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62071B1 - 모르타르 주입장치 - Google Patents

모르타르 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071B1
KR101762071B1 KR1020160067513A KR20160067513A KR101762071B1 KR 101762071 B1 KR101762071 B1 KR 101762071B1 KR 1020160067513 A KR1020160067513 A KR 1020160067513A KR 20160067513 A KR20160067513 A KR 20160067513A KR 101762071 B1 KR101762071 B1 KR 101762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rtar
power shaft
power
shaft
vibr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관순
Original Assignee
임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관순 filed Critical 임관순
Priority to KR1020160067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0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07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165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finishing joints, e.g. implements for raking or filling joints, join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1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inj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르타르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모르타르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마련되면서, 일측에는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하는 토출관이 구비되는 본체하우징과, 상기 본체하우징의 타측에 구비되며, 작동모터와, 상기 작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동력축과, 상기 동력축과 기어결합되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력발생부의 감속기에 연결되어, 동력축의 회전시 동력축보다 저속으로 회전하면서 저장된 모르타르가 토출될 수 있게 이송력을 제공하는 이송부재 및 상기 동력발생부의 동력축에 직결되어, 동력축의 회전시 동력축과 동일하게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토출되는 모르타르에 진동력을 제공하는 진동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의 시공이나 보수시 구멍이나 갈라진 틈새 등 비좁은 공간에 모르타르를 효율적으로 주입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르타르 주입장치 {Mortar injection device}
본 발명은 모르타르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시공이나 보수시 구멍이나 갈라진 틈새 등 비좁은 공간에 모르타르를 주입할 수 있으며, 특히 단일의 동력원을 통해 발생하는 이송력과 진동력을 통해 모르타르를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주입할 수 있는 모르타르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시공할 때나 보수할 때 벽체와 문틀, 창문틀 사이 혹은 천장이나 바닥면 사이 등이나 갈라진 벽돌이나 타일 사이 등과 같이 좁은 구멍이나 틈새에 시멘트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충진해야 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된다.
그런데 이러한 비좁은 틈새에는 공간의 협소함이나 위치적인 제한으로 인해 거푸집과 같은 넓은 공간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다량으로 타설하는 레미콘이나 펌프차 등을 사용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종래에는 흙손 등과 같은 수작업 공구를 사용하여 모르타르를 밀어 넣어 충진시키는 방법으로 작업하였는 바, 구멍이나 틈새로 모르타르가 깊숙이 그리고 고밀도로 균일하게 충진되지 못하였고, 모르타르를 충진하는 작업 또한 불편하였으며, 주입과정에서 다량의 모르타르가 바닥으로 떨어져서 모르타르의 손실이 발생되는 등 충진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하였다
한편, 상기한 수작업을 통한 충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공기압이나 펌핑을 이용하여 모르타르를 충진하는 장치들이 제안되었는데, 이러한 종래의 충진장치들은 수작업에 비하여 모르타르 손실을 줄이고 작업성을 일정부분 향상시키기는 하지만, 공기압이나 펌핑압만으로 밀어 모르타르를 충진하므로 여전히 모르타르가 구멍이나 틈새 깊숙이 고밀도로 균일하게 충진되기 어려워서 충진효율성나 안전성에 있어서는 한계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제10-0650157호 : 모르타르 주입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건축물의 구멍이나 틈새에 모르타르를 원활하게 주입할 수 있으면서, 특히 작동모터에 의해 발생하는 이송력과 진동력에 의해 모르타르가 주입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모르타르를 틈새 깊숙이 고밀도로 균일하게 주입할 수 있는 모르타르 주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내부에 모르타르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마련되면서, 일측에는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하는 토출관이 구비되는 본체하우징과, 상기 본체하우징의 타측에 구비되며, 작동모터와, 상기 작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동력축과, 상기 동력축과 기어결합되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력발생부의 감속기에 연결되어, 동력축의 회전시 동력축보다 저속으로 회전하면서 저장된 모르타르가 토출될 수 있게 이송력을 제공하는 이송부재 및 상기 동력발생부의 동력축에 직결되어, 동력축의 회전시 동력축과 동일하게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토출되는 모르타르에 진동력을 제공하는 진동부재를 포함하는 모르타르 주입장치가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감속기에 연결되어 저장공간의 내부로 연장되며, 외주면에는 스크류가 형성되어, 저장된 모르타르를 토출관으로 이송시키는 메인이송축과, 상기 메인이송축의 선단에 결합되어 토출관의 외부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연장되며, 외주면에는 스크류가 형성되어, 이송된 모르타르를 토출시키는 토출이송축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재는 상기 메인이송축의 내부를 따라 배치된 동력축의 선단에 직결되어 상기 토출이송축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상기 토출이송축에 진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부재는 상기 동력축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토출이송축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는 진동봉과, 상기 진동봉의 외주면에 편심되게 형성되어 진동봉의 회전시 진동을 유도하는 진동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르타르 주입장치에 의하면,
건축물의 시공이나 보수작업시 위치적인 제한을 받지 않고 구멍이나 틈새에 모르타르를 간편하고 원활하게 주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작동모터에 의해 발생하는 이송력에 의해 모르타르가 토출됨과 함께 진동력이 토출되는 모르타르에 가해지게 되므로 주입되는 모르타르에서 기포가 제거되면서 모르타르가 균일하면서 고밀도로 주입되어 주입의 효율성과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르타르 주입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진동부재의 구성을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르타르 주입장치의 사용을 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르타르 주입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구비되어”, “연결되어”, “결합되어”, “형성되어”, “설치되어”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구비, 연결, 결합, 형성,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르타르 주입장치가 예시되어 있는 바, 상기 도면들에 예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르타르 주입장치는 본체하우징(10)과, 동력발생부(20)와, 이송부재(30)와, 진동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하우징(10)은 내부에 모르타르(M)가 저장될 수 있도록 저장공간(11)이 마련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주입 대상이 되는 모르타르(M)는 시멘트 모르타르, 콘크리트 모르타르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체하우징(10)의 일측에는 상기 저장공간(11)에 저장된 모르타르가 토출되는 토출관(12)이 구비된다.
상기 토출관(12)은 본체하우징(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모르타르가 주입되는 구멍이나 틈새에 따라 상이한 사이즈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나사결합 등을 통해 본체하우징(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하우징(10)은 내부의 저장공간(11)으로 모르타르를 투입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상부에는 개방된 투입구가 마련되면서 상기 투입구에는 개폐를 위한 하우징뚜껑(13)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토출관(12)의 반대쪽 외면에는 작업자의 용이한 파지를 위한 손잡이(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발생부(20)는 후술하는 이송부재(30) 및 진동부재(40)에 이송력과 진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동력원이다.
상기 동력발생부(20)는 상기 토출관(12)이 구비된 반대쪽, 즉 본체하우징(10)의 타측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동력발생부(20)는 작동모터(21)와, 동력축(22)과, 감속기(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모터(21)는 전원의 인가에 따라 작동되며, 상기 동력축(22)은 상기 작동모터(21)의 작동에 따라 회전된다.
상기 동력축(22)은 상기 본체하우징(10)의 저장공간(11)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데, 후술하는 이송부재(30)의 메인이송축(31) 내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23)는 상기 동력축(22)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후술하는 상기 이송부재(3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요소이다.
상기 감속기(23)는 작동모터(21)의 선단에 구비되면서 내부를 관통하는 상기 동력축(22)과 기어결합되며, 내부에 구성된 다수의 기어조합을 통해 상기 동력축(22)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게 된다. 다만, 이러한 감속기(23)는 당해기술분야에 다양한 구성이 공지되어 있는 바, 공지된 다양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으며,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이송부재(30)는 상기 저장공간(11)에 저장된 모르타르(M)에 이송력을 제공하여 모르타르(M)가 토출관(12)을 통해 토출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송부재(30)는 메인이송축(31)과, 토출이송축(32)과, 스크류(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이송축(31)은 동력축(22)에 바로 연결되지 않고 상기 감속기(23)에 연결되며, 따라서 메인이송축(31)은 동력축(22)의 회전속도보다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이송축(31)은 일단이 감속기(23)에 연결되면서 타단은 저장공간(11)의 내부로 연장되게 배치되며, 그 내부에는 전술한 것처럼 상기 동력축(22)이 배치되는 바, 작동모터(21)의 작동시에 내부의 동력축(22)과 외부의 메인이송축(31)은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고속과 저속으로 회전속도를 달리하여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토출이송축(32)은 상기 메인이송축(31)의 선단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토출관(12)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어 타단이 토출관(12)의 외부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토출이송축(32)은 토출관(12)의 내부를 통과하므로 상기 메인이송축(31)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며, 또한 전술한 토출관(12)처럼 필요에 따라 사이즈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메인이송축(31)의 선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출이송축(32)은 메인이송축(31)에 결합되므로 메인이송축(31)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또한, 토출이송축(32)은 후술하는 것처럼 내부에 배치된 진동부재(40)로부터 진동력을 전달받아 진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따라서 진동이 용이하게 발생하도록 얇은 판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류(33)는 상기 메인이송축(31)과 토출이송축(32) 각각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메인이송축(31)과 토출이송축(32)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모르타르(M)가 토출될 수 있게 이송력을 제공한다.
즉, 메인이송축(31)의 스크류(33)는 저장공간(11)의 모르타르(M)를 토출관(12)으로 이송시키고, 토출이송축(32)의 스크류(33)는 이송된 모르타르(M)를 토출관(12) 외부로 토출시킨다.
상기 메인이송축(31)에 형성되는 스크류(33)가 토출이송축(32)에 형성되는 스크류(3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의 이송부재(30)는 작동모터(21)에 의해 회전되는 동력축(22)보다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회전되면서, 모르타르의 이송에 적절한 속도로 회전되면서 모르타르(M)에 이송력을 제공하여 모르타르(M)가 토출관(12)을 통해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진동부재(40)는 상기 이송부재(30)에 의해 이송 토출되는 모르타르(M)에 진동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진동부재(40)는 상기 메인이송축(31)의 내부를 따라 배치된 상기 동력축(22)의 선단에 직접 결합되면서 상기 토출이송축(32)의 내부를 따라 배치된다.
그에 따라 진동부재(40)는 동력축(22)의 회전시 동력축(22)과 동일하게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진동부재(40)의 진동은 토출이송축(32)으로 전달되어 토출되는 모르타르(M)에 진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진동부재(40)는 도 2에 일 예시된 것처럼 진동봉(41)과 진동추(41)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봉(41)은 상기 동력축(22)의 선단에 결합되면서 토출이송축(32)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진동추(42)는 일정한 무게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진동봉(41)의 외주면에 편심되게 형성된다.
상기 진동추(42)가 진동봉(41)의 외주면에 편심되게 구비되므로 진동봉(41)은 전체적인 무게중심이 회전의 축에서 편심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진동봉(41)은 고속으로 회전됨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르타르 주입장치의 구성을 설명하였는 바,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그 작동에 대하여 간단하게 살펴본다.
먼저, 본체하우징(10)의 내부 저장공간(11)에 모르타르가 투입되어 저장된 상태에서 모르타르를 주입할 구멍이나 틈새 내부로 토출관(12)을 삽입시킨 후, 동력발생부(20)의 작동모터(21)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작동모터(21)의 작동에 따라 동력축(22)이 고속으로 회전이 된다.
이러한 동력축(22)의 회전과 동시에, 감속기(23)를 통해 동력축(22)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이송부재(30)는 저속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며, 그에 따라 메인이송축(31)과 토출이송축(32)이 함께 회전되면서 스크류(33)에 의해 저장된 모르타르가 토출관(12)을 통해 구멍이나 틈새 내부로 토출됨으로써 모르타르(M)의 주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동력축(22)의 회전과 동시에 진동부재(40)도 동력축(22)과 함께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러한 진동부재(40)의 진동이 토출이송축(32)으로 전달되어 모르타르(M)에 진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토출되는 모르타르 및 구멍이나 틈새에 채워지는 모르타르에 진동이 가해지게 되므로 모르타르에 포함된 기포층이 제거되면서 모르타르가 고밀도로 균일하게 주입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모르타르 주입장치는 건축물의 시공이나 보수작업시 위치적인 제한을 받지 않고 구멍이나 틈새에 모르타르를 간편하고 원활하게 주입할 수 있으면서, 특히, 작동모터가 작동되면 이송부재는 모르타르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한 감속된 속도로 회전되면서 이송력을 제공하고, 진동부재는 모터의 속도 그대로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진동을 발생시켜 주입되는 모르타르에서 기포를 제거하므로, 모르타르가 균일하면서 고밀도로 주입되어 주입의 효율성과 안정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 본체하우징 11: 저장공간
12: 토출관 20: 동력발생부
21: 작동모터 22: 동력축
23: 감속기 30: 이송부재
31: 메인이송축 32: 토출이송축
33: 스크류 40: 진동부재
41: 진동봉 42: 진동추

Claims (3)

  1. 내부에 모르타르(M)가 저장되는 저장공간(11)이 마련되면서, 일측에는 상기 저장공간(11)과 연통하는 토출관(12)이 구비되는 본체하우징(10);
    상기 본체하우징(10)의 타측에 구비되며, 작동모터(21), 상기 작동모터(21)에 의해 회전되는 동력축(22)과, 상기 동력축(22)과 기어결합되는 감속기(23)를 포함하는 동력발생부(20);
    상기 동력발생부(20)의 감속기(23)에 연결되어, 동력축(22)의 회전시 동력축(22)보다 저속으로 회전하면서 저장된 모르타르(M)가 토출될 수 있게 이송력을 제공하는 이송부재(30);
    상기 동력발생부(20)의 동력축(22)에 직결되어, 동력축(22)의 회전시 동력축(22)과 동일하게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토출되는 모르타르(M)에 진동력을 제공하는 진동부재(40);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재(30)는 상기 감속기(23)에 연결되어 저장공간(11)의 내부로 연장되며, 외주면에는 스크류(33)가 형성되어, 저장된 모르타르(M)를 토출관(12)으로 이송시키는 메인이송축(31)과, 상기 메인이송축(31)의 선단에 결합되어 토출관(12)의 외부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연장되며, 외주면에는 스크류(33)가 형성되어, 이송된 모르타르(M)를 토출시키는 토출이송축(32)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재(40)는 상기 메인이송축(31)의 내부를 따라 배치된 동력축(22)의 선단에 직결되어 상기 토출이송축(32)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상기 토출이송축(32)에 진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르타르 주입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재(40)는 상기 동력축(22)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토출이송축(32)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는 진동봉(41)과, 상기 진동봉(41)의 외주면에 편심되게 형성되어 진동봉(41)의 회전시 진동을 유도하는 진동추(42)를 포함하는 모르타르 주입장치.
KR1020160067513A 2016-05-31 2016-05-31 모르타르 주입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762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513A KR101762071B1 (ko) 2016-05-31 2016-05-31 모르타르 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513A KR101762071B1 (ko) 2016-05-31 2016-05-31 모르타르 주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2071B1 true KR101762071B1 (ko) 2017-07-27

Family

ID=59427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513A Expired - Fee Related KR101762071B1 (ko) 2016-05-31 2016-05-31 모르타르 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20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69517B1 (ko) * 2023-12-21 2025-02-19 주식회사 새움씨앤씨 진동모터를 이용한 협소부 콘크리트 몰탈 타설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9670A (ja) * 2001-10-22 2003-05-08 Denki Kagaku Kogyo Kk 補修吹付け工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9670A (ja) * 2001-10-22 2003-05-08 Denki Kagaku Kogyo Kk 補修吹付け工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69517B1 (ko) * 2023-12-21 2025-02-19 주식회사 새움씨앤씨 진동모터를 이용한 협소부 콘크리트 몰탈 타설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1585B1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への注入充填材の注入方法及びその注入器
WO2012106325A1 (en) Concrete vibrator head
KR20110009021U (ko) 타일 작업용 모르타르 공급기
KR101762071B1 (ko) 모르타르 주입장치
KR101984401B1 (ko) 복합재료용 3d 프린터헤드 어셈블리
CN106837900B (zh) 水泥路面碎石化设备的电液式激振器
JP2019152048A (ja) 回転機構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締固めバイブレータ
RU2557815C2 (ru) Бетононасос и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величины давления качательного привода в бетононасосе
KR101269157B1 (ko) 베이스 코팅용 용액의 혼합 장치
JP2014201907A (ja) 土壌改良材注入工法およびその装置
CN113323400A (zh) 一种混凝土振捣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247644B1 (ko) 진동 다짐기의 배기장치
KR101179241B1 (ko) 회전식 주입재 진동 주입장치
JPH11210393A (ja) トンネル用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11236667A (ja) コンクリートバイブレータ
CN205421943U (zh) 一种凸轮式电动液压注浆机
CN109571710A (zh) 一种陶瓷注浆成型机及方法
CN207273519U (zh) 一种螺旋混凝土振动装置
KR100964894B1 (ko) 콘크리트 표면 결함 제거장치
KR200189899Y1 (ko) 유압식 바이브레이터
CN204163352U (zh) 泵送装置及其振动送料机构
CN207597880U (zh) 一种混凝土振动棒
CN205421993U (zh) 一种对置式双凸轮电动液压注浆机
NL2023957B1 (en) Vibrating cement injector
CN212802598U (zh) 一种建筑施工用插入式振捣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7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7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