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61947B1 -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blooming of camera image - Google Patents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blooming of camera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1947B1
KR101761947B1 KR1020120141276A KR20120141276A KR101761947B1 KR 101761947 B1 KR101761947 B1 KR 101761947B1 KR 1020120141276 A KR1020120141276 A KR 1020120141276A KR 20120141276 A KR20120141276 A KR 20120141276A KR 101761947 B1 KR101761947 B1 KR 101761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gamma
blooming
gray level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12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73248A (en
Inventor
권태현
민경중
김규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1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1947B1/en
Publication of KR20140073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2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947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1Circuitry for evaluating the brightness var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2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controlling camera response irrespective of the scene brightness, e.g. gamma cor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카메라 영상의 블루밍 저감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카메라 영상의 블루밍 저감 장치는, 입력 영상에 대해 설정된 관심 영역(ROI)에 포함된 각 화소에 대해 미리 지정된 그레이 레벨 구분에 따른 화소의 빈도수를 산출하는 제1 히스토그램 검출부; 상기 그레이 레벨 구분에 따른 화소의 빈도수를 참조하여 미리 설정된 고휘도 레벨 범위에 포함되는 화소의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고휘도 레벨 범위에 포함된 화소의 비율이 미리 지정된 설정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로서 블루밍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히스토그램 분석부; 및 블루밍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입력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센서부의 자동노출(AE)의 타겟값을 단계적으로 조정하는 자동 노출 조정부; 상기 영상 센서부로부터 제공되는 입력 영상을 감마 보정한 영상의 평균 밝기를 산출하는 제2 히스토그램 분석부; 상기 감마 보정된 영상의 평균 밝기가 블루밍 발생 이전의 입력 영상의 평균 밝기와 소정의 범위 내에서 일치되도록 감마 곡률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제2 히스토그램 분석부; 및 상기 제1 히스토그램 분석부에 의해 결정된 니포인트 및 상기 조정된 감마 곡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센서부로부터 제공되는 입력 영상을 감마 보정하기 위한 상기 신규 감마 곡선을 계산하는 감마 곡선 변환부를 포함한다.A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blooming of a camera image are disclosed. A blooming reduction apparatus of a camera image includes a first histogram detection unit for calculating a frequency of pixels in accordance with a gray level classification predetermined for each pixel included in a ROI set for an input image; Calculating a ratio of pixels included in a predetermined high brightness level range by referring to the frequency of pixels in accordance with the gray level classification, and determining whether a ratio of pixels included in the calculated high brightness level range exceeds a predetermined set value, A first histogram analyz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image is generated; And an automatic exposur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target value of automatic exposure (AE) of the image sensor unit to provide an input image step by step when it is determined that blooming has occurred. A second histogram analyzer for calculating an average brightness of a gamma-corrected image of an input image provided from the image sensor; A second histogram analyzer configured to adjust a gamma curvature parameter such that an average brightness of the gamma corrected image coincides with an average brightness of an input image before occurrence of blooming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a gamma curve converting unit for calculating the new gamma curve for gamma correction of an input image provided from the image sensor unit using the knee point determined by the first histogram analyzing unit and the adjusted gamma curvature parameter.

Figure R1020120141276
Figure R1020120141276

Description

카메라 영상의 블루밍 저감 방법 및 장치{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blooming of camera imag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blooming of a camera image,

본 발명은 카메라 영상의 블루밍 저감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blooming of a camera image.

최근 차량 운행 중의 운전자 편의와 안전을 향상 시키기 위해 자동차의 전,후방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운전석 계기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운전자가 촬영된 영상을 확인하거나 차량 주변의 사물 및 차선 등을 인식하여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등의 다양한 시스템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In order to improve driver comfort and safety during the recent driving of a vehicle, a camera is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A driver displays a captured image through a display provided on the driver's instrument panel, recognizes objects and lanes around the vehicle, And a variety of systems are being researched and developed.

통상적으로 카메라에는 백라이트(Backlight)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며, 백라이트 기능은 촬영 영상 내에 고휘도 영역과 저휘도 영역이 함께 존재하는 경우, 저휘도 영역에 가중치를 두어 아이리스 오픈(IRIS Open) 및 게인 업(Gain Up) 등과 같은 백라이트 보상(Backlight Compensation)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In general, a camera has a backlight function. When a high luminance area and a low luminance area coexist in a photographed image, a backlight function is applied to a low luminance area with a weighted value, and iris opening (IRIS open) and gain up Up) or the like is performed.

이에 따라, 백라이트 보상 동작이 수행되면 저휘도 영역의 휘도 레벨이 증가하게 되어, 사용자가 어두운 피사체를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되는 데, 이때 고휘도 영역의 휘도 레벨이 같이 증가하게 되어 밝은 피사체가 포화된 것처럼 보이는 블루밍(Blooming)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backlight compensation operation is performed, the brightness level of the low brightness area is increased, and the user can normally recognize the dark subject. At this time, the brightness level of the high brightness area increases as if the bright subject is saturated A visible blooming phenomenon occurs.

이와 같이, 촬상 소자를 이용하여 촬영되는 카메라 영상의 경우, 야간의 저조도 환경에서 마주 오는 차량의 헤드라이트 등과 같은 고휘도 영역에서 강한 블루밍 현상이 발생하고, 이에 따른 입력 영상의 포화로 인하여 카메라 영상이 운전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거나 영상에서 차선이나 사물을 인식하는 데에 어려움이 발생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a camera image photographed using an image pickup device, a strong blooming phenomenon occurs in a high luminance region such as a headlight of an opposite vehicle in a nighttime low illuminance environment, and due to saturation of the input image, Or difficulty in recognizing lanes or objects in the image.

따라서, 저조도 환경에서 촬영되는 카메라 영상 등에 대해 블루밍 현상을 적절하게 저감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appropriately reducing the blooming phenomenon for a camera image or the like photographed in a low-illuminance environment.

본 발명은 야간 환경에서 사물이나 보행자 인식을 위해 사용되는 전장용 카메라 출력 영상의 블루밍을 저감할 수 있는 카메라 영상의 블루밍 저감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blooming of a camera image, which can reduce blooming of a camera output image used for recognition of objects or pedestrians in a nighttime environment.

본 발명은 저조도 환경에서 촬영되는 카메라 영상 및 전장용 나이트 비전 카메라 영상에 대하여 전체 영상의 밝기 손실을 작게 한 상태에서 차량의 헤드라이트에 의하여 발생되는 블루밍을 적절하게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영상의 블루밍 저감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image captured in a low-illuminance environment and a night vision camera image captured in a low-illuminated environment, in which a blooming caused by a headlight of a vehicle is appropriately reduced, And to provide a reduction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 내에 존재하는 과포화 영역인 블루밍을 효율적으로 저감하는 동시에 영상의 어두운 영역에 존재하는 피사체를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블루밍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영상 밝기를 개선할 수 있는 카메라 영상의 블루밍 저감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order to efficiently reduce blooming, which is a supersaturation region existing in an image, and to allow a subject existing in a dark region of the image to be recognized norm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looming And to provide a reduction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readily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카메라 영상의 블루밍 저감 장치에 있어서, 입력 영상에 대해 설정된 관심 영역(ROI)에 포함된 각 화소에 대해 미리 지정된 그레이 레벨 구분에 따른 화소의 빈도수를 산출하는 제1 히스토그램 검출부; 상기 그레이 레벨 구분에 따른 화소의 빈도수를 참조하여 미리 설정된 고휘도 레벨 범위에 포함되는 화소의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고휘도 레벨 범위에 포함된 화소의 비율이 미리 지정된 설정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로서 블루밍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히스토그램 분석부; 블루밍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입력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센서부의 자동노출(AE)의 타겟값을 단계적으로 조정하는 자동 노출 조정부; 상기 영상 센서부로부터 제공되는 입력 영상을 감마 보정한 영상의 평균 밝기를 산출하는 제2 히스토그램 분석부; 상기 감마 보정된 영상의 평균 밝기가 블루밍 발생 이전의 입력 영상의 평균 밝기와 소정의 범위 내에서 일치되도록 감마 곡률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제2 히스토그램 분석부; 및 상기 제1 히스토그램 분석부에 의해 결정된 니포인트 및 상기 조정된 감마 곡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센서부로부터 제공되는 입력 영상을 감마 보정하기 위한 상기 신규 감마 곡선을 계산하는 감마 곡선 변환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영상의 블루밍 저감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looming reduction apparatus for a camera image, the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histogram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 frequency of pixels in accordance with a gray level classification previously designated for each pixel included in a ROI set for an input image; A detection unit; Calculating a ratio of pixels included in a predetermined high brightness level range by referring to the frequency of pixels in accordance with the gray level classification, and determining whether a ratio of pixels included in the calculated high brightness level range exceeds a predetermined set value, A first histogram analyz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image is generated; An automatic exposur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target value of the automatic exposure (AE) of the image sensor unit to provide an input image step by step when it is determined that blooming has occurred; A second histogram analyzer for calculating an average brightness of a gamma-corrected image of an input image provided from the image sensor; A second histogram analyzer configured to adjust a gamma curvature parameter such that an average brightness of the gamma corrected image coincides with an average brightness of an input image before occurrence of blooming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a gamma curve converting unit for calculating the new gamma curve for gamma correction of an input image provided from the image sensor unit using the knee point determined by the first histogram analyzing unit and the adjusted gamma curvature parameter A blooming reduction device for a camera image is provided.

상기 제1 히스토그램 분석부는 상기 자동 노출 조정부에 의해 타겟값 조절되어 입력되는 입력 영상에서 검출된 히스토그램 중 미리 지정된 그레이 레벨 범위에서 화소 빈도수가 가장 높은 그레이 레벨의 최소 그레이 레벨값을 신규 감마 곡선 계산을 위한 니포인트(Knee-point)로 결정할 수 있다.The first histogram analyzing unit may calculate a minimum gray level value of a gray level having a highest pixel frequency in a predetermined gray level range among the histograms detected in the input image adjusted by the target value adjusting unit by the automatic exposure adjusting unit, It can be determined as a Knee-point.

상기 제2 히스토그램 분석부는 상기 감마 보정한 영상의 평균 밝기를 산출하기 위해 영상의 포화 화소를 의미하도록 미리 지정된 그레이 레벨을 제외한 나머지 그레이 레벨들의 평균을 산출할 수 있다.The second histogram analyzing unit may calculate an average of the remaining gray levels excluding the gray level predetermined to mean saturated pixels of the image to calculate the average brightness of the gamma corrected image.

상기 제2 히스토그램 분석부는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감마 보정한 영상의 평균 밝기를 산출할 수 있다.The second histogram analyzing unit may calculate an average brightness of the gamma corrected image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12101462719-pat00001
Figure 112012101462719-pat00001

여기서, AVGB는 상기 감마 보정된 영상의 평균 밝기이고, n은 영상의 포화 화소를 의미하도록 미리 지정된 그레이 레벨을 제외한 나머지 그레이 레벨들의 개수이며, M_GrayLevel(i)는 각 그레이 레벨에 대한 휘도 레벨의 중간값이고, PB(i)는 해당 그레이 레벨에 대한 화소의 빈도수일 수 있다.
Here, AVG B is the average brightness of the gamma corrected image, n is the number of remaining gray levels excluding the gray level predetermined to mean saturated pixels of the image, M_GrayLevel (i) is the brightness level of each gray level And PB (i) may be the frequency of pixels for the gray level.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카메라 영상의 블루밍 저감 장치에서 수행되는 블루밍 저감 방법에 있어서, 입력 영상에 대해 설정된 관심 영역(ROI)에 포함된 각 화소에 대해 미리 지정된 그레이 레벨 구분에 따른 화소의 빈도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그레이 레벨 구분에 따른 화소의 빈도수를 참조하여 미리 설정된 고휘도 레벨 범위에 포함되는 화소의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고휘도 레벨 범위에 포함된 화소의 비율이 미리 지정된 설정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로서 블루밍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블루밍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입력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센서부의 자동노출(AE)의 타겟값을 단계적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영상의 블루밍 저감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looming reduction method performed by a blooming reduction apparatus of a camera image, the method comprising: calculating a frequency of a pixel according to a gray level classification predetermined for each pixel included in a ROI ; Calculating a ratio of pixels included in a predetermined high brightness level range by referring to the frequency of pixels in accordance with the gray level classification, and determining whether a ratio of pixels included in the calculated high brightness level range exceeds a predetermined set value, Judging whether or not it has occurred; And adjusting the target value of the automatic exposure (AE) of the image sensor unit providing the input image in a stepwise manner if it is determined that blooming has occurred.

상기 타겟값의 조절 후 입력되는 입력 영상에서 검출된 히스토그램 중 미리 지정된 그레이 레벨 범위에서 화소 빈도수가 가장 높은 그레이 레벨의 최소 그레이 레벨값을 신규 감마 곡선 계산을 위한 니포인트(Knee-point)로 결정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A minimum gray level value of a gray level having a highest pixel frequency in a predetermined gray level range is determined as a knee point for calculating a new gamma curve from the histogram detected in the input image after the adjustment of the target value Steps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영상 센서부로부터 제공되는 입력 영상을 감마 보정한 영상의 평균 밝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감마 보정된 영상의 평균 밝기가 블루밍 발생 이전의 입력 영상의 평균 밝기와 소정의 범위 내에서 일치되도록 감마 곡률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니포인트 및 상기 조정된 감마 곡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센서부로부터 제공되는 입력 영상을 감마 보정하기 위한 상기 신규 감마 곡선을 계산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Calculating an average brightness of a gamma-corrected image of an input image provided from the image sensor unit; Adjusting a gamma curvature parameter such that an average brightness of the gamma corrected image coincides with an average brightness of an input image before occurrence of blooming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calculating the new gamma curve for gamma correction of the input image provided from the image sensor unit using the determined knee point and the adjusted gamma curvature parameter.

상기 감마 보정한 영상의 평균 밝기는 영상의 포화 화소를 의미하도록 미리 지정된 그레이 레벨을 제외한 나머지 그레이 레벨들의 평균으로 산출될 수 있다.The average brightness of the gamma corrected image may be calculated as an average of the gray levels other than the predetermined gray level to mean saturated pixels of the image.

상기 감마 보정한 영상의 평균 밝기는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The average brightness of the gamma corrected image can be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12101462719-pat00002
Figure 112012101462719-pat00002

여기서, AVGB는 상기 감마 보정된 영상의 평균 밝기이고, n은 영상의 포화 화소를 의미하도록 미리 지정된 그레이 레벨을 제외한 나머지 그레이 레벨들의 개수이며, M_GrayLevel(i)는 각 그레이 레벨에 대한 휘도 레벨의 중간값이고, PB(i)는 해당 그레이 레벨에 대한 화소의 빈도수일 수 있다.
Here, AVG B is the average brightness of the gamma corrected image, n is the number of remaining gray levels excluding the gray level predetermined to mean saturated pixels of the image, M_GrayLevel (i) is the brightness level of each gray level And PB (i) may be the frequency of pixels for the gray level.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카메라 영상의 블루밍 저감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that can be read by a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is recorded for performing a blooming reduction method of a camera image.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야간 환경에서 사물이나 보행자 인식을 위해 사용되는 전장용 카메라 출력 영상의 블루밍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looming of the camera output image used for recognizing objects or pedestrians in the nighttime environment.

또한 저조도 환경에서 촬영되는 카메라 영상 및 전장용 나이트 비전 카메라 영상에 대하여 전체 영상의 밝기 손실을 작게 한 상태에서 차량의 헤드라이트에 의하여 발생되는 블루밍을 적절하게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lso an effect of appropriately reducing the blooming caused by the headlight of the vehicle in a state where the brightness loss of the entire image is reduced with respect to the camera image and the night vision camera image captured in the low-illuminance environment.

또한 영상 내에 존재하는 과포화 영역인 블루밍을 효율적으로 저감하는 동시에 영상의 어두운 영역에 존재하는 피사체를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블루밍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영상 밝기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the image brightness of an area other than the blooming area can be improved in order to efficiently reduce blooming, which is a supersaturation area existing in the image, and to normally recognize a subject in a dark area of the im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밍 저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심영역(ROI) 설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스토그램 검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노출(AE)의 타겟값(target value) 조정에 따른 블루밍 저감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출값 보정에 의한 블루밍 저감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노출의 타겟값 변동에 따른 전체 영상의 평균 밝기 감소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출된 니포인트와 감마 곡률의 변화에 따라 생성될 수 있는 다양한 감마 곡선을 예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밍 저감 처리에 의해 보정된 최종 영상과 보정 이전의 원본 영상을 비교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밍 저감 방법을 나타낸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looming mitig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 2 illustrates a ROI setting metho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llustrates a histogram detectio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graph showing a result of blooming reduction according to a target value adjustment of automatic exposure (A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a result of blooming reduction by exposure value cor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verage brightness reduction of a full image according to a target value variation of automatic exposur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llustrates various gamma curves that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variations in the calculated knee point and gamma curva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comparing a final image corrected by the Blooming reduc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n original image before correction.
9 illustrates a blooming mitigation metho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Also, the terms " part, "" unit," " module, "and the like, which ar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밍 저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심영역(ROI) 설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스토그램 검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노출(AE)의 타겟값(target value) 조정에 따른 블루밍 저감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출값 보정에 의한 블루밍 저감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노출의 타겟값 변동에 따른 전체 영상의 평균 밝기 감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출된 니포인트와 감마 곡률의 변화에 따라 생성될 수 있는 다양한 감마 곡선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밍 저감 처리에 의해 보정된 최종 영상과 보정 이전의 원본 영상을 비교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OI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OI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istogram detectio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graph showing a result of blooming reduction according to a target value adjustment of automatic exposure (A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verage brightness reduction of a whole image according to a target value variation of automatic expos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7 illustrates various gamma curves that can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calculated knee point and gamma curvature change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looming reduc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mparing the corrected final image with the original image before correction.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루밍 저감 장치는 두 개의 히스토그램 검출부(도 1의 제1 히스토그램 검출부(120) 및 제2 히스토그램 검출부(140) 참조)를 포함하여, 입력 영상으로부터 블루밍 발생 여부 및 촬영 영상의 밝기 분포를 판별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촬상 소자의 자동 노출값과 영상에 적용되는 감마 곡선의 기울기를 동시에 변환시킴으로써 촬영 영상에서 발생한 블루밍 현상을 억제하면서 또한 영상 내의 어두운 영역에 대한 밝기를 효과적으로 보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blooming mitig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wo histogram detection units (see the first histogram detection unit 120 and the second histogram detection unit 140 in FIG. 1) The brightness distribution of the photographed image is discriminated, and the automatic exposure value of the image sensing device and the gradient of the gamma curve applied to the image are simultaneously converted according to the result, thereby suppressing the blooming phenomenon occurring in the photographed image, It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corrected.

이하,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밍 저감 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blooming mitig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related drawings.

도 2를 참조하면, 블루밍 저감 장치는 영상 센서부(110), ROI 설정부(115), 제1 히스토그램 검출부(120), 제1 히스토그램 분석부(125), 자동 노출(AE) 조정부(130), 감마 곡선 보정부(135), 제2 히스토그램 검출부(140), 제2 히스토그램 분석부(145), 감마곡선 변환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2, the blooming mitigation apparatus includes an image sensor unit 110, an ROI setting unit 115, a first histogram detecting unit 120, a first histogram analyzing unit 125, an automatic exposure (AE) adjusting unit 130, A gamma curve correction unit 135, a second histogram detection unit 140, a second histogram analysis unit 145, and a gamma curve conversion unit 150.

ROI 설정부(115)는 영상 센서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에 블루밍이 존재하는지 정확히 판별하기 위해 관심 영역(ROI, Region of Interest)를 설정한다.The ROI setting unit 115 sets a region of interest (ROI)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blooming in an image input from the image sensor unit 110.

예를 들어 전장용 카메라인 경우, 블루밍 현상은 전방에서 마주 오는 차량인 대향 차량의 헤드라이트 부분에서 주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ROI 설정부(115)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대향 차량의 주행 경로를 중심으로 하여 관심 영역(ROI)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full-length camera, the blooming phenomenon occurs mainly in the headlight portion of the opposite vehicle, which is a vehicle coming from the front. Therefore, the ROI setting unit 115 can be configured to set the ROI around the traveling path of the opposite vehicle as illustrated in FIG.

관심 영역은 예를 들어 전체 영상에서 관심 영역의 시작 화소 좌표 (x,y)와 가로, 세로 길이를 결정함으로써 사각형 형태로 설정이 가능하다. 관심 영역은 카메라 장착 위치에 따라 임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영상에서 좌측 하단으로 약간 치우친 형태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The region of interest can be set to a rectangular shape, for example, by determining the starting pixel coordinates (x, y) an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lengths of the ROIs in the entire image. The region of interest may be set to any value depending on the camera mount position, but may generally be set to a slightly offset from the entire image to the lower left as shown in FIG.

제1 히스토그램 검출부(120)는 입력 영상에 대해 ROI 설정부(115)가 설정한 관심 영역에 포함된 각 화소에 대하여 영상의 그레이 레벨에 대한 빈도수를 산출한다. The first histogram detecting unit 120 calculates the frequency with respect to the gray level of the image for each pixel included in the ROI set by the ROI setting unit 115 with respect to the input image.

빈도수 산출 과정에서 복잡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0-255의 범위를 가지는 영상의 그레이 레벨의 간격을 8로 나누어 32 레벨로 설정한 상태에서 빈도수가 산출될 수 있다. In order to reduce the complexity in the frequency calculation process, the frequency can be calculated in a state where the interval of the gray level of the image having the range of 0-255 is divided by 8 and set to the 32 level as illustrated in FIG.

제1 히스토그램 분석부(125)는 검출된 히스토그램 분포를 바탕으로 블루밍 발생 여부를 판별하고, 후단에 적용된 감마 곡선의 니포인트(Knee-Point) 값을 설정한다.The first histogram analyzer 125 determines whether or not blooming has occurred based on the detected histogram distribution, and sets a knee-point value of the gamma curve applied to the subsequent stage.

도 3에는 히스토그램 검출 결과가 예시되어 있다. 제1 히스토그램 분석부(125)는 검출된 히스토그램의 분포를 이용하여 영상의 블루밍 발생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FIG. 3 illustrates histogram detection results. The first histogram analyzing unit 125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blooming of an image occurs by using the distribution of the detected histogram.

제1 히스토그램 분석부(125)는 제1 히스토그램 검출부(120)에 의해 산출된 각 그레이 레벨에 대한 빈도 수를 전체 레벨의 빈도 수에 대한 비율로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미리 지정된 최상위 고휘도 레벨에 포함되는 화소의 비율에 참조하여 해당 영상에 블루밍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first histogram analyzing unit 125 calculates the frequency of each gray level calculated by the first histogram detecting unit 120 as a ratio with respect to the frequency count of the entire level,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blooming has occurred in the corresponding image.

예를 들어, 최상위 고휘도 4레벨(즉, 그레이레벨 224 내지 255의 범위)에 해당하는 화소의 비율이 1% 이상의 값을 가지는 경우, 제1 히스토그램 분석부(125)는 해당 영상에 과도한 블루밍이 발생하였다고 판별할 수 있다. 물론, 촬상 영상의 조건에 따라 설정되는 고휘도 레벨과 그 화소 비율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For example, when the ratio of the pixels corresponding to the four highest levels of high brightness (i.e., the range of gray levels 224 to 255) is 1% or more, the first histogram analyzing unit 125 generates excessive blooming . Of cours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high luminance level set in accordance with the condition of the sensed image and the pixel ratio thereof can be variously changed.

일반적으로 영상에 블루밍 발생 등과 같은 포화된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후단에서 밝기를 보정하는 방법으로 포화 영역의 레벨값을 낮출 수는 있으나, 이미 과포화되어 손실된 영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는 없다. Generally, when a saturated region such as a blooming occurs in an image, the level value of the saturation region can be lowered by correcting the brightness at the subsequent stage, but it is impossible to restore the already oversaturated and lost image data.

따라서, 제1 히스토그램 분석부(125)에서 블루밍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자동 노출 조정부(130)는 영상 센서부(110)의 자동 노출(AE)의 타겟값(Target Value)을 단계적으로 낮춤으로써 1차적으로 블루밍의 크기가 저감하도록 동작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According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histogram analyzing unit 125 generates blooming, the automatic exposure adjusting unit 130 gradually reduces the target value of the automatic exposure (AE) of the image sensor unit 110 to 1 Thereby performing a function of reducing the size of blooming.

일반적으로 자동 노출(AE)의 설정된 타겟값이 높을수록 보다 많은 광량을 받을 수 있도록 셔터 속도와 조리개가 조정되어 영상의 밝기가 증가하며 저조도 환경의 경우, 게인값을 조정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를 증폭하여 출력시키게 된다. 따라서, 야간과 같은 저조도 환경에서는 기설정된 자동 노출의 타겟값으로 인하여 고휘도의 피사체가 접근시, 과도한 블루밍 현상이 야기될 수 있다.Generally, as the set target value of automatic exposure (AE) is higher, the shutter speed and aperture are adjusted so that the brightness of the image is increased. In the case of the low-illuminance environment, the gain value is adjusted to amplify the input image data . Therefore, in a low-illuminance environment such as a nighttime, due to a target value of a predetermined automatic exposure, an excessive blooming phenomenon may be caused when a subject of high luminance approaches.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블루밍 저감 장치는 제1 히스토그램 분석부(125)가 블루밍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예를 들어 히스토그램의 고휘도 4개 레벨에 분포하는 화소 비율이 1% 이상)한 경우, 자동 노출 조정부(130)가 블루밍 현상이 저감(즉, 히스토그램의 고휘도 4개 레벨에 분포하는 화소 비율이 1% 미만)되도록 자동 노출의 타겟값을 단계적으로 조정한다.Therefore, when the first histogram analyzing unit 125 determines that blooming has occurred (for example, the pixel ratio distributed in four levels of high brightness of the histogram is 1% or more), the blooming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erforms the automatic exposure The adjustment unit 130 gradually adjusts the target value of the automatic exposure so that the blooming phenomenon is reduced (that is, the pixel ratio distributed over the four levels of high brightness of the histogram is less than 1%).

도 4에는 자동 노출(AE)의 타겟값(target value) 조정에 따른 블루밍 저감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FIG. 4 shows a result of blooming reduction according to the target value adjustment of the automatic exposure (AE).

도 4를 참조하면, 자동 노출의 타겟값을 조정함으로써 블루밍 현상이 저감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블루밍 현상의 저감이라는 순기능 외에 전체 영상의 밝기가 점차 어두워지는 현상도 발생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blooming phenomenon is reduced by adjusting the target value of the automatic exposure. However, in addition to the pure function of reducing the blooming phenomenon, the brightness of the entire image may gradually become dark.

이러한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루밍 저감 장치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감마 곡선 보정부(135)가 감마 곡선을 새롭게 계산하여 적용함으로써 손실된 밝기를 자동 보정 처리할 수 있다. 자동 노출 조정부(130)가 적용하는 자동 노출(AE)의 타겟값은 예를 들어 최상위 고휘도 2개 레벨(그레이값이 240 내지 255에 해당하는 레벨)에 해당하는 화소의 비율이 이전 대비 50% 이상 감소되면 고휘도의 피사체가 영상에서 사라진 것으로 간주하여 기존에 설정되었던 자동 노출의 타겟값으로 복원시키며 이에 따른 감마 곡선도 원래의 값으로 자동 보정되도록 할 수 있다.To improve this phenomenon, the blooming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automatically correct the lost brightness by newly calculating and applying a gamma curve to the gamma curve correction unit 135 as described later. The target value of the automatic exposure (AE) applied to the automatic exposure adjusting unit 130 may be, for example, a ratio of pixels corresponding to two highest levels of high brightness (levels corresponding to 240 to 255 gray levels) It is considered that a high-luminance subject disappears from the image, thereby restoring the target value of the previously set automatic exposure, and thus the gamma curve can be automatically corrected to the original value.

제1 히스토그램 분석부(12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 내에 블루밍 현상의 존재 여부를 판별하는 기능뿐 아니라, 블루밍 발생시 히스토그램 분포를 분석하여 후단에 적용될 감마 곡선의 니포인트(Knee-Point)를 결정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니포인트는 임의의 특정 곡선에서 입력신호에 대한 출력신호의 변화 폭이 급격히 줄어드는 변곡점을 의미한다.The first histogram analyzing unit 125 analyzes not only the presence of a blooming phenomenon in the image but also the histogram distribution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blooming as described above to determine a knee point of a gamma curve to be applied to the subsequent stage Further functions can be performed. Here, the knee point means an inflection point at which the variation width of the output signal with respect to the input signal sharply decreases in an arbitrary specific curve.

일반적으로 야간이나 저조도 환경의 카메라 영상의 경우, 어두운 피사체의 영상이 입력되고 이를 후단의 감마 곡선 변환부(150)의 감마 곡선을 이용하여 입력 영상에 대한 출력 레벨을 변화시킴으로써 밝기를 보정한다. Generally, in the case of a camera image in a nighttime or low-illuminance environment, an image of a dark subject is input and the brightness is corrected by changing the output level of the input image using the gamma curve of the gamma curve converting unit 150 at the subsequent stag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밍이 발생한 제1 원본 영상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동 노출 조정부(130)의 노출값 보정 과정을 거쳐 블루밍이 저감되어 입력되고, 제1 히스토그램 분석부(125)는 노출값 보정에 의해 블루밍이 저감되어 입력된 제2 원본 영상에서 검출된 히스토그램 중 소정의 레벨들(예를 들어 최상위 4개 레벨)을 제외한 나머지 고휘도 영역에 해당하는 소정의 레벨들(예를 들어 그레이레벨 144 내지 223에 해당하는 10개의 레벨로서 19 내지 28 레벨)의 히스토그램 중 분포 비율이 가장 높은 레벨을 찾아 최소 그레이 레벨값을 적용될 감마 곡선의 니포인트(Knee-Point)로 결정한다. As shown in FIG. 5, the first original image generated by blooming is reduced and inputted through the exposure value correction process of the automatic exposure adjustment unit 130, and the first histogram analysis unit 125 calculates the exposure value correction (For example, gray levels 144 to 144)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high luminance areas excluding the predetermined levels (for example, the highest four levels) of the histogram detected in the input second original image, 223), and determines the minimum gray level value as the knee-point of the gamma curve to be applied.

도 5의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레벨 22 해당되는 최소 영상 그레이 레벨인 176의 값이 니포인트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센서부(110)에 의해 제공되는 촬영 영상은 감마 곡선 보정부(135)가 감마 곡선에 의한 밝기 보정을 수행한 후에도 블루밍의 크기나 고휘도 레벨의 포화가 크게 증가하지 않은 채 어두운 영역의 피사체의 밝기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Referring to the example of FIG. 5, a value of 176, which is the minimum image gray level of the level 22, can be determined as a knee point. Therefore, even after the gamma curve correction unit 135 performs the brightness correction using the gamma curve, the photographed image provided by the image sensor unit 110 does not greatly increase the saturation of the blooming size or the high brightness level,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rightness of the subject can be increased.

감마 곡선 보정부(135)는 입력 레벨에 대한 출력 레벨의 관계를 나타내는 감마 곡선을 이용하여 입력 영상의 밝기를 어둡게 또는 밝게 변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gamma curve correction unit 135 performs a function of changing the brightness of the input image to be dark or bright using a gamma curve indicating the relationship of the output level to the input level.

원본 영상에서 블루밍이 발생되면, 제1 히스토그램 분석부(125)에 의해 산출되는 니포인트와 후술될 제2 히스토그램 분석부(145)에 의해 산출되는 감마 곡률(Γ) 파라미터(Gamma Curve Ratio)에 의하여 새로 계산된 감마 곡선을 적용함으로써 영상의 블루밍 증가를 억제하면서 노출값 조정에 따라 어두워진 영상의 밝기가 개선될 수 있다.When blooming occurs in the original image, a knee point calculated by the first histogram analyzer 125 and a Gamma Curve Ratio (Gamma Curve Ratio) calculated by a second histogram analyzer 14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applying the newly calculated gamma curve, the brightness of the darkened image can be improved by adjusting the exposure value while suppressing the increase in blooming of the image.

제2 히스토그램 검출부(140) 및 제2 히스토그램 분석부(145)는 감마 곡선 보정부(135)의 후단에 위치하여 감마 곡선 보정부(135)가 보정된 감마 곡선을 이용하여 밝기 보정 처리한 영상을 입력 받아 지정된 처리를 수행한다.The second histogram detecting unit 140 and the second histogram analyzing unit 145 are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gamma curve correcting unit 135 and use the gamma curve corrected by the gamma curve correcting unit 135, It receives input and performs specified processing.

제2 히스토그램 검출부(140)는 앞서 설명한 제1 히스토그램 검출부(120)와 달리 전체 영상을 대상으로 하여 그레이 레벨에 대한 입력 화소의 빈도수를 검출한다.Unlike the first histogram detector 120, the second histogram detector 140 detects the frequency of the input pixel with respect to the gray level of the entire imag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히스토그램 분석부(125)가 블루밍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블루밍 저감을 위하여 자동 노출 조정부(130)가 자동 노출의 타겟값을 낮춰 동일한 곡률로 감마 보정된 영상일지라도 전체 영상에 대한 히스토그램은 보정전 영상보다 어두운 쪽으로 이동하며 평균 밝기가 낮아진다. 6, if the first histogram analyzing unit 125 determines that blooming has occurred, the automatic exposure adjusting unit 130 may reduce the target value of the automatic exposure to reduce the blooming, so that even if the image is gamma corrected with the same curvature, The histogram for the image moves to the darker side than the pre-correction image and the average brightness is lowered.

제2 히스토그램 분석부(145)는 검출된 히스토그램의 분포를 전체 화소수에 대한 비율로 변환한 후, 이를 이용하여 전체 영상의 평균 밝기를 산출한다. 이때, 영상의 포화 화소를 의미하도록 지정한 소정의 레벨(예를 들어 그레이레벨 240 내지 255에 해당하는 최상위 고휘도 2개 레벨)을 제외한 나머지 레벨들(예를 들어 30개 레벨)의 평균을 산출한다.The second histogram analyzing unit 145 converts the distribution of the detected histogram into the ratio of the total number of pixels, and calculates the average brightness of the entire image using the ratio. At this time, an average of remaining levels (for example, 30 levels) excluding a predetermined level (for example, two highest brightness levels corresponding to gray levels 240 to 255) designated to mean saturated pixels of an image is calculated.

전체 영상의 평균 밝기(AVGB)는 하기 수학식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포화 화소를 의미하도록 지정된 레벨을 제외한 레벨들에 대해 히스토그램 각 휘도 레벨의 중간값(M_GrayLevel(i))을 그 빈도수의 비율(PB(i))과 곱한 후 평균을 산출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The average brightness (AVG B ) of the whole image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middle value (M_GrayLevel (i)) of the histogram brightness levels by the ratio of the frequency (for example, PB (i)) and then calculating the average.

Figure 112012101462719-pat00003
Figure 112012101462719-pat00003

제2 히스토그램 분석부(145)는 전술한 바와 같이 블루밍 발생 후 자동노출값 조정으로 변화된 전체 영상의 평균 밝기를 구한 후, 이를 저장되어 있던 블루밍 발생 이전 시점의 밝기와 비교하여 영상의 평균 밝기가 유사해지도록 감마 곡률(Γ) 파라미터를 조정한다.The second histogram analyzing unit 145 obtains the average brightness of the entire image changed by the automatic exposure value adjustment after the occurrence of the blooming as described above and then compares the average brightness of the entire image with the brightness of the stored before blooming, To adjust the gamma curvature (?) Parameter.

감마 곡선 변환부(150)는 제1 히스토그램 분석부(125)에 의해 산출된 니포인트와 제2 히스토그램 분석부(145)에 의해 산출된 감마 곡률을 이용하여 감마 곡선 조정부에 적용될 새로운 감마 곡선을 계산하여 LUT(LookUpTable) 형식으로 저장한다. The gamma curve converting unit 150 calculates a new gamma curve to be applied to the gamma curve adjusting unit using the knee point calculated by the first histogram analyzing unit 125 and the gamma curvature calculated by the second histogram analyzing unit 145 And stores it in an LUT (LookUpTable) format.

도 7에는 산출된 니포인트와 감마 곡률의 변화에 따라 생성될 수 있는 다양한 감마 곡선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되는 곡선은 니포인트에 위치하는 고휘도 입력 레벨부터 출력비가 낮아짐에 따라 영상의 블루밍과 포화를 억제할 수 있고, 영상의 평균 밝기가 낮아질수록 감마 곡률에 따라 저휘도 입력 레벨에 대한 출력비가 증가되도록 조정되어 영상의 어두운 영역에 있는 피사체의 밝기를 향상시킬 수 있다.FIG. 7 shows examples of various gamma curves that can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calculated knee point and the change in gamma curvature. As shown in the figure, the generated curve can suppress the blooming and saturation of the image as the output ratio is lowered from the high luminance input level located at the knee point. As the average brightness of the image is lowered, So that the brightness of the subject in the dark region of the image can be improved.

이제까지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루밍 저감 장치는 야간 환경에서 사용되는 카메라의 출력 영상에서 어두운 영역의 피사체의 밝기를 보존하면서 촬영 영상 내에 존재하는 고휘도 피사체에서 발생하는 블루밍 현상을 저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related drawings, the blooming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apable of reducing the blurring phenomenon occurring in a high luminance subject existing in the photographed image while preserving the brightness of the dark region in the output image of the camera used in the nighttime environment Can be reduced.

즉, 영상 센서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과 감마 곡선 보정부(135)에 의한 감마 보정 영상에 대해 각각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분석하여 블루밍 발생 여부를 판별하고, 블루밍이 발생한 경우에는 영상 센서부(110)의 자동 노출값을 조정하여 블루밍을 효율적으로 저감하는 동시에 히스토그램 분포에 따라 감마 곡선의 니포인트와 곡률을 변화시켜 블루밍 저감에 따라 어두워진 영상의 밝기를 블루밍 현상의 증가 없이 보정할 수 있다.That is, the histogram distribution for each of the image input from the image sensor unit 110 and the gamma correction image by the gamma curve correction unit 135 is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blooming occurs. If blooming occurs, the image sensor unit 110 to adjust the knee point and the curvature of the gamma curve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the histogram and to correct the brightness of the darkened image according to the blooming reduction without increasing the blooming phenomenon.

도 8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블루밍 저감 장치에 의하여 보정된 최종 영상과 보정 전의 최종 영상을 비교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FIG. 8 shows a comparison between a final image corrected by the blooming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a final image before correction.

참고로, 도 8의 (a),(c),(e)는 블루밍 저감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영상으로 각각 영상 센서부(110)로부터 입력된 원본 영상, 감마 변환 영상 및 대조비가 적용된 카메라의 최종 출력 영상을 나타내고, 도 8의 (b), (d), (f)는 블루밍 저감을 위한 노출 보정과 수정된 감마 변환 커브가 적용된 영상들이다. 8 (a), 8 (c), and 8 (e)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original image input from the image sensor unit 110, the gamma- 8 (b), 8 (d), and 8 (f) show the images to which the exposure correction for reducing blooming and the modified gamma conversion curve are applied.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루밍 저감 장치를 이용할 때, 야간의 저조도 환경에서 사용하는 카메라 및 전장용 나이트 비전 카메라의 출력 영상에서 대향 차량의 헤드라이트에서 발생되는 강한 블루밍으로 인하여 영상 내의 사물이나 사물을 인식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블루밍 현상의 증대 없이 어두운 영역의 피사체 밝기를 증대시켜 운전자에게 정확한 영상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blooming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strong blooming occurs in the headlight of the opposite vehicle in the output image of the camera and the night vision camera used in the nighttime low illumination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bject from being recognized and at the same time, the brightness of the object in the dark region can be increased without increasing the blooming phenomenon, so that accurate imag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driver.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밍 저감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looming mitig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910에서 블루밍 저감 장치는 영상 센서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에 블루밍이 존재하는지 정확히 판별하기 위해 관심 영역(ROI, Region of Interest)를 설정한다. 관심 영역은 예를 들어 전체 영상에서 관심 영역의 시작 화소 좌표 (x,y)와 가로, 세로 길이를 결정함으로써 사각형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in step 910, the blooming reduction apparatus sets a region of interest (ROI)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blooming exists in the image input from the image sensor unit 110. The region of interest may be set to a rectangular shape, for example, by determining the starting pixel coordinates (x, y) an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lengths of the ROIs in the entire image.

단계 920에서 블루밍 저감 장치는 입력 영상에 대해 설정한 관심 영역에 포함된 각 화소에 대하여 영상의 그레이 레벨에 대한 빈도수를 산출한다. In step 920, the blooming reduction device calculates the frequency of the gray level of the image for each pixel included in the region of interest set for the input image.

단계 930에서 블루밍 저감 장치는 블루밍 현상이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블루밍 저감 장치는 예를 들어 산출된 각 그레이 레벨에 대한 빈도 수를 전체 레벨의 빈도 수에 대한 비율로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미리 지정된 최상위 고휘도 레벨에 포함되는 화소의 비율에 참조하여 해당 영상에 블루밍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step 930, the blooming mitigation device determines whether a blooming phenomenon has occurred. For example, the blooming mitigation apparatus calculates the frequency of each calculated gray level as a ratio to the frequency of the whole level, refers to the ratio of the pixels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highest brightness level using the ratio,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it has occurred.

단계 930의 판단 결과로 블루밍 현상이 발생되지 않았다면 현재 적용되는 감마 곡선에 따라 보정된 영상이 출력될 것이다. 이는 일반적인 처리 과정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와는 다소 거리감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930, if the blooming phenomenon does not occur, the corrected image will be output according to the currently applied gamma curve. Since this is a general process and is somewhat distan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러나 만일 블루밍 현상이 발생되었다면, 블루밍 저감 장치는 단계 940에서 영상 센서부(110)의 자동 노출(AE)의 타겟값(Target Value)을 단계적으로 낮춰 블루밍의 크기가 저감하도록 동작하고, 또한 손실된 밝기를 자동 보정 처리할 수 있도록 신규 감마 곡선을 새롭게 계산하기 위한 니포인트(Knee-point)를 결정한다.However, if the blooming phenomenon occurs, the blooming reduction apparatus operates to reduce the blooming size by gradually lowering the target value of the automatic exposure (AE) of the image sensor unit 110 in step 940, Determines a knee-point for newly calculating a new gamma curve so that the brightness can be automatically corrected.

니포인트는 예를 들어, 노출값 보정 과정을 거쳐 블루밍이 저감되어 입력된 영상에서 검출된 히스토그램 중 소정의 레벨들(예를 들어 최상위 4개 레벨)을 제외한 나머지 고휘도 영역에 해당하는 소정의 레벨들(예를 들어 그레이레벨 144 내지 223에 해당하는 10개의 레벨로서 19 내지 28 레벨)의 히스토그램 중 분포 비율이 가장 높은 레벨을 찾고, 그 중 최소 그레이 레벨값을 적용될 감마 곡선의 니포인트(Knee-Point)로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knee point may be adjusted to a predetermined level (for example, the highest brightness level) excluding the predetermined levels (for example, the uppermost four levels) of the histogram detected in the input image by reducing the blooming through the exposure value correction process (For example, levels from 19 to 28 as 10 levels corresponding to gray levels 144 to 223), and the minimum gray level value among the histograms of the histograms is calculated as a knee point of the gamma curve to be applied. .

단계 950에서 블루밍 저감 장치는 현재 적용되는 감마 곡선을 이용하여 감마 보정된 전체 영상에 대한 그레이 레벨의 화소 빈도수를 검출한다.In step 950, the blooming mitigation apparatus detects the gray-level pixel frequency for the gamma-corrected whole image using the gamma curve currently applied.

이어서, 블루밍 저감 장치는 단계 960에서 감마 보정된 전체 영상에 대한 평균 밝기를 산출하고, 신규 감마 곡선 계산을 위한 감마 곡률 파라미터를 조정한다.The blooming mitigation apparatus then calculates the average brightness for the gamma corrected full image in step 960 and adjusts the gamma curvature parameter for the new gamma curve calculation.

전체 영상의 평균 밝기는 예를 들어 영상의 포화 화소를 의미하도록 지정한 소정의 레벨(예를 들어 그레이레벨 240 내지 255에 해당하는 최상위 고휘도 2개 레벨)을 제외한 나머지 레벨들(예를 들어 30개 레벨)의 평균으로 산출될 수 있다.The average brightness of the entire image may be, for example, the remaining levels except for a predetermined level (for example, two highest brightness levels corresponding to the gray level 240 to 255) designated as a saturated pixel of the image (for example, 30 levels ). ≪ / RTI >

또한 감마 곡률 파라미터는 블루밍 발생 후 자동 노출값 조정으로 변화된 전체 영상의 평균 밝기를 구한 후, 이를 저장되어 있던 블루밍 발생 이전 시점의 밝기와 비교하여 영상의 평균 밝기가 유사해지도록 조정될 수 있다.Also, the gamma curvature parameter may be adjusted so as to obtain an average brightness of the entire image changed by automatic exposure value adjustment after occurrence of blooming, and then compare the average brightness with the brightness of the stored blooming before the stored blooming.

단계 970에서 블루밍 저감 장치는 단계 940에서 결정된 니포인트와 단계 960에서 조정된 감마 곡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신규 감마 곡선을 계산한다.In step 970, the blooming mitigation device calculates a new gamma curve using the knee point determined in step 940 and the gamma curvature parameter adjusted in step 960.

전술한 과정에 의해 계산된 신규 감마 곡선에 의해 영상 센서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이 감마 보정되어 출력될 것이다(단계 980).
The image input from the image sensor unit 110 is gamma corrected by the new gamma curve calculated by the above-described process and output (step 980).

상술한 블루밍 저감 방법은 디지털 처리 장치에 내장되거나 설치된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시계열적 순서에 따른 자동화된 절차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디지털 처리 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및 광 기록매체를 포함한다.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above-described blooming mitigation method may be performed by an automated procedure in a time-series sequence by a built-in program or the like installed in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The codes and code segments that make up the program can be easily deduced by a computer programmer in the field. In addition, the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readable by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and is read and executed by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to implement the method.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includes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d an optical recording medium.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10 : 영상 센서부
115 : ROI 설정부
120 : 제1 히스토그램 검출부
125 : 제1 히스토그램 분석부
130 : 자동 노출(AE) 조정부
135 : 감마 곡선 보정부
140 : 제2 히스토그램 검출부
145 : 제2 히스토그램 분석부
150 : 감마곡선 변환부
110: Image sensor unit
115: ROI setting section
120: first histogram detector
125: first histogram analyzing unit
130: automatic exposure (AE) adjustment unit
135: Gamma curve correction unit
140: second histogram detector
145: second histogram analyzing unit
150: gamma curve conversion section

Claims (9)

카메라 영상의 블루밍 저감 장치에 있어서,
입력 영상에 대해 설정된 관심 영역(ROI)에 포함된 각 화소에 대해 미리 지정된 그레이 레벨 구분에 따른 화소의 빈도수를 산출하는 제1 히스토그램 검출부;
상기 그레이 레벨 구분에 따른 화소의 빈도수를 참조하여 미리 설정된 고휘도 레벨 범위에 포함되는 화소의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고휘도 레벨 범위에 포함된 화소의 비율이 미리 지정된 설정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로서 블루밍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히스토그램 분석부;
블루밍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입력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센서부의 자동노출(AE)의 타겟값을 단계적으로 조정하는 자동 노출 조정부;
상기 영상 센서부로부터 제공되는 입력 영상을 감마 보정한 영상의 평균 밝기를 산출하고, 상기 감마 보정된 영상의 평균 밝기가 블루밍 발생 이전의 입력 영상의 평균 밝기와 소정의 범위 내에서 일치되도록 감마 곡률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제2 히스토그램 분석부; 및
상기 제1 히스토그램 분석부에 의해 결정된 니포인트 및 상기 조정된 감마 곡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센서부로부터 제공되는 입력 영상을 감마 보정하기 위한 신규 감마 곡선을 계산하는 감마 곡선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히스토그램 분석부는 상기 감마 보정한 영상의 평균 밝기를 산출하기 위해 영상의 포화 화소를 의미하도록 미리 지정된 그레이 레벨을 제외한 나머지 그레이 레벨들의 평균을 산출하는 카메라 영상의 블루밍 저감 장치.
A blooming mitigation apparatus for a camera image,
A first histogram detecting unit for calculating a frequency of pixels in accordance with a gray level classification previously designated for each pixel included in a ROI set for an input image;
Calculating a ratio of pixels included in a predetermined high brightness level range by referring to the frequency of pixels in accordance with the gray level classification, and determining whether a ratio of pixels included in the calculated high brightness level range exceeds a predetermined set value, A first histogram analyz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image is generated;
An automatic exposur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target value of the automatic exposure (AE) of the image sensor unit to provide an input image step by step when it is determined that blooming has occurred;
A gamma correction unit configured to calculate an average brightness of an image obtained by gamma correction of an input image provided from the image sensor unit and to calculate a gamma curvature parameter such that an average brightness of the gamma corrected image coincides with an average brightness of an input image before blooming, A second histogram analyzing unit for adjusting the second histogram analyzing unit; And
And a gamma curve converting unit for calculating a new gamma curve for gamma correction of an input image provided from the image sensor unit using the knee point determined by the first histogram analyzing unit and the adjusted gamma curvature parameter,
Wherein the second histogram analyzing unit calculates an average of remaining gray levels excluding a gray level predetermined to mean saturated pixels of an image to calculate an average brightness of the gamma corrected im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히스토그램 분석부는 상기 자동 노출 조정부에 의해 타겟값 조절되어 입력되는 입력 영상에서 검출된 히스토그램 중 미리 지정된 그레이 레벨 범위에서 화소 빈도수가 가장 높은 그레이 레벨의 최소 그레이 레벨값을 신규 감마 곡선 계산을 위한 상기 니포인트(Knee-point)로 결정하는 카메라 영상의 블루밍 저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histogram analyzing unit may calculate a minimum gray level value of a gray level having a highest pixel frequency in a predetermined gray level range among the histograms detected in the input image adjusted by the target value adjusting unit by the automatic exposure adjusting unit, And determines the knee point as the knee-poin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히스토그램 분석부는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감마 보정한 영상의 평균 밝기를 산출하는 카메라 영상의 블루밍 저감 장치.
Figure 112012101462719-pat00004

여기서, AVGB는 상기 감마 보정된 영상의 평균 밝기이고, n은 영상의 포화 화소를 의미하도록 미리 지정된 그레이 레벨을 제외한 나머지 그레이 레벨들의 개수이며, M_GrayLevel(i)는 각 그레이 레벨에 대한 휘도 레벨의 중간값이고, PB(i)는 해당 그레이 레벨에 대한 화소의 빈도수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histogram analyzing unit calculates an average brightness of the gamma corrected image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12101462719-pat00004

Here, AVGB is the average brightness of the gamma corrected image, n is the number of remaining gray levels excluding the gray level predetermined to mean saturated pixels of the image, and M_GrayLevel (i) is the middle of the brightness level for each gray level And PB (i) is the frequency of the pixel with respect to the gray level.
카메라 영상의 블루밍 저감 장치에서 수행되는 블루밍 저감 방법에 있어서,
입력 영상에 대해 설정된 관심 영역(ROI)에 포함된 각 화소에 대해 미리 지정된 그레이 레벨 구분에 따른 화소의 빈도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그레이 레벨 구분에 따른 화소의 빈도수를 참조하여 미리 설정된 고휘도 레벨 범위에 포함되는 화소의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고휘도 레벨 범위에 포함된 화소의 비율이 미리 지정된 설정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로서 블루밍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블루밍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입력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센서부의 자동노출(AE)의 타겟값을 단계적으로 조정하는 단계;
상기 영상 센서부로부터 제공되는 입력 영상을 감마 보정한 영상의 평균 밝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감마 보정된 영상의 평균 밝기가 블루밍 발생 이전의 입력 영상의 평균 밝기와 소정의 범위 내에서 일치되도록 감마 곡률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단계; 및
니포인트 및 상기 조정된 감마 곡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센서부로부터 제공되는 입력 영상을 감마 보정하기 위한 신규 감마 곡선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마 보정한 영상의 평균 밝기는 영상의 포화 화소를 의미하도록 미리 지정된 그레이 레벨을 제외한 나머지 그레이 레벨들의 평균으로 산출되는 카메라 영상의 블루밍 저감 방법.
A blooming mitigation method performed in a blooming mitigation apparatus of a camera image,
Calculating a frequency of pixels according to a gray level classification predetermined for each pixel included in a ROI set for an input image;
Calculating a ratio of pixels included in a predetermined high brightness level range by referring to the frequency of pixels in accordance with the gray level classification, and determining whether a ratio of pixels included in the calculated high brightness level range exceeds a predetermined set value, Judging whether or not it has occurred;
If it is determined that blooming has occurred, stepwise adjusting a target value of automatic exposure (AE) of an image sensor unit for providing an input image;
Calculating an average brightness of a gamma-corrected image of an input image provided from the image sensor unit;
Adjusting a gamma curvature parameter such that an average brightness of the gamma corrected image coincides with an average brightness of an input image before occurrence of blooming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Calculating a new gamma curve for gamma correction of an input image provided from the image sensor unit using the knee point and the adjusted gamma curvature parameter,
Wherein the average brightness of the gamma corrected image is calculated as an average of gray levels other than a predetermined gray level to mean saturated pixels of the imag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값의 조절 후 입력되는 입력 영상에서 검출된 히스토그램 중 미리 지정된 그레이 레벨 범위에서 화소 빈도수가 가장 높은 그레이 레벨의 최소 그레이 레벨값을 신규 감마 곡선 계산을 위한 상기 니포인트(Knee-point)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영상의 블루밍 저감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A minimum gray level value of a gray level having a highest pixel frequency in a predetermined gray level range among the histograms detected in the input image after the adjustment of the target value is determined as the knee point for calculating a new gamma curve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삭제dele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마 보정한 영상의 평균 밝기는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카메라 영상의 블루밍 저감 방법.
Figure 112012101462719-pat00005

여기서, AVGB는 상기 감마 보정된 영상의 평균 밝기이고, n은 영상의 포화 화소를 의미하도록 미리 지정된 그레이 레벨을 제외한 나머지 그레이 레벨들의 개수이며, M_GrayLevel(i)는 각 그레이 레벨에 대한 휘도 레벨의 중간값이고, PB(i)는 해당 그레이 레벨에 대한 화소의 빈도수임.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verage brightness of the gamma corrected image is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12101462719-pat00005

Here, AVGB is the average brightness of the gamma corrected image, n is the number of remaining gray levels excluding the gray level predetermined to mean saturated pixels of the image, and M_GrayLevel (i) is the middle of the brightness level for each gray level And PB (i) is the frequency of the pixel with respect to the gray level.
제5항, 제6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카메라 영상의 블루밍 저감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that can be read by a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is recorded to perform a blooming reduction method of a camera imag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6, and 8.
KR1020120141276A 2012-12-06 2012-12-06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blooming of camera image Expired - Fee Related KR1017619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276A KR101761947B1 (en) 2012-12-06 2012-12-06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blooming of camera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276A KR101761947B1 (en) 2012-12-06 2012-12-06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blooming of camera im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248A KR20140073248A (en) 2014-06-16
KR101761947B1 true KR101761947B1 (en) 2017-07-26

Family

ID=51126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1276A Expired - Fee Related KR101761947B1 (en) 2012-12-06 2012-12-06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blooming of camera im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194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4011A (en) * 2019-06-27 2022-03-03 주식회사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Sensor control device, sensor control method and progra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38412B (en) * 2020-12-31 2022-08-16 佛山市南海天富科技有限公司 Full-automatic light supplement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warp knitting machine flaw detection system
CN118762809A (en) * 2024-09-03 2024-10-11 泉州医学高等专科学校 A fuzzy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for medical imag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7323A (en) * 2005-03-31 2006-10-19 Nikon Corp Imaging device
US20080239101A1 (en) * 2007-03-28 2008-10-02 Natsui Tomoyoshi Image pickup apparatus,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signal processing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7323A (en) * 2005-03-31 2006-10-19 Nikon Corp Imaging device
US20080239101A1 (en) * 2007-03-28 2008-10-02 Natsui Tomoyoshi Image pickup apparatus,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signal processing method
JP2008245096A (en) 2007-03-28 2008-10-09 Sony Corp Imaging apparatus, video signal processor and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4011A (en) * 2019-06-27 2022-03-03 주식회사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Sensor control device, sensor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2676085B1 (en) 2019-06-27 2024-06-19 주식회사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Sensor control device, sensor control method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248A (en) 201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069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data
US20120249830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90918B1 (en) Defog system
CN104952045B (en) Defog system and demist method
US20100253495A1 (en) In-vehicle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memory medium
US10091422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CN105208293B (en) Automatic exposure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digital camera
US8885092B2 (en) Camera device, exposure control method, and program
EP3293697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image processing program for image processing device
US902582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1130197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8989510B2 (en) Contrast enhancement using gradation conversion processing
US1043285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fog or mist in a captured image
US20050206776A1 (en) Apparatus for digital video processing and method thereof
JP2011076198A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and method of the same
EP2575348A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KR102089106B1 (en) Method for Detecting Fog for Vehicle and Apparatus therefor
US11240439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capture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halation,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mage capture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101761947B1 (en)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blooming of camera image
WO2011000392A1 (en) Method and camera system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a camera image
US901940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N111833376B (en) Target tracking system and method
KR102188163B1 (en) System for processing a low light level image and method thereof
KR102514200B1 (en) Automatic method of calibrating camera parameter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a specific area in the image
US1014255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corrects contour, control method therefor,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therefor, and image pickup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12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2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7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7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