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61158B1 - 파워 카세트 등기구 - Google Patents

파워 카세트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1158B1
KR101761158B1 KR1020160143238A KR20160143238A KR101761158B1 KR 101761158 B1 KR101761158 B1 KR 101761158B1 KR 1020160143238 A KR1020160143238 A KR 1020160143238A KR 20160143238 A KR20160143238 A KR 20160143238A KR 101761158 B1 KR101761158 B1 KR 101761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assette
light source
lighting body
ligh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3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관
Original Assignee
김승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관 filed Critical 김승관
Priority to KR1020160143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11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15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F21V25/02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coming into action when lighting device is disturbed, dismounted, or brok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워 카세트 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광원(11)이 내장되는 라이팅 바디(10); 상기 라이팅 바디(10)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광원(11)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파워 카세트(20);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팅 바디(10)에는 카세트 삽입홀(14)이 구비되어, 상기 카세트 삽입홀(14)에 상기 파워 카세트(20)가 삽입되고, 상기 파워 카세트(20)는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라이팅 바디(10)에 고정되며, 상기 라이팅 바디(10)의 바디 프레임(12)에 상기 카세트 삽입홀(14)이 형성되고, 상기 카세트 삽입홀(14)은 사각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파워 카세트(20)는 단면 사각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파워 카세트(20)가 상기 카세트 삽입홀(14)을 통해 상기 라이팅 바디(10)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볼트에 의해 상기 파워 카세트(20)가 상기 라이팅 바디(10)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워 카세트 등기구{Power cassette lighting implement}
본 발명은 파워 카세트 등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등기구 바디에 파워 카세트가 교체형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새로운 구조의 파워 카세트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독주택이나 공동주택과 같은 가정 및 사무실이나 학교 및 관공서, 오피스텔 등의 실내 천정에는 실내를 밝게 비춰주기 위한 조명등이 설치된다. 천정 조명등은 천정 하부면에 장착되고 안정기와 소켓 등이 내장되는 등기구 바디와, 이 등기구 바디의 하부에 결합되어 내부 램프의 빛을 고르게 확산시키는 반사판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보통이다. 등기구 바디의 내부에 광원(엘이디나 램프 등)이 내장되고,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등기구 바디의 내부에 파워 유닛이 내장된다. 파워 유닛은 등기구 바디에 내장되며 광원과 외부의 전원 공급부 사이에 연결된 파워 회로와 안정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파워 유닛을 통해 광원에 공급하여, 광원에서 빛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조명을 하게 된다.
그런데, 기존에는 등기구(LED 등기구)를 취부한 후 POWER 불량이 발생할 경우에 등기구 전체를 떼어내어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즉, 등기구를 천정에 취부하고 사용하다가 파워 불량이 생기면 천정에서 등기구 전체를 떼어내고 파워 유닛을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등기구 전체를 천정에서 떼어내서 교체해야 하므로 유지 보수 작업이 번거롭고 인건비 소요가 많다는 등의 문제도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904082호(2009.06.15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0915990호(2009.08.31 등록) 국내공개특허 제10-2010-0012952호(2010.02.09 공개)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64090호(2012.12.04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등기구 바디에 파워 카세트가 교체형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새로운 구조의 파워 카세트 등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천정이나 벽체 등에 설치되는 등기구에 교체가 용이하도록 파워 카세트가 구비된 파워 카세트 등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광원이 내장되는 라이팅 바디; 상기 라이팅 바디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광원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파워 카세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카세트 등기구가 제공된다.
상기 라이팅 바디에는 카세트 삽입홀이 구비되어, 상기 카세트 삽입홀에 상기 파워 카세트가 삽입되고, 상기 파워 카세트는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라이팅 바디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파워 카세트와 상기 라이팅 바디에 동시에 결합되는 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이팅 바디의 바디 프레임에 상기 카세트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카세트 삽입홀은 사각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파워 카세트는 단면 사각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파워 카세트가 상기 카세트 삽입홀을 통해 상기 라이팅 바디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볼트에 의해 상기 파워 카세트가 상기 라이팅 바디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이팅 바디의 내부에는 광원과 연결된 광원 전원 접속부와 외부의 전원 공급부에 연결된 외부 전원 접속부가 구비되고, 상기 파워 카세트의 후단부에는 상기 외부 전원 접속부에 연결되는 파워 인풋 커넥터와 상기 광원 전원 접속부에 연결되는 파워 아웃풋 커넥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워 카세트에는 상기 광원에 전원 공급 여부를 표시하는 파워 고장 검출회로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워 고장 검출회로와 상기 광원 사이에는 에러 표시부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원과 상기 에러 표시부는 엘이디로 구성되어, 상기 파워 고장 검출회로에서 파워 에러 검출시에 상기 에러 표시부에서 점등이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존에는 등기구를 천정에 취부하고 사용하다가 파워 불량이 생기면 천정에서 등기구 전체를 떼어내고 파워 유닛을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는 반면, 본 발명의 파워 카세트 등기구는 광원이 내장된 라이팅 바디에 파워 카세트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등기구를 천정에 취부하고 사용하다가 파워 불량이 생기면 등기구는 그대로 천정에 놔두고 파워 카세트만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 보수 작업이 편리하고 인건비 소요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파워 카세트 등기구의 주요부인 라이팅 바디의 상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인 카세트 삽입홀 부분의 확대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파워 카세트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파워 고장 검출회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무선 제어모듈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라이팅 바디에 파워 카세트가 결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평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저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라이팅 바디에 파워 카세트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라이팅 바디에 파워 카세트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0은 도 8의 저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파워 카세트 등기구를 천정에 취부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파워 카세트 등기구의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파워 카세트 등기구의 파워 카세트를 라이팅 바디에 결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파워 카세트를 라이팅 바디에 결합 완료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파워 카세트를 라이팅 바디에서 분리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파워 카세트 등기구의 주요부인 라이팅 바디의 상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파워 카세트 등기구의 다른 주요부인 파워 카세트의 후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파워 카세트 등기구의 파워 카세트를 라이팅 바디에 결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파워 카세트 등기구의 파워 카세트를 라이팅 바디에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파워 카세트 등기구는 내부에 광원(11)이 내장되며 주로 천정에 취부되는 라이팅 바디(10)와, 이 라이팅 바디(10)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어 광원(11)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파워 카세트(20)를 구비한다.
상기 라이팅 바디(10)는 외곽 테두리를 구성하는 바디 프레임(12)과, 이 바디 프레임(12)에 결합된 투광성 패널(13)과, 바디 프레임(12)에 구비되어 투광성 패널(13)과의 사이에 광원(11) 수용 공간부를 형성하는 리어 패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바디 프레임(12)이 사각틀 형상하고 투광성 패널(13)과 리어 패널은 사각판 형상이어서, 라이팅 바디(10)가 사각형 케이스 구조를 이룬다.
상기 라이팅 바디(10)에는 카세트 삽입홀(14)이 구비되어, 상기 카세트 삽입홀(14)에 파워 카세트(20)가 삽입되고, 상기 파워 카세트(20)는 고정수단에 의해 라이팅 바디(10)에 고정된다. 라이팅 바디(10)의 구성인 외곽의 사각형 바디 프레임(12)의 일측에 외표면에서 내표면으로 연통된 카세트 삽입홀(14)이 구비되어, 카세트 삽입홀(14)에 파워 카세트(20)가 결합되어, 라이팅 바디(10)의 내부에 파워 카세트(20)가 내장된다.
이때, 고정수단은 파워 카세트(20)와 라이팅 바디(10)에 동시에 결합되는 볼트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라이팅 바디(10)의 바디 프레임(12)에 카세트 삽입홀(14)이 형성되고, 상기 카세트 삽입홀(14)은 사각홀 형상으로 구성되고, 파워 카세트(20)는 단면 사각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파워 카세트(20)가 카세트 삽입홀(14)을 통해 라이팅 바디(10)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볼트에 의해 파워 카세트(20)가 라이팅 바디(10)에 고정된다.
상기 파워 카세트(20)의 전단부에는 고정 브라켓(22)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22)의 양단부는 파워 카세트(20)의 양쪽 측면보다 옆으로 더 돌출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22)에서 파워 카세트(20)의 양쪽 측면보다 더 돌출된 고정 돌출 브라켓부에는 전후면으로 관통된 볼트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라이팅 바디(10)의 바디 프레임(12)에는 카세트 삽입홀(14)의 양쪽에 배치되도록 볼트 체결홀이 구비되어, 상기 볼트가 고정 돌출 브라켓부의 볼트 관통홀을 통과하여 바디 프레임(12)의 볼트 체결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파워 카세트(20)가 라이팅 바디(10)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라이팅 바디(10)의 바디 프레임(12)은 카세트 삽입홀(14)의 둘레부에 오목홈(16)이 구비되어, 상기 오목홈(16)에 볼트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바디 프레임(12)의 오목홈에 파워 카세트(20) 전단부의 고정 브라켓(22)이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 브라켓(22)의 고정 돌출 브라켓부에 형성된 볼트 관통홀을 볼트가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라이팅 바디(10)의 구성인 바디 프레임(12)의 볼트 체결홀에 볼트(BT)가 체결됨으로써 라이팅 바디(10)의 바디 프레임(12) 외표면과 파워 카세트(20) 전단부의 고정 브라켓(22) 사이에 단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파워 카세트(20)와 라이팅 바디(10)의 사이에 단차가 생기지 않고 라이팅 바디(10)의 내부에 파워 카세트(20)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바디(10)의 내부에는 광원(11)과 연결된 광원 전원 접속부와 외부의 전원 공급부에 연결된 외부 전원 접속부가 구비될 수 있다. 광원(11)은 엘이디가 될 수 있는데, 인쇄회로기판에 복수개의 엘이디가 탑재되어 있는 엘이디 모듈이 라이팅 바디(10)의 내부 공간부에 수용되고, 인쇄회로기판에는 전선이나 솔더링과 같은 전기적인 연결수단에 의해 광원 전원 접속부와 외부 전원 접속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광원 전원 접속부와 외부 전원 접속부는 소켓이나 플러그가 될 수 있다. 광원 전원 접속부와 외부 전원 접속부는 브라켓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라이팅 바디(10)의 내부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파워 카세트(20)의 후단부에는 외부 전원 접속부에 연결되는 파워 인풋 커넥터(24)와 광원 전원 접속부에 연결되는 파워 아웃풋 커넥터(25)가 구비된다. 파워 인풋 커넥터(24)와 광원 전원 접속부는 플러그 또는 소켓이 될 수 있다. 광원 전원 접속부와 외부 전원 접속부가 소켓인 경우 파워 인풋 커넥터(24)와 광원 전원 접속부는 플러그가 될 수 있고, 광원 전원 접속부와 외부 전원 접속부가 플러그인 경우 파워 인풋 커넥터(24)와 광원 전원 접속부는 소켓이 될 수 있다.
상기 파워 카세트(20)를 라이팅 바디(10)의 카세트 삽입홀(14)에 결합하여 파워 카세트(20)를 라이팅 바디(10)에 내장되도록 장착하면, 상기 파워 카세트(20)의 후단부의 파워 인풋 커넥터(24)와 파워 아웃풋 커넥터(25)가 상기 라이팅 바디(10)에 구비된 외부 전원 접속부와 광원 전원 접속부에 각각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처럼, 상기 파워 카세트(20)의 파워 인풋 커넥터(24)와 파워 아웃풋 커넥터(25)가 라이팅 바디(10)에 구비된 외부 전원 접속부와 광원 전원 접속부에 각각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면, 라이팅 바디(10) 내부의 광원(11)(즉, 엘이디)로 외부 전원이 공급되어 광원(11)이 발광될 수 있는데, 상기 외부 전원 접속부와 광원 전원 접속부 사이의 전원 플로우 회로상에 별도로 온오프 스위치를 전선 등의 연결수단을 매개로 연결하여, 온오프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광원(11)으로의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되어 광원(11)을 점등 또는 소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오프 스위치는 후술하는 무선 제어모듈(26)(26)(블루투스 모듈이나 와이파이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선 컨트롤러(스마트폰이나 피씨 또는 무선 리모콘 등)의 조작에 의해 무선 제어모듈(26)(26)을 통해 상기 온오프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파워 카세트(20)에는 무선 제어모듈(26)(26)과, 무선제어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무선제어 모듈 컨트롤러가 내장되고, 무선제어 모듈 컨트롤러에서는 무선 컨트롤러의 온오프 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제어모듈(26)(26)을 통해 온오프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제어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또는 와이파이 모듈로 구성될 수 있고, 무선제어 모듈의 작동제어는 스마트폰 또는 피씨로 수행하거나 무선 리모콘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워 카세트(20)에는 광원(11)에 전원 공급 여부를 표시하는 파워 고장 검출회로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워 고장 검출회로와 광원(11) 사이에는 에러 표시부(32)가 연결된다.
상기 파워 카세트(20)에는 외부의 전원 공급부와 광원(11)에 연결된 컨버터(31)와, 상기 광원(11)의 점등 여부를 표시하는 에러 표시부(32)와, 상기 에러 표시부(32)와 전원 공급부 사이에 연결된 비교 검출부(33)와, 상기 컨버터(31)와 광원(11) 사이의 전원 플로우 경로와 비교 검출부(33)에 연결되어 광원(11)으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센싱하는 센서부(34)가 구비된다.
상기 파워 고장 검출회로는 컨버터(31), 에러 표시부(32), 비교 검출부(33) 및 센서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버터(31)는 외부의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광원(11)에 공급한다. 광원(11)은 엘이디로 구성되므로, 컨버터(31)에서 외부의 교류 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광원(11)인 엘이디에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센서부(34)는 포토 커플러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34)에 컨버터(31)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이 센서부(34)에 입력된 다음 출력되어 광원(11)으로 컨버터(31)의 직류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광원(11)과 에러 표시부(32)는 엘이디로 구성되어, 상기 파워 고장 검출회로에서 파워 에러 검출시에 에러 표시부(32)에서 점등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버터(31)(엘이디 컨버터(31))에서 광원(11)(즉, 엘이디 모듈 등기구)으로 직류 전원이 공급되고 동시에 비교 검출부(33)에 외부 전원(교류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광원(11)이 정상적으로 점등되면, 상기 센서부(34)에서는 광원(11)으로부터 정상 점등 전원을 입력받아 정상 점등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비교 검출부(33)에서는 센서부(34)에서 정상 점등 신호의 출력이 이루어지고 외부 전원이 공급된 상태를 비교하여 광원(11)의 정상 점등 상태를 최종적으로 결정함으로써, 에러 표시부(32)를 소등 상태(비점등 상태)로 유지한다. 에러 표시부(32)가 소등 상태이면 광원(11)이 정상적으로 발광된 상태임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컨버터(31)에서 광원(11)으로 직류 전원이 공급되고 동시에 비교 검출부(33)에 외부 전원이 공급되더라도 광원(11)이 정상적으로 점등되지 않으면, 상기 센서부(34)에서는 광원(11)으로부터 정상 점등 전원의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광원(11)으로부터의 비정상 점등 신호의 출력이 이루어지며, 상기 비교 검출부(33)에서는 센서부(34)에서 광원(11)의 비정상 점등 신호의 출력과 외부 전원 공급 상태를 비교하여 광원(11)의 비정상 점등 상태를 최종적으로 결정함으로써, 에러 표시부(32)를 점등 상태로 전환한다. 에러 표시부(32)가 점등 상태이면 광원(11)이 정상적으로 발광되지 않은 에러 상태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파워 카세트(2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에러 표시부(32)가 점등이 되지 않을 때에는 광원(11)이 정상적으로 점등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반대로 에러 표시부(32)가 점등이 될 때에는 광원(11)이 정상적으로 점등되지 않는 에러 상태임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라이팅 바디(10)가 천정(2)에 취부된 상태에서 파워 카세트(20)를 라이팅 바디(10)의 측면에 형성된 카세트 삽입홀(14)에 결합하면, 상기 파워 카세트(20)가 라이팅 바디(10)에 내장되고, 파워 카세트(20)는 상기한 볼트(BT)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라이팅 바디(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파워 카세트(20)가 라이팅 바디(10)에 내장된 상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외부 전원이 광원(11)인 엘이디에 공급될 수 있는 전원 공급 회로가 형성되며, 상기 전원 공급 회로에는 온오프 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온오프 스위치를 온오프시킴에 따라 광원(11)을 점등시키거나 소등시킬 수 있게 된다. 광원(11)이 정상적으로 점등될 수 있는 상태이면 상기 파워 카세트(20)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된 에러 표시부(32)에서는 점등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파워 카세트(20)에 구비된 에러 표시부(32)에서 점등이 이루어지면 광원(11)의 점등을 위한 전원(파워)을 공급하는 파워 카세트(20)의 고장이나 교체가 필요하다는 에러 상태가 된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수단을 풀어준 다음 파워 카세트(20)만을 갈아 끼우면 된다. 정상적인 새로운 파워 카세트(20)를 끼우면 다시 광원(11)의 정상 점등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파워 카세트 등기구는 광원(11)이 내장된 라이팅 바디(10)에 파워 카세트(2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등기구를 천정에 취부하고 사용하다가 파워 불량이 생기면 등기구는 그대로 천정에 놔두고 파워 카세트(20)만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 보수 작업이 편리하고 인건비 소요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기존에는 LED 등기구를 취부한 후 POWER 불량이 발생할 경우 등기구 전체를 천정에서 떼어내어 교체해야 했지만, 본 발명은 어느 누구나 등기구가 고장이 났을 경우에 쉽게 교체 가능하도록 카세트 타입의 파워는 및 등기구 구조로 제작하여 교체 가능하다. 카세트 타입의 파워는 파워 카세트(20)로서 등기구가 고장이 난 경우에 파워 카세트(20) 부분만 쉽게 교체가 가능한 것이다. 물론, 광원(11) 자체가 고장이 난 경우에는 등기구 전체를 갈아야 겠지만 적어도 광원(11)에 외부 전원(파워)를 공급하는 파워 카세트(20) 부분이 고장나면 라이팅 바디(10)는 천정에 그대로 취부한 상태로 놔두고 파워 카세트(20) 부분만 교체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파워 카세트(20)에서 에러 표시부(32)의 점등이 이루어질 때에 사용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사용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A/S기간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POWER MODULE에는 무선제어가 가능하도록 블루투스 모듈 또는 와이파이 모듈과 같은 무선 제어모듈(26)(26)을 내장하고, 무선제어 모듈 컨트롤러가 무선 제어모듈(26)(26)에 연결되고, 무선 컨트롤러의 조작 신호를 무선제어 모듈 컨트롤러가 수신하여 무선 제어모듈(26)(26)을 통해 파워 모듈을 무선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파워 모듈은 파워 카세트(20)를 의미한다. 파워 카세트(20)를 무선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무선 제어가 가능하여 본 발명의 등기구의 제어가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파워 모듈의 종류에 따라 온오프 제어, 디밍제어, COLOR CHANGE 기능을 사용자의 요구 또는 차후에 쉽게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핸드폰 및 PC의 어플리케이션으로 등기구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시간예약, 원격제어, 그룹제어 등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파워 카세트(20)의 전단부에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동되는 보조 레버(40)가 구비된다. 파워 카세트(20)의 전단부에는 오목한 레버 수용홈(42)이 구비되어, 상기 레버 수용홈(42)에 보조 레버(40)가 안착된 상태에서 기단부가 힌지부에 의해 파워 카세트(20)의 전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파워 카세트(20)의 고정 브라켓(22)에 레버 수용홈(42)이 구비되고, 보조 레버(40)의 기단부가 힌지부에 의해 고정 브라켓(22)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파워 카세트(20)가 라이팅 바디(10)에 내장된 상태에서는 보조 레버(40)를 기단부의 힌지부를 기준으로 파워 카세트(20) 전면의 레버 수용홈(42) 안으로 접어놓았다가 보조 레버(40)를 힌지부를 기준으로 파워 카세트(20)의 전면에서 앞으로 돌출되도록 펼친 다음, 상기 보조 레버(40)를 손으로 잡고 파워 카세트(20)를 당겨서 라이팅 바디(10)에서 끄집어 낼 수 있으므로, 파워 카세트(20)만을 분리해낼 때에 보다 편리하다. 파워 카세트(20) 앞으로 펼쳐져 있는 보조 레버(40)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라이팅 바디(10)에서 파워 카세트(20)를 끄집어내면 되므로, 파워 카세트(20) 부분만을 분리해내기가 보다 편리한 것이다.
또한, 상기 파워 카세트(20)의 전면에는 레버 수용홈(42)이 형성되어, 레버 수용홈(42)에 손가락(적어도, 엄지와 검지)를 집어넣고 보조 레버(40)를 손가락으로 잡고 파워 카세트(20)의 앞으로 회동시킬 때에 보다 편리하다. 보조 레버(40)를 손으로 잡고 힌지부를 기준으로 펼칠 때에 보다 편리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파워 카세트(20)와 라이팅 바디(1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록킹 유닛(50)과 록킹홈(28)이 구비되어, 상기 파워 카세트(20)가 라이팅 바디(10)의 카세트 삽입홀(14)을 통하여 라이팅 바디(10)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록킹 유닛(50)의 록킹볼(54)이 록킹홈(28)에 결합되어, 파워 카세트(20)가 라이팅 바디(10)에 삽입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파워 카세트(20)의 양쪽 측면에 록킹홈(28)이 구비되고, 라이팅 바디(10)의 카세트 삽입홀(14) 양쪽에는 안착되고, 상기 록킹 유닛(50)은 카세트 삽입홀(14)의 옆에 구비되며 선단부에는 볼출몰홀(52H)이 구비된 볼하우징(52)과, 이 볼하우징(52)에 내장된 볼출몰홀에 일부가 출몰되는 록킹볼(54)과, 이 록킹볼(54)과 볼하우징(52)의 기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록킹볼(54)의 일부가 볼하우징(52) 선단부의 볼출몰홀에 탄성적으로 돌출되도록 탄지하는 탄성부재(5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56)은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 유닛(50)은 라이팅 바디(10)의 카세트 삽입홀(14)의 양쪽에 하나씩 배치되어, 카세트 삽입홀(14)에 두 개의 록킹 유닛(50)이 배치되고, 상기 록킹홈(28)은 파워 카세트(20)의 양쪽 측면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 파워 카세트(20)에 두 개의 록킹홈(28)이 구비된다. 록킹 유닛(50)은 라이팅 바디(10)의 구성인 바디 프레임 내부의 중공부에 내장되어 볼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바디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두 개의 록킹 유닛(50)의 각 록킹볼(54)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카세트 삽입홀의 양쪽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파워 카세트(20)가 라이팅 바디(10)에 내장된 상태에서는 라이팅 바디(10)의 카세트 삽입홀(14)의 양쪽에 배치된 한 쌍의 록킹 유닛(50)의 각 록킹볼(54)이 탄성부재(56)이 밀어주는 탄성력에 의해 파워 카세트(20)의 양쪽 측면에 구비된 록킹홈(28)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있어서, 록킹볼(54)이 라이팅 바디(10)에 파워 카세트(20)가 빠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잡아주게 되므로, 파워 카세트(20)가 라이팅 바디(10)에 견고하게 내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파워 카세트(20)를 라이팅 바디(10)의 카세트 삽입홀(14)로 밀어넣으면, 카세트 삽입홀(14)의 양쪽에 배치된 한 쌍의 록킹볼(54)이 원터치식으로 파워 카세트 양쪽 측면의 록킹홈(28)에 결합되어 파워 카세트(20)를 잡아주므로, 파워 카세트(20)를 볼트를 체결할 필요가 없이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라이팅 바디(10)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파워 카세트(20)를 빼내고자 할 경우에는 파워 카세트(20)를 잡고 라이팅 바디(10)의 카세트 삽입홀(14)에 약간 당겨주면, 상기 라이팅 바디(10)에 설치된 록킹 유닛(50)의 록킹볼(54)이 파워 카세트(20)의 록킹홈(28)에서 빠지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간단하에 파워 카세트(20)를 라이팅 바디(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파워 카세트(20)를 라이팅 바디(10)에 고정하고 있는 볼트를 풀어줄 필요없이 파워 카세트(20)를 라이팅 바디(10)에서 옆으로 당겨주기만 하면 되므로, 파워 카세트(20)를 라이팅 바디(10)에서 보다 간단하고 신속하게 분리해 낼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라이팅 바디 12. 바디 프레임
13. 투광성 패널 14. 카세트 삽입홀
20. 파워 카세트 22. 고정 브라켓
26. 무선 제어모듈 31. 컨버터
32. 에러 표시부 33. 비교 검출부
34. 센서부

Claims (10)

  1. 내부에 광원(11)이 내장되는 라이팅 바디(10);
    상기 라이팅 바디(10)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광원(11)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파워 카세트(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라이팅 바디(10)에는 카세트 삽입홀(14)이 구비되어, 상기 카세트 삽입홀(14)에 상기 파워 카세트(20)가 삽입되고, 상기 파워 카세트(20)는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라이팅 바디(10)에 고정되고,
    상기 파워 카세트(20)에는 상기 광원(11)에 전원 공급 여부를 표시하는 파워 고장 검출회로가 내장되고,
    상기 광원(11)은 엘이디로 구성되고,
    상기 고장 검출회로는,
    외부의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상기 광원(11)에 공급하는 컨버터(31);
    상기 광원(11)의 점등 여부를 표시하는 에러 표시부(32);
    상기 에러 표시부(32)와 전원 공급부 사이에 연결된 비교 검출부(33);
    상기 컨버터(31)와 상기 광원(11) 사이 및 상기 비교 검출부(33)에 연결되어 상기 광원(11)으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센싱하는 센서부(34);를 포함하며,
    상기 파워 카세트(20)의 고정 브라켓(22)에 레버 수용홈(42)이 구비되고, 보조 레버(40)가 상기 레버 수용홈(42)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레버(40)의 기단부가 힌지부에 의해 상기 고정 브라켓(22)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카세트 등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팅 바디(10)의 내부에는 광원(11)과 연결된 광원 전원 접속부와 외부의 전원 공급부에 연결된 외부 전원 접속부가 구비되고, 상기 파워 카세트(20)의 후단부에는 상기 외부 전원 접속부에 연결되는 파워 인풋 커넥터(24)와 상기 광원 전원 접속부에 연결되는 파워 아웃풋 커넥터(2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카세트 등기구.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카세트(20)에는 무선제어 모듈과, 상기 무선제어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무선제어 모듈 컨트롤러가 내장된 파워 카세트 등기구.
  9. 삭제
  10. 삭제
KR1020160143238A 2016-10-31 2016-10-31 파워 카세트 등기구 Active KR101761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238A KR101761158B1 (ko) 2016-10-31 2016-10-31 파워 카세트 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238A KR101761158B1 (ko) 2016-10-31 2016-10-31 파워 카세트 등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1158B1 true KR101761158B1 (ko) 2017-07-25

Family

ID=59422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3238A Active KR101761158B1 (ko) 2016-10-31 2016-10-31 파워 카세트 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11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650B1 (ko) * 2018-10-23 2019-05-24 기린정밀공업(주) 천장 등기구
KR102096336B1 (ko) * 2019-03-27 2020-04-02 기린정밀공업(주) 천장 등기구
KR20210026380A (ko) * 2019-08-30 2021-03-10 김범원 피씨비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파워 카세트 등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574Y1 (ko) 2002-09-23 2002-12-18 윤민영 형광등 안정기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574Y1 (ko) 2002-09-23 2002-12-18 윤민영 형광등 안정기의 결합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650B1 (ko) * 2018-10-23 2019-05-24 기린정밀공업(주) 천장 등기구
KR102096336B1 (ko) * 2019-03-27 2020-04-02 기린정밀공업(주) 천장 등기구
KR20210026380A (ko) * 2019-08-30 2021-03-10 김범원 피씨비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파워 카세트 등기구
KR102313155B1 (ko) * 2019-08-30 2021-10-14 김범원 피씨비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파워 카세트 등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1866B1 (en) Backup lighting system
US8167453B2 (en) Illumination device including interchangeable sensor and decoration members
TWI434004B (zh) Multi-purpose lighting device
US20070247840A1 (en) Compact emergency illumination unit
US20140099801A1 (en) Magnetic light source adaptor and light source therefor
KR200482830Y1 (ko) 캔들워머
CN101640960B (zh) 包括可装卸传感器的照明设备
KR101761158B1 (ko) 파워 카세트 등기구
US8963426B2 (en) LED light
JP4803054B2 (ja) 非常用照明器具
US7938555B1 (en) Emergency preparedness lamp
JP2010272230A (ja) 表示装置及び誘導灯装置
AU2016281399A1 (en) Lighting module tightening device for lamp
JP4441862B2 (ja) 誘導灯装置
JP2009099376A (ja) 表示装置及び誘導灯
JP2010040205A (ja) 照明装置
JP6887111B2 (ja) 照明器具
KR101660511B1 (ko) 평판형 광원 모듈 경사각 체결 장치
JP5455950B2 (ja) 工事用照明器具
JP2012248530A (ja) Led照明装置
JP6356321B1 (ja) 照明器具
JP2008066958A (ja) リモコン機能付き電気装置およびリモコン機能付き非常用照明装置
KR20150003737U (ko) 수배전반용 조명등
JP3236399U (ja) 停電時対応可能led照明装置
JP7545107B2 (ja) 誘導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4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11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4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2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0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05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4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2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7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7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