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765B1 -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natural gas - Google Patents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natural ga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72765B1 KR101772765B1 KR1020150153284A KR20150153284A KR101772765B1 KR 101772765 B1 KR101772765 B1 KR 101772765B1 KR 1020150153284 A KR1020150153284 A KR 1020150153284A KR 20150153284 A KR20150153284 A KR 20150153284A KR 101772765 B1 KR101772765 B1 KR 1017727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s
- liquefied gas
- storage tank
- amount
- liquefi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03—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gaseous fuel
- F02M21/0215—Mixtures of gaseous fuels; Natural gas; Biogas; Mine gas; Landfill ga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9/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1—Propulsion of the fluid
- F17C2227/0128—Propulsion of the fluid with pumps or compressors
- F17C2227/0171—Arrangement
- F17C2227/0185—Arrangement comprising several pumps or compress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3—Treating the boil-off
- F17C2265/031—Treating the boil-off by discharg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5—Regasific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6—Fluid distribution
- F17C2265/066—Fluid distribution for feeding engines for propuls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은, 액화가스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가 제1 수요처로 공급되는 제1 유로;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에서 발생된 증발가스가 상기 제1 수요처로 공급되는 제2 유로;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에서 발생된 증발가스가 제2 수요처로 공급되는 제3 유로; 및 선박에 사용되는 전력을 상기 제1 수요처가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상기 제1 수요처의 증발가스 필요량을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이라 할때, 상기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과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증발가스 발생량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유로 또는 상기 제3 유로 내의 유체의 흐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liquefied gas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low path in which liquefied gas stored in a liquefied gas storage tank is supplied to a first customer; A second flow path in which evaporative gas generated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is supplied to the first customer; A third flow path in which evaporated gas generated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is supplied to a second customer; And an amount of evaporation gas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which is required for generating the electric power used in the ship, is the first demanded amount of gas required for the first demanded custom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flow of the fluid in the first flow path or the flow path of the third flow path.
Description
본 발명은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efied gas processing system.
선박은 대량의 광물이나 원유, 천연가스, 또는 몇천 개 이상의 컨테이너 등을 싣고 대양을 항해하는 운송수단으로서, 강철로 이루어져 있고 부력에 의해 수선면에 부유한 상태에서 프로펠러의 회전을 통해 발생되는 추력을 통해 이동한다.A ship is a means of transporting large quantities of minerals, crude oil, natural gas, or more than a thousand containers. It is made of steel and buoyant to float on the water surface. ≪ / RTI >
이러한 선박은 엔진을 구동함으로써, 추력을 발생시키는데, 이때, 엔진은 가솔린 또는 디젤을 사용하여 피스톤을 움직여서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크랭크 축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크랭크 축에 연결된 샤프트가 회전되어 프로펠러가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Such a ship generates thrust by driving the engine. At this time, the engine uses gasoline or diesel to move the piston so that the crankshaft is rotated by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iston, so that the shaft connected to the crankshaft is rotated, .
그러나 최근에는,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를 운반하는 LNG 운반선에서 LNG를 연료로 사용하여 엔진을 구동하는 LNG 연료 공급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엔진의 연료로 LNG를 사용하는 방식은 LNG 운반선 외의 다른 선박에도 적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however, LNG fuel supply systems for driving an engine using LNG as a fuel have been used in an LNG carrier carrying Liquefied Natural Gas (LNG) It is also applied to other ships.
일반적으로, LNG는 청정 연료이고 매장량도 석유보다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고, 채광과 이송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그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LNG는 주성분인 메탄을 1기압 하에서 -162도 이하로 온도를 내려서 액체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액화된 메탄의 부피는 표준상태인 기체상태의 메탄 부피의 600분의 1정도이고, 비중은 0.42로 원유 비중의 약 2분의 1이 된다. Generally, it is known that LNG is a clean fuel and its reserves are more abundant than petroleum, and its usage is rapidly increasing as mining and transfer technology develops. This LNG is generally stored in a liquid state at a temperature of -162 ° C below 1 atm under the pressure of 1 atm. The volume of liquefied methane is about 1/600 of the volume of the gaseous methane in the standard state, Is 0.42, which is about one half of the specific gravity of crude oil.
그러나 엔진이 구동되기 위해 필요한 온도 및 압력 등은,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LNG의 상태와는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액체 상태로 저장되는 LNG의 온도 및 압력 등을 제어하여 엔진에 공급하는 다양한 기술에 대하여,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However,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required to drive the engine may be different from the state of the LNG stored in the tank. Therefore, in recent years, various technolog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of the LNG stored in the liquid state and supplying the engine to the engine have been continuously researched and developed.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액화가스와 증발가스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액화가스를 처리하는 구성이 심플하게 이루어지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quefied gas processing system in which a liquefied gas storage tank and a liquefied gas storage tank are efficiently processed and liquefied gas processing is simplified .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은, 액화가스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가 제1 수요처로 공급되는 제1 유로;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에서 발생된 증발가스가 상기 제1 수요처로 공급되는 제2 유로;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에서 발생된 증발가스가 제2 수요처로 공급되는 제3 유로; 및 선박에 사용되는 전력을 상기 제1 수요처가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상기 제1 수요처의 증발가스 필요량을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이라 할때, 상기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과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증발가스 발생량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유로 또는 상기 제3 유로 내의 유체의 흐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quefied gas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flow path in which liquefied gas stored in a liquefied gas storage tank is supplied to a first customer; A second flow path in which evaporative gas generated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is supplied to the first customer; A third flow path in which evaporated gas generated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is supplied to a second customer; And an amount of evaporation gas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which is required for generating the electric power used in the ship, is the first demanded amount of gas required for the first demanded custom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flow of the fluid in the first flow path or the flow path of the third flow path.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이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증발가스 발생량보다 많은 경우 상기 제1 유로를 통해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액화가스가 상기 제1 수요처로 공급되도록하고, 상기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이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증발가스 발생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3 유로를 통해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증발가스가 상기 제2 수요처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amount of gas required for the first demanding customer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evaporation gas generated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liquefied gas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to flow to the first demander And the evaporation gas of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is supplied to the second customer through the third flow path when the amount of the first demanded gas required by the user is smaller than the amount of evaporation gas generated by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유로는, 전력의 공급에 따라 토출되는 액화가스의 압력 또는 유량을 변화시키며 구동되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유로는, 상기 제2 수요처로의 공급을 조절하는 증발가스 토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이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증발가스 발생량보다 많은 경우, 상기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과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증발가스 발생량의 차이만큼을 상기 펌프가 상기 제1 수요처로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이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증발가스 발생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증발가스 발생량과 상기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의 차이만큼을 상기 증발가스 토출수단을 통해 상기 제2 수요처로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flow path includes a pump driven by varying a pressure or a flow rate of the liquefied gas discharged in accordance with the supply of electric power, and the third flow path includes a vaporizing gas for regulating the supply to the second custom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evaporation gas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so that the amount of evaporation gas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is equal to the amount of evaporation gas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Wherein the pump is supplied to the first customer, and when the amount of gas required for the first customer is less than the amount of evaporated gas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the difference between the evaporated gas generation amount of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and the first- Can be supplied to the second customer through the evaporative gas discharging means.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과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증발가스 발생량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 내의 유체 흐름의 제어를 지시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제1 유로 내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제2 유로 또는 상기 제3 유로 내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3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first control unit for comparing the amount of the first demanded gas required by the user with the amount of evaporated gas generated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to instruct control of the flow of the fluid in the first flow path and the second flow path; A seco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fluid in the first flow path; And a thir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fluid in the second flow path or the third flow path.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을 계산하고, 상기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이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증발가스 발생량보다 많은 경우, 상기 제2 및 제3 제어부에 제1 명령을 지시하고, 상기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이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증발가스 발생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2 및 제3 제어부에 제2 명령을 지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controller calculates an amount of the first demanded gas required by the user, and when the amount of the first demanded gas required by the user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evaporated gas generated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And instructs the second and third controllers to issue a second command when the first demand source gas amount is less than the evaporation gas generation amount of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명령은, 상기 제2 제어부가 상기 제1 유로를 통해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액화가스를 상기 제1 수요처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제3 제어부가, 상기 제3 유로를 차단하여,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증발가스가 상기 제2 수요처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명령이며, 상기 제2 명령은, 상기 제2 제어부가 상기 제1 유로를 차단하여,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액화가스를 상기 제1 수요처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고, 상기 제3 제어부가, 상기 제3 유로를 통해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증발가스가 상기 제2 수요처로 공급되도록 하는 명령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command causes the second control unit to supply the liquefied gas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to the first customer through the first flow path, and the third control unit causes the third flow path to shut off And the second command is a command to shut off the first flow path to shut off the evaporation gas of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from being supplied to the second customer, Gas from being supplied to the first customer, and the third control unit may supply the evaporative gas of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to the second customer through the third flow path.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유로는, 전력의 공급에 따라 토출되는 액화가스의 압력 또는 유량을 변화시키며 구동되는 펌프; 및 상기 펌프를 통해 공급되는 액화가스를 기화시키는 기화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를 다단 압축하는 증발가스 압축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유로는, 상기 제2 수요처로의 공급을 조절하는 증발가스 토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요처의 유입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수요처의 유입단 압력을 제1 압력이라 할때, 상기 제1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이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증발가스 발생량보다 많은 경우, 상기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과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증발가스 발생량의 차이만큼을 상기 펌프가 상기 제1 수요처로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압력측정장치가 측정한 상기 제1 압력이 상기 제1 수요처가 요구하는 압력보다 낮은 경우, 상기 펌프의 토출유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1 압력이 상기 제1 수요처가 요구하는 압력보다 높은 경우, 상기 펌프의 토출유량을 감소시키며, 상기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이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증발가스 발생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증발가스 발생량과 상기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의 차이만큼을 상기 증발가스 토출수단을 통해 상기 제2 수요처로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flow path includes: a pump driven by varying a pressure or a flow rate of the liquefied gas discharged according to supply of electric power; And a vaporizer for vaporizing the liquefied gas supplied through the pump, wherein the second flow path includes an evaporative gas compressor for multi-stage compressing the evaporation gas generated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And an evaporating gas discharg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supply to the second customer, wherein the first inlet is provided at an inlet end of the first consumer, and when the inlet pressure of the first consumer is a first pressur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amount of the first demanded gas required by the user and the amount of evaporated gas generated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when the amount of the first demanded gas required by the user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evaporated gas generated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And the pump is supplied to the first customer, and the first pressure measured by the pressure measuring device is higher than the pressure demanded by the first customer The pump is operated to increase the discharge flow rate of the pump and to decrease the discharge flow rate of the pump when the first pressure is higher than the pressure demanded by the first customer, The amount of evaporated gas generated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and the amount of the required amount of the first demanded gas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 customer through the evaporated gas discharging means.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은, 재응축기를 통해 증발가스를 처리하여 액화가스의 낭비를 방지하고 최적화된 사용을 보장할 수 있으며, 증발가스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구성을 줄일 수 있어 시스템 구축 비용이 절감되고 선박 내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The liquefied gas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waste of the liquefied gas by treating the evaporated gas through the recondenser and can guarantee the optimized use and reduce the construction required for processing the evaporated gas, And the space inside the ship can be efficiently u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에 의해 도출되는 P-Q 그래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liquefied gas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liquefied gas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liquefied gas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liquefied gas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liquefied gas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liquefied gas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liquefied gas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liquefied gas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Q graph derived by a p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s, particular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명세서에서, 액화가스는 LNG 또는 LPG, 에틸렌, 암모니아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액체 상태로 보관되는 모든 가스 연료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가열이나 가압에 의해 액체 상태가 아닌 경우 등도 편의상 액화가스로 표현할 수 있다. 이는 증발가스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LNG는 편의상 액체 상태인 NG(Natural Gas) 뿐만 아니라 초임계 상태 등인 NG를 모두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증발가스는 기체 상태의 증발가스뿐만 아니라 액화된 증발가스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liquefied gas may be used to encompass all gaseous fuels generally stored in a liquid state, such as LNG or LPG, ethylene, ammonia, etc. In the case where the gas is not in a liquid state by heating or pressurization, . This also applies to the evaporative gas. In addition, LNG can be used to encompass both NG (natural gas), which is a liquid state, and NG, which is a supercritical state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LNG may be used to mean not only a gas state evaporation gas but also a liquefied evaporation gas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liquefied gas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liquefied gas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1)은, 액화가스 저장탱크(10), 제1 펌프(11), 증발가스 압축기(20), 재응축기(30), 제2 펌프(40), 기화기(50), 제1 수요처(60), 제2 수요처(61), 제어부(90), 증발가스 토출밸브(112), 증발가스 분리밸브(113)를 포함한다.1 and 2, a liquefi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박(부호도시하지 않음)은, 일례로 컨테이너 선(Container Ship) 또는 벌크 선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ip (not shown) may be a container ship or a bulk li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1)을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liquefi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4 라인(L1~L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라인에는 개도 조절이 가능한 밸브(도시하지 않음)들이 설치될 수 있으며, 각 밸브의 개도 조절에 따라 증발가스 또는 액화가스의 공급량이 제어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further include first to fourth lines L1 to L4. Valves (not shown), which are adjustable in opening degree, may be installed in each line, and the supply amount of the evaporation gas or liquefied gas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opening degree of each valve.
제1 라인(L1)은, 액화가스 저장탱크(10)와 재응축기(30)를 연결하며, 제1 펌프(11)를 구비할 수 있고,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액화가스를 제1 펌프(11)를 통해 재응축기(30)로 공급할 수 있다.The first line L1 connects the liquefied
제2 라인(L2)은, 액화가스 저장탱크(10)와 재응축기(30)를 연결하며, 증발가스 압축기(20)를 구비할 수 있고,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증발가스를 증발가스 압축기(20)를 통해 재응축기(3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2 라인(L2)은, 병렬의 형태로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재응축기(30)로 연결될 수 있으며, 병렬로 구성된 제2 라인(L2)에는 각각 증발가스 압축기(20)가 구비되어 증발가스 압축기(20) 또한 병렬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line L2 connects the liquefied
제3 라인(L3)은, 재응축기(30)와 제1 수요처(60)를 연결하며, 제2 펌프(40)와 기화기(50)를 구비할 수 있고, 재응축기(30)에서 재응축된 액화가스 또는 증발가스를 제2 펌프(40) 및 기화기(50)를 통해 고압으로 가압한 후 기화시켜 제1 수요처(6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3 라인(L3)은, 재응축기(30)에서 기화기(50) 사이의 구간에서는 병렬의 형태로 연결될 수 있으며, 병렬로 구성된 제3 라인(L3)에는 각각 제2 펌프(40)가 구비되어 제2 펌프(40) 또한 병렬로 구성될 수 있다.The third line L3 connects the
제 4 라인(L4)은, 증발가스 압축기(20)와 제2 수요처(61)를 연결하며, 제2 라인(L2) 상의 증발가스 압축기(20)와 재응축기(30)사이에서 분기되어 제2 수요처(6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4 라인(L4)은, 증발가스 압축기(20)에서 압축된 증발가스를 제2 수요처(61)로 공급할 수 있다.The fourth line L4 connects the
액화가스 저장탱크(10)는, 수요처(60,61)에 공급될 액화가스 또는 증발가스를 저장한다. 액화가스 저장탱크(10)는, 액화가스를 액체상태로 보관하여야 하는데, 이때, 액화가스 저장탱크(10)는 압력 탱크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liquefied
본 실시예에서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액화가스의 증발로 인해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후술할 증발가스 압축기(20)로 공급하여,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화가스와 함께 수요처(60,61)의 연료로 활용함으로써, 증발가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evaporative gas generated due to the evaporation of the liquefied gas in the liquefied
여기서 액화가스 저장탱크(10)는, 외조 탱크(도시하지 않음), 내조 탱크(도시하지 않음), 단열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liquefied
외조 탱크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외벽을 이루는 구조로서, 스틸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면이 다각형 형태일 수 있다.The outer tank is a structure that forms the outer wall of the liquefied
내조 탱크는 외조 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며, 서포트(Support;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외조 탱크의 내부에 지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서포트는 내조 탱크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고, 물론 내조 탱크의 좌우 유동을 억제하기 위해 내조 탱크의 측면에도 구비될 수 있다.The inner tank is provided inside the outer tank, and can be supported and supported inside the outer tank by a support (not shown). At this time, the support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inner tank, and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inner tank for suppressing lateral movement of the inner tank.
내조 탱크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5bar 내지 10bar(일례로 6bar)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내조 탱크를 이와 같이 일정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은, 내조 탱크의 내부에 구비된 액화가스가 증발되어 증발가스가 생성됨에 따라 내조 탱크의 내압이 상승될 수 있기 때문이다.The inner tank can be made of stainless steel and can be designed to withstand pressures from 5 bar to 10 bar (6 bar, for example). The reason why the inner tank is designed to withstand such a constant pressure is that the inner pressure of the inner tank can be increased as the liquefied gas contained in the inner tank is evaporated and the evaporation gas is generated.
내조 탱크의 내부에는 배플(Baffle; 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될 수 있다. 배플은 격자 형태의 플레이트를 의미하며, 배플이 설치됨에 따라 내조 탱크 내부의 압력은 고르게 분포되어 내조 탱크가 일부분에 집중 압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baffle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inner tank. The baffle means a plate in the form of a lattice. As the baffle is installed, the pressure inside the tank can be evenly distributed to prevent the tank pressure from being concentrated to a part of the tank.
단열부는, 내조 탱크와 외조 탱크의 사이에 구비되며 외부 열에너지가 내조 탱크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단열부는 진공상태일 수 있다. 단열부를 진공으로 형성함에 따라, 액화가스 저장탱크(10)는 일반적인 탱크와 비교할 때, 높은 압력에 더욱 효율적으로 견뎌낼 수 있다. 일례로 액화가스 저장탱크(10)는 진공의 단열부를 통해 5bar 내지 20bar의 압력을 버텨낼 수 있다.The heat insulating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tank and the outer tank and can prevent the external heat energy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inner tank. At this time, the heat insulating portion may be in a vacuum state. By forming the thermal insulation in a vacuum, the liquefied
증발가스 토출밸브(112)는, 제2 라인(L2) 상에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 근접하도록 구비되며, 개도조절을 통해서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된 증발가스가 제2 라인(L2)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The evaporation
증발가스 토출밸브(112)는, 후술할 제어부(9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부(90)로부터 개도조절신호를 전송받아 개도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The evaporation
증발가스 분리밸브(113)는, 제2 라인(L2) 상에 제4 라인(L4)이 분기되는 지점에 구비되며 삼방밸브일 수 있다. 증발가스 분리밸브(113)는, 개도조절을 통해서 증발가스 압축기(20)에서 토출되는 증발가스를 제4 라인(L4)을 통해 제2 수요처(61)로 공급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2 라인(L2)을 통해서 재응축기(3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The evaporation
증발가스 분리밸브(113)는, 후술할 제어부(9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부(90)로부터 개도조절신호를 전송받아 개도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The evaporation
제1 펌프(11)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1차 가압하여 재응축기(30)로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펌프(11)는, 제1 라인(L1) 상에 액화가스 저장탱크(10)와 재응축기(30) 사이에 구비되어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재응축기(30)로 공급할 수 있다.The
제1 펌프(11)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내부에 구비되거나,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화가스의 수위보다 낮은 위치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잠형 또는 왕복동형일 수 있다.The
제1 펌프(11)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6 내지 8bar로 가압하여 재응축기(30)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펌프(11)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0)로부터 배출되는 액화가스를 가압하여 압력 및 온도를 다소 높일 수 있으며, 제1 펌프(11)에 의해 가압된 액화가스는 여전히 액체 상태일 수 있다.The
증발가스 압축기(20)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를 가압한다. 구체적으로, 증발가스 압축기(20)는, 제2 라인(L2) 상에 액화가스 저장탱크(10)와 재응축기(30) 사이에 마련되어,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되어 배출되는 증발가스를 약 6 내지 8bar로 가압하여 재응축기(30)에 공급할 수 있다.The evaporative gas compressor (20) pressurizes the evaporative gas generated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10). Specifically, the
증발가스 압축기(20)는, 복수로 구비되어 증발가스를 다단 가압시킬 수 있으며, 일례로 증발가스 압축기(20)는 3개가 구비되어 증발가스가 3단 가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든 3단 압축기는 단지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3단에 한정되지 않는다.A plurality of
이때 증발가스 압축기(20)는, LD(Low Duty) 압축기로 약 1bar 내지 2bar의 증발가스를 약 6 내지 8bar까지 가압할 수 있으며, 제2 라인(L2)을 통해 재응축기(30)로 공급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또한, 증발가스 압축기(20)는, 원심형(Centrifugal type) 압축기일 수 있다. 원심형 압축기는 약 6 내지 10bar로의 가압이 가능하며, 래비린스 링(Labyrinth ring)을 구비하지 않아 가격이 저렴하고 저부하 운동시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증발가스 압축기(20)의 각 후단에는 증발가스 냉각기(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증발가스 압축기(20)에 의하여 증발가스가 가압되면, 압력 상승에 따라 온도 역시 상승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증발가스 냉각기를 사용하여 증발가스의 온도를 다시 낮춰줄 수 있다. 증발가스 냉각기는, 증발가스 압축기(20)와 동일한 수로 설치될 수 있으며, 각 증발가스 냉각기는, 각 증발가스 압축기(20)의 하류에 마련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vaporative gas cooler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each rear end of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증발가스 압축기(20)가 병렬로 구비되어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 양이 급격히 상승하는 경우, 이를 모두 수용할 수 있으며, 또는 증발가스 압축기(20)의 하나가 오작동을 일으키거나 셧다운(Shut down)되는 경우 나머지 하나의 증발가스 압축기(20)가 작동할 수 있어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효율적으로 수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재응축기(30)는, 증발가스 압축기(20)와 제2 펌프(40) 사이 또는 제1 펌프(11)와 제2 펌프(40) 사이에 구비되며,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액화가스 및 증발가스를 공급받아 재응축시켜 제2 펌프(40)로 공급한다. The
구체적으로, 재응축기(30)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증발가스를 증발가스 압축기(20)로 약 6 내지 8bar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제2 라인(L2)을 통해 공급받고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액화가스를 제1 펌프(11)로 약 6 내지 8bar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제1 라인(L1)을 통해 공급받아 저온의 액화가스를 통해 증발가스를 재응축시키며, 재응축된 액화가스 또는 증발가스를 제2 펌프(40)로 공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e-condenser 30 pressurizes the evaporated gas of the liquefied
재응축기(30)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와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서로 혼합하여 저온의 액화가스 냉열을 전달하여 증발가스를 재응축 시키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The re-condenser 30 mixes the evaporated gas generated from the liquefied
이때, 재응축기(30)는, 증발가스 압축기(20) 및 제1 펌프(11)를 통해 증발가스와 액화가스를 약 6 내지 8bar(또는 6 내지 15bar까지도 가능함)의 압력으로 공급받아 저압의 증발가스 또는 액화가스보다 재응축 효율이 향상되며, 상기 압력을 유지한 상태로 재응축시켜 제2 펌프(40)로 공급하여 제2 펌프(40)의 압축 부하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At this time, the re-condenser 30 supplies the evaporation gas and the liquefied gas through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재응축기(30)를 구비하여 증발가스를 처리함으로써,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소비하기 위한 DFDE의 구비가 필요없으며, 재응축기(30)에서 증발가스를 추가로 공급받아 재응축시켜 연료로 사용하므로, 연료의 부족시 사용되는 강제기화기(Forcing Vaporizer)의 구비가 필요없게되어 시스템 구축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와 시스템 구성이 심플화되어 구동 신뢰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the DFDE to consume the evaporated gas generated in the liquefied
제2 펌프(40)는, 재응축기(30)로부터 재응축된 액화가스를 공급받아 2차 가압하여 고압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약 200 내지 400bar로 가압하는 고압펌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펌프(40)는, 제3 라인(L3) 상에 재응축기(30)와 기화기(50)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재응축기(30)로부터 약 6 내지 8bar의 압력을 가진 상태로 재응축된 액화가스를 공급받아 약 200 내지 400bar의 고압으로 가압하여 기화기(50)로 공급할 수 있다.The
제2 펌프(40)는, 약 200 내지 400bar의 고압으로 가압하여, 기화기(50)를 거쳐 제1 수요처(60)로 공급함으로써, 제1 수요처(60)가 요구하는 압력을 제1 수요처(60)로 공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 수요처(60)가 액화가스를 통해 추력을 생산할 수 있다.The
제2 펌프(40)는, 재응축기(30)로부터 배출되는 액체상태의 재응축 액화가스 또는 증발가스를 고압으로 가압하되, 액화가스 또는 증발가스가 초임계점(Critical Point)보다 높은 온도 및 압력을 갖는 초임계 상태가 되도록 상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초임계 상태인 액화가스의 온도는 임계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영하 20도 이하일 수 있다.The
또는 제2 펌프(40)는 액체 상태의 액화가스를 고압으로 가압하여 과냉액체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과냉액체 상태의 액화가스란 액화가스의 압력이 임계압력보다 높고, 온도가 임계온도보다 낮은 상태이다.Or the
구체적으로, 제2 펌프(40)는, 재응축기(30)로부터 배출되는 액체상태의 액화가스를 200bar 내지 400bar까지 고압으로 가압하되, 액화가스의 온도가 임계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되도록 하여, 액화가스를 과냉액체 상태로 상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과냉액체 상태의 액화가스 온도는, 임계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영하 140도 내지 영하 60도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펌프(40)가 병렬로 구비되어 제2 펌프(40)의 하나가 오작동을 일으키거나 셧다운(Shut down)되는 경우 나머지 하나의 제2 펌프(40)가 작동할 수 있어 재응축기(30)에 재응축된 증발가스 또는 액화가스를 제1 수요처(60)로 신뢰성있게 또는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기화기(50)는, 제3 라인(L3) 상에 마련되어 제2 펌프(40)로부터 배출되는 고압의 액화가스를 기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화기(50)는, 제1 수요처(60)와 제2 펌프(40) 사이의 제3 라인(L3) 상에 마련되어 제2 펌프(40)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액화가스를 기화시켜 제1 수요처(60)가 원하는 상태로 공급할 수 있다.The
이때, 기화기(50)는, 액화가스를 기화시키기 위한 열매로 글리콜 워터(Glycol Water), 해수(Sea Water), 스팀(Steam) 또는 엔진 배기가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고압의 액화가스의 압력을 변동없이 제1 수요처(60)로 공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제1 수요처(60)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공급되는 액화가스 또는 증발가스를 연료로 사용한다. 즉, 제1 수요처(60)는, 액화가스 또는 증발가스를 필요로 하며 이를 원료로 하여 구동될 수 있다. 제1 수요처(60)는, 엔진(예를들어 고압가스분사엔진으로 MEGI 엔진)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여기서 제1 수요처(60)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와 제1 라인(L1) 및 제2 라인(L2)과 제3 라인(L3)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약 200 내지 400 bar의 고압으로 가압된 액화가스 또는 증발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다.The
제1 수요처(60)는, 제2 펌프(40) 및 기화기(50)에 의해 약 200 내지 400bar로 가압되고 기화된 증발가스 또는 액화가스를 사용할 수 있고, 약 300bar 정도의 고압 증발가스를 사용하는 고압용 엔진일 수 있으며, 프로펠러(70)를 구동하기 위해 직접 프로펠러 축(71)을 회전시키는 엔진 또는 기타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엔진일 수 있다.The
엔진은 액화가스의 연소에 의해 실린더(도시하지 않음) 내부의 피스톤(도시하지 않음)이 왕복운동 함에 따라, 피스톤에 연결된 크랭크 축(도시하지 않음)이 회전되고, 크랭크 축에 연결되는 샤프트(도시하지 않음)가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요처(60) 구동 시 프로펠러 축(71)에 연결된 프로펠러(70)가 회전함에 따라 선체가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As the piston (not shown) inside the cylinder (not shown) reciprocates by the combustion of the liquefied gas, the engine rotates the crankshaft (not shown) connected to the piston and the shaft Can be rotated. Therefore, as the
제1 수요처(60)는 제2 펌프(40) 및 기화기(50)를 통해 가압 기화된 액화가스를 공급받아 구동력을 얻을 수 있으며, 액화가스의 상태는 제1 수요처(60)가 요구하는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또한, 제1 수요처(60)는, 이종연료가 사용가능한 이종연료엔진일 수 있다. 이종연료엔진은 통상 디젤 사이클로 구동되는 2행정 엔진이다. 이러한 디젤 사이클은 기본적으로, 공기가 피스톤에 의해서 압축되고, 압축된 고온의 공기는 점화연료(Pilot Fuel)에 의해서 점화가 이루어지며, 나머지 고압의 가스가 분사되어 폭발이 이루어진다. Also, the
이때 점화연료는 HFO(Heavy Fuel Oil) 또는 MDO(Marine Diesel Oil)를 사용하게 되며, 보통 점화연료와 고압 가스의 비율은 약 5:95 이고, 점화연료의 분사량은 5~100%까지 조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점화연료는 엔진의 구동 연료로도 이용가능하다.In this case, HFO (Heavy Fuel Oil) or MDO (Marine Diesel Oil) is used as the ignition fuel, and the ratio of the ignition fuel to the high-pressure gas is about 5:95, and the injection amount of the ignition fuel can be adjusted from 5 to 100% Do. Therefore, the ignition fuel is also usable as the driving fuel for the engine.
즉, 점화연료의 분사량이 약 5%정도인 경우 엔진 구동 연료로 증발가스(또는 가열된 액화가스; 약 95%)가 주로 사용되며, 점화연료의 분사량이 100%인 경우에는 엔진 구동 연료로 점화연료(오일)가 전부 사용된다.That is, when the injection amount of the ignition fuel is about 5%, evaporative gas (or heated liquefied gas; about 95%) is mainly used as the engine driving fuel, and when the injection amount of the ignition fuel is 100% Fuel (oil) is all used.
이때, 점화연료의 분사량이 50%인 경우(와 증발가스 약 50%)에는 점화연료와 증발가스 또는 액화가스가 혼합되어 엔진으로 유입되는 것이 아닌 점화연료가 먼저 발화하여 발열량을 생산하고, 이후, 나머지 증발가스가 유입되어 폭발하여 발열량을 생산하여 엔진 구동에 필요한 발열량을 생산한다.At this time, when the injection amount of the ignition fuel is 50% (and about 50% of the evaporation gas), the ignition fuel is ignited first to generate the calorific value instead of being mixed with the evaporative gas or the liquefied gas and flowing into the engine, The remaining evaporation gas flows in and explodes to produce the calorific value, thereby producing the calorific value required for driving the engine.
제2 수요처(61)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공급되는 증발가스를 연료로 사용한다. 즉, 제2 수요처(61)는, 증발가스를 필요로 하며 이를 원료로 하여 구동될 수 있다. 제2 수요처(61)는, 발전기(예를들어 DFDG), 가스연소장치(GCU), 보일러(예를들어 스팀을 생성하는 보일러)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구체적으로, 제2 수요처(61)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와 제2 라인(L2) 및 제4 라인(L4)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증발가스 압축기(20)에 의해 약 1 내지 6 bar의 저압으로 가압된 증발가스를 공급받아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또한, 제2 수요처(61)는, 이종연료가 사용가능한 이종연료엔진일 수 있어, 증발가스뿐만 아니라 오일을 연료로 사용할 수 있으나, 증발가스와 오일이 혼합되어 공급되지 않고 증발가스 또는 오일이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는 연소 온도가 상이한 두 물질이 혼합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제2 수요처(61)의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제어부(90)는, 제1 수요처(60)로부터 로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고, 증발가스 토출밸브(112), 증발가스 분리밸브(113) 또는 제1 펌프(11)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구동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제어부(90)를 통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며, 도 1의 실시예에서 제어부(90)는, 증발가스 토출밸브(112) 및 제1 펌프(11)만을 제어하고 도 2의 실시예에서 제어부(90)는 증발가스 토출밸브(112), 증발가스 분리밸브(113) 및 제1 펌프(11)를 제어한다.1 and 2, the
먼저 도 1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 1을 살펴보도록 한다. First, FIG. 1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explain the embodiment of FIG.
제어부(90)는, 제1 수요처(60)로부터 로드 신호를 수신받아 제1 수요처(60)의 로드가 높은 경우, 증발가스 토출밸브(112)에는 개도 개방신호와 제1 펌프(11)에는 펌프구동신호를 송신하여 재응축기(30)가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증발가스와 액화가스를 모두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응축기(30)에서 재응축된 액화가스 또는 증발가스를 제1 수요처(60)의 연료로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load of the
제어부(90)는, 제1 수요처(60)로부터 로드 신호를 수신받아 제1 수요처(60)의 로드가 낮은 경우, 증발가스 토출밸브(112)에는 개도 폐쇄신호를 송신하고 제1 펌프(11)에는 구동신호를 송신하여, 재응축기(30)가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액화가스만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응축기(30)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제1 수요처(60)의 연료로 공급하고, 액화가스 저장탱크(10)는 발생되는 증발가스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 내부에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여 축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증발가스 압축기(20)의 구동은 정지될 수 있다. The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수요처(60)의 로드가 높은 경우 즉, MEGI 엔진의 로드가 높은 경우, 액화가스와 증발가스를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모두 공급받아 재응축기(30)에서 재응축시켜 액화가스 저장탱크(10) 내에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재응축된 액화가스 또는 증발가스를 MEGI 엔진의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수요처(60)의 로드가 높은 경우는, 일례로 선박이 고속(18knot 이상)으로 추진하는 경우일 수 있다. 이때, 재응축기(30)로 공급되는 액화가스 또는 증발가스는 약 6 내지 8bar의 압력을 가지며, 제1 수요처(60)로 공급되는 재응축된 액화가스 또는 증발가스는 약 200 내지 400bar의 압력을 가질 수 있다.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oad of the
제1 수요처(60)의 로드가 낮은 경우 즉, MEGI 엔진의 로드가 낮은 경우, 재응축기(30)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액화가스만 공급받아 재응축기(30)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제1 수요처(60)의 연료로 공급하고,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 내부에 그대로 유지하도록 축압할 수 있다. 이때, 재응축기(30)는 재응축과정이 일어나지 않고 단지 액화가스가 임시저장하여, 제2 펌프(40)의 유효흡입수두 조건을 만족하도록 하는 제2 펌프(40)로 공급되기 전의 석션 드럼(Suction Drum)과 유사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증발가스를 공급받지 않는다.When the load of the
MEGI 엔진의 로드가 높은 경우에는(일례로 선박이 고속(18knot 이상)으로 추진하는 경우), 액화가스 저장탱크(10) 내의 저장된 액화가스의 양이 많으므로(고속으로 선박을 추진하는 경우는 항해 초기 또는 중기이므로 추진연료인 액화가스의 저장량이 많음) 그에 따른 증발가스 발생량이 많아지게 되며, 이로 인해 액화가스 저장탱크(10) 내압이 상승하여 내구성이 약화되거나 손상될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증발가스 처리의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When the load of the MEGI engine is high (for example, when the ship is propelled at a high speed (18 knots or more)), the amount of liquefied gas stored in the liquefied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재응축기(30)를 사용하여 증발가스를 MEGI 엔진의 연료로 소비하게 함으로써 해결하여, 증발가스의 처리를 낭비하지 않고 최적화 사용이 가능해지며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내압을 효율적 및 탄력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olved by using the
MEGI 엔진의 로드가 낮은 경우(일례로 선박이 저속 추진(16Knot이하)하는 경우 또는 선박이 Port in&out 또는 Anchoring(화물 선적 또는 하역시)하는 경우)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 내의 저장된 액화가스의 양이 적으므로(저속으로 선박을 추진하는 경우 또는 선박이 Port in&out 또는 Anchoring인 경우는 항해 말기이므로 추진연료인 액화가스의 저장량이 적음) 그에 따른 증발가스 발생량이 적어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내압 상승이 매우 적어 증발가스를 별도로 처리할 필요가 없다.In the case where the load of the MEGI engine is low (for example, when the ship is propelled at low speed (16Knot or less), or when the ship is ported in & out or anchoring (cargo loading or unloading)), the stored liquefied gas (In the case of propelling a ship at a low speed or in the case of a port in & out or anchoring, the storage amount of the liquefied gas as the propellant fuel is small since it is at the end of navigation)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treat the evaporation gas.
따라서, MEGI 엔진의 로드가 낮은 경우는, 증발가스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액화가스 저장탱크(10) 내부에 그대로 축압하여 증발가스를 낭비하지 않고 최적화 사용이 가능해지며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내압을 효율적 및 탄력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when the load of the MEGI engine is low, it is possible to optimally use the liquid
다음으로 도 2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 2를 살펴보도록 한다. Next, FIG. 2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explain the embodiment of FIG.
제어부(90)는, 제1 수요처(60)로부터 로드 신호를 수신받아 제1 수요처(60)의 로드가 높은 경우, 증발가스 토출밸브(112)에는 개도개방신호, 증발가스 분리밸브(113)에는 제4 라인(L4)측 개도 폐쇄신호와 증발가스 압축기(20)측 및 재응축기(30)측 개도 개방신호, 제1 펌프(11)에는 펌프구동신호를 송신하여 재응축기(30)가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증발가스와 액화가스를 모두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응축기(30)에서 재응축된 액화가스 또는 증발가스를 제1 수요처(60)의 연료로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load of the
제어부(90)는, 제1 수요처(60)로부터 로드 신호를 수신받아 제1 수요처(60)의 로드가 낮은 경우, 증발가스 토출밸브(112)에는 개도 개방신호, 증발가스 분리밸브(113)에는 증발가스 압축기(20)측 및 제4 라인(L4)측 개도 개방신호와 재응축기(30)측 개도 폐쇄신호를 송신하고, 제1 펌프(11)에는 펌프 구동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재응축기(30)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액화가스만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고 액화가스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는 제2 수요처(61)로 공급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의 실시예와는 달리 제1 수요처(60)의 로드가 낮은 경우라도 증발가스 압축기(20)는 구동되며 압축된 증발가스가 제2 수요처(61)로 공급되게 된다.When the load of the
도 2의 실시예에서는 도 1의 실시예와 제1 수요처(60)의 로드가 낮은 경우에 구동 방법의 차이가 있으며, 이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 내에 축압방식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또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 내의 발생된 증발가스를 모두 소비하기를 원하는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FIG. 2,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embodiment of FIG. 1 and the driving method when the load of the
즉, 본 발명의 도 2의 실시예에서 제1 수요처(60)의 로드가 낮은 경우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는, 제2 라인(L2)을 통해서 증발가스 압축기(20)에서 6 내지 8bar로 가압된 후 재응축기(30)가 아닌 분기된 제4 라인(L4)을 통해서 제2 수요처(61)로 공급된다. 이때,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는 제2 수요처(61)에서 DFDG를 가동하도록 함으로써, 잉여 증발가스가 전력의 형태로 변환되어 저장되거나 제2 수요처(61)에서 보일러를 가동하여 스팀의 형태로 변환되어 저장됨으로써, 잉여 증발가스를 낭비하지 않고 고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2, when the load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1)은, 재응축기(30)를 통해 증발가스를 처리하여 액화가스의 낭비를 방지하고 최적화된 사용을 보장할 수 있으며, 증발가스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구성을 줄일 수 있어 시스템 구축 비용이 절감되고 선박 내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iquefied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3 and 4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a liquefied gas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1)은, 액화가스 저장탱크(10), 제1 펌프(11), 증발가스 압축기(20), 재응축기(30), 제2 펌프(40), 기화기(50), 제1 수요처(60), 제2 수요처(61), 클러치(72) 및 샤프트 제너레이터(80), 제어부(90), 증발가스 토출밸브(112), 증발가스 분리밸브(1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선박(부호도시하지 않음)은, 일례로 컨테이너 선(Container Ship) 또는 벌크 선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3 and 4, a liquefied
본 실시예는 클러치(72) 및 샤프트 제너레이터(80)의 구성이 추가되었으며 제어부(90)의 제어가 변경되었으며, 그 외의 구성은 상기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clutch 72 and the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1)을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liquefied
클러치(clutch; 72)는, 프로펠러 축(71) 상에 구비되어 제1 수요처(60)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프로펠러(7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또는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클러치(72)는, 선박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클러치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내용으로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clutch 72 may be provided on the
여기서 클러치(72)는, 후술할 샤프트 제너레이터(80)와 프로펠러(70)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후술할 제어부(90)로부터 물림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수요처(60)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프로펠러(70)로 전달되도록 하고, 제어부(90)로부터 해제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수요처(60)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프로펠러(7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The clutch 72 may be provided between a
클러치(72)에 의해 동력 전달이 차단된 프로펠러(70)는, 선박의 직진에 대한 관성으로 해수에 의해 자연스럽게 회전하거나 정지할 수 있으며, 이때 제1 수요처(60)에서 발생된 동력은 모두 샤프트 제너레이터(80)로 공급될 수 있다.The
샤프트 제너레이터(Shaft Generator; 80)는, 프로펠러 축(71)과 결합하여 연동되며, 제1 수요처(60)로부터 동력을 얻어 전력을 발생시키고, 전력을 에너지 저장 설비(Energy Storage System; 도시하지 않음)에 공급하여 전력을 에너지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샤프트 제너레이터(80)는, 제1 수요처(60)의 구동에 대해 저항을 주는데(여기서 제1 수요처(60)는 MEGI 엔진), 이 저항으로 선박은 제1 수요처(60) 즉, MEGI엔진의 출력을 증가시키더라도 속도가 증가하지 않고 액화가스 또는 증발가스를 소모할 수 있다. The
샤프트 제너레이터(80)는, 에너지 저장 설비와의 사이에 전력공급라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연결되어 샤프트 제너레이터(80)에서 발생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전력공급라인 상에 변환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샤프트 제너레이터(80)에서 발생된 전력을 에너지 저장 설비가 필요로 하는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The
제어부(90)는, 선박의 추진 정보를 외부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고, 클러치(71), 샤프트 제너레이터(80), 증발가스 토출밸브(112), 증발가스 분리밸브(113) 또는 제1 펌프(11)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구동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제어부(90)를 통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며, 도 3의 실시예에서 제어부(90)는, 클러치(71), 샤프트 제너레이터(80), 증발가스 토출밸브(112) 및 제1 펌프(11)만을 제어하고 도 4의 실시예에서 제어부(90)는 샤프트 제너레이터(80), 증발가스 토출밸브(112), 증발가스 분리밸브(113) 및 제1 펌프(11)를 제어한다.3 and 4, the
먼저 도 3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 3을 살펴보도록 한다. First, FIG. 3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explain the embodiment of FIG.
제어부(90)는, 선박의 추진정보 수신 유무와 관계없이 증발가스 토출밸브(112)에는 개도 개방신호와 제1 펌프(11)에는 펌프구동신호를 송신하여 재응축기(30)가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증발가스와 액화가스를 모두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응축기(30)에서 재응축된 액화가스 또는 증발가스를 제1 수요처(60)의 연료로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제1 수요처(60) 및 샤프트 제너레이터(80)에는 선박의 추진정보 수신 유무와 관계없이 구동신호를 송신하여, 제1 수요처(60) 및 샤프트 제너레이터(80)가 지속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즉, 제어부(90)의 제어를 통해서 재응축기(30)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공급되는 증발가스가 증발가스 압축기(20)를 통해 약 6 내지 8bar로 가압되어 공급받고,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화가스가 제1 펌프(11)를 통해 약 6 내지 8bar로 가압되어 공급받아 액화가스와 증발가스를 서로 혼합하여 증발가스를 재응축시키고, 재응축된 액화가스 또는 증발가스를 제2 펌프(40)를 통해 약 200 내지 400bar로 가압하고 기화기(50)로 기화시켜 제1 수요처(60)의 연료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1 수요처(60)는 계속해서 연료를 공급받아 구동됨로 동력이 계속해서 발생되고, 발생된 동력을 샤프트 제너레이터(80)가 공급받아 전력생산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다. That is, under the control of the
다만, 제어부(90)는, 외부로부터 선박의 추진정보를 수신받아 선박의 추진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클러치(72)에 물림신호를 송신하여, 제1 수요처(60)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프로펠러(70)로 전달하여 선박이 추진하도록 제어하고, 선박의 추진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클러치(72)에 해제신호를 송신하여, 제1 수요처(60)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프로펠러(70)로 전달하는 것을 차단하여 선박이 미추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즉, 제어부(90)가 선박의 추진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클러치(72)를 통해 프로펠러(70)와 제1 수요처(60)를 연결하여 제1 수요처(60)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선박의 추진에 사용함과 동시에 샤프트 제너레이터(80)를 통해서 전력을 발생시키고, 선박의 추진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클러치(72)를 통해 프로펠러(70)와 제1 수요처(60)의 연결을 차단하여 제1 수요처(60)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모두 샤프트 제너레이터(80)를 통해 전력을 발생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여기서 선박의 추진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는, 바람직하게 선박이 약 18knot 이상으로 추진하도록 하는 경우이고, 선박의 추진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는, Anchoring(화물 선적 또는 하역)하는 경우일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propulsion signal of the ship is received, it is preferable that the ship is propelled at about 18 knots or more, and when the propulsion signal of the ship is not received, it may be anchoring (cargo loading or unload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선박의 추진과 관계없이 항상 샤프트 제너레이터(80)를 구동시킬 수 있어, 전력 공급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전력의 효율적인 생산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으며, 증발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연소시켜 버리는 방식이 아닌 전력으로 변환하여 다른 에너지로 재생산함으로써, 증발가스의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사용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도 4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 4를 살펴보도록 한다. Next,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FIG. 4 in order to explain the embodiment of FIG. 4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90)는, 선박의 추진정보 수신 유무와 관계없이 증발가스 토출밸브(112)에는 개도 개방신호를 송신하여 증발가스 압축기(30)가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압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다만, 제어부(90)는, 외부로부터 선박의 추진정보를 수신받아 선박의 추진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1 펌프(11)에 펌프구동신호, 증발가스 분리밸브(113)에는 제4 라인(L4)측 개도 폐쇄신호와 증발가스 압축기(20)측 및 재응축기(30)측 개도 개방신호, 제1 수요처(60) 및 샤프트 제너레이터(80)에는 구동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재응축기(30)가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증발가스와 액화가스를 모두 공급받아 재응축기(30)에서 재응축된 액화가스 또는 증발가스를 제1 수요처(60)의 연료로 공급하여 제1 수요처(60)가 구동됨과 함게 동력이 발생되도록 하고, 발생된 동력을 구동되는 샤프트 제너레이터(80)를 통해 전력을 생성함과 동시에 선박이 추진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driving signal of the ship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the
그리고 제어부(90)는, 외부로부터 선박의 추진정보를 수신받아 선박의 추진신호가 수신되는 않는경우, 제1 펌프(11)에는 펌프구동중단신호, 증발가스 분리밸브(113)에는 증발가스 압축기(20)측 및 제4 라인(L4)측 개도 개방신호와 재응축기(30)측 개도 폐쇄신호, 제1 수요처(60) 및 샤프트 제너레이터(80)에는 구동정지신호, 제2 수요처(61)에는 구동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제1 수요처(60)로의 연료 공급을 중단하여 제1 수요처(60)의 가동을 중지하고, 제2 수요처(61)로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를 공급하여 제2 수요처(61; DFDG)에서 전력 또는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수요처(61)의 DFDE는 증발가스를 통해 전력을 생산하고, 보일러는 증발가스를 통해서 스팀을 생산할 수 있다. When the propulsion signal of the ship is not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the propulsion signal of the ship is not received, the
여기서 선박의 추진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는, 바람직하게 선박이 약 18knot 이상으로 추진하는 경우이고, 선박의 추진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는, Anchoring(화물 선적 또는 하역)하는 경우일 수 있다.Here, when the ship's propulsion signal is received, it is preferable that the ship propels at about 18 knots or more, and when it does not receive the propulsion signal of the ship, it may be anchoring (cargo loading or unload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선박의 추진시에는 샤프트 제너레이터(80)를 구동시켜 전력을 발생시키고, 선박의 미추진시에는 DFDG를 구동시켜 전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전력의 지속적인 생산이 가능해지고 전력 공급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증발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연소시켜 버리는 방식이 아닌 전력 또는 스팀으로 변환시켜 다른 에너지로 재생산함으로써, 증발가스의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사용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hip is propelled, the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1)은, 재응축기(30)를 통해 증발가스를 처리하여 액화가스의 낭비를 방지하고 최적화된 사용을 보장할 수 있으며, 증발가스를 처리하는테 필요한 구성을 줄일 수 있어 시스템 구축 비용이 절감되고 선박 내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iquefied
또한, 선박의 추진 유무에 상관없이 클러치(72)를 통해 선박의 미추진시에도 샤프트 제너레이터(80)를 항시 구동하거나, DFDG를 통해 선박의 미추진시에도 전력을 생산하여 선박의 추진상황에 관계없이 전력을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어, 잉여 증발가스의 처리를 전력으로 변환 사용할 수 있게되어 증발가스의 경제적인 사용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ship is propelled, th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liquefied gas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1)은, 액화가스 저장탱크(10), 제1 펌프(11), 제1 열교환기(12), 증발가스 압축기(20), 예열기(21), 제1 수요처(60), 제어부(9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박(부호도시하지 않음)은, 일례로 가스 터빈 추진 LNG 운반선 또는 컨테이너 선일 수 있으며, 선박이 컨테이너 선인 경우에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가 B type 탱크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5, a liquefied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1)을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liquefi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라인(L1~L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라인에는 개도 조절이 가능한 밸브(도시하지 않음)들이 설치될 수 있으며, 각 밸브의 개도 조절에 따라 증발가스의 공급량이 제어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further include first and second lines L1 to L2. Valves (not shown) capable of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may be provided in each line, and the supply amount of the evaporation gas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opening degree of each valve.
제1 라인(L1)은, 액화가스 저장탱크(10)와 제2 라인(L2) 상의 증발가스 압축기(20) 후단에 연결되며, 제1 펌프(11) 및 제1 열교환기(12)를 구비할 수 있고,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액화가스를 제1 펌프(11)를 통해 제2 라인(L2)으로 공급할 수 있다.The first line L1 is connected to the liquefied
제2 라인(L2)은, 액화가스 저장탱크(10)와 제1 수요처(60)를 연결하며, 증발가스 압축기(20), 예열기(21) 및 제1 압력센서(901)를 구비할 수 있고,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증발가스를 증발가스 압축기(20)를 통해 제1 수요처(60)로 공급할 수 있다. The second line L2 connects the liquefied
액화가스 저장탱크(10)는, 상기에서 기술한 본 발명의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서의 액화가스 저장탱크(10)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갈음하도록 한다.The liquefied
제1 펌프(11)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가압하여 제1 열교환기(12)로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펌프(11)는, 제1 라인(L1) 상에 액화가스 저장탱크(10)와 제1 열교환기(12) 사이에 구비되어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제1 열교환기(12)로 공급할 수 있다.The first pump (11) can pressurize the liquefied gas stored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10) and supply it to the first heat exchanger (12). Specifically, the
제1 펌프(11)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약 수 내지 수십 bar(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50bar)로 가압하여 제1 열교환기(12)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펌프(11)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되는 액화가스를 가압하여 압력 및 온도를 다소 높일 수 있으며, 제1 펌프(11)에 의해 가압된 액화가스는 여전히 액체 상태일 수 있다.The
제1 펌프(11)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내부에 구비되거나,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화가스의 수위보다 낮은 위치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잠형 또는 왕복동형일 수 있다.The
또한, 제1 펌프(11)는, 가변용량형 펌프로 전력의 공급에 따라 토출되는 압력 또는 유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펌프(11)는, 공급되는 전력이 많아지면 많아진 전력의 양에 비례하여 토출되는 액화가스의 압력 또는 유량이 증가하며, 공급되는 전력이 작아지면 적어진 전력의 양에 비례하여 토출되는 액화가스의 압력 또는 유량이 감소하게 된다. Further, the
제1 펌프(11)는, 후술할 제어부(9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부(90)에 의해서 공급되는 전력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제어부(90)를 통해서 제1 펌프(11)가 제어되는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amount of electric power supplied to the
제1 열교환기(12)는, 제1 펌프(11)에 의해 30 내지 50bar(바람직하게는 약 40bar)로 가압된 액화가스를 공급받아 가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열교환기(12)는, 제1 라인(L1) 상의 제1 펌프(11) 하류에 구비되어 제1 펌프(11)로부터 공급되는 가압된 액화가스를 공급받아 약 영상 40 내지 50도로 가열한 후 제1 수요처(60)로 공급하여 제1 수요처(60)가 요구하는 상태의 액화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The
즉, 제1 열교환기(12)는, 제1 펌프(11)로부터 압력 약 30 내지 50bar(바람직하게는 약 40bar), 온도 약 영하 163도 내지 영하 160도의 상태를 가지는 액화가스를 공급받아 약 영상 40 내지 50도(바람직하게는 약 45도)로 가열한 후 제1 수요처(6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1 열교환기(12)는, 액화가스를 가열하는 열원으로 글리콜 워터(Glycol Water), 스팀(Steam) 또는 해수(Sea Water)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액화가스의 압력을 변동없이 제1 수요처(60)로 공급할 수 있다.That is, the
증발가스 압축기(20)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를 가압한다. 구체적으로, 증발가스 압축기(20)는, 제2 라인(L2) 상에 예열기(21) 하류에 마련되어,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되어 배출되는 증발가스를 약 30 내지 50bar(바람직하게 40bar)로 가압하여 제1 수요처(60)에 공급할 수 있다.The evaporative gas compressor (20) pressurizes the evaporative gas generated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10). Specifically, the
증발가스 압축기(20)는, 복수로 구비되어 증발가스를 다단 가압시킬 수 있으며, 일례로 증발가스 압축기(20)는 3개가 구비되어 증발가스가 3단 가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든 3단 압축기는 단지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3단에 한정되지 않는다.A plurality of
이때 증발가스 압축기(20)는, 압력 약 1bar 내지 2bar의 증발가스를 약 30 내지 50bar까지 가압할 수 있으며, 제2 라인(L2)을 통해 제1 수요처(6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증발가스 압축기(20)는, 왕복동형(Reciprocating type) 압축기일 수 있다. 왕복동형 압축기는 약 30 내지 50bar로의 가압이 가능하며, 제1 수요처(60)가 요구하는 압력에 따라 가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증발가스 압축기(20)는, 상온 압축기일 수 있으며, 예열기(21)에 의해서 극저온의 증발가스를 약 영하 20 내지 10도(바람직하게는 영하 15도)로 상승시킨 증발가스를 공급받아 다단 압축을 통해서 약 영상 30 내지 50도(바람직하게는 약 45도)로 가열할 수 있다. The
즉, 증발가스 압축기(20)는, 압력 약 1bar 내지 2bar(바람직하게는 1.03bar) 및 온도 약 영하 20 내지 10도(바람직하게는 영하 15도)의 증발가스를 다단 압축을 통해서 압력 약 30 내지 50bar(바람직하게는 40bar) 및 온도 약 영상 30 내지 50도(바람직하게는 영상 45도)의 상태로 제1 수요처(60)로 공급할 수 있다.That is,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증발가스 압축기(20)의 하류에 제1 라인(L1)과 합류되어 제1 펌프(11)에 의해서 가압되어 제1 열교환기(12)를 통해 가열되어 기화된 액화가스와 증발가스 압축기(20)에 의해서 가압된 증발가스가 혼합되어 제1 수요처(60)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증발가스와 액화가스가 증발가스 압축기(20)의 하류에서 합류될 시, 압력은 30 내지 50bar(바람직하게는 40bar)이며 온도는 약 영상 30 내지 50도(바람직하게는 45도)일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efied gas which is joined to the first line (L1) at the downstream of the evaporative gas compressor (20) and pressurized by the first pump (11) and heated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12) And the evaporated gas pressurized by the evaporative gas compressor (20) may be mixed and supplied to the first customer (60). Here, when the evaporation gas and the liquefied gas are merged downstream of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증발가스 압축기(20)의 각 후단에는 증발가스 냉각기(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증발가스 압축기(20)에 의하여 증발가스가 가압되면, 압력 상승에 따라 온도 역시 상승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증발가스 냉각기를 사용하여 증발가스의 온도를 다시 낮춰줄 수 있다. 증발가스 냉각기는, 증발가스 압축기(20)와 동일한 수로 설치될 수 있으며, 각 증발가스 냉각기는, 각 증발가스 압축기(20)의 하류에 마련될 수 있다. 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vaporative gas cooler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each rear end of the
예열기(21)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증발가스 압축기(20)가 상온 증발가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가열하여 증발가스 압축기(20)로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열기(21)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되는 극저온(약 영하 90도)의 증발가스를 스팀(Steam), 해수(Sea Water) 또는 기타의 가열 열매를 사용하여 약 영하 20도 내지 10도(바람직하게는 영하 15도)로 가열할 수 있다. The
이때,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는 약 1.06bar의 압력을 가지고 있으나 예열기(21)를 통과하면서 압력이 약 1.03bar로 감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vaporated gas generated in the liquefied
제1 수요처(60)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공급되는 액화가스 또는 증발가스를 연료로 사용한다. 즉, 제1 수요처(60)는, 액화가스 또는 증발가스를 필요로 하며 이를 원료로 하여 구동될 수 있다. 제1 수요처(60)는, 터빈(예를들어 가스터빈)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여기서 제1 수요처(60)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와 제1 라인(L1) 및 제2 라인(L2)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약 30 내지 50bar(바람직하게는 40bar)의 압력으로 가압된 액화가스 또는 증발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다.Here, the
터빈은, 가스터빈, 스팀터빈 및 폐열을 이용한 스팀 터빈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터빈은 전력을 생산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직접 프로펠러를 돌리는 구동축에 연결되어 선체의 동력을 발생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The turbine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gas turbine, a steam turbine, and a steam turbine using waste heat. Turbines can be used to generate power and can be used to power the hull by connecting directly to a drive shaft that propels the propeller.
제1 수요처(21)는, 약 30 내지 50bar 정도로 가압된 증발가스를 사용하는 엔진일 수 있으며, 프로펠러를 구동하기 위한 엔진일 수 있고, 터빈일 수 있다. 터빈은, 가스터빈, 스팀터빈 및 폐열을 이용한 스팀터빈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가스터빈으로 사용될 수 있다. 터빈은 전력을 생산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생성된 전력을 통해 프로펠러 축(71)을 간접 구동하여 프로펠러(70)를 회전시키거나 직접 프로펠러 축(71)에 연결되어 프로펠러(70)를 회전시켜 선박의 동력을 발생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The
제1 수요처(60)는, 증발가스 압축기(20)를 통해 가압된 증발가스 또는 제1 펌프(11) 및 제1 기화기(12)를 통해 가압 기화된 액화가스를 공급받아 구동력을 얻을 수 있으며, 증발가스 또는 액화가스는 제1 수요처(60)가 요구하는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제어부(90)는, 제1 압력센서(901)를 더 포함하며, 제1 압력센서(901) 및 제1 펌프(1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1 압력센서(901)로부터 압력값을 수신받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펌프(11)를 제어할 수 있다. The
여기서 제1 압력센서(901)는, 제2 라인(L2) 상의 제1 수요처(60)와 증발가스 압축기(20) 사이에 구비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수요처(60)와 제1 라인(L1)이 합류되는 지점 사이에 구비되어 제1 수요처(60)로 공급되는 연료의 압력을 측정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부(90)로 송신할 수 있다.The
제어부(90)는, 제1 압력센서(901)로부터 제2 라인(L2) 상의 제1 수요처(60) 전단 압력을 수신받을 수 있고, 제1 수요처(60)의 전단 압력이 제1 수요처(60)가 요구하는 압력(바람직하게는 약 40bar)보다 높은 경우, 제1 펌프(11)로 공급되는 전력을 줄여 제1 펌프(11)의 로드가 낮아지도록 하여 토출되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줄일 수 있으며, 제1 수요처(60)의 전단 압력이 제1 수요처(60)가 요구하는 압력(바람직하게는 약 40bar)보다 낮은 경우, 제1 펌프(11)로 공급되는 전력을 늘려 제1 펌프(11)의 로드가 높아지도록 하여 토출되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e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는 전량 증발가스 압축기(20)에 의해서 가압 처리되어 제1 수요처(60)로 공급되게 된다.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vaporated gas generated in the liquefied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는 전량 증발가스 압축기(20)에 의해서 가압 처리되어 제1 수요처(60)로 공급됨과 동시에 제1 펌프(11)를 통해서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화가스가 가압되어 제1 수요처(60)로 공급됨으로써 제1 수요처(60)의 전단 압력이 약 40bar를 유지하게 된다. 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evaporation gas generated in the liquefied
그러나,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의 양이 줄어들어 증발가스 압축기(20)에 의해서 제1 수요처(60)로 공급되는 증발가스의 양이 줄어들게 되면 제1 압력센서(901)에 의해 측정되는 제1 수요처(60)의 전단 압력은 약 40bar보다 작아지게 되고, 그로 인해 제1 수요처(60)의 구동 효율이 줄어들고 심각한 경우에는 정지될 우려가 있다. However, when the amount of evaporative gas generated in the liquefied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제어부(90)가 제1 압력센서(901)를 통해서 제1 수요처(60) 전단 압력을 수신받아, 제1 수요처(60)의 전단 압력이 약 40bar보다 낮은 경우, 제1 펌프(11)로 공급되는 전력을 늘려 제1 펌프(11)의 로드가 높아지도록 하여 토출되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늘림으로써, 제1 수요처(60) 전단의 압력이 다시 40bar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제1 수요처(60)로 연료 공급의 유연성이 증대되고 구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상기의 경우와는 반대로,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의 양이 늘어나게되어 증발가스 압축기(20)에 의해서 제1 수요처(60)로 공급되는 증발가스의 양이 증가하게 되면 제1 압력센서(901)에 의해 측정되는 제1 수요처(60)의 전단 압력은 약 40bar보다 커지게 되고, 그로 인해 제1 수요처(60)로 과압이 걸려 구동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 Contrary to the above case, when the amount of evaporative gas generated in the liquefied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어부(90)가 제1 압력센서(901)를 통해서 제1 수요처(60) 전단 압력을 수신받아, 제1 수요처(60)의 전단 압력이 약 40bar보다 높은 경우, 제1 펌프(11)로 공급되는 전력을 줄여 제1 펌프(11)의 로드가 낮아지도록 하여 토출되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줄임으로써, 제1 수요처(60) 전단의 압력이 다시 40bar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제1 수요처(60)로 연료 공급의 유연성이 증대되고 구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1)은, 액화가스와 증발가스의 처리를 병렬로 구현하여 구동의 유연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으며, 제1 펌프(11)를 가변용량형으로 구성하여 고정용량형 펌프에 비해 펌프 구동 소모전력을 최소화하고, 제1 펌프(11)를 한 번에 약 40bar로 가압하도록 구성하여 추가 부스팅 펌프 및 석션드럼을 추가 구비할 필요가 없어 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는 전량 증발가스 압축기(20)로 가압하여 제1 수요처(60)로 공급하고, 이를 기반으로 제어부(90)가 제1 압력센서(901)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에 따라 제1 펌프(11)의 제1 수요처(60)로의 공급을 종속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시스템의 구동 유연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iquefi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1)은, 증발가스 압축기(20) 후단에 제1 펌프(11) 및 제1 열교환기(12)에 의해 가압 가열된 액화가스를 공급하는 제1 라인(L1)이 연결되어, 증발가스 압축기(20)의 압축 size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고 그로 인해 증발가스 압축기(20)의 부하가 감소하여 소모 전력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The liquefied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liquefied gas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1)은, 액화가스 저장탱크(10), 제1 펌프(11), 제1 열교환기(12), 증발가스 압축기(20), 예열기(21), 제1 수요처(60), 제3 수요처(62), 제어부(90) 를 포함한다. 여기서 선박(부호도시하지 않음)은, 일례로 가스 터빈 추진 LNG 운반선 또는 컨테이너 선일 수 있으며, 선박이 컨테이너 선인 경우에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가 B type 탱크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6, a liquefied
본 실시예는 제3 수요처(62)의 추가 구성과 제어부(90)의 변경이 있으며, 그 외의 구성은 상기 도 5의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된다. 앞서 설명한 도 5의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re is a further configuration of the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1)을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liquefi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4 라인(L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라인(L4)은, 액화가스 저장탱크(10)와 후술할 제3 수요처(62)를 연결하며,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제3 수요처(62)로 공급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line L4. The fourth line L4 connects the liquefied
이때, 제4 라인(L4)에는 개도 조절이 가능한 증발가스 조절밸브(621)가 더 포함되어 제4 라인(L4)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증발가스 조절밸브(621)는 후술할 제1 제어부(90)의 제어를 통해 개도가 조절되어 제3 수요처(62)로 공급되는 증발가스의 공급량이 제어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ourth line L4 may further include an evaporation
제3 수요처(62)는, 제1 제어부(90)를 통해 증발가스 제어밸브(621)의 개도조절을 통해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공급받아 증발가스를 소비할 수 있으며, 가스연소장치(GCU; 도시하지 않음), 보일러(도시하지 않음) 및 스팀 제너레이터(Steam Generator; 도시하지 않음)일 수 있다.The
제어부(90)는, 제1 수요처(60)로부터 증발가스 필요량과 외부로부터 선박의 전력 필요량을 수신받아 선박의 전력필요량에 따른 액화가스 또는 증발가스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제1 제어부(91), 제2 제어부(92) 및 제3 제어부(9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제1 제어부(91)는, 선박에 사용되는 전력을 제1 수요처(60)가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수요처(60)의 증발가스필요량(이하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이라 칭함)을 계산후,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과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증발가스 발생량을 비교하여 제2 제어부(92)와 제3 제어부(93)를 통해 액화가스와 증발가스의 공급을 선택한다. The
제2 제어부(92)는, 액화가스의 공급을 제어하며, 제1 수요처(60)의 전단 압력이 약 40bar를 유지하도록 액화가스를 제어할 수 있다.The
제3 제어부(93)는, 증발가스의 공급을 제어하며,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내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이하 제1 내지 제3 제어부(91-93)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first to
제1 제어부(91)는, 선박에 사용되는 전력을 제1 수요처(60)가 발생시키기 위한 증발가스필요량(이하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이라 칭함)을 계산할 수 있고,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과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증발가스 발생량을 비교하여 제2 제어부(92) 또는 제3 제어부(93)가 가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이때, 제1 제어부(91)는, 제2 제어부(92), 제3 제어부(93), 제2 압력센서(902) 및 제1 수요처(6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제1 제어부(91)는, 제2 압력센서(902)를 통해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내부 압력값을 수신받아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량을 계산할 수 있고, 제1 제어부(91)에 구비되는 별도의 계산 테이블을 통해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을 계산할 수 있다. The
여기서, 계산 테이블은, 입력값에 선박에 미리 정해진 사용자값 또는 기타 전력기구들의 전력예상소모량을 통해 계산된 값을 입력하면, 이에 대응되는 결과값, 즉,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값이 산출될 수 있는 함수가 기재되어 있다.Here, in the calculation table, if a value calculated through a predetermined user value or a power estimated consumption amount of other power mechanisms is input to the input value, the corresponding result value, that is, Is described.
이하에서 제1 제어부(91)의 가동매커니즘을 살펴보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mechanism of the
제1 제어부(91)는,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을 토대로 제1 수요처(60)에 가동명령을 내려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만큼 가동하도록 한다.The
이후, 산출된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량과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을 비교하여,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이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증발가스발생량보다 많은 경우, 제2 제어부(92)와 제3 제어부(93) 각각에 제1 명령을 송신하고,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이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증발가스 발생량보다 적은 경우, 제2 제어부(92)와 제3 제어부(93) 각각에 제2 명령을 송신한다. Then, when the amount of evaporated gas generated in the liquefied
제1 명령이란, 액화가스와 증발가스가 모두 제1 수요처(60)로 공급되도록 하는 명령이며, 제2 명령이란, 제1 수요처(60)로 액화가스 공급은 중단하고 증발가스만 공급하도록 하며, 잉여 증발가스는 제3 수요처(62)로 공급되도록 하는 명령이다.The first command is a command to supply both the liquefied gas and the evaporated gas to the
여기서 제2 압력센서(902)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내부 또는 외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에 의해 상승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1 제어부(91) 또는 제3 제어부(93)로 송신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제어부(91)를 통해서 선박의 필요전력량과 액화가스 저장탱크(10) 내부의 증발가스량을 비교하여 병렬구동함에 따라 선박의 필요전력을 지속적으로 생산하고,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내부 압력을 적절히 조절함과 동시에 제1 수요처(60)의 구동을 원활하게 이루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quired power amount of the ship is compared with the evaporated gas amount in the liquefied
제2 제어부(92)는, 제1 압력센서(901)를 더 포함하며, 제1 압력센서(901), 제1 펌프(11) 및 제1 제어부(9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제2 제어부(92)는, 제1 압력센서(901)로부터 압력값을 수신받으며,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이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증발가스 발생량보다 많은 경우에 제1 제어부(91)로부터 제1 명령을 수신받아 제1 펌프(11)를 구동하며, 제1 수요처(60)의 증발가스 필요량이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증발가스 발생량보다 적은 경우에 제1 제어부(91)로부터 제2 명령을 수신받아 제1 펌프(11)의 구동을 중단할 수 있다. The
여기서 제1 압력센서(901)는, 제2 라인(L2) 상의 제1 수요처(60)와 증발가스 압축기(20) 사이에 구비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수요처(60)와 제1 라인(L1)이 합류되는 지점 사이에 구비되어 제1 수요처(60)로 공급되는 연료의 압력을 측정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2 제어부(92)로 송신할 수 있다.The
이하에서, 제2 제어부(92)의 매커니즘을 기술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mechanism of the
먼저 제2 제어부(92)가 제1 제어부(91)로부터 제1 명령을 송신받은 경우의 매커니즘을 설명한다.First, a mechanism when the
제2 제어부(92)는, 제1 제어부(91)로부터 제1 명령를 수신받은 후,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에서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증발가스 발생량의 차이만큼을 제1 펌프(11)가 제1 수요처(60)로 공급하도록 하여 제1 수요처(60)로의 연료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이후, 제2 제어부(92)는, 제1 압력센서(901)로부터 제2 라인(L2) 상의 제1 수요처(60) 전단 압력을 수신받아, 제1 수요처(60)의 전단 압력이 제1 수요처(60)가 요구하는 압력(바람직하게는 약 40bar)보다 높은 경우, 제1 펌프(11)로 공급되는 전력을 줄여 제1 펌프(11)의 로드가 낮아지도록 하여 토출되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줄일 수 있으며, 제1 수요처(60)의 전단 압력이 제1 수요처(60)가 요구하는 압력(바람직하게는 약 40bar)보다 낮은 경우, 제1 펌프(11)로 공급되는 전력을 늘려 제1 펌프(11)의 로드가 높아지도록 하여 토출되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e
이때,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는 전량 증발가스 압축기(20)에 의해서 가압 처리되어 제1 수요처(60)로 공급되게 된다. 이는 제3 제어부(92)에 의해서 제어되며 이는 후술하도록 한다.At this time, all of the evaporation gas generated in the liquefied
상기 기술내용에서는, 제1 수요처(60)의 전단 압력이 제1 수요처(60)가 요구하는 압력(바람직하게는 약 40bar)보다 높은 경우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의 양이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보다 많게되는 일시적으로 제1 펌프(11)의 공급량이 늘어나는 변동상태를 말한다.(정상상태(steady state)가 아님)In the above description, when the pressure at the front end of the
다음 제2 제어부(92)가 제1 제어부(91)로부터 제2 명령을 송신받은 경우의 매커니즘을 설명한다.Next, the mechanism when the
제2 제어부(92)는, 제1 제어부(91)로부터 제2 명령를 수신받은 후, 제1 펌프(11)가 구동중단하도록 하여 제1 수요처(60)로 액화가스의 공급이 중단되도록 할 수 있다.The
이때, 제1 수요처(60)로는 증발가스만이 공급되며, 이는 제3 제어부(92)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으로 후술하도록 한다.At this time, only the evaporated gas is supplied to the
제3 제어부(93)는,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이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증발가스 발생량보다 많은 경우 제1 제어부(91)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1 명령을 수신받아 증발가스 압축기(20)를 구동시킬 수 있고,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이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증발가스 발생량보다 적은 경우에 제1 제어부(91)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2 명령을 수신받아 증발가스 압축기(20) 또는 증발가스 조절밸브(621)를 구동시킬 수 있다.The
제3 제어부(93)는, 제2 압력센서(902), 제1 제어부(91), 증발가스 압축기(20) 및 증발가스 조절밸브(62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2 압력센서(902)로부터 압력값을 수신받으며, 제1 제어부(91)로부터 명령을 수신받고, 증발가스 압축기(20) 및 증발가스 조절밸브(621)에 구동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The
이하에서, 제3 제어부(93)의 매커니즘을 기술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mechanism of the
먼저 제3 제어부(93)가 제1 제어부(91)로부터 제1 명령을 송신받은 경우의 매커니즘을 설명한다.First, the mechanism when the
제3 제어부(93)는,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이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증발가스 발생량보다 많은 경우에 제1 제어부(91)로부터 제1 명령을 수신받아, 증발가스 압축기(20)를 가동시켜 액화가스 저장탱크(10) 내에 발생된 증발가스를 모두 가압하여 제1 수요처(60)로 공급하도록 한다. 이 경우 제1 수요처(60)의 유량은 제2 제어부(92)에 의해 제어되므로 제1 수요처(60)의 전단의 유량은 신경쓰지 않는다. The
다음 제3 제어부(93)가 제1 제어부(91)로부터 제2 명령을 송신받은 경우의 매커니즘을 설명한다.Next, a mechanism when the
제3 제어부(93)는,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이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증발가스 발생량보다 적은 경우에 제1 제어부(91)로부터 제2 명령을 수신받아, 증발가스 압축기(20)를 가동시켜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만큼만 액화가스 저장탱크(10) 내에 발생된 증발가스를 가압하여 제1 수요처(60)로 공급하도록 하고,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증발가스 발생량에서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의 차이만큼을 제3 수요처(62)로 공급하도록 증발가스 조절밸브(621)를 개방하여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내부 압력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The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어부(90)를 통해서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과 액화가스 저장탱크(10) 내부의 증발가스량을 비교하여 액화가스와 증발가스를 병렬공급하도록 함에 따라 선박의 필요전력을 지속적으로 생산하고,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내부 압력을 적절히 조절함과 동시에 제1 수요처(60)의 전단 압력이 약 40bar를 유지하게 되도록 하여 제1 수요처(60)의 구동을 원활하게 이루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gas required for the first demanding customer is compared with the amount of evaporation gas in the liquefied
즉,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1)은, 액화가스와 증발가스의 처리를 병렬로 구현하여 구동의 유연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으며, 선박의 필요전력에 따라 액화가스와 증발가스를 처리하여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내압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liquefie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liquefied gas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1)은, 액화가스 저장탱크(10), 제1 펌프(11), 제2 열교환기(13), 흡기 장치(22), 제1 수요처(60), 제3 수요처(62), 제어부(9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선박(부호도시하지 않음)은, 일례로 가스 터빈 추진 LNG 운반선 또는 컨테이너 선일 수 있으며, 선박이 컨테이너 선인 경우에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가 B type 탱크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7, the liquefied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1)을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liquefi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5 라인(L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 라인(L5)은, 제1 라인(L1) 상의 제1 펌프(11)와 흡기장치(22) 사이에서 분기되어 제2 라인(L2) 상의 흡기장치(22)와 제2 열교환기(13) 사이에 연결되며, 제1 펌프(11)에 의해 공급되는 액화가스를 바이패스하여 제2 열교환기(13)로 공급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fifth line L5. The fifth line L5 is branched from the
이때, 제5 라인(L5)에는 개도 조절이 가능하고 삼방밸브의 형태를 가진 바이패스 밸브(111)가 더 포함되어 제5 라인(L5)과 제1 라인(L1)이 분기되는 지점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이패스 밸브(111)는 후술할 제1 제어부(90)의 제어를 통해 개도가 조절되어 제2 열교환기(13)로 공급되는 액화가스의 공급량이 제어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fth line L5 is further provided with a
액화가스 저장탱크(10)는, 본 발명의 도 1의 실시예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갈음하도록 하고, 제1 펌프(11) 및 제1 수요처(60)는 도 5의 실시예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여 이에 갈음하도록 하며, 제3 수요처(62) 및 증발가스 조절밸브(621)는 본 발명의 도 6의 실시예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갈음하도록 한다.The liquefied
제2 열교환기(13)는, 제1 펌프(11)에 의해 30 내지 50bar(바람직하게는 약 40bar)로 가압된 액화가스를 공급받아 가열하거나, 흡기 장치(22)로부터 약 30 내지 50bar(바람직하게는 40bar)로 가압된 증발가스를 공급받아 가열할 수 있다. The
구체적으로, 제2 열교환기(13)는, 제2 라인(L2) 상의 흡기장치(22)와 제1 수요처(60) 사이에 구비되어 제1 라인(L1) 및 제2 라인(L2)을 통해서 흡기장치(22)로부터 공급되는 증발가스를 또는 제5 라인(L5)을 통해서 제1 펌프(11)로부터 공급되는 가압된 액화가스를 공급받아 약 영상 40 내지 50도(바람직하게는 약 45도)로 가열한 후 제1 수요처(60)로 공급하여 제1 수요처(60)가 요구하는 상태의 액화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즉, 제2 열교환기(13)는, 제1 펌프(11) 또는 흡기장치(22)로부터 압력 약 30 내지 50bar(바람직하게는 약 40bar), 온도 약 영하 163도 내지 영하 160도의 상태를 가지는 액화가스를 공급받아 약 영상 40 내지 50도(바람직하게는 약 45도)로 가열한 후 제1 수요처(6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2 열교환기(13)는, 액화가스를 가열하는 열원으로 글리콜 워터(Glycol Water), 스팀(Steam) 또는 해수(Sea Water)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액화가스의 압력을 변동없이 제1 수요처(60)로 공급할 수 있다.That is, the
흡기 장치(22)는, 제1 펌프(11)로부터 공급되는 액화가스를 구동유체(Driving Fluid)로 하여, 제1 펌프(11)로부터 액화가스를 공급받아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흡입한 후 제2 열교환기(13)로 공급할 수 있으며, 이젝터(Ejector), 이덕터(Eductor) 또는 제트 펌프(jet pump)일 수 있다. The
구체적으로, 흡기 장치(22)는, 제2 라인(L2) 상의 액화가스 저장탱크(10)와 제2 열교환기(13) 사이에 구비되어 제1 라인(L1)과 연결되며, 제1 라인(L1)을 통해서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공급받아 제2 라인(L2)을 통해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 발생된 증발가스를 흡입하여 제2 열교환기(13)로 공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여기서 흡기 장치(22)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 내부에 발생된 증발가스 량 모두를 흡입할 수 있도록 계산된 구동유체량을 제1 펌프(11)를 통해 제1 라인(L1)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제어부(90)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 the
흡기 장치(22)는, 구동유체로 액화가스를 공급받아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를 흡입하여 구동유체인 액화가스와 증발가스가 혼합되며 이때, 구동유체가 가지고 있던 운동에너지는 혼합 유체 전체의 운동에너지로 변환되고, 이어서 흡기 장치(22)의 노즐(부호 도시하지 않음)의 단면이 확대되는 말단부분에서 혼합 유체의 속도가 저하됨에 따라 혼합 유체의 운동에너지는 다시 압력으로 변환하게 된다. 이로 인해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는 약 30 내지 50bar의 압력(바람직하게는 약 40bar)을 얻게된다. The
본 발명에서는, 제1 펌프(11)가 가압되는 압력 또한 약 30 내지 50bar의 압력(바람직하게는 약 40bar)이나 흡기 장치(22)로 유입되는 구동유체는 압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압력하강*구동유체유량인 압력전달용량을 흡입유체(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로 공급하여 흡입 유체의 압력을 상승시키므로 흡입 유체의 압력을 약 30 내지 50bar의 압력(바람직하게는 약 40bar)만큼 상승시키기 위해서 구동 유체는 압력대비 유량을 상당히 증가시켜 이를 만족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at which the
제어부(90)는, 제1 수요처(60)로부터 증발가스 필요량과 외부로부터 선박의 전력 필요량을 수신받아 선박의 전력필요량에 따른 액화가스 또는 증발가스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제1 제어부(91) 및 제2 제어부(9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제1 제어부(91)는, 선박에 사용되는 전력을 제1 수요처(60)가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수요처(60)의 증발가스필요량(이하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이라 칭함)을 계산후,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과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증발가스 발생량을 비교하여 제2 제어부(92)를 통해 액화가스와 증발가스의 공급을 선택한다. The
제2 제어부(92)는, 액화가스 및 증발가스의 공급을 제어하며, 제1 수요처(60)의 전단 압력이 약 40bar를 유지하도록 액화가스를 제어할 수 있다.The
이하 제1 및 제2 제어부(91,92)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first and
제1 제어부(91)는,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을 계산할 수 있고,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과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증발가스 발생량을 비교하여 제2 제어부(92)를 가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여기서 제1 제어부(91)는, 제2 제어부(92), 제2 압력센서(902) 및 제1 수요처(6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제1 제어부(91)는, 제2 압력센서(902)를 통해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내부 압력값을 수신받아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량을 계산할 수 있고, 제1 제어부(91)에 구비되는 별도의 계산 테이블을 통해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을 계산할 수 있다. The
여기서, 계산 테이블은, 입력값에 선박에 미리 정해진 사용자값 또는 기타 전력기구들의 전력예상소모량을 통해 계산된 값을 입력하면, 이에 대응되는 결과값, 즉,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값이 산출될 수 있는 함수가 기재되어 있다.Here, in the calculation table, if a value calculated through a predetermined user value or a power estimated consumption amount of other power mechanisms is input to the input value, the corresponding result value, that is, Is described.
이하에서 제1 제어부(91)의 가동매커니즘을 살펴보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mechanism of the
제1 제어부(91)는,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을 토대로 제1 수요처(60)에 가동명령을 내려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만큼 가동하도록 한다.The
이후, 산출된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량과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을 비교하여,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이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증발가스발생량보다 많은 경우, 제2 제어부(92)에 제1 명령을 송신하고,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이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증발가스 발생량보다 적은 경우, 제2 제어부(92)에 제2 명령을 송신한다. Then, when the amount of evaporated gas generated in the liquefied
제1 명령이란, 액화가스와 증발가스가 모두 제1 수요처(60)로 공급되도록 하는 명령이며, 제2 명령이란, 제1 수요처(60)로 액화가스 공급은 중단하고 증발가스만 공급하며 잉여 증발가스는 제3 수요처(62)로 공급되도록 하는 명령이다.The first command is a command to supply both the liquefied gas and the evaporated gas to the
여기서 제2 압력센서(902)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내부 또는 외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에 의해 상승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1 제어부(91)로 송신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제어부(91)를 통해서 선박의 필요전력량과 액화가스 저장탱크(10) 내부의 증발가스량을 비교하여 병렬구동함에 따라 선박의 필요전력을 지속적으로 생산하고,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내부 압력을 적절히 조절함과 동시에 제1 수요처(60)의 구동을 원활하게 이루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quired power amount of the ship is compared with the evaporated gas amount in the liquefied
제2 제어부(92)는, 제1 압력센서(901)를 더 포함하며, 제1 압력센서(901), 제1 펌프(11), 증발가스 조절밸브(621), 바이패스 밸브(111) 및 제1 제어부(9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제2 제어부(92)는, 제1 압력센서(901)로부터 압력값을 수신받으며,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이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증발가스 발생량보다 많은 경우에 제1 제어부(91)로부터 제1 명령을 수신받아 제1 펌프(11), 바이패스 밸브(111)를 구동하며, 제1 수요처(60)의 증발가스 필요량이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증발가스 발생량보다 적은 경우에 제1 제어부(91)로부터 제2 명령을 수신받아 제1 펌프(11), 증발가스 조절밸브(621)를 구동할 수 있다. The
여기서 제1 압력센서(901)는, 제2 라인(L2) 상의 제1 수요처(60)와 제2 열교환기(13) 사이에 구비되어 제1 수요처(60)로 공급되는 연료의 압력을 측정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1 제어부(90)로 송신할 수 있다.The
이하에서, 제2 제어부(92)의 매커니즘을 기술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mechanism of the
먼저 제2 제어부(92)가 제1 제어부(91)로부터 제1 명령을 송신받은 경우의 매커니즘을 설명한다.First, a mechanism when the
제2 제어부(92)는, 제1 제어부(91)로부터 제1 명령를 수신받은 후, 제1 펌프(11)를 구동시켜 흡기장치(22)로 공급하여 액화가스 저장탱크(10) 내부에 발생된 증발가스를 흡입시키고, 바이패스 밸브(111)를 개방시켜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에서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증발가스 발생량의 차이만큼을 제5 라인(L5)으로 바이패스시켜 제2 열교환기(13)로 공급시킬 수 있다. The
이후, 제2 제어부(92)는, 제1 압력센서(901)로부터 제2 라인(L2) 상의 제1 수요처(60) 전단 압력을 수신받아, 제1 수요처(60)의 전단 압력이 제1 수요처(60)가 요구하는 압력(바람직하게는 약 40bar)보다 높은 경우, 제1 펌프(11)로 공급되는 전력을 줄여 제1 펌프(11)의 로드가 낮아지도록 하여 토출되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줄일 수 있으며, 제1 수요처(60)의 전단 압력이 제1 수요처(60)가 요구하는 압력(바람직하게는 약 40bar)보다 낮은 경우, 제1 펌프(11)로 공급되는 전력을 늘려 제1 펌프(11)의 로드가 높아지도록 하여 토출되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e
이때,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는 전량 흡기 장치(22)의 흡입으로 가압 처리되어 제1 수요처(60)로 공급되게 된다. At this time, the entire evaporation gas generated in the liquefied
상기 기술내용에서는, 제1 수요처(60)의 전단 압력이 제1 수요처(60)가 요구하는 압력(바람직하게는 약 40bar)보다 높은 경우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의 양이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보다 많게 되는 일시적으로 제1 펌프(11)의 공급량이 늘어나는 변동상태를 말한다.( 정상상태(steady state)가 아님)In the above description, when the pressure at the front end of the
다음 제2 제어부(92)가 제1 제어부(91)로부터 제2 명령을 송신받은 경우의 매커니즘을 설명한다.Next, the mechanism when the
제2 제어부(92)는, 제1 제어부(91)로부터 제2 명령를 수신받은 후, 제1 펌프(11)를 구동시켜 흡기장치(22)로 공급하여 액화가스 저장탱크(10) 내부에 발생된 증발가스를 흡입시키고, 증발가스 조절밸브(621)를 개방시켜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증발가스 발생량에서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의 차이만큼을 제4 라인(L4)을 통해 제3 수요처(62)로 공급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수요처(60)로는 증발가스만이 공급된다.The
이후, 제2 제어부(92)는,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이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증발가스 발생량보다 많은 경우와 동일한 매커니즘으로 제1 펌프(11)를 작동시켜 제1 수요처(60) 전단인 유입단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Thereafter, the
즉, 제2 제어부(92)는, 제1 압력센서(901)로부터 제2 라인(L2) 상의 제1 수요처(60) 전단 압력을 수신받아, 제1 수요처(60)의 전단 압력이 제1 수요처(60)가 요구하는 압력(바람직하게는 약 40bar)보다 높은 경우, 제1 펌프(11)로 공급되는 전력을 줄여 제1 펌프(11)의 로드가 낮아지도록 하여 토출되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줄일 수 있으며, 제1 수요처(60)의 전단 압력이 제1 수요처(60)가 요구하는 압력(바람직하게는 약 40bar)보다 낮은 경우, 제1 펌프(11)로 공급되는 전력을 늘려 제1 펌프(11)의 로드가 높아지도록 하여 토출되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That is, the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1)은, 흡기 장치(22)를 통해 액화가스와 증발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증발가스 처리에 필요한 장치를 단순화할 수 있어 시스템 구축 비용이 절감되고 선박 내 가용공간이 증대되며 구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iquefied-
또한, 선박의 필요전력에 따라 액화가스와 증발가스를 처리하여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내압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제1 펌프(11)와 제1 압력센서(901)를 통해 제1 수요처(60)로 연료를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할 수 있어 제1 수요처(60)의 가동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manag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liquefied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펌프에 의해 도출되는 P-Q 그래프이다.FIG. 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liquefied gas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P-Q graph derived by a first p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1)은, 액화가스 저장탱크(10), 제1 펌프(11), 제1 열교환기(12), 제2 열교환기(13), 흡기 장치(22), 제1 수요처(60), 제1 제어부(9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선박(부호도시하지 않음)은, 일례로 가스 터빈 추진 LNG 운반선 또는 컨테이너 선일 수 있으며, 선박이 컨테이너 선인 경우에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가 B type 탱크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8 and 9, a liquefied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1)을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liquefied
액화가스 저장탱크(10)는, 본 발명의 도 1의 실시예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갈음하도록 하고, 제1 펌프(11) 및 제1 수요처(60)는 도 5의 실시예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여 이에 갈음하도록 한다. The liquefied
제1 열교환기(12)는, 제1 펌프(11)에 의해 30 내지 50bar(바람직하게는 약 40bar)로 가압된 액화가스를 공급받아 가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열교환기(12)는, 제1 라인(L1) 상의 제1 펌프(11)와 흡기 장치(22) 사이에 구비되어 제1 펌프(11)로부터 공급되는 가압된 액화가스를 공급받아 기화시킨 후 흡기 장치(22)로 공급하여 흡기 장치(22)가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 발생된 증발가스를 흡입하도록 할 수 있다.The
이때, 제1 열교환기(12)는, 액화가스를 가열하는 열원으로 글리콜 워터(Glycol Water), 스팀(Steam) 또는 해수(Sea Water)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액화가스의 압력을 변동없이 흡기 장치(22)로 공급할 수 있다.The
제2 열교환기(13)는, 흡기 장치(22)에 의해 30 내지 50bar(바람직하게는 약 40bar)로 가압된 액화가스를 공급받아 가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열교환기(13)는, 제2 라인(L2) 상의 흡기 장치(22)와 제1 수요처(60) 사이에 구비되어 흡기 장치(22)로부터 공급되는 가압된 액화가스를 공급받아 약 영상 40 내지 50도로 가열한 후 제1 수요처(60)로 공급하여 제1 수요처(60)가 요구하는 상태의 액화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The
즉, 제2 열교환기(13)는, 흡기 장치(22)로부터 압력 약 30 내지 50bar(바람직하게는 약 40bar)의 상태를 가지는 혼합 기체가스를 공급받아 약 영상 40 내지 50도(바람직하게는 약 45도)로 가열한 후 제1 수요처(6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2 열교환기(13)는, 액화가스를 가열하는 열원으로 글리콜 워터(Glycol Water), 스팀(Steam) 또는 해수(Sea Water)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액화가스의 압력을 변동없이 제1 수요처(60)로 공급할 수 있다.That is, the
흡기 장치(22)는, 제1 펌프(11)로부터 가압되고 제1 열교환기(12)를 통해 기화되어 공급되는 액화가스를 구동유체(Driving Fluid)로 하여, 제1 펌프(11)로부터 기화된 액화가스를 공급받아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흡입한 후 제2 열교환기(13)로 공급할 수 있으며, 이젝터(Ejector), 이덕터(Eductor) 또는 제트 펌프(jet pump)일 수 있다. The
구체적으로, 흡기 장치(22)는, 제2 라인(L2) 상의 액화가스 저장탱크(10)와 제2 열교환기(13) 사이에 구비되어 제1 라인(L1)과 연결되며, 제1 라인(L1)을 통해서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기화된 상태로 공급받아 제2 라인(L2)을 통해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 발생된 증발가스를 흡입하여 제2 열교환기(13)로 공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여기서 흡기 장치(22)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 내부에 발생된 증발가스 량 모두를 흡입할 수 있도록 계산된 구동유체량을 제1 펌프(11)를 통해 제1 라인(L1)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제어부(90)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 the
흡기 장치(22)는, 구동유체로 기화된 액화가스를 공급받아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를 흡입하여 구동유체인 액화가스와 증발가스가 혼합되며 이때, 구동유체가 가지고 있던 운동에너지는 혼합 유체 전체의 운동에너지로 변환되고, 이어서 흡기 장치(22)의 노즐(부호 도시하지 않음)의 단면이 확대되는 말단부분에서 혼합 유체의 속도가 저하됨에 따라 혼합 유체의 운동에너지는 다시 압력으로 변환하게 된다. 이로 인해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는 약 30 내지 50bar의 압력(바람직하게는 약 40bar)을 얻게된다. The
본 발명에서는, 제1 펌프(11)가 가압되는 압력 또한 약 30 내지 50bar의 압력(바람직하게는 약 40bar)이나 흡기 장치(22)로 유입되는 구동유체는 압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압력하강*구동유체유량인 압력전달용량을 흡입유체(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로 공급하여 흡입 유체의 압력을 상승시키므로 흡입 유체의 압력을 약 30 내지 50bar의 압력(바람직하게는 약 40bar)만큼 상승시키기 위해서 구동 유체는 압력대비 유량을 상당히 증가시켜 이를 만족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at which the
제어부(90)는, 제1 유량센서(903), 제2 압력센서(902) 및 제3 압력센서(904)를 더 포함하며, 제1 유량센서(903), 제2 압력센서(902) 및 제3 압력센서(904)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1 유량센서(903)로부터 유량값을 수신받으며, 제2 압력센서(902) 및 제3 압력센서(904)로부터 압력값을 수신받는다. 또한, 제어부(90)는, 도 9에 도시된 제1 펌프에 의해 도출되는 P-Q 그래프와 제1 유량센서(903) 및 제3 압력센서(904)로부터 수신되는 유량값 및 압력값을 통해서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된 증발가스의 처리량을 산출할 수 있다.The
여기서 제1 유량센서(903)는, 제2 라인(L2) 상의 제1 수요처(60)와 제2 열교환기(13) 사이에 구비되어 제1 수요처(60)로 공급되는 연료의 유량을 측정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부(90)로 송신할 수 있고, 제2 압력센서(902)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내부 또는 외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에 의해 상승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1 제어부(91)로 송신할 수 있으며, 제3 압력센서(904)는, 제1 라인(L1) 상의 제1 펌프(11)와 제1 열교환기(12) 사이에 구비되어 제1 펌프(11)의 유출단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측정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부(90)로 송신할 수 있다.The
이하에서, 제어부(90)를 통한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된 증발가스의 처리량을 산출하는 매커니즘을 설명하도록 하며 그에 앞서 도 9에 도시된 제1 펌프에 의해 도출되는 P-Q 그래프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chanism for calculating the throughput of the evaporated gas generated in the liquefied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펌프에 의해 도출되는 P-Q 그래프이다. 가로축은 제1 펌프(11)의 유출단에서 토출되는 볼륨 유량값(Q)이며 세로축은 제1 펌프(11)의 유출단에서 측정되는 제1 펌프(11)의 유출단에서 발생하는 압력(P)이고, 그래프 상에 그려진 3 개의 곡선은 각각 제1 펌프(11)의 RPM이 A, B 또는 C인 경우의 P-Q 선도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제1 펌프(11)의 RPM이 B RPM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이 RPM 값은, 제1 펌프(11) 구동시 알 수 있다.)9 is a P-Q graph derived by a first p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volume flow rate Q discharged from the outlet end of the
제어부(90)는, 제3 압력센서(904)를 통해서 제1 펌프(11)의 유출단에서 발생하는 압력값(P1)을 전달받아 제1 펌프에 의해 도출되는 P-Q 그래프에 도시된 B RPM 곡선을 통해서 볼륨 유량값Qx를 산출할 수 있다. The
제어부(90)는, 산출된 볼륨 유량값Qx 와, 압력값P1을 통해서 도출되는 밀도값(밀도값은 온도와 압력의 함수를 통해서 산출 가능, 여기서 온도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온도로 미리 알 수 있음)을 곱하여 제1 펌프(11)의 토출 질량유량값(M1)을 계산할 수 있다.The
제1 펌프(11)의 토출질량 유량값(M1)을 계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The formula for calculating the discharge mass flow rate value M1 of the
Qx * 밀도함수(P,T)로 도출되는 밀도값 = 제1 펌프(11)의 토출질량 유량값(M1)Qx * density value derived from the density function (P, T) = discharge mass flow rate value M1 of the
이후, 제어부(90)는, 제1 유량센서(903)를 통해서 제1 수요처(60)로 공급되는 연료의 질량유량값(M2)에서 상기에서 산출한 제1 펌프(11)의 토출 질량유량값(M1)을 빼면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된 증발가스의 처리 질량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Thereafter, the
제어부(90)는, 산출된 처리질량유량값과 기설정된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내압(이하 기설정 저장탱크 내압이라 칭함)과 비교하여, 처리질량유량값이 기설정 저장탱크 내압값보다 크면, 제1 펌프(11)의 토출유량을 줄이도록 제어하고, 처리질량유량값이 기설정 저장탱크 내압값보다 작으면, 제1 펌프(11)의 토출유량을 늘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이때, 처리질량유량값은 유량 단위이나 유량-압력 치환 테이블에 의해 기설정 저장탱크 내압값과 비교할 수 있는 압력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기설정 저장탱크 내압값은 제2 압력측정센서(902)에 의해 측정되어 제어부(90)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신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reatment mass flow rate value can be converted to a pressure value that can be compared with the preset storage tank pressure value by the flow unit or the flow-pressure substitution table. 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storage tank internal pressure value may be measured by the second
이를 통해서 제어부(90)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내압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1)은, 흡기 장치(22)를 통해 액화가스와 증발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증발가스 처리에 필요한 장치를 단순화할 수 있어 시스템 구축 비용이 절감되고 선박 내 가용공간이 증대되며 구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iquefi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1)은, 유량계의 설치를 제1 수요처(60)의 전단에만 설치하여 유량계의 설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liquefied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and the modification are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10: 액화가스 저장탱크
11: 제1 펌프 111: 바이패스 밸브
112: 증발가스 토출밸브 113: 증발가스 분리밸브
12: 제1 열교환기 13: 제2 열교환기
20: 증발가스 압축기 21: 예열기
22: 흡입장치 30: 재응축기
40: 제2 펌프 50: 기화기
60: 제1 수요처 61: 제2 수요처
62: 제3 수요처 621: 증발가스 조절밸브
70: 프로펠러 71: 프로펠러 축
72: 클러치 80: 샤프트 제너레이터
90: 제어부 901: 제1 압력센서
902: 제2 압력센서 903: 유량센서
904 제3 압력센서 91: 제1 제어부
92: 제2 제어부 93: 제3 제어부
L1: 제1 라인 L2: 제2 라인
L3: 제3 라인 L4: 제4 라인
L5: 제5 라인1: liquefied gas processing system 10: liquefied gas storage tank
11: first pump 111: bypass valve
112: Evaporative gas discharge valve 113: Evaporative gas separation valve
12: first heat exchanger 13: second heat exchanger
20: Evaporative gas compressor 21: Preheater
22: Suction device 30: Re-condenser
40: second pump 50: vaporizer
60: First Demand Point 61: Second Demand Point
62: Third demand point 621: Evaporative gas control valve
70: Propeller 71: Propeller shaft
72: clutch 80: shaft generator
90: control unit 901: first pressure sensor
902: second pressure sensor 903: flow sensor
904 Third pressure sensor 91: First control unit
92: second control section 93: third control section
L1: first line L2: second line
L3: third line L4: fourth line
L5: Line 5
Claims (7)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를 모두 상기 엔진으로 공급되는 제2 유로;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에서 발생된 증발가스가 가스 소비처로 공급되는 제3 유로; 및
선박에 사용되는 전력을 상기 엔진이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상기 엔진의 증발가스 필요량을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이라 할 때, 상기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과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증발가스 발생량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유로 내지 상기 제3 유로 내의 유체의 흐름 중 상기 제1 유로의 흐름만을 제어하여 상기 엔진의 유입단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를 다단 압축하는 증발가스 압축기를 포함하되,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의 하류에 상기 제1 유로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진의 유입단 압력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유로의 흐름을 줄이고,
상기 엔진의 유입단 압력이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유로의 흐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A first flow path in which liquefied gas stored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is supplied to the engine;
A second flow path for supplying the evaporated gas generated from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to the engine;
A third flow path in which the evaporation gas generated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is supplied to the gas consuming place; And
The required amount of gas for the first demanded customer and the amount of evaporated gas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when the required amount of evaporation gas of the engine necessary for generating the electric power to be used by the engine is the first demanded amount of the demanded ga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nly the flow of the first flow path among the flow of the fluid in the third flow path from the first flow path to the inlet end pressure of the engine,
Wherein the second flow path includes an evaporative gas compressor for multi-stage compressing the evaporative gas generated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the first flow path being connected to the downstream of the evaporative gas compressor,
Wherein,
Wherein when the inflow end pressure of the engin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flow of the first flow path is reduced,
And increases the flow of the first flow path when the inflow end pressure of the engin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상기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이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증발가스 발생량보다 많은 경우 상기 제1 유로를 통해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액화가스가 상기 엔진으로 공급되도록하고,
상기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이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증발가스 발생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3 유로를 통해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증발가스가 상기 가스 소비처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1,
And the liquefied gas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is supplied to the engine through the first flow path when the amount of the first demanded gas required by the user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evaporated gas generated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And controls the supply of the evaporated gas of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to the gas consuming destination through the third flow path when the amount of the first demanded gas required by the user is smaller than the evaporated gas generation amount of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system.
상기 제1 유로는, 전력의 공급에 따라 토출되는 액화가스의 압력 또는 유량을 변화시키며 구동되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유로는, 상기 가스 소비처로의 공급을 조절하는 증발가스 토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이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증발가스 발생량보다 많은 경우, 상기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과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증발가스 발생량의 차이만큼을 상기 펌프가 상기 엔진으로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이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증발가스 발생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증발가스 발생량과 상기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의 차이만큼을 상기 증발가스 토출수단을 통해 상기 가스 소비처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rein the first flow path includes a pump driven by varying a pressure or a flow rate of the liquefied gas discharged according to the supply of electric power,
The third flow path includes an evaporative gas discharging means for regulating the supply to the gas consuming source,
Wherein,
The pump suppli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mount of the first demanded gas required by the user and the evaporated gas generation amount of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when the amount of the first demanded gas required by the user is larger than the evaporated gas generated by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The amount of evaporative gas generated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and the amount of the required amount of the first demanded gas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are supplied to the gas consuming device through the evaporative gas discharging means, To the liquefied gas processing system.
상기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과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증발가스 발생량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 내의 유체 흐름의 제어를 지시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제1 유로 내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제2 유로 또는 상기 제3 유로 내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3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1,
A first control unit for comparing the amount of the first demanded gas required by the user with the amount of evaporated gas generated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and instructing control of the flow of the fluid in the first flow path and the second flow path;
A seco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fluid in the first flow path; And
And a thir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fluid in the second flow path or the third flow path.
상기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을 계산하고,
상기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이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증발가스 발생량보다 많은 경우, 상기 제2 및 제3 제어부에 제1 명령을 지시하고,
상기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이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증발가스 발생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2 및 제3 제어부에 제2 명령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5. The apparatus of claim 4,
Calculates the first demanded amount of the required gas,
A first command is given to the second and third control units when the amount of the first demanded gas required by the user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evaporated gas generated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And instructs the second and third control units to issue a second command when the first demand source gas amount is less than the evaporation gas generation amount of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상기 제1 명령은,
상기 제2 제어부가 상기 제1 유로를 통해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액화가스를 상기 엔진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제3 제어부가, 상기 제3 유로를 차단하여,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증발가스가 상기 가스 소비처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명령이며,
상기 제2 명령은,
상기 제2 제어부가 상기 제1 유로를 차단하여,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액화가스를 상기 엔진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고, 상기 제3 제어부가, 상기 제3 유로를 통해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증발가스가 상기 가스 소비처로 공급되도록 하는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instruction comprises:
The second control unit causes the liquefied gas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to be supplied to the engine through the first flow path, and the third control unit cuts off the third flow path, so that the evaporation gas of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A command to shut off supply to the gas consuming place,
Wherein the second instruction comprises:
The second control unit interrupts the first flow path to block supply of the liquefied gas of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to the engine, and the third control unit causes the third control unit to shut off the liquefied gas stored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And a command to cause the evaporation gas to be supplied to the gas consuming place.
상기 제1 유로는, 전력의 공급에 따라 토출되는 액화가스의 압력 또는 유량을 변화시키며 구동되는 펌프; 및
상기 펌프를 통해 공급되는 액화가스를 기화시키는 기화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유로는, 상기 가스 소비처로의 공급을 조절하는 증발가스 토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엔진의 유입단에 구비되어, 상기 엔진의 유입단 압력을 제1 압력이라 할때, 상기 제1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이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증발가스 발생량보다 많은 경우, 상기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과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증발가스 발생량의 차이만큼을 상기 펌프가 상기 엔진으로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압력측정장치가 측정한 상기 제1 압력이 상기 엔진이 요구하는 압력보다 낮은 경우, 상기 펌프의 토출유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1 압력이 상기 엔진이 요구하는 압력보다 높은 경우, 상기 펌프의 토출유량을 감소시키며,
상기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이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증발가스 발생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증발가스 발생량과 상기 제1 수요처 필요가스량의 차이만큼을 상기 증발가스 토출수단을 통해 상기 가스 소비처로 공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flow path includes a pump driven by varying a pressure or a flow rate of the liquefied gas discharged according to the supply of electric power; And
And a vaporizer for vaporizing the liquefied gas supplied through the pump,
The third flow path includes an evaporative gas discharge means for regulating the supply to the gas consuming source,
Further comprising a pressure measuring device provided at an inlet end of the engine for measuring the first pressure when the inlet end pressure of the engine is a first pressure,
Wherein,
The pump suppli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mount of the first demanded gas required by the user and the evaporated gas generation amount of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when the amount of the first demanded gas required by the user is larger than the evaporated gas generated by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When the first pressure measured by the pressure measuring device is lower than the pressure demanded by the engine, increases the discharge flow rate of the pump, and when the first pressure is higher than the pressure required by the engine, Reducing the flow rate,
The amount of evaporative gas generated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and the amount of the required amount of the first demanded gas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are supplied to the gas consuming device through the evaporative gas discharging means, To the liquefied gas process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50078327 | 2015-06-03 | ||
KR1020150078327 | 2015-06-0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2749A KR20160142749A (en) | 2016-12-13 |
KR101772765B1 true KR101772765B1 (en) | 2017-08-29 |
Family
ID=57574953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50543A Active KR101758994B1 (en) | 2015-06-03 | 2015-10-28 |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natural gas |
KR1020150150546A Active KR101758995B1 (en) | 2015-06-03 | 2015-10-28 |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natural gas |
KR1020150150538A Active KR101758993B1 (en) | 2015-06-03 | 2015-10-28 |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natural gas |
KR1020150150539A Active KR101828132B1 (en) | 2015-06-03 | 2015-10-28 |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natural gas |
KR1020150150525A Active KR101779258B1 (en) | 2015-06-03 | 2015-10-28 |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natural gas |
KR1020150153284A Active KR101772765B1 (en) | 2015-06-03 | 2015-11-02 |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natural gas |
Family Applications Before (5)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50543A Active KR101758994B1 (en) | 2015-06-03 | 2015-10-28 |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natural gas |
KR1020150150546A Active KR101758995B1 (en) | 2015-06-03 | 2015-10-28 |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natural gas |
KR1020150150538A Active KR101758993B1 (en) | 2015-06-03 | 2015-10-28 |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natural gas |
KR1020150150539A Active KR101828132B1 (en) | 2015-06-03 | 2015-10-28 |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natural gas |
KR1020150150525A Active KR101779258B1 (en) | 2015-06-03 | 2015-10-28 |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natural ga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6) | KR10175899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65390B1 (en) * | 2015-04-07 | 2017-08-07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natural gas |
KR102305883B1 (en) * | 2017-08-31 | 2021-09-27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Power management system and ship having the same |
FR3071276B1 (en) * | 2017-09-20 | 2021-01-01 | Gaztransport Et Technigaz | DEVICE AND PROCESS FOR SUPPLYING GAS WITH A METHANE RATING OPTIMIZED AT LEAST ONE THERMAL ENGINE, IN PARTICULAR OF A LIQUEFIED GAS TRANSPORT VESSEL |
KR102334527B1 (en) * | 2017-09-27 | 2021-12-07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Fuel supply system |
KR102306572B1 (en) * | 2017-10-16 | 2021-09-29 |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 Gas Treatment System, Vessel having the Gas Treatment System and FSRU Vessel having the Gas Treatment System |
KR102296311B1 (en) * | 2017-10-16 | 2021-08-30 |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 Gas Treatment System, Vessel having the Gas Treatment System and FSRU Vessel having the Gas Treatment System |
KR102318001B1 (en) * | 2017-10-31 | 2021-10-28 |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 Gas treatment system and ship having the same |
KR102117852B1 (en) * | 2018-07-02 | 2020-06-03 | 주식회사래티스테크놀로지 | Fluid Tank Having Internal Vaporizers |
KR102059124B1 (en) * | 2018-09-20 | 2019-12-24 |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cooling system for ship using cold energy of liquefied natural gas and control method for thereof |
KR102144180B1 (en) * | 2018-10-17 | 2020-08-13 |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 Regasification System of Gas and Ship having the Same |
KR102461330B1 (en) * | 2018-10-18 | 2022-10-3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Re-gasification method |
KR102513005B1 (en) * | 2018-10-29 | 2023-03-23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Boil-Off Gas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Ship |
KR102160874B1 (en) * | 2019-02-21 | 2020-09-28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Power supplying system for ship |
KR102631161B1 (en) * | 2019-08-13 | 2024-02-02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Fuel supply system for ship |
KR102631164B1 (en) * | 2019-12-05 | 2024-01-3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Fuel supply system of ship |
KR20210106307A (en) | 2020-02-20 | 2021-08-30 | 주식회사 두두원 | Method for forecasting adequacy period for fermentation of tuna based on temperature |
KR102382406B1 (en) * | 2021-01-06 | 2022-04-11 | 최재웅 | Fuel gas supply system of liquefied gas |
KR20220101348A (en) | 2021-01-11 | 2022-07-19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Method for calculating evaporation of liquefied gas |
KR102740613B1 (en) * | 2022-08-24 | 2024-12-11 |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Gas treatment system and ship having the same |
KR102739917B1 (en) * | 2023-03-03 | 2024-12-09 | 선보공업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for re-liquefying LNG boil-off gas with recondense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6771B1 (en) * | 2013-12-30 | 2015-06-08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A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Gas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1041B1 (en) | 2010-11-09 | 2013-06-04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fuel gas supply |
-
2015
- 2015-10-28 KR KR1020150150543A patent/KR101758994B1/en active Active
- 2015-10-28 KR KR1020150150546A patent/KR101758995B1/en active Active
- 2015-10-28 KR KR1020150150538A patent/KR101758993B1/en active Active
- 2015-10-28 KR KR1020150150539A patent/KR101828132B1/en active Active
- 2015-10-28 KR KR1020150150525A patent/KR101779258B1/en active Active
- 2015-11-02 KR KR1020150153284A patent/KR10177276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6771B1 (en) * | 2013-12-30 | 2015-06-08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A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Ga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2745A (en) | 2016-12-13 |
KR101758994B1 (en) | 2017-07-17 |
KR101828132B1 (en) | 2018-02-09 |
KR101758995B1 (en) | 2017-07-17 |
KR20160143478A (en) | 2016-12-14 |
KR20160142747A (en) | 2016-12-13 |
KR101779258B1 (en) | 2017-09-18 |
KR101758993B1 (en) | 2017-08-01 |
KR20160142748A (en) | 2016-12-13 |
KR20160142749A (en) | 2016-12-13 |
KR20160142746A (en) | 2016-1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72765B1 (en) |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natural gas | |
KR101913007B1 (en) | Vessel having Gas Treatment System | |
EP2659120B1 (en) | A fuel feed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 fuel feeding system | |
KR102200367B1 (en) | Gas Treatment System and Vessel having the same | |
KR102231807B1 (en) | Gas Treatment System and Vessel having same | |
KR102231806B1 (en) | Gas Treatment System and Vessel having same | |
KR102189079B1 (en) | A Treatment System of Gas for Vessel | |
KR101676915B1 (en) | A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Gas | |
KR101761981B1 (en) | A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Gas | |
KR101676914B1 (en) | A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Gas | |
KR20160150426A (en) |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natural gas | |
KR20160013448A (en) | A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Gas | |
KR101665762B1 (en) | A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Gas | |
KR101836556B1 (en) | A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Gas | |
KR102233967B1 (en) | Gas Treatment System and Vessel having same | |
KR20170078014A (en) | A Treatment System of Gas for Vessel | |
KR101730715B1 (en) |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natural gas | |
KR101937508B1 (en) | A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Gas | |
KR20160011807A (en) | A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Ga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8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8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