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597B1 -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 및 다층 다짐 방법 - Google Patents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 및 다층 다짐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71597B1 KR101771597B1 KR1020160042270A KR20160042270A KR101771597B1 KR 101771597 B1 KR101771597 B1 KR 101771597B1 KR 1020160042270 A KR1020160042270 A KR 1020160042270A KR 20160042270 A KR20160042270 A KR 20160042270A KR 101771597 B1 KR101771597 B1 KR 1017715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action
- concrete
- unit
- vibrator
- scre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48—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laying-down the materials and consolidating them, or finishing the surface, e.g. slip forms therefor, forming kerbs or gutters in a continuous operation in situ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18—Devices for distributing road-metals mixed with binders, e.g. cement, bitumen, without consolidating or ironing effect
- E01C19/187—Devices for distributing road-metals mixed with binders, e.g. cement, bitumen, without consolidating or ironing effect solely for spreading-out or striking-off deposited mixtures, e.g. spread-out screws, strike-off board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2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consolidating or finishing laid-down unset materials
- E01C19/30—Tamping or vibrating apparatus other than rollers ; Devices for ramming individual pav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48—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laying-down the materials and consolidating them, or finishing the surface, e.g. slip forms therefor, forming kerbs or gutters in a continuous operation in situ
- E01C19/4833—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laying-down the materials and consolidating them, or finishing the surface, e.g. slip forms therefor, forming kerbs or gutters in a continuous operation in situ with tamping or vibrating means for consolidating or finishing, e.g. immersed vibrators, with or without non-vibratory or non-percussive pressing or smooth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을 수행하기 위한 구동부와, 콘크리트를 수용하는 호퍼부와, 수용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토출부 및 바이브레이터를 구비하여 타설된 콘크리트의 표면을 다지는 스크리드를 포함하여 포장을 형성하는 피니셔 장비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의 후방에는 저층 다짐부가 구비되되, 상기 저층 다짐부 하부의 다짐면은 상기 스크리드의 다짐면보다 아래 위치하되, 상기 저층 다짐부는 높이조절부에 의하여 높이가 조절되고, 폭방향 양단부에 부착형 다짐부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폭방향 길이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피니셔 장비의 측면에는 측면 다짐부가 구비되되, 상기 측면 다짐부는 거푸집 패널이 힌지부를 중심으로 각도 조절되도록 형성되어 포장 측면의 경사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고, 바이브레이터가 구비되어 진동다짐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다짐부족현상을 극복하여 포장의 두께와 무관하게 균질한 골재 분포를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리드 및 저층 다짐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의 동작을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 스크리드 및 저층 다짐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 스크리드 및 저층 다짐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층 다짐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200:호퍼부 300:토출부
310:오거 311:회동축
312:스크류 날개 400:스크리드
410:바이브레이터 420:다짐면
430:템퍼 500:저층 다짐부
510:다짐면 520:경사면
530:높이조절부 540:바이브레이터
600:측면 다짐부 610:거푸집 패널
620:힌지부
S100:콘크리트 타설단계 S110:콘크리트 펼침단계
S120:콘크리트 양분단계 S200:제1 다짐단계
S300:포장 완성단계 S310:제2 다짐단계
S320:제3 다짐단계 S330:측면 형성단계
Claims (11)
- 이동을 수행하기 위한 구동부(100)와, 콘크리트를 수용하는 호퍼부(200)와, 수용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토출부(300) 및 바이브레이터(410)를 구비하여 타설된 콘크리트의 표면을 다지는 스크리드(400)를 포함하여 포장을 형성하는 피니셔 장비(F)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300)의 후방에는 저층 다짐부(500)가 구비되되, 상기 저층 다짐부(500) 하부의 다짐면(510)은 상기 스크리드(400)의 다짐면(420)보다 아래 위치하되, 상기 저층 다짐부(500)는 높이조절부(530)에 의하여 높이가 조절되고, 폭방향 양단부에 부착형 다짐부(550)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폭방향 길이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피니셔 장비(F)의 측면에는 측면 다짐부(600)가 구비되되, 상기 측면 다짐부(600)는 거푸집 패널(610)이 힌지부(620)를 중심으로 각도 조절되도록 형성되어 포장 측면의 경사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고, 바이브레이터(630)가 구비되어 진동다짐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300)는 오거(310)가 폭방향으로 구비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펼치며, 타설된 콘크리트가 상기 저층 다짐부(500)를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로 양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층 다짐부(500)의 상부에는 경사면(520)이 후방으로 하향지게 형성되는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
- 삭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층 다짐부(500)는 바이브레이터(540)가 구비되어 진동다짐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의 피니셔 장비(F)를 이용하여 포장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피니셔 장비(F)를 이동함과 동시에 수용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S100);
시공될 콘크리트의 표면보다 아래 위치에서 저층 다짐부(500)가 콘크리트를 다져서 다짐 표면(1S)을 완성하는 제1 다짐단계(S200); 및
시공될 콘크리트의 표면 위치에서 스크리드(400)가 콘크리트를 다져서 포장면(2S)을 완성하는 포장 완성단계(S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다짐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단계(100)는,
오거(310)가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펼치는 콘크리트 펼침단계(S110); 및
타설된 콘크리트가 상기 저층 다짐부(500)를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로 양분되는 콘크리트 양분단계(S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다짐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완성단계(S300)는,
상기 스크리드(400)의 템퍼(430)가 콘크리트를 아래로 눌러주는 제2 다짐단계(S310); 및
상기 스크리드(400)의 바이브레이터(410)가 진동다짐을 수행하는 제3 다짐단계(S3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다짐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완성단계(S300)는,
시공될 콘크리트의 측면 위치에서 측면 다짐부(600)가 콘크리트를 다져서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형성단계(S3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다짐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2270A KR101771597B1 (ko) | 2016-04-06 | 2016-04-06 |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 및 다층 다짐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2270A KR101771597B1 (ko) | 2016-04-06 | 2016-04-06 |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 및 다층 다짐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71597B1 true KR101771597B1 (ko) | 2017-08-25 |
Family
ID=59761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2270A Expired - Fee Related KR101771597B1 (ko) | 2016-04-06 | 2016-04-06 |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 및 다층 다짐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71597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3619B1 (ko) * | 2020-03-30 | 2020-11-03 | 에스지이 주식회사 |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도로포장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KR102188188B1 (ko) * | 2020-05-04 | 2020-12-07 | 배명희 | 크랙이 방지되는 고밀도 콘크리트 바닥 시공방법 |
KR102188187B1 (ko) * | 2020-05-04 | 2020-12-07 | 배명희 | 고밀도 습식 컬러 콘크리트 바닥 시공방법 |
KR102241448B1 (ko) * | 2020-08-13 | 2021-04-16 | 박창연 | 포장콘크리트 균열 보수공법 및 보수장비 |
CN113403916A (zh) * | 2021-05-26 | 2021-09-17 | 山东高速工程建设集团有限公司 | 一种混凝土路面摊铺机及混凝土摊铺方法 |
KR102747352B1 (ko) | 2024-05-23 | 2024-12-27 | 주식회사 씨씨티연구소 | 폐자재를 활용한 저소음과 배수성이 우수한 도로 포장재용 피니셔 |
-
2016
- 2016-04-06 KR KR1020160042270A patent/KR10177159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3619B1 (ko) * | 2020-03-30 | 2020-11-03 | 에스지이 주식회사 |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도로포장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KR102188188B1 (ko) * | 2020-05-04 | 2020-12-07 | 배명희 | 크랙이 방지되는 고밀도 콘크리트 바닥 시공방법 |
KR102188187B1 (ko) * | 2020-05-04 | 2020-12-07 | 배명희 | 고밀도 습식 컬러 콘크리트 바닥 시공방법 |
KR102241448B1 (ko) * | 2020-08-13 | 2021-04-16 | 박창연 | 포장콘크리트 균열 보수공법 및 보수장비 |
CN113403916A (zh) * | 2021-05-26 | 2021-09-17 | 山东高速工程建设集团有限公司 | 一种混凝土路面摊铺机及混凝土摊铺方法 |
CN113403916B (zh) * | 2021-05-26 | 2022-06-14 | 山东高速工程建设集团有限公司 | 一种混凝土路面摊铺机及混凝土摊铺方法 |
KR102747352B1 (ko) | 2024-05-23 | 2024-12-27 | 주식회사 씨씨티연구소 | 폐자재를 활용한 저소음과 배수성이 우수한 도로 포장재용 피니셔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71597B1 (ko) | 다층 다짐 피니셔 장비 및 다층 다짐 방법 | |
CN108867274B (zh) | 铺筑混凝土路面的摊铺机 | |
JPH09184107A (ja) | 道路舗装用スリップフォームペーバ | |
CN109680586B (zh) | 一种路面沥青铺设方法 | |
US2380435A (en) | Combination road building machine and concrete spreader | |
CN107034770A (zh) | 一种用于植石式层间处治工艺的施工设备 | |
CN209779417U (zh) | 一种摊铺机 | |
CN110593063A (zh) | 现浇混凝土硬路肩简易滑模摊铺装置及其制作使用方法 | |
CN104631260A (zh) | 水泥稳定碎石上下层联铺施工方法 | |
CN113026492B (zh) | 一种大厚度高平整水泥混凝土路面双层摊铺机 | |
CN108867273B (zh) | 一种混凝土摊铺机 | |
KR20070082396A (ko) | 콘크리트의 타설 마감장치 | |
CN206385430U (zh) | 一种用于植石式层间处治工艺的施工设备 | |
JP4034127B2 (ja) | 舗装材の敷き均し装置 | |
JPH08510302A (ja) | コンクリートに段階的に振動を加える方法と装置 | |
CN111395115A (zh) | 一种混凝土摊铺机构和混凝土摊铺机 | |
KR101052442B1 (ko) |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 | |
NL1044539B1 (nl) | Productiewijze voor bedrijfsvloerplaten. | |
CN209907163U (zh) | 桥面混凝土摊铺整平机 | |
JP3028816U (ja) | コンクリートフィニッシャ | |
CN203284764U (zh) | 大型渠道边坡垫层摊铺机 | |
JP2010203163A (ja) | コンクリート舗装工法 | |
JP7300807B1 (ja) | コンクリート送出部材及びコンクリートフィニッシャー | |
CN1200065A (zh) | 生产混凝土构件的方法与设备 | |
CN211734973U (zh) | 现浇混凝土硬路肩简易滑模摊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8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8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