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73646B1 -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outer pannel of automobile - Google Patents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outer pannel of auto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646B1
KR101773646B1 KR1020130151614A KR20130151614A KR101773646B1 KR 101773646 B1 KR101773646 B1 KR 101773646B1 KR 1020130151614 A KR1020130151614 A KR 1020130151614A KR 20130151614 A KR20130151614 A KR 20130151614A KR 101773646 B1 KR101773646 B1 KR 101773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resin
resin composition
carbon nanotubes
resin
w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16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66266A (en
Inventor
김평기
최기대
김세현
최석조
김태형
김석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30151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646B1/en
Publication of KR20150066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2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64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 외판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열가소성 수지에 카본나노튜브를 보강함으로써 전기 전도성 및 높은 내열성을 확보한 차체 외판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차체 외판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카본나노튜브를 보강함으로써 전기 전도성 및 내열성 등의 물성이 뛰어난 경량화 제품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자동차의 차체 외판용으로 사용되는 금속 소재를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그 결과 경량화를 통한 에너지 소비효율을 증대시키고, 사출 성형이 가능함으로 다양한 디자인을 갖는 차체 외판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a car body shell pla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a car body shell plate having electrical conductivity and high heat resistance by reinforcing carbon nanotubes in a thermoplastic resin.
In the present invention, by reinforcing the carbon nanotubes in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ed for the outer shell of the vehicle body, a lightweight product having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such as electrical conductivity and heat resistance can be produc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metal material used for the body panel of automobiles with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s a result, the energy consumption efficiency through weight reduction can be increased and injection molding can be carried out, .

Description

차체 외판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outer pannel of automobi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an outer panel of a vehicle body,

본 발명은 차체 외판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열가소성 수지에 카본나노튜브를 보강함으로써 전기 전도성 및 높은 내열성을 확보한 차체 외판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a car body shell pla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a car body shell plate having electrical conductivity and high heat resistance by reinforcing carbon nanotubes in a thermoplastic resin.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 외판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져 있는 바, 금속 소재는 가공처리나 경제성에서 플라스틱에 비해 불리한 입장에 있으며, 특히 자동차의 경우 금속 소재의 차체 외판은 경량화 대상으로 지목되고 있으나, 이를 플라스틱으로 제조하는 것이 물성, 예를 들어 전기 전도성이나 내열성에서 매우 곤란한 기술로 알려져 왔다.Generally, the outer shell of a vehicle body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the metal material is in a disadvantage relative to the plastic in terms of processing and economy.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utomobiles, the outer shell of a metal body is designated as a light weight, Has been known as a technique which is very difficult in terms of physical properties, for exampl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heat resistance.

이러한 차체 외판에 사용한 수 있는 수지 조성으로서는 섬유보강 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FRP)이 알려져 있으나, 섬유보강 열가소성 수지의 물성은 주로 사용되는 수지, 보강재, 충전제 등의 종류 및 함량에 의해 결정되지만, 차체 외판에 사용되기에는 충분한 전기전도성 및 내열성을 확보하지 못하여 실용화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Fiber reinforcement plastic (FRP) is known as a resin composition that can be used for the outer shell of a vehicle body, bu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ar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type and content of resins, reinforcing materials, Sufficient electric conductivity and heat resistance can not be ensured for use in the outer shell of a vehicle body, so that it has not been put to practical us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충분한 전기 전도성 및 내열성을 제공하는 차체 외판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a car body shell which provides sufficient electrical conductivity and heat resistan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 차체 외판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채용하여 얻어진 차체 외판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dy sheath obtained by employing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a vehicle body sheathing.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100 parts by weight of a thermoplastic resin;

카본나노튜브 1 내지 10중량부; 및1 to 10 parts by weight of carbon nanotubes; And

충격보강재 1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는 차체 외판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And 1 to 15 parts by weight of an impact modifier.

상기 또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차체 외판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채용하여 얻어지는 차체 외판을 제공한다.There is provided a vehicle body sheath obtained by employing the above-mention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a vehicle body sheathing.

본 발명에서는 차체 외판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카본나노튜브를 보강함으로써 전기 전도성 및 내열성 등의 물성이 뛰어난 경량화 제품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자동차의 차체 외판용으로 사용되는 금속 소재를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그 결과 경량화를 통한 에너지 소비효율을 증대시키고, 사출 성형이 가능함으로 다양한 디자인을 갖는 차체 외판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reinforcing the carbon nanotubes in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ed for the outer shell of the vehicle body, a lightweight product having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such as electrical conductivity and heat resistance can be produc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metal material used for the body panel of automobiles with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s a result, the energy consumption efficiency through weight reduction can be increased and injection molding can be carried out, .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구리/몰리브덴 함유 막의 식각액 조성물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tchant composition of a copper / molybdenum-contain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차체 외판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 카본나노튜브 1 내지 10중량부; 및 충격보강재 1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한다.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a body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100 parts by weight of a thermoplastic resin; 1 to 10 parts by weight of carbon nanotubes; And 1 to 15 parts by weight of an impact reinforcement.

자동차나 바이크 등의 차체 외판용으로 사용되는 금속 소재를 플라스틱으로 대체하기 위해서는 전기 전도성 및 높은 내열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즉, 자동차나 바이크는 차체가 접지 역할을 수행하므로 전기전도성이 기본적으로 확보되어야 하며, 자동차 도장 과정이나 외부의 고온에 노출되므로 높은 내열성이 또한 요구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카본나노튜브를 보강함으로써 전기 전도성 및 높은 내열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열가소성 수지에 카본나노튜브가 보강되면 높은 전도성을 갖는 상기 카본나노튜브에 의해 전기전도성이 발생하며, 아울러 미세한 카본나노튜브가 결정 성장을 유발하는 핵제로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수지 내 비결정 영역의 비율을 감소시켜 결정화 정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열변형 온도 (heat deflection temperature)의 상승을 유도하여 내열성을 증가시키게 된다.In order to replace the metal material used for the outer shell of a vehicle such as an automobile or a bike with plastic, electrical conductivity and high heat resistance must be secured. That is, the automobile or the bike is required to have an electric conductivity basically because it carries the grounding fun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it is also required to have high heat resistance because it is exposed to the automobile painting process or the high temperature outsid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reinforcing carbon nanotubes in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it is possible to impart electrical conductivity and high heat resistance. Particularly, when the carbon nanotubes are reinforced in the thermoplastic resin, electrical conductivity is generated by the carbon nanotubes having high conductivity. In addition, since the fine carbon nanotubes serve as a nucleating agent for causing crystal growth, the ratio of the amorphous regions in the resin And the degree of crystallization is increased. This results in an increase in the heat deflection temperature, thereby increasing the heat resistance.

상기 차체 외판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아라미드수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수지, 폴리페닐렌 설피드 수지, 폴리설폰 수지, 폴리에테르설폰 수지, 폴리아릴렌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테르이미드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폴리케톤 수지,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 폴리아릴케톤 수지, 폴리에테르니트릴 수지, 액정 수지, 폴리벤즈이미다졸 수지, 폴리파라반산 수지,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아크릴산에스테르, 및 시안화비닐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비닐 단량체를, 중합 혹은 공중합시켜서 얻어지는 비닐계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 수지, 디엔-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공중합체 수지, 시안화비닐-디엔-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공중합체 수지,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디엔-시안화비닐-N-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 수지, 시안화비닐-(에틸렌-디엔-프로필렌(EPDM))-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공중합체 수지, 폴리올레핀, 염화비닐 수지, 염소화 염화비닐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수지의 구체적인 종류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예는 당업자들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The thermoplastic resin used for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the body panel may be any resin as long as it is used in the related art. Exampl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include polycarbonate resin, polypropylene resin, polyamide resin, aramid resin, aromatic polyester resin, polyolefin resin , A polyester carbonate resin, a polyphenylene oxide resin, a polyphenylene sulfide resin, a polysulfone resin, a polyether sulfone resin, a polyarylene resin, a cycloolefin resin, a polyetherimide resin, a polyacetal resin, A resin, a polyketone resin, a polyether ketone resin, a polyether ether ketone resin, a polyaryl ketone resin, a polyether nitrile resin, a liquid crystal resin, a polybenzimidazole resin, a polyparabanic acid resin, an aromatic alkenyl compound, , Acrylic acid esters, and vinyl cyanide , A vinyl-based polymer or copolymer resin obtained by polymerization or copolymerization of one or more vinyl monom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inyl aromatic monomers, aromatic vinyl monomers, aromatic vinyl monomers, aromatic vinyl monomers, Vinylidene chloride-vinylidene chloride copolymer resin, vinylidene cyanide-ethylene-diene-propylene (EPDM) -aromatic alkenyl compound copolymer resin, polyolefin, vinyl chloride resin, chlorinated vinyl chloride resin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specific types of these resins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examples that can be used in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부틸렌, 및 폴리(4-메틸-1-펜텐), 및 이들의 조합물이 될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올레핀으로서는 폴리프로필렌 동종 중합체(예를 들어, 혼성배열(atactic) 폴리프로필렌, 동일배열(isotactic) 폴리프로필렌, 및 규칙배열(syndiotactic)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적절한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에틸렌, 부트-1-엔(즉, 1-부텐), 및 헥스-1-엔(즉, 1-헥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공단량체의 존재하에서 프로필렌의 중합으로부터 제조된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에서, 공단량체는 임의의 적정한 양으로 존재할 수 있지만, 전형적으로 약 10wt% 이하(예를 들어, 약 1 내지 약 7wt%, 또는 약 1 내지 약 4.5wt%)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The polyolefin resin may be, for example, polypropylene, polyethylene, polybutylene, and poly (4-methyl-1-pentene), and combinations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one embodiment, the polyolefins include polypropylene homopolymers (e.g., atactic polypropylene, isotactic polypropylene, and syndiotactic polypropylene), polypropylene copolymers (e.g., For example, polypropylene random copolymers), and mixtures thereof. Suitable polypropylene copolyme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he presence of comonom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but-1-ene (i.e., 1-butene), and hex-1-ene Lt; RTI ID = 0.0 > of propylene. ≪ / RTI > In such polypropylene random copolymers, the comonomer may be present in any suitable amount, but is typically present in an amount of up to about 10 wt% (e.g., from about 1 to about 7 wt%, or from about 1 to about 4.5 wt%) Can exist.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는, 디카르복실산 성분 골격과 디올 성분 골격의 중축합체인 호모 폴리에스테르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말한다. 여기서 호모 폴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폴리-1,4-시클로헥산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디페닐레이트 등이 대표적인 것이다.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저렴하므로 매우 다방면에 걸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란 다음에 예시하는 디카르복실산 골격을 갖는 성분과 디올 골격을 갖는 성분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중축합체로 정의된다. 디카르복실산 골격을 갖는 성분으로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1,4-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술폰디카르복실산, 아디핀산, 세바신산, 다이머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과 그들의 에스테르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글리콜 골격을 갖는 성분으로서는 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타디올,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 2,2-비스(4'-β-히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 이소소르베이트,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스피로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The polyester resin is a homopolyester or a copolymer polyester which is a polycondensation product of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skeleton and a diol component skeleton. Examples of the homopolyester inclu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prop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2,6-naphthalate, poly-1,4-cyclohexanedimethylene terephthalate, . Particularly, since polyethylene terephthalate is inexpensive, it can be used in a wide variety of applications. The copolymer polyester is defined as a polycondensate comprising at least three or more components selected from the following components having a dicarboxylic acid skeleton and a component having a diol skeleton. Examples of the component having a dicarboxylic acid skeleton include terephthalic acid, isophthalic acid, phthalic acid, 1,4-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1,5-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2,6-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Diphenyl dicarboxylic acid, 4,4'-diphenylsulfone dicarboxylic acid, adipic acid, sebacic acid, dimeric acid, cyclohexanedicarboxylic acid and ester derivatives thereof. Examples of the component having a glycol skeleton include ethylene glycol, 1,2-propanediol, 1,3-butanediol, 1,4-butanediol, 1,5-pentanediol, diethylene glycol, polyalkylene glycol, 2,2- 4'-p-hydroxyethoxyphenyl) propane, isosorbate, 1,4-cyclohexanedimethanol, spiroglycol and the like.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로서는, 나일론 수지, 나일론 공중합체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나일론 수지로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ε-카프로락탐, ω-도데카락탐 등의 락탐을 개환 중합하여 얻어진 폴리아미드-6(나일론 6); 아미노카프론산, 11-아미노운데칸산, 12-아미노도데칸산 등의 아미노산에서 얻을 수 있는 나일론 중합물;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운데카메틸렌디아민, 도데카메틸렌디아민,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5-메틸노나헥사메틸렌디아민, 메타크실렌디아민, 파라크실렌디아민, 1,3-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4-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아미노-3-아미노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비스(4-아미노시클로헥산)메탄, 비스(4-메틸-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2,2-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프로판, 비스(아미노프로필)피페라진, 아미노에틸피페리딘 등의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디아민과 아디프산, 세바킨산(sebacic acid), 아젤란산(azelaic acid), 테레프탈산, 2-클로로테레프탈산, 2-메틸테레프탈산 등의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디카르복시산 등의 중합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나일론 중합체;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나일론 공중합체로는 폴리카프로락탐(나일론 6)과 폴리헥사메틸렌세바카미드(나일론 6,10)의 공중합체, 폴리카프로락탐(나일론 6)과 폴리헥사메틸렌아디프아미드(나일론 66)의 공중합체, 폴리카프로락탐(나일론 6)과 폴리라우릴락탐(나일론 12)의 공중합체 등이 있다.As the polyamide resin, nylon resin, nylon copolymer resin, and mixtures thereof can be used. Examples of the nylon resin include polyamide-6 (nylon 6) obtained by ring-opening polymerization of a lactam such as? -Caprolactam or? -Dodecaractam commonly known in the art; Nylon polymers obtained from amino acids such as aminocaproic acid, 11-amino undecanoic acid, and 12-aminododecanoic acid; But are not limited to, ethylenediamine, tetramethylenediamine, hexamethylenediamine, undecamethylenediamine, dodecamethylenediamine, 2,2,4-trimethylhexamethylenediamine, 2,4,4-trimethylhexamethylenediamine, , Metaxylenediamine, para-xylenediamine, 1,3-bisaminomethylcyclohexane, 1,4-bisaminomethylcyclohexane, 1-amino-3-aminomethyl-3,5,5-trimethylcyclohexane, bis Aminocyclohexyl) methane, bis (4-aminocyclohexyl) propane, bis (aminopropyl) piperazine, aminoethylpiperidine, etc. Alicyclic or aromatic dicarboxylic acids such as adipic acid, sebacic acid, azelaic acid, terephthalic acid, 2-chloroterephthalic acid and 2-methylterephthalic acid, etc. A nylon polymer obtainable from the polymerization of Copolymers or mixtures thereof may be used. Examples of the nylon copolymer include copolymers of polycaprolactam (nylon 6) and polyhexamethylene sebacamide (nylon 6,10), copolymers of polycaprolactam (nylon 6) and polyhexamethyleneadipamide (nylon 66) And copolymers of polycaprolactam (nylon 6) and polylauryl lactam (nylon 12).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디페놀류와 포스겐, 할로겐 포르메이트, 탄산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조합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디페놀류의 구체적인 예로는, 히드로퀴논, 레조시놀, 4,4'-디히드록시디페닐,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A'라고도 함),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폭사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케톤, 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좋게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또는 1,1-비스(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 좋게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사용할 수 있다.The polycarbonate resin may be prepared by reacting a diphenol with phosgene, a halogen formate, a carbonic ester, or a combination thereof. Specific examples of the diphenols include hydroquinone, resorcinol, 4,4'-dihydroxydiphenyl, 2,2-bis (4-hydroxyphenyl) propane (also referred to as bisphenol- (4-hydroxyphenyl) methane, 1,1-bis (4-hydroxyphenyl) cyclohexane, 2,2-bis Bis (3,5-dimethyl-4-hydroxyphenyl) propane, 2,2-bis Bis (4-hydroxyphenyl) sulfone, bis (4-hydroxyphenyl) ketone, bis (4-hydroxyphenyl) Ether, and the like. Of these, 2,2-bis (4-hydroxyphenyl) propane, 2,2-bis (3,5-dichloro-4-hydroxyphenyl) propane or 1,1- Cyclohexane may be used, and more preferably 2,2-bis (4-hydroxyphenyl) propane may be used.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2종 이상의 디페놀류로부터 제조된 공중합체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분지형(branched)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polycarbonate resin may be a mixture of copolymers prepared from two or more diphenols. The polycarbonate resin may be a linear polycarbonate resin, a branched polycarbonate resin, or a polyester carbonate copolymer resin.

상기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비스페놀-A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트리멜리틱 무수물, 트리멜리틱산 등과 같은 다관능성 방향족 화합물을 디페놀류 및 카보네이트와 반응시켜 제조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방향족 화합물은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총량에 대하여 0.05 내지 2 몰%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로는 이관능성 카르복실산을 디페놀류 및 카보네이트와 반응시켜 제조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보네이트로는 디페닐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디아릴카보네이트, 에틸렌 카보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linear polycarbonate resin include a bisphenol-A polycarbonate resin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branched polycarbonate resin include those prepared by reacting a polyfunctional aromatic compound such as trimellitic anhydride, trimellitic acid and the like with a diphenol and a carbonate. The polyfunctional aromatic compound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05 to 2 mol%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branched polycarbonate resin. Examples of the polyester carbonate copolymer resin include those prepared by reacting a bifunctional carboxylic acid with a diphenol and a carbonate. As the carbonate, diaryl carbonate such as diphenyl carbonate, ethylene carbonate and the like can be used.

상기 시클로올레핀계 폴리머로서는, 노르보르넨계 중합체, 단고리의 고리형 올레핀계 중합체, 고리형 공액 디엔계 중합체, 비닐 지환식 탄화수소 중합체, 및 이들의 수소화물을 들 수 있다. 그 구체예로서는, 아펠 (미츠이 화학사 제조의 에틸렌-시클로올레핀 공중합체), 아톤 (JSR 사 제조의 노르보르넨계 중합체), 제오노아 (닛폰 제온사 제조의 노르보르넨계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cycloolefin-based polymer include a norbornene polymer, a monocyclic olefin polymer, a cyclic conjugated diene polymer, a vinyl alicyclic hydrocarbon polymer, and hydrides thereof.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APEL (an ethylene-cycloolefin copolymer produced by Mitsui Chemicals, Inc.), Aton (a norbornene-based polymer manufactured by JSR Corporation), and Zeonoa (a norbornene-based polymer manufactured by Nippon Zeon).

상기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수지는 폴리페닐렌 에테르로도 칭해지며, 반복단위로서 페닐렌기에 -O-가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페닐렌기는 다양한 치환기,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할로겐기, 히드록시기 등을 가질 수 있다.The polyphenylene oxide resin is also referred to as polyphenylene ether,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O- is bonded to a phenylene group as a repeating unit. The phenylene group may have various substituents such as a methyl group, an ethyl group, a halogen group, a hydroxy group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상기 폴리페닐렌 옥사이드와 폴리아미드의 알로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thermoplastic re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eferably use an alloy of polyphenylene oxide and polyamide.

일태양에 따르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카본나노튜브 (carbon nanotube, CNT)는 6각형으로 배열된 탄소원자들이 튜브 형태를 이루고 있는 물질로, 대략 1 내지 100 nm의 직경을 갖는다. 카본나노튜브는 특유의 나선성(chirality)에 따라 부도체, 전도체 또는 반도체 성질을 나타내며, 탄소 원자들이 강력한 공유결합으로 연결되어 있어 인장강도가 강철보다 대략 100배 이상 크고, 유연성과 탄성 등이 뛰어나며, 화학적으로도 안정한 특성을 가진다.According to one aspect, a carbon nanotube (CNT) used in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is a material in which carbon atoms arranged in a hexagonal shape form a tube, and has a diameter of about 1 to 100 nm. Carbon nanotubes exhibit nonconductive, conductive or semiconducting properties due to their inherent chirality. The carbon atoms are connected by a strong covalent bon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arbon nanotubes is about 100 times greater than that of steel. The carbon nanotubes are excellent in flexibility and elasticity, It is chemically stable.

이와 같은 카본나노튜브의 종류에는, 한 겹으로 구성되고 직경이 약 1 nm인 단일벽 카본나노튜브(single-walled carbon nanotube, SWCNT), 두 겹으로 구성되고 직경이 약 1.4 내지 3 nm인 이중벽 카본나노튜브(double-walled carbon nanotube, DWCNT) 및 셋 이상의 복수의 겹으로 구성되고 직경이 약 5 내지 100 nm인 다중벽 카본나노튜브(multi-walled carbon nanotube, MWCNT)가 있으며, 상기 조성물에서는 이들 모두가 특별한 제한 없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Examples of such carbon nanotubes include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SWCNTs) composed of one layer and having a diameter of about 1 nm, double-walled carbon nanotubes composed of two layers and having a diameter of about 1.4 to 3 nm There is a multi-walled carbon nanotube (MWCNT) having a diameter of about 5 to 100 nm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layers of a double-walled carbon nanotube (DWCNT) Can be used without any particular limitation.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다발(bundle)'이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개의 카본나노튜브가 나란하게 배열 또는 뒤엉켜 있는, 번들(bundle) 혹은 로프(rope) 형태를 지칭한다. '비 번들(non bundle 또는 entangled) 타입'이란 이와 같은 다발 혹은 로프 형태와 같은 일정한 형상이 없는 형태를 의미한다.The term " bundle "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bundle or a rope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carbon nanotubes are arranged or intertwined in parallel,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term 'non-bundle or entangled type' means a form without any uniform shape such as a bundle or a rope shape.

이와 같은 다발 형태의 카본나노튜브는 기본적으로 복수개의 카본나노튜브 가닥이 서로 모여 다발을 이루고 있는 형상을 가지며, 이들 복수개의 가닥은 직선형, 곡선형 또는 이들이 혼합되어 있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다발 형태의 카본나노튜브 또한 선형, 곡선형 또는 이들의 혼합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이와 같은 다발 형태의 카본나노튜브는 50nm 내지 1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The bundle-type carbon nanotube basically has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carbon nanotube strands are bundled together to form a bundle, and the plurality of strands have a shape of a straight line, a curved line, or a mixture thereof. The bundle-type carbon nanotubes may also have a linear, curvilinear or mixed form thereof. According to one embodiment, such a bundle-type carbon nanotube may have a thickness of 50 nm to 100 탆.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카본나노튜브 가닥의 평균 직경으로서는 예를 들어 1nm 내지 20n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verage diameter of the carbon nanotube strands may be, for example, 1 nm to 20 nm.

상기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다발 형태의 카본나노튜브는 그 길이가 대략 1㎛ 이상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의 길이를 갖는 다발 형태의 카본나노튜브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전도성을 개선하는데 보다 유리한 구조에 해당한다. 상기 카본나노튜브는 열가소성 수지의 매트릭스 내에서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게 되는 바, 길이가 긴 카본나노튜브는 이와 같은 네트워크의 형성에서 보다 유리하며, 그 결과 네트워크간 접촉의 빈도가 감소하므로 접촉 저항값이 줄어들어 전도성 증가에 보다 기여하게 된다.The bundle-type carbon nanotubes used in the composition may have a length of about 1 탆 or more. Carbon nanotubes in the form of a bundle having such a range of lengths are more advantageous in improving the conductivity of the thermoplastic resin. Since the carbon nanotubes have a network structure in a matrix of a thermoplastic resin, carbon nanotubes having a longer length are more advantageous in forming such a network, and as a result, the frequency of inter-network contact is reduced, Thereby contributing to an increase in conductivity.

또한 상기와 같은 미세 구조의 카본나노튜브가 수지 내에서 결정 성장을 유도하는 핵제로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비결정 영역의 비율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수지의 결정화 정도를 향상시키고 이는 열변형 온도의 상승을 유도하게 내열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arbon nanotubes having such a microstructure serve as a nucleating agent for inducing crystal growth in the resin, so that the ratio of the amorphous region can be reduc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egree of crystallization of the resin and increase the heat resistance so as to induce an increase in the heat distortion temperature.

상기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다발 형태의 카본나노튜브는 비교적 높은 값의 벌크 밀도를 가지며, 이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전도성 개선에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카본나노튜브의 벌크 밀도는 80 내지 250 kg/m3, 예를 들어 100 내지 220 kg/m3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The bundle-type carbon nanotubes used in the composition have a relatively high bulk density, which may be more advantageous for improving the conductivity of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The bulk density of the carbon nanotubes may range from 80 to 250 kg / m 3 , for example, 100 to 220 kg / m 3 .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되는 용어 "벌크 밀도"는 원료 상태에서 상기 카본나노튜브의 겉보기 밀도를 의미하며, 카본나노튜브의 무게를 부피로 나눈 값으로 표시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bulk density" means the apparent density of the carbon nanotubes in the raw material state, and the weight of the carbon nanotubes can be expressed by a value divided by the volume.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다발 형태의 카본나노튜브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부, 또는 1 내지 5중량부의 함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면서 충분한 전도성을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undle-type carbon nanotube may be used in an amount of 1 to 10 parts by weight, or 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hermoplastic resin. In this range, sufficient conductivity can be obtained while maintaining mechanical properties.

일태양에 따르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충격보강재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보강재로서는 실온에서 탄성체인 천연 및 합성 폴리머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충격보강재는 알케닐 방향족 반복 단위, 예를 들면, 전형적으로는 스티렌 블록인 1개 또는 2개의 알케닐 방향족 블록 A(알케닐 방향족 반복 단위를 가진 블록) 및 전형적으로 이소프렌 또는 부타디엔 블록인 고무 블록 B를 가진 A-B 디블록 코폴리머 및 A-B-A 트리블록 코폴리머를 함유하는 블록 코폴리머일 수 있다. 부타디엔 블록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수소첨가될 수 있다. 이들 디블록 및 트리블록 코폴리머의 혼합물은 또한 수소첨가되지 않은 코폴리머, 부분 수소첨가된 코폴리머, 완전 수소첨가 코폴리머, 및 이것들의 2종 이상의 조합의 혼합물과 아울러 함께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includes an impact reinforcing material, and natural and synthetic polymer materials that are elastic materials at room temperature may be used as the impact reinforcing material. The impact stiffener may comprise one or two alkenyl aromatic blocks A (blocks with alkenyl aromatic repeat units) which are alkenyl aromatic repeat units, for example typically styrene blocks, and rubber blocks B, typically isoprene or butadiene blocks ≪ / RTI > and an ABA triblock copolymer. The butadiene block may be partially or fully hydrogenated. Mixtures of these diblock and triblock copolymers may also be used in conjunction with a mixture of a non-hydrogenated copolymer, a partially hydrogenated copolymer, a fully hydrogenated copolymer, and combinations of two or more thereof.

A-B 및 A-B-A 블록 코폴리머로는, 제한되지 않지만, 폴리스티렌-폴리부타디엔,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프로필렌), 폴리스티렌-폴리이소프렌, 폴리(α-메틸스티렌)-폴리부타디엔, 폴리스티렌-폴리부타디엔-폴리스티렌(SBS),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프로필렌)-폴리스티렌,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부틸렌)-폴리스티렌, 폴리스티렌-폴리이소프렌-폴리스티렌, 폴리(알파-메틸스티렌)-폴리부타디엔-폴리(알파-메틸스티렌),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폴리스티렌 등이 포함된다. 상기 블록 코폴리머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AB and ABA block copolyme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polystyrene-polybutadiene, polystyrene-poly (ethylene-propylene), polystyrene-polyisoprene, poly SBS), polystyrene-poly (ethylene-propylene) -polystyrene, polystyrene-poly (ethylene-butylene) -polystyrene, polystyrene-polyisoprene-polystyrene, poly ), Polystyrene-poly (ethylene-propylene-styrene) -polystyrene, and the like. A mixture of the block copolymers may be used.

일구현예에서, 충격보강재는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부틸렌)-폴리스티렌,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프로필렌)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impact stiffener comprises polystyrene-poly (ethylene-butylene) -polystyrene, polystyrene-poly (ethylene-propylene), or mixtures thereof.

또 다른 형태의 충격보강재는 본질적으로 알케닐 방향족 반복 단위를 포함하지 않고, 카르복시산, 무수물, 에폭시, 옥사졸린, 및 오르토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모이어티를 포함한다. 본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은, 블록 코폴리머의 총중량 기준으로, 5중량% 미만, 보다 구체적으로는 3중량% 미만, 더욱 구체적으로는 2중량% 미만의 양으로 존재하는 알케닐 방향족 단위를 가지는 것으로 정의된다. 충격보강재가 카르복시산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경우, 카르복시산 모이어티는 이온, 예를 들면 아연이나 나트륨과 같은 금속의 이온으로 중화될 수 있다. 상기 충격보강재는 알킬렌-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일 수 있고, 알킬렌기는 2∼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질 수 있고,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알킬기는 1∼8개의 탄소 원자를 가질 수 있다. 이 형태의 폴리머는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과 같은 올레핀을 다양한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또는 다양한 말레산계 모노머와 공중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메트)아크릴레이트라는 용어는 아크릴레이트 및 대응하는 메타크릴레이트 동족을 모두 의미한다.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라는 용어에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뿐 아니라, 전술한 반응성 모이어티를 하나 이상 함유하는 다양한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포함된다. Another type of impact reinforcement essentially comprises no alkenyl aromatic repeat units and includes one or more moieti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xylic acid, anhydride, epoxy, oxazoline, and orthoester. Essentially not including is defined as having an alkenyl aromatic unit present in an amount of less than 5% by weight, more specifically less than 3% by weight and more specifically less than 2%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block copolymer. do. If the impact reinforcement comprises a carboxylic acid moiety, the carboxylic acid moiety may be neutralized with an ion of a metal, such as zinc or sodium. The impact modifier may be an alkylene-alkyl (meth) acrylate copolymer, the alkylene group may have from 2 to 6 carbon atoms, and the alkyl group of the alkyl (meth) acrylate has from 1 to 8 carbon atoms . Polymers of this type can be prepared by copolymerizing an olefin such as ethylene and / or propylene with various (meth) acrylate monomers and / or various maleic acid based monomers. The term (meth) acrylate refers to both acrylates and the corresponding methacrylate equivalents. The term (meth) acrylate monomer includes not only alkyl (meth) acrylate monomers, but also various (meth) acrylate monomers containing one or more of the reactive moieties mentioned above.

일구현예에서, 상기 코폴리머는, 알킬렌 성분으로서 에틸렌, 프로필렌, 옥텐 또는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혼합물, 에틸렌과 옥텐의 혼합물;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성분을 위한 부틸 아크릴레이트, 헥실 아크릴레이트, 또는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및 대응하는 알킬(메틸)아크릴레이트와, 부가적 반응성 모이어티(즉, 카르복시산, 무수물, 에폭시)를 제공하는 모노머로서 아크릴산, 무수 말레산,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도된다.In one embodiment, the copolymer comprises ethylene, propylene, octene or a mixture of ethylene and propylene, a mixture of ethylene and octene as the alkylene component; (I.e., carboxylic acid, anhydride, epoxy) with butyl acrylate, hexyl acrylate, or propyl acrylate and the corresponding alkyl (methyl) acrylate for the alkyl (meth) acrylate monomer component Derived from acrylic acid, maleic anhydride, glycidyl methacrylate or a combination thereof as monomers.

전술한 충격보강재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impact reinforcement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충격보강재 또는 충격보강재들의 조합을 1∼15중량부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범위 내에서, 충격 개질제는 1.5중량부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2중량부 이상, 또는 더욱 구체적으로는 4중량부 이상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이 범위 내에서, 충격 개질제는 13중량부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는 12중량부 이하, 또는 더욱 구체적으로는 10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중량부는 열가소성 조성물 중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ay contain a combination of an impact reinforcement or an impact reinforcement in an amount of 1 to 15 parts by weight. Within this range, the impact modifier may be present in an amount of at least 1.5 parts by weight, more particularly at least 2 parts by weight, or more particularly at least 4 parts by weight. Also within this range, the impact modifier may be present in an amount of up to 13 parts by weight, more specifically up to 12 parts by weight, or even more specifically up to 10 parts by weight. The weight portion i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hermoplastic resin in the thermoplastic composition.

일예에 따르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난연제, 난연보조제, 활제, 가소제, 열안정제, 적하방지제, 산화방지제, 상용화제, 광안정제, 안료, 염료, 무기물 첨가제 및 드립 방지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의 함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첨가제의 구체적인 종류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예는 당업자들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flame retardant, a flame retardant, a lubricant, a plasticizer, a heat stabilizer, a dripping inhibitor, an antioxidant, a compatibilizer, a light stabilizer, a pigment, a dye, And may be used in an amount of 0.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hermoplastic resin. The specific types of these additives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examples that can be used in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일태양에 따르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원료의 혼합물을 단축 또는 2축의 압출기, 밴버리 믹서, 니더, 믹싱 롤 등 통상 공지의 용융 혼합기에 공급하여 대략 100 내지 500℃, 또는 200 내지 400℃의 온도에서 혼련하는 방법 등을 예로서 들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the raw material mixture may be supplied to a commonly known melt mixer such as a single shaft or a biaxial extruder, a Banbury mixer, a kneader, , Or a method of kneading at a temperature of 200 to 400 ° C.

또한 원료의 혼합 순서도 특별히 제한은 없고, 상술한 열가소성 수지, 상술한 카본나노튜브와 충격보강재 및 필요에 따라 첨가제 등을 사전에 블렌드한 후,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 이상에 있어서, 단축 또는 2축 압출기로 균일하게 용융 혼련하는 방법, 용액 중에서 혼합한 후에 용매를 제거하는 방법 등이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생산성의 관점에서, 단축 또는 2축 압출기로 균일하게 용융 혼련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고, 특히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 이상에서 균일하게 용융 혼련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The mixing order of the raw material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thermoplastic resin, the carbon nanotubes and the impact reinforcing material described above, and the additives, if necessary, are blended in advance, and then the single-screw or twin-screw extruder , A method of removing the solvent after mixing in a solution, and the like are used. Of these, from the viewpoint of productivity, a method of homogeneously melt-kneading with a single-screw or twin-screw extruder is preferred. In particular, a method of uniformly melt-kneading at a melting point or higher of the thermoplastic resin using a twin screw extruder is preferably used.

혼련 방법으로서는, 열가소성 수지, 카본나노튜브 및 충격보강재 등의 성분을 일괄적으로 혼련하는 방법, 열가소성 수지에 카본나노튜브, 및 충격보강재 등을 고농도로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마스터 펠릿)을 작성하고, 이어서, 규정 농도가 되도록 상기 카본나노튜브 및 충격 보강재, 또는 열가소성 수지를 첨가하여 용융 혼련하는 방법(마스터 펠릿법)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어떠한 혼련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이와 다른 방법으로서 카본나노튜브 및/또는 충격 보강재의 파손을 억제하기 위하여, 열가소성 수지 및 그 외에 필요한 첨가제를 압출기 측으로부터 투입하고, 카본나노튜브 및/또는 충격보강재를 사이드 피더(side feeder)를 사용하여 압출기에 공급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Examples of the kneading method include a method of collectively kneading components such as a thermoplastic resin, a carbon nanotube, and an impact reinforcement, a resin composition (master pellet) containing a high concentration of carbon nanotubes and an impact reinforcement in a thermoplastic resin, Next, a method of melting and kneading the carbon nanotubes, the impact reinforcing material or the thermoplastic resin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master pellet method), and the like, and any kneading method may be used. As another method, a thermoplastic resin and other additives necessary for suppressing the breakage of the carbon nanotube and / or the impact reinforcement are introduced from the extruder side, and the carbon nanotube and / or the impact reinforcement are used by using a side feeder To the extruder to prepare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is preferably used.

상기 혼련법을 통해 펠렛 등의 형태를 갖는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The composite having the form of pellets or the like can be produced through the above kneading method.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에 사용된 원료인 카본나노튜브의 길이는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이나 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사진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즉, 이들 측정장치를 통해 원재료인 분말상의 카본나노튜브에 대한 사진을 얻은 후, 이를 화상 분석기(image analyzer), 예를 들어 Scandium 5.1 (Olympus soft Imaging Solutions GmbH, Germany)를 통해 분석하여 평균 길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된 카본나노튜브의 경우, 수지 고형물을 유기 용매, 예를 들어 아세톤, 에탄올, n-헥산, 클로로포름, p-크실렌, 1-부탄올, 페트롤륨 에테르, 1,2,4-트리클로로벤젠, 및 도데칸 등에 소정 농도로 분산시킨 후, 이 분산액을 이용해 SEM 이나 TEM으로 측정한 결과물에 대해 상기 화상 분석기를 이용해 분석하여 평균 길이 및 분포 상태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carbon nanotubes used as the raw material in the composition can be measur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or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photograph. That is, after photographs of powdered carbon nanotubes as a raw material are obtained through these measuring devices, they are analyzed through an image analyzer, for example, Scandium 5.1 (Olympus soft Imaging Solutions GmbH, Germany) Can be obtained. In the case of the carbon nanotubes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the resin solids are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such as acetone, ethanol, n-hexane, chloroform, p-xylene, 1-butanol, petroleum ether, 1,2,4-trichloro Benzene, and dodecane in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and then the result of measurement by SEM or TEM using this dispersion is analyzed using the image analyzer to obtain an average length and a distribution state.

상기 방법을 통해 얻어진 복합체는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지 않음은 물론, 생산 공정 및 2차 가공성에서 문제가 없으며, 소량의 카본나노튜브와 더불어 충격보강재를 첨가함으로써 전기전도성 및 높은 내열성을 갖는 복합체가 얻어질 수 있다.The composite obtained by the above method has no problem in the production process and secondary processability as well as the mechanical strength is not lowered and a composite having electrical conductivity and high heat resistance can be obtained by adding an impact stiffener together with a small amount of carbon nanotubes .

일구현예에 따른 상기 수지 조성물 또는 복합체는, 통상 공지의 사출 성형, 압출 성형, 블로우 성형, 프레스 성형, 방사 등의 임의의 방법으로 성형할 수 있고, 각종 성형품으로 가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성형품으로서는, 사출 성형품, 압출 성형품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The resin composition or composi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be molded by any known method such as injection molding, extrusion molding, blow molding, press molding, and spinning, and can be processed into various molded articles. The molded article can be used as an injection molded article, an extrusion molded article, and the like.

상기 수지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를 갖는 성형품, 예를 들어 차체 또는 바이크의 외판을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체의 외판으로서는 차체의 도어, 보닛, 상판, 도어, 트렁크, 펜다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e resin composition can be used for producing a molded article having various shapes, for example, a shell of a vehicle body or a bike. The outer shell of such a body may have the form of a door, a bonnet, a top plate, a door, a trunk, and a pendant of a vehicle body.

이하에서는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임을 당업자들은 이해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but it should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on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실시예Example

아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약호는 다음의 내용을 의미한다:In the following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abbreviations refer to the following:

<PO/PAA: 폴리페닐렌 옥사이드/폴리아미드 알로이>&Lt; PO / PAA: polyphenylene oxide / polyamide alloy >

<SBS: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수지>&Lt; SBS: styrene-butadiene-styrene copolymer resin >

<MAH-EOR: 말레산 무수물-에틸렌 옥텐 공중합체><MAH-EOR: maleic anhydride-ethylene octene copolymer>

<CNT: 카본나노튜브><CNT: Carbon nanotube>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Examples 1 to 5 and Comparative Example 1

우선 하기 표 1에 기재된 각 성분들을 함량비에 따라 믹서기에서 5분간 배합 후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하였다. 사출기를 이용하여 물성 측정을 위한 시편을 제작하였다.First, the components listed in Table 1 were blended in a blender for 5 minutes according to the content ratio, and then extruded using a twin screw extruder. Specimens for the measurement of physical properties were prepared using an injection machine.

구분division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5Example 5 PO/PAA (%)PO / PAA (%) 9494 9393 9292 9191 9090 9090 SBS (%)SBS (%) 66 66 66 66 66 -- MAH-EOR (%)MAH-EOR (%) -- -- -- -- -- 66 CNT (%)CNT (%) 00 1One 22 33 44 44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각 시편을 하기 시험방법에 의해 시험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The specimens prepared in Examples 1 to 5 and Comparative Example 1 were tested by the following test method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 체적저항: ASTM D257에 의거하여 100mm X 100mm X 3mm 사각시편을 Quadtech 1865 Megohmmeter/IR 시험기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Volume resistivity: A 100 mm x 100 mm x 3 mm square specimen was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using a Quadtech 1865 Megohmmeter / IR tester according to ASTM D257.

* 열변형 온도(HDT; Heat Deflection Temperature): ASTM D648에 의거하여 18.6kgf의 하중에서 측정하였다.Heat Deflection Temperature (HDT): Measured according to ASTM D648 at a load of 18.6 kgf.

구분division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5Example 5 체적저항
(ohm·cm)
Volume resistance
(ohm · cm)
> 1015 > 10 15 > 1015 > 10 15 > 1014 > 10 14 > 1013 > 10 13 1012 ~ 1013 10 12 ~ 10 13 1012 ~ 1013 10 12 ~ 10 13
HDT (℃)HDT (° C) > 185> 185 > 185> 185 > 191> 191 > 193> 193 > 196> 196 > 200> 200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5에서는 핵제 역할을 수행하는 카본나노튜브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열변형 온도(HDT)가 상승하고 체적저항이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부도체인 플라스틱이 도체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충격보강재로서 EOH-MOR을 사용한 실시예 5에서 열변형온도가 가장 높아 SBS보다 우수한 내열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able 2, in Examples 1 to 5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as the content of the carbon nanotubes serving as the nucleating agent increases, the heat distortion temperature (HDT) increases and the volume resistance decreases.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plastic as the nonconductor is made conductive.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heat distortion temperature is the highest in Example 5 using EOH-MOR as an impact reinforcing material, so that heat resistance superior to SBS can be secured.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such specific embodiment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something to do.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 defined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and their equivalents.

Claims (17)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
카본나노튜브 1 내지 10중량부; 및
충격보강재 1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페닐렌 옥사이드와 폴리아미드의 알로이 이며, 상기 충격보강재가 말레산 무수물-에틸렌 옥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차체 외판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0 parts by weight of a thermoplastic resin;
1 to 10 parts by weight of carbon nanotubes; And
1 to 15 parts by weight of an impact modifier,
Wherein the thermoplastic resin is an alloy of polyphenylene oxide and polyamide, and the impact reinforcing material comprises a maleic anhydride-ethylene octene copolym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나노튜브가 결정 성장을 유발하는 핵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외판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rbon nanotube is a nucleating agent causing crystal growth.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나노튜브가 다발형 또는 비번들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외판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rbon nanotubes are of the bundle type or non-bundle typ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나노튜브의 길이가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외판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rbon nanotubes have a length of 1 占 퐉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나노튜브가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매트릭스 내에서 네트워크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외판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rbon nanotubes include a network structure in the matrix of the thermoplastic resi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 제2항, 제5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차체 외판용 열가소성 수지.A thermoplastic resin for outer shell of a body panel obtained from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5, 7, and 8. 제1항, 제2항, 제5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가공하여 얻어진 성형품.A molded article obtained by processing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5, 7, and 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공정이 압출공정, 사출공정, 또는 압출 및 사출 공정인 것인 성형품.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processing step is an extrusion step, an injection step, or an extrusion and injection step.
제1항, 제2항, 제5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가공하여 얻어지는 차체 외판.A car body outer plate obtained by processing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5, 7, and 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외판이 차체의 도어, 보닛, 상판, 트렁크 또는 펜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외판.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vehicle body sheathing is a door, a bonnet, an upper plate, a trunk, or a pendulum of a vehicle body.
KR1020130151614A 2013-12-06 2013-12-06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outer pannel of automobile Active KR1017736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614A KR101773646B1 (en) 2013-12-06 2013-12-06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outer pannel of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614A KR101773646B1 (en) 2013-12-06 2013-12-06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outer pannel of auto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266A KR20150066266A (en) 2015-06-16
KR101773646B1 true KR101773646B1 (en) 2017-08-31

Family

ID=53514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1614A Active KR101773646B1 (en) 2013-12-06 2013-12-06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outer pannel of auto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64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52138A (en) * 2020-12-31 2021-05-28 深圳烯湾科技有限公司 Thermoplastic resin-based conductive composite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266A (en) 201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4405B1 (en) Composite having improved mechanical propery and plastics comprising same
KR101800486B1 (en) Composite having improved conductivity and plastics comprising same
KR101741327B1 (en) Composite having improved mechanical property and molded articles comprising same
KR20170090040A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manufactured using same
KR20080074150A (en) Conductive Poly (arylene Eth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20170122306A (en) Electroconductive carbon composite material, molded articl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reof
KR101690832B1 (en) Painted molded part
KR101652566B1 (en) Composite having improved conductivity and plastics comprising same
KR101672089B1 (en) Processing method for resin composite and plastic goods obtained from same
KR101773646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outer pannel of automobile
KR20160033448A (en) Complex comprising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uniform conductivity and plastics comprising same
EP3244421A1 (en) Electroconductive resin composite and electroconductive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impact strength,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1678724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obtained from the same
KR20170112929A (en) Electro-conductive polymer composite and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impact strength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TW201341444A (en) Resin molded body for electrostatic coating
CN107075262B (en) Composite materials with enhanced electrical conductivity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EP3421423B1 (en) Carbon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160072683A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shipping tray
KR20170089349A (en) Antistatic tr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741869B1 (en) Processing method for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plastic goods obtained from same
KR101741301B1 (en) Composite having improved mechanical propery and plastics comprising same
KR20160079195A (en) Composite having improved conductivit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741300B1 (en) Composite having improved mechanical propery and plastics compri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06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4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2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8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8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