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549B1 - Liquid pumping-dispenser of liquid receptacle - Google Patents
Liquid pumping-dispenser of liquid recepta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73549B1 KR101773549B1 KR1020160134046A KR20160134046A KR101773549B1 KR 101773549 B1 KR101773549 B1 KR 101773549B1 KR 1020160134046 A KR1020160134046 A KR 1020160134046A KR 20160134046 A KR20160134046 A KR 20160134046A KR 101773549 B1 KR101773549 B1 KR 1017735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e
- pumping tube
- container
- pumping
- push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05B11/3053—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05B11/1053—Actuation means combined with means, other than pressure, for automatically opening a valve during actuation; combined with means for automatically removing closures or covers from the discharge nozzle during actuation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2—Piston pumps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ajor axis of the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 B05B11/3002—
-
- B05B11/3043—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용기의 액체 펌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가장자리 부위가 용기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 주연에 설치되고, 용기 내측과 연통하는 관통홀을 형성한 받침판; 탄성적 신축성과 형상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상·하로 관통하는 관 형상을 이루고, 측부에 상기 받침판의 측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내측 단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결합홀을 관통 형성한 날개부를 구비하며, 날개부 하측 부위가 상기 받침판의 상면 중 관통홀 주연까지 덮고, 날개부 상측으로 점차 축소되는 형상을 이루는 펌핑튜브; 관 형상으로 용기의 개구에 대하여 상기 받침판의 가장자리와 펌핑튜브의 날개부를 가압하며 체결이 이루어지는 가드; 및 측벽이 상기 가드를 통해 상·하 슬라이딩 안내를 받고, 내측에 하향 돌출한 형상으로 외측 부위는 토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펌핑튜브의 상단 내면에 밀착하여 끼워지는 포스트를 구비하며, 상기 포스트와 측벽 사이에서 대응하는 상기 펌핑튜브의 상부를 눌러 신장한 상태에 있도록 하는 푸셔를 구비한 토출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복수개의 상기 결합홀은,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상향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에 끼워지거나, 상기 가드의 하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하향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에 끼워져 결합을 이룬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pumping device for a liquid container, where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quid pumping device for a liquid container, comprising: a base plate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an inner side of a container; And a wing portion formed on the side por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side portion of the receiving pl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formed in the inner side end portion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penetrate therethrough, A pumping tube having a shape in which a lower portion of the wing portion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late up to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and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wing portion; A guard which is tightened by pressing the edge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wing portion of the pumping tube against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in a tubular form; And a sidewall receiving upward and downward sliding guiding through the guard and having a downwardly protruding shape with an outer portion communicating with a discharge port and closely fitted to an inner surface of an upper end of the pumping tube, Wherein a plurality of the coupling hole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late so that a plurality of the coupling holes are protrude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lat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guar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protrude downward.
Description
본 발명은 액체용기의 액체 펌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페이스트를 포함한 액체 상태의 내용물을 수용한 용기의 상부에 설치가 이루어져 토출헤드를 누르거나 그 누름해제를 통해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일부가 토출헤드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게 하거나 토출 대기상태로의 전환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도록 하는 액체용기의 액체 펌핑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pumping apparatus for a liquid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quid pumping apparatus for a liquid container, which comprises a container in which liquid contents containing paste are installed, To a liquid pumping apparatus of a liquid container capable of repeating a process of discharging the liquid through a discharge port of the discharge head or switching to a discharge waiting state.
일반적으로 액상 또는 페이스트 상의 화장품이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에는 용기 내의 내용물을 일정량씩 반복적으로 토출하기 위한 액체 펌핑장치를 구비한다.In general, a container for containing cosmetics or contents in liquid or paste form is provided with a liquid pumping device for repeatedly discharging the contents in the container by a predetermined amount.
액체 펌핑장치는, 용기의 개구부를 통해 내부에 압력을 부가함에 따라 내용물의 토출이 있도록 하는 임시저장부를 구비한다.The liquid pump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temporary storage portion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as pressure is applied through the opening portion of the container.
이러한 임시저장부에서 일반적인 펌핑 작용의 과정은, 사용자가 토출헤드를 누름에 따라 임시저장부 내의 체적 축소가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체적의 축소분만큼 임시저장부 내에 양압이 커지며, 임시저장부 내의 내용물이 토출구 방향의 토출밸브에 쏠리며 토출밸브를 순간적인 개방시키는 것으로 내용물의 토출이 있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the volume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is reduced as the user presses the discharge head. As a result, the positive pressure increases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by the volume reduction, And discharging the contents by causing the discharging valve to instantaneously open.
여기서, 토출헤드에 대한 누르는 힘이 더 이상 작용하지 않거나 토출헤드가 임시저장부의 체적을 더 이상 줄이지 못할 때에, 상술한 토출밸브는 탄성 복원력으로 토출구를 차단한다.Here, when the pressing force against the discharging head no longer acts or when the discharging head can not further reduce the volume of the temporary storing portion, the discharging valve closes the discharging opening with an elastic restoring force.
반대로 임시저장부 내의 내용물 충진 과정은, 앞에서 토출헤드를 누르는 힘이 해제되면, 토출헤드가 탄성수단의 작용을 받아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고, 동시에 임시저장부 내의 체적이 본래의 체적으로 복원되며, 이 과정에서 임시저장부 내에 음압이 형성되며, 임시저장부 내의 양압시에 닫힌 상태에 있던 흡입밸브가 음압의 영향으로 개방되어 연통하는 용기 내에 있던 내용물을 임시정장부 내로 유입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in the filling process of the contents in the temporary storage section, when the pressing force of the discharge head is released beforehand, the discharge head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action of the elastic means, and at the same time, the volume in the temporary storage section is restored to its original volume, In this process, a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and a suction valve in a closed state at the time of positive pressure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is opened by the influence of negative pressure, and the contents in the communicating container are introduced into the temporary dressing unit.
상술한 과정 중 토출헤드가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하는 탄성수단의 탄성력은, 임시저장부 내에 설치한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일 수 있고, 고무 내지 실리콘고무 등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튜브의 형상 복원력일 수 있다.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ans for causing the discharge head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dur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 may b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provided in the temporary storage portion and may be the shape restoring force of the tube made of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e rubber .
여기서, 전자는 탄성 복원력이 후자에 비교해서 월등하여 반복 토출이 용이한 반면, 후자는 전자에 비교하여 형상이 복원되기까지의 시간이 길어 반복 토출이 늦은 단점이 있다.Here, the former is superior in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latter and is easy to repeatedly discharge, whereas the latter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takes a long time until the shape is restored as compared with the former, and repeated discharge is delayed.
반면, 전자는 부품 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할 뿐 아니라 그에 따른 조립공수가 늘어나는 등 제조비용이 후자에 비교하여 상승하며, 스프링(흡입밸브로 함께 설치가 이루어지는 볼(쇠구슬) 포함)의 경우 에센스 등 산성 물질에 산화될 우려가 있고, 쇠구슬이 함께 설치될 경우 쇠구슬에 의한 덜그럭 거리는 소음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rmer has a large number of parts,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number of assembled holes increases, resulting in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compared to the latter. In the case of a spring (including a ball with a valve installed together with a suction valve) There is a fear that the material may be oxidized, and when the iron balls are installed together, there is a problem that rusty noise is caused by the iron balls.
또한, 후자인 튜브의 경우는, 자체적으로 임시저장부를 이룸과 동시에 토출밸브와 흡입밸브의 기능을 함께 수반할 수 있어, 적은 구성으로 구조의 단순화와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으나, 앞서 밝힌 바와 같이, 형상 복원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 사용이 불편하고, 형상 복원력에 대한 신뢰가 어려움과 더불어, 비교적 넓이가 넓은 용기의 개구부에 대응토록 넓이가 넓은 튜브를 적용할 경우, 형상 복원 작용 자체를 구현시키기 힘든 문제가 있다.In the case of the latter tube, the temporary storage unit itself is provided, and the discharge valve and the suction valve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hus,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with a small number of components. However, It is difficult to relieve the shape restoring force and it is difficult to realize the shape restoring function itself when the tube having a wide width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having a relatively wide width is applied. there is a problem.
게다가, 후자인 튜브를 용기에 설치함에 있어, 다양한 크기를 갖는 용기의 개구부에 대응할 수 있도록 튜브 또한 각기 다른 넓이를 갖는 튜브를 다양하게 제작하는 것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의 증가로 인한 제품단가도 상승하는 문제가 있고, 이렇게 각기 다른 넓이를 갖는 튜브를 다양하게 제작하더라도 고무 내지 실리콘고무 등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튜브를 용기 내에 설치시, 용기 내에서 튜브를 지지하는 다른 구성들(예를 들어, 받침판)과의 조립이 까다로운 관계에 있어, 이 또한, 제작을 어렵게 해 생산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latter tube is installed in the container, it is inevitable to make various tubes having different widths so as to correspond to the opening portions of the containers having various sizes. Therefore, Even when various tubes having different widths are produc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when a tu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e rubber is installed in a container, other configurations for supporting the tube in the container (for example, ) Is difficult to assemble, which also makes production difficult and raises the production cost.
나아가, 전자와 후자 모두 내용물의 정량 토출은 가능하지만,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그 양을 조절하여 내용물을 토출하기는 어려운 문제도 있다.Furthermore, although both the former and the latter can discharge the contents in a fixed quantity,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amount of the contents to discharge the contents as desired by the user.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구조의 단순화와 구성 수를 줄이도록 튜브를 사용함에 있어, 반복 사용에 대응하여 형상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 형상 복원이 비교적 넓이가 넓은 튜브에서도 용이하게 작용될 수 있도록 하는 액체용기의 액체 펌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shape restoring force in response to repeated use in using a tube to simplify the structure and reduce the number of constituent elements, And a liquid pumping device of a liquid container which can be easily operated even in a relatively wide tube.
그리고, 용기에 설치되는 튜브 자체가 우수한 호환성을 갖도록 하여, 각기 다른 넓이를 갖는 튜브를 다양하게 제작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크기를 갖는 용기의 개구부에 적용하여 설치 가능함은 물론, 튜브를 지지하는 다른 구성들과의 조립 또한 간편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내용물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액체용기의 액체 펌핑장치의 제공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ube itself installed in the container has excellent compatibility, so that it is possible to apply the tube to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having various sizes without preparing various tubes having different width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quid pumping device of a liquid container that can be easily assembled to reduce manufacturing costs and to control the amount of contents discharged by a us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기의 액체 펌핑장치의 특징적인 구성은, 가장자리 부위가 용기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 주연에 설치되고, 용기 내측과 연통하는 관통홀을 형성한 받침판; 탄성적 신축성과 형상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상·하로 관통하는 관 형상을 이루고, 측부에 상기 받침판의 측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내측 단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결합홀을 관통 형성한 날개부를 구비하며, 날개부 하측 부위가 상기 받침판의 상면 중 관통홀 주연까지 덮고, 날개부 상측으로 점차 축소되는 형상을 이루는 펌핑튜브; 관 형상으로 용기의 개구에 대하여 상기 받침판의 가장자리와 펌핑튜브의 날개부를 가압하며 체결이 이루어지는 가드; 및 측벽이 상기 가드를 통해 상·하 슬라이딩 안내를 받고, 내측에 하향 돌출한 형상으로 외측 부위는 토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펌핑튜브의 상단 내면에 밀착하여 끼워지는 포스트를 구비하며, 상기 포스트와 측벽 사이에서 대응하는 상기 펌핑튜브의 상부를 눌러 신장한 상태에 있도록 하는 푸셔를 구비한 토출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복수개의 상기 결합홀은,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상향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에 끼워지거나, 상기 가드의 하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하향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에 끼워져 결합을 이룬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quid pumping device for a liquid container, comprising: a base plate having a peripheral edge portion formed at an upper edge of an opening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and having a through- And a wing portion formed on the side por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side portion of the receiving pl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formed in the inner side end portion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penetrate therethrough, A pumping tube having a shape in which a lower portion of the wing portion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late up to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and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wing portion; A guard which is tightened by pressing the edge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wing portion of the pumping tube against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in a tubular form; And a sidewall receiving upward and downward sliding guiding through the guard and having a downwardly protruding shape with an outer portion communicating with a discharge port and closely fitted to an inner surface of an upper end of the pumping tube, Wherein a plurality of the coupling hole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late so that a plurality of the coupling holes are protrude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lat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guar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protrude downward.
여기서, 상기 토출헤드는, 관 형상으로 폭 방향 두께를 가지며 상기 푸셔의 하부 내주연 또는 외주연에 체결되어 상기 푸셔와 함께 상기 펌핑튜브의 상부를 누르는 가압부재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ejection head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member having a tubular shape in a width direction and fastened to the periphery or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usher to press the upper portion of the pumping tube together with the pusher.
이때, 상기 푸셔와 가압부재는 체결 부위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pusher and the pressing member form a screw thread at the fastening portion, and fasten in a screw fastening manner.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부와 길이 방향으로 단차를 이루는 하부 내주연 또는 외주연에 복수개의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펌핑튜브는 상기 가압부재로 눌려지는 부위에서 상향 돌출한 관 형상으로 폭 방향 두께를 갖는 끼움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끼움부재는 상부가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절곡을 이루며 돌출되어 복수개의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끼움돌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sing member has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formed on a peripheral edge or an outer periphery of a lower portion which is stepp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upper portion. The pumping tube has a tubular shape protruding upward from a portion pressed by the pressing member, And the fitting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fitting protrusions, the upper portion of which is bent inward or outward to protrude and coupled to the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또한, 상기 가드는 상측에 형성한 하향 걸림턱 하측으로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토출헤드는 상기 하향 걸림턱으로부터 상·하 슬라이딩 안내를 받는 상기 측벽이 상기 가이드의 안내를 받으며, 상기 하향 걸림턱에 의해 상측으로의 이동이 제약을 받는 상향 걸림턱을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e has a guide formed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below the downwardly engaging jaw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ejection head is provided with a guiding portion for guiding the guide from the downwardly- And an upward catching jaw which is restricted from moving upward by the downward catching jaw is formed.
더불어, 상기 푸셔 또는 상기 가압부재의 하단 내주면을 따라 대응하는 상기 펌핑튜브에는 지지턱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upporting step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corresponding pumping tube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pusher or the pressing member.
게다가, 상기 펌핑튜브는 상기 날개부를 중심으로 상부튜브와 하부튜브로 분리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튜브와 하부튜브는 각각 날개부의 내측 단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호 간의 결합홀들이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끼움부재는 상기 상부튜브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umping tube is formed by separating the upper tube and the lower tube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wing portion. The upper tube and the lower tube have mutually-coupled hol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inner end of the wing portion, And the fitting member is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tube.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펌핑튜브의 사용으로 구조의 단순화와 구성수를 줄여 제조비용을 줄일 뿐 아니라, 펌핑튜브의 날개부가 용기와 가드 사이의 결합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푸셔와 가압부재에 의해 신장된 상태를 이루고, 토출헤드의 승강으로 더 신장되거나 신장 상태로 복원하는 관계를 이룸에 따라 형상 복원력이 더욱 향상되어 반복 사용에 따른 작용시간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use of the pumping tube simplifies the structure and reduces the number of components,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In addition, since the wing portion of the pumping tube is fixed by the engagement between the vessel and the guard, And the shape restoring force is further improved due to the fact that the discharge head is extended or restored to the extended state by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discharge head, thereby reducing the operation time for repeated use.
또한, 펌핑튜브가 탄성적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자체적으로 우수한 호환성을 갖게 되어 용기 개구의 다양한 크기와 무관하게 적용되어 설치 가능하고, 특히, 비교적 넓이가 넓은 용기의 개구에 대응토록 하기 위해 펌핑튜브를 외측으로 신장시킴에 따라 펌핑튜브의 텐션도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Further, since the pumping tube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ally stretchable property, it has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itself and can be installed and installed irrespective of various sizes of the container opening, and in particular, The expansion of the pumping tube in the outward direction also enhances the tension of the pumping tube.
더불어, 외측으로 신장시킨 펌핑튜브의 설치과정에서 펌핑튜브의 결합홀을 받침판 또는 가드의 결합돌기에 끼우는 것을 통해, 그 조립이 간편해져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펌핑튜브의 신장을 통해 강화된 텐션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pumping tube extended outwardly, the fitting hole of the pumping tub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support plate or the guard, so that the assembling is simplifi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the reinforced tension can be maintained firmly.
그리고, 폭 방향으로 두께를 가지는 가압부재가 측벽 또는 푸셔와 체결을 이루어 펌핑튜브를 가압함으로써, 비교적 넓이가 넓은 용기의 개구부에 대응토록 넓이가 넓은 펌핑튜브를 적용할 경우에도, 신장 구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상술한 가압부재에 결합되는 펌핑튜브의 끼움부재를 통해 신장 구간을 포함하는 펌핑튜브의 상부가 하측으로 처지는 현상을 차단함은 물론 펌핑튜브 상부의 텐션을 유지하여 상술한 형상 복원력의 향상을 용이하게 구현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And, when the pumping tube having a width in the width direction is engaged with the side wall or the pusher to press the pumping tube, a stretching section is secured even when a pumping tube having a wide width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of the comparatively wide container is applied At the same time, the upper part of the pumping tube including the extension section is prevented from being sagged downward through the fitting member of the pumping tube coupled to the above-mentioned pressure member, and the tension on the upper part of the pumping tube is maintained, Can be easily implemented.
이때, 가압부재가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을 이룸에 따라, 토출헤드의 회전을 통해 펌핑튜브 내에서 축소되는 체적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내용물 토출량을 줄이거나 늘릴 수 있는 효과도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pressing member is fastened in a screw-type manner, the volume of the contents to be discharged by the user can be reduced or increased by adjusting the volume to be reduced in the pumping tube through the rotation of the discharging hea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의 액체 펌핑장치의 구성 및 이들 구성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Ⅱ-Ⅱ선을 기준으로 하여 액체 펌핑장치의 구성 및 이들 구성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각 구성의 결합관계에서 토출헤드의 결합 후, 푸셔 및 가압부재에 의해 형상 변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푸셔와 가압부재의 체결에 따른 용기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 토출량의 조절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도 1의 구성으로부터 용기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토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액체용기의 액체 펌핑장치에 대한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 liquid pumping device of a liqui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upling relationship of these structures.
Fig.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iquid pumping device and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se structures with reference to arrows II-II in Fig. 1. Fig.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hape of the ejection head is deformed by a pusher and a pressing member after engagement of the ejection head in the engagement relationship of each structure shown in Fig.
Figs. 4A to 4C are enlarged views of a portion A in Fig. 3, and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adjustment of the amount of the contents discharged in the container due to the fastening of the pusher and the pressing member
FIGS. 5A and 5B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discharging process of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from the configuration of FIG. 1. FIG.
6 to 8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liquid pumping device of the liquid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측(상부) 또는 하측(하부)의 표현은 용기의 개구가 상측에 있도록 세운 상태를 기준으로 하며, 내측의 표현은 각 구성 또는 각 구성에 의해 구획되어진 안쪽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고, 외측의 표현은 내측의 표현과 반대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upper) or lower (lower) expression is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the expression on the inner side is an inner direction partitioned by each structure or each structure, Direction, and the expression on the outer side refers to a portion opposite to or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expression on the inner sid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구성과 이들 구성에 따른 작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겠으며, 종래와 동일 내지 동일 범주에 있는 기술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structures in the same or similar categories will be omitted. .
본 발명은 페이스트를 포함한 액체 상태의 내용물을 수용한 용기의 상부에 설치가 이루어져 토출헤드를 누르거나 그 누름해제를 통해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일부가 토출헤드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게 하거나 토출 대기상태로의 전환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도록 하는 액체용기의 액체 펌핑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k jet recording head, which is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a container containing liquid contents containing paste and allows a part of liquid contained therein to be discharged through a discharge port of a discharge head, To the liquid pumping device of the liquid container.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10), 받침판(20), 펌핑튜브(30), 가드(40) 및 토출헤드(50)로 이루어진다.The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s composed of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의 액체 펌핑장치는, 상측으로 개구(G)를 형성하고 있으며, 그 내부에 액상 또는 페이스트 상태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10)를 구비한다.The apparatus for pumping liquid of a liqui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pening G formed upwardly and has a
이러한 용기(10)는, 후술하는 펌핑 작용에 따른 내용물의 소모량에 대응하여 내용물 수용공간의 압력이 일정한 수준에 있도록 함을 필요로 한다.Such a
이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구성은, 용기(10)의 하부에 공기의 유출이 있도록 하는 에어홀(10e)을 형성하고, 용기(10) 내에 삽입되어 내부 체적을 상·하로 분리 구획하며, 분리 구획한 상부와 하부의 압력 변화에 대응하여 용기(10) 내벽을 따라 슬라이딩 승강하는 피스톤(12)을 설치한 구성이다.1 to 5, an
반면, 도 6에 도시한 구성은, 용기(10) 내부에 대하여 상술한 피스톤(12)의 설치를 대신하여, 후술하는 받침판(20)에 대해 스트로(60)를 설치하고, 용기(10)의 개구(G)와 가드(40)가 결합하는 부위를 통해 내용물의 유출은 방지한 상태에서 용기(10) 내부에 대한 공기의 유입은 자유롭게 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6 has a structure in which a
또한, 용기(10) 개구(G)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가드(40)의 끼움 결합에 대응하여 그 둘레를 따라 환형의 체결돌기(10b)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가드(40)의 내측면 주연에는 체결돌기(10b)와 맞물림 관계를 이루는 체결홈(40a)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n
이와 함께, 용기(10) 개구(G)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가드(40)와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나사 결합관계에 대응하여 가드(40)의 가압부(42)와 이에 대응하는 펌핑튜브(30)의 날개부(32) 상면 사이에는 마찰을 대신하기 위한 와셔를 더 구비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ing G of the
한편, 용기(10) 개구(G)의 상단 부위에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10)의 개구(G) 상부를 막는 형상으로 가장자리 부위가 용기(10) 개구(G)의 상단 주연에 대응하여 일부는 삽입되고, 일부는 개구(G)의 상단에 걸쳐지는 형상으로 설치가 이루어지는 받침판(20)을 구비한다.1 to 5, at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G of the
이러한 받침판(20)은, 상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결합돌기(21)가 간격을 이루며 상향 돌출 형성되어 후술하는 펌핑튜브(30)의 결합홀(31)이 끼워져 펌핑튜브(30)를 용기(10)에 설치함에 있어 받침판(20)과 펌핑튜브(3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A plurality of
특히, 후술하는 펌핑튜브(30)가 탄성적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비교적 넓이가 넓은 용기(10)의 개구(G)에 대응토록 하기 위해 펌핑튜브(30) 끼움부재(35) 외측부위를 외측으로 신장시켜 그 텐션을 강화시킨 상태에서, 상술한 결합돌기(21)와 결합홀(31)의 결합을 통해, 강화된 텐션을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Particularly, in order that the
이때, 상술한 결합돌기(21)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후술하는 결합홀(31)이 끼워지거나, 결합홀(31)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결합돌기(21)가 삽입될 수 있다.The
또한, 받침판(20)은, 용기(10)에 대한 설치에 있어서, 개구(G)의 상단 내측에 억지 끼움으로 끼워지는 삽입부(22)를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이는 용기(10)의 개구(G)에 대한 기밀을 유지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이에 더하여, 받침판(20)의 외측 가장자리 부위는, 개구(G)의 상단에 밀착하여 얹혀지도록 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펌핑튜브(30)의 날개부(32) 하면 가장자리 부위에 대응하여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테두리(24)를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더불어, 상술한 받침판(20) 또한, 비교적 넓이가 넓은 용기(10)의 개구(G) 대응토록 하기 위해, 그 하부의 내경은 유지한 상태에서 상술한 삽입부(22) 및 테두리(24)를 포함하는 외측 가장자리 부위를 외측으로 연장하여 상술한 결합돌기(21)의 외측부위를 확장시킬 경우, 받침판(20)의 하부 외주연 즉, 받침판(20) 하측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삽입부(22)의 하측까지의 외주연에 상술한 연장부위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리브(R)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이때, 상술한 결합돌기(21)는 앞서 설명한 받침판(20) 확장부위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도록 하되, 후술하는 가드(40)의 가압부(42)로는 가압되지 않는 위치에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이에 대응되는 후술할 결합홀(31)도 펌핑튜브(30)의 상부에서 가압부(42)로 가압되지 않는 위치에 구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engaging
그리고, 받침판(20)의 하측 가장자리 중심 부위에 관통홀(26)을 형성하고 있으며, 관통홀(26)을 통해 용기(10) 내의 내용물의 유출입이 이루어진다.A through
본 발명의 설명에서 도면에 표현한 받침판(20)의 형상은, 그 중심 부위가 하측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표현하고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형상을 표현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상측으로 솟아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후술하는 펌핑튜브(30)의 하측 스커트부(34)의 형상 또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한편, 상술한 받침판(20)의 상부에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적 신축성과 탄성적 형상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상·하로 관통하는 관 형상의 펌핑튜브(30)가 놓인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1 to 5, a
이렇게 펌핑튜브(30)가 탄성적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자체적으로 우수한 호환성을 갖게 되어 용기(10) 개구(G)의 다양한 크기(폭, 직경 또는 넓이의 크기)와 무관하게 적용되어 설치 가능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pumping
이를 통해, 다양한 크기를 갖는 용기(10)의 개구(G)에 대응할 수 있도록 튜브 또한 각기 다른 넓이를 갖는 튜브를 다양하게 제작하는 것이 불가피함에 따른 제작비용의 증가로 인한 제품의 단가마저도 상승되는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펌핑튜브(30)는, 그 형상 복원력을 떨어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it is inevitable to variously manufacture tubes having different widths so as to correspond to the openings G of the
이러한 펌핑튜브(30)는, 측부에 폭 방향으로 확장된 넓이를 가지며 받침판(20)의 측부에 대응하는 날개부(32)를 형성하고 있으며, 날개부(32)의 하측 부위는 받침판(20)의 상면 중, 관통홀(26) 주연까지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덮는 형상을 이룬다.The pumping
더불어, 펌핑튜브(30)는, 상술한 날개부(32)의 내측 단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 결합돌기(21)에 끼움 결합을 이루는 결합홀(31)을 복수개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이는, 펌핑튜브(30)를 용기(10)에 설치함에 있어 받침판(20)과 펌핑튜브(30)의 조립을 간편하게 함으로써, 제작을 편리하게 하여 생산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pumping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적 신축성을 갖는 펌핑튜브(30)를 비교적 넓이가 넓은 용기(10)의 개구(G)에 대응하도록 날개부(32)를 외측으로 신장시켜 적용할 경우, 그 신장에 따른 펌핑튜브(30)의 텐션을 강화시키게 됨은 물론, 받침판(20)의 결합돌기(21)와 결합홀(31)의 결합을 통해 강화된 텐션을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Furth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umping
이러한 펌핑튜브(30)의 조립을, 도 1 내지 도 6에서 받침판(20)의 결합돌기(21)와 펌핑튜브(30)의 결합홀(31) 간의 결합을 통한 것으로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한 도 7과 같이, 상술한 받침판(20)의 결합돌기(21)를 구성치 않은 상태에서, 날개부(32)의 외측 단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된 결합홀(31)을 후술하는 가드(40)의 외측 단부 하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하향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41)에 끼움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assembly of the pumping
여기서, 펌핑튜브(30)는, 받침판(20)의 중심 부위를 제외한 관통홀(26)을 완전히 덮는 형상을 이룰 뿐 아니라, 하측 단부로 갈수록 첨예하게 두께가 ?湛? 형상의 하측 스커트부(34)를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pumping
이렇게 펌핑튜브(30)의 하측 단부 즉, 하측 스커트부(34)를 첨예한 형상을 이루도록 한 것은, 펌핑튜브(30) 내부에 압력이 부가될 때에 표면을 따라 작용하는 양압에 의해 받침판(20)의 상면에 밀착되기 용이하도록 하면서 관통홀(26)을 통한 내부 압력의 손실을 차단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reason why the lower end of the pumping
또한, 하측 스커트부(34)는, 펌핑튜브(30) 내부에 음압(진공압)이 작용할 때에 내측으로 쉽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하여 관통홀(26)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그리고, 펌핑튜브(30)의 상측 부위는, 날개부(32)의 내측부위 상측으로 점차 내·외경이 축소되며 상측으로 솟아오른 형상의 상측 스커트부(36)을 이룬다.The upper portion of the pumping
이러한 상측 스커트부(36)는, 자체의 형상 복원력을 갖도록 날개부(32)에서 상측 일정 높이까지 동일 내지 동일 범주의 두께로 형성하고, 그 상부에는 후술하는 포스트(54)의 외주면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밀착되게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연장되며, 그 끝단 부위에는 포스트(54)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강도를 높이도록 두께가 도드라진 형상의 띠(38)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The
상술한 띠(38)의 두께는, 형상 복원력을 형성하기 위한 부위보다는 얇게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띠(38)는 펌핑튜브(30) 내부의 압력이 일정 수준(띠(38)가 탄력적으로 벌어지게 하는 임계 압력) 이상에 도달하기까지 내용물의 유동을 차단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이에 따라, 펌핑튜브(30) 내부의 압력이 상술한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면, 내용물은 토출구(50a)로 향하는 빠른 속도로 유동한다.Thus,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pumping
즉, 상술한 띠(38)의 탄성 복원력 강도가 강할수록 토출이 이루어지는 내용물의 유동 속도는 증가한다.That is, the greater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이에 더하여, 상측 스커트부(36)의 상부 중, 날개부(32)에서 후술하는 푸셔(56) 또는 가압부재(58)에 대응하는 부위 사이의 구간에는, 이들 사이의 신장에 따른 복원력 강도를 더욱 증가시키기 위한 리브를 더 형성토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upper portion of the
여기서, 상술한 푸셔(56)는, 도면에서 측벽(52)과 포스트(54) 사이에 별도로 형성한 구성부로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측벽(52)이 펌핑튜브(30)의 상부를 누를 수 있도록 한 경우에 측벽(52)이 푸셔(56)를 대신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측벽(52)의 하측 단부 형상을 변형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lthough the
그리고, 포스트(54)와 푸셔(56) 사이의 간격은, 후술하는 지지턱(37)을 포함한 상측 스커트부(36)가 포스트(54)의 외주면으로부터 탄력적으로 벌어지며, 그 틈새를 통해 내용물의 유동이 있는 정도로 설계함이 바람직하다.The gap between the
또한, 펌핑튜브(30)의 날개부(32) 하면 중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연장 돌출한 형상의 연장부(32a)를 더 형성토록 할 수 있다.Further, it is possible to further form an extending
이러한 연장부(32a)는 용기(10)의 개구(G)에 대하여 후술하는 가드(40)의 결합시 개구(G)의 외주면에 압착되어 눌려지게 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더불어, 펌핑튜브(30)는, 도시한 도 8과 같이, 날개부(32)의 두께 중간 부위를 중심으로 상부튜브(30a)와 하부튜브(30b)로 분리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펌핑튜브(30)의 내부 공간 중, 수평 방향의 내경을 펌핑튜브(30)의 하측 단부의 내경보다 더욱 확대 형성하고자 할 때 또는 다양한 기능부를 더 형성토록 함에 있어서, 그 제조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8, the pumping
이와 같이, 펌핑튜브(30)를 상부튜브(30a)와 하부튜브(30b)로 분리 형성할 경우, 상술한 연장부(32a)는 상부튜브(30a)의 날개부(32) 하면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하고, 하부튜브(30b)의 날개부(32)는 연장부(32a) 하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부튜브(30a)의 날개부(32) 하면에 밀착 대응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또는 상술한 연장부(32a)까지 그 두께 부위를 상부튜브(30a)와 하부튜브(30b)로 각각 분리하는 것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When the pumping
이와 함께, 펌핑튜브(30)를 상부튜브(30a)와 하부튜브(30b)로 분리 형성할 경우, 상부튜브(30a)와 하부튜브(30b) 각각의 결합홀(31a,31b)들은 길이 방향으로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구비되고, 후술하는 끼움부재(35)는 상부튜브(30a)의 상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pumping
또한, 펌핑튜브(30)는 상측 부위 중, 후술하는 푸셔(56) 또는 이에 체결되거나 측벽(52)에 체결되는 가압부재(58)의 하단 내주면에 대응하는 부위에 푸셔(56) 또는 가압부재(58)의 하단 내면에 밀착 대응하는 지지턱(37)을 더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umping
이러한 지지턱(37)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토출헤드(50)의 하강에 의해 푸셔(56) 또는 가압부재(58)가 펌핑튜브(30)의 상부를 가압하여 누르는 과정에서, 펌핑튜브(30)의 상부 중, 푸셔(56) 또는 가압부재(58)의 내측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가 신장시키는 힘에 작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s described later, in the process in which the
이를 통해, 푸셔(56) 또는 가압부재(58)의 내측에서 상측으로 돌출한 상측 스커트부(36)는, 지지턱(37)에 의해 외력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어 형상 복원력을 유지하며, 이에 따라, 후술하는 포스트(54)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As a result, the
게다가, 펌핑튜브(30)는, 후술하는 토출헤드(50)의 가압부재(58)로 눌려지는 부위에서 폭 방향으로 두께를 갖도록 상향 돌출한 관 형상으로, 그 상부가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절곡을 이루며 돌출되어 가압부재(58)의 하부 내주연 또는 외주연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된 결합홈(58b)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끼움돌기(35a)를 구비한 끼움부재(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pumping
이는, 비교적 넓이가 넓은 용기(10)의 개구(G)에 대응토록 넓이가 넓은 펌핑튜브(30)를 적용할 경우, 형상 복원을 위해 후술하는 푸셔(56) 또는 가압부재(58)에 의해 눌려지는 펌핑튜브(30)의 상부가 하측으로 쉽게 처지는 현상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고, 펌핑튜브(30)의 상부를 누르는 가압부재(58)와 끼움부재(35)의 결합을 통해 더욱 정교하게 펌핑튜브(30)의 상부를 신장시킬 수 있음은 물론, 사용과정에서 신장 구간(S)을 포함하는 펌핑튜브(30) 상부의 텐션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pumping
이러한 끼움부재(35)는, 후술하는 측벽(52) 또는 푸셔(56)에 체결되는 가압부재(58)에 결합되었을 때, 그 외주연이 측벽(52)에 밀착되거나 근접을 이루어 지지받아 액체용기의 사용과정 중에 가압부재(58)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Such a
본 발명의 설명에서, 상술한 끼움부재(35)의 구성을 통해, 후술하는 가압부재(58)가 펌핑튜브(30)와 결합을 이루도록 하였으나, 가압부재(58)와 펌핑튜브(30)의 결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열융착 등의 방법으로 접합되어 결합을 이루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열융착과 같은 추가공정이 발생하는 관계에 있어 제조공정의 단순화를 유발하기 위해, 펌핑튜브(30)에 끼움부재(35)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한편, 본 발명의 액체용기의 액체 펌핑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 형상으로 용기(10)의 개구(G)에 대한 체결로부터 받침판(20)의 가장자리와 펌핑튜브(30)의 날개부(32)를 가압하여 체결이 이루어지는 가드(40)를 구비한다.1 to 5, the liquid pumping device of the liquid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edge of the receiving
이러한 가드(40)는, 상측에 형성한 하향 걸림턱(46) 하측으로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44)를 형성한다.The guards (40) form guides (44)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below the downwardly engaging jaws (46) formed on the upper side.
여기서, 상술한 하향 걸림턱(46)은, 가드(40)의 상단 내주면을 따라 형성하고, 가이드(44) 또한 하향 걸림턱(46)의 하측으로 형성한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above-described downwardly
이에 대한, 일 예로 하향 걸림턱(46)을 가드(40)의 상단 외주면을 따라 형성하고, 그 아래의 외측벽이 가이드(44)를 이루도록 하는 것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부터 후술하는 토출헤드(50)는 상술한 가드(40)의 상단 내측으로 삽입되는 구조 또는 가드(40)의 상단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the downwardly engaging
또한, 가드(40)의 내벽 중 상술한 용기(10) 개구(G)의 외주면에 형성한 체결돌기(10b)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상호 간의 체결시에 체결돌기(10b)가 안착하여 끼워지는 체결홈(40a)을 형성하고 있다.A por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그리고, 가드(40)의 내측에는, 받침판(20)의 외측 가장자리 부위와 더불어 펌핑튜브(30)의 날개부(32)에 대하여 수직 대향하는 부위에 상술한 체결돌기(10b)와 체결홈(40a)의 결합으로부터 날개부(32)를 가압하는 가압부(42)를 이루고 있다.The engagement protrusions 10b and the
이때, 가압부(42)는, 도시한 도 7과 같이, 그 하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결합돌기(41)가 간격을 이루며 하향 돌출 형성되어 상술한 결합홀(31)이 끼워져 펌핑튜브(30)를 용기(10)에 설치함에 있어 펌핑튜브(30)와 가드(40)의 조립을 간편하게 함으로써, 제작을 편리하게 하여 생산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7, the
특히, 상술한 펌핑튜브(30)가 탄성적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비교적 넓이가 넓은 용기(10)의 개구(G)에 대응토록 하기 위해 펌핑튜브(30)의 끼움부재(35)의 외측부위를 외측으로 신장시켜 그 텐션을 강화시킨 상태에서, 결합돌기(41)와 결합홀(31)의 결합을 통해, 강화된 텐션을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Particularly when the pumping
이때, 상술한 가압부(42)는 외측으로 신장된 펌핑튜브(30) 상부의 날개부(32)에 대응하는 넓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결합돌기(41)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결합홀(31)이 끼워지거나, 결합홀(31)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결합돌기(41)가 삽입될 수 있다.The
그리고, 외측으로 신장된 펌핑튜브(30)에 대응하는 상술한 받침판(20)은, 도 7과 같이, 하측 단부의 넓이를 넓혀 구성할 수 있고, 이러한 받침판(20)의 하측 가장자리 부위에 관통홀(26)을 형성하여 용기(10) 내의 내용물의 유출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above-mentioned
더불어, 가드(40)의 상측 부위에는 내측 또는 외측으로 돌출하여 후술하는 토출헤드(50)의 외측 측벽 또는 내측 측벽에 밀착 대응하는 하향 걸림턱(46)을 형성하고 있으며, 하향 걸림턱(46)의 하부는 후술할 토출헤드(50)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44)를 이루고 있다.A downwardly engaging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기의 액체 펌핑장치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가드(40)에 형성한 하향 걸림턱(46)과 그 하부의 가이드(44)를 통해 상·하 슬라이딩 안내를 받는 측벽(52)에 하향 걸림턱(46)에 의해 상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상향 걸림턱(52a)을 형성한 토출헤드(50)를 구비한다.1 and 2, the liquid pumping device of the liqui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ownwardly engaging
또한, 토출헤드(50)의 내측 중심 부위에는 하향 돌출한 형상으로 펌핑튜브(30)의 상측 스커트부(36) 상단 내면에 밀착하는 형식으로 끼워지는 포스트(54)를 구비하고 있으며, 포스트(54)의 외측 부위는 토출구(50a)와 연통한다.The pumping
그리고, 포스트(54)와 측벽(52) 사이에는, 하측에 대응하는 펌핑튜브(30)의 상부를 눌러 신장한 상태에 있도록 하는 푸셔(56)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푸셔(56)는 토출헤드(50)를 가드(40)에 설치한 상태에서 대응하는 펌핑튜브(30)의 상부를 누르는 상태에 놓인다.A
더불어, 토출헤드(50)는, 관 형상으로 폭 방향 두께를 가지며 상술한 측벽(52)의 하부 내주연, 푸셔(56)의 하부 내주연 또는 외주연에 체결되어 그 하측에 대응하는 펌핑튜브(30)의 상부를 눌러 신장한 상태에 있도록 하는 가압부재(58)를 구비하고 있고, 이 가압부재(58)는 토출헤드(50)를 가드(40)에 설치하기 전, 측벽(52) 또는 푸셔(56)와의 체결을 통해 토출헤드(50)에 장착된 상태에서, 토출헤드(50)를 가드(40)에 설치하면 대응하는 펌핑튜브(30)의 상부를 누르는 상태에 놓인다.The
이러한 가압부재(58)는, 하부 내주연 또는 외주연에 그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결합홈(58b)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술한 측벽(52) 또는 푸셔(56)에 체결된 상태에서, 토출헤드(50)를 가드(40)에 설치함과 동시에 상술한 복수개의 끼움부재(35)를 복수개의 결합홈(58b)에 결합시킴으로써, 토출헤드(50)와 펌핑튜브(30)가 일체를 이루게 됨은 물론, 펌핑튜브(30)의 상부를 누르는 상태에 놓일 수 있게 된다.The pressing
이때, 상술한 가압부재(58)는 끼움부재(35)와의 결합을 이룸에 있어, 그 상부와 길이 방향으로 단차를 이루는 하부 내주연 또는 외주연에 서로 간격을 가지며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홈(58b)에 끼움부재(35)의 끼움돌기(35a)가 결합됨에 따라, 끼움돌기(35a)와 결합홈(58b) 이룬 후의 사용과정에서 자체적인 회전은 차단된 상태에 놓여, 후술하는 토출헤드(50)의 회전을 통해 그 체결위치를 길이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pressing
게다가, 가압부재(58)는, 상술한 측벽(52) 또는 푸셔(56)에 체결을 이룬 상태에서 토출헤드(50)의 가드(40) 설치시, 가압부재(58)의 하부와 끼움부재(35)가 밀착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토출헤드(50)의 회전을 통해 자연스럽게 결합홈(58b)과 끼움돌기(35a)의 결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때, 끼움부재(35)는, 그 외주연이 측벽(52)의 내주연에 밀착되거나 근접된 상태에서 지지받게 되어 사용과정 중 이탈이 방지되며, 도시한 도 4a와 같이, 상술한 끼움돌기(35a)의 폭 방향 두께(d)가 그 하측의 끼움부재(35) 하부 폭 방향 두께(d')보다 두껍도록 하여 가압부재(58)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킴은 물론, 그에 따른 사용과정 중의 이탈을 더욱 억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이렇게 끼움부재(35)가 가압부재(58)와 결합을 이루게 됨으로써, 비교적 넓이가 넓은 용기(10)의 개구(G)에 대응토록 넓이가 넓은 펌핑튜브(30)를 적용할 경우, 형상 복원을 위해 푸셔(56) 또는 가압부재(58)에 의해 눌려지는 펌핑튜브(30)의 상부와 신장 구간(S)이 하측으로 쉽게 처지는 현상이 차단되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푸셔(56) 또는 가압부재(58)가 펌핑튜브(30)의 상부를 누르는 것을 통해, 신장 구간(S)을 포함하는 펌핑튜브(30) 상부의 텐션을 유지하여 형상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When the pumping
여기서, 상술한 가압부재(58)는, 도 1 내지 도 6에서 푸셔(56)에 체결된 것으로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한 도 7과 같이, 상술한 푸셔(56)를 구성치 않은 상태에서, 측벽(52)이 펌핑튜브(30)의 상부를 누를 수 있도록 한 경우, 이 측벽(52)의 내주연에 체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lthough the pressing
이때, 가드(40)의 체결에 의해 가압 고정되는 날개부(32)와 푸셔(56) 또는 가압부재(58)에 의해 눌려지는 부위 사이의 구간(S)은, 토출헤드(50)의 설치시, 이미 푸셔(56) 또는 가압부재(58)에 눌려 신장된 상태에 있으며, 이에 더하여, 토출헤드(50)의 하강이 이루어지면, 이미 신장된 상기 구간(S)은 더욱 신장되면서 하강하여 펌핑튜브(30) 내의 체적을 축소시키고, 그 축소된 체적만큼 양압을 형성한다.At this time, the section S between the
그리고, 토출헤드(50)를 누르는 힘을 해제할 경우에는, 날개부(32)와 푸셔(56) 또는 가압부재(58)에 의해 눌려지는 부위 사이의 구간(S)은, 그 텐션이 유지된 상태에서 충분히 신장되어 있음에 따라 수축하려는 탄성 복원력이 강하게 작용하고, 이러한 탄성 복원력은 토출헤드(50)를 상승시키는 힘으로 작용한다.When releasing the pressing force of the
이러한 펌핑튜브(30)의 수축에 따른 탄성 복원력은, 강제된 힘으로부터 복원되는 것으로, 자체적인 형상 복원력에 비교하여 토출헤드(50)의 승강 속도를 더욱 증대시키는 것이다.The resilient restoring force resulting from the contraction of the pumping
이렇게 상술한 측벽(52) 또는 푸셔(56)에 체결되는 가압부재(58)가 폭 방향으로 두께를 가짐으로써, 비교적 넓이가 넓은 용기(10)의 개구(G)에 대응토록 상술한 펌핑튜브(30)의 넓이를 넓게 적용할 경우에도, 텐션이 유지됨은 물론 신장 구간(S)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상술한 탄성 복원력의 작용을 용이하게 구현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 pressing
이와 같이, 상술한 측벽(52) 또는 푸셔(56)와, 이에 체결되어 펌핑튜브(30)의 상부를 누르는 가압부재(58)는, 그 체결부위에 나사산(B)을 형성하여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을 이룰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측벽(52) 또는 푸셔(56)와 가압부재(58)를 견고하게 결합시키게 되는 것은 물론, 가압부재(58)가 상술한 펌핑튜브(30)의 상부를 누르는 힘을 조절하는 것으로부터 용기(10) 내의 내용물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above-described
즉, 토출헤드(50)의 가드(40) 결합시, 가압부재(58)를 푸셔(56)에 체결시킬 경우, 그 체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결합홈(58b)에 끼움돌기(35a)를 결합시켜 푸셔(56)와 가압부재(58)가 펌핑튜브(30)의 상부를 누르는 상태에 놓이게 한 채, 토출헤드(50)를 회전시키면서 가압부재(58)의 체결위치를 길이 방향으로 조절하여 토출헤드(50)의 하강을 통해 신장 구간(S)을 더욱 신장시킬 때, 축소되는 펌핑튜브(30) 내의 체적 축소분을 조절함으로써, 토출되는 내용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pressurizing
물론, 상술한 가압부재(58)의 체결위치를 길이 방향으로 변형시키더라도, 토출헤드(50)의 하강시, 탄성적 신축성과 탄성적 형상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펌핑튜브(30)는 측벽(52) 또는 푸셔(56)와 가압부재(58) 모두로부터 가압되어 신장 구간(S)은 더욱 신장될 수 있다.The pumping
하지만, 상술한 나사 체결을 통한 가압부재(58)의 체결위치 조절에 의해, 푸셔(56)와 가압부재(58) 하단의 높이 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펌핑튜브(30) 내의 축소되는 체적과 직결되는 것으로, 토출헤드(50)가 가드(40)에 설치된 상태에서, 측벽(52) 또는 푸셔(56)가 펌핑튜브(30)의 상부를 눌러 신장시킨 채, 토출헤드(50)의 하강시, 신장 구간(S)을 더 누를 수 있도록 토출헤드(50)가 하강하는 거리가 이미 설정된 상태에 있게 된다.However, by adjusting the tightening position of the pressing
이렇게 토출헤드(50)가 하강하는 거리가 제한된 상태에서, 도시한 도 4a와 같이, 푸셔(56)와 가압부재(58) 하단의 높이가 동일할 경우, 푸셔(56)와 가압부재(58)가 펌핑튜브(30)의 상부를 누르는 상태에서, 토출헤드(50)의 하강에 의해 펌핑튜브(30)의 상부를 더 눌어 신장 구간(S)을 더 신장시켜 형상 복원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4A, when the
그런데, 상술한 푸셔(56)에 체결된 가압부재(58)의 결합홈(58b)에 끼움부재(35)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토출헤드(50)의 회전에 따른, 도시한 도 4c와 같이, 가압부재(58) 하단의 높이가 푸셔(56)의 하단 높이보다 높게 위치할 경우, 펌핑튜브(30)의 상부에서 가압부재(58)를 통해 눌려지는 부위는, 자연스럽게 가압부재(58)의 하단에 밀착된 상태로 푸셔(56)로 가압되는 부위보다 상측으로 올라간 상태에 있게 되어, 토출헤드(50)의 하강시, 펌핑튜브(30) 내의 축소되는 체적의 축소분이 푸셔(56)와 가압부재(58) 하단의 높이가 동일할 때보다 많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펌핑튜브(30) 내에 양압이 커지는 정도도 커지게 됨으로써 내용물의 토출량도 늘어나게 된다.As shown in FIG. 4C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이와 반대로, 도시한 도 4b와 같이, 가압부재(58) 하단의 높이가 푸셔(56)의 하단 높이보다 낮게 위치하여 펌핑튜브(30)의 상부에서 가압부재(58)를 통해 눌려지는 부위가 가압부재(58)의 하단에 밀착된 채, 푸셔(56)로 가압되는 부위보다 하측으로 내려간 상태 즉, 하측 스커트부(34)에 가까워진 위치에 있을 경우, 토출헤드(50)의 하강 시, 펌핑튜브(30) 내의 축소되는 체적의 축소분이 푸셔(56)와 가압부재(58) 하단의 높이가 동일할 때보다 적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펌핑튜브(30) 내에 양압이 커지는 정도도 작아지게 됨으로써 내용물의 토출량도 줄어들게 된다.4B,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pressing
이때, 상술한 가압부재(58) 하부의 형상은 내측 하방으로 갈수록 라운드진 경사를 이루도록 하여 펌핑튜브(30) 상부의 신장이 신장 구간(S)으로 더욱 집중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펌핑튜브(30)의 상부 중, 푸셔(56) 또는 가압부재(58)의 내측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가 신장시키는 힘에 작용하지 않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기의 액체 펌핑장치는 비교적 넓이가 넓은 용기(10)의 개구(G)에 대응토록 넓이가 넓은 펌핑튜브(30)를 적용할 경우에도, 신장 구간(S)을 확보함과 동시에, 결합홈(58b)과 끼움부재(35)의 결합을 통해 신장 구간(S)을 포함하는 펌핑튜브(30)의 상부가 하측으로 처지는 현상을 차단함은 물론, 펌핑튜브(30) 상부의 텐션을 유지하여 상술한 형상 복원력의 향상을 용이하게 구현시킬 수 있고, 측벽(52) 또는 푸셔(56)와 가압부재(58)의 체결에 의해 펌핑튜브(30) 내에서 축소되는 체적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내용물 토출량을 줄이거나 늘릴 수 있는 것이다.The liquid pumping device of the liqui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cures the extension section S even when the pumping
여기서, 상술한 측벽(52) 또는 푸셔(56)와 가압부재(58)의 체결을, 구비된 나사산(B)을 통한 나사체결 방식으로 구성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푸셔(56)와 가압부재(58)의 견고한 체결을 이루면서 상호 체결된 위치를 길이 방향으로 조절 가능한 방식이라면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Although the
한편, 도 6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피스톤(12)의 승강 구동에 대응하여 스트로(60)를 설치한 구성이며, 받침판(20)의 가장자리 부위 중, 용기(10)의 개구(G) 내측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적어도 하나의 홀(H)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홀(H)에 대응하는 펌핑튜브(30)의 하면에는 하측으로 연장 돌출하여 홀(H)을 관통하면서 개구(G)의 내벽에 밀착 가능한 연직 스커트부(39)를 형성한 것이다.The structure shown in Fig. 6 shows another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shown in Fig. 6 is a structure in which a
그리고, 연직 스커트부(39)에 대응하는 개구(G)의 상부에는 절개홈(10d)을 형성하고, 또 절개홈(10d)으로부터 연이은 개구(G)의 외주면에는 가드(40)와의 사이에 공기통로를 이루는 공기유입홈(10c)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다.A
이때, 상술한 공기유입홈(10c), 절개홈(10d), 연직 스커트부(39)의 구성은, 스트로(60)의 설치에 대응하여 용기(10)의 개구(G) 부위가 펌핑튜브(30)의 날개부(32)를 가압함에 의해 용기(10) 내부로 공기의 유입이 곤란한 것을 해결하기 위한 구성이다.At this time, the
10 : 용기 10a : 용기 내벽
10b : 체결돌기 10c : 공기유입홈
10d : 절개홈 10e : 에어홀
12 : 피스톤 20 : 받침판
21 : 결합돌기 22 : 삽입부
24 : 테두리 26 : 관통홀
30 : 펌핑튜브 31 : 결합홀
32 : 날개부 32a : 연장부
34 : 하측 스커트부 35 : 끼움부재
35a : 끼움돌기 36 : 상측 스커트부
37 : 지지턱 38 : 띠
39 : 연직 스커트부 40 : 가드
40a : 체결홈 41 : 결합돌기
42 : 가압부 44 : 가이드
46 : 하향 걸림턱 50 : 토출헤드
50a : 토출구 52 : 측벽
52a : 상향 걸림턱 54 : 포스트
56 : 푸셔 58 : 가압부재
58b : 결합홈 60 : 스트로
B : 나사산 G : 개구
H : 홀 R : 리브
S : 신장 구간10:
10b: fastening
10d:
12: piston 20:
21: engaging projection 22:
24: rim 26: through hole
30: pumping tube 31: coupling hole
32:
34: lower skirt portion 35:
35a: fitting projection 36: upper skirt portion
37: support jaw 38: strip
39: vertical skirt part 40: guard
40a: engaging groove 41: engaging projection
42: pressing portion 44: guide
46: downward jaw 50: ejection head
50a: Outlet port 52: Side wall
52a: Upward jaw 54: Post
56: pusher 58: pressing member
58b: coupling groove 60:
B: thread G: opening
H: Hole R: Rib
S: extension section
Claims (7)
탄성적 신축성과 형상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상·하로 관통하는 관 형상을 이루고, 측부에 상기 받침판(20)의 측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내측 단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결합홀(31)을 관통 형성한 날개부(32)를 구비하며, 날개부(32) 하측 부위가 상기 받침판(20)의 상면 중 관통홀(26) 주연까지 덮고, 날개부(32) 상측으로 점차 축소되는 형상을 이루는 펌핑튜브(30);
관 형상으로 용기(10)의 개구(G)에 대하여 상기 받침판(20)의 가장자리와 펌핑튜브(30)의 날개부(32)를 가압하는 가압부(42)를 형성하여 체결이 이루어지는 가드(40); 및
측벽(52)이 상기 가드(40)를 통해 상·하 슬라이딩 안내를 받고, 내측에 하향 돌출한 형상으로 외측 부위는 토출구(50a)와 연통되고 상기 펌핑튜브(30)의 상단 내면에 밀착하여 끼워지는 포스트(54)를 구비하며, 상기 포스트(54)와 측벽(52) 사이에서 대응하는 상기 펌핑튜브(30)의 상부를 눌러 신장한 상태에 있도록 하는 푸셔(56)를 구비한 토출헤드(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복수개의 상기 결합홀(31)은, 상기 받침판(20)의 상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상향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21)가 끼워지거나, 상기 가드(40)의 하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하향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41)가 끼워져 결합을 이루며,
상기 가드(40)는 상측에 형성한 하향 걸림턱(46) 하측으로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44)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토출헤드(50)는 상기 하향 걸림턱(46)으로부터 상·하 슬라이딩 안내를 받는 상기 측벽(52)이 상기 가이드(44)의 안내를 받으며, 상기 하향 걸림턱(46)에 의해 상측으로의 이동이 제약을 받는 상향 걸림턱(52a)을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액체 펌핑장치.A base plate 20 provided at a peripheral edge of an opening G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10 and having a through hole 26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container 10;
And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31) are formed in the inner side portion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coupling holes (31) And a pumping portion 32 having a shape such that a lower portion of the wing portion 32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26 in the upp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26 and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wing portion 32, A tube 30;
A guard portion 40 is formed by forming a pressing portion 42 that presses the edge of the receiving plate 20 and the wing portion 32 of the pumping tube 30 with respect to the opening G of the container 10 in a tubular form, ); And
The side wall 52 receives upward and downward sliding guiding through the guard 40 and the outer side portion is communicated with the discharge port 50a and closely fit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pumping tube 30 (50) having a pushing (56) that has a losing post (54) and is in an expanded state by pres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pumping tube (30) between the post (54) ), ≪ / RTI >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31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late 20 in such a manner that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21 protruding upward are fit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engaging projections 41 protruding downward are fitted and engaged with each other,
The guards (40) are formed by forming guides (44)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below the downwardly engaging jaws (46) formed on the upper side,
The side wall 52 receiving the upward and downward sliding guiding from the downwardly engaging jaw 46 is guided by the guide 44 and the downwardly engaging jaw 46 moves the upper side Wherein the movement of the liquid pumping device is performed by forming an upwardly-restraining jaw (52a) whose movement is restricted.
상기 토출헤드(50)는, 관 형상으로 폭 방향 두께를 가지며 상기 푸셔(56)의 하부 내주연 또는 외주연에 체결되어 상기 푸셔(56)와 함께 상기 펌핑튜브(30)의 상부를 누르는 가압부재(58)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액체 펌핑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jection head 50 has a tubular shape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fastened to the periphery or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usher 56 so as to press the upper portion of the pumping tube 30 together with the pusher 56. [ (58) for pumping the liquid in the liquid container.
상기 푸셔(56)와 가압부재(58)는 체결 부위에 나사산(B)을 형성하여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액체 펌핑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usher (56) and the urging member (58) form a screw thread (B) at a fastening portion and fasten in a threaded manner.
상기 가압부재(58)는 상부와 길이 방향으로 단차를 이루는 하부 내주연 또는 외주연에 복수개의 결합홈(58b)을 형성하고,
상기 펌핑튜브(30)는 상기 가압부재(58)로 눌려지는 부위에서 상향 돌출한 관 형상으로 폭 방향 두께를 갖는 끼움부재(35)를 형성하며,
상기 끼움부재(35)는 상부가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절곡을 이루며 돌출되어 복수개의 상기 결합홈(58b)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끼움돌기(35a)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액체 펌핑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pressing member 58 has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58b formed on the lower or inn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lower portion which is stepp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upper portion,
The pumping tube (30) forms a fitting member (35) having a thickness in the width direction and projecting upward in a portion pressed by the pressing member (58)
The liquid pump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fitting member (35) comprises a plurality of fitting protrusions (35a), the upper portion of which protrudes inwardly or outwardly to b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58b).
상기 푸셔(56) 또는 상기 가압부재(58)의 하단 내주연을 따라 대응하는 상기 펌핑튜브(30)에는 지지턱(37)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액체 펌핑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supporting step (37) is further formed in the corresponding pumping tube (30)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lower end of the pusher (56) or the pressing member (58).
상기 펌핑튜브(30)는 상기 날개부(32)를 중심으로 상부튜브(30a)와 하부튜브(30b)로 분리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튜브(30a)와 하부튜브(30b)는 각각 날개부의 내측 단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호 간의 결합홀(31a,31b)들이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끼움부재(35)는 상기 상부튜브(30a)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액체 펌핑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umping tube 30 is formed by separating an upper tube 30a and a lower tube 30b around the wing portion 32,
The upper tube 30a and the lower tube 30b are provided with coupling holes 31a and 31b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inner ends of the wing portions to face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him member (35)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tube (30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4046A KR101773549B1 (en) | 2016-10-17 | 2016-10-17 | Liquid pumping-dispenser of liquid recepta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4046A KR101773549B1 (en) | 2016-10-17 | 2016-10-17 | Liquid pumping-dispenser of liquid recepta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73549B1 true KR101773549B1 (en) | 2017-08-31 |
Family
ID=59760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34046A Active KR101773549B1 (en) | 2016-10-17 | 2016-10-17 | Liquid pumping-dispenser of liquid recepta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7354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10102A1 (en) * | 2022-07-04 | 2024-01-11 | 김기남 | Liquid material injection devic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53458A (en) * | 2000-02-09 | 2001-09-18 | L'oreal Sa | Pump and accommodation device provided with the pump |
KR200430258Y1 (en) * | 2006-08-22 | 2006-11-10 | 엔프라니 주식회사 | Container with shoulder cover |
KR200449883Y1 (en) * | 2008-02-18 | 2010-08-17 | (주)민진 | Pumped Cosmetic Container |
-
2016
- 2016-10-17 KR KR1020160134046A patent/KR10177354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53458A (en) * | 2000-02-09 | 2001-09-18 | L'oreal Sa | Pump and accommodation device provided with the pump |
KR200430258Y1 (en) * | 2006-08-22 | 2006-11-10 | 엔프라니 주식회사 | Container with shoulder cover |
KR200449883Y1 (en) * | 2008-02-18 | 2010-08-17 | (주)민진 | Pumped Cosmetic Contain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10102A1 (en) * | 2022-07-04 | 2024-01-11 | 김기남 | Liquid material injection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119902A (en) | Liquid jet pump | |
CN1067958C (en) | push dispenser | |
KR101487191B1 (en) | A cosmetic case of cream type | |
EP3209428B1 (en) | Pump dispensers | |
US20180002073A1 (en) | Self-priming-pump-equipped packaging bottle | |
KR101335570B1 (en) | Tube type cosmetic case | |
JP2006522266A (en) | Device for the supply of fluid products and fluid product dispensers having such devices | |
KR101125511B1 (en) | Foam pumping device for liquid vessel | |
CN111480963B (en) | A pump head structure for a cosmetic container and a working method thereof | |
KR102017318B1 (en) | Dispenser pump | |
KR101422069B1 (en) | Cosmetics container equiped airless-pump | |
KR101764067B1 (en) | Liquid pumping-dispenser of liquid receptacle | |
KR20130130569A (en) | Cosmetics container of nozzle type | |
CN210311619U (en) | cover | |
KR101773549B1 (en) | Liquid pumping-dispenser of liquid receptacle | |
KR101649099B1 (en) | A cosmetic case of cream type | |
KR101763405B1 (en) | Liquid pumping-dispenser of liquid receptacle | |
JP6147174B2 (en) | Liquid container mounting pump | |
KR20090130439A (en) | Pumping device for liquid storage container | |
KR102712579B1 (en) | Piston of liquid container with improved adhesion | |
JP6076176B2 (en) | pump | |
JP6429265B2 (en) | Discharge pump for liquid containers | |
JP6076175B2 (en) | pump | |
CN214825634U (en) | Improved structure of spray head | |
KR20170094595A (en) | A Degass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10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04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12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4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2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52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05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4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2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8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8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