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0653B1 - A multi band-saw cut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 multi band-saw cutt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0653B1 KR101750653B1 KR1020160021306A KR20160021306A KR101750653B1 KR 101750653 B1 KR101750653 B1 KR 101750653B1 KR 1020160021306 A KR1020160021306 A KR 1020160021306A KR 20160021306 A KR20160021306 A KR 20160021306A KR 101750653 B1 KR101750653 B1 KR 1017506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rkpiece
- tensioner
- band saw
- roller
- ban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7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6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470 frozen dough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95 desor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B—SLAUGHTERING
- A22B5/00—Accessories for use during or after slaughtering
- A22B5/0017—Apparatus for cutting, dividing or deboning carcasses
- A22B5/0052—Severing the head or the jaw of a carcass, slaughterhouse operations on animal hea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7/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not covered b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B23D45/00 - B23D55/00
- B23D57/02—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not covered b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B23D45/00 - B23D55/00 with chain s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띠톱을 사용하여 피가공물이 한번 이송되는 동안 복수 회의 커팅 작업을 할 수 있는 다중 띠톱 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커팅장치는, 피가공물(W)의 가공영역(CA)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 배치되어 구동풀리부와 아이들러부 사이를 가로지르는 복수 개의 띠톱의 커팅 방향을 전환하는 롤러어셈블리(80);를 포함하며, 구동풀리부와 아이들러부가 피가공물의 이송방향에 대해 가공영역의 폭 방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져 배치됨에 따라, 띠톱이 상기 피가공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피가공물의 가공영역에 마련되어 피가공물을 이송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이송가이드판(90)에는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가이드부가 마련되되,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띠톱의 위치를 벗어난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피가공물(W)을 밀어 상기 띠톱이 배치된 영역을 통과시키되, 상기 띠톱을 회피하는 복수 개의 회피홈(22)이 마련된 푸쉬바(21)에는 상기 제1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는 제2가이드부가 구비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t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band cutting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a plurality of cutting operations while a workpiece is being transported by using a plurality of band saws.
The cut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ller assembly 80 which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a machining area CA of a work W interposed therebetween to switch the cutting direction of a plurality of band saws crossing between the drive pulley part and the idler part, And the band saw is sequentially disposed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workpiece as the drive pulley portion and the idler portion are disposed obliquely inclin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ork area with respect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work piece.
A plurality of first guide portions are provided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n the conveying guide plate 90 provided in the machining area of the workpiece to guide the workpiece in the conveying direction. The first guide portion is located at a position deviated from the position of the band saw And the push bar 21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voidance grooves 22 for passing the workpiece W through the area where the band saw is disposed and avoiding the band saw is guided by the first guide part A second guide portion is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띠톱을 사용하여 피가공물이 한번 이송되는 동안 복수 회의 커팅 작업을 할 수 있는 다중 띠톱 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t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band cutting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a plurality of cutting operations while a workpiece is being transported by using a plurality of band saws.
냉동육을 커팅할 때에는 사람이 톱으로 냉동육을 직접 자르거나, 기계에 냉동육을 집어 넣어 자르는 방식이 사용되어 왔다.When cutting a frozen meat, a person cuts the frozen meat directly with a saw, or a method of cutting a frozen meat into a machine and cutting it has been used.
종래의 거의 모든 종류의 냉동육 절단용 기계는 띠톱으로 냉동육을 절단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냉동육의 경우 원반형 톱날을 사용하면 냉동육과 원반형 톱날의 원반 부분과의 마찰이 지나치게 많이 일어나 열이 발생함으로써 냉동되어 있던 고기의 표면이 녹아 색이 변하거나 변질되거나 맛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커팅 과정 중에 냉동육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는 띠톱으로 냉동육을 절단하는 방식이 적용되어 왔다. 이러한 띠톱의 두께는 대략 0.6mm 내외이고, 그 폭 역시 15mm 내외에 불과하다.Conventionally, almost all kinds of frozen meat cutting machines use a band saw to cut frozen meat. In the case of the frozen meat, when the disk saw blade is used, the friction between the frozen meat and the disk portion of the disk saw blade is excessively increased, and heat is generated, so that the surface of the frozen meat melts to change the color or deteriorate taste. Accordingly, a method of cutting a frozen dough with a band saw that minimizes friction with the frozen dough during the cutting process has been applied. The band saw has a thickness of about 0.6 mm and a width of about 15 mm.
그런데 이러한 냉동육 절단용 띠톱 기계는 하나의 띠톱만으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냉동육을 절단할 때에는 한번에 하나의 커팅이 이루어지는 작업을 여러 번 함으로써 냉동육을 원하는 두께로 자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However, most of these band saw machines for cutting frozen meat were composed of only one band saw. Therefore, when cutting the frozen meat, it is common to cut the frozen meat to a desired thickness by performing the operation of performing one cutting at a time several times.
여러 개의 띠톱을 나란히 배치하면 한번의 동작만으로도 여러 부분으로 냉동육을 커팅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지만, 띠톱을 이송하는 구성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복수 개의 띠톱을 나란히 배열하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 일이었고, 복수 개의 띠톱을 배열했다손 치더라도 그 띠톱들이 모두 동일한 이송조건으로 작동하도록 장치를 구현하는 것은 굉장히 풀기 힘든 숙제였다.It is very difficult to arrange a plurality of band saws in parallel because the structure for feeding the band saw is very complicated and it is very difficult to arrange a plurality of band saws It was a very difficult task to implement the device so that all of the band saws would operate under the same transfer conditions.
이에 등록특허공보 제1189726호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골절기가 개발되기도 하였으나, 이는 제대로 작동할 수 없는 구조였다. 특히 띠톱을 완전히 뒤집는 궤도 형태는 띠톱이 무한궤도 이송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비틀림(토션)이 반복될 수밖에 없어 피로파괴의 원인이 되었고, 이로 인해 띠톱이 쉽게 파단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장치의 특성 상 단 하나의 띠톱이 파손되어도 장치 전체를 멈추어야 하기 때문에, 이렇듯 잦은 띠톱의 파손은 오히려 작업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Therefore, a fracture period as shown in Patent Publication No. 1189726 has been developed, but this structure has failed to operate properly. Particularly, in the form of a track which completely reverses the band saw, the band saw is repeatedly twisted (torsion) repeatedly as the band saw is transferred to the endless track, causing fatigue breakdown, which causes the band saw to be easily broken.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even if only one band saw is broken, the whole device must be stopped, so frequent breakage of the band saw causes the operation efficiency to be lowered.
또한 이와 같은 골절기는, 복수 개의 띠톱의 이송 조건을 균일하게 하기가 굉장히 어려운 구조이기 때문에 하중이 집중되는 영역에서 부속품의 마모가 크게 일어나 음식물인 냉동육에 금속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such a fracture period has a problem in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uniformize the feeding conditions of a plurality of band saws, so that abrasion of the accessories occurs largely in a region where loads are concentrated, and metal foreign substances are introduced into frozen dough, which is food.
아울러, 이러한 골절기는 복수 개의 띠톱에 동시에 커팅을 하여 복수 개의 띠톱에 모두 하중이 걸리기 때문에, 복수 회의 커팅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을 정도의 출력을 가지는 구동수단을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such a breaking device cuts a plurality of band saws at the same time and a load is applied to all of the plurality of band saws, there is a problem that driving means having an output capable of performing a plurality of cutting operations simultaneously must be used.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복수 개의 띠톱을 나란히 배열하여 커팅 작업이 가능하되, 부품 수의 증가를 최소화하면서도 복수 회의 커팅 작업이 한번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커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utting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 cutting operation by arranging a plurality of band saws side by side while minimizing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
또한 본 발명은, 피가공물이 이송되는 동안 복수 회의 커팅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고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구동수단의 출력을 크게 낮춘 커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tting apparatus in which the output of the driving means is greatly reduced by allowing a plurality of cutting operations to be performed sequentially, not simultaneously, while the workpiece is being transported.
또한 본 발명은, 복수 회의 커팅 작업을 순차적으로 하면서도 커팅된 피가공물의 이송이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한 커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tting apparatus that smoothly carries out a cutting work while sequentially performing a plurality of cutting operations.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띠톱 중 어느 하나라도 파손된 경우, 즉시 이를 감지하고 장치를 비상 정지시킴으로써, 띠톱의 파손으로 인해 장치에 손상이 가거나 작업자가 다칠 수 있는 가능성을 없앤 커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tting device for eliminating the possibility of damage to the device or damage to the device due to breakage of the band saw by immediately detecting and stopping the device when any one of the band saws is broken The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띠톱이 감겨 있는 복잡한 구조에서도, 띠톱의 교체나 관련 부품의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커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utt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that enables easy replacement of a band saw and maintenance of related parts even in a complicated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and saws are wound.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구동풀리축(45)에 축설된 구동풀리부(50); 상기 구동풀리부로부터 연직방향으로 이격 위치하는 아이들러축(47)에 축설된 아이들러부(70); 상기 구동풀리부와 상기 아이들러부에 축방향을 따라 나란히 감기는 복수 개의 띠톱(44); 상기 구동풀리부와 아이들러부 사이에 배치되되, 피가공물(W)의 가공영역(CA)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 배치되어 구동풀리부와 아이들러부 사이를 가로지르는 띠톱의 커팅 방향을 전환하는 롤러어셈블리(80);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풀리부와 아이들러부가 상기 피가공물의 이송방향에 대해 가공영역의 폭 방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져 배치됨에 따라, 상기 띠톱이 상기 피가공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커팅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iving device comprising: a driving pulley part (50) axially installed on a driving pulley shaft (45); An idler portion (70) axially installed on an idler shaft (47) positioned vertically away from the drive pulley portion; A plurality of band saws (44) wound around the drive pulley portion and the idler portion along the axial direction; A roller assembly disposed between the driving pulley section and the idler s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a machining area CA of the workpiece interposed therebetween to switch the cutting direction of the band saw across the driving pulley section and the idler section, Wherein the driving pulley portion and the idler portion are disposed obliquely inclin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orking region with respect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workpiece so that the band saw is sequentially disposed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workpiece Thereby providing a cutting device.
상기 롤러어셈블리(80)는, 상기 복수 개의 띠톱의 제1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복수 개의 제1측면 지지롤러(8031)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띠톱의 후면을 각각 지지하는 복수 개의 후면 지지롤러(8032)가 설치된 제1 롤러유닛(803);과 상기 복수 개의 띠톱의 제2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복수 개의 제2측면 지지롤러(8041)이 설치된 제2 롤러유닛(804);을 포함하며, 상기 제1롤러유닛과 제2롤러유닛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The roller assembly (8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side support rollers (8031) for respectively supporting first sid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band saws, and a plurality of rear support rollers And a
상기 제1측면 지지롤러(8031)과 상기 제2측면 지지롤러(8041)은 띠톱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후면 지지롤러(8032)는 상기 제1측면 지지롤러(8031)보다 상기 피가공물(W)의 가공영역(CA)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The first
상기 피가공물의 가공영역에 마련되어 피가공물을 이송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이송가이드판(90)에는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가이드부가 마련되되,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띠톱의 위치를 벗어난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피가공물(W)을 밀어 상기 띠톱이 배치된 영역을 통과시키되, 상기 띠톱을 회피하는 복수 개의 회피홈(22)이 마련된 푸쉬바(21)에는 상기 제1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는 제2가이드부가 구비된다.A plurality of first guide portions are provided along a conveyance direction on the
상기 제1가이드부는 피가공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901)이고,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푸쉬바의 적어도 선단부 하단 부근에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진 상태로 전후 이송 가이드되는 가이드돌기(23)이다.The first guide part is a
상기 복수 개의 띠톱은 상기 피가공물의 이송방향(w)을 따라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 단부를 향해 비스듬히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공영역(CA)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피가공물의 타측 단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피가공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 지그(93)가 구비된다.The plurality of band saws are arranged obliquely sequentially from one end toward the other end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w of the workpiece, and the other end of the workpiece is held in a state of gripping the other end of the workpiece And a
상기 복수 개의 띠톱은, 일측이 텐셔너풀리축(46)에 축설된 복수 개의 텐셔너암 플레이트(63) 타측에 각각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복수 개의 텐셔너풀리(61)에 감기며, 상기 각각의 텐셔너암 플레이트(63)는 띠톱에 장력을 가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고, 상기 복수 개의 텐셔너암 플레이트(6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띠톱에 장력을 가하는 방향으로 소정 범위를 넘어서 선회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는 절단 감지부(69)가 설치된다.The plurality of band saws are wound on a plurality of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개의 띠톱을 가공 영역에서 폭 방향으로 나란히 이격 배치하여 피가공물을 한번 이송하는 것만으로도 복수 회의 커팅이 가능하다. 아울러, 복수 개의 띠톱이 가공 영역에서 피가공물이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하나씩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띠톱을 구동하는 구동수단의 동력이 크지 않더라도 커팅 가공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and saws can be cut plural times by arranging the band saw to be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machining area and transporting the workpiece once. In addition, since the plurality of band saws are arranged one after anoth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orkpiece is transported in the machining area, cutting processing is possible even if the power of the drive means for driving the band saw is not larg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피가공물의 긴 이송 경로에서 커팅 작업을 순차적으로 하더라도 커팅이 이루어진 피가공물의 이송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피가공물의 이송 구조와 커팅 구조가 서로 닿거나 부딪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cutting operation is sequentially performed in the long conveying path of the workpiece, it is possible to smoothly convey the workpiece to be cut, and prevent the transfer structure and the cutting structure of the workpiece from touching each other or colliding with each other .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 하나의 띠톱이라도 끊어진 경우, 이를 즉시 감지하고 장치를 자동으로 비상 정지시킴으로써, 안전사고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only one band saw is broken, it is detected immediately and the apparatus is automatically stopped in an emergency, whereby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can be prevented originall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해체 결합 구조가 단순하여 띠톱의 교체나 관련 부품의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assembly-bonding structure is simple, so that replacement of the band saw and maintenance of the related parts can be facilitated.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커팅장치의 커팅부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커팅부 어셈블리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커팅부 어셈블리를 축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커팅부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커팅부 어셈블리의 가공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 단면도,
도 7은 커팅부 어셈블리에서 띠톱의 구동과 관계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띠톱의 커팅 방향 정렬 기능을 수행하는 롤러어셈블리의 하부고정롤러부의 정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하부고정롤러부의 후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하부고정롤러부와 마주하며 설치되는 하부이동롤러부의 후면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하부고정롤러부와 도 10의 하부이동롤러부가 마주하여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
도 12는 하부고정롤러부와 하부이동롤러부에 설치된 측면 지지롤러와 후면 지지롤러에 의해 띠톱이 가이드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평면도,
도 13은 커팅부 어셈블리에서 피가공물의 가공과 이송을 위한 영역을 나타내기 위해 관련 구성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이송가이드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이송가이드판에서 이동 이송가이드판 부분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6은 도 14의 이송가이드판을 나타낸 우측면도,
도 17은 상기 이송가이드판 상에서 피가공물을 이송하는 푸쉬바를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푸쉬바를 나타낸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텐셔너부의 우측면도,
도 20은 도 19의 텐셔너부에서 하나의 텐셔너풀리 유닛만 남겨두고 나머지 텐셔너풀리 유닛들은 생략한 상태의 측면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텐셔너풀리 유닛에서 일측 텐셔너암 플레이트를 생략한 상태의 확대 사시도, 그리고
도 22는 도 21의 텐셔너부를 축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t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tting subassembly of a cut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cutting portion assembly of FIG. 2;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tting portion assembly of FIG. 2 taken in an axial direction,
Figure 5 is a top view of the cutting portion assembly of Figure 2,
FIG. 6 is a planar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achining surface of the cutting portion assembly of FIG. 5;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driving of the band saw in the cutting portion assembly,
8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fixing roller portion of the roller assembly performing the cutting direction aligning function of the band saw,
Fig. 9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fixing roller unit of Fig. 8,
FIG. 10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lower moving roller portion installed to face the lower fixing roller portion of FIG. 9,
FIG. 11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fixing roller portion of FIG. 9 and the lower moving roller portion of FIG.
12 is an enlarged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nd saw is guided by the side supporting rollers and the rear supporting rollers provided on the lower fixing roller portion and the lower moving roller portion,
Figure 1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levant configuration to indicate areas for machining and transporting the workpiece in the cutting subassembly,
14 is a plan view showing a conveyance guid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ing conveying guide plate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conveying guide plate in Fig. 14,
Fig. 16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the conveyance guide plate of Fig. 14,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sh bar for transferring a workpiece on the transfer guide plate,
18 is a plan view showing the push bar of Fig. 17,
19 is a right side view of the tensioner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0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tensioner unit of FIG. 19, with only one tensioner pulley unit remaining but the remaining tensioner pulley units omitted; FIG.
FIG. 21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tensioner pulley unit of FIG. 20 in which one side tensioner arm plate is omitted, and
22 is an axial view of the tensioner portion of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infor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커팅장치의 커팅부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커팅부 어셈블리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커팅부 어셈블리를 축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커팅부 어셈블리의 평면도, 그리고 도 6은 도 5의 커팅부 어셈블리의 가공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과 도 5에는 띠톱(44)이 생략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utting portion assembly of the cu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cutting portion assembly of Figure 2,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cutting portion assembly of Figure 2, Fig. 5 is a plan view of the cutting subassembly of Fig. 2, and Fig. 6 is a plan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machining surface of the cutting subassembly of Fig. 1 to 3 and 5, the
본 발명의 커팅장치는 피가공물(W)에 대한 커팅을 수행하는 커팅부 어셈블리(40)를 고정 지지하고 커팅 가공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커팅부 프레임(30)을 포함한다. 또한 커팅부 프레임(30)의 일측(도면 상 좌측)에는 상기 커팅부 프레임(30)의 커팅 가공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피가공물(W)을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이송부(20)가 마련되고, 이러한 이송부(20)는 이송부 프레임(10)에 의해 지지되며 설치된다. 피가공물(W)은 도면 상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송되며 커팅 가공이 이루어진다.The cut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커팅부 어셈블리(4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고정 플레이트(41)와 탈착 플레이트(42) 사이에, 구동풀리부(50)의 양단과 텐셔너부(60)의 양단과 아이들러부(70)의 양단이 각각 지지되는 구조이다. 고정 플레이트(41)와 탈착 플레이트(42)는 모두 커팅부 어셈블리(40)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된다. 다만 탈착 플레이트(42)는 커팅부 프레임(30)에 있는 지지 암(31) 상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데, 지지 암(31)은 커팅부 프레임(30)에 대해 힌지(32)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탈착 플레이트(42)의 받침 블록(43)은 지지 암(31) 상에 올려진 상태에서 지지암(31)에 체결된다. 따라서 받침 블록(43)과 지지 암(31) 사이의 체결을 해제하고 지지 암(31)을 회동시켜 힌지(32)를 중심으로 눕히게 되면, 탈착 플레이트(42)는 커팅부 프레임(30)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된다. 이는 후술할 띠톱(44)을 포함한 커팅부 어셈블리의 다른 구성의 유지 보수와 교체에 유리한 구조이다.The cutting
커팅부 어셈블리(40)에는 피가공물(W)을 커팅하기 위한 복수 개(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0개)의 환 형의 띠톱을 감아 회전시키는 구동풀리부(50), 텐셔너부(60) 및 아이들러부(70)가 설치되며, 이들은 그 양단이 고정 플레이트(41)와 탈착 플레이트(42)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구동풀리축(45), 텐셔너 지지축(46) 및 아이들러축(47)에 각각 축설된다. The cutting
구동풀리축(45)에 축설되는 구동풀리(51)는 구동풀리축(45)과 일체로 회전한다. 또한 구동풀리축(45)은, 그 일측 단부에서, 구동모터(49)로부터 벨트(미도시) 등의 동력 전달 수단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상기 구동모터(49)는 커팅부 프레임(30)에 고정된다. 구동풀리(51)는 복수 개의 띠톱이 함께 감겨질 수 있도록 통째로 하나의 풀리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복수 개의 띠톱이 각각 감겨질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개별적인 풀리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어쨌든 구동풀리(51)는, 구동모터(49)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풀리축(45)에 고정되어, 구동풀리축(45)과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The
구동풀리(51)에서 구동되어 궤적을 선회하는 띠톱(44)은 텐셔너부(60)의 텐셔너풀리(61)에 감기고 아이들러풀리(71)에 감겨진 후 다시 구동풀리(51)로 되돌아온다. The band saw 44 which is driven by the
텐셔너부(60)에 설치된 복수 개의 텐셔너풀리(61)는 각각 한 쌍의 텐셔너암 플레이트(63) 사이에서 각각의 텐셔너풀리축(62)에 축설되어 지지된다. 즉 하나의 텐셔너풀리(61) 양측에는 한 쌍의 텐셔너암 플레이트(63)가 설치되고, 텐셔너풀리(61)는 이 한 쌍의 텐셔너암 플레이트(63)에 그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텐셔너풀리축(62)에 축설된다. 하나의 텐셔너풀리(61), 그 양측에 배열되는 한 쌍의 텐셔너암 플레이트(63), 그리고 한 쌍의 텐셔너암 플레이트(63)에 고정된 텐셔너풀리축(62)을 하나의 텐셔너풀리 유닛이라 하였을 때, 텐셔너부(60)는 이러한 복수 개의 텐셔너풀리 유닛이 각각 텐셔너 지지축(46)에 지지된 구조라 할 수 있다. 즉 각각의 텐셔너풀리 유닛의 텐셔너암 플레이트(63)는 텐셔너 지지축(46)에 독립적으로 끼워진 구조이고, 텐셔너 지지축(46)에 대해 각각의 텐셔너풀리 유닛의 텐셔너암 플레이트(63) 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다. 복수 개의 텐셔너풀리(61)는 개별적으로 자신만의 텐셔너풀리축(62)에 축설되므로,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 자유롭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텐셔너풀리(61)는 텐셔너 지지축(46)을 중심으로 선회(공전) 가능하고, 텐셔너풀리축(62)을 중심으로 회전(자전) 가능하다. 텐셔너부(60)에 대한 상세한 구조는 후술한다.A plurality of tensioner pulleys 61 provided on the
아이들러부(70)에는 복수 개의 개별적인 아이들러풀리(71)가 아이들러축(47)에 각각 축설되어 있으며, 이들 아이들러풀리(71)는 아이들러축(47)에 대해 회전 자유롭게, 그리고 복수 개의 아이들러풀리(71) 간에도 상호 독립적으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다.A plurality of individual idler pulleys 71 are provided in an
커팅 가동은 띠톱(44)이 아이들러풀리(71)에서 다시 구동풀리(51)로 되돌아오는 구간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구동풀리(51)에서 텐셔너풀리(61)로 선회하는 띠톱 구간(A)과 가공 영역(CA)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 반면, 아이들러풀리(71)에서 구동풀리(51)로 선회하는 띠톱 구간(B)은 가공 영역(CA) 내에 존재하며, 띠톱의 커팅 방향이 좌우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틀어진다. 이러한 띠톱의 커팅 방향 정렬은 후술할 롤러어셈블리(80)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톱(44)은 롤러어셈블리(80)에 의해 소정의 구간(S)에서 틀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띠톱(44)이 감기는 풀리(51, 71)는 피가공물(W)의 이동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놓이게 되며, 본 발명은, 풀리가 비스듬히 놓임으로 인해 비스듬히 배치되는 띠톱(44)의 가공 영역(CA)에서의 커팅 방향을 피가공물(W)의 이송방향과 나란하게 정렬함으로써, 피가공물(W)이 가공 영역(CA)에서 한번 이송되는 동작 중에 복수 회의 커팅 가공이 순차적으로 한꺼번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하나의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cutt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a section where the band saw 44 returns from the
이하 피가공물의 이동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배열되는 띠톱을 커팅 방향으로 정렬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커팅부 어셈블리에서 띠톱의 구동과 관계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띠톱의 커팅 방향 정렬 기능을 수행하는 롤러어셈블리의 하부고정롤러부의 정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하부고정롤러부의 후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하부고정롤러부와 마주하며 설치되는 하부이동롤러부의 후면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하부고정롤러부와 도 10의 하부이동롤러부가 마주하여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 그리고 도 12는 하부고정롤러부와 하부이동롤러부에 설치된 측면 지지롤러와 후면 지지롤러1에 의해 띠톱이 가이드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평면도이다.Hereinafter, a structure for aligning the band saw arranged at an angl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workpiece in the cutting direction will be described. 8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lower fixing roller portion of a roller assembly that performs a function of aligning the cutting direction of the band saw, Fig. 9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lower fixing roller portion of the lower fixing roller portion of Fig. 8, Fig. FIG. 10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moving roller unit installed to face the lower fixing roller unit of FIG. 9, and FIG. 11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fixing roller unit of FIG. And FIG. 12 is an enlarged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nd saw is guided by the side supporting rollers and the rear supporting rollers 1 provided on the lower fixing roller portion and the lower moving roller portion.
도 7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띠톱(44)을 구동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구동풀리(51), 텐셔너풀리(61) 및 아이들러풀리(71)가 배치되고, 아이들러풀리(71)와 구동풀리(51) 사이의 공간에는 띠톱의 커팅 방향을 피가공물의 이송 방향으로 틀어 주는 롤러어셈블리(80)가 배치된다. 롤러어셈블리(80)는 서로 상하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부롤러부(81,82)와 하부롤러부(86,87)를 포함한다. 아이들러풀리(71)로부터 감겨져 나와 구동풀리(51)로 이동하는 띠톱(44)은 상부롤러부(81,82)를 거치며 그 커팅 방향이 틀어져서 피가공물의 이송 방향과 일치하게 되고, 다시 하부롤러부(86,87)를 거치며 그 커팅 방향이 풀리의 원주면 방향과 일치하도록 되돌아가게 된다(도 4 참조). 가령 띠톱(44)이 상부롤러부를 거치면서 30도 + 방향으로 틀어졌다면, 다시 하부롤러부를 거치면서 30도 - 방향으로 틀어져 그 방향이 제 위치로 돌아가는 것이다.7, a
상부롤러부(81,82)는 가공 영역(CA)의 면을 중심으로 하부롤러부에 대해 대칭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하 롤러어셈블리(80)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 하부롤러부(86,87)를 기준으로 설명한다.Since the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하부고정롤러부(86)는 피가공물의 이송방향(w)에 대해 비스듬히 놓인 고정측 롤러지지판(805)를 구비한다. 고정측 롤러지지판(805) 상에는 제1측면 지지롤러(8031)와 후면 지지롤러(8032)를 구비하는 고정측 롤러유닛(803)이 복수 개 설치되어 있다. 제1측면 지지롤러(8031)과 후면 지지롤러(8032)는 서로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후면 지지롤러(8032)가 제1측면 지지롤러(8031)보다 더 아래쪽에 설치된다. 고정측 롤러유닛(803)이 설치된 상태에서 제1측면 지지롤러(8031)와 후면 지지롤러(8032)는 피가공물의 커팅 방향과 대응하도록 배향(oriented)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0개의 띠톱이 사용됨이 예시되어 있는데, 고정측 롤러유닛(803)은 이에 대응하여 이보다 하나 더 많은 31개가 구비된다. 이는 후술할 띠톱의 가이드 구조로 인한 것인데, 가령 하나의 띠톱에 대해 그 측면이 소정의 고정측 롤러유닛에 설치된 제1측면 지지롤러(8031)에 의해 지지된다면 해당 띠톱의 후면은 소정의 고정측 롤러유닛보다 하나 뒤쪽에 설치된 고정측 롤러유닛의 후면 지지롤러(8032)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고정측 롤러 유닛은 띠톱의 개수보다 하나 더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예컨대 도 8에서 x 표시된 후면 지지롤러(8032)와 y 표시된 제1측면 지지롤러(8031)는 띠톱을 가이드 하지 않는 잉여의 롤러가 된다. 모든 제1측면 지지롤러와 후면 지지롤러를 하나의 바디에 설치하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단위 구조(고정측 롤러유닛)로 구현하면 제작이 간단하고 편리함은 물론, 유지 보수와 교체 과정도 매우 간단하게 된다.Referring to Figs. 8 and 9, the lower
도 10을 참조하면 하부이동롤러부(87)는 고정측 롤러지지판(805)과 대응하도록 비스듬히 놓인 이동측 롤러지지판(806)을 구비한다. 이동측 롤러지지판(806)은 고정측 롤러지지판(805)과 대응하도록 비스듬히 놓이므로, 결국 피가공물의 이송방향(w)에 대해 비스듬히 놓이게 된다. 이동측 롤러지지판(806) 상에는 제2측면 지지롤러(8041)을 구비하는 이동측 롤러유닛(804)이 복수 개 설치되어 있다. 이동측 롤러유닛(804)이 설치된 상태에서 제2측면 지지롤러(8041) 는 피가공물의 커팅 방향과 대응하도록 배향(oriented)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0개의 띠톱이 사용됨이 예시되어 있는데, 이동측 롤러유닛(804)은 이와 동일한 개수인 30개가 구비된다. 이동측 롤러유닛(804)은 후면 지지롤러 없이 띠톱의 대향 측면을 지지하며 가이드하는 제2측면 지지롤러(8041)만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띠톱과 동일한 개수만큼 구비하면 족하다. 모든 제2측면 지지롤러를 하나의 바디에 설치하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단위 구조(이동측 롤러유닛)로 구현하면 제작이 간단하고 편리함은 물론, 유지 보수와 교체 과정도 매우 간단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10, the lower moving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고정롤러부(86)와 하부이동롤러부(87)를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하면, 고정측 롤러유닛(803)과 이동측 롤러유닛(804)이 서로 마주하게 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측 롤러유닛(803)이 이동측 롤러유닛(804)보다 하나 더 구비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고정측 롤러유닛(803)과 이동측 롤러유닛(804)이 서로 마주하면서 제1측면 지지롤러(8031)와 제2측면 지지롤러(8041)이 서로 띠톱(44)의 두께만큼 이격 설치되어 있어서, 그 사이로 띠톱이 지나가며 양측면이 롤러들(8031,8041)에 의해 가이드되고, 당해 띠톱의 후면은 이웃하는 고정측 롤러유닛(803)의 하부측에 설치된 후면 지지롤러(8032)에 의해 안내 지지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상부롤러부(81,8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As shown in FIG. 11, when the lower
본 발명에서는 상부롤러부(81,82) 및 하부롤러부(86,87)를 각각 하나의 구조로 구성하지 않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고정롤러부(81) 및 상부이동롤러부(82)와 하부고정롤러부(86) 및 하부이동롤러부(87)로 분할하여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폐 루프(closed loop) 형태의 띠톱의 장착 내지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탈착 플레이트(42)를 커팅부 프레임(30)과 커팅부 어셈블리(4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상부이동롤러부(82)와 하부이동롤러부(87)를 각각 상부고정롤러부(81)와 하부고정롤러부(86)로부터 분리시키면, 띠톱(44)의 장착 내지 교체가 더욱 용이하게 된다. 상부이동롤러부(82)와 하부이동롤러부(87)를 분리시키는 구조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측 롤러지지판(806)의 일측 단부에 선회축핀(801)을 설치하고, 이동측 롤러지지판(806)의 타측 단부에는 선회방지핀(802)을 설치하여서, 이동롤러부(82,87)를 고정하고자 할 때에는 선회방지핀(802)이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고, 이동롤러부(82,87)를 고정롤러부(81,86)로부터 이격시키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선회방지핀(802)을 탈거하고 선회축핀(801)을 중심으로 이동롤러부(82,87)를 선회 이동(도 11의 화살표 참조)하는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다. 이동롤러부(82,87)는 핸들축(85)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서로 체결되어 있으므로, 핸들축(85)을 잡고 선회축핀(801)을 중심으로 여닫이 문을 열듯이 이동롤러부(82,87)를 분리할 수 있다.The upper moving
한편 이처럼 이동롤러부(82,87)를 열 때, 이동롤러부(82,87)와 함께 이동하는 구성이 이송부(20)와 간섭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커팅부 프레임(30)과 이송부 프레임(10)을 일체로 구성하지 않고 별도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이송부 프레임(10)을 좌측으로 더 밀어내어 이송부 프레임(10)을 커팅부 프레임(30)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에서 이동롤러부(82,87)를 열면, 구성 간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oving
이동롤러부(82,87)와 함께 이동하는 구성으로서는, 가령 상부이동롤러부(82)에 함께 고정된 상부이동보호판(84)을 들 수 있다. 가공 영역(CA)의 상면을 차폐하여 보호하는 상부보호판은, 롤러어셈블리(80)가 고정롤러부(81,86)와 이동롤러부(82,87)로 분할되어 형성되는 형태와 마찬가지로, 상부고정보호판(83)과 상부이동보호판(84)으로 분할 형성되고, 이중 상부이동보호판(84)은 이동롤러부와 함께 거동할 수 있다. 또한 이 외에도, 피가공물(W)의 이송가이드판(90) 역시 고정 이송가이드판(91)과 이동 이송가이드판(92)으로 분할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들 중 이송가이드판(92) 역시, 상부이동보호판(84) 및 이동롤러부(82,87)와 함께 거동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structure that moves together with the moving
이하 이송가이드판(90) 및 피가공물의 이송과 관련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related to the conveyance of the
도 13은 커팅부 어셈블리에서 피가공물의 가공과 이송을 위한 영역을 나타내기 위해 관련 구성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이송가이드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이송가이드판에서 이동 이송가이드판 부분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6은 도 14의 이송가이드판을 나타낸 우측면도, 도 17은 상기 이송가이드판 상에서 피가공물을 이송하는 푸쉬바(21)를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18은 도 17의 푸쉬바를 나타낸 평면도이다.Fig. 1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lated structure for showing an area for machining and transferring a workpiece in a cutting portion assembly, Fig. 14 is a plan view showing a conveyance guid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6 is a right side view of the conveyance guide plate of Fig. 14,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이송가이드판(90)은 상부롤러부(81,82)와 하부롤러부(86,87)에 의해 띠톱(44)의 커팅 방향이 정렬된 구간에 설치된다. 이송가이드판(90)은 피가공물의 이송방향(w)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며, 고정 이송가이드판(91)과 이동 이송가이드판(92) 부분으로 분할 구성된다. 고정 이송가이드판(91)과 이동 이송가이드판(92)의 분할 위치는 롤러어셈블리(80), 그리고 상부보호판(83,84)의 분할 위치와 대응하며, 이들의 분할 위치는 모두 복수 개의 띠톱(44)이 정렬되는 방향에 대응한다. 이동 이송가이드판(92)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롤러부(82,87)를 개방시킬 때 이들과 함께 거동하여 고정 이송가이드판(9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conveying
고정 이송가이드판(91)의 내측에는 가공 영역의 내측면을 보호하는 내측보호고정판(89)이 설치된다. 그리고 내측보호고정판(89)의 상부는 상술한 상부고정보호판(83)과 연결 고정된다(도 2 등 참조).An inner
고정 이송가이드판(91)과 이동 이송가이드판(92)이 서로 맞붙어 고정된 상태에서는 띠톱(44)이 통과하는 관통공(h)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송가이드판(90) 상에는 피가공물의 이송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복수 개의 이송가이드홈(901)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30개의 띠톱이 사용됨을 예시하였는바, 이에 대응하여 이송가이드홈(901)은 31개 마련된다. 이러한 이송가이드홈(901)은 이송가이드판(90)에 있어서 띠톱(44)이 통과하는 위치 내지 관통공(h)과 어긋난 위치에 마련되고, 고정 이송가이드판(91)과 이동 이송가이드판(92)을 서로 체결한 상태에서 각각의 이송가이드판(91,92) 상에 마련된 이송가이드홈(901)은 서로 연결된 형태가 된다.The through hole h through which the band saw 44 passes is formed when the fixed conveying
이송가이드판(90) 상에 놓여진 피가공물을 이송 방향을 따라 미는 방식으로 이송하는 푸쉬바(21)는 이송부 프레임(10)의 이송부(20) 상에 설치되어 이송 방향으로 진퇴 함으로써 피가공물을 이송하게 된다. 푸쉬바는 좌우로 긴 직사각형 형태의 이송가이드판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이송가이드판 상에 놓여진 상태에서 이동한다. 이송가이드판의 선단부로부터 기단부 쪽을 향해서는 이송방향과 대응하는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회피홈(22)이 마련된다. 회피홈(22)은 푸쉬바(21)가 피가공물을 밀어내는 과정에서 가공 영역(CA)에 있는 띠톱(44)과 푸쉬바(21)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0개의 띠톱을 사용하는 구조를 예시하고 있는바, 이에 대응하여 회피홈(22) 역시 30개 마련될 수 있다.The
회피홈(22)의 길이는 모두 동일하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회피홈(22)에 의해 형성되는 외팔보(24) 부분이 지나치게 긴 경우, 외팔보(23)의 강성이 확보되지 않아 흔들리거나 변형되는 경우를 배제할 수 없으므로,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톱의 배열 형태와 대응하도록 회피홈(22)의 길이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팔보(24) 부분의 선단부 하단에 가이드돌기(23)를 하향 돌출 형성하고, 이들 가이드돌기(23)가 이송가이드판(90)의 이송가이드홈(901)에 끼워진 상태로 이송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면, 외팔보(24) 부분이 길어 강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외팔보가 흔들리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lengths of the
외팔보가 흔들리거나 변형되어 띠톱(44)과 닿게 되면 마모가 발생하게 되고, 피가공물(W)이 냉동육과 같은 식품일 경우, 식품에 불순물이 혼입되는 원인이 될 수 있는바, 외팔보(23) 부분의 강성 확보는 매우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When the cantilever beam is shaken or deformed and contacts the band saw 44, wear occurs. If the workpiece W is a food such as a frozen meat, impurities may be mixed into the food. It is very important to secure the rigidity.
이러한 푸쉬바는 서로 길이가 동일한 바 형태의 외팔보 부재를 31개 마련하고, 이들 외팔보 부재 사이에 회피홈(22)의 두께에 해당하는 블록을 30개 개재하여 조립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블록의 길이를 어떻게 설정하는가에 따라 회피홈(22)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푸쉬바는 금속 재질로 제작하거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 가능하며, 이 외에도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Such a push bar may be provided with 31 bar-shaped cantilever members having the same length as each other, and 30 blocks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한편 피가공물(W)을 이송 방향으로 커팅하는 과정에서 피가공물(W)의 커팅 방향이 틀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가령 푸쉬바(21)로 밀어주게 되는 피가공물(W)의 후면이 완전히 평평하지 않고 울퉁불퉁한 경우, 이송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띠톱에 의해 이송되는 피가공물(W)이 한 슬라이스 한 슬라이스 커팅됨에 따라 피가공물(W)이 약간 옆으로 틀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4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가이드판(90)의 일측 단부를 따라 이송 방향(w)으로 이동하는 이송 지그(93)를 설치하고, 이송 지그(93)로 피가공물(W)의 일측면을 단단히 파지한 상태에서 피가공물(W)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송 지그(93)는 피가공물의 좌우측 중 가장 마지막에 커팅이 이루어지는 쪽에 설치되므로, 이송 지그(93)가 피가공물의 일측만을 물고 있더라도 이송 지그(93)가 설치된 쪽의 반대쪽부터 피가공물이 커팅되기 시작하여 30번의 커팅이 순차적으로 모두 일어날 때까지 이송 지그(93)가 처음 붙잡고 있던 피가공물을 잡은 상태를 유지하므로, 피가공물이 커팅되는 과정에서 커팅 방향이 틀어지는 현상이 방지된다.On the other hand, a problem may occur that the cutting direction of the workpiece W is changed in the process of cutting the workpiece W in the transport direction. If the rear surface of the workpiece W to be pushed by the
이러한 이송 지그(93)는 푸쉬바(21)와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도 있고, 푸쉬바(21)와 연동하여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이송 지그(93)는 이송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단지 피가공물을 물고, 푸쉬바(21)가 피가공물(W)을 밀어 냄으로써 푸쉬바의 힘에 의해 피가공물을 물고 있는 이송 지그(93)가 함께 이동하는 방식 또한 가능하다. 또한 용수철 등의 구조를 활용하여, 이송 지그에 아무런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이송 지그가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면, 이송이 완료된 피가공물에 대한 파지를 해지하였을 때 이송 지그가 초기 위치로 자동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Th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 개의 띠톱을 사용하면서도 간단한 구조로 커팅장치를 구현함으로써, 피가공물을 한번 이송하는 것만으로도 한꺼번에 띠톱의 개수만큼 커팅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장 교체가 잦은 띠톱이나 그 외의 다른 부품을 교체함에 있어서도, 이들 부품의 유지 보수가 교체를 위한 장치의 분해가 간편하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ut as many times as the number of band saws simultaneously by implementing the cutting device with a simple structure while using a plurality of band saws. Also, when replacing the band saw or the other parts frequently replaced most frequently, it is easy to disassemble the device for maintenance and replacement of these parts.
본 발명은 고속으로 선회하는 복수 개의 띠톱(실시예에서는 30개)을 사용하므로, 이들 중 단 하나만 끊어지더라도 띠톱이 장치의 다른 부품에 엉키거나 꼬이는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띠톱 중 어느 하나라도 끊어질 경우 장치를 즉시 정지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띠톱마다 개별적으로 텐션을 가하는 텐셔너부에 안전 장치를 구현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lurality of band saws (30 in the embodiment) rotating at high speed are used, even if only one of them is cut off, the band saw may tangle or twist on other parts of the apparatu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mediately stop the apparatus wh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and saws is cut off.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safety device is implemented in a tensioner portion that individually applies tension to each band saw.
도 19는 본 발명의 텐셔너부의 우측면도, 도 20은 도 19의 텐셔너부에서 하나의 텐셔너풀리 유닛만 남겨두고 나머지 텐셔너풀리 유닛들은 생략한 상태의 측면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텐셔너풀리 유닛에서 일측 텐셔너암 플레이트를 생략한 상태의 확대 사시도, 그리고 도 22는 도 21의 텐셔너부를 축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Fig. 19 is a right side view of the tensioner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0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tensioner portion of Fig. 19, leaving only one tensioner pulley unit and the remaining tensioner pulley units omitted, Fig. Fig. 2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tensioner unit of Fig. 21, and Fig. 22 is an axial view of the tensioner unit of Fig. 21. Fig.
도 4와 함께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텐셔너부(60)는 고정 플레이트(41)와 탈착 플레이트(42)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는 텐셔너 지지축(46)에 e-f 방향(도 22 참조)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e 방향은 텐션을 가하는 방향이며 f 방향은 텐션이 해제되는 방향이 된다. 텐셔너부(60)의 양측 단부에는 한 쌍의 텐셔너 지지프레임(67)이 각각 텐셔너 지지축(46)에 회전 자유롭게 축설되고, 한 쌍의 텐셔너 지지축(46)은 가압프레임(68), 절단감지부(69) 및 스토퍼(671)에 의해 서로 연결 고정된다.19 and 22, the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고정 플레이트(41)와 탈착 플레이트(42)에 있어서 상기 텐셔너 지지축(46)과 약간 이격된 위치에는 텐션가압암 지지축(48)이 설치된다. 텐션가압암 지지축(48)의 단부에는 사각볼트 헤드가 구비되어 있어 여기에 공구를 체결하여 텐션가압암 지지축(48)을 돌리는 것이 가능하다. 텐션가압암 지지축(48)에는 텐션가압 제1암(64)이 축설되는데, 텐션가압 제1암(64)은 텐션가압암 지지축(48)과 일체로 거동하도록 텐션가압암 지지축(48)에 고정된다. 텐션가압 제1암(64)의 타단부에는 관절핀(66)을 매개로 텐션가압 제2암(65)이 연결되어 있고, 텐션가압 제2암(65)의 타단부는 상기 가압프레임(68)에 힌지 결합한다. 텐션가압 제2암(65)의 일단부의 제1모서리는 각이 져 있고, 제2모서리는 곡면부(651)가 형성되어 있어서, 텐션가압 제1암(64)과 제2암(65)을 한쪽 방향으로 접었다 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에는 두 암이 " - - " 형태로 펴져 있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곡면부(651) 쪽으로 두 암을 서로 접어 "∧" 형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두 암을 서로 접거나 펼 때에는 앞서 설명한 텐션가압암 지지축(48)의 단부에 마련된 사각볼트 헤드를 활용할 수 있다.4, a tension pressing
텐션가압 제1암(64)과 제2암(65)을 펴면, 텐셔너 지지프레임(67), 스토퍼(671), 가압프레임(68) 및 절단 감지부(69)는 일체로 e 방향으로 회동하고, 텐션가압 제1암(64)과 제2암(65)을 접으면 텐셔너 지지프레임(67), 스토퍼(671), 가압프레임(68) 및 절단 감지부(69)는 일체로 f 방향으로 회동한다.The
텐셔너암 플레이트(63)는 텐셔너 지지프레임(67), 스토퍼(671), 가압프레임(68) 및 절단 감지부(69)와는 별도로 거동하지만, 가압프레임(68)으로부터 탄성가압부재(681)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거동하게 된다. 따라서 텐션가압 제1암(64)과 제2암(65)을 펴면, 가압프레임(68)이 전진하여 탄성가압부재(681)로 텐셔너암 플레이트(63)에 고정된 가압블록(631)을 가압함으로써 텐셔너암 플레이트(63)가 가압되고, 텐셔너암 플레이트(63)에 설치된 텐셔너풀리(61)가 띠톱(44)을 가압하게 된다. 반대로 텐션가압 제1암(64)과 제2암(65)을 접으면, 가압프레임(68)이 후퇴하여 가압블록(631)을 가압하던 탄성가압부재(681)가 느슨해지고, 이에 따라 텐셔너암 플레이트(63)에 대한 가압이 해제된다. 텐션가압 제1암(64)과 제2암(65)을 펴고 접는 구조는, 띠톱의 교체 과정에서 매우 편리하다. 즉 텐션가압 제1암(64)과 제2암(65)을 접은 상태에서는 텐셔너풀리(61)가 충분히 후퇴하기 때문에 띠톱을 교체하기 편리하다.Although the
한편 절단 감지부(69)에는 접점부(691)가 설치되고, 접점부(691)는 텐셔너암 플레이트(63)에 있는 감지블록(632)에 의해 눌려져서 접점이 눌린 상태를 유지한다. 그런데 이 상태에서 갑자기 감겨 있던 띠톱이 끊어지는 경우, 텐셔너풀리(61)와 텐셔너암 플레이트(63)는 탄성가압부재(681)에 의해 e 방향으로 크게 튀어 오르게 되고, 이때 감지블록(632)의 누름이 해제되어 접점부(691)에서 접점이 끊어지게 된다. 이처럼 30개의 접점부 중 어느 하나에서라도 접점이 끊어짐이 감지된 경우, 구동모터(49)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장치를 비상 정지 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cut-off detecting
띠톱이 끊어져 텐셔너풀리(61)와 텐셔너암 플레이트(63)가 튈 때, 이들이 지나치게 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텐셔너 지지프레임(67)의 하단 전방에는 스토퍼(671)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텐셔너풀리(61)와 텐셔너암 플레이트(63)가 튈 때 가압블록(631)의 하단에 형성된 단턱이 스토퍼(671)에 걸림으로써, 텐셔너풀리(61)와 텐셔너암 플레이트(63)가 과도하게 튀어오르는 것이 방지된다.A
가압블록(631)과 탄성가압부재(681)은 복수 개의 텐셔너풀리(61)에 각각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예컨대 30개의 텐셔너풀리(61)가 설치되었다면 탄성가압부재(681) 역시 30개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복수 개의 텐셔너풀리(61)에 대한 개별적인 텐션 가압력 조절이 가능하다. 가령 30개의 탄성가압부재(681)를 개별적으로 가압하는 가압프레임(68)의 30개의 볼트(미도시)를 개별적으로 조이거나 푸는 방식으로 각 텐셔너풀리에 대한 가압력의 미세 조정이 가능하다.The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띠톱 중 어느 하나라도 파단된 경우 즉시 이를 감지하여 커팅 장치를 자동 정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도가 높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y one of a plurality of band saws is broken, the cutting device can be automatically stopped by sensing it immediately, and therefore, safety is high.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a transformation can be made.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effects that can be predicted by the configurations should also be recognized.
10: 이송부 프레임
20: 이송부
21: 푸쉬바
22: 회피홈
23: 가이드돌기
24: 외팔보
30: 커팅부 프레임
31: 지지 암
32: 힌지
40: 커팅부 어셈블리
41: 고정 플레이트
42: 탈착 플레이트
43: 받침 블록
44: 띠톱(band saw)
45: 구동풀리축
46: 텐셔너 지지축
47: 아이들러축
48: 텐션가압암 지지축
49: 구동모터
50: 구동풀리부
51: 구동풀리
60: 텐셔너부
61: 텐셔너풀리
62: 텐셔너풀리축
63: 텐셔너암 플레이트
631: 가압블록
632: 감지블록
64: 텐션가압 제1암
65: 텐션가압 제2암
651: 곡면부
66: 관절핀
67: 텐셔너 지지프레임
671: 스토퍼
68: 가압프레임
681: 탄성가압부재
69: 절단 감지부
691: 접점부
70: 아이들러부
71: 아이들러풀리
80: 롤러어셈블리
801: 선회축핀
802: 선회방지핀
803: 고정측 롤러유닛
8031: 제1측면 지지롤러
8032: 후면 지지롤러
804: 이동측 롤러유닛
8041: 제2측면 지지롤러
805: 고정측 롤러지지판
806: 이동측 롤러지지판
81: 상부고정롤러부
82: 상부이동롤러부
83: 상부고정보호판
84: 상부이동보호판
85: 핸들축
86: 하부고정롤러부
87: 하부이동롤러부
89: 내측보호고정판
90: 이송가이드판
901: 이송가이드홈
91: 고정 이송가이드판
92: 이동 이송가이드판
93: 이송 지그
W: 피가공물
w: 이송 방향
h: 관통공
CA: 가공 영역10: Feeder frame
20:
21: Push bar
22: Avoiding Home
23: Guide projection
24: Cantilever
30: Cutting frame
31: Support arm
32: Hinge
40: Cutting subassembly
41: Fixing plate
42: Desorption plate
43:
44: band saw
45: Driving pulley shaft
46: Tensioner support shaft
47: idler shaft
48: Tension pressure arm support shaft
49: Driving motor
50: driving pulley portion
51: Driving pulley
60: tensioner part
61: tensioner pulley
62: tensioner pulley shaft
63: tensioner arm plate
631: Press block
632: Detection block
64: Tension pressurized first arm
65: Tension pressurized second arm
651:
66: joint pin
67: tensioner supporting frame
671: Stopper
68: Press frame
681: Elastic pressing member
69:
691: Contact part
70: Idler Department
71: idler pulley
80: Roller assembly
801: Pivot pin
802: anti-rotation pin
803: Fixed side roller unit
8031: first side support roller
8032: Rear support roller
804: movable side roller unit
8041: Second side support roller
805: Fixed-side roller supporting plate
806: movable roller supporting plate
81: upper fixing roller portion
82: upper moving roller section
83: upper fixed shroud
84: upper movable plate
85: handle shaft
86: Lower fixing roller portion
87: Lower moving roller section
89: Inner protective plate
90: conveying guide plate
901: Feed guide groove
91: Fixed feed guide plate
92: moving conveyance guide plate
93: Feed jig
W: Workpiece
w: Feed direction
h: Through hole
CA: machining area
Claims (7)
상기 구동풀리부로부터 연직방향으로 이격 위치하는 아이들러축(47)에 축설된 아이들러부(70);
상기 구동풀리부와 상기 아이들러부에 축방향을 따라 나란히 감기는 복수 개의 띠톱(44);
상기 구동풀리부와 아이들러부 사이에 배치되되, 피가공물(W)의 가공영역(CA)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 배치되어 구동풀리부와 아이들러부 사이를 가로지르는 띠톱의 커팅 방향을 전환하는 롤러어셈블리(80);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풀리부와 아이들러부가 상기 피가공물의 이송방향에 대해 가공영역의 폭 방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져 배치됨에 따라, 상기 띠톱이 상기 피가공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커팅장치.
A drive pulley portion 50 provided on the drive pulley shaft 45;
An idler portion (70) axially installed on an idler shaft (47) positioned vertically away from the drive pulley portion;
A plurality of band saws (44) wound around the drive pulley portion and the idler portion along the axial direction;
A roller assembly disposed between the driving pulley section and the idler s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a machining area CA of the workpiece interposed therebetween to switch the cutting direction of the band saw across the driving pulley section and the idler section, (80)
Wherein the drive pulley portion and the idler portion are disposed obliquely inclin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chining area with respect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workpiece so that the band saw is sequentially disposed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workpiece.
상기 롤러어셈블리(80)는,
상기 복수 개의 띠톱의 제1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복수 개의 제1측면 지지롤러(8031)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띠톱의 후면을 각각 지지하는 복수 개의 후면 지지롤러(8032)가 설치된 제1 롤러유닛(803);과
상기 복수 개의 띠톱의 제2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복수 개의 제2측면 지지롤러(8041)이 설치된 제2 롤러유닛(804);을 포함하며,
상기 제1롤러유닛과 제2롤러유닛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커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ller assembly (80)
A plurality of first side support rollers 8031 for supporting the first sid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band saws and a plurality of rear support rollers 8032 for supporting the rea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band saws, (803);
And a second roller unit (804)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side support rollers (8041) for respectively supporting second sid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band saws,
Wherein the first roller unit and the second roller unit are detachably secured to each other.
상기 제1측면 지지롤러(8031)과 상기 제2측면 지지롤러(8041)은 띠톱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후면 지지롤러(8032)는 상기 제1측면 지지롤러(8031)보다 상기 피가공물(W)의 가공영역(CA)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커팅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side support roller 8031 and the second side support roller 8041 are installed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with a band saw interposed therebetween,
Wherein the rear support roller (8032) is disposed closer to the machining area (CA) of the workpiece (W) than the first side support roller (8031).
상기 피가공물의 가공영역에 마련되어 피가공물을 이송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이송가이드판(90)에는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가이드부가 마련되되,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띠톱의 위치를 벗어난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피가공물(W)을 밀어 상기 띠톱이 배치된 영역을 통과시키되, 상기 띠톱을 회피하는 복수 개의 회피홈(22)이 마련된 푸쉬바(21)에는 상기 제1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는 제2가이드부가 구비된 커팅장치.
A plurality of band saws 4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ocessing area CA of the workpiece W. The plurality of band saws are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w of the workpiece W,
A plurality of first guide portions are provided along a conveyance direction on the conveyance guide plate 90 provided in the machining area of the workpiece to guide the workpiece in the conveyance direction, and the first guide portion is provided at a position deviated from the position of the band saw And,
A push bar 21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voidance grooves 22 for passing the workpiece W through an area where the band saw is disposed and avoiding the band saw is provided with a second guide And a cutting device having an additional portion.
상기 제1가이드부는 피가공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901)이고,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푸쉬바의 적어도 선단부 하단 부근에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진 상태로 전후 이송 가이드되는 가이드돌기(23)인 커팅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guide portion is a guide groove 901 formed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workpiece,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is a guide protrusion (23) which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lower end of at least the front end of the push bar and is guided forward and backward in a state of being fitted in the guide groove.
상기 복수 개의 띠톱은 상기 피가공물의 이송방향(w)을 따라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 단부를 향해 비스듬히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공영역(CA)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피가공물의 타측 단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피가공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 지그(93)가 구비되는 커팅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lurality of band saws are arranged obliquely and sequentially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w) of the workpiece,
And a transfer jig (93)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processing area (CA), the transfer jig (93) moving along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workpiece while holding the other end of the workpiece.
상기 구동풀리부로부터 이격 위치하는 아이들러축(47)에 축설된 아이들러부(70);
상기 구동풀리부와 아이들러부로부터 이격 위치하는 텐셔너풀리축(46)에 축설되는 텐셔너부(60); 및
상기 구동풀리부와 텐셔너부와 아이들러부에 감기는 복수 개의 띠톱(44)을 포함하고,
상기 상기 복수 개의 띠톱은, 일측이 텐셔너풀리축(46)에 축설된 복수 개의 텐셔너암 플레이트(63) 타측에 각각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복수 개의 텐셔너풀리(61)에 감기며,
상기 각각의 텐셔너암 플레이트(63)는 띠톱에 장력을 가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고,
상기 복수 개의 텐셔너암 플레이트(6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띠톱에 장력을 가하는 방향으로 소정 범위를 넘어서 선회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는 절단 감지부(69)가 설치된 커팅장치.
A drive pulley portion 50 provided on the drive pulley shaft 45;
An idler portion (70) axially installed on an idler shaft (47) positioned apart from the drive pulley portion;
A tensioner part (60) formed on the tensioner pulley shaft (46) spaced apart from the driving pulley part and the idler part; And
And a plurality of band saws (44) wound around the drive pulley portion, the tensioner portion and the idler portion,
The plurality of band saws are wound on a plurality of tensioner pulleys (61) rotatably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a plurality of tensioner arm plates (63), one side of which is supported on a tensioner pulley shaft (46)
Each of the tensioner arm plates (63) is elastically pressed in a direction to apply tension to the band saw,
And a cutting detection unit (69) for detecting whe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ensioner arm plates (63) is turned over a predetermined range in a direction of applying tension to the band saw.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1306A KR101750653B1 (en) | 2016-02-23 | 2016-02-23 | A multi band-saw cut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1306A KR101750653B1 (en) | 2016-02-23 | 2016-02-23 | A multi band-saw cutting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50653B1 true KR101750653B1 (en) | 2017-06-26 |
Family
ID=59282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1306A Expired - Fee Related KR101750653B1 (en) | 2016-02-23 | 2016-02-23 | A multi band-saw cutt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0653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4017670A1 (en) | 1993-02-05 | 1994-08-18 | Piteå Rostfria Ab | Device for cutting fish |
-
2016
- 2016-02-23 KR KR1020160021306A patent/KR10175065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4017670A1 (en) | 1993-02-05 | 1994-08-18 | Piteå Rostfria Ab | Device for cutting fish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78381B2 (en) | Horizontal band saw machine | |
EP1726391B1 (en) | Chip removing device of band saw machine | |
EP3047961B1 (en) | Welding or cutting unit for an automatic flexible container forming and filling machine | |
ATE464164T1 (en) | MACHINE FOR LENGTH CUTTING WEB-SHAPED MATERIAL, IN PARTICULAR CORRUGATED CARBON | |
US20120216663A1 (en) | Cutting Unit For Labelling Machines | |
WO2014010468A1 (en) | Wire saw and workpiece machining method employing same | |
EP0433286B1 (en) | Slicing machine feeding device | |
US7438096B2 (en) | Veneer composer | |
US5499565A (en) | Belt cutting apparatus | |
KR101750653B1 (en) | A multi band-saw cutting apparatus | |
KR200439542Y1 (en) | Freeze fish cutting machine | |
KR101775214B1 (en) | A Multi Band Sawing Machine | |
US3878744A (en) | Cutting method and apparatus with saw blade deflection | |
JP5758196B2 (en) | Veneer veneer cutting device | |
KR101822956B1 (en) | Cabbage cutting machine | |
US20030167887A1 (en) | Product s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 |
KR102471636B1 (en) | The A safety device to prevent jamming of the transfer rod for shredding radish | |
KR101251448B1 (en) | Meat couuting apparatus | |
KR101538849B1 (en) | Device for cutting metal plate | |
KR101464596B1 (en) | Cutting apparatus | |
CN213053147U (en) | Material belt welding machine | |
JP2005131725A (en) | Cutting device | |
JP2588152B2 (en) | Live fish tightening processing machine | |
JP6046545B2 (en) | Equipment for cutting with a rotary cutter | |
JP6305233B2 (en) | Horizontal band saw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6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