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52248B1 - Nonslip band for tire - Google Patents

Nonslip band for t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2248B1
KR101752248B1 KR1020150172738A KR20150172738A KR101752248B1 KR 101752248 B1 KR101752248 B1 KR 101752248B1 KR 1020150172738 A KR1020150172738 A KR 1020150172738A KR 20150172738 A KR20150172738 A KR 20150172738A KR 101752248 B1 KR101752248 B1 KR 101752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slip pad
band
width
whe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27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66116A (en
Inventor
레오놀에스로렌즈
Original Assignee
레오놀에스로렌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오놀에스로렌즈 filed Critical 레오놀에스로렌즈
Priority to KR1020150172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248B1/en
Publication of KR20170066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61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248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 B60C27/06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 B60C27/06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 B60C27/064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through apertures in the rim, e.g. fastening from one lateral side to the other lateral side of the rim; extending axially through the ri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용 넌슬립 밴드에 관한 것으로, 합성수지에 의하여 외곽틀부와 상기 외곽틀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격자부로 구성되며 타이어의 트레드면 및 트레드면과 사이드 월 사이의 경계부에 걸쳐서 밀착되는 넌슬립 패드와; 상기 넌슬립 패드의 양단에 결합되며 타이어의 사이드 월과 타이어 휠의 림부 내주면에 밀착되는 좌우측 조임밴드; 및 상기 좌우측 조임밴드에 부착되는 벨크로패스너;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타이어 휠의 스포크에 의해 형성되는 통공의 개수만큼 구비하여 장착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를 움직이지 않고서도 누구라도 신속,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차종 및 휠사이즈와 무관하게 호환될 수 있고, 종래와 같이 체인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꼬임 없이 보관할 수 있어 보관 후 타이어에 대한 장착이 용이하게 되며, 휠의 형태에 따라 장착 개수를 결정할 수 있고, 손상이 있을 경우 손상된 밴드만 교체하고 나머지를 계속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slip band for a tire, which is composed of an outer frame portion by a synthetic resin and a lattice portion formed inside the outer frame portion, and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tread surface of the tire and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tread surface and the side wall, Wow; Left and right tightening bands joined to both ends of the non-slip pad and closely contacting the side wall of the tire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im of the tire wheel; And a Velcro fastener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tightening bands; And can be mounted as many as the number of the through holes formed by the spokes of the tire wheel, so that anyone can quickly and easily mount the vehicle without moving the vehicle, and can be compatible regardless of the vehicle type and the wheel size Since it does not use chains like conventional ones, it can be stored without kinks, so it can be easily mounted on tires after storage, and the number of mounts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wheel. In case of damage, only the damaged band is replaced, So that the cost can be reduced.

Description

타이어용 넌슬립 밴드{Nonslip band for tire}Non-slip band for tire {Nonslip band for tire}

본 발명은 타이어용 넌슬립 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동차를 움직이지 않고서도 신속,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차종 및 휠사이즈와 무관하게 호환될 수 있고, 꼬임 없이 보관할 수 있어 보관 후 타이어에 대한 장착이 용이하며, 휠의 형태에 따라 장착 개수를 결정할 수 있고, 손상이 있을 경우 손상된 밴드만 교체하고 나머지를 계속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반사지에 의하여 야간에 가로등의 불빛과 차량의 불빛을 반사하여 다른 운전자나 보행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도록 한 타이어용 넌슬립 밴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slip band for a tire, more specifically, it can be quickly and easily mounted without moving a car, can be compatible regardless of the type of vehicle and wheel size, can be stored without tors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mounting number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wheel and to replace the damaged band only in case of damage and to continue to use the res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slip band for a tire, which can reduce traffic accidents by reflecting the light of a vehicle so that it can be easily recognized by other drivers or pedestrians.

동절기 자동차가 눈길이나 빙판길을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차륜, 특히 구동차륜에 장착하는 스노우 체인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Snow chains, which are mounted on wheels, particularly drive wheels, are widely used to enable cars in winter to safely run on snow or ice roads.

종래의 전통적인 스노우 체인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륜(W)의 내, 외측면에 링형으로 배치되는 내, 외측 스트링(1, 2)과, 타이어(T)의 외주면, 즉 트레드부를 가로질러 배치되며 그 양단이 상기 내, 외측 스트링(1, 2)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미끄럼방지부재(3)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5 to 7, a conventional conventional snow chain includes inner and outer strings 1 and 2 arranged in a ring shape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a wheel W, And a plurality of non-slip members (3) arranged across the tread portion and having opposite ends connected to the inner and outer strings (1, 2).

상기 내, 외측 스트링(1, 2)으로서는 장원형 고리가 연결된 루프 코일 체인(roof coil chain)이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스틸 와이어 로프(steel wire rope)가 사용되기도 한다.As the inner and outer strings 1 and 2, a roof coil chain to which a long circular ring is connected has been widely used. Recently, a steel wire rope is also used.

상기 미끄럼방지부재(3)는 루프 코일 체인이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스틸 와이어 로프 또는 우레탄 등의 합성수지재질의 부재가 사용되기도 한다.The non-skid member 3 has been widely used as a loop coil chain, but recently, a member made of synthetic resin such as steel wire rope or urethane is also used.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을 차륜에 장착함에 있어서는 운전자가 자동차를 정자시킨 상태에서 하차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륜(W)의 전방에 스노우 체인을 펼쳐서 가지런히 내려놓고, 다시 승차하여 자동차를 전진시켜 타이어(T)가 체인의 대략 중앙 부분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 다시 하차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어(T)의 전, 후방측에 놓여 있는 스노우 체인을 타이어(T)에 감아서 내, 외측 스트링(1, 2)의 양단을 각각 단부 연결고리(4, 5)로 연결한 다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스트링(2)을 조임구(6)로 조이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When such a conventional snow chain for a vehicle is mounted on a wheel, the driver unloads the car in a sperm state, unfolds the snow chain in front of the wheel W as shown in Fig. 5, The automobile is moved forward so that the tire T is positioned at the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chain and then the vehicle is lowered again to move the snow chain lying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tire T to the tire T, And both ends of the inner and outer strings 1 and 2 are connected by the end connecting rings 4 and 5 respectively and then the outer string 2 is fastened with the fastening holes 6 as shown in Fig. .

상기 조임구(6)로서는 도시 예와 같이 토글 레버(toggle lever)형 조임구를 사용하거나 예로부터 사용해 오던 고무링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As the tightening tool 6, a toggle lever type fastener may be used or a rubber ring, which has been used for some time, may be use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은 운전자가 하차하여 스노우 체인을 차륜의 전방에 펼쳐놓고 다시 승차하여 자동차를 움직여 차륜(W)이 스노우 체인에 올라가게 한 다음, 다시 하차하여 내, 외측 스트링(1, 2)을 단부 연결고리(4, 5)로 연결하는 등의 작업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스노우 체인 장착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snow chain for a motor vehicle, the driver unloads the snow chain to the front of the wheel, rides the vehicle again to move the vehicle so that the wheel W rides on the snow chain, And 2 are connected to the end linking rings 4 and 5, so that it is very troublesome to mount the snow chain and it takes a lot of time.

또한, 트럭과 같이 구동 차륜이 이중 차륜인 경우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차륜(Wi)을 각목 등의 고임체(7)로 받혀서 외측 차륜(Wo)이 지면에서 들리도록 한 다음, 외측 차륜(Wo)에 스노우 체인을 장착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In the case where the driving wheel is a dual wheel such as a truck, as shown in Fig. 8, the inner wheel Wi is supported by an elongated member 7 such as a tree or the like so that the outer wheel Wo is heard at the ground , And a snow chain is mounted on the outer wheel Wo.

그러나 이 경우도 역시 운전자가 자동차를 정차시킨 상태에서 하차하여 내측 차륜(Wi)의 전방에 각목 등의 고임체(7)를 위치시키고 다시 승차하여 자동차를 움직여 내측 차륜(Wi)이 고임체(7)에 올라가도록 한 다음, 다시 하차하여 스노우 체인을 장착하는 작업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is case also, when the driver stops the car, the driver moves the car to move the car 7 to the front of the inner wheel Wi, ), And then the snow chain must be mounted on the snow chain so that the operation is very troublesome and time consuming.

또한, 종래의 스노우 체인은 미끄럼방지부재로서 루프 코일 체인이나 우레탄 등의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타이어에 장착하고 주행할 때 진동을 유발하여 승차감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으며, 보관시 스트링과 미끄럼방지부재를 잘 정리하여 보관함에 보관하더라도 추후 타이어에 장착하기 위하여 보관함에서 꺼내보면 스트링과 미끄럼방지부재가 엉켜 있어 타이어에 장착하기 전에 엉킨 스트링과 미끄럼방지부재를 풀어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되기도 하였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snow chain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a loop coil chain or urethane as a non-slip member, it is disadvantageous in that when mounted on a tire, The string and the non-slip member are entangled when the slider is taken out of the storage for later mounting on the tire, so that the string and the non-slip member must be unhooked before being mounted on the tire.

이러한 종래 스노우 체인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일부 운전자들은 스노우 체인이 있으면서도 장착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눈길 교통정체와 교통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Due to the problems of conventional snow chains, some drivers often do not mount snow chains, which can cause traffic congestion and traffic accidents.

이러한 전통적인 스노우 체인의 문제점을 해결한 스노우 체인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093839호(1996.01.23. 등록) "타이어의 스노우 체인"(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A snow chain that solves the problems of such a conventional snow chain is disclosed in "Snow Chain of Ti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of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093839 (registered on March 23, 1996).

상기 선행기술 1은 한 쌍의 와이어부재와, 상기 와이어부재의 일단부에 각각 고착된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가 각각 고착된 상기 와이어부재의 타단에 다수개씩 각각 고착되어서 타이어의 크기에 따라 상기 결합부재에 체결되어 스노우 체인을 타이어에 장착시키는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가 고착된 상기 와이어부재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배설되어서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수단으로 이루어진 타이어의 스노우 체인에 있어서, 타이어가 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스노우체인을 타이어에 장착 혹은 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부재의 소정위치에 절단된 일단에 고착되며 수용부가 형성된 수용부가 형성된 암연결부재와, 상기 암연결부재와 체결되도록 절단된 상기 와이어부재의 타단에 고착되며 이탈 방지부 및 절곡부가 형성된 수연결부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타이어가 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스노우 체인을 타이어에 용이하게 장착 혹은 탈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 타이어에 장착된 스노우 체인은 사용자가 별도의 간단한 조작을 하지 않는 한 타이어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고 개시하고 있다.In the prior art 1, a plurality of wire members are fixed to a pair of wire members, a pair of wire members are fixed to one end of the wire member, and a plurality of wire members are fixed to the other ends of the wire members, A snow chain of a tire, comprising a protruding member which is fastened to a joining member and which mounts a snow chain on a tire, and a slip prevention means which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the wire member to which the protruding member is fixed, An arm connecting member fixed to one end of the wire member, the receiving member being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wire member so that the snow chain can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tire while the snow chain is fixed to the ground, Which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wire member and has a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and a bent portion The snow chain can be easily mounted on or removed from the tire even when the tire is fixed on the ground. In addition, the snow chain mounted on the tire can be detached from the tire It has a very practical effect.

그러나 선행기술 1의 스노우 체인 역시 미끄럼방지부재가 루프 코일 체인으로 구성되어 있어 타이어에 장착하고 주행할 때 진동을 유발하여 승차감을 저하시키는 문제점과, 스트링과 미끄럼방지부재를 잘 정리하여 보관함에 보관하더라도 추후 타이어에 장착하기 위하여 보관함에서 꺼내보면 스트링과 미끄럼방지부재가 엉켜있어 타이어에 장착하기 전에 엉킨 스트링과 미끄럼방지부재를 풀어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지 못한다.However, in the snow chain of the prior art 1, since the non-slip member is constituted by a loop coil chain, vibration is generated when the vehicle is mounted on the tire, and the ride feeling is lowered. Even if the string and the non- When the tires are taken out of the storage for later mounting on the tires, the strings and the non-slip members are tangled, so that the troublesome work of untangling the strings and the non-slip members before mounting them on the tires can not be solved.

최근에는 소위 패브릭 스노우 체인이 개발되었다. 종래의 패브릭 스노우 체인은 천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는 스노우 체인이라고 할 수는 없으나 통상적인 명칭이 부재(不在)하여 스노우 체인이라고 통칭되고 있으며, 치밀한 융기구조의 표면과 정전기 효과로 마찰력을 극대화시켜 접지능력을 강화한 소재를 사용한 것으로 소개되고 있다.Recently, a so-called fabric snow chain has been developed. Conventional fabric snow chains are made of cloths and can not be said to be substantially snow chains. However, they are commonly referred to as snow chains due to their absence of a common name and maximize the frictional force by the effect of static electricity It has been introduced using materials with enhanced grounding capabilities.

이러한 종래 패브릭 스노우 체인은 미국특허 제2,682,907호(1954.07.06. 등록) "traction increasing means for tires"(이하, '선행기술 2'라 함)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58558호(2006.12.11. 등록) "차량 휘일용 미끄럼 방지기"(이하, '선행기술 3'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Such a conventional fabric snow chain is disclosed in U.S. Patent No. 2,682,907 (Registered on June 7, 1954) "traction increasing means for tir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and Korean Patent No. 10-0658558 (Dec. (Hereinafter referred to as " Prior Art 3 ").

상기 선행기술 2, 3에 의한 패브릭 스노우 체인은 타이어의 트레드 부분과 타이어의 양측을 감싸는 미끄럼방지부재와, 상기 미끄럼방지부재의 내, 외측 단부에 구비되는 조임부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전통적인 스노우 체인에 비하여 타이어에 대한 장착이 간편하고, 승차감이 양호하며, 보관시 엉키는 일이 없어 보관함에서 꺼내어 곧바로 장착할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The fabric snow chain according to the prior arts 2 and 3 is composed of a tread portion of a tire, a non-skid member which covers both sides of the tire, and a tightening member provided at the inner and outer ends of the non-skid member, It has a merit that it is easy to mount on a tire, has a good ride quality, is not tangled during storage, and can be taken out of a storage box and mounted immediately.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2, 3에 의한 패브릭 스노우 체인은 타이어에 장착하여 눈길을 주행할 때 눈이 녹아 패브릭 스노우 체인을 구성하는 천에 얼어붙게 되며, 얼어붙은 눈으로 인하여 천이 무거워지고 이에 따라 주행과정에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하여 천이 늘어나면서 타이어에 대한 장착상태가 느슨하게 되어 눈길에서의 미끄럼방지 성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늘어난 천이 자동차의 펜더에 닿게 되어 소음이 발생하고, 패브릭 스노우 체인 자체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fabric snow chains according to the prior arts 2 and 3 are mounted on tires and snow melts to freeze on the cloth constituting the fabric snow chain. The frozen snow causes the cloth to become heavy, The cloth is loosened due to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the centrifugal force, so that the slip prevention performance in the snow is deteriorated. In addition, since the stretched cloth touches the fender of the automobile, noise is generated and the fabric snow chain itself is damaged .

또한 상기 선행기술 2, 3은 손상이 있을 경우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비용면에서 불리한 문제점이 있다.Also, the prior arts 2 and 3 have a disadvantage in terms of cost because they must be replaced when they are damaged.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093839호(1996.01.23. 등록) "타이어의 스노우 체인"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093839 (Registered on 23.01.1996) "Tire's Snow Chain" 미국특허 제2,682,907호(1954.07.06. 등록) "traction increasing means for tires"U.S. Patent No. 2,682,907 (registered July 7, 1954) "traction increasing means for tire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58558호(2006.12.11. 등록) "차량 휘일용 미끄럼 방지기"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658558 (Registered on November 11, 2006) "Non-slip device for vehicle wheel"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를 움직이지 않고서도 신속,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차종 및 휠사이즈와 무관하게 호환될 수 있고, 꼬임 없이 보관할 수 있어 보관 후 타이어에 대한 장착이 용이하며, 휠의 형태에 따라 장착 개수를 결정할 수 있고, 손상이 있을 경우 손상된 밴드만 교체하고 나머지를 계속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반사지에 의하여 야간에 가로등의 불빛과 차량의 불빛을 반사하여 다른 운전자나 보행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도록 한 타이어용 넌슬립 밴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torcycle which can be quickly and easily mounted without moving a motor vehicle, can be compatible regardless of vehicle type and wheel size, can be stored without torsion, ,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becaus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number of mounts in case of damage and to replace the damaged band only and to use the remaining ones continuously. By reflecting the light of the street lamp and the light of the vehicle at night, So as to reduce traffic accidents by providing a non-slip band for a tir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에 의하여 외곽틀부와 상기 외곽틀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격자부로 구성되며 타이어의 트레드면 및 트레드면과 사이드 월 사이의 경계부에 걸쳐서 밀착되는 넌슬립 패드와; 상기 넌슬립 패드의 양단에 결합되며 타이어의 사이드 월과 타이어 휠의 림부 내주면에 밀착되는 좌우측 조임밴드; 및 상기 좌우측 조임밴드에 부착되는 벨크로패스너;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타이어용 넌슬립 밴드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non-slip structure including a tread surface of a tire and a non-slip surfac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a boundary between a tread surface and a sidewall, A pad; Left and right tightening bands joined to both ends of the non-slip pad and closely contacting the side wall of the tire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im of the tire wheel; And a Velcro fastener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tightening band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n-slip band for a tire.

상기 조임밴드는 상기 넌슬립 패드의 전후방향 폭보다 좁은 조임밴드부와, 상기 넌슬립 패드의 전후방향 폭과 동일한 전후방향 폭을 가지며 상기 넌슬립 패드에 결합되는 내측 단부와 상기 조임밴드부의 전후방향 폭과 동일한 전후방향 폭을 가지며 상기 조임밴드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외측 단부를 가지는 결합부로 구성할 수 있다.And the tightening band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non-slip pa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fastening band has a wid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equal to the width of the non-slip pa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oupling portion having an outer end portion integrally formed with the tightening band portion.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반사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And a reflection sheet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unit.

본 발명의 타이어용 넌슬립 밴드에 의하면 타이어 휠의 스포크에 의해 형성되는 통공의 개수만큼 구비하여 장착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를 움직이지 않고서도 누구라도 신속,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차종 및 휠사이즈와 무관하게 호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non-slip band for a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mount the tire with the number of the through holes formed by the spokes of the tire wheel, anyone can quickly and easily mount the tire without moving the vehicle, .

또한 본 발명의 타이어용 넌슬립 밴드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체인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꼬임 없이 보관할 수 있어 보관 후 타이어에 대한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non-slip band for a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chain is not used as in the prior art, the tire can be stored without being twisted,

또한 본 발명의 타이어용 넌슬립 밴드에 의하면 휠의 형태에 따라 장착 개수를 결정할 수 있고, 손상이 있을 경우 손상된 밴드만 교체하고 나머지를 계속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non-slip band for a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mounts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wheel, and if damaged, only the damaged band can be replaced and the remaining can be used.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용 넌슬립 밴드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용 넌슬립 밴드의 펼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용 넌슬립 밴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용 넌슬립 밴드를 차륜에 장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용 넌슬립 밴드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넌슬립 패드의 확대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을 장착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종래 이중 차륜에 스노우 체인을 장착하는 과정을 보인 정면도이다.
1 to 3 show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a non-slip band for a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nfolded state of a non-slip band for a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non-slip band for a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non-slip band for a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wheel,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non-slip pad showing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a non-slip band for a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mounting a snow chain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related art,
8 is a front view showing a process of mounting a snow chain on a dual wheel.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용 넌슬립 밴드를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non-slip band for a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용 넌슬립 밴드를 차륜에 장착하였을 때 노면을 향하는 방향과 면을 노면방향 및 노면측 면으로, 그 반대방향을 차륜방향 및 차륜측 면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road surface facing the road surface when the non-slip band for a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wheel will be described as a road surface direction and a road surface side, and vice versa as a wheel direction and a wheel side surface .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용 넌슬립 밴드를 차륜에 장착하였을 때, 차륜을 기준으로 하여 외측 및 외측면과 내측 및 내측면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when the non-slip band for a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wheel, the outer and outer sides, the inner side and the inner si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wheel.

즉,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용 넌슬립 밴드를 우측 차륜에 장착하였을 때 우측이 외측이고 좌측이 내측이며, 좌측 차륜에 장착하였을 때 좌측이 외측이고 우측이 내측이다.That is, when the non-slip band for a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right wheel, the right side is the outer side and the left side is the inner side, and when mounted on the left wheel, the left side is the outer side and the right side is the inner side.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용 넌슬립 밴드를 우측 차륜에 장착한 예로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 non-slip band for a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right wheel.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용 넌슬립 밴드(100)는 합성수지에 의하여 외곽틀부(111)와 상기 외곽틀부(111)의 내부에 형성되는 격자부(112)로 구성되며 타이어(10)의 트레드면(11) 및 트레드면(11)과 사이드 월(12) 사이의 경계부에 걸쳐서 밀착되는 넌슬립 패드(110)와; 상기 넌슬립 패드(110)의 양단에 결합되며 타이어(10)의 사이드 월(12)과 타이어 휠(20)의 림부(21) 내주면에 밀착되는 좌우측 조임밴드(120, 130)와; 상기 좌우측 조임밴드(120, 130)에 부착되는 벨크로패스너(160, 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non-slip band 100 for a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outer frame portion 111 formed of synthetic resin and a lattice portion 112 formed inside the outer frame portion 111. The tread surface of the tire 10 11) and a non-slip pad (11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a boundary between the tread surface (11) and the side wall (12); Left and right tightening bands 120 and 130 which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non-slip pad 110 and closely contact the sidewall 12 of the tire 1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m 21 of the tire wheel 20; And Velcro fasteners 160 and 170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tightening bands 120 and 130.

상기 넌슬립 패드(110)는 우레탄 등의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The non-slip pad 110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urethane or a rubber material.

상기 넌슬립 패드(110)의 좌우 양단부에는 상기 조임밴드(120, 130)의 내측 단부를 재봉함에 있어서 재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재봉홈(113, 114)이 형성된다.At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non-slip pad 110, sewing grooves 113 and 114 are formed for smoothly sewing the inner ends of the tightening bands 120 and 130.

도시예에서는 재봉홈(113, 114)을 넌슬립 패드(110)의 외측면에 형성한 예를 보이고 있으나 내측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sewing grooves 113 and 114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non-slip pad 110, but they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상기 조임밴드(120, 130)는 합성섬유로 직조된 직물이나 합성수지사로 직조된 직물을 사용할 수 있다.The fastening bands 120 and 130 may be fabric woven with synthetic fibers or woven with synthetic fibers.

상기 조임밴드(120, 130)는 상기 넌슬립 패드(110)의 내외측 단부의 노면측 면에 결합된다.The fastening bands 120 and 130 are engaged with the road surface side surfaces of the inner and outer ends of the non-slip pads 110.

상기 조임밴드(120, 130)는 단독으로 상기 넌슬립 패드(110)에 결합될 수 있으나, 도시예와 같이 상기 넌슬립 패드(110)의 차륜측 면에 결합되는 보강밴드(140, 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bands 120 and 130 may be joined to the non-slip pad 110 alone. However,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astening bands 120 and 130 may include reinforcing bands 140 and 150 coupled to the wheel side surfaces of the non-slip pads 110 .

상기 조임밴드(120, 130)의 내측 단부는 상기 넌슬립 패드(110)의 내외측 단부의 노면측 면에, 상기 보강밴드(140, 150)의 내측 단부는 상기 넌슬립 패드(110)의 차륜측 면에 재봉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임밴드(120, 130)와 보강밴드(140, 150)의 외측 단부는 재봉에 의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The inner ends of the tightening bands 120 and 130 are connected to the road surface side surfaces of the inner and outer ends of the non-slip pads 110 and the inner ends of the reinforcing bands 140 and 150 are connected to the wheels of the non- And the outer ends of the tightening bands 120 and 130 and the reinforcing bands 140 and 150 may be joined to each other by sewing.

또한 상기 조임밴드(120, 130)와 보강밴드(140, 150)는 상기 넌슬립 패드(110)의 전후방향 폭에 대응하는 전후방향 폭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타이어용 넌슬립 밴드가 타이어 휠(20)의 스포크(미도시) 사이의 통공을 통하여 장착되는 것으로 차륜에 대한 타이어용 넌슬립 밴드의 장착 개수가 최소 4개일 수도 있으므로 넌슬립 패드(110)의 전후방향 폭은 타이어(10)의 트레드면(11)의 원주길이의 1/8 정도까지 넓게 구성할 수도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조임밴드(120, 130)와 보강밴드(140, 150)의 전후방향 폭을 넌슬립 패드(110)의 전후방향 폭에 대응하도록 구성할 경우 조임밴드(120, 130)와 보강밴드(140, 150)의 전후방향 폭이 필요 이상으로 넓을 수 있으므로 넌슬립 패드(110)에 결합되는 내측 단부의 전후방향 폭은 넌슬립 패드(110)의 전후방향 폭에 대응하도록 하고, 외측 단부의 전후방향 폭은 넌슬립 패드(110)의 전후방향 폭보다 좁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ightening bands 120 and 130 and the reinforcing bands 140 and 15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longitudinal width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width of the non-slip pad 110. However, The width of the non-slip pad 110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tire in the front-rear direction because the band is mounted through the through-hole between the spokes (not shown) of the tire wheel 20, The width of the fastening bands 120 and 130 and the reinforcing bands 140 and 15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may be set to be about 1/8 of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tread surface 11 of the non-slip pad 10, Since the width of the fastening bands 120 and 130 and the reinforcing bands 140 and 150 may be larger than necessar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p pad 110, The front-rear direction width of the slip pad 110 corresponds to the front-rear width of the non-slip pad 110 And so, the front-rear direction width of the outer end is non is preferably formed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p pad 110.

즉, 도시예와 같이 상기 조임밴드(120, 130)를 상기 넌슬립 패드(110)의 전후방향 폭보다 좁은 조임밴드부(121, 131)와, 상기 넌슬립 패드(110)의 전후방향 폭과 동일한 전후방향 폭을 가지며 상기 넌슬립 패드(110)에 결합되는 내측 단부와 상기 조임밴드부(121, 131)의 전후방향 폭과 동일한 전후방향 폭을 가지며 상기 조임밴드부(121, 131)와 일체로 형성되는 외측 단부를 가지는 결합부(122, 132)로 구성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tightening bands 120 and 130 ar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non-slip pad 110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width of the non-slip pad 110 And has a front-rear direction width and an inner side end coupled to the non-slip pad 110 and a front-back direction width equal to the front-back direction width of the tightening band portions 121 and 131,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tightening band portions 121 and 131 And coupling portions 122 and 132 having outer ends.

이때, 상기 결합부(122, 132)는 사다리꼴로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engaging portions 122 and 132 are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또한 상기 보강밴드(140, 150)는 상기 결합부(122, 132)와 대칭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Further, the reinforcing bands 140 and 150 may be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the engaging portions 122 and 132.

즉, 상기 보강밴드(140, 150)는 상기 넌슬립 패드(110)의 전후방향 폭과 동일한 전후방향 폭을 가지며 상기 넌슬립 패드(110)에 결합되는 내측 단부와 상기 조임밴드부(121, 131)의 전후방향 폭과 동일한 전후방향 폭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That is, the reinforcing bands 140 and 150 have a width in the fore and aft direction equal to the width of the non-slip pad 110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have an inner end coupled to the non-slip pad 110 and the tightening band portions 121 and 131, Rear direction width equal to the front-rear direction width of the front-rear direction.

상기 조임밴드(120, 130)의 결합부(122, 132)의 외측 단부와 보강밴드(140, 150)의 외측 단부는 재봉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The outer ends of the engaging portions 122 and 132 of the tightening bands 120 and 130 and the outer ends of the reinforcing bands 140 and 150 may be joined by sewing.

상기 조임밴드(120, 130)와 보강밴드(140, 150)는 천연섬유 직물이나 합성섬유 직물 또는 합성수지 사(絲)를 직조한 직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인장강도와 전단강도가 높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astening bands 120 and 130 and the reinforcing bands 140 and 150 may be made of a woven fabric of a natural fiber fabric or a synthetic fiber fabric or synthetic resin yarn and may be one having a high tensile strength and a high shear strength desirable.

상기 조임밴드(120, 130)에는 차륜에 장착할 때 타이어 휠(20)의 림부(21) 측에서 서로 대면하는 면에 벨크로패스너(160, 170)를 부착할 수 있다.Velcro fasteners 160 and 170 can be attached to the fastening bands 120 and 130 on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at the rim portion 21 side of the tire wheel 20 when mounted on the wheel.

이때, 통상적으로 벨크로패스너는 상대적으로 뻣뻣한 수 벨크로와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암 벨크로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벨크로패스너(160)로서 수 벨크로를 사용한 경우 상기 벨크로패스너(170)는 암 벨크로를 사용하면 되고, 그 반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Velcro fastener is typically made of a relatively stiff Velcro and a relatively soft arm velcro. If the Velcro fastener 160 is a Velcro fastener, the Velcro fastener 170 may be an arm velcro, It can also be used.

상기 벨크로패스너(160, 170)는 조임밴드(120, 130)에 재봉에 의하여 부착된다.The Velcro fasteners 160 and 170 are attached to the fastening bands 120 and 130 by sewing.

또한 상기 조임밴드(120, 130)의 결합부(122, 132)의 외측면에는 반사지(180, 190)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reflection sheets 180 and 190 are attached to outer surfaces of the engaging portions 122 and 132 of the fastening bands 120 and 130.

상기 반사지(180, 190)는 야간에 가로등의 불빛과 차량의 불빛을 반사하여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용 넌슬립 밴드를 장착한 차량을 다른 운전자나 보행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게 된다.The reflection sheets 180 and 190 reflect the light of the street lamp and the light of the vehicle at night so that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non-slip band for th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recognized by other drivers or pedestrians, do.

도면에서 S1, S2는 조임밴드(120, 130)의 결합부(122, 132)의 내측 단부와 보강밴드(140, 150)의 내측 단부를 상기 넌슬립 패드(110)에 결합하기 위하여 재봉한 재봉선이고, S3, S4는 조임밴드(120, 130)의 결합부(122, 132)의 외측 단부와 보강밴드(140, 150)의 외측 단부를 결합하기 위하여 재봉한 재봉선이며, S5, S6은 조임밴드(120, 130)에 벨크로패스너(160, 170)를 부착하기 위하여 재봉한 재봉선이고, S7, S8은 반사지(180, 190)를 조임밴드(120, 130)의 결합부(122, 132)에 부착하기 위하여 재봉한 재봉선이다.In the figures, S1 and S2 indicate the inner ends of the engaging portions 122 and 132 of the tightening bands 120 and 130 and the inner ends of the reinforcing bands 140 and 150, respectively, S3 and S4 are sewing lines sewn to join the outer ends of the engaging portions 122 and 132 of the tightening bands 120 and 130 to the outer ends of the reinforcing bands 140 and 150, S7 and S8 are used to attach the reflective sheets 180 and 190 to the engaging portions 122 and 132 of the fastening bands 120 and 130 It is a seam sewing to do.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용 넌슬립 밴드(100)는 넌슬립 패드(110)를 타이어(10)의 트레드면(11)에 대고 조임밴드(120, 130)를 타이어(10)의 사이드 월(12)을 거쳐 타이어 휠(20)의 스포크(미도시) 사이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타이어 휠(20)의 림부(21) 내주면 측으로 삽입하여 조임밴드(120, 130)를 당겨서 벨크로패스너(160, 170)에 의하여 접합하는 것에 의하여 차륜에 장착하게 되는데, 조임밴드(120, 130)를 당기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당김손잡이(123, 133)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on-slip band 100 for a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on-slip pad 110 is placed on the tread surface 11 of the tire 10 and the fastening bands 120 and 130 are placed on the side wall 12 of the tire 10, (Not shown) of the tire wheel 20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m portion 21 of the tire wheel 20 to pull the fastening bands 120 and 130 to the velcro fasteners 160 and 170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pulling tabs 123 and 133 for facilitating pulling of the fastening bands 120 and 130. In this case,

즉, 상기 조임밴드(120, 130)의 바깥쪽 단부에 결합되어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용 넌슬립 밴드(100)를 차륜에 장착할 때 조임밴드(120, 130)를 쉽게 당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당김손잡이(123, 133)가 구비된다.That is, when the non-slip band 100 for a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outer end of the tightening bands 120 and 130, the tightening bands 120 and 130 can be easily pulled Handles 123 and 133 are provided.

상기 당김손잡이(123, 133)는 루프형 또는 갈고리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pulling grips 123 and 133 can be formed in a loop shape or a hook shape.

상기 당김손잡이(123, 133)는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를 꼬아서 만든 끈이나 합성수지 성형물 또는 금속재로 구성할 수 있으나 합성수지 성형물과 금속재는 휠의 림부 내주면에 충격을 줄 수 있으므로 끈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ulling grips 123 and 133 may be formed of a string, a synthetic resin molding, or a metal material formed by twisting natural fibers or synthetic fibers,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synthetic resin molding and the metal material are composed of strings since they may impac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m of the wheel. Do.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용 넌슬립 밴드는 타이어 휠의 스포크에 의해 형성되는 통공의 개수만큼 구비하여 장착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를 움직이지 않고서도 누구라도 신속,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차종 및 휠사이즈와 무관하게 호환될 수 있다.Since the non-slip band for a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mounted as many as the number of the through holes formed by the spokes of the tire wheel, anyone can quickly and easily mount the vehicle without moving the vehicle,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it is compatible.

또한 종래와 같이 체인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꼬임 없이 보관할 수 있어 보관 후 타이어에 대한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Further, since the chain is not used as in the prior art, it can be stored without being twisted, so that mounting to the tire after storage is facilitated.

또한 휠의 형태에 따라 장착 개수를 결정할 수 있고, 손상이 있을 경우 손상된 밴드만 교체하고 나머지를 계속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number of mounts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wheel, and in the case of damage, only the damaged band can be replaced and the remaining can be used continuously, thereby reducing the cost.

또한 처음 구입시 여분으로 1~2개를 추가로 구입함으로써 손상된 것과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You can also purchase an extra one or two for the first purchase and replace it with a damaged one.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용 넌슬립 밴드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5 shows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a non-slip band for a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용 넌슬립 밴드는 상기 넌슬립 패드(110)의 노면측 면에 스파이크 돌기(115)를 더 구비한 것이다.The non-slip band for a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urther provided with a spike protrusion 115 on the road surface side surface of the non-slip pad 110.

상기 스파이크 돌기(115)는 넌슬리 패드(110)를 형성하는 재질 자체로 돌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넌슬립 패드(11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금속재질의 인서트물을 인서트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The spike protrusion 115 may protrude from the material itself forming the non-slip pad 110 or may be formed by inserting metal inserts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non-slip pad 110 .

본 실시예는 넌슬립 패드(110)의 노면측 면에 스파이크 돌기(115)를 구비함으로써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차량의 미끄러짐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여타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spike protrusion 115 on the road surface side surface of the non-slip pad 110 so as to more reliably prevent slippage of the vehicle on an eye or an ice pa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part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타이어 11 : 트레드면
12 : 사이드 월 20 : 타이어 휠
21 : 림부 100 : 타이어용 넌슬립 밴드
110 : 넌슬립 패드 115 : 스파이크 돌기
120, 130 : 조임밴드 140, 150 : 보강밴드
160, 170 : 벨크로패스너 180, 190 : 반사지
10: tire 11: tread face
12: Side wall 20: Tire wheel
21: Rim part 100: Non-slip band for tire
110: Non slip pad 115: Spike projection
120, 130: tightening band 140, 150: reinforcing band
160, 170: Velcro fastener 180, 190:

Claims (3)

합성수지에 의하여 외곽틀부와 상기 외곽틀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격자부로 구성되며 타이어의 트레드면 및 트레드면과 사이드 월 사이의 경계부에 걸쳐서 밀착되는 넌슬립 패드와;
상기 넌슬립 패드의 양단에 결합되며 타이어의 사이드 월과 타이어 휠의 림부 내주면에 밀착되는 좌우측 조임밴드; 및
상기 좌우측 조임밴드에 부착되는 벨크로패스너;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임밴드는
상기 넌슬립 패드의 전후방향 폭보다 좁은 조임밴드부와, 상기 넌슬립 패드의 전후방향 폭과 동일한 전후방향 폭을 가지며 상기 넌슬립 패드에 결합되는 내측 단부와 상기 조임밴드부의 전후방향 폭과 동일한 전후방향 폭을 가지며 상기 조임밴드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외측 단부를 가지는 결합부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반사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넌슬립 패드의 좌우 양단부에는 상기 조임밴드의 내측 단부를 재봉함에 있어서 재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재봉홈이 형성되고,
상기 넌슬립 패드의 차륜측 면에 결합되는 보강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임밴드를 상기 넌슬립 패드의 전후방향 폭보다 좁은 조임밴드부와, 상기 넌슬립 패드의 전후방향 폭과 동일한 전후방향 폭을 가지며 상기 넌슬립 패드에 결합되는 내측 단부와 상기 조임밴드부의 전후방향 폭과 동일한 전후방향 폭을 가지며 상기 조임밴드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외측 단부를 가지는 결합부로 구성되고,
상기 조임밴드의 바깥쪽 단부에 결합되는 당김손잡이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용 넌슬립 밴드.
















A non-slip pad formed by a synthetic resin and a lattice portion formed inside the outer frame portion, the non-slip pad being in close contact with a tread surface of the tire and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tread surface and the sidewall;
Left and right tightening bands joined to both ends of the non-slip pad and closely contacting the side wall of the tire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im of the tire wheel; And
A Velcro fastener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tightening bands; And,
The fastening band
A width of the non-slip pad is smaller than a width of the non-slip pa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on-slip pad; an inner end of the non-slip pad having a longitudinal width equal to the width of the non-slip pa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engaging portion having a width and an outer e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tightening band portion,
And a reflection sheet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unit,
A sewing groove is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non-slip pad for sewing the inner end of the fastening band,
Further comprising a reinforcing band coupled to the wheel side surface of the non-slip pad,
Wherein the fastening band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non-slip pad in the forward / backward direction of the non-slip pad, the width of the fastening band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non-slip pa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engaging portion having an outer end portion integrally formed with the tightening band portion,
And a pull handle coupled to the outer end of the fastening ban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172738A 2015-12-04 2015-12-04 Nonslip band for tire Expired - Fee Related KR1017522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738A KR101752248B1 (en) 2015-12-04 2015-12-04 Nonslip band for t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738A KR101752248B1 (en) 2015-12-04 2015-12-04 Nonslip band for t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116A KR20170066116A (en) 2017-06-14
KR101752248B1 true KR101752248B1 (en) 2017-06-29

Family

ID=59218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2738A Expired - Fee Related KR101752248B1 (en) 2015-12-04 2015-12-04 Nonslip band for t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224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0155A (en) * 2005-04-11 2006-10-26 Mitsuru Tanaka Non-skid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0155A (en) * 2005-04-11 2006-10-26 Mitsuru Tanaka Non-ski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116A (en) 201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51194A (en) Anti-skid device
EP1380498B1 (en) Flexible endless track for vehicle
US4836258A (en) Attachment apparatus for a tire mat
KR101752248B1 (en) Nonslip band for tire
US4749015A (en) Non-skid device for tires
US2428680A (en) Traction supply device
KR101221027B1 (en) Non-slip cover for tire
JP6956345B2 (en) Components for tires
KR101462787B1 (en) Car snow chain engagement and detachable
JP2743969B2 (en) Anti-slip device for double wheels
KR20140000975U (en) Tire snowy cover for preventing a slip on snow road
KR20100112912A (en) Dual tires driving assistant apparatus for sandy or muddy road
KR200474032Y1 (en) A snow chain of automobile
KR100648250B1 (en) nonskid apparatus for tire
KR200426951Y1 (en) Winter skidding device for automobile
KR100534006B1 (en) Device of combination Snow chain for automobile
KR200323574Y1 (en) nonskid apparatus for tire
KR20150025113A (en) Snow chain
KR101582052B1 (en) Non-skid chain for motorcycle
KR200358911Y1 (en) Snow chain for dual tire of moter vehicle
US20040144465A1 (en) Vehicle extrication device
KR100350240B1 (en) Apparatus For Preventionning Sliding Of Vehicle
RU2312028C2 (en) All-terrain device for vehicle wheels
KR101778262B1 (en) Snow tire cover
KR101081049B1 (en) Snow chain device for truck with double wheel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6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