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521B1 - A dodecahedron loudspeaker system using a coaxial two way unit - Google Patents
A dodecahedron loudspeaker system using a coaxial two way un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4521B1 KR101754521B1 KR1020160012675A KR20160012675A KR101754521B1 KR 101754521 B1 KR101754521 B1 KR 101754521B1 KR 1020160012675 A KR1020160012675 A KR 1020160012675A KR 20160012675 A KR20160012675 A KR 20160012675A KR 101754521 B1 KR101754521 B1 KR 1017545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equency
- loudspeaker
- sound
- angle
- acoustic len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9142 PO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NBIIXXVUZAFLBC-UHFFFAOYSA-K phosphate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2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4—Structural combinations of separate transducers or of two parts of the same transducer and responsive respectively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04R9/063—Loudspeakers using a plurality of acoustic dri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라우드스피커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이 발명의 라우드스피커 시스템(1000)의 구성은, 동축 투 웨이 유닛(50); 위 동축 투 웨이 유닛(50)에 기반하고 있으며, 12면체 인클로저 구조를 갖고 있고, 12면체의 각 면의 가운데에 배치된 라우드스피커(100); 고역대의 딥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위 각각의 라우드스피커(100)의 고음역 드라이버에 사용되는 음향렌즈(120); 및 위 라우드스피커(100)의 저음과 고음을 보강하는 유닛(140)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공간 전체에 균등한 음압 분포를 이끌어 주며, 12면체 각 면에서 각각의 모서리 각도는 57°이고, 이웃하는 두 면 사이의 각도는 7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is invention is directed to a loudspeaker system. The configuration of the loudspeaker system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axial two-way unit 50; A loudspeaker 100 based on the upper coaxial two way unit 50, having a dodecahedron enclosure structure and disposed in the middle of each side of the dodecahedron; An acoustic lens 120 used in a high-frequency driver of each of the above loudspeakers 100 for eliminating a high-frequency dip phenomenon; And a unit 140 for reinforcing the bass and treble of the upper loudspeaker 100. The sound level distribution provides uniform sound pressure distribution throughout the space and each corner angle of the dodecahedron is 57 degrees, The angle between the two surfaces is 72 °.
Description
이 발명은 동축 투 웨이 유닛을 이용한 12면체 라우드스피커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특히 이 발명은 고음역 드라이버에 음향렌즈를 사용하여 16kHz대역까지 고음역 재생범위를 확장시키고, 균일한 Beam Width를 제공하는 12면체 라우드스피커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This invention relates to a 12-sided loudspeaker system using a coaxial two-way unit. In particular, the invention relates to a 12-sided loudspeaker system that uses an acoustic lens in a high-frequency driver to extend the high frequency range of reproduction up to the 16 kHz band and provide a uniform beam width.
지금까지 스피커 분야의 기술에서 요구되는 중요한 해결 과제의 하나는, 스피커의 공간 위치 선정과 관련된 문제이다. 즉 대부분의 음악 공간에서 스피커의 위치가 정확하지 않았고, 이로 인해서 균등한 음압으로 음악 소리를 청취하는 것이 불가능했으며, 일반적인 스피커 유닛으로는 명료한 소리가 얻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모든 공간에 균등한 음압을 보장하고, 명료도가 높은 소리의 재생이 가능하며, 저음, 중음, 고음의 특성이 좋은 스피커 유닛을 사용할 필요성이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종래 12면체 스피커를 채용하여 해결하려고 했으나 공간음향의 측정분석용 정도로 밖에 기능을 하지 못했다. 그 이유는 일반적인 라우드 스피커는 주파수 특성상(도 1 참조) 저음과 고음역대의 재생능력이 떨어지고, 고음역대에서 짧은 파장으로 인해 커버리지가 좁아 음악용으로의 사용이 어려웠으며, 측정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도 충분한 음압 레벨(SPL: sound pressure level)확보가 되지 않아 낮은 S/N비로 인해 대형 공간에서 신뢰성있는 측정이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측정용과 음악 재생 분야에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존재했다.One of the important challenges to be solved in the technology of the speaker field is the problem of the spatial location of the speaker. In other words, the position of the speakers in most music spaces was not correct, which made it impossible to listen to the music sound with equal sound pressure.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use a speaker unit having a sound pressure equal to the entire space, capable of reproducing sound with high clarity, and having good characteristics of low sound, medium sound and high sound. Therefore, we tried to solve this problem by adopting a conventional 12-sided speaker, but it was only able to function as a space acoustic measurement analyzer. The reason for this is that a general loudspeaker is difficult to use for music because of its frequency (see FIG. 1), low reproduction ability of bass and high frequency band, low coverage due to short wavelength in high frequency band, (SPL) can not be secur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perform reliable measurement in a large space due to a low S / N ratio. These problems have led to the need for techniques that can solve these problems in the measurement and music reproduction fields.
이 발명은, 위에 기술한 종래기술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동축 투 웨이 유닛을 이용한 12면체 라우드스피커 시스템에 대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ology for a 12-body loudspeaker system using a coaxial two-way unit that can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이 발명의 다른 목적과 장점은 아래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인 라우드스피커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oudspeaker system, which is a means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동축 투 웨이 유닛;A coaxial two-way unit;
위 동축 투 웨이 유닛에 기반하고 있으며, 12면체 인클로저 구조를 갖고 있고, 12면체의 각 면의 가운데에 배치된 라우드스피커;A loudspeaker based on a coaxial two way unit, having a dodecahedral enclosure structure, centered on each side of the dodecahedron;
고역대의 딥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위 각각의 라우드스피커의 고음역 드라이버에 사용되는 음향렌즈; 및An acoustic lens used in the high-frequency driver of each of the above loudspeakers to eliminate the high-frequency dip phenomenon; And
위 라우드스피커의 저음과 고음을 보강하는 유닛;A unit to reinforce the bass and treble of the upper loudspeaker;
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And,
공간 전체에 균등한 음압 분포를 이끌어주며,Leading to a uniform sound pressure distribution throughout the space,
12면체 각 면에서 각각의 모서리 각도는 57°이고, 이웃하는 두 면 사이의 각도는 7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Each corner angle of each of the dodecahedron is 57 °, and an angle between two neighboring faces is 72 °.
이 실시예에서, 음악 재생용으로 사용할 경우 위 라우드스피커들에 의한 소리를 사방으로 확산시키는 라우드스피커들의 소리가 천정면으로 입사된 뒤 다시 바닥으로 반사되는 소리를 차단하고, 이로 인해 천정 반사음에 의한 간섭현상이 청취지역에서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BGM(background music)용으로 천정에 설치되는 확산판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when used for music reproduction, the sound of the loudspeakers diffusing sound by the upper loudspeakers in four directions is incident on the ceiling surface, and then the sound reflected from the floor is blocke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diffusion plate installed on the ceiling for BGM (background music) in order to prevent the interference phenomenon from occurring in the listening area.
또한 이 실시예에서, 저역대와 고역대의 주파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주파수 응답특성이 100Hz ~ 20KHz 대역에서 +/- 3dB 편차를 갖도록 하며, 재생대역 내 Band Pass 음압 레벨(SPL: sound pressure level)이 95dB ~ 100dB에 달하도록 하고, 음악 재생과 건축음향 측정용 제품에 적용시 고역대 주파수 특성이 개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improve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low and high frequency bands, the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 is set to +/- 3 dB deviation in the band of 100 Hz to 20 KHz, and the sound pressure level (SPL) in the reproduction band is 95 dB To 100dB, and it is desirable that the high frequency characteristic is improved when applied to a product for music reproduction and architectural sound measurement.
또 이 실시예에서, 위 음향렌즈는 25mm의 지름을 갖는 구형 음향렌즈이며 이때의 커버리지 각도는 음역 주파수 전반에 걸쳐 120°로 정지향성 특성을 가지는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the upper acoustic lens is a spherical acoustic lens having a diameter of 25 mm, and the coverage angle at this time preferably has a positive directivity characteristic of 120 deg. Throughout the frequency range.
이 발명의 실시로 인해서 대부분의 음악 공간에서 스피커의 위치를 정확하고 손쉽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서 균등한 음압으로 음악 소리를 청취하는 것이 가능하며, 명료한 소리가 얻어진다.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and easily set the position of the speaker in most music space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listen to the music sound with uniform sound pressure, and a clear sound is obtained.
또한 이 발명에서는, 고음역 드라이버에 음향렌즈를 사용함으로써 16kHz대역까지 고음역 재생범위가 확장되고, 균일한 Beam Width가 얻어진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n acoustic lens for the high-frequency driver, the high-frequency reproduction range extends to the 16 kHz band and a uniform beam width is obtained.
따라서 이 발명의 실시에 의해 모든 공간에 균등한 음압을 보장하고, 명료도가 높은 소리의 재생이 가능해지며, 종래 12면체 스피커에 비해 주파수 특성이 좋아서 저음, 중음, 고음의 특성이 좋다.Therefore, by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equal sound pressure can be ensured in all the spaces, sound reproduction with high clarity can be performed, and characteristics of bass, midtones and treble sound are better because frequency characteristics are better than those of conventional dodecahedron speaker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라우드스피커의 주파수 응답 및 왜곡을 보여주는 특성 곡선이고,
도 2는 이 발명에 따른 동축 투 웨이 유닛을 이용한 12면체 라우드스피커의 12면체 인클로저 설계도의 일 실시예이고,
도 3은 도 2의 라우드스피커의 주파수 특성 곡선이고,
도 4는 도 2의 라우드스피커 시스템의 결선예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라우드스피커에 의한 소리의 천장 확산 처리 방법의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라우드스피커에 의한 측정 분석 결과(주파수응답 데이터)도이고,
도 7은 도 2의 라우드스피커에 의한 측정 분석 결과(극좌표식 주파수응답)도이고,
도 8은 도 2의 라우드스피커에 의한 다른 측정 분석 결과(극좌표식 주파수응답)도이고,
도 9는 도 2의 라우드스피커에 의한 또 다른 측정 분석 결과(극좌표식 주파수응답)도이고,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라우드스피커의 고역대의 딥 현상을 보여주는 그림이고,
도 11은 도 2의 라우드스피커에 의한 고음역 드라이버에 음향렌즈를 적용한 경우의 커버리지 예시도이고,
도 12는 도 2의 라우드스피커에 의한 고음역 드라이버에 음향렌즈를 적용한 경우의 다른 커버리지 예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서 지름이 0mm 및 25mm인 음향렌즈를 적용한 경우의 커버리지 예시도이고,
도 14는 도 2의 라우드스피커에 의한 고음역 드라이버에 음향렌즈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극좌표 데이터 예시도이고,
도 15는 도 2의 라우드스피커에 의한 고음역 드라이버에 음향렌즈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극좌표 데이터 예시도이고,
도 16은 도 2의 라우드스피커에 의한 고음역 드라이버에 음향렌즈를 사용한 경우의 극좌표 데이터 예시도이고,
도 17은 도 2의 라우드스피커에 의한 고음역 드라이버에 음향렌즈를 사용한 경우의 다른 극좌표 데이터 예시도이다.1 is a characteristic curve showing frequency response and distortion of a loudspeak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n embodiment of a design diagram of a trilobal body enclosure of a twelve-octave loudspeaker using a coaxial two-w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equency characteristic curve of the loudspeaker of FIG. 2,
Fig. 4 is an exemplary wiring diagram of the loudspeaker system of Fig. 2,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eiling diffusion processing method of sound by the loudspeaker of FIG. 2,
FIG. 6 is a graph showing a result of measurement analysis (frequency response data) by the loudspeaker of FIG. 2,
FIG. 7 is a diagram showing a measurement analysis result (polar coordinate frequency response) by the loudspeaker of FIG. 2,
FIG. 8 is a diagram of another measurement analysis result (polar coordinate frequency response) by the loudspeaker of FIG. 2,
FIG. 9 is another measurement analysis result (polar coordinate frequency response) of the loudspeaker of FIG. 2,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p phenomenon of a high frequency band of a conventional loudspeaker,
FIG. 1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coverage in a case where an acoustic lens is applied to a high-frequency driver by the loudspeaker of FIG. 2,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coverage when an acoustic lens is applied to the high-frequency driver by the loudspeaker of FIG. 2,
FIG. 13 is an illustration of coverage in the case of applying an acoustic lens having diameters of 0 mm and 25 mm in FIG. 12,
Fig. 14 is an illustration of polar coordinate data in the case where the acoustic lens is not used for the high-frequency driver by the loudspeaker of Fig. 2,
FIG. 15 is an illustration of polar coordinate data in the case where an acoustic lens is not used for the high-frequency driver by the loudspeaker of FIG. 2,
Fig. 16 is an illustration of polar coordinate data in the case where an acoustic lens is used for the high-frequency driver by the loudspeaker of Fig. 2,
FIG.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polar coordinate data in the case where an acoustic lens is used for the high-frequency driver by the loudspeaker of FIG. 2; FIG.
이하 아래 첨부된 도 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이 발명의 구성 및 동작원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7 attached hereto.
< 이 발명의 라우드스피커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 >≪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Loudspeaker System of the Invention >
이 발명에 따른 라우드스피커 시스템(1000)은,In the loudspeaker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동축 투 웨이 유닛(50);A coaxial two-
위 동축 투 웨이 유닛(50)에 기반하고 있으며, 12면체 인클로저 구조를 갖고 있고, 12면체의 각 면의 가운데에 배치된 라우드스피커(100);A
고역대의 딥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위 각각의 라우드스피커(100)의 고음역 드라이버에 사용되는 음향렌즈(120); 및An
위 라우드스피커(100)의 저음과 고음을 보강하는 유닛(140);A
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And,
공간 전체에 균등한 음압 분포를 이끌어주며,Leading to a uniform sound pressure distribution throughout the space,
12면체 각 면에서 각각의 모서리 각도는 57°이고, 이웃하는 두 면 사이의 각도는 7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Each corner angle of each of the dodecahedron is 57 °, and an angle between two neighboring faces is 72 °.
이 실시예에서, 음악 재생용으로 사용할 경우 위 라우드스피커들(100)에 의한 소리를 사방으로 확산시키는 라우드스피커들(100)의 소리가 천정면으로 입사된 뒤 다시 바닥으로 반사되는 소리를 차단하고, 이로 인해 천정 반사음에 의한 간섭현상이 청취지역에서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BGM(background music)용으로 천정에 설치되는 확산판(20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when used for music reproduction, the sound of the
또한 이 실시예에서, 저역대와 고역대의 주파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주파수 응답특성이 100Hz ~ 20KHz 대역에서 +/- 3dB 편차를 갖도록 하며, 재생대역 내 Band Pass 음압 레벨(SPL: sound pressure level)이 95dB ~ 100dB에 달하도록 하고, 음악 재생과 건축음향 측정용 제품에 적용시 고역대 주파수 특성이 개선되는 것이 특징이다.Also,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improve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low and high frequency bands, the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 is set to +/- 3 dB deviation in the band of 100 Hz to 20 KHz, and the sound pressure level (SPL) in the reproduction band is 95 dB ~ 100dB, and it is characterized by improved high frequency characteristics when applied to music playback and architectural sound measurement products.
또 이 실시예에서, 위 음향렌즈(120)는 25mm의 지름을 갖는 구형 음향렌즈이며 이때의 커버리지 각도는 음역 주파수 전반에 걸쳐 120°로 정지향성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Also,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도 2는 이 발명에 따른 동축 투 웨이 유닛을 이용한 12면체 라우드스피커(100)의 외관 구성을 보여주며 12면체 인클로저 디자인을 갖고 있다. 즉 정12면체 모양의 구조물에서 각 면마다 가운데에 스피커가 배치되어 있다. 각 면의 각 모서리는 57°이고, 이웃하는 두 면 사이각은 72°이다.FIG. 2 shows the outer configuration of a
도 3은 이 발명에 따른 도 2의 라우드스피커(100)의 주파수 응답 및 임피던스 곡선을 통한 특성 곡선을 보여준다. 도 3에서 0 내지 400Hz대의 저음역대와 2K 내지 20K의 고음역대가 종래 보다 개선되고, 더욱 명료한 소리가 얻어지는 것이 보인다. 즉 이 특성곡선에서 이 발명에 따른 라우드스피커(100)의 성능이 종래기술에 따른 라우드스피커보다 우수함이 확인된다.3 shows characteristic curves through the frequency response and impedance curves of the
도 4는 이 발명에 따른 도 2의 라우드스피커 시스템의 결선 예시도를 보여준다. 왼쪽편은 저음재생용 스피커인 우퍼(woofer)들의 결선 예시도를, 오른쪽은 고음재생용 스피커인 트위터(twitter)들의 결선 예시도이다. 우퍼의 경우 병렬 연결된 라우드스피커 시스템 결선의 저항값이 6옴(ohm)이고, 트위터의 경우 병렬 연결된 라우드스피커 시스템 결선의 저항값도 6옴이다. 이 경우 우퍼 및 트위터의 각각의 내부저항값은 8옴이다.Fig. 4 shows a wiring diagram of the loudspeaker system of Fig.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side is an example of wiring of woofers which are bass reproduction speakers and the right side is an example of wiring of tweeters which are speakers for high frequency reproduction. For a woofer, the resistance of the parallel connection of the loudspeaker system is 6 ohms, and for tweeters the resistance of the connection of the louver system connected in parallel is 6 ohms. In this case, the internal resistance of each of the woofer and the tweeter is 8 ohms.
이 발명에 따른 라우드스피커 시스템들은 대형 쇼핑몰의 높은 천정에 하나 또는 다수 개를 설치할 수도 있고, 천정이 다소 낮은 식당의 천정에 하나를 설치할 수도 있다. 아니면 라우드스피커 시스템을 삼발이 지지대를 갖는 낮은 막대형지지지봉 위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설치는 스피커가 설치되는 현장 여건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다양한 위치에 배치가 가능하다.The loudspeaker syste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one or more of the high ceilings of a large shopping mall, or one of the loudspeaker systems may be installed in the ceiling of a restaurant with a low ceiling. Alternatively, the loudspeaker system may be installed on a low-profile support spindle with three-leg support. This installation can be arranged in various positions in various numbers depending on the field conditions in which the speakers are installed.
도 5는 이 발명에 따른 도 2의 라우드스피커(100)에 의한 소리의 천장 확산 처리 방법을 도식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즉 이 발명에 따른 라우드스피커(100)의 각 면에서 나오는 음향은 각 면에서 직진하며, 천정에 설치된 확산판(200)에 의해서는 실내의 사방으로 확산시킬 뿐 아니라 반사음에 의한 간섭현상을 줄여준다.FIG. 5 schematically illustrates a method of processing sound ceiling diffusions by 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이 발명에 따른 라우드스피커 시스템은 여러가지 장점을 갖는다. 즉 저음과 고음을 보강하는 유닛을 구비하며, 공간 전체에 균등한 음압이 분포되도록 해주며, 한 대의 스피커 시스템으로 넓은 공간에서 소리 재생이 가능하게 해주며, 높은 명료도를 갖는 소리의 재생이 가능하고, 자연스펍고 풍부한 소리의 재생이 가능하다. 이러한 결과들이 사실임을 뒷받침하는 것은 아래의 측정 분석 결과들이다. 이제 이 분석 결과들을 통해 이 발명에 따른 라우드스피커의 우수성을 확인해보기로 한다.
The loudspeak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as various advantages. It has a unit to reinforce bass and treble, distributes sound pressure evenly throughout the room, and allows one to play sound in a large space with a single speaker system. It can reproduce sounds with high intelligibility , It is possible to reproduce the natural sound and rich sound. These results are supported by the following measurement analysis results. Now,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ill be used to confirm the superiority of the loud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이 발명에 따른 도 2의 라우드스피커(100)에 의한 측정 분석 결과를 보여주며, 이 곡선의 가로축은 주파수 축이고, 세로축은 데시벨축이다. 여기서 주파수 응답특성이 100Hz~ 20KHz 대역에서 +/- 3dB편차를 가지며, 이로 인해 저역대와 고역대의 주파수 특성이 크게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재생대역 내 Band Pass SPL이 95dB~100dB에 달하는 고출력을 실현하였다. 도 1의 경우와 비교하면 이 발명에 따른 라우드스피커(100)의 성능이 종래에 비해 저역대에서도 우수하고, 고역대에서는 월등히 우수한 것이 확인된다.
FIG. 6 shows a measurement analysis result by the
도 7은 이 발명에 따른 도 2의 라우드스피커(100)에 의한 측정 분석 결과를 극좌표식 주파수응답 곡선(polar compilation frequency response)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의 실험 조건은 아래와 같다:FIG. 7 shows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주파수: 248.4HzFrequency: 248.4Hz
dB/dlv: 5dB / dlv: 5
중심: 41.5dBSCenter: 41.5dBS
외곽: 101.5dBSOuter: 101.5dBS
이 경우는 특성 곡선이 거의 원형으로 안정된 값을 나타낸다.In this case, the characteristic curve shows a stable value with almost circular shape.
도 8은 이 발명에 따른 도 2의 라우드스피커(100)에 의한 다른 측정 분석 결과를 극좌표식 주파수응답 곡선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의 실험 조건은 아래와 같다:FIG. 8 shows the results of another measurement analysis by the
주파수: 1.005kHzFrequency: 1.005kHz
dB/dlv: 5dB / dlv: 5
중심: 34.9dBSCenter: 34.9dBS
외곽: 94.9dBSOuter: 94.9dBS
이 경우는 특성 곡선이 도 7의 경우에 비해 안정감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원형에서 다소 왜곡된 모양을 보여준다.In this case, the characteristic curve is less stable than the case shown in FIG. 7, and thus shows a somewhat distorted shape in the circular shape.
도 9는 이 발명에 따른 도 2의 라우드스피커(100)에 의한 또 다른 측정 분석 결과를 극좌표식 주파수응답 곡선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의 실험 조건은 아래와 같다:FIG. 9 shows another measurement analysis result by the
주파수: 8.021kHzFrequency: 8.021kHz
dB/dlv: 5dB / dlv: 5
중심: 35.66dBSCenter: 35.66dBS
외곽: 95.66dBSOutskirts: 95.66dBS
이 경우는 특성 곡선이 도 8의 경우에 비해 안정감이 더 떨어지고 이로 인해 원형에서 더욱 왜곡된 모양을 보여준다.In this case, the characteristic curve has a lower sense of stability than the case of FIG. 8, and thus shows a more distorted shape in the circle.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라우드스피커의 고역대의 딥(deep)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도 10의 좌측 그림은 종래 라우드스피커에 의한 측정 분석 결과를 극좌표식 주파수응답 곡선으로 나타낸 것이며, 이 경우의 실험 조건은 아래와 같다:FIG. 10 shows a high-band deep phenomenon of a loudspeak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left side of FIG. 10 shows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conventional loudspeaker as a polar coordinate type frequency response curve. In this case, the experimental conditions are as follows:
주파수: 16.021kHzFrequency: 16.021kHz
dB/dlv: 5dB / dlv: 5
중심: 38.17dBSCenter: 38.17dBS
외곽: 98.17dBSOutskirts: 98.17dBS
이 경우는 특성 곡선이 도 7 내지 도 9의 경우에 비해 안정감이 훨씬 떨어지고 이로 인해 원형에서 매우 왜곡된 모양을 보여준다. 도 10의 오른쪽 그림은 저음역대 커버리지는 크지만, 고음역대 커버리지는 저음역대에 비해 훨씬 좁음을 알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주파수 응답 특성곡선의 고역대에서 딥현상이 발생하여 주파수 응답성향이 균형을 잃고 있음이 확인된다. In this case, the characteristic curve is much less stable than the case of FIGS. 7 to 9, resulting in a very distorted shape in the circle. On the right side of FIG. 10, the low-range coverage is large, but the high-range coverage is much narrower than the low-range. In other words, it is confirmed that the dip phenomenon occurs in the high frequency band of the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 curve and the frequency response tendency loses balance.
이에 반해 이 발명의 라우드스피커(100)에서는 고역대에서 딥 현상을 없애기 위해 고음역 드라이버에 음향렌즈(120)를 적용하고 있다. 도 11은 도 2의 라우드스피커(100)에 의한 고음역 드라이버에 음향렌즈(120)를 적용한 경우를 보여준다. 도 11의 왼쪽 그림을 보면 스피커에 음향렌즈를 배치하는 모양을 보여주고 있고, 오른쪽 그림의 위쪽은 이 발명에 따른 라우드스피커(100)에서 음향렌즈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를 아래쪽은 음향렌즈(120)를 사용한 경우를 보여준다. 도 11에서 음향렌즈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는 10kHz에서 약 80°로 딥현상이 나타나지만, 음향렌즈(120)를 사용하면 10kHz에서 약 130°로 각도가 향상되어 딥현상이 사라졌음을 알 수 있다. 즉 25mm의 지름을 갖는 구형 음향렌즈(120)를 적용한 경우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고, 이때 커버리지는 100°에서 120°로 확장되었다. 이로부터 이 발명의 라우드스피커는 음향렌즈의 적용에 의해 딥현상이 크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contrast, in the
도 12는 이 발명에 따른 도 2의 라우드스피커(100)에 의한 고음역 드라이버에 20 내지 50mm의 다양한 지름의 음향렌즈(120)를 적용한 경우의 커버리지를 보여준다. 지름이 0mm인 경우, 20mm인 경우, 25mm인 경우, 30mm인 경우, 35mm인 경우, 40mm인 경우 및 50mm인 경우의 커버리지를 보여준다. 이 실험결과에서 지름이 25mm인 경우(녹색으로 표시된 곡선)의 구형 렌즈를 고음역 개선과 전 주파수 대역에서 균등한 커버리지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FIG. 12 shows the coverage when the
도 13은 도 12에서 지름이 0mm 및 25mm인 음향렌즈(120)를 적용한 경우의 커버리지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지름이 0mm인 음향렌즈(120)를 적용한 경우엔 약 100°를, 지름이 25mm인 음향렌즈(120)를 적용한 경우의 커버리지는 약 120°로서 25mm의 지름인 경우가 커버리지 영역이 훨씬 넓은 것을 알 수 있다.
FIG. 13 shows the coverage when the
한편 도 14와 도 15는 이 발명에 따른 도 2의 라우드스피커(100)에 의한 고음역 드라이버에 음향렌즈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극좌표 데이터 예시도이다. 도 14는 주파수가 1KHz, 각도가 150°; 주파수가 1.25KHz, 각도가 75°; 주파수가 1.6KHz, 각도가 90°; 주파수가 2KHz, 각도가 100°; 주파수가 2.5KHz, 각도가 100°; 주파수가3.15KHz, 각도가 80도; 주파수가 4KHz, 각도가 120°; 주파수가 5KHz, 각도가 105°; 주파수가 6.3KHz, 각도가 95°인 경우의 실험데이터들이다. 그리고 도 15는 주파수가 8KHz, 각도가 90°; 주파수가 10KHz, 각도가 80°; 주파수가 12.5KHz, 각도가 105°; 주파수가 16KHz, 각도가 90°인 경우의 실험데이터들이다.14 and 15 are diagrams illustrating polar coordinate data in the case where the acoustic lens is not used for the high-frequency driver of the
도 14와 도 15의 실험결과를 보면 해당 주파수에서 커버리지 각도가 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4 and 15, it can be seen that the coverage angle is narrow at the frequency.
이에 비해서 도 16과 도 17은 이 발명에 따른 도 2의 라우드스피커(100)에 의한 고음역 드라이버에 음향렌즈(120)를 사용한 경우의 극좌표 실험 데이터를 보여주고 있다. 도 16은 주파수가 1KHz, 각도가 150°; 주파수가 1.25KHz, 각도가 90°; 주파수가 1.6KHz, 각도가 120°; 주파수가 2KHz, 각도가 110°; 주파수가 2.5KHz, 각도가 105°; 주파수가 3.15KHz, 각도가 80도; 주파수가 2KHz, 각도가 110°; 주파수가 2.5KHz, 각도가 105°; 주파수가 3.15KHz, 각도가 80°인 경우의 실험데이터들이다. 그리고 도 15는 주파수가 8KHz, 각도가 1100°; 주파수가 10KHz, 각도가 130°; 주파수가 12.5KHz, 각도가 125°; 주파수가 16KHz, 각도가 105°인 경우의 실험데이터들이다.On the other hand, FIGS. 16 and 17 show polar coordinate experimental data when the
도 16과 도 17의 실험결과를 보면 해당 주파수에서 커버리지 각도가 도 15와 도 16의 실험결과들에 비해 넓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발명에서는 고음역 드라이버에 음향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라우드스피커(100)의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16 and 17, it can be seen that the coverage angle at the frequency is wider tha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n in Figs. 15 and 16.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performance of the
이처럼 이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위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이 발명은 위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이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an take various for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ly 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set forth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but rather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
이 발명은 일상 생활에서 쓰이는 스피커 기술에 바로 적용가능한 기술이어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은 기술이다. 특히 건축음향 측정에서 고음역 재생특성이 좋지 못하고, 높은 SPL을 제공하지 못해 측정에 필요한 충분한 S/N비를 확보하지 못하던 문제를 해결하여, 대형 공간에서도 신뢰성 높은 측정이 가능하게 해줄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This invention is a technology that is directly applicable to a speaker technology used in everyday life and is highly industrially applicable. Especially, it provides a solution which can reliably measure in a large space by solving the problem that the high sound reproduction characteristic is not good and the high SPL can not be provided in the construction acoustic measurement, can do.
50: 동축 투 웨이 유닛
100: 라우드스피커
120: 음향렌즈
140: 저음과 고음을 보강하는 유닛
200: 확산판
1000: 라우드스피커 시스템50: coaxial two-way unit
100: Loudspeaker
120: Acoustic lens
140: Unit to reinforce bass and treble
200: diffusion plate
1000: Loudspeaker system
Claims (4)
위 동축 투 웨이 유닛(50)에 기반하고 있으며, 12면체 인클로저 구조를 갖고 있고, 12면체의 각 면의 가운데에 배치된 라우드스피커(100);
고역대의 딥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위 각각의 라우드스피커(100)의 고음역 드라이버에 사용되는 음향렌즈(120); 및
위 라우드스피커(100)의 저음과 고음을 보강하는 유닛(140);
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공간 전체에 균등한 음압 분포를 이끌어 주며,
12면체 각 면에서 각각의 모서리 각도는 57°이고, 이웃하는 두 면 사이의 각도는 7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우드스피커 시스템.A coaxial two-way unit 50;
A loudspeaker 100 based on the upper coaxial two way unit 50, having a dodecahedron enclosure structure and disposed in the middle of each side of the dodecahedron;
An acoustic lens 120 used in a high-frequency driver of each of the above loudspeakers 100 for eliminating a high-frequency dip phenomenon; And
A unit 140 for reinforcing bass and treble of the upper loudspeaker 100;
And,
Leading to a uniform sound pressure distribution throughout the space,
Wherein each corner angle of the dodecahedron is 57 degrees and an angle between two adjacent faces is 72 degre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2675A KR101754521B1 (en) | 2016-02-02 | 2016-02-02 | A dodecahedron loudspeaker system using a coaxial two way un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2675A KR101754521B1 (en) | 2016-02-02 | 2016-02-02 | A dodecahedron loudspeaker system using a coaxial two way uni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54521B1 true KR101754521B1 (en) | 2017-07-07 |
Family
ID=59353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2675A Active KR101754521B1 (en) | 2016-02-02 | 2016-02-02 | A dodecahedron loudspeaker system using a coaxial two way un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4521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39786A (en) * | 2000-05-29 | 2001-12-07 | Sony Corp | Loudspeaker device |
JP2011018998A (en) * | 2009-07-07 | 2011-01-27 | Manhei Tsurubayashi | Speaker system and enclosure used in the same |
JP2014526187A (en) * | 2011-07-28 | 2014-10-02 | フラウンホーファー−ゲゼルシャフト・ツール・フェルデルング・デル・アンゲヴァンテン・フォルシュング・アインゲトラーゲネル・フェライン | Transportation machine with side wall speakers |
-
2016
- 2016-02-02 KR KR1020160012675A patent/KR10175452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39786A (en) * | 2000-05-29 | 2001-12-07 | Sony Corp | Loudspeaker device |
JP2011018998A (en) * | 2009-07-07 | 2011-01-27 | Manhei Tsurubayashi | Speaker system and enclosure used in the same |
JP2014526187A (en) * | 2011-07-28 | 2014-10-02 | フラウンホーファー−ゲゼルシャフト・ツール・フェルデルング・デル・アンゲヴァンテン・フォルシュング・アインゲトラーゲネル・フェライン | Transportation machine with side wall speaker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81775B2 (en) | Loudspeaker apparatus for radiating acoustic waves in a hemisphere around the centre axis | |
US10015584B2 (en) | Loudspeaker with reduced audio coloration caused by reflections from a surface | |
US9706289B2 (en) | Loudspeaker with improved directional behavior and reduction of acoustical interference | |
US8744115B2 (en) | Speaker | |
US20150172817A1 (en) | Accoustic speaker system | |
US20080123877A1 (en) | Dual-tweeter loudspeaker | |
JP2000517136A (en) | Cone reflector / combiner speaker system and method | |
US8873787B2 (en) | Two-way audio speaker arrangement | |
US7590257B1 (en) | Axially propagating horn array for a loudspeaker | |
AU2017202861B2 (en) | Loudspeaker with reduced audio coloration caused by reflections from a surface | |
US8934653B2 (en) | Rhomboid shaped acoustic speaker | |
RU2612535C2 (en) | Loudspeaker | |
US10341761B2 (en) | Acoustic waveguide for audio speaker | |
KR101754521B1 (en) | A dodecahedron loudspeaker system using a coaxial two way unit | |
JP2018201175A (en) | speaker | |
JP2022044518A (en) | Acoustic device | |
HK1261514A1 (en) | Loudspeaker with reduced audio coloration caused by reflections from a surface | |
JP2007295173A (en) | Compact stereo-integrated speaker system | |
NZ614182B2 (en) | Rhomboid shaped acoustic speak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6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