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073B1 - Storage facilities for storing and passing rainwat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 Google Patents
Storage facilities for storing and passing rainwat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71073B1 KR101771073B1 KR1020160172877A KR20160172877A KR101771073B1 KR 101771073 B1 KR101771073 B1 KR 101771073B1 KR 1020160172877 A KR1020160172877 A KR 1020160172877A KR 20160172877 A KR20160172877 A KR 20160172877A KR 101771073 B1 KR101771073 B1 KR 1017710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nwater
- water storage
- storage tank
- water
-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8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5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24 Flood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735 defic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underground tank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5—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box-shap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의 저장과 지중 침투 복합형 저수 시설 및 공법에 관한 것으로, 일정량의 빗물을 항상 저장하여 빗물을 언제든지 다양한 용수로 급수하고, 필요시 관리자의 제어, 저장 수위를 통해 저장된 빗물을 투수부를 통해 지중에 침투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빗물의 저장과 지중 침투 복합형 저수 시설은, 빗물 유입부가 구비되며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저수조(10)와; 상기 저수조의 저부에 시공되며 상기 저수조로부터 빗물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이 빗물을 지중에 침투시키는 투수부(40)와; 상기 저수조의 내부와 외부인 상기 투수부에 걸쳐 설치되는 관형이며 상기 저수조의 내부와 통하는 하나 이상의 유입부 및 상기 저수조의 외부와 통하는 하나 이상의 배출부가 구비되어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상기 투수부에 침투시키되, 상기 유입부는 상기 저수조의 바닥보다 높게 배치되어 상기 유입부 이하로 빗물이 저장되도록 하는 빗물 침투관(20)과; 상기 빗물 침투관의 유입부를 개폐하는 밸브체(30)와; 상기 저수조에 저장되는 빗물을 활용하도록 상기 저수조의 외부로 급수하는 급수수단(50)으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mwater storage and submerged infiltration combined water storage facility and method, in which a predetermined amount of rainwater is stored at all times to supply rainwater to various water sources at any time, It is intended to infiltrate into the ground.
The rainwater storage and underground infiltration combined water stor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storage tank (10) having a rainwater inflow section and storing rainwater therein; A permeable portion (40) installed on a bottom portion of the water storage tank and supplying and storing rainwater from the water storage tank and permeating the rainwater into the ground; Wherein the water permeable portion has a tubular shape extending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and penetrating the water storage portion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and having at least one inlet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and at least one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A rainwater infiltration pipe (20) arranged above the bottom of the water storage tank to store rainwater below the inflow section; A valve body (30) for opening and closing an inflow portion of the rainwater infiltration pipe; And water supply means (50) for supplying water to the out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to utilize rain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Description
본 발명은 저수 시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량의 빗물을 항상 저장하여 빗물을 언제든지 다양한 용수로 급수하고, 필요시 관리자의 제어, 저장 수위를 통해 저장된 빗물을 투수부를 통해 지중에 침투시키는 빗물의 저장과 지중 침투 복합형 저수 시설 및 시공 공법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torage faci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storage facility that stores a predetermined amount of rainwater at all times to water the rainwater at various times in various waters and controls the rainwater stored in the rainwater through the water storage unit Storage and underground penetration combined type water storage facility and construction method.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은 세계평균보다 높지만 인구밀도가 높아 1인당 연 강수량은 세계 1인당 연 강수량보다 매우 적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물 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범국가적인 물 부족 개선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나, 빗물의 빠른 배수에만 주력해온 이른바 사막형 물 관리 시스템에 따른 결과로 인해 도심에서는 배수능력 저하로 배수구에서 역류가 발생하여 대규모 침수가 잦고, 농촌에서는 하천의 범람으로 인한 농작물의 막대한 피해가 속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The average annual rainfall in Korea is higher than the world average, but the population density is so high that the annual precipitation per capita is much less than the annual rainfall per capita in the world.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water shortag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to improve the water deficit. However, due to the so-called desert water management system that focuses on the rapid drainage of rainwater, And the flooding of the rivers caused by the flooding of the rivers has caused enormous damage to the crops.
특히 우리나라는 매년 홍수와 가뭄을 동시에 겪는 재해 발생 특성상 물 관리하기가 가장 어려운 국가 중 하나이며, 여름에 집중되는 빗물을 저장하고 저류시설을 통한 유출저감을 통해 그 빗물을 활용할 수 있는 시설이 미비한 것이 사실이다.In particular, Korea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countries to manage water due to the disaster that causes floods and droughts at the same time, and there are not enough facilities to store rainwater in summer and to utilize the rainwater through reduction of runoff through reservoir facilities It is true.
따라서, 최근에는 우수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우수를 지면으로 배수하지 않고 우수를 받아서 침전물과 부상물을 필터링해서 그 우수를 일정한 용적을 갖는 저류조에 저장하였다가 정원용수와 일반 준 생활용수로 사용하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기술수단이 개발되어 있다.
Therefore, recently, in order to minimize damages caused by stormwater, stormwater is not drained to the ground but stormwater is filtered, and the stormwater and floodwater are filtered, and the stormwater is stored in a reservoir having a constant volume. And a variety of technical means have been developed.
특허문헌(등록특허 제10-1510615호)은 하판, 및 상기 하판의 전후좌우측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전벽, 후벽, 좌벽, 및 우벽을 포함하고 상부가 개방된 사각통 형상으로 되는 빗물저류부; 상기 빗물저류부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빗물저류부를 분할하는 격벽; 상기 빗물저류부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빗물저류부의 상부를 덮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전벽, 상후벽, 상좌벽, 및 상우벽으로 구성되며 속이 빈 사각기둥 형상으로 되는 빗물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상기 빗물유입부에서 상기 빗물저류부로 연결되는 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은 유입된 빗물이 월류할 수 있는 월류구를 포함하고, 상기 하판은 유입된 빗물이 지하로 침투할 수 있는 배수구로 구성된 것으로, 배수구를 통해 빗물을 침투시킬 수 있지만, 배수구가 바닥에 형성되어 일정량의 빗물을 저장하는 것이 어려워 빗물의 활용을 위한 급수가 원활하지 못하다.
Patent Document 10-1510615 discloses a rainwater storage unit having a lower plate and a rectangular tube-shaped upper wall including a front wall, a rear wall, a left wall, and a right wall vertically coupled to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plate; A partition wall vertically installed in the rainwater storage part to divide the rainwater storage part; An upper plat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rainwater storage unit and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rainwater storage unit; And a rainwater inflow part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late and composed of a normal wall, a top rear wall, a top wall, and a top and bottom wall and having a hollow square pillar shape, and the top plate is connected to the rainwater storage part And the bottom plate includes a drain hole into which the inflowing rainwater can permeate, so that the rainwater can penetrate through the drain hole However, it is difficult to store a certain amount of rainwater because the drainage hole is formed on the floor, so water supply for the utilization of rainwater is not smooth.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량의 빗물을 항상 저장하여 빗물을 언제든지 다양한 용수로 급수하고, 필요시 관리자의 제어, 저장 수위를 통해 저장된 빗물을 투수부를 통해 지중에 침투시키는 빗물의 저장과 지중 침투 복합형 저수 시설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ainwater collecting apparatus and a rainwater collecting method, in which rainwater is always stored by constantly storing a certain amount of rainwater, And to provide a combined type water storage facility and method.
본 발명에 의한 빗물의 저장과 지중 침투 복합형 저수 시설은, 빗물 유입부가 구비되며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로부터 빗물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이 빗물을 지중에 침투시키는 투수부와; 상기 저수조의 내부와 외부인 상기 투수부에 걸쳐 설치되는 관형이며 상기 저수조의 내부와 통하는 하나 이상의 유입부 및 상기 저수조의 외부와 통하는 하나 이상의 배출부가 구비되어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상기 투수부에 침투시키되, 상기 유입부는 상기 저수조의 바닥보다 높게 배치되어 상기 유입부 이하로 빗물이 저장되도록 하는 빗물 침투관과; 상기 빗물 침투관의 유입부를 개폐하는 밸브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ainwater storage and underground infiltration combined water stor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ater storage tank having a rainwater inflow part and storing rainwater therein; A permeable portion for receiving rainwater from the water storage tank and storing the rainwater and for penetrating the rainwater into the ground; Wherein the water permeable portion has a tubular shape extending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and penetrating the water storage portion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and having at least one inlet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and at least one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A rainwater infiltration pipe disposed above the bottom of the water storage tank to store rainwater below the inflow section; And a valve body that opens and closes the inflow portion of the rainwater infiltration pipe.
본 발명에 의한 빗물의 저장과 지중 침투 복합형 저수 시설은, 빗물 유입부이 구비되며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로부터 빗물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이 빗물을 지중에 침투시키는 투수부와; 상기 저수조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일정 높이로 형성되며 수위에 의해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빗물을 방류하는 방류관과; 상기 방류관에서 분기 형성되며 상기 방류관을 따라 방류되는 빗물을 지중에 침투시키는 침투유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ainwater storage and underground infiltration combined type water stor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storage tank having a rainwater inflow part and storing rainwater therein; A permeable portion for receiving rainwater from the water storage tank and storing the rainwater and for penetrating the rainwater into the ground; A discharge pipe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and discharging rain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by a water level; And a permeation inducing pipe branched from the discharge pipe and permeating rainwater discharged along the discharge pipe into the ground.
본 발명에 의한 빗물의 저장과 지중 침투 복합형 저수 시설은, 빗물 유입부이 구비되며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로부터 빗물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이 빗물을 지중에 침투시키는 투수부와; 상하 양측에 개방된 유입부와 배출부가 구비된 관형으로서 상기 유입부가 상기 저수조의 바닥보다 높게 배치되도록 상기 저수조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 설치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빗물을 상기 배출부를 통해 지중에 침투시키는 침투유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ainwater storage and underground infiltration combined type water stor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storage tank having a rainwater inflow part and storing rainwater therein; A permeable portion for receiving rainwater from the water storage tank and storing the rainwater and for penetrating the rainwater into the ground;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water storage tank so as to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bottom of the water storage tank and the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flow- And a penetration inducing tube for permeating the permeation inducing tube.
본 발명에 의한 빗물의 저장과 지중 침투 복합형 저수 시설 및 시공 공법에 의하면, 실시예들 모두 항상 일정량의 빗물을 저수조에 저장하여 용수의 필요시 언제든지 급수가 가능하고, 그러면서도 저수조에 저장 중인 빗물을 투수부를 통해 지중에 침투시켜 갈수기에도 지반의 영양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rainwater storage and underground infiltration combined water storage facility and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embodiments always store a certain amount of rainwater in the water storage tank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whenever water is required, There is an effect that nutrition of the ground can be made even if it penetrates into the ground through the pore portion.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빗물의 저장과 지중 침투 복합형 저수 시설의 작용 상태도로서,
도 1은 빗물 저장시이고,
도 2는 빗물 침투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빗물의 저장과 지중 침투 복합형 저수 시설에 수위조절캡이 적용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빗물의 저장과 지중 침투 복합형 저수 시설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빗물의 저장과 지중 침투 복합형 저수 시설의 구성도.FIG. 1 and FIG. 2 are operational state diagrams of the rainwater storage and underground infiltration combined type water storage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rainwater is stored,
Fig. 2 shows the rainwater infiltration.
3 is a view showing a water level control cap applied to a combined rainwater storage and underground infiltration water storage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combined water storage and stormwater infiltr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mbined water storage and stormwater infiltration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operator, or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실시예 1>≪ Example 1 >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빗물의 저장과 지중 침투 복합형 저수 시설은, 빗물을 저장하는 저수조(10), 저수조(10)에 저장된 일부의 빗물을 지중에 침투시키는 빗물 침투관(20), 빗물 침투관(20)의 개폐를 통해 빗물의 침투를 제어하는 밸브체(30), 저수조(10)에 저장 중인 빗물을 활용하기 위한 급수수단(50)으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 투수재(41)와 투수시트(42)로 이루어진 투수부(40)가 저수조(10) 아래에 시공되어 빗물 침투관(20)을 통해 배출되는 빗물을 저장 및 저장된 빗물을 지중에 침투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지반 침하 등으로 인한 본 발명 저수 시설의 뒤틀림을 막기 위하여 기초부(60)가 구성된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rainwater storage and underground infiltration combined water stor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저수조(10)는 콘크리트, 합성수지, 철판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빗물의 유입을 위한 유입부(11)가 일측(도 1 기준 좌측) 천정부에 형성되며 타측 천정부에 빗물의 방류를 위한 방류관(12)이 갖추어진다.The
또한, 저수조(10) 상단에는 빗물유입에 따른 공기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에어벤트(13)가 구성되어 지상과 연통된다.An
저수조(10)의 내부에 유입되는 빗물에는 모래와 낙엽 등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이물질의 회수를 위하여 이물질 회수조(14)가 갖추어진다.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이물질 회수조(14)는 저수조(10)의 저부에 저수조(10)의 바닥부보다 낮은 높이로 상부를 향해 개방 형성되는 형태이며 저수조(10) 바닥에 있는 이물질이 모이도록 한다.The foreign
이물질의 자연스러운 회수를 위하여 저수조(10)의 바닥부는 이물질 회수조(14)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of the
저수조(10)는 이물질 회수조(14)에 모인 이물질의 청소를 위하여 외부(지상)와 통하는 청소 맨홀(15) 및 작업자의 이동을 위한 사다리가 구성될 수 있다.
The
빗물 침투관(20)은 저수조(10) 내부에 저수조(10) 외부와 통하도록 설치되어 저수조(10) 내부에 저장 중인 일부 물을 저수조(10) 외부인 투수부(40)로 배출[투수부(40)의 미적용시 지중으로 배출]하는 것이며, 빗물의 유입과 배출을 위하여 내부에 공간이 있는 관형이며 유입부(21)와 배출부(22)가 구성된다.The
빗물 침투관(20)의 유입부(21)는 저수조(10) 내부와 통하고 배출부(22)는 저수조(10) 외부와 통하도록 설치되며, 유입부(21)와 배출부(22)는 예를 들어 각각 하나 이상의 원형 구멍으로서 빗물 침투관(20)의 둘레부에 형성된다. The
또한, 배출부는 빗물 침투관(20)의 저부를 개방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Further, the discharge portion may be formed by opening the bottom of the
본 발명은 빗물 침투관(20)의 유입부(21)가 저수조(10)의 바닥부보다 높게 배치되어 유입부(21) 아래에 저장중인 빗물을 지중에 침투시키지 못하고 방류관(12)을 통해 방류시키지 못하며 따라서, 일정량의 빗물을 항상 저장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아울러, 빗물 침투관(20)은 밸브체(30)의 개폐를 통해 빗물을 침투시키는 것이며, 즉, 밸브체(30)에 의해 유입부(21)의 개방시 저수조(10) 내부의 빗물을 배출부(22)를 통해 침투시키고 유입부(21)의 폐쇄시 저수조(10) 내부의 빗물을 침투시키지 못한다. 본 발명은 밸브체(30)의 개폐와 별도로 저수조(10)에 일정량의 빗물이 저장되면 자연적으로 빗물을 침투시킬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The
빗물 침투관(20)의 내부와 저수조(10) 내부를 서로 통하게 하여 저수조(10) 내부의 빗물을 빗물 침투관(20)으로 유도하는 빗물유도관(23)이 구성된다.A
빗물유도관(23)은 일측이 빗물 침투관(20)의 둘레부에 연결되어 분기되는 형태로서, 일측의 배출단이 빗물 침투관(20)의 유입부(21)와 배출부(22) 사이에 연결되며 타측의 유입단이 상기 일측의 배출단보다 높게[방류관(12)보다 낮게]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된다.One end of the
빗물유도관(23)은 단품으로 구성되어 필요시 빗물 침투관(20)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고, 물론, 빗물유도관(23)의 미사용시 빗물유도관(23)이 연결되는 부분은 밀폐된다.The
빗물유도관(23)의 상부의 입구측에는 부유물이 투수부(4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트랩부(24)가 구성될 수 있다. 트랩부(24)는 유입단이 저부를 향하도록 벤딩된 형태로서 수면 아래에 배치되어 부유물의 침투를 차단한다.The
빗물유도관(23)의 타측의 유입단에는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망이 구성될 수 있다.The inlet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빗물유도관(23)의 유입단 높이는 빗물을 침투시키는 높이이며, 빗물의 침투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빗물유도관(23)의 유입단에는 수위조절캡(25)(도 3 참고)이 구성될 수 있다. 수위조절캡(25)은 상하부가 개방된 관형이며 트랩부가 없는 형태의 빗물유도관(23)의 유입단에 결합되어 사용된다.The height of the inflow end of the
빗물 침투관(20)은 저수조(10)를 관통하는 부분에서 밀봉 처리되는 것은 물론이며, 둘레부에 저수조(10)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빗물 침투관(20)을 지지함과 아울러 밀봉을 돕는 링형상의 날개부가 구성될 수 있다. The
부가적으로, 이 날개부는 조립식으로서 빗물 침투관(20)에 다양한 높이로 설치됨으로써 유입부(21)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wings may be of a prefabricated type and may be provided at various heights in the
밸브체(30)는 바람직하게 빗물 침투관(2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입부(21)를 개폐하는 밸브(31), 밸브(31)에 연결되면서 지상을 향해 설치되고 핸들(32)이 구비된 밸브봉(33), 저수조(10)의 외부에 설치되며 밸브봉(33)을 보호하는 밸브 맨홀(34)로 구성된다. The
밸브(31)는 빗물 침투관(20)의 유입부(21) 위쪽으로 상승하여 유입부(21)를 개방하고 반대로 유입부(21)의 아래쪽으로 상승하여 유입부(21)를 폐쇄하는 것이며, 구조 상 유입부(21)를 폐쇄하는 것이 아니라 유입부(21)와 배출부(22) 사이를 막아 유입부(21)를 통해 유입된 빗물이 배출부(22)로 흐르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물론, 밸브(31)는 전술한 방식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유입부(21)를 직접적으로 개폐하는 방식도 가능하고, 예를 들어 관형으로 구성되어 빗물 침투관(20)의 둘레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빗물 침투관(20)으로 하강하여 겹쳐짐으로써 유입부(21)를 폐쇄하고 빗물 침투관(20)의 유입부(21) 상부로 상승하여 유입부(21)를 개방하는 방식도 가능하다.Of course, the
밸브봉(33)은 지상에서 밸브(31)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구성이며, 빗물 침투관(20)의 상부를 관통하여 지상을 향해 설치되고 핸들(32)이 밸브 맨홀(34) 안에 배치된다. The
밸브봉(33)은 밸브(31)를 승강시킬 수 있는 모든 방식이 가능하다.The
밸브 맨홀(34)은 저수조(10)의 외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밸브봉(33)의 상부와 핸들(32)이 수용되는 맨홀 본체 및 상기 맨홀 본체의 상측 개방부를 개폐하는 덮개로 구성된다.The
본 발명은 투수부(40)를 통해 저수조(10)에서 배출되는 빗물을 일시 저장한 후 지중에 침투시키며, 즉 저수조(10)의 빗물을 지중에 바로 침투시키지 않고 투수부(40)에 저장한 후 저장된 빗물을 소량씩 지중에 침투시킴으로써 갈수기에 지반의 영양화가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nwater discharged from the
투수부(40)는 자갈 등의 골재로 구성되는 다수의 투수재(41) 및 투수재(41)를 덮거나 감싸 투수재(41)의 유실을 막는 투수시트(42)로 구성된다.The
투수재(41)는 일정 높이로 쌓여 투수층을 형성하고, 투수시트(42)는 이 투수층의 상부와 좌우 양측을 덮거나 투수층 전체를 감싸는 것 모두가 가능하다.The
급수수단(50)은 급수펌프, 급수관으로 구성 가능하고, 급수관을 저수조(10) 내부에 설치하여 유입단이 바닥 부근[유입부(21)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하고 급수펌프를 저수조(10) 외부의 지상에 설치할 수 있고, 물론, 급수펌프를 저수조(10) 내부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water supply means 50 can be configured by a water supply pump and a water supply pipe and the water supply pipe is installed inside the
기초부(60)는 저수조(10)와 투수부(40)의 뒤틀림 방지를 위하여 바람직하게 콘크리트체로 구성되며, 현장 타설식과 조립식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식 모두가 가능하다.The
본 실시예에서 투수부(40)가 저수조(10)의 직하부에 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투수부(40)는 저수조(10)의 직하부가 아닌 주변에 시공되는 것도 포함되고, 이때, 빗물 침투관(20)은 투수부(40)에 빗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배관된다.Although the
또한, 이러한 경우 빗물 침투관(20)은 저수조(10) 내의 빗물을 지중에 침투시키고, 별도의 빗물급수관을 추가로 구성하여 이 빗물급수관을 통해 저수조(10) 내의 빗물을 저수조(10)로부터 먼 곳의 투수부(40)에 급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is case, the
본 실시예에 의한 빗물의 저장과 지중 침투 복합형 저수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투수부(40)가 구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The rainwater storage and underground penetration combined water storag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the
1. 빗물 저장(도 1 참고).1. Storing rainwater (see Fig. 1).
밸브체(30)의 밸브(31)는 유입부(21)의 하부에 배치되어 유입부(21)와 배출부(22) 사이를 막아 유입부(21)를 통해 빗물이 빗물 침투관(20) 안에 유입되더라도 배출부(22)로 흐르지 못하게 한다.The
빗물은 유입부(11)를 통해 저수조(10) 내부에 유입된다.The rainwater flows into the water storage tank (10) through the inlet (11).
따라서, 빗물은 빗물 유도관(23)의 유입단 높이까지 저장된다.Therefore, the rainwater is stored up to the inflow end height of the
2. 빗물 침투(도 2 참고).2. Rainwater infiltration (see FIG. 2).
저수조(10)에 저장된 빗물의 침투는 관리자의 밸브체(30) 조작에 의한 제어식 및 빗물유도관(23)을 이용한 수위식으로 구분된다.Infiltration of the rainwater stored in the
가. 제어식 빗물 침투.end. Controlled rainwater infiltration.
저수조(10)에 저장된 빗물의 침투를 위하여 지상에서 작업자가 핸들(32)을 조작하면 밸브봉(33)이 상승하고, 이를 통해 저수조(10) 내부 - 유입부(21) - 빗물 침투관(20) 내부 - 배출부(22) - 투수부(40)가 서로 통하게 된다.When the operator manipulates the
따라서, 저수조(10) 내부의 빗물은 빗물 침투관(20)을 경유하여 투수부(40)에 침투한다.Therefore, the rainwater in the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빗물의 양이 줄어들게 되며, 빗물은 유입부(21) 아래 수위에서는 유입부(21)에 유입될 수 없으므로 유입부(21) 아래 수위의 빗물은 항상 저장되고, 결과적으로 언제든지 빗물을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Since the amount of the rainwater is reduced and the rainwater can not flow into the
빗물의 침투 정지는 밸브(31)의 하강에 의해 이루어진다.The penetration of the rainwater is stopped by the descent of the
나. 수위식 빗물 침투.I. Water level rainwater infiltration.
빗물 침투관(20)의 유입부(21)와 배출부(22)가 밸브(31)에 의해 서로 단절된 폐쇄 상태에서 빗물은 빗물유도관(23)의 높이까지 채워진다.The rainwater is filled up to the height of the
빗물이 빗물유도관(23)의 상부 유입단 위까지 차오르면 자연스럽게 빗물유입관(23)의 유입단을 통해 빗물유입관(23)에 유입되고, 이 빗물은 빗물 침투관(20) 내부를 거친 후 배출부(22)를 통해 투수부(40)에 침투한다.The rainwater flows into the
빗물의 배출에 의해 빗물 수위가 빗물유도관(23)의 유입단보단 낮아지면 빗물은 저수조(10)에 저장된다.When the rainwater level is lowered by the discharge of the rainwater than the inflow end of the
밸브체 제어식과 수위 제어식을 통해 투수부(40)에 침투한 빗물은 투수부(40)의 투수재(41)를 통해 저장된 후 서서히 투수시트(42)를 통과하여 지중에 침투한다. 즉, 투수부(40)가 빗물을 저장하면서 소정의 속도(빗물이 바로 지중에 침투할 때보다 느린 속도)로 지중에 침투시키게 된다.The rainwater infiltrated into the
한편, 장마 등으로 인하여 빗물의 유입량이 많아져 방류관(12)의 수위까지 저장되면 일부의 빗물은 빗물유도관(23)을 통해 투수부(40)에 침투되면서 일부의 빗물은 방류관(12)을 통해 하천 등으로 방류된다. Meanwhile, when the amount of inflow of rainwater increases due to the rainy season or the like and is stored up to the level of the
본 실시예에 의한 빗물의 저장과 지중 침투 복합형 저수 시설의 시공 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rainwater storage and underground penetration combined type water stor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s follows.
1. 터파기.1. Terracotta.
저수 시설의 시공을 위하여 지반을 터파기하여 공간을 마련한다.In order to construct the water storage facility, the ground is laid out to provide space.
2. 기초부 시공.2. Construction of foundation.
터파기 공간의 바닥부를 평탄화하고 콘크리트의 기초부(60)를 시공한다.The bottom portion of the ter- minator space is planarized and the
3. 투수부 시공.3. Construction of pitcher part.
콘크리트의 기초부(60) 위에 투수재(41)를 일정 높이로 포설한 후 투수시트(42)를 덮어 투수부(40)를 시공하거나, 투수시트(42)를 기초부(60) 위에 깔고 투수재(41)를 일정 높이로 포설한 후 투수시트(42)로 투수재(41)를 감싸 투수부(40)를 시공한다.The
4. 저수조 시공.4. Water tank construction.
저수조(10)를 투수부(40) 상부에 설치한다. 이 과정에서 빗물 침투관(20)의 저부를 저수조(10)의 바닥에 형성된 구멍에 맞춰 투수부(40)에 삽입 설치한다. 투수부(40)는 빗물 침투관(20)의 저부가 삽입되는 홈부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water storage tank (10) is installed above the permeable portion (40). In this process, the bottom of the
저수조(10)의 시공시 각종 배관을 함께 시공한다.
When the water tank (10) is installed, various pipelines are installed together.
5. 복토.5. Covering.
저수조(10) 상부에 토사 등을 덮어 복토하고, 이때, 밸브 맨홀(34)의 뚜껑, 작업 맨홀의 뚜껑은 지면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lid of the
<실시예 2>≪ Example 2 >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빗물의 저장과 지중 침투 복합형 저수 시설은, 저수조(10), 방류관(12)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구성되며, 실시예 1의 빗물 침투관(20)을 사용하지 않고 방류관(12)을 통해 방류되는 빗물을 투수부(40)에 투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4, the rainwater storage and underground penetration combined type water stor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e
본 실시예는 방류관(12)에서 분기 형성되며 상기 방류관을 따라 방류되는 빗물을 지중에 침투시키는 외장형 침투유도관(70)이 구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n external
외장형 침투유도관(70)은 도면 기준 상부가 방류관(12)의 저부에서 분기되는 형태이고 저수조(10)를 따라 배열되면서 저부가 투수부(40) 안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The external
외장형 침투유도관(70)은 저수조(10)의 외벽에 밴드 등의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The external
또한, 외장형 침투유도관(70)은 빗물 침투의 제어를 위하여 밸브(71)가 구성될 수 있다. 밸브(71)는 지상에서 조작 가능한 모든 형태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external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이물질 회수조 등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구성된다.A foreign matter collecting tank and the like not shown in the figure ar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mbodiment 1. [
본 실시예에 따르면, 빗물이 저수조(10) 안에 저장되어 필요시 급수수단(50)의 가동시 빗물을 급수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ainwater is stored in the
빗물이 방류관(12)의 높이 이상으로 차오르면 방류관(12)을 통해 저수조(10) 외부로 배출된다.The rain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10) through the discharge pipe (12).
이 과정에서 방류관(12)을 따라 흐르는 빗물 중 일부 빗물은 외장형 침투유도관(70)에 유입되어 외장형 침투유도관(70)을 통해 투수부(40)에 투수된다.In this process, some of the rainwater flowing along the
밸브(71)가 적용된 경우 방류관(12)을 따라 흐르는 빗물은 밸브(71)가 개방된 경우에만 외장형 침투유도관(70)을 통해 침투한다.
The rainwater flowing along the
빗물의 방류와 침투로 인하여 빗물의 저장량이 방류관(12) 이하가 되면 빗물은 저수조(10) 안에서 외부로 배출되지 못한다.The rainwater can not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실시예 2의 외장형 침투유도관(70)은 실시예 1의 방류관(12)에 적용 가능하고 즉, 실시예 2는 독립사용은 물론 실시예 1에 종속사용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The external
본 실시예의 시공 방법은 실시예 1로부터 실시 가능하고, 간략하게 설명하면 터파기 - 기초부 시공 - 투수부 시공 - 저수조 시공 - 복토의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저수조 시공시 방류관(12)을 배관함과 아울러 외장형 침투유도관(70)을 저수조(10) 외부에 배관 설치하고, 저부를 투수부(40) 안에 삽입한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this embodiment can be practiced from Embodiment 1, and is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The construction is comprised of a trencher-foundation installation-permeable portion construction-reservoir construction-cover operation, and the
본 실시예도 투수부(40)는 저수조(10)의 직하부가 아닌 주변에 시공되는 것도 포함되고, 외장형 침투유도관(70)은 배출단이 투수부(40)에 연결되도록 배관된다.
Also in this embodiment, the
<실시예 3>≪ Example 3 >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빗물의 저장과 지중 침투 복합형 저수 시설은, 저수조(10)에 내장형 침투유도관(80)이 설치되는 점에서 실시예1,2와 차이점이 있고, 실시예 1의 빗물 침투관(2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As shown in FIG. 5, the rainwater storage and underground penetration combined type water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n that a built-in
내장형 침투유도관(80)은 상하 양측에 개방된 유입부와 배출부가 구비된 관형으로서 저수조(10)의 내부와 외부[투수부(40)에 걸쳐 세워져 설치되어, 상측의 유입부가 저수조(10)의 바닥보다 높게 배치되어 항상 일정량의 빗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하고, 저부의 배출부가 투수부(40) 안에 삽입된다.The built-in
내장형 침투유도관(80)의 상측의 유입부는 방류관(12)의 높이보다는 낮은 것이다.The inflow por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built-in
내장형 침투유도관(80)의 상부 입구측에도 트랩부가 구성될 수 있다.A trap portion may also be formed on the upper inlet side of the built-in infiltration induction pipe (80).
내장형 침투유도관(80)은 실시예 1의 수위조절캡과 동일한 목적 달성을 위한 수위조절캡이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hat the built-in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저수조(10) 안에 유입된 빗물은 내장형 침투유도관(80)의 상측의 유입부 아래 수위로는 저장될 수 있다. 이 수위 이상의 빗물은 내장형 침투유도관(80)을 통해 투수부(40)에 침투되고, 방류관(12) 높이의 빗물은 방류관(12)을 통해 하천 등으로 방류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본 실시예의 시공 방법은 터파기 - 기초부 시공 - 투수부 시공 - 저수조 시공 - 복토의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저수조 시공시 내장형 침투유도관(80)을 저수조(10)의 바닥부에 형성된 구멍에 관통시켜 저부가 투수부(40) 안에 삽입되도록 한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this embodiment is composed of a trencher-foundation installation-permeable portion construction-water reservoir construction-earth cover process, and when the water tank is installed, the built-in
본 실시예도 투수부(40)는 저수조(10)의 직하부가 아닌 주변에 시공되는 것도 포함되고, 내장형 침투유도관(80)은 배출단이 투수부(40)에 연결되도록 배관된다.
Also in this embodiment, the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thereof, which are to be considered as being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e intention is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
10 : 저수조, 11 : 빗물 유입부
12 : 방류관, 20 : 빗물 침투관
21 : 유입부, 22 : 배출부
23 : 빗물유도관, 24 : 트랩부
30 : 밸브체, 31 : 밸브
32 : 핸들, 33 : 밸브봉
34 : 밸브 맨홀, 40 : 투수부
50 : 급수수단, 60 : 기초부
70 : 외장형 침투유도관, 80 : 내장형 침투유도관10: water tank, 11: rainwater inflow section
12: discharge pipe, 20: rainwater infiltration pipe
21: inlet portion, 22: outlet portion
23: Rainwater induction pipe, 24: Trap portion
30: valve body, 31: valve
32: handle, 33: valve stem
34: valve manhole, 40:
50: water supply means, 60: base portion
70: external penetration induction pipe, 80: built-in penetration induction pipe
Claims (16)
상기 저수조로부터 빗물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이 빗물을 지중에 침투시키는 투수부(40)와;
상기 저수조의 내부와 외부인 상기 투수부에 걸쳐 설치되는 관형이며 상기 저수조의 내부와 통하는 하나 이상의 유입부 및 상기 저수조의 외부와 통하는 하나 이상의 배출부가 구비되어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빗물을 상기 투수부 또는 지중에 침투시키되, 상기 유입부는 상기 저수조의 바닥보다 높게 배치되어 상기 유입부 이하로 빗물이 저장되도록 하는 빗물 침투관(20)과;
상기 빗물 침투관의 유입부를 개폐하는 밸브체(30)와;
상기 빗물 침투관의 유입부와 배출부 사이에서 분기되어 상기 빗물 침투관보다 높게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저수조에 저장되는 빗물을 상기 빗물 침투관으로 유도하는 빗물유도관(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의 저장과 지중 침투 복합형 저수 시설.A water storage tank (10) provided with a rainwater inflow section and storing rainwater therein;
A permeable portion (40) for receiving and storing rainwater from the reservoir and permeating the rainwater into the ground;
And at least one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water reservoir is provided to allow the rainwater stored in the water reservoir to pass through the water permeable portion or the ground A rainwater infiltration pipe (20) disposed above the bottom of the water storage tank to store rainwater below the inflow section;
A valve body (30) for opening and closing an inflow portion of the rainwater infiltration pipe;
And a rainwater guiding pipe (23) which branches off between the inflow part and the discharge part of the rainwater infiltration pipe and extends upward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rainwater infiltration pipe and guides the rain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to the rainwater infiltration pipe Features of rainwater storage and underground penetration combined type water storage facility.
상기 저수조로부터 빗물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이 빗물을 지중에 침투시키는 투수부와;
상기 저수조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일정 높이로 형성되며 수위에 의해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빗물을 방류하는 방류관과;
상기 방류관에서 분기 형성되며 상기 방류관을 따라 방류되는 빗물을 상기 투수부에 침투시키는 외장형 침투유도관과;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상기 저수조의 바닥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저수조 바닥에 침전된 이물질이 저장되는 이물질 회수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의 저장과 지중 침투 복합형 저수 시설.A water storage tank provided with a rainwater inflow section and storing rainwater therein;
A permeable portion for receiving rainwater from the water storage tank and storing the rainwater and for penetrating the rainwater into the ground;
A discharge pipe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and discharging rain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by a water level;
An external infiltration induction pipe branched from the discharge pipe and permeating rainwater discharged along the discharge pipe into the permeable portion;
And a foreign matter collecting tank formed inside the water reservoir at a lower level than the bottom of the water reservoir and storing foreign matter deposited on the bottom of the water reservoir.
상기 저수조로부터 빗물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이 빗물을 지중에 침투시키는 투수부와;
상하 양측에 개방된 유입부와 배출부가 구비된 관형으로서 상기 유입부가 상기 저수조의 바닥보다 높게 배치되도록 상기 저수조의 내부와 외부인 상기 투수부에 걸쳐 설치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빗물을 상기 배출부를 통해 지중에 침투시키는 내장형 침투유도관과;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상기 저수조의 바닥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저수조 바닥에 침전된 이물질이 저장되는 이물질 회수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의 저장과 지중 침투 복합형 저수 시설.A water storage tank provided with a rainwater inflow section and storing rainwater therein;
A permeable portion for receiving rainwater from the water storage tank and storing the rainwater and for penetrating the rainwater into the ground;
And a water supply unit that is installed on the water supply unit, the water supply unit being disposed inside and outside the water storage tank so that the inflow unit is disposed higher than the bottom of the water storage tank, and the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inflow unit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unit A built-in infiltration induction tube for infiltrating into the ground through;
And a foreign matter collecting tank formed inside the water reservoir at a lower level than the bottom of the water reservoir and storing foreign matter deposited on the bottom of the water reservoir.
지반을 굴착하여 터파기 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형성된 터파기 공간의 바닥부에 투수부를 시공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시공된 투수부 위에 저수조를 시공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저수조 상부를 복토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서 상기 투수부에 걸쳐 빗물유도관을 갖는 빗물침투관을 설치하되,
상기 빗물침투관은 관형이며 상기 저수조의 내부와 통하는 하나 이상의 유입부 및 상기 저수조의 외부와 통하는 하나 이상의 배출부가 구비되어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상기 투수부에 침투시키되, 상기 유입부는 상기 저수조의 바닥보다 높게 배치되어 상기 유입부 이하로 빗물이 저장되도록 하며,
상기 빗물유도관은 상기 빗물 침투관의 유입부와 배출부 사이에서 분기되어 상기 빗물 침투관보다 높게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저수조에 저장되는 빗물을 상기 빗물 침투관으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의 저장과 지중 침투 복합형 저수 시설 시공 공법.A method of constructing a combined rainwater storage and rainwater infiltr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step of excavating and digging the ground;
A second step of constructing a permeable portion at the bottom of the tterifier space formed through the first step;
A third step of constructing a water storage tank on the permeable portion constructed through the second step;
And a fourth step of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reservoir,
Wherein the third step includes providing a rainwater infiltration pipe having a rainwater induction pipe from the in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through the water permeable portion,
Wherein the rainwater infiltration pipe has a tubular shape and includes at least one inflow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and at least one discharge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to penetrate the water storage portion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So as to store rainwater below the inflow section,
Wherein the rainwater induction pipe is branched from the inflow portion and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rainwater infiltration pipe and extends toward the upper portion higher than the rainwater infiltration pipe and guides the rain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to the rainwater infiltration pipe. Storage and Underground Penetration of Mixed Water Storage System.
지반을 굴착하여 터파기 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형성된 터파기 공간의 바닥부에 투수부를 시공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시공된 투수부 위에 저수조를 시공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저수조 상부를 복토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저수조의 내부와 연통하는 방류관을 설치하고, 이 방류관과 상기 투수부에 걸쳐 외장형 빗물유도관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의 저장과 지중 침투 복합형 저수 시설 시공 공법.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mbined stormwater storage and rainwater infiltr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2,
A first step of excavating and digging the ground;
A second step of constructing a permeable portion at the bottom of the tterifier space formed through the first step;
A third step of constructing a water storage tank on the permeable portion constructed through the second step;
And a fourth step of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reservoir,
Wherein the third step includes providing a discharge pip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and providing an external rainwater guide pipe through the discharge pipe and the water discharge unit. .
지반을 굴착하여 터파기 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형성된 터파기 공간의 바닥부에 투수부를 시공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시공된 투수부 위에 저수조를 시공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저수조 상부를 복토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서 상기 투수부에 걸쳐 내장형 빗물침투관을 설치하되, 상기 내장형 빗물침투관의 상부가 상기 저수조에 연결되는 방류관보다 낮은 높이로 배치되고 저부가 상기 저수조의 바닥부를 관통한 후 상기 투수부에 연계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의 저장과 지중 침투 복합형 저수 시설 시공 공법.A method of constructing a combined stormwater storage and rainwater infiltr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3,
A first step of excavating and digging the ground;
A second step of constructing a permeable portion at the bottom of the tterifier space formed through the first step;
A third step of constructing a water storage tank on the permeable portion constructed through the second step;
And a fourth step of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reservoir,
Wherein the built-in rainwater infiltration pipe is disposed at a lower height than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tank, and a bottom portion of the built-in rainwater infiltra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water storage tank And the rainwater is stored in the rainwater storage tank.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2877A KR101771073B1 (en) | 2016-12-16 | 2016-12-16 | Storage facilities for storing and passing rainwat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2877A KR101771073B1 (en) | 2016-12-16 | 2016-12-16 | Storage facilities for storing and passing rainwat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71073B1 true KR101771073B1 (en) | 2017-08-24 |
Family
ID=59758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72877A Active KR101771073B1 (en) | 2016-12-16 | 2016-12-16 | Storage facilities for storing and passing rainwat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71073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52221A (en) * | 2017-11-08 | 2019-05-16 | (주)마이즈텍 | Water permeable block |
EP3916162A1 (en) * | 2020-05-27 | 2021-12-01 | Enregis GmbH | Storage infiltration system |
CN118422747A (en) * | 2024-05-17 | 2024-08-02 | 广东西海雨水环境技术有限公司 | A comprehensive rainwater treatment metho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683758B2 (en) * | 1989-02-21 | 1997-12-03 | 清水建設株式会社 | Ground improvement method and apparatus |
JP2011032695A (en) * | 2009-07-31 | 2011-02-17 | Sekisui Plastics Co Ltd | Rainwater subterranean infiltration facility |
JP5190287B2 (en) * | 2008-03-28 | 2013-04-24 | 戸田建設株式会社 | Rainwater storage structure with ground seepage function |
JP2016204829A (en) * | 2015-04-15 | 2016-12-08 | 重信 平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rainwater |
-
2016
- 2016-12-16 KR KR1020160172877A patent/KR10177107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683758B2 (en) * | 1989-02-21 | 1997-12-03 | 清水建設株式会社 | Ground improvement method and apparatus |
JP5190287B2 (en) * | 2008-03-28 | 2013-04-24 | 戸田建設株式会社 | Rainwater storage structure with ground seepage function |
JP2011032695A (en) * | 2009-07-31 | 2011-02-17 | Sekisui Plastics Co Ltd | Rainwater subterranean infiltration facility |
JP2016204829A (en) * | 2015-04-15 | 2016-12-08 | 重信 平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rainwater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52221A (en) * | 2017-11-08 | 2019-05-16 | (주)마이즈텍 | Water permeable block |
KR102148692B1 (en) * | 2017-11-08 | 2020-08-27 | (주)마이즈텍 | Water permeable block |
EP3916162A1 (en) * | 2020-05-27 | 2021-12-01 | Enregis GmbH | Storage infiltration system |
CN118422747A (en) * | 2024-05-17 | 2024-08-02 | 广东西海雨水环境技术有限公司 | A comprehensive rainwater treatment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891399B2 (en) | Dust removal control | |
KR101622222B1 (en) | Rainwater utilizing apparatus for drought and flood damage and sink hole prevention | |
US6796325B1 (en) | Apparatus for stormwater retention and release, and method of use thereof | |
KR101822899B1 (en) | Eco-friendly Surface Water Reservoir for Improvement of Groundwater Storage Function AND Eco-friendly Road Structure With Drainage System Using The Reservoir | |
JP2009127359A (en) | Drainage structure of gutter | |
KR101043661B1 (en) | Underground type rainwater drainage device | |
KR101926744B1 (en) | Apparatus for inducing storage of purify rainwater and removing pollutant in early rainwater, and combine water processing installation including this same | |
KR101771073B1 (en) | Storage facilities for storing and passing rainwat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 |
JP5346731B2 (en) | Rainwater penetration facilities | |
US20250092659A1 (en) | Underground stormwater storage system | |
KR101803771B1 (en) | Initial rainwater treatment facility and its treatment method | |
KR20080112531A (en) | Rainwater storage tank | |
KR101865202B1 (en) | Pretreatment apparatuse of rainwater drainage facility | |
JP2010275843A (en) | Water storage facility, water storage facility construction method, and water supply method using the water storage facility | |
JP2011074563A (en) | Rainwater infiltration system | |
KR101604465B1 (en) | Non-motorized exclusion apparatus which removes a fixed quantity of early rainwater and guide store of rainwater | |
KR101038336B1 (en) | Rainwater dispersion and storage system using the reservoir tank in the L side of the road | |
KR102704424B1 (en) | Low-impact development technique facility for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and flood runoff reduction using natural infiltration ditch | |
KR101297351B1 (en) | Verticul structured water storage tank | |
WO2021125170A1 (en) | Secondary drainage method at time of flooding | |
JPH08311938A (en) | Recharge type storage facility | |
KR102076296B1 (en) | Rain-water retaining system for vegetation penetration | |
JP6549343B1 (en) | Osmosis tank for water circulation | |
KR101293413B1 (en) | Flood prevention system using a water-storage tank | |
KR101975025B1 (en) | Grating Device AND Eco-friendly Surface Water Reservoi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12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8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8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