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948B1 - Trip button of circuit breaker - Google Patents
Trip button of circuit break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1948B1 KR101751948B1 KR1020150062703A KR20150062703A KR101751948B1 KR 101751948 B1 KR101751948 B1 KR 101751948B1 KR 1020150062703 A KR1020150062703 A KR 1020150062703A KR 20150062703 A KR20150062703 A KR 20150062703A KR 101751948 B1 KR101751948 B1 KR 1017519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ip
- button
- circuit breaker
- button member
- movable contac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8—Manual release or trip mechanisms, e.g. for test purpos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8—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push-button, pull-knob, or slid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 H01H83/04—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with testing means for indicating the ability of the switch or relay to function properly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회로차단기의 트립버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트립버튼은 회로차단기의 지지판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는 버튼부재; 상기 지지판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회로차단기의 가동접촉자와 연계되는 트립작동축; 및 상기 버튼부재의 선회에 의해서 상기 트립작동축이 회전되나 상기 버튼부재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버튼부재와 트립작동축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로드; 를 포함할 수 있다.Start the trip button on the circuit breaker.
The trip button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tton member pivotally mounted on a support plate of the circuit breaker; A trip operation shaft rotatably provided on the support plate and associated with the movable contact of the circuit breaker; And a buffer rod provided between the button member and the trip operation axis so that the trip operation shaft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button member but no impact is transmitted to the button member; . ≪ / RTI >
Description
본 발명은 회로차단기의 가동접촉자가 고정접촉자로부터 분리된 트립위치로 이동되도록 사용자가 조작하는 트립버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하는 버튼부재와, 가동접촉자와 연계되는 트립작동축 사이에 완충로드가 구비되도록 하여 버튼부재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회로차단기의 트립버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ip button operated by a user to move a movable contact of a circuit breaker to a trip position separated from a fixed contact,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ip button operated by an external force of a user, And a shock absorber is provided between the shafts so as not to transmit an impact to the button member.
회로차단기는 전기회로에 이상전류의 발생시 회로를 차단하는 장치이다.A circuit breaker is a device that cuts off the circuit when an abnormal current is generated in an electric circuit.
이러한 회로차단기로 비교적 고전압의 전류가 흐르는 전기회로에 연결되어 회로를 차단하는 진공차단기와 비교적 중,저전압의 전류가 흐르는 전기회로에 연결되어 회로를 차단하는 기중차단기가 있다.Such a circuit breaker includes a vacuum circuit breaker which is connected to an electric circuit through which a relatively high voltage current flows, and an air circuit breaker which is connected to an electric circuit through which a relatively low and medium voltage current flows.
회로차단기에는 이동가능한 가동접촉자와 고정된 고정접촉자가 구비된다. 그리고, 평상시에는 가동접촉자가 고정접촉자에 접촉되도록 하나, 이상전류 발생시에는 가동접촉자가 고정접촉자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즉, 평상시에 가동접촉자는 고정접촉자에 접촉된 투입위치에 있으나 이상 전류 발생시에 가동접촉자는 고정접촉자로부터 분리된 트립위치로 이동하게 된다.The circuit breaker is provided with movable movable contacts and fixed contacts. Then, the movable contact is normal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tationary contactor, but when the abnormal current is generated, the movable contact is separated from the stationary contactor. Namely, the movable contact is normally in the closing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but when the abnormal current is generated, the movable contact is moved to the trip position separated from the fixed contact.
한편, 회로차단기의 수리 등을 위해서 가동접촉자를 고정접촉자로부터 분리해야만 하는 경우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repair the circuit breaker or the like, the movable contactor may have to be separated from the stationary contactor.
이러한 경우에는 수동으로 가동접촉자가 고정접촉자로부터 분리되도록, 즉 트립위치에 있도록 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 종래 회로차단기는 사용자가 버튼부재에 외력을 작용하는 것으로, 가동접촉자가 트립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하였다.In this case, the movable contactor must be manually disconnected from the stationary contact, that is, in the trip position. To this end, the conventional circuit break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user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the button member, and the movable contactor is moved to the trip position.
그러나, 종래 이러한 구성에서는 버튼부재에 충격이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버튼부재가 자주 파손되었다. 이와 같이, 버튼부재가 파손되면, 수동으로 가동접촉자를 트립위치로 이동시키지 못하였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structure, the impact is transmitted to the button member, so that the button member frequently break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utton member is broken, the movable contactor can not be manually moved to the trip posi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realized by recognizing at least any one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needs or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회로차단기의 가동접촉자가 고정접촉자로부터 분리된 트립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버튼부재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One aspect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an impact from being transmitted to a button member that causes the movable contact of the circuit breaker to be moved to the trip position separated from the fixed contact.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회로차단기의 가동접촉자가 고정접촉자로부터 분리된 트립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버튼부재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breakage of the button member for moving the movable contact of the circuit breaker to the trip position separated from the fixed contact.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회로차단기의 트립버튼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The trip button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or realizing at least one of the above problems may include the following features.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트립버튼은 회로차단기의 지지판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는 버튼부재; 지지판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회로차단기의 가동접촉자와 연계되는 트립작동축; 및 버튼부재의 선회에 의해서 트립작동축이 회전되나 버튼부재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버튼부재와 트립작동축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로드; 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ip button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tton member pivotally mounted on a support plate of the circuit breaker; A trip operation shaft rotatably provided on the support plate and associated with the movable contact of the circuit breaker; And a buffering rod provided between the button member and the tripping shaft so that the tripping shaft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buttoning member but no impact is transmitted to the buttoning member; . ≪ / RTI >
이 경우, 상기 완충로드의 일측은 버튼부재에 힌지연결되고 타측은 트립작동축에 구비되는 걸림부재에 걸릴 수 있다.In this case, one side of the cushioning rod may be hinged to the button member and the other side thereof may be caught by a latching member provided on the trip operation shaft.
또한, 상기 완충로드의 타측은 갈고리 형상이며, 걸림부재에는 완충로드의 타측이 걸리는 걸림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The other side of the cushioning rod may have a hook shape, and a latching hole may be formed in the latching member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buffering rod is caught.
그리고, 상기 버튼부재에는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The button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that exerts an elastic force.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토션스프링일 수 있다.Further, the elastic member may be a torsion spring.
그리고, 상기 트립작동축에는 트립래치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A trip latch member may be provided on the trip operation shaft.
또한, 상기 지지판에는 가동접촉자에 트립링크부재에 의해서 연결되는 연결래치부재와 트립래치부재에 연동되는 트립부재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support plate may include a connection latch member connected to the movable contact by a trip link member and a trip member interlocked with the trip latch member.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동접촉자와 연계되는 트립작동축과 버튼부재 사이에 완충로드가 구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ffer rod can be provided between the trip operation shaft and the button member associated with the movable contac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차단기의 가동접촉자가 고정접촉자로부터 분리된 트립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버튼부재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act may not be transmitted to the button member that causes the movable contact of the circuit breaker to be moved to the trip position separated from the fixed contact.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차단기의 가동접촉자가 고정접촉자로부터 분리된 트립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버튼부재가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 member for moving the movable contact of the circuit breaker to the trip position separated from the fixed contact may not be broken.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차단기의 가동접촉자가 고정접촉자로부터 분리된 트립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버튼부재가 파손되어 가동접촉자를 트립위치로 이동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hat the button member for moving the movable contact of the circuit breaker to the trip position separated from the fixed contact is broken, so that the movable contact can not move to the trip position.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트립버튼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측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트립버튼의 일실시예에서 완충로드의 타측이 트립작동축에 구비되는 걸림부재의 걸림구멍에 걸리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3과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트립버튼이 적용된 회로차단기의 가동접촉자가 각각 투입위치와 트립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1과는 다른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5 내지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트립버튼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n enlarged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rip button of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at the other side of the cushioning rod is caught in the latching hole of the latching member provided on the trip operation shaft in the embodiment of the trip button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and 4 are side views of the circuit breaker to which the trip button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respectively,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FIG. 1, in which the movable contacts are in the closing position and the trip position, respectively.
5 to 7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trip button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회로차단기의 트립버튼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trip button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will be described on the basis of embodiments best suited to understand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with other embodiments. 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in th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mong the constituent elements which perform the same function in each embodiment, the related constituent elements are indicated by the same or an extension line number.
이하, 도1 내지 도7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트립버튼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trip button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FIG.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트립버튼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측면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트립버튼의 일실시예에서 완충로드의 타측이 트립작동축에 구비되는 걸림부재의 걸림구멍에 걸리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3과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트립버튼이 적용된 회로차단기의 가동접촉자가 각각 투입위치와 트립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1과는 다른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FIG. 1 is an enlarged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rip button of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the trip button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nd Fig. 4 are views showing how the movable contacts of the circuit breaker to which the trip button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re respectively in the closing position and the trip position And Fig.
또한, 도5 내지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트립버튼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 to 7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trip button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트립버튼의 일실시예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재(200), 트립작동축(300) 및, 완충로드(400)를 포함할 수 있다.
One embodiment of the trip button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버튼부재(200)는 회로차단기(CB)의 지지판(PL)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버튼부재(200)가 지지판(PL)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버튼부재(200)에 형성된 선회축(도시되지 않음)이 지지판(PL)에 형성된 선회구멍(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어 선회가능하게 구비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The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재(200)에는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2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재(200)가 사용자에 의한 외력에 의해서 일방향, 예컨대 반시계방향으로 선회된다고 하더라도,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210)의 탄성력에 의해서 타방향,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선회되어 제자리로 되돌아갈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버튼부재(200)에 구비되는 탄성부재(21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일 수 있다. 그러나, 탄성부재(21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버튼부재(200)에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탄성부재(210)라도 가능하다.
The
트립작동축(300)은 지지판(PL)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트립작동축(300)은 회로차단기(CB)의 가동접촉자(MC)와 연계될 수 있다.The
이에 따라,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재(200)가 사용자에 의한 외력에 의해서 선회됨에 따라, 후술할 완충로드(400)에 의해서 트립작동축(300)이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가동접촉자(MC)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접촉자(FC)에 접촉되는 투입위치에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접촉자(FC)로부터 분리되는 트립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S. 5 and 6, as the
이를 위해서, 트립작동축(300)에는 트립래치부재(TRL)가 구비될 수 있다. 트립래치부재(TRL)는 도1에 도시된 방향에서 지지판(PL) 넘어에 있는 트립착동축(300)의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트립래치부재(TRL)의 트립작동축(300)의 구비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위치에도 구비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또한, 지지판(PL)에는 가동접촉자(MC)에 트립링크부재(L1,L2,L3,L4,L5)에 의해서 연결되는 연결래치부재(CL)와 전술한 트립래치부재(TRL)에 연동되는 트립부재(TU)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supporting plate PL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latch member CL connected to the movable contact MC by the trip link members L1, L2, L3, L4 and L5 and a trip latch member TRL interlocked with the above- The member TU can be rotatably provided.
트립링크부재(L1,L2,L3,L4,L5)와 연결래치부재(CL)는 도1에 도시된 방향의 지지판(PL)의 일면이 아닌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PL)의 타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트립링크부재(L1,L2,L3,L4,L5)와 연결래치부재(CL)의 구비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trip link members L1, L2, L3, L4 and L5 and the connecting latch member CL are not on one side of the supporting plate PL in the direction shown in FIG. 1 but on the supporting plate PL As shown in FIG. However, the position of the trip link members L1, L2, L3, L4, L5 and the connecting latch member C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사용자의 외력에 의한 버튼부재(200)의 선회에 의해서 완충로드(400)를 통해 트립작동축(300)이 회전하면, 트립부재(TU)의 회전을 방해하던 트립래치부재(TRL)가 회전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그리고, 이러한 트립래치부재(TRL)의 회전에 의해서 연결래치부재(CL)의 회전을 방해하던 트립부재(TU)이 회전하고, 이러한 트립부재(TU)의 회전과 이에 따른 트립링크부재(L1,L2,L3,L4,L5)의 선회에 의해서, 가동접촉자(MC)가 도3에 도시된 투입위치에서 도4에 도시된 트립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This trip latch member TRL rotates the trip member TU that interferes with the rotation of the connecting latch member CL and the rotation of the trip member TU causes the trip link members L1, L2, L3, L4, L5, the movable contact MC can be moved from the closing position shown in Fig. 3 to the trip position shown in Fig.
그러나, 트립작동축(300)이 회로차단기(CB)의 가동접촉자(MC)에 연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트립작동축(300)의 회전에 의해서 가동접촉자(MC)가 투입위치에서 트립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However,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완충로드(400)는 버튼부재(200)의 선회에 의해서 트립작동축(300)이 회전되나 버튼부재(200)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버튼부재(200)와 트립작동축(3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The
따라서, 사용자의 외력에 의한 버튼부재(200)의 선회에 의해서 투입착동축(300)이 회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가동접촉자(MC)가 투입위치에서 트립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면서도, 버튼부재(200)로 충격이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Thus, while the input /
이에 의해서, 버튼부재(200)가 충격에 의해서 파손되지 않을 수 있어서, 버튼부재(200)를 장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고, 버튼부재(200)의 파손에 의해서 가동접촉자(MC)를 트립위치로 이동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거나 드물게 발생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이를 위해서, 완충로드(400)의 일측은 버튼부재(200)에 힌지연결되고 완충로드(400)의 타측은 트립작동축(300)에 구비되는 걸림부재(310)에 걸릴 수 있다.One side of the
완충로드(400)의 일측은, 예컨대 버튼부재(200)에 형성된 힌지구멍(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어 버튼부재(200)에 힌지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완충로드(400)의 일측이 버튼부재(200)에 힌지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One side of the
또한, 완충로드(400)의 타측은 갈고리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트립작동축(300)에 구비된 전술한 걸림부재(310)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구멍(3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갈고리 형상의 완충로드(400)의 타측이 걸림구멍(311)에 삽입되어 걸릴 수 있다.The other side of the
따라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외력에 의해서 버튼부재(200)가 선회하면, 완충로드(400)의 갈고리 형상의 타측이 걸림부재(310)를 통해 트립작동축(300)이 회전되도록 할 수는 있다.6, when the
그러나, 완충로드(400)의 타측은 걸림부재(310)에 연결되어 구속되지 않고, 단지 걸림부재(310)의 걸림구멍(311)에 걸려 있기만 하기 때문에, 충격이 완충로드(400)를 통해 버튼부재(200)에는 전달되지 않게 된다.
However, since the other side of th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트립버튼을 사용하면, 가동접촉자와 연계되는 트립작동축과 버튼부재 사이에 완충로드가 구비될 수 있으며, 회로차단기의 가동접촉자가 고정접촉자로부터 분리된 트립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버튼부재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을 수 있고, 회로차단기의 가동접촉자가 고정접촉자로부터 분리된 트립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버튼부재가 파손되지 않을 수 있으며, 회로차단기의 가동접촉자가 고정접촉자로부터 분리된 트립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버튼부재가 파손되어 가동접촉자를 트립위치로 이동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rip button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 cushioning rod can be provided between the trip operation shaft and the button member associated with the movable contactor, and when the movable contact of the circuit breaker is tripped An impact may not be transmitted to the button member to be moved to the position and the button member for moving the movable contact of the circuit breaker to the trip position separated from the fixed contact may not be broken, It is possible that the button member for moving to the trip position separated from the break position is broken and the movable contact can not be moved to the trip position.
상기와 같이 설명된 회로차단기의 트립버튼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trip button of the circuit breaker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a limited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It is possible.
100 : 회로차단기의 트립버튼 200 : 버튼부재
210 : 탄성부재 300 : 트립작동축
310 : 걸림부재 311 : 걸림구멍
400 : 완충로드 CB : 회로차단기
PL : 지지판 MC : 가동접촉자
FC : 고정접촉자 TRL : 트립래치부재
TU : 트립부재 CL : 연결래치부재
L1, L2, L3, L4, L5 : 트립링크부재100: Trip button of circuit breaker 200: Button member
210: elastic member 300: trip operation shaft
310: engaging member 311: engaging hole
400: buffer load CB: circuit breaker
PL: support plate MC: movable contact
FC: fixed contact TRL: trip latch member
TU: trip member CL: connecting latch member
L1, L2, L3, L4, L5:
Claims (7)
상기 지지판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회로차단기의 가동접촉자와 연계되는 트립작동축; 및
상기 버튼부재의 선회에 의해서 상기 트립작동축이 회전되나 상기 버튼부재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버튼부재와 트립작동축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로드; 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로드의 일측은 상기 버튼부재에 힌지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트립작동축에 구비되는 걸림부재에 걸리고,
상기 완충로드의 타측은 갈고리 형상이며, 상기 걸림부재에는 상기 완충로드의 타측이 걸리는 걸림구멍이 형성되는 회로차단기의 트립버튼.
A button member rotatably provided on a support plate of the circuit breaker;
A trip operation shaft rotatably provided on the support plate and associated with the movable contact of the circuit breaker; And
A buffer rod provided between the button member and the trip operation axis so that the trip operation shaft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button member but no impact is transmitted to the button member; / RTI >
One side of the cushioning rod is hinged to the button member and the other side is engaged to a locking member provided on the tripping shaft,
Wherein the other side of the cushioning rod is in the form of a hook, and the latching member is formed with a latching hole for latching the other side of the cushioning rod.
The trip button of claim 1, wherein the button member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he trip button of claim 4,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a torsion spring.
The trip button of claim 1, wherein the trip operation shaft is provided with a trip latch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2703A KR101751948B1 (en) | 2015-05-04 | 2015-05-04 | Trip button of circuit break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2703A KR101751948B1 (en) | 2015-05-04 | 2015-05-04 | Trip button of circuit break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0917A KR20160130917A (en) | 2016-11-15 |
KR101751948B1 true KR101751948B1 (en) | 2017-06-29 |
Family
ID=57525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62703A Active KR101751948B1 (en) | 2015-05-04 | 2015-05-04 | Trip button of circuit break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194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3105565B1 (en) * | 2019-12-23 | 2022-01-14 | Schneider Electric Ind Sas | Electric current cut-off de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1535Y1 (en) * | 2005-12-30 | 2006-03-15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Vacuum circuit breaker |
-
2015
- 2015-05-04 KR KR1020150062703A patent/KR10175194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1535Y1 (en) * | 2005-12-30 | 2006-03-15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Vacuum circuit break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0917A (en) | 2016-1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82398B1 (en) | Circuit breakers with automatic release link mechanisms and automatic release link mechanisms used therein | |
US9406470B2 (en) | Tri-stable flexure mechanism | |
US8053695B2 (en) | Time delay output apparatus for circuit breaker | |
US2351826A (en) | Switch construction | |
US10395872B2 (en) | Movable contact assembly for circuit breaker | |
KR101751948B1 (en) | Trip button of circuit breaker | |
JP4960072B2 (en) | Circuit breaker | |
EP2874172B1 (en) | Circuit breaker with input load increasing means | |
US2549441A (en) | Electric switch operator | |
KR101948454B1 (en) | Circuit breaker | |
US3158716A (en) | Electric circuit breaker | |
KR101098227B1 (en) | Wiring breaker with quick reverse mechanism | |
EP2983192B1 (en) | Trip bar stop | |
KR102392161B1 (en) | Switching mechanism for circuit breake | |
US9362076B2 (en) | Trip device of molded case circuit breaker using a stair type hanger | |
US20180158638A1 (en) | Circuit Breaker | |
CN202058668U (en) | Selective circuit protection switch | |
US11195681B2 (en) | Circuit breaker with addable tripped indicator | |
EP2947672A1 (en) | Protective circuit breaker with toggle trip mechanism | |
US2255300A (en) | Fuse construction | |
KR20160134936A (en) | Trip operating structrure of circuit breaker | |
US2917608A (en) | Switch construction | |
KR20140003741U (en) | Opening apparatus of circuit break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704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6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