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50258B1 - 조미건조야채 제조용 조미액 및 이를 이용한 조미건조야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조미건조야채 제조용 조미액 및 이를 이용한 조미건조야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0258B1
KR101750258B1 KR1020150090917A KR20150090917A KR101750258B1 KR 101750258 B1 KR101750258 B1 KR 101750258B1 KR 1020150090917 A KR1020150090917 A KR 1020150090917A KR 20150090917 A KR20150090917 A KR 20150090917A KR 101750258 B1 KR101750258 B1 KR 101750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bles
weight
hours
dried
seaso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227A (ko
Inventor
김미정
강창원
이윤진
김성룡
박종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농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농심 filed Critical 주식회사농심
Priority to KR1020150090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258B1/ko
Publication of KR20170001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25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4Dried sp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1Glucose, Dextr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미건조야채 제조용 조미액 및 이를 이용한 조미건조야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야채를 특정한 조미액에 일정시간 침지하여 새콤달콤한 맛을 가지며, 데친 후 조미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침지함으로써, 건조 된 조미야채를 뜨거운 물에 복원 후에도 아삭한 식감을 유지할 수 있는 조미건조야채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미건조야채 제조용 조미액 및 이를 이용한 조미건조야채의 제조방법 {Liquid for making flavoring dry vegetab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 of}
본 발명은 조미건조야채 제조용 조미액 및 이를 이용한 조미건조야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조미액을 사용하여 높은 풍미와 수율, 미생물 안정성 및 아삭한 식감을 동시에 갖는 조미건조야채 제조용 조미액 및 이를 이용한 조미건조야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조 야채는, 생 야채나 냉동 야채에 비교해 그 소비량이 비교적 소량이지만, 즉석 음식 제품의 재료나 스낵 식품 등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건조 야채는, 야채를 슬라이스(slice) 또는 작은 조각으로 한 후, 건조 처리를 실행해서 제조되고 있다.
야채류 등의 식품건조는 일반적으로 식품을 장기간 보관하거나 건조식품 특유의 풍미를 내기 위한 목적으로 행해지며 크게 자연건조법과 인공건조법으로 나눌 수 있다. 태양열과 자연통풍을 이용한 자연건조법은 식품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데 한계가 있고, 건조시간이 오래 걸리며, 건조 도중 이물질 또는 먼지가 혼입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하는 동안 부패되기도 하는 등의 단점이 있어, 대량의 식품을 신속하게 건조시켜야 할 경우에는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비해 인공건조법은 건조시키고자 하는 식품에 적합한 건조조건과 건조기계를 선택하여 품질이 우수한 건조식품을 대량으로 신속하게 얻을 수 있는 장점 이 있다. 인공건조법은 건조원리에 따라 열풍건조방법, 동결건조방법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원적외선건조방법, 초음파건조방법, 마이크로웨이브건조방법 등 새로운 방법들이 많이 알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건조농산물은 [원료준비→세척→절단→(가열)→건조]의 제조공정으로 제조된다. 하지만 상기 공정으로 제조된 건조농산물은 맛이 무미 하고 식감이 아삭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공개특허 제 10-0052369호(공개일자: 2011년 05월 18일)는 오이 절편 제조방법인데, 부식 위주의 오이 가공품 대신에 당액에 침지시킨 오이를 건조하여 절편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의 밀가루, 버터, 합성향신료, 합성색소 등을 첨가했던 스낵류를 탈피하여 채소를 이용한 간식류를 제공하여 어린이 계층은 물론 성인들에게도 안전한 간식 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지만, 동결건조를 이용한 건조방법으로 단가가 비싼 단점이 있으며, 아삭한 식감을 가지면서 동시에 좋은 맛과 미생물 안정성을 가지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10-0939836호는 MPD법에 의해 건조된 야채를 함유하는 샐러드 첨가용 야채 토핑 및 그를 이용한 샐러드의 제조방법인데, 세척된 오이 절편에 오이 절편 총 중량 50~90% 만큼의 말토덱스트린을 혼합하고, 3~9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탈수한 후, 탈수된 오이 절편을 분리하고, 35~45℃에서 1~4시간 동안 건조함으로써 수득된 수분함량 7.3~10.9%의 건조 오이, 세척된 당근 절편에 당근 절편 총 중량 30~70% 만큼의 말토덱스트린을 혼합하고, 5~13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탈수한 후, 탈수된 당근 절편을 분리하고, 45~55℃에서 3~6시간 동안 건조함으로써 수득된 수분함량 6.8~10%의 건조 당근 및, 세척된 파프리카 절편에 파프리카 절편 총 중량 50~90% 만큼의 말토덱스트린을 혼합하고, 3~8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탈수한 후, 탈수된 파프리카 절편을 분리하고, 35~45℃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함으로써 수득된 수분함량 7.3~11%의 건조 파프리카를 혼합한 혼합 야채들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샐러드 첨가용 야채 토핑 및 샐러드에 상기에 의해 제조된 샐러드 첨가용 야채 토핑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샐러드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미생물에 의한 부패 및 공기산화로 인한 변질을 예방하는 효과를 갖지만, 너무 단맛만이 강조될 뿐 풍부한 풍미를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아삭한 식감을 가지면서 동시에 미생물 안정성을 가지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첫 번째 과제는 야채를 특정한 조미액에 일정시간 침지하고, 데친 후 조미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침지함으로써, 건조 된 조미야채를 뜨거운 물에 복원 후에도 풍부한 풍미 가지며 아삭한 식감을 유지할 수 있고, 미생물 안정성 및 빠른 복원력을 동시에 갖는 조미건조야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물, 식초, 당질 및 소금을 포함하는 조미건조야채 제조용 조미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미액은 식초 13~17중량%, 당질 13~17중량%, 소금 3~5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당질은 포도당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조미액 중 어느 하나의 조미액에 야채를 침지하는 (1)단계 및 상기 침지된 야채를 건조하는 (2)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단계 이전에 야채를 데치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단계에서조미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야채를 80~120중량부를 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단계의 침지시간은 1~6시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단계와 (2)단계 사이에 하기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1 상기 (1)단계에서 침지된 야채를 탈수하는 단계;
(1)-2 상기 탈수된 야채를 세척하는 단계;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단계는 (2)-1 90~100℃에서 함수율이 50~70%가 될 때까지2~4시간 1차 건조하는 단계 및 (2)-2 70~80℃에서 1~3시간 2차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야채는 오이, 무, 양상추, 치커리, 배추, 양배추, 파, 부추, 당근 및 파프리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식초, 포도당 및 소금을 포함하는 조미건조야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미건조야채의 경도(TA)는 1500 - 2500g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경도”는 물체를 다른 물체로 눌렀을 때 그 물체의 변형에 대한 저항력의 크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Texture Analyser(TA)로 측정될 수 있다. Texture는 손가락이나 입으로 감지할 수 있는 품질 특성으로 조직의 연한 정도, 단단한 정도, 그리고 채소 등을 휘었을 때 딱 부러지는 성질 등을 의미한다. 식품은 종류에 따라 조직이나 물리적 성질이 크게 다른데, 이러한 현상은 품종간의 차이, 숙성도에 따른 차이, 수화 된 정도에서 오는 차이, 그리고 가공 방법에서 오는 차이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조미액을 통해 제조된 조미건조야채는 아삭한 식감, 미생물 안정성 및 풍미가 동시에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조미건조야채의 제조공정에서 별도의 데치기 공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비용, 시간 절감 및 수율 향상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조미건조오이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조미건조무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구성은 종래의 무미ㆍ무취의 단순 건조 야채를 탈피하여 아삭한 식감과 풍부한 풍미를 구현하는 향상된 품질의 건조 식재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생물에 의한 부패 및 공기산화로 인한 변질을 예방하는 효과를 가졌다. 그러나 종래의 건조야채는 단맛에만 치중한 나머지 높은 풍미를 갖기 어려울 뿐 아니라, 아삭한 식감 및 미생물 안정성 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데치는 공정(블랜칭 공정)을 필수적으로 포함하여야 하므로 비용, 시간 절감과 수율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동결건조를 이용하여 건조할 경우 제조 단가가 비싼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물, 식초, 당질 및 소금을 포함하는 조미건조야채 제조용 조미액 및 이를 이용한 조미건조야채 제조방법을 제공하여 상술한 문제의 해결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종래의 건조 야채보다 건조 된 조미야채를 뜨거운 물에 복원 후에도 아삭한 식감을 유지할 수 있고, 높은 풍미와 미생물 안정성 및 빠른 복원력을 동시에 갖는 가지는 조미건조야채를 제공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조미건조야채 제조용 조미액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미액은 당질을 포함한다. 당질은 풍미를 증진시키고 조직감을 좋게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당질은 포도당(글루코스), 과당(프럭토스), 맥아당(말토오스), 유당(락토스), 팔라티노스, 락토슈크로스, 말토트리오스, 말토테트라오스, 말토올리고당 등이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포도당, 과당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포도당을 사용하는 것이 다른 종류의 당질을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높은 풍미와 조직감을 동시에 구현하는데 가장 유리하다(실시예 참조).
한편 당질은 13~17 중량%를 첨가할 수 있다. 만일 첨가되는 당질의 함량이 13 중량% 미만이면 복원 한 건조야채의 풍미가 부족하고,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고,17 중량%를 초과하면 복원 한 건조야채의 단맛이 과하게 나기 때문에 풍미가 좋지 않고, 건조 중 원료 간 뭉쳐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건조 시 건조가 완벽히 되지 않거나, 개별 포장 시 원료 개체 간 중량편차가 심해 포장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조미액에 포함되는 식초를 설명한다.식초는 새콤한 풍미를 내고 건조 및 수화 후에도 아삭한 식감을 구현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식초를 사용하는 것이 식초를 사용하지 않은 건조야채에 비해 맛과 미생물 안정성이 가장 유리하다.(실시예 및 비교예 참조)
상기 식초는 13~17 중량%를 첨가할 수 있다. 만일 첨가되는 식초의 함량이 13 중량% 미만이면 풍미가 떨어질 뿐 아니라 아삭한 조직감이 부족하고,17 중량%를 초과하면 복원 한 건조야채의 신맛이 강하게 나고, 색상이 어두워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실시예 참조)
본 발명의 조미액은 소금을 포함한다. 소금은 조미액의 풍미를 증진시키고, 수율을 좋게하는 기능을 한다.(실시예 및 비교예 참조)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소금은 천일염, 정제염 및 맛소금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천일염 및 정제염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소금은 3~5 중량%를 첨가할 수 있다. 만일 첨가되는 소금의 함량이 3 중량% 미만이면 복원 한 건조야채의 풍미와 조직감이 좋지 않고,5 중량%를 초과하면 복원 한 건조야채의 짠맛이 과하게 나고, 또한 색상이 어두워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실시예 참조)
본 발명의 조미액은 물을 포함한다. 물은 희석용액의 역할을 수행하며 바람직하게는 정제수일 수 있다. 한편 물은 잔량으로 포함하는데, 잔량이란 식초, 당질 및 소금 등을 포함한 비율을 제외한 나머지가 물이 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만일 식초가 13 중량%, 당질이 13 중량%, 소금이 3 중량%이면 물은 71 중량%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미액은 상기 당질, 식초, 소금 성분들을 모두 포함하여야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만일 하나의 성분이라도 누락되는 경우에는 풍부한 풍미를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아삭한 식감, 미생물 안정성 및 높은 수율로 제조할 수 있는 효과들을 동시에 달성할 수 없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식초 13~17중량%, 당질 13~17중량%, 소금 3~5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모두 만족하는 조미액이 보다 우수한 효과를 가지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식초 13~17중량%, 포도당 13~17중량%, 소금 3~5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모두 만족하는 것이 가장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실시예 참조).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성분들 외에 통상적으로 조미액에 사용하는 성분인 덱스트린, 전분, 젖산, 항산화제 등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이 경우 잔량의 물을 일부 대체하여 상기 성분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조미건조야채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조미액에 야채를 침지하는 (1)단계 및 상기 침지된 야채를 건조하는 (2)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1) 단계로서, 조미액에 야채를 침지한다. 이 때 사용된 조미액은 상술한 조미액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 단계 이전에 전처리 과정으로서 야채를 깨끗이 세척한 후, 꼭지를 제거하고, 본 발명에 사용가능 한 야채는 크기로 절단할 수 있으며 이 때 절단크기는 3~5mm 길이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 단계 이전에 전처리 과정으로서 별도의 데치는 공정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조직감, 맛, 수율에서 더 유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당질계 조미원료를 사용하여 조미건조야채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미생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소위 블랜칭 공정이라 불리는 데치는 공정을 반드시 포함하여야 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수율, 경도 및 조직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필연적으로 포함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미액에 침지하기 전에 야채를 데치는 경우 오히려 수율, 경도 및 조직감이 떨어지는 문제를 가져오므로 데치지 않는 것이 더욱 우수한 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결과 맛, 수율, 경도 및 조직감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야채는 통상적으로 조미건조야채에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오이, 무, 양상추, 치커리, 배추, 양배추, 파, 부추, 당근 및 파프리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오이, 무, 당근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오이, 무 일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1) 단계에서 조미액에 야채를 투입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조미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야채를 70~130중량부를 투입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조미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야채를80~120중량부를 투입하는 것이 가장 좋다. 만일 투입되는 야채가 조미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야채가80중량부 미만이면 조미액이 과량 스며들어 맛 기호도가 좋지 않게 되고, 원료 간 뭉침 현상이 발생 할 수 있고, 조미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야채가120중량부를 초과하면 수율은 높아질 수 있지만, 야채가 조미액에 충분히 잠기지 않거나 충분히 숙성되지 않아 맛 기호도가 좋지 않게 되고, 미생물 안전성이 떨어질 수 있다.(실시예 참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 단계에서 조미액에 야채를 침지하는 시간은 1~6시간일 수 있다 .만일 침지하는 시간이 1시간 미만이면 조미액이 야채에 잘 스며들지 않고, 침지하는 시간이 6시간을 초과하면 야채 자체의 색상이 변질되고, 조미액이 과량 스며들어 야채의 풍미가 줄어들어 맛 기호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실시예 참조)
본 발명에서, 상기 (1) 단계와 (2)단계 사이에 (1)-1 상기 (1)단계에서 침지된 야채를 탈수하는 단계 및 (1)-2 상기 탈수된 야채를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1 단계에서 건조야채 외부에 묻어있는 조미액을 제거시켜주기 위해서 탈수단계를 거치게 된다. 상기 탈수단계의 탈수 시간은 10분 ~ 1시간, 탈수온도는 20 ~ 25℃일 수 있다
(1)-2 단계에서 건조야채 외부에 과하게 묻어있는 조미액을 제거시켜주기 위해 수세할 수 있다. 상기 수세공정은 조미 된 야채를 망에 담아 좌우 4번 상하 4번 씩 깨끗한 물에 2번 반복하여 세척한다. 이때 온도는 15 ~ 25℃ 일 수 있다.
탈수 및 세척단계를 포함하지 않으면, 입자 간 뭉쳐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빠른 복원이 어려우며, 가공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실시예 참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단계는 (2)-1 90~100℃에서 함수율이 50~70%가 될 때까지2~4시간 1차 건조하는 단계 및 (2)-2 70~80℃에서 1~3시간 2차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는 열풍건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동결건조의 경우 단가가 비싼 단점이 있고, 아삭한 식감 구현을 목표로 하는 본 발명에서는 열풍건조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열풍건조의 1차 건조는 90~100℃의 온도에서 원료의 함수율이60%가 될 때까지 건조하는 것이 좋고, 그 후에는 차츰 온도를 내려 마무리는 냉풍을 주어 원료의 내부온도가 빨리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때 고온에서의 건조를 장시간하게 되면 자칫 원료가 과 건조되어 품질이 악화될 수 있는 우려가 있고, 저온에서 장시간하게 되면 수분이 빨리 빠져나가지 못해 원물의 색이 어두워 질 수 있다.(실시예 참조)
한편,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조미건조야채는 야채 내부에 조미액의 주성분인 식초, 소금 및 당질을 포함하여 풍미 및 미생물 안정성이 좋다.
나아가, 경도가 1500 ~ 2500g 이므로 식감이 물컹했던 종래의 조미 건조야채와는 달리 조직감이 우수해 아삭하기 때문에 유리하다.(실시예 참조)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한다. 이때, 하기 실시예들은 발명을 예시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가. 조미액의 제조
식초 15중량%, 포도당 15중량%, 소금 4중량%와 잔량의 정제수(66중량%)을 혼합하여 조미액을 제조하였다.
나. 조미건조야채의 제조
오이를 수세하고 3~5mm 크기로 잘랐다. 이후 절단된 오이를 상기 제조된 조미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중량부로 침지하고 3시간 침지공정을 수행하였다. 이후 침지된 오이를 꺼내 탈수공정 및 세척공정을 수행한 후90℃에서 2시간, 70℃에서 3시간 동안 열풍건조하여 조미건조오이를 제조하였다.(도 1)
실시예 2 ~ 20. 및 비교예 1 ~6.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하기 표 1과 같이 조미액의 성분, 함량, 건조대상 및/또는 제조조건을 변경하여 건조야채를 제조하였다.
구분 조미액 조성 건조대상 제조조건
당질
(종류/중량%)
식초 (중량%) 소금 (중량%) 물 (중량%) 오이 (중량부) 무 (중량부) 당근
(중량부)
데치는 공정 침지시간
(hr)
탈수 및 세척 건조방법
실시예1 포도당/15 15 4 66 100 - - - 3.5 O 90℃ 3시간 후 70℃ 2시간
실시예2 과당/15 15 4 66 100 - - - 3.5 O 90℃ 3시간 후 70℃ 2시간
실시예3 유당/15 15 4 66 100 - - - 3.5 O 90℃ 3시간 후 70℃ 2시간
실시예4 포도당/10 15 4 71 100 - - - 3.5 O 90℃ 3시간 후 70℃ 2시간
실시예5 포도당/20 15 4 61 100 - - - 3.5 O 90℃ 3시간 후 70℃ 2시간
실시예6 포도당/15 10 4 71 100 - - - 3.5 O 90℃ 3시간 후 70℃ 2시간
실시예7 포도당/15 20 4 61 100 - - - 3.5 O 90℃ 3시간 후 70℃ 2시간
실시예8 포도당/15 15 2 68 100 - - - 3.5 O 90℃ 3시간 후 70℃ 2시간
실시예9 포도당/15 15 6 64 100 - - - 3.5 O 90℃ 3시간 후 70℃ 2시간
실시예10 포도당/15 15 4 66 100 - - 95℃, 3분간 3.5 O 90℃ 3시간 후 70℃ 2시간
실시예11 포도당/15 15 4 66 60 - - - 3.5 O 90℃ 3시간 후 70℃ 2시간
실시예12 포도당/15 15 4 66 140 - - - 3.5 O 90℃ 3시간 후 70℃ 2시간
실시예13 포도당/15 15 4 66 100 - - - 0.5 O 90℃ 3시간 후 70℃ 2시간
실시예14 포도당/15 15 4 66 100 - - - 7 O 90℃ 3시간 후 70℃ 2시간
실시예15 포도당/15 15 4 66 100 - - - 3.5 90℃ 3시간 후 70℃ 2시간
실시예16 포도당/15 15 4 66 - 100 - - 3.5 O 90℃ 3시간 후 70℃ 2시간
실시예17 포도당/15 15 4 66 - - 100 - 3.5 O 90℃ 3시간 후 70℃ 2시간
실시예18 포도당/6.5,
설탕/7.5
15 4 67 100 - - - 3.5 O 90℃ 3시간 후 70℃ 2시간
실시예19 포도당/15 15 4 66 100 - - - 3.5 O 90℃ 3.5시간
실시예20 포도당/15 15 4 66 100 - - - 3.5 O 70℃ 8시간
비교예1 - 15 4 81 100 - - - 3.5 O 90℃ 3시간 후 70℃ 2시간
비교예2 15 - 4 81 100 - - - 3.5 O 90℃ 3시간 후 70℃ 2시간
비교예3 15 15 - 70 100 - - - 3.5 O 90℃ 3시간 후 70℃ 2시간
비교예4 - - - - 100 - - - - - 90℃ 3시간 후 70℃ 2시간
비교예5 포도당/
4(중량부)
- - - 100 - - 95℃, 3분간 당 코팅 - 90℃ 3시간 후 70℃ 2시간
비교예6 포도당/
4(중량부)
- - - - 100 - 95℃, 3분간 당 코팅 - 90℃ 3시간 후 70℃ 2시간
1) 표 1에서 오이, 무, 당근의 중량부는 조미액 100중량부에 대한 오이의 중량부이다.
2) 표 1에서 비교예 5는 오이 100중량부에 대한 포도당 4중량부이다.
3) 표 1에서 비교예 6은 무 100중량부에 대한 포도당 4중량부이다.
< 실험예 >
상기 실시예 1 ~ 20 및 비교예 1 ~ 6를 통해 제조된 조미건조야채에 대하여 하기 1 ~ 7의 항목을 평가하여 이를 표 2~7에 나타내었다
1. 조직감
실시예 1~20, 비교예1~6 에 따라 제조한 조미 건조야채의 조직감을 평가하기 위하여, 건조각각의 조미 건조야채를 끓는 물에 주입하고 4분간 조리하였다. 이어서, 30명의 훈련된 관능평가요원이 각각 시식하도록 하여 7점법에 의한 품질을 평가하였다.
조직감
1-매우 물컹하다, 2-물컹하다, 3-약간 물컹하다, 4-보통이다, 5-약간 아삭하다, 6-아삭하다, 7-매우 아삭하다.
2. 풍미
실시예 1~20, 비교예1~6 에 따라 제조한 조미 건조야채의 풍미를 평가하기 위하여, 각각의 조미 건조야채를 끓는 물에 주입하고 4분간 조리하였다. 이어서, 30명의 훈련된 관능평가요원이 각각 시식하도록 하여 7점법에 의한 품질을 평가하였다.
풍미
1-매우 나쁘다, 2-나쁘다, 3-약간 나쁘다, 4-보통이다, 5-약간 좋다, 6-좋다, 7-매우 좋다.
3.수율
실시예 1~20, 비교예1~6 에 따라 제조한 조미 건조야채의 수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야채를 세척ㆍ절단 후 투입 된 무게 및 조미ㆍ건조 된 무게를 측정하였다.
4. 미생물 안정성
실시예 1~20, 비교예1~6 에 따라 제조한 조미 건조야채에 대한 일반 세균수 및 대장균 값을 측정하였다.
5. 경도
실시예 1~20, 비교예1~6 에 따라 제조한 조미 건조야채의 경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각각의 조미 건조야채를 끓는 물에 주입하고 4분간 조리하였다. 이어서, 조미 건조야채를 건져내어 BROOKFIELD 사의 CT3-4500으로 경도를 측정하였다.
6. 입도
실시예 1~20, 비교예1~6 에 따라 제조한 조미 건조야채를 1.5 mesh에 통과시켜 입도를 측정하였다.
7. 색감
실시예 1과 색상이 변한 실시예 7, 9, 14, 20에 따라 제조한 조미 건조야채의 색감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각의 조미 건조야채를 30명의 훈련된 관능평가요원이 각각 육안으로 관찰하여 7점법에 의한 품질을 평가하였다.
색감
1-매우 나쁘다, 2-나쁘다, 3-약간 나쁘다, 4-보통이다, 5-약간 좋다, 6-좋다, 7-매우 좋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조직감(점) 6.6 6.0 5.9 5.5 5.9 5.1
풍미(점) 6.5 6.3 6.0 5.5 6.0 5.2
수율(%) 10.6 10.4 10.4 8.2 12.1 10.7
일반세균수(CFU/g) 2.3*103 2.1*103 2.7*103 2.0*103 1.6*103 2.2*104
대장균군
(CFU/g)
음성 음성 음성 음성 음성 음성
경도(g) 1790 1605 1577 1401 1554 1005
입도 1.5 mesh 통과율(%) 100 96 98 100 96 100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조직감(점) 6.3 5.6 5.8 3.8 5.2 5.7
풍미(점) 5.6 4.9 4.9 3.1 3.9 4.7
수율(%) 10.1 10.6 10.8 7.8 8.3 11.3
일반세균수(CFU/g) 1.3*103 2.3*103 2.3*103 1.6*102 1.3*104 1.8*103
대장균군
(CFU/g)
음성 음성 음성 음성 음성 음성
경도(g) 1801 1503 1654 856 1229 1420
입도 1.5 mesh 통과율(%) 100 100 100 100 100 98
  실시예13 실시예14 실시예15 실시예16 실시예17 실시예18
조직감(점) 4.9 6.2 6.2 6.8 6.2 6.5
풍미(점) 5.2 5.8 6.3 6.6 5.8 6.8
수율(%) 9.8 11.4 11.3 10.7 11.3 10.8
일반세균수(CFU/g) 3.8*103 1.6*103 1.9*103 - - 2.0*103
대장균군
(CFU/g)
음성 음성 음성 - - 음성
경도(g) 954 1962 1751 3140 - 1515
입도 1.5 mesh 통과율(%) 100 96 85 100 100 98
  실시예19 실시예20
조직감(점) 5.9 5.2
풍미(점) 3.2 4.3
수율(%) 8.8 8.4
일반세균수(CFU/g) 1.0*101 2.6*103
대장균군
(CFU/g)
음성 음성
경도(g) 2954 962
입도 1.5 mesh 통과율(%) 100 98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조직감(점) 3.2 4.8 5.4 5.5 2.9 3.1
풍미(점) 4.2 3.3 4.2 3.8 3.6 3.4
수율(%) 7.9 9.7 10.1 6.9 6.1 6.8
일반세균수(CFU/g) 2.8*103 4.4*103 3.3*103 1.2*107 1.8*103 -
대장균군
(CFU/g)
음성 음성 음성 10 음성 -
경도(g) 888 1015 1555 1205 810 380
입도 1.5 mesh 통과율(%) 100 100 100 - 100 100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7 실시예 9 실시예 14 실시예 19 실시예 20
색감(점) 6.4 4.5 5.1 3.5 4.2 3.9
상기 표 2 ~ 7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조미액의 구성요소를 모두 만족하는 실시예1, 16이, 이 중 하나라도 누락된 실시예2~15, 18~20,비교예 1~6 에 비하여 조직감과 풍미가 모두 우수하였다. 나아가 당질, 식초, 소금을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1~20이 이를 만족하지 못하는 비교예 1~6에 비하여 조직감, 풍미, 수율 및 경도가 우수하였다.
또한, 조미액에 오이를 침지하여 제조한 실시예 1이 포도당 코팅만 하여 제조한 비교예 5에 비해 조직감, 풍미, 수율 및 경도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는 조미액에 무를 침지하여 제조한 실시예 16과 포도당 코팅만 하여 제조한 비교예 6을 비교해 봤을 때도 확연히 드러났다. 표 4와 표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6이 비교예 6에 비해 조직감, 풍미, 수율 및 경도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당질의 경우 포도당을 사용한 실시예 1이 다른 종류의 당을 사용한 실시예 2, 3, 18 에 비하여 조직감과 풍미, 수율 및 경도가 우수하였다. 이는 포도당을 사용하는 것이 과당이나 유당, 설탕과 같은 다른 종류의 당질보다 적합하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조미액에 당질을 15중량% 포함시키는 실시예 1이, 당질을 10중량%, 20중량% 포함시키는 실시예 4, 5에 비하여 조직감과 풍미, 수율 및 경도가 우수 하였다. 이를 통해 당질의 함량이 너무 적어도 좋지 않고, 너무 많아도 단맛이 강하게 나며, 좋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조미액에 식초를 15중량% 포함시키는 실시예 1이, 식초를 10중량%, 20중량% 포함시키는 실시예 6, 7에 비하여 조직감과 풍미, 수율 및 경도가 우수 하였다. 이를 통해 식초의 함량이 너무 적어도 조직감이 약해져 좋지 않고, 너무 많아도 신맛이 강하게 나며, 좋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조미액에 소금을 5중량% 포함시키는 실시예 1이, 소금을 3중량%, 6중량% 포함시키는 실시예 8, 9에 비하여 조직감과 풍미, 수율 및 경도가 우수 하였다. 이를 통해 식초의 함량이 너무 적거나 너무 많아도 좋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데치는 공정을 포함하지 않는 실시예 1이, 데치는 공정을 포함하는 실시예 10에 비하여 조직감과 풍미, 수율 및 경도가 우수 하였다. 이를 통해 데치는 공정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조미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오이를 100중량부 넣은 실시예 1이 60중량부, 140중량부를 넣은 실시예 11, 12에 비하여 조직감, 풍미 및 경도가 우수 하였다. 또한, 실시예 11은 실시예1에 비하여 수율이 낮고 미생물 안전성이 떨어졌으며, 실시예12는 실시예1에 비하여 수율은 높으나 달라붙는 현상이 심해 1.5 mesh 통과율이 낮았다.
또한, 조미액에 오이를 침지하는 시간을 3.5시간으로 한 실시예 1은 0.5시간 침지한 실시예 13, 7시간 침지한 실시예 14에 비해 조직감, 풍미 및 경도가 높게 나타났다. 침지시간을 최소화한 실시예13의 경우 풍미와 조직감이 떨어졌고, 침지시간을 늘린 실시예14는 달라붙는 현상이 있어 1.5 mesh통과율이 낮았다.
또한, 탈수 및 세척 공정이 포함되어 있는 실시예 1이 탈수 및 세척 공정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실시예 15에 비해 1.5 mesh 통과율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침지 후 세척을 하지 않는 경우 입자간 뭉쳐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뭉쳐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빠른 복원이 어려우며, 가공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조미액에 침지하고, 탈수 및 세척공정을 거친 실시예 1이 추가공정 없이 오이를 절단 후 건조시킨 비교예 4에 비해 조직감, 풍미, 수율 및 경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표 2와 표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미생물 안정성에서 확연한 차이가 드러났다. 비교예 4는 실시예 1에 비해 일반세균수가 5천배 이상 많았으며, 대장균 또한 검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야채의 경우 오이와 무를 사용한 실시예 1, 16이 다른 종류의 야채를 사용한 실시예 17 에 비하여 조직감 및 풍미가 우수하였다. 이는 오이나, 무를 사용하는 것이 당근과 같은 다른 종류의 야채를 사용하는 것보다 적합하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90℃에서 2시간, 70℃에서 3시간 동안 열풍 건조한 실시예 1이 90℃에서 3.5시간 동안 건조한 실시예 19 및 70℃에서8 시간 동안 건조한 실시예 20에 비하여 조직감, 풍미 및 수율가 우수하였다. 이를 통해 고온에서 오래 건조하거나, 저온에서 오래 건조한 야채의 품질이 좋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이 식초를 20중량% 넣은 실시예 7, 소금을 6중량% 넣은 실시예 9, 7시간 동안 침지한 실시예 14 및90℃에서 3.5시간 건조한 실시예19, 70℃에서 8시간 동안 건조한 실시예 20 에 비하여 색감이 좋게 평가 되었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식초 13 ~ 17중량%, 포도당 13 ~ 17중량%, 소금 3 ~ 5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조미건조야채 제조용 조미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오이 또는 무를 80 ~ 120 중량부로 침지하는 (1) 단계; 및
    상기 침지된 오이 또는 무를 건조하는 (2)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1)단계 이전에 오이 또는 무를 데치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1)단계와 (2)단계 사이에
    (1)-1 상기 (1)단계에서 침지된 오이 또는 무를 탈수하는 단계 및
    (1)-2 상기 탈수된 오이 또는 무를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 단계는
    (2)-1 90~100℃에서 함수율이 40~60%가 될 때까지 2~4시간 1차 열풍건조하는 단계 및
    (2)-2 50~80℃에서 1~3시간 2차 열풍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미건조야채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의 침지시간은 1 - 6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건조야채의 제조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50090917A 2015-06-26 2015-06-26 조미건조야채 제조용 조미액 및 이를 이용한 조미건조야채의 제조방법 Active KR101750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917A KR101750258B1 (ko) 2015-06-26 2015-06-26 조미건조야채 제조용 조미액 및 이를 이용한 조미건조야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917A KR101750258B1 (ko) 2015-06-26 2015-06-26 조미건조야채 제조용 조미액 및 이를 이용한 조미건조야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227A KR20170001227A (ko) 2017-01-04
KR101750258B1 true KR101750258B1 (ko) 2017-06-23

Family

ID=57832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917A Active KR101750258B1 (ko) 2015-06-26 2015-06-26 조미건조야채 제조용 조미액 및 이를 이용한 조미건조야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02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5967A (ja) * 1999-08-03 2001-02-20 Shokuseikatsu Kagaku Kenkyusho:Kk 漬物の加工法
JP2007060980A (ja) * 2005-08-31 2007-03-15 Emoto Sangyo:Kk 冷凍漬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5967A (ja) * 1999-08-03 2001-02-20 Shokuseikatsu Kagaku Kenkyusho:Kk 漬物の加工法
JP2007060980A (ja) * 2005-08-31 2007-03-15 Emoto Sangyo:Kk 冷凍漬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227A (ko) 201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62139A1 (en) Dried vegetables comprising saccharides, their preparation and uses
KR100894631B1 (ko) 동결건조물 스낵과 그 제조방법
KR101906304B1 (ko) 기능성 김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62371B1 (ko) 구근 정과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구근 정과
CN104286345A (zh) 一种低糖高活性刺梨果脯及其制备方法
KR100926522B1 (ko) 당절임을 이용한 육류 가공물 제조방법
KR102235139B1 (ko) 백색 또는 금색 고춧가루를 사용한 무 곁들이 하얀 배추김치의 제조방법
CN105638870A (zh) 一种鲜切苹果的保鲜方法
KR102086383B1 (ko) 과일을 이용한 퓨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퓨레
JP7036425B2 (ja) 椎茸エキス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椎茸エキスを含有する日持向上剤
KR101421186B1 (ko) 사과조청을 이용한 한과의 제조방법
KR20200005189A (ko) 김치용 분말 소스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김치
KR101240297B1 (ko) 신선편이 바나나 제조용 침지 수용액과 그것을 사용한 신선편이 바나나의 제조 방법
KR20100024658A (ko) 상온유통이 가능한 즉석 된장찌개 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750258B1 (ko) 조미건조야채 제조용 조미액 및 이를 이용한 조미건조야채의 제조방법
KR101478026B1 (ko) 파인애플 동치미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파인애플 동치미 음료
KR102404120B1 (ko) 유산균 발효액을 이용한 김치 제조방법
KR20100052652A (ko) 고구마 초절임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식품
JP3438327B2 (ja) 漬物の製造法
KR101749321B1 (ko) 감귤생성물을 이용한 감귤 떡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047542A (ko) 레몬 젤리과자의 제조 방법
KR102521024B1 (ko) 타가토스를 포함하는 후리카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8054025A1 (fr) Procédé pour empêcher une odeur de détérioration par la chaleur d&#39;un aliment à teneur en humidité moyenne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39;un aliment à teneur en humidité moyenne emballé dans un conteneur fermé hermétiquement
KR101546073B1 (ko) 히카마 스낵의 제조방법
KR101910958B1 (ko) 편의식용 건조 채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건조 채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4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11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4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1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05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4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1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6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