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64309B1 -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 Google Patents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309B1
KR101764309B1 KR1020170029712A KR20170029712A KR101764309B1 KR 101764309 B1 KR101764309 B1 KR 101764309B1 KR 1020170029712 A KR1020170029712 A KR 1020170029712A KR 20170029712 A KR20170029712 A KR 20170029712A KR 101764309 B1 KR101764309 B1 KR 101764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lid
fixed
stirring
natur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지화
Original Assignee
송지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지화 filed Critical 송지화
Priority to KR1020170029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3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30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6Tea infusers, e.g. infusing bags, egg-shaped infu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2Straw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2Mechanically-driven liquid sha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Table Equipmen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컵의 본체;
상기 컵의 본체 개구부 측에 착탈가능하게 덮여지는 덮개;
상기 덮개에 정역방향으로 탄성력을 축적하여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발생수단;
상기 회동발생수단에 연동하여 상기 컵의 본체 내부에서 회동하는 교반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발생수단은,
상기 덮개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일측단이 고정되며 나선상으로 감겨진 스파이럴 스프링;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의 타측단이 내측면에 고정되어 있는 릴;
상기 릴의 외주에 다수회 감겨져 상기 덮개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있는 당김줄;을 포함하는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을 개시한다.
이러한 컵은 천연성분에 갖고 있는 천연향이나 맛을 기본음료에 가미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A cup with means to brew some natural ingredients}
본 발명은 기본 음료에 선호하는 향을 가미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찻잎, 식용꽃이나 건조과일 조각 등(이하 천연물질이라 칭함)에 함유된 천연성분을 기본 음료에 가미하여 차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한 컵에 관한 것이다.
기호식품인 차는 일상생활에서 혼자 있을 때나 상대방과 대화를 나눌 때 등 다양한 장소에서 음용되고 있다.
차를 음용하면서 이야기를 나눌 기회를 갖게 되고 정신적 여유를 갖게 되는 등 차 문화는 문화생활 전반에 좋은 영향을 주고 있다.
현대인은 바쁜 생활속에서 휴식을 취하고 싶어 하는데, 휴식동안에 차를 음용함으로서 휴식의 효능을 높일 수 있으므로 휴식 후에 업무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등 차를 음용하는 것은 일생생활에 좋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커피, 콜라, 주스 등은 대중적 음료로서 널리 음용되고 있지만, 현대인들의 다양한 기호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의 차들이 개발되어 음용되고 있다.
차는 재료에 함유된 천연성분을 추출하여 마시는 형태로 발전되어 왔으며, 이러한 차문화는 다양한 식용 꽃이나 건조과일 등을 우려내거나 추출하여 마실 수 있도록 발전됨으로서 기호식품으로서 음용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차문화가 발전되면서 현대인들은 건강을 생각하게 되었고, 그 결과 건강에 좋은 재료들을 선택하여 그것을 우려내거나 추출하여 차를 마시고 있다.
차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차의 재료를 우려내는 과정이 있는데, 지금까지는 차의 재료를 컵에 담겨 있는 물이나 기타 음료에 담그어 그 재료의 성분이 향과 함께 우러 나오도록 한 후 마시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차를 우리는 방식은 단순히 차의 재료를 컵에 담그어 놓고 일정시간 기다리는 것이므로 차의 재료에 있는 성분이나 향이 완전히 우러 나오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2-0003833호는 "태엽 구동형 로터를 가진 휴대용 컵"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공개실용신안의 휴대용 컵은, 사용자가 컵을 들어 올려서 컵의 하단부에 있는 조작구를 돌려서 태엽을 감는 방식이므로 사용의 불편함이 있다.
게다가 차를 우릴 때에는 차이 재료를 여러번 회전시켜야 재료의 천연성분을 많이 우려 낼 수 있는데, 상기 공개실용신안의 방식은 천연성분을 우려내는데 한계가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개실용신안의 컵은 태엽을 한방향으로만 회전하는 방식이므로 차의 재료에 있는 천연성분을 많이 우려낼 수 없다.
즉, 이러한 방식은 태엽을 탄성복원력을 이용하고 있지만, 태엽을 감은 상태에서 풀림작용이 진행되는 동안에만 교반용 로터를 회전시키는 방식이므로 만족할만한 교반효율을 기대할 수 없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2-0003833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용 천연물질로부터 천연성분을 추출시켜 적은 천연성분의 향을 충분히 가미시킬 수 있는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식적 효과를 부과하여 차를 음용하는 동안에 꽃장식의 아름다운 분위기를 만들 수 있는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컵은, 컵의 본체;
상기 컵의 본체 개구부 측에 착탈가능하게 덮여지는 덮개;
상기 덮개에 정방향 또는 정역방향으로 탄성력을 축적하여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발생수단;
상기 회동발생수단에 연동하여 상기 컵의 본체 내부에서 회동하는 교반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발생수단은,
상기 덮개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일측단이 고정되며 나선상으로 감겨진 스파이럴 스프링;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의 타측단이 내측면에 고정되어 있는 릴;
상기 릴의 외주에 다수회 감겨져 상기 덮개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있는 당김줄;을 포함한다.
상기 교반수단은, 상기 회동발생수단의 당김줄이 감겨져 연동하며 상기 컵 본체의 바닥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제공되는 교반익;을 포함한다.
상기 덮개는 컵 본체에 결합되는 하부덮개와 이 하부덮개에 결합되는 상부덮개로 이루어지며, 상하부 덮개 사이에 상기 회동발생수단이 제공된다.
상기 교반익의 외측에는 보호망이 제공되며, 상기 교반익은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고정단 교반익과 이 고정단 교반익으로부터 연장되는 자유단 교반익을 포함한다.
상기 교반익은, 상기 회전축에 나선상으로 형성되거나 반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축에 고정된다.
컵의 본체 내측면에는 스트로우 사용시 꽃잎과 같은 천연재료가 스트로우 구멍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가 착탈가능하게 제공된다.
상기 덮개에는 꽃꽂이 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꽃꽂이 수단은, 꽃을 꽂기 위한 공간과, 이 공간 주위로 형성되는 열방출구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에는 꽃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가 설치되는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이다.
상기 컵은 투명재질의 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이루어지는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은, 스파이럴 스프링의 감김력과 풀림력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2개의 방향으로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서 회전축에 제공된 교반익을 통하여 컵 본체에 담겨진 천연물질이 갖고 있는 천연성분을 가능한 많이 우려낼 수 있으므로 차의 맛을 한층 깊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기호에 따라 컵에 꽃을 꽂아 놓을 수 있으므로 차를 음미하는 분위기를 한층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차를 다 마신 후에는, 본체에 물을 담고 꽃을 꽂는 통의 밑부분을 절단하여 그곳에 꽃을 꽂게 되면 화병으로 대용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의 다른 각도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의 회동발생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의 회동발생수단의 분리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의 회동발생수단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꽃꽂이 수단의 반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꽃꽂이 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로우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익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명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방안들 중에서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예를 설명하는 것일 뿐, 이 실시 예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부" 또는 "...수단"이라고 지칭하는 구성요소는 특정한 작동이나 기능을 위하여 결합되어 있는 다수개의 구성요소들의 집합체를 의미하며, "...를 포함한다."라는 의미는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 부호는 작동의 설명이 필요치 않은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생략을 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통하여 이해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컵은 일반적으로 액체 음료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상측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덮여지는 덮개(4)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체(2)와 덮개(4)를 구비한 컵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테이크 아웃 컵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덮개(4)는 도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의 개구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걸림턱(6)에 결합되는 걸림홈(8)을 형성하므로서 이들 걸림턱(6)에 걸림홈(8)이 결합되는 구조이다. 상기 덮개(4)의 결합구조는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덮개(4)에는 교반익(10)이 회전축(12)을 포함하는 교반수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덮개(4)는 컵의 본체(2)의 개구부 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측덮개(4a)와 이 하측덮개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덮개(4b)를 포함한다.
상기 하측덮개(4a)와 상측덮개(4b)의 결합도 상기 덮개(4)와 본체(2)의 결합구조인 걸림턱과 걸림홈을 형성하는 것으로 실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반수단의 교반익(10)은 상기 회전축(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되는 고정단 교반익(14)과, 이 고정 교반익(14)의 상하단부에 외측방향으로 굽힘되어 연장된 자유단 교반익(16)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회전축(12)은 상기 하측덮개(4a)를 관통하여 돌출하고 있는 상단부(18)와, 상기 본체(2)의 내부 바닥면에 회동가능하게 제공되는 하단부(20)를 갖는다.
상기 하단부(20)에는 걸림돌기(22)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2)의 바닥면에 형성된 홈부(24)에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축(12)의 상단부(18)가 관통되어 있는 하측덮개(4a)에는 회동발생수단(26)이 제공되어, 상기 회전축(12)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동발생수단(26)은 상기 하측덮개(4a)에 하측단부가 고정되어 돌출되어 있는 고정부재(28)와, 상기 고정부재(28)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릴(reel)(30)과, 상기 릴(30)의 내측 공간부에 제공되는 스파이럴 스프링(spiral spring)(3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용하는 스파이럴 스프링은 나선상으로 다수회 감겨진 태엽의 구조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릴(30)은 하판(34)과, 이 하판(34)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독립적으로 만들어져 결합되는 실린더(36)와, 상기 실린더(36)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판(38)을 포함한다.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32)은 내측단에 고정부재(40)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고정부재(40)는 상기 덮개(4)에 고정된 고정부재(28)와 억지끼움결합으로 고정된다.
또한 스파이럴 스프링(32)의 외측단은 상기 실린더(36)의 내측단에 형성된 포켓(42)에 고정되어 실린더(36)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스파이럴 스프링은 감기거나 풀리게 된다.
상기 상판(38)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돌기(44)를 만들어 실린더(36)의 결합돌기(46)와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실린더(36)의 외주에는 당김줄(48)의 일측단이 고정된 상태로 다수회 감긴상태이며, 이 당김줄(48)의 타측단은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연장된다.
상기 고정부재(28)는 상기 덮개(4)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으며, 이 고정부재(28)에 설치되는 상기 릴(30)에 감겨진 당김줄(48)은 본체(2)의 중심에 위치하는 회전축(12)의 상단부(18)에 1회 또는 2회 정도 감겨진 후 덮개(4)의 외측으로 인출된 상태가 된다.
상기 회동발생수단(26)은 정역방향으로 2방향 모두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당김줄(48)이 회전축(12)에 2회이상 감겨지는데, 당김줄(48)이 회전축(12)에 1회 감기는 경우에는 한방향으로만 회동이 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2)의 상단부(18)에는 당김줄(48)이 감겨지는 부위에 부싱(5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덮개(4)에는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꽃꽂이 수단(52)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꽃꽂이수단(52)은 상기 하측덮개(4a)에 뚫려진 구멍(53)에 제공된다.
상기 본 실시예에 따른 꽃꽂이 수단(52)은 도 8,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꽂을 꽂기 위한 공간(54)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공간(54)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열방출구(56)들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 열방출구(56)들은 상기 공간(54)에 꽂아진 꽃이 차의 열기에 의해 신선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열방출구(56)은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본체(2)에 담겨진 차로부터 전달되는 뜨거운 열기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상측덮개(4b)에는 상기 하측덮개(4a)에 뚫려진 구멍(53)과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58)이 뚫려져 이 구멍(58)을 통하여 꽃이나 기타 장식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식물들을 꽂아 놓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구멍(58)을 통하여 꽂아지는 꽃대는 상기 꽃꽂이 수단(52)으로 삽입되어 그곳에 위치하게 되고, 꽃 부분이나 식물의 윗부분은 상기 상측덮개(4b)의 위쪽으로 위치토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꽃이 꽂아지거나 식물류가 꽂아진 경우에 꽃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호커버(60)를 상기 상측덮개(4b)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보호커버(60)도 다른 구성요소와 같이 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상기 상측덮개(4b)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판의 측면에 홈(62)을 형성하여 이 홈으로 보호커버의 밑부분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하측덮개 및 상측덮개(4a)(4b)에는 스트로우(S)를 삽입할 수 있는 구멍(H)을 뚫어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음료를 먹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컵은 차를 우려내어 마시기 위한 컵이므로 실질적으로 컵에는 차의 재료가 넣어지게 될 것이다. 이 경우 스트로우의 구멍이 막힐 염려가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64)를 이용하여 스트로우(S)를 덮도록 하고 있다.
상기 커버(64)에는 다수개의 구멍들이 뚫려져 커버 내측으로 음료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커버(64)는 컵의 본체(2) 내측면에 고정설치하기 위하여 본체 내측면에 1쌍의 레일(66)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커버(64)는 개구부 측에 결합돌기(68)를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상태로 만들어서 상기 1쌍의 레일(66)들 사이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레일(66)에는 상기 결합돌기(68)와 반대로 내측을 형하여 돌출하는 결합돌기(70)를 형성하여 이들 결합돌기(68)(70)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커버(64)를 고정한다 이 커버의 고정구조는 물론 다른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회전축(12)과 함께 회전하는 교반익(10)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선형으로 할수도 있고,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원통형상의 교반익(10)들이 회전축(12) 주위에 고정되는 형상으로 만들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12)의 주위에는 보호망(72)을 위치시켜 차의 재료가 교반익(10)에 감기거나 하여 원활한 작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보호망(72)은 아이스 음료의 경우 음료수에 혼합된 얼음조각이 교반익(10)들의 원활한 회전을 방해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보호망(72)은 도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컵의 본체(2) 내측 바닥면에 걸림돌기(74)들을 만들어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은, 식품위생상 안전한 Polyethylene terephthalate 제의 투명한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지며, 잘 알려진 3D 프린팅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Polypropylene 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본체(2)에 음료를 넣고, 이 음료속에 찻잎, 식용꽃이나 건조과일 조각 등(이하 천연물질이라 칭함)을 기호에 따라 넣은 다음, 덮개(4)를 닫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음료는 뜨거운 음료이거나 차 음료일 수 있으나, 뜨거운 음료일수록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실현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이와 같이 천연물질이 음료속에 담긴 상태에서 덮개(4)의 외측으로 인출된 당김줄(48)을 잡아 당기게 되면 이 당김줄이 상기 회동발생수단(26)의 릴(30)에 감겨있는 상태이므로 릴(30)이 회동을 시작하게 되면서 이 릴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스파이럴 스프링(32)도 릴의 회전방향으로 감겨지게 된다.
즉 도5, 도6,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32)은 외측단부가 릴(30)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는 포켓고정부재(42)에 고정되고, 스파이럴 스프링(32)의 내측단부는 고정부재(28)에 고정된 고정부재(4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스파이럴 스프링(32)은 탄성력을 충전되는 상태로 감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 당김줄(48)은 회전축(12)에 감겨진 상태이므로 상기 스프이럴 스프링(32)의 감김과 동시에 회전축(12)은 회전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당기고 있던 당김줄(48)을 놓게 되면, 스파이럴 스프링(32)이 탄성력을 축적한 상태로 감겨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스파이럴 스프링(32)의 복원력에 풀리면서 상기 릴(30)을 당김줄을 당겼을 때 회전하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릴(30)에서 풀려나온 당김줄(48)은 릴(30)에 감겨지게 되는데, 이때 당김줄(48)이 감겨있는 회전축(12)은 사용자가 당김줄(48)을 당길 때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결국 본 상기 당김줄(48)을 당길때 회전축(1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였다면, 당김줄(48)을 놓은 상태에서는 회전축(12)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12)에 제공된 교반익(10)이 정역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천연물질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천연물질에 포함된 천연의 향 등이 음료수에 우러나게 된다.
그리고 덮개(4)에 제공된 꽃꽂이수단(52)에 꽃을 꽂고, 보호커버(60)를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하게 되면 차를 음용하는 분위기를 좋게할 수 있다.
이때 스트로우(S)를 꽂아서 차를 음미할 수 있고, 기호에 따 직접 사용자가 마실수도 있다.
차를 다 마신 후에는, 컵의 본체(2)에 물을 담고, 상기 꽃꽂이 수단(52)을 빼내어 밑부분을 절단한 후 다시 설치하게 되면 화분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2; 본체
4; 덮개
6; 걸림턱
8; 걸림홀
10; 교반익
12; 회전축
14; 고정단 교반익
16; 자유단 교반익
18; 상단부
20; 하단부
22; 걸림돌기
24; 홈부
26; 회동발생수단
28; 고정부재
30; 릴
34; 하판
36; 실린더
38; 상판
40;고정부재

Claims (12)

  1. 컵의 본체;
    상기 컵의 본체 개구부 측에 착탈가능하게 덮여지는 덮개;
    상기 덮개에 정방향 또는 정역방향으로 탄성력을 축적하여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발생수단;
    상기 회동발생수단에 연동하여 상기 컵의 본체 내부에서 회동하는 교반익을 구비한 회전축을 갖는 교반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발생수단은,
    상기 덮개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일측단이 고정되며 나선상으로 감겨진 스파이럴 스프링;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의 타측단이 내측면에 고정되어 있는 릴;
    상기 릴의 외주에 다수회 감겨져 연장되면서 상기 회전축에 적어도 1회 이상 권선되면서 상기 덮개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있는 당김줄;을 포함하는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반수단은, 상기 회동발생수단의 당김줄이 감겨져 연동하며 상기 컵 본체의 바닥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제공되는 교반익;을 포함하는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컵 본체에 결합되는 하부덮개와 이 하부덮개에 결합되는 상부덮개로 이루어지며, 상하부 덮개 사이에 상기 회동발생수단이 제공되는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교반익의 외측에는 보호망이 제공되는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교반익은,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고정단 교반익과 이 고정단 교반익으로부터 연장되는 자유단 교반익을 포함하는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교반익은, 상기 회전축에 나선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교반익은, 반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컵의 본체 내측면에는 스트로우 사용시 천연채료가 스트로우 구멍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가 착탈가능하게 제공되는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는 꽃꽂이 수단이 제공되는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꽃꽂이 수단은, 꽃을 꽂기 위한 공간과, 이 공간 주위로 형성되는 열방출구들로 이루어지는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는 꽃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가 설치되는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컵은 투명재질의 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Polypropylene로 이루어지는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KR1020170029712A 2017-03-08 2017-03-08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Expired - Fee Related KR101764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712A KR101764309B1 (ko) 2017-03-08 2017-03-08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712A KR101764309B1 (ko) 2017-03-08 2017-03-08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4309B1 true KR101764309B1 (ko) 2017-08-02

Family

ID=59651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712A Expired - Fee Related KR101764309B1 (ko) 2017-03-08 2017-03-08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43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57346A (zh) * 2020-09-08 2020-12-11 可优比母婴用品有限公司 一种自转奶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6572A (ja) 2002-06-18 2004-01-22 Yufoosu:Kk 手動食品加工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6572A (ja) 2002-06-18 2004-01-22 Yufoosu:Kk 手動食品加工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57346A (zh) * 2020-09-08 2020-12-11 可优比母婴用品有限公司 一种自转奶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69725A1 (en) Drink cup
US3692536A (en) Food packet
US7337705B1 (en) Press and sip device
CA3060657A1 (en) Cartridge, assembly and cup for preparing loose leaf tea and method of preparing tea
KR101378808B1 (ko) 친환경 종이추출용기
US10000319B2 (en) Sealable drinking container with air-extracting mechanism for oxygenation suppression
US20040222147A1 (en) Flat-foldable filter funnel
KR101828449B1 (ko) 음료용 컵
KR101764309B1 (ko)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EP3196134A1 (en) A sealable drinking container with air-extracting mechanism for oxygenation suppression
JP2005224261A (ja) 飲用具
KR101828450B1 (ko)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KR102126633B1 (ko) 대상물의 개별 내장 및 추출이 허용되는 선택 조절형 병 구조체
KR200482067Y1 (ko) 멀티형 핸드 커피드립기
US20050244548A1 (en) Food container for improving appetite
TWI695798B (zh) 水瓶
US10624487B2 (en) Anti-overflow brewing filter and spiral hanging-ear structure coupled thereto
KR101571505B1 (ko) 티백이 내장되어 있는 물병
JP2005538911A (ja) 容器
KR200485984Y1 (ko) 조절이 용이한 더치 커피 메이커
KR101499633B1 (ko) 티백 타이머
KR200480810Y1 (ko) 드립식 음료추출용기
US20150023125A1 (en) Multifunctional Tea Bag Holder/Stirrer
TWM555836U (zh) 水瓶
KR20130073058A (ko) 컵에 장착하는 케익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7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7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