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522B1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binder for cok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binder for cok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1522B1 KR101751522B1 KR1020150127866A KR20150127866A KR101751522B1 KR 101751522 B1 KR101751522 B1 KR 101751522B1 KR 1020150127866 A KR1020150127866 A KR 1020150127866A KR 20150127866 A KR20150127866 A KR 20150127866A KR 101751522 B1 KR101751522 B1 KR 1017515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actor
- coal
- slurry
- additive
- separa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6
- 239000000571 coke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42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title 1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3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9000003250 coal slurr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11344 liquid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4508 fractional disti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194 fractio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343 solid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9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8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3949 liquefied natural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2263 liquid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939 c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077 lign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9257 re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802 bituminous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265 solid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215 Carbon black (E15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737 fuel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476 subbituminous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21 disti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65 homogen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984 hydroge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386 optimize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12 waste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7/00—Other carbonising or coking processes; Features of destructive distillation processes in general
- C10B57/04—Other carbonising or coking processes; Features of destructive distillation processes in general using charges of special composition
- C10B57/06—Other carbonising or coking processes; Features of destructive distillation processes in general using charges of special composition containing additi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7/00—Other carbonising or coking processes; Features of destructive distillation processes in general
- C10B57/04—Other carbonising or coking processes; Features of destructive distillation processes in general using charges of special composi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7/00—Other carbonising or coking processes; Features of destructive distillation processes in general
- C10B57/08—Non-mechanical pretreatment of the charge, e.g. desulfuriz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Abstract
코크스용 첨가제 추출에 최적화되어, 첨가제를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석탄을 용매에 분산시켜 슬러리화하는 석탄 전처리 공정; 석탄 슬러리와 크래킹 가스를 반응하여 석탄 슬러리를 액화하는 석탄 액화 공정; 석탄 액화 공정시 크랙킹 가스로 COG 및/또는 LNG를 공급하는 공정; 액화 생성물로부터 첨가제를 분리하는 분리공정; 및 분리 공정에서 얻어진 액상의 오일을 상기 석탄 전처리 공정으로 공급하여 용매로 사용하는 재순환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석탄 액화 공정은 제1 반응기를 거쳐 석탄슬러리를 연화시키는 제1 공정 및 제1 공정에 연속하여 제2 반응기를 거쳐 석탄슬러리를 실질적으로 크랙킹하는 제2 공정을 포함하는 코크스용 첨가제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A coal pretreatment step which is optimized for extracting additive for coke and which slurries coal by dispersing it in a solvent so that additives can be easily and effectively produced; A coal liquefaction process for liquefying coal slurry by reacting coal slurry with cracking gas; A step of supplying COG and / or LNG with a cracking gas during a coal liquefaction process; A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additive from the liquefied product; And a recycling step of supplying the liquid oil obtained in the separation step to the coal pretreatment step and using the oil as a solvent, wherein the coal liquefaction process comprises a first step of softening the coal slurry through the first reactor, And a second step of substantially cracking the coal slurry via the second reactor.
Description
코크스 강도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코크스용 첨가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를 개시한다.A manufacturing method and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additive for coke used for improving coke strength are disclosed.
일반적으로, 코크스는 원료탄(coking coal)을 사용하여 코크스 제조 공정을 통해 제조한다. 코크스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원료탄은 점결성의 정도에 따라 강점탄과 미점탄으로 분류된다. 대형 고로의 안정적인 조업을 위해서는 고강도 코크스의 사용이 요구된다. 고강도의 코크스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점결성이 우수한 강점탄을 사용하거나, 미점탄에 비해 강점탄을 대량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그 동안 코크스의 제조에 있어서 고품위이고 고가인 강점탄이 대량으로 사용되었다.Generally, coke is produced through a coke making process using coking coal. The coking coal used to manufacture the coke is classified as hard-boiled and un-boil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cohesion. For stable operation of large blast furnaces, the use of high-strength coke is required. In order to produce a high-strength coke, it is advantageous to use strong coals having excellent cohesiveness or to use a large amount of coals compared to uncoated coals. In the meantime, a large amount of high-priced, high-priced strong coals has been used in the production of coke.
하지만, 세계적인 야금용 점결탄 수요의 급격한 증가와 강점탄의 제한된 매장량으로 인해, 강점탄의 확보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가격이 급등되는 문제가 발생 되었다. 따라서, 저품위이고 저가인 아역청탄 또는 갈탄 등의 비점결탄을 원료탄으로 사용하면서 고강도의 코크스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However,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demand for coking coal for metallurgical use globally and the limited reserves of hard-boiled coals, it has become increasingly difficult to secure strong coals, which has led to a surge in prices. Accordingly, the development of a technique for manufacturing high-strength coke while using low-cost and low-cost coking coal such as bituminous coal or lignite as coking coal is actively under way.
예를 들어, 저품위의 원료탄을 고온 고압 조건에서 고가의 초임계용매에 녹여 점결물질을 추출하는 용매출방식을 통해 코크스 제조용 품질 개선제를 제조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For example, a technique has been developed for producing a quality improving agent for coke production through a sales method in which a low-grade raw material is dissolved in an expensive supercritical solvent under a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condition to extract a cohesive substance.
그러나, 현재는 주로 석탄으로부터 오일의 생산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첨가제 추출을 위한 최적화된 공정이 전무한 실정으로, 첨가제를 효과적으로 생산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 또한, 기존 석탄 직접 액화 방식의 공정을 이용함으로써, 잦은 고장과 더불어 새로운 운영 노하우가 요구되어 첨가제 생산에 있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nowadays, the focus is mainly on the production of oil from coal, so there is no optimized process for the extraction of additives, which is insufficient to produce additives effectively.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conomical efficiency in production of additives is inferior due to frequent breakdown and new operating know-how by using existing coal direct liquefaction type process.
코크스용 첨가제 추출에 최적화된 코크스용 첨가제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additive for coke which are optimized for extracting additive for coke.
또한, 첨가제 추출에 최적화된 석탄 액화 공정을 통해 코크스 강도 향상을 위한 첨가제를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된 코크스용 첨가제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additive for coke which is capable of easily and effectively producing an additive for improving coke strength through a coal liquefaction process optimized for additive extraction.
또한, 수소화설비와 같은 대단위 설비의 구축없이 첨가제를 생산할 수 있도록 된 코크스용 첨가제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Further, there is provided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additive for coke which is capable of producing an additive without constructing a large-scale facility such as a hydrogenation plant.
또한, 제조 공정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도록 된 코크스용 첨가제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Further,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dditive for coke that can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are provided.
또한, 저품위탄을 이용하여 코크스용 첨가제를 제조할 수 있도록 된 코크스용 첨가제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dditive for coke and an apparatus for producing the additive for coke using low-grade carbon.
본 구현예의 첨가제 제조 방법은, 석탄을 용매에 분산시켜 슬러리화하는 석탄 전처리 공정; 석탄 슬러리와 크래킹 가스를 반응하여 석탄 슬러리를 액화하는 석탄 액화 공정; 석탄 액화 공정시 크랙킹 가스로 COG 및/또는 LNG를 공급하는 공정; 액화 생성물로부터 첨가제를 분리하는 분리공정; 및 분리 공정에서 얻어진 액상의 오일을 상기 석탄 전처리 공정으로 공급하여 용매로 사용하는 재순환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석탄 액화 공정은 제1 반응기를 거쳐 석탄슬러리를 연화시키는 제1 공정 및 제1 공정에 연속하여 제2 반응기를 거쳐 석탄슬러리를 실질적으로 크랙킹하는 제2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additive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coal pretreatment step of dispersing coal into a slurry by dispersing it in a solvent; A coal liquefaction process for liquefying coal slurry by reacting coal slurry with cracking gas; A step of supplying COG and / or LNG with a cracking gas during a coal liquefaction process; A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additive from the liquefied product; And a recycling step of supplying the liquid oil obtained in the separation step to the coal pretreatment step and using the oil as a solvent, wherein the coal liquefaction process comprises a first step of softening the coal slurry through the first reactor, And a second step of substantially cracking the coal slurry via the second reactor.
상기 석탄 액화 공정은 제1 반응기로 유동층 반응기가 사용되고 제2 반응기로 슬러리 반응기가 사용되어, 석탄 슬러리가 유동층 반응기와 슬러리 반응기를 차례로 거쳐 제1 공정과 제2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In the coal liquefaction process, a fluidized bed reactor may be used as the first reactor and a slurry reactor may be used as the second reactor, and the coal slurry may be subjected to the first process and the second process sequentially through the fluidized bed reactor and the slurry reactor.
상기 석탄 액화 공정은 제1 반응기와 제2 반응기로 유동층 반응기가 사용되어, 석탄슬러리가 복수개의 유동층 반응기를 차례로 거치면서 제1 공정과 제2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In the coal liquefaction process, a fluidized bed reactor may be used as the first reactor and the second reactor, and the first and second processes may be performed while the coal slurry is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plurality of fluidized bed reactors.
상기 석탄 액화 공정은 제1 반응기와 제2 반응기로 슬러리 반응기가 사용되어, 석탄슬러리가 복수개의 슬러리 반응기를 차례로 거치면서 제1 공정과 제2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In the coal liquefaction process, a slurry reactor may be used as the first reactor and the second reactor, and the first and second processes may be performed while the coal slurry is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plurality of slurry reactors.
상기 석탄 전처리 공정 진행 시 분산형 철촉매를 투입하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adding a dispersed iron catalyst when the coal pre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상기 석탄 전처리 공정은 석탄을 분쇄하는 단계와, 분쇄된 석탄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al pretreatment step may further include pulverizing coal and drying the pulverized coal.
상기 석탄은 갈탄 또는 아역청탄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al may comprise lignite or sub-bituminous coal.
상기 석탄 분쇄 단계에서 석탄은 60메쉬(mesh) 이하의 크기로 분쇄될 수 있다.In the coal pulverization step, the coal may be pulverized to a size of 60 mesh or less.
상기 석탄 건조 단계는 석탄의 수분 함량이 10wt% 이하가 되도록 건조하는 구조일 수 있다.The step of drying the coal may include drying the coal so that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oal is 10 wt% or less.
상기 석탄 전처리 공정은 용매에 대해 건조된 석탄을 중량비로 1/1 내지 1/4로 혼합하여 슬러리화하는 구조일 수 있다.The coal pretreatment may be performed by mixing the dried coal with the solvent at a weight ratio of 1/1 to 1/4 to form a slurry.
상기 분산형 철촉매는 Fe2O3 일 수 있다.The dispersed iron catalyst may be Fe 2 O 3 .
상기 분산형 철촉매는 석탄 100중량부에 대해 0.5 내지 3.0 중량부로 투입될 수 있다.The dispersed iron catalyst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0.5 to 3.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coal.
상기 석탄 액화 공정은 350 내지 450℃의 온도와, 30 내지 120bar의 압력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al liquefaction process may be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350 to 450 DEG C and a pressure of 30 to 120 bar.
상기 석탄 액화 공정은 크래킹 가스를 400 내지 600℃로 가열하여 공급할 수 있다.The coal liquefac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by heating the cracking gas at 400 to 600 ° C.
상기 분리공정은 액화 생성물에서 기체 성분을 분리하는 세퍼레이팅(separating) 단계, 액상 물질과 고상 물질을 분리하는 여과 단계, 및 여과 단계에서 분리된 액상 물질을 증류하여 첨가제를 분리하는 분별증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순환 공정은 상기 분별증류단계에서 첨가제와 분리된 오일을 상기 석탄 전처리 공정으로 공급하는 구조일 수 있다.The separation step includes a separating step of separating the gas component from the liquefied product, a filt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liquid material and the solid matter, and a fractionation step of distilling the liquid material separated in the filtration step to separate the additive And the recycle process may be such that the oil separated from the additive in the fractional distillation step is supplied to the coal pretreatment process.
상기 여과 단계는 120 내지 40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The filtration step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120 to 400 ° C.
상기 분별증류단계는 350 내지 45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The fractionation step may be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from 350 to 450 < 0 > C.
본 구현예의 제조 장치는 전처리된 석탄과 용매를 혼합하여 슬러리화하는 믹싱드럼, 상기 믹싱드럼을 거친 석탄 슬러리를 액화하는 반응기, 상기 반응기로 크랙킹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 상기 반응기로부터 생성된 액화 생성물에서 첨가제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부, 및 상기 분리부와 상기 믹싱드럼 사이에 연결되어 분리부에서 분리된 오일을 믹싱드럼에 용매로 공급하는 공급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반응기는 석탄슬러리를 1차로 연화시키는 제1 반응기, 상기 제1 반응기 후단에 연결되어 제1 반응기를 거친 석탄슬러리를 실질적으로 크랙킹하는 제2 반응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mixing drum for mixing a pretreated coal and a solvent into a slurry, a reactor for liquefying the coal slurry through the mixing drum, a gas supply unit for supplying a cracking gas to the reactor, a liquefied product And a supply line connected between the separating unit and the mixing drum to supply the oil separated in the separating unit to the mixing drum as a solvent, wherein the reactor softens the coal slurry primarily And a second reactor connected to a downstream end of the first reactor to substantially crack the coal slurry passing through the first reactor.
상기 제1 반응기는 유동층 반응기이고, 상기 제2 반응기는 슬러리 반응기일 수 있다.The first reactor may be a fluidized bed reactor and the second reactor may be a slurry reactor.
상기 제1 반응기와 상기 제2 반응기는 유동층 반응기일 수 있다.The first reactor and the second reactor may be fluidized bed reactors.
상기 제1 반응기와 상기 제2 반응기는 슬러리 반응기일 수 있다.The first reactor and the second reactor may be slurry reactors.
상기 제조장치는 상기 믹싱드럼으로 분산촉매를 공급하는 촉매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oduc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atalyst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dispersion catalyst to the mixing drum.
상기 분리부는 액화 공정 생성물에서 기체 성분을 분리하는 세퍼레이터와, 상기 세퍼레이터에 연결되어 액상 물질과 고상 물질을 분리하는 필터장치, 및 상기 필터장치에서 분리된 액상 물질을 증류하여 첨가제를 분리하며 상기 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믹싱드럼에 연결되어 첨가제와 분리된 오일을 믹싱드럼으로 공급하는 증류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parator includes a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gas component from the liquefaction process product, a filter device connected to the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liquid material and the solid material, and a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additive from the liquid material, And a distiller which is connected to the mixing drum through a pipe and supplies the oil separated from the additive to the mixing drum.
상기 제조 장치는 석탄 전처리를 위해 석탄을 분쇄하는 분쇄기와, 분쇄된 석탄을 건조하는 건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nufactur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rusher for crushing coal for pretreatment of coal, and a drier for drying the crushed coal.
상기 촉매공급부는 분산형 철촉매를 공급하는 구조일 수 있다.The catalyst supply unit may be a structure for supplying a dispersed iron catalyst.
상기 가스공급부는 COG 및/또는 LNG를 공급하는 구조일 수 있다.The gas supply unit may be a structure for supplying COG and / or LNG.
이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최적화된 첨가제 제조 공정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 optimized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realized.
또한, 첨가제 제조 공정을 최적화하여 코크스용 첨가제를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additives for coke more economically and efficiently by optimizing an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
또한, 반응기에서의 반응성을 높여 첨가제의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productivity of the additive by increasing the reactivity in the reactor.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용 첨가제 제조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용 첨가제 제조 장치를 반응기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과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반응기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structural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producing additive for cok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 2 is a view showing the reactor construction more specifically of the apparatus for producing additive for cok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and 4 are views showing reactor configuratio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include plural forms as long as the phrases do not expressly express the opposite meaning thereto. Means that a particular feature,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 / or component is specified, and that other specific feature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and / And the lik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용 첨가제 제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Fig. 1 schematically shows the construction of an apparatus for producing additive for cok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조 장치는 전처리된 석탄과 용매를 혼합하여 슬러리화하는 믹싱드럼(10), 상기 믹싱드럼(10)을 거친 석탄 슬러리(slurry)를 액화하는 반응기(30), 상기 반응기(30)로 크랙킹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32), 상기 반응기(30)로부터 생성된 액화 생성물에서 첨가제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부(40), 및 상기 분리부(40)와 상기 믹싱드럼(10) 사이에 연결되어 분리부에서 분리된 오일을 믹싱드럼(10)에 용매로 공급하는 공급라인(50)을 포함한다.1, the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상기 제조장치는 상기 믹싱드럼(10)으로 분산촉매를 공급하는 촉매공급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roduc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또한, 상기 제조장치는 석탄을 전처리하기 위해, 석탄을 분쇄하는 분쇄기(12)와, 분쇄된 석탄을 건조하는 건조기(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본 실시예에서 첨가제 제조를 위한 원료인 석탄은 갈탄이나 아역청탄과 같은 저품위의 비점결탄을 포함할 수 있다. 갈탄이나 아역청탄 등의 저품위탄은 점결성 등의 물성이 낮은 반면 매장량이 풍부하고 저가이므로, 코크스용 첨가제 제조시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raw material for the additive manufacturing coal may include low-grade non-coking coal such as lignite and sub-bituminous coal. Low-grade carbon such as lignite and bituminous coal has low physical properties such as cohesiveness, but it is rich in resources and low in cost, so that it is possible to lower the production cost when manufacturing additive for coke.
상기 믹싱드럼(10)은 전처리된 석탄과 용매를 혼합하여 석탄 슬러리를 형성한다. The mixing
본 실시예에서 상기 믹싱드럼(10)에 투입되는 용매는 상기 분리부(40)를 통해 최종적으로 첨가제를 분리하고 남은 오일을 활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olvent introduced into the
이를 위해, 공급라인(50)이 분리부(40)와 믹싱드럼(10) 사이에 연결되어, 첨가제 분리 후 남은 오일이 공급라인(50)을 통해 믹싱드럼(10)에 용매로 재순환되어 공급된다.To this end, the
이와 같이, 분리부(40)를 거처 분리된 액상의 오일을 바로 믹싱드럼(10)으로 공급하여 용매로 재활용함으로써, 설비를 단순화할 수 있고 공정을 단순화하여 첨가제 생산 원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liquid oil separated through the separating
상기 촉매공급부(20)는 믹싱드럼(10)에 연결되어 분산형 철촉매를 공급한다. 이에, 분산형 철촉매가 믹싱드럼(10) 내에서 석탄 및 용매와 같이 고르게 혼합된다.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산형 철촉매는 Fe2O3 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산형 철촉매를 투입하여 석탄 슬러리에 혼합함으로써, 액화 반응시 반응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에, 액화 반응시 크랙킹 가스로 COG 또는 LNG를 사용하더라도 상기 분산형 철촉매가 반응성을 높여 첨가제 생산을 위한 충분한 반응 효과를 끌어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dispersed iron catalyst may be Fe 2 O 3 . By adding the dispersed iron catalyst to the coal slurry in this way, the reactivity in the liquefaction reaction can be increased. Accordingly, even when COG or LNG is used as the cracking gas in the liquefaction reaction, the dispersed iron catalyst can increase the reactivity and can obtain a sufficient reaction effect for the production of the additive.
믹싱드럼(10)에서 혼합된 석탄 슬러리는 고압펌프에 의해 반응기(30)로 이송된다. 믹싱드럼(10)에서 반응기(30) 사이로 석탄 슬러리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믹싱드럼(10)과 반응기(30) 사이에 설치된 가열부(16)를 통해 석탄 슬러리에 열량을 공급하여 석탄 슬러리를 설정 온도까지 가열한다.The mixed coal slurry in the mixing
상기 반응기(30)는 고온 고압 하에서 석탄 슬러리를 액화시킨다.The reactor (30) liquefies the coal slurry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반응기(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가 공정 상 석탄슬러리의 이동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공정 상 앞쪽에 배치된 반응기는 제1 반응기(34)라 하고, 연속하여 제1 반응기 후단에 배치된 반응기는 제2 반응기(36)로 하며, 반응기(30)는 두 개의 반응기 모두를 지칭한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응기(30)는 제1 반응기(34)가 유동층 반응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반응기(36)가 슬러리 반응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동층 반응기는 EBR(Ebullated Bed Reactor) 또는 FBR(Fluidized Bed Reactor) 반응기를 의미한다. 유동층 반응기는 하부에 석탄슬러리를 반응기 내부에서 재순환시키기 위한 구동펌프가 구비된다. 유동층 반응기로 석탄슬러리가 유입되면서 열적 연화가 되고 점진적으로 크래킹이 발생하여 액화된다. 이때 하부에 설치된 재순환용 구동펌프가 작동되어 내부의 석탄슬러리를 유입량 대비 많은 양으로 재순환시키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반응기 내부의 성분 균질화 및 유입구에서 출구까지의 온도 구배를 5℃이하로 유지할 수 있다. 유동층 반응기에 대해서는 많은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므로 그 상세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As shown in FIG. 2, the
상기 슬러리 반응기는 SBCR(Slurry Bubble Column Reactor) 또는 SPR(Slurry Phase Reactor) 반응기로, 액체 내에 기체 버블(bubble)의 슬러리를 형성하는 반응기를 의미한다. 슬러리 반응기로 석탄슬러리가 유입되면서 열적연화가 되고 상부로 올라가면서 점진적으로 크랙킹이 발생하여 액화된다. 슬러리 반응기는 구조가 단순하며 충분한 높이로 제작하여 하부로부터 상부로 석탄슬러리가 상승하면서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슬러리 반응기 역시 그 구조에 대해 많은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lurry reactor is a Slurry Bubble Column Reactor (SBCR) or a Slurry Phase Reactor (SPR) reactor, and means a reactor for forming a slurry of a gas bubble in a liquid. The coal slurry is introduced into the slurry reactor and thermally softened, and the cracks are progressively cracked as they rise to the upper part and are liquefied. The slurry reactor is simple in structure and has a sufficient height so that the reaction occurs while the coal slurry ris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Since the slurry reactor also has many techniques for its structur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석탄 슬러리가 1차적으로 제1 반응기(34)인 유동층 반응기를 거친 후 2차로 제2 반응기(36)인 슬러리 반응기를 거쳐 액화됨으로써, 크랙킹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coal slurry is primarily liquefied through the slurry reactor, which is the
상기 제1 반응기(34)는 믹싱드럼으로부터 혼합된 석탄 슬러리를 공급받아 반응성을 높일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두고 석탄 슬러리를 연화(thermal process)시킨다. 제1 반응기(34)로 상기 유동층 반응기가 사용되는 경우 충분한 시간 동안 석탄 슬러리를 재순환하면서 연화 공정을 진행하여 석탄 슬러리를 보다 액화되기 쉽도록 한다. The
상기 제2 반응기(36)는 제1 반응기(34)로부터 배출되어 공급된 석탄 슬러리를 실질적으로 크랙킹(cracking)하게 된다. 실질적이라 함은 제1 반응기(34)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제2 반응기(36)에서 주로 크래킹이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제2 반응기(36)로 슬러리 반응기가 사용되는 경우, 반응기 내부에서 상승류만 존재하므로 크래킹 후 하이드로카본(hydrocarbon)이 바로 상부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에, 크래킹으로 분해된 하이드로카본이 다시 고분자 구조물인 석탄으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반응기 내에서 석탄 슬러리가 오랜 시간 체류하면서 크래킹으로 분해된 하이드로카본이 다시 석탄으로 돌아가는 현상이 발생된다.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반응기는 제1 반응기(34)와 제2 반응기(36)를 통해 순차적으로 석탄 슬러리를 액화 반응시킴으로써, 공정 효율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reactor of the present embodiment liquefies the coal slurry sequentially through the
상기한 구조 외에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반응기는 제1 반응기와 제2 반응기가 모두 유동층 반응기로 이루어지거나, 제1 반응기와 제2 반응기가 모두 슬러리 반응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3 and 4, in the reactor of this embodiment, the first reactor and the second reactor are both formed of a fluidized bed reactor, or both the first reactor and the second reactor may be a slurry reactor .
상기 가스공급부(32)는 반응기(30) 일측에 연결되어 반응기(30)로 크랙킹 가스를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스공급부(32)는 크랙킹 가스로 COG(Coke Oven Gas), LNG(Liquefied Natural Gas) 또는 이들의 조합을 공급한다. The
이와 같이, 크랙킹 가스로 COG나 LNG를 이용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장치는 종래 수소 제조설비를 갖출 필요가 없게 된다. 수소제조설비는 알려진 바와 같이 대단히 복잡한 설비로, 건설비용이 전체 설비의 1/4에 달하며 운전비 역시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수소제조설비를 구축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체 공장 규모를 줄이고 첨가제의 생산 원가를 크게 낮출 수 있게 된다.Thus, by using COG or LNG as the cracking gas, the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with a conventional hydrogen production facility. The hydrogen production facility is very complicated as it is known. The construction cost is 1/4 of the total installation cost and the operation cost is also high. Therefore,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construct a hydrogen production facility, the entire plant scale can be reduced and the production cost of the additive can be greatly reduced.
상기 분리부(40)는 액화 생성물에서 기체 성분을 분리하는 세퍼레이터(42)와, 상기 세퍼레이터에 연결되어 액상 물질과 고상 물질을 분리하는 필터장치(44), 및 상기 필터장치에서 분리된 액상 물질을 증류하여 코크스용 첨가제(B)를 분리하는 증류기(46)를 포함한다.The
상기 분리부(40)의 증류기(46)는 공급라인(50)을 통해 상기 믹싱드럼(10)에 연결된다. 이에, 증류기(46)를 거쳐 첨가제와 분리된 오일은 공급라인을 통해 믹싱드럼(10)으로 공급된다. 상기 증류기(46)는 끓는점의 차이를 이용하여 첨가제를 분리시키는 분별 증류기가 사용될 수 있다. The
이와 같이, 본 장치는 분리부(40)를 거쳐 최종적으로 코크스용 첨가제(B)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Thus, the apparatus can finally produce the coke additive (B) through the separator (40).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첨가제 제조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이하 본 실시예는 도 1과 도 2의 실시예로부터 첨가제를 제조하는 과정을 예로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s an example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additive from the embodiment of Figs. 1 and 2. Fig.
첨가제 제조를 위한 공정은, 석탄을 용매에 분산시켜 슬러리화하는 석탄 전처리 공정, 석탄 슬러리와 크래킹 가스를 반응하여 석탄 슬러리를 액화하는 석탄 액화 공정, 석탄 액화 공정시 크랙킹 가스로 COG 및/또는 LNG를 공급하는 공정, 액화 생성물로부터 첨가제를 분리하는 분리공정, 및 분리 공정에서 얻어진 액상의 오일을 상기 석탄 전처리 공정으로 공급하여 용매로 사용하는 재순환 공정을 포함한다.The process for preparing the additive includes a coal pretreatment process in which coal is slurried and dispersed in a solvent, a coal liquefaction process in which a coal slurry is reacted with a cracking gas to liquefy a coal slurry, a COG and / or LNG as a cracking gas in a coal liquefaction process A separating step of separating the additive from the liquefied product, and a recycling step of supplying the liquid oil obtained in the separating step to the coal pretreatment step and using it as a solvent.
또한, 본 실시예의 제조 과정은 석탄 전처리 시 분산형 철촉매를 투입하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charging the dispersed iron catalyst during the coal pretreatment.
석탄 전처리 공정은 첨가제 제조를 위한 원료인 석탄을 전처리하여 준비하는 과정으로, 석탄을 분쇄한 후 분쇄된 석탄을 건조하는 과정을 거친다.The coal pretreatment process is a process of preparing coal as a raw material for the preparation of additives by pulverizing the coal and then drying the pulverized coal.
원료인 석탄은 점결성이 낮거나 없고, 가격이 저렴한 미점탄(또는 저급탄)이며, 갈탄, 아역청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갈탄, 아역청탄 등의 저품위탄은 분쇄기를 통해 분쇄한다. 석탄의 분쇄는 예를 들어, 60메쉬 이하로 크기로 분쇄할 수 있다.Coal as raw material is low tin (or low grade) coal with low or no cohesion and low price, and lignite, bituminous coal can be used. Low-grade coal such as lignite and bituminous coal is crushed through a crusher. The pulverization of the coal can be carried out, for example, to a size of 60 meshes or less.
분쇄된 석탄은 건조 공정을 거쳐 수분을 제거한다. 석탄의 수분은 석탄과 용매와의 혼합을 방해하고 반응기 압력을 불안정하게 만들어 반응 효율을 저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석탄 건조 공정을 통해 석탄은 수분함량이 10wt% 이하가 되도록 건조한다. 석탄의 수분함량이 10wt%를 넘게 되면 상기와 같은 공정 효율 저하 및 추가적인 폐가스 처리공정이 필요하게 된다.The pulverized coal is subjected to a drying process to remove moisture. Moisture of coal interferes with the mixing of coal and solvent and makes reactor pressure unstable, which lowers reaction efficiency. In this embodiment, the coal is dried so as to have a water content of 10 wt% or less through the coal drying process. When the water content of the coal exceeds 10 wt%, the process efficiency is lowered and additional waste gas treatment steps are required.
분쇄 및 건조된 석탄은 용매와 혼합되어 슬러리화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용매에 대해 건조된 석탄은 중량비로 1/1 내지 1/4로 혼합된다.The pulverized and dried coal is mixed with a solvent and slurried. In this embodiment, the coal dried for the solvent is mixed at a weight ratio of 1/1 to 1/4.
용매에 대한 석탄의 비율이 1/1보다 큰 경우에는 용매의 양이 작아 석탄 슬러리가 잘 생성되지 않는다. 이에 반응기에서의 석탄 전환율도 낮아지게 된다. 용매에 대한 석탄의 비율이 1/4보다 낮은 경우에는 용매가 너무 많이 섞여 석탄 슬러리의 점도가 떨어지며, 각 공정에서 처리량이 증대하여 설비의 규모가 증가하게 된다. 이에 장치 비용 및 유틸리티 사용량이 증가하여 비용 문제가 발생된다.When the ratio of coal to the solvent is larger than 1/1, the amount of the solvent is small and the coal slurry is not well formed. Thus, the conversion rate of coal in the reactor is also lowered. When the ratio of coal to solvent is lower than 1/4, the viscosity of the coal slurry is lowered by adding too much solvent, and the throughput is increased in each step, thereby increasing the scale of the equipment. As a result, equipment costs and utility usage are increased, resulting in cost problems.
여기서, 상기 용매는 첨가제 제조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첨가제를 분리하고 남은 오일을 이용할 수 있다. Here, the solvent may be an oil remaining after the additive is finally separated through an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
상기 석탄 전처리 과정에서 분산형 철촉매가 투입될 수 있다.The dispersed iron catalyst may be added during the coal pretreatment.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산형 철촉매는 Fe2O3 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산형 철촉매를 투입하여 석탄 슬러리에 혼합함으로써, 액화 반응시 반응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dispersed iron catalyst may be Fe 2 O 3 . As described above, by adding the dispersed iron catalyst and mixing it with the coal slurry, the reactivity in the liquefaction reaction can be increased.
상기 분산형 철촉매는 석탄 100중량부에 대해 0.5 내지 3.0 중량부로 투입될 수 있다.The dispersed iron catalyst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0.5 to 3.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coal.
상기 분산형 철촉매의 투입이 상기 범위보다 적은 경우에는 촉매로써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으며, 상기 범위를 넘게 되면 재회수가 어렵고 촉매가 너무 많아 안 좋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When the amount of the dispersed iron catalyst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catalyst can not act as a catalyst. If the amount exceeds the above range, it is difficult to regenerate the catalyst and the catalyst is too much.
상기 공정을 거쳐 슬러리화된 석탄은 반응기로 이송되어 석탄 액화 공정을 거친다. 석탄 슬러리는 액화 공정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가열공정을 거쳐 원하는 온도까지 가열된다. The coal slurried through the above process is transferred to the reactor and subjected to a coal liquefaction process. The coal slurry is heated to the desired temperature through the heating process during the transfer to the liquefaction process.
석탄 액화 공정은 상기 전처리 공정에서 충분히 높은 온도로 슬러리화된 석탄을 액화하는 단계이다. 반응기 내에 석탄 슬러리와 크랙킹 가스를 투입하고 설정된 온도와 압력하에서 액화 반응을 진행한다.The coal liquefaction process is a process of liquefying the coal slurried at a sufficiently high temperature in the pretreatment process. The coal slurry and the cracking gas are introduced into the reactor and the liquefaction reaction is carried out under the set temperature and pressur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석탄 액화 공정은 제1 반응기를 거쳐 석탄슬러리를 연화시키는 제1 공정 및 제1 공정에 연속하여 제2 반응기를 거쳐 석탄슬러리를 실질적으로 크랙킹하는 제2 공정을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oal liquefaction process includes a first process for softening the coal slurry via the first reactor and a second process for substantially cracking the coal slurry through the second reactor in succession to the first process.
이에, 상기 석탄 액화 공정에서 석탄 슬러리는 제1 반응기인 유동층 반응기와 제2 반응기인 슬러리 반응기를 차례로 거치면서 액화된다.In the coal liquefaction process, the coal slurry is liquefied by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fluidized bed reactor, which is the first reactor, and the slurry reactor, which is the second reactor.
도 3에 도시된 구조의 경우, 석탄 액화 공정에서 석탄 슬러리가 두 유동층 반응기를 차례로 거치면서 제1 공정과 제2 공정이 수행되며, 도 4에 도시된 구조의 경우, 석탄 슬러리가 두 유동층 반응기를 차례로 거치면서 제1 공정과 제2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 3, in the coal liquefaction process, the first slurry and the second slurry are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two fluidized bed reactors, and in the case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 4, The first process and the second process can be performed while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process.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석탄 액화 공정은 350 내지 450℃의 온도와, 30 내지 120bar의 압력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반응기 내부의 압력은 크랙킹 가스의 공급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al liquefac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350 to 450 DEG C and a pressure of 30 to 120 bar. The pressure inside each reactor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supply flow rate of the cracking gas.
각 반응기 내부가 상기 온도와 압력 범위로 조성됨에 따라, 석탄과 용매가 혼합된 혼합물 즉, 석탄 슬러리에서 액화 반응이 진행된다. 이때, 공급되는 크랙킹 가스는 반응기 내부의 압력 조절뿐만 아니라, 석탄을 구성하는 탄소 원자간의 끊어진 고리를 이어, 액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As the inside of each reactor is formed in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ranges, a liquefaction reaction proceeds in a mixture of coal and a solvent, that is, a coal slurry. At this time, the supplied cracking gas not only regulates the pressure inside the reactor, but also serves to liquefy the broken loop between the carbon atoms constituting the coal.
석탄 액화 공정에서 온도가 350℃보다 낮은 경우에는 석탄이 멜팅(melting)되지 않아 액화공정이 진행되지 않고, 온도가 450℃를 넘게 되면 석탄의 코킹이 일어나서 석탄이 딱딱하게 굳어 반응을 저하시키게 된다. When the temperature is lower than 350 ° C in the coal liquefaction process, the coal is not melted and the liquefaction process does not proceed. When the temperature exceeds 450 ° C, the coal is caulked and the coal hardens and the reaction is lowered.
또한, 석탄 액화 공정에서 반응 압력이 30bar보다 작은 경우에는 반응기 내의 압력이 낮아 석탄으로 수소의 공여가 발생하지 않는 문제가 생긴다. 압력이 120bar를 넘게 되면 석탄으로 수소가 과다하게 공여되어 최종 결과물인 코크스용 첨가제 생산량이 줄게 되며, 오일 등의 원하는 않는 물질의 생산량은 늘게 된다.Also, when the reaction pressure is less than 30 bar in the liquefaction process of coal, the pressure in the reactor is low so that donation of hydrogen to coal does not occur. If the pressure exceeds 120 bar, hydrogen will be excessively supplied to the coal, resulting in a reduction in the final production of coke additive, and an increase in the production of undesirable materials such as oil.
상기 석탄 액화 과정에서 상기 크랙킹 가스로 COG, LNG 또는 이들의 혼합 가스가 공급될 수 있다.In the coal liquefaction process, COG, LNG, or a mixed gas thereof may be supplied as the cracking gas.
반응기 내부로 공정 조건에 따라 COG 또는 LNG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COG와 LNG 모두를 사용하여 반응기 내부에 공급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process conditions, either COG or LNG can be selectively used in the reactor, or both COG and LNG can be used to feed the reactor.
이와 같이, COG나 LNG를 사용함으로써, 석탄 액화 공정에서 액화 오일의 생산량을 줄고 첨가제의 생산량을 늘어나게 된다. Thus, by using COG or LNG, the production amount of liquefied oil is reduced and the amount of additive produced is increased in the coal liquefaction process.
상기 크랙킹 가스는 석탄 액화 반응이 이루어지는 반응기 내부 온도에 맞춰 400 내지 600℃로 가열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에, 크랙킹 가스 투입시 반응기 내부의 온도에 변화가 최소화되어 반응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cracking gas may be supplied by heating at 400 to 600 ° C in accordance with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actor in which the coal liquefaction reaction is performed. Therefore, when the cracking gas is introduced, the change in the temperature inside the reactor is minimized, and the degradation of reactivity can be prevented.
석탄 슬러리는 제1 공정을 통해 보다 액화되기 쉽도록 연화 과정(thermal process)을 거친다. 즉, 석탄 슬러리는 제1 반응기 내에서 충분한 시간과 순환을 통해 연화되어 액화가 이루어진다. 제1 공정을 거친 석탄 슬러리는 제2 공정을 통해 실질적으로 크랙킹된다. 제 2 반응기로 공급된 석탄 슬러리는 내부 상승류에 의해 크래킹 된 후 하이드로카본이 바로 상부로 배출된다.The coal slurry undergoes a thermal process so as to be more easily liquefied through the first process. That is, the coal slurry is softened and liquefied through sufficient time and circulation in the first reactor. The coal slurry after the first step is substantially cracked through the second step. The coal slurry supplied to the second reactor is cracked by the internal upward flow, and then the hydrocarbon is directly discharged to the upper part.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은 액화 공정을 제1 공정과 제2 공정으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진행함으로써, 석탄 슬러리 액화 효율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liquefaction process is divided into the first process and the second process and proceeds sequentially, whereby the efficiency of liquefying coal slurry can be further improved.
상기 석탄 액화 공정에서 생성된 생성물은 분리 공정을 통해 최종 목표인 코크스용 첨가제로 분리할 수 있다.The product produced in the coal liquefaction process can be separated into coke additive, which is the final target through the separation process.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공정은 순차적으로 액화공정 생성물에서 기체 성분을 분리하는 세퍼레이팅(separating) 단계, 액상 물질과 고상 물질을 분리하는 여과 단계, 및 여과 단계에서 분리된 액상 물질을 증류하여 첨가제를 분리하는 분별증류단계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separation step is a step of separating the gas components sequentially from the liquefaction process product, a filt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liquid material and the solid matter, and a step of distilling the liquid material separated in the filtration step, And a fractional distillation step of separating the mixture.
석탄 액화 공정을 거쳐 액화된 생성물은 고상 생성물, 액상 생성물 및 기상 생성물을 모두 포함한다. 액상 생성물은 코크스용 첨가제 및 오일을 포함하며, 기상 생성물은 연료가스, 황, 암모니아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ducts liquefied through the coal liquefaction process include both solid products, liquid products and gaseous products. The liquid product includes an additive for coke and an oil, and the gaseous product may include fuel gas, sulfur, ammonia, and the like.
상기 세퍼레이팅 단계는 석탄 액화 공정을 통해 생성된 물질들 중 가장 가벼운 기체 성분(C1 내지 C5, H2S, NH3, H2 등)들을 생성물에서 분리한다. 상기 여과 단계에서는 생성물을 고상 생성물(residue)와 액상 생성물로 분리한다. The separation step is to separate from the rating of the light gas component (C1 to C5, H 2 S, NH 3 , H 2 , etc.) the product of the substance produced through the coal liquefaction process. In the filtration step, the product is separated into a solid product and a liquid product.
상기 여과 단계에 이어지는 상기 분별증류단계는 여과 단계에서 분리된 액상 생성물을 증류하는 것으로, 최종적으로 코크스용 첨가제가 분리되어 얻어진다.The fractionation step following the filtration step is to distill off the liquid product separated in the filtration step, finally obtaining the coke additive separately.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여과 단계는 120 내지 40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ltration step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120 to 400 ° C.
상기 코크스용 첨가제는 연화점이 120℃ 내외이다. 따라서, 상기 여과단계에서 온도가 120℃보다 낮은 경우에는 코크스용 첨가제는 고상 생성물로 존재하게 되고 이에, 고상 생성물과 코크스용 첨가제가 혼합되므로 코크스용 첨가제만을 분리할 수 없게 된다. 이에, 상기 여과 단계는 코크스용 첨가제의 연화점을 고려하여 120℃ 이상의 온도에서 수행한다.The coke additive has a softening point of about 120 캜. Therefore, when the temperature is lower than 120 캜 in the filtration step, the additive for coke is present as a solid product, and since the solid product and the additive for coke are mixed, only the additive for coke can not be separated. The filtration step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120 ° C or higher in consideration of the softening point of the additive for coke.
또한, 언급한 바와 같이 석탄 액화 공정은 350 내지 450℃의 온도에서 수행되므로, 석탄 액화 공정에서 생성된 최초 생성물은 냉각하지 않는 이상 120 내지 400℃의 고온으로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여과 단계에서 생성물을 추가로 가열하지 않고 석탄 액화 공정 직후에 여과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 생성물이 갖는 열을 이용하여 120℃ 이상의 온도로 여과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여과 단계는 석탄 액화 공정 직후에 생성물의 온도가 120℃ 아래로 낮아지기 전에 수행할 필요가 있다.Also, as mentioned above, since the coal liquefaction process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350 to 450 ° C., the initial product produced in the coal liquefaction process is present at a high temperature of 120 to 400 ° C., unless it is cooled. Therefore, when the filtration step is performed immediately after the coal liquefaction process without further heating the product in the filtration step, the filtra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120 ° C or higher using the heat of the product.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it is necessary to perform the filtration step immediately before the temperature of the product is lowered below 120 캜 immediately after the coal liquefaction process.
상기 분별증류단계에서는 여과 단계를 거쳐 분리된 액상 생성물을 증류기를 이용하여 증류하여 코크스용 첨가제를 얻을 수 있다.In the fractional distillation step, the liquid product separated through the filtration step is distilled using a distiller to obtain an additive for coke.
여과 단계에서 분리된 액상 생성물은 언급한 바와 같이 코크스용 첨가제 뿐아니라 오일을 포함하고 있으며, 온도에 따라서는 일부 연료가스, 황, 암모니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liquid product separated in the filtration step contains oil as well as additives for coke, and it may further include some fuel gas, sulfur, ammonia and the like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상기 분별증류단계에서는 통상 사용되는 분별증류가 사용될 수 있다. Fractional distillation which is usually used in the above fractionation stage can be used.
본실시예에서, 상기 분별증류단계는 350 내지 45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액상 생성물 중 오일은 끓는점이 350 내지 450℃보다 낮으므로, 분별증류방법을 이용하여 액상 생성물에서 오일을 분리 제거하여 코크스용 첨가제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분별증류단계에서 350℃ 내지 450℃의 온도로 액상 생성물을 가열하게 되면, 오일(Oil)이 증발되고 잔류물로 코크스용 첨가제만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분별증류단계를 통해 오일을 분리하여 최종적으로 코크스용 첨가제가 얻어진다.In this embodiment, the fractional distillation step may be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from 350 to 450 < 0 > C. Since the oil of the liquid product has a boiling point lower than 350 to 450 ° C, the oil is separated and removed from the liquid product by fractional distillation to obtain an additive for coke. That is, when the liquid product is heated at a temperature of 350 ° C to 450 ° C in the fractional distillation step, the oil is evaporated and only the additive for coke can be separated from the residue. The oil is then separated through a fractional distillation step to finally obtain an additive for coke.
상기 재순환 공정은 분리 공정에서 얻어진 오일을 상기 석탄 전처리 공정으로 공급함으로써, 오일은 석탄 슬러리화 공정의 용매로 재활용한다.The recycle process recycles the oil obtained in the separation process to the coal pretreatment process so that the oil is used as a solvent in the coal slurry process.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재순환 공정은 분별증류단계를 통해 얻어진 오일을 바로 석탄 전치리 공정의 믹싱드럼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분리공정에서 분리되어 나온 오일을 바로 석탄 전처리 공정으로 재순환시킴으로써,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recycle process is to feed the oil obtained through the fractional distillation step directly to the mixing drum of the coal pretreatment process. Thus, the oil separated in the separation step can be recycled directly to the coal pretreatment process, thereby simplifying the process.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Of course.
10 : 믹싱드럼 12 : 분쇄기
14 : 건조기 20 : 촉매공급부
30 : 반응기 32 : 가스공급부
34 : 제1 반응기 36 : 제2 반응기
40 : 분리부 42 : 세퍼레이터
44 : 필터장치 46 : 증류기
50 : 공급라인10: mixing drum 12: crusher
14: dryer 20: catalyst supplier
30: Reactor 32: Gas supply part
34: first reactor 36: second reactor
40: separator 42: separator
44: Filter device 46: Distiller
50: supply line
Claims (20)
석탄 슬러리와 크래킹 가스를 반응하여 석탄 슬러리를 액화하는 석탄 액화 공정;
석탄 액화 공정시 크랙킹 가스로 COG 및/또는 LNG를 공급하는 공정;
액화 생성물로부터 첨가제를 분리하는 분리공정; 및
분리 공정에서 얻어진 액상의 오일을 상기 석탄 전처리 공정으로 공급하여 용매로 사용하는 재순환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석탄 액화 공정은 제1 반응기를 거쳐 석탄슬러리를 연화시키는 제1 공정, 및 제1 공정에 연속하여 제2 반응기를 거쳐 석탄슬러리를 크랙킹하며 제1 공정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주로 크랙킹이 이루어지는 제2 공정을 포함하며,
석탄 전처리 시 분산형 철촉매를 투입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리공정은 액화 생성물에서 기체 성분을 분리하는 세퍼레이팅(separating) 단계, 액상 물질과 고상 물질을 분리하는 여과 단계, 및 여과 단계에서 분리된 액상 물질을 증류하여 첨가제를 분리하는 분별증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순환 공정은 상기 분별증류단계에서 첨가제와 분리된 오일을 상기 석탄 전처리 공정으로 공급하는 구조의 코크스용 첨가제 제조 방법.A coal pretreatment step of dispersing coal into a slurry by dispersing it in a solvent;
A coal liquefaction process for liquefying coal slurry by reacting coal slurry with cracking gas;
A step of supplying COG and / or LNG with a cracking gas during a coal liquefaction process;
A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additive from the liquefied product; And
And a recycle process in which the liquid oil obtained in the separation process is supplied to the coal pretreatment process and used as a solvent,
The coal liquefaction process includes a first step of softening the coal slurry through the first reactor and a second step of continuously cracking the coal slurry through the second reactor in the first step, ≪ / RTI >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dding a dispersed iron catalyst during the pretreatment of coal,
The separation step includes a separating step of separating the gas component from the liquefied product, a filt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liquid material and the solid matter, and a fractionation step of distilling the liquid material separated in the filtration step to separate the additive and,
Wherein the recycle step comprises feeding the oil separated from the additive in the fractional distillation step to the coal pretreatment step.
상기 석탄 액화 공정은 제1 반응기로 유동층 반응기가 사용되고 제2 반응기로 슬러리 반응기가 사용되어, 석탄 슬러리가 유동층 반응기와 슬러리 반응기를 차례로 거쳐 제1 공정과 제2 공정이 수행되는 코크스용 첨가제 제조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al liquefying process uses a fluidized bed reactor as the first reactor and a slurry reactor as the second reactor so that the coal slurry is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fluidized bed reactor and the slurry reactor to perform the first and second processes.
상기 석탄 액화 공정은 제1 반응기와 제2 반응기로 유동층 반응기가 사용되어, 석탄슬러리가 복수개의 유동층 반응기를 차례로 거치면서 제1 공정과 제2 공정이 수행되는 코크스용 첨가제 제조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al liquefaction process uses a fluidized bed reactor as a first reactor and a second reactor,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rocesses are performed while the coal slurry is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plurality of fluidized bed reactors.
상기 석탄 액화 공정은 제1 반응기와 제2 반응기로 슬러리 반응기가 사용되어, 석탄슬러리가 복수개의 슬러리 반응기를 차례로 거치면서 제1 공정과 제2 공정이 수행되는 코크스용 첨가제 제조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al liquefaction process uses a slurry reactor as a first reactor and a second reactor, wherein the coal slurry is sequentially passed through a plurality of slurry reactors to perform a first process and a second process.
상기 분산형 철촉매는 Fe2O3 인 코크스용 첨가제 제조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ersed iron catalyst is Fe 2 O 3 .
상기 분산형 철촉매는 석탄 100중량부에 대해 0.5 내지 3.0 중량부로 투입되는 코크스용 첨가제 제조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dispersed iron catalyst is added in an amount of 0.5 to 3.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coal.
상기 석탄 액화 공정은 350 내지 450℃의 온도와, 30 내지 120bar의 압력하에서 이루어지는 코크스용 첨가제 제조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al liquefaction process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350 to 450 DEG C and a pressure of 30 to 120 bar.
상기 석탄 액화 공정은 크래킹 가스를 400 내지 600℃로 가열하여 공급하는 코크스용 첨가제 제조 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al liquefaction process is performed by heating the cracking gas at 400 to 600 ° C.
상기 여과 단계는 120 내지 40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코크스용 첨가제 제조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ration step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120 to 400 ° C.
상기 분별증류단계는 350 내지 45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코크스용 첨가제 제조 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ractionation step i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from 350 to < RTI ID = 0.0 > 450 C. < / RTI >
상기 믹싱드럼을 거친 석탄 슬러리를 액화하는 반응기,
상기 반응기로 크랙킹 가스로 COG 및/또는 LNG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
상기 반응기로부터 생성된 액화 생성물에서 첨가제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부, 및
상기 분리부와 상기 믹싱드럼 사이에 연결되어 분리부에서 분리된 오일을 믹싱드럼에 용매로 공급하는 공급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반응기는 석탄슬러리를 1차로 연화시키는 제1 반응기, 및 상기 제1 반응기 후단에 연결되어 제1 반응기를 거친 석탄 슬러리를 크랙킹하며 제1 반응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주로 크랙킹이 이루어지는 제2 반응기를 포함하며,
상기 믹싱드럼으로 분산형 철촉매를 공급하는 촉매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리부는 액화 공정 생성물에서 기체 성분을 분리하는 세퍼레이터와, 상기 세퍼레이터에 연결되어 액상 물질과 고상 물질을 분리하는 필터장치, 및 상기 필터장치에서 분리된 액상 물질을 증류하여 첨가제를 분리하며 상기 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믹싱드럼에 연결되어 첨가제와 분리된 오일을 믹싱드럼으로 공급하는 증류기를 포함하는 코크스용 첨가제 제조 장치.A mixing drum for mixing the pretreated coal and the solvent to form a slurry,
A reactor for liquefying the coal slurry passed through the mixing drum,
A gas supply unit for supplying COG and / or LNG as a cracking gas to the reactor,
A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additive from the liquefaction product produced from the reactor, and
And a supply line connected between the separation unit and the mixing drum to supply the oil separated in the separation unit to the mixing drum as a solvent,
The reactor includes a first reactor for firstly softening the coal slurry and a second reactor for cracking the coal slurry passing through the first reactor connected to the downstream end of the first reactor and relatively mainly cracking compared to the first reactor In addition,
Further comprising a catalyst supplier for supplying the dispersed iron catalyst to the mixing drum,
The separator includes a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gas component from the liquefaction process product, a filter device connected to the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liquid material and the solid material, and a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additive from the liquid material, And a distiller connected to the mixing drum through the inlet of the mixing drum to supply the oil separated from the additive to the mixing drum.
상기 제1 반응기는 유동층 반응기이고, 상기 제2 반응기는 슬러리 반응기인 코크스용 첨가제 제조 장치.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reactor is a fluidized bed reactor and the second reactor is a slurry reactor.
상기 제1 반응기와 상기 제2 반응기는 유동층 반응기인 코크스용 첨가제 제조 장치.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reactor and the second reactor are fluidized bed reactors.
상기 제1 반응기와 상기 제2 반응기는 슬러리 반응기인 코크스용 첨가제 제조 장치.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reactor and the second reactor are slurry reactor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7866A KR101751522B1 (en) | 2015-09-09 | 2015-09-09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binder for cok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7866A KR101751522B1 (en) | 2015-09-09 | 2015-09-09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binder for cok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0362A KR20170030362A (en) | 2017-03-17 |
KR101751522B1 true KR101751522B1 (en) | 2017-06-27 |
Family
ID=58502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7866A Expired - Fee Related KR101751522B1 (en) | 2015-09-09 | 2015-09-09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binder for cok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1522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129110A1 (en) * | 2001-12-04 | 2003-07-10 | Sasol Technology (Proprietary) Limited | Slurry phase apparatus |
CN103074097A (en) * | 2013-01-31 | 2013-05-01 | 煤炭科学研究总院 | Method and system for direct coal liquefaction |
-
2015
- 2015-09-09 KR KR1020150127866A patent/KR10175152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129110A1 (en) * | 2001-12-04 | 2003-07-10 | Sasol Technology (Proprietary) Limited | Slurry phase apparatus |
CN103074097A (en) * | 2013-01-31 | 2013-05-01 | 煤炭科学研究总院 | Method and system for direct coal liquefac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0362A (en) | 2017-03-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332440C1 (en) | Method of direct coal liquefying | |
US7597794B2 (en) | Deep separation method and processing system for the separation of heavy oil through granulation of coupled post-extraction asphalt residue | |
CA1052719A (en) | Process for making low-sulfur and low-ash fuels | |
CN102154049B (en) | Method for preparing coking coal by modification by low-order nonadhesive coal | |
CN102051191A (en) | Production method and system of coal-based needle coke | |
US20150376513A1 (en)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hydrocracking and hydrotreating hydrocarbon streams | |
KR10175152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binder for coke | |
KR101758796B1 (en) | Apparatus for producing binder for coke | |
KR101747939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binder for coke | |
CN104937077A (en) | Direct coal liquefaction process | |
KR2016006856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binder for coke | |
KR10176471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binder for coke | |
US4764270A (en) | Simultaneous upgrading of tar sand bitumen and coal by corefining | |
KR101747940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binder for coke | |
CN110551515B (en) |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aromatic hydrocarbon through coal staged hydropyrolysis | |
KR101759327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binder for coke | |
AU201535591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kes additive | |
AU2020202042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additive for coke | |
CN102041018B (en) | Processing method of coal and oil co-refining | |
KR101759325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binder for coke | |
KR101726427B1 (en) | Method and apparatus with level senser of suspended catalyst for producing binder for coke | |
KR101759326B1 (en) | Apparatus for producing binder for coke | |
US20170321125A1 (en) | Direct coal liquefaction process | |
US20150191657A1 (en) | Direct coal liquefaction process | |
CN111808635A (en) | Coal liquefaction hydrogena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6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