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56867B1 - 복합 양식 수조 - Google Patents

복합 양식 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6867B1
KR101756867B1 KR1020140149867A KR20140149867A KR101756867B1 KR 101756867 B1 KR101756867 B1 KR 101756867B1 KR 1020140149867 A KR1020140149867 A KR 1020140149867A KR 20140149867 A KR20140149867 A KR 20140149867A KR 101756867 B1 KR101756867 B1 KR 101756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tank
aquaculture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3139A (ko
Inventor
송동근
홍원석
신완호
민태진
김상복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49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867B1/ko
Publication of KR20160053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86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Zoology (AREA)

Abstract

복합 양식 수조가 개시된다. 복합 양식 수조는, 수조 프레임과, 수조 프레임에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인접한 상태로 설치되며 내부에는 양식수가 저장되는 저수 공간이 형성되며 양식수가 일방향으로 흐르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수조와, 수조에 설치되어 가이드부를 통해 이동되는 양식수를 인접한 상기 수조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이송부를 통해 상기 수조를 통과하여 배출된 상기 양식수를 전송받아 설정된 용존 산소량에 대응하도록 미세기포를 상기 양식수에 포함시켜 수조에 재공급하는 미세기포 발생부와, 미세기포 발생부에 설치되어 양식수를 상기 수조에 재공급하는 펌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합 양식 수조{COMPOUND AQUAFARM}
본 발명은 다량의 어류의 양식이 가능하고 양식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복합 양식 수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연안 해역에서 발생하는 무분별한 어류의 남획과 환경오염에 따른 수질환경 등의 변화로 인하여 자연적인 어족자원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그러나 생활수준의 개선에 따른 웰빙푸드(건강식품)의 선호로 인하여 싱싱한 생선이나 해산물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특히, 구제역이나 조류독감 또는 광우병과 같은 가축의 질병으로 인하여 육류의 소비는 점차 줄어들지만, 건강-웰빙 식품으로서 생선이나 해산물의 소비는 뚜렷한 증가 추세에 있다. 또한 살아 있는 활어를 선호하는 국내 소비자들의 취향에 의하여 활어의 소비는 매우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활어의 수요와 공급에 따른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도록, 잡는 어업보다는 기르는 어업으로서의 양식 산업이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연안해역에서 이루어지는 천해양식은 자연재해나 수질오염 또는 각종 질병과 같은 여러 위험 요소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으며, 값싼 중국산 수입어류로 말미암아 국내의 양식 산업이 활로를 찾지 못하고 침체되어 가는 실정이다.
따라서. 연안해역에서 이루어지는 천해양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바다가 아닌 육상에 양식수조를 빌딩 형식으로 시설하여 다양한 어종을 양식할 수 있도록 한 빌딩형 양식시설이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빌딩형 양식시설에서 양식되는 다양한 어류들로부터 배설물이 다량으로 발생되는 바, 이러한 배설물을 처리하는 작업이 복잡하여 어류의 양식 과정에 소요되는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빌딩형 양식시설에 사용되는 양식수의 용존 산소량을 충분하게 확보하면서 양식수가 오염되는 것을 함께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이에 관련된 설비가 과다하게 소요되어 양식을 위한 설비 원가 상승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량의 어류를 양식하는 수조를 복수개로 설치하고, 수조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을 저비용으로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 용존 산소량을 충분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복합 양식 수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조 프레임과, 수조 프레임에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인접한 상태로 설치되며 내부에는 양식수가 저장되는 저수 공간이 형성되며 양식수가 일방향으로 흐르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수조와, 수조에 설치되어 가이드부를 통해 이동되는 양식수를 인접한 상기 수조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이송부를 통해 상기 수조를 통과하여 배출된 상기 양식수를 전송받아 설정된 용존 산소량에 대응하도록 미세기포를 상기 양식수에 포함시켜 수조에 재공급하는 미세기포 발생부와, 미세기포 발생부에 설치되어 양식수를 상기 수조에 재공급하는 펌핑부를 포함한다.
수조 프레임은,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에 다단으로 설치되어 수조를 지지하는 거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수조는, 거치 프레임에 지지된 상태로 수조 프레임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복수개가 다단으로 설치될 수 있다.
수조는, 수조 프레임의 최상단에 설치되며 펌핑부를 통해 양식수를 공급받는 제1 수조와, 제1 수조의 인접한 하부에서 수조 프레임에 설치되며 제1 수조로부터 이송부에 의해 양식수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제2 수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조 또는 제2 수조는 적어도 1개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는, 수조의 바닥면에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양식수가 일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경사면일 수 있다.
경사면은 북수개의 수조의 각각에 대해 서로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은, 양식수의 수면에 대해 복수개의 상기 수조에 각각 다른 기울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조는, 수조 프레임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양식수가 저장되는 제1 저수 공간이 형성된 제1 수조 바디와, 제1 수조 바디의 내벽면과 이격된 상태로 제1 수조 바디의 일측에서 제1 저수 공간의 일부를 제1 이격 공간으로 구획하며 복수개의 관통부가 형성된 제1 메쉬부재와, 제1 수조 바디의 타측에서 제1 저수 공간의 일부를 제1 여과 공간으로 구획하며 제1 수조 바디의 가장자리 벽면의 높이 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제1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조는, 수조 프레임에서 제1 수조의 인접한 위치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양식수가 저장되는 제2 저수 공간이 형성되는 제2 수조 바디와, 제2 수조 바디의 내벽면과 이격된 상태로 제2 수조 바디의 일측에서 제2 저수 공간의 일부를 제2 이격 공간으로 구획하는 제2 메쉬부재와, 제2 수조 바디의 타측에서 제2 저수 공간의 일부를 제2 여과 공간으로 구획하며 제2 수조 바디의 벽면의 높이 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제2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조의 상기 제1 여과 공간에 저장된 양식수는, 이송부에 의해 제2 이격 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이격 공간 또는 제2 이격 공간에는 양식수를 가열하는 히팅기가 설치될 수 있다.
이송부는, 일단은 제1 여과 공간에 연통되며 타단은 제2 이격 공간으로 연장되며 제1 개폐 밸브가 설치되어 제1 수조에서 제1 격벽을 넘어 제1 여과 공간에 저장된 양식수를 이송하는 제1 이송 라인과, 제1 저수 공간에 연통되며 타단은 제2 이격 공간으로 연장되며 제2 개폐 밸브가 설치되는 제2 이송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송 라인에는, 제3 개폐 밸브가 설치된 드레인 라인이 분기될 수 있다.
미세기포 발생부는, 수조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는 사이드 프레임과,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되며 양식수를 이송 받아 저장하며 양식수가 이동되도록 수조와 연결 라인으로 연결된 사이드 수조와, 사이드 수조에 미세기포를 공급하여 양식수의 용존 산소량을 증가시키는 기포 공급기를 포함할 수 있다.
미세기포 발생부에는 사이드 수조에 저장된 양식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과부는, 사이드 수조의 측면에 설치되는 여과 수조와, 여과 수조에 설치되는 배수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수조와 여과 수조가 접한 부분에는, 사이드 수조의 최대 수위 높이에 해당하는 여과 격벽이 설치될 수 있다.
펌핑부는, 수조와 제1 펌핑 라인으로 연결되는 펌핑 모터와, 펌핑 모터에 제2 펌핑 라인으로 연결되는 용해탱크와, 용해탱크와 사이드수조에 연결되어 용해탱크를 통과한 양식수를 사이드 수조로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제3 펌핑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라인은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며, 복수개의 수조와 사이드 수조를 각각 연결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수조의 각각에는 양식수의 용존 산소량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농도 센서의 센싱값이 설정값 미만이면, 복수개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콘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조에 설치되어 상기 양식수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와, 조명부로부터 조사된 빛의 반사량을 측정하는 수광부와, 수광부의 센싱 신호를 전송받아 수광되는 빛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솔레노이드 밸브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경사면이 형성된 복수개의 수조를 다단으로 설치하여 이물질이 경사면을 따라 배출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어류의 양식 과정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을 저비용으로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합 양식 수조에 용존 산소량 확보를 위한 미세기포를 공급하면서 양식수에 포함된 오염 물질의 제거도 함께 가능하여, 양식수에 포함된 오염 물질의 제거를 위한 추가적인 설비가 필요 없어 양식 효율의 향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수조의 각각에 용존 산소량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 센서를 설치하고, 용존 산소량이 부족한 수조에 선택적으로 용존 산소량이 충분한 양식수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여, 양식 효율의 향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수조의 각각에 조명부 및 수광부를 설치하여 이물질의 축적 상태를 효과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물질 제거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양식 수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복합 양식 수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복합 양식 수조의 양식수의 흐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은 도 1의 제1 수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수조의 Ⅴ-Ⅴ 선을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제1 수조와 제2 수조가 다단으로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복합 양식 수조의 어느 하나의 수조가 측면으로 인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복합 양식 수조의 측면에서 펌핑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양식 수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합 양식 수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또한, 제1 엘리먼트 (또는 구성요소)가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 상(ON)에서 동작 또는 실행된다고 언급될 때, 제1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동작 또는 실행되는 환경에서 동작 또는 실행되거나 또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을 통해서 동작 또는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양식 수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복합 양식 수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복합 양식 수조의 양식수의 흐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양식 수조(400)는, 수조 프레임(100)과, 수조 프레임(100)에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인접한 상태로 설치되며 내부에는 양식수(10)가 저장되는 저수 공간이 형성되고 양식수(10)가 일방향으로 흐르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17)가 형성된 복수개의 수조(200)와, 수조(200)에 설치되어 가이드부(217)를 통해 이동되는 양식수를 인접한 상기 수조로 이송하는 이송부(230)와, 이송부(230)를 통해 수조(200)를 통과하여 배출된 양식수(10)를 전달받아 양식수(10)에 미세기포를 포함시켜 용존 산소량을 증가시키는 미세기포 발생부(300)와, 미세기포 발생부(300)에 설치되어 양식수(10)를 수조(200)에 재공급하는 펌핑부(350)를 포함한다.
수조 프레임(100)은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수조(200)들이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다단으로 설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조 프레임(100)은 수조(200)들이 상부에서 연직 방향의 하부로 다단으로 설치 가능하도록 마련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부에서 하부로 계단 타입으로 다단으로 설치되도록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수조 프레임(100)은,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10)과, 베이스 프레임(110)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수조(200)를 거치하는 거치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복수개의 수조(200)를 안정적으로 거치하기 위한 강도를 갖는 스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에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복수개의 거치 프레임(120)이 설치된다.
거치 프레임(120)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폭방향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며,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다단의 복수개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2개의 거치 프레임(120)이 하나의 수조(200)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거치 프레임(120)은 복수개의 수조(200)의 바닥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수조(200)의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1의 제1 수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1 수조의 Ⅴ-Ⅴ 선을 잘라서 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1의 제1 수조와 제2 수조가 다단으로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200)는 양식하고자 하는 어류가 내부에 저장되는 것으로서, 어류의 양식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투명 아크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조(200)는 수조 프레임(10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인접한 상태로 복수개가 다단으로 설치될 수 있다.
수조(200)는, 수조 프레임(100)의 최상단에 설치되는 제1 수조(210)와, 제1 수조(210)의 인접한 하부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제2 수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조(200)의 상부에는 덮개(미도시)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수조(210)와 제2 수조(220)는 동일 구조의 동일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수조(210)와 제2 수조(220)는 수조 프레임(10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순차적으로 엇갈리게 배치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수조(200)는 상단의 제1 수조(210)와 중단의 제2 수조(220) 및 하단의 제1 수조(210)가 서로 설치된 방향을 달리하면서 엇갈리게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수조(200)는 3개의 수조가 배치된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2개 또는 3개를 초과한 상태로 수조 프레임(10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수조(210)는, 수조 프레임(100)의 상단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펌핑부(350)를 통해 양식수(10)를 공급 받는다.
제1 수조(210)는, 수조 프레임(100)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양식수(10)가 저장되는 제1 저수 공간(211a)이 형성된 제1 수조 바디(211)와, 제1 수조 바디(211)의 양측에서 제1 저수 공간(211a)의 일부를 제1 이격 공간(211b)으로 구획하는 제1 메쉬부재(213)와, 제1 수조 바디(211)의 내부에서 제1 저수 공간(211a)의 일부를 제1 여과 공간(211c)으로 구획하는 제1 격벽(2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조 바디(211)는 바닥면이 거치 프레임(120)에 접한 상태로 수조 프레임(100)에 설치되며, 투명 아크릴 소재 등의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수조 바디(211)는 거치 프레임(120)에 자중에 의해 안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거치 프레임(1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복합 양식 수조의 어느 하나의 수조가 측면으로 인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수조(210)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수요자에게 판매하고자 하는 경우, 제1 수조(210)를 거치 프레임(120)으로부터 수조 프레임(100)의 외측으로 인출하여 교체 작업 또는 수요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제1 수조 바디(211)의 내부에는 어류의 양식을 위한 양식수(10)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제1 저수 공간(211a)이 형성된다. 이러한 양식수(10)는 제1 수조 바디(211)의 내부에서 일방향으로 흐르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제1 수조 바디(211)의 내부에는 가이드부(217)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217)는 제1 수조 바디(211)의 바닥면에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가이드부와 경사면은 동일 참조 번호 217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제1 수조 바디(211)의 내부에서 양식수(10)가 일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것은, 복수개의 수조(200)들에 양식수(10)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양식수(10)가 수조(200)들의 내부에서 일측으로 흐르는 과정에서 어류에서 배출된 배설물 등이 수조(20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자중에 의해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1 수조 바디(211)의 일측에는 제1 메쉬부재(213)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메쉬부재(213)는 제1 수조 바디(211)의 일 측, 즉 양식수(10)가 공급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 수조 바디(211)의 내부의 일부를 제1 이격 공간(211b)으로 구획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메쉬부재(213)는 복수개의 관통공(213a)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이격 공간(211b)으로 유입된 양식수(10)는 제1 메쉬부재(213)를 통과하여 제1 수조 바디(211)의 제1 저수 공간(211a)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메쉬부재(213)가 설치되는 것은 제1 저수 공간(211a)에서 영식되는 어류(미도시)가 제1 이격 공간(211b)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1 이격 공간(211b)에는 양식수(10)를 가열하는 히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메쉬부재(213)는 어류가 히터에 접촉되어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제1 수조 바디(211)의 타측에는 제1 격벽(215)이 설치된다.
제1 격벽(215)은 제1 수조 바디(211)의 타측, 즉 경사면(217)의 기울어진 하측에서 제1 저수 공간(211a)의 일부를 제1 여과 공간(211c)을 구획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격벽(215)은 제1 수조 바디(211)의 내부에서 양식수(10)의 최대 수위(20)에 해당하는 높이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양식수(10)가 최대 수위(20)를 초과하여 제1 수조 바디(211)의 내부에 공급되면, 최대 수위를 초과한 양식수(10)를 제1 격벽(215)에서 넘쳐흘러 제1 여과 공간(211c)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격벽(215)에서 제1 여과 공간(211c)으로 양식수(10)가 넘쳐흐르는 과정에서 양식수(10)에 포함된 부유 이물질(미도시)도 함께 제1 여과 공간(211c)으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여과 공간(211c)으로 유입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양식수(10)에 포함된 이물질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제1 여과 공간(211c)으로 유입된 이물질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서도 가능하고 이송부(230)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이송부(230)를 설명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송부(230)는, 제1 여과 공간(211c)에 연결되는 제1 이송 라인(231)과, 제1 격벽(215)의 근접 위치에서 제1 저수 공간(211a)에 연결되는 제2 이송 라인(2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송 라인(231)은 일단은 제1 여과 공간(211c)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제2 수조 바디(221)의 제2 이격 공간(221b)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제1 이송 라인(231)에는 제1 개폐 밸브(231a)가 설치되어 양식수(10)의 선택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 이송 라인(231)이 설치되는 것은 제1 수조(210)에서 흐르는 양식수(10)를 제2 수조(220)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이송 라인(233)은 일단은 제1 저수 공간(211a)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제2 수조 바디(221)의 제2 이격 공간(221b)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제2 이송 라인(233)에는 제2 개폐 밸브(233a)가 설치되어, 제1 수조(210)에 저장된 양식수(10)가 제2 수조(220)로 선택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2 이송 라인(233)이 설치되는 것은, 양식수(10)의 이동과 함께 제1 수조(210)의 내부 이물질도 함께 제2 수조(220)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1 수조(210)는 제1 저수 공간(211a)의 바닥면에 경사면(217)이 형성된다. 따라서, 어류의 배설물 등은 그 자중에 의해 경사면(217)을 따라 이동되어 제1 격벽(215)의 근접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이송 라인(233)을 개방하면 어류의 배설물 등의 이물질은 양식수(10)의 이동과 함께 제2 수조(220)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제2 이송 라인(233)에는 드레인 라인(235)이 분기되는 것도 가능하다. 드레인 라인(233)에는 제3 개폐 밸브(235a)가 설치되어 드레인 라인(235)의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드레인 라인(235)이 제2 이송 라인(233)에서 분기되는 것은, 제2 이송 라인(233)을 통해 배출되는 이물질을 보다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수조(210)에 저장된 양식수(10) 및 이물질은 이송부(230)에 의해 제2 수조(220)로 이송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이하에서 제2 수조(220)를 설명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 수조(220)는 제1 수조(210)와 동일 구성의 동일 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조 프레임(100)에 설치되는 방향을 달리하여 설치될 수 있다. 즉, 제2 수조(220)는 제1 수조(210)가 설치된 방향의 역방향으로 수조 프레임(100)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수조(220)는, 수조 프레임(100)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양식수(10)가 저장되는 제2 저수 공간(221a)이 형성된 제2 수조 바디(221)와, 제2 수조 바디(221)의 일측에서 제1 저수 공간(211a)의 일부를 제2 이격 공간(221b)으로 구획하는 제2 메시부재(223)와, 제2 수조 바디(221)의 내부에서 제2 저수 공간(221a)의 일부를 제2 여과 공간(221c)으로 구획하는 제2 격벽(2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조 바디(221)는 제1 수조 바디(211)가 설치된 위치의 하부에서 수조 프레임(100)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수조 바디(221)의 내부에는 일측에 제2 메쉬부재(223)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제2 격벽(225)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메쉬부재(223)는 제1 격벽(215)의 하부에서 제2 수조 바디(221)의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2 격벽(225)은 제1 메쉬부재(213)의 하부에서 제2 수조 바디(22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수조 바디(221)는 제1 수조 바디(211)의 설치된 역방향으로 수조 프레임(100)에 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2 수조 바디(221)에 형성된 경사면(217)은, 제1 수조 바디(211)에 형성된 경사면(217)과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수조(220)의 경사면이 제1 수조(210)의 경사면보다 큰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제1 수조(210)와 제2 수조(220)의 어느 하나는 적어도 1개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수조(210) 및 제2 수조(220)가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설치되거나, 제1 수조(210) 또는 제2 수조(220)의 어느 하나가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수조(210)와 제2 수조(220)는 서로 인접한 상태에서 설치된 방향을 서로 엇갈리게 하여 수조 프레임(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수조(210)와 제2 수조(220)가 수조 프레임(100)에 다단으로 설치됨으로써, 양식수(10)는 최상단의 수조(제1 수조)로부터 최하단의 수조(제2 수조)에 순차적으로 흘러 공급될 수 있다.
수조(200)에 양식수(10)를 공급하는 것은 수조 프레임(100)의 측면에 설치되는 미세기포 발생부(300)를 이용하여 공급할 수 있다.
미세기포 발생부(300)는, 수조 프레임(100)의 측면에 설치되는 사이드 프레임(310)과, 사이드 프레임(310)에 설치되며 양식수(10)를 이송 받아 저장하는 사이드 수조(320)와, 사이드 수조(320)에 미세기포를 공급하여 양식수(10)에 포함된 용존 산소량을 증가시키는 기포 공급기(330)를 포함한다.
사이드 프레임(310)은 수조 프레임(10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펌핑부(350) 및 사이드 수조(320)가 설치되도록 다단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사이드 프레임(310)의 하단에는 펌핑부(350)가 설치되고, 사이드 프레임(310)의 상단에는 사이드 수조(320)가 설치될 수 있다.
사이드 수조(320)는, 수조(200)로부터 이송된 양식수(10)가 일시적으로 저장된 상태로 사이드 프레임(310)의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사이드 수조(320)는 펌핑부(350)의 펌핑 압력에 의해 수조(200)로부터 양식수(10)를 공급받는다. 사이드 수조(320)의 내부에는 양식수(10)의 공급 과정에서 미세기포를 포함하도록 기포 공급기(330)가 설치될 수 있다. 기포 공급기(330)는 펌핑부(350)로부터 펌핑된 양식수(10)에 미세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사이드 수조(320)에는 여과부(34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과부(340)는, 사이드 수조(320)의 측면에 설치되는 여과 수조(341)와, 여과 수조(341)에 설치되는 배수 라인(34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과 수조(341)는, 사이드 수조(320)의 측면에 설치되어 사이드 수조(320)로부터 부유하는 이물질이 이동되는 부분을 말한다. 이러한 여과 수조(341)는 사이드 수조(320)의 측면에 여과 격벽(341a)으로 구획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여과 격벽(341a)는 사이드 수조(320)의 설치 높이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며, 사이드 수조(320)에 저장되는 양식수의 최대 수위 높이에 해당하는 높이를 갖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사이드 수조(320)에 저장된 양식수(10)의 수위가 점차 상승하는 과정에서 양식수(10)에 부유하는 이물질은 여과 격벽(341a)을 타고 넘어 여과 수조(341)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과 수조(341)로 이동된 이물질은 배수 라인(34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제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수 라인(343)을 통해 이물질이 배출되기 전에, 여과 수조(341)에 다량의 물을 우선 공급한 상태에서 이물질을 공급된 물과 함께 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이드 수조(320)의 상단의 측면에는 수조(200)와 연결되는 연결 라인(345)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미세기포 발생부(300)를 통해 충분한 용존 산소량을 갖는 양식수(10)는 연결 라인(345)을 통해 수조(200)로 재공급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복합 양식 수조의 측면에서 펌핑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측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핑부(350)는, 수조(200)와 제1 펌핑 라인(352)으로 연결되는 펌핑 모터(351)와, 펌핑 모터(351)에 제2 펌핑 라인(354)으로 연결되는 용해탱크(353)와, 용해탱크(353)와 사이드 수조(320)를 연결하는 제3 펌핑 라인(356)을 포함할 수 있다.
펌핑 모터(351)는 사이드 프레임(310)의 하단에 설치되며, 유체를 정량으로 펌핑하여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정량 펌프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펌핑 모터(351)의 구동이 이루어지면, 수조(200)로부터 이동되는 양식수(10)는 용해탱크(353)를 통과하여 사이드 수조(320)에 공급될 수 있다. 참조 번호 240은 수조(200)로부터 이송된 양식수(10)가 일시 저장되는 저수조를 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복합 양식 수조(400)는, 경사면(217)이 형성된 복수개의 수조(200)를 다단으로 설치하여, 다수의 어류를 최소한의 공간에서 효과적으로 양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복합 양식 수조(400)에는 경사면(217)이 형성되어, 이물질이 경사면(217)을 따라 이동되어 일측으로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여,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구성을 갖는다.
한편, 복합 양식 수조(400)에 미세기포를 공급하면서 양식수(10)에 포함된 오염 물질의 제거도 함께 가능하여, 오염 물질의 제거를 위한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 없어 양식 효율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양식 수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양식 수조(500)는, 수조 프레임(100)에 다단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수조(200)와, 사이드 수조(320)의 각각은 복수개의 연결라인(510)으로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라인(510)에는 솔레노이드 밸브(511)가 각각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개폐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수조(200)의 각각에는 양식수(10)에 포함된 용존 산소량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 센서(520)가 설치된다. 이러한 농도 센서(520)에서 센싱된 측정값은 콘트롤러(530)로 전송된다.
콘트롤러(530)는 농도 센서(520)의 센싱값을 전송받아 용존 산소량의 농도가 설정 농도 미만으로 확인되면, 해당하는 수조(200)에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511)를 개방한다. 따라서, 복수개의 수조(200)들 중에서 용존 산소량이 설정값 미만인 수조(200)와 사이드 수조(320)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용존 산소량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합 양식 수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합 양식 수조(600)는, 수조(200)에 설치되어 양식수(10)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610)와, 조명부(610)로부터 조사된 빛의 반사량을 측정하는 수광부(620)와, 수광부(620)의 수광 센싱 신호를 전송받아 수광되는 빛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솔레노이드 밸브(511)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제어부(630)를 포함한다.
조명부(610)는 복수개의 수조(200) 각각에 빛을 조사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수광부(620)는 수조(200)의 양식수(10)에서 반사된 빛을 수광 가능하도록 수조(200) 또는 수조 프레임(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광부(620)가 설치되는 것은, 양식수(10)에 포함된 어류 배설물 등의 이물질의 양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즉, 양식수(10)에 조명부(610)를 이용하여 빛을 조사하게 되면, 양식수(10)에 포함된 이물질의 양에 따라 반사되는 빛의 양이 달라진다. 따라서, 수광부(620)를 통해 수광되는 빛의 양을 확인하여 양식수(10)의 오염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수광부(620)에서 센싱된 수광 신호는 제어부(630)로 전송된다.
제어부(630)는 수광부(620)의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설정값 이상의 수광 신호로 확인되면, 솔레노이드 밸브(511)를 개방 제어한다. 즉, 수광 신호가 설정값이상으로 수신되는 어느 하나의 수조(200)에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511)를 개방하여, 사이드 수조(320)로부터 양식수(10)가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오염된 수조(200)에 양식수(10)를 공급하여 흐르도록 함으로써, 오염된 양식수(10)를 희석하고 양식수(10)의 흐름에 따라 배설물이 배출되도록 하여 오염도를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10...양식수 100...수조 프레임
110...베이스 프레임 200...수조
210...제1 수조 211...제1 수조 바디
211a..제1 저수 공간 211b..제1 이격 공간
211c..제1 여과 공간 213...제1 메쉬부재
215...제1 격벽 217...가이드부, 경사면
220...제2 수조 221...제2 수조 바디
221a..제2 저수 공간 221b..제2 이격 공간
221c..제2 여과 공간 223...제2 메쉬부재
225...제2 격벽 230...이송부
231...제1 이송 라인 231a..제1 개폐 밸브
233...제2 이송 라인 233a..제2 개폐 밸브
235...드레인 라인 235a..제3 개폐 밸브
300...미세기포 발생부 310...사이드 프레임
320...사이드 수조 330...기포 공급기
340...여과부 341...여과 수조
343...배수 라인 345, 510...연결 라인
350...펌핑부 351...펌핑 모터
352...제1 폄핑 라인 353...용해탱크
354...제2 펌핑 라인 356...제3 펌핑 라인
511...솔레노이드 밸브 520...농도 센서
530...콘트롤러 610...조명부
620...수광부 630...제어부

Claims (21)

  1. 수조 프레임;
    상기 수조 프레임에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인접한 상태로 설치되며, 내부에는 양식수가 저장되는 저수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양식수가 일방향으로 흐르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수조;
    상기 수조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이동되는 상기 양식수를 인접한 상기 수조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를 통해 상기 수조를 통과하여 배출된 상기 양식수를 전송받아, 설정된 용존 산소량에 대응하도록 미세기포를 상기 양식수에 포함시켜 상기 수조에 재공급하는 미세기포 발생부; 및
    상기 미세기포 발생부에 설치되어, 상기 양식수를 상기 수조에 재공급하는 펌핑부; 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수조는,
    상기 수조 프레임의 최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펌핑부를 통해 상기 양식수를 공급받는 제1 수조; 및
    상기 제1 수조의 인접한 하부에서 상기 수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수조로부터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양식수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제2 수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조는,
    상기 수조 프레임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양식수가 저장되는 제1 저수 공간이 형성된 제1 수조 바디;
    상기 제1 수조 바디의 내벽면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 수조 바디의 일측에서 상기 제1 저수 공간의 일부를 제1 이격 공간으로 구획하며 복수개의 관통부가 형성된 제1 메쉬부재; 및
    상기 제1 수조 바디의 타측에서 상기 제1 저수 공간의 일부를 제1 여과 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기 제1 수조 바디의 가장자리 벽면의 높이 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제1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일단은 상기 제1 여과 공간에 연통되며 타단은 상기 제2 이격 공간으로 연장되며 제1 개폐 밸브가 설치되어, 상기 제1 수조에서 상기 제1 격벽을 넘어 상기 제1 여과 공간에 저장된 상기 양식수를 이송하는 제1 이송 라인; 및
    상기 제1 저수 공간에 연통되며 타단은 상기 제2 이격 공간으로 연장되며 제2 개폐 밸브가 설치되는 제2 이송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조 바디와 상기 제2 수조 바디는, 상기 수조 프레임에 포함된 거치 프레임들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상기 수조 프레임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복수개가 다단으로 설치되는 것인, 복합 양식 수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수조의 바닥면에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양식수가 일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경사면인, 복합 양식 수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복수개의 상기 수조의 각각에 대해 서로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복합 양식 수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양식수의 수면에 대해 복수개의 상기 수조에 각각 다른 기울기로 형성되는, 복합 양식 수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조는,
    상기 수조 프레임에서 상기 제1 수조의 인접한 위치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양식수가 저장되는 제2 저수 공간이 형성되는 제2 수조 바디;
    상기 제2 수조 바디의 내벽면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2 수조 바디의 일측에서 상기 제2 저수 공간의 일부를 제2 이격 공간으로 구획하는 제2 메쉬부재; 및
    상기 제2 수조 바디의 타측에서 상기 제2 저수 공간의 일부를 제2 여과 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기 제2 수조 바디의 벽면의 높이 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제2 격벽;
    을 포함하는, 복합 양식 수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조의 상기 제1 여과 공간에 저장된 상기 양식수는,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제2 이격 공간으로 이동되는, 복합 양식 수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격 공간 또는 상기 제2 이격 공간에는 상기 양식수를 가열하는 히팅기가 설치되는, 복합 양식 수조.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 라인에는, 제3 개폐 밸브가 설치된 드레인 라인이 분기되는, 복합 양식 수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포 발생부는,
    상기 수조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는 사이드 프레임;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양식수를 이송 받아 저장하며, 상기 양식수가 이동되도록 상기 수조와 연결 라인으로 연결된 사이드 수조; 및
    상기 사이드 수조에 미세기포를 공급하여, 상기 양식수의 용존 산소량을 증가시키는 기포 공급기;
    를 포함하는, 복합 양식 수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포 발생부는 상기 사이드 수조에 저장된 상기 양식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부를 더 포함하는, 복합 양식 수조.
  16. 삭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는,
    상기 수조와 제1 펌핑 라인으로 연결되는 펌핑 모터;
    상기 펌핑 모터에 제2 펌핑 라인으로 연결되는 용해탱크;
    상기 용해탱크와 상기 사이드수조에 연결되어, 상기 용해탱크를 통과한 상기 양식수를 상기 사이드수조로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제3 펌핑라인;
    을 포함하는, 복합 양식 수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라인은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며, 복수개의 상기 수조와 상기 사이드 수조를 각각 연결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설치되는, 복합 양식 수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각각에는 상기 양식수의 용존 산소량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 센서가 설치되는, 복합 양식 수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 센서의 센싱값이 설정값 미만이면, 복수개의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콘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복합 양식 수조.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에 설치되어 상기 양식수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로부터 조사된 빛의 반사량을 측정하는 수광부; 및
    상기 수광부의 센싱 신호를 전송받아, 수광되는 빛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복합 양식 수조.
KR1020140149867A 2014-10-31 2014-10-31 복합 양식 수조 Active KR101756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867A KR101756867B1 (ko) 2014-10-31 2014-10-31 복합 양식 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867A KR101756867B1 (ko) 2014-10-31 2014-10-31 복합 양식 수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139A KR20160053139A (ko) 2016-05-13
KR101756867B1 true KR101756867B1 (ko) 2017-07-12

Family

ID=56023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867A Active KR101756867B1 (ko) 2014-10-31 2014-10-31 복합 양식 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8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35082B (zh) * 2016-06-27 2018-10-23 海南晨海水产有限公司 一种黑斑石斑鱼的人工繁殖方法
KR102150581B1 (ko) 2018-10-11 2020-09-01 임민수 갑각류 양식장치
KR102053706B1 (ko) * 2019-04-01 2019-12-09 경상북도 (수산자원연구소 토속어류산업화센터장) 복층형 어류 양식 사육수용 여과 시스템
KR102588599B1 (ko) * 2023-01-09 2023-10-11 한민수 교차형 다층구조의 빌딩형 양식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5668A (ja) * 2001-10-29 2003-05-07 Nakatsuka Kensetsu Kk 貝類の陸上養殖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5668A (ja) * 2001-10-29 2003-05-07 Nakatsuka Kensetsu Kk 貝類の陸上養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139A (ko) 2016-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8850B1 (ko) 무배수 복합 순환 양식설비
KR101756867B1 (ko) 복합 양식 수조
KR101206491B1 (ko) 에어 리프트 장치를 이용한 양식 시스템 및 새우 양식 방법
KR101799761B1 (ko) 폐쇄형 순환여과식 패류 어미성숙관리 및 정화처리 장치
KR101416489B1 (ko)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TWI669055B (zh) Aquaculture equipment
NO342765B1 (en) System for selective waste removal from aquaculture
KR101773291B1 (ko) 피쉬펌프를 이용한 양식생물 수확 및 배급시스템
KR101021911B1 (ko) 전시용 해수어 수조 순환여과시스템
KR101732367B1 (ko) 가축용 위생 물공급장치
US5692455A (en) Fluidized bed production of oysters and other filter feeding bivalve mollusks using shrimp pond water
KR20190047356A (ko) 다층 구조 어류 사육용 수조
KR101511948B1 (ko) 양어장의 물순환 시스템
CN106342742A (zh) 一种海水鱼循环水暂养系统
KR101730409B1 (ko) 양만장용 수처리 시스템
KR101555134B1 (ko) 순환여과식 사육조
CN104488800B (zh) 一种自清洗鱼缸
JP2000069879A (ja) 海産動物養殖用水槽システム
KR20190062886A (ko) 수질관리가 용이한 케이지를 갖는 사육장치
KR20110069066A (ko) 문어 부화 방법 및 인큐베이터
CN206118839U (zh) 一种海水鱼循环水暂养系统
CN205213849U (zh) 一种冷水性鱼类鱼卵孵化和苗种培育系统
JP4290609B2 (ja) 陸上養殖装置
KR102150581B1 (ko) 갑각류 양식장치
CN220694179U (zh) 一种鱼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5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103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04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103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7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7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