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699B1 - Carbon dioxide operating system - Google Patents
Carbon dioxide operating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63699B1 KR101763699B1 KR1020150127578A KR20150127578A KR101763699B1 KR 101763699 B1 KR101763699 B1 KR 101763699B1 KR 1020150127578 A KR1020150127578 A KR 1020150127578A KR 20150127578 A KR20150127578 A KR 20150127578A KR 101763699 B1 KR101763699 B1 KR 1017636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bon dioxide
- gas
- liquefied carbon
- storage tank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pressuris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17C7/02—Discharging liquefied gas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37—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cooling
- F17C2227/0341—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cooling using another flui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1—Purifying the fluid
- F17C2265/015—Purifying the fluid by separating
- F17C2265/017—Purifying the fluid by separating different phases of a same flui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3—Treating the boil-off
- F17C2265/032—Treating the boil-off by recovery
- F17C2265/033—Treating the boil-off by recovery with coo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3—Treating the boil-off
- F17C2265/032—Treating the boil-off by recovery
- F17C2265/037—Treating the boil-off by recovery with pressuris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18—Offshore
- F17C2270/0128—Storage in dep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이산화탄소 운용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운용시스템은 액화이산화탄소 및 액화이산화탄소의 증발가스를 저장하는 저장탱크; 저장탱크로부터 액화이산화탄소를 공급받아 수요처의 조건에 따라 온도 및 압력을 변환시키는 처리부; 및 하이드레이트 억제제를 처리부와 수요처를 연결하는 액화이산화탄소 공급라인으로 공급하는 하이드레이트 억제부;를 포함한다.Discloses a carbon dioxide operating system. A carbon dioxide op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tank for storing evaporative gas of liquefied carbon dioxide and liquefied carbon dioxide; A processor for supplying liquefied carbon dioxide from a storage tank and converting temperature and pressure according to conditions of a customer; And a hydrate inhibitor for supplying the hydrate inhibitor to a liquefied carbon dioxide supply line connecting the treatment part and the consum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운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bon dioxide operating system.
이산화탄소는 지구 온난화 가스 중 대략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제철소, 화력발전소 등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해저 저장소 등에 격리시켜 저장함으로써 대기 방출을 줄이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Carbon dioxide accounts for about 70% of the global warming gas, and technologies for reducing atmospheric emissions are being developed by collecting carbon dioxide from steelworks, thermal power plants, etc. and storing it in a seabed storage.
이산화탄소는 액화된 상태로 선박에 의해 수송될 수 있으며, 액화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선박의 저장탱크 내부에는 외부 열 등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한 액화이산화탄소의 증발가스가 액상의 이산화탄소와 함께 존재한다. 이산화탄소가 액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삼중점(-56.6℃에서 5.18bar) 이상, 초임계(31.1℃, 74.8bar) 이하가 유지되어야 한다.Carbon dioxide can be transported by the ship in a liquefied state. In the storage tank of the ship storing the liquefied carbon dioxide, evaporative gas of liquefied carbon dioxide caused by external heat or the like is present together with liquid carbon dioxide. In order to maintain the carbon dioxide in the liquid phase, it is usually required to maintain at least the triple point (5.16 bar at -56.6 캜) and supercritical (31.1 캜, 74.8 bar).
이러한 특성을 갖는 액화이산화탄소를 저장소까지 수송하기 위해서는 선박 정박 중에 저장탱크에 액화된 이산화탄소를 선적하고, 선적한 액화이산화탄소를 해저 저장소로 이동시키고, 해저 저장소에 액화이산화탄소를 공급하기까지 이산화탄소의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운용이 이루어져야 한다.In order to transport liquefied carbon dioxide with these characteristics to storage, liquefied carbon dioxide is transported to a storage tank during the berth of anchorage, the shipped liquefied carbon dioxide is transferred to the bottom stora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carbon dioxide Efficient operation should be done.
예컨대, 액화이산화탄소를 하역하는 과정 및 하역 이후의 과정에서, 낮은 해저 수온 등 외부 조건으로 인해 저장탱크와 해저 저장소를 연결하는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액화이산화탄소에 하이드레이트(Hydrate)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process of unloading liquefied carbon dioxide and after the unloading, hydrate phenomenon may occur in the liquefied carbon dioxide supplied through the supply line connecting the storage tank and the seabed storage due to external conditions such as low seabed temperature.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68827호(2010.06.24. 공개)는 이산화탄소 및 다른 화물을 동시에 선적할 수 있는 개념특허가 출원되었으나, 상술한 문제점 해소 및 이산화탄소의 효과적인 운용을 위한 구체적인 구성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0068827 (published on Jun. 24, 2010) filed a concept patent for simultaneously loading carbon dioxide and other cargoes, but a detailed configuration for effectively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effective operation of carbon dioxide is presented I can no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액화이산화탄소 하역 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하이드레이트 현상을 방지하고, 효율적인 이산화탄소 운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산화탄소 운용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bon dioxide operation system that prevents the hydrate phenomenon that may occur during the liquefied carbon dioxide unloading process and enables efficient carbon dioxide opera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화이산화탄소 및 상기 액화이산화탄소의 증발가스를 저장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액화이산화탄소를 공급받아 수요처의 조건에 따라 온도 및 압력을 변환시키는 처리부; 및 하이드레이트 억제제를 상기 처리부와 상기 수요처를 연결하는 액화이산화탄소 공급라인으로 공급하는 하이드레이트 억제부;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운용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orage tank for storing liquefied carbon dioxide and a vaporized gas of the liquefied carbon dioxide; A processing unit that receives liquefied carbon dioxide from the storage tank and converts temperature and pressure according to conditions of a customer; And a hydrate suppression unit for supplying the hydrate inhibitor to the liquefied carbon dioxide supply line connecting the treatment unit and the consumer.
불활성가스를 생성하는 불활성가스장치와,An inert gas device for generating an inert gas,
상기 하이드레이트 억제부의 내부 압력 유지를 위해 상기 불활성가스를 상기 하이드레이트 억제부로 공급하는 제1하이드레이트 억제부 압력유지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first hydrate suppressing unit pressure maintaining line for supplying the inert gas to the hydrate suppressing unit to mainta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hydrate suppressing unit.
공기를 압축 공급하는 공기압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불활성가스장치는 상기 공기압축부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로부터 상기 불활성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The inert gas device may generate the inert gas from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compressing unit.
상기 하이드레이트 억제부의 내부 압력 유지를 위해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상기 하이드레이트 억제부로 상기 액화이산화탄소의 증발가스를 공급하는 제2하이드레이트 억제부 압력유지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econd hydrate suppressing portion pressure maintaining line for supplying the evaporated gas of the liquefied carbon dioxide from the storage tank to the hydrate suppressing portion to mainta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hydrate suppressing portion.
상기 처리부는 상기 처리부는 상기 액화이산화탄소와 열매체 간 1차 열교환을 수행하는 1차열교환부와, 상기 1차 열교환이 수행된 액화이산화탄소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된 액화이산화탄소와 열매체 간 2차 열교환을 수행하는 2차열교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processing unit includes a primary heat exchange unit that performs primary heat exchange between the liquefied carbon dioxide and the heating medium, a pressurizing unit that pressurizes the liquefied carbon dioxide subjected to the primary heat exchange, and a secondary pressurizing unit that pressurizes the liquefied carbon dioxide and the heating medium, And a secondary heat exchanger for performing heat exchange.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된 상기 증발가스를 재액화시키는 재액화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재액화부는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받은 액화이산화탄소의 증발가스를 압축시키는 제1압축기와, 상기 압축된 증발가스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와, 상기 냉각장치에서 생성된 기체성분을 공급받아 압축시키는 제2압축기와, 상기 압축된 기체성분과 열매체 간 열교환을 수행하여 상기 기체성분을 액화시키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거친 유체를 액체성분과 기체성분으로 분리시키는 기액분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된 액체성분과 기체성분 중 일부는 상기 냉각장치로 공급될 수 있다.And a re-liquefaction unit for re-liquefying the evaporation gas supplied from the storage tank, wherein the re-liquefaction unit comprises: a first compressor for compressing evaporative gas of liquefied carbon dioxide supplied from the storage tank; A second compressor for receiving and compressing the gas component generated in the cooling device; a heat exchanger for performing heat exchange between the compressed gas component and the heat medium to liquefy the gas component; And a gas-liquid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separated liquid component and the gaseous component, and a part of the separated liquid component and the gaseous component can be supplied to the cool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운용시스템은 액화이산화탄소 하역 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하이드레이트 현상을 방지하고, 효율적인 이산화탄소 운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carbon dioxide ope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hydrate phenomenon that may occur during the liquefied carbon dioxide unloading process and can make efficient carbon dioxide operation.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운용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이드레이트 억제부의 내부 압력을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된 액화이산화탄소의 증발가스를 이용하여 유지시키는 구성을 다른 예로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산화탄소 운용시스템에 액화이산화탄소를 하역한 이후, 저장탱크에 잔존하는 액화이산화탄소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이 포함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과 도 3에 도시된 이산화탄소 운용시스템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운용방법의 순서도이다.1 shows a carbon dioxide op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hydrate suppressing unit shown in FIG. 1 is maintained using the evaporated gas of liquefied carbon dioxide supplied from the storage tank.
FIG. 3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processing liquefied carbon dioxide remaining in a storage tank after unloading liquefied carbon dioxide into the carbon dioxide operating system shown in FIG. 1. FIG.
FIG. 4 is a flowchart of a carbon dioxide operation method using the carbon dioxide operation system shown in FIGS. 1 and 3.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fully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from the drawings, and the width, length, thickness, etc.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운용시스템(100)은 액화이산화탄소 및 액화이산화탄소의 증발가스를 저장하는 저장탱크(10), 공기를 압축하여 저장탱크(10) 쪽으로 공급하는 공기압축부(110), 공기압축부(110)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로부터 불활성가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불활성가스를 저장탱크(10)로 공급하는 불활성가스장치(120), 저장탱크(10) 쪽으로 액화이산화탄소를 주입하는 액화이산화탄소 공급부(130), 저장탱크(10)로부터 공급된 액화이산화탄소의 증발가스를 재액화시키는 재액화부(140), 저장탱크(10)로부터 액화이산화탄소를 공급받아 수요처(20)의 조건에 따라 온도 및 압력을 변환시키는 처리부(150)를 포함한다. 이산화탄소 운용시스템(100)은 각종 액화가스 운반선, 액화연료 RV(Regasification Vessel), 컨테이너선, 일반상선,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등을 포함하는 선박에 적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carbon
저장탱크(10)는 예컨대 멤브레인형 탱크, SPB형 탱크, 압력식 탱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공기압축부(110)는 액화이산화탄소 선적 과정에서, 압축된 건조성 공기를 제1공급라인(L1)을 통해 저장탱크(10) 쪽으로 공급한다. 제1공급라인(L1)에는 공기필터(113)와 공기히터(115)가 마련될 수 있다. 공기필터(113)는 공기압축부(110)로부터 공급받은 압축된 공기를 필터링하여 먼지 등의 각종 불순물을 제거한다. 공기히터(115)는 설정 온도에 따라 공기필터(113)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를 가열하여 저장탱크(10)로 공급한다. 따라서, 액화이산화탄소를 선적하기 이전에, 저장탱크(10)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The
수분이 제거된 이후, 저장탱크(10) 내부의 산소를 배출시키는 치환 과정인 불활성화 작업이 수행된다. 이를 위해 불활성가스장치(120)는 제2공급라인(L2)을 통해 공기압축부(110)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받아 불활성가스를 생성한다. 이때, 불활성가스장치(120)는 오일과 공기를 연소시키거나 멤브레인 장치를 이용하여 질소 성분을 많이 함유된 불활성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불활성가스장치(120)는 생성된 불활성가스를 저장탱크(10)로 공급하여, 불활성화시킨다. 이를 위해 제2공급라인(L2)은 공기압축부(110)와 불활성가스장치(120) 및 제1공급라인(L1)을 연결한다. 불활성가스장치(120)로부터 공급된 불활성가스에 의해 저장탱크(10) 내부의 산소가 제거되어 화재나 폭발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After the moisture is removed, a deactivation operation, which is a replacement process for discharging oxygen in the
이와 같이, 공기압축부(110)에 의해 제공되는 압축 공기는 저장탱크(10) 내부의 수분 제거 및 불활성화 작업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mpressed air provided by the
불활성화 작업이 이루어진 후에는 저장탱크(10) 내부의 쿨링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액화이산화탄소 공급부(130)에 의해 공급된 액화이산화탄소는 액화이산화탄소 기화기(135)에 의해 기화된 후 저장탱크(10)에 구비된 분사노즐(미도시)에 의해 저장탱크(10) 내측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때, 저장탱크(10) 내부의 쿨링 작업을 위해 액화이산화탄소 공급부(130)로부터 공급된 액화이산화탄소가 액화이산화탄소 기화기(135)를 거쳐 저장탱크(10) 쪽으로 공급되도록 액화이산화탄소 공급부(130), 액화이산화탄소 기화기(135), 및 저장탱크(10)를 연결하는 주입라인(L11)이 마련될 수 있다. After the deactivation operation is performed, a cooling operation inside the
쿨링 작업이 완료된 후에, 저장탱크(10) 내부에 존재하는 기체성분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불활성가스가 주입된 저장탱크(10) 내의 온도는 액화이산화탄소의 온도에 비해 높은 상태이므로, 저장탱크(10) 내부에 액화이산화탄소 기화기(135)에 의해 기화된 액화이산화탄소가 분사되면 증발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탱크(10) 내부에는 해당 증발가스와 불활성가스가 함께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스는 배출라인(미도시)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After the cool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gas component existing in the
상술한 쿨링 과정이 수행된 이후, 액화이산화탄소 공급부(130)로부터 공급되는 액화이산화탄소는 액화이산화탄소 기화기(135)를 거치지 않는 제3공급라인(L3)을 통해 저장탱크(10)로 공급된다. 제3공급라인(L3)의 일단은 액화이산화탄소 기화기(135) 전단의 주입라인(L11)과 연결되고, 제3공급라인(L3)의 타단은 액화이산화탄소 기화기(135) 후단의 주입라인(L11)과 연결되어 있다.The liquefied carbon dioxide supplied from the liquefied carbon
재액화부(140)는 저장탱크(10)로부터 공급된 액화이산화탄소의 증발가스를 압축시키는 제1압축기(141), 제1압축기(141)에 의해 압축된 증발가스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142), 냉각장치(142)에 의해 생성된 기체성분을 공급받아 압축시키는 제2압축기(143), 제2압축기(143)로부터 공급받은 압축된 기체성분과 열매체 간 열교환을 수행하여 해당 기체성분을 액화시키는 열교환기(145) 및 열교환기(145)를 거친 유체를 액체성분과 기체성분으로 분리시키는 기액분리기(147)를 포함한다. The
여기서, 저장탱크(10)로부터 공급된 증발가스가 제1압축기(141) 및 냉각장치(142)를 거치도록 하는 증발가스공급라인(L4)과, 냉각장치(142)에서 생성된 기체성분이 제2압축기(143), 열교환기(145) 및 기액분리기(147)를 거치도록 하는 재액화라인(L5)과, 기액분리기(147)에 저장된 액체성분을 저장탱크(10)로 공급하는 회수라인(L6)이 마련될 수 있다. 또, 재액화라인(L5)의 냉각장치(142)와 제2압축기(143) 사이로부터 분기되어 회수라인(L6)에 연결되며, 냉각장치(142)에 의해 생성된 기체성분 중 일부를 회수라인(L6)에 합류시키는 합류라인(L23)과, 회수라인(L6)으로부터 분기되어 냉각장치(142)에 연결되며, 상술한 합류된 유체를 냉각장치(142)로 공급하는 제1유체공급라인(L26)과, 기액분리기(147)에 의해 분리된 기체성분 중 일부를 냉각장치(142)로 공급하는 제2유체공급라인(L27)과, 제2유체공급라인(L27)으로부터 분기되어 기액분리기(147)에 의해 분리된 기체성분 중 일부를 배출시키는 배출라인(L21)이 마련될 수 있다.The evaporation gas supply line L4 for allowing the evaporation gas supplied from the
즉, 저장탱크(10)로부터 공급된 증발가스는 제1압축기(141)를 거쳐 압축된 후 냉각장치(142)에 의해 냉각되어 부분적으로 액화가 이루어진다. 냉각장치(142)로부터 배출된 기체성분은 재액화라인(L5)을 통해 제2압축기(143)와 열교환기(145)를 거쳐 압축 및 액화된다. 이때, 냉각장치(142)로부터 배출된 기체성분 중 일부는 합류라인(L23)을 통해 회수라인(L6)으로 공급된다. 열교환기(145)에서 사용되는 열매체로는 냉매(질소, 프로판, 프로필렌, 암모니아, 부탄, 부타디엔 또는 이들의 혼합물), 해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at is, the evaporated gas supplied from the
다음으로, 열교환기(145)를 거친 유체는 기액분리기(147)에 의해 기체성분과 액체성분으로 분리된다. 기액분리기(147)에 저장된 액체성분은 회수라인(L6)을 통해 저장탱크(10)로 공급된다. 이때, 합류라인(L23)을 통해 공급된 냉각장치(142)로부터 배출된 기체성분과 회수라인(L6)을 통해 배출된 기액분리기(147)에 저장된 액체성분은 혼합된다. 혼합된 유체 중 일부는 제1유체공급라인(L26)을 통해 냉각장치(142)로 공급된다.Next, the fluid having passed through the
기액분리기(147)에 저장된 기체성분은 배출라인(L2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그 중 일부는 제2유체공급라인(L27)을 통해 냉각장치(142)로 공급된다. 배출라인(L2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성분에는 주로 질소가 많이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질소가 추출된 유체가 회수라인(L6)을 통해 저장탱크(10)에 다시 저장되어, 이산화탄소에 포함된 다른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The gas component stored in the gas-
제1유체공급라인(L26)과 제2유체공급라인(L27)을 통해 냉각장치(142)로 공급되는 혼합된 유체 및 기액분리기(147)로부터 공급된 기체성분은 냉각장치(142) 내측에 분사되는 방식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냉각장치(142) 내측을 쿨링시키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mixed fluid supplied to the
처리부(150)는 액화이산화탄소와 열매체 간 1차 열교환을 수행하는 1차열교환부(151)와, 1차 열교환이 수행된 액화이산화탄소를 가압하는 가압부(153)와, 가압된 액화이산화탄소와 열매체 간 2차 열교환을 수행하는 2차열교환부(155)를 포함한다. 1차열교환부(151)와 가압부(153), 및 2차열교환부(155)는 저장탱크(10)의 개수 및 처리방법 등에 따라 병렬로 복수 개 마련되어 처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The
여기서, 저장탱크(10)로부터 공급된 액화이산화탄소가 1차열교환부(151), 가압부(153) 및 2차열교환부(155)를 거쳐 수요처(20) 쪽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액화가스공급라인(L8)이 마련될 수 있다. 액화가스공급라인(L8)에는 액화이산화탄소 필터(170)가 마련되어 처리부(150)를 거친 액화이산화탄소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수요처(20)는 예컨대 해저 저장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액화이산화탄소를 선박으로부터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저장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Here, a liquefied gas supply line L8 (see FIG. 8) for supplying the liquefied carbon dioxide fed from the
이와 같이 1차 및 2차에 걸쳐 단계적으로 열교환을 수행하여 1차 및 2차열교환부(151,155) 성능을 최대한 활용하여 효율적인 운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1차 및 2차열교환부(151,155)에서 사용되는 열매체로는 냉매(질소, 프로판, 프로필렌, 암모니아, 부탄, 부타디엔 또는 이들의 혼합물), 해수 등이 포함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eat exchange is performed step by step through the primary and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화이산화탄소를 수요처(20)의 조건에 따라 처리하여 액화가스공급라인(L8)을 통해 수요처(20)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저장탱크(10)의 내부 압력은 낮아질 수 있다. 이는 액화이산화탄소가 고화되거나 급격히 기화되어, 액화이산화탄소 하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저장탱크(10) 내부 압력을 설정 압력에 따라 유지시켜야 한다.The internal pressure of the
이를 위해, 저장탱크(10)로부터 수요처(20)로 공급되는 액화이산화탄소 중 일부가 액화이산화탄소 기화기(135)를 거쳐 기화된 후, 저장탱크(10) 내부 압력 유지를 위해 저장탱크(10)로 공급되도록, 처리부(150) 전단의 액화가스공급라인(L8)으로부터 분기되어 액화이산화탄소 기화기(135) 전단의 주입라인(L11)과 연결되는 저장탱크 압력유지라인(L12)이 마련될 수 있다.Some of the liquefied carbon dioxide supplied from the
또, 수요처(20)가 해저 저장소인 경우, 저장탱크(10)로부터 수요처(20)로 액화이산화탄소를 하역하는 도중, 또는 하역한 이후 낮은 해저 수온 등으로 인해 해저 저장소를 연결하는 액화가스공급라인(L8)에 하이드레이트(Hydrate)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액화가스공급라인(L8) 안에 얼음이 생성되어 액화가스공급라인(L8)에 막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When the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하이드레이트 억제부(160)와 처리부(150) 후단의 액화가스공급라인(L8)을 서로 연결하는 하이드레이트 억제제공급라인(L13)을 통해 하이드레이트 억제부(160)로부터 공급펌프(162)에 의해 하이드레이트 억제제가 액화가스공급라인(L8)으로 공급될 수 있다. 하이드레이트 억제제는 예컨대 메탄올, 모노에틸렌 글리콜(Monoethylene Glycol), 트리에틸렌 글리콜(Triethylene Glycol) 등을 포함할 수 있다.A hydrate suppressing agent supply line L13 connecting the
이때, 하이드레이트 억제제 공급에 의해 하이드레이트 억제부(16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므로, 하이드레이트 억제부(160) 내부의 압력을 설정 압력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시켜 하이드레이트 억제제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pressure inside the
이를 위해서, 불활성가스장치(120)는 하이드레이트 억제부(160)의 내부 압력 유지를 위해 제1하이드레이트 억제부 압력유지라인(L14)을 통해 불활성가스를 하이드레이트 억제부(160)로 제공할 수 있다. 불활성가스장치(120)에 의해 공급되는 불활성가스는 주로 질소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하이드레이트 억제부(160)의 화재 및 폭발가능성을 제거하고, 내부 압력을 설정 압력에 따라 효과적으로 유지시켜 하이드레이트 억제제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종래에는 불활성 가스가 불활성화 작업에 이용된 후 외부로 배출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다른 예로서, 도 2를 참조하면, 하이드레이트 억제부(160)의 내부 압력 유지를 위해 저장탱크(10)로부터 하이드레이트 억제부(160)로 액화이산화탄소의 증발가스를 공급하는 제2하이드레이트 억제부 압력유지라인(L15)이 마련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저장탱크(10) 내부에 발생하는 액화이산화탄소의 증발가스의 활용도를 높여 운용 상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referring to FIG. 2, a second hydrate suppressing unit for maintain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한편, 액화이산화탄소를 수요처(20)로 공급한 이후, 저장탱크(10) 내부 보수 및 정비 작업등을 위해 저장탱크(10)에 잔존하는 액화이산화탄소를 기화시켜 배출시킬 필요성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need to vaporize and discharge the liquefied carbon dioxide remaining in the
도 3을 참조하면, 상술한 도 1의 재액화부(140)에서, 저장탱크(10)로부터 공급받은 액화이산화탄소의 증발가스를 제1압축기(141)를 통해 압축하여 온도를 상승시킨 후 저장탱크(10)로 해당 압축된 증발가스를 돌려보내어 저장탱크(10)에 잔존하는 액화이산화탄소의 기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압축기(141) 후단의 증발가스공급라인(L4)과 기액분리기(147) 후단의 회수라인(L6)을 연결하는 증발촉진라인(L16)이 마련될 수 있다. 제1압축기(141)를 통해 압축된 증발가스가 증발촉진라인(L16) 및 이와 연결된 기액분리기(147) 후단의 회수라인(L6)을 통해 저장탱크(10)로 공급되도록, 제1압축기(141)와 냉각장치(142) 사이의 제1밸브(V1)는 클로즈되고, 증발촉진라인(L16)에 마련된 제2밸브(V2)는 오픈되도록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저장탱크(10) 내부에 존재하는 증발가스는 이후 배출라인(미도시)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3, 1, the evaporated gas of liquefied carbon dioxide supplied from the
이하, 도 1과 도 3에서 상술한 이산화탄소 운용시스템(100)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운용방법에 대해서 도 4를 기초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operating carbon dioxide using the carbon
먼저, 저장탱크(10)에 액화이산화탄소를 저장한다(S1). 본 과정(S1)은 선박 정박 중에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액화이산화탄소를 저장하기 이전에, 압축된 건조성 공기를 저장탱크(10) 쪽으로 공급하여 저장탱크(10) 내부의 수분을 제거하고, 불활성가스를 저장탱크(10)로 공급하여 불활성화시키고, 액화이산화탄소를 기화시켜 저장탱크(10) 내부로 분사시키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First, liquefied carbon dioxide is stored in the storage tank 10 (S1). This process (S1) can be performed during berths. Here, before storing the liquefied carbon dioxide, the compressed drying air is supplied to the
다음으로,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화이산화탄소의 증발가스를 재액화부(140)에 의해 재액화시킨다(S2). 본 과정(S2)은 선박 운항 중에 수행될 수 있다.Next, the
다음으로,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화이산화탄소를 수요처(20)의 조건에 따라 처리하여 액화가스공급라인(L8)을 통해 수요처(20)로 공급한다(S3). 본 과정(S3)은 액화이산화탄소 하역 과정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탱크(10) 내부의 압력 유지를 위해 처리부(150)로 공급되는 액화이산화탄소 중 일부를 공급받아 기화시켜 저장탱크(10)로 공급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Next, the liquefied carbon dioxide stored in the
다음으로, 하이드레이트 억제부(160)로부터 하이드레이트 억제제공급라인(L13)을 통해 처리부(150) 후단의 액화가스공급라인(L8)으로 하이드레이트 억제제를 공급한다(S4). 본 과정(S4)은 액화이산화탄소 하역 도중 또는 하역 후에 수행될 수 있다. 하이드레이트 억제부(160) 내부의 압력은 불활성가스장치(120)에 의해 공급되는 불활성가스 또는 저장탱크(10)로부터 공급되는 액화이산화탄소의 증발가스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Next, the
이후, 잠금밸브(V3, 도 1 참조)를 클로즈시킨 상태에서, 저장탱크(10)와 수요처(2) 간의 결합부위(P, 도 1 참조)를 분리시킬 수 있다. 참고로, 결합부위(P)는 이해를 돕기 위해 점선으로 표기하였다.1) between the
본 과정(S4) 이후에는 저장탱크(10)로부터 공급받은 증발가스를 압축시켜 저장탱크(10)로 공급하여 저장탱크(10) 내부에 잔존하는 액화이산화탄소를 증발가스로 변환시키고, 변환된 증발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저장탱크(10) 내부 보수 및 정비 작업을 위해 수행될 수 있다. After the process S4, the evaporation gas supplied from the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The foregoing has shown and 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possible.
10: 저장탱크 110: 공기압축부
120: 불활성가스장치 130: 액화이산화탄소 공급부
135: 액화이산화탄소 기화기 140: 재액화부
141: 제1압축기 142: 냉각장치
143: 제2압축기 145: 열교환기
147: 기액분리기 150: 처리부
151: 1차열교환부 153: 가압부
155: 2차열교환부 160: 하이드레이트 억제부
L4: 증발가스공급라인 L8: 액화가스공급라인
L12: 저장탱크 압력유지라인 L13: 하이드레이트 억제제공급라인
L14,L15: 하이드레이트 억제부 압력유지라인
L16: 증발촉진라인10: Storage tank 110: Air compression unit
120: Inert gas device 130: Liquefied carbon dioxide supply part
135: Liquefied carbon dioxide vaporizer 140: Re-
141: first compressor 142: cooling device
143: Second compressor 145: Heat exchanger
147: gas-liquid separator 150:
151: Primary heat exchanger 153:
155: Secondary heat exchanging unit 160: Hydrate suppressing unit
L4: Evaporative gas supply line L8: Liquefied gas supply line
L12: Storage tank pressure maintenance line L13: Hydrate inhibitor supply line
L14, L15: Hydrate suppression section pressure holding line
L16: Evaporation promotion line
Claims (6)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액화이산화탄소를 공급받아 수요처의 조건에 따라 온도 및 압력을 변환시키는 처리부;
하이드레이트 억제제를 상기 처리부와 상기 수요처를 연결하는 액화이산화탄소 공급라인으로 공급하는 하이드레이트 억제부;
불활성가스를 생성하는 불활성가스장치; 및
상기 불활성가스를 상기 하이드레이트 억제부로 공급하는 제1하이드레이트 억제부 압력유지라인;을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운용시스템.A storage tank for storing liquefied carbon dioxide and the vaporized gas of the liquefied carbon dioxide;
A processing unit that receives liquefied carbon dioxide from the storage tank and converts temperature and pressure according to conditions of a customer;
A hydrate suppressing unit for supplying a hydrate inhibitor to a liquefied carbon dioxide supply line connecting the processing unit and the customer;
An inert gas device for generating an inert gas; And
And a first hydrate suppressing unit pressure maintaining line for supplying the inert gas to the hydrate suppressing unit.
공기를 압축 공급하는 공기압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불활성가스장치는 상기 공기압축부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로부터 상기 불활성가스를 생성하는 이산화탄소 운용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ir compression unit for compressing and supplying air,
Wherein the inert gas device generates the inert gas from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compressor.
상기 하이드레이트 억제부의 내부 압력 유지를 위해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상기 하이드레이트 억제부로 상기 액화이산화탄소의 증발가스를 공급하는 제2하이드레이트 억제부 압력유지라인을 더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운용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hydrate suppressing portion pressure maintaining line for supplying the evaporated gas of the liquefied carbon dioxide from the storage tank to the hydrate suppressing portion to mainta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hydrate suppressing portion.
상기 처리부는
상기 처리부는 상기 액화이산화탄소와 열매체 간 1차 열교환을 수행하는 1차열교환부와,
상기 1차 열교환이 수행된 액화이산화탄소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된 액화이산화탄소와 열매체 간 2차 열교환을 수행하는 2차열교환부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운용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ing unit
Wherein the processing unit includes a primary heat exchanger for performing primary heat exchange between the liquefied carbon dioxide and the heat medium,
A pressurizing unit for pressurizing the liquefied carbon dioxide subjected to the primary heat exchange,
And a secondary heat exchanger for performing secondary heat exchange between the pressurized liquefied carbon dioxide and the heating medium.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된 상기 증발가스를 재액화시키는 재액화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재액화부는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받은 액화이산화탄소의 증발가스를 압축시키는 제1압축기와,
상기 압축된 증발가스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와,
상기 냉각장치에서 생성된 기체성분을 공급받아 압축시키는 제2압축기와,
상기 압축된 기체성분과 열매체 간 열교환을 수행하여 상기 기체성분을 액화시키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거친 유체를 액체성분과 기체성분으로 분리시키는 기액분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된 액체성분과 기체성분 중 일부는 상기 냉각장치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 운용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re-liquefaction unit for re-liquefying the evaporated gas supplied from the storage tank,
The remapping section
A first compressor for compressing evaporative gas of liquefied carbon dioxide supplied from the storage tank,
A cooling device for cooling the compressed evaporated gas,
A second compressor for receiving and compressing the gas component generated in the cooling device,
A heat exchanger for performing heat exchange between the compressed gas component and the heating medium to liquefy the gas component,
And a gas-liquid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into a liquid component and a gas component,
Wherein some of the separated liquid components and gaseous components are supplied to the cooling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7578A KR101763699B1 (en) | 2015-09-09 | 2015-09-09 | Carbon dioxide operating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7578A KR101763699B1 (en) | 2015-09-09 | 2015-09-09 | Carbon dioxide operating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0259A KR20170030259A (en) | 2017-03-17 |
KR101763699B1 true KR101763699B1 (en) | 2017-08-01 |
Family
ID=58502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7578A Active KR101763699B1 (en) | 2015-09-09 | 2015-09-09 | Carbon dioxide operating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6369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4084213A (en) * | 2022-12-13 | 2024-06-25 | 三菱造船株式会社 | Inert gas supply system, ship, and inert gas supply method |
KR20250034827A (en) * | 2023-09-04 | 2025-03-11 | 에이치디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 gas treatment system and ship having the sam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515072A (en) * | 2011-03-22 | 2014-06-26 | デウ シップビルディング アンド マリーン エンジニアリング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Fuel supply system for high pressure natural gas injection engine with excess boil-off gas consumption means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3703B1 (en) | 2008-12-15 | 2012-01-11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Ships equipped with carbon dioxide storage tanks and operating methods of the ships |
-
2015
- 2015-09-09 KR KR1020150127578A patent/KR10176369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515072A (en) * | 2011-03-22 | 2014-06-26 | デウ シップビルディング アンド マリーン エンジニアリング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Fuel supply system for high pressure natural gas injection engine with excess boil-off gas consumption mean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0259A (en) | 2017-03-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63704B1 (en) | Carbon dioxide operating system | |
KR102377799B1 (en) | Gas treatment system and ship having the same | |
KR102077927B1 (en) | Volatile organic compounds treatment system and ship having the same | |
JP7083347B2 (en) | Vessels for transporting liquefied gas and how to operate them | |
JP5448123B2 (en) |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warm LPG loads | |
KR102324848B1 (en) | Gas treatment system and ship having the same | |
KR102590259B1 (en) | Device and process for cooling liquefied gas and/or natural boil-off gas of liquefied gas | |
KR102372222B1 (en) |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gas and vessel having the same | |
KR20190042161A (en) | VOC recovery apparatus using LNG and vessel using the same | |
KR101763699B1 (en) | Carbon dioxide operating system | |
KR20190080178A (en) | Fuel supply system for liquefied gas fueled vessel | |
KR101763696B1 (en) | Reliquefaction system | |
KR101763701B1 (en) | Carbon dioxide operating system | |
KR101701719B1 (en) | Reliquefaction system | |
KR102654818B1 (en) |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liquefied gas | |
KR101763708B1 (en) | Ship for storage of liquefied gas | |
KR101701702B1 (en) | Fuel gas supply system | |
KR102539439B1 (en) | Fuel Supplying System And Method For Ship Using Liquefied Gas | |
KR102613977B1 (en) | Gas treatment system and ship having the same | |
KR102596630B1 (en) | Fuel providing system used for ship, and liquefied gas fueled ship having the same | |
KR102436048B1 (en) | Gas treatment system and ship having the same | |
KR20230143209A (en) | Fuel providing system used for ship, and liquefied gas fueled ship having the same | |
KR102173909B1 (en) | Fuel supply system | |
KR20180097364A (en) | Boil Off Gas Treatment System And Method | |
KR102350421B1 (en) | Gas treatment system and ship hav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7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7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