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744B1 - Infiltration type rainwater treatment device - Google Patents
Infiltration type rainwater treatment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72744B1 KR101772744B1 KR1020150014750A KR20150014750A KR101772744B1 KR 101772744 B1 KR101772744 B1 KR 101772744B1 KR 1020150014750 A KR1020150014750 A KR 1020150014750A KR 20150014750 A KR20150014750 A KR 20150014750A KR 101772744 B1 KR101772744 B1 KR 1017727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e
- rainwater
- main body
- infiltration type
- swash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상기 물이 유입되는 제1 공간 및 하단의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제1 공간과 연결되는 제2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분리벽, 상기 제2 공간을 둘러싸는 상기 본체의 제1 측벽에 형성된 경사판 침전지, 및 상기 제1 분리벽과 상기 제1 측벽 사이에 형성된 여과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filtration type rainwater treatment apparatus. The infiltration type rain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main body capable of receiving water, a first space in which the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and a second space in which a part of the lower end is opened to connect with the first space, A separating wall, a swash plate precipitator formed on a first sidewall of the body surrounding the second space, and a filtration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separating wall and the first sidewall.
Description
본 발명은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iltration type rainwater treatment apparatus.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의 여러 나라는 몬순기후의 영향을 받아, 여름은 고온다습한 열대 해양 기단의 내습에 의하여 덥고 비가 많고, 겨울은 저온 건조한 대륙기단의 내습으로 춥고 건조하다. 특히, 여름철의 태풍 및 장마는 홍수 피해를 유발하는 반면, 갈수기 때는 가뭄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는 빗물을 관리하는 시설 및 시스템의 부재 때문이며, 이러한 피해를 축소시키기 위해서는 빗물을 이용 가능한 자원으로 인식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Many countries in Asia, including Korea, are affected by the monsoon climate. In summer, they are hot and rainy due to the invasion of hot and humid tropical marine basin. In winter, it is cold and dry due to the invasion of the continental base. In particular, summer typhoons and rainy seasons can cause flood damage, while drought can cause damage. This is due to the absence of facilities and systems to manage stormwater. In order to reduce these damages, it is essential to recognize stormwater as a usable resource and to manage it continuously.
저영향 개발(Low Impact Development, 이하 'LID')은 도시화에 따른 수생태계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도시화 이전의 상태에 가깝게 만들기 위해 빗물 유출 발생지에서부터 침투, 저류를 통해 빗물을 관리하는 도시 개발 기법을 말한다. LID는 빗물을 관리하여 물의 순환을 원활하게 만들며, 강수량에 따라 물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 또, 물의 원천인 빗물을 직접 관리한다는 점에서 다른 물 관리 시설에 비하여 비용과 에너지가 적게 든다. Low Impact Development (LID) is an urban development technique that manages stormwater through infiltration and storage from rainwater spill sites in order to minimize the damage of the aquatic ecosystem due to urbanization and bring it closer to pre-urban conditions . LID manages the rainwater to smooth the water circulation, and the water flow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recipitation. In addition, it costs less and energy than other water management facilities because it manages rainwater which is the source of water directly.
한편, 빗물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빗물을 모으는 장치가 필요하다. 기존의 빗물받이는 비점오염원으로 인한 막힘 현상이 나타나기 쉽고 지속적인 관리가 어려워, 이로 인하여 침수피해가 자주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빗물을 관리하기 위해 빗물을 단순히 수집하는 장치는 일부 존재하나, 수집한 빗물을 다른 빗물 침투 시설로 이송시키거나, 물이 부족한 곳에 빗물을 공급하여 LID를 실현할 수 있는 빗물 처리 장치는 부족한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anage rainwater, a device for collecting rainwater is needed. Conventional rain gutters are prone to clogging due to non-point pollution sources and are difficult to be continuously managed, thereby causing frequent flooding damage. In addition, there is a device for simply collecting rainwater to manage rainwater, but a rainwater treatment device capable of delivering collected rainwater to another rainwater infiltration facility or realizing LID by supplying rainwater to a place where water is insufficient is not sufficient. to b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빗물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filtration type rain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removing contaminants contained in rainwat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filtration type rain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the flow of rainwat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상기 물이 유입되는 제1 공간 및 하단의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제1 공간과 연결되는 제2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분리벽, 상기 제2 공간을 둘러싸는 상기 본체의 제1 측벽에 형성된 경사판 침전지, 및 상기 제1 분리벽과 상기 제1 측벽 사이에 형성된 여과부를 포함한다.The penetration type rainwater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capable of receiving water, a first space in which the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and a second space in which a part of the lower end is opened, A first separating wall defining a second space, a swash plate precipitator formed on a first side wall of the body surrounding the second space, and a filtration sec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separating wall and the first side wall.
상기 제1 공간과 인접한 제3 공간을 형성하고, 상단에는 오버플로우 유출구를 갖고 하단에는 필터 유출구를 갖는 제2 분리벽, 및 상기 제3 공간을 둘러싸는 상기 본체의 제2 측벽에 형성된 제1 관로를 포함할 수 있다.A second separation wall forming a third space adjacent to the first space, the second separation wall having an overflow outlet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 filter outlet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first duct formed in a second sidewall of the body surrounding the third space, . ≪ / RTI >
상기 여과부 상단에 상기 제1 분리벽과 힌지 결합된 뚜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여과부와 접하는 상기 제1 측벽에 형성된 제2 관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ap hingedly coupled to the first separating wall at an upper end of the filtration unit, and a second channel formed in the first side wall in contact with the filtration unit.
상기 제2 공간의 하단에 경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wash plate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pace.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침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diment portion on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상기 여과부는 육면체의 여과망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여과망은 하나 이상의 여과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tration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filter network of a hexahedron, and the filter network may include at least one filter medium.
상기 경사판 침전지는 필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clined plate settler may be formed of a filter material.
상기 제1 분리벽과 상기 본체의 바닥면 사이에 거름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may further include a filtering net between the first separating wall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는 오염물질 및 비점오염원을 제거함으로써, 빗물을 이용 및 수송이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는 초기 강우시, 빗물을 빗물 관리 시설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는 지속 강우시, 빗물이 도로로 넘쳐흐르지 않도록 빗물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또, 상기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는 갈수기시, 저장된 빗물을 토지로 배출시킬 수 있다.The infiltration type rain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ve the pollutants and non-point pollution source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use and transport the rainwater smoothly. The infiltration type rainwater treatment apparatus can transfer rainwater to the rainwater management facility at an initial rainfall. The infiltration type rainwater treatment apparatus can control the flow of rainwater so that the rainwater does not overflow to the road at the time of continuous rainfall. In addition, the infiltration type rainwater treatment apparatus can discharge the stored rainwater to the land at the time of drough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의 초기 강우시 빗물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의 지속 강우시 빗물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의 갈수기시 빗물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하단이 확장된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침전부가 더 포함된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거름망이 더 포함된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의 여과부를 나타낸다.1 shows the flow of rainwater during an initial rainfall of an infiltration type rain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the flow of rainwater during continuous rainfall of an infiltration type rain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the flow of rainwater during the wet season of the infiltration type rain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llustrates an infiltration type rainwater disposal apparatus having a lower end extend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n infiltration type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sedimentation sec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n infiltration type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further including a siev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 filtering section of an infiltration type rain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convey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의 초기 강우시 빗물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의 여과부(14)를 나타낸다.1 shows the flow of rainwater during an initial rainfall of an infiltration type rain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는 본체(10), 제1 분리벽(11), 경사판 침전지(13), 여과부(14), 경사판(20), 뚜껑(22), 및 제2 관로(23)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7, the infiltration type rainwater disposal apparatus includes a
본체(10)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로, 원통형 또는 육면체형일 수 있다. 본체(10)는 콘크리트 및/또는 친환경 소재등 부식이 적게 일어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분리벽(11)은 본체(10) 내부로 빗물이 유입될 수 있는 제1 공간 및 하단의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제1 공간과 연결되는 제2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은 U자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초기 강우시, 상기 제1 공간으로 유입된 빗물이 상기 제2 공간을 이동하면서 여과될 수 있다.The
제1 분리벽(11)과 상기 제2 공간을 둘러싸는 본체(10)의 제1 측벽(12) 사이에 경사판 침전지(13)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판 침전지(13)는 본체의 바닥면(25)을 향하여 0 ~ 45°각도로 기울어진 형상일 수 있다. 경사판 침전지(13)는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마주보는 두 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판 침전지(13)는 제1 분리벽(11) 및 제1 분리벽(11)의 맞은편의 제1 측벽(12)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사판 침전지(13)가 상기 제2 공간에 형성될 수 있으면 된다. 상기 빗물이 경사판 침전지(13)를 통과하면, 상기 빗물에 포함된 나무 조각, 낙엽, 및 자갈 등의 조대 협잡물이 본체의 바닥면(25)으로 침전될 수 있다. A
본체의 바닥면(25)과 제1 측벽(12)에는 경사판(20)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판(20)은 본체(10)의 구성에 상기 조대 협잡물이 쌓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A
경사판 침전지(13)를 통과한 상기 빗물은 여과부(14)를 통과할 수 있다. 여과부(14)는 경사판 침전지(13)에서 제거되지 못한 미세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과부(14)는 제1 분리벽(11) 및 제1 측벽(12) 사이에 형성된다. 여과부(14)는 여과망(14a)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여과망(14a)은 하나 이상의 여과재(14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과망(14a)은 여과재(14b)가 유출되지 않기 위해 촘촘한 간격의 망으로 형성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여과재(14b)는 비중이 0.1~0.95 이고, 부피는 1~5㎤ 일 수 있다. 여과재(14b)는 세라믹, 활성탄, 황토볼, 및 자갈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미세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기공을 갖는 소재가 이용될 수 있다. 여과부(14)는 여과망(14a)를 지지할 수 있는 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과부(14)를 관리하기 위해, 여과부(14) 상단에 제1 분리벽(11)과 힌지 결합된 뚜껑(22)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뚜껑(22)은 상기 힌지 결합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The rain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wash
여과부(14)를 통과한 상기 빗물은 여과부(14)와 접하는 상기 본체 측면에 형성된 제2 관로(23)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빗물은 제2 관로(23)를 통하여 빗물 관리 시설로 이동될 수 있다.
The rain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의 지속 강우시 빗물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는 제2 분리벽(15), 오버플로우 유출구(16), 필터 유출구(17), 및 제1 관로(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 shows the flow of rainwater during continuous rainfall of an infiltration type rain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penetrating rainwater treatment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제2 분리벽(15)은 상기 제1 공간과 인접한 제3 공간을 형성한다. 제2 분리벽(15)은 상단에 오버플로우 유출구(16)를 갖고, 하단에 필터 유출구(17)를 가질 수 있다. 지속 강우시, 상기 빗물은 상기 제1 공간을 넘쳐 외부로 흐르지 않고, 오버플로우 유출구(16)를 통하여 상기 제3 공간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3 공간으로 이동된 상기 빗물은 상기 제3 공간을 둘러싸는 상기 본체의 제2 측벽(18)에 형성된 제1 관로(19)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제1 관로(19)는 제2 측벽(18)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지속 강우로 인하여 상기 빗물의 양이 많아진 경우, 제1 관로(19) 및 제2 관로(23)를 통하여 상기 빗물이 배출될 수 있으므로, 도로 침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Th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의 갈수기시 빗물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갈수기시에 빗물은 필터 유출구(17)를 통하여 이동될 수 있다. 3 shows the flow of rainwater during the wet season of the infiltration type rain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rainwater can be moved through the
필터 유출구(17)는 쉽게 폐색되지 않는 필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초기 강우시에는 필터 유출구(17)로 물이 거의 빠져나가지 않고, 갈수기 시에는 정체된 물이 필터 유출구(17)를 통하여 흐를 수 있다. 상기 정체된 물은 상기 제1 공간 및/또는 상기 제2 공간에 존재할 수 있으며, 필터 유출구(17)를 통하여 상기 제3 공간으로 이동되어, 제1 관로(19)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정체된 물은 제1 관로(19)를 통하여 메마른 토지에 공급될 수 있다.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하단이 확장된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는 본체(10)의 하단이 확장되어, 상기 조대 협잡물 및 상기 오염물질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더 확보될 수 있다.
FIG. 4 illustrates an infiltration type rainwater disposal apparatus having a lower end extend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lower end of th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침전부(24)가 더 포함된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는 침전부(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침전부(24)는 본체의 바닥면(25)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의 바닥면(25)과 탈부착이 가능한 결합부를 가질 수 있다. 경사판(20)의 경사면이 끝나는 지점과 침전부(24)의 입구가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침전물이 경사판(20)을 타고 침전부(24) 내부로 쉽게 유입될 수 있다.
5 shows an infiltration type rainwater treatment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거름망(21)이 더 포함된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는 제1 분리벽(11)과 본체의 바닥면(25) 사이에 거름망(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거름망(21)은 상기 빗물에 포함된 크기가 큰 조대 협잡물을 거를 수 있다. 상기 빗물이
6 shows an infiltration type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 본체 11: 제1 분리벽
12: 본체의 제1 측벽 13: 경사판 침전지
14: 여과부 14a: 여과망
14b: 여과재 15: 제2 분리벽
16: 오버플로우 유출구 17: 필터 유출구
18: 본체의 제2 측벽 19: 제1 관로
20: 경사판 21: 거름망
22: 뚜껑 23: 제2 관로
24: 침전부 25: 본체의 바닥면10: main body 11: first partition wall
12:
14:
14b: filter medium 15: second separating wall
16: overflow outlet 17: filter outlet
18: second side wall of the main body 19:
20: swash plate 21:
22: lid 23: second channel
24: sinking part 25: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Claims (8)
상기 본체 내부에 상기 물이 유입되는 제1 공간 및 하단의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제1 공간과 연결되는 제2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분리벽;
상기 제2 공간을 둘러싸는 상기 본체의 제1 측벽에 형성된 경사판 침전지;
상기 제1 분리벽과 상기 제1 측벽 사이에 형성된 여과부;
상기 제1 공간과 인접한 제3 공간을 형성하고, 상단에는 오버플로우 유출구를 갖고 하단에는 필터 유출구를 갖는 제2 분리벽; 및
상기 제3 공간을 둘러싸는 상기 본체의 제2 측벽에 형성된 제1 관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A body capable of receiving water;
A first space in which the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body and a second space in which a part of the lower end is opened to form a second space connected to the first space;
A swash plate settler formed on a first side wall of the body surrounding the second space;
A filtration part formed between the first partition wall and the first sidewall;
A second separation wall defining a third space adjacent to the first space, having an overflow outlet at an upper end and a filter outlet at a lower end; And
And a first conduit formed on a second sidewall of the body surrounding the third space.
상기 여과부 상단에 상기 제1 분리벽과 힌지 결합된 뚜껑, 및
상기 여과부와 접하는 상기 제1 측벽에 형성된 제2 관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id hinged to the first separating wall at the top of the filtration part,
And a second channel formed on the first side wall in contact with the filtration unit.
상기 제2 공간의 하단에 경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wash plate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space.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침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ttling por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상기 여과부는 육면체의 여과망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여과망은 하나 이상의 여과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ration unit comprises at least one filter network of a hexahedron, and the filter network comprises at least one filter medium.
상기 경사판 침전지는 필터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wash plate settler is formed of a filter material.
상기 제1 분리벽과 상기 본체의 바닥면 사이에 거름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ieve net between the first separating wall and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4750A KR101772744B1 (en) | 2015-01-30 | 2015-01-30 | Infiltration type rainwater treatment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4750A KR101772744B1 (en) | 2015-01-30 | 2015-01-30 | Infiltration type rainwater treatment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3884A KR20160093884A (en) | 2016-08-09 |
KR101772744B1 true KR101772744B1 (en) | 2017-08-29 |
Family
ID=56712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14750A Active KR101772744B1 (en) | 2015-01-30 | 2015-01-30 | Infiltration type rainwater treatment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7274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99987B1 (en) * | 2018-02-22 | 2018-09-18 | 주식회사 워터솔루션텍 | Non-point pollution source treatment syste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BE1026473B1 (en) * | 2018-06-28 | 2020-02-13 | M H C N V | Rainwater tank |
KR102201653B1 (en) * | 2019-04-01 | 2021-01-11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Eco-friendly system for management of storm water using porous concrete base carrier |
KR102209260B1 (en) * | 2019-04-02 | 2021-01-28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System for reducing storm water and nonpoint pollution source using porous concrete cobbl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0070B1 (en) * | 2013-01-29 | 2013-08-30 | 녹스 코리아(주) | Non-point sources pollutants removal facility |
-
2015
- 2015-01-30 KR KR1020150014750A patent/KR10177274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0070B1 (en) * | 2013-01-29 | 2013-08-30 | 녹스 코리아(주) | Non-point sources pollutants removal facility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99987B1 (en) * | 2018-02-22 | 2018-09-18 | 주식회사 워터솔루션텍 | Non-point pollution source treatment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3884A (en) | 2016-08-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49656B1 (en) | Eco-friendly Filtration Grit Chamber AND Rain Water Recirculation System Using Thereof | |
KR101363853B1 (en) | The rainwater reuse system in a structure | |
US9051192B2 (en) | Surface water filtration systems | |
CN207700338U (en) | A kind of anti-clogging inlet for stom water | |
KR200459753Y1 (en) | The diminution apparatus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 |
KR101772744B1 (en) | Infiltration type rainwater treatment device | |
KR20100020867A (en) | Apparatus for removal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using slope filter | |
KR100524151B1 (en) | The collecting appratus for purified rainwater excluding the first flush | |
KR101656664B1 (en) | Cartridge modular infiltration trench preprocessing tank, filtr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rainwater filtra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582931B1 (en) |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pollutants | |
KR101023537B1 (en) | Rainwater Quality Improvement Treatment System | |
CN106638882A (en) | Rainwater collecting and utilizing system | |
CN207429843U (en) | A kind of low water damage dmp filter pond | |
CN203238699U (en) | Hydraulic automatic rainwater recovery device | |
KR100814790B1 (en) | Filtration channel for reducing nonpoint pollutants | |
KR101339455B1 (en) | Rainwater storage apparatus using multi separation | |
KR101355342B1 (en) | Equipment for re-use of rainwater catchment | |
KR20110131868A (en) | Early Rainwater Treatment Unit | |
KR100892834B1 (en) | Detachable sedimentation tank system device with various particle filtering function, quantity control, purification and water permeation | |
KR20100093194A (en) | Rainfall retention tank with swirl and filtration treatment | |
CN207794261U (en) | A kind of Integral rain solid-liquid separation system | |
KR101134311B1 (en) | Road trap apparatus | |
CN208884865U (en) | A kind of roof rain water abandoned stream device for cleansing and recycling | |
CN204570891U (en) | A kind of rainwater inspection well | |
CN109250820A (en) | Integrated initial rainwater is classified biofiltration gaseous-waste holdup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8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8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