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6228B1 - Frame for placard and combin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rame for placard and combin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66228B1 KR101766228B1 KR1020150102418A KR20150102418A KR101766228B1 KR 101766228 B1 KR101766228 B1 KR 101766228B1 KR 1020150102418 A KR1020150102418 A KR 1020150102418A KR 20150102418 A KR20150102418 A KR 20150102418A KR 101766228 B1 KR101766228 B1 KR 1017662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jection
- pressing
- pin
- groove
- bann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claims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수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수막의 양단부에서 동일한 형상의 한 쌍이 점대칭 구조로 현수막이 개재된 상태로 상호 끼움 결합하는 바 형상의 본체를 포함하는 현수막용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 1돌출부; 상기 제 1돌출부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하게 돌출되는 제 2돌출부; 상기 제 2돌출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 1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1홈부; 상기 제 1돌출부와 제 2돌출부 사이에 상기 제 2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2홈부;를 포함하여 현수막과 프레임 간에 결합구조가 단순하면서도 견고하도록 구성하여 설치 시간이 감소하고 및 인건비가 줄어 비용이 절약되는 장점이 있으며, 아울러 사용 후 철거되는 현수막의 경우 프레임의 재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현수막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nner frame including a bar-like body which is fitted to each other with a banner interposed therebetween in a point symmetrical structure of a pair of identical shapes at both ends of the banner, A first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protru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in parallel to the first protrus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first groove portion formed adjacent to the second projection and recess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jection; And a second groove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projection and the second projection to be concav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ojection, so that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banner and the frame is simple and robust so that the installation time is reduced,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the banner can be recycled in the case of banners removed after use.
Description
본 발명은 현수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로프 등을 통해 현수막의 양측을 팽팽하게 매달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현수막의 양측에 체결되는 현수막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통상의 현수막은 각종 광고문구나 고지사항 등이 기재된 천이나 비닐지로 이루어지며, 현수막의 양측에 상하로 개방되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목재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상하로 돌출되게 각각 끼움 결합하고, 상기 양측 프레임의 상하 돌출된 부분에 각각 로프의 일단을 결속하여 한 쌍의 게시대 사이 또는 각종 구조물 사이에 가로 또는 세로로 위치하도록 로프의 타단을 게시대 등에 결속하여 현수막이 평평하게 펴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여 게시하게 된다.A conventional banner is made of cloth or vinyl paper on which various advertisement texts and notices are described, and a through-hol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nner to be opened up and down so that a frame made of wood is fitted and projected upward and downward, One end of the rope is boun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ope so as to be horizontally or vertically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postcards or between the various structures, .
이러한 통상의 현수막은 목재로 구성되는 프레임의 상하 돌출부에 로프를 결속하기 때문에 결속이 어려웠으며, 결속하더라도 현수막의 설치 후 강한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서 로프가 잘 풀어지며, 상기 프레임이 현수막의 양측 상하로 돌출되어 현수막의 외관과 가치를 떨어뜨리게 되며, 프레임이 현수막의 상하 단부에서 돌출되며 돌출된 부위에 로프가 결속되므로 강한 바람이 불면 목재로 이루어진 프레임이 쉽게 파손되어 현수막이 덜렁거리거나 찢어지는 등의 문제로 인하여 현수막이 설치된 거리나 건축물의 미관을 해치는 결과를 초래하는 등 다수의 문제점을 갖게 된다.This conventional banner is difficult to assemble because the rope is bound to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of the frame made of wood. Even after the banner is assembled, the rope is loosened by external force such as strong wind, The frame protrudes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anner, and the rope is bound to the protruding portion. Therefore, when a strong wind blows, the frame made of wood is easily broken and the banner is broken or torn Which can result in a deterioration of the aesthetics of the streets and buildings where the banners are installed.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현수막은 반드시 그 현수막의 단부를 접어 재봉하여야 하는 공정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목재로 된 프레임을 삽입한 후 현수막과 목재 프레임 간 나사못 또는 스템플러 등을 통해 결속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설치 시간 및 인건비가 증가하게 되고, 아울러 사용 후 철거되는 현수막 및 그 지지대는 대부분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그대로 소각되거나 폐기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banner needs to be folded and sewed at the end of the banner, and it is troublesome to bond the banner through the screws or staples between the banner and the wooden frame after inserting the wooden frame And the installation time and labor cost are increased. In addition, the banners and their supports, which are removed after use, are incapable of being reused in most cases.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현수막과 프레임 간에 결합구조가 단순하면서도 견고하도록 구성되는 현수막용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함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nner frame which is simple and robust in its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banner and a fram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용 프레임은 현수막의 양단부에서 동일한 형상의 한 쌍이 점대칭 구조로 현수막이 개재된 상태로 상호 끼움 결합하는 바 형상의 본체를 포함하는 현수막용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 1돌출부; 상기 제 1돌출부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하게 돌출되는 제 2돌출부; 상기 제 2돌출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 1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1홈부; 상기 제 1돌출부와 제 2돌출부 사이에 상기 제 2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2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 banner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nner frame comprising a bar-like body which is fitted to each other with a banner interposed therebetween in a point symmetrical structure of a pair of identical shapes at both ends of the banner, The main body includes: a first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protru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in parallel to the first protrus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first groove portion formed adjacent to the second projection and recess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jection; And a second groove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projection and the second projection to be concav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ojection.
이때, 상기 제 2돌출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고, 상기 제 2홈부는 상기 제 2돌출부에 대응하도록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것이 특징이다.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second protrusion widens toward the end, and the width of the second recess increases toward the inner sid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otrusion.
또한, 상기 제 2홈부에는 일정 간격마다 복수의 압착핀부가 구성되고 상기 제 2돌출부에는 상기 압착핀부의 대응위치에 수용홈부가 구성되어 상기 압착핀부 및 수용홈부가 상호 결합구조로 구성되되, 상기 압착핀부는 상기 제 2홈부에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오목한 핀홈; 원뿔형상으로 상기 핀홈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용홈부는 상기 제 2돌출부 상에 상기 핀홈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는 수용돌기; 상기 수용돌기의 중심에 형성되며 상기 핀부재에 대응하는 원뿔형상 핀수용홈; 상기 수용돌기의 대향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누름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A plurality of pressing pin portions are formed in the second groove portion at regular intervals and a receiving groove portion is formed in the second projection portion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pressing pin portion so that the pressing pin portion and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are configured to be mutually engaged, The pin portion has a cylindrical concave pin groove formed in the second groove portion; And a pin member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in groove in a conical shape,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having a receiving projection protruding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pin groove on the second projection; A conical pin receiving groov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eceiving projection and corresponding to the pin member; And a pressing groove formed concavely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eceiving protrusion.
아울러, 상기 핀홈의 바닥면에는 단면이 톱니구조의 제 1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돌기의 끝단면에는 단면이 톱니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제 1요철부와 치합되는 제 2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a first concavo-convex section having a saw-tooth cross sectio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in groove, and a second concavo-convex section having a saw-tooth cross section and engaging with the first concavo- to be.
한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용 프레임의 체결장치는 현수막용 프레임을 체결하는 체결장치에 있어서, 바 형상으로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제 1돌출부; 제 1돌출부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돌출되는 제 2돌출부; 상기 제 2돌출부와 인접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 1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1홈부; 상기 제 1돌출부와 제 2돌출부 사이에 상기 제 2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2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체가 안치되는 제 1안치부가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 복수의 가이드봉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측으로 이격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부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봉에 가이드되어 승강되며 그 하부면에 상기 제 1안치부에 안치된 본체와 마주보도록 다른 본체가 안치되는 제 2안치부가 형성되는 가압플레이트; 상기 가압플레이트 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구성되어 현수막을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커팅부; 상기 가압플레이트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lamping device for clamping a frame for a banner, the clamp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 side of a bar; A second projection projecting side by side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projection; A first groove portion formed adjacent to the second projection and recess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jection; And a second groove part formed between the first projection part and the second projection part and concav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ojection part. An upper plate spaced above the base plate by a plurality of guide rods; A pressing plate disposed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upper plate and guided and raised by the guide bar and having a second seating portion on a lower surface thereof on which the other main body is placed so as to face the main body housed in the first seating portion; A cutting unit configured to cut the banner of the pressing plate or the base plate; And a pressing device for applying a pressing force to the pressing plate.
이때, 상기 제 2홈부에는 일정 간격마다 복수의 압착핀부가 구성되고 상기 제 2돌출부에는 상기 압착핀부의 대응위치에 수용홈부가 구성되어 상기 압착핀부 및 수용홈부가 상호 결합구조로 구성되되, 상기 압착핀부는 원통 형상의 오목한 핀홈; 원뿔형상으로 상기 핀홈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용홈부는 상기 핀홈에 대응하는 직경을 같은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는 수용돌기; 상기 돌기의 중심에 형성되며 상기 핀부재에 대응하는 원뿔형상 핀수용홈; 상기 수용돌기의 대향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누름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바닥면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상기 수용홈부의 대응위치에 복수의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돌기의 끝단면이 상기 누름홈의 바닥면에 밀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pressing pin portions are formed in the second groove portion at regular intervals, and a receiving groove portion is formed in the second projection portion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pressing pin portion, and the pressing pin portion and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are formed of mutually- The pin portion has a concave pin groove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pin member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in groove in a conical shape, wherein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has a receiving projection protruding in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pin groove; A conical pin receiving groov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rojection and corresponding to the pin member; Wherein a plurality of press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and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on a bottom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and the end of the pressing protrusion, And the end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ing groove.
일례로써, 제 2안치부는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바닥면의 적어도 두 지점 이상에 상기 본체가 그 중심에 오도록 본체의 양측에 회전 가능토록 구성되는 한 쌍의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끝단에 일체로 구성되는 부채꼴 형상의 안치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한 쌍의 상기 회전부재에 각각 구성되는 상기 안치판은 한 쌍의 회전부재가 180도씩 회전할 때마다 한 쌍의 상기 안치판은 상호 마주보거나 대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For example, the second housing unit includes a pair of rotary members rotatab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ody so that the body is centered on at least two point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And a fan shaped plate integrally formed at an end of the rotary member, wherein each of the pair of rotary plates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pair of rotary plate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mentioned seat plates are configured to face each other or face each other.
다른 예로써, 상기 제 1안치부는 제 1-1안치부 및 제 1-2안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1-1안치부 및 제 1-2안치부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안치부는 제 2-1안치부 및 제 2-2안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2-1안치부 및 제 2-2안치부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 1-1안치부 및 제 1-2안치부의 사이 및 제 2-1안치부 및 제 2-2안치부의 사이에는 커팅부가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As another example, the first enclosure may include a first enclosure 1-1 and a first enclosure 1-2, wherein the first enclosure 1-1 and the first enclosure 1-2 are dispos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e second-2-ante part and the second-2-ante part are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cut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to 1 & cir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용 프레임은 현수막과 프레임 간에 결합구조가 단순하면서도 견고하도록 구성하여 설치 시간이 감소하고 및 인건비가 줄어 비용이 절약되는 장점이 있으며, 아울러 사용 후 철거되는 현수막의 경우 프레임의 재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nner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erit that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banner and the frame is simple and robust so that the installation time is reduced and the labor cost is reduced, and the cost is saved. Fur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rame can be recycl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용 프레임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용 프레임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용 프레임을 체결하는 체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용 프레임을 체결하는 체결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용 프레임을 체결하는 체결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nner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Figure 1;
Fig. 3 is a view showing the combined state of Fig. 2. Fig.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banner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a banner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of Fig.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a banner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a 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a banner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to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best explain his invention But also the meaning and the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용 프레임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용 프레임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용 프레임을 체결하는 체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용 프레임을 체결하는 체결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용 프레임을 체결하는 체결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nner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Fig. 1,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a banner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ide view of the banner frame of FIG. 5, and FIG. to be.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a banner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fastening devices for fastening a banner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용 프레임은 현수막의 양단부에서 동일한 형상의 한 쌍이 점대칭 구조로 현수막이 개재된 상태로 상호 끼움 결합하는 바 형상의 본체(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기 본체(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돌출부(110), 제 2돌출부(120), 제 1홈부(130) 및 제 2홈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banner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r-shaped
즉, 상기 본체(100)는 제 1돌출부(110), 제 2돌출부(120), 제 1홈부(130) 및 제 2홈부(140)가 형성되는 단면구조가 길게 연장되는 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That is, the
먼저, 상기 제 1돌출부(110)는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구성시킨 것이며, 이하의 제 2돌출부(120), 제 1홈부(130) 및 제 2홈부(140) 역시 상기 제 1돌출부(110)와 마찬가지로 단면의 형상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본체(100)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다.The
상기 제 2돌출부(120)는 상기 제 1돌출부(110)와 소정간격 이격되되, 제 1돌출부(110)와 평행하도록 나란하게 돌출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제 2돌출부(120)가 제 1돌출부(110)보다 높게 구성된다.The
상기 제 1홈부(130)는 상기 제 2돌출부(120)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1돌출부(110)가 끼움 결합되도록 제 1돌출부(110)의 대응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한 쌍의 본체(100)가 상호 결합시 상기 제 1돌출부(110)가 상기 제 1홈부(130)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The
아울러, 상기 제 2홈부(140)는 상기 제 1돌출부(110)와 제 2돌출부(120)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제 2홈부(140)는 상기 제 2돌출부(120)에 대응하는 형상의 오목한 홈 구조로 마련하여 상기 한 쌍의 본체(100)가 상호 결합시 상기 제 2돌출부(120)가 제 2홈부(140)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The
상기와 같이 한 쌍의 본체(100)가 그 사이에 현수막(1)이 개재된 상태로 상호 결합시에 제 1돌출부(110)와 제 1홈부(130) 간, 그리고 제 2돌출부(120)와 제 2홈부(140) 간 2중으로 끼움 결합하게 되므로 한 쌍의 본체(100)는 견고한 결합구조를 갖게 되며 아울러 현수막(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air of
이때, 상기 제 2돌출부(120)의 형상을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게 구성하고, 아울러 상기 제 2홈부(140)의 형상 역시 상기 제 2돌출부(120)에 대응하도록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본체(100) 간 보다 견고한 결합구조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2 to 3, the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에 기해 본체(100)가 2중 끼움 체결 구조를 취하나 그 폭을 최소화하여 재료 절감의 효과도 수반된다.In addition, due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용 프레임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banner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실시 예에서는 제 2홈부(140)에 압착핀부(142)를, 그리고 제 2돌출부(120)에 수용홈부(122)를 더 구성함으로써 한 쌍의 본체(100)가 상호 결합 시, 보다 견고한 체결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본체(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돌출부(110), 제 2돌출부(120), 제 1홈부(130) 및 제 2홈부(140)가 형성되는 단면이 길게 연장되어 바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도면에서는 압착핀부(142)와 수용홈부(122)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나 상기 압착핀부(142)와 수용홈부(122)는 각각 제 2홈부(140) 및 제 2돌출부(120) 상에서 상호 대응위치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가 구성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이때, 상기 압착핀부(142)는 핀홈(143), 핀부재(14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핀홈(143)은 상기 제 2홈부(140)에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오목한 홈 구조를 이루고, 상기 핀부재(144)는 상기 핀홈(143)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바닥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원뿔형상으로 마련된다. The
또한, 상기 수용홈부(122)는 수용돌기(123), 핀수용홈(124), 누름홈(12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용돌기(123)는 상기 제 2돌출부(120) 상에 상기 핀홈(143)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핀수용홈(124)은 상기 돌기의 끝단면 중심에 형성되며 상기 핀부재(144)에 대응하도록 깊이가 깊어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뿔형상의 홈 구조를 이뤄 한 쌍의 본체(100) 간 체결 시 상기 핀부재(144)가 상기 핀수용홈(124)에 삽입되되 상기 핀부재(144)의 외주연이 상기 핀수용홈(124)의 내주연에 밀착된다.The receiving
상기와 같이 핀부재(144)의 외주연이 상기 핀수용홈(124)의 내주연에 밀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체결되는 한 쌍의 본체(100) 사이에 현수막(1)이 개재되는 현수막(1)은 핀부재(144)에 의해 구멍이 뚫린 상태로 핀부재(144)와 함께 점차 핀수용홈(124)에 인입되되, 핀부재(144)의 외주연과 핀수용홈(124)의 내주연 사이에 찝히게 되므로 한 쌍의 본체(100) 간 체결에 의해 현수막(1)은 보다 견고하게 체결되므로 현수막용 프레임에서 이탈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The
또한 상기 누름홈(127)은 상기 수용돌기(123)의 대향측에 오목하게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누름홈(127)에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게 될 현수막용 체결장치(200)에 구성되는 가압돌기(233)가 안치되고, 이 상태로 상기 가압돌기(233)의 가압작용에 의해 한 쌍의 상기 본체(100) 간 끼움 결합시 압착핀부(142) 및 수용홈부(122) 간 완벽한 체결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 pushing
한편, 상기 현수막(1)과 본체(100) 간 결속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상기 핀홈(143)의 바닥면에는 상기 핀부재(144) 이외의 범위에 단면이 톱니구조인 제 1요철부(145)를 마련하고, 또한 상기 수용돌기(123)의 끝단면에도 단면이 톱니구조이면서 상기 제 1요철부(145)와 치합되는 제 2요철부(125)를 마련하여 상호간 체결시 치합되는 제 1요철부(145)와 제 2요철부(125) 사이에 현수막(1)이 개재되면서 현수막(1)과 본체(100) 간 결속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strengthen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이하,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용 프레임을 체결하는 체결장치(2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상기 체결장치(200)는 한 쌍의 본체(100)를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시키고 그 사이에 현수막(1)을 개재한 후 작동시킴으로써 본체(100) 간 마주보도록 그 정렬상태를 일치시키고 길이가 긴 본체(100)에 균일한 가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The
이러한 상기 체결장치(200)는 베이스플레이트(210), 상부플레이트(220), 가압플레이트(230), 커팅부(240) 및 가압장치(2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는 그 상부면에 전술한 바와 같이 바 형상으로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제 1돌출부(110), 제 1돌출부(110)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돌출되는 제 2돌출부(120), 상기 제 2돌출부(120)와 인접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 1돌출부(1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1홈부(130), 및 상기 제 1돌출부(110)와 제 2돌출부(120) 사이에 상기 제 2돌출부(1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2홈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체(100)가 안치되는 제 1안치부(212)가 형성된다.The
상기 제 1안치부(212)는 상기 본체(100)의 전후좌우의 위치를 세팅하기 위하여 본체(10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홈 구조 등이 적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first
상기 상부플레이트(22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와 상부플레이트(220) 사이에 복수의 가이드봉(231)이 구성된다.The
또한, 상기 가압플레이트(23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 및 상부플레이트(2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봉(231)에 가이드 되어 승강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가압플레이트(230)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 1안치부(212)에 안치된 본체(100)와 마주보도록 다른 본체(100)가 안치되는 제 2안치부(232)가 형성된다.The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현수막(1)은 상황에 따라 현수막(1)에 내용을 인쇄한 상태에서 현수막(1)이 사이즈에 맞게 재단된 상태 및 재단이 이뤄지지 않아 연속하여 길이가 긴 상태 두 가지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용 프레임을 체결하는 체결장치(200)는 상기 두 가지 경우의 현수막(1)에 대해서 모두 적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먼저 현수막(1)이 사이즈에 맞게 재단된 상태라면 현수막(1)의 일단부에 본체(100)를 체결시키고 이후 현수막(1)의 타단부에 본체(100)를 체결함으로써 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First, if the
또한, 현수막(1)이 재단되지 않은 경우 현수막(1)의 일단부에 본체(100)를 체결시킨 후 현수막(1)의 타단부에 본체(100)를 체결함과 동시에 본체(100)의 끝단에 맞게 현수막(1)을 절단하도록 구성시킬 수 있다.When the
상기와 같이 본체(100)를 체결함과 동시에 본체(100)의 끝단에 맞게 현수막(1)을 절단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가압플레이트(230) 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 중 한 곳에 상기 제 1안치부(212) 또는 제 2안치부(232)(232)에 인접하도록 커팅부(240)가 구성될 수 있다.The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한 쌍의 본체(100)가 현수막(1)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체결하여 완성된 현수막(1)이 제작되는 주기를 1사이클 공정이라 정의한다. Meanwhi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cycle in which the pair of
상기 커팅부(240)는 상기 가압플레이트(230) 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 중 한 곳에 구성되어 상기 가압플레이트(230)가 하강하여 마주보는 한 쌍의 본체(100)를 가압하여 체결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팅부(240)가 현수막(1)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모두 체결되는 1사이클 공정마다 작동하도록 하여 본체(100)의 체결과 아울러 일 현수막(1)과 타 현수막(1)을 절단하여 분리시키게 된다.The
이어서, 상기 가압장치(250)는 상기 가압플레이트(230)에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가압장치(250)로 실린더 구조가 적용되는 예가 적용된다. 이때, 상기 상부플레이트(220)에 실린더가 고정되고 실린더 내에서 수축 및 팽창하는 피스톤에 연결되는 피스톤로드의 끝단은 상기 가압플레이트(230)에 고정되어 실린더의 작용에 기인하여 상기 가압플레이트(230)에 그 하측으로 가압력을 가하여 베이스플레이트(210)와의 사이에서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본체(100)를 체결하도록 구성된다.The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제 2홈부(140)에는 일정 간격마다 복수의 압착핀부(142)가 구성되고 상기 제 2돌출부(120)에는 상기 압착핀부(142)의 대응위치에 수용홈부(122)가 구성되어 상기 압착핀부(142)의 대응위치에 수용홈부(122)가 구성되어 상기 압착핀부(142) 및 수용홈부(122)가 상호 결합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플레이트(230)의 바닥면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에는 상기 수용홈부(122)의 대응위치에 복수의 가압돌기(233)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돌기(233)의 끝단면이 상기 누름홈(127)의 바닥면에 밀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가압플레이트(230)가 가압력을 제공하여 한 쌍의 본체(100)를 체결할 때 특히, 상기 수용홈부(122)와 압착핀부(142) 간에 미체결되는 일이 없도록 해당 지점에 가압돌기(233)를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pressing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제 2안치부(232a)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2안치부(232a)는 상기 가압플레이트(230)의 바닥면에 구성되어 본체(100)를 안착시키는 수단이 되는 것으로, 회전부재(232a-1) 및 안치판(232a-2)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먼저 상기 회전부재(232a-1)는 한 쌍이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가압플레이트(230)의 바닥면의 적어도 두 지점 이상에 적용된다.First, the rotating
이때, 한 쌍의 회전부재(232a-1)는 그 사이에 본체(100)가 위치하도록 하고 상호 반대방향으로 동일한 각만큼 회전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pair of rotating
또한, 상기 안치판(232a-2)은 상기 회전부재(232a-1)의 끝단에 회전부재(232a-1)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 부채꼴 형상으로 마련되되, 부채꼴의 중심각은 180°이하로 구성된다.The center axis of the fan-shaped
이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치판(232a-2)이 서로 내향을 향하도록 위치하여 본체(100)가 가압플레이트(230) 상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유지시키다가 도 7의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압플레이트(230)가 한 쌍의 본체(100)를 상호 결합하기 위해 하강하여 상측의 본체(100) 간 맞닿기 직전에 상기 회전부재(232a-1)를 180°만큼 회전시켜 상기 안치판(232a-2)이 상호 외향을 향하게 됨으로써 상기 가압플레이트(230)에 안치된 본체(100)와 베이스플레이트(210)에 안치된 본체(100) 간 끼움 방식의 체결이 이뤄지게 되는 것이다.7 (a), the
이하, 도 8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용 프레임을 체결하는 체결장치(200)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전술하였던 실시 예에서는 완성된 현수막(1)을 제작하는 1사이클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가압플레이트(230)는 현수막(1)의 양단의 본체(100)를 체결하도록 총 2회의 하강이 실시되어야하 데,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가압플레이트(230)의 하강 횟수를 줄여줄 수 있게 된다.8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이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 1안치부(212)는 제 1-1안치부(212b) 및 제 1-2안치부(212c)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1-1안치부(212b) 및 제 1-2안치부(212c)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안치부(232)는 제 2-1안치부(232b) 및 제 2-2안치부(232c)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2-1안치부(232b) 및 제 2-2안치부(232c)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 1-1안치부(212b) 및 제 1-2안치부(212c)의 사이 및 제 2-1안치부(232b) 및 제 2-2안치부(232c)의 사이에는 커팅부(240)가 구성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first
상기와 같은 구성에 기해 최초의 현수막용 프레임을 체결하는 작업시에는 제 1-2안치부(212c) 및 제 2-2안치부(232c)에만 본체(100)를 안치시켜 작업 한 후, 이후의 공정부터는 제 1-1안치부(212b), 제 1-2안치부(212c), 제 2-1안치부(232b) 및 제 2-2안치부(232c)에 각각 본체(100)를 안치시킨 후 공정을 진행시키게 되면 1사이클 공정의 완료와 함께 2사이클의 첫번째 프레임 체결 공정까지 진행되고 이후 2사이클 공정의 완료와 함께 3사이클의 첫번째 프레임 체결공정까지 마치게 되므로 3사이클 공정까지만 봤을때, 안치부가 하나인 경우에는 총 6회의 가압플레이트(230) 하강 공정이 진행되어야하나,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안치부가 2개씩 마련되도록 할 경우 3사이클 공정을 진행하는데 총 4회의 가압플레이트(230) 하강 공정만 이루어질 뿐만 아나라 4사이클의 첫번째 본체(100) 체결 작업까지 수행하게 되므로 에너지 절감 및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In the operation of fastening the first banner fram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right.
1 : 현수막 100 : 본체
110 : 제 1돌출부 120 : 제 2돌출부
130 : 제 1홈부 140 : 제 2홈부
200 : 체결장치 210 : 베이스플레이트
220 : 상부플레이트 230 : 가압플레이트
231 : 가이드봉1: Banner 100: Body
110: first protrusion 120: second protrusion
130: first groove portion 140: second groove portion
200: fastening device 210: base plate
220: upper plate 230: pressure plate
231: guide rod
Claims (8)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 1돌출부; 상기 제 1돌출부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하게 돌출되는 제 2돌출부; 상기 제 2돌출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 1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1홈부; 상기 제 1돌출부와 제 2돌출부 사이에 상기 제 2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2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홈부에는 일정 간격마다 복수의 압착핀부가 구성되고 상기 제 2돌출부에는 상기 압착핀부의 대응위치에 수용홈부가 구성되어 상기 압착핀부 및 수용홈부가 상호 결합구조로 구성되되,
상기 압착핀부는 상기 제 2홈부에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오목한 핀홈; 원뿔형상으로 상기 핀홈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용홈부는 상기 제 2돌출부 상에 상기 핀홈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는 수용돌기; 상기 수용돌기의 중심에 형성되며 상기 핀부재에 대응하는 원뿔형상 핀수용홈; 상기 수용돌기의 대향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누름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용 프레임.
A banner frame (1) comprising a bar-shaped main body (1) which is fitted to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a pair of identical shapes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anner in a point symmetrical structure with a banner interposed therebetween,
The main body includes:
A first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protru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in parallel to the first protrus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first groove portion formed adjacent to the second projection and recess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jection; And a second groove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projection and the second projection to be concav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ojection,
A plurality of pressing pin portion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second groove portion and a receiving groove portion is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pressing pin portion in the second projection portion so that the pressing pin portion and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are mutually coupled,
Wherein the pressing pin portion has a cylindrical concave pin groove formed in the second groove portion; And a pin member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in groove in a conical shape,
Wherein the receiving recess has a receiving projection protruding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pin groove on the second projection; A conical pin receiving groov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eceiving projection and corresponding to the pin member; And a pressing groove formed concavely on an opposite side of the receiving protrusion.
상기 핀홈의 바닥면에는 단면이 톱니구조의 제 1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돌기의 끝단면에는 단면이 톱니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제 1요철부와 치합되는 제 2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용 프레임.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first concavo-convex portion having a saw tooth structure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pin groove,
And a second concave-convex portion having a saw-tooth cross-section and engaging with the first concave-convex portion is formed on an end surface of the receiving protrusion.
상기 본체는
바 형상으로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제 1돌출부; 제 1돌출부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돌출되는 제 2돌출부; 상기 제 2돌출부와 인접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 1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1홈부; 상기 제 1돌출부와 제 2돌출부 사이에 상기 제 2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2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홈부에는 일정 간격마다 복수의 압착핀부가 구성되고 상기 제 2돌출부에는 상기 압착핀부의 대응위치에 수용홈부가 구성되어 상기 압착핀부 및 수용홈부가 상호 결합구조로 구성되되, 상기 압착핀부는 원통 형상의 오목한 핀홈; 원뿔형상으로 상기 핀홈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용홈부는 상기 핀홈에 대응하는 직경을 같은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는 수용돌기; 상기 수용돌기의 중심에 형성되며 상기 핀부재에 대응하는 원뿔형상 핀수용홈; 상기 수용돌기의 대향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누름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용 프레임을 체결하는 체결장치.
A fastening apparatus for fastening a frame for a placard, the fastening apparatus comprising: a base plate on which a first seating portion on which a main body is placed is formed; An upper plate spaced above the base plate by a plurality of guide rods; A pressing plate disposed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upper plate and guided and raised by the guide bar and having a second seating portion on a lower surface thereof on which the other main body is placed so as to face the main body housed in the first seating portion; A cutting unit configured to cut the banner of the pressing plate or the base plate; And a pressing device for applying a pressing force to the pressing plate,
The body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in a bar shape; A second projection projecting side by side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projection; A first groove portion formed adjacent to the second projection and recess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jection; And a second groove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projection and the second projection to be concav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ojection,
A plurality of pressing pin portions are formed in the second groove portion at regular intervals and a receiving groove portion is formed in the second projection portion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pressing pin portion so that the pressing pin portion and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are mutually coupled to each other, A concave pin groove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pin member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in groove in a conical shape, wherein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has a receiving projection protruding in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pin groove; A conical pin receiving groov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eceiving projection and corresponding to the pin member; And a pressing groove formed concavely on an opposite side of the receiving protrusion.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바닥면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상기 수용홈부의 대응위치에 복수의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돌기의 끝단면이 상기 누름홈의 바닥면에 밀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용 프레임을 체결하는 체결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and the base plate
Wherein a plurality of pressing protrusions are form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so that an end surface of the pressing protrusion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pressing groove.
제 2안치부는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바닥면의 적어도 두 지점 이상에 상기 본체가 그 중심에 오도록 본체의 양측에 회전 가능토록 구성되는 한 쌍의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끝단에 일체로 구성되는 부채꼴 형상의 안치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한 쌍의 상기 회전부재에 각각 구성되는 상기 안치판은 한 쌍의 회전부재가 180도씩 회전할 때마다 한 쌍의 상기 안치판은 상호 마주보거나 대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용 프레임을 체결하는 체결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compartment
A pair of rotary members rotatab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main body is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at least two points or more;
And a fan-shaped seating plate integrally formed at an end of the rotary member,
Wherein each of the seat plates constituting each of the pair of rotating members is configured such that a pair of the seat plates face each other or face each other each time a pair of rotating members rotate by 180 degrees Fastening device.
상기 제 1안치부는 제 1-1안치부 및 제 1-2안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1-1안치부 및 제 1-2안치부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안치부는 제 2-1안치부 및 제 2-2안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2-1안치부 및 제 2-2안치부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 1-1안치부 및 제 1-2안치부의 사이 및 제 2-1안치부 및 제 2-2안치부의 사이에는 커팅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용 프레임을 체결하는 체결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and second anchors may include a first-first anchoring portion and a first-second anchoring portion, wherein the first-first anchoring portion and the first-second anchoring portion are disposed side by side,
The second enclosure includes a second enclosure 1 and a second enclosure 2, wherein the second enclosure 1 and the second compartment 2 are dispos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Wherein a cutt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first-first toothed portion and the first-second to-be-positioned portion, and between the second-type toothed portion and the second to second toothed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2418A KR101766228B1 (en) | 2015-07-20 | 2015-07-20 | Frame for placard and combin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2418A KR101766228B1 (en) | 2015-07-20 | 2015-07-20 | Frame for placard and combin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0591A KR20170010591A (en) | 2017-02-01 |
KR101766228B1 true KR101766228B1 (en) | 2017-08-09 |
Family
ID=58109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2418A KR101766228B1 (en) | 2015-07-20 | 2015-07-20 | Frame for placard and combin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66228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5135Y1 (en) | 2005-03-04 | 2005-05-24 | 이용근 | Fixer for fixing side ends of banner |
KR200388730Y1 (en) * | 2005-04-22 | 2005-07-01 | 양한철 | Placard supporter |
KR200409888Y1 (en) | 2005-12-16 | 2006-03-03 | 양한철 | Placard holder |
JP2013103445A (en) | 2011-11-15 | 2013-05-30 | Nippon Steel & Sumikin Electronics Devices Inc | Cutting device for ceramic green sheet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95594Y1 (en) | 2000-01-21 | 2000-09-01 | 방진철 | Equipment setting placard |
-
2015
- 2015-07-20 KR KR1020150102418A patent/KR10176622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5135Y1 (en) | 2005-03-04 | 2005-05-24 | 이용근 | Fixer for fixing side ends of banner |
KR200388730Y1 (en) * | 2005-04-22 | 2005-07-01 | 양한철 | Placard supporter |
KR200409888Y1 (en) | 2005-12-16 | 2006-03-03 | 양한철 | Placard holder |
JP2013103445A (en) | 2011-11-15 | 2013-05-30 | Nippon Steel & Sumikin Electronics Devices Inc | Cutting device for ceramic green shee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0591A (en) | 2017-0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548315B2 (en) | System for mounting a covering upon a frame | |
JP2018514346A (en) | Drum type washing machine door body and drum type washing machine | |
KR101766228B1 (en) | Frame for placard and combining the same | |
TWI330679B (en) | ||
CN100353885C (en) | Connection structure for connecting member tip parts into mounting holes | |
KR100600066B1 (en) | Frame fastening structure | |
DE102017107780A1 (en) | Holding device and its use as a clamping frame | |
KR101430366B1 (en) | Vinyl fixation pad for vinyl-house | |
JP7027722B2 (en) | Panel device | |
JP6244095B2 (en) | Door frame connection structure | |
CN209908368U (en) | Assembled and disassembled screen structure for door and window | |
JP4504514B2 (en) | Sheet fixing device | |
KR20170127321A (en) | Screw for wood | |
KR102107756B1 (en) | Incorner framework for securing space of form removal and method for installing and dismantling thereof | |
CN204828178U (en) | Blind bolt | |
JP3971446B1 (en) | Fixture with barb | |
US20030188502A1 (en) | Decorative simulated thatch unit | |
KR101376280B1 (en) | Coupling device for sectional partition | |
JP7097955B2 (en) | A method for stretching and formatting a strip of grooved metal into a reticulated sheet structure, as well as a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 |
CN212429429U (en) | Plunger lock structure | |
CN211173123U (en) | Template hole eccentric wheel pressing handle plugging device and template hole eccentric wheel pressing handle plugging device system | |
JP6608718B2 (en) | Fixture structure of fixtures and fixtures | |
CN211396234U (en) | Novel glass fiber suspended ceiling for interior decoration | |
CN201198647Y (en) | glass holder | |
KR20100002342U (en) | Fixture for solid signboar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8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8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