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0088B1 - Battery Module Having Ring Terminal Fix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Battery Module Having Ring Terminal Fixing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0088B1 KR101750088B1 KR1020140054567A KR20140054567A KR101750088B1 KR 101750088 B1 KR101750088 B1 KR 101750088B1 KR 1020140054567 A KR1020140054567 A KR 1020140054567A KR 20140054567 A KR20140054567 A KR 20140054567A KR 101750088 B1 KR101750088 B1 KR 1017500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module
- unit cells
- battery
- terminal
- bus b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4—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01R11/288—Interconnections between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방전이 가능한 단위셀들을 복수 개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로서, 상기 단위셀들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버스 바들, 전압 측정을 위해 상기 단위셀들의 전기적 연결 부위에 접속되어 있는 링 단자들(ring terminal) 및 상기 링 단자들에서 검출된 전압을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로 송부하는 와이어들, 상기 단위셀들의 전기적 연결 부위에 대응하는 전지모듈의 외면에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들을 정위치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부들과, 상기 링 단자들의 회전을 방지하는 링 단자 가이드들(ring terminal guides)을 포함하고 있는 버스 바 장착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unit cells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battery module comprising bus bar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unit cells, ring terminals connected to electrical connection parts of the unit cells, and a plurality of wires connected to the battery modules, the wires connecting the plurality of unit cells to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And a bus bar mounting member including fixing portions and ring terminal guides for preventing rotation of the ring terminals.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압 검출용 링 단자를 고정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module including a structure for fixing a ring terminal for voltage detection.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고,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EV) 등의 동력원으로서도 주목 받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In recent years,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has been widely used as an energy source for wireless mobile devices, and has been widely used as an energy source for electric vehicles EV, a hybrid electric vehicle (HEV),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lug-In HEV), and the like.
또한, 전기를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한 시점에 안정적으로 전력계통에 다시 공급해주는 전력 저장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전력 저장 장치는 전력 수요가 적을 때 에너지를 저장하고, 과부하 또는 비상시에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전력 품질 및 에너지 사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가정용 전력 저장 장치 및 산업용 또는 상업용 중형 전력 저장 장치는 스마트 그리드 기술과 결부되어 시장규모가 급성장하고 있다.In addition, technologies related to a power storage device that stores electricity and supplies it to a power system in a stable manner at a required time are being developed. Power storage devices are devices that store energy when power demand is low, and supply power in the event of an overload or an emergency,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improving power quality and energy use efficiency. In particular, residential power storage devices and industrial or commercial medium power storage devices are rapidly gaining market share in conjunction with Smart Grid technology.
한편, 전지모듈이 소정의 장치 내지 디바이스에서 요구되는 출력 및 용량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전지셀들을 직렬 또는 병렬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지모듈을 구성하여야 하고, 전지모듈의 용량이 커질수록 확장성이 용이하고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Meanwhile, in order for the battery module to provide the output and capacity required by a predetermined device or device,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must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series or parallel manner to form a battery module. As the capacity of the battery module increases, It should be easy and stable.
특히, 다수의 전지셀들을 사용하여 전지모듈을 구성하는 경우, 일부 전지셀들이 과전압, 과전류 또는 과발열 되는 경우에는 전지모듈의 안전성과 작동효율이 크게 문제되므로, 이들을 검출하여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따라서, 안전 시스템인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를 구비하여 과전압, 과전류, 과발열 등을 탐지하여 전지팩을 제어/보호하는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Particularly, when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used to constitute a battery module, safety and operating efficiency of the battery module are greatly problematic when some battery cells are over-voltage, over-current or overheated. Therefore, Do. Accordingly,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which is a safety system, is provided to detect overvoltage, overcurrent, overheat, and the like to control / protect the battery pack.
이러한, BMS는 전지셀들의 전극단자에 링 단자들을 접속하여 전압을 측정한다. 링 단자들을 전극단자에 접속하는 공정은, 각각의 전지셀들을 버스 바를 이용하여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하는 공정과 함께 이루어진다. 이 같은 공정에서, 구조 상 고정되지 못하고 용이하게 회전되는 링 단자의 특성으로 인해, 버스 바와 링 단자를 볼트에 의해 전극단자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링 단자의 회전으로 인해 인접한 부품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The BMS measures the voltage by connecting the ring terminals to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s. The step of connecting the ring terminals to the electrode terminal is performed together with the step of connecting the battery cells in series and / or in parallel using a bus bar. In this proces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ing terminal that can not be structurally fixed and easily rotated, there is a problem that adjacent parts are broken due to the rotation of the ring terminal in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bus and ring terminals to the electrode terminals by bolts Occurs.
또한, 복잡한 연결 및 배선 구조에 의한 조립 공차의 부족에 의해 링 단자에 와이어가 조립 공정에서 조립 공구에 의해 손상되어 피복이 벗겨지고 단락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Further, due to the lack of assembly tolerance due to complicated connection and wiring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ire is damaged by the assembling tool in the assembling process due to the ring terminal, resulting in peeling of the coating and short circuit.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high need for a technique capable of fundamentally solving such problem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technical problems required from the past.
본 발명의 목적은, 버스 바와 링 단자를 전극단자에 연결하는 공정에서, 링 단자와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의 손상되거나, 링 단자의 회전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여 불량률을 낮추고,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ttery module in which a wire connected to a ring terminal is damaged or a damage due to rotation of a ring terminal is prevented to reduce a defective rate in a process of connecting a bus bar and a ring terminal to electrode terminals, .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충방전이 가능한 단위셀들을 복수 개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로서,A battery module comprising a plurality of unit cells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상기 단위셀들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버스 바들; Bus bars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unit cells;
전압 측정을 위해 상기 단위셀들의 전기적 연결 부위에 접속되어 있는 링 단자들(ring terminal) 및 상기 링 단자들에서 검출된 전압을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로 송부하는 와이어들;A ring terminal connected to an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of the unit cells for voltage measurement, and wires for transmitting a voltage detected at the ring terminals to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상기 단위셀들의 전기적 연결 부위에 대응하는 전지모듈의 외면에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들을 정위치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부들과, 상기 링 단자들의 회전을 방지하는 링 단자 가이드들(ring terminal guides)을 포함하고 있는 버스 바 장착용 부재;Wire fixing part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s of the unit cells and fixedly fixing the wires, and ring terminal guides for preventing rotation of the ring terminals A bus bar mounting member;
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은, 와이어들을 정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 고정부, 및 링 단자들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링 단자 가이드들이 형성되어 있는 버스 바 장착용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버스 바와 링 단자를 전극단자에 연결하는 공정에서, 와이어의 손상 및 링 단자의 회전으로 인한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여 불량률을 낮추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wire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 bus bar mounting member formed with ring terminal guides for preventing rotation of the ring terminals,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terminal to the electrode terminal, the damage of the wire and the breakage of the component due to the rotation of the ring terminal can be prevented, the defect rate can be lowered, and the safety can be improved.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단위셀은 판상형 전지셀 구조이거나, 또는 전극단자들이 노출된 상태로 둘 이상의 판상형 전지셀들이 셀 커버에 장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In one specific example, the unit cell may be a plate-shaped battery cell structure or a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plate-shaped battery cells are mounted on a cell cover in a state that electrode terminals are exposed.
상기 판상형 전지셀은, 예를 들어,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전지케이스에 전극조립체를 내장한 후 외주면을 실링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파우치형 전지셀일 수 있다. The plate-shaped battery cell may be, for example, a pouch-shaped battery cell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battery case of a laminate sheet including a resin layer and a metal layer, and the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sealed.
상기 전지셀은 전지모듈 또는 전지팩의 구성시 고전압 및 고전류를 제공할 수 있는 전지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체적당 에너지 저장량이 큰 리튬 이차전지일 수 있다.The battery cel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capable of providing a high voltage and a high current when the battery module or the battery pack is constructed. For example, the battery cell may be a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a large energy storage amount per volume.
상기 단위셀의 또 다른 예에서, 셀 커버는 전극단자 부위를 제외하고 전지셀들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외장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셀 커버에는, 예를 들어 2개의 전지셀들이 장착될 수 있고, 상기 2개의 전지셀들은 동일 극성의 전극단자들이 서로 접하면서 직렬 또는 병렬 연결되도록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of the unit cell, the cell cover may be composed of a pair of sheath members mutually coupled to cover the outer surfaces of the battery cells except the electrode terminal portion. For example, two battery cells may be mounted on the cell cover, and the two battery cells may be stacked so that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same polarit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series or parallel.
상기 복수 개의 단위셀들은, 전극단자들이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단위 셀들이 전극단자가 상호 대면하는 구조로 평면 상 배열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러한 단위셀들이 지면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수직 배열되어 단위셀 적층체를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The plurality of unit cells ar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ground in a state in which electrode terminals are formed on one side and a pair of unit cells are arranged in a plane with a structure in which electrode terminals face each other Thereby forming a unit cell laminate.
또한, 상기 단위셀 적층체의 일측면에는 전지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링 단자들은 BMS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단위셀로부터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module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unit cell stack, and the ring terminal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MS, Can be measured.
상기 평면 상 배열되어 있는 한 쌍의 단위셀들은 병렬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는 단위셀들은 직렬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링 단자들은 단위셀들의 직렬 연결 부위에 접속되어 있을 수 있다.The pair of unit cells arranged in a plane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he unit cell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may be connected in series, and the ring terminals may be connected to a series connection portion of unit cells .
이 때, 상기 단위셀들의 직렬 연결 부위에 접속된 링 단자들의 배열 구조에 대응하여 상기 와이어 고정부들이 수직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링 단자들에 연결된 와이어들은 각각 상기 와이어 고정부에 의해 정위치에서 고정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wire fixing portions may be vertically arranged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ring terminals connected to the series connection portions of the unit cells. Thus, the wires connected to the ring terminals can each be structured to be fixed in place by the wire fixing portion.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와이어 고정부들은 와이어들이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2개의 후크(hook)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와이어들을 정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구조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one specific example, the wire fixing portions may be formed of two hook structures in which the wires are protruded to be inserted and fixed inward.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various structures can be used as long as the structure fixes the wires in place.
한편, 상기 버스 바 장착용 부재는 장방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버스 바, 및 링 단자의 접속 구조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외주면을 따라 측벽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The bus bar mounting member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nd may have side walls protrud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protect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us bar and the ring terminal from the outside.
이 때, 상기 버스 바 장착용 부재의 측벽의 내측면에는 상기 와이어 고정부들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들이 상기 측벽의 내측면을 따라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wire fixing portions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bus bar mounting member, and the wires may be fixed along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상기 전극단자는, 버스 바와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 단부가 상향 또는 하향 절곡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는 단위셀들이 버스 바에 의해 직렬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전극단자는 버스 바 장착용 부재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을 수 있다.The electrode terminal may be bent upward or downward so that one end thereof can be coupled to the bus bar. That is, the electrode terminals may be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bus bar mounting member so that vertically arranged unit cells can be connected in series by bus bars.
상기 전극단자의 절곡된 일측 단부와 버스 바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결합구들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결합구들은 볼트, 볼트-너트 또는 압입 너트에 의해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는 단위셀들 중 하나의 단위셀은 버스 바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단위셀은 버스 바의 타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At one end of the bent electrode terminal and at both ends of the bus bar, coupling parts may be formed, and the coupling parts may be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fastened by a bolt, a bolt-nut or a press-fitting nut. Accordingly, one of the unit cells arranged vertically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us bar, and the other unit cell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us bar.
상기 버스 바와 볼트, 또는 버스 바와 볼트-너트, 또는 버스 바와 압입 너트 사이에는, 링 단자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버스 바와 링 단자를 전극단자에 체결하기 위해, 볼트, 볼트-너트 또는 압입 너트를 회전하는 과정에서, 링 단자가 같이 회전되어 단선 또는 손상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만, 상기 버스 바 장착용 부재에는 링 단자 가이드들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링 단자들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A ring terminal may be coupled between the bus bar and the bolt, or between the bus bar and the bolt-nut, or between the bus bar and the indentation nut. Therefore,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bolt, the bolt-nut or the press-fitting nut in order to fasten the bus bar and the ring terminal to the electrode terminal, the ring terminal may rotate together to cause disconnection or damage. The rotation of the ring terminals can be prevented.
구체적으로, 상기 링 단자는, 단위셀들의 직렬 연결 부위에 결합되는 단자 결합부와, 상기 단자 결합부와 상기 와이어를 연결하는 단자 본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링 단자 가이드는 상기 단자 본체를 정위치 고정하여 단자 결합부의 회전을 억제하는 구조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ring terminal includes a terminal coupling portion coupled to a series connection portion of the unit cells, and a terminal body connecting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and the wire. The ring terminal guide connects the terminal body to a fixed position And the rotation of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is suppressed.
상기 링 단자 가이드는 단자 본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을 지지하는 돌출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The ring terminal guide may have a protruding structure for supporting one side or both side surfaces of the terminal body.
즉, 상기 링 단자 가이드는 단자 결합부의 시계 방향 회전을 억제하는 단자 본체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돌출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반대로, 반시계 방향 회전을 억제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 회전 모두 억제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at is, the ring terminal guide may have a protruding structure for supporting one side surface of the terminal main body for suppressing clockwise rotation of the terminal engaging part. On the contrary, it may be structured to suppress rotation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suppress both the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rotations.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모듈을 단위모듈로 포함하는 전지팩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battery module as a unit module.
상기 전지팩은 소망하는 출력 및 용량에 따라 단위모듈로서 상기 전지모듈을 조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장착 효율성, 구조적 안정성 등을 고려할 때, 가정용 전원장치, 공공시설 전원장치, 대형상점용 전원장치, 비상용 전원장치, 전산실 전원장치, 휴대용 전원장치, 의료설비 전원장치, 소화설비 전원장치, 경보설비 전원장치, 피난설비 전원장치,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전원으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적용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battery pack may be manufactured by assembling the battery module as a unit module according to a desired output and capacity. In consideration of mounting efficiency, structural stability, etc., the battery pack may include a household power supply unit, Power supplies such as emergency power supplies, computer room power supplies, portable power supplies, medical equipment power supplies,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power supplies, alarm equipment power supplies, evacuation facility power supplies, electric vehicles, hybrid electric vehicles, or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But the scope of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s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구체적으로, 가정용 전원장치, 공공시설 전원장치, 대형상점용 전원장치, 비상용 전원장치, 전산실 전원장치, 휴대용 전원장치, 의료설비 전원장치, 소화설비 전원장치, 경보설비 전원장치, 피난설비 전원장치,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including the battery pack as a power source, and the device is specifically applicable to a household power supply device, a public utility power supply device, a large shop power supply device, an emergency power supply device, A medical device power supply, a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power supply, an alarm facility power supply, an evacuation facility power supply, an electric vehicle, a hybrid electric vehicle, or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이러한 디바이스의 구조 및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uch a device are well known in the art,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은, 와이어를 정위치에서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부, 및 링 단자들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링 단자 가이드들이 형성되어 있는 버스 바 장착용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버스 바와 링 단자를 전극단자에 연결하는 공정에서, 와이어의 손상을 방지하고 링 단자의 회전으로 인한 주위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여 불량률을 낮추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wire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wire in the correct position, and the bus bar mounting member formed with the ring terminal guides for preventing rotation of the ring terminals,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bus bar and the ring terminal to the electrode terminal,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wire and to prevent breakage of the surrounding parts due to rotation of the ring terminal, thereby reducing the defect rate and improving the safety.
도 1은 본 발명의 전지모듈에서 단위셀을 구성하는 전지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지셀로 구성된 단위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B 부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의 버스 바 장착용 부재에 링 단자가 고정된 구조의 모식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cell constituting a unit cell in the batte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unit cell made up of the battery cells of FIG. 1;
3 is a side view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3;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in Fig.
Fig. 6 is a schematic view of a structure in which a ring terminal is fixed to a bus bar mounting member of Fig. 3;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는 본 발명의 전지모듈에서 단위셀을 구성하는 전지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전지셀로 구성된 단위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cell constituting a unit cell in the batte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unit cell composed of the battery cell of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지셀(10)은 라미네이트 시트의 전지 케이스(13)에 전극 조립체(도시하지 않음)를 전해액(도시하지 않음)과 함께 내장하고, 외주면(14)을 실링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전극 탭들(11, 12)은 전지 케이스(13)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1 and 2, the
단위셀(110)은, 전극단자들(112, 114)이 일측에 노출된 상태로 2개의 판상형 전지셀들(10)이 셀 커버(116)에 장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단위셀의 셀 커버(116)는 전극단자들(112, 114) 부위를 제외하고 전지셀들(10)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외장 부재로 구성되며, 셀 커버(116) 내부의 전지셀들(10)은 동일 극성의 전극 탭들(11, 12)이 서로 접하면서 병렬 연결되도록 적층되어 있다. The
도 3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A 부위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에는 도 4의 B 부위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도 3의 버스 바 장착용 부재에 링 단자가 고정된 구조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3 is a side view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in Fig. 4, and Fig. 6 is a schematic view of a structure in which a ring terminal is fixed to a bus bar mounting member in Fig.
도 3 내지 도 6을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전지모듈(100)은 복수의 단위셀들(110), 버스 바들(120), 링 단자들(130), 버스 바 장착용 부재(140), 및 BMS(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3 to 6 together with FIG. 2, the
복수의 단위셀들(110)은, 한 쌍의 단위셀들(110)이 전극단자들(112, 114)이 상호 대면하는 구조로 평면 상 배열된 상태에서, 이러한 단위셀들(110)이 지면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수직 배열되어 단위셀 적층체를 형성하고 있다.The plurality of
평면 상 연결된 단위셀들(110)은 병렬 연결되어 있고, 수직으로 배열된 단위셀들(110)들은 직렬 연결되어 있다.The planarly connected
단위셀들(110)의 전극단자들(112, 114)이 연결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버스 바 장착용 부재(140)가 장착되어 있다. A bus
단위셀들(110)의 전극단자들(112, 124)은 버스 바 장착용 부재(140) 방향 측의 단부가 절곡되어 있고, 전극단자들(112, 124)의 절곡된 단부와 버스 바(120)의 양측 단부에는 결합구들(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The
전극단자들(112, 124) 및 버스 바(120)의 결합구들은 볼트(150)에 의해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체결되어 있다. 버스 바(120)와 볼트(150) 사이에는 링 단자(130)가 결합되어 있다.The
링 단자(130)는 단위셀들(110)의 직렬 연결부위에 결합되는 체결구(133)가 형성되어 있는 단자 결합부(132), 및 단자 결합부(132)와 와이어(160)를 연결하는 단자 본체(134)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단자 결합부(132)에서 전압을 측정하여 와이어(134)를 통해 BMS로 측정된 전압 데이터를 송부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The
버스 바 장착용 부재(140)는 장방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외주면을 따라 측벽(145)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The bus
버스 바 장착용 부재(140)의 측벽(145) 내측에는 와이어들(160)을 정위치에서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부들(142)이 형성되어 있어서, 와이어들(160)이 와이어 고정부들(142)에 각각 고정되어 측벽(145) 내측에 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와이어 고정부들(142)은 링 단자들(130)의 배열 구조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와이어들(160)을 효율적으로 고정하고 있다. 와이어 고정부들(142)의 구조는 와이어들(160)이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돌출된 2개의 후크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Wire fixing portions 142 for fixing the
그리고, 버스바 장착용 부재(140)의 내부에는 링 단자(130)의 단자 본체(134)의 회전을 억제하는 링 단자 가이드들(146)이 형성되어 있다. 링 단자 가이드들(146)은 단자 본체(134)의 양 측면에 접하도록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Ring terminal guides 146 for preventing the rotation of the terminal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20)
상기 단위셀들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버스 바들;
전압 측정을 위해 상기 단위셀들의 전기적 연결 부위에 접속되어 있는 링 단자들(ring terminal) 및 상기 링 단자들에서 검출된 전압을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로 송부하는 와이어들;
상기 단위셀들의 전기적 연결 부위에 대응하는 전지모듈의 외면에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들을 정위치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부들과, 상기 링 단자들의 회전을 방지하는 링 단자 가이드들(ring terminal guides)을 포함하고 있는 버스 바 장착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셀들은 전극단자들이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단위셀들이 전극단자 상호 대면 구조로 평면 배열된 상태에서, 지면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수직 적층되어 단위셀 적층체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단위셀 적층체의 일측면에 BMS(Battery Management System)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평면 배열된 한 쌍의 단위셀들은 병렬 연결되어 있고, 수직 배열된 단위셀들은 직렬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링 단자들은 단위셀들의 직렬 연결 부위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링 단자는, 단위셀들의 직렬 연결 부위에 결합되는 단자 결합부와, 상기 단자 결합부와 상기 와이어를 연결하는 단자 본체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링 단자 가이드는 단자 본체를 정위치 고정하여 단자 결합부의 회전을 억제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A battery module comprising a plurality of unit cells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Bus bars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unit cells;
A ring terminal connected to an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of the unit cells for voltage measurement, and wires for transmitting a voltage detected at the ring terminals to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Wire fixing part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s of the unit cells and fixedly fixing the wires, and ring terminal guides for preventing rotation of the ring terminals A bus bar mounting member;
Lt; / RTI >
Wherein the unit cell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unit cells, and the pair of unit cells are vertically stacked from the ground in a height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pair of unit cells are arranged in a plane-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cell laminate,
Wherein the pair of unit cells arranged in a plane are connected in parallel, the unit cell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re connected in series, the ring terminals are connected to a series connection portion of the unit cells,
The ring terminal includes a terminal coupling portion coupled to a series connection portion of the unit cells, and a terminal body connecting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and the wire. The ring terminal guide fixes the terminal body in a fixed position, Wherein the battery module has a structure that suppresses rotation of the battery modu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4567A KR101750088B1 (en) | 2014-05-08 | 2014-05-08 | Battery Module Having Ring Terminal Fixing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4567A KR101750088B1 (en) | 2014-05-08 | 2014-05-08 | Battery Module Having Ring Terminal Fixing Structu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7975A KR20150127975A (en) | 2015-11-18 |
KR101750088B1 true KR101750088B1 (en) | 2017-06-21 |
Family
ID=54838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4567A Active KR101750088B1 (en) | 2014-05-08 | 2014-05-08 | Battery Module Having Ring Terminal Fixing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008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946823B2 (en) * | 2017-07-28 | 2021-10-06 | 株式会社デンソー | Battery pack |
KR102772312B1 (en) * | 2020-01-23 | 2025-02-25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Battery Pack Comprising Ring Terminal Coupled in any Direction |
CN115249862B (en) * | 2021-04-26 | 2024-07-26 | 北京航空航天大学 | Power battery protection system for vehicl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143214A (en) * | 2012-01-10 | 2013-07-22 |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 Wiring module |
-
2014
- 2014-05-08 KR KR1020140054567A patent/KR10175008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143214A (en) * | 2012-01-10 | 2013-07-22 |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 Wiring modu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7975A (en) | 2015-1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86668B1 (en) | Battery Module Assembly Including Sub-Modules Inside | |
US11342597B2 (en) | Battery pack including noise reduction member | |
KR101749721B1 (en) | Battery Module Assembly Having Fuse Assembly | |
KR101653307B1 (en) | A Battery Module Assembly including Unit-Modules | |
KR101729553B1 (en) | Battery Pack for Electric Power Storage Device | |
US9196882B2 (en) | Battery pack of compact structure | |
US10116009B2 (en) | Battery pack including inserted type BMS assembly | |
KR101805757B1 (en) | Battery Module Assembly Having Protruded Communication Terminals of BMS in Front thereof | |
KR101746127B1 (en) | Stacking Type Battery Module of Series Connection Structure | |
JP2011243561A (en) | Battery pack | |
CN105074954B (en) | Battery module assembly with novel structure | |
KR101747398B1 (en) | Stacking Type Battery Module of Parallel Connection Structure | |
KR20150015153A (en) | Stacking Type Battery Pack Having Connecting Member Made of Different Metals | |
KR101750088B1 (en) | Battery Module Having Ring Terminal Fixing Structure | |
KR101666376B1 (en) | Harness Cover | |
KR101747400B1 (en) | Battery Module Having Ring Terminal Guide | |
US9397511B2 (en) | Safety device for battery pack having inserted-typed disconnect member | |
JP6392886B2 (en) | Power terminal assembly for battery mod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08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5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5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0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6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