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57575B1 - 퀵 커플링장치 - Google Patents

퀵 커플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7575B1
KR101757575B1 KR1020160003262A KR20160003262A KR101757575B1 KR 101757575 B1 KR101757575 B1 KR 101757575B1 KR 1020160003262 A KR1020160003262 A KR 1020160003262A KR 20160003262 A KR20160003262 A KR 20160003262A KR 101757575 B1 KR101757575 B1 KR 101757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male
valve cylinder
male
water
coup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철
김한일
문학윤
홍승원
김태원
Original Assignee
에스지서보(주)
에스지솔루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지서보(주), 에스지솔루션(주) filed Critical 에스지서보(주)
Priority to KR1020160003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75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57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action
    • F16L37/24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action the coupling being co-axial with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wo pipe-end fit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wo pipe-end fittings
    • F16L37/4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wo pipe-end fittings with a lift valve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커플러와 수커플러 각각에 회전면을 형성하여 하중의 분산을 꾀해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암커플러와 수커플러 사이의 결합을 보다 용이하게 하면서도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안정성이 담보된 퀵 커플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체의 유동을 위해 중공인 내부를 가진 원통형의 암밸브실린더와, 일측에 암파이프연결구가 형성되고, 타측 외주가 상기 암밸브실린더의 일측 내주에 삽입되어 상기 암밸브실린더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파이프커넥터와, 상기 암밸브실린더의 내부에 상기 암밸브실린더의 타측을 향해 설치된 암밸브유닛으로 구성된 암커플러와, 일측 외주가 상기 암밸브실린더의 타측 내주에 삽입되면서 나사결합되고, 상기 암밸브실린더의 내부와 연통하여 유체를 연속적으로 이송하도록 중공인 내부를 가진 원통형의 수밸브실린더와, 일측 내주로 상기 수밸브실린더의 타측 외주가 삽입되어 상기 수밸브실린더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수파이프연결구가 형성된 수파이프커넥터와, 상기 수밸브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밸브실린더의 일측을 개폐하는 수밸브유닛으로 구성된 수커플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퀵 커플링장치{QUICK COUPLING DEVICE}
본 발명은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두 개의 파이프를 쉽고 빠르게 연결하고, 분리시 파이프의 유로를 단속하여 유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퀵 커플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플링(coupling)은 하나의 부재와 다른 하나의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구로서, 특히 기체나 액체 등의 유체를 이송시키기 위한 배관이나 튜브, 파이프 등을 상호 간 연결 및 분리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유체를 이송시키기 위한 커플링 중에서도 퀵 커플링(quick coupling)이 있으며, 퀵 커플링장치는 명칭 그대로 두 개의 파이프에 연결되어 유체를 이송시키기 위한 커플링이면서 용이하게 연결 및 분리할 수 있고, 특히 분리시에 파이프의 유로를 단속하여 파이프 내부의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보통 퀵 커플링장치는 암커플러와 수커플러로 구성되고, 상기 암커플러의 내부로 수커플러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상기 암커플러와 수커플러 각각의 내부에는 서로 대향되도록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암밸브 및 수밸브가 설치된다. 따라서, 암밸브와 수밸브가 서로 분리되어 있을 때는 각각의 암밸브와 수밸브가 암커플러의 유로 또는 수커플러의 유로를 폐쇄하고, 암커플러의 내부로 수커플러가 삽입되는 경우에는 서로 대향되는 암밸브와 수밸브가 접촉하여 일측 또는 서로를 밀면서 각각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압축시켜 암커플러와 수커플러 사이의 유로를 연통시키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84215호의 '퀵 커플러 장치',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4034호의 '퀵 커플러' 및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1020호의 '잔류 압력 제거 기능을 갖는 퀵 커플링 장치' 등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퀵 커플링장치는, 첫째 암커플러와 수커플러 사이의 결합을 강구 삽입을 통해 이루어내는데, 삽입된 강구의 일측을 통해서만 회전하므로 암커플러와 수커플러 사이에 하나의 회전면만이 형성되고, 삽입된 일측의 강구에 하중이 많이 걸려 암커플러와 수커플러 사이의 결합력이 약화되어 파손되기가 쉬운 문제가 있다. 또한, 암커플러에 수커플러를 삽입한 상태에서 강구를 넣어야 하므로 의외로 결합이 용이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암커플러와 수커플러 각각에 회전면을 형성하여 하중의 분산을 꾀해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둘째 암커플러와 수커플러 사이의 결합을 보다 용이하게 하면서도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안정성이 담보된 퀵 커플링장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퀵 커플링장치는, 유체의 유동을 위해 중공인 내부를 가진 원통형의 암밸브실린더와, 일측에 암파이프연결구가 형성되고, 타측 외주가 상기 암밸브실린더의 일측 내주에 삽입되어 상기 암밸브실린더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파이프커넥터와, 상기 암밸브실린더의 내부에 상기 암밸브실린더의 타측을 향해 설치된 암밸브유닛으로 구성된 암커플러와, 일측 외주가 상기 암밸브실린더의 타측 내주에 삽입되면서 나사결합되고, 상기 암밸브실린더의 내부와 연통하여 유체를 연속적으로 이송하도록 중공인 내부를 가진 원통형의 수밸브실린더와, 일측 내주로 상기 수밸브실린더의 타측 외주가 삽입되어 상기 수밸브실린더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수파이프연결구가 형성된 수파이프커넥터와, 상기 수밸브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밸브실린더의 일측을 개폐하는 수밸브유닛으로 구성된 수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암커플러 및 수커플러는, 상기 암밸브실린더와 수밸브실린더가 분리된 경우 상기 수밸브유닛은 상기 수밸브실린더의 일측을 폐쇄하고, 상기 암밸브실린더의 타측 내부에 수밸브실린더의 일측이 삽입되어 나사결합된 경우 상기 암밸브유닛과 수밸브유닛 각각은 서로 접촉되어 상기 암밸브실린더의 타측 및 수밸브실린더의 일측을 상호 연통시키도록 상기 수밸브실린더의 일측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암커플러는, 상기 암파이프커넥터의 타측 외주면에 환형의 암강구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암파이프커넥터의 암강구수용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암밸브실린더의 일측 외주면에 내부를 향해 암강구삽입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암밸브실린더의 암강구삽입홀을 통해 복수의 암강구가 삽입되면서 상기 암강구수용홈의 둘레를 따라 자유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암강구 각각이 환형으로 위치고정되어 상기 암밸브실린더와 상기 암파이프커넥터를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커플러는, 상기 수밸브실린더의 타측 외주면에 환형의 수강구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밸브실린더의 수강구수용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수파이프커넥터의 일측 외주면에 내부를 향해 수강구삽입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수파이프커넥터의 수강구삽입홀을 통해 복수의 수강구가 삽입되면서 상기 수강구수용홈의 둘레를 따라 자유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수강구 각각이 환형으로 위치고정되어 상기 수밸브실린더와 상기 수파이프커넥터를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파이프커넥터는, 일측단에 톱니형상의 걸림고정부재가 환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암커플러는, 원통형상으로 일측 내주가 상기 암밸브실린더의 타측 외주로 삽입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에 상기 수파이프커넥터의 걸림고정부재와 형합되어 걸림되도록 톱니형상의 형합고정부재가 환형으로 돌출 형성된 암수고정슬리브와, 상기 암수고정슬리브를 상기 수파이프커넥터의 걸림고정부재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제공하는 슬리브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퀵 커플링장치는, 첫째, 암커플러와 수커플러 각각에 회전면을 형성하여 하중의 분산을 꾀해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둘째 암커플러와 수커플러 사이의 결합을 나사결합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하면서도 수파이프커넥터의 걸림고정부재와 암수고정슬리브의 형합고정부재를 통해 암커플러와 수커플러 사이의 나사결합이 임의적인 회전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퀵 커플링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실시예 중 암커플러를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의 A-A'선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실시예의 분해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실시예 중 수커플러를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실시예의 B-B'선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실시예의 분해 측단면도이며,
도 9 내지 11은 도 2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암커플러 및 수커플러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암커플러 및 수커플러의 최종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퀵 커플링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퀵 커플링장치는, 도 1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밸브실린더(110), 암파이프커넥터(120) 및 암밸브유닛(130)으로 구성된 암커플러(100)와, 수밸브실린더(210), 수파이프커넥터(220) 및 수밸브유닛(230)으로 구성된 수커플러(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암커플러(100)는 암강구(140), 암수고정슬리브(150) 및 슬리브스프링(1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커플러(200)는 수강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암커플러(100)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의 유동을 위해 중공인 내부를 가진 원통형의 암밸브실린더(110)와, 일측에 암파이프연결구(121)가 형성되고, 타측 외주가 상기 암밸브실린더(110)의 일측 내주에 삽입되어 상기 암밸브실린더(11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파이프커넥터(120)와, 상기 암밸브실린더(110)의 내부에 상기 암밸브실린더의 타측을 향해 설치된 암밸브유닛(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암커플러(100)의 암파이프커넥터(120)는 상기 암밸브실린더(11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암커플러(100)는 상기 암파이프커넥터(120)의 타측 외주면에 환형의 암강구수용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암파이프커넥터(120)의 암강구수용홈(122)에 대응되도록 상기 암밸브실린더(110)의 일측 외주면에 내부를 향해 암강구삽입홀(111)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암밸브실린더(110)의 암강구삽입홀(111)을 통해 복수의 암강구(140)가 삽입되면서 상기 암강구수용홈(122)의 둘레를 따라 자유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암강구(140) 각각이 환형으로 위치고정되어 상기 암밸브실린더(110)와 상기 암파이프커넥터(120)를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킨다. 그에 따라, 암커플러(100)는 암강구(140)가 삽입되는 암밸브실린더(110)의 암강구삽입홀(111) 및 암파이프커넥터(120)의 암강구수용홈(122)을 잇는 단면상 암커플러 회전면을 갖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수커플러(200)는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외주가 상기 암밸브실린더(110)의 타측 내주에 삽입되면서 나사결합되고, 상기 암밸브실린더(110)의 내부와 연통하여 유체를 연속적으로 이송하도록 중공인 내부를 가진 원통형의 수밸브실린더(210)와, 일측 내주로 상기 수밸브실린더(210)의 타측 외주가 삽입되어 상기 수밸브실린더(21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수파이프연결구(221)가 형성된 수파이프커넥터(220)와, 상기 수밸브실린더(2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밸브실린더(210)의 일측을 개폐하는 수밸브유닛(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커플러(200)의 수파이프커넥터(220)는 상기 수밸브실린더(21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수커플러(200)는 상기 수밸브실린더(210)의 타측 외주면에 환형의 수강구수용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수밸브실린더(210)의 수강구수용홈(211)에 대응되도록 상기 수파이프커넥터(220)의 일측 외주면에 내부를 향해 수강구삽입홀(222)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파이프커넥터(220)의 수강구삽입홀(222)을 통해 복수의 수강구(240)가 삽입되면서 상기 수강구수용홈(211)의 둘레를 따라 자유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수강구(240) 각각이 환형으로 위치고정되어 상기 수밸브실린더(210)와 상기 수파이프커넥터(220)를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그에 따라, 수커플러(200)는 수강구(240)가 삽입되는 수파이프커넥터(220)의 수강구삽입홀(222) 및 수밸브실린더(210)의 수강구수용홈(211)을 잇는 단면상 수커플러 회전면을 갖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이 암커플러(100)와 수커플러(200) 사이의 상대 회전면 하나만을 두는 것과 달리, 본 발명의 특징으로 첫째 암커플러(100)와 수커플러(200) 사이는 암밸브실린더(110) 및 수밸브실린더(210) 사이의 나사결합을 통한 견고하면서도 쉽고 간편하게 결합시키고, 둘째 암커플러(100)는 암밸브실린더(110) 및 암파이프커넥터(120) 간의 암강구(140)를 통한 암커플러 회전면의 상대회전을 가지고, 수커플러(200)는 수밸브실린더(210) 및 수파이프커넥터(220) 간의 수강구(240)를 통한 수커플러 회전면의 상대 회전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암커플러(100) 및 수커플러(200)는 각각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파이프와 상기 공급파이프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이송하는 이송파이프를 서로 연결시키는데 사용된다. 즉, 공급파이프는 상기 수커플러(200) 중 수파이프커넥터(220)의 수파이프연결구(221)에 연결되며, 이송파이프는 상기 암커플러(100) 중 암파이프커넥터(120)의 암파이프연결구(121)에 연결된다. 따라서, 암커플러(100) 및 수커플러(200)가 서로 결합되면서 공급파이프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수커플러(200)로부터 암커플러(100)를 통해 이송파이프로 이송되어지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암커플러(100) 및 수커플러(200)는 도 9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밸브실린더(110)와 수밸브실린더(210)가 분리된 경우 상기 수밸브유닛(230)은 상기 수밸브실린더(210)의 일측을 폐쇄하고, 상기 암밸브실린더(110)의 타측 내부에 수밸브실린더(210)의 일측이 삽입되어 나사결합된 경우 상기 암밸브유닛(130)과 수밸브유닛(230) 각각은 서로 접촉되어 상기 암밸브실린더(110)의 타측 및 수밸브실린더(210)의 일측을 상호 연통시키도록 상기 수밸브실린더(210)의 일측을 개방한다. 즉, 암커플러(100) 및 수커플러(200)가 서로 결합되어 연결된 경우에는 상호 간 연통되어 유체가 이송되고, 암커플러(100) 및 수커플러(200)가 서로 분리된 경우에는 수밸브유닛(230)이 수밸브실린더(210)의 일측을 폐쇄하면서 공급파이프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의 유출을 막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암커플러(100)의 암밸브실린더(110) 및 수커플러(200)의 수밸브실린더(210) 간의 나사결합시 임의적인 풀림에 의해 서로 간의 결합이 해제될 염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커플러(100)와 수커플러(200) 사이에 서로 형합되는 톱니형상의 걸림고정부재(223) 및 형합고정부재(151)를 통해 나사결합 간의 임의적인 풀림방지기능을 가질 수 있다.
즉, 도 1, 8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파이프커넥터(220)는 일측단에 톱니형상의 걸림고정부재(223)가 환형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암커플러(100)는 원통형상으로 일측 내주가 상기 암밸브실린더(110)의 타측 외주로 삽입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에 상기 수파이프커넥터(220)의 걸림고정부재(223)와 형합되어 걸림되도록 톱니형상의 형합고정부재(151)가 환형으로 둘출 형성된 암수고정슬리브(150)와, 상기 암수고정슬리브(150)를 상기 수파이프커넥터(220)의 걸림고정부재(223)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제공하는 슬리브스프링(160)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암커플러(100)와 수커플러(200)가 나사 결합시에 상기 수파이프커넥터(220)의 걸림고정부재(223)와 암수고정슬리브(150)의 형합고정부재(151) 간에 톱니형상이 서로 형합 걸림되어 암커플러(100)와 수커플러(200)가 서로 임의적인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암수고정슬리브(150)는 슬리브스프링(160)에 의해 스프링력을 받아 탄성 지지되어 있으므로 암커플러(100)와 수커플러(200)를 서로 분리시킬 때에는 암수고정슬리브(150)를 수파이프커넥터(22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밀어넣고, 암커플러(100)의 암밸브실린더(110) 및 수커플러(200)의 수밸브실린더(210) 간의 나사결합을 해제하면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퀵 커플링장치는, 첫째, 암커플러(100)와 수커플러(200) 각각에 회전면을 형성하여 하중의 분산을 꾀해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둘째 암커플러(100)와 수커플러(200) 사이의 결합을 나사결합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하면서도 수파이프커넥터(220)의 걸림고정부재(223)와 암수고정슬리브(150)의 형합고정부재(151)를 통해 암커플러(100)와 수커플러(200) 사이의 나사결합이 임의적인 회전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암커플러
110 : 암밸브실린더 111 : 암강구삽입홀
120 : 암파이프커넥터 121 : 암파이프연결구
122 : 암강구수용홈
130 : 암밸브유닛
140 : 암강구
150 : 암수고정슬리브 151 : 형합고정부재
160 : 슬리브스프링
200 : 수커플러
210 ; 수밸브실린더 211 : 수강구수용홈
220 : 수파이프커넥터 221 : 수파이프연결구
222 : 수강구삽입홀 223 : 걸림고정부재
230 : 수밸브유닛
240 : 수강구

Claims (4)

  1. 유체의 유동을 위해 중공인 내부를 가진 원통형의 암밸브실린더와, 일측에 암파이프연결구가 형성되고, 타측 외주가 상기 암밸브실린더의 일측 내주에 삽입되어 상기 암밸브실린더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파이프커넥터와, 상기 암밸브실린더의 내부에 상기 암밸브실린더의 타측을 향해 설치된 암밸브유닛으로 구성된 암커플러와,
    일측 외주가 상기 암밸브실린더의 타측 내주에 삽입되면서 나사결합되고, 상기 암밸브실린더의 내부와 연통하여 유체를 연속적으로 이송하도록 중공인 내부를 가진 원통형의 수밸브실린더와, 일측 내주로 상기 수밸브실린더의 타측 외주가 삽입되어 상기 수밸브실린더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수파이프연결구가 형성된 수파이프커넥터와, 상기 수밸브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밸브실린더의 일측을 개폐하는 수밸브유닛으로 구성된 수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암커플러 및 수커플러는,
    상기 암밸브실린더와 수밸브실린더가 분리된 경우 상기 수밸브유닛은 상기 수밸브실린더의 일측을 폐쇄하고,
    상기 암밸브실린더의 타측 내부에 수밸브실린더의 일측이 삽입되어 나사결합된 경우 상기 암밸브유닛과 수밸브유닛 각각은 서로 접촉되어 상기 암밸브실린더의 타측 및 수밸브실린더의 일측을 상호 연통시키도록 상기 수밸브실린더의 일측을 개방하고,
    상기 수파이프커넥터는,
    일측단에 톱니형상의 걸림고정부재가 환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암커플러는,
    원통형상으로 일측 내주가 상기 암밸브실린더의 타측 외주로 삽입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에 상기 수파이프커넥터의 걸림고정부재와 형합되어 걸림되도록 톱니형상의 형합고정부재가 환형으로 돌출 형성된 암수고정슬리브와,
    상기 암수고정슬리브를 상기 수파이프커넥터의 걸림고정부재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제공하는 슬리브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플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커플러는,
    상기 암파이프커넥터의 타측 외주면에 환형의 암강구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암파이프커넥터의 암강구수용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암밸브실린더의 일측 외주면에 내부를 향해 암강구삽입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암밸브실린더의 암강구삽입홀을 통해 복수의 암강구가 삽입되면서 상기 암강구수용홈의 둘레를 따라 자유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암강구 각각이 환형으로 위치고정되어 상기 암밸브실린더와 상기 암파이프커넥터를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플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커플러는,
    상기 수밸브실린더의 타측 외주면에 환형의 수강구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밸브실린더의 수강구수용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수파이프커넥터의 일측 외주면에 내부를 향해 수강구삽입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수파이프커넥터의 수강구삽입홀을 통해 복수의 수강구가 삽입되면서 상기 수강구수용홈의 둘레를 따라 자유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수강구 각각이 환형으로 위치고정되어 상기 수밸브실린더와 상기 수파이프커넥터를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플링장치.
  4. 삭제
KR1020160003262A 2016-01-11 2016-01-11 퀵 커플링장치 Active KR101757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262A KR101757575B1 (ko) 2016-01-11 2016-01-11 퀵 커플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262A KR101757575B1 (ko) 2016-01-11 2016-01-11 퀵 커플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7575B1 true KR101757575B1 (ko) 2017-07-13

Family

ID=59352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262A Active KR101757575B1 (ko) 2016-01-11 2016-01-11 퀵 커플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757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086A (ko) * 2017-12-18 2019-06-26 주식회사 아이제이 건식 차단 커플링
KR20210029091A (ko) * 2019-09-04 2021-03-15 웬-산 초우 차량용 공기 압축기의 직렬 연결 호스의 분출 방지 커넥터 구조
CN113074286A (zh) * 2021-03-22 2021-07-06 蚌埠市神舟机械有限公司 绞吸式挖泥船浮管快速接头装置
KR102468828B1 (ko) 2022-02-14 2022-11-18 주식회사 이엠텍 케미칼 주입 모듈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086A (ko) * 2017-12-18 2019-06-26 주식회사 아이제이 건식 차단 커플링
KR102037070B1 (ko) 2017-12-18 2019-11-26 주식회사 아이제이 건식 차단 커플링
KR20210029091A (ko) * 2019-09-04 2021-03-15 웬-산 초우 차량용 공기 압축기의 직렬 연결 호스의 분출 방지 커넥터 구조
KR102371928B1 (ko) * 2019-09-04 2022-03-07 웬-산 초우 차량용 공기 압축기의 직렬 연결 호스의 분출 방지 커넥터 구조
CN113074286A (zh) * 2021-03-22 2021-07-06 蚌埠市神舟机械有限公司 绞吸式挖泥船浮管快速接头装置
CN113074286B (zh) * 2021-03-22 2022-09-16 蚌埠市神舟机械有限公司 绞吸式挖泥船浮管快速接头装置
KR102468828B1 (ko) 2022-02-14 2022-11-18 주식회사 이엠텍 케미칼 주입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05226A (en) Snap-in fittings and coupling ring therefor
US4696326A (en) Anti-mismatch system
US7857361B1 (en) Coupler assembly
US5375887A (en) Plumbing hookup kit
KR101757575B1 (ko) 퀵 커플링장치
JP3021559B2 (ja) 急速継手
US6158781A (en) Pipeline swivel coupling
CN107029344A (zh) 医疗耦接器和包括医疗耦接器的医疗系统
US4213482A (en) Hydraulic coupler
US9605784B2 (en) Restraining joint device
AU2008229413B2 (en) Male coupling for connecting to female threaded coupling
CN101506568B (zh) 一种联接装置
KR20110082670A (ko) 고압 유체 이송용 커플링
US5950985A (en)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fluid conduits
US3902747A (en) Coupling and coupling system for conduits
KR200483179Y1 (ko) 수전 연결구
US7225833B2 (en) Fluid connector with adjustable flow control
US7055865B2 (en) Lateral connection system
US6702258B1 (en) Universal ball valve assembly
US6460899B1 (en) Disconnect coupling
US20190178427A1 (en) Orbital coupling arrangement
KR200482148Y1 (ko) 배관용 캄록형 커플링 장치
JP5566668B2 (ja) 管継手
US20090229690A1 (en) Rigid mount anti-leak fluid coupler
US20240401727A1 (en) Two-phase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22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706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7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7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