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61174B1 - 유아용 쿠션침대 - Google Patents

유아용 쿠션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1174B1
KR101761174B1 KR1020150161787A KR20150161787A KR101761174B1 KR 101761174 B1 KR101761174 B1 KR 101761174B1 KR 1020150161787 A KR1020150161787 A KR 1020150161787A KR 20150161787 A KR20150161787 A KR 20150161787A KR 101761174 B1 KR101761174 B1 KR 101761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rd
cushion
auxiliary
mattress
zipp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8054A (ko
Inventor
윤태희
Original Assignee
윤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태희 filed Critical 윤태희
Priority to KR1020150161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1174B1/ko
Publication of KR20170058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17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7/00Children's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1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everal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to be put together in one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쿠션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매트리스와, 상기 매트리스 사방측면에 결합되는 쿠션가드와, 상기 쿠션가드 일측면으로, 연결부재에 의해 봉합방식으로 결합되는, 내부에 솜이 내장된 보조가드로 구성되고, 상기 매트리스와 쿠션가드는 지퍼타입으로 결합되고, 상기 쿠션가드와 보조가드를 부착시키기 위해 각각 상호 대응하게 벨크로부가 부착되며, 상기 쿠션가드와 보조가드 사이에 결합되는 제2보조가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쿠션가드 측면과 제2보조가드 측면에 고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에 고정부재를 삽입하여, 쿠션가드와 보조가드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매트리스를 둘러싸는 형태로 다수개의 가드가 지퍼방식으로 연결된 쿠션가드가 구비되되, 상기 쿠션가드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가드 중 하나의 가드에 보조가드를 연결부재로 연결하고, 상기 가드를 개폐하는 방식으로, 매트리스 사방측면 중 일측을 개방 및 폐쇄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상기 매트리스 일측으로 바닥부를 연장함으로써, 유아에게 보다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공간 및 놀이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쿠션가드와 보조가드 사이에 제2보조가드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넓게 확장된 매트리스의 내측 공간을 제공하여, 유아에게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함은 물론, 유아에게 필요한 각종 물품을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아용 쿠션침대{Cushion bed for baby}
본 발명은 유아용 쿠션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유아용 쿠션침대 사방으로 둘러싸 설치된 쿠션가드에 추가로 보조가드를 설치하고, 매트리스 일측을 개방한 후, 보조가드를 펼쳐 매트리스를 연장시킨 다음, 상기 쿠션가드와 보조가드 사이에 제2보조가드를 연결고정한 후, 쿠션가드와 보조가드를 고정부재로 고정하여, 매트리스의 내측 공간을 보다 확장시킴으로써, 유아에게 보다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할 수 있는 유아용 쿠션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용 쿠션침대는 범퍼와 매트리스로 구성된 작은 침대를 말하는 것으로서, 유아가 편안히 잠을 잘 때 사용된다.
최근에 들어와, 유아들이 독립된 일정한 공간에서 잠을 자거나 놀이를 제공할 수 있는 범퍼침대가 부모들 사이에 인기가 좋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범퍼침대의 구조는 유아들이 편안하게 잠을 잘 수 있게 쿠션을 제공하는 매트리스와, 상기 매트리스 상부 유아들에게 독립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사방측면으로 형성되는 쿠션가드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범퍼침대는 쿠션가드 내측으로 일정한 공간이 정해져 있어, 유아에게 필요한 각종 물품을 매트리스에 올려 놓을 경우, 휴식을 취할 공간이 부족해져, 유아가 편안하게 잠을 잘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10-2012-0058963 "유아용 범퍼 침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쿠션침대 사방 측으로 형성된 쿠션가드 중 하나의 가드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가드에 보조가드를 연결하여, 상기 보조가드를 접거나 펴는 구조를 제공하여, 쿠션침대 사방면 중, 하나를 개방하되, 상기 매트리스 일측에 연결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바닥쿠션을 제공함은 물론, 상기 쿠션가드와 보조가드 사이에 제2보조가드를 고정하여 쿠션침대의 내측 공간을 확장시킴으로써, 쿠션침대의 내측 공간을 보다 넓게 확장하여 활용할 수 있어, 유아용품의 저장공간을 넓힐 수 있는 동시에, 유아에게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할 수 있는 유아용 쿠션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매트리스와, 상기 매트리스 사방측면에 결합되는 쿠션가드와, 상기 쿠션가드 일측면으로, 연결부재에 의해 봉합방식으로 결합되는, 내부에 솜이 내장된 보조가드로 구성되고, 상기 매트리스와 쿠션가드는 지퍼타입으로 결합되고, 상기 쿠션가드와 보조가드를 부착시키기 위해 각각 상호 대응하게 벨크로부가 부착되며, 상기 쿠션가드와 보조가드 사이에 결합되는 제2보조가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쿠션가드 측면과 제2보조가드 측면에 고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에 고정부재를 삽입하여, 쿠션가드와 보조가드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매트리스를 둘러싸는 형태로 다수개의 가드가 지퍼방식으로 연결된 쿠션가드가 구비되되, 상기 쿠션가드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가드 중 하나의 가드에 보조가드를 연결부재로 연결하고, 상기 가드를 개폐하는 방식으로, 매트리스 사방측면 중 일측을 개방 및 폐쇄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상기 매트리스 일측으로 바닥부를 연장함으로써, 유아에게 보다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공간 및 놀이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쿠션가드와 보조가드 사이에 제2보조가드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넓게 확장된 매트리스의 내측 공간을 제공하여, 유아에게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함은 물론, 유아에게 필요한 각종 물품을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쿠션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쿠션침대의 쿠션가드에 보조가드가 부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쿠션침대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쿠션침대의 작용을 나타낸 작용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보조가드 설치과정 1을 나타낸 과정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보조가드 설치과정 2를 나타낸 과정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쿠션가드와 제2보조가드를 고정부재로 고정하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매트리스(10)와, 상기 매트리스(10) 사방측면에 결합되는 쿠션가드(20)와, 상기 쿠션가드(20) 일측면으로, 연결부재(40)에 의해 봉합방식으로 결합되는 ,내부에 솜이 내장된 보조가드(30)로 구성되고, 상기 매트리스(10)와 쿠션가드(20)는 지퍼타입으로 결합되고, 상기 쿠션가드(20)와 보조가드(30)를 부착시키기 위해 각각 상호 대응하게 벨크로부(60)가 부착되며, 상기 쿠션가드(20)와 보조가드(30) 사이에 결합되는 제2보조가드(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쿠션가드(20) 측면과 제2보조가드(70) 측면에 고정부(81)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81)에 고정부재(82)를 삽입하여, 쿠션가드(20)와 보조가드(3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럼,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 및 작용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매트리스(10), 쿠션가드(20), 보조가드(30)로 구성된다.
상기 매트리스(10)는 유아에게 부드럽게 접촉하여 편안한 잠을 제공하기 위해 바닥에 쿠션감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메모리 폼, PE폼, 라텍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되거나 적층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매트리스(10) 둘레에는 쿠션가드(20)가 직교대는 형태로 형성되기 위해, 지퍼부(50)가 형성되며, 유아가 편히 잠자거나 쉴 수 있게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되, 세로 길이가 1~1.5M로 형성되는 넓이를 갖는다.
상기 쿠션가드(20)는 매트리스(10)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되, 본 발명은 4개의 가드(20A,20B,20C,20D)를 구비하되, 양측과 저면에 지퍼부(50)를 형성하여, 상기 매트리스(10) 둘레에 각각 형성되는 지퍼부(50)와 상호 대응하여 지퍼방식으로 결합하는 구조를 가지며, 내부에는 각종 쿠션재가 저장되어, 쿠션감을 제공하거나, 상부가 개방된 침대형태의 틀을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보조가드(30)는 매트리스(10) 주위 사방으로 둘러싸는 형태로 연결된 가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와 같이 선택된 가드 상부로 보조가드(30) 상부가 연결부재로 봉합처리되어 연결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매트리스(10)와 가드에 각각 설치된 지퍼부(50)와 상호 대응하게 양측면과 저면에 지퍼부(5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각종 쿠션재가 충진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쿠션가드(20)와 보조가드(30) 사이에 제2보조가드(7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2보조가드(70)는 쿠션가드(20)를 구성하는 4개의 가드(20A,20B,20C,20D) 및 보조가드(30)에 지퍼방식으로 연결설치되기 위해 양측과 저면에 지퍼부(50)가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고정부재(82)가 삽입고정되기 위해 고정부(81)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각종 쿠션재가 충진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럼, 상기와 같이, 쿠션가드(20)와 보조가드(30) 사이에 제2보조가드(70)가 지퍼방식으로 연결설치되는 것을 간단히 설명하면,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쿠션가드(20)를 구성하는 4개의 가드(20A,20B,20C,20D) 중 하나의 가드(20A)를, 상기 가드(20A) 양측면으로 각각의 가드(20B,20D)에 연결된 지퍼부(50)를 수직 하방향으로 내려, 침대의 공간부 일측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가드(20A) 상면에 보조가드(30)를 펼쳐, 매트리스(10) 바닥 일측면으로 연장시킨 다음, 제2보조가드(70) 저면의 지퍼부(50)와 가드(20B,20D)의 지퍼부(50), 제2보조가드(70) 일측면의 지퍼부(50)와 가드(20A) 일측면의 지퍼부(50), 제2보조가드(70)의 타측면의 지퍼부(50)와 보조가드(30) 일측면의 지퍼부(50)를 각각 지퍼방식으로 결합시켜, 매트리스(10) 내측 공간을 확장시키게 되는 것이다.(반대측 제2보조가드(70) 설치법은 동일함으로 생략함)
그럼,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유아용 쿠션침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실시 예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침대형태를 형성하기 위해, 바닥에 매트리스(10)를 구비한 다음, 상기 매트리스(10) 주위면에 형성된 지퍼부(50)와 상호 대응하게, 쿠션가드(20)를 형성하는 4개의 가드(20A,20B,20C,20D)를 각각 지퍼방식으로 결합시키되, 상기 매트리스(10)에 대해 수직하는 형태로 각각의 가드(20A,20B,20C,20D)를 결합시켜 침대형태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침대 형태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상기 쿠션가드(20)를 형성하는 가드(20A,20B,20C,20D) 중, 하나의 가드(20A)에 상면으로 내부에 쿠션재가 충진된 보조가드(30) 상면을 연결하되, 지퍼, 벨크로 등의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한 방식을 선택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가드(20A)와 보조가드(30) 상면을 연결부재(40)로 봉합처리하는 방식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매트리스(10)의 주위의 3면을 3개의 가드(20B,20C,20D)로 수직되는 형태로 지퍼방식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보조가드(30)가 연결된 가드(20A)를 각각의 가드(20B,20D) 측면에 형성된 지퍼부(50)에 상호 대응하게 연결함으로, 유아가 잠을 자거나 쉴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형성된 매트리스(10) 일측으로 바닥부를 연장하는데 있어서,
보조가드(30)가 설치된 가드(20A) 양측면으로 각각의 가드(20B,20D)에 연결된 지퍼부(50)를 수직 하방향으로 내려, 매트리스(10)의 공간부 일측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가드(20A) 상면에 보조가드(30)를 펼쳐, 매트리스(10) 바닥 일측면으로 연장되는 바닥면, 즉, 가드(20A) 상면과, 상기 가드(20A)에 연결된 보조가드(30) 상면을 마련하여, 상기와 같이 연장된 바닥면은 유아가 편히 잠을 잘 수 있는 공간 및 놀이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연장된 바닥면을 침대형태로 복원하는데 있어서,
상기와 같이 보조가드(30)가 연결되어 펼쳐진 가드(20A)를 개방된 곳에 위치시킨 다음, 상기 가드(20A) 양측면에 형성된 지퍼부(50)를, 상기 가드(20A) 양측면에 위치한 각각의 가드(20B,20D) 일측면에 형성된 지퍼부(50)에 상호 대응하게 지퍼방식으로 결합시켜 개방부를 폐쇄하여, 각각의 가드(20A,20B,20C,20D)가 매트리스(10) 상부를 둘러싸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보조가드(30) 일면에 형성된 벨크로부(60)와 상기 가드(20A) 일면에 형성된 벨크로부(60)를 상호 부착함으로써, 보조가드(30)의 움직임을 고정하여, 상기 각각의 가드(20A,20B,20C,20D)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고정된 틀을 형성함으로, 유아가 잠을 자거나 쉴 공간부가 형성된 유아용 쿠션침대가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제 2 실시 예로,
도 5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침대형태를 형성하기 위해, 바닥에 매트리스(10)를 구비한 다음, 상기 매트리스(10) 주위 면에 형성된 지퍼부(50)와 상호 대응하게, 쿠션가드(20)를 형성하는 4개의 가드(20A,20B,20C,20D)를 각각 지퍼방식으로 결합시키되, 상기 매트리스(10)에 대해 수직하는 형태로 각각의 가드(20A,20B,20C,20D) 및 매트리스(10)를 결합시켜 침대형태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침대 형태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상기 쿠션가드(20)를 형성하는 가드(20A,20B,20C,20D) 중, 하나의 가드(20A)에 상면으로 내부에 쿠션재가 충진된 보조가드(30) 상면을 연결하되, 지퍼, 벨크로 등의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한 방식을 선택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가드(20A)와 보조가드(30) 상면을 연결부재(40)로 봉합처리하는 방식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매트리스(10)의 주위의 3면을 3개의 가드(20B,20C,20D)로 수직되는 형태로 지퍼방식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보조가드(30)가 연결된 가드(20A)를 각각의 가드(20B,20D) 측면에 형성된 지퍼부(50)에 상호 대응하게 연결함으로, 유아가 잠을 자거나 쉴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먼저, 매트리스(0) 일측으로 바닥부를 연장하는데 있어서,
보조가드(30)가 설치된 가드(20A) 양측면으로 각각의 가드(20B,20D)에 연결된 지퍼부(50)를 수직 하방향으로 내려, 매트리스(10)의 공간부 일측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가드(20A) 상면에 보조가드(30)를 펼쳐, 매트리스(10) 바닥 일측면으로 가드(20A)와 보조가드(30)를 연장한 상태에서, 상기 보조가드(30)를, 가드(20A)를 기준으로 직교되는 형태로 세운 다음, 상기 가드(20A)와 보조가드(30) 사이에 제2보조가드(70)를 위치시키고, 상기 제2보조가드(70) 저면의 지퍼부(50)와 가드(20B)의 지퍼부(50), 제2보조가드(70) 일측면의 지퍼부(50)와 가드(20D) 일측면의 지퍼부(50), 제2보조가드(70)의 타측면의 지퍼부(50)와 보조가드(30) 일측면의 지퍼부(50)를 각각 지퍼방식으로 결합시켜, 매트리스(10) 내측 공간을 확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매트리스(10) 내측 공간이 확장된 상태에서,
제2보조가드(70)와 가드(20B,20D)에 외면으로 형성된 각각의 고정부(81)에 봉 형태의 고정부재(82)를 각각 삽입하여, 가드(20B,20D)와 제2보조가드(70)를 연결고정함으로, 매트리스(10)를 감싸는 쿠션가드(20)를 보다 견고히 지지고정함으로, 침대 안에 있는 유아를 외력으로부터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매트리스 상부로 둘러싸 쿠션가드를 설치하여 유아가 잠을 자거나 쉴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되, 상기 쿠션가드 중 하나의 가드에 보조가드를 연결설치하고, 매트리스 사방측면 중 일측으로 개방할 수 있는 구조와 상기 매트리스 일측으로, 유아가 편히 쉬거나 잘 수 있는 바닥면을 보다 넓게 연장되는 구조 및 상기와 같이 연장된 구조에 제2보조가드를 추가로 설치하여 매트리스 내부공간을 확장함으로써, 유아에게 보다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매트리스
20: 쿠션가드
30: 보조가드
40: 연결부재
50: 지퍼부
60: 벨크로부
70: 제2보조가드
81: 고정부
82: 고정부재

Claims (7)

  1. 매트리스(10)와,
    상기 매트리스(10) 사방측면에 결합되는 쿠션가드(20)와,
    상기 쿠션가드(20) 일측면으로, 연결부재(40)에 의해 봉합방식으로 결합되는 ,내부에 솜이 내장된 보조가드(30)로 구성되고,
    상기 매트리스(10)와 쿠션가드(20)는 지퍼타입으로 결합되고,
    상기 쿠션가드(20)와 보조가드(30)를 부착시키기 위해 각각 상호 대응하게 벨크로부(60)가 부착되며,
    상기 쿠션가드(20)와 보조가드(30) 사이에 결합되는 제2보조가드(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쿠션가드(20) 측면과 제2보조가드(70) 측면에 고정부(81)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81)에 고정부재(82)를 삽입하여, 쿠션가드(20)와 보조가드(3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쿠션침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50161787A 2015-11-18 2015-11-18 유아용 쿠션침대 Active KR101761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787A KR101761174B1 (ko) 2015-11-18 2015-11-18 유아용 쿠션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787A KR101761174B1 (ko) 2015-11-18 2015-11-18 유아용 쿠션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054A KR20170058054A (ko) 2017-05-26
KR101761174B1 true KR101761174B1 (ko) 2017-07-25

Family

ID=59051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787A Active KR101761174B1 (ko) 2015-11-18 2015-11-18 유아용 쿠션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11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752A (ko) 2020-11-30 2022-06-08 김수영 매트리스용 가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52975B1 (en) * 2020-06-11 2024-08-06 Annette Grignard Universal pet crate bump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233Y1 (ko) * 2000-08-14 2001-02-15 강도중 높이 조절이 가능한 쿠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233Y1 (ko) * 2000-08-14 2001-02-15 강도중 높이 조절이 가능한 쿠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752A (ko) 2020-11-30 2022-06-08 김수영 매트리스용 가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054A (ko) 201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66790A (en) Crib cover
US10702072B2 (en) Bedding assembly
US5615927A (en) Seat for child-care implement
US20050155155A1 (en) Sofa bed
KR200440481Y1 (ko) 휴대용 아기 침낭
KR101761174B1 (ko) 유아용 쿠션침대
JP5025479B2 (ja) 布団マットレス
US7017203B2 (en) Cot
KR200477927Y1 (ko) 적층식 침대용 매트리스
KR20160115879A (ko) 놀이 매트
KR101172235B1 (ko) 폴더형 범퍼 침대
KR101766003B1 (ko) 놀이 매트 어셈블리
US20220175150A1 (en) Mattress cover having a compartment wherein bumper padding material can be integrated therein to form a cuddle zone
KR20130109598A (ko) 유아용 범퍼 침대
KR20180028201A (ko) 에어 매트리스 4면 지퍼 커버 구성 방법
JP2019213626A (ja) 携帯型ベビーベッド
JP3185097U (ja) 乳児用ベッド
KR102081290B1 (ko) 침구
US20120117726A1 (en) Convertible crib cover
KR101508725B1 (ko) 코일 스프링과 이를 포함하는 포켓 스프링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60135612A1 (en) Bed sheet with three-dimensional shaped contours
KR102784202B1 (ko) 유아용 범퍼침대
KR20150135811A (ko) 놀이 매트 어셈블리
KR20210053655A (ko) 확장형 영유아용 침구세트
KR102609617B1 (ko) 외장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7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7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