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50513B1 - Auxiliary propulsion apparatus for aircraft and aircraft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uxiliary propulsion apparatus for aircraft and aircraft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0513B1
KR101750513B1 KR1020160147715A KR20160147715A KR101750513B1 KR 101750513 B1 KR101750513 B1 KR 101750513B1 KR 1020160147715 A KR1020160147715 A KR 1020160147715A KR 20160147715 A KR20160147715 A KR 20160147715A KR 101750513 B1 KR101750513 B1 KR 101750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uxiliary propulsion
propulsion device
flight
vehic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77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경호
이동희
이온수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7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51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51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9/0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 F02K9/8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characterised by thrust or thrust vector control
    • F02K9/88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characterised by thrust or thrust vector control using auxiliary rocket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02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16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of jet type
    • B64D27/20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of jet type within, or attached to, fusel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9/0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 F02K9/95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characterised by starting or ignition means or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9/0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 F02K9/97Rocket nozzles
    • B64D2700/62184
    • B64D2700/6276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행체용 보조 추진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일단에 구비되어, 비행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점화부, 상기 점화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추진제 및, 상기 하우징 타단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노즐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propuls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a connecting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housing and rotatably connected to a flying body, an ignition part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 propellant provided in the housing, and a nozzle unit formed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housing.

Description

비행체용 보조 추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비행체{Auxiliary propulsion apparatus for aircraft and aircraft hav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propulsion device for an aircraft,

본 발명은 비행체용 보조 추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비행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행체의 자세 제어를 위한 비행체용 보조 추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비행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propulsion device for a vehicle and a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xiliary propulsion device for a vehicle and a vehicle having the same.

종래 유도 비행체의 경우에는 비행 도중 목표 지점이 유도 비행체의 후방 등으로 변경되는 경우, 공력제어방식과 추력제어방식을 이용하여 비행 방향을 전환하게 되며, 이후 목표 지점으로 나아가게 된다.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guided vehicle, if the target point is changed to the rear side of the guided vehicle during the flight, the direction of the flight is changed using the aerodynamic control method and thrust control method, and then the target point is moved to the target point.

공력제어방식은 유도 비행체의 후방부에 구비되는 후방 날개를 제어함으로써, 유도 비행체 주변의 공력을 발생시켜 이를 이용하여 유도 비행체의 비행 자세를 제어하는 방식이다.The aerodynamic control method controls the rear wing provided on the rear part of the guidance vehicle to generate an aerodynamic force around the guidance vehicle, thereby controlling the flight attitude of the guidance vehicle.

추력제어방식은 비행체의 추진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추진력의 진행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유도 비행체의 비행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유도 비행체의 추진력이 발생되는 노즐부에 jet vane과 같은 별도의 장치가 구비된다.The thrust control method changes the direction of the propulsive force generated from the propulsion device of the flight vehicle, thereby switching the flight direction of the guidance flight vehicle. To this end, a separate device such as a jet vane is provided in the nozzle part where the driving force of the guidance vehicle is generated.

한편, 유도 비행체의 비행 방향 전환을 위해 공력제어방식 및 추력제어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회전이 완료된 후 추진력 손실이 발생하여 유도 비행체의 사거리가 감소하게 되고, 비행 방향 전환시 회전이 완만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회전시간이 많이 소요되면서 목표 지점에 유도 비행체가 도달하는 시간이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using the aerodynamic control method and the thrust control method to change the flight direction of the guidance vehicle, since the driving force loss occurs after the rotation is completed, the range of the guided vehicle is reduced and the rotation is smoothly perform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ime required for the induction vehicle to reach the target point is increased because the rotation time is long.

또한, 유도 비행체의 목표 지점이 움직이는 물체인 경우, 목표지점에 도달하기 위한 추진력이 부족하여 유도 비행체가 목표 지점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target point of the guidance vehicle is a moving object, there is a case that the guidance vehicle does not reach the target point due to lack of driving force to reach the target point.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조 추진력을 이용하여 비행체의 빠른 비행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할뿐만 아니라, 비행체의 빠른 직선 비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목표 지점에 비행체가 안전하게 도달되도록 하는 비행체용 보조 추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비행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ly changing a flight direction of an air vehicle using auxiliary thrus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xiliary propulsion device for a vehicle and a vehicle hav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행체용 보조 추진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일단에 구비되어, 비행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점화부; 상기 점화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추진제; 및 상기 하우징 타단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노즐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xiliary propulsion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housing; A connecting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housing and formed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a flying body; An ignition part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 propellant provided inside the housing to surround at least a part of the ignition part; And a nozzle unit formed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housing.

상기 연결부는, 상기 비행체의 후방 외주에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connected to a rear outer periphery of the air vehicle.

상기 연결부는, 상기 비행체의 후방 외주의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힌지부의 삽입이 가능한 연결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connection hole into which the hinge portion can be inserted so as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hinge portion on the rear outer periphery of the air vehicle.

상기 하우징은, 사각통 형상일 수 있다.The housing may be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tube.

상기 하우징은, 상기 비행체에 자석 결합되도록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housing may include a metal material to be magnetically coupled to the air vehicle.

상기 하우징은, 상기 비행체가 비행 방향을 전환하는 경우, 상기 비행체와 수직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The housing may be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perpendicular to the airplane when the airplane switches the direction of the airplane.

상기 하우징은, 상기 비행체가 직선 비행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비행체와 수평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The housing may be rotated by the connection portion and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with respect to the airplane when the airplane is in a straight fligh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추진장치를 구비한 비행체는, 비행체 본체부; 상기 비행체 본체부 내부에 구비되는 메인 추진장치; 상기 비행체 본체부의 후방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후방 날개; 및 상기 후방 날개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비행체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보조 추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craft having an auxiliary propulsion device, comprising: a flight body unit; A main propulsion unit provided inside the air body unit; A plurality of rear blades provided at a rear portion of the airflow body portion; And an auxiliary propulsion unit provided between the rear wing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air body unit.

상기 비행체 본체부는, 상기 후방 날개 사이의 후방부 외주면에 상기 보조 추진장치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receiving portions for receiving the auxiliary propulsion device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portion between the rear blades.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재 및, 상기 한 쌍의 돌출부재를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조 추진장치의 연결구멍에 삽입되는 힌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pair of protruding member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a hinge portion formed to connect the pair of protruding members and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hole of the auxiliary propelling device .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과 벽면에는, 자력을 발생하는 전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An electromagnet for generating a magnetic force may be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and a wall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상기 수용부의 박닥면과 벽면에는, 상기 보조 추진장치가 면접촉하는지를 감지하는 근접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A proximity sensor for sensing whether the auxiliary propulsion device is in surface contact may be provided on the foaming surface and the wall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행체용 보조 추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비행체에 의하면, 보조 추진력을 이용하여 비행체의 빠른 비행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할뿐만 아니라, 비행체의 빠른 직선 비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auxiliary propuls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not only to change the direction of quick flight of the air vehicle using auxiliary thrust, but also to perform a quick straight flight of the air vehicle.

또한, 보조 추진장치의 보조 추진력에 의해 비행체의 속도 및 사거리가 증가하고, 비행체의 목표 지점에 도달하는 시간이 단축된다.In addition, the auxiliary thrust of the auxiliary propulsion system increases the speed and range of the flight vehicle and shortens the time required to reach the destination of the flight vehicl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행체용 보조 추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추진장치를 구비한 비행체의 제1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추진장치와 비행체의 연결에 따른 보조 추진장치의 자세를 보여주는 제1 상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추진장치를 구비한 비행체의 제1 제2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추진장치와 비행체의 연결에 따른 보조 추진장치의 자세를 보여주는 제2 상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추진장치의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제1 동작 상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추진장치의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제2 동작 상태도이다.
1 is a sectional view of an auxiliary propulsion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irst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vehicle having an auxiliary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irst state view showing the posture of the auxiliary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auxiliary propulsion device and the air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irst, second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craft having an auxiliary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ond state diagram showing the posture of the auxiliary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auxiliary propulsion device and the air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irst operational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auxiliary propul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econd operational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auxiliary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indicate the same member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 including " an elemen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도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행체용 보조 추진장치(100)는 비행체의 빠른 비행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또는, 빠른 직선 비행이 가능하도록 비행체에 보조 추진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하우징(110), 연결부(120), 점화부(130), 추진제(140), 노즐부(150) 및 커넥터(16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auxiliary propulsion device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xiliary propulsion force to a vehicle so as to enable a rapid change in direction of a flight or enable a quick straight flight. A connector portion 120, an ignition portion 130, a propellant 140, a nozzle portion 150, and a connector 160.

비행체용 보조 추진장치(100)는, 하우징(110) 일단에 연결부(120)가 구비되고, 연결부(120)가 비행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하우징(110) 내부에 점화부(130)가 구비되고, 점화부(13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하우징(110) 내부에 추진제(140)가 구비되고, 하우징(110) 타단이 관통되어 노즐부(150)가 형성되고, 점화부(130)에 점화 신호를 전달하는 커넥터(160)가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auxiliary propulsion unit 100 for a vehicle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120 at one end of the housing 110 and a connecting portion 120 rotatably connected to the flying body. The ignition portion 130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10, A propellant 140 is provided in the housing 110 to enclose at least a part of the ignition unit 130 and a nozzle unit 150 is formed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housing 110. The ignition unit 130 A connector 160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to transmit an ignition signal.

이에 따라 비행체용 보조 추진장치(100)는, 비행체의 비행 방향 전환이 요구되는 경우, 연결부(120)를 이용하여 하우징(110)을 비행체에 수직한 상태로 배치하고, 점화부(130) 및 커넥터(160)를 이용하여 추진제(140)를 점화하고, 점화된 추진제(140)에 의해 노즐부(150)를 통해 고온 고압의 가스가 발생되면, 비행체의 외주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출되는 가스에 의해 반동(보조 추진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통해 비행체의 방향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auxiliary propulsion device 100 for a vehicle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housing 110 is vertically disposed on the flying object by using the connecting portion 120 and the ignition portion 130 and the connector When the propellant 140 is ignited using the propellant 160 and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gas is generated through the nozzle unit 150 by the ignited propellant 140 by the gas discharg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airplane (Auxiliary thrust) is generated, and it is possible to make the direction of the flight body change quickly.

또한 비행체용 보조 추진장치(100)는, 비행체의 빠른 직선 비행이 요구되는 경우, 연결부(120)를 이용하여 하우징(110)을 회전시켜 비행체에 수평한 상태로 배치하고, 점화부(130) 및 커넥터(160)를 이용하여 추진제(140)를 점화하고, 점화된 추진제(140)에 의해 노즐부(150)통해 고온 고압의 가스가 발생되면, 비행체의 후방향으로 배출되는 가스에 의해 반동(보조 추진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통해 비행체의 직선 비행이 더욱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auxiliary propulsion unit 100 for a vehicle uses a connecting portion 120 to rotate the housing 110 to horizontally place the flying body in a plane when a quick straight flight of the flying body is required, When the propellant 140 is ignited by using the connector 160 and gas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is generated through the nozzle unit 150 by the ignited propellant 140, Propulsive force) is generated, so that the straight flight of the air vehicle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행체용 보조 추진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상세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n auxiliary propulsion apparatus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하우징(110)은 내부가 빈 사각통 형상일 수 있다. 이는 하우징(110)이 비행체에 면접촉되도록 하여 하우징의 배치 상태 유지를 도와준다. 다만 하우징(110)은 사각통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비행체와 면접촉되는 부분 이외의 부분이 아치형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housing 110 may have a hollow rectangular tube shape. This allows the housing 110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lying body, thereby helping to maintain the arrangement of the housing. However, the housing 110 is not limited to a rectangular tube, but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shape such as an arcuate shape other than a portion that is in surface contact with a flying object.

하우징(110)은, 비행체에 면접촉된 상태에서 비행체와 자석 결합될 수 있도록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비행체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을 통해 비행체와 자석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비행체의 자력 발생에 대해서는 도2 내지 도4를 참고하여 후술한다.The housing 11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so that the housing 110 can be magnetically coupled with the flying body in a state of being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lying body. The housing 110 can be magnetically coupled with the air vehicle through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from the air vehicle. Here, the generation of the magnetic force of the flying body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 to FIG.

하우징(110)은 비행체의 비행 방향 전환 여부에 따라 연결부(120)에 의해 비행체와 수직한 상태로 배치되거나, 또는 수평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The housing 110 may be dispos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flying body by the connecting portion 120 depending on whether the flying direction of the flying body is changed or not.

연결부(120)는 하우징(110) 일단에 구비되어, 비행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20)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반원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nnecting portion 120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housing 110 and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lying body. The connecting portion 120 may be a semicirc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연결부(120)는 소정 부분이 관통되어 연결구멍(P)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구멍(P)에는 비행체의 후방 외주의 힌지부(H, 도3 참고)가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20)는 상기한 힌지부(H, 도3 참고)에 의해 비행체의 후방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portion 120 may be formed with a predetermined portion through which the connection hole P is formed. Here, the hinge portion H (see FIG. 3) of the rear outer periphery of the flying body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 P and connected thereto. The connecting portion 12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ar outer periphery of the flying body by the hinge portion H (see FIG. 3).

점화부(130)는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점화부(130)는 점화화약을 구비할 수 있다. 점화부(130)는 점화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점화화약을 이용하여 추진제(140)를 점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점화신호는 비행체의 제어장치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The ignition part 130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The ignition part 130 may be provided with an ignition powder. When the ignition signal is received, the ignition unit 130 may ignite the propellant 140 using the ignition powder. Here, the ignition signal may be generated from the control device of the air vehicle.

추진제(140)는 비행체에 보조 추진력을 제공하기 위한 연료로서, 점화부(13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추진제(140)는 외주가 하우징(110) 내주면에 면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점화부(13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추진제(140)는 점화부(130)에 의해 점화되면, 고온 고압의 가스를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고온 고압의 가스는 노즐부(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The propellant 140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so as to surround at least a part of the ignition part 130 as a fuel for providing auxiliary propulsion to the air vehicle.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ropellant 140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a hollow may be formed therein so that a part of the ignition portion 130 is inserted. When the propellant 140 is ignited by the ignition unit 130, it may generate gas at a high temperature and a high pressure. Here,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gas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nozzle unit 150.

노즐부(150)는 하우징(110) 타단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노즐부(150)는 추진제(140)의 내부 중공과 연통되며, 추진제(140) 점화에 의해 생성되는 고온 고압의 가스가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가스로 인해 반동이 일어나게 되고, 이러한 반동은 보조 추진력으로서 비행체에 제공될 수 있다.The nozzle unit 150 may be formed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housing 110. The nozzle unit 150 communicates with the inner hollow of the propellant 140 and can discharge gases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generated by ignition of the propellant 140. At this time, recoil occurs due to the discharged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gas, and this recoil can be provided to the air vehicle as auxiliary thrust.

커넥터(160)는 하우징(110) 내부에 점화부(130)와 밀접하게 구비되어, 점화신호를 생성하는 비행체의 제어장치와 점화부(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커넥터(160)는 제어장치의 점화신호를 점화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 커넥터(160)와 제어장치의 연결은 무선 또는 유선 모두 가능하다.The connector 160 may be disposed closely to the ignition unit 130 inside the housing 110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ontrol unit of the air vehicle to the ignition unit 130 to generate an ignition signal. The connector 160 may transmit the ignition signal of the control device to the ignition part 130. [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or 160 and the control device can be both wireless and wired.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행체용 보조 추진장치(100)는 비행체에 장착되는 경우, 비행체의 빠른 방향 전환을 위한 보조 추진력을 제공하거나, 또는 비행체의 빠른 직선 비행을 위한 보조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uxiliary propulsion device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auxiliary propulsion force for rapid change of the airplane when the airplane is mounted on an airplane, or provide an assist propulsion force for a quick straight flight of the airplane .

도2 내지 도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추진장치를 구비한 비행체(200)는 비행 중 목표 지점이 변경되는 경우, 목표 지점을 향하도록 고속으로 방향 전환이 가능한 것으로서, 비행체 본체부(210), 메인 추진장치(220), 후방 날개(230), 수용부(240) 및 수용부(240)에 연결되는 보조 추진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2 to 4, the air vehicle 200 equipped with the auxiliary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witching the direction toward the target point at a high speed when the target position in flight is changed, And may include an auxiliary propulsion unit 100 connected to the main body 210, the main propulsion unit 220, the rear wing 230, the receiving unit 240 and the receiving unit 240.

비행체 본체부(210)는 비행시 자세제어, 속도제어 및 방향제어 등을 위한 각종 제어 장치, 메인 추진장치(220), 후방 날개(230) 및, 보조 추진장치(100)가 수용되는 수용부(240)를 구비할 수 있다.The flight body 210 includes various control devices for attitude control, speed control and direction control at the time of flight, a main propulsion device 220, a rear blade 230, and an accommodating portion 240 may be provided.

비행체 본체부(210)는 전방부가 바람 저항이 적게 받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비행체 본체부(210)의 전방부에는 목표 지점을 추적하는 추적 장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비행체 본체부(210)는 추적 장치를 통해 목표 지점에 유도될 수 있다.The front body portion 210 of the air body 210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receives less wind resistance. A tracking device for tracking a target point may be provided at a front portion of the body 210 of the air vehicle body. The flight body portion 210 can be guided to the target point through the tracking device.

메인 추진장치(220)는, 비행체 본체부(210)가 하늘을 날아 목표 지점에 도달하도록 메인 추진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메인 추진장치(220)는 비행체 본체부(2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메인 추진장치(220)는 점화장치, 추진제 및, 노즐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인 추진장치(220)는 비행체에 적용되어 추진력을 제공하는 일반적인 추진장치이므로,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생략한다.The main propulsion device 220 is a device that provides the main propulsion force so that the flight body 210 is flying in the sky to reach a target point. The main propulsion unit 220 may be provided inside the flight body unit 210. The main propulsion unit 2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gnition device, a propellant, a nozzle unit, and the like. The main propulsion unit 220 is a general propulsion unit that is applied to a flying body to provide propulsive force, and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후방 날개(230)는 비행체 본체부(210)의 후방부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후방 날개(230)는 비행체 본체부(210)가 비행하는 도중 목표 지점에 최적 속도로 날아갈 수 있도록 비행체 본체부(210)의 자세를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A plurality of rear wings 230 may be provid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flight body 210. [ The rear wing 230 plays a role of holding the posture of the flight body 210 so that the flight body 210 can fly at a target point at an optimum speed during the flight.

후방 날개(230) 각각은 비행체 본체부(210)의 후방부 외주에 대략 90도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비행체 본체부(210)의 후방부 외주에는, 후방 날개(230) 사이에 보조 추진장치(100)를 수용하는 수용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rear blades 23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pproximately 90 degrees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ar portion of the flight body 210. A receiving portion 240 for receiving the auxiliary propulsion device 100 may be formed between the rear blades 230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ar portion of the flight body 210. [

수용부(240)는 비행체 본체부(210)의 후방부 외주가 내측으로 파여져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240) 각각은 후방 날개(230) 사이 마다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대략 90도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receiving portion 240 may be formed by insert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ar portion of the flight body 210 into the inside. Each of the receiving portions 240 may be formed between the rear blades 230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pproximately 90 degrees.

수용부(240) 각각은 비행체 본체부(210)의 보조 추진력을 제공하는 보조 추진장치(100)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receiving portions 240 may be formed to receive the auxiliary propulsion device 100 that provides the auxiliary propulsion force of the flight body portion 210.

수용부(240)는 비행체 본체부(210) 외주 파여진 부분의 바닥면(241), 비행체 본체부(210) 외주 파여진 부분의 벽면(243), 바닥면(241)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재(245) 및, 한 쌍의 돌출부재(245)를 연결하는 힌지부(H)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용부(240)는 비행체 본체부(2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별도의 블록으로 형성되어 비행체 본체부(210)에 장착될 수도 있다.The receiving portion 240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bottom surface 241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ight body 210 to the wall surface 243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ight body 210 and the bottom surface 241, And a hinge portion H connecting the pair of protruding members 245 and the pair of protruding members 245. [ Here, the receiving portion 24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light body 210, but may be formed as a separate block and mounted on the flight body 210. [

한편, 힌지부(H)는 도1에서 설명한 바 있는 보조 추진장치(100)의 연결구멍(P)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조 추진장치(100)는 수용부(2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inge portion H can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 P of the auxiliary propulsion device 100 described in Fig. Whereby the auxiliary propulsion device 100 can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ceiving portion 240.

도3을 참고하면, 보조 추진장치(100)는 수용부(240)의 벽면(243)에 면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추진장치(100)는 비행체 본체부(210)에 수직한 상태로 배치된 것이며, 이후 보조 추진력을 발생하게 되면, 비행체 본체부(210)의 빠른 비행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도와준다.3, the auxiliary propulsion device 100 may be disposed so a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243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40. As shown in FIG. Here, the auxiliary propulsion unit 100 is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flight body 210, and if assisted propulsion is generated thereafter, the flight body 210 can be quickly changed in flight direction.

또한 도5를 참고하면, 보조 추진장치(100)는 수용부(240)의 바닥면(241)에 면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추진장치(100)는 비행체 본체부(210)에 수평한 상태로 배치된 것이며, 이후 보조 추진력을 발생하게 되면, 비행체 본체부(210)의 빠른 직선 비행이 가능하도록 도와준다.5, the auxiliary propulsion device 100 may be arranged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241 of the receiving portion 240. Here, the auxiliary propulsion unit 100 is disposed horizontally on the flight body 210, and when assisted propulsion is generated thereafter, it helps the flight body 210 to fly faster.

수용부(240)의 바닥면(241)과 벽면(243)에는, 자력을 발생하는 전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석은 전원(미도시)에 연결되어,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 경우 자력을 발생할 수 있으며, 금속 재질로 구성된 보조 추진장치(100)가 수용부의 바닥면(241) 또는 벽면(243)에 자석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보조 추진장치(100)는 자석 결합을 통해 비행체 본체부(210)에 수직한 상태로 배치되거나, 또는 비행체 본체부(210)에 수평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Electromagnets for generating magnetic force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241 and the wall surface 243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40. Here, the electromagnet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not shown), and when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a magnetic force may be generated. When the auxiliary propulsion device 100 made of a metal material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241 or the wall surface 243 Magnet coupling. Thus, the auxiliary propulsion unit 100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flight body 210 through the magnet coupling, or may be disposed horizontally on the flight body 210.

수용부(240)의 바닥면(241)과 벽면(243)에는, 보조 추진장치(100)가 면접촉하는지를 감지하는 근접센서(S1, S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근접센서(S1, S2)는 바닥면(241)에 구비되는 제1 근접센서(S1)와 벽면(243)에 구비되는 제2 근접센서(S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241 and the wall surface 243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40 may be provided with proximity sensors S1 and S2 for detecting whether the auxiliary propulsion apparatus 100 is in surface contact. Here, the proximity sensors S1 and S2 may include a first proximity sensor S1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241 and a second proximity sensor S2 provided on the wall surface 243.

근접센서(S1, S2)는 보조 추진장치(100)가 비행체 본체부(210)에 수직한 상태로 배치되었는지, 또는 비행체 본체부(210)에 수평한 상태로 배치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제어장치(미도시)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장치는 근접센서(S1, S2)로부터 전달받은 보조 추진장치(100)의 배치 상태를 기반으로 보조 추진장치(100)의 자세 변경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 즉, 보조 추진장치(100)가 비행체 본체부(210)에 수직한 상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비행체 본체부(210)의 빠른 비행 방향 전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보조 추진장치(100)의 자세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고, 보조 추진장치(100)가 비행체 본체부(210)에 수직한 상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비행체 본체부(210)의 빠른 직선 비행이 필요한 경우에는 보조 추진장치(100)의 자세가 비행체 본체부(210)에 수평한 자세로 변경되도록 한다.The proximity sensors S1 and S2 sense whether the auxiliary propulsion unit 100 is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flight body 210 or whether the auxiliary propulsion unit 100 is disposed horizontally on the flight body 210, City). Here,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attitude of the auxiliary propulsion unit 100 based on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auxiliary propulsion unit 100 received from the proximity sensors S1 and S2. That is, when the auxiliary propulsion unit 100 is arranged in a state of being perpendicular to the flight body 210, when the flight body 210 is to be quickly changed in flight direction, the posture of the auxiliary propulsion unit 100 is maintained And the auxiliary propulsion unit 100 is arranged in a state of being perpendicular to the body 210 of the airplane body,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quick straight flight of the body 210 of the airplane body, Thereby changing the posture to a horizontal posture.

이하, 도6 및 도7를 참고하여, 보조 추진장치(100)의 자세 변경 및 보조 추진력 발생에 대해 상세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ttitude change of the auxiliary propulsion apparatus 100 and the generation of the auxiliary propulsive for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and FIG.

도6의(a)는 비행 방향 전환중인 비행체(200)의 측단면도를 나타내고, 도6의(b)는 비행 방향 전환중인 비행체(200)의 후면도를 나타낸다.6 (a)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flying object 200 in the flight direction switching, and FIG. 6 (b) is a rear view of the flying object 200 in the flying direction.

예컨대, 비행체(200)가 비행 중에 목표 지점이 비행체(200)의 후방향으로 변경되는 경우, 비행체(200)의 제어장치는 후방 날개(230)를 제어하여 비행 방향을 전환할 뿐만 아니라, 보조 추진장치(100)를 제어하여 보조 추진력을 발생시켜 비행체(200)의 빠른 비행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For example, when the target object is changed to the backward direction of the object 200 during the flight, the control device of the object 200 controls the rear wing 230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flight, And controls the device 100 to generate an assisted thrust so that the flight direction of the air vehicle 200 can be quickly changed.

여기서, 보조 추진장치(100)는 제1, 제2, 제3, 제4 보조 추진장치(100a, 100b, 100c, 100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제2, 제3, 제4 보조 추진장치(100a, 100b, 100c, 100d) 각각은 제1, 제2, 제3, 제4 후방 날개(231, 233, 235, 237)) 각각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제3, 제4 보조 추진장치(100a, 100b, 100c, 100d) 각각은 비행체(200)에 수직한 상태로 배치된다.Here, the auxiliary propulsion unit 100 may includ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auxiliary propulsion units 100a, 100b, 100c, and 100d. The first, second, third, 4 auxiliary propulsion devices 100a, 100b, 100c and 100d may be provided between the respectiv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rear blades 231, 233, 235 and 237,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auxiliary propulsion devices 100a, 100b, 100c, and 100d are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air vehicle 200, respectively.

제어장치는 보조 추진장치(100) 중에서 어느 하나의 보조 추진장치를 이용하여 빠른 비행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예컨대, 제1 보조 추진장치(100a)로부터 보조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때 비행체(100)는 제1 보조 추진장치(100a)로부터 발생된 보조 추진력에 의해 시계방향(도6기준)으로 회전하여 방향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진다.The control device can quickly change the direction of flight by using one of the auxiliary propulsion devices 100. For example, the auxiliary propulsion device 100a may generate the auxiliary propulsion force, The air vehicle 100 rotates in a clockwise direction (reference in FIG. 6) due to the assist thrust force generated from the first auxiliary propulsion apparatus 100a, and the direction change is rapidly performed.

도7의(a)는 직선 비행중인 비행체(200)의 측단면도를 나타내고, 도7의(b)는 직선 비행중인 비행체(200)의 후면도를 나타낸다.7 (a)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flying object 200 in a straight flight, and FIG. 7 (b) is a rear view of the flying object 200 in a straight flight.

예컨대, 비행체(200)가 방향 전환이 완료되어 목표 지점으로 직선 비행하는 경우, 비행체(200)의 제어장치는 더 이상의 비행 방향 전환이 없다고 판단하고, 보조 추진장치(100)의 보조 추진력을 비행체(200)의 직선 비행에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light vehicle 200 completes the direction change and then straightly flews to the target point, the control device of the air vehicle 200 determines that there is no further change in the direction of the flight and the auxiliary propulsion force of the auxiliary propulsion device 100 is transmitted to the air vehicle 200). ≪ / RTI >

먼저 비행체(200)의 제어장치는 수용부(240)의 벽면(243)에 구비된 전자석에 전원공급이 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수용부(240)의 바닥면(241)에 구비된 전자석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를 통해 수용부(240)의 벽면(243)에 면접촉되어 비행체(200)에 수직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던 보조 추진장치(100)는 벽면(243)과의 자석 결합이 끊어져 회전하게 되며, 이후 바닥면(241)에 자석 결합하게 된다. 이때 보조 추진장치(100)는 비행체(200)에 수평한 상태로 배치된다.The control device of the air vehicle 200 controls the electromagnets provided on the wall surface 243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40 to prevent power from being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241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40, Supply. The auxiliary propulsion unit 100, which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243 of the receiving unit 240 and is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air vehicle 200, is rotated by breaking the magnet coupling with the wall surface 243, And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241. At this time, the auxiliary propulsion device 100 is disposed horizontally on the air vehicle 200.

그런 다음 비행체(200)의 제어장치는 보조 추진장치(100) 모두를 제어하여 보조 추진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여기서, 발생된 보조 추진력은 비행체(200)의 메인 추진력과 합쳐져 비행체(200)가 전방으로 빠르게 비행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비행체(200)는 목표 지점에 단축된 시간에 도착할 수 있다.Then, the control device of the air vehicle 200 controls all of the auxiliary propulsion devices 100 to generate the auxiliary propulsion force. Here, the generated auxiliary thrust is combined with the main propulsion force of the air vehicle 200 so that the air vehicle 200 can quickly fly forward, and the air vehicle 200 can arrive at a shortened time at the target point.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추진장치를 구비한 비행체(200)는 비행 방향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짐과 아울러, 빠른 직선 비행이 가능하여 목표 지점에 단축된 시간으로 도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light vehicle 200 having the auxiliary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change the direction of flight and can fly at a faster speed and arrive at a shortened time at the target point.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비행체용 보조 추진장치
110: 하우징
120: 연결부
P: 연결구멍
130: 점화부
140: 추진제
150: 노즐부
160: 커넥터
200: 비행체
210: 비행체 본체부
220: 메인 추진장치
230: 후방 날개
231, 233, 235, 237: 제1, 제2, 제3, 제4 후방 날개
240: 수용부
241: 바닥면
S1: 제1 근접센서
243: 벽면
S2: 제2 근접센서
245: 돌출부재
H: 힌지부
100: Auxiliary propulsion device for aviation
110: Housing
120: Connection
P: Connection hole
130:
140: propellant
150:
160: Connector
200: flight vehicle
210:
220: Main propulsion unit
230: rear wing
231, 233, 235, 237: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rear wings
240:
241:
S1: 1st proximity sensor
243: Wall
S2: 2nd proximity sensor
245:
H: Hinge section

Claims (12)

하우징;
상기 하우징 일단에 구비되어, 비행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점화부;
상기 점화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추진제; 및
상기 하우징 타단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노즐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비행체가 비행 방향을 전환하는 경우 상기 비행체와 수직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비행체가 직선 비행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비행체와 수평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인 비행체용 보조 추진장치.
housing;
A connecting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housing and formed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a flying body;
An ignition part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 propellant provided inside the housing to surround at least a part of the ignition part; And
A nozzle unit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housing;
Lt; / RTI >
Wherein the housing is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perpendicular to the airplane when the airplane changes direction of the airplane and is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with the airplane when the airplane is in a straight flight, Propuls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비행체의 후방 외주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용 보조 추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to a rear outer periphery of the air vehic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비행체의 후방 외주의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힌지부의 삽입이 가능한 연결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용 보조 추진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with a connection hole through which the hinge portion can be inserted so as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a hinge portion on a rear outer periphery of the air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사각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용 보조 추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using is a rectangular tub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비행체에 자석 결합되도록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용 보조 추진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ousing comprises a metal material to be magnetically coupled to the air vehicle.
삭제delete 삭제delete 비행체 본체부;
상기 비행체 본체부 내부에 구비되는 메인 추진장치;
상기 비행체 본체부의 후방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후방 날개; 및
상기 후방 날개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비행체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보조 추진장치;
를 포함하는 보조 추진장치를 구비하는 비행체.
A flight body portion;
A main propulsion unit provided inside the air body unit;
A plurality of rear blades provided at a rear portion of the airflow body portion; And
The auxiliary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rear wings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air body part,
And an auxiliary propulsion device including the auxiliary propulsion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체 본체부는,
상기 후방 날개 사이의 후방부 외주면에 상기 보조 추진장치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추진장치를 구비하는 비행체.
9. The method of claim 8,
The air-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portions for receiving the auxiliary propulsion device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portion between the rear blad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재 및, 상기 한 쌍의 돌출부재를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조 추진장치의 연결구멍에 삽입되는 힌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추진장치를 구비하는 비행체.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A pair of projecting members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a hinge portion formed to connect the pair of projecting members and inserted into connection holes of the auxiliary propulsion device A flight vehicle having a propulsion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과 벽면에는, 자력을 발생하는 전자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추진장치를 구비하는 비행체.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an electromagnet for generating a magnetic force is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and a wall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박닥면과 벽면에는, 상기 보조 추진장치가 면접촉하는지를 감지하는 근접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추진장치를 구비하는 비행체.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proximity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auxiliary propulsion device is in surface contact is provided on the foaming face and the wall 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KR1020160147715A 2016-11-07 2016-11-07 Auxiliary propulsion apparatus for aircraft and aircraft having the same Active KR1017505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715A KR101750513B1 (en) 2016-11-07 2016-11-07 Auxiliary propulsion apparatus for aircraft and aircraft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715A KR101750513B1 (en) 2016-11-07 2016-11-07 Auxiliary propulsion apparatus for aircraft and aircraft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0513B1 true KR101750513B1 (en) 2017-06-23

Family

ID=59283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7715A Active KR101750513B1 (en) 2016-11-07 2016-11-07 Auxiliary propulsion apparatus for aircraft and aircraft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051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5899A (en) * 2012-11-26 2014-06-09 Toshiba Corp Steer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5899A (en) * 2012-11-26 2014-06-09 Toshiba Corp Steer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2507B1 (en) Smart bullet
US2822755A (en) Flight control mechanism for rockets
US4076187A (en) Attitude-controlling system and a missile equipped with such a system
US4127243A (en) Device for a missile or the like
JPH0347426B2 (en)
AU2006228511B2 (en) Steering system and method for a guided flying apparatus
KR101750513B1 (en) Auxiliary propulsion apparatus for aircraft and aircraft having the same
RU2352892C2 (en) Cruise missile
JPH07334244A (en) Flying controller
US7002126B2 (en) Projectile steering by plasma discharge
JP2972731B1 (en) Guided flying object
RU2345317C1 (en) Aviation torpedo
JP6113545B2 (en) Flying body
KR101159650B1 (en) Missile decoy with thrust vectoring jet engine
KR101188299B1 (en) Airship with thrust vectoring jet engine and attitude control module
JP6184551B2 (en) Flying object, launcher, and flying object control system
JP2008222102A (en) Artificial satellite
RU2345316C1 (en) Aviation torpedo
JP5936961B2 (en) Flying object control system
CN217686888U (en) Whole-process control aircraft based on pulse attitude control engine
KR101050734B1 (en) Canard assembly and aircraft having same
KR101497556B1 (en) Apparatus of controlling movement direction of small-sized flying object by using instantaneous explosion
JP2930453B2 (en) Aerodynamic characteristics changing device for flying objects
JP2008164246A (en) Side thruster device
JP2000199700A (en) Guided project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6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