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393B1 - clip for fixing interior materials - Google Patents
clip for fixing interior material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70393B1 KR101770393B1 KR1020150110696A KR20150110696A KR101770393B1 KR 101770393 B1 KR101770393 B1 KR 101770393B1 KR 1020150110696 A KR1020150110696 A KR 1020150110696A KR 20150110696 A KR20150110696 A KR 20150110696A KR 101770393 B1 KR101770393 B1 KR 1017703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interior material
- clip
- supporting
- mounting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 E04B1/40—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17—U- or C-shaped brackets and clamp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9—Puzzle-type connections for interlocking male and female panel edge-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장재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장재의 하부와 상부를 각각 지지하면서, 내장재의 전면 상단과 하단을 지지하도록 하여 별도로 내장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내장재를 견고하고 용이하게 설치 고정할 수 있는 내장재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벽면 또는 벽면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건축용 내장재를 설치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클립에 있어서, 내장재의 하단을 지지 고정하는 제1클립부재와, 내장재의 상단을 지지 고정하는 제2클립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ior material fixing clip,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rior material fixing clip which supports a lower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of the interior material, supports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terior material, And an interior material fixing clip which can be easily installed and fixe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xing clip for fixing and installing a building interior material on a wall or a wall installed on a wall, the fixing clip including: a first clip member for supporting and fixing the lower end of the interior material; And a second clip member for holding the second clip memb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장재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로 배치되는 내장재의 하부와 상부를 각각 지지하면서, 하부 내장재의 전면 상단과 상부 내장재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하여 별도의 내장재를 견고하고 용이하게 설치, 고정할 수 있는 내장재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ior material fixing clip,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rior material fixing clip which supports a lower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of an interior material disposed upside-down and supports a front upper portion of a lower interior material and a lower end of an upper interior material, To an interior material fixing clip which can be easily installed and fixed.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시공 또는 리모델링 작업시 벽체는 대리석이나 화강암 또는 인조석 등과 같은 외장재 및 내장재를 통해 미려하게 장식되고 있는바, 최근에는 상기 외장재 및 내장재를 건축물의 벽체에 간편하게 설치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공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BACKGROUND ART [0002] Generally, a wall is beautifully decorated through exterior materials such as marble, granite, or artificial stone, and interior materials in a construction or remodeling work of a building. Recently, various techniques for easily fixing the exterior material and the interior material to a wall of a building It is a well-known fact that it is provided.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고정구에 의하면 하나의 외장재 또는 내장재에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브래킷과 이에 대응하여 벽체의 트러스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고정브래킷 및 상기 각각의 지지브래킷과 고정브래킷을 연결하기 위한 볼트/너트가 구비되어야 한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fastener, at least two supporting brackets for coupling to one exterior material or interior material, at least two or more fixing brackets for fixing to the truss of the wall corresponding thereto, and a supporting bracket Bolts / nuts must be provided.
특히, 내.외장재를 벽체와 일정 간격 떨어뜨려 설치해야 하는 경우, 일정 길이로 제작된 철재빔(석빔)을 먼저 벽체에 고정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철재빔은 일정 두께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내.외장재와 벽체 사이의 이격 거리의 가변 조절이 어렵게 되므로 시공 현장상황에 능동적인 대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when the inner and outer sheaths are to be install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wall, a steel beam (quartz beam) made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fixed to the wall first. Since such a steel beam has a certain thickness, Since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walls, it is difficult to actively cope with the situation of the construction site.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1208708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서포트 브라켓(2)을 이용하여 건물의 내장재 또는 외장재(S) 지지를 위해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은, 벽체에 앵커볼트(12)에 의해 고정설치되도록 앵커 체결공이 형성된 베이스부(10)와; 상기 서포트 브라켓(2)의 결합을 위한 결합볼트(22)가 체결되는 볼트 체결공(21)이 장공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볼트 체결공(21) 하부에는 장공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안내레일이 구성되며,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결합볼트(22)의 고정을 위한 체결너트(26)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브라켓 체결부(20)와; 상기 브라켓 체결부(20)를 일정 높이로 지지하기 위해 브라켓 체결부(20)와 베이스부(10) 사이에 일체로 연결구비된 높이지지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solve this problem, a technique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208708 as shown in FIGS. 1 and 2 has been proposed. The technical feature of the technique is that the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1208708호에 기재된 기술은 내장재 또는 외장재와 벽체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며, 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내장재 또는 외장재를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내장재 또는 외장재를 지지하는 서포트 브라켓(2)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될 수는 있지만 외측이 개방되어 있어 서포트 브라켓(2)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으며, 내장재 또는 외장재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설치 구조가 오히려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technique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208708 ha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pace between the interior material or the exterior material and the wall, and the interior or exterior material can be more easily constructed by using the frame. However, Th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벽면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일정간격으로 내장재 고정용 클립을 설치하여 내장재를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하도록 하는데, 상기 내장재 고정용 클립은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2설치부와 내장재의 하면 또는 상면을 지지하는 제1,2지지부와 내장재의 전면 상단 또는 하단을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제1,2고정부로 이루어져, 내장재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내장재 고정용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erior material fixing clip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frame installed on a wall surface to stably support and fix an interior material.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ortions for supporting the upper or lower end of the front surface of the interior material an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ortions for preventing the interior material from coming off, And to securely fix the inner clips.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벽면에 설치되는 내장재의 하부를 지지 고정하는 제1클립부재와 내장재의 상부를 지지 고정하는 제2클립부재로 형성하여, 하나의 클립으로 상,하로 배치되는 내장재의 상부와 하부를 동시에 지지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전체 구조를 단순화하여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내장재를 설치 고정할 수 있게 하는 내장재 고정용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erior lining material which is formed by a first clip member for supporting and fixing a lower portion of an interior material provided on a wall surface and a second clip member for supporting and fixing an upper portion of the interior material,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supported and fixed at the same time, thereby simplifying the entire structure and enabling the interior material to be installed and fixed more quickly and easil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SUMMARY OF THE INVENTION [0006]
벽면 또는 벽면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건축용 내장재를 설치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클립에 있어서, 내장재의 하단을 지지 고정하는 제1클립부재와, 내장재의 상단을 지지 고정하는 제2클립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xing clip for fixing and fixing a building interior material to a wall provided on a wall or a wall surfac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first clip member for supporting and fixing the lower end of the interior material, and a second clip member for supporting and fixing the upper end of the interior material do.
여기서, 상기 제1클립부재는 벽면 또는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설치부와, 상기 제1설치부에 절곡 형성되어 내장재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단부에서 상부로 절곡 형성되는 제1고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lip member includes a first mounting portion provided on a wall surface or a frame, a first supporting portion bent at the first mounting portion to support a lower end of the interior material, and a second supporting portion bent upward at an end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And the first fixing part is formed.
이때, 상기 제1고정부는 제1설치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내장재의 전면 하단을 가압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first fixing part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mounting part, so that the lower front end of the interior material is pressed and fixed.
그리고, 상기 제2클립부재는 벽면 또는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설치부와, 상기 제2설치부에 절곡 형성되어 내장재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의 단부에서 하부로 절곡 형성되는 제2고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clip member includes a second mounting portion provided on a wall surface or a frame, a second supporting portion bent in the second mounting portion to support an upper end of the interior material, And a second fixing part formed on the second fixing part.
여기서, 상기 제2고정부는 제2설치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내장재의 전면 상단을 가압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econd fixing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mounting portion, so that the front upper end of the interior material is pressed and fixed.
한편, 상기 제2설치부의 하부에는 보조 지지부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an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mounting portion.
이때, 상기 제1,2고정부의 단부에는 절곡부가 외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bent portions are formed to be bent outward at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ortions.
그리고, 상기 고정용 클립은 제1클립부재 또는 제2클립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ing clip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first clip member or a second clip member.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벽면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일정간격으로 내장재 고정용 클립을 설치하여 내장재를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하도록 하는데, 상기 내장재 고정용 클립은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2설치부와 내장재의 하면 또는 상면을 지지하는 제1,2지지부와 내장재의 전면 상단 또는 하단을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제1,2고정부로 이루어져, 내장재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interior material is stably supported and fixed by providing an interior material securing clip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frame provided on a wall surface, wherein the interior material securing clip includes first and second installation portions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for supporting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interior material, an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ortions for supporting the upper or lower front end of the interior material so as to prevent the interior material from coming off, .
그리고, 본 발명은 벽면에 설치되는 내장재의 하부를 지지 고정하는 제1클립부재와 내장재의 상부를 지지 고정하는 제2클립부재로 형성하여, 하나의 클립으로 상,하로 배치되는 내장재의 상부와 하부를 동시에 지지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전체 구조를 단순화하여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내장재를 설치 고정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clip member for supporting and fixing the lower portion of the interior material provided on the wall surface and a second clip member for supporting and fixing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ior material are provided, So as to simplify the entire structure, thereby enabling quick and easy installation and fixing of the interior material.
도 1은 종래의 건축물 내외장재 지지용 프레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건축용 내외장재 지지용 프레임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재 고정용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재 고정용 클립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장재 고정용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내장재 고정용 클립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장재 고정용 클립의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frame for supporting an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frame for supporting an internal and external construction material.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erior material fixing c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installation state view of an interior material fixing c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erior material fixing cli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installation state view of the interior material fixing clip shown i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erior material fixing cli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재 고정용 클립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재 고정용 클립의 설치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장재 고정용 클립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내장재 고정용 클립의 설치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장재 고정용 클립의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erior material fixing c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installation state view of the interior material fixing c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erior material fixing cli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installation view of an interior material fixing clip shown in FIG. 5,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erior material fixing cli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실내를 마감하는 내장재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내장재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실내의 벽면(400)에 직접 고정할 수도 있고, 벽면(400)에 설치되는 프레임(200)에 설치할 수도 있는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상판(120)과 하판(110)으로 이루어지는 내장재(100)의 하부를 지지 고정하는 제1클립부재(310)와 내장재(100)의 상부를 지지 고정하는 제2클립부재(320)로 이루어져, 고정 클립(300)의 상부에 위치하는 내장재(100)는 제1클립부재(310)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게 되고 고정 클립(300)의 하부에 위치하는 내장재(100)는 제2클립부재(320)에 의해 상부가 지지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ior material fixing clip for fixing an interior material of a building to a wall surface and can be directly fixed to a
여기서, 상기 제1클립부재(310)는 프레임(200)에 설치되는 제1설치부(312)와 상기 제1설치부(312)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내장재(100)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314)와 상기 제1지지부(314)의 단부에서 상부로 절곡 형성되어 내장재(100)의 전면 하단을 고정하는 제1고정부(316)로 이루어진다.The
그리고, 상기 제2클립부재(320)는 상기 제1클립부재(310)의 제1설치부(312)에 절첩되도록 형성되는 제2설치부(322)와 상기 제2설치부(322)의 단부에 전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내장재(100)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324)와 상기 제2지지부(324)의 단부에서 하부로 절곡 형성되어 내장재(100)의 전면 상단을 고정하는 제2고정부(326)로 이루어진다.The
따라서, 상기 고정 클립(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클립부재(310)의 제1지지부(314)와 제1고정부(316)에 의해 내장재(100)의 하단 및 전면 하단을 지지 고정하여 내장재(100)의 하단이 임의로 고정 클립(3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2클립부재(320)의 제2지지부(324)와 제2고정부(326)에 의해 내장재(100)의 상단 및 전면 상단을 지지 고정하여 내장재(100)의 상단이 임의로 고정 클립(3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설치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내장재(100)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4, the
이때, 상기 고정 클립(300)은 탄성이 좋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2클립부재(320)의 제1,2고정부(316,326)는 내장재(10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금속 재질의 탄성력에 의해 내장재(100)의 전면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내장재(100)를 고정하게 된다.The first and
그리고, 상기 고정 클립(300)은 탄성이 좋은 금속재질 뿐만 아니라 합성수지재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제1,2클립부재(310,320)의 제1,2고정부(316,326)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되도록 제1,2절곡부(318,328)가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제1,2절곡부(318,328)에 의해 내장재(100)를 제1,2고정부(316,326)의 내측으로 삽입할 때, 보다 용이하게 삽입 고정할 수 있게 된다.First and
한편, 상기 제1,2클립부재(310,320)의 제1,2설치부(312,322)에는 나사 또는 못을 삽입하기 위한 설치공(311,322)이 형성되어 프레임(200)에 고정하게 된다.Mounting
그리고, 상기 고정 클립(300')의 다른 실시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클립부재(310)와 제2클립부재(32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2클립부재(320')를 형성하는 제2설치부(322')의 하부로 보조 지지부(323)가 연장 형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fixing clip 300 'includes a
그래서, 상기 고정 클립(300')의 제1클립부재(310')에 내장재(100)의 하단이 거치되더라도 보조지지부(323)에 의해 지지력이 향상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제2클립부재(320')의 보조 지지부(323)와 제2고정부(326) 사이로 내장재(100)의 상단이 삽입 고정될 때에도 내장재(100)의 상단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even when the lower end of the
여기서, 본원 발명의 내장재 고정 클립(300,300')을 사용하여 내장재(100)를 시공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벽면(400) 또는 프레임(200)의 하부에 내장재 고정 클립(300,300')을 설치하고, 내장재 고정 클립(300,300')의 제1클립부재(310,310')의 제1지지부(314)에 내장재(100)의 하단이 거치되고 제1고정부(316)에 의해 내장재(400)의 전면 하단이 고정되도록 삽입한 후, 내장재(100)의 상단이 상부에 설치되는 내장재 고정 클립(300,300')의 제2클립부(320,320')의 제2지지부(324)에 지지되고 제2고정부(326)에 의해 내장재(400)의 전면 상단이 고정되도록 내장재 고정 클립(300,300')을 벽면(400) 또는 프레임(200)에 고정 설치하게 된다.A method of constructing the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다수의 내장재(100)를 벽면 전체에 설치하게 함으로서, 내장재(10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견고하게 내장재(100)를 시공할 수 있게 된다.By repeating such a process, a plurality of
이때, 상기 고정 클립(300,300')이 프레임(200)의 최하부에 설치될 경우에는 고정 클립(300,300')을 제1클립부재(310)만으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고정 클립(300,300')이 프레임(200)의 최상단에 설치될 경우 제2클립부재(320,320')만으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when th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클립부재(310',320')의 제1,2고정부(316,326)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제1,2절곡부(318,328)가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제1,2절곡부(318,328)에 의해 제1,2고정부(316,326)의 내측으로 삽입된 내장재(10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7, the first and
그리고, 나머지 구성들은 전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Since the remaining structures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은 내장재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로 배치되는 내장재의 하부와 상부를 각각 지지하면서, 하부 내장재의 전면 상단과 상부 내장재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하여 내장재를 견고하고 용이하게 설치 고정할 수 있는 내장재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ior material fixing clip,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rior material fixing clip which supports a lower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of an interior material disposed upside-down and supports a front upper portion of the interior material and a lower portion of the interior materi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ip for fixing an interior material which can be installed and fixed.
100 : 내장재 110 : 하판
120 : 상판
200 : 프레임 300,300' : 고정 클립
310 : 제1클립부재 311,321 : 설치공
312,322 : 제1,2설치부 314,324 : 제1,2지지부
316,326 : 제1,2고정부 318,328 : 절곡부
320,320' : 제2클립부재 400 : 벽면100: interior material 110: bottom plate
120: top plate
200:
310: first clip member 311, 321:
312, 322: first and second mounting
316, 326: first and second
320, 320 ': second clip member 400: wall surface
Claims (8)
내장재의 하단을 지지 고정하는 제1클립부재와,
내장재의 상단을 지지 고정하는 제2클립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클립부재는 벽면 또는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설치부와, 상기 제1설치부에 절곡 형성되어 내장재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단부에서 상부로 절곡 형성되는 제1고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고정부는 제1설치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내장재의 전면 하단을 가압 고정하며,
상기 제2클립부재는 벽면 또는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설치부와, 상기 제2설치부에 절곡 형성되어 내장재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의 단부에서 하부로 절곡 형성되는 제2고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고정부는 제1설치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내장재의 전면 상단을 가압 고정하며,
상기 제2설치부의 하부에는 보조 지지부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2고정부의 단부에는 절곡부가 외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재 고정용 클립.
CLAIMS 1. A fixing clip for fixing and installing a building interior material on a wall or on a wall frame,
A first clip member for supporting and fixing the lower end of the inner material,
And a second clip member for supporting and fixing the upper end of the interior material,
The first clip member includes a first mounting portion that is installed on a wall surface or a frame, a first supporting portion that is bent at the first mounting portion and supports a lower end of the interior material, and a second supporting portion that is bent upward at an end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And a first fixing part,
The first fixing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to press-fix the lower front end of the interior material,
The second clip member includes a second mounting portion provided on a wall surface or a frame, a second supporting portion formed by bending the second mounting portion to support an upper end of the interior material, and a second supporting portion bent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And a second fixing part,
Wherein the second fixing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An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mounting portion,
And the bent portion is bent outward at th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ortions.
내장재의 하단을 지지 고정하는 제1클립부재와,
내장재의 상단을 지지 고정하는 제2클립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클립부재는 벽면 또는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설치부와, 상기 제1설치부에 절곡 형성되어 내장재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단부에서 상부로 절곡 형성되는 제1고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고정부는 제1설치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내장재의 전면 하단을 가압 고정하며,
상기 제2클립부재는 벽면 또는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설치부와, 상기 제2설치부에 절곡 형성되어 내장재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의 단부에서 하부로 절곡 형성되는 제2고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고정부는 제1설치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내장재의 전면 상단을 가압 고정하며,
상기 제2설치부의 하부에는 보조 지지부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2고정부의 단부에는 절곡부가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재 고정용 클립.
CLAIMS 1. A fixing clip for fixing and installing a building interior material on a wall or on a wall frame,
A first clip member for supporting and fixing the lower end of the inner material,
And a second clip member for supporting and fixing the upper end of the interior material,
The first clip member includes a first mounting portion that is installed on a wall surface or a frame, a first supporting portion that is bent at the first mounting portion and supports a lower end of the interior material, and a second supporting portion that is bent upward at an end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And a first fixing part,
The first fixing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to press-fix the lower front end of the interior material,
The second clip member includes a second mounting portion provided on a wall surface or a frame, a second supporting portion formed by bending the second mounting portion to support an upper end of the interior material, and a second supporting portion bent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And a second fixing part,
Wherein the second fixing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An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mounting portion,
And the bending portion is formed to bend inward at th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ortion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0696A KR101770393B1 (en) | 2015-08-05 | 2015-08-05 | clip for fixing interior material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0696A KR101770393B1 (en) | 2015-08-05 | 2015-08-05 | clip for fixing interior material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8147A KR20170018147A (en) | 2017-02-16 |
KR101770393B1 true KR101770393B1 (en) | 2017-08-29 |
Family
ID=58264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10696A Active KR101770393B1 (en) | 2015-08-05 | 2015-08-05 | clip for fixing interior material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7039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017314B2 (en) * | 2017-03-31 | 2022-02-08 | アイジー工業株式会社 | Exterior base material mounting bracket |
KR20200088693A (en) | 2019-01-15 | 2020-07-23 | 이명화 | Insulation material with core material and insulation wall construction using i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1211B1 (en) * | 2006-09-06 | 2007-05-23 | 원병욱 | Interior / exterior panel and construction method |
-
2015
- 2015-08-05 KR KR1020150110696A patent/KR10177039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1211B1 (en) * | 2006-09-06 | 2007-05-23 | 원병욱 | Interior / exterior panel and construction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8147A (en) | 2017-0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61112B1 (en) | Panel assembly structures | |
US20200048894A1 (en) | Finishing panel fixing device | |
KR100916568B1 (en) | Frame structure for installing wall panels in buildings and how to install wall panels using the same | |
US20110283634A1 (en) | Seismic perimeter brace | |
KR100850862B1 (en) | Wall panel mounting device using frame structure for building wall panel of building | |
KR101666118B1 (en) | Moulding for finishing ceiling | |
KR101137960B1 (en) | Truss assembly | |
KR200410714Y1 (en) | External wall fixing device of building | |
KR101770393B1 (en) | clip for fixing interior materials | |
KR101943018B1 (en) | Ceiling's Hanger Bracket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and Ceiling System using it | |
KR101925578B1 (en) | Brick wall support apparatus | |
JP5181270B2 (en) | Mounting bracket for base material for steady rest | |
KR101960398B1 (en) | Dry brick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140057028A (en) | Moulding for finishing ceiling and apparatus for finishing ceiling | |
KR200485666Y1 (en) | Insulation fixture for bricks | |
JP6782144B2 (en) | Field edge fixing member, suspended ceil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suspended ceiling structure | |
KR102327981B1 (en) | Attachment device for building exterior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 |
KR101336668B1 (en) | truss assembly | |
JP5486200B2 (en) | Bathroom suspension stand | |
KR200394338Y1 (en) | Apparatus for fixing stone panel of building | |
KR101943014B1 (en) | Ceiling's Hanger Bracket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and Ceiling System using it | |
JP2008163635A (en) | System ceiling | |
KR100719517B1 (en) | Hanger fastening device for ceiling material attachment | |
JP6787767B2 (en) | Partition unit | |
KR101293688B1 (en) | Beam for exterior material of build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8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8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