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629B1 - Chopsticks-type pointing device and pointing system - Google Patents
Chopsticks-type pointing device and pointing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68629B1 KR101768629B1 KR1020160162079A KR20160162079A KR101768629B1 KR 101768629 B1 KR101768629 B1 KR 101768629B1 KR 1020160162079 A KR1020160162079 A KR 1020160162079A KR 20160162079 A KR20160162079 A KR 20160162079A KR 101768629 B1 KR101768629 B1 KR 1017686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inting
- contact
- chopstick
- units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1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10)는, 한 쌍의 포인팅 유닛(10a, 10b)을 포함하고, 각각의 포인팅 유닛(10a, 10b)의 단부에는 센서부(11: 11a, 11b)가 배치되며, 각각의 센서부(11a, 11b)가 상호 접촉함에 따라 위치 정보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opstick-type pointing device (10). The chopstick-type poin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pointing units 10a and 10b and sensor units 11 (11a and 11b) are disposed at the ends of the respective pointing units 10a and 10b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s the sensor parts 11a and 11b contact each oth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 및 포인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전자 장비의 3D 입력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는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 및 포인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opstick type pointing device and a pointing system.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opstick type pointing device and a pointing system that can be used as a 3D input device of electronic equipment.
최근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 폰 등의 전자 장비의 활용이 확대되면서, 사용자가 전자 장비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 또는 포인팅 장치에 대한 연구가 가속화되고 있다.Recently, as the use of electronic equipment such as a computer, a notebook, and a smart phone has been expanded, researches on an input device or a pointing device in which a user can input information into electronic equipment have been accelerated.
도 1은 종래의 포인팅 장치/입력 장치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존의 포인팅 장치로는 마우스, 조이스틱이 주로 사용되었고, 최근에는 오모스 인터페이스, 3D 좌표를 인식하기 위한 닌텐도 Wii의 컨트롤러, 에어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가 개발되었으며, 터치스크린에 사용되는 스타일러스펜과 같은 입력장치가 개발되었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pointing device / input device. The mouse and joystick were mainly used as the conventional pointing devices. In recent years, input devices such as the Omos interface, the Nintendo Wii controller for recognizing the 3D coordinates, and the air mouse have been developed. An input device has been developed.
마우스는 팔의 움직임을 기초로 손가락의 움직임은 검지에 집중되어 있다. 손목과 일부 손가락에 운동이 집중되어 부상 위험이 존재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한 많은 개선이 있었으나 기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기본적으로 XY 좌표를 인식하여 2D에 적합하고, 3D 좌표를 바로 인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mouse is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arm, and the movement of the finger is focused on the index finger. There is a risk of injury due to the concentration of movement on the wrist and some fingers, and there have been many improvements to improve it.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solved basically. Basically, it recognizes XY coordinates and is suitable for 2D, There was no problem.
조이스틱은 손보다는 팔동작이 기본이 된다. 손목과 엄지에 운동이 집중되어 부상 위험이 존재하며, 마우스에 비해 비행기나 자동차의 동작 모사에 유리하나 기본적으로 XY 좌표를 인식하여 2D에 적합하고, 3D 좌표를 바로 인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joystick is based on arms rather than hands. There is a risk of injury due to the concentration of movement on the wrist and thumb, and it is advantageous in simulating motion of an airplane or a car compared to a mouse, but it basically recognizes XY coordinates and is suitable for 2D, and 3D coordinates can not be immediately recognized.
오모스 인터페이스는 포인팅을 위한 좌표 인식 방법이 조이스틱과 유사하다. 하지만, 조이스틱과 달리 손의 움직임이 없고 양손 엄지의 움직임으로 작동하여 손가락 운동이 미비한 문제점이 있었다.The Omos interface is similar to a joystick in coordinate recognition for pointing. However, unlike a joystick, there is no movement of the hands, and the movement of the thumbs of both hands causes the finger movement to be insufficient.
닌텐도 Wii의 컨트롤러는 포인팅 장치를 손에 쥐고 팔의 움직임을 기초로 하며, 다른 포인팅 장치와 달리 기본적으로 XYZ 좌표를 인식할 수 있다. 하지만, 손가락은 마우스와 같이 엄지 등의 일부 손가락에 집중되어 손가락 운동이 미비한 문제점이 있었다.The controller of the Nintendo Wii is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arms holding the pointing device in hand, and unlike other pointing devices, it basically recognizes the XYZ coordinates. However, the fingers are concentrated on some fingers such as the thumb, such as a mouse, and the finger movement is insufficient.
에어마우스는 팔과 손 동작으로 포인팅 할 수 있고, 손가락 운동이 많이 필요하지 않다. 기본적으로 XY 좌표를 인식하여 2D에 적합하고, 3D 좌표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비전의 정확도와 계산시간이 많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The air mouse can be pointed by arm and hand movements, and does not require much finger movement. Basically, it recognizes the XY coordinates and is suitable for 2D. In order to recognize the 3D coordinat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ccuracy of the vision and calculation time are required.
스타일러스펜은 터치스크린에만 사용 가능하며, 팔과 손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손가락 운동이 필요없다.The stylus pen can only be used on the touchscreen and does not require finger movements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arms and hands.
상기 언급한 입력장치/포인팅 장치들은, 장치를 조작함에 있어서 손가락 운동을 거의 하지 않고, 팔동작에 의존하거나, 손가락 운동을 기초로 하여도 특정 손가락(엄지, 검지)만을 사용하는 구조를 가진다.The above-mentioned input devices / pointing devices have a structure in which only a specific finger (thumb, index finger) is used even when the device is operated with little finger movement, or depending on the arm movement or based on finger movement.
한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이 증진되는 가운데, 건강한 뇌를 위한 치매예방법 등이 관심받고 있다. 일상 중 많은 시간을 전자 장비와 접촉하는 가운데, 전자 장비를 통해 헬스케어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여러 장치들이 소개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terest in healthcare is being promoted while entering the aging society, and the prevention of dementia for healthy brain is attracting attention. Many of the devices that come in contact with electronic equipment for many hours in everyday life, and that simultaneously provide healthcare through electronic equipment, are being introduced.
본 발명자는 기존의 장치에서 기대하기 어려운 손가락 운동을 사용하며, 손가락 운동을 통해 헬스케어까지 할 수 있는 포인팅 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eveloped a pointing device that can use finger movements that are difficult to expect in existing devices and can perform healthcare through finger movement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젓가락 형태의 포인팅 장치를 사용하면서 손가락 운동을 통해 뇌자극을 활성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tivate a brain stimulation through finger movement while using a chopstick-type point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를 활용하여 노장년층의 치매 예방이나, 유아들의 젓가락 사용에 대한 교육을 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event the dementia of the elderly people by using the chopstick-type pointing device and to educate the children about the use of the chopsticks
또한,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 내에서 3D 입력장치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utilize the present invention as a 3D input device in software.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은, 한 쌍의 포인팅 유닛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포인팅 유닛의 단부에는 센서부가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센서부가 상호 접촉함에 따라 위치 정보를 발생시키는,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chieved by a chopstick-like pointing device comprising a pair of pointing units, wherein a sensor section is disposed at an end of each of the pointing units and posi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s each of the sensor sections mutually contacts Lt; / RTI >
상기 센서부는, 접촉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전달부;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탄성부; 및 각각의 상기 센서부가 접촉하는 부분을 제공하며, 상기 센서부의 상호 접촉에 의한 압력을 탄성부에 전달하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includes: a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generating a contact signal; An elastic part including an elastic member; And a contact portion that provides a portion where each of the sensor portions comes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ransmits a pressure due to the mutual contact of the sensor portion to the elastic portion.
상기 센서부는, 접촉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전달부; + 또는 -의 자성을 띄는 자성부; 각각의 상기 센서부가 접촉하는 부분을 제공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포인팅 유닛의 상기 자성부는 상호 반대되는 자성을 띄고, 상기 접촉부가 상호 접촉하면, 각각의 상기 포인팅 유닛의 상기 자성부끼리 인력이 작용하여 상기 신호전달부에 맞닿으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includes: a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generating a contact signal; A magnetic portion having a magnetic property of + or -; Wherein the magnetic portions of the respective pointing units are magnetized in mutually opposing directions, and when the contacting portion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attraction portions of the magnetic portions of the respective pointing units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while contacting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상기 센서부는, 상호 반대되는 극성을 띄는 신호전달 전극부와 접촉 전극부; 및 상기 신호전달 전극부와 상기 접촉 전극부 사이의 간격을 형성하는 스페이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전달 전극부와 상기 접촉 전극부의 간격 변화로 인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통해 접촉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sensor unit includes: a signal transmission electrode unit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signal transmission electrode unit; And a spacer portion forming an interval between the signal transmitting electrode portion and the contact electrode portion, and a contact signal can be generated through a change in capacitance due to a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signal transmitting electrode portion and the contact electrode portion.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은, 한 쌍의 포인팅 유닛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포인팅 유닛의 단부에는 센서부가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센서부가 상호 접촉함에 따라 위치 정보를 발생시키는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 상기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의 위치 정보에 따른 포인터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젓가락형 포인팅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chieved by a chopstick-like pointing device comprising a pair of pointing units, a sensor unit disposed at an end of each of the pointing units, ; A terminal for receiv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hopstick-type pointing device;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oftware screen of the terminal and displaying a position of a pointer according to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hopstick-type pointing device.
상기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의 X방향과 Y방향으로의 이동은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이동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의 Z방향으로의 이동은 상기 포인터의 상기 표시부 상에서 Z방향으로의 이동 또는 기설정된 입력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Wherein the movement of the chopstick-type pointing device in the X and Y directions is used to move the position of the pointer, and the movement of the chopstick-type pointing device in the Z direction is performed in the Z direction on the display portion of the pointer, Can be used to perform the input.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젓가락 형태의 포인팅 장치를 사용하면서 손가락 운동을 통해 뇌자극을 활성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abov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timulation of the brain can be activated through the finger exercise while using the chopstick-type pointing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를 활용하여 노장년층의 치매 예방이나, 유아들의 젓가락 사용에 대한 교육을 달성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mentia of the elderly people by using the chopstick-type pointing device, and to educate the children about the use of the chopstick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프트웨어 내에서 3D 입력장치로 활용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utilized as a 3D input device in software.
도 1은 종래의 포인팅 장치/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가 적용되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의 센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로의 활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pointing device / input device.
2 is a schematic view of a system to which a chopstick-type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hopstick-type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views showing a sensor unit of a chopstick-type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 and 8 illustrate the use of an input device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example, embodiments.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and length and area, thickness, and the lik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가 적용되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2 is a schematic view of a system to which a chopstick-type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hopstick-type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가 적용되는 시스템은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10), 단말기(20) 및 표시부(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system to which the chopstick-type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include a chopstick-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10)는 사용자가 젓가락질을 하는 동작과 동일한 동직으로 입력을 수행하고, 포인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여기에서 포인팅이란 사용자가 전자 장비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수행하고자 하는 대상을 지정할 수 있는 마우스 포인팅, 화살표와 유사한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10)를 통해 젓가락질 동작을 통해서 입력, 포인팅을 수행할 수 있다.The chopstick-
젓가락질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여, 한쌍으로 구성되는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10: 10a, 10b)의 끝점[센서부(11: 11a, 11b)]이 상호 접촉한 경우, 단말기(20)로 3D상 위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10)가 이동할 경우에는 연속적으로 단말기(20)로 포인팅의 이동 경로에 관한 위치 정보를 송신하고,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10)의 끝점이 상호 접촉한 경우에는 단말기(20)로 현재 포인팅 위치에 따른 실행 정보, 예를 들어, 마우스의 클릭, 터치스크린/터치패드에서의 터치, 키보드의 엔터 등과 같은 실행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When the end points (sensor portions 11 (11a, 11b)) of the pair of chopstick type pointing devices 10 (10a, 10b)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performing operations such as chopping,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When the chopstick-
단말기(20)는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 폰, 태블릿, PDA, 게임기 등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일체의 전자 장비를 포함한다. 단말기(20)는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1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기(20)와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10)는 공지의 무선 송수신 기술을 통해 상호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The
표시부(30)는 단말기(20)의 소프트웨어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고,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10)의 위치 정보에 따라 이동된 포인터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이동된 포인터의 위치에서 실행 정보에 따라 소프트웨어에 명령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스마트 폰과 같이 단말기(20)와 표시부(30)가 일체화 된 전자 장비도 있으므로, 단말기(20)와 표시부(30)는 반드시 분리된 구성이 아닐 수 있다.The
도 3을 참조하면,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10)는 한쌍의 포인팅 유닛(10a, 1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포인팅 유닛(10a, 10b)은 센서부(11: 11a, 11b), 위치산출부(13), 제어부(15), 통신부(17) 및 전원부(19)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chopstick-
센서부(11)는 두개의 포인팅 유닛(10a, 10b)이 젓가락질의 동작으로 끝점이 상호 접촉했을 때,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부분이다. 센서부(11)는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10)의 일단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쌍의 센서부(11)가 상호 접촉된 것이 감지되면 접촉 신호를 위치산출부(13), 제어부(15), 통신부(17) 등에 전달할 수 있다. 센서부(11)의 여러 실시예에 관한 자세한 구성은 도 4 내지 도 6에서 후술한다.The
위치산출부(13)는 제어부(15)로부터 작동개시 신호가 오면 센서부(11)의 위치를 계산하여 제어부(15)로 보낼 수 있다. 위치산출부(13)는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력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산출부(13)는 사용 전에 초기화 과정을 통해 복수의 기준위치의 값을 입력받을 수 있다.The
위치산출부(13)는 가속도-각속도 6축 센서를 이용하여 센서부(11)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6축 센서는 기준위치, 예를 들어, 단말기(20)의 위치, 표시부(30)의 위치 등으로부터 이동거리와 이동 방향을 계산하고, 6축 센서로부터의 포인팅 유닛(10a, 10b)의 방향 및 일정 거리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센서부(11)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가속도-각속도 6축 센서는 젓가락 동작의 자세 (X1, Y1, Z1) 좌표를 계산하고, 센서부(11)가 위치하는 좌표 (X2, Y2, Z2) 좌표를 (X1, Y1, Z1) 좌표에서 벡터방향으로 일정 거리 간격 D만큼 떨어진 좌표로 계산할 수 있다. 즉, 2단계의 계산을 통해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1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위치산출부(13)는 3D 위치를 산출하는 공지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The
제어부(15)는 센서부(11), 위치산출부(13), 통신부(17)와 연결되어 각각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센서부(11)로부터 접촉 신호를 받고, 이를 위치산출부(13)로 보내서 포인팅 유닛(10a, 10b)의 끝점의 위치[센서부(11)의 위치]를 계산하게 하고, 그 결과를 되받아서, 통신부(17)에 보내고, 통신부(17)가 이 정보를 단말기(20)로 송신하게 하는 일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센서부(11)로부터 접촉 신호를 받으면 포인팅 위치에 관한 동작 실행, 또는 단순 버튼 입력에 따른 동작 실행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2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위치산출부(13)에 작동개시 신호를 연속적으로 송신하여,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10)가 일상 공간 내에서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 연속적인 포인팅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실행에 관한 신호만 감지하기 위해서는 작동개시 신호가 단속적으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The
전원부(19)는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10)의 각 요소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19)에는 교체형 배터리를 삽입할 수도 있고, 일체형 배터리를 삽입하여 별도의 충전 단자를 통해 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의 센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to 6 are views showing a sensor unit of a chopstick-type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1)는 신호전달부(21, 26), 탄성부(22, 27), 접촉부(23, 28)를 포함할 수 있다.4, the
신호전달부(21, 26)는 탄성부(22, 27)로부터 압력을 받으면 접촉 신호를 제어부(15)로 보낼 수 있다.The
탄성부(22, 27)는 스프링, 압력 스위치 등과 같은 탄성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마우스처럼 압력을 받아 탄성부(22, 27)가 압착되는 경우 딸칵 소리를 발생하여 입력이 정상적으로 수행되고 있음을 알릴 수도 있다. 도 4에서 탄성부(22, 27)는 각각의 센서부(11a, 11b)에 2개씩 장착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접촉을 용이하게 감지하기 위해 더 많은 방향으로 많은 개수가 장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탄성부(22, 27)에 연결되는 접촉부(23, 28)의 개수도 동일하게 증가할 수 있다.The
접촉부(23, 28)는 실질적으로 포인팅 유닛(10a, 10b)이 서로 맞닿도록 작용하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젓가락질을 행할 때, 마치 마우스 버튼이 클릭되어 눌리는 것처럼, 상호 접촉하여 눌릴 수 있다. 접촉부(23, 28)는 센서부(11)의 외부 형태를 구성하며, 상호 접촉이 용이하도록 구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접촉부(23, 28)가 상호간에 압력을 받으면 탄성부(22, 27)를 가압하게 되어 신호 전달부(21, 26)가 접촉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압력이 해제되면 탄성부(22, 27)는 탄성력에 의해 원상복귀되며, 접촉이 해제되었다는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When the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1)는 신호전달부(31, 36), 자성부(32, 37), 접촉부(33, 38)를 포함할 수 있다.5, the
신호전달부(31, 36)는 자성부(32, 37)가 신호전달부(31, 36)의 내 벽면에 접촉하는 경우, 신호전달부(31, 36) 상호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촉 신호를 제어부(15)로 보낼 수 있다.When the
자성부(32, 37)는 각각 +, -의 자성을 띄고 있는 자석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자성부(32, 37)끼리 인력을 가지도록, 자성부(32, 37)는 상호 반대되는 자성을 띄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의 (b)와 같이, 자성부(32, 37)는 포인팅 유닛(10a, 10b)이 서로 맞닿는 경우[접촉부(33, 38)가 서로 맞닿는 경우], 신호전달부(31)-자성부(32)-자성부(37)-신호전달부(36)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접촉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접촉부(33, 38)는 실질적으로 포인팅 유닛(10a, 10b)이 서로 맞닿도록 작용하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젓가락질을 행할 때, 상호 접촉할 수 있다. 접촉부(33, 38)가 상호 가까워지면, 내부의 자성부(32, 37)가 서로 근접하여 신호전달부(31, 36)의 내측에 접하게 되므로, 신호 전달부(31, 36)가 접촉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발생된 접촉 신호는 제어부(15)로 보낼 수 있다.The
도 6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1)는 신호전달 전극부(41, 46), 스페이서부(42, 47), 접촉 전극부(43, 48)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신호전달 전극부(41, 46)는 + 또는 - 전극일 수 있고, 접촉 전극부(43, 48)와의 간격(d1, d2)에 따라 정전용량의 변화에 따라 접촉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5)로 보낼 수 있다. 신호전달 전극부(41, 46)는 상호 반대되는 극성을 띄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ignal transmitting
스페이서부(42, 47)는 신호전달 전극부(41, 46)와 접촉 전극부(43, 48) 사이의 간격(d1, d2)을 형성하며, 압력에 따라 간격이 변할 수 있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접촉 전극부(43, 48)는 실질적으로 포인팅 유닛(10a, 10b)이 서로 맞닿도록 작용하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젓가락질을 행할 때, 상호 접촉하여 눌릴 수 있다. 도 6의 (b)와 같이, 압력에 의해 스페이서부(42, 47)가 눌리게 되면, 신호전달 전극부(41, 46)와 접촉 전극부(43, 48)와의 간격이 d1 -> d2로 줄어들 수 있다. 그리하면, 압력이 인가된 부분에서 버퍼부(42, 47)에 존재하는 정전용량이 달라질 수 있으며, 정전용량의 변화에 따라 압력이 인가된 부분에서 충전 또는 방전이 발생하여, 신호전달 전극부(41, 46)에 소정의 전류가 흐름에 따라 접촉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정전용량 "C = εX A / d"로 나타낼 수 있고(ε는 유전율, A는 전극의 면적, d는 전극 사이의 거리), 스페이서부(42, 47)가 신축됨에 따라 전극 사이의 거리가 d1 <-> d2로 변화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에 따른 전류의 변화를 신호전달 전극부(41, 46)에서 접촉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접촉 전극부(43, 48)가 상호 접촉하여 눌리는 힘에 따라 신호전달 전극부(41, 46)와의 간격이 변할 수 있으므로, 힘에 따른 다양한 실행 정보를 발생할 수도 있다.(A is the area of the electrode, d is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is d1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as the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로의 활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s 7 and 8 illustrate the use of an input device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표시부(30) 상에 3D 소프트웨어가 실행된다. 실제로 표시부(30)의 화면은 XY평면으로 구성되는 2D 화면이지만, 화면 내에서는 Z축이 더 있음을 가상하여 3D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포인팅 장치(10)를 파지하고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움직이면 표시부(30) 내의 젓가락도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1 -> 2). 또한, 사용자가 포인팅 장치(10)를 파지하고, 젓가락질을 하는 동작을 수행하면, 표시부(30) 내의 잡을 대상(3)[예를 들어, 콩, 구슬 등]을 잡을 수 있고, 대상(3)을 잡은 채로 들어서 옮길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7, 3D software is executed on the
도 8을 참조하면, 표시부(30) 상에 마우스 포인터(5)를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포인팅 장치(10)를 파지하고 공간 내에서 XYZ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것만으로 마우스 포인터(5)를 이동시킬 수 있다. 표시부(30)는 XY평면으로 구성되는 2D 화면이므로, 포인팅 장치(10)의 XY방향으로의 동작만을 반영하여 마우스 포인터(5)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8, it is also possible to move the
또한, 표시부(30) 상에서 여러 프로그램들(6: 6a, 6b, 6c)이 구동될 수 있다. 포인팅 장치(10)는 XY방향의 입력뿐 아니라 Z방향의 입력도 가능하며, Z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표시부(30) 상에서 특정 입력 방법을 수행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윈도우에서 다른 프로그램으로 전환을 위해서는 키보드의 Alt+Tab, 윈도우키+Tab 등을 활용할 수 있는데, 포인팅 장치(10)를 Z방향으로 움직이면 이러한 기능을 대체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XY방향으로 포인팅 장치(10)를 움직이면 마우스 포인터(5)를 이동시킬 수 있고, Z방향으로 포인팅 장치(10)를 움직이면, 여러 프로그램들(6: 6a, 6b, 6c)이 일렬로 보여질 수 있다. 이때, 젓가락질 동작을 수행하여 특정 프로그램(6) 선택하여 구동시킬 수 있다. 이 외에도, Z방향으로 포인팅 장치(10)의 이동이 화면 확대/축소, 클릭, 터치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Also, various programs 6 (6a, 6b, 6c) can be driven on the
이처럼, 본 발명의 젓가락 형태의 포인팅 장치(10)는 사용자가 젓가락질을 함에 따라, 포인팅을 하거나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손가락 운동을 통해 뇌자극을 활성화 할 수 있다. 특히, 치매예방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진 젓가락질을 통해서 일상의 전자 장비를 사용하므로, 젓가락질의 사용빈도가 증가할 수 있고, 이에 따른 뇌자극 활성화, 치매예방 등 선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hopstick-
또한, 유아, 어린이들이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를 사용하여, 젓가락질 연습을 하면서, 게임, 소프트웨어, 앱 등을 이용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젓가락 사용에 대한 교육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fants and children can use chopstick-type pointing devices to practice chopsticks while using games, software, and apps to naturally achieve chopsticks education.
또한, 최근에는 모니터 내에서 소프트웨어의 구동이 3D 형식을 갖추는 것이 증가하는 추세인데, 기존의 마우스를 통해 입체적으로 배열된 화면 구성에서 특정 명령을 실행하기는 쉽지 않다. 본 발명의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를 통해서는, 사용자가 마치 젓가락으로 음식을 집어내는 동작과 유사하게, 입체적으로 배열된 화면 구성에서 특정 소프트웨어를 집어내는 방식으로 명령을 실행함에 따라, 3D 입력장치로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recent years, there is an increasing tendency to provide a 3D format for software in a monitor. It is not easy to execute a specific command in a screen configuration arranged in a three-dimensional manner using a conventional mouse. The chopstick-type poin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3D input device by executing a command in a manner that picks up a specific software in a screen configuration arranged in a three-dimensional arrangement, similar to an operation of picking up food by chopstick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예는 본 발명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Vari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to be consider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appended claims.
10: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
11: 센서부
13: 위치산출부
15: 제어부
17: 통신부
19: 전원부
20: 단말기
21, 26, 31, 36: 신호전달부
22, 27: 탄성부
23, 28, 33, 38: 접촉부
30: 표시부
32, 37: 자성부
41, 46: 신호전달 전극부
42, 47: 스페이서부
43, 48: 접촉 전극부10: Chopstick type pointing device
11:
13:
15:
17:
19: Power supply
20:
21, 26, 31, 36:
22, 27:
23, 28, 33, 38:
30:
32, 37:
41, 46: signal transmission electrode part
42 and 47:
43, 48: contact electrode part
Claims (6)
상기 포인팅 유닛은,
상기 포인팅 유닛의 단부에 배치되며, 한 쌍의 포인팅 유닛의 끝점이 상호 접촉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산출부
를 포함하며,
(1) 한 쌍의 포인팅 유닛으로 젓가락질 동작을 수행하여 각각의 상기 센서부가 상호 접촉하면 위치 정보를 발생시키거나,
(2) 포인팅 유닛이 이동할 경우에 연속적으로 이동 경로에 관한 위치 정보를 발생시키고, 한 쌍의 포인팅 유닛으로 젓가락질 동작을 수행하여 각각의 상기 센서부가 상호 접촉하면 포인팅 위치에 따른 실행 정보를 발생시키는,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Comprising a pair of pointing units,
The pointing unit includes:
A sensor unit disposed at an end of the pointing unit and sensing whether the end points of the pair of pointing unit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position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 position of the sensor unit,
/ RTI >
(1) When a pair of pointing units performs a chopping operation and each of the sensor units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posi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2) when the pointing unit moves, position information on the movement path is continuously generated, and a chopping operation is performed with the pair of pointing units, thereby generating execu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ointing position,
Chopstick type pointing device.
상기 센서부는,
접촉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전달부;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탄성부; 및
각각의 상기 센서부가 접촉하는 부분을 제공하며, 상기 센서부의 상호 접촉에 의한 압력을 탄성부에 전달하는 접촉부
를 포함하는,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unit includes:
A signal transmitter for generating a contact signal;
An elastic part including an elastic member; And
And a contact portion for transmitting the pressure due to the mutual contact of the sensor portion to the elastic portion,
And a chopstick-type pointing device.
상기 센서부는,
접촉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전달부;
+ 또는 -의 자성을 띄는 자성부;
각각의 상기 센서부가 접촉하는 부분을 제공하는 접촉부
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포인팅 유닛의 상기 자성부는 상호 반대되는 자성을 띄고,
상기 접촉부가 상호 접촉하면, 각각의 상기 포인팅 유닛의 상기 자성부끼리 인력이 작용하여 상기 신호전달부에 맞닿으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unit includes:
A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generating a contact signal;
A magnetic portion having a magnetic property of + or -;
And a contact portion
/ RTI >
Wherein the magnetic portions of the respective pointing units are magnetized in opposite directions,
Wherein when said contact portion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traction of said magnetic portions of said respective said pointing unit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ntacting with said signal transmitting portion.
상기 센서부는,
상호 반대되는 극성을 띄는 신호전달 전극부와 접촉 전극부; 및
상기 신호전달 전극부와 상기 접촉 전극부 사이의 간격을 형성하는 스페이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전달 전극부와 상기 접촉 전극부의 간격 변화로 인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통해 접촉 신호를 발생시키는,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unit includes:
A signal transmitting electrode portion and a contact electrode portion having mutually opposite polarities; And
And a spacer portion which forms an interval between the signal transmission electrode portion and the contact electrode portion,
/ RTI >
And generates a contact signal through a change in capacitance caused by a change in the interval between the signal transmission electrode unit and the contact electrode unit.
상기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의 위치 정보에 따른 포인터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포인팅 유닛은,
상기 포인팅 유닛의 단부에 배치되며, 한 쌍의 포인팅 유닛의 끝점이 상호 접촉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산출부
를 포함하며,
(1) 한 쌍의 포인팅 유닛으로 젓가락질 동작을 수행하여 각각의 상기 센서부가 상호 접촉하면 3D 상의 위치 정보를 발생시키거나,
(2) 포인팅 유닛이 이동할 경우에 연속적으로 이동 경로에 관한 위치 정보를 발생시키고, 한 쌍의 포인팅 유닛으로 젓가락질 동작을 수행하여 각각의 상기 센서부가 상호 접촉하면 포인팅 위치에 따른 실행 정보를 발생시키는,
젓가락형 포인팅 시스템.A chopstick type pointing device including a pair of pointing units;
A terminal for receiv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hopstick-type pointing device;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oftware screen of the terminal and displaying a position of a pointer according to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hopstick-type pointing device;
Lt; / RTI >
The pointing unit includes:
A sensor unit disposed at an end of the pointing unit and sensing whether the end points of the pair of pointing unit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position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 position of the sensor unit,
/ RTI >
(1) When a pair of pointing units performs a chopping operation and each of the sensor units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position information on the 3D is generated,
(2) when the pointing unit moves, position information on the movement path is continuously generated, and a chopping operation is performed with the pair of pointing units, thereby generating execu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ointing position,
Chopstick type pointing system.
상기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의 X방향과 Y방향으로의 이동은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이동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젓가락형 포인팅 장치의 Z방향으로의 이동은 상기 포인터의 상기 표시부 상에서 Z방향으로의 이동 또는 기설정된 입력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젓가락형 포인팅 시스템.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ovement of the chopstick-type pointing device in the X and Y directions is used to move the position of the pointer, and the movement of the chopstick-type pointing device in the Z direction is performed in the Z direction on the display portion of the pointer, A chopstick type pointing system used to perform inp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50168985 | 2015-11-30 | ||
KR1020150168985 | 2015-11-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3413A KR20170063413A (en) | 2017-06-08 |
KR101768629B1 true KR101768629B1 (en) | 2017-08-18 |
Family
ID=59220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2079A Expired - Fee Related KR101768629B1 (en) | 2015-11-30 | 2016-11-30 | Chopsticks-type pointing device and pointing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6862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8754B1 (en) * | 2018-08-13 | 2019-01-15 | 김종길 | Mouse On Chopsticks Styl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000257A (en) * | 2008-06-20 | 2010-01-07 | Namco Bandai Games Inc | Game controller case, game controller case set,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
KR101230982B1 (en) * | 2012-02-22 | 2013-02-07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Chopsticks type touch-pen |
-
2016
- 2016-11-30 KR KR1020160162079A patent/KR10176862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000257A (en) * | 2008-06-20 | 2010-01-07 | Namco Bandai Games Inc | Game controller case, game controller case set,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
KR101230982B1 (en) * | 2012-02-22 | 2013-02-07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Chopsticks type touch-pe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3413A (en) | 2017-06-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60944B2 (en) |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gesture-based interaction | |
US10996765B2 (en) | Controller for finger gesture recognition and method for recognizing finger gesture | |
US10317997B2 (en) | Selection of optimally positioned sensors in a glove interface object | |
CN107533369B (en) | Magnetic tracking of glove fingertips with peripheral devices | |
CN112424730A (en) | Computer system with finger device | |
EP3287871B1 (en) |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of wearable device | |
US20180296913A1 (en) | Hand-held controller using segmented capacitive touch trigger | |
US20150233779A1 (en) | Gloves with pressure sensors | |
US11237632B2 (en) | Ring device having an antenna, a touch pad, and/or a charging pad to control a computing device based on user motions | |
WO2016205143A1 (en) | Gloves that include haptic feedback for use with hmd systems | |
CN104991650B (en) | A kind of gesture controller and a kind of virtual reality system | |
JP2010108500A (en) | User interface device for wearable computing environmental base, and method therefor | |
US11353959B2 (en) | Controller device | |
WO2017067387A1 (en) | Handle type gesture recognition device | |
US20210318759A1 (en) | Input device to control a computing device with a touch pad having a curved surface configured to sense touch input | |
Shigapov et al. | Design of digital gloves with feedback for VR | |
CN206178653U (en) | Wireless Intelligence gloves | |
CN104267833A (en) | Man-machine interface system | |
KR101768629B1 (en) | Chopsticks-type pointing device and pointing system | |
CN204790857U (en) | Gesture controller and virtual reality system | |
KR102322968B1 (en) | a short key instruction device using finger gestures and the short key i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 |
CN210038715U (en) | Gesture recognition glove and finger-guessing toy | |
FI20215321A1 (en) | Equipment and method for detecting a hand in contact with an object based on haptic feedback from the wrist | |
JP6770103B2 (en) | Finger tracking on input devices with proximity sensing | |
KR20230029269A (en) | Hybrid wearable control device and hybrid wearable control device control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12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8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8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