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0798B1 - Blender - Google Patents
Blen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0798B1 KR101750798B1 KR1020160101195A KR20160101195A KR101750798B1 KR 101750798 B1 KR101750798 B1 KR 101750798B1 KR 1020160101195 A KR1020160101195 A KR 1020160101195A KR 20160101195 A KR20160101195 A KR 20160101195A KR 101750798 B1 KR101750798 B1 KR 1017507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zzle
- connection
- panel
- nozzle housing
- hou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 A47J2027/0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믹서기에 관한 것으로, 저면부와, 저면부의 일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탠드부를 포함하고, 내부에 회전모터가 구비되는 본체, 저면부 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회전모터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칼날을 포함하는 용기, 용기의 내부와 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배기노즐을 구비하며, 용기를 덮는 용기뚜껑, 배기노즐에 기밀하게 결합되는 접속노즐을 구비하는 접속바디, 및 접속노즐과 통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고, 접속바디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스탠드부에 설치되며, 접속노즐은 배기노즐의 위치에 대응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x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xer which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bottom portion and a stand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bottom portion, the main portion being provided with a rotation motor therein, A connection lid having a container lid for covering the container, a connection body having a connection nozzle hermetically coupled to the exhaust nozzle, and a connection nozzle for connecting the connection nozzle and the connection nozzle, And the connecting body is vertically movably provided on the stand, and the connecting nozzle is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exhaust nozzle.
Description
본 발명은 믹서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xer.
현대 사회에 있어서 웰빙에 대한 중요성이 점점 부각되고 있다. 건강을 위해 여러 가지 신선한 음식재료들의 조리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특히, 신선한 야채나 과일을 갈아서 주스나 수프 등을 만들어 먹는 생활 습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In modern society, the importance of well-being is increasing. Interest in cooking various fresh food ingredients for health is increasing. In particular, interest in lifestyle habits of grinding fresh vegetables and fruits and making juices and soup is increasing.
보통 믹서기는 과일이나 야채 등의 재료를 갈고, 분쇄하거나 즙을 짜는 기능 가진 장치 등을 의미한다. 선행기술문헌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0560호는 이러한 믹서기의 일 예가 잘 설명되고 있다.A blender usually means a device that grinds, crushes or juices juices such as fruits and vegetable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010560, which is a prior art document, well illustrates an example of such a blender.
그런데 종래의 믹서기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mixer may have various problems.
종래 믹서기의 경우 영양소가 재료 가공 시 파괴될 가능성이 높다. 재료를 칼날로 분쇄하는 과정에서, 용기 내의 공기(산소)와 음식 재료의 분쇄된 부분이 만나 산화 반응이 일어나므로 재료의 고유 속성이 변질되거나 영양소가 파괴될 가능성이 높다.In the case of conventional mixer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nutrients will be destroyed during material processing. In the process of crushing the material with the blade, the oxygen (oxygen) in the container and the crushed portion of the food material meet and oxidation reaction occurs. Therefor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inherent properties of the material are changed or the nutrients are destroyed.
또한, 종래의 믹서기는 분쇄된 재료와 공기가 혼합되면서 저항이 발생될 수 있다. 이 저항은 재료를 분쇄시킬 때 가공 시간을 길게 하므로 효율성을 저하시킨다. 더욱이, 재료와 공기의 접촉 시간을 길게 하므로 영양소 파괴가 더 많아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mixer, resistance may be generated by mixing the pulverized material with air. This resistance leads to a longer machining time when grinding the material, thereby decreasing the efficiency. Furthermore, the longer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material and the air, the more nutrient destruction can be achieved.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자들은 음식 재료를 담는 용기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었다. 진공 상태에서 용기 내 재료를 분쇄하거나 믹싱하는 믹서기를 활발하게 개발하고 있다.To solve this problem, the developers vacuumed the inside of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food material. We are actively developing a mixer that crushes or mixes materials in a container in a vacuum.
믹서기에 사용되는 용기는 주로 유리로 제조되는데, 유리부품은 제조 과정에서 큰 공차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 큰 공차를 갖는 용기는 믹서기에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Containers used in blenders are mainly made of glass, and glass parts often have large tolerance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Containers with large tolerances can not be used in blenders.
또한, 분쇄하는 재료의 종류나 양에 따라 다양한 크기(높이)의 용기를 사용하면 편리한데, 종래의 믹서기는 일정한 높이의 용기에 대해서만 사용할 수 있었다.Also, it is convenient to use vessels of various sizes (height) depending on the kind and amount of the material to be crushed, but the conventional blender can be used only for containers of a certain height.
더욱이, 하나의 믹서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용기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믹서기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하는데, 이때 하강한 믹서기가 작동 중 이탈되지 않도록 용기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분쇄가 완료되면 용이하게 분리시킬 필요도 있다.Furthermore, in order to apply to a container of various sizes using a single blender, the blender must have a structure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firmly fix the blender to the container so that the lowered blender is not released during operation. When grinding is completed, it may be necessary to separate easily.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큰 공차를 갖는 용기에 대해서도 기밀한 진공결합을 유지할 수 있는 믹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xer capable of maintaining an airtight vacuum coupling even to a container having a large tolerance.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상하 이동이 자유로워 다양한 높이를 갖는 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믹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xer capable of accommodating a container having various heights freely movable up and down.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믹서기와 용기 사이의 진공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믹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xer which is easy to be vacuum-coupled and separated between the mixer and the container.
일 예에서, 믹서기는 저면부와, 저면부의 일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탠드부를 포함하고, 내부에 회전모터가 구비되는 본체, 저면부 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회전모터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칼날을 포함하는 용기, 용기의 내부와 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배기노즐을 구비하며, 용기를 덮는 용기뚜껑, 배기노즐에 기밀하게 결합되기 위한 접속씰부재를 구비한 접속노즐, 접속씰부재를 수용하되, 내측면이 접속씰부재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접속씰부재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접속 하우징을 구비한 노즐하우징, 노즐하우징을 내부에 수용하되, 내측 측면이 노즐하우징의 외측 측면과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접속바디 케이스를 구비하고, 스탠드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속바디 및 접속노즐과 통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고, 접속씰부재는,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배기 노즐이 삽입되는 삽입구와, 삽입구의 하측에 형성되고 삽입구를 향해 내측으로 경사진 가이드면을 구비하고, 접속노즐이 배기노즐에 기밀하게 결합되지 않는 위치에 있을 때 접속바디가 하강하면서 배기노즐이 가이드면에 닿으면, 노즐하우징이 접속바디 케이스의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 및 접속씰부재가 접속하우징의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이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이 발생하여, 접속노즐이 배기노즐에 기밀하게 결합되는 위치에 있게 된다.In one example, the blender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bottom portion and a stand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bottom portion, the main portion being provided with a rotation motor therein, a detachable mounting portion on the bottom portion, A connection nozzle including a container lid for covering the container, a connection seal member for airtightly coupling to the exhaust nozzle, and a connecting seal member And a connecting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connecting seal member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inner surface thereof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seal member so as to horizontally move the connecting seal member, the nozzle housing having therein a nozzle housing, And a connecting body case spaced from the outer side surfa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rein the connecting body and the connecting nozzle are vertically movable on the stand portion, Wherein the connection seal member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the inside thereof and has an insertion port into which the exhaust nozzle is inserted and a guide surfac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sertion port and inclined inward toward the insertion port, The first moving and connecting seal member in which the nozzle housing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side the connecting body case contacts the guide surface of the connecting housing body when the connecting body is lowered and the exhaust nozzle contacts the guide surfac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s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generated in the exhaust nozzle so that the connection nozzle is in a position where it is hermetically coupled to the exhaust nozzl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 다른 예에서, 접속바디 케이스는, 노즐하우징이 접속바디 케이스의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노즐하우징의 수직방향 이동 시, 노즐하우징의 외측 상면 중의 적어도 일부에 밀착되게 되는 내측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connecting body case may include an inner side wall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upper surface of the nozzle housing, when the nozzle housing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limit vertical movement of the nozzle housing inside the connecting body case And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또 다른 예에서, 접속바디 케이스는, 노즐하우징의 외측 하면 중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기 위해 수평하게 형성되는 지지면과, 지지면의 중앙에서 노즐하우징의 접속노즐이 접속바디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게 하기 위해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하부와, 하부에서 수직하게, 그리고 노즐하우징의 외측 측면과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측부를 포함하는 하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에 결합되며, 접속노즐이 배기노즐에 결합될 때 배기노즐이 접속노즐을 상측으로 가압하는 힘에 의해 노즐하우징이 상측으로 이동하려 하면, 노즐하우징의 외측 상면 중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되어 노즐하우징의 수직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면을 포함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connection body case may include a support surface formed horizontally to support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nozzle housing, and a support surface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support surface to expose the connection nozzle of the nozzle housing to the exterior of the connection body case And the connecting nozzle is coupled to the lower case and the lower case including the lower portion including the through hole formed for the upper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formed vertically at the lower portion and horizontally spaced from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nozzle hou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nozzle housing is in contact with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upper surface of the nozzle housing to limit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nozzle housing when the nozzle housing tries to move upward due to the force by which the exhaust nozzle pushes the connecting nozzle upward, Case may be included.
또 다른 예에서, 용기뚜껑은 배기노즐의 외주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걸림턱을 포함하며, 노즐하우징은, 접속바디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노즐하우징 바디, 노즐하우징 바디에 결합되고, 걸림턱에 걸려 고정되는 돌출턱을 포함하는 로킹패널, 및 노즐하우징 바디에 결합되고, 돌출턱을 걸림턱에서 이탈시키기 위해 가압되는 분리패널을 포함하여, 용기뚜껑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container lid includes a latching jaw extending outwardly from an outer periphery of the exhaust nozzle, wherein the nozzle housing is coupled to the nozzle housing body received in the interior of the connecting body case, the nozzle housing body, A locking panel including a fixed protruding jaw, and a detachment panel coupled to the nozzle housing body and pushed to release the protruding jaws from the locking jaws, the detachable panel be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tainer lid.
또 다른 예에서, 로킹패널은, 용기뚜껑에 대해 수직이며, 노즐하우징 바디에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는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을 포함하고,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의 하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돌출턱이 형성되고,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은, 돌출턱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노즐하우징 바디에 결합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locking panel includes a first panel and a second panel perpendicular to the container lid and coupled to the nozzle housing body in opposing relation to each other, And the first panel and the second panel can be coupled to the nozzle housing body in such a manner that the protruding jaws can rotate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or vice versa.
또 다른 예에서,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은, 하방으로 갈수록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점차 두께가 증가하는 경사턱을 내측 측면에 포함하고, 분리패널은,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의 사이에서 경사턱의 상측에 형성된 수평패널, 및 수평패널의 일측에 구비되어 접속바디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가압버튼을 포함하며, 수평패널은, 가압버튼에 대한 가압에 의해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노즐하우징 바디에 결합되며, 가압버튼에 대한 가압으로 수평패널이 하측으로 회전함에 따라 수평패널이 경사턱을 외측으로 가압하고,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돌출턱이 걸림턱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first panel and the second panel include inclined jaws on the inner side surface, the thickness of which gradually increas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and the separation panel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anel and the second panel A horizontal panel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inclined jaw and a pressure butt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panel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ion body case, wherein the horizontal panel includes a nozzle housing body And as the horizontal panel is rotated downward by the pressurization of the pressing button, the horizontal panel presses the inclined jaw outward, and the first panel and the second panel are rotated in directions away from each other, Can be separated.
또 다른 예에서, 로킹패널은,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의 회전 중심이 되는 제1 회전축, 및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복원되게 제1 회전축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분리패널은, 수평패널의 회전 중심이 되는 제2 회전축, 및 수평패널이 상측으로 복원되게 제2 회전축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locking panel may include a first rotation axis that is a rotation center of the first panel and a second panel, and a second rotation axis that rotates the first panel and the second panel, And the separation panel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rotation shaft which is a rotation center of the horizontal panel and a second elastic member which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second rotation axis so that the horizontal panel is restored upward.
또 다른 예에서, 스탠드부는, 저면부의 상측으로 연장하는 기둥부재를 포함하고, 접속바디는, 기둥부재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기둥 홀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stand portion includes a column member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portion, and the connection body may further include a column holder portion movably coupled to the column member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또 다른 예에서, 기둥 홀더부는, 기둥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포함하고, 스탠드부는, 기둥부재의 외주에 구비된 제3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제3 탄성부재는, 기둥 홀더부의 하강에 의해 압축되어 기둥홀더부에 대해 상측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column holder portion includes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column member is inserted, and the stand portion further includes a third elastic member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lumn member, and the third elastic member is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olumn holder portion So as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in the up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lumn holder portion.
삭제delete
또 다른 예에서, 접속씰부재는 외주면에 제4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며, 제4 탄성부재는, 접속노즐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 접속하우징과 접속씰부재 사이에서 압축되고, 접속노즐이 배기노즐과 분리되면 접속하우징에 지지되며 접속노즐이 이동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되돌아오도록 하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connection seal member further includes a fourth elastic memb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ourth elastic member is compressed between the connection housing and the connection seal member when the connection nozzle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can be supported by the connection housing and provide a restoring force for returning the connection nozzl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on nozzle is moved.
또 다른 예에서, 접속바디는, 용기의 높이에 대응되는 위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노즐하우징이 다양한 높이의 용기에 탈착 가능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connecting body may be adjustable in height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container, so that the nozzle housing may be removable in a vessel of various heights.
본 발명에 의하면 접속노즐이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큰 공차를 갖는 용기에 대해서도 기밀한 진공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nozzle can b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a hermetic vacuum coupling can be maintained even for a container having a large toleranc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접속바디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여 다양한 높이를 갖는 용기를 수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body can be vertically moved to accommodate a container having various height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로킹패널과 분리패널을 통해 믹서기와 용기 사이의 진공결합 및 분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vacuum coupling and separation between the mixer and the container through the locking panel and the separating pane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접속바디 케이스와 노즐하우징의 결합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접속바디 케이스와 노즐하우징의 결합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접속바디 케이스와 노즐하우징의 결합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바디 케이스와 노즐하우징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하우징과 용기뚜껑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의 내부 구조의 일부를 도시하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노즐과 배기노즐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노즐과 배기노즐의 결합 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노즐과 접속하우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크기의 용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le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ly showing a mix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nozzle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on body case and the nozzle housin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on body case and the nozzle housin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on body case and the nozzle housin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connection body case and a nozzle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nozzle housing and a container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len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nozzle and an exhaust nozzle before they are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after the connection nozzle and the exhaust nozzle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showing a connection nozzle and a connection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ix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containers of various sizes that may be used in a blend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le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ly showing a mix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nozzle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는, 본체(100),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기(200), 용기(200)를 덮는 용기뚜껑(250) 및 본체(100)에 설치되며 용기뚜껑(250)과 결합하는 접속바디(300)를 포함한다.1 and 2, a ble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체(100)는, 저면부(110)와, 저면부(110)의 일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탠드부(120)를 포함한다. 본체(100)의 내부에는 회전모터(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회전모터는, 후술할 용기(200)의 내부에 구비된 칼날(210)과 연동하여 작동한다. 회전모터는 저면부(110) 또는 스탠드부(120)에 구비될 수 있다.The
용기(200)는 본체(100)의 저면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용기(200)는, 내부에 회전모터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칼날(210)을 포함한다. 칼날(210)이 회전모터와 연동하여 회전하여 용기(200) 내부의 재료를 분쇄할 수 있다.The
용기(200)를 덮는 용기뚜껑(250)에는 배기노즐(255)이 구비된다. 배기노즐(255)에는 용기(200)의 내부와 통하는 관통홀(257)이 형성되어 있다. 용기(200)와 용기뚜껑(250)은 기밀하게 결합하여 관통홀(257)이 밀폐되면 용기(200)는 외부와 단절될 수 있다.The
용기(200)는 유리로 제조될 수 있다. 용기(200)의 외면에는 용기(200)를 편리하게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The
접속바디(300)는 본체(100)의 스탠드부(120)에 설치된다. 접속바디(300)는 후술할 노즐하우징(5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접속바디(300)는 배기노즐(255)과 기밀하게 결합되는 접속노즐(520)을 구비한다. 접속노즐(520)은 진공펌프(400)와 통한다. 접속노즐(520)과 배기노즐(255)이 결합되면 배기노즐(255)에 형성된 관통홀(257)이 외부와 단절될 수 있다. 따라서 진공펌프(400)가 작동하면 용기(20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 수 있다.The connecting
접속바디(300)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믹서기의 작동 시 접속노즐(520)이 배기노즐(255)과 결합하기 위해, 접속바디(300)는 하측(D, 도 1 참조)으로 이동할 수 있다. 믹서기의 사용이 끝나면 접속노즐(520)을 배기노즐(255)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접속바디(300)는 상측(U)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접속바디(300)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접속노즐(520)과 배기노즐(255)을 결합시킬 때, 접속노즐(520)과 배기노즐(255)의 수평위치가 대응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접속노즐(520)은 배기노즐(255)의 위치에 대응하여 수평방향(X, Y, 도 1 참조)으로 이동 가능하다.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이하에서는, 접속노즐이 수평이동 하는 하나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접속바디 케이스와 노즐하우징의 결합관계를 도시하는 여러 가지 단면도이다.Hereinafter, one mode in which the connecting nozzle moves horizontally will be described. Figs. 4 to 6 are various sectional views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on body case and the nozzle housing. Fig.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접속바디(300)는 노즐하우징(500)과 접속바디 케이스(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전체 구조는 도 7 참조). 노즐하우징(500)은 접속바디 케이스(34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노즐하우징(500)은 내부에 접속노즐(520)을 수용할 수 있다.2 to 6, the
노즐하우징(500)은 접속바디 케이스(340)의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노즐하우징(500)은 내부에 접속노즐(520)을 수용하고 있으므로, 노즐하우징(500)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접속노즐(520)도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도 4를 참조하면, 노즐하우징(500)의 외측 측면과 접속바디 케이스(340)의 내측 측면은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화살표 참조). 노즐하우징(500)은 이격된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하우징(500)은 접속바디 케이스(340)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4,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접속바디 케이스(340)는, 노즐하우징(500)이 접속바디 케이스(340)의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노즐하우징(500)의 수직방향 이동을 제한하면, 접속노즐과 배기노즐의 결합 시에 노즐하우징(500)이 접속바디 케이스(340) 내부에서 덜컹거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잇다. 이를 위해 접속바디 케이스(340)는, 노즐하우징(500)의 수직 방향 이동 시, 노즐하우징(500)의 외측 상면 중의 적어도 일부에 밀착되게 되는 내측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접속바디 케이스(340)의 내측 상면(340a)은 노즐하우징(500)의 외측 상면(500a)을 지지하는 가이드부재(349, 이의 하단 표면을 접속바디 케이스의 내측 상면으로 볼 수 있다)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도 5와 같이, 접속바디 케이스(340)의 내측 상면(340b)이 노즐하우징(500)의 돌출된 외측 상면(500b)과 거의 밀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6과 같이, 접속바디 케이스(340)의 내측 상면(340c) 전체와 노즐하우징(500)의 외측 상면(500c) 전체가 거의 밀착되게 형성될 수 있다.4, the inner
전술한 것과 같은 구성은, 보다 구체적으로 도 7과 같은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바디 케이스와 노즐하우징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접속바디 케이스(340)는 상부케이스(341)와 하부케이스(34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342)는, 지지면(343)과 관통홀(344)을 포함하는 하부(345)와, 측부(347)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more specifically in the shape as shown i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connection body case and a nozzle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지지면(343)은 노즐하우징 바디(510)의 외측 하면 중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기 위해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344)은 지지면(343)의 중앙에 형성되어, 노즐하우징(500)의 접속노즐(520)이 접속바디 케이스(340)의 외부로 노출되게 할 수 있다.The
측부(347)는 하부(345)에서 수직하게, 그리고 노즐하우징(500)의 외측 측면과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측부(347)가 노즐하우징(500)의 외측 측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노즐하우징(500)은 하부(345)에 지지되며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통홀(344)의 직경 또한 노즐하우징(500)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상부케이스(341)는 하부케이스(342)에 결합될 수 있다. 접속노즐이 배기노즐에 결합될 때 배기노즐이 접속노즐을 상측으로 가압하는 힘에 의해 노즐하우징은 상측으로 이동하려고 할 수 있다. 상부케이스(341)는 노즐하우징(500)의 외측 상면 중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되어 노즐하우징(500)의 수직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한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 내지 도 6과 같은 형상(접속바디 케이스의 내측 상면 참조)으로 형성될 수 있다. 노즐하우징(500)의 수직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구성이라면 도 4 내지 도 6 이외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따라서, 노즐하우징(500)은 상부케이스(341)의 제한면에 의해 수직방향 이동은 제한되고, 노즐하우징(500)의 외측 측면과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하부케이스(342)의 측부(344)에 의해 접속바디 케이스(340)의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만 이동하게 가이드될 수 있다.The vertical movement of the
다음으로, 믹서기의 작동 시 접속노즐과 배기노즐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하우징과 용기뚜껑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Next, a configuration for firmly fixing the connection nozzle and the exhaust nozzle in operation of the blender will be describe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nozzle housing and a container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8을 참조하면, 용기뚜껑(250)은 배기노즐(255)의 외주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걸림턱(253)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253)과 용기뚜껑(250)의 상면은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후술할 돌출턱(531)이 걸림턱(253)에 걸려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노즐하우징(500)은 접속바디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노즐하우징 바디(510)와, 노즐하우징 바디(510)에 결합되는 로킹패널(530) 및 분리패널(540)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하우징(500)은 로킹패널(530)과 분리패널(540)을 포함함으로써, 용기뚜껑(25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로킹패널(530)은 용기뚜껑(250)에 대해 수직이고 서로 마주보게 노즐하우징 바디(510)에 결합되는 제1 패널(532a) 및 제2 패널(532b)과, 제1 패널(532a) 및 제2 패널(532b)의 하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턱(53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ocking
제1 패널(532a) 및 제2 패널(532b)은 돌출턱(531)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A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B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노즐하우징 바디(510)에 결합될 수 있다. The
또한, 제1 패널(532a) 및 제2 패널(532b)은, 하방으로 갈수록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점차 두께가 증가하는 경사턱(535)을 내측 측면에 포함할 수 있다. 경사턱(535)은 후술할 분리패널(540)의 수평패널(541)에 의해 제1 패널(532a) 및 제2 패널(532b)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B 방향)으로 회전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분리패널(540)은 제1 패널(532a) 및 제2 패널(532b)의 사이에 형성된 수평패널(541) 및 수평패널(541)의 일측에 구비된 가압버튼(542)을 포함할 수 있다. 분리패널(540)은 노즐하우징 바디(510)에 결합되고, 가압버튼(542)은 노즐하우징 바디(5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접속바디 케이스(340)의 상부케이스(341)는 노출된 가압버튼(542)을 노출시키기 위한 버튼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The
수평패널(541)은 가압버튼(542)에 대한 가압에 의해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노즐하우징 바디(510)에 결합될 수 있다. 수평패널(541)은 경사턱(535)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노즐하우징(500)이 용기뚜껑(250)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8을 참조하여, 노즐하우징(500)이 용기뚜껑(250)에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A process in which the
믹서기의 사용, 즉 접속노즐(520)과 배기노즐(255)의 기밀한 결합을 위해 접속바디(300)가 전체적으로 하강하여 노즐하우징(500)도 하강하면, 제1 패널(532a) 및 제2 패널(532b)이 용기뚜껑(250)의 걸림턱(253)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패널(532a) 및 제2 패널(532b)은 제1 회전축(539)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노즐하우징 바디(51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노즐하우징(500)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힘에 의해 제1 패널(532a) 및 제2 패널(532b)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B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돌출턱(531)의 내측면과 걸림턱(253)의 외측면이 내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면, 제1 패널(532a) 및 제2 패널(532b)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B 방향)으로 회전하기 용이할 수 있다.When the connecting
노즐하우징(500)이 하강하고 제1 패널(532a) 및 제2 패널(532b)이 서로 멀어져 걸림턱(253)을 넘으면, 제1 패널(532a) 및 제2 패널(532b)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A 방향)으로 회전하고 돌출턱(531)이 걸림턱(253)에 걸려, 노즐하우징(500)이 용기뚜껑(25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로킹패널(530)은 제1 패널(532a) 및 제2 패널(532b)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A 방향)으로 복원되게 제1 회전축(539)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는 제1 회전축(539) 상에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도 8과 같이 제1 패널(532a) 및 제2 패널(532b)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도면부호 538 참조).When the
다음으로 노즐하우징(500)과 용기뚜껑(250)이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Next,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노즐하우징(500)을 용기뚜껑(250)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제1 패널(532a) 및 제2 패널(532b)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B 방향)으로 이동시켜 돌출턱(531)을 걸림턱(253)으로부터 분리시킬 필요가 있다. 이는 분리패널(540)의 가압버튼(542)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In order to separate the
보다 구체적으로, 가압버튼에 대한 가압으로 수평패널(541)이 하측으로 회전함에 따라 수평패널(541)이 경사턱(535)을 외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경사턱(535)이 외측으로 가압되면 제1 패널(532a) 및 제2 패널(532b)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B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돌출턱(531)이 걸림턱(253)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the
분리패널(540)은 수평패널(541)이 상측으로 복원되게 제2 회전축(54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는 제2 회전축(543) 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이와 같이, 노즐하우징과 용기뚜껑의 결합 또는 분리 과정에서 노즐하우징을 내부에 수용하는 접속바디는 스탠드부에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접속바디의 상하 이동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In this way, the connecting body accommodating the nozzle housing in the process of engaging or disengaging the nozzle housing with the lid of the container can be installed on the stand and move up and down. Hereinafter, the up-and-down movement of the connection body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의 내부 구조의 일부를 도시하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9를 참조하여, 접속바디의 상하 이동에 대해 설명한다.9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len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9,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connection body will be described.
본체(100)의 스탠드부(120)는, 저면부(110)의 상측으로 연장하는 기둥부재(125)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부재(125)는 스탠드부(120)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는 스탠드부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둥부재(125)는 스탠드부(120)에 형성될 수 있다.The
접속바디(300)는 기둥부재(125)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둥 홀더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둥 홀더부(350)는 기둥부재(125)가 삽입되는 삽입홀(351)을 포함할 수 있다.The
접속바디(30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기둥 홀더부(350)가 기둥부재(125)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접속바디(30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기둥 홀더부(350)가 기둥부재(125)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When the
스탠드부(120)는 기둥부재(125)의 외주에 구비된 제3 탄성부재(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탄성부재(126)는 스프링일 수 있다. 제3 탄성부재(126)는 기둥부재(125)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The
제3 탄성부재(126)는 기둥 홀더부(350)의 하강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기둥 홀더부(350)가 하강하면 기둥 홀더부(350)의 저면이 제3 탄성부재(126)를 가압하여 압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 탄성부재(126)가 삽입홀(351)에 삽입되지 않도록 제3 탄성부재(126)의 직경은 삽입홀(351)의 직경보다 클 필요가 있을 수 있다.The third
압축된 제3 탄성부재(126)는 기둥 홀더부(350)에 대해 상측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버튼이 가압되어 돌출부가 걸림턱으로부터 이탈되면, 제3 탄성부재(126)의 복원력에 의해 접속바디(300)가 자동으로 상승할 수 있다.The compressed third
다음으로, 접속노즐과 배기노즐의 결합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노즐과 배기노즐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노즐과 배기노즐의 결합 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노즐과 접속하우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Next,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on nozzle and the exhaust nozzle will be described.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nozzle and an exhaust nozzle before they are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after the connection nozzle and the exhaust nozzle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showing a connection nozzle and a connection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접속노즐(520)은, 배기노즐(255)이 삽입되는 삽입구(527)를 형성하는 접속씰부재(521)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바디(300)가 하강하여 노즐하우징(500)이 용기뚜껑(250)에 결합하면서 배기노즐(255)은 접속씰부재(521)의 삽입구(527)에 삽입되어 기밀하게 결합할 수 있다.10 and 11, the
그러나,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용기뚜껑(250)에 구비된 배기노즐(255)의 수평위치와, 접속씰부재(521)에 형성된 삽입구(527)의 수평위치가 대응되지 않을 수 있다. 접속씰부재(521)는 삽입구(527) 외측에서 삽입구(527) 방향으로 경사진 가이드면(529)을 포함함으로써 배기노즐(255)과 삽입구(527)의 수평위치가 대응되게 접속노즐(5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However, as shown in Fig. 10,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보다 구체적으로, 접속바디(300)가 하강하여 가이드면(529)이 배기노즐(255)에 닿으면 접속씰부재(521)를 포함하는 접속노즐(520)은 가이드면(529)을 타고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과 같은 경우 접속씰부재(521)는 가이드면(529)을 타고 하강하며 오른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접속씰부재(521)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삽입구(527)가 배기노즐(255)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면 도 11과 같이 접속씰부재(521)가 배기노즐(255)과 기밀하게 결합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connecting
즉, 접속노즐(520)의 수평위치를 배기노즐(255)의 수평위치에 대응시키기 위해, 접속노즐(520)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유리 등 공차가 큰 재료로 만들어져 접속노즐과 배기노즐의 수평위치가 대응되지 않는 용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가 수용할 수 있다.That is, the
도 10 내지 도 12 를 참조하면, 노즐하우징(500)은 접속노즐(520)의 주위를 감싸는 원통 형상의 접속하우징(5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속하우징(550)은 노즐하우징 바디(51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노즐하우징(500)은 노즐하우징 바디(510)와 접속하우징(550)을 포함하고, 접속하우징(550)은 노즐하우징 바디(510)에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또는 노즐하우징 바디(510)와 접속하우징(550)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S. 10 to 12, the
또한 접속하우징(550)은 로킹패널의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이 위치할 공간을 남겨두고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노즐하우징(500)은 로킹패널(제1 패널 및 제2 패널)을 포함하는데, 접속하우징(550)은 제1 패널 및 제2 패널과 함께 노즐하우징 바디(510) 하단의 원통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도 7 및 도 8의 도면부호 532a 참조). 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은 원통 형상의 접속하우징(55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Also, the
접속씰부재(521)는 외주면에 제4 탄성부재(525)를 구비할 수 있다. 제4 탄성부재(525)는 접속노즐(520)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 접속하우징(550)과 접속씰부재(521)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압축된 제4 탄성부재(525)는, 접속노즐이 배기노즐(255)과 분리되면 접속하우징(550)에 지지되며 접속노즐(520)이 이동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되돌아오도록 하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제4 탄성부재(525)는 접속하우징(550)을 발판으로 삼아, 접속노즐과 배기노즐의 결합 시에 접속노즐(520)이 이동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접속노즐(520)을 밀어낼 수 있다.The
이하에서는, 도 1, 도 2 및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전체적인 작동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2, and 8 to 11. FIG.
먼저, 분쇄하고 싶은 재료를 용기(200)에 넣을 수 있다. 그 다음 용기(200)를 밀폐시키기 위해 용기뚜껑(250)을 덮고 용기(200)를 저면부(110)에 결합시킬 수 있다.First, the material to be crushed can be put into the
용기(200)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기 위해 용기뚜껑(250)의 배기노즐(255)과 접속바디(300)의 접속노즐(520)을 기밀하게 결합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접속바디(300)를 가압하여 접속바디(300) 전체가 스탠드부(120)를 따라 하강하게 할 수 있다.It is necessary to hermetically connect the
만약 배기노즐(255)과 접속노즐(520)의 수평위치가 대응되지 않으면 접속노즐(520)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배기노즐(255)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노즐하우징(500)이 접속바디 케이스(340)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제1 이동). 또는 접속노즐(520)이 접속씰부재(521)에 형성된 가이드면(529)에 대한 배기노즐의 가압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제2 이동). 또는 접속노즐(520)이 가이드면(529)에 대한 가압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접속씰부재(521)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4 탄성부재(525)가 노즐하우징 바디(510)에 결합된 접속하우징(550)을 수평방향으로 가압하여, 노즐하우징(500)도 접속바디 케이스(340)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노즐하우징(500) 및 접속노즐(5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If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접속노즐(520)과 접속하우징(550) 사이에 형성된 간격과, 노즐하우징(500)의 외측 측면과 접속바디 케이스(340)의 내측 측면 사이에 형성된 간격의 합만큼 접속노즐(520)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용기(200)의 공차를 수용할 수 있다.The
접속바디(200)가 하강하면, 내부에 수용된 노즐하우징(500)의 로킹패널(530)이 용기뚜껑(250)에 결합될 수 있다. 로킹패널(530)과 용기뚜껑(250)이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로 용기 내 재료를 분쇄할 수 있다.When the connecting
재료의 분쇄가 끝나면, 노즐하우징(500)을 용기뚜껑(250)으로부터 이탈시켜 접속노즐(520)과 배기노즐(255)을 분리시킬 필요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분리패널(540)의 가압버튼(542)을 가압함으로써 노즐하우징(500)을 용기뚜껑(250)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노즐하우징(500)이 용기뚜껑(250)으로부터 이탈되면 스탠드부(120)의 기둥부재(125)에 결합된 제3 탄성부재(126)의 탄성력에 의해 접속바디(200)는 간단하게 상승할 수 있다.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마지막으로 용기(200)를 저면부(110)로부터 분리시켜 용기뚜껑(250)을 열고 분쇄된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Finally, the
한편, 믹서기에 사용되는 재료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용기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크기의 용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containers of various sizes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kind and size of materials used in the blender. 13 is a side view showing a mix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containers of various sizes that may be used in a blend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양한 높이의 용기에 대해서 하나의 믹서기가 수용할 수 있으면 경제적일 수 있다.It can be economical if one mixer can accommodate containers of various heights as shown in Fig.
접속바디(300)는 스탠드부(12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용기(200)의 높이에 대응되는 위치로 접속바디(30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접속바디(300)가 용기(200)의 높이까지 가압되면 상기와 같이 설명한 구성들에 의해 노즐하우징(500)이 용기뚜껑(250)에 탈착 가능할 수 있다.Since the connecting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본체 110: 저면부
120: 스탠드부 125: 기둥부재
126: 제3 탄성부재 200: 용기
210: 칼날 250: 용기뚜껑
253: 걸림턱 255: 배기노즐
257: 관통홀 300: 접속바디
340: 접속바디 케이스 341: 상부케이스
342: 하부케이스 343: 지지면
344: 관통홀 345: 하부
347: 측부 349: 가이드부재
350: 기둥 홀더부 351: 삽입홀
400: 진공펌프 500: 노즐하우징
510: 노즐하우징 바디 520: 접속노즐
521: 접속씰부재 525: 제4 탄성부재
527: 삽입구 529: 가이드면
530: 로킹패널 531: 돌출턱
532a: 제1 패널 532b: 제2 패널
535: 경사턱 538: 제1 탄성부재
539: 제1 회전축 540: 분리패널
541: 수평패널 542: 가압버튼
543: 제2 회전축 550: 접속하우징100: main body 110: bottom portion
120: stand part 125: pillar member
126: third elastic member 200: container
210: blade 250: container lid
253: engagement jaw 255: exhaust nozzle
257: Through hole 300: Connection body
340: connection body case 341: upper case
342: Lower case 343: Support surface
344: Through hole 345: Lower
347: side portion 349: guide member
350: column holder portion 351: insertion hole
400: Vacuum pump 500: Nozzle housing
510: nozzle housing body 520: connecting nozzle
521: connection seal member 525: fourth elastic member
527: insertion port 529: guide surface
530: locking panel 531: protruding jaw
532a:
535: inclined jaw 538: first elastic member
539: first rotating shaft 540: separating panel
541: Horizontal panel 542: Pressure button
543: second rotation shaft 550: connection housing
Claims (14)
상기 저면부 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회전모터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칼날을 포함하는 용기;
상기 용기의 내부와 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배기노즐을 구비하며, 상기 용기를 덮는 용기뚜껑;
상기 배기노즐에 기밀하게 결합되기 위한 접속씰부재를 구비한 접속노즐;
상기 접속씰부재를 수용하되, 내측면이 상기 접속씰부재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상기 접속씰부재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접속 하우징을 구비한 노즐하우징;
상기 노즐하우징을 내부에 수용하되, 내측 측면이 상기 노즐하우징의 외측 측면과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접속바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스탠드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속바디; 및
상기 접속노즐과 통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씰부재는,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기 노즐이 삽입되는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를 향해 내측으로 경사진 가이드면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노즐이 상기 배기노즐에 기밀하게 결합되지 않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접속바디가 하강하면서 상기 배기노즐이 상기 가이드면에 닿으면, 상기 노즐하우징이 상기 접속바디 케이스의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 및 상기 접속씰부재가 상기 접속하우징의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이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이 발생하여, 상기 접속노즐이 상기 배기노즐에 기밀하게 결합되는 위치에 있게 되는 믹서기.
A main body having a bottom portion and a stand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bottom portion and having a rotation motor therein;
A container detachably installed on the bottom portion, the container including a blade operable to interlock with the rotation motor;
A container lid having an exhaust nozzle formed with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he container lid covering the container;
A connection nozzle having a connection seal member for airtightly coupling to the exhaust nozzle;
A nozzle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connection seal member, the connection housing having an inner surface spaced from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on seal member to provide a space for moving the connection seal member in a horizontal direction;
A connecting body having a connecting body case accommodating the nozzle housing therein and having an inner side surface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nozzle housing, the connecting body being vertically movable on the stand portion; And
And a vacuum pump communicating with the connection nozzle,
Wherein the connection seal member includes an insertion port formed to penetrate the inside thereof and into which the exhaust nozzle is inserted and a guide surface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insertion port and inclined inward toward the insertion port,
When the connection nozzle is in a position where the connection nozzle is not hermetically coupled to the exhaust nozzle and the exhaust nozzle contacts the guide surface while the connection body is lowered, the nozzle housing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side the connection body case Wherein at least one of a first movement and a second movement in which the connection seal member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in the connection housing occurs so that the connection nozzle is in a position to be hermetically coupled to the exhaust nozzle, .
상기 접속바디 케이스는, 상기 노즐하우징이 상기 접속바디 케이스의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노즐하우징의 수직방향 이동 시, 상기 노즐하우징의 외측 상면 중의 적어도 일부에 밀착되게 되는 내측 상면을 포함하는 믹서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body case may include at least one connecting body case which is adapt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upper surface of the nozzle housing when the nozzle housing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restrict vertical movement of the nozzle housing in the connecting body case, A mixer comprising an upper surface.
상기 접속바디 케이스는,
상기 노즐하우징의 외측 하면 중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기 위해 수평하게 형성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중앙에서 상기 노즐하우징의 상기 접속노즐이 상기 접속바디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게 하기 위해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하부와, 상기 하부에서 수직하게, 그리고 상기 노즐하우징의 외측 측면과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측부를 포함하는 하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접속노즐이 상기 배기노즐에 결합될 때 상기 배기노즐이 상기 접속노즐을 상측으로 가압하는 힘에 의해 상기 노즐하우징이 상측으로 이동하려 하면, 상기 노즐하우징의 외측 상면 중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되어 상기 노즐하우징의 수직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면을 포함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는 믹서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body case includes:
A support surface formed horizontally to support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nozzle housing and a through hole formed to expose the connection nozzle of the nozzle housing from the center of the support surface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ion body case, A lower case including a lower portion vertically formed at the lower portion and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nozzle housing; And
Wherein when the connection nozzle is coupled to the exhaust nozzle, when the nozzle housing is to be moved upward by a force that the exhaust nozzle presses the connection nozzle upward, when the connection nozzle is coupled to the exhaust nozzle, And an upper case including a restricting surface contac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nozzle housing to limit vertical movement of the nozzle housing.
상기 용기뚜껑은 상기 배기노즐의 외주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하우징은, 상기 접속바디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노즐하우징 바디, 상기 노즐하우징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걸림턱에 걸려 고정되는 돌출턱을 포함하는 로킹패널, 및 상기 노즐하우징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돌출턱을 상기 걸림턱에서 이탈시키기 위해 가압되는 분리패널을 포함하여, 상기 용기뚜껑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믹서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ainer lid includes a latching jaw extending outward from an outer periphery of the exhaust nozzle,
The nozzle housing includes a nozzle housing body accommodated in the connection body case, a locking panel coupled to the nozzle housing body and including a projection protruding from the locking protrusion, the locking panel being coupled to the nozzle housing body, And a detachment panel that is pressed to release the protruding jaw from the latching jaw, the detachable detachable coupling to the container lid.
상기 로킹패널은, 상기 용기뚜껑에 대해 수직이며, 상기 노즐하우징 바디에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는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의 하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돌출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은, 상기 돌출턱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노즐하우징 바디에 결합되는 믹서기.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locking panel comprises a first panel and a second panel perpendicular to the container lid and opposed to each other in the nozzle housing body,
The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lower portions of the first panel and the second panel so as to protrude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panel and the second panel are coupled to the nozzle housing body such that the protruding jaws are rotatable in directions opposite to or opposite to each other.
상기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은, 하방으로 갈수록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점차 두께가 증가하는 경사턱을 내측 측면에 포함하고,
상기 분리패널은, 상기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의 사이에서 상기 경사턱의 상측에 형성된 수평패널, 및 상기 수평패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접속바디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가압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패널은, 상기 가압버튼에 대한 가압에 의해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노즐하우징 바디에 결합되며,
상기 가압버튼에 대한 가압으로 상기 수평패널이 하측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수평패널이 상기 경사턱을 외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돌출턱이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이탈되는 믹서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panel and the second panel include inclined jaws on the inner side surface, the thickness of which gradually increas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lower side,
The separation panel includes a horizontal panel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clined jaw between the first panel and the second panel and a pressing butt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panel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ion body case,
Wherein the horizontal panel is coupled to the nozzle housing body so as to be rotatable up and down by pressing against the pressing button,
The horizontal panel pushes the inclined jaw outward as the horizontal panel is rotated downward by the pressurization of the pressing button, and the first panel and the second panel rotate in directions away from each other, The mixer is detached from the jaw.
상기 로킹패널은, 상기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의 회전 중심이 되는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복원되게 상기 제1 회전축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패널은, 상기 수평패널의 회전 중심이 되는 제2 회전축, 및 상기 수평패널이 상측으로 복원되게 상기 제2 회전축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믹서기.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locking panel includes a first rotation axis which is a rotation center of the first panel and a second panel and a second rotation axis which is a rotation center of the first panel and the second panel,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Wherein the separation panel further comprises a second rotation shaft which is a center of rotation of the horizontal panel and a second elastic member which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second rotation axis so that the horizontal panel is restored upward.
상기 스탠드부는, 상기 저면부의 상측으로 연장하는 기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바디는, 상기 기둥부재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기둥 홀더부를 더 포함하는 믹서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and portion includes a column member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portion,
Wherein the connecting body further includes a column holder portion movably coupled to the column member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상기 기둥 홀더부는, 상기 기둥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부는, 상기 기둥부재의 외주에 구비된 제3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탄성부재는, 상기 기둥 홀더부의 하강에 의해 압축되어 상기 기둥홀더부에 대해 상측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믹서기.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lumn holder portion includes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column member is inserted,
The stand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third elastic member provided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pillar member,
And the third elastic member is compressed by the lowering of the column holder portion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in an up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lumn holder portion.
상기 접속씰부재는 외주면에 제4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4 탄성부재는, 상기 접속노즐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접속하우징과 상기 접속씰부재 사이에서 압축되고, 상기 접속노즐이 상기 배기노즐과 분리되면 상기 접속하우징에 지지되며 상기 접속노즐이 이동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되돌아오도록 하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믹서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seal member further comprises a fourth elastic member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Wherein the fourth elastic member is compressed between the connection housing and the connection seal member when the connection nozzle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supported by the connection housing when the connection nozzle is separated from the exhaust nozzle,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for return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one direction.
상기 접속바디는, 상기 용기의 높이에 대응되는 위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상기 노즐하우징이 다양한 높이의 용기에 탈착 가능한 믹서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body is adjustable in height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container so that the nozzle housing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container having various height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1195A KR101750798B1 (en) | 2016-08-09 | 2016-08-09 | Blen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1195A KR101750798B1 (en) | 2016-08-09 | 2016-08-09 | Blend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50798B1 true KR101750798B1 (en) | 2017-06-26 |
Family
ID=59282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1195A Active KR101750798B1 (en) | 2016-08-09 | 2016-08-09 | Blend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0798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57499A (en) | 2017-11-20 | 2019-05-29 | 송정식 | blender |
EP3708048A4 (en) * | 2017-11-14 | 2021-01-06 | Guangdong Midea Consumer Electrics Manufacturing Co., Ltd. | Food processo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4120868U (en) | 2014-06-09 | 2015-01-28 | 曾翠南 | A kind of Household vacuum mixer |
KR101490888B1 (en) | 2014-10-22 | 2015-02-06 | 주식회사 신성산업 | Device for mixer with vacuum |
KR101582977B1 (en) * | 2015-05-08 | 2016-01-06 | (주)제이월드텍 | Blender |
-
2016
- 2016-08-09 KR KR1020160101195A patent/KR10175079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4120868U (en) | 2014-06-09 | 2015-01-28 | 曾翠南 | A kind of Household vacuum mixer |
KR101490888B1 (en) | 2014-10-22 | 2015-02-06 | 주식회사 신성산업 | Device for mixer with vacuum |
KR101582977B1 (en) * | 2015-05-08 | 2016-01-06 | (주)제이월드텍 | Blender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708048A4 (en) * | 2017-11-14 | 2021-01-06 | Guangdong Midea Consumer Electrics Manufacturing Co., Ltd. | Food processor |
US11717798B2 (en) | 2017-11-14 | 2023-08-08 | Guangdong Midea Consumer Electric Manufacturing Co., Ltd. | Food processor |
KR20190057499A (en) | 2017-11-20 | 2019-05-29 | 송정식 | blend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70231431A1 (en) | Blender | |
US10869577B2 (en) | Food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 |
KR101674164B1 (en) | Vaccum blender | |
KR20200024781A (en) | Blender with safety mechanism | |
KR101760710B1 (en) | Vertical moving and swing type blender | |
KR101750798B1 (en) | Blender | |
KR102412015B1 (en) | food processing equipment system | |
KR101673246B1 (en) | Vaccum blender | |
KR101582977B1 (en) | Blender | |
KR20180077123A (en) | Blender | |
KR101836074B1 (en) | vacuum device of sub container for blender | |
CN110192767A (en) | Lid and cooking apparatus | |
KR101695733B1 (en) | Vaccum blender | |
KR20170070870A (en) | Standard container vacuum apparatus using a blender | |
KR101750797B1 (en) | Blender and sealing device used for the same | |
KR101873900B1 (en) | Blender | |
KR20160004201U (en) | Supporting container for vaccum blender | |
WO2011036824A1 (en) | Rotary food processing device | |
KR101774534B1 (en) | Blender | |
JP3949645B2 (en) | food processor | |
KR101645867B1 (en) | Mixer with a safety device | |
KR20170098611A (en) | Elevator type mixer | |
JP4390696B2 (en) | mixer | |
CN216116116U (en) | Vacuum box | |
CN217245622U (en) | Flip feeding bott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11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6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