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749B1 - Monitoring system for platform screen door - Google Patents
Monitoring system for platform screen do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62749B1 KR101762749B1 KR1020160144523A KR20160144523A KR101762749B1 KR 101762749 B1 KR101762749 B1 KR 101762749B1 KR 1020160144523 A KR1020160144523 A KR 1020160144523A KR 20160144523 A KR20160144523 A KR 20160144523A KR 101762749 B1 KR101762749 B1 KR 1017627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or
- unit
- sensor unit
- platform
- mov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16—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distance of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
- G01S17/026—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G01S7/4817—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relating to sc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은 승강장 안전문의 상부에 설치되고, 전동차와 스크린 도어 사이 공간에 이용객 또는 물체 유무를 감지하는 스캐너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를 승강장 측 또는 선로 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platform-specific obstacle detection system. The system for detecting a pedestrian's safety obsta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installed on a platform safety door and having a scanner sensor for detecting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or object in a space between the railway car and the screen door; And a moving part for moving the sensor part to the landing side or the line s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form-specific obstacle detection system.
일반적으로, 지하철 또는 철도의 역사 내에는 전동차 또는 철도 차량의 선로와 승강장을 격리하는 스크린 도어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Generally, in the history of a subway or a railroad, a screen door device is installed to isolate a track or a platform of a train or a railroad car.
스크린 도어 장치의 슬라이딩 도어는 평상시, 즉, 철도 차량이 주행하지 않을 때와 철도 차량이 승강장으로 진입할 때 또는 승강장을 출발한 후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지만, 철도 차량이 승강장에 완전히 진입하여 정차한 후에는 승객의 승하차를 위하여 개방된다.The sliding doors of the screen door apparatus are kept closed when the railway vehicle does not normally travel, when the railway vehicle enters the landing platform or after the landing platform, but when the railway vehicle completely enters the platform It is then opened for the passengers to get on and off.
위와 같은 조건에서 작동하는 스크린 도어 장치는 승강장에 있는 승객이 선로로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하고, 철도 차량의 진입시 승강장으로 유입되는 열차풍을 차단하는 기능(효과)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스크린 도어 장치는 점차적으로 모든 지하철 역사 및 광역철도 역사의 승강장에 설치되고 있다.The screen door device operated under the above conditions has a function (effect) for preventing an accident that a passenger on a platform is falling down to a railway line and blocking a train wind that flows into a platform when the railway vehicle comes in. Is installed in the platform of all subway history and metropolitan railroad history.
한편,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052850호(발명의 명칭: 스크린 도어 장치)에서는, 일정 간격 떨어져 구비되는 고정 도어 및 고정 도어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는 스크린 도어 장치에 있어서, 고정 도어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기둥, 기둥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발광하는 다수개의 발광구를 가지는 발광부와, 기둥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고 발광구에서 나온 빛을 수광하는 수광구를 가지는 수광부로 구성되는 감지센서, 및 한 쌍의 기둥에 구비되고, 발광구 및 수광구의 상부를 덮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In the related art,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52850 (entitled Screen Door Device) discloses a screen door having a fixed door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sliding door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fixed door, The apparatus includes a light emitting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portions provided in any one of a pair of columns and columns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a fixed door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provided in the other one of the columns for receiv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And a protective cover which is provided on the pair of columns and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port and the light receiving port.
하지만, 종래의 스크린 도어 장치는 스크린 도어와 전동차 사이에 이용객 또는 물체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가 선로측에 고정되어 있어,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측으로 무리하게 접근하여 인명사상 사고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creen door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a visitor or a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is fixed between the screen door and the electric railway vehicle on the rail side, so that it is forcibly approached to the railway side for maintenance.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승강장 측에서 센서부를 유지 보수할 수 있는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latform-specific obstacle detection system capable of maintaining a sensor unit on a landing platform side.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은, 승강장 안전문의 상부에 설치되고, 전동차와 스크린 도어 사이 공간에 이용객 또는 물체 유무를 감지하는 스캐너 센서를 구비하는 복수의 센서부; 및 센서부를 승강장 측 또는 선로 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latform-specific obstacle detection system comprising: a scanner installed on an upper part of a platform safety door for detecting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or object in a space between a train and a screen door; A plurality of sensor units having sensors; And a moving part for moving the sensor part to the landing side or the line side.
본원의 제2 측면에 따른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 유지보수 방법은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의 이동부를 작동하여, 센서부를 승강장 측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센서부에 대한 점검 또는 유지 관리를 수행한 후, 이동부를 작동하여, 센서부를 선로 측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intaining a platform-based professional obstacle detection system, comprising: moving a sensor unit to a platform side by operating a moving unit of the platform-specific obstacle detection system; And performing the inspection or maintenance on the sensor unit and then operating the moving unit to move the sensor unit to the line side.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센서부를 승강장 측 또는 선로 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구비하여, 승강장 측으로 센서부를 이동시켜 유지 보수할 수 있어, 인명사상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the moving part for moving the sensor part to the landing side or the rail side, so that the sensor part can be moved to the landing side for maintenance,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의 유지보수 방법의 순서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ystem for detecting a landing obstacle obsta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 system for detecting an obstacle in a landing craf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ottom view of a system for detecting a landing craft obsta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of a maintenance method of a platform-specific obstacl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bers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o refer to the same or like part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limited to a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cludes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do.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 on " another member, it includes not only when the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member, but also when there is another member between the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The terms "about "," substantially ", etc. used to the extent that they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be taken to mean the approximation of the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sense, Accurate or absolute numbers are used to help prevent unauthorized exploitation by unauthorized intruders of the referenced disclosure. The word " step (or step) "or" step "used to the extent that it i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oes not mean" step for.
본원은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form security obstacle detec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의 유지보수 방법의 순서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system for detecting an obstacle in a landing craf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a system for detecting a landing obstacle obsta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intenance method of a platform-specific obstacl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100)은 스크린 도어(20)와 전동차(10) 사이 공간에 이용객 또는 물체 유무를 판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platform-based professional
예시적으로, 전동차(10)는 전동차(10)의 도어 및 스크린 도어(20)가 폐쇄된 상태어서만 출발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전동차(10)의 도어 및 스크린 도어(20)가 폐쇄된 상태에서 전동차(10)의 도어 및 스크린 도어(20) 사이에 물체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전동차(10)가 출발하면 매우 위험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110)를 통해 전동차(10) 및 스크린 도어(20)의 사이에 물체가 인식되면, 전동차(10)의 도어 및 스크린 도어(20)를 개방되도록 하며, 물체가 승객이면 전동차(10)에 탑승하거나 또는 승강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도 2를 참조하면,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100)은 전동차(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센서부(110) 및 각각의 센서부(11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130)를 포함한다.2, the platform-based professional
센서부(110)는 스크린 도어(20)의 상부에 설치되고, 전동차(10)와 스크린 도어(20) 사이 공간에 이용객 또는 물체 유무를 감지하는 스캐너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스캐너 센서는 2차원 스캔을 수행하는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전동차(10) 출입문 주변의 장애물 위치 및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캐너 센서는 클러스터링(clustering) 로직을 구성하여, 물체 형상으로부터 장애물의 특징을 갖는 세그먼트를 형성하고, 세그먼트에 대하여 오브젝트의 트랙킹을 실현하여 장애물 인식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다.The scanner sensor can determine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obstacle around the doors of the
또한, 스캐너 센서는 레이저스캔 센서 및 밀리파 레이더 센서 중 선택되는 하나의 센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canner sensor may be a sensor selected from a laser scanning sensor and a millimeter-wave radar sensor.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100)는 승강장 측에 위치하고, 승강장 및 스크린 도어(20)를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부(미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latform-specific
예시적으로, 센서부(110)는 전동차(10)의 출입문과 스크린 도어(20) 사이의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110)를 통해 물체가 감지된 경우, 카메라부를 작동시켜 기관사 현시장치를 통해 기관사가 감지된 물체를 직접확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카메라부는 CCTV 카메라일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도 2를 참조하면, 이동부(130)는 센서부(110)를 승강장 측 또는 선로 측으로 이동시키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moving
다시 말해, 이동부(130)는 센서부(110)를 센싱모드 또는 유지보수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술한 센싱모드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10)가 선로 측에 위치하여, 스크린 도어(20)와 전동차(10) 사이의 물체를 감지하는 것을 의미하고, 유지보수모드란,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10)가 승강장 측에 위치하여, 작업자가 승강장 측에서 센서부(110)를 보수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moving
도 3을 참조하면,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100)은 스크린 도어(20)의 상부에 고정되는 지그부(120) 및 센서부(110)가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승강장 및 선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스크류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3, the platform-based professional
예시적으로, 지그부(120)는 판형으로 형성되는 판형부(121) 및 판형부(121)의 양측부 중앙부에 하부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는 기둥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둥부(122)의 하단부는 스크린 도어(20)의 상부에 고정되고, 기둥부(122)의 사이로 센서부(110)가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판형부(121)의 하부에는 스크류부(131)가 위치하고, 센서부(110)는 스크류부(131)에 연결되어, 판형부(121)의 하부에서 스크류부(131)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스크류부(131)는 센서부(110)가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승강장 및 선로 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스크류부(131)는 둘레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센서부(110)는 스크류부(131)의 나사산에 나사볼트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부(110)는 스크류부(131)가 회전함에 따라 승강장 측 또는 선로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또한,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100)은 스크류부(131)의 승강장 측 단부에 연결되고, 센서부(110)를 이동시키는 센서이동레버(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latform access
다시 말해, 센서이동레버(132)는 승강장 측에 위치하며, 작업자는 센서이동레버(132)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센서부(110)를 승강장 측 또는 선로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100)은 별도의 구동부를 구비하여, 센서부(110)를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platform-specific
이를 위해, 이동부(130)는 스크류부(131)와 치합되어, 센서부(110)가 이동되도록 스크류부(131)를 회전시키는 모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터부는 센서부(1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지그부(120)에 장착될 수도 있다.The moving
예시적으로,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100)는 센싱모드와 유지보수모드를 변환하는 모드변환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작업자는 모드변환스위치의 버튼을 누름에 따라 센서부(110)를 승강장 측 또는 선로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platform-based professional
도 3을 참조하면,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100)은 센서부(110)에 연결되고, 승강장 및 선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platform-based professional
예시적으로, 가이드 레일(150)은 스크류부(131)의 양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으며, 스크류부(131)가 회전 시, 센서부(110)가 스크류부(131)를 따라 회전되지 않고, 가이드 레일(150)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부(110)는 이동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도 2의 (a)를 참조하면,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100)은 지그부(120)의 선로측 및 센서부(110)에 각각 위치하는 근접센서(111, 121)를 포함할 수 있다.2A and 2B, the pedestrian's pedestrian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100)은 센서부(110)가 지그부(120)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정상적인 센싱이 불가하므로, 근접센서(111, 121)를 지그부(120)의 선로측과 센서부(110)에 각각 설치할 수 있다.When the
또한, 근접센서(111, 121)는 서로 근접여부를 판단하여, 센서부(110)의 탈착유무에 대한 상태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100)은 근접센서(111)로부터 이상신호가 전송된 경우, 경보를 발생하여, 지상관제센터 또는 유지보수 작업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Also, the
또한,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100)은 전동차(10) 출발 신호를 현시하는 출발 신호기(미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tform-specific professional
출발 신호기는 전동차(10)의 도어 닫힘 정보 신호, 스크린 도어(20)의 닫힘 정보 신호, 및 센서부(110)의 물체 감지 신호를 조합하여 전동차(10)의 출발 신호를 현시할 수 있다.The start signal may be a start signal of the
예시적으로, 지상관제센터는 전동차(10)의 도어 닫힘 정보 신호, 스크린 도어(20)의 닫힘 정보 신호, 및 센서부(110)의 물체 감지 신호를 전달받고, 출발 신호기를 통해 기관사에게 출발정보를 통보할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ground control center receives the door closing information signal of the
다시 말해, 지상관제센터는 전동차(10)의 도어 및 스크린 도어(20)가 완전히 닫히고, 센서부(110)를 통해 전동차(10)와 스크린 도어(20) 사이에 이용객 또는 물체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 출발 신호기에 전동차(10) 출발 신호가 점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door of the
또한, 센서부(110)는 전동차(10)의 후미가 승강장을 완전히 빠져나갈 때까지 작동될 수있다.Also, the
다시 말해, 센서부(110)는 전동차(10)의 선두가 승강장을 진입할 때 동작을 시작하여, 전동차(10)의 후미가 승강장을 빠져 나가면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이때, 전동차(10)가 승강장을 빠져나가는 도중 센서부(110)로부터 물체가 검지되면 즉시 바상제동을 체결하여, 전동차(10)를 정지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100) 유지보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4, a method of maintaining a platform-specific professional
센서부(110)의 이상유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100)은 센서부(110)와 기타 각 구성요소에 대한 자체 점검을 통해 각 구성 요소의 이상 여부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대상 구성 요소에 대한 이상 징후를 감지한 경우, 이상 신호를 생성하여 지상관제센터로 송출할 수 있고, 지상관제센터에서는 이상신호에 따라 유지보수 작업자에게 이상정보를 통보할 수 있다. 또는, 지상관제센터는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시 시스템(100)의 모니터링을 위한 지령 신호를 전송하여 자체 진단을 수행하게 하거나, 직접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확인 신호를 전송하여 그 응답 여부에 기초하여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시 시스템(100)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Information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bnormality of the
단계(S100)에서는,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100)의 이동부(130)를 작동하여 센서부(110)를 승강장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step S100, the moving
다시 말해, 작업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이동레버(132)를 회전시켜 센서부(110)를 선로 측으로부터 승강장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작업자는 모드변환스위치를 유지보수모드로 전환하여, 센서부(110)를 선로 측으로부터 승강장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operator can move the
단계(S200)에서는, 센서부(110)에 대한 점검 또는 유지 관리를 수행한 후, 이동부(130)를 작동하여, 센서부(110)를 선로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센서부(110)의 교체, 수리, 또는 이물질제거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In step S200, after the
또한, 작업자는 센서이동레버(132)를 회전시켜 센서부(110)를 승강장 측으로부터 선로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작업자는 모드변환스위치를 센싱모드로 전환하여, 센서부(110)를 승강장 측으로부터 선로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Also, the operator can move the
단계(S300)에서는, 근접센서(111)를 통해 센서부(110)의 탈착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작업자는 근접센서(111)를 통해 센서부(110)가 올바른 위치에 고정된 것을 확인한 후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다.In step S300, whether the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modify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전동차 20 : 스크린 도어
100 :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
110 : 센서부 111 : 근접센서
120 : 지그부 121 : 근접센서
130 : 이동부 131 : 스크류부
132 : 센서 이동레버
150 : 가이드 레일10: Electric train 20: Screen door
100: platform obstacle detection system
110: sensor part 111: proximity sensor
120: jig 121: proximity sensor
130: moving part 131: screw part
132: sensor shift lever
150: Guide rail
Claims (11)
승강장 안전문의 상부에 설치되고, 전동차와 스크린 도어 사이 공간에 이용객 또는 물체 유무를 감지하는 스캐너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승강장 측 또는 선로 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스크린 도어의 상부에 고정되는 지그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지그부에 장착되고, 상기 센서부가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승강장 및 선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스크류부를 포함하는 것인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
A platform-specific obstacle detection system comprising:
A sensor unit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latform safety door and having a scanner sensor for detecting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or an object in a space between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screen door;
A moving unit for moving the sensor unit to a landing side or a line side; And
And a jig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creen door,
The moving unit
And a screw portion mounted on the jig, the sensor portion being movably connected and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landing and the line.
상기 이동부는
상기 스크류부의 승강장 측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센서부를 이동시키는 센서이동레버를 더 포함하는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ving unit
And a sensor movement lever connected to an end portion of the screw portion on a landing side and moving the sensor portion.
상기 이동부는
상기 스크류부와 치합되어, 상기 센서부가 이동되도록 상기 스크류부를 회전시키는 모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ving unit
And a motor unit coupled to the screw unit to rotate the screw unit to move the sensor unit.
상기 센서부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장 및 선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인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t least one guide rail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and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landing and the line.
상기 지그부의 선로측 및 상기 센서부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센서부의 탈착유무를 확인하는 근접센서를 포함하는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roximity sensor located on the line side of the jig and the sensor unit, respectively, for checking whether the sensor unit is detached or not.
상기 전동차의 도어 닫힘 정보 신호, 상기 스크린 도어의 닫힘 정보 신호, 및 상기 센서부의 물체 감지 신호를 조합하여 전동차 출발 신호를 현시하는 출발 신호기를 더 포함하는 것인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art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train start signal by combining a door closing information signal of the train, a closing information signal of the screen door, and an object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전동차의 후미가 상기 승강장을 완전히 빠져나갈 때까지 작동하는 것인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unit
And the trailing edge of the electric train is operated until the platform completely escapes from the platform.
승강장 측에 위치하고, 승강장 및 스크린 도어를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camera units located on a landing side and photographing a landing platform and a screen door.
스크린 도어의 상부에 고정된 지그부에 장착된 이동부를 작동하여, 센서부를 승강장 측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부에 대한 점검 또는 유지 관리를 수행한 후, 상기 이동부를 작동하여, 상기 센서부를 선로 측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센서부가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승강장 및 선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스크류부를 포함하는 것인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 유지보수 방법.
A method for maintenance of a platform safety obstacle detection system,
Operating a moving part mounted on a jig fixed to an upper part of the screen door to move the sensor part to a landing side; And
And performing the inspection or maintenance of the sensor unit and then moving the sensor unit to the line side by operating the moving unit,
The moving unit
And a screw portion movably connected to the sensor portion and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landing and the line.
근접센서를 통해 상기 센서부의 탈착유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 유지보수 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sensor unit is detached or not via the proximity sens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4523A KR101762749B1 (en) | 2016-11-01 | 2016-11-01 | Monitoring system for platform screen do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4523A KR101762749B1 (en) | 2016-11-01 | 2016-11-01 | Monitoring system for platform screen do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62749B1 true KR101762749B1 (en) | 2017-07-28 |
Family
ID=59422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44523A Active KR101762749B1 (en) | 2016-11-01 | 2016-11-01 | Monitoring system for platform screen do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6274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0577Y1 (en) | 2018-06-28 | 2019-12-03 | 대구도시철도공사 | Platform screen door remote monitoring system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34428A (en) * | 2001-02-09 | 2002-08-20 | Sunx Ltd | Safety confirming device for platform protective barrier device |
KR200355804Y1 (en) * | 2004-02-17 | 2004-07-09 | 시엔에이전기 주식회사 | Safety Apparatus for Train Platform |
-
2016
- 2016-11-01 KR KR1020160144523A patent/KR10176274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34428A (en) * | 2001-02-09 | 2002-08-20 | Sunx Ltd | Safety confirming device for platform protective barrier device |
KR200355804Y1 (en) * | 2004-02-17 | 2004-07-09 | 시엔에이전기 주식회사 | Safety Apparatus for Train Platform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0577Y1 (en) | 2018-06-28 | 2019-12-03 | 대구도시철도공사 | Platform screen door remote monitoring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66241B1 (en) | Platform screen door system | |
KR101832918B1 (en) | Simulation system for autonomous driving | |
CN103269914A (en) | Method for automatic operation of vehicle closure elements and corresponding device and vehicle | |
CN101233037B (en) | Method and device for stopping broken door | |
JP2004527675A (en) | Safety device controlled by camera | |
EP2484576B1 (en) | Train stop detection system | |
US11845478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door error detection | |
KR101614861B1 (en) | Platform safety scaffolding and an electric train signal control system | |
KR20170069212A (en) | Door system with sensor unit for contactless passenger monitoring | |
CN102092404A (en) | Device for preventing and detecting the falling of an object on a railway line,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falling of an object on the line | |
US9466164B2 (en) | Monitoring and control device for a door unit | |
CN1860054A (en) | Device for controlling a platform door located on the guideway of a track-bound vehicle | |
KR101014256B1 (en) | Safety device of platform screen door | |
KR101762749B1 (en) | Monitoring system for platform screen door | |
KR101531701B1 (en) | Articulated Platform Screendoor | |
RU2498918C2 (en) | Track-mounted vehicle with sensor | |
CN107848543A (en) | For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door release signal for generating protective door | |
EP1849679B1 (en) | Safety system for railroad level-crossing | |
KR101871862B1 (en) |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door for train | |
KR20200041078A (en) |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warning railway platform | |
JP2011084206A (en) | Train approach advance detection apparatus and door controller using the same | |
KR101874985B1 (en) | A fault prediction management system for automatic inspection unit using real-time encoder displacement monitoring | |
JP6430866B2 (en) | Entrance / exit equipment | |
KR101937791B1 (en) | Screen door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100936683B1 (en) | Railway vehicle door interlocking screen door control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11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7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7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