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815B1 - Rice Bran Screening Device - Google Patents
Rice Bran Screen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8815B1 KR101748815B1 KR1020160093175A KR20160093175A KR101748815B1 KR 101748815 B1 KR101748815 B1 KR 101748815B1 KR 1020160093175 A KR1020160093175 A KR 1020160093175A KR 20160093175 A KR20160093175 A KR 20160093175A KR 101748815 B1 KR101748815 B1 KR 1017488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ce
- sorting
- mesh
- grain
- sorting mes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쌀눈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정된 미강이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미강공급부; 상기 미강공급부의 하측에 수평 및 수직으로 흔들리게 설치되는 쌀눈 선별부; 상기 쌀눈 선별부에서 쌀눈, 미분 및 불량품이 각각으로 저장되는 저장부;를 마련하여 다수로 적층된 선별메시에 의해 각각 다른 크기로 선별할 수 있고, 쌀눈 선별부가 진동모터 또는 크랭크에 의해 수평 또는 수직으로 왕복 이동되며, 이로 인해 쌀눈 선별부가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됨에 따라 쌀눈 선별부에서 선별하고자 물질의 선별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 rice grain selecting device, comprising: a rice bran supply unit installed to feed a raw rice bran; A rice grain sorting part installed to be swinging horizontally and vertically on the lower side of the rice micropump supplying part; The rice ginseng screening section may be provided with a storage section for storing rice ginseng, differentiates and defective products, respectively. The ginseng screening section may be sorted into different sizes by a plurality of stacked sorting meshes. So that the selection efficiency of the material can be improved by selecting the rice ginseng sorting part as the rice ginseng sorting part is reciproc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쌀눈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로 적층된 메시를 수평 및 수직으로 진동을 가해주어 미분과 쌀눈을 간편하게 선별하는 쌀눈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ce grain screen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rice grain screening apparatus that applies vibration to a plurality of stacked meshe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o thereby easily sort fine grains and rice grains.
일반적으로 벼를 도정하여 백미를 얻는 과정에서 왕겨와 쌀겨가 부산물로 얻어지는데, 주로 왕겨는 연료나 축사의 깔개로 이용되며, 미강(쌀겨)은 사료나 기름추출용으로 활용되고 있다.In general, rice husk is obtained as a by-product from rice husks and rice bran in the process of obtaining rice bran. In general, rice husk is used as a fuel or as a rug for housing, and rice bran is used for feed or oil extraction.
현재 미강에 함유된 유지를 추출하여 현미유를 생산하여 부가 가치가 높은 양질의 식용기름을 생산하고 있는 세계적인 쌀 생산국가에서는 상당량의 현미유를 생산하고 있다.Currently, the world's rice producing countries that produce high-value-added high quality edible oil by producing brown rice oil by extracting the oil contained in rice gangue produce a considerable amount of brown rice oil.
이와 같이 현재까지 쌀눈은 도정과정 중 미강에 섞여 사료 또는 유지용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쌀눈에 함유된 비타민E를 포함한 각종 영양성분이 확인되면서 식품가공용 원료나 식용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Thus, until now, rice husks have been mixed with rice bran in the process of rice cultivation and have been used for feed or preservation. However, various nutritional ingredients including vitamin E contained in rice have been confirmed, and attempts have been made to use them as raw materials for food processing or for food.
쌀의 주성분은 전분이 90% 이상이고, 미강은 지방 20%, 단백질 약 15%, 전분 약 16% 이나, 쌀눈은 지방이 21.6%, 단백질 20.2%, 전분 2.4%로 단백질 함량이 높고, 비타민 함유량이 높아 좋은 식품원료로써 효용가치가 있으나, 미강에 섞여 있는 쌀눈은 미강의 산패에 의하여 품질 열화가 쉽게 일어나고 미강으로부터 쌀눈의 분리가 복잡하고 분리된 쌀눈에 왕겨가 섞여 상품화하기까지의 과정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The major components of rice are starch 90%,
그러나 위와 같은 어려움에도 쌀눈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998- 23071호 및 제1998-23072호와, 쌀겨 및 쌀눈으로부터 식품첨가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97-25422호와 같이 쌀눈을 이용하여 식용으로 하는 식품에 대한 연구는 계속 되고 있어 미강으로부터 쌀눈을 보다 쉽게 추출할 수 있는 방법 또는 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However,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s. 1998-23071 and 1998-23072 disclose methods for producing beverages using rice gruel even in the above-mentioned difficulties, and methods for producing food additives from rice bran and rice husks. No. 97-25422, there is a continuing research on foods to be edible using rice gruel, and a method or apparatus for easily extracting rice gruel from rice gruel is required.
그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5-0091977호는 쌀겨의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쌀겨를 원재료로 하여 24 내지 28 메시로 체가름하여 일부의 왕겨가 포함된 배아와 싸라기를 분리하고 순수한 미강과 미강쌀가루가 혼재된 상태의 1차 분리혼합물을 얻는 1차 분리공정, 1차 분리혼합물을 35 내지 42 메시로 체가름하여 순수한 미강과 쌀가루를 분리하는 2차 분리공정, 1차 분리공정에서 얻어진 왕겨가 포함된 배아와 싸라기를 풍력에 의하여 일부 왕겨는 제거하여 배아와 싸라기의 혼합물을 얻고 이를 열처리 하여 싸라기배아를 얻는 배아 수득공정, 2차 분리공정에서 얻어진 순수한 미강을 열처리하여 순수미강을 얻는 순수미강 수득공정 및 2차분리공정에서 얻어진 미강쌀가루는 물에 분산 정치시킨 다음 건져내어 건조시켜 미강쌀가루를 수득하는 미강 쌀가루수득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5-0091977 accordingly relates to a method for processing rice bran. The method comprises cutting rice bran as a raw material to a size of 24 to 28 meshes, separating the embryo containing the rice husks and the rice gruel, A primary separation step for obtaining a primary separation mixture in which rice bran rice flour is mixed, a secondary separation step for separating pure rice bran and rice flour by sieving the primary separation mixture into 35 to 42 meshes, The embryo and the rice containing the embryo are removed by wind power to obtain a mixture of the embryo and the rice, the embryo is obtained by the heat treatment to obtain the embryo, the pure rice obtained by the heat treatment of the pure rice obtained in the second separation step, The rice gum rice flour obtained in the obtaining step and the secondary separation step was dispersed in water and then dried to obtain rice rice flour It comprises the processes rice flour obtained.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에 의한 방법은 쌀눈(배아)을 수득하는 과정에서 미강의 산패 또는 변질로 인하여 품질이 낮은 쌀눈까지는 선별할 수 없어서 양질의 쌀눈을 선별해 내는데 한계가 있으며, 체가름 및 풍력에 의해서만 불순물을 걸러냄으로써 미처 걸러지지 않은 미세한 불순물이 다수 포함되어 쌀눈의 순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method disclosed in the above patent has a limitation in selecting high quality rice husks because it is not possible to sort out rice blades having a low quality due to searing or corruption of rice bran during the process of obtaining rice husk (embry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urity of the rice grain is deteriorated by containing a lot of fine impurities which are not separated by filtering the impurities.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쌀눈 선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below discloses a rice grain sorting apparatus.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는 미강이 포집되는 원료 공급호퍼의 하부에 상기 미강을 이송하는 이송벨트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벨트의 말단에서 미강을 흡입하는 진공관이 구비되는 원료 공급부, 상기 진공관으로 흡입된 미강이 공급되어 각각 다른 메쉬의 진동체(sieve)를 통하여 불순물과 정제미강으로 선별하는 원료 정선부를 구비한다.The rice grain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described below includes a raw material supply portion provided with a conveyance belt for conveying the raw corn to a lower portion of a raw material supply hopper for collecting raw corn and having a vacuum tube sucking the cores at the end of the conveyance belt, And a raw material selection part for selecting impurities and purified raw materials through a sieve of another mesh.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구비된 흡기구에서 타측에 구비된 배기구로 기류가 형성되는 선별실린더의 상부에 구비된 미강투입구로 상기 정제미강이 공급되며, 상기 공간부를 다수개로 분할하도록 설치되며 각각 다른 메쉬의 체가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격벽에 의하여 상기 정제미강으로부터 불순물이 걸러진 준쌀눈을 선별하는 쌀눈 분리부를 구비한다.And the purified microbes are supplied to an inlet of the microcavity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sorting cylinder where the air flow is formed as an exhaust port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inlet por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pace portion, And a rice grain separating unit for separating the rice grains filtered from the purified rice bran by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different mesh bodies.
상부에 구비된 준쌀눈투입구로 투입되는 상기 준쌀눈이 내부에 형성되는 암실에 도달하면 빛을 조사하여 상기 준쌀눈으로부터 불순물을 걸러내는 영상선별수단이 설치되어 정제쌀눈을 배출하는 색체 선별부 및 상기 색체 선별부에 연결되어 상기 정제쌀눈을 이송하는 세척컨베이어와 상기 세척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고압실린더에 압축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구비되는 세척부를 포함한다.A color separator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rice, provided with an image screening means for irradiating light to filter out impurities from the semi-circular rice when reaching a dark room formed inside the quasi-rice inlet, And a washing unit connected to the sorting unit and having a washing conveyor for feeding the purified rice grain and a spray nozzle installed on the washing conveyor for spraying compressed washing water to the high pressure cylinder.
하기 특허문헌 2에는 '고순도 쌀눈 선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2 below discloses a " high purity rice grain screening apparatus ".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고순도 쌀눈 선별장치는 호퍼로부터 미강을 공급받아 메쉬를 통과시켜 크기별로 선별하는 것으로, 구동원에 의해 요동되는 제1스크린부 및 상기 제1스크린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메쉬를 통과한 미강입자를 수거하는 제1미강수거부 및 상기 제1스크린부의 일측에 연결 구비되어 메쉬를 통과하지 못한 이물질을 수거하는 제1이물수거부로 이루어진 제1선별기, 상기 제1선별기로부터 선별된 미강입자를 제1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받아 풍력에 의한 비중차를 이용하여 선별하는 것으로 미강입자가 투입되는 비중챔버 및 이 비중챔버의 일측에 설치되어 비중챔버의 내부에 풍력을 작용하는 송풍수단 및 풍력에 의해 낙하되는 미강입자를 수거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2미강수거부 및 이 제2미강수거부를 벗어난 위치에 떨어지는 낙하 이물질을 수거하는 제2이물수거부로 이루어진 제2선별기를 구비한다.The high-purity rice grain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2 described below supplies raw corn from a hopper and passes through a mesh to sort by size. The first screen unit is pivotally moved by a driving source, and the first screen unit is disposed below the first screen unit. A first separator for collecting the untreated water from the first screen portion and a first foreign matter collecting portion for collecting foreign matter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screen portion and has not passed through the mesh, Which is supplied to the specific gravity chamber through the first supply means and is selected by using the specific gravity difference by the wind force, is provided with a specific gravity chamber into which the grains are introduced, a blowing mean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gravity chamber, The second rice bran water rejection provided for collecting the rice bran particles dropped by the first rice bran and the falling air fallen off the second rice bran water rejection First and a second selector consisting of two foreign body rejection which may collect.
상기 제2선별기로부터 선별된 미강입자를 제2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받아 메쉬를 통과시켜 크기별로 선별하는 것으로, 구동원에 의해 요동되는 제2스크린부 및 이 제2스크린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메쉬를 통과한 미강입자를 수거하는 제3미강수거부 및 제2스크린부에 연결 구비되어 메쉬를 통과하지 못한 이물질을 수거하는 제3이물수거부로 이루어진 제3선별기, 상기 제3선별기로부터 선별된 미강입자를 제3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받아 색채를 기준으로 선별하는 것으로, 공급된 미강입자의 착색 여부를 감지하여 미강입자와 이물질을 선택 분리시키는 색채선별부 및 분리된 미강입자를 수거하는 제4미강수거부 및 분리된 이물질을 수거하는 제4이물수거부(75)로 이루어진 제4선별기를 구비한다.A second screen portion swingable by a driving source, and a second screen portion provided below the second screen portion to pass the mesh through the mesh. A third separator connected to the second screen and connected to the second screen to collect foreign matters not passing through the mesh, a third separator connected to the second screen and collecting the foreign particles, A color separator for separating and separating the fine particles from the fine particles by detecting the color of the supplied fine particles, and a fourth unusual rejecting unit for collecting the separated fine particles, And a fourth foreign object rejecting unit 75 for collecting separated foreign substances.
상기 제4선별기로부터 선별된 미강입자를 제4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받아 일측으로 이송하는 그물체의 스크린벨트 및 이 스크린벨트의 하측에 배치되어 이송되는 미강입자에 대해 고압 토출을 하는 에어토출부 및 스크린벨트의 상측에 위치되어 부상된 분진이물을 흡입 포집하는 제5이물수거부 및 상기 스크린벨트의 일측에 배치되어 분진이물이 제거된 쌀눈을 수거하는 쌀눈수거부로 이루어지는 제5선별기를 포함한다.A screen belt of an object to be fed through the fourth feeding means and conveyed to the one side by the fourth separator, an air discharging portion for discharging high pressure to the corpuscular particles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screen belt, and And a fifth sorting devic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creen belt to receive the fifth foreign object for suctioning and collecting water from the floating dust, and a fifth sorting devic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creen belt for refusing the rice flour for collecting the rice flour from which dust is removed do.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는 원료 정선부에서 쌀눈을 1차 선별하고, 쌀눈 분리부에서 2차 선별한 다음 색채 선별부에서 쌀눈의 색채를 판별하여 미강을 분리하므로 장치가 대형화되고, 이로 인해 대형화된 선별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매우 크게 차지하게 되며, 카메라 등의 영상식별장치 등을 설치해야 되어 시설비가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rice grain screening apparatus, the rice is first screened at the primary screen of the raw material, the secondary screen is selected at the rice screen separating unit, the color of the rice grain is discriminated at the color screening unit, The space for installing the screening device becomes very large, and an image identification device such as a camera is installed.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크랭크 및 진동모터에 의해 선별부를 수평 및 수직으로 흔들어 주면서 쌀눈을 간편하게 선별할 수 있는 쌀눈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ice grain screening device capable of easily screening rice grains while shaking the screening portion horizontally and vertically by means of a crank and a vibration moto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강의 투입량에 따라 크랭크 및 진동모터의 세기를 각각 다르게 조절할 수 있는 쌀눈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ice grain screen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intensity of a crank and a vibration motor,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input amount of raw ric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는 도정된 미강이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미강공급부; 상기 미강공급부의 하측에 수평 및 수직으로 흔들리게 설치되는 쌀눈 선별부; 상기 쌀눈 선별부에서 쌀눈, 미분 및 불량품이 각각으로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ice grain sorting apparatus comprising: a rice bran supply unit installed to feed raw rice bran; A rice grain sorting part installed to be swinging horizontally and vertically on the lower side of the rice micropump supplying part; And a storage part in which the rice grit, the fine powder, and the defective product are stored in the rice grit selecting part, respectively.
상기 쌀눈 선별부는 상기 미강공급부에 투입된 미강의 입자보다 큰 입자를 선별하도록 설치되는 제1 선별메시; 상기 제1 선별메시의 하부에 미강의 입자보다 작은 입자를 선별하도록 설치되는 제2 선별메시; 상기 제1 선별메시 및 상기 제2 선별메시가 수평 및 수직으로 흔들리도록 설치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rice grain selecting unit comprises: a first sorting mesh installed to sort particles larger than that of rice bran fed into the rice micropump supplying unit; A second sorting mesh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orting mesh to sort particles smaller than the grain of the rice bran; And driving means installed so that the first sorting mesh and the second sorting mesh swing horizontally and vertically.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1 선별메시 및 제2 선별메시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1 선별메시에 설치되는 진동모터; 상기 제1 선별메시 및 상기 제2 선별메시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2 선별메시에 설치되는 크랭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ing means includes a vibration motor installed in the first sorting mesh so that the first sorting mesh and the second sorting mesh ar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crank provided on the second sorting mesh so that the first sorting mesh and the second sorting mesh ar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제1 선별메시 및 제2 선별메시는 하강된 미강이 상기 저장부로 자연스럽게 이동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first sorting mesh and the second sorting mesh are installed so as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y are smoothly moved to the storing part.
상기 쌀눈 선별부는 프레임; 상기 크랭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선별메시가 상기 프레임 상면을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바퀴; 상기 제1 선별메시 및 상기 선별메시가 동시에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선별메시와 상기 제2 선별메시의 측면에 설치되는 회전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rice grain selecting unit comprises: a frame; A wheel installed so that the second sorting mesh is horizontally movable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by rotation of the crank; And a rotary rod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sorting mesh and the second sorting mesh so that the first sorting mesh and the sorting mesh can be simultaneously moved verticall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에 의하면, 다수로 적층된 선별메시에 의해 각각 다른 크기로 선별할 수 있고, 쌀눈 선별부가 진동모터 또는 크랭크에 의해 수평 또는 수직으로 왕복 이동되며, 이로 인해 쌀눈 선별부가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됨에 따라 쌀눈 선별부에서 선별하고자 물질의 선별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ice grain sel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ce grain selecting unit can be selected by different sizes by a plurality of stacked sorting meshes, and the rice grain selecting unit is reciprocally mov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by a vibration motor or a crank, So that the sorting efficiency of the material to be sorted can be increased in the rice grain sorting part as the rice grain sorting part is reciproc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에 의하면, 제1 선별메시에 의해 쌀눈보다 큰 입자상 물질, 쌀눈, 쌀눈보다 작은 입자상의 미분을 각각으로 선별할 수 있고, 다수로 적층된 선별메시에 의해 서로 다른 크기의 입자상의 물질이 서로 섞이거나 혼합될 우려가 없으며,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쌀눈 선별부에 의해 서로 다른 크기의 쌀눈, 미분을 간편하게 분리하여 선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ccording to the rice grain sel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orting mesh can select the particulate matter larger than the rice grain, the rice grain, and the particulate smaller than the rice grain, respectively, There is no fear that the particulate matter will be mixed or mixed with each other, and the rice ginseng selection unit having a simple structure can easily separate and select rice ginseng and different kinds of different size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의 구성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ice grain scree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rice grain scree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ice grain separator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rice grain separ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의 구성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ice grain scree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는 도정된 미강이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미강공급부(10), 상기 미강공급부(10)의 하측에 수평 및 수직으로 흔들리게 설치되는 쌀눈 선별부(20), 상기 쌀눈 선별부(20)에서 쌀눈, 미분 및 불량품이 각각으로 저장되는 저장부(30)를 포함한다.The apparatus for sorting ric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는 쌀눈을 선별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선별메시를 수평으로 흔들어 줌은 물론 수직 방향으로 진동을 가해 줌으로써, 1번의 선별 작업만으로도 쌀눈의 선별 효율을 높이도록 한다.The apparatus for sorting r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horizontally shakes the sorting mesh installed for sorting rice, but also vibr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by increasing the sorting efficiency of the rice blossom with only one sorting opera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는 쌀눈을 선별하기 위한 다수의 선별메시가 설치되며, 상기 선별메시에서 선별된 미분, 쌀눈(또는 미강) 및 불순물을 각각으로 걸러줌은 물론 선별메시에서의 선별 효율을 보다 향상시켜 1번의 선별 작업만으로도 양질의 쌀눈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1, the rice grain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orting meshes for sorting rice husk, and the sorted fine particles, rice husks (or rice bran) and impurities It not only filters but also improves the screening efficiency of the screening mesh, so that a high quality rice grain can be obtained with only one screening operation.
도 1에서와 같이, 수확된 벼를 도정하는 도정기(11)가 설치되며, 상기 도정기(11)는 통상의 것을 이용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 1, a
상기 도정기(11)의 일측에는 도정기에서 도정 과정이 이루어진 쌀눈(이하 '미강'을 포함한다)이 투입되는 미강 공급탱크(12)가 설치된다.A rice
상기 미강 공급탱크(12)는 도정된 쌀눈을 일정량 저장하는 것으로, 상면이 개방된 탱크 또는 호퍼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rice
상기 미강 공급탱크(12)의 하측에는 쌀눈을 선별하는 쌀눈 선별부(20)가 설치된다.Below the rice
상기 쌀눈 선별부(20)는 미강 공급탱크(12)로부터 공급된 쌀눈을 미분, 쌀눈, 이물질로 선별한다. 즉, 쌀눈 선별부(20)는 다수의 메시로 이루어지며, 기본적인 구조로 2개의 선별메시(22, 24)가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rice
이와 달리 선별메시(22, 24)는 다수의 선별메시가 설치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election mesh (22, 24) can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orting meshe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메시의 제1 선별메시(22)를 2개 또는 3개를 서로 겹치게 설치할 수 있다. 즉, 동일한 크기의 메시로 이루어진 제1 선별메시(22)를 수직 방향으로 2개 또는 3개를 겹치게 설치함으로써, 선별하고자 하는 입자 크기만을 선택적으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2, two or three of the
또한 동일한 메시의 제2 선별메시(24)를 2개 또는 3개를 서로 겹치게 설치할 수 있다. 즉, 동일한 크기의 메시로 이루어진 제2 선별메시(24)를 수직 방향으로 2개 또는 3개를 겹치게 설치함으로써, 선별하고자 하는 입자 크기만을 선택적으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한다.Further, two or three of the
도 1에서와 같이, 쌀눈 선별부(20)는 일정 높이를 갖는 프레임(21)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21)의 상측, 즉 미강 공급탱크(12)의 하측에는 쌀눈을 선별하기 위한 제1 선별메시(22)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 the
상기 제1 선별메시(22)는 쌀눈과 함께 투입된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것으로, 쌀눈의 입자보다 큰 메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선별메시(22)는 쌀눈과 함께 투입되는 돌 또는 백아 등의 이물질을 걸러주게 된다.The
상기 제1 선별메시(22)의 측면에는 진동모터(23)가 설치된다. 상기 진동모터(23)는 제1 선별메시(22)를 수직 방향으로 흔들어주게 된다.A
이러한 제1 선별메시(22)의 하부에는 제2 선별메시(24)가 설치되며, 상기 제2 선별메시(24)는 진동모터(23)에 의해 제1 선별메시(22)와 함께 수직 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A
아울러 제2 선별메시(24)의 저면에는 프레임(21)을 따라 수평 이동되도록 바퀴(25)가 설치된다. 상기 바퀴(25)는 제1 선별메시(22)와 제2 선별메시(24)가 수평 방향으로 보다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설치된다.In addition, a
또 제2 선별메시(24)의 일측에는 크랭크(26)가 설치된다. 상기 크랭크(26)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크랭크(26)와 제2 선별메시(24)는 일정 길이를 갖는 로드(27)에 의해 서로 연결되게 설치된다.A
상기 쌀눈 선별부(20)의 하측 및 일측에는 쌀눈 선별부(20)에서 각각 다른 크기로 선별된 미분, 쌀눈 등을 저장하는 다수의 탱크로 이루어진 저장부(30)가 설치된다.At the lower side and one side of the rice
상기 저장부(30)는 제2 선별메시(24)를 통과한 미분이 저장되는 미분탱크(31), 상기 제2 선별메시(24)를 통과하지 못한 쌀눈이 저장되는 쌀눈탱크(32), 상기 제1 선별메시(22)를 통과하지 못한 쌀눈, 배아 등의 이물질이 저장되는 혼합탱크(33)를 포함한다.The
상기 미분탱크(31)는 제2 선별메시(24)를 통과하는 미분이 저장되는 탱크로, 상기 미분탱크(31)는 프레임(21)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미분탱크(31)는 프레임(21)의 일측 하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The
상기 제2 선별메시(24)의 일측에는 제2 선별메시(24)를 통과히지 못한 쌀눈이 저장되는 쌀눈탱크(24)가 설치된다. 또한 제1 선별메시(22)의 일측에는 제1 선별메시(22)를 통과하지 못한 쌀눈, 배아 등과 같은 이물질이 혼합되는 혼합탱크(26)가 설치된다.A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의 구성도이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ice grain scree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는 미강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미강을 선별하는 쌀눈 선별부(20)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한다.3, the rice grain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ice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미강공급부(10) 및 저장부(30)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쌀눈 선별부(20)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apparatus for sorting r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rice
상기 미강 공급탱크(12)의 하측에는 쌀눈 선별부(20)가 설치되며, 미강 공급탱크(12)의 하측에 제1 선별메시(22)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선별메시(22)의 하측에는 제2 선별메시(24)가 설치된다.A
상기 제1 선별메시(22)에는 제1 선별메시(22) 및 제2 선별메시(24)를 수직 방향으로 흔들어주는 진동모터(23)가 설치되고, 이들 제1 선별메시(22) 및 제2 선별메시(24)는 2개의 선별메시(22, 24)가 동시에 수직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회전로드(28)가 설치된다.The
즉, 2개의 선별메시(22, 24)는 진동모터(23)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동시에 흔들리도록 회전로드(28)로 연결 설치된다.That is, the two sorting meshes 22 and 24 are connected to the
아울러 제2 선별메시(24)의 하부에는 프레임(21)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바퀴(25)가 설치되고, 제2 선별메시(24)의 일측에는 제1 선별메시(22) 및 제2 선별메시(24)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크랭크(26)가 설치된다.A
상기 제2 선별메시(24)는 고정프레임(29)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제2 선별메시(24)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선별메시(22) 또한 경사지게 설치된다.The
이와 같이 제1 선별메시(22) 및 제2 선별메시(24)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함으로써, 제1 선별메시(22) 및 제2 선별메시(24)에 의해 선별이 완료된 선별대상물이 쌀눈탱크(32) 또는 혼합탱크(33)로 자연스럽게 이동되게 한다.By arranging the
다음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의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operating the rice grain separ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to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는 미곡처리장의 도정기(11)에서 쌀을 도정하게 되며, 도정 중에서 쌀로부터 분리되는 미강을 별도로 저장하여 이를 미강 공급탱크(12)에 투입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rice grain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rice from the rice in the rice paddy processing plant by separately storing the rice in the rice paddy processing plant, ).
또한 상기 도정기(11)와 미강 공급탱크(12)를 컨베이어 또는 덕트 등을 이용하여 미강이 직접 미강 공급탱크(12)로 공급되게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conveyor or duct or the like to supply the rice gruel directly to the rice
상기 미강 공급탱크(12)로 공급된 미강은 미강 공급탱크(12)의 하부로 배출되고, 배출된 미강은 쌀눈 선별부(20)로 공급된다.Rice bran supplied to the rice
상기 쌀눈 선별부(20)는 제1 선별메시(22)에 설치된 진동모터(23)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며, 제2 선별메시(24)에 설치된 크랭크(26)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The rice
이에 쌀눈 선별부(20)의 제1 선별메시(22)에 공급된 미강은 제1 선별메시(22)에 의해 쌀눈이 제2 선별메시(24)로 낙하되고, 제1 선별메시(22)를 통과하지 못한 배아 또는 돌 등은 제1 선별메시(22)에 남게 된다.The rice bran fed to the
이렇게 제1 선별메시(22)에 남은 제1 선별메시(22)의 메시보다 큰 입자를 갖는 쌀눈, 배아 등은 혼합탱크(33)로 이동되고, 혼합탱크(33)에는 제1 선별메시(22)를 통과하지 못한 잔여물이 채워지게 된다.The rice bran, embryo etc. having particles larger than the mesh of the
또한 제1 선별메시(22)를 통과한 미강은 제2 선별메시(24)에 의해 재차 걸러지게 되는데, 제2 선별메시(24)는 제1 선별메시(22)의 입자보다 작은 입자를 갖는 메시로써, 제2 선별메시(24)에는 쌀눈이 선별된다.In addition, the core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즉, 제2 선별메시(24)에는 쌀눈이 선별되고, 선별된 쌀눈은 제2 선별메시(24)에 의해 걸러지게 되며, 제2 선별메시(24)에 의해 걸러진 쌀눈은 일측에 설치된 쌀눈탱크(32)에 채워지게 된다.That is, the rice grain is selected in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는 동일한 크기의 입자를 갖는 제1 선별메시(22)가 2개 또는 3개 등과 같이 다수로 중복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 선별메시(22)의 메시보다 큰 입자를 갖는 쌀눈, 배아 등은 2중 또는 3중으로 걸러지게 된다.As shown in FIG. 2, since the rice scree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sorting meshes 22 having the same size of particles, such as two or three, Rice bran, embryo, etc. having particles larger than the mesh of the first sorting mesh (22) are double or triple filtered.
또한 동일한 크기의 입자를 갖는 제2 선별메시(24)가 2개 또는 3개 등과 같이 다수로 중복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2 선별메시(24)의 메시보다 큰 입자를 쌀눈이 선별적으로 걸러지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second sorting meshes 24 having the same size of particles are provided so as to overlap with a large number such as two or three, the grain larger than the meshes of the second sorting meshes 24 are selectively filtered .
이와 같이 제1 선별메시(22)에서는 제1 선별메시(22)의 메시보다 큰 입자를 갖는 돌, 배아 등이 보다 양호하게 걸러지게 되고, 제2 선별메시(24)에서는 제2 선별메시(24)의 메시보다 큰 입자를 갖는 쌀눈 만이 선별적으로 걸러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또한 제2 선별메시(24)에는 쌀눈보다 작은 입자를 갖는 미분이 선별된다. 상기 제2 선별메시(24)에는 쌀눈보다 작은 입자의 미분이 선택적으로 걸러지게 되고, 제2 선별메시(24)를 통과한 미분은 미분탱크(31)에 채워지게 된다.In addition, the second sorting mesh (24) is screened for fine particles having particles smaller than the rice grain. The fine particles smaller than the rice grain are selectively filtered in the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선별메시(22) 및 제2 선별메시(24)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제1 선별메시(22)에서 선별된 배아 또는 돌 등의 선별물질이 선택적으로 선별된다.3, the
이렇게 선별된 선별물질은 진동모터(23) 및 크랭크(26)에 의해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므로, 제1 선별메시(22)에서 걸러진 배아 또는 돌 등은 경사진 제1 선별메시(22)를 따라 혼합탱크(33)로 이동되어 채워지게 된다.The selected sorting material is reciprocat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by the vibrating
아울러 제2 선별메시(24)에서 선별된 쌀눈은 진동모터(23) 및 크랭크(26)에 의해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므로, 제2 선별메시(24)에서 걸러진 쌀눈은 경사진 제2 선별메시(24)를 따라 쌀눈탱크(32)로 이동되어 채워지게 된다.The rice grain screened by the
이와 같이 쌀눈 선별부(20)에서는 쌀눈보다 큰 입자를 갖는 돌, 배아 등의 큰 입자상의 물질을 혼합탱크(33)에 선별되고, 선별된 쌀눈은 쌀눈탱크(32)에 선별되며, 쌀눈보다 작은 입자상의 미분은 미분탱크(31)에 선별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rice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미강공급부 11: 도정기
12: 미강 공급탱크 20: 쌀눈 선별부
21: 프레임 22: 제1 선별메시
23: 진동모터 24: 제2 선별메시
25: 바퀴 26: 크랭크
27: 로드 28: 회전로드
30: 저장부 31: 미분탱크
32: 쌀눈탱크 33: 혼합탱크10: rice gonad supplier 11:
12: rice bran supply tank 20: rice grain selection part
21: Frame 22: 1st selection mesh
23: Vibrating motor 24: 2nd sorting mesh
25: wheel 26: crank
27: rod 28: rotary rod
30: storage part 31: differential tank
32: Rice grain tank 33: Mixing tank
Claims (5)
상기 미강공급부의 하측으로 구비되어 미강보다 큰 입자를 걸러내는 제1 선별메시와 미강을 걸러내면서 미강보다 작은 입자의 미분을 선별하는 제2 선별메시로 이루어지는 쌀눈 선별부;
상기 쌀눈 선별부의 상기 제2 선별메시를 통과한 미분이 자동 저장되는 미분탱크와 상기 제1 선별메시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선별메시에 의해 걸러지는 미강이 자동 저장되는 쌀눈탱크 및 상기 제1 선별메시에 의해 걸러지는 미강보다 큰 입자가 자동으로 저장되는 혼합탱크로 이루어지는 저장부;
를 포함하는 구성이며,
상기 쌀눈 선별부는
상기 미강공급부의 하부에서 미강의 입자보다 큰 메시가 수직 방향으로 동일한 크기로 2개 또는 3개가 중복 설치되도록 하여 측면의 진동모터에 의한 수직 방향으로의 진동에 의해 미강의 입자보다 큰 돌이나 배아가 걸러지도록 하는 제1 선별메시와,
상기 제1 선별메시의 하부에서 상기 제1 선별메시와 회전로드에 의해 연결되고, 쌀눈의 입자보다 작은 메시가 수직 방향으로 동일한 크기로 2개 또는 3개가 중복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진동모터에 의한 수직 방향으로의 진동에 의해 미강의 입자보다 작은 입자가 통과되도록 하며, 일측에는 모터와 크랭크 및 로드의 작동에 의해 바퀴를 통해서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하는 제2 선별메시
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쌀눈 선별장치.A rice bran supply unit installed so as to supply raw rice bran;
And a second sorting mesh disposed at a lower side of the micropump supplying section to filter out particles larger than the micropowder and a second sorting mesh for sorting microparticles smaller than the micropowder while filtering the micropowder;
A rice bran tank for automatically storing raw rice which is passed through the first sorting mesh and is filtered by the second sorting mesh, and a second sorting tank for automatically storing fine particles passing through the second sorting mesh of the rice- A reservoir made up of a mixing tank in which particles larger than the raw water are automatically stored;
,
The rice ginseng selection unit
Two or three meshes larger than the grain size of the cores are vertical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reless supply portion so that a stone or embryo larger than the grain size of the cores A first sorting mesh for filtering,
A second sorting mesh is connected to the first sorting mesh by a rotating rod so that two or three meshes smaller than the grain of the rice grain are vertical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in the same size, And a second sorting mesh for allowing the particles to be reciprocated horizontally through the wheels by operation of a motor, a crank, and a rod,
Wherein the rice grain separating apparatus compris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3175A KR101748815B1 (en) | 2016-07-22 | 2016-07-22 | Rice Bran Screen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3175A KR101748815B1 (en) | 2016-07-22 | 2016-07-22 | Rice Bran Screen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48815B1 true KR101748815B1 (en) | 2017-06-19 |
Family
ID=59278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93175A Active KR101748815B1 (en) | 2016-07-22 | 2016-07-22 | Rice Bran Screen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8815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88518B1 (en) | 2017-07-31 | 2017-11-15 | 황의성 | Device for separating sand |
KR101788517B1 (en) | 2017-07-31 | 2017-11-15 | 황의성 | Device for separating sand |
KR102218790B1 (en) * | 2020-11-10 | 2021-02-22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이천미가 | Embryo bud of rice sorting device |
KR20220033914A (en) | 2020-09-10 | 2022-03-17 |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별곡 | Rice Bran Extracting Apparatus |
KR20240114392A (en) | 2023-01-17 | 2024-07-24 | 김민호 | Rice bran screening device using a free fall method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77749B1 (en) * | 2015-02-13 | 2015-12-28 | (주)경기제일미곡처리장 | separator of high-purity rice bran with easy angle control |
-
2016
- 2016-07-22 KR KR1020160093175A patent/KR10174881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77749B1 (en) * | 2015-02-13 | 2015-12-28 | (주)경기제일미곡처리장 | separator of high-purity rice bran with easy angle control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88518B1 (en) | 2017-07-31 | 2017-11-15 | 황의성 | Device for separating sand |
KR101788517B1 (en) | 2017-07-31 | 2017-11-15 | 황의성 | Device for separating sand |
KR20220033914A (en) | 2020-09-10 | 2022-03-17 |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별곡 | Rice Bran Extracting Apparatus |
KR102218790B1 (en) * | 2020-11-10 | 2021-02-22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이천미가 | Embryo bud of rice sorting device |
KR20240114392A (en) | 2023-01-17 | 2024-07-24 | 김민호 | Rice bran screening device using a free fall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48815B1 (en) | Rice Bran Screening Device | |
JP3197017U (en) | Grain sorter | |
KR101721178B1 (en) | Rice Bran Screening Device | |
KR101881496B1 (en) | Sorting system of embryo bud from rice bran | |
CN112452386B (en) | Rice processing technology | |
KR101249957B1 (en) | Sorting equipments of embryo bud of rice | |
CN109123693A (en) | Method is cleaned in a kind of shelling of oil tea fresh fruit stagewise | |
KR101670988B1 (en) | Careful selection machine contained stone separating function | |
KR101919734B1 (en) | An equipment for grinding red pepper | |
KR101271020B1 (en) | Methode of sorting to embryo bud of rice | |
KR101577749B1 (en) | separator of high-purity rice bran with easy angle control | |
JP4580400B2 (en) | Germ separation and recovery device | |
KR101763187B1 (en) | Sorting system of embryo bud from rice bran | |
CN109570037A (en) | A kind of sunflower screening system and its screening technology | |
CN206966126U (en) | A kind of oscillation crosswise multi-deck screen | |
CN208321364U (en) | Sunflower seeds screening system | |
RU2480284C1 (en) | Line for degermination of germ from corn grain | |
CN209597659U (en) | A kind of potato separation system | |
CN110860460A (en) | Prickly ash screening edulcoration all-in-one | |
CN217288630U (en) | Milling equipment of ground rice bran | |
CN114259066B (en) | Efficient and large-scale camellia oleifera fruit shelling, drying and processing production line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 |
US3108949A (en) | Separator for granular goods | |
CN210546376U (en) | Rice winnowing device | |
CN107199130A (en) | A kind of double proportion recleaner screens of grain | |
RU2480517C1 (en) | Maize germs oil production l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10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04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12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4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2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60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05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4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2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6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