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69301B1 - 세미액티브 마운트 구조 - Google Patents

세미액티브 마운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9301B1
KR101769301B1 KR1020160036542A KR20160036542A KR101769301B1 KR 101769301 B1 KR101769301 B1 KR 101769301B1 KR 1020160036542 A KR1020160036542 A KR 1020160036542A KR 20160036542 A KR20160036542 A KR 20160036542A KR 101769301 B1 KR101769301 B1 KR 101769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opening
closing
vent hole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6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6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301B1/ko
Priority to US15/290,836 priority patent/US10077820B2/en
Priority to CN201610964356.6A priority patent/CN107237851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30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08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14Units of the bushing type, i.e. loaded predominantly radially
    • F16F13/1463Units of the bushing type, i.e. loaded predominantly radially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passages between working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6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both gas and liquid
    • F16F9/061Mono-tubula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2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characterised by adjusting or regulating devices responsive to exterior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08Resilient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83Adjustable supports, e.g. the mounting or the characteristics being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08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1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wall being at least in part formed by a flexible membrane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08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14Units of the bushing type, i.e. loaded predominantly rad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6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both gas and liquid
    • F16F9/066Units characterised by the partition, baffle or like element
    • F16F9/067Partitions of the piston type, e.g. sliding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15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characterised by comprising plastics, elastomeric or porous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3Filling or drainage arrangements, e.g. for supply of gas
    • F16F9/437Drainag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04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16K3/06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in the form of closure plates arranged between supply and discharge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류 인가에 따라 마운트 특성이 가변되는 세미액티브 마운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슐레이터와 다이어프램 사이에 장착되어 메인케이스의 내부를 상측액실과 하측액실로 구획하며,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제1유로와 제2유로가 형성되는 노즐판, 상기 다이어프램의 하부에 결합된 하우징의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코일의 전원 인가에 따라 제2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와 하우징 사이를 연결하여 플런저에 탄성력을 제공하며, 다이어프램과 코일 사이의 내부 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밸브스프링 및 공기가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타공된 벤트홀에 장착되어 벤트홀을 개폐시키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제2유로의 폐쇄 조건에서는 개폐장치를 닫아 밸브스프링의 강성을 증대시키고 제2유로의 개방 조건에서는 개폐장치를 열어 브스프링의 강성을 감소시키는 세미액티브 마운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미액티브 마운트 구조{STRUCTURE OF SEMI ACTIVE MOUNT}
본 발명은 전류 인가에 따라 마운트 특성이 가변되는 세미액티브 마운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폐장치를 이용해 벤트홀을 개폐할 수 있으므로 플런저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밸브스프링의 하부공간을 밀폐하여 밸브스프링의 강성을 크게 하고, 플런저가 작동할 때에는 하부공간을 개방하여 밸브스프링의 강성을 작게 하는 세미액티브 마운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적용되는 기술이 점차 발전하고 저진동, 저소음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차량에서 발생하는 소음(Noise), 진동(Vibration) 및 충격(Harshness) 즉, NVH 성능을 분석하여 승차감을 극대화시키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차량의 주행시 특정 RPM 영역에서 발생하는 엔진 진동은 특정 주파수를 가지고 차체를 통해 실내로 전달되며, 엔진의 폭발 성분이 차량의 실내에 미치는 영향은 지배적이다.
따라서, 차량의 엔진과 차체 사이에는, 엔진을 지지하는 동시에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음 및 진동을 감쇄시키는 엔진마운트가 장착되며, 이러한 엔진마운트는 크게 러버식 마운트, 에어 댐핑 마운트 및 하이드로 마운트로 구분된다.
이 중, 하이드로 마운트는 내부에 소정량의 유체(하이드로액)이 봉입되어 상부액실과 하부액실을 유동함에 따라 댐핑력이 발생하는 구조를 가진다. 하이드로 마운트는 상황에 따라 고주파 진동과 저주파 진동을 모두 감쇠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하이드로 마운트의 진동 절연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동기가 능동적으로 가진판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액티브 마운트 또는 세미액티브 마운트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세미액티브 마운트는 마운트의 특성을 온오프(On/Off)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멤브레인의 거동을 제어하는 볼륨스티프니스(Volume-Stiffness) 방식과 상측액실과 하측액실을 개통하는 제2유로를 추가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2유로의 개통을 단속하는 바이패스(By-pass)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중, 종래의 바이패스 방식에 따른 세미액티브 마운트는 인슐레이터와 다이어프램 사이에 노즐판이 장착되어 상측액실과 하측액실로 구획하되, 상기 노즐판에는 환형의 제1유로와 길이가 짧고 단면적이 큰 제2유로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유체(하이드로액)의 유동은 엔진에서 전달되는 하중 이동 및 진동에 의해서 인슐레이터가 탄성변형하면 상측액실의 내부 체적량이 증감됨에 따라서 이루어지고, 이 과정에서 차체의 진동이 감쇠된다.
상기 다이어프램의 하부에는 코일의 전원 인가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플런저가 설치되고, 플런저가 상승하면 제2유로는 폐쇄되고 플런저가 하강하면 제2유로는 개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세미액티브 마운트는 엔진의 아이들(idle) 시에는 닫혀있던 제2유로를 개방시키고 주행 시에는 제2유로를 폐쇄하여 주행상황에 따라 마운트 특성을 가변시키도록 작동한다.
그러나 종래 세미액티브 마운트는 차량의 주행 조건에서는 제2유로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여 범프 등으로 인한 파워트레인의 대변위 발생 시에도 유체가 제2유로를 통과하지 않아야 하므로 플런저가 강건하게 지지되어야 하고, 아이들 조건에서는 제2유로가 쉽게 열려야 하므로 플런저가 강건하지 않게 (즉, 연약하게) 지지되어야 한다는 모순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제2유로의 폐쇄 조건에서는 개폐장치를 닫아 밀폐된 하부공간을 에어 스프링으로 활용하여 밸브스프링의 강성을 증대시키고, 제2유로의 개방 조건에서는 개폐장치를 열어 하부공간으로 공기가 쉽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밸브스프링의 강성을 감소시키는 세미액티브 마운트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로 이동 가능한 플런저를 그대로 활용하여 개폐장치를 열거나 닫을 수 있으므로 생산 원가 및 중량 측면에서 유리한 세미액티브 마운트 구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인슐레이터와 다이어프램 사이에 장착되어 메인케이스의 내부를 상측액실과 하측액실로 구획하며,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제1유로와 제2유로가 형성되는 노즐판; 상기 다이어프램의 하부에 결합된 하우징의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코일의 전원 인가에 따라 제2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와 하우징 사이를 연결하여 플런저에 탄성력을 제공하며, 다이어프램과 코일 사이의 내부 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밸브스프링; 및 공기가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타공된 벤트홀에 장착되어 벤트홀을 개폐시키는 개폐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미액티브 마운트 구조에서 상기 개폐장치는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플런저가 제2유로를 폐쇄하고 있을 때 벤트홀을 폐쇄시키고,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어 플런저가 상하로 이동할 때 벤트홀을 개방시키도록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미액티브 마운트 구조에서 상기 플런저의 측부에는 경사면을 가지는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장치는, 하우징에 개폐스프링을 매개로 연결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며 개폐홀이 타공된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플런저의 요철부에 대향하는 경사면을 가지는 슬라이더;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미액티브 마운트 구조에서 상기 개폐부에 형성된 개폐홀과 하우징에 형성된 벤트홀은 상호 이격되어 있으며, 플런저의 요철부가 슬라이더를 밀어 개폐부가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개폐홀과 벤트홀은 선택적으로 포개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미액티브 마운트 구조에서 상기 플런저의 측부에는 경사면을 가지는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장치는, 하우징의 하부면에 개폐힌지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플런저의 요철부에 대향하는 경사면을 가지는 연장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며 말단이 하우징의 테두리에 접촉되어 몸체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미액티브 마운트 구조에서 상기 몸체부는 하우징에 형성된 벤트홀을 폐쇄하고 있으며, 플런저의 요철부가 연장부를 밀어 몸체부가 회전함에 따라 벤트홀은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미액티브 마운트 구조는 상기 몸체부에 타공되며 하우징에 형성된 벤트홀과 상호 이격되어 있는 몸체홀; 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플런저의 요철부가 연장부를 밀어 몸체부가 회전함에 따라 몸체홀은 벤트홀과 선택적으로 포개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벤트홀에 설치된 개폐장치를 닫아 밸브스프링 하부공간을 밀폐시킴으로써, 하부공간이 에어 스프링으로 작용하도록 하여 밸브스프링의 강성을 크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중 플런저가 제2유로를 강건하게 폐쇄하여 범프 등으로 인한 파워트레인의 대변위 발생 시에도 제2유로를 통한 유체의 이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런저의 작동 시 개폐장치를 열어 밸브스프링 하부공간으로 공기가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밸브스프링의 강성을 작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밸브스프링의 작동 시 저항력을 낮출 수 있으므로 더욱 작은 용량의 코일을 사용하여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일 수 있고 전류 소모를 낮출 수 있으며 플런저의 작동 시 반응 속도를 증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복잡한 구조를 이용하여 개폐장치를 제어하지 않고, 플런저의 작동을 그대로 활용하여 개폐장치를 유기적으로 열거나 닫을 수 있으므로 생산 원가 및 중량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미액티브 마운트 구조를 종방향으로 절개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에 의해 벤트홀이 폐쇄되어 있을 때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에 의해 벤트홀이 개방되어 있을 때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와 벤트홀을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에 의해 벤트홀이 폐쇄되어 있을 때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에 의해 벤트홀이 개방되어 있을 때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에 의해 벤트홀이 폐쇄되어 있을 때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에 의해 벤트홀이 개방되어 있을 때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미액티브 마운트 구조를 종방향으로 절개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미액티브 마운트 구조는, 이너코어(11)의 외측에 가류 성형된 인슐레이터(10), 인슐레이터(10)와 다이어프램(30) 사이에 장착되는 노즐판(20), 코일(41)의 전원 인가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플런저(40), 플런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밸브스프링(50) 및 하우징(42)의 일측에 타공된 벤트홀(43)을 개폐시키는 개폐장치(60)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판(20)은 메인케이스(12)의 내부를 상측액실(23)과 하측액실(24)로 구획하고, 둘레를 따라 환형의 제1유로(21)가 형성되며 수직방향으로 개통된 제2유로(22)가 추가로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2유로(22)는 제1유로(21)에 비해 길이가 짧고 단면적이 크며, 엔진(미도시)으로부터 이너코어(11)에 하중이 전달되어 인슐레이터(10)가 탄성 변형하면 상측액실(23)의 내부 체적이 증감함에 따라 유체(하이드로액)가 제1유로(21) 또는 제2유로(22)를 통과하여 하측액실(24)로 이동하면서 진동의 감쇄가 이루어진다.
상기 다이어프램(30)의 하부에는 하우징(42)이 결합되는데, 상기 하우징(42)의 내부에는 코일(41), 플런저(40) 및 밸브스프링(50) 등의 구성이 내장되어 제2유로(22)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플런저(40)와 일체로 또는 플레이트(51)를 매개로 연결되는 밸브스프링(50)은 플런저(40)를 상부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코일(41)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플런저(40)는 제2유로(22)를 폐쇄시키게 된다.
일반적인 차량의 주행 조건에서 상기 제2유로(22)는 폐쇄되어 유체를 통과시키지 않으며, 아이들(idle) 조건에서는 개방되어 아이들 가진 주파수 대역의 동특성을 낮춘다.
상기 밸브스프링(50)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테두리 부분이 하우징(42)의 내측면에 끼워져서 '∩' 자 형태로 구부러져 있으며, 다이어프램(30)과 코일(41) 사이의 내부 공간을 상부공간(52)과 하부공간(53)으로 구획한다.
상기 플런저(40)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른 밸브스프링(50)의 거동에 의해 상부공간(52)과 하부공간(53)의 체적은 변화하게 되고, 이때 하우징(42)의 일측에 타공된 벤트홀(43)을 통해 공기가 출입한다.
상기 벤트홀(43)의 내부에는 먼지를 여과시키는 필터(미도시) 등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으며, 벤트홀(43)의 하단에는 개폐장치(60)가 설치되어 벤트홀을 통한 공기의 출입을 허용 또는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장치(60)는 코일(41)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밸브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플런저(40)가 제2유로(22)를 폐쇄하고 있을 때에는 벤트홀(43)을 폐쇄시키고, 코일(41)에 전원이 인가되어 플런저(40)가 작동할 때에는 벤트홀(43)을 개방시키도록 작동한다.
상기 개폐장치(60)가 폐쇄되어 있을 때, 밸브스프링(50)의 하부공간(53)은 밀폐되어 에어 스프링으로 작용하므로 밸브스프링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고, 상기 개폐장치(60)가 개방되어 있을 때, 밸브스프링(50)의 하부공간(53)은 오픈되어 에어가 쉽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밸브스프링이 쉽게 이동(밸브스프링의 강성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개폐장치(60)는 복잡한 다른 구조에 의해 제어되지 않고, 플런저(40)의 작동을 그대로 활용하여 기계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생산 원가 및 중량 측면에서 유리한 장점이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에 의해 벤트홀이 폐쇄되어 있을 때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에 의해 벤트홀이 개방되어 있을 때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플런저(40)의 측부에는 경사면을 가지는 요철부(40a)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장치(60)는 하우징(42)에 개폐스프링(62)을 매개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된 개폐부(61) 및 개폐부(61)의 일측에 결합된 슬라이더(63)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부(61)는 슬라이딩 가능한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개폐홀(61a)이 타공되어 벤트홀(43)을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상기 슬라이더(63)에는 플런저(40)의 요철부(40a)에 대향하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런저(40)가 제2유로(22)를 폐쇄하고 있는 초기 상태 또는 플런저(40)가 밸브스프링(50)에 의해 원복되어 제2유로(22)를 폐쇄하는 원복 상태일 때, 요철부(40a)는 슬라이더(63)와 마주보고 있으며 개폐홀(61a)과 벤트홀(43)은 상호 이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벤트홀(43)은 개폐부(61)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며, 밸브스프링(50)의 하부공간(53)은 밀폐되어 에어 스프링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41)에 전원이 인가되어 플런저(40)가 작동할 때, 요철부(40a)는 슬라이더(63)를 밀어 개폐부(61)를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개폐홀(61a)과 벤트홀(43)은 선택적으로 포개어져서 벤트홀(43)이 개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밸브스프링(50)의 하부공간(53)은 오픈되고 플런저(40)는 더욱 쉽게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와 벤트홀을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에 의해 벤트홀이 폐쇄되어 있을 때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에 의해 벤트홀이 개방되어 있을 때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플런저(40)의 측부에는 경사면을 가지는 요철부(40a)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장치(60)는 하우징(42)의 하부면에 개폐힌지(67)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몸체부(64), 상기 몸체부(64)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플런저의 요철부(40a)에 대향하는 경사면을 가지는 연장부(66) 및 상기 몸체부(64)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며 말단이 하우징(42)의 테두리(42a)에 접촉되어 몸체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65)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64)에는 하우징(42)에 형성된 벤트홀(43)과 상호 이격되어 있는 몸체홀(64a)이 추가로 타공되어 벤트홀(43)을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몸체부(6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개폐부(61)와 달리 개폐힌지(67)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런저(40)가 초기 상태 또는 원복 상태에 있을 때, 플런저(40)의 요철부(40a)는 연장부(66)의 경사면과 마주보고 있으며 몸체홀(64a)과 벤트홀(43)은 상호 이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벤트홀(43)은 몸체부(64)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하부공간(53)은 밀폐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런저(40)가 작동할 때, 플런저(40)의 요철부(40a)는 연장부(66)를 밀어 몸체부(64)는 회전(도시된 실시예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몸체홀(64a)과 벤트홀(43)은 포개어져서 벤트홀(43)이 개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공간(53)은 개방되어 공기가 자유롭게 출입하게 된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에 의해 벤트홀이 폐쇄되어 있을 때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에 의해 벤트홀이 개방되어 있을 때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64)에는 몸체홀(64a)이 제거되어 있으며, 몸체부(64)의 형상이나 크기를 조절하여 그 자체만으로 벤트홀(43)이 개폐된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런저(40)가 초기 상태 또는 원복 상태에 있을 때, 몸체부(64)는 하우징(42)에 형성된 벤트홀(43)을 막아 밸브스프링(50)의 하부공간(53)이 밀폐되도록 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런저(40)가 작동할 때, 몸체부(6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벤트홀(43)을 열고, 이에 따라 밸브스프링(50)의 하부공간(53)은 개방되어 공기가 자유롭게 출입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벤트홀(43)에 설치된 개폐장치(60)를 닫아 밸브스프링(50) 하부공간(53)을 밀폐시킴으로써, 하부공간이 에어 스프링으로 작용하도록 하여 밸브스프링의 강성을 크게 하는 효과가 있다. 차량의 주행 중 플런저(40)가 제2유로(22)를 강건하게 폐쇄하여 범프 등으로 인한 파워트레인의 대변위 발생 시에도 제2유로를 통한 유체의 이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런저(40)의 작동 시 개폐장치(60)를 열어 밸브스프링(50) 하부공간(53)으로 공기가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밸브스프링의 강성을 작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는 밸브스프링(50)의 작동 시 저항력을 낮출 수 있으므로 더욱 작은 용량의 코일(41)을 사용하여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일 수 있고 전류 소모를 낮출 수 있으며 플런저의 작동 시 반응 속도를 증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복잡한 구조를 이용하여 개폐장치(60)를 제어하지 않고, 플런저(40)의 작동을 그대로 활용하여 개폐장치를 유기적으로 열거나 닫을 수 있으므로 생산 원가 및 중량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인슐레이터 11 : 이너코어
12 : 메인케이스 20 : 노즐판
21 : 제1유로 22 : 제2유로
23 : 상측액실 24 : 하측액실
30 : 다이어프램 40 : 플런저
40a : 요철부 41 : 코일
42 : 하우징 42a : 하우징의 테두리
43 : 벤트홀 50 : 밸브스프링
51 : 플레이트 52 : 상부공간
53 : 하부공간 60 : 개폐장치
61 : 개폐부 61a : 개폐홀
62 : 개폐스프링 63 : 슬라이더
64 : 몸체부 64a : 몸체홀
65 : 탄성부 66 : 연장부
67 : 개폐힌지

Claims (7)

  1. 인슐레이터와 다이어프램 사이에 장착되어 메인케이스의 내부를 상측액실과 하측액실로 구획하며,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제1유로와 제2유로가 형성되는 노즐판;
    상기 다이어프램의 하부에 결합된 하우징의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코일의 전원 인가에 따라 제2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와 하우징 사이를 연결하여 플런저에 탄성력을 제공하며, 다이어프램과 코일 사이의 내부 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밸브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공기가 출입할 수 있도록 타공된 벤트홀에 상기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플런저가 제2유로를 폐쇄하고 있을 때 상기 벤트홀을 폐쇄시키고,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어 플런저가 상하로 이동할 때 벤트홀을 개방시키도록 작동되도록 한 개폐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액티브 마운트 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측부에는 경사면을 가지는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장치는, 하우징에 개폐스프링을 매개로 연결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며 개폐홀이 타공된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플런저의 요철부에 대향하는 경사면을 가지는 슬라이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액티브 마운트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에 형성된 개폐홀과 하우징에 형성된 벤트홀은 상호 이격되어 있으며, 플런저의 요철부가 슬라이더를 밀어 개폐부가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개폐홀과 벤트홀은 선택적으로 포개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액티브 마운트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측부에는 경사면을 가지는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장치는, 하우징의 하부면에 개폐힌지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플런저의 요철부에 대향하는 경사면을 가지는 연장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며 말단이 하우징의 테두리에 접촉되어 몸체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액티브 마운트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하우징에 형성된 벤트홀을 폐쇄하고 있으며, 플런저의 요철부가 연장부를 밀어 몸체부가 회전함에 따라 벤트홀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액티브 마운트 구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타공되며 하우징에 형성된 벤트홀과 상호 이격되어 있는 몸체홀; 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플런저의 요철부가 연장부를 밀어 몸체부가 회전함에 따라 몸체홀은 벤트홀과 선택적으로 포개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액티브 마운트 구조.
KR1020160036542A 2016-03-28 2016-03-28 세미액티브 마운트 구조 Active KR101769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542A KR101769301B1 (ko) 2016-03-28 2016-03-28 세미액티브 마운트 구조
US15/290,836 US10077820B2 (en) 2016-03-28 2016-10-11 Structure of semi-active mount
CN201610964356.6A CN107237851B (zh) 2016-03-28 2016-10-27 半主动式悬置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542A KR101769301B1 (ko) 2016-03-28 2016-03-28 세미액티브 마운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9301B1 true KR101769301B1 (ko) 2017-08-18

Family

ID=59753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542A Active KR101769301B1 (ko) 2016-03-28 2016-03-28 세미액티브 마운트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77820B2 (ko)
KR (1) KR101769301B1 (ko)
CN (1) CN10723785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8560A (ko) * 2020-02-26 2021-09-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세미 액티브 엔진 마운트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074B1 (ko) * 2016-12-06 2022-10-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엔진 마운트
JP2018196255A (ja) * 2017-05-18 2018-12-06 アルパイン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および振動機構付き入力装置
KR102371005B1 (ko) * 2017-07-15 2022-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마운트
KR20210121632A (ko) * 2020-03-31 2021-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KR20210125645A (ko) * 2020-04-08 2021-10-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마운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6628A (ja) 2000-09-27 2002-04-10 Toyoda Gosei Co Ltd 液体封入式防振装置
JP2006055767A (ja) 2004-08-20 2006-03-02 Tokai Rubber Ind Ltd ソレノイド型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能動型防振装置
KR101565051B1 (ko) * 2014-10-21 2015-1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챔버를 이용한 바이패스 유로 개폐형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8434A (en) 1986-04-07 1988-04-19 Marjoram Robert H Vibration and/or shock attenuating fluid mount or the like
DE4141332C2 (de) * 1991-12-14 1995-05-24 Freudenberg Carl Fa Umschaltbares Lager
FR2755489B1 (fr) * 1996-11-04 1999-01-08 Hutchinson Support antivibratoire hydraulique
DE19816763C1 (de) * 1998-04-16 1999-08-26 Freudenberg Carl Fa Schaltbares, hydraulisch dämpfendes Lager
CN1236074A (zh) * 1998-05-19 1999-11-24 卡尔·弗罗伊登伯格公司 液压支承
DE19902493C2 (de) * 1999-01-22 2001-02-01 Freudenberg Carl Fa Umschaltbares Zweikammer-Stützlager mit hydraulischer Dämpfung
JP3353082B2 (ja) * 2000-02-01 2002-12-03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切替型液封入式防振装置
JP2003097632A (ja) * 2001-07-16 2003-04-03 Tokai Rubber Ind Ltd 流体封入式防振装置
JP3629483B2 (ja) * 2001-07-16 2005-03-16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切替型液封入式防振装置
US6641120B2 (en) * 2001-07-31 2003-11-0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for controlling drive of actuator of active vibration isolation support system
JP4119201B2 (ja) 2002-08-12 2008-07-16 山下ゴム株式会社 能動型液封防振装置
DE10359639B4 (de) * 2003-12-18 2014-01-30 Carl Freudenberg Kg Stützlager
JP2005188581A (ja) 2003-12-25 2005-07-14 Tokai Rubber Ind Ltd 流体封入式能動型防振装置
JP4168445B2 (ja) 2004-02-25 2008-10-22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防振用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能動型防振装置
JP4088795B2 (ja) 2004-06-23 2008-05-21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流体封入式能動型防振装置
KR100659730B1 (ko) 2004-06-24 2006-12-20 한상진 사출성형기의 주입노즐 개폐장치
JP2006250179A (ja) 2005-03-08 2006-09-21 Bridgestone Corp 防振装置
DE102012006282B4 (de) * 2012-03-29 2016-03-31 Carl Freudenberg Kg Hydrolager
KR101619591B1 (ko) * 2014-07-03 2016-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간접 바이패스 세미 액티브 마운트, 전자식 세미 액티브 마운트 장치 및 동특성 가변율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6628A (ja) 2000-09-27 2002-04-10 Toyoda Gosei Co Ltd 液体封入式防振装置
JP2006055767A (ja) 2004-08-20 2006-03-02 Tokai Rubber Ind Ltd ソレノイド型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能動型防振装置
KR101565051B1 (ko) * 2014-10-21 2015-1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챔버를 이용한 바이패스 유로 개폐형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8560A (ko) * 2020-02-26 2021-09-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세미 액티브 엔진 마운트의 제어 방법
KR102394813B1 (ko) * 2020-02-26 2022-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세미 액티브 엔진 마운트의 제어 방법
US11491859B2 (en) 2020-02-26 2022-11-08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semi-active engine mou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237851B (zh) 2020-03-27
CN107237851A (zh) 2017-10-10
US20170276208A1 (en) 2017-09-28
US10077820B2 (en) 2018-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9301B1 (ko) 세미액티브 마운트 구조
KR101628532B1 (ko)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
KR101771682B1 (ko) 주파수 감응형 쇽업소버
KR101426810B1 (ko) 주파수 감응형 쇽업소버
KR101565051B1 (ko) 에어챔버를 이용한 바이패스 유로 개폐형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
KR102371005B1 (ko) 엔진 마운트
KR101510350B1 (ko) 진동을 흡수하는 마운팅 장치
JP2001056039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CN107781342B (zh) 具有两条通道的液压发动机架
KR101416415B1 (ko) 진동을 흡수하는 마운팅 장치
CN106704470A (zh) 自调式汽车液压悬置
CN103307185B (zh) 频率单元阀
CN108488306A (zh) 一种自适应式多惯性通道式液压悬置及其自适应方法
CN105546024A (zh) 一种多模式半主动液压悬置
KR20210125645A (ko) 엔진 마운트
KR100952776B1 (ko) 엔진 마운트 장치
JP2014092181A (ja) 圧力緩衝装置
KR20170087761A (ko) 주파수 및 압력 감응형 쇽업소버
CN106536968B (zh) 多级可电切换的发动机安装组件
JP2014031854A (ja) 緩衝装置
CN115059599A (zh) 一种压缩机减震支架及汽车
JP2944470B2 (ja) 液封防振ゴム装置
KR101756424B1 (ko) 주파수 감응형 쇽업소버
JP7546352B2 (ja) 流体封入型エンジンマウント
KR100931498B1 (ko) 액체 봉입식 엔진 마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4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8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8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