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63870B1 - 자체 발열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체 발열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870B1
KR101763870B1 KR1020110114240A KR20110114240A KR101763870B1 KR 101763870 B1 KR101763870 B1 KR 101763870B1 KR 1020110114240 A KR1020110114240 A KR 1020110114240A KR 20110114240 A KR20110114240 A KR 20110114240A KR 101763870 B1 KR101763870 B1 KR 101763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itioning composition
polyethylene glycol
hair
weight
self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4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9305A (ko
Inventor
조인식
구형서
김우정
조시형
고은주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110114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870B1/ko
Publication of KR20130049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9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87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체 발열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600 이하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진 폴리에틸렌 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제1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600을 초과한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진 폴리에틸렌 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제2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자체 발열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은 발열효과가 우수하면서 손상된 모발에 건조후 우수한 부드러움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체 발열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Self-exothermic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자체 발열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모발은 두피 보호라는 단순 기능에서 출발하여 미와 개성 표현의 수단으로 발전해 왔다. 이에 따라 현대인들은 미와 개성을 위한 잦은 화학적 시술뿐만 아니라 대기오염 등의 환경적 요인 등의 다양한 원인들에 따라 모발을 손상시키는 결과를 야기하였다. 손상된 모발은 젖었을 때 혹은 말랐을 때, 엉김이 심하고 뻣뻣하며 빗질이 잘 안 되는 등 다루기 힘들고 윤기가 떨어져 보기에 좋지 않은 외관을 나타낸다. 따라서 모발의 외관과 촉감을 향상시키고 다루기 쉽게 해주는 컨디셔닝이 좋은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와 선호도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 6,274,128 B1에서는 자체 발열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로 발열성분으로는 물분자 보다 큰 직경의 미공성 물질을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미공성 물질은 사용시의 텁텁함을 유발하고 안정성이 좋지 않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 등록 특허 제 10-0743825호에서는 비수계 컨디셔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폴리올, 저급알코올, 증점제, 고급알코올, 실리콘 등을 함유하고 있으나, 사용 전 수계 컨디셔너와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며 모발의 윤기가 부족하고 발열감이 약한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열효과가 우수하여 모발 컨디셔닝 향상에 도움을 주고, 사용성이 편리한 자체 발열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상은,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고, 중량 평균 분자량 600 이하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제1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고, 중량 평균 분자량 600을 초과한 폴리에틸렌 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제2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자체 발열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86874964-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4 내지 800이다.)
상기 제1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컨디셔닝 조성물에 대해 40 내지 90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제2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컨디셔닝 조성물에 대해 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자체 발열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트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 탄소수 12 내지 22의 알코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급 알코올; 4급 암모늄염 및 3급 아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실리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7055766539-pat00006
삭제
본 발명의 자체 발열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은 발열효과가 우수하여 모발 컨디셔닝 향상에 도움을 줄뿐 아니라 사용성이 편리하며 손상된 모발에서의 건조 후 부드러움이 특히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자체 발열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조성물은 트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 계면활성제 및 실리콘을 더 포함한다.
(1) 폴리에틸렌 글리콜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서로 분자량이 상이한 제1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제2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혼합하여 상기 자체 발열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사용되고, 단독으로 사용될 때보다 우수한 발열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86874964-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4 내지 800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상기의 화학식 1에서 n이 4 내지 12이고, 600 이하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진 폴리에틸렌 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다. 상기 제1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상기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대해 40 내지 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하기의 화학식 1에서 n이 13 내지 800이고, 600을 초과한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진 폴리에틸렌 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다. 상기 제2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상기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대해 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이다.
상기 제1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제2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조성물의 발열감 증감 효과가 미미하여 모발에 컨디셔닝 향상 효과를 얻는데 어려움이 있고, 사용감 등이 낮아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2) 트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
상기 트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은 하기의 화학식 2로 표시된다.
[화학식 2]
Figure 112017055766539-pat00007
상기 트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은 모발 및 피부 컨디셔닝 물질로 사용하거나 점증제로 사용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모발 도포시 컨디셔닝감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트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은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대해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트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점도 조절에 대한 효과를 얻기가 어렵고, 5 중량% 초과하면 끈적이는 느낌이 강하여 사용감 등이 나빠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3) 계면활성제
상기 계면활성제는 모발의 컨디셔닝 물질 및 대전방지제 물질로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트리세틸암모늄염,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4급 암모늄염 및 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디메칠아민, 이소스테아라미도프로필모폴린락테이트 등과 같은 3급 아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양이온 계면활성제이다.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대해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대전 방지 효과를 얻기가 어렵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사용감이 나빠지거나 또는 제품의 안정성이 불량해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로서 3급 아민 화합물을 사용할 경우, 이를 중화시키기 위해 중화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화산으로는 글루타믹산, 아스파틱산, 구연산, 및 아세트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다.
(4) 고급알코올
상기 고급알코올은 탄소수 12 내지 22의 고급 알코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다. 상기 고급알코올은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대해 0.1 내지 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급알코올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제형이 뻑뻑해져 용기에서 잘 토출되지 않거나 사용감과 정발감이 나빠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5) 실리콘
상기 실리콘은 디메치콘, 디메치콘올,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페닐트리메치콘, 실리콘 코폴리올, 아모디메치콘 및 실리콘 쿼터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다. 상기 실리콘의 함량은 자체 발열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대해 0.01 내지 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기본적 물성 및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당해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비이온 계면활성제, 보습제, 지방물질, 습윤물질, 향료, 방부제, 비타민, 단백질 등과 같이 두발 화장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발열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하여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에 대해 0.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 중량%이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와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폴리에틸렌 글리콜-8(중량 평균 분자량:400), 폴리에틸렌 글리콜-220(중량 평균 분자량:10,000), 트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 이소스테아라미도프로필모폴린락테이트, 스테아릴알코올, 디메치콘올, 구연산을 교반하면서 혼합하고 65℃로 가온하였다. 40℃로 냉각한 다음 향료를 투입하고 교반시켜 자체 발열 컨디셔닝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 성 성 분
(단위: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폴리에틸렌 글리콜-8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폴리에틸렌 글리콜-220 5.0 10.0 25.0 5.0 5.0 -
트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 1.0 5.0 1.0 6.0 1.0 1.0
이소스테아라미도프로필모폴린 락테이트 2.0 10.0 2.0 2.0 15.0 2.0
스테아릴알코올 4.0 4.0 4.0 4.0 4.0 4.0
디메치콘올 1.0 1.0 1.0 1.0 1.0 1.0
구연산 0.5 0.5 0.5 0.5 0.5 0.5
향료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 실험예 1> 사용 편리성 및 사용감 평가
20~40대의 여성 100명을 선정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을 포함한 제품을 2일에 1회씩 2주간 사용하게 한 뒤, 하기의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1: 매우나쁨, 2: 나쁨, 3: 보통, 4: 좋음, 5: 매우좋음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사용 편리성 4.2 4.0 3.2 3.1 3.5 3.4
도포 시 마사지감 4.3 3.9 3.4 2.8 3.2 3.5
사용 시 온열감 4.1 3.8 1.5 3.8 3.7 2.5
헹굼 시 부드러움 4.2 3.8 2.8 2.7 2.7 2.8
건조 후 부드러움 4.0 3.7 2.7 3.4 3.5 3.4
건조 후 윤기 4.2 3.7 2.5 3.0 3.0 3.0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2는 온열감 및 도포시 마사지감 등이 비교예 1에 비해 우수하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특히, 폴리에틸렌 글리콜-220의 함량이 초과된 실시예 3은 온열감 및 건조 후 부드러움에 대한 평가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실시예 4 및 실시예 5는 온열감은 우수하나 사용편리성 및 모발에 부드러움을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2> 발열량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품들의 발열량을 평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모발용 컨디셔너를 사용하는 방법과 같이 물과 50:50으로 혼합한 후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의 온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결과를 나타내었다.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혼합 전 온도(℃) 25 25 25 25 25 25
혼합 후 온도(℃) 45 42 28 43 39 33
상승 온도(℃) 20 17 3 18 14 8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에 비해 실시예 1 내지 2, 실시예 4 및 실시예 5의 온도 상승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온도 상승폭이 큰 것은 분자량 600을 초과한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적절한 혼합에 의해 발열량 상승을 유도되는 것을 보여준다.
< 실험예 3> 빗질감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품들의 컨디셔닝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인스트론(Universal Test Machine, Instron Model 4465 Test System)을 이용하여 건조된 모발에 대한 빗질감 평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미국의 De-Meo Brothers 社로부터 구입한 아시아 여성의 정상모(virgin hair)로 모발 다발(hair tress)을 만든 다음 10 % SLS(Sodium Laureth Sulfate) 수용액으로 세척한 후 충분한 물로 헹구고 타올과 드라이어로 완전히 건조 시킨 후 항온항습실에서 2시간 방치 한 다음 모발 다발을 인스트론의 로드 셀 고리에 걸고 빗을 지그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다음 인스트론을 작동시켜 빗질할 때 걸리는 로드값을 측정하였다.
테스트를 마친 모발 다발에 동일한 샴푸 1 g 도포 후 30 초간 헹구어 낸 후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 의 조성물을 모발다발에 1 g 도포 후 30 초간 헹구어 낸 후 전술한 방법으로 빗질감 평가를 실시하였다. 모발 다발은 각 조성물에 대해 3 개 이상 준비하고, 각 항목에 대해 3회 이상 테스트하여 로드값의 평균을 산출한 다음, 상기 조성물의 미처리한 후의 평균 로드값에 대한 처리한 후의 평균 로드값의 감소율로 빗질감의 우세함을 평가하였다.
평가 조건은 모발 다발의 무게는 10 g, 길이는 20 cm 로 하고, 빗의 상태는 실린더형의 무광택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빗살로, 빗살 직경은 1 mm, 빗살 사이의 간격은 1 mm인 빗으로 하였다. 인스트론의 크로스 헤드 스피드(Cross head speed)는 500.00 mm/min.로 하고, 로드 셀(Load Cell)은 10.0 kg/Limit Type, 이동거리(Displacement)는 200.00 mm 로 하였다.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 대한 조성물의 미처리/처리 후의 평균 로드값의 변화율을 백분율(%)로 비교 평가한 후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항 목
(단위: %)
실시예 1 실시예 3 비교예 1
평균 로드값 감소율 -56 -30 -33
마이너스(-) 값이 클수록 빗질감이 양호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표 4의 테스트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1이 비교예 1의 조성물에 비해 컨디셔닝 효과가 우세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은 폴리에틸렌 글리콜-220의 함량이 초과된 조성물로서 실시예 1에 비해 낮은 로드값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체 발열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은 발열감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사용성이 편리하고 건조 후 우수한 부드러움과 윤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고, 중량 평균 분자량 600 이하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제1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고, 중량 평균 분자량 600을 초과한 폴리에틸렌 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제2 폴리에틸렌 글리콜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발열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1086874964-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4 내지 800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컨디셔닝 조성물에 대해 40 내지 9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발열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컨디셔닝 조성물에 대해 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발열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 발열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트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
    4급 암모늄염 및 3급 아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양이온 계면활성제;
    탄소수 12 내지 22의 알코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급 알코올 및
    실리콘을 더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발열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17055766539-pat00008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은 컨디셔닝 조성물에 대해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발열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컨디셔닝 조성물에 대해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발열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가 12 내지 22인 고급 알코올은 컨디셔닝 조성물에 대해 0.1 내지 25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발열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은 컨디셔닝 조성물에 대해 0.01 내지 25 중량%로 포함되고, 디메치콘, 디메치콘올,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페닐트리메치콘, 실리콘 코폴리올, 아모디메치콘 및 실리콘 쿼터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발열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
KR1020110114240A 2011-11-04 2011-11-04 자체 발열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 Active KR101763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240A KR101763870B1 (ko) 2011-11-04 2011-11-04 자체 발열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240A KR101763870B1 (ko) 2011-11-04 2011-11-04 자체 발열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305A KR20130049305A (ko) 2013-05-14
KR101763870B1 true KR101763870B1 (ko) 2017-08-02

Family

ID=48660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4240A Active KR101763870B1 (ko) 2011-11-04 2011-11-04 자체 발열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8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4249B1 (ko) 2018-02-28 2024-07-11 (주)아모레퍼시픽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WO2022232212A1 (en) * 2021-04-29 2022-11-03 L'oreal Hair compositions comprising at least 50% polyol
KR20240159720A (ko) 2023-04-27 2024-11-06 임재중 온감제를 함유하는 두피샴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8314A (ja) * 2000-09-08 2004-03-18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ヘアケア組成物を温めるためのヘアケアキット及び加熱装置
JP2009137898A (ja) * 2007-12-07 2009-06-25 Lion Corp 毛髪化粧料
US20110135587A1 (en) 2008-08-08 2011-06-09 Shiseido Company, Ltd.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US20110165110A1 (en) 2009-02-03 2011-07-07 Shiseido Company, Ltd.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And Low Energy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4754151B2 (ja) 2000-05-30 2011-08-24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シリコーン類及び縮れ毛制御剤を含むヘアーコンディショニング組成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4151B2 (ja) 2000-05-30 2011-08-24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シリコーン類及び縮れ毛制御剤を含むヘアーコンディショニング組成物
JP2004508314A (ja) * 2000-09-08 2004-03-18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ヘアケア組成物を温めるためのヘアケアキット及び加熱装置
JP2009137898A (ja) * 2007-12-07 2009-06-25 Lion Corp 毛髪化粧料
US20110135587A1 (en) 2008-08-08 2011-06-09 Shiseido Company, Ltd.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US20110165110A1 (en) 2009-02-03 2011-07-07 Shiseido Company, Ltd.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And Low Energy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305A (ko) 2013-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7110B2 (en) Translucent gel system
KR102360719B1 (ko) 모발의 건조 시간 단축 및 부드러움 개선을 위한 조성물
CN102770116A (zh) 毛发形状调整用组合物
WO2016006529A1 (ja) 毛髪処理剤
KR101763870B1 (ko) 자체 발열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
CN109640944A (zh) 含有玫瑰果油的头发护理用头发组合物及其用途
JP6732740B2 (ja) 毛髪ボリュームを改善する方法
KR20180058315A (ko)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6393A (ko) 모발 염색용 컨디셔너 조성물
KR101441025B1 (ko)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CN112912052B (zh) 毛发处理组合物
KR20200127140A (ko)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101267579B1 (ko) 모발 화장료
JP4587094B2 (ja) 毛髪硬化処理剤
KR20160120537A (ko) 모발 세정제조성물
KR102174126B1 (ko)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101753155B1 (ko) 리브온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KR100691094B1 (ko) 투명한 비수계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KR102533186B1 (ko) 리브-인 컨디셔너 조성물
KR102806596B1 (ko)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
KR101351470B1 (ko) 클림바졸을 함유한 비듬 방지용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KR100743825B1 (ko) 비수계 컨디셔너 조성물
JP6718705B2 (ja) 毛髪化粧料
JP6718706B2 (ja) 毛髪化粧料
KR101800329B1 (ko) 투명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2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1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4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7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7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