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763B1 - Pumping device with noise reduction structure - Google Patents
Pumping device with noise reduction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73763B1 KR101773763B1 KR1020110010958A KR20110010958A KR101773763B1 KR 101773763 B1 KR101773763 B1 KR 101773763B1 KR 1020110010958 A KR1020110010958 A KR 1020110010958A KR 20110010958 A KR20110010958 A KR 20110010958A KR 101773763 B1 KR101773763 B1 KR 1017737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ke
- clutch
- pinion shaft
- pumping device
- metall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52—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with relations between different adjustments, e.g. height of headrest following longitudinal position of sea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002/2204—Adjustable back-rest height or 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핑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펌핑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부품 간의 충돌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켜 탑승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펌핑 디바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펌핑 디바이스는 내측 커버와, 상기 내측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시트에 마련된 링크 기어를 회전시키는 피니언 샤프트와, 상기 내측 커버에 설치되며 작동레버의 조작에 따라 피니언 샤프트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브레이크 수단과, 상기 작동레버의 조작 시에는 레버 브래킷의 회전을 브레이크 수단으로 전달하고 작동레버의 미조작 시에는 레버 브래킷과 브레이크 수단 사이의 힘 전달을 차단하는 클러치 수단과, 상기 레버 브래킷과 클러치 수단의 리테이너를 탄성 지지하여 작동레버에 가해지는 조작력이 해제되는 경우 레버 브래킷과 리테이너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는 펌핑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수단은, 수용홈이 일측면에 형성되고 양측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보강홀이 형성된 금속성 제1 부재와, 상기 브레이크 수단과 연결되는 다수 개의 동력 전달돌기를 구비하며 금속성 제 1부재의 타측면에서 금속성 제1 부재와 일체형의 구조를 갖도록 성형되어 상기 보강홀에 유입된 채로 경화되는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결속돌기를 포함하는 수지성 제2 부재로 구성된 클러치 부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mping device,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pumping device that can reduce a noise generated by a collision between components constituting a pumping device, thereby providing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to a passeng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umping device comprising: an inner cover; a pinion shaft rotatably installed on the inner cover and rotating a link gear provided on the seat; and a pinion shaft installed on the inner cover, Clutch means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 of the lever bracket to the brake means dur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and blocking transmission of force between the lever bracket and the brake means when the operating lever is not operated; And a return spring for restoring the lever bracket and the retainer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operating force applied to the operating lever is released by resiliently supporting the retainer of the clutch means, wherein the clutch means includes a receiv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A plurality of reinforcing holes passing through both side surfaces are formed And a plurality of power transmission protrusions connected to the brake means, wherein the metal first member is formed to have a structu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metallic member at the other side of the metallic first member, and is cured while flowing into the reinforcing hole And a coupling bush formed of a resinous second member including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by the coupling bush.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쿠션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펌핑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펌핑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부품 간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켜 탑승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고, 부품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생산이 용이하고 정밀도를 높인 펌핑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mping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n automobile seat cush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occupant with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by reducing noise generated by collision between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umping device, To a pumping device that is easy to produce and has increased precision.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자동차 탑승자의 탑승자세를 유지하여 주기 위한 것으로써, 운전석과 조수석에 구비되어 한 사람만 착석할 수 있도록 한 세퍼레이터 타입 시트와 여러 명이 동시에 착석할 수 있도록 승객실의 후방에 구비되는 벤치타입 시트 또는 다열 시트로 구분된다.Generally, a seat of an automobile is provided to maintain the boarding posture of an automobile occupant, and is provided with a separator type seat provided in a driver's seat and a passenger seat so that only one person can be seated, A bench type sheet or a multi-row sheet.
한편 시트는 탑승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쿠션과, 탑승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으로 구성되며, 탑승자의 신장에 따라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Meanwhile, the seat includes a seat cushion for supporting a lower body of a passenger and a seat back for supporting an upper body of a passenger, and a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passenger is provided.
종래의 높낮이 조절 장치는 다이얼 방식으로써, 시트의 일측에 마련된 조절노브를 어느 한 쪽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조절노브의 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가 링크 기어를 회전시켜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되며, 높낮이의 조절이 이루어진 후에는 브레이크 드럼과 브레이크 스프링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하여 시트의 높이가 고정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conventional height adjusting device is a dial type. When the adjusting knob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at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pinion gear rotating by the operation of the adjusting knob rotates the link gea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eat And the height of the seat is fixed by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etween the brake drum and the brake spring after the adjustment of the height.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높낮이 조절 장치는 피니언 기어에 큰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브레이크 스프링이 브레이크 드럼의 내에서 회전하게 되어 탑승자가 의도하지 않은 시트의 높이 변화가 발생되므로, 수시로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으며, 또 피니언 기어에 가해지는 과도한 외력에 의해 브레이크 스프링의 형태가 쉽게 변형되므로 내구성이 낮은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However, when a large load is applied to the pinion gear, the brake spring is rotated in the brake drum, and the height of the seat is changed unexpectedly by the passenger, And the shape of the brake spring is easily deformed by an excessiv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pinion gear, so that the durability is low.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시트의 측면에서 길게 연장된 작동레버를 펌프식으로 상하로 작동하여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펌핑 디바이스가 사용되고 있으나, 종래의 펌핑 디바이스는 작동 로스의 과다로 인해 레버의 작동량에 비해 시트의 높이 조절량이 적으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 pumping device has been used in recent years in which the height of the seat can be adjusted by vertically operating the operation lever extended from the side of the seat by a pump. However, in the conventional pumping device, The amount of adjustment of the height of the seat is smaller than the operation amount of the lever, which is inconvenient to use.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작동레버가 공회전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작동 로스를 줄이고, 작동레버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펌핑 디바이스를 개발한 바 있으며, 상기 개발된 펌핑 디바이스는 한국등록특허 제0956729에 개시되어 있다.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developed a pumping devi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for minimizing idling of the operating lever to reduce the operating loss and preventing the operating lever from being shaken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roblems.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956729.
도 1은 한국등록특허 제0956729에 개시된 펌핑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Fig. 1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umping device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0956729. Fig.
상기 펌핑 디바이스는 내측 커버(10)와, 피니언 샤프트(20)와, 브레이크 수단(30)과, 클러치 수단(40)과, 레버 브래킷(50)과, 리턴 스프링(60)과, 외측 커버(70)로 구성되어 있다.The pumping device includes an
이와 같은 구성의 펌핑 디바이스는 작동레버의 조작에 의해 레버 브래킷(50)이 회전하게 되면, 클러치 수단(40)은 레버 브래킷(50)의 회전을 브레이크 수단(30)으로 전달하게 되며, 이때 브레이크 수단(30)은 피니언 샤프트(20)의 회전 억제 상태를 해제하여 피니언 샤프트(20)를 회전 가능한 상태를 만드는 것과 함께 피니언 샤프트(20)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러한 피니언 샤프트(20)의 회전에 의해 링크 기어가 회전함으로써 시트의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When the
한편 상기 클러치 수단(40)을 구성하는 클러치 부시(41)는 클러치 수단(40)의 회전력을 브레이크 수단(30)에 전달하는 중요한 부품으로써, 일측면에는 클러치 수단(40)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수용되는 수용홈(411)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브레이크 부시(31)와 브레이크 캠(3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브레이크 롤러(33)를 밀어내면서 브레이크 캠(32)을 회전시키는 다수 개의 동력 전달돌기(412)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도 2는 브레이크 부시와 브레이크 캠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동력 전달돌기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wer transmitting projection is inserted into a space formed between the brake bush and the brake cam.
통상적으로 상호 연동하는 기계부품 간의 결합에 있어서는,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원활한 작동구조를 확보하기 위하여 부품 간의 사이에 유격을 두게 되며, 상기 펌핑 디바이스의 경우에도 브레이크 부시(31)와 브레이크 캠(32) 및 동력 전달돌기(412)의 사이에 유격을 두어 동력 전달돌기(412)가 브레이크 부시(31)와 브레이크 캠(32)의 사이에 원활히 삽입되고 또 브레이크 부시(31)의 회전 시 발생되는 마찰저항의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assemblability and to ensure a smooth operating structure, clearance is provided between the parts. In the case of the pumping device, the
그러나 금속재로 이루어진 클러치 부시(41)가 유격에 의해 요동하는 과정에서 동력 전달돌기(412)가 브레이크 롤러(33)나 브레이크 캠(32)과 충돌하여 충격음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충격음은 차량 운행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되어 자동차의 실내소음을 증가시키게 된다.However, in the process of the
도 3은 내측 커버와 브레이크 부시 및 피니언 샤프트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inner cover, the brake bush and the pinion shaft.
상기 내측 커버(10)는 시트에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11)과, 브레이크 부시(31)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 브래킷(12)으로 구성되며, 브레이크 부시(31)는 돌기(311)와 홈(121)의 결합에 의하여 수용 브래킷(12)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또한 상기 피니언 샤프트(20)는 내측 커버(10)를 관통하여 링크 기어와 연결되며, 내측 커버(10)에 의해 회전을 지지받게 된다.The
상기와 같은 고정 브래킷(11)과 수용 브래킷(12) 및 브레이크 부시(31) 그리고 피니언 샤프트(20)가 오차없이 정확하게 가공되고, 정확하게 조립되었을 경우에는 문제가 없으나, 가공과정이나 조립과정에서는 불가피하게 오차가 발생되며, 이러한 가공오차나 조립오차로 인하여 브레이크 부시(31)와 피니언 샤프트(20)의 중심이 어긋난 경우, 피니언 샤프트(20)의 회전을 억제하는 제동력이 저하되어 피니언 샤프트(20)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하여 피니언 샤프트(20)가 임의로 회전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시트의 높이 변화가 발생될 수 있다.There is no problem when the
보다 상세히, 브레이크 수단(30)의 제동력은 브레이크 부시(31)와 브레이크 캠(32)의 사이에 삽입되는 다수 개의 브레이크 롤러(33)가 브레이크 부시(31)의 내면과 브레이크 캠(32)의 외면 사이에 끼이면서 제동력을 발생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braking force of the brake means 30 is set such that a plurality of
따라서 브레이크 부시(31)와 피니언 샤프트(20)의 중심이 어긋난 경우, 피니언 샤프트(20)에 결합된 브레이크 캠(32)의 중심 또한 브레이크 부시(31)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나게 되며, 이러한 경우 다수 개의 브레이크 롤러(33)들 중 일부 브레이크 롤러(33)에 의해서만 제동력이 발생하게 되므로, 제동력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When the center of the
결국 제동력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매우 정밀한 가공과 조립이 요구되므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As a result, very precise machining and assembly are required to prevent the decline of the braking force, resulting in a problem of low productivity.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4는 브레이크 스프링이다.In the draw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펌핑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부품 간의 충돌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켜 탑승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펌핑 디바이스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umping device that can reduce a noise generated by a collision between components constituting a pumping device, thereby providing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to a passenger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측 커버와 브레이크 부시를 단일체로 제작하여 부품의 제작이나 조립에 요구되는 난이도를 낮춤으로써 생산성을 높이고, 부품 가공이나 조립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차로 인해 브레이크 수단이 제동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펌핑 디바이스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productivity by lowering the degree of difficulty required for manufacturing and assembling parts by manufacturing the inner cover and brake bushes as a single body and to reduce the braking force of the brake means due to errors generated in the parts processing or assembly process And to provide a pump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펌핑 디바이스는 자동차 시트에 장착되는 내측 커버와, 상기 내측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시트에 마련된 링크 기어와 맞물려 링크 기어를 회전시키는 피니언 샤프트와, 상기 내측 커버에 설치되어 작동레버의 미조작 시에는 피니언 샤프트의 회전을 억제하고 작동레버의 조작 시에는 피니언 샤프트의 회전을 허용하면서 피니언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브레이크 수단과, 상기 작동레버의 조작 시에는 레버 브래킷의 회전을 브레이크 수단으로 전달하고 작동레버의 미조작 시에는 레버 브래킷과 브레이크 수단 사이의 힘 전달을 차단하는 클러치 수단과, 상기 레버 브래킷과 클러치 수단의 리테이너를 탄성 지지하여 작동레버에 가해지는 조작력이 해제되는 경우 레버 브래킷과 리테이너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는 펌핑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수단은, 수용홈이 일측면에 형성되고 양측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보강홀이 형성된 금속성 제1 부재와, 상기 브레이크 수단과 연결되는 다수 개의 동력 전달돌기를 구비하며 금속성 제 1부재의 타측면에서 금속성 제1 부재와 일체형의 구조를 갖도록 성형되어 상기 보강홀에 유입된 채로 경화되는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결속돌기를 포함하는 수지성 제2 부재로 구성된 클러치 부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umping device comprising: an inner cover mounted on an automobile seat; and a link gear rotatably installed on the inner cover and provided on the seat, A brake means provided on the inner cover for restricting rotation of the pinion shaft when the operating lever is not operated and for rotating the pinion shaft while allowing rotation of the pinion shaft when operating the operating lever; A clutch means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 of the lever bracket to the brake means when the operating lever is operated and for interrupting the transmission of force between the lever bracket and the brake means when the operating lever is not operated, So that the operation force applied to the operation lever is released And a return spring for restoring the lever bracket and the retainer to the original state, wherein the clutch means includes a metallic first member having a receiv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surf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holes passing through both side surfaces thereof, And a plurality of power transmission projections connected to the braking means. The coupl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etallic first member to have a structu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etallic first member, And a second resin-made member including a resin-made second member.
삭제delete
또한 상기 다수 개의 보강홀은 금속성 제1 부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형 배열된 구조로 형성되고, 금속성 제1 부재의 중심부에는 금속성 제1 부재의 양측면을 관통하며 톱니형의 모양을 갖는 세레이션홀이 더 형성되어 금속성 제1 부재와 수지성 제2 부재의 결속력을 더욱 강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urality of reinforcing holes are formed in a circular arrangement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metallic first member, and a serration hole having a sawtooth shape passing through both side surfaces of the metallic first member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etallic first member It is preferable to further strengthen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metallic first member and the resinous second member.
한편 상기 내측 커버는, 시트에 고정되는 플랜지부와, 피니언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와,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 부시부로 구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와 회전 지지부 및 브레이크 부시부는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cover includes a flange portion fixed to the seat, a rotation support portion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pinion shaft, and a brake bush portion for generating a braking force, and the flange portion, the rotary support portion and the brake bush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클러치 부시의 동력 전달돌기가 주변 부품과 충돌하면서 발생되는 충격음을 저감시켜 탑승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characteristic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to the occupant by reducing impact noise generated when the power transmitting projection of the clutch bush collides with peripheral parts.
또한 종래 별도로 구성된 고정 브래킷과 수용 브래킷 및 브레이크 부시를 단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가공오차나 조립오차에 의하여 브레이크 수단의 제동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으며, 더불어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Also, since the conventional fixed bracket, the receiving bracket, and the brake bush are formed as a single bod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raking force of the brake means from being lowered due to machining errors and assembly errors, and also to improve the productivity.
도 1 은 한국등록특허 제0956729에 개시된 펌핑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브레이크 부시와 브레이크 캠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동력 전달돌기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 은 내측 커버와 브레이크 부시 및 피니언 샤프트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펌핑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내측 커버의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내측 커버의 이면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부시의 구조를 나타낸 이면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부시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0 은 클러치 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부시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umping device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0956729,
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wer transmitting projection is inserted into a space formed between the brake bush and the brake cam,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inner cover, the brake bush and the pinion shaft,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pum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lutch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lutch b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lutch b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lutch means,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lutch b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펌핑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um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펌핑 디바이스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한국등록특허 제0956729호의 펌핑 디바이스를 개선하여 펌핑 디바이스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특징을 갖는 것으로, 내측 커버(110)와, 피니언 샤프트(120)와, 브레이크 수단(130)과, 클러치 수단(140)과, 레버 브래킷(150)과, 리턴 스프링(160)과, 외측 커버(170)로 구성된다.The pump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mproving the pumping device of Korean Patent No. 0956729 filed and registered by the present applicant to reduce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pumping device and to improve the productivity. A
한편 내측 커버(110), 피니언 샤프트(120), 브레이크 수단(130), 클러치 수단(140), 레버 브래킷(150), 리턴 스프링(160), 외측 커버(170)로 구성된 점과 작동 원리에 있어서는 한국등록특허 제0956729호에 개시된 펌핑 디바이스와 동일하나, 본 발명의 펌핑 디바이스는 클러치 수단(140)을 구성하는 클러치 부시(141)와, 내측 커버(110)의 구조 개선을 통하여 본 발명만의 특징을 갖도록 한 것이다.The
따라서 종래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피니언 샤프트(120), 브레이크 수단(130), 레버 브래킷(150), 리턴 스프링(160), 외측 커버(170)에 대해서는 간략히 설명하도록 하며, 이후 내측 커버(110)와 클러치 수단(14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refore, the
상기 피니언 샤프트(120)는 시트에 마련된 링크 기어와 결합되어 링크 기어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링크 기어와의 결합을 위한 피니언 기어(121)를 구비하며, 내측 커버(11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The
상기 브레이크 수단(130)은 작동레버의 미조작 시에는 피니언 샤프트(120)의 회전을 억제하고, 작동레버의 조작 시에는 피니언 샤프트(120)의 회전을 허용하면서 피니언 샤프트(12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브레이크 캠(131)과, 브레이크 롤러(132)와, 브레이크 스프링(133)으로 구성된다.The
상기 브레이크 캠(131)은 피니언 샤프트(120)에 결합되어 피니언 샤프트(120)와 함께 회전하며, 내측 커버(11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설치된다.The
상기 브레이크 롤러(132)는 다수 개로 구성되며, 각각의 브레이크 롤러(132)는 브레이크 캠(131)과 내측 커버(110)의 사이에 마련된 공간에 끼워지도록 삽입되어 브레이크 캠(131)과 피니언 샤프트(120)의 회전을 억제하는 제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Each of the
상기 브레이크 스프링(133)은 다수 개의 탄성 지지판(1331)을 구비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 지지판(1331)은 브레이크 캠(131)과 내측 커버(110)의 사이에 브레이크 롤러(132)가 끼워져 제동력을 발생시키도록 각각의 브레이크 롤러(132)를 가압하게 된다. 결국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각각의 브레이크 롤러(132)는 브레이크 스프링(133)에 의하여 브레이크 캠(131)과 내측 커버(110)의 사이에 끼워져 제동력을 발생시킴으로써 피니언 샤프트(120)의 회전을 억제하게 된다.The
상기 레버 브래킷(150)은 미도시된 작동레버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클러치 수단(140)을 매개로 브레이크 캠(131)과 연결되게 설치된다.The
상기 리턴 스프링(160)은 클러치 수단(140)의 리테이너(145)와 레버 브래킷(150)을 탄성 지지하여 레버 브래킷(150)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는 경우, 리테이너(145)와 레버 브래킷(150)을 원위치로 복원시키게 된다.The
상기 외측 커버(170)는 내측 커버(110)와 결합되어 펌핑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보호하면서 부품들의 이탈을 억제하게 되며, 이러한 외측 커버(170)는 내측 커버(110)와 함께 시트에 고정되어 높은 체결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The
한편 도면부호 181은 피니언 샤프트(120) 및 브레이크 캠(131)과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피니언 샤프트(120) 및 브레이크 캠(131)과 연결되며, 외주면이 내측 커버(110)에 밀착되어 소정의 마찰력을 발생하도록 하는 순간회전 방지부재이고, 182는 웨이브 와셔이다.181 is connected to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측 커버의 사시도를,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측 커버의 이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내측 커버(110)는 시트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피니언 샤프트(1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 브레이크 수단(130)과 연동하여 피니언 샤프트(120)의 회전을 억제하는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플랜지부(111)와 회전 지지부(112) 및 브레이크 부시부(113)로 구성되며, 상기 플랜지부(111)와 회전 지지부(112) 및 브레이크 부시부(113)는 일체형으로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한편 상기 플랜지부(111)는 외측 커버(170)와 결합됨과 더불어 시트에 고정되는 것으로, 내측 커버(110)의 양측에 구비되며, 외측 커버(170)와의 결합을 위한 볼트나 리벳이 삽입되는 다수 개의 결합용 체결공(111a)과, 펌핑 디바이스를 시트에 고정하기 위한 다수 개의 볼트나 리벳이 삽입되는 고정용 체결공(111b)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The
또한 상기 회전 지지부(112)는 내측 커버(110)의 중심부에 형성되며, 내측 커버(110)를 관통하여 링크 기어와 연결되는 피니언 샤프트(1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면(112a)을 갖는 것으로 구성된다.The
또한 상기 브레이크 부시부(113)는 플랜지부(111)와 회전 지지부(112)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브레이크 캠(131)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브레이크 캠(131)과 함께 제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동면(113a)을 구비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동면(113a)은 브레이크 캠(131)의 주위를 감싸는 원형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브레이크 캠(131)의 외주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브레이크 롤러(132)가 끼워지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The
이와 같은 구조의 내측 커버(110)에 의하면, 프레스를 이용하여 손쉽게 내측 커버(110)를 제작할 수 있으며, 내측 커버(110)의 제작 과정에서 회전 지지부(112)의 중심과 제동면(113a)의 중심을 손쉽게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 가공 오차나 조립 오차에 의하여 피니언 샤프트(120)와 제동면(113a)의 중심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이러한 내측 커버(110)에는 리턴 스프링(160)을 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지지턱(114)이 형성되어 있다.Th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부시의 구조를 나타낸 이면 사시도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부시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를, 도 10은 클러치 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를,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부시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lutch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lutch b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lutch b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lutch means, and FIG. 1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lutch b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클러치 수단(140)은 작동레버의 조작 시에는 레버 브래킷(150)의 회전을 브레이크 수단(130)으로 전달하고 작동레버의 미조작 시에는 레버 브래킷(150)과 브레이크 수단(130)의 연결을 차단하는 것으로, 클러치 부시(141)와, 클러치 캠(142)과, 클러치 롤러(143)와, 클러치 스프링(144)과, 리테이너(145)로 구성된다.The clutch means 140 transmits the rotation of the
상기 클러치 부시(141)는 브레이크 수단(130)과의 연결을 위한 다수 개의 동력 전달돌기(141a)가 일측면에 구비되며, 타측면에는 클러치 캠(142)과 클러치 롤러(143)가 삽입되는 수용홈(141b)이 형성된 것으로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클러치 부시와 동일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수용홈(141b)이 형성되는 금속성 제1 부재(1411)와, 상기 다수 개의 동력 전달돌기(141a)가 형성되는 수지성 제2 부재(1412)가 상호 결합된 것으로 구성된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성 제1 부재(1411)는 그 명칭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수용홈(141b)의 형성을 위하여 흡사 그릇과 같은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금속성 제1 부재(1411)는 금속판을 프레싱하여 제작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etallic
상기 수지성 제2 부재(1412)는 합성수지를 요구되는 형상으로 성형한 후, 성형된 수지성 제2 부재(1412)를 금속성 제1 부재(1411)에 접착하여 하나의 클러치 부시(141)를 구성할 수도 있으나, 금속성 제1 부재(1411)에 합성수지를 직접 사출하여 수지성 제2 부재(1412)를 성형하는 것과 동시에 금속성 제1 부재(1411)와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sinous
상기와 같이 수용홈(141b)이 형성되는 제1 부재(1411)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금속 재질로 구성되어 클러치 동작 시 발생되는 힘에 의하여 클러치 부시(141)가 변형되거나 마모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브레이크 수단(130)과 연결되는 동력 전달돌기(141a)가 형성되는 제2 부재(1412) 부분을 합성수지로 구성하여 동력 전달돌기(141a)가 주변 부품과 충돌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The
상기와 같이 금속성 제1 부재(1411)와 수지성 제2 부재(1412)로 클러치 부시(141)를 구성함에 있어서, 금속성 제1 부재(1411)와 수지성 제2 부재(1412)의 결속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금속성 제1 부재(1411)에 금속성 제1 부재(1411)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다수 개의 보강홀(1411a)을 형성하여 수지성 제2 부재(1412)의 성형을 위한 합성수지의 사출 시, 합성수지가 보강홀(1411a)의 내부에 충전된 채로 경화되어 금속성 제1 부재(1411)와 수지성 제2 부재(1412)를 결속하는 결속돌기(1412a)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금속성 제1 부재(1411)와 수지성 제2 부재(1412)의 결속력 강화를 도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configuring the
한편 상기 보강홀(1411a)의 끝단부에 확장부(1411a`)를 형성하게 되면, 결속돌기(1412a)의 끝단부가 확장되어 보강홀(1411a)에 결속되는 걸림턱(1412a`)이 형성됨으로써, 금속성 제1 부재(1411)와 수지성 제2 부재(1412)의 축방향 결속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When the
한편 펌핑 디바이스의 작동 시, 금속성 제1 부재(1411)와 수지성 제2 부재(1412)의 사이에는 전단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상기 보강홀(1411a)에 의해 형성되는 결속돌기(1412a)는 쉽게 절단되어 금속성 제1 부재(1411)와 수지성 제2 부재(1412)의 결속이 쉽게 와해될 수 있다. 이를 보완하고자 상기 다수 개의 보강홀(1411a)을 금속성 제1 부재(1411)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형 배열된 구조로 형성하고, 금속성 제1 부재(1411)의 중심부에 금속성 제1 부재(1411)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톱니형 모양의 세레이션홀(1411b)을 더 형성하여 수지성 제2 부재(1412)의 성형 시 세레이션홀(1411b)의 모양에 상응하는 모양의 기둥(1412b)이 더 형성되게 함으로써, 금속성 제1 부재(1411)와 수지성 제2 부재(1412)의 결속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umping device is operated, a shearing force acts between the metallic
상기 클러치 캠(142)은 클러치 부시(141)의 수용홈(141b)에 삽입되며, 피니언 샤프트(120)에 중심부가 끼워져 피니언 샤프트(120)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클러치 캠(142)은 피니언 샤프트(120)와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피니언 샤프트(120)에 헐겁게 끼워진다. 이러한 클러치 캠(142)은 레버 브래킷(150)과 결합되어 레버 브래킷(150)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The
상기 클러치 롤러(143)는 다수 개로 구성되며, 다수 개의 클러치 롤러(143)는 클러치 캠(142)과 클러치 부시(141)의 사이에 마련된 공간에 끼워지게 설치된다. 이처럼 설치된 클러치 롤러(143)는 클러치 캠(142)의 회전에 의해 밀려나는 경우에는 클러치 캠(142)과 클러치 부시(141) 사이에 끼워져 클러치 캠(142)과 클러치 부시(141)가 함께 회전하도록 하고, 리테이너(145)의 회전에 의해 밀려나는 경우에는 클러치 캠(142)과 클러치 부시(141)의 사이에 끼지 않고 클러치 캠(142)을 밀어내면서 클러치 캠(142)을 회전시키게 된다.The plurality of
상기 클러치 스프링(144)은 이웃하는 두 클러치 스프링(144)을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클러치 스프링(144)에 의하여 지지되는 클러치 롤러(143)는 클러치 부시(141)와 클러치 캠(142)의 사이에 마련된 공간 내에서 어느 한쪽으로 밀려나면서 구속되므로 진동이나 충격에 의하여 클러치 롤러(143)가 유동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The
상기 리테이너(145)는 리턴 스프링(160)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클러치 캠(142)을 회전시켜 작동레버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것으로, 이웃하는 두 클러치 롤러(143)의 사이로 삽입되어 클러치 롤러(143)를 밀어내는 다수 개의 회전돌기(1451)가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클러치 수단(140)은 작동레버의 조작에 의해 레버 브래킷(150)이 회전하여 클러치 캠(142)이 회전할 경우에는 클러치 롤러(143)에 의해 클러치 캠(142)과 클러치 부시(141)가 결속되어 회전함으로써 작동레버의 회전이 브레이크 수단(130)으로 전달되지만, 작동레버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된 후 리턴 스프링(160)에 의해 리테이너(145)가 원위치로 복원될 경우에는 클러치 부시(141)는 회전하지 않고 리테이너(145)와 클러치 캠(142) 및 레버 브래킷(150) 만이 회전함으로써 작동레버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When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펌핑 디바이스는 작동원리는 한국등록특허 제0956729호에 개시된 펌핑 디바이스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ump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above is the same as that of the pumping device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0956729,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의 펌핑 디바이스는 브레이크 부시부(113)와 브레이크 캠(131)의 사이에 마련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브레이크 수단(130)과 클러치 수단(140)을 연결하는 동력 전달돌기(141a)들이 수지로 구성되므로, 펌핑 디바이스의 작동과정 또는 차량의 운행 중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하여 동력 전달돌기(141a)가 주변 부품과 충돌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The pump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 space provided between the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Of course,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내측 커버 (111) : 플랜지부
(112) : 회전 지지부 (113) : 브레이크 부시부
(120) : 피니언 샤프트 (130) : 브레이크 수단
(140) : 클러치 수단 (141) : 클러치 부시
(1411) : 금속성 제1 부재 (1412) : 수지성 제2 부재
(150) : 레버 브래킷 (160) : 리턴 스프링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10): inner cover (111): flange portion
(112): rotation support portion (113): brake bush portion
(120): pinion shaft (130): brake means
(140): Clutch means (141): Clutch bush
(1411): metallic first member (1412): resinous second member
(150): lever bracket (160): return spring
Claims (5)
상기 클러치 수단(140)은, 수용홈(141b)이 일측면에 형성되고 양측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보강홀(1411a)이 형성된 금속성 제1 부재(1411)와, 상기 브레이크 수단(130)과 연결되는 다수 개의 동력 전달돌기(141a)를 구비하며 금속성 제 1부재(1411)의 타측면에서 금속성 제1 부재(1411)와 일체형의 구조를 갖도록 성형되어 상기 보강홀(1411a)에 유입된 채로 경화되는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결속돌기(1412a)를 포함하는 수지성 제2 부재(1412)로 구성된 클러치 부시(1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 구조를 갖는 펌핑 디바이스.A pinion shaft 120 rotatably installed on the inner cover 110 and adapted to rotate with the link gear engaged with the link gear provided on the seat, and an inner cover 110 mounted on the inner cover 110, A brake means 130 that rotates the pinion shaft 120 while allowing rotation of the pinion shaft 120 when the operating lever is in operation and prevents rotation of the pinion shaft 120 when the operating lever is not operated, A clutch means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 of the lever bracket 150 to the brake means 130 when the operating lever is operated and for interrupting the force transmission between the lever bracket 150 and the brake means 130 when the operating lever is not operated, The lever bracket 150 and the retainer 145 of the clutch means 140 are resiliently supported by the lever bracket 150 and the retainer 145 when the operation force applied to the operation lever is released, In the pumping device including a return spring 160 to restore,
The clutch means 140 includes a metallic first member 1411 having a receiving groove 141b formed on one side surf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holes 1411a penetrating both side surfaces thereof, A plurality of power transmission projections 141a and a plurality of power transmission protrusions 141a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etallic first member 1411 so as to have a structure integral with the metallic first member 1411 and being cured while flowing into the reinforcing hole 1411a And a clutch bushing (141) composed of a resinous second member (1412) including a coupling protrusion (1412a) formed by the coupling bush (141).
상기 다수 개의 보강홀(1411a)은 금속성 제1 부재(1411)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형 배열된 구조로 형성되고, 금속성 제1 부재(1411)의 중심부에는 금속성 제1 부재(1411)의 양측면을 관통하며 톱니형의 모양을 갖는 세레이션홀(1411b)이 더 형성되어 금속성 제1 부재(1411)와 수지성 제2 부재(1412)의 결속력을 더욱 강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 구조를 갖는 펌핑 디바이스.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holes 1411a are formed in a circular arrangement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irst metallic member 1411. The metallic first member 141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inforcing holes 1411a, And a serration hole (1411b) having a serrated shape is further formed to further strengthen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metallic first member (1411) and the resinous second member (1412). The pumping device .
상기 내측 커버(110)는, 시트에 고정되는 플랜지부(111)와, 피니언 샤프트(1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112)와,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 부시부(113)로 구성되며, 상기 플랜지부(111)와 회전 지지부(112) 및 브레이크 부시부(113)는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 구조를 갖는 펌핑 디바이스.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cover 110 includes a flange portion 111 fixed to the seat, a rotation support portion 112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pinion shaft 120, and a brake bush portion 113 for generating a braking force , And the flange portion (111), the rotary support portion (112), and the brake bush portion (113) are integrally formed.
상기 보강홀(1411a)의 끝단부에는 확장부(1411a`)가 형성되어 수지성 제2 부재(1412)의 성형 시 결속돌기(1412a)의 끝단부에 걸림턱(1412a`)이 더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 구조를 갖는 펌핑 디바이스.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extension 1411a` is formed at the end of the reinforcing hole 1411a so that a locking protrusion 1412a` is further formed at the end of the binding protrusion 1412a during the molding of the resinous second member 1412 Wherein the pumping device has a noise reduction structu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0958A KR101773763B1 (en) | 2011-02-08 | 2011-02-08 | Pumping device with noise reduction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0958A KR101773763B1 (en) | 2011-02-08 | 2011-02-08 | Pumping device with noise reduction structu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0495A KR20120090495A (en) | 2012-08-17 |
KR101773763B1 true KR101773763B1 (en) | 2017-09-01 |
Family
ID=46883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0958A Active KR101773763B1 (en) | 2011-02-08 | 2011-02-08 | Pumping device with noise reduction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7376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69879A (en) * | 2019-03-06 | 2022-05-27 | 에스라이프 홀딩스 인크 | seat height adjustment actuato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40601A (en) * | 2001-10-09 | 2002-08-28 | Ntn Corp | Seat |
KR100956729B1 (en) * | 2009-12-11 | 2010-05-06 | 대원정밀공업(주) | Pumping device for vehicle seat cushion |
-
2011
- 2011-02-08 KR KR1020110010958A patent/KR10177376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40601A (en) * | 2001-10-09 | 2002-08-28 | Ntn Corp | Seat |
KR100956729B1 (en) * | 2009-12-11 | 2010-05-06 | 대원정밀공업(주) | Pumping device for vehicle seat cushio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69879A (en) * | 2019-03-06 | 2022-05-27 | 에스라이프 홀딩스 인크 | seat height adjustment actuator |
KR102741502B1 (en) | 2019-03-06 | 2024-12-11 | 에스라이프 홀딩스 인크 | Seat height adjustment actu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0495A (en) | 2012-08-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572958B1 (en) |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
KR101491884B1 (en) | A pumping device of seat for a vehicle | |
KR101600182B1 (en) | Recliner of vehicle seet | |
WO2008018435A1 (en) | Seat slide device for vehicle | |
KR100820547B1 (en) | Reclining device for car seat | |
WO2021020580A1 (en) | Clutch mechanism and seat structure | |
CN109094433B (en) | Recliner for vehicle seat | |
JP7135945B2 (en) | Lifter device | |
KR20140085059A (en) | A pumping device of seat for a vehicle | |
KR101033248B1 (en) | Actuator of Vehicle Recliner | |
KR101773763B1 (en) | Pumping device with noise reduction structure | |
JP2020044855A (en) | Brake control system of seat for vehicle | |
US11065995B2 (en) | Pumping device for seat of vehicle | |
KR101405994B1 (en) | Pumping device for vehicle seat | |
JP7555696B2 (en) | Lifter Device | |
KR101816680B1 (en) | Reclining device for vehicle seat | |
JP5156576B2 (en) | Rear impact shock absorbing unit, reclining device, and vehicle seat frame structure | |
JP6269136B2 (en) | Steering device | |
CN210310033U (en) | Automobile seat and height adjuster thereof | |
US9360072B2 (en) | Brake mechanism and clutch unit | |
JP4107173B2 (en) | Steering shaft | |
JP3990872B2 (en) | Vehicle seat reclining device | |
KR101107986B1 (en) | Car seat reclining device | |
WO2022181214A1 (en) | Reclining device and seat | |
EP2182243A2 (en) | Clutch driven plat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0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2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2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8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8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