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309B1 - 음압을 이용한 마이크로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마이크로구조체 - Google Patents
음압을 이용한 마이크로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마이크로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4309B1 KR101754309B1 KR1020150118109A KR20150118109A KR101754309B1 KR 101754309 B1 KR101754309 B1 KR 101754309B1 KR 1020150118109 A KR1020150118109 A KR 1020150118109A KR 20150118109 A KR20150118109 A KR 20150118109A KR 101754309 B1 KR101754309 B1 KR 1017543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crostructure
- viscous composition
- hollow
- negative pressure
- pres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9/00—Materials for catheters, medical tubing, cannulae, or endoscopes or for coating catheters
- A61L29/04—Macromolecular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B—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e.g. MICROMECHANICAL DEVICES
- B81B1/00—Devices without movable or flexible elements, e.g. microcapillary devices
- B81B1/006—Microdevices formed as a single homogeneous piece, i.e. wherein the mechanical function is obtained by the use of the device, e.g. cutters
- B81B1/008—Microti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C—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 B81C1/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or systems in or on a substrate
- B81C1/00015—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or systems in or on a substrate for manufacturing microsystems
- B81C1/00023—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or systems in or on a substrate for manufacturing microsystems without movable or flexible elements
- B81C1/00111—Tips, pillars, i.e. raised struc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B—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e.g. MICROMECHANICAL DEVICES
- B81B2201/00—Specific applications of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 B81B2201/05—Microfluidics
- B81B2201/055—Micro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금 전 솔리드 마이크로구조체의 상단부를 도금되지 않는 물질로 보호하는 과정을 통해 중공을 형성하는 외에 도 1의 방법과 같은 방법을 이용한 중공형 마이크로구조체 제조 과정을 나타낸다.
도 3은 평면 기판 상에서의 음압을 이용한 중공형 마이크로구조체의 제조과정을 나타낸다.
도 4는 평면 기판 상에서 동시에 복수개의 중공형 마이크로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5는 점착제 패치를 기판으로 이용하여, 점착면에 약물을 함유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조성물을 준비하고, 이에 음압을 인가하여 생분해성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제조할 수 있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단계(a)의 점성조성물을 준비하기 위한 점성조성물 토출부와 단계(b)의 점성조성물에 음압을 인가시키기 위한 흡입부가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연속 제조 시스템을 통해, 원하는 개수만큼의 솔리드 마이크로구조체를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한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
도 7은 복수의 흡입구를 포함하는 하나의 흡입부를 통해 복수개의 마이크로구조체를 성형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8은 층상으로 도포된(layered) 점성조성물을 이용한 중공형 마이크로구조체의 제조과정을 나타낸다.
도 9는 흡입구의 위치 및 각도의 조절을 통해 휘어진 형상의 중공형 마이크로구조체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방법들로 제조한 중공형 마이크로구조체를 이용하여 객체(subject)의 피부 내로 약물을 주입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중공형 마이크로구조체에 지속적으로 약물을 공급할 수 있는 별도의 약물 공급장치와 연결된 것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중공형 마이크로구조체를 통하여 채취한 신체 유체를 실시간 분석할 수 있는 센서에 연결되어 있는 모식도를 나타내고, 센서에 의해 분석된 데이터는 외부로 전송되어 실시간 진단이 가능하다.
도 13은 기판 상에 준비된 점성조성물에 대하여 음압을 인가하여 중공형 마이크로구조체의 몰드가 되는 솔리드 마이크로구조체를 제조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4는 점성조성물에 주사기 바늘을 접촉시키는 방법을 통해 주사기 바늘 상에 점성조성물을 위치시키고, 이에 음압을 인가하여 주사기 바늘 상단부에 솔리드 마이크로구조체를 제조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에 도금과정을 추가로 진행하여 중공형 주사기 상단부와 연결된 형태의 싱글 타입 중공형 마이크로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5는 점성조성물에 주사기 바늘을 접촉시키는 방법을 통해 주사기 바늘상에 점성조성물을 위치시키고, 이를 통해 솔리드 마이크로구조체를 제조하는 경우, 주사기 바늘 측면에 점성조성물이 많이 부착되는 결과를 나타낸다.
도 16은 점성조성물을 미리 주사기 실린더에 주입한 후, 주사기 피스톤을 밀어올림으로써, 주사기 상단부에 점성조성물을 위치시키고, 이에 음압을 인가하여 제조한 솔리드 마이크로구조체를 나타낸다. 주사기 바늘 측면에 점성조성물이 부착되지 않으며, 이를 도금하는 경우 양호한 형태의 중공형 마이크로구조체를 얻을 수 있다.
도 17은 점성 조성물에 음압을 인가하여 인장을 유도하기 전에 점성조성물을 가열하여 더욱 증가된 인장 길이를 유도할 수 있다는 결과를 나타낸다.
도 18은 전기 방사법을 도입한 음압에 의한 중공형 마이크로구조체의 제조 과정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19 및 도 20은 흡입관을 이용해 제조한 히알루론산 솔리드 마이크로구조체를 나타낸다. 이를 도금하고 솔리드 마이크로구조체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쳐 중공형 마이크로구조체를 얻을 수 있다.
도 21a 및 도 21b는 흡입관을 이용해 제조한 SU-8 솔리드 마이크로구조체를 나타낸다. 이를 도금하고 솔리드 마이크로구조체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쳐 중공형 마이크로구조체를 얻을 수 있다.
도 22a 및 도 22b는 흡입관을 이용해 제조한 폴리스티렌 솔리드 마이크로구조체를 나타낸다. 이를 도금하고 솔리드 마이크로구조체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쳐 중공형 마이크로구조체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7)
- (a) 기판 상에 점성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점성조성물을 인장시키기 위하여, 상기 점성조성물에 음압을 인가시키기 위한 흡입구를 포함하는 흡입부를 상기 점성조성물에 배치시키는 단계;
(c)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점성조성물의 상부측으로 작용하는 소정의 음압을 상기 점성조성물에 인가(apply)시켜 제조하려는 마이크로구조체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점성조성물을 인장시킴으로써, 솔리드 마이크로구조체를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흡입부를 상기 솔리드 마이크로구조체로부터 제거시키는 단계;
(e) 상기 솔리드 마이크로구조체의 표면을 금속 도금하는 단계; 및
(f) 상기 도금된 금속으로부터 솔리드 마이크로구조체를 제거하여 중공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공형 마이크로구조체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의 점성조성물은 유기용매에 의해 제거되는 고분자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마이크로구조체 제조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화합물은 AS(acrylonitrile styrene), 폴리 아마이드,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 폴리아세틸, 스틸론, 테프론, 폴리염화비닐, 폴리우레탄, 나일론, 설폰 수지 또는 에폭시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마이크로구조체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의 점성조성물은 상기 기판 상에 층상으로 준비(layere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마이크로구조체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 내지 단계(c)는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점성조성물을 토출시키는 토출부; 및 상기 기판 상의 점성조성물에 음압을 인가시키는 상기 흡입부;를 구비하는 연속 제조 시스템을 통해 상기 점성조성물의 토출과 음압 인가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마이크로구조체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흡입구의 방향 및 위치를 조절하여 휘어진 중공형 마이크로구조체를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마이크로구조체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단계(e) 이전에 상기 솔리드 마이크로구조체에 금속을 증착하는 금속 증착 단계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마이크로구조체 제조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증착 단계의 상기 금속은 스테인레스강, 알루미늄(Al), 크롬(Cr), 니켈(Ni), 금(Au), 은(Ag), 구리(Cu), 티타늄(Ti), 코발트(Co) 또는 이들의 합금을 증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마이크로구조체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도금되는 상기 금속은 스테인레스강, 알루미늄(Al), 크롬(Cr), 니켈(Ni), 금(Au), 은(Ag), 구리(Cu), 티타늄(Ti), 코발트(Co) 또는 이들의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마이크로구조체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ⅰ) 금속 도금 전 솔리드 마이크로구조체의 상단부를 도금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단계; 및
(ⅱ) 금속 도금 후 중공형 마이크로구조체의 상단부를 절단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중공형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중공형 마이크로구조체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주사기 바늘이며, 상기 점성조성물을 주사기 바늘의 상단부에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마이크로구조체 제조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성조성물을 상기 주사기 바늘의 상단부에 준비하는 것은,
상기 주사기의 실린더 내부에 미리 준비된 점성조성물을 상기 주사기의 피스톤을 이용하여 상기 주사기 바늘의 상단부로 밀어올림으로써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마이크로구조체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에서의 기판 상에 점성조성물을 준비하기 전에 또는 상기 단계(b)에서의 흡입부를 상기 점성조성물의 상부측에 배치시키기 전에,
상기 점성조성물을 50℃ 내지 150℃로 가열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마이크로구조체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상기 음압을 인가시키는 동안 상기 음압을 인가시키기 위한 상기 흡입부와 상기 기판 사이에 전압을 가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마이크로구조체 제조방법.
-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마이크로구조체.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109193 | 2014-08-21 | ||
KR1020140109193 | 2014-08-2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4354A KR20160024354A (ko) | 2016-03-04 |
KR101754309B1 true KR101754309B1 (ko) | 2017-07-07 |
Family
ID=55350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18109A Active KR101754309B1 (ko) | 2014-08-21 | 2015-08-21 | 음압을 이용한 마이크로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마이크로구조체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4309B1 (ko) |
WO (1) | WO2016028122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122338A1 (ko) * | 2018-12-12 | 2020-06-18 | 주식회사 라파스 | 인장 공정으로 제조하기에 적합한 마이크로니들 재료의 적합성 시험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제조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80056053A1 (en) * | 2016-08-26 | 2018-03-01 | Juvic Inc. | Protruding microstructure for transdermal delivery |
CN109420245A (zh) * | 2017-08-30 | 2019-03-05 | 优微(珠海)生物科技有限公司 | 可溶性微针的制造方法 |
CN109771276B (zh) * | 2019-01-22 | 2021-05-25 | 首都医科大学 | 针灸针及其制备方法 |
KR20230129639A (ko) | 2022-03-02 | 2023-09-11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중작용 pde5 억제제/질산유기에스터의 국소 혈류 증진을 위한 경피 투약 형태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9277B1 (ko) * | 2006-12-22 | 2008-11-18 |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와 그의 성형 몰드 |
US20110177297A1 (en) * | 2008-10-02 | 2011-07-21 | Nurim Wellness Co. Ltd. | Method of manufacturing solid microstructure and solid microstructure manufactured based on same |
KR101152486B1 (ko) * | 2009-07-31 | 2012-06-01 | (주)테라젝코리아 | 마이크로니들 패드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제조장치 |
KR101180032B1 (ko) * | 2010-07-12 | 2012-09-05 | 인싸이토(주) | 외형 조절이 가능한 중공형 마이크로니들의 제조방법 |
BR112013022949A2 (pt) * | 2011-03-07 | 2016-12-06 | 3M Innovative Properties Co | dispositivo e métodos de microagulha |
-
2015
- 2015-08-21 KR KR1020150118109A patent/KR101754309B1/ko active Active
- 2015-08-21 WO PCT/KR2015/008775 patent/WO2016028122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122338A1 (ko) * | 2018-12-12 | 2020-06-18 | 주식회사 라파스 | 인장 공정으로 제조하기에 적합한 마이크로니들 재료의 적합성 시험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제조 방법 |
CN113226390A (zh) * | 2018-12-12 | 2021-08-06 | 株式会社乐派司 | 适于通过拉伸工序制备的微针材料的适合性测试方法以及包括其的微针的制备方法 |
US11850388B2 (en) | 2018-12-12 | 2023-12-26 | Raphas Co., Ltd. | Method for testing suitability of microneedle material suitable for manufacture employing elongation process, and microneedle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6028122A1 (ko) | 2016-02-25 |
KR20160024354A (ko) | 2016-03-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90172B1 (ko) | 원심력을 이용한 마이크로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마이크로구조체 | |
Lim et al. | Microneedles: A versatile strategy for transdermal delivery of biological molecules | |
KR101254240B1 (ko) | 마이크로구조체 제조방법 | |
KR101754309B1 (ko) | 음압을 이용한 마이크로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마이크로구조체 | |
KR101136738B1 (ko) | 송풍에 의한 솔리드 마이크로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솔리드 마이크로구조체 | |
KR101747099B1 (ko) |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이용한 마이크로니들의 제조방법 | |
KR101488397B1 (ko) | 음압을 이용한 마이크로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마이크로구조체 | |
KR101636069B1 (ko) | 마이크로구조체 제조방법 | |
Iliescu et al. | A review on transdermal drug delivery using microneedles: Current research and perspective | |
KR101703050B1 (ko) | 경피전달용 미세돌기 구조체 | |
KR20160143611A (ko) | 경피전달용 미세돌기 구조체 | |
SEKAR et al. | Advancements in microneedle technology: comprehensive insights into versatile drug delivery mechanisms | |
Borey et al. | A review recent advanced of fabrication techniques and application of micro-needle | |
KR102127123B1 (ko) | 마이크로구조체 제조방법 | |
Tabassum et al. | Microneedle technology: a new drug delivery system | |
Gowthami et al. | Transdermal Injection with Microneedle Devices in Healthcare Sector: Materials, Challenging Fabrication Methodologies, and its Limitations | |
KR20170067637A (ko) | 마이크로구조체 제조방법 | |
Keservani et al. | A novel approach of drug delivery: Microneedles | |
Shaikh et al. | Article Received: 10 May, 2024 Article Accepted: 28 June, 2024 Article Published | |
KR20170126272A (ko) | 방수성 박막을 이용한 마이크로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Alam et al. | An innovation in clinical practice by microneedles: A review | |
Aswar et al. | Microneedles: An efficient technique to enhance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 |
Neha | MICRONEEDLE AS ADVANCE DRUG DELIVERY SYSTEM. | |
Agarwal et al. | Exploring micro needles applications in rheumatoid arthritis: efficacy, safety, and patient benefi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607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27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6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