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5249B1 - Smart phone tripod - Google Patents
Smart phone trip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5249B1 KR101755249B1 KR1020150185142A KR20150185142A KR101755249B1 KR 101755249 B1 KR101755249 B1 KR 101755249B1 KR 1020150185142 A KR1020150185142 A KR 1020150185142A KR 20150185142 A KR20150185142 A KR 20150185142A KR 101755249 B1 KR101755249 B1 KR 1017552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gaging portion
- rotary
- leg
- cradle
- p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6010044565 Tremo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4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spreading of the le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08—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vertical axis, e.g. panoramic hea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4—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holding steady relative to, a person, e.g. by chains, e.g. rifle butt or pistol grip supports, supports attached to the chest or head
-
- G03B17/568—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스마트폰용 삼각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스마트폰용 삼각대는, 스마트폰이 장착되는 거치대; 거치대가 상단부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고정다리; 및 고정다리의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다리를 포함하고, 한 쌍의 회전다리를 고정다리 쪽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고정다리와 한 쌍의 회전다리는 한 손으로 파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드폰을 장착한 상태에서 한 손으로 들고 편리하게 촬영할 수 있으며, 이동하면서 촬영하더라도 핸드폰의 떨림이 감소되고, 수납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지는 스마트폰용 삼각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 tripod for a smartphone is disclosed. A tripod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adle on which a smartphone is mounted; A fixed leg to which the holder is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upper end; And a pair of rotary leg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ry shaft of the stationary leg, wherein the stationary leg and the pair of rotary legs are held by one hand in a state in which the pair of rotary legs are rotated toward the stationary leg side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ripod for a smartphone, which can be conveniently taken with one hand while a mobile phone is mounted, and the shake of the mobile phone can be reduced even when the mobile phone is taken while mov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폰용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드폰을 장착한 상태에서 한 손으로 들고 편리하게 촬영할 수 있으며, 이동하면서 촬영하더라도 핸드폰의 떨림이 감소되도록 이루어지는 스마트폰용 삼각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ipod for a smart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ipod for a smartphone that can be conveniently taken with one hand while the mobile phone is mounted, and can be easily shaken even when taken while moving.
삼각대(tripod)는 카메라를 지지하는 삼각형 형태의 지지대로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세 개의 다리 위에 카메라 헤드를 상하, 좌우로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트라이포드 헤드가 장착되어 있는 형태이다. A tripod is a triangular support that supports the camera. It is equipped with a tripod head that allows the camera head to be moved up and down and smoothly to the left and right on three legs with adjustable height.
그러나 삼각대는 휴대하기에는 다리의 부피가 커서 일반 가방에는 수납할 수 없으며, 세 개의 다리가 카메라의 아래를 기준으로 펼쳐지거나 오므려지기 때문에 한 손으로 들기 어렵고 카메라를 장착한 상태에서 삼각대를 들고 사진을 촬영하거나 이동하기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tripod is too bulky to carry, so it can not be stored in a regular bag. The tripod is unfolded or pinched by the bottom of the camera, so it is hard to lift with one hand. It is inconvenient to shoot or move.
최근 스마트폰에 장착된 카메라의 성능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함에 따라, 스마트폰이 카메라의 영역을 상당 부분 잠식하고 있으며, 시중에는 스마트폰용 삼각대가 시판되고 있다. Recently, as the performance of the camera mounted on the smartphone evolves differently from one day to the next, the smartphone has eroded the area of the camera considerably, and a tripod for the smartphone is on the market.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49650호에는 다기능 핸드폰 렌즈 및 카메라 삼각대 복합 고정장치가 게시되어 있으며, 등록특허공보 제1249650호는 핸드폰의 고정을 위한 주 프레임으로 핸드폰의 렌즈에 의한 촬영을 위해 주 프레임 상에 개구 영역을 제공하는 핸드폰 고정대 상판; 핸드폰 고정대 상판 중 개구 영역의 반대 측단의 배면에 형성되어 핸드폰 고정대 상판의 강도를 향상시키며 핸드폰 고정 날개를 핸드폰 고정대 상판과의 사이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핸드폰 고정대 하판; 핸드폰 고정대 상판에 고정되는 핸드폰의 상부 영역을 고정하기 위해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개구 영역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는 핸드폰 고정날개; 핸드폰 고정대 상판의 개구 영역과 미리 설정된 간격이 이격되어 핸드폰의 렌즈를 고정시키기 위해 가압단이 형성된 렌즈집게; 및 핸드폰 고정대 상판의 하부에 탈부착 형태로 형성되는 복합기능 카메라삼각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is connectio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249650 discloses a multifunctional mobile phone lens and a camera tripod composite fixing devic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249650 discloses a main frame for fixing a mobile phone, A cell phone fixing table top plate for providing an opening area on the cell phone fixing table; A mobile phone fixing lower plate 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opposite side of the opening area of the cell phone fixing plate to improve the strength of the cell phone fixing plate and to fix the cell phone fixing vane between the cell phone fixing plate and the upper plate; A mobile phone fixing blade protruding toward an opening area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an upper end to fix an upper area of the mobile phon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fixing table; A lens clamp having a pressing end for fixing a lens of a mobile phone, the lens clamp being spaced apart from an opening area of the upper plate of the mobile phone by a preset distance; And a multi-function camera tripod,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ell phone fixing table upper plate.
그러나 등록특허공보 제1249650호에 개시된 카메라삼각대는 종래 카메라용 삼각대에서 단순히 부피만 줄인 형태로 제작됨에 따라, 세 개의 다리가 카메라의 아래를 기준으로 펼쳐지거나 오므려지기 때문에 한 손으로 들기 어렵고 카메라를 장착한 상태에서 삼각대를 들고 사진을 촬영하거나 이동하기가 불편한 문제를 고스란히 가지고 있다. However, since the camera tripod disclosed in Patent Publication No. 1249650 is manufactured in a shape that is simply reduced in volume in the conventional camera tripod, it is difficult to hold the camera with one hand because the three legs are spread or pinched relative to the bottom of the camera, I have a problem with taking a tripod when taking pictures or taking photos.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드폰을 장착한 상태에서 한 손으로 들고 편리하게 촬영할 수 있으며, 이동하면서 촬영하더라도 핸드폰의 떨림이 감소되고, 수납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지는 스마트폰용 삼각대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ipod for a smartphone which can be conveniently taken with one hand while a mobile phone is mounted, and the shake of the mobile phone can be reduced even when taken while moving, and can be easily accommodate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폰이 장착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가 상단부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고정다리; 및 상기 고정다리의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회전다리를 상기 고정다리 쪽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다리와 상기 한 쌍의 회전다리는 한 손으로 파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삼각대에 의하여 달성된다.This object is achiev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cradle in which a smartphone is mounted; A fixed leg to which the cradle is coupled or separated at an upper end; And a pair of rotary legs rotatably coupled to a rotary shaft of the stationary leg, wherein, in a state in which the pair of rotary legs are rotated toward the stationary leg side, the stationary leg and the pair of rotary legs And is gripped by a tripod for a smartphone.
상기 거치대의 하단부에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다리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력을 형성하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2 결합부와 반대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축이 설치되며, 상기 이동축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2 결합부와 반대쪽으로 무게중심을 형성하는 무게추가 구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 first engaging portion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cradle, a second engaging portion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engaging leg to form a coupling force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the rotating shaft extend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engaging portion, The rotary shaft is provided with a moving shaft which sl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The lower end of the moving shaft is provided with a weight forming a center of gravity opposite to the second engaging portion.
상기 거치대의 하단부에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다리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력을 형성하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2 결합부와 반대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전다리에는 상기 제2 결합부와 반대쪽에 손가락이 끼워지는 오목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거치대는, 상기 한 쌍의 회전다리를 상기 고정다리 쪽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한 쌍의 상기 오목부에 끼워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 first engaging portion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cradle, a second engaging portion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engaging leg to form a coupling force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the rotating shaft extend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engaging portion, Wherein the rotary leg is formed with a concave portion in which a finger is fit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nd the cradle is configured to be fitted to the pair of concave portions while the pair of rotary legs are rotated toward the fixed leg side .
상기 거치대의 하단부에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다리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자기력에 의한 결합력을 형성하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거치대의 하단부와 상기 고정다리의 상단부는 요철구조로 밀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cradle and the upper end of the cradle are formed with concave and convex portions on the upper end of the cradle, Structure.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회전다리를 고정다리 쪽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고정다리와 한 쌍의 회전다리가 쉽게 한 손으로 파지됨에 따라, 핸드폰을 장착한 상태에서 한 손으로 들고 편리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스마트폰용 삼각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pair of rotary legs is rotated to the fixed leg side, the fixed legs and the pair of rotary legs are easily grasped by one hand, so that they can be conveniently taken with one hand while the mobile phone is mounted A tripod for a smartphone can be provided.
또한, 이동축의 하단부에 제2 결합부와 반대쪽으로 무게중심을 형성하는 무게추가 구비됨에 따라, 이동하면서 촬영하더라도 핸드폰의 떨림이 감소되도록 이루어지는 스마트폰용 삼각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Further, since a weight for forming a center of gravity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moving shaft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econd engag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ripod for a smartphone which can reduce the trembling of a mobile phone even if it is photographed while moving.
아울러, 한 쌍의 회전다리를 고정다리 쪽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거치대가 한 쌍의 오목부에 끼워짐으로써, 수납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지는 스마트폰용 삼각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pair of rotation legs are rotated to the fixed leg side and the base is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recesse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ripod for a smartphone that can be easily accommodated.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용 삼각대를 지면에 세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및 도 3은 도 1의 스마트폰용 삼각대의 회전다리를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의 스마트폰용 삼각대의 수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tripod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on the ground; FIG.
Fig. 2 and Fig. 3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leg of the tripod for the smartphone of Fig. 1 is folded. Fig.
Fig. 4 is a view showing the storage state of the tripod for the smartphone shown in Fig. 1;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스마트폰용 삼각대는, 핸드폰을 장착한 상태에서 한 손으로 들고 편리하게 촬영할 수 있으며, 이동하면서 촬영하더라도 핸드폰의 떨림이 감소되고, 수납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진다. The tripod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veniently photographed with one hand while the mobile phone is mounted, and the shake of the mobile phone is reduced even when taken while moving, so that the storage can be facili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용 삼각대를 지면에 세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및 도 3은 도 1의 스마트폰용 삼각대의 회전다리를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의 스마트폰용 삼각대의 수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tripod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on the ground, FIG. 2 and FIG. 3 are views showing a folded state of a rotary leg of a tripod for a smartphone shown in FIG. 1, Fig.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폰용 삼각대(1)는, 핸드폰을 장착한 상태에서 한 손으로 들고 편리하게 촬영할 수 있으며, 이동하면서 촬영하더라도 핸드폰의 떨림이 감소되도록 이루어지며, 거치대(100), 고정다리(200) 및 회전다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용이한 이해를 위해 도시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을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As shown in FIGS. 1 to 4, th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100)는 스마트폰이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1 거치부재(110) 및 제2 거치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to 3, the
제1 거치부재(110) 및 제2 거치부재(120)는 각각 서로 반대쪽이 절곡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1 거치부재(110)와 제2 거치부재(120) 사이에는 스마트폰이 끼워지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거치부재(110)와 제2 거치부재(120)는 연결핀(140)에 의해 연결된다. 제1 거치부재(110)와 제2 거치부재(120)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 각각에는 복수의 연결핀(140)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2, the
연결핀(140)은 양쪽 단부에 각각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확장부(140)가 형성된다. 확장부(140)는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The
확장부(140)는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거치부재(110) 및 제2 거치부재(120)에 걸려 이탈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제1 거치부재(110)와 제2 거치부재(120)는 연결핀(14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상대이동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간 내에서 확장부(140)를 기준으로 연결핀(140)의 바깥쪽에는 제1 압축스프링(S1)이 설치되고, 연결핀(140) 쪽에는 제2 압축스프링(S2)이 설치된다. 2, a first compression spring S1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제1 압축스프링(S1)과 제2 압축스프링(S2)은 다소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며, 제1 압축스프링(S1)과 제2 압축스프링(S2)은 연결핀(140) 길이방향의 외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압축되거나 인장된다. The first compression spring S1 and the second compression spring S2 are installed in a somewhat compressed state and the first compression spring S1 and the second compression spring S2 are connected to the external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스마트폰은 제1 거치부재(110)와 제2 거치부재(120)가 서로 벌어진 상태 즉, 제2 압축스프링(S2)이 더 압축된 상태에서 그 사이에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제1 거치부재(110)와 제2 거치부재(120)는 제2 압축스프링(S2)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스마트폰을 가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스마트폰의 이탈이 방지된다. The smartphone is sandwiched between the
스마트폰의 이탈시에는, 제1 거치부재(110)와 제2 거치부재(120)를 서로 반대쪽으로 잡아당겨 제2 압축스프링(S2)을 더 압축시키면 스마트폰을 쉽게 이탈시킬 수 있다. When the smartphone is detached, the smartphone can be easily detached by pulling the first and second erecting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다리(200)와 한 쌍의 회전다리(300)는 함께 지면으로부터 거치대(100)를 지지하거나 손잡이로 기능하는 구성으로서, 회전축(210)을 기준으로 서로 상대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1 to 4, the
한 쌍의 회전다리(300)는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1과 같이 고정다리(200)와 각각 둔각을 형성한 상태에서는 고정다리(200)와 함께 삼발이 형태를 형성하며, 도 2와 같이 고정다리(200)와 대략 0도를 이룬 상태에서는 고정다리(200)와 함께 일체의 손잡이 형태를 형성한다. The pair of
회전축(210)은 고정다리(200)로부터 제2 결합부(220)와 반대쪽으로 연장되며, 이에 따라 회전다리(300)는 고정다리(200)의 아래쪽에서 회전하게 된다. Th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회전다리(300) 즉, 제1 회전다리(310)와 제2 회전다리(320)가 고정다리(200)와 각각 둔각을 형성하도록 회전된 경우, 고정다리(200)와 한 쌍의 회전다리(300)는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그 아래에서 지면을 지지함으로써, 삼발이 형태를 형성하며 안정적인 구조로 거치대(100)를 지지하게 된다. 1, when the pair of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다리(310)와 제2 회전다리(320)가 고정다리(200)와 대략 0도를 형성하도록 회전된 경우, 제1 회전다리(310)와 제2 회전다리(320)의 서로 마주하는 면은 고정다리(200)의 아래에서 서로 밀착되고, 고정다리(200)와 회전다리(300)의 서로 마주하는 면은 일부 접촉되거나 서로 작은 간격으로 이격된다. 2 to 4, when the
또한, 이 상태에서 고정다리(200)의 양쪽 측면은 회전다리(300)의 측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하며, 한 쌍의 회전다리(300)에는 제2 결합부(220)와 반대쪽에 손가락이 끼워지는 오목부(301)가 형성된다. 따라서, 한 쌍의 회전다리(300)가 고정다리(200)와 대략 0도를 이룬 상태에서 고정다리(200)와 회전다리(300)는 함께 일체의 손잡이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In this state, both sides of the
따라서, 사용자는 거치대(100)에 스마트폰을 끼운 상태에서 한 쌍의 회전다리(300)를 고정다리(200)와 각각 둔각을 형성하도록 회전시켜 삼각대로 사용하다가, 이동시에는 한 쌍의 회전다리(300)를 고정다리(200)와 대략 0도를 형성하도록 회전시켜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이동하며 스마트폰을 이용한 촬영을 연속적으로 실행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user uses the pair of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10)에는 회전축(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축(230)이 설치되고, 이동축(230)의 하단부에는 제2 결합부(220)와 반대쪽으로 무게중심을 형성하는 무게추(240)가 구비된다. 2 and 3, the
회전축(210)은 중공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이동축(230)의 바깥면 지름은 회전축(210)의 내면 지름과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이동축(230)은 회전축(2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세로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The outer diameter of the moving
거치대(100), 고정다리(200) 및 회전다리(300)는 합성수지, 고무 등 금속보다 비중이 작은 물질로 이루어지고, 무게추(240)는 금속과 같이 비중이 큰 물질로 이루어진다.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고정다리(200)와 회전다리(300)를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무게추(240)를 아래쪽으로 당기면, 무게중심이 낮아지면서 스마트폰용 삼각대(1)의 흔들림이 감소하는 이점이 있다. 3, when the user pulls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100)의 하단부에는 제1 결합부(130)가 형성되고, 고정다리(200)의 상단부에는 제1 결합부(130)와 결합력을 형성하는 제2 결합부(220)가 형성된다. 제1 결합부(130) 및 제2 결합부(220)에는 영구자석이 구비되며, 거치대(100)는 영구자석 간 자력에 의해 고정다리(200)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4, a first
제1 결합부(130)와 제2 결합부(220)는 요철구조로 밀착된다. 즉, 제1 결합부(130)는 영구자석이 삽입된 홈으로 형성되고, 제2 결합부(220)에는 영구자석이 돌출된다. 따라서, 제1 결합부(130)와 제2 결합부(220)는 세로방향으로는 자력에 의한 결합력을 형성하고, 가로방향의 유동은 요철구조에 의해 방지된다. The first
제1 결합부(130)와 제2 결합부(220)는 이외에도 나사구조, 스냅구조, 벨크로 등 다양한 결합구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100)는 회전다리(300)를 고정다리(200) 쪽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한 쌍의 오목부(301)에 끼워진다. 4, the
거치대(100)는 제1 거치부재(110)와 제2 거치부재(120)가 서로 가까워진 상태 즉, 제1 압축스프링(S1)이 더 압축된 상태에서 오목부(301)에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제1 거치부재(110)와 제2 거치부재(120)는 오목부(301) 내에서 제1 압축스프링(S1)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회전다리(300)에 밀착되며, 이에 따라 거치대(100)의 이탈이 방지된다. The
스마트폰용 삼각대(1)는 한 쌍의 회전다리(300)를 고정다리(200)와 대략 0도를 이루도록 회전시킨 후 거치대(100)를 오목부(301)에 끼우면, 핸드백에도 쉽게 수납될 정도로 부피가 작아져 휴대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The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회전다리를 고정다리 쪽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고정다리와 한 쌍의 회전다리가 쉽게 한 손으로 파지됨에 따라, 핸드폰을 장착한 상태에서 한 손으로 들고 편리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스마트폰용 삼각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pair of rotary legs is rotated to the fixed leg side, the fixed legs and the pair of rotary legs are easily grasped by one hand, so that they can be conveniently taken with one hand while the mobile phone is mounted A tripod for a smartphone can be provided.
또한, 이동축의 하단부에 제2 결합부와 반대쪽으로 무게중심을 형성하는 무게추가 구비됨에 따라, 이동하면서 촬영하더라도 핸드폰의 떨림이 감소되도록 이루어지는 스마트폰용 삼각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Further, since a weight for forming a center of gravity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moving shaft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econd engag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ripod for a smartphone which can reduce the trembling of a mobile phone even if it is photographed while moving.
아울러, 한 쌍의 회전다리를 고정다리 쪽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거치대가 한 쌍의 오목부에 끼워짐으로써, 수납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지는 스마트폰용 삼각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pair of rotation legs are rotated to the fixed leg side and the base is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recesse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ripod for a smartphone that can be easily accommodated.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cations or alter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삼각대
100 : 거치대 200 : 고정다리
110 : 제1 거치부재 210 : 회전축
120 : 제2 거치부재 220 : 제2 결합부
130 : 제1 결합부 230 : 이동축
140 : 연결핀 240 : 무게추
141 : 확장부
S1 : 제1 압축스프링
S2 : 제2 압축스프링
300 : 회전다리
310 : 제1 회전다리
320 : 제2 회전다리
301 : 오목부1: Tripod
100: Cradle 200: Fixed bridge
110: first mounting member 210:
120: second mounting member 220:
130: first coupling portion 230: moving shaft
140: connecting pin 240: weight weight
141: Extension part
S1: first compression spring
S2: second compression spring
300: Rotating leg
310: first rotary leg
320: second rotary leg
301: concave portion
Claims (4)
상기 한 쌍의 회전다리를 상기 고정다리 쪽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다리와 상기 한 쌍의 회전다리는 한 손으로 파지되며,
상기 거치대의 하단부에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다리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력을 형성하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2 결합부와 반대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축이 설치되며,
상기 이동축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2 결합부와 반대쪽으로 무게중심을 형성하는 무게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삼각대.A cradle with a smartphone; A fixed leg to which the cradle is coupled or separated at an upper end; And a pair of rotary legs rotatably coupled to a rotary shaft of the fixed leg,
The fixed leg and the pair of rotary legs are grasped by one hand while the pair of rotary legs are rotated toward the fixed leg side,
A first engaging portion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cradle,
A second engaging portion that forms a coupling force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xed leg,
Wherein the rotation shaft extend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Wherein the rotary shaft is provided with a moving shaft which sl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And a weight for forming a center of gravity is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moving shaft opposite to the second engaging portion.
상기 거치대의 하단부에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다리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력을 형성하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2 결합부와 반대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전다리에는 상기 제2 결합부와 반대쪽에 손가락이 끼워지는 오목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거치대는, 상기 한 쌍의 회전다리를 상기 고정다리 쪽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한 쌍의 상기 오목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삼각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engaging portion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cradle,
A second engaging portion that forms a coupling force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xed leg,
Wherein the rotation shaft extend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Wherein the rotary leg is formed with a concave portion to which a finger is inser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Wherein the cradle is fitted to a pair of the recesses in a state in which the pair of rotation legs are rotated toward the fixed leg side.
상기 거치대의 하단부에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다리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자기력에 의한 결합력을 형성하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거치대의 하단부와 상기 고정다리의 상단부는 요철구조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삼각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engaging portion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cradle,
A second engaging portion that forms a coupling force by a magnetic force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xed leg,
And a lower end of the cradle and an upper end of the fixing leg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a concave-convex structu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5142A KR101755249B1 (en) | 2015-12-23 | 2015-12-23 | Smart phone trip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5142A KR101755249B1 (en) | 2015-12-23 | 2015-12-23 | Smart phone trip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5458A KR20170075458A (en) | 2017-07-03 |
KR101755249B1 true KR101755249B1 (en) | 2017-07-07 |
Family
ID=59353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85142A Active KR101755249B1 (en) | 2015-12-23 | 2015-12-23 | Smart phone trip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524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019598A (en) * | 2018-01-30 | 2018-05-11 | 苏州市东成办公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Multi-Function Display mounting base |
KR20190123933A (en) * | 2018-04-25 | 2019-11-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Stabilizer for adjusting center of gravity of imaging device mounted thereto |
KR102309732B1 (en) * | 2020-10-06 | 2021-10-07 | (주)웅진씽크빅 | Tablet cradl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028230A (en) * | 2008-07-15 | 2010-02-04 | Sony Corp | Support device |
-
2015
- 2015-12-23 KR KR1020150185142A patent/KR10175524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028230A (en) * | 2008-07-15 | 2010-02-04 | Sony Corp | Support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5458A (en) | 2017-07-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94151B1 (en) | Self-photographing device | |
JP6425105B2 (en) | Portable electronic and electrical equipment accessories | |
KR200475741Y1 (en) | Stick for self photo | |
CN111981288B (en) | Support frame and shooting equipment | |
CN204390110U (en) | Holding rack for holding and wirelessly triggering mobile terminal device | |
KR101755249B1 (en) | Smart phone tripod | |
KR101299524B1 (en) |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 |
JP6650952B2 (en) | Cell phone case | |
KR102072053B1 (en) | Selfie Device | |
KR101523613B1 (en) | Smartphone case the device is equipped with self-camera shooting | |
WO2019238047A1 (en) | Clamping apparatus for photographing device and selfie stick | |
KR200362415Y1 (en) | Camera cellularphone holder | |
KR20120068296A (en) | Camera tripod | |
CN106322083A (en) | Handheld mobile phone shooting bracket | |
CN210424351U (en) | Supporting foot stand | |
KR20130007167U (en) | A folding type Supporting device for cellular phone | |
CN206402284U (en) | Clamping device and selfie stick | |
KR200484029Y1 (en) | The selfie pad for selfie smartphone | |
CN210319270U (en) | Multi-purpose integral type clamping device reaches from rapping bar | |
CN205657747U (en) | Self -shooting rod | |
CN207364612U (en) | a selfie device | |
CN205005124U (en) | Electronic equipment is from rapping bar | |
CN101571662A (en) | Camera | |
KR20130005070U (en) | A holding stack of the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for the outdoor shooting | |
CN222887292U (en) | Camera connecting piece, frame connecting piece, quick-release device, camera and fr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7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