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379B1 - Bookmark - Google Patents
Bookmar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72379B1 KR101772379B1 KR1020150166585A KR20150166585A KR101772379B1 KR 101772379 B1 KR101772379 B1 KR 101772379B1 KR 1020150166585 A KR1020150166585 A KR 1020150166585A KR 20150166585 A KR20150166585 A KR 20150166585A KR 101772379 B1 KR101772379 B1 KR 1017723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okmark
- auxiliary display
- display unit
- information
- p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 B42D9/001—Devices for indicating a page in a book, e.g. bookmark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2—Book cover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2—Book cover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42D3/16—Book cover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ith means for holding books open
Landscapes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해 책장 사이로 책갈피를 꽂아 놓은 상태에서 문양이나 도형, 글자 등과 다양한 정보가 표시되는 보조 표시부를 그 책갈피로부터 직립 또는 눕혀지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호기심 유발과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책갈피에 필요로 하는 정보가 표시되도록 형성되는 보조 표시부; 및 상기 보조 표시부를 책갈피로부터 직립 또는 눕힐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책갈피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책갈피로서의 용도는 물론 간단한 구조에 의해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정보를 간단하면서 편리하게 습득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In order to display a page, an auxiliary display unit displaying a variety of information such as a pattern, figure, letter, and the like is placed upright or lying down from the bookmark while the bookmark is inserted between bookcases, so that the user can bookmark the bookmark An auxiliary display unit formed to display necessary information; And a bending portion formed to be able to stand up or down from the bookmark.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user can learn various information simply and conveniently by a simple structure as well as a use as a bookmark.
Description
본 발명은 책의 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한 책갈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해 책장 사이로 책갈피를 꽂아 놓은 상태에서 문양이나 도형, 글자 등과 다양한 정보가 표시되는 보조 표시부를 그 책갈피로부터 직립 또는 눕혀지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호기심 유발과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책갈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okmark for displaying a page of a book,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okmark for displaying a page of a book, in which a bookmark is inserted between bookcases and an auxiliary display unit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such as a pattern, Or laying down a bookmark, so that the user can obtain curiosity and various information.
일반적으로 발행되는 책에는 책갈피가 없는 형태로 제본되어 출간되기 때문에, 독서 후 읽던 부분 또는 읽어야 하는 페이지 등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책장을 접어서 표시하거나 혹은 책을 제본시 마련된 색실 등을 사용하여 페이지를 표시하였다. In order to display a portion to be read or a page to be read, a page is displayed by folding a bookcase or displaying a color using bookbinding when a book is bound .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에 있어, 책장을 접을 경우에는 책이 훼손되어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책장에 인쇄된 글자 등의 인쇄물이 알아보지 못하도록 훼손됨에 따라 책의 수명을 단축하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method, when the bookcase is folded, the book is damaged and the aesthetic appearance is damaged, and the printed matter such as letters printed on the bookcase is damaged so as not to recognize, thereby providing a cause of shortening the life of the book.
그리고 색실의 경우에는 책을 제본시 추가적인 공정이 소요됨에 의해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을 가진다. In the case of the color room, the additional process is required when binding the book, which is troublesome and inconvenient.
상기와 같이 책갈피와 관련된 종래의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8-0008596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책장에 대응하여 옆으로 긴 스트립형상으로 형성되는 책갈피 보디로 구성되어 용이하게 착탈이 가능한 책갈피를 제공하는 것으로, 책갈피 보디의 한쪽 끝은 책장 또는 표지 등에 붙어있고, 다른 쪽 끝은 책장을 표시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해 책장 사이에 삽입되어 부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prior art related to the bookmark includes a bookmark formed in a long strip shape laterally corresponding to the bookcase,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1998-0008596 (hereinafter referred to as " Prior Art Document 1 & The bookmark body is attached to a bookcase or a cover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between the bookcases for realizing a function of displaying the bookcase, A technique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make it easy.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25329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독서를 할 때 책장을 넘기면 자동으로 다음 책갈피에 위치되어 책을 덮어도 독서 하던 책장을 쉽게 찾을 수 있게 하여 주는 책갈피꽂이와 같인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Also,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9-0125329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2"), when a book is turned over when reading a book, the book is automatically placed on the next bookmark. Techniques like bookmark holders have also been proposed to make it easier to find.
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9635호(이하 '선행기술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책에 책갈피를 부착한 상태에서 페이지가 스스로 넘어가지 않도록 하거나 바람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서 넘어가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현재 읽고 있는 페이지를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 책갈피를 한번 부착한 상태에서 위치 이동 없이 연속해서 다음 페이지를 읽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독서시 편리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해당 페이지 자동 고정기능이 구비된 책갈피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In addition,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93963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3"), when a user attaches a bookmark to a book, the page is prevented from falling over by itself,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page currently being read by keeping the fixed state so that the user can read the next page without moving the position while attaching the bookmark once, A technique such as a bookmark provided with the automatic page fixing function has also been proposed.
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88872호(이하 '선행기술문헌 4'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책갈피의 일면에 동일선 상으로 형성된 지시부를 갖는 표시부를 형성함으로써 책의 읽어야 하는 페이지뿐만 아니라 읽을 라인까지 정확히 표시해 줌으로써 책의 읽어야 할 곳을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한 책갈피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In addition,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0088872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4"), by forming a display unit having a command line formed on one side of a bookmark, A bookmark technology has also been proposed to quickly and accurately locate a book by reading it precisely.
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72845호(이하 '선행기술문헌 5'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해당 페이지의 책장의 해당 부분에 잘 고정되어 있을 수 있도록 하면서 페이지 이외에 메모 등을 할 수 있거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책갈피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In addition,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5-007284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5"), it is possible to make a memo in addition to the page There have also been proposed techniques such as bookmarks that may or may not provide information.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 내지 5의 책갈피는 책장의 정확한 페이지를 표시함은 물론 메모 등을 표시할 수 있는 각각의 장점을 가지나, 어린아이들이 독서하면서 책갈피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호기심을 유도하거나 혹은 성인의 경우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지 못하였다. However, the bookmarks of the prior art documents 1 to 5 have the merits of displaying the accurate page of the bookcase as well as displaying memos and the like. However, when children read books, In this case, it is impossible to obtain various information.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기술적 과제는 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해 책장 사이로 책갈피를 꽂아 놓은 상태에서 문양이나 도형, 글자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표시되는 보조 표시부를 그 책갈피로부터 직립 또는 눕혀지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호기심 유발과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책갈피를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xiliary display unit which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a pattern, a graphic, and letters in a state where a bookmark is inserted between bookcases, Or lying down so that the user can obtain curiosity and various information by providing a bookmark.
본 발명의 해결 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책갈피에 구비된 보조 표시부를 절취 후 또 다른 책갈피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xiliary display unit provided on a bookmark for use as another bookmark after being cut.
본 발명의 해결 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보조 표시부가 직립 된 후에 전복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A further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auxiliary display unit from being rolled up after being erected.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책의 책장 사이에 꽂아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책갈피로서, 상기 책갈피에 필요로 하는 정보가 표시되도록 형성되는 보조 표시부; 및 상기 보조 표시부를 책갈피로부터 직립 또는 눕힐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ookmark used to display a page by inserting between book pages of a book, the auxiliary display being formed to display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bookmark; And a bent portion formed to be able to stand up or down from the bookmark.
상기 보조 표시부의 직립과 눕힘은 상기 책갈피와 보조 표시부를 구획하도록 그 책갈피의 테두리 두 지점에서 내측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절개라인, 및 상기 절개라인의 내측 끝단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절곡부에 의해 이루어진다. A pair of incision lines formed at the same positions spaced inward from two points of the border of the bookmark so as to divide the bookmark and the auxiliary display unit and a pair of incision lines which are located at the inner end of the incision line And is formed by the bending portion formed.
상기 보조 표시부는 책갈피의 테두리로부터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한다. The auxiliary display unit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that is formed to protrude further from the rim of the bookmark.
상기 보조 표시부는 책갈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절곡부에 형성되는 절취라인, 및 상기 보조 표시부의 내측에 책장의 표면 또는 이면으로 각각 끼워지도록 절개선에 의해 분리되는 테두리테 및 끼움편을 포함한다. The auxiliary display unit includes a cut-out line formed in the bent portion to be separated from the bookmark, and a frame frame and a fitting piece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n incision to be inserted into a surface or a back surface of the bookcase inside the auxiliary display unit.
상기 보조 표시부에는 책갈피로부터 직립 된 후 전복되지 않도록 테두리부터 연장 형성되는 직립 유지부를 더 포함한다. The auxiliary display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n upright holding portion extending from a rim so as not to be rolled up after being erected from a bookmark.
본 발명은 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해 책장 사이로 책갈피를 꽂아 놓은 상태에서 문양이나 도형, 글자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표시되는 보조 표시부를 그 책갈피로부터 직립 또는 눕혀지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호기심 유발과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책갈피로서의 용도는 물론 간단한 구조에 의해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정보를 간단하면서 편리하게 습득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In order to display a page, an auxiliary display unit displaying a variety of information such as a pattern, figure, letter, and the like is placed upright or down from the bookmark while a bookmark is inserted between bookcases, thereby causing a user to obtain curiosity and various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acquire a variety of information easily and conveniently by a simple structure as well as a use as a bookmark.
또한, 책갈피에 구비된 보조 표시부를 절취 후 또 다른 책갈피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용도 이외에 더욱더 다양한 용도 활용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In addition, since the auxiliary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bookmark can be used as another bookmark after cutting, it has an effect that it can utilize more various purposes besides the application for obtaining information.
또, 보조 표시부가 직립 된 후에 전복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조 표시부에 표시된 정보를 안정적이면서 더욱더 편리하게 얻을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Further, by preventing the auxiliary display portion from being rolled up after being erected,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auxiliary display portion can be obtained stably and more conveniently.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와 분리도 및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사용 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a separation view, and a use stat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and a use stat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세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책(B)의 책장(B1) 사이에 꽂아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책갈피(100)를 제공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책갈피(100)는 시트 형태의 공지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절개된 부분에 의해 책장(B1)으로 끼워져 그 책장(B1)의 표면에 위치하는 페이지 표시부(110)와, 상기 책장(B1)의 이면에 위치하는 페이지 지지부(120)로 구성된다. The
본 발명은 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해 책장 사이로 책갈피를 꽂아 놓은 상태에서 문양이나 도형, 글자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표시되는 보조 표시부를 그 책갈피로부터 직립 또는 눕혀지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호기심 유발과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In order to display a page, an auxiliary display unit displaying a variety of information such as a pattern, figure, letter, and the like is placed upright or down from the bookmark while a bookmark is inserted between bookcases, thereby causing a user to obtain curiosity and various information To be able to.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책갈피(100)는 그 책갈피(100)에 필요로 하는 문양이나 도형 또는 글자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형성되는 보조 표시부(10); 및 상기 보조 표시부(10)를 책갈피(100)로부터 직립 또는 눕힐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절곡부(20);를 포함한다. The bookmar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xiliary display unit (10) formed to display various information such as a pattern, figure or letter required for the bookmark (100); And a
책갈피(100)와 보조 표시부(10)는 종이, 가죽, 플라스틱, 철판 중 필요에 따라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다. The
보조 표시부(10)는 책갈피(100)를 제작시 그 책갈피(100)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보조 표시부(10)에 형성되는 다양한 정보라 함은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만화나 동화와 같은 그림, 문구, 캐리커처(caricature) 등 다양한 형태가 공지된 방식에 의해 인쇄되거나 혹은 별도로 인쇄되는 스티커 등과 같은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Various information formed on the
또한, 성인들에게도 각종 연락처나 필요로 하는 문구 등이 인쇄 또는 스티커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Also, various contacts and necessary phrases can be attached to adults in print or sticker form.
또, 휴대폰을 이용한 QR 코드의 홍보물이나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를 구현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정보도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information such as a QR code promotional material using a mobile phone or an Augmented Reality (AR) can be formed.
보조 표시부(10)의 직립과 눕힘은 상기 책갈피(100)와 보조 표시부(10)를 구획하도록 그 책갈피(100)의 테두리 두 지점에서 내측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절개라인(12), 및 상기 절개라인(12)의 내측 끝단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절곡부(20)에 의해 이루어진다. The upright and the downward of the
절개라인(12)은 직선 형태나 사선 또는 원호 형태 등 형성하고자 하는 보조 표시부(10)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The
절곡부(20)는 책갈피(100)에 펀칭 등에 의해 자국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절개라인의 각 끝단에 의해 자연스럽게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The
또한, 상기 보조 표시부(10)는 책갈피(100)의 테두리로부터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연장부(10A)를 더 포함한다. The
즉, 보조 표시부는 도시하지 않은 책갈피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않는 상태로 형성되어 직립 또는 눕혀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auxiliary display unit may be formed so as not to deviate from the edge of the bookmark (not shown) and be formed so as to be erected or laid down.
허 나, 도시된 바와 같이 책장 사이로 책갈피가 삽입된 후 보조 표시부가 직립 되었을 때 확연하게 표현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책갈피의 테두리로부터 더 돌출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extension protruding from the edge of the bookmark so as to be able to be clearly displayed when the auxiliary display unit is erected after inserting the bookmark between the bookcases as shown and to record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Do.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책갈피는 그 책갈피의 용도에 따라 책장의 표면과 이면으로 페이지 표시부와 페이지 지지부가 끼워져 페이지를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책갈피에 절개라인에 의해 구획된 보조 표시부를 절곡부에 함께 직립시킨다. 이때, 상기 보조 표시부에는 사용자에 따라 적정한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관계로,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bookmark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te that the page display portion and the page support portion are sandwiched betwee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bookcase and the page is displayed, the auxiliary display portion, which is partitioned by the incision line, . At this time, because the appropriate information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user, the user can obtain various information.
다시 말해서, 어린이들이 사용하는 책갈피에는 만화나 동화와 같은 그림, 문구, 캐리커처(caricature)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표시함에 따라 호기심을 유발함은 물론 그 정보와 연결된 사항을 다시 한번 되새김할 수 있는 유익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bookmarks used by children display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such as pictures, phrases, caricatures, etc., such as cartoons and fairy tale, which are not only curiosity but also useful information .
더욱이, 도 3에서와같이 보조 표시부(10)에 서로 관련된 사항이 기록된 정보를 하나의 책장(B1)에 복수 개를 책갈피(100)를 꽂은 후 각 책갈피(100)에 구비된 보조 표시부(10)를 직립시킴으로써, 어린이들로 하여금 관련된 정보를 간단하면서 편리하게 연결시켜 숙지할 수 있는 유익성도 가진다. 3, a plurality of
아울러, 성인들이 사용하는 책갈피에는 성인들에 필요한 각종 생활정보나 연락처 등과 같은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각종 정보를 불편함 없이 간단하고 편리하게 얻을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bookmarks used by adults display information such as various living information and contact information necessary for adults, thereby providing the convenience to easily and conveniently obtain various information needed without inconvenience.
그리고 보조 표시부를 사용하지 않은 때에는 보조 표시부를 책갈피와 동일 면상으로 눕혀 놓으므로서, 통상적인 책갈피의 용도로도 불편함 없이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다. When the auxiliary display unit is not used, the auxiliary display unit is laid down on the same plane as the bookmark, so that it can be used smoothly without any inconvenience as a usual bookmark.
이로써, 본 발명은 책갈피에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기술적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정보를 더욱더 간단하고 편리하기 얻을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ookmark does not have a complicated technical structure, but a simple technical structure provides a convenience for a user to obtain various information more simply and conveniently.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와 분리도 및 사용 상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a separation view, and a use stat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책갈피에 직립 또는 눕힐 수 있도록 마련된 보조 표시부는 단순하게 정보를 표시하는 용도뿐만 아니라 상기 책갈피로부터 분리시켜 또 다른 책갈피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auxiliary display unit provided to be erect or lying on the bookmark can be used not only for displaying information but also for another bookmark by separating from the bookmark.
보조 표시부(10)는 책갈피(100)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절곡부(20)에 형성되는 절취라인(30), 및 상기 보조 표시부(10)의 내측에 책장(B1)의 표면 또는 이면으로 각각 끼워지도록 절개선(32)에 의해 분리되는 테두리테(10a) 및 끼움편(10b)을 포함한다. The
절취라인(30)은 책갈피(100)에 보조 표시부(10)를 형성시 통상적인 프레스 작업 등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별도의 천공작업을 통하여 책갈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The
그에 따라 책갈피에 형성된 보조 표시부를 평상시 정보를 표시하는 용도로 사용하다가 필요한 경우, 책갈피로부터 절취라인에 의해 분리시킨 후 그 보조 표시부에 형성된 절개선에 의해 분리된 테두리테와 끼움편을 사용하여 책장의 페이지를 표시하는 책갈피 용도로 사용한다. The auxiliary display unit formed on the bookmark is used as a display for normally displaying information. If necessary, the auxiliary display unit is separated from the bookmark by the cutout line, Used as a bookmark for displaying pages.
이로써, 보조 표시부는 하나의 단순한 용도가 아닌 필요한 경우에 따라 또 다른 책갈피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성을 포함할 수 있다. As such, the secondary display may include diversity that can be used for another bookmark as needed, rather than for a single simple purpose.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사용 상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and a use stat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보조 표시부에 표시된 정보를 얻고자 책갈피로부터 직립시킨 경우, 쉽게 눕혀지지 않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above-mentioned configuration, the auxiliary display unit includes means for preventing the information from being easily laid when erected from the bookmark to obtain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auxiliary display unit.
보조 표시부(10)에는 책갈피(100)로부터 직립 된 후 전복되지 않도록 테두리부터 연장 형성되는 직립 유지부(40)를 더 포함한다. The
직립 유지부(40)는 보조 표시부를 형성시 소정의 폭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공지된 방식에 의해 별도로 부착하여도 무방한 것이며, 상기 보조 표시부가 책갈피로 직립된 상태에서 적도 한 번 이상을 절곡시켜 직립된 보조 표시부가 받쳐져 지지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보조 표시부가 직립된 상태에서 쉽게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직립 유지부는 비교적 길이를 길게 하여 책갈피가 꽂아지지 않은 다른 책장 사이로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책이 놓여진 책상 등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The upright holding part may be relatively long to be inserted and supported between other bookshelves that are not inserted with bookmarks, and may be supported on the top surface of a desk or the like on which the book is placed.
그로 인해 보조 표시부에 표시된 각종 정보를 더욱더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This makes it possible to more conveniently check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auxiliary display unit.
10 : 보조 표시부 10A : 연장부
10a : 테두리테 10b : 끼움편
12 : 절개라인 20 : 절곡부
30 : 절취라인 32 : 절개선
40 : 직립 유지부
100 : 책갈피 110 : 페이지 표시부
120 : 페이지 지지부
B : 책 B1 : 책장10:
10a:
12: incision line 20:
30: Cut line 32: Section improvement
40: Upright holding part
100: bookmark 110: page indicator
120:
B: Book B1: Bookcase
Claims (5)
상기 책갈피에 필요로 하는 정보가 표시되도록 형성되는 보조 표시부; 및
상기 보조 표시부를 책갈피로부터 직립 또는 눕힐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 표시부에는 책갈피로부터 직립 된 후 전복되지 않도록 테두리부터 연장 형성되는 직립 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A bookmark used to display a page inserted between bookshelves of a book,
An auxiliary display unit formed to display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bookmark; And
And a bent portion formed to be able to stand up or down from the bookmark,
Wherein the auxiliary display unit further comprises an upright holding part extending from a rim so as not to be rolled up after standing up from the bookmark.
상기 보조 표시부의 직립과 눕힘은 상기 책갈피와 보조 표시부를 구획하도록 그 책갈피의 테두리 두 지점에서 내측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절개라인, 및 상기 절개라인의 내측 끝단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절곡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air of incision lines formed at the same positions spaced inward from two points of the border of the bookmark so as to divide the bookmark and the auxiliary display unit and a pair of incision lines that are located at the inner end of the incision line Wherein the bending portion is formed by the bending portion.
상기 보조 표시부는 책갈피의 테두리로부터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uxiliary display unit further comprises an extension portion that is formed to protrude further from the rim of the bookmark.
상기 보조 표시부는 책갈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절곡부에 형성되는 절취라인, 및 상기 보조 표시부의 내측에 책장의 표면 또는 이면으로 각각 끼워지도록 절개선에 의해 분리되는 테두리테 및 끼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auxiliary display portion includes a cutout line formed in the bending portion to be separated from the bookmark and a frame frame and a fitting portion that are separated by folding in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auxiliary display portion, Bookmark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6585A KR101772379B1 (en) | 2015-11-26 | 2015-11-26 | Bookmar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6585A KR101772379B1 (en) | 2015-11-26 | 2015-11-26 | Bookmark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1482A KR20170061482A (en) | 2017-06-05 |
KR101772379B1 true KR101772379B1 (en) | 2017-08-29 |
Family
ID=59223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66585A Expired - Fee Related KR101772379B1 (en) | 2015-11-26 | 2015-11-26 | Bookmar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72379B1 (en) |
-
2015
- 2015-11-26 KR KR1020150166585A patent/KR10177237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1482A (en) | 2017-06-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839458B1 (en) | Self-supporting flat plate, display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US7527235B2 (en) | Greeting card holder | |
KR101725782B1 (en) | A table calendar | |
KR101772379B1 (en) | Bookmark | |
US20090101061A1 (en) | Foldable book place marker | |
JP3193928U (en) | Folding portable book stand | |
JP3878659B1 (en) | Method for producing self-supporting flat plate | |
JP3178945U (en) | Automatic bookmarks | |
KR102466566B1 (en) | Standing Typed Book Case Having Function Of Picture Frame | |
KR200164092Y1 (en) | A note with reading desk | |
GB2474714A (en) | A collapsible stand, e.g. book rest, with lazy tongs folding mechanism. | |
KR20150012330A (en) | Easy-tear function notebook | |
JP3130937U (en) | Display stand | |
KR200493987Y1 (en) | Bookmark | |
KR200472083Y1 (en) | Booklinemark | |
JP2012136007A (en) | Pop-up body | |
KR102022335B1 (en) | Book of bookbinding using a ring with a disclosed backbone | |
KR20170061480A (en) | letter paper | |
KR200427836Y1 (en) | Multifunctional Folding Calendar | |
KR200268688Y1 (en) | Filter-sheet for space between folds of a book | |
KR101796387B1 (en) | Line indicator for book | |
JP3117628U (en) | Simple postcard-type stand with built-in supportable legs | |
KR200190203Y1 (en) | Book mark | |
KR101788125B1 (en) | Book with photo frame | |
JP3138135U (en) | Photo book hold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2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8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8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