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5452B1 - Hood extension devic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Hood extension device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5452B1 KR101755452B1 KR1020110117201A KR20110117201A KR101755452B1 KR 101755452 B1 KR101755452 B1 KR 101755452B1 KR 1020110117201 A KR1020110117201 A KR 1020110117201A KR 20110117201 A KR20110117201 A KR 20110117201A KR 101755452 B1 KR101755452 B1 KR 1017554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ing member
- locking
- vehicle
- hood
- shock absorb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4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38—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adjustably or movably mounted, e.g. horizontally displaceable for securing a space between parked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021/343—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deformable body panel, bodywork or compon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021/346—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means outside vehicl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는, 차량의 후드 패널과 전방 글라스 사이에서 후드 패널에 장착되는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에 있어서, 전방 글라스와 근접한 후드 패널의 후단 하부에 장착되며, 중앙에 장착공간이 구비된 베이스부재와, 베이스부재에 차량의 전, 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차량의 전면에서 보행자와의 충돌 시, 후드 패널로부터 전방 글라스를 향하여 돌출되며 전방 글라스와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충격흡수부재와, 베이스부재의 장착공간에 설치되며, 충격흡수부재를 전, 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유닛을 포함한다.A vehicle hood extension device is disclosed. A hood attachmen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od attachment device for a vehicle mounted on a hood panel between a hood panel and a front glass of a vehicle. The hood attachment device is mounted at the rear end of the hood panel close to the front glass, The hood panel is mounted on the base member so as to be slid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The hood panel is protruded from the hood panel toward the front glass when colliding with a pedestrian at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an operation unit provided in the mounting space of the base member for slidably moving the impact absorbing membe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자와 차량의 충돌 시, 보행자가 전방 글라스에 직접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의 정비가 필요한 경우에는 자동차의 전방에서 후드를 개방한 후에 필요한 정비가 이루어진다.Generally, when maintenance of the engine room of an automobile is required, necessary maintenance is performed after the hood is opened in front of the automobile.
자동차 엔진룸의 정비 시, 후드 개방상태는 후드 패널의 후방이 차페에 힌지 체결된다.In the maintenance of the automobile engine room, the rear of the hood panel is hinged to the chassis by the hood opening state.
따라서, 운전자는 자동차 앞에 서서 후드 잠금 레버를 해제한 후에 후드 패널을 위로 들어 올려 필요한 엔진룸 정비를 한다.Therefore, the driver stands in front of the car, unlocks the hood lock lever, lifts the hood panel up, and performs necessary engine room maintenance.
한편, 자동차 주행 중에 보행자와의 충돌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보행자는 그 충격에 의해 자동차의 후드 패널 위로 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이때 보행자의 머리가 후드 패널과 충돌하여 머리의 상해가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On the other hand, when a collision with a pedestrian occurs during a vehicle running, the pedestrian often falls on the hood panel of the vehicle due to the impact. In particular, when the head of the pedestrian collides with the hood panel, man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액티브 후드 장치가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Various active hood apparatuses have been proposed to solve these problems.
그러나, 종래의 액티브 후드 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사고시 제대로 동작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active hood apparatus has a complicated structure, and thus ha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operate properly when an accident occur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는 차량의 후드 패널과 전방 글라스 사이에서 후드 패널에 장착되어 보행자의 충돌 시, 전방 글라스 방향으로 돌출되어 충돌흡수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보행자가 전방 글라스에 직접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vehicle hood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hood panel between the hood panel of the vehicle and the front glass and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glass when the pedestrian collides, So as to prevent the vehicle hood from being struck.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는, 차량의 후드 패널과 전방 글라스 사이에서 상기 후드 패널에 장착되는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 글라스와 근접한 후드 패널의 후단 하부에 장착되며, 중앙에 장착공간이 구비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차량의 전, 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차량의 전면에서 보행자와의 충돌 시, 상기 후드 패널로부터 상기 전방 글라스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전방 글라스와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충격흡수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장착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충격흡수부재를 전, 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 vehicular hood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hood panel between a hood panel and a front glass of a vehicle. The vehicular hood extension device is mounted on the rear end of the hood panel adjacent to the front glass, The hood panel is mounted on the base member so as to be slid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The hood panel is protruded from the hood panel toward the front glass when the pedestrian collides with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an operation unit for slidably moving the impact absorbing membe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impact absorbing member being provided in the mounting space of the base member.
상기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장착공간에 설치되며, 제어기의 출력신호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작동되는 작동로드를 지닌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충격흡수부재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복수개의 작동스프링과,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로드와 충격흡수부재에 연결되게 구성되어 상기 충격흡수부재를 로킹 또는 언로킹 시키는 로킹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vehicular hood extension device, the operation unit may include an actuator installed in the mounting space, the actuator having an actuating rod opera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n accordance with an output signal of the controller, A plurality of actuating springs which exert an elastic force with the shock absorbing member, and locking means connected to the actuating rod and the shock absorbing member of the actuator to lock or unlock the shock absorbing member.
상기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킹수단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로드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1 고정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 고정핀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1 록킹부재와, 상기 제1 록킹부재에 일단부가 맞물리고, 타단부는 제2 고정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록킹부재에 의해 상기 제2 고정핀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2 록킹부재와, 제3 고정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록킹부재에 일단부가 맞물리고, 타단부에 고정홈이 형성되는 제3 록킹부재와, 상기 제1 고정핀과 제2 고정핀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록킹부재와 제2 록킹부재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제1 토션스프링과, 상기 제3 고정핀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3 록킹부재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제2 토션스프링과, 상기 충격흡수부재를 통해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며, 상기 제3 록킹부재의 회전에 의해 이탈되는 제4 록킹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hood extension device for a vehicle, the locking means is connected at one end to the actuating rod of the actuator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in, and the actuator moves the center of the first fixing pin A first locking member rotatably supported by the first locking member, and a second locking pin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locking member at one end thereof, A third locking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third fixing pin and having one end engaged with the second locking member and having a fixing groove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A first torsion spring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in and exerting an elastic force by the first locking member and the second locking member, and a second torsion spring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fixing pin, doing A second torsion spring, and a fourth locking member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through the shock absorbing member and separated by rotation of the third locking member.
상기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록킹부재는 일단부에 니은(ㄴ)자 형상의 제1 록킹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hood extension device for a vehicle, the first locking member may be formed with a first locking protrusion having a shape of a letter B at one end thereof.
상기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록킹부재는 일단부에 상기 제1 록킹돌기와 맞물리는 제2 록킹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vehicular hood extension device, the second locking member may have a second locking protrusion formed at one end thereof to engage with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상기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 록킹부재는 일단부에 상기 제2 록킹돌기와 맞물리는 제3 록킹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vehicular hood extension device, the third locking member may have a third locking protrusion formed at one end thereof to engage with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상기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4 록킹부재는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는 원형의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단이 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vehicular hood extension device, the fourth locking member may have a circular rod shape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and both ends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상기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상기 고정홈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4 록킹부재가 끼워지는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vehicular hood extension device, the shock absorbing member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groove, and a fixing hole into which the fourth locking member is fitted may be formed.
상기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4 록킹부재는 상기 고정홀에 끼워지고,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며, 상기 제3 록킹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In the vehicular hood extension device, the fourth locking member is fitted in the fixing hole, is engaged with the fixing groove, and can be detached from the fixing groove by rotation of the third locking member.
상기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슬라이드 이동 시, 상기 충격흡수부재를 지지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ular hood extens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ver member mounted on the base member and supporting the shock absorbing member when the shock absorbing member slides.
상기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스토퍼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In the hood extension apparatus for a vehicle, a plurality of stoppers may protrude from the base memb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상기 작동스프링의 탄성력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In the vehicular hood extension device, the impact absorbing member may have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elastic force of the operation spring, and the support portion may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space.
상기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슬라이드 이동 시, 상기 베이스부재의 스토퍼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vehicular hood extension device, the shock absorbing member may be formed with a guide groove for guiding a stopper of the base member when sliding.
상기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드 패널과 근접한 전방 프레임의 하측에는 보행자와의 충돌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In the vehicular hood extension device,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collision with a pedestrian may be mounted on a lower side of a front frame adjacent to the hood pane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는 차량의 후드 패널과 전방 글라스 사이에서 후드 패널에 장착되어 보행자의 충돌 시, 전방 글라스 방향으로 돌출되어 충돌흡수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보행자가 전방 글라스에 직접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vehicle hood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hood panel between the hood panel of the vehicle and the front glass and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glass when the pedestrian collides, It is possible to prevent collision.
또한, 보행자와 차량의 충돌 시, 발생되는 충돌에너지를 충돌흡수공간이 흡수함으로써, 보행자의 상해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lision absorbing space absorbs the collision energy generated when the pedestrian collides with the vehicle, thereby minimizing the degree of injury of the pedestria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와 감지센서가 차량에 장착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차량에 장착된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가 작동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의 작동유닛이 로킹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의 작동유닛이 언로킹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ehicle hood extension device and a sensing sensor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illustrating operation of a vehicle hood extension device mounted on a vehicl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hood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od attachmen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od extens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unit of the vehicular hood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ked.
7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unit of the hood extension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locked.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와 감지센서가 차량에 장착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차량에 장착된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가 작동되는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hood extension device and a sensing sensor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operation of a vehicle hood extension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1)는 차량의 후드 패널(3)과 전방 글라스(5) 사이에서 후드 패널(3)에 장착되며, 전방 프레임(6)의 하측에 장착된 감지센서(7)와 제어기(9)를 통해 연결되어 보행자와 차량의 충돌 시, 감지센서(7)가 충돌을 감지하고, 전방 글라스(5) 방향으로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1)가 돌출되어 충돌흡수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보행자가 전방 글라스(5)에 직접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1 and 2, a vehicular
또한, 보행자와 차량의 충돌 시, 발생되는 충돌에너지를 충돌흡수공간이 흡수함으로써, 보행자의 상해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collision absorbing space absorbs the collision energy generated when the pedestrian collides with the vehicle, thereby minimizing the degree of injury of the pedestria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의 작동유닛이 로킹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의 작동유닛이 언로킹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ular hood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ular hood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unit of the vehicular hood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ked,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ho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peration unit of the extension device is unlocked. Fig.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1)는 기본적으로 베이스부재(10), 충격흡수부재(20) 및 작동유닛(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구성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3 to 7, a vehicle
상기 베이스부재(10)는 차량의 전방 글라스(5)와 근접한 후드 패널(3)의 후단 하부에 장착되고, 중앙에 장착공간(11)이 구비되며, 이러한 베이스부재(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스토퍼(13)가 돌출 형성된다.The
그리고, 상기 충격흡수부재(20)는 베이스부재(10)에 차량의 전, 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차량의 전면에서 보행자와의 충돌 시, 후드 패널(3)로부터 전방 글라스(5)를 향하여 돌출되며,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글라스(5)와의 사이에서 공간부(21)를 형성한다.The
상기 공간부(21)는 차량과 보행자의 충돌 시, 발생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으로, 보행자의 상해정도를 최소화가기 위해 형성된 공간이다.The
여기서, 상기 충격흡수부재(20)는 슬라이드 이동 시, 베이스부재(10)에 돌출 형성된 각각의 스토퍼(13)를 가이드 하는 다수개의 가이드홈(23)이 형성된다.Here, the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재(20)는 중앙에 베이스부재(10)의 장착공간(11)에 삽입되는 지지부(25)가 형성되며, 뒤에서 더욱 설명될 제4 록킹부재(150)가 끼워지는 고정홀(27)이 형성된다.The
한편,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부에는 베이스부재(10)와 충격흡수부재(20)의 형상에 대응하는 커버부재(30)가 장착되는데, 이러한 커버부재(30)는 충격흡수부재(20)의 슬라이드 이동 시, 충격흡수부재(20)가 베이스부재(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해주는 기능을 하게된다.A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유닛(40)은 베이스부재(10)의 장착공간(11)에 설치되며, 충격흡수부재(20)를 전, 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러한 작동유닛(40)은 액츄에이터(50), 작동스프링(60) 및 로킹수단(100)으로 이루어진다.The actuating
상기 액츄에이터(50)는 베이스부재(10)의 장착공간(11)에 설치되며, 제어기(9)의 출력신호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작동되는 작동로드(51)를 지닌다.The
그리고, 상기 작동스프링(60)은 액츄에이터(50)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충격흡수부재(20)의 지지부(25)로 탄성력을 발휘하여 충격흡수부재(20)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며, 복수개로 이루어진다.The actuating
상기 로킹수단(100)은 액츄에이터(50)의 작동로드(51)와 충격흡수부재(20)의 지지부(25)에 연결되게 구성되어 충격흡수부재(20)를 로킹 또는 언로킹 시키는 기능을 한다.The
이러한 로킹수단(100)은 제1 록킹부재(101), 제2 록킹부재(110), 제3 록킹부재(120), 제1 토션스프링(130), 제2 토션스프링(140) 및 제4 록킹부재(150)로 구성된다.The locking means 100 includes a
먼저, 상기 제1 록킹부재(101)는 액츄에이터(50)의 작동로드(51)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작동스프링(60) 사이에 형성된 제1 고정핀(103)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액츄에이터(50)의 작동에 의해 제1 고정핀(103)을 중심으로 회전된다.The
또한, 상기 제1 록킹부재(101)는 일단부에 니은(ㄴ)자 형상의 제1 록킹돌기(105)가 형성된다.The
상기 제2 록킹부재(110)는 제1 록킹부재(101)에 일단부가 맞물리고, 타단부는 제2 고정핀(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록킹부재(101)의 회전에 의해 제2 고정핀(11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The
이러한 제2 록킹부재(110)는 일단부에 제1 록킹부재(101)의 제1 록킹돌기(105)와 맞물리는 제2 록킹돌기(113)가 형성된다.The
그리고, 상기 제3 록킹부재(120)는 제3 고정핀(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록킹부재(110)에 일단부가 맞물리고, 타단부에는 원형의 고정홈(123)이 형성된다.The
상기와 같이, 제3 록킹부재(120)의 일단부에도 제2 록킹부재(110)의 제2 록킹돌기(113)와 맞물리는 제3 록킹돌기(125)가 형성된다.The
상기 제1 토션스프링(130)은 제1 고정핀(103)과 제2 고정핀(111)의 외주면에 일체로 연결되게 장착되어 제1 록킹부재(101)와 제2 록킹부재(110)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제2 토션스프링(140)도 제3 고정핀(121)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제3 록킹부재(120)로 탄발력을 발휘하게 된다.The
상기에서 언급한 바 있는, 제4 록킹부재(150)는 충격흡수부재(20)의 고정홀(27)을 통해 고정홈(123)에 결합되고, 제3 록킹부재(120)의 회전에 의해 이탈된다.The
즉, 상기 제4 록킹부재(150)는 충격흡수부재(20)의 고정홀(27)에 끼워지고, 제3 록킹부재(120)의 고정홈(123)에 결합되며, 제3 록킹부재(120)의 회전에 의해 고정홈(123)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므로, 제4 록킹부재(150)가 끼워진 충격흡수부재(20)는 후드 패널(3)로부터 전방 글라스(5)를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That is, the
이러한 제4 록킹부재(150)는 원형의 고정홈(123)에 결합되는 원형의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단이 원형의 막대형상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된다.The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의 작동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hood extens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1)는 차량의 주행 중에 보행자와 충돌하게 되면, 차량의 전방 프레임(6)의 하측 내부에 장착된 감지센서(7)가 충격을 감지하고, 이 감지된 충격 신호를 제어기(9)로 전달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8, when the vehicle
그러면, 충격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기(9)는 다시 작동유닛(40)의 액츄에이터(50)로 충격 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이 액츄에이터(50)는 충격 신호에 의해 작동하게 된다.Then, the
상기 액츄에이터(50)가 작동하게 되면, 액츄에이터(50)의 작동로드(51)는 차량의 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작동로드(51)와 일단부가 연결된 제1 록킹부재(101)는 작동로드(51)의 작동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When the
그리고, 상기 제1 록킹부재(101)가 회전하게 되면서, 제1 록킹부재(101)의 제1 록킹돌기(105)에 맞물려 있던 제2 록킹부재(110)는 제1 록킹부재(101)의 회전에 의해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제2 록킹부재(110)의 제2 록킹돌기(113)에 맞물려 있던 제3 록킹부재(120)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As the
즉, 제1 록킹부재(101), 제2 록킹부재(110) 및 제3 록킹부재(120)는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액츄에이터(50)의 작동로드(51)와 연결된 제1 록킹부재(101)가 작동로드(51)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제2 록킹부재(110)와 제3 록킹부재(120)도 동시에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Since the
이와 같이, 상기 제3 록킹부재(120)가 회전함에 따라, 제3 록킹부재(120)의 고정홈(123)에 장착된 제4 록킹부재(150)는 제3 록킹부재(120)의 회전과 동시에 고정홈(123)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As the
여기서, 제4 록킹부재(150)는 충격흡수부재(20)의 고정홀(27)에 연결되고, 이 고정홀(27)과 연결된 상태에서 제3 록킹부재(120)의 고정홈(123)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제3 록킹부재(120)의 작동회전 시, 제4 록킹부재(150)가 고정홈(123)으로부터 이탈되는 동시에, 제4 록킹부재(150)와 연결된 충격흡수부재(20)도 전방 글라스(5)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Here, the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재(20)가 제4 록킹부재(150)의 이탈로 인해 슬라이드 이동함과 동시에, 충격흡수부재(20)의 지지부(25)에 지지되어 있던 작동스프링(60)이 지지부(25)로 탄성력을 발휘하게 되어 충격흡수부재(20)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해준다.When the
따라서, 상기 충격흡수부재(20)는 보행자와 차량의 충돌 시, 전방 글라스(5)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면서, 전방 글라스(5)와의 공간부(21)를 형성하게 되고, 차량의 충돌 시, 보행자가 차량의 전방 글라스(5)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공간부(21)가 방지 및 흡수함으로써, 보행자의 상해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pedestrian collides with the vehicle, the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1)는 차량의 후드 패널(3)과 전방 글라스(5) 사이에서 후드 패널(3)에 장착되어 보행자의 충돌 시, 전방 글라스(5) 방향으로 돌출되어 공간부(21)를 형성함으로써, 보행자가 전방 글라스(5)에 직접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so far, the vehicular
또한, 보행자와 차량의 충돌 시, 발생되는 충돌에너지를 공간부(21)가 흡수함으로써, 보행자의 상해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bsorbing the collision energy generated when the pedestrian collides with the vehicle, the degree of injury of the pedestrian can be minimized.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Of course.
1...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 3...후드 패널
5...전방 글라스 6...전방 프레임
7...감지센서 9...제어기
10...베이스부재 11...장착공간
13...스토퍼 20...충격흡수부재
21...공간부 23...가이드홈
25...지지부 27...고정홀
30...커버부재 40...작동유닛
50...액츄에이터 51...작동로드
60...작동스프링 100...로킹수단
101...제1 록킹부재 103...제1 고정핀
105...제1 록킹돌기 110...제2 록킹부재
111...제2 고정핀 113...제2 록킹돌기
120...제3 록킹부재 121...제3 고정핀
123...고정홈 125...제3 록킹돌기
130...제1 토션스프링 140...제2 토션스프링
150...제4 록킹부재1 ... vehicle
5 ...
7 ...
10 ...
13 ...
21 ...
25 ...
30 ...
50 ... actuator 51 ... operating rod
60 ... operating
101 ... first locking
105 ... first locking
111 ... second fixing
120 ... third locking
123 ... fixing
130 ...
150 ... fourth locking member
Claims (14)
상기 전방 글라스와 근접한 후드 패널의 후단 하부에 장착되며, 중앙에 장착공간이 구비된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차량의 전, 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차량의 전면에서 보행자와의 충돌 시, 상기 후드 패널로부터 상기 전방 글라스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전방 글라스와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충격흡수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장착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충격흡수부재를 전, 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장착공간에 설치되며, 제어기의 출력신호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작동되는 작동로드를 지닌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충격흡수부재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복수개의 작동스프링; 및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로드와 충격흡수부재에 연결되게 구성되어 상기 충격흡수부재를 로킹 또는 언로킹 시키는 로킹수단; 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로킹수단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로드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1 고정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 고정핀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1 록킹부재;
상기 제1 록킹부재에 일단부가 맞물리고, 타단부는 제2 고정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록킹부재에 의해 상기 제2 고정핀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2 록킹부재;
제3 고정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록킹부재에 일단부가 맞물리고, 타단부에 고정홈이 형성되는 제3 록킹부재;
상기 제1 고정핀과 제2 고정핀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록킹부재와 제2 록킹부재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제1 토션스프링;
상기 제3 고정핀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3 록킹부재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제2 토션스프링; 및
상기 충격흡수부재를 통해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며, 상기 제3 록킹부재의 회전에 의해 이탈되는 제4 록킹부재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A vehicular hood extension device mounted on a hood panel between a hood panel of a vehicle and a front glass,
A base member mounted at a rear lower portion of the hood panel adjacent to the front glass and having a mounting space at the center;
The hood panel is mounted on the base member so as to be slid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vehicle and projects from the hood panel toward the front glass at the time of collision with a pedestrian at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forms a space portion with the front glass Shock absorbers; And
An operation unit installed in the mounting space of the base member and slidably moving the shock absorbing member forward and backward; / RTI >
The operation unit includes:
An actuator installed in the mounting space and having a working rod opera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n accordance with an output signal of the controller;
A plurality of actuating spring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actuator and exerting an elastic force with the shock absorbing member; And
Locking means connected to the actuating rod of the actuator and the shock absorbing member to lock or unlock the shock absorbing member; Lt; / RTI >
Wherein the locking means comprises:
A first locking memb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n operating rod of the actuator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in and rotated about the first fixing pin by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A second locking member that is rotated about the second fixing pin by the first locking member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fixing pin at one end of the first locking member;
A third locking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third fixing pin, one end of the third locking member being engaged with the second locking member and the other end being formed with a fixing groove;
A first torsion spring mount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fixing pin and the second fixing pin and exerting an elastic force by the first locking member and the second locking member;
A second torsion spring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fixing pin and exerting an elastic force by the third locking member; And
A fourth locking member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through the shock absorbing member and being released by rotation of the third locking member,
Wherein the hood extension device comprises:
상기 제1 록킹부재는 일단부에 니은(ㄴ)자 형상의 제1 록킹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locking member has a first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its one end in a shape of a letter "b".
상기 제2 록킹부재는 일단부에 상기 제1 록킹돌기와 맞물리는 제2 록킹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second locking member has a second locking protrusion formed at one end thereof to engage with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상기 제3 록킹부재는 일단부에 상기 제2 록킹돌기와 맞물리는 제3 록킹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third locking member has a third locking protrusion formed at one end thereof to engage with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상기 제4 록킹부재는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는 원형의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단이 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urth locking member has a circular rod shape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and has both ends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상기 고정홈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4 록킹부재가 끼워지는 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ock absorbing member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groove and is formed with a fixing hole into which the fourth locking member is fitted.
상기 제4 록킹부재는 상기 고정홀에 끼워지고,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며, 상기 제3 록킹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ourth locking member is fitted in the fixing hole, is engaged with the fixing groove, and is detached from the fixing groove by rotation of the third locking member.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슬라이드 이동 시, 상기 충격흡수부재를 지지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ver member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member and supporting the shock absorbing member when the shock absorbing member is slidably moved.
상기 베이스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member has a plurality of stoppers protru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상기 작동스프링의 탄성력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mpact absorbing member is formed with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n elastic force of the operation spring, and the suppor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space.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슬라이드 이동 시, 상기 베이스부재의 스토퍼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hock absorbing member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for guiding a stopper of the base member when sliding.
상기 후드 패널과 근접한 전방 프레임의 하측에는 보행자와의 충돌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collision with a pedestrian is mounted on a lower side of a front frame adjacent to the hood pane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7201A KR101755452B1 (en) | 2011-11-10 | 2011-11-10 | Hood extension device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7201A KR101755452B1 (en) | 2011-11-10 | 2011-11-10 | Hood extension device for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51828A KR20130051828A (en) | 2013-05-21 |
KR101755452B1 true KR101755452B1 (en) | 2017-07-07 |
Family
ID=48661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17201A Active KR101755452B1 (en) | 2011-11-10 | 2011-11-10 | Hood extension device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545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457762B2 (en) | 2014-08-15 | 2016-10-04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Active hood front cover for pedestrian protection |
US9399443B2 (en) * | 2014-08-29 | 2016-07-26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Deployable vehicle hood extender for pedestrian protection |
KR101583994B1 (en) | 2014-10-06 | 2016-01-1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ctive extension shock absorber equipped on hood of vehicl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338528A (en) * | 2003-05-15 | 2004-12-02 | Daihatsu Motor Co Ltd | Automobile impact force absorbing device |
JP2005324754A (en) | 2004-05-17 | 2005-11-24 | Mazda Motor Corp |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
-
2011
- 2011-11-10 KR KR1020110117201A patent/KR10175545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338528A (en) * | 2003-05-15 | 2004-12-02 | Daihatsu Motor Co Ltd | Automobile impact force absorbing device |
JP2005324754A (en) | 2004-05-17 | 2005-11-24 | Mazda Motor Corp |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51828A (en) | 2013-05-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33356B2 (en) | External airbag system of vehicle | |
US10577842B2 (en) | Vehicle hood latches | |
CN104816702B (en) | Hood latch assembly | |
JP3577520B2 (en) | Automotive hood hinges | |
KR101981194B1 (en) |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
CN103358952A (en) | Headrest for motor vehicle seats | |
KR101755452B1 (en) | Hood extension device for vehicle | |
JP6004273B2 (en) |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for vehicles | |
CN106999330B (en) | Seat unit and electric wheelchair including seat unit | |
KR101278593B1 (en) | Hood latch Apparatus for automobile | |
US7188894B2 (en) | Trigger mechanism for impact response devices in a seat | |
JP2009096339A (en) | Vehicle hood flip-up device | |
KR101592792B1 (en) | Hood hinge apparatus for vehicle | |
JP4107103B2 (en) | Lift up hood | |
JPH1199906A (en) | Semi-spring up hood | |
KR101241021B1 (en) | Active hood device for vehicle | |
JPH1120741A (en) | Spring up hood for car | |
JP5910370B2 (en) | Hood jumping device | |
KR100756963B1 (en) | Shock Absorption Device for Automotive Hood Hinges | |
JP5013914B2 (en) | Automobile hood shock absorption structure | |
JP2009056973A (en) | Vehicle hood flip-up device | |
KR100581167B1 (en) | Car Seat Tray | |
KR100379960B1 (en) | Device for buffering impact of bumper for automobile | |
EP2857266B1 (en) | Hinge arrangement | |
JP4904834B2 (en) | Vehicle hood support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1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11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1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