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928B1 -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7928B1 KR101757928B1 KR1020100140284A KR20100140284A KR101757928B1 KR 101757928 B1 KR101757928 B1 KR 101757928B1 KR 1020100140284 A KR1020100140284 A KR 1020100140284A KR 20100140284 A KR20100140284 A KR 20100140284A KR 101757928 B1 KR101757928 B1 KR 1017579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mon
- electrode
- pixel
- line
- electrod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픽셀 영역과 터치인식을 위한 구동영역 및 센싱영역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d는 도 1a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는 도 1b에 도시된 각 픽셀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 전극을 도시한 평면도,
도 3a는 도 1a에 도시된 제 1 공통전극을 도시한 평면도,
도 3b는 도 1 a에 도시된 제 2 공통전극을 도시한 평면도,
도 4a는 도 1a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 도시한 제 1 실시예의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평면도,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II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a는 도 1a에 도시된 B부분을 확대 도시한 제 1 실시예의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평면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IV-IV'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제 1 마스크 공정을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제 2 마스크 공정을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제 3 마스크 공정을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제 4 마스크 공정을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제 5 마스크 공정을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제 6 마스크 공정을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제 7 마스크 공정을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13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로서, 도 1a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
도 13b는 도 13a에 도시된 V-V'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4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로서, 도 1a에 도시된 B부분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
도 14b는 도 14a에 도시된 VI-V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제 1 마스크 공정을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제 2 마스크 공정을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제 3 마스크 공정을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제 4 마스크 공정을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제 5 마스크 공정을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제 6 마스크 공정을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21은 터치 구동영역에 배치되는 공통라인의 수에 따른 제 1 공통전극의 저항값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50 X 50 픽셀 영역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제 1 공통전극에 0~50개의 제 1 공통라인을 형성한 경우의 저항값의 변화를 도시한 표 및 그래프.
113a, 113b : 터치 구동라인
113a1, 113a2, 113b1, 113b2 : 제 1 공통라인
115 : 게이트 절연막 117 : 반도체 패턴
120 : 데이터 라인 123a, 123b : 터치 센싱라인
123a1, 123b1 : 제 2 공통라인 125 : 제 1 보호막
130a, 130b, 130c : 서브픽셀 전극 130 : 픽셀 전극
135 : 제 2 보호막
140a1, 140a2, 140a3, 140a4 : 제 1 공통전극
140b1, 140b2 : 제 2 공통 전극 143a, 143b : 슬릿
200 : 호스트 콘트롤러 202 : 전원부
204 : 타이밍 콘트롤러 210 : 게이트 드라이버
220 : 데이터 드라이버 230 : 터치 구동드라이버
240 : 터치 센싱드라이버 CH1 : 제 1 콘택홀
CH2a, CH2b, CH2c, CH2d, CH2e, CH2f,CH2g, CH2h, CH2i, CH2j : 제 2 콘택홀
CH3a, CH3b, CH3c : 제 3 콘택홀 CH2a' : 제 4 콘택홀,
CH3a' : 제 5 콘택홀 D : 드레인 전극
DA1~DA6 : 구동 전극 G : 게이트 전극
PA1~PA36 : 픽셀 영역 S : 소스 전극
SA1~SA2 : 센싱 전극 SP1, SP2, SP3 : 서브픽셀 영역
T : 박막 트랜지스터 TFTA :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Claims (20)
- 각각이 제 1 방향으로 배열되는 m(m은 2보다 큰 정수)개의 픽셀들과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는 n(n은 2보다 큰 정수)개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 1 픽셀영역들;
각각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배열되는 p(p는 m과 같거나 m보다 작은 정수)개의 픽셀들과 상기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는 q(n보다 큰 정수)개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 2 픽셀영역들;
상기 복수의 제 1 픽셀영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제 1 공통전극이 배치되며, 복수의 행에 배치되는 터치 구동영역들;
상기 복수의 제 2 픽셀영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제 2 공통전극이 배치되며, 복수의 열에 배치되는 터치 센싱영역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픽셀영역들 각각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터치 구동영역들과 상기 터치 센싱영역들은 제 1 방향으로 서로 번갈아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픽셀영역들 각각에는 픽셀전극이 배치되며,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모드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공통전극과 상기 픽셀전극과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공통전극에는 공통전압이 인가되고,
터치 인식을 위해 상기 제 1 공통전극에 공통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기간에는 상기 제 1 공통전극에 펄스전압이 공급되며,
상기 펄스전압은 상기 제 1 공통전극에 행 단위로 순차적으로 공급되고, 상기 펄스전압이 인가되는 행의 제 1 공통전극 이외의 다른 행에 배치된 제 1 공통전극에는 펄스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통전극은 상기 복수의 제 1 픽셀영역들 각각에 형성되는 복수의 픽셀전극과 대향 배치되고, 상기 제 2 공통전극은 상기 복수의 제 2 픽셀영역들 각각에 형성되는 복수의 픽셀전극과 대향 배치되어 전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동일 행에 배치되는 제 1 공통전극들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공통전극들의 저항을 줄이며, 상기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공통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통전극과 접속되어 상기 제 2 공통전극의 저항을 줄이며, 상기 제 2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공통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통라인은 상기 제 1 공통전극들의 각각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택홀을 통해 접속되며, 상기 제 2 공통라인은 상기 제 2 공통전극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택홀을 통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공통전극의 각각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길게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 삭제
- 기판상에 일정 거리를 두고 나란하게 형성되는 게이트 라인 및 제 1 공통라인;
게이트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게이트 라인과 교차되게 형성되어 픽셀 영역을 정의하는 데이터 라인 및 상기 데이터 라인과 일정 거리를 두고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 2 공통라인;
상기 게이트 라인과 상기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속되며 상기 픽셀영역에 형성되는 픽셀 전극;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며 상기 픽셀전극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덮는 보호막; 및
상기 보호막 상에 상기 픽셀 전극과 중첩되게 형성되어 상기 픽셀 전극과의 사이에 전계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공통라인과 접속되는 제 1 공통전극과, 상기 제 2 공통라인과 접속되는 제 2 공통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공통전극들의 각각은 적어도 2이상의 픽셀전극과 중첩되도록 형성되며,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모드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공통전극과 상기 픽셀전극과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공통전극에는 공통전압이 인가되고,
터치 인식을 위해 상기 제 1 공통전극에 공통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기간에는 상기 제 1 공통전극에 펄스전압이 공급되며,
상기 펄스전압은 상기 제 1 공통전극에 행 단위로 순차적으로 공급되고, 상기 펄스전압이 인가되는 행의 제 1 공통전극 이외의 다른 행에 배치된 제 1 공통전극에는 펄스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통라인은 상기 제 1 공통전극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택홀을 통해 접속되며, 상기 제 2 공통라인은 상기 제 2 공통전극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택홀을 통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공통전극의 각각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길게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모드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공통전극들에 공통전압을 공급하고, 터치 인식을 위한 터치 모드에서는 펄스전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전극의 일단부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의 일단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의 일단부는 상기 픽셀전극의 일단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40284A KR101757928B1 (ko) | 2010-12-31 | 2010-12-31 |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40284A KR101757928B1 (ko) | 2010-12-31 | 2010-12-31 |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8099A KR20120078099A (ko) | 2012-07-10 |
KR101757928B1 true KR101757928B1 (ko) | 2017-07-27 |
Family
ID=46711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40284A Active KR101757928B1 (ko) | 2010-12-31 | 2010-12-31 |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792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0795B1 (ko) * | 2012-10-31 | 2021-01-0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나노 와이어를 이용한 투명도전막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어레이 기판,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터치패널 |
KR101455314B1 (ko) * | 2012-11-19 | 2014-10-2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
KR102090601B1 (ko) * | 2013-05-28 | 2020-03-1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센서를 구비한 표시장치 |
CN103399665B (zh) * | 2013-07-22 | 2016-06-01 |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 阵列基板及其制造方法、触摸屏和显示装置 |
KR102054671B1 (ko) * | 2013-09-27 | 2019-12-1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KR102066592B1 (ko) * | 2013-09-27 | 2020-02-1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KR102270988B1 (ko) * | 2014-12-26 | 2021-06-3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
KR102280434B1 (ko) * | 2015-01-30 | 2021-07-2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CN104714693B (zh) * | 2015-03-18 | 2017-11-03 |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触控显示面板及触控显示装置 |
CN107359182B (zh) * | 2017-07-25 | 2020-03-17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集成触控功能的oled显示屏的制作方法 |
KR102153370B1 (ko) * | 2020-06-04 | 2020-09-0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86182A (ja) * | 2009-02-02 | 2010-08-26 | Apple Inc | 表示データ線のための二重構成 |
-
2010
- 2010-12-31 KR KR1020100140284A patent/KR101757928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86182A (ja) * | 2009-02-02 | 2010-08-26 | Apple Inc | 表示データ線のための二重構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8099A (ko) | 2012-07-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57928B1 (ko) |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US10572062B2 (en) | Display device and touch detection method of display device | |
US9535523B2 (en) |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 |
US8659564B2 (en) | Touch sensible display device having reduced number of image data lines | |
EP2674841B1 (en) |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8970524B2 (en) |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 |
US8970532B2 (en) |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9219086B2 (en) | In-cell touch panel | |
US9423916B2 (en) | In-cell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 |
US10656476B2 (en) | Liquid crystal panel | |
US20220137751A1 (en) | Display substrate,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driving method for display substrate | |
KR102435900B1 (ko) | 표시 장치 | |
KR101757929B1 (ko) |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CN113050821A (zh) | 触摸显示装置及显示面板 | |
US10203808B2 (en) | Position input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position input function | |
KR102040654B1 (ko) |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US10571753B2 (en) | Liquid crystal panel | |
US11347340B2 (en) | Display device | |
KR101373953B1 (ko) |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 |
KR102204300B1 (ko) |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 |
KR20170017589A (ko) | 인 셀 터치 스크린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3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12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12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7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7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