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863B1 - A Neck Protecting Device - Google Patents
A Neck Protect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62863B1 KR101762863B1 KR1020160011777A KR20160011777A KR101762863B1 KR 101762863 B1 KR101762863 B1 KR 101762863B1 KR 1020160011777 A KR1020160011777 A KR 1020160011777A KR 20160011777 A KR20160011777 A KR 20160011777A KR 101762863 B1 KR101762863 B1 KR 1017628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lmet
- neck
- slot groove
- shoulder
- bicyc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73—Neck restraint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12—Neck or shoulders are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5—Cervical colla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 헬멧에 연결 설치되면서 충돌 사고시에 목의 움직임을 억제하여 목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목 부상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헬멧의 후면 하단부에서 목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는 헬멧연결부재와 좌우 양측 어깨에 각각 체결하는 좌우견착구, 일단부는 상기 헬멧연결부재의 끝단부에 연결되면서 상하 좌우 회전이 자유롭게 되고 타단부는 상기 좌우견착구에 각각 신축이 자유롭게 연결되는 목보호부재로 구성되어, 자전거 라이딩(주행) 중 충돌이나 충격 사고시에 상기 목보호부재에 의해 목이 일정각도 이상 꺾이는 것을 막아 경추부상을 예방할 수 있어 자전거의 주행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 헬멧에 연결되는 견착식 목 부상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ck lifting and supporting member for preventing a neck injury by suppressing the movement of a neck during a collision while being connected to a bicycle helmet, A pair of left and right claws to be fastened to the connecting member and right and left shoulders, respectively,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helmet connecting member and freely rotatable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right and left claws, The bicycle helmet is connected to a bicycle helmet which can prevent a cervical spine injury by preventing the neck from being bent over a certain angle by the neck protecting member during a crash or an impact accident among bicycle riding (traveling) It is about a docked neck area.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전거 헬멧에 연결 설치되면서 충돌 사고시에 목의 움직임을 억제하여 목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목 부상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헬멧의 후면 하단부에서 목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는 헬멧연결부재와 좌우 양측 어깨에 각각 체결하는 좌우견착구, 일단부는 상기 헬멧연결부재의 끝단부에 연결되면서 상하 좌우 회전이 자유롭게 되고 타단부는 상기 좌우견착구에 각각 신축이 자유롭게 연결되는 목보호부재로 구성되어, 자전거 라이딩(주행) 중 충돌이나 충격 사고시에 상기 목보호부재에 의해 목이 일정각도 이상 꺾이는 것을 막아 경추부상을 예방할 수 있어 자전거의 주행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 헬멧에 연결되는 견착식 목 부상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ck lifting and supporting member for preventing a neck injury by suppressing the movement of a neck during a collision while being connected to a bicycle helmet, A pair of left and right claws to be fastened to the connecting member and right and left shoulders, respectively,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helmet connecting member and freely rotatable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right and left claws, The bicycle helmet is connected to a bicycle helmet which can prevent a cervical spine injury by preventing the neck from being bent over a certain angle by the neck protecting member during a crash or an impact accident among bicycle riding (traveling) It is about a docked neck area.
자전거는 오래전부터 이용되어 온 이동수단 가운데 하나이지만 산업사회에 들어서면서 자동차 등에 밀려 이용자의 수가 한때 감소하는 듯 하였으나, 최근 정보화 사회로 일컬어지는 현대에 이르러서는 운동량이 부족해진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운동을 겸한 레저의 한 수단으로서, 더욱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전거를 이용하여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의 수가 최근 현저히 늘어나고 있으며, 운동을 위해 따로 시간을 내기 어려운 직장인들 가운데는 운동을 겸해 출·퇴근시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수도 꾸준히 늘고 있다.Bicycle is one of the means of transportation that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but the number of users seemed to be reduced once by pushing into the automobile industry while entering the industrial society. However, in modern times, which is referred to as the information society in recent years, As a means of leisure, as the interest in health increases, the number of people who enjoy exercising on bicycle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recent years. Among the workers who have difficulty in taking time for exercise, The number of people who use them is steadily increasing.
근래에 이르러 자전거 인구가 1000만 명을 돌파하는 등 자전거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고 이에 더 나아가 안전한 라이딩의 필요성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더욱 높아지는 추세이다.In recent years, bicycle population has exceeded 10 million people, and there is a high interest in bicycles and more people are aware of the necessity of safe riding.
더욱이 4대강 사업의 일환으로 자전거 전용도로가 전국에 걸쳐 이어지는 인프라가 갖추어지게 되면서 자전거를 이용한 동호회가 활발하게 운용되고 있고 심지어 개인적으로 자전거를 이용하여 전국 일주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Moreover, as infrastructure for bicycle-only roads is established throughout the country as part of the four-river project, bicycle-based clubs are actively being used, and even bicycles are being used all over the country.
또한 국가나 지자체에서는 이와 같은 레져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자전거 국토종주, 4대강 종주, 제주도를 포함한 울트라 종주 코스를 개발하여 이들 구간을 종주한 자에게는 메달과 인증서를 부여하는 제도까지 운영하고 있다.In order to encourage such leisure activities,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have also developed a system to provide bike national championship, 4 major rivers and Jeju Island including ultra championship courses, and to give medals and certificates to those who run the race.
이와 같이 자전거의 활용성이 확대됨에 따라 자전거의 성능이나 구조에도 많은 개선이 이루어져 자전거의 주행속도가 높아지는 추세이다As the use of bicycles is expanded, the performance and structure of bicycles are improved and the speed of running of bicycles is increasing
그러다 보니 자전거의 충돌시에 인명피해가 속출하고 있으며 주행중 넘어지면서 큰 피해를 입는 등 크고 작은 안전 사고가 빈발하게 일어나고 있다.As a result, when a bicycle collides with a person, the damage is frequent, and large and small safety accidents such as heavy damage are frequently occurred.
이와 같은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의 자전거에는 부져와 같은 경보장치나 방향등 또는 후사경 등과 같은 다양한 안전장치를 부착하여 사고 예방에 활용하고 있다.In order to prevent such safety accidents, conventional bicycles are equipped with various safety devices such as an alarm device such as a buzzer or a directional light or a rear view mirror to prevent accidents.
그리고 자전거(오토바이 포함)는 전후로 배치된 2개의 바퀴를 이용한 승용수단으로 일반적인 사륜 방식의 자동차와 달리 운전자가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사고시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는 수단으로는 각종 관절 보호대와 머리를 보호하는 헬멧이 주된 안전장치이다.In addition, bicycles (including motorcycles) are two-wheeled vehicles that can be deployed around the wheel. Unlike conventional four-wheel vehicles, Helmets are the main safeguards.
특히, 자전거의 라이딩에 필수적인 헬멧은 사고시에 머리만 보호할 수 있을 뿐 목이나 어깨 등은 보호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In particular, a helmet, which is essential for riding a bicycle, has the limitation that it can protect only the head at the time of an accident, but not the neck or the shoulder.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등록특허 제10-1143961호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헬멧 고정부재와, 상기 헬멧 고정부재의 중앙 하측에 일단이 결합되는 탄성지지바, 상기 탄성지지바의 타단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에 삽입결합되는 접합프레임,상기 접합프레임의 양측으로 뻗은 견착구 프레임과 어깨패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머리에 가해지는 헬멧의 하중을 어깨로 분산시켜줌으로써 머리와 목에 가해지는 중압감을 감소시켜주고, 헤어스타일이 헬멧에 눌려 손상되는 것을 함께 방지해줄 수 있는 헬멧 지지기구를 제시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conventionally,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Registration No. 10-1143961, there has been proposed a helmet fixing member, an elastic support ba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center of the helmet fixing member, A joining frame to be joined to the joining member and a joining frame to be joined to the joining member, a cradling frame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joining frame, and a shoulder pad to disperse the load of the helmet applied to the user's head on the should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lmet supporting mechanism that reduces the pressure of the lining and prevents the hair style from being damaged by the helmet being pressed.
또한 운전자의 목을 보호하는 안전수단으로는 종래의 공개특허 제10-2015-0043629호의 '목보호를 위한 헬멧 고정구'가 제시되어 있다.Also, as a safety means for protecting the driver's neck, a 'helmet fastener for neck protection' of the conventional patent document 10-2015-0043629 is propos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헬멧 지지기구는 헬멧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기구에 불과한 것으로 헬멧으로 보호되지 못하는 운전자의 목 부분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충돌이나 충격사고시 목부가 꺾이는 경추 부상으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helmet supporting mechanism described above is merely a supporting mechanism for supporting the load of the helmet, and thus the neck portion of the driver, which can not be protected by the helmet,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protecting the driver from the cervical spine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또한 종래의 '목보호를 위한 헬멧 고정구'는 목 둘레를 감싸도록 상향 돌출되어 헬멧 하단부를 지지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둘레에 구비되어 운전자의 상체를 감싸는 견착부가 일체로 성형되는 지지부재 및 이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 또한 충돌이나 충격사고시 목부가 꺾이는 경추 부상으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a conventional 'helmet fastener for neck protection' has a receiving part protruding upward to enclose the neckline and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helmet, and a supporting member provided around the receiving part to integrally form a fastening part surrounding the upper body of the dri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river can not be protected from the cervical spine injury that the neck part is bent in the event of a collision or an impact.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헬멧의 후면 하단부에서 목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는 헬멧연결부재와 좌우 양측 어깨에 각각 체결하는 좌우어깨견착구, 일단부는 상기 헬멧연결부재의 끝단부에 연결되면서 상하 좌우 회전이 자유롭게 되고 타단부는 상기 좌우어깨견착구에 각각 신축이 자유롭게 연결되는 목보호부재로 구성되어, 자전거 라이딩(주행) 중 충돌이나 충격 사고시에 상기 목보호부재에 의해 목이 일정각도 이상 꺾이는 것을 막아 경추부상을 예방할 수 있어 자전거의 주행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 헬멧에 연결되는 견착식 목 부상 방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 pair of right and left shoulder claws to be fastened to the right and left shoulders, respectively,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helmet connecting member and freely rotatable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And a neck protecting member that is freely connected to each of the shoulder cushioning openings so that the cushioning can be prevented by preventing the neck from being bent over a certain angle by the neck protecting member during a crash or an impact accident among the bicycle riding The invention relates to a bicycle helmet, which is connected to a bicycle helmet, which can significantly improve safet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2륜차의 운전자가 주행중 발생되는 충돌사고시에 목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목 부상 방지구에 있어서,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ck lifting seat for preventing a neck injury when a driver of a two-wheeled vehicle crashes during driving,
2륜차의 운전자가 착용하는 헬멧의 후면부측에서 목 방향으로 하향 연결 설치되는 헬멧연결부재와, 운행자의 좌측 어깨에 착용하는 좌측어깨견착구, 운행자의 우측 어깨에 착용하는 우측어깨견착구, 일단부는 상기 헬멧연결부재의 단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좌측어깨견착구에 연결하는 좌측부재와 상기 우측어깨견착구에 연결하는 우측부재로 각각 분지되도록 설치하여 역 'Y'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목보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helmet connecting member installed downward from the rear side of the helmet to be worn by the driver of the two-wheeled vehicle, a left shoulder clawing portion worn on the left shoulder of the operator, a right shoulder clawing portion worn on the right shoulder of the operator, And the other end is branched into a left member connected to the left shoulder claw and a right member connected to the right shoulder claw, And a neck protecting member that is made of a metal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헬멧에 연결되는 견착식 목 부상 방지구는 헬멧에 탈장착 방식으로 설치되는 헬멧연결부재와 어깨에 착용하는 좌우어깨견착구를 연결하는 목보호부재에 의해 주행자의 목이 일정 각도 이상 꺾이는 것을 막아 주도록 함으로써 자전거 주행 중 충돌이나 충격 사고시 목이 일정 각도 이상 급격하게 꺾이는 것을 막아 경추를 보호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The toe-type neck injury prevention mouth connected to the bicycle helm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eck of the rider is bent over a certain angle by the helmet connecting member which is installed on the helmet by a releasably attaching manner and the neck protecting member which connects the right and left shoulder claws to be worn on the shoulder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by protecting the cervical vertebrae by preventing the neck from being suddenly bent over a certain angle in the event of a collision or an impact accident during bicycle travel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헬멧에 연결되는 견착식 목 부상 방지구가 헬멧에 연결 설치된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헬멧에 연결되는 견착식 목 부상 방지구에 대한 개략적인 상태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헬멧에 연결되는 견착식 목 부상 방지구의 요부가 분리된 상태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헬멧에 연결되는 견착식 목 부상 방지구의 요부에 대한 개략적인 작동상태도로, 도 3의 <A-A> 방향 전개 상태도를 나타내며, (a)는 운전자의 고개가 정면일 때이고, (b)는 운전자가 고개를 숙였을 때이고, (c)는 운전자가 고개를 들었을 때 각각 돌기가 요홈에 위치된 상태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so-called neck type upper leg connected to a helm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of a so-called neck type floating zone connected to a bicycle helm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cess of a to-be-necked upright zone connected to a bicycle helm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IG. 4 is a schematic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a recess of a toe-shaped neckrest attached to a bicycle helm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eveloped state view in the AA direction of FIG. 3, wherein (a) (b) is a state in which the driver has bowed his head, and (c) is a state in which the projection is located in the groove when the driver lifts his hea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헬멧에 연결되는 견착식 목 부상 방지구(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As shown in FIGS. 1 to 4, the sole-type neck-up-
자전거나 오토바이와 같은 2륜차의 운전자가 착용하는 헬멧(101)의 후면부측에서 목 방향으로 하향 연결 설치되는 헬멧연결부재(110)와,A
운행자의 좌측 어깨에 착용하는 좌측어깨견착구(120),A left
운행자의 우측 어깨에 착용하는 우측어깨견착구(130),A right
일단부는 상기 헬멧연결부재(110)의 단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좌측어깨견착구(120)에 연결하는 좌측부재(141)와 상기 우측어깨견착구(130)에 연결하는 우측부재(142)로 각각 분지되도록 설치하여 역(逆) 'Y'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목보호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One end of the
따라서 자전거나 오토바이와 같은 2륜차의 운전자가 상기 헬멧(101)을 착용하고 그 후면에 상기 헬멧연결부재(110)를 연결한 다음 상기 목보호부재(140)를 상기 헬멧연결부재(110)와 상기 좌우측어깨견착구(120,130)에 각각 연결한 후 운행하면 된다.Therefore, a driver of a two-wheeled vehicle such as a bicycle or a motorcycle wears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자전거 헬멧에 연결되는 견착식 목 부상 방지구(100)는 상기 헬멧(101)에 설치하여 운행하면서 불의에 발생되는 충돌 사고시 목 부상을 완화시켜 주거나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ooty neck
본 발명의 보호구는 주로 자전거 라이딩시에 착용하는 헬멧에 연결하여 사고시에 목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나 오토바이와 같은 2륜차의 헬멧에도 적용할 수 있다.The protective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helmet of a two-wheeled vehicle such as a motorcycle or a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o a helmet to be worn when riding a bicycle to prevent a neck injury in the event of an accident.
여기서 상기 헬멧연결부재(110)는 그 일단부에 상기 헬멧(101)과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헬멧연결수단(111)이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목보호부재(140)의 끝단부가 삽설되면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중앙부에 회동공간부가 형성된 회동부(112)가 구비되어 있다.The
여기서 상기 헬멧연결수단(111)은 상기 헬멧연결부재(110)의 상단부를 상기 헬멧(101)의 후면에 탈 부착이 가능한 체결수단으로 구성되어 장착 및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Here, the helmet connecting means 111 includes fastening means capable of attaching the upper end of the
또한 상기 목보호부재(140)는 역 Y자 형상으로 구성되되, 상기 헬멧연결부재(110)와 연결되는 일단부에는 상기 회동부(112)로 삽입 설치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라운드 형상의 회동구(143)가 형성 구비되고 상기 좌측부재(141)의 단부에는 상기 좌측어깨견착구(120)에 연결되는 좌체결구(미도시)가 구비되며 또한 상기 우측부재(142)의 단부에는 상기 우측어깨견착구(130)에 연결되는 우체결구(미도시)가 구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좌측어깨견착구(120)에 연결되는 좌체결구와 상기 우측어깨견착구(130)에 연결되는 우체결구는 공지된 기술적 구성을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되는바,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Here, the left fastening member connected to the left shoulder fastening opening 120 and the right fastening opening connected to the right shoulder fastening opening 130 may be fasten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rough a known technology. ,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좌측어깨견착구(120)와 상기 우측어깨견착구(130)도 플렉시블한 재질로 어깨부에 밀착될 수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다.Also, the
그리고 상기 회동부(112)로 삽입 설치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라운드 형상으로 된 상기 회동구(143)에는 그 회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돌출되는 컨트롤돌기(143a)가 형성 구비되고, 상기 회동부(112)의 내측벽면에는 상기 컨트롤돌기(143a)가 삽설되어 각각 좌우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상부슬롯요홈(112a)과 중부슬롯요홈(112b) 및 하부슬롯요홈(112c)이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A
따라서 상기 컨트롤돌기(143a)가 상기 중부슬롯요홈(112b)에 삽설될 때에는 머리가 정면을 향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고개가 좌우로 회전이 자유롭게 되도록 한다. Therefore, when the
또한 상기 컨트롤돌기(143a)가 상기 상부슬롯요홈(112a)에 삽설될 때에는 머리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고개가 좌우로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진다.Further, when the
또한 상기 컨트롤돌기(143a)가 상기 하부슬롯요홈(112c)에 삽설될 때에는 머리를 숙인 상태에서 고개가 좌우로 회전이 자유롭게 되도록 한다. Further, when the
여기서 상기 상부슬롯요홈(112a)과 상기 중부슬롯요홈(112b) 및 상기 하부슬롯요홈(112c)의 폭은 상기 컨트롤돌기(143a)의 폭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어(유격이 있어) 상기 각 요홈에 상기 컨트롤돌기(143a)가 위치하는 경우 좌우 방향으로는 회전이 자유롭고 상하 회전(고개를 들거나 숙이는 회전을 말함)은 그 유격 내에서 이루어지게 된다.The widths of the
그리고 상기 상부슬롯요홈(112a)과 상기 중부슬롯요홈(112b) 사이는 상기 컨트롤돌기(143a)가 상기 상부슬롯요홈(112a)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어하는 상부칸막이턱(112d)이 형성 구비되어 있고, An upper partitioning
상기 중부슬롯요홈(112b)과 상기 하부슬롯요홈(112c) 사이는 상기 컨트롤돌기(143a)가 상기 하부슬롯요홈(112c)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어하는 하부칸막이턱(112e)이 형성 구비되어 있으며, A
상기 상부칸막이턱(112d)에는 고개를 들을 때(상기 헬멧연결부재(110)가 상측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의미함) 상기 컨트롤돌기(143a)가 상기 상부슬롯요홈(112a)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상부통로(h1)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 구비되어 있고,The
상기 하부칸막이턱(112e)에는 고개를 숙일 때(상기 헬멧연결부재(110)가 하측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의미함) 상기 컨트롤돌기(143a)가 상기 하부슬롯요홈(112c)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부통로(h2)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 구비되어 있다.The
또한 상기 상부통로(h1)와 상기 하부통로(h2)의 입출구부에는 상기 회동부(112)가 회전할 때 상기 컨트롤돌기(143a)를 지나가면서 이에 걸려 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하는 미세돌기(t)가 형성 구비되어 있다.The upper and lower passages h1 and h2 are formed with micro-protrusions t that allow the
따라서 운전중 상기 헬멧연결부재(110)가 회전하면서 상기 상부통로(h1) 또는 상기 하부통로(h2)의 상기 미세돌기(t)가 상기 컨트롤돌기(143a)를 지나는 순간(소리가 나는 순간) 그 회전을 멈추고 상기 컨트롤돌기(143a)를 상기 상부통로(h1) 또는 상기 하부통로(h2)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during operation, the
이는 운전자가 고개를 들거나 숙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is is to allow the driver to lift his or her head.
그리고 상기 좌측어깨견착구(120)에 연결되는 상기 좌측부재(141)는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되며 그 내부에는 탄력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141a)이 더 설치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우측어깨견착구(130)에 연결되는 상기 우측부재(142)도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되며 그 내부에는 탄력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142a)이 더 설치 구비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좌측어깨견착구(120)와 상기 우측어깨견착구(130)에 체결수단이 각각 구비되어 있어 상기 체결수단을 겨드랑이 쪽으로 하여 체결하게 되면 상기 좌측어깨견착구(120)와 상기 우측어깨견착구(130)를 각 어깨부에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착용할 수가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수단은 배낭 등에 구비되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전거 헬멧에 연결되는 견착식 목 부상 방지구(100)를 사용하여 목부상을 방지 또는 예방하는 기능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The function of preventing or preventing neck injury by using the soot type
자전거나 오토바이와 같은 2륜차의 운전자가 상기 헬멧(101)을 착용하고 그 후면에 상기 헬멧연결부재(110)를 연결한 다음 상기 목보호부재(140)를 상기 헬멧연결부재(110)와 상기 좌우측어깨견착구(120,130)에 각각 연결한 후 운전하게 된다.A driver of a two-wheeled vehicle such as a bicycle or a motorcycle wears the
이와 같은 상태는 상기 헬멧(101)과 운전자의 어깨가 연결된 상태가 되어 운전자의 목 움직임이 제어된다. In such a state, the
이때는 운전자의 목이 임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상기 목보호부재(140)의 상기 회동구(143)에 구비되는 상기 컨트롤돌기(143a)가 상기 상부슬롯요홈(112a)과 중부슬롯요홈(112b) 및 하부슬롯요홈(112c) 중 어느 하나에 삽설된 상태에 따라 목의 상하부 쪽의 회전방향이 제어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목의 좌우 회전은 상기 컨트롤돌기(143a)가 상기 어느 요홈에 위치되어도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즉, 상술한 바와 같이, That is, as described above,
상기 컨트롤돌기(143a)가 상기 중부슬롯요홈(112b)에 삽설될 때에는 머리가 정면을 향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고개가 좌우로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When the
이때 운전자의 머리는 정면을 향하면서 좌우 회전이 자유롭고 상하 회전은 상기 컨트롤돌기(143a)가 상기 중부슬롯요홈(112b)의 내부에서 형성되는 유격 정도에서만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head of the driver is allowed to rotate left and right while facing the front, and up and down rotation is possible only at the degree of clearance where the
이와 같이 머리를 정면으로 향한 상태에서 운전하던 중 목을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머리를 들어 올리려고 힘을 주면서 약간 좌우로 돌려주게 되면 상기 헬멧연결부재(110)가 상부측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컨트롤돌기(143a)가 상기 상부칸막이턱(112d)에 형성된 상기 상부통로(h1)를 만나 이 통로를 통해 상기 상부슬롯요홈(112a)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In order to raise the neck while driving the head with the head turned to the front, if the
이와 같이하여, 상기 컨트롤돌기(143a)가 상기 상부슬롯요홈(112a)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머리가 들어 올려진 상태로 되고 고개는 좌우로 회전이 자유롭게 되는 상태로 되어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컨트롤돌기(143a)를 상기 중부슬롯요홈(112b)에서 상기 하부슬롯홈(112c)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고개가 숙여진 상태에서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When the
상기와 같이 운전자가 고개를 숙이거나 정면을 향하도록 하거나 또는 들어올리는 상태는 운전상태에 따라 수시로 변경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tate in which the driver bows, faces the front, or lifts the head is changed from time to time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여기서 운전자의 고개는 상기 컨트롤돌기(143a)가 상기 상부슬롯요홈(112a)에서부터 상기 하부슬롯요홈(112c)까지의 이동거리에 해당하는 각도(대략 60~70도) 정도로 상하 움직일 수가 있게 제어된다.Here, the driver's head is controlled so that the
따라서 자전거 주행중에 부지불식간의 충돌 또는 충격 사고시에 운전자의 목이 급격하게 일정 각도 이상 꺾이는 것을 막아 목이 부러지는 부상을 예방할 수가 있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neck of the driver from being suddenly bent over a predetermined angle during a crash or impact accident during the bicycle driving, thereby preventing the neck from being injur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헬멧에 연결되는 견착식 목 부상 방지구는 헬멧의 후면 하단부에서 목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는 헬멧연결부재와 좌우 양측 어깨에 각각 체결하는 좌우어깨견착구, 일단부는 상기 헬멧연결부재의 끝단부에 연결되면서 상하 좌우 회전이 자유롭게 되고 타단부는 상기 좌우어깨견착구에 각각 신축이 자유롭게 연결되는 목보호부재로 구성되어, 자전거 라이딩(주행) 중 충돌이나 충격 사고시에 상기 목보호부재에 의해 목이 일정각도 이상 꺾이는 것을 막아 경추부상을 예방할 수 있어 자전거의 주행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icycle helm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be-necked neck protector includes a helmet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neck of the helmet at the lower end of the rear surface thereof, a right and left shoulder claws for fastening to both right and left shoulders, And a neck protecting member connected to an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so as to be freely rotatable in the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while the other end of the neck protecting member is freely connected to the right and left shoulder claw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ervical spine injury by preventing the neck from being bent over a certain angle by the member, and it is possible to remarkably improve the running safety of the bicycle.
100:자전거 헬멧에 연결되는 견착식 목 부상 방지구
101:헬멧
110:헬멧연결부재
111:헬멧연결수단 112:회동부 112a:상부슬롯요홈
112b:중부슬롯요홈 112c:하부슬롯요홈 112d:상부칸막이턱
112e:하부칸막이턱 h1:상부통로 h2:하부통로 t:미세돌기
120:좌측어깨견착구 130:우측어깨견착구
140:목보호부재
141:좌측부재 141a:탄성스프링
142:우측부재 142a:탄성스프링
143:회동구 143a:컨트롤돌기100: Docked neck area connected to bicycle helmet
101: Helmet
110: helmet connecting member
111: helmet connecting means 112: turning
112b:
112e: lower partitioning wall h1: upper passage h2: lower passage t: fine projection
120: left shoulder cramp 130: right shoulder cramp
140: neck protecting member
141:
142:
143: turning
Claims (6)
2륜차의 운전자가 착용하는 헬멧(101)의 후면부측에서 목 방향으로 하향 연결 설치되는 헬멧연결부재(110)와,
운행자의 좌측 어깨에 착용하는 좌측어깨견착구(120),
운행자의 우측 어깨에 착용하는 우측어깨견착구(130),
일단부는 상기 헬멧연결부재(110)의 단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좌측어깨견착구(120)에 연결하는 좌측부재(141)와 상기 우측어깨견착구(130)에 연결하는 우측부재(142)로 각각 분지되도록 설치하여 역 'Y'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목보호부재(140)를 포함하고,
상기 헬멧연결부재(110)는 그 일단부에 상기 헬멧(101)과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헬멧연결수단(111)이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목보호부재(140)의 끝단부가 삽설되면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중앙부에 회동공간부가 형성된 회동부(112)가 구비되며,
상기 목보호부재(140)는 역 Y자 형상으로 구성되되, 상기 헬멧연결부재(110)와 연결되는 일단부에는 상기 회동부(112)로 삽입 설치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라운드 형상의 회동구(143)가 형성 구비되고,
상기 좌측부재(141)의 단부에는 상기 좌측어깨견착구(120)에 연결되는 좌체결구가 구비되며 또한 상기 우측부재(142)의 단부에는 상기 우측어깨견착구(130)에 연결되는 우체결구가 구비되는 자전거 헬멧에 연결되는 견착식 목 부상 방지구.A neck lifting support for a driver of a two-wheeled vehicle to prevent a neck injury in the event of a collision occurring during driving,
A helmet connecting member 110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helmet 101 worn by the driver of the two-wheeled vehicle so as to be connected downward in the neck direction,
A left shoulder check dog 120 worn on the left shoulder of the operator,
A right shoulder check dog 130 to be worn on the right shoulder of the operator,
One end of the helmet connection member 110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helmet connection member 110 and the other end of the helmet connection member 110 is connected to the left shoulder claw 120 and the right side shoulder claw 130, And a right-side member (142), respectively, so as to be formed in an inverted 'Y' shape,
The helmet connecting member 110 is provided with a helmet connecting means 111 for connecting the helmet 101 to the one end of the helmet connecting member 110. The other end of the helmet connecting member 110 can be rotated while inserting the end of the neck protecting member 140 A rotary part 112 formed with a rotation space part at a central part thereof,
The neck protecting member 140 is formed in an inverted Y shape and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helmet connecting member 110 to be inserted into the rotation unit 112 and to be rotated, Is formed,
The left member 141 is provided at its end with a left fastener connected to the left shoulder claw 120 and a right fastener coupled to the right shoulder claw 130 at the end of the right member 142 A docked neck area connected to a bicycle helmet.
상기 회동부(112)로 삽입 설치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라운드 형상으로 된 상기 회동구(143)에는 그 회전 방향을 제어하도록 돌출된 컨트롤돌기(143a)가 형성 구비되고, 상기 회동부(112)의 내측벽면에는 상기 컨트롤돌기(143a)가 삽설되어 각각 좌우 방향으로 회전이가능하도록 하는 상부슬롯요홈(112a)과 중부슬롯요홈(112b) 및 하부슬롯요홈(112c)이 형성되는 자전거 헬멧에 연결되는 견착식 목 부상 방지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ntrol protrusion 143a protruded to control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143 is formed in the rotary shaft 143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rotary shaft 112 so as to be rotatable. The inner wall surface is provided with an upper slot groove 112a and a middle slot groove 112b and a lower slot groove 112c in which the control protrusion 143a is inserted and rotat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Fractured neck injury zone Earth.
상기 상부슬롯요홈(112a)과 상기 중부슬롯요홈(112b) 사이는 상기 컨트롤돌기(143a)가 상기 상부슬롯요홈(112a)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어하는 상부칸막이턱(112d)이 형성 구비되어 있고,
상기 중부슬롯요홈(112b)과 상기 하부슬롯요홈(112c) 사이는 상기 컨트롤돌기(143a)가 상기 하부슬롯요홈(112c)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어하는 하부칸막이턱(112e)이 형성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칸막이턱(112d)에는 상기 컨트롤돌기(143a)가 상기 상부슬롯요홈(112a)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상부통로(h1)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하부칸막이턱(112e)에는 상기 컨트롤돌기(143a)가 상기 하부슬롯요홈(112c)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부통로(h2)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 구비되는 자전거 헬멧에 연결되는 견착식 목 부상 방지구.
5. The method of claim 4,
An upper partitioning step 112d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slot groove 112a and the middle slot groove 112b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control projection 143a to the upper slot groove 112a,
A lower partitioning tab 112e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control protrusion 143a to the lower slot groove 112c is formed between the middle slot groove 112b and the lower slot groove 112c,
A plurality of upper passages h1 are formed in the upper partitioning wall 112d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that the control protrusion 143a can move to the upper slot 112a.
And a plurality of lower passages h2 for allowing the control protrusion 143a to move to the lower slot groove 112c are formed in the lower partitioning wall 112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jury room Earth.
상기 상부통로(h1)와 상기 하부통로(h2)의 입출구부에는 미세돌기(t)가 더 형성 구비되는 자전거 헬멧에 연결되는 견착식 목 부상 방지구.6. The method of claim 5,
A toe-shaped neck floating zone connected to a bicycle helmet in which fine protrusions (t) are further formed at the entrance and exit portions of the upper passage (h1) and the lower passage (h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1777A KR101762863B1 (en) | 2016-01-29 | 2016-01-29 | A Neck Protec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1777A KR101762863B1 (en) | 2016-01-29 | 2016-01-29 | A Neck Protect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62863B1 true KR101762863B1 (en) | 2017-07-31 |
Family
ID=59419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1777A Active KR101762863B1 (en) | 2016-01-29 | 2016-01-29 | A Neck Protect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62863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50157080A1 (en) * | 2013-12-11 | 2015-06-11 |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 Device to reduce head injury risk |
-
2016
- 2016-01-29 KR KR1020160011777A patent/KR10176286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50157080A1 (en) * | 2013-12-11 | 2015-06-11 |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 Device to reduce head injury risk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090867B2 (en) | Safety devices for motorcycles | |
US4973082A (en) | Roll cage for personal motorized vehicles | |
KR100947497B1 (en) | A automobile safety belt | |
US8914916B2 (en) | Helmet suspension system | |
KR101621633B1 (en) | Wearable reflective device | |
JP6296611B2 (en) | helmet | |
US8783722B1 (en) | Self-releasing vehicular harness | |
KR101470948B1 (en) | Auxiliary wheel device for bike | |
CN207449681U (en) | Child safety seat with side protection structure | |
KR101762863B1 (en) | A Neck Protecting Device | |
JP4810300B2 (en) | Children's chairs and motorcycles | |
WO2018042213A1 (en) | Helmet fastening device | |
ES2718767T3 (en) | Safety system for a motorcycle | |
CA2492268A1 (en) | Personal protection device | |
ES2357126B2 (en) | OPEN OR JET TYPE PROTECTIVE HELMET AND ITS USES. | |
KR100672807B1 (en) | Full Face Helmet | |
KR900009406Y1 (en) | Safety cover | |
EP2507120B1 (en) | Two-wheeled motorized vehicle | |
KR960002304Y1 (en) | Helmet with anti-theft lock and release | |
JP2007001502A (en) | Occupant crash protection device for tandem | |
KR200356964Y1 (en) | A safe-belt tool for child with a bag | |
KR200416042Y1 (en) | Circular swing saddle to prevent external shock absorption and tipping | |
CN112706664B (en) | Head safety device, child safety seat and vehicle | |
KR100736781B1 (en) | Vehicle seat belt lower fixing structure | |
KR100610978B1 (en) | Car Auxiliary Hand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7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7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7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