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nker control cam
A section c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yarn receiving section of the movable sinker to stop in the non-operation section,
The cam being capable of switching whether or not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knitting yarn accepting portion, wherein the cam is provided at a position on both sides which are the leading side and the trailing side, (Cam) to be switched by the cam
Wherein the movable sinker is provided with a movable sinker.
상기 싱커제어캠은,
상기 캐리지의 주행방향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양측의 출몰캠의 중간 근방의 위치에 각각 지점(支點)을 구비하고, 각 출몰캠을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암(arm)으로 지지하고, 지점 주위에서 요동(搖動)하는 요동레버(搖動lever)와,
양측의 요동레버에 각각 설치되고, 각 요동레버가 지점을 중심으로 요동하여, 출몰캠을 돌출시켜 상기 가동싱커의 편사수용부가 루프에의 작용을 정지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과,
스프링의 가압에 저항하여 양측의 요동레버를 출몰캠이 침몰하도록 요동시켜, 가동싱커의 편사수용부가 루프에의 작용을 정지하지 않도록 절환하는 것이 가능한 동일한 구동원(驅動源)과,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驅動力)을 양측의 요동레버에 전달하는 전달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inker control cam
Wherein the protruding and retracting cams are provided at positions near the middle of the protruding and retracting cams on both sides of the carriage and each protruding and retracting cam is supported by an arm extending from the point, A swing lever for swinging,
A spring that is provided on both pivotal levers on both sides and pivots each pivotal lever about a point to project the protruding and retreating cam so as to stop the action of the yarn receiving portion of the movable sinker to the loop,
The same driving source that can be switched so that the swinging levers on both sides are swung so as to sink the protruding cam against the pressure of the spring so as not to stop the action of the yarn receiving portion of the movable sinker in the loop,
And a transmitting mechanism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driving force) from the driving source to the pivotal levers on both sides
Wherein the movable sinker is provided with a movable sinker.
상기 싱커제어캠은, 상기 편사수용부의 작용을 정지할 것인지 아닌지를 절환하는 것이 가능한 캠으로서, 상기 위치와 상기 비작용구간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이동캠(移動cam)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nker control cam is a cam capable of switching whether or not to stop the action of the yarn accepting unit and includes a moving cam that moves between the position and the non-
Wherein the movable sinker is provided with a movable sinker.
상기 가동싱커는, 상기 편사수용부가 상기 루프에 작용하는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스프링에 의하여 가압되고,
상기 싱커제어캠은, 상기 편침의 상기 니들베드갭으로의 진퇴방향으로 진퇴하는 잭(jack)을 통하여 가동싱커를 제어하고,
잭은, 진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동싱커를 구동하여, 편사수용부의 루프에의 작용을 정지하는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movable sinker is pressed by a spring such that the yarn receiving portion swings in a direction acting on the loop,
Wherein the sinker control cam controls the movable sinker through a jack which moves back and forth in the retracting direction of the needle into the needle bed gap,
The jack drives the movable sinker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dvancing / retreating direction, and swings in the direction of stopping the action of the loop of the yarn receiving portion
Wherein the movable sinker is provided with a movable sin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5019802A JP6177263B2 (en) | 2015-02-03 | 2015-02-03 | Fla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sinker |
JPJP-P-2015-019802 | 2015-02-0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5627A KR20160095627A (en) | 2016-08-11 |
KR101773765B1 true KR101773765B1 (en) | 2017-09-01 |
Family
ID=55361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2204A Active KR101773765B1 (en) | 2015-02-03 | 2016-02-01 | Flatbed knitting machine equipped with movable sinker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EP (1) | EP3054041B1 (en) |
JP (1) | JP6177263B2 (en) |
KR (1) | KR101773765B1 (en) |
CN (1) | CN105839283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589000B (en) * | 2018-03-21 | 2023-09-26 | 浙江丰帆数控机械有限公司 | Flat knitting machine |
CN109537154B (en) * | 2019-01-16 | 2023-09-12 | 宁波博日机械有限公司 | Letter gram device of computerized flat knitting machin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602622B1 (en) | 1992-12-15 | 1997-10-08 | SHIMA SEIKI MFG., Ltd. | Sinker mechanism for flat knitting machines |
JP2005048336A (en) | 2003-07-30 | 2005-02-24 | Shima Seiki Mfg Ltd | Flat knitting frame equipped with movable sinker |
EP2789718B1 (en) | 2013-04-08 | 2016-11-09 | Shima Seiki Mfg., Ltd. | Flatbed knitting machine equipped with movable sinker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3609539A1 (en) | 1986-03-21 | 1987-10-01 | Stoll & Co H | DOUBLE-BED FLAT-KNITTING MACHINE WITH PLATINES BETWEEN NEEDLES |
JPH0641943B2 (en) | 1988-06-29 | 1994-06-01 | 日揮メンテナンス株式会社 | Defect inspection method for pipes |
JPH03206161A (en) | 1989-12-28 | 1991-09-09 | Shima Seiki Seisakusho:Kk | Sinker device in filling knitting machine |
JP3163602B2 (en) | 1991-09-20 | 2001-05-08 | ソニー株式会社 | Video display device |
WO2002046508A1 (en) * | 2000-12-04 | 2002-06-13 | Shima Seiki Mfg.,Ltd. | Flatbed knitting machine |
CN100564634C (en) * | 2007-05-18 | 2009-12-02 | 孙平范 | The sinker controlling organization of flat machine |
CN201835069U (en) * | 2010-10-28 | 2011-05-18 |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 Sinker control device |
EP2570531B1 (en) * | 2011-09-15 | 2014-03-05 |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 Downward pressing mesh mechanism and sinker thereof for flat knitting machines |
JP2013139644A (en) * | 2011-12-28 | 2013-07-18 | Shima Seiki Mfg Ltd | Sinker device of flat knitting machine |
-
2015
- 2015-02-03 JP JP2015019802A patent/JP6177263B2/en active Active
-
2016
- 2016-02-01 KR KR1020160012204A patent/KR101773765B1/en active Active
- 2016-02-02 CN CN201610071662.7A patent/CN105839283B/en active Active
- 2016-02-03 EP EP16154106.5A patent/EP305404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602622B1 (en) | 1992-12-15 | 1997-10-08 | SHIMA SEIKI MFG., Ltd. | Sinker mechanism for flat knitting machines |
JP2005048336A (en) | 2003-07-30 | 2005-02-24 | Shima Seiki Mfg Ltd | Flat knitting frame equipped with movable sinker |
EP2789718B1 (en) | 2013-04-08 | 2016-11-09 | Shima Seiki Mfg., Ltd. | Flatbed knitting machine equipped with movable sink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6141910A (en) | 2016-08-08 |
JP6177263B2 (en) | 2017-08-09 |
CN105839283B (en) | 2017-12-01 |
EP3054041A1 (en) | 2016-08-10 |
CN105839283A (en) | 2016-08-10 |
EP3054041B1 (en) | 2017-07-19 |
KR20160095627A (en) | 2016-08-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542348B2 (en) | Sinker device of flat knitting machine | |
JP4841335B2 (en) | Flat knitting machine | |
KR101773765B1 (en) | Flatbed knitting machine equipped with movable sinker | |
EP3165651B1 (en) | Flat knitting machine | |
JP4336303B2 (en) | Yarn feeder for flat knitting machine | |
KR101516154B1 (en) | Flat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 |
WO2007132559A1 (en) | Knitting method of intersia pattern fabric and weft knitting machine | |
EP1514963B1 (en) | Wef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sinker device | |
CN110678593B (en) | Plating knitting method in flat knitting machine | |
JP5414670B2 (en) | Fla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sinker | |
KR101347665B1 (en) |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compound needles, and control method for slider in flat knitting machine | |
WO2005012613A1 (en) | Weft knitting machine having movable sinker | |
JP4163085B2 (en) | Flat knitting machine capable of switching the state of moving body | |
JP4175978B2 (en) | Fla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sinker | |
JP4175976B2 (en) | Fla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sinker | |
KR100767984B1 (en) | Loop-forming system and sinker for such a system | |
JP4175977B2 (en) | Fla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sinker | |
CN221320261U (en) | Fla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sinker | |
WO2024075449A1 (en) | Flat knitting machine equipped with movable sinker, and movable sinker | |
EP3798339B1 (en) | Flatbed knitting machine | |
CN220099325U (en) | Knitted fabric sheeting device of flat knitting machine | |
JP2023154676A (en) |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movable sinker | |
JPH093753A (en) | Yarn feeder in weft knitting machine | |
CN113265752A (en) | 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 |
JPH0610248A (en) | Controller for rocking of movable sink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8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8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