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48672B1 - A RF-free system for collecting and providing biological and pose information of an object using voice and cable communication - Google Patents

A RF-free system for collecting and providing biological and pose information of an object using voice and cable commun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672B1
KR101748672B1 KR1020150173106A KR20150173106A KR101748672B1 KR 101748672 B1 KR101748672 B1 KR 101748672B1 KR 1020150173106 A KR1020150173106 A KR 1020150173106A KR 20150173106 A KR20150173106 A KR 20150173106A KR 101748672 B1 KR101748672 B1 KR 101748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ignal
communication
behavior
vo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1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66893A (en
Inventor
옥기윤
이창하
송재영
허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투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투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173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672B1/en
Publication of KR20170066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68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672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04L67/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대상의 신체 또는 거동을 센싱하여 신체신호 또는 거동신호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신체신호 또는 거동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센싱부,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로 출력된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음성수신모듈, 상기 음성수신모듈이 수신한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통신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통신모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통신허브부, 상기 소정의 공간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통신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신체정보 또는 거동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정보제공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통신허브부와 상기 정보제공인터페이스부는 유선통신방식으로 송수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를 전자파 프리(RF-free)공간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프리(RF-free)기반 신체 및 거동정보 수집제공장치대상이 위치하는 공간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신호 및 데이터 통신 과정에서 전자파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대상의 신체에 전자파가 미칠 수 있는 악영향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로 하여금, 원격에서 대상의 신체정보 또는 거동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sensor for sensing a body or behavior of the subject to generate a body signal or a behavior signal, and a voice output module for converting the body signal or the behavior signal into a voice signal and outputting the voice signal into the predetermined space And a communication module having a function of generating a communication signal by receiving a voice signal received by the voice receiving module, and a communication module having a function of receiving a voice signal received by the voice receiving module and generating a communication signal A communication hub unit install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interface unit installed outside the predetermined space and performing a function of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communication signal and providing the user with body information or behavior information Wherein the communication hub unit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interface unit transmit and receive in a wired communication manner Free space based on RF-free space, characterized in that an RF-free space is formed inside the predetermined space by performing the RF-free space in the space where the object is loc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electromagnetic waves from being generated in the course of communication so as to fundamentally block the adverse influence that electromagnetic waves may have on the subject's body and further enable the user to acquire the physical information or behavior information of the subject remotely, It is possible to improve convenience.

Description

음성통신 및 유선통신을 이용하는 전자파 프리 기반 신체 및 거동정보 수집제공 시스템{A RF-free system for collecting and providing biological and pose information of an object using voice and cable communicatio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body and behavior information based on electromagnetic wave free speech using voice communication and wired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소정의 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대상의 신체 및 거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처리 및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상이 위치하는 공간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신호 및 데이터 통신 과정에서 전자파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대상의 신체에 전자파가 미칠 수 있는 악영향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로 하여금, 원격에서 대상의 신체정보 또는 거동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collecting, process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body and behavior of an object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spa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collect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dverse effect that electromagnetic waves may have on the subject's body from occurring, and further, the user can acquire physical information or behavior information of the subject remotely,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

환자나 영유아처럼 스스로 거동을 조절하고, 신체 증상의 변화를 주위 사람에게 알릴 능력이 부족한 대상의 경우, 부모 등 보호자나 간병인, 의사 또는 간호사가 이들 대상을 근접한 거리에서 육안으로 모니터링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어 왔다.In the case of a patient who is unable to control his or her own behavior, such as a patient or infant, and is unable to inform the surrounding people about changes in physical symptoms, the parent or guardian, caregiver, doctor or nurse need to visually monitor these subjects at close distances come.

최근 신체의 변화를 측정 및 감시하기 위한 헬스케어 기술의 개발 트렌드가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대상의 신체 또는 대상이 위치하는 공간 상의 소정의 위치에 대상의 생체 정보 또는 자세 등의 거동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센서를 설치하고, 이들 센서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들을 처리하여, 활용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Recently, development trends of health care technology for measuring and monitoring changes in the body have been expanded. Accordingly, the behavior information such as the biometric information or the posture of the object is collec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space where the body or object of the object is located A technique for installing and using data collected from these sensors is being developed.

다만, 이러한 센서 및 스마트 디바이스는, 대부분 무선통신 기반의 데이터, 신호 통신을 수행하고, 있어, 전자파가 다량으로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전자파가 신체에 미치는 악영향은 특히 영유아, 환자 등의 대상에서 더 크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이에, 전자파의 영향을 저감하는 기술 등은 종래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However, such sensors and smart devices generally perform data communication and signal communication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and electromagnetic waves are generated in a large amount. Generally, adverse effects of electromagnetic waves on the body are more likely to occur in infants and patients The research results are large. Therefore, techniques for reducing the influence of electromagnetic waves have been actively studi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724133호(발명의 명칭 :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소형 액세서리, 이하 종래기술1 이라 한다.)에서는,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액세서리 몸체, 상기 액세서리 몸체에 장착되어 주변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 상기 측정부로부터 얻어진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신호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모노폴 안테나 및 상기 모노폴 안테나에 대응하여 상기 액세서리 몸체를 따라 장착되는 그라운드 라인을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그라운드 라인은 상기 액세서리 몸체에 내장되거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액세서리 몸체를 따라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소형 액세서리가 개시되어 있다.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24133 entitled "Small Accessory for Remote Monitor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an accessory body which can be worn on the body, a change in the surroundings mounted on the accessory body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 signal obtained from the measuring unit; And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including a monopole antenna for transmitting a signal processed by the signal processing unit and a ground line mounted along the accessory body corresponding to the monopole antenna, wherein the ground line is connected to the accessory body A small accessory for remote monitoring is provided which is built-in or partly formed and mounted along said accessory body.

KR 10-0724133 B1KR 10-0724133 B1

종래기술1은, 신체 및 주변부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류를 구비하고, 실시간으로 신체 등 정보를 처리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만, 무선통신의 방식을 통해 센서류와 신호처리부와의 통신을 수행하고 있어, 전자파가 상시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없으며, 착용하고 있는 대상에게 악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나아가, 착용하고 있는 대상이 영유아 또는 환자인 경우, 전자파에 의한 악영향은 더 클 수 밖에 없음은 자명하다.The conventional art 1 has a sensor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body and the peripheral part and has a configuration for processing information such as the body in real time. However,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ensor and the signal processing unit is perform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electromagnetic waves can not be prevented from occurring at all times and adversely affect an object to be worn. Further, when the subject is an infant or a patient, it is obvious that the adverse effect due to electromagnetic waves can not be overcom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소정의 공간에 위치한 대상의 신체 또는 거동을 센싱하여 신체신호 또는 거동신호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신체신호 또는 거동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센싱부와,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로 출력된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음성수신모듈, 상기 음성수신모듈이 수신한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통신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통신모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통신허브부와, 상기 소정의 공간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통신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신체정보 또는 거동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정보제공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통신허브부와 상기 정보제공인터페이스부는 유선통신방식으로 송수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를 전자파 프리(RF-free)공간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프리(RF-free)기반 신체 및 거동정보 수집제공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t least one sensor for sensing a body or a behavior of an object located in a predetermined space to generate a body signal or a behavior signal, And a voice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the voice signal to the inside of the predetermined space, and a voice output module for receiving the voice signal output to the inside of the predetermined space, And a communication module having a function of generating a communication signal, a communication hub unit installed inside the predetermined space, and a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outside the predetermined space,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communication signal,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interface unit performing a function of providing body information or behavior information, Wherein the hub unit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interface unit perform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a wired communication manner to form an RF-free space inside the predetermined space. The RF-free based body and behavior information Collecting and provid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유선통신방식은, 이더넷(ethernet), USB, 전력선통신(Power Line Commnunication), 전화선통신(Telephone Line Communication), 랜(LAN)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The wire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y one of Ethernet, USB, Power Line Communication, Telephone Line Communication, and LAN.

또한, 본 발명의 음성신호의 주파수는 20 Hz 이상 100 kHz 이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requency of the speech sig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20 Hz or more and 100 kHz or less.

또한, 본 발명의 정보제공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통신신호와 기준데이터를 대비하여 생성되는 응용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providing interfac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provide the user with appl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comparing the communication signal with the reference data.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센서는, 가속도센서, 모션센서, 압력센서, 심박센서, 진동센서, 열화상카메라센서, 체온센서, 적외선센서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The at least on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t least one of an acceleration sensor, a motion sensor, a pressure sensor, a heart sensor, a vibration sensor, a thermal camera sensor, a body temperature sensor, and an infrared sensor.

또한, 본 발명의 음성수신모듈은, 상기 대상이 직접 생성하는 소리 또는 상기 소정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더 감지하고, 정보제공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대상이 직접 생성하는 소리 또는 상기 소정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리에 대한 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다.Further, the sound receiv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senses a sound generated by the object directly or a sound gener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interface unit may include a sound generated directly by the object or a sound gener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More information about the sound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공간에 위치한 대상의 신체 또는 거동을 센싱하여 신체신호 또는 거동신호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신체신호 또는 거동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센싱부와,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로 출력된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음성수신모듈, 상기 음성수신모듈이 수신한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통신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통신모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통신허브부와, 상기 소정의 공간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통신신호를 수신하여 스마트기기로 무선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리피터부와, 상기 리피터부가 전송한 통신신호를 무선수신하고 가공하여 응용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응용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통신허브부와 상기 리피터부는 유선통신방식으로 송수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를 전자파 프리(RF-free) 공간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프리(RF-free)기반 신체 및 거동정보 수집제공시스템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t least one sensor for sensing a body or a behavior of an object located in a predetermined space to generate a body signal or a behavior signal, A sound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a sound signal output into the predetermined space, and a function for generating a communication signal by receiving a sound signal received by the sound receiving module A communication hub provid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and configured to receive a communication signal and to transmit the communication signal to a smart device via a repeater, And the repeater unit wirelessly receives and processes the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peater unit to generate application information, Wherein the communication hub unit and the repeater unit perform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a wired communication manner to form an RF-free space in the predetermined space, (RF-free) based body and behavior information collection and provision system.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공간에 위치한 대상의 신체 또는 거동을 센싱하여 신체신호 또는 거동신호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신체신호 또는 거동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센싱부와,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로 출력된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음성수신모듈, 상기 음성수신모듈이 수신한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통신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통신모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통신허브부와, 상기 소정의 공간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통신신호를 수신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부와, 상기 게이트웨이부가 전송한 통신신호를 수신하고 가공하여 응용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서버와, 상기 응용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통신허브부와 상기 게이트웨이부는 유선통신방식으로 송수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를 전자파 프리(RF-free) 공간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프리(RF-free)기반 신체 및 거동정보 수집제공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t least one sensor for sensing a body or a behavior of an object located in a predetermined space to generate a body signal or a behavior signal, A sound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a sound signal output into the predetermined space, and a function for generating a communication signal by receiving a sound signal received by the sound receiving module A gateway unit installed outside the predetermined space and performing a function of receiving the communication signal and transmitting the communication signal to the server, A server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by the gateway and generating and providing application information; The communication hub unit and the gateway unit perform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a wired communication manner, thereby forming an RF-free space in the predetermined space. Free (RF-free) based body and behavior information collection and provision system.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기기는, 스마트밴드, 스마트안경, 스마트폰, 태블릿PC, 스마트시계 중 하나일 수 있다.The sma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ne of a smart band, smart glasses,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a smart watch.

본 발명은, 대상의 신체정보 또는 거동정보를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대상의 신체 및 거동 상태를 원격으로 편리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제1효과, 대상이 위치하는 공간에서 수행되는 신호, 데이터 통신은 무선통신을 통하지 아니하고, 유선통신 또는 음성통신만을 이용함으로써, 해당 공간 내부에서 전자파의 발생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대상의 전자파에 의한 악영향을 없앨 수 있다는 제2효과, 단말 또는 네트워크 배치와 관련하여, 다양한 구성을 개시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가장 적합한 실시구성을 선택할 수 있다는 제3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st effect that a physical information or behavior information of a subject is transmitted to a user in real time and a user can conveniently remotely monitor a body and a behavior state of the subject, The second effect is that data communication can be prevented from the possibility of generating electromagnetic waves in the space by using only wired communication or voice communication without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 It has a third effect that a variety of configurations can be disclosed and the most suitable configuration can be selected in various environ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 및 거동정보 수집제공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 및 거동정보 수집제공장치의 각 구성요소 및 신호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 및 거동정보 수집제공시스템의 구성의 모식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 및 거동정보 수집제공시스템의 구성의 모식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body and behavior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each component and signal flow of the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body and behavior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 body and behavior information collection and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 body and behavior information collection and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은, 대상의 신체 또는 거동을 센싱하여 신체신호 또는 거동신호를 생성하고, 신체신호 또는 거동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로 출력하는 센싱부와, 소정의 공간 내부로 출력된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음성수신모듈이 수신한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통신신호를 생성하며, 소정의 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통신허브부 및 소정의 공간 외부에 설치되고, 통신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신체정보 또는 거동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정보제공인터페이스부를 주요 구성요소로 갖는다.A sensing unit for sensing a body or behavior of an object to generate a body signal or a behavior signal, converting the body signal or the behavior signal into a voice signal and outputting the voice signal to the inside of the predetermined space, A communication hub unit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space and a communication unit installed outside the predetermined space and receiving and processing a communication signal, And provides an information providing interface unit for providing the user with body information or behavior information.

본 발명에서의 대상은 신체 및 거동 정보 수집의 대상을 의미하며, 인간이면 족하며, 남자, 여자, 어린이, 노인, 성인의 구별은 의미가 없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이, 특정 대상의 신체 및 거동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나아가 전자파 프리(RF-free) 환경을 제공하는데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본 발명에서의 신체 및 거동 정보 수집의 대상을 영아, 유아, 고령의 노인, 장애인, 환자 등으로 설정할 때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임은 분명하다.Th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n object of collecting body and behavior information, and it is sufficient for a human being, and the distinction between a man, a woman, a child, an elderly person, and an adult is meaningless.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inuously monitor the body and behavior of a specific object to provide it to a user and further provide an RF-free environment, the body and behavio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that a greater effect can be obtained when setting the target of information collection as infants, infants, elderly elderly, disabled, patients, etc.

본 발명의 신체 및 거동정보 수집제공장치의 일부 구성요소가 설치되는 공간은,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가 전자파 프리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감안할 때, 인접한 다른 공간과는 소정의 구조를 통해 분리되어 존재하는 공간인 것일 것이 요구되나, 다만, 밀폐된 공간일 필요는 없다. 일반적 주택의 방, 병원의 병실 등 다양한 종류의 공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In view of the fact that one of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space for electromagnetic wave free space, a space in which some components of the body and behavior information collection and suppl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can be divided into a space It is required to be a separate space, but it does not have to be an enclosed space. A general house room, a hospital room, and the lik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이하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 별로 상술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each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센싱부는, 하나 이상의 센서와 음성출력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sensing unit includes at least one sensor and an audio output module.

센서는, 대상의 신체 또는 거동을 센싱하여 신체신호 또는 거동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신체신호는, 대상의 신체로부터 측정가능한 생체정보를 의미하며, 맥박, 체온, 심전도, 혈당, 혈압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신체신호를 수집하는 센서로는 심박센서, 체온센서, 심전도센서, 혈당센서, 혈압센서, 진동센서, 열화상카메라센서, 온도센서(체온센서), 적외선센서 등 해당 기능에 특화된 센서일 수 있으나, 범용적인 목적을 갖는 압력센서 등을 활용하여 심박, 혈압 등을 측정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물론, 레이저도플러진동계 등을 이용하여, 호흡에 따른 복부의 움직임 등을 감지하여, 대상의 호흡여부, 호흡수 등을 감지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센서의 설치 내지 부착의 위치는 신체신호 또는 거동신호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것이며, 신체의 측정 부위에 직접 부착할 수 있으나, 센서 구성에 따라 신체의 측정 부위에 부착하지 않는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일례로, 체온센서의 경우, 적외선 열감지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신체의 측정 부위로부터 이격시켜 설치할 수 있다. The sensor senses the body or behavior of the subject and generates a body signal or a behavior signal. The body signal refers to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able from the subject's body, and may be pulse, body temperature, electrocardiogram, blood sugar, blood pressure,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nsor for collecting such a body signal may be a sensor specialized in a corresponding function such as a heart sensor, a body temperature sensor, an electrocardiogram sensor, a blood glucose sensor, a blood pressure sensor, a vibration sensor, a thermal camera sensor, a temperature sensor (body temperature sensor) , A pressure sensor having a general purpose, etc., are not used to exclude measurement of heart rate, blood pressure, and the like.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detect the subject's breathing, breathing, etc.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abdomen due to breathing using a laser Doppler vibration system or the like. In addition, the position of attachment or attachment of the sensor will depend on the kind of the body signal or the behavior signal, and it can be directly attached to the measurement part of the body, but according to the sensor configuration, have.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body temperature sensor, when the infrared heat sensing method is used, the body temperature sensor can be installed apart from the measurement part of the body.

또한, 센서로서 열화상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신체의 각 부위별 체온분포를 표시하는 화상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의 화상이미지는 온도의 구간별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게 되며, 화상이미지의 처리를 통해, 단지 신체 부위별 온도를 특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거동-일례로 옆으로 누워있는지, 엎드려있는지 등-을 식별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렇게 열화상카메라 등을 센서로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 화상이미지를 처리하여 온도값을 추출하거나, 거동정보를 산출하는 기능을 하는 화상이미지프로세서를 추가로 구비해야 할 수 있고, 화상이미지프로세서의 출력은 후술하는 음성출력모듈에 입력될 것이다.Further,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 image image that displays the body temperature distribution of each part of the body by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or the like as a sensor. At this time, the image image is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intervals of the temperature. By processing the image image, not only the temperature of each part of the body can be specified, but also the behavior to be described later - for example, lying on the side, - will be able to identify.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thermal imaging camera or the like is to be used as a sensor, it may be necessary to further include an image image processor that processes the image image to extract the temperature value or to calculate the behavior information, The output will be input to the audio output module described below.

또한, 센서로서, 레이저 도플러 혈류계, 초음파혈관감시기, 전자혈류계, 초음파혈류계, 레이저혈류계, 자기공명혈류계, 혈류량계, 뇌혈류계, 열희석심박출량계 , 임피던스심박출량계, 초음파심박출량계, 피크법심박출량계, 방사성동위체심박출량계, 색소희석심박출량계, 방광내압계, 일회용소변유량용적측정계, 재사용가능소변유량용적측정계, 요실금진단기, 맥파계, 맥파분석기, 혈압검사용커프, 요화학분석기, 요비중계, 분변분석기, 체액분석기, 위산도측정장치, 체액점도계, 심동도계, 기도압감시기, 수면평가장치, 두개내압력계, 두개내압모니터, 흉강내압계, 척수압력계, 심자계, 뇌자계, 근자계, 초음파도플러진단장치, 초음파펄스진단장치, 진단폐활량계, 회전식폐활량계, 폐활량감시장치, 비강풍속계, 흡입공기압측정기, 산소섭취량계산기, 폐용적변동측정기, 호흡저항계, 무호흡측정기, 근전도계, 신경전도속도측정기, 피부전위측정기, 경직성분석기,산소포화도 측정기 등 특정 기능을 갖는 기구를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sensor, it is possible to use a laser Doppler blood flow system, an ultrasonic blood vessel monitor, an electronic blood flow system, an ultrasonic blood flow system, a laser blood flow system, a magnetic resonance blood flow system, a blood flow system, a cerebral blood flow system, a thermal dilution cardiac output system, Blood pressure monitor, blood pressure monitor, pulse wave meter, pulse wave meter, radioisotope cardiac output meter, colorimetric dilution cardiac output meter, bladder pressure meter, disposable urine flow volume meter, reusable urine flow volume meter, incontinence diagnostic device, Cuff, urine chemical analyzer, urine density meter, fecal analyzer, body fluid analyzer, gastric acidity measuring device, body fluid viscometer, centrometer, airway pressure monitor, sleep evaluation device, intracranial pressure gauge, intracranial pressure monitor, thoracic pressure gauge, Ultrasonic Pulse Diagnostic System, Diagnostic Spirometer, Rotational Spirometer, Spirometer, Nasal Anemometer, Intake Air Pressure Monitor, Oxygen Intake Calculator, Pulmonary Pulmonary Volume A device having a specific function such as a volume variation meter, a breathing resistance meter, an apnea meter, an EMG meter, a nerve conduction velocity meter, a skin potential meter, a rigidity analyzer, and an oxygen saturation meter can be applied.

거동신호는, 대상의 동작 및 자세의 변화에 관련된 맥락을 담고 있는 신호로서, 대상의 신체의 가속도 변화를 측정하여 추정할 수 있다. 이 때 사용되는 센서는, 일반적인 가속도센서 뿐만 아니라, 자이로센서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센서의 설치위치는 대상의 신체에 직접 부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대상이 위치하는 침대, 요람 등의 기구에 부착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센서에 의해 대상의 동작의 패턴 - 일례로, 대상이 한 자세로 오랫동안 누워있는지 여부의 판단, 기침을 심하게 하는지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The behavior signal is a signal containing a context related to a change in an object's motion and posture, and can be estimated by measuring a change in the acceleration of the subject's body. As the sensor used at this time, not only a general acceleration sensor but also a gyro sensor or the like can be applie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ensor may be considered to be directly attached to the subject's body, but it is not excluded that the sensor is attached to a device such as a bed or a cradle in which the subject is located. Such a sensor can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pattern of motion of the subject-for example, determining whether the subject is lying in a posture for a long time, severely coughing, and the like.

센서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는데, 동종의 센서를 하나 이상 구비할 수도 있고, 이종의 센서를 복수 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One or more sensors may be provided, and one or more sensors of the same kind may be provided, or a plurality of sensors of different types may be provided.

음성출력모듈은,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입력되고, 일반적으로 전기신호의 형식으로 전송되는 신체신호 또는 거동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대상이 위치하는 소정의 공간 내부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voice output module converts a body signal or a behavior signal input from the at least one sensor and transmitted in the form of an electric signal into a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voice signal to a predetermined space in which the subject is located.

음성신호는 가청대역(일반적으로 20kHz 이하)에 속할 수도 있고, 비가청대역(초음파)에 속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음성신호의 주파수는 20 Hz 이상 100 kHz 이하로 설정하는 것을 제안하는데, 본 발명의 센싱부는 대상에 접촉 또는 근접한 영역 내에 설치될 것이므로, 이러한 영역의 주파수 중 대상에게 불쾌감, 불안 등을 야기할 수 있는 주파수는 제외하여야 할 것이다. 초음파 대역의 음성신호를 사용하는 경우가 바람직할 수도 있으나, 대상에 따라서는, 가청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특정 주파수를 갖는 음파에 대하여 오히려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음을 감안한다. 즉, 음성신호의 주파수는 적용 대상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The audio signal may belong to the audible band (generally below 20 kHz) or to the non-audible band (ultrasound). The frequency of the voice sig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to be 20 Hz or more and 100 kHz or less. However, since the sens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installed in an area in contact with or close to the object, it causes discomfort, The frequency that can be done should be excluded. Although it may be preferable to use a sound signal in the ultrasonic band, it is considered that, depending on the subject, there is a research result that a person feels comfortable with a sound wave having a specific frequency belonging to the audio frequency band. That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requency of a voice signal can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an application target can be adopted.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음성신호의 주파수를 해당 지역에서 서식하는 모기 등 해충이 싫어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선정하는 경우, 본 발명은 해충 퇴치 기능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frequency of a voice signa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ed in a frequency band such as a mosquito that resides in the area, the pest control function can be additionally provided.

음성신호의 크기(세기)는, 음성신호가 음성출력모듈에서 출력되어 대상이 위치하는 소정의 공간 내부로 전파되어 음성수신모듈에 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을 감안하여, 음성출력모듈 및 음성수신모듈 간의 거리 및 음성수신모듈의 감도 등을 감안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음성출력모듈 및 음성수신모듈 간의 거리가 클 수록 음성신호의 크기는 커져야 하고, 음성수신모듈의 감도가 작을수록 음성신호의 크기는 커져야 할 것이다. 다만, 불필요하게 음성신호의 크기가 커지는 경우, 대상이 불쾌감을 느끼게 될 수 있음을 감안하여야 한다.Considering that a voice signal intensity (intensity) is intended to be output from a voice output module and propagate to a predetermined space where a subject is located to reach a voice receiving module, the voice output module and the voice receiving module And the sensitivity of the voice receiving module. The larger the distance between the audio output module and the voice receiving module, the larger the size of the voice signal. The smaller the sensitivity of the voice receiving module, the larger the size of the voice signal. However, i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at the object may feel uncomfortable when the size of the voice signal becomes unnecessarily large.

음성출력모듈은, 전기신호를 음성신호(음파)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갖는 스피커 내지 확성기일 수 있는데, 그 변환 원리로 동전형, 전자기형, 정전형, 유전체형, 자기왜형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공지된 스피커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voice output module may be a speaker or a loudspeaker having a function of converting an electric signal into a voice signal (sound wave). The conversion principle includes a coin type, an electromagnetic type, an electrostatic type, an dielectric type, a magnetostrictive type, A known speaker or the like can be used.

동전형은 영구자석의 자기장 내에 있는 코일(보이스코일)에 음성신호 전류를 흘리면 그 전류의 세기에 따라 기계적인 힘이 코일에 작용하여 운동을 일으키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전자기형은 영구자석 끝에 설치한 코일에 음성전류를 흘려 보내어 코일 사이에 있는 철편을 진동시키고 이 진동을 레버에 의해 진동판에 전하여 소리를 방사한다. 취급이 간단하지만 고역특성(高域特性)이 나쁘고 일그러짐이 많음을 감안하여야 한다. 정전형은 고음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고, 유전체형, 자기왜형은 가청주파수가 아닌 20 kHz 이상의 초음파 영역에서 사용된다. 그리고 가청주파수용 스피커 중에서 특히 고역주파수대(10 kHz 이상)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트위터(tweeter)라고 하는데 진동계의 무게가 작다.When a voice signal current flows through a coil (voice coil) in a magnetic field of a permanent magnet, a mechanical force acts on the coil to generate motion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In the electromagnetic type, a negative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installed at the end of the permanent magnet to vibrate the iron piece between the coils. The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diaphragm by the lever to radiate sound.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hat the handling is simple, but the high-frequency characteristics (high-frequency characteristics) are poor and the distortion is large. Electrostatic type is sometimes used for high sound, and dielectric type and magnetostrictive type are used in ultrasonic range of 20 kHz or more instead of audible frequency. And, among the speakers for audio frequency, it is called a tweeter, especially for the high frequency band (10 kHz or more), and the weight of the vibration system is small.

음성출력모듈은, 센싱부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신호를 받아 음성전류로 변환하여 음성출력모듈 내부의 음파발생부 측으로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여야 함은 물론이며, 음성출력모듈과 센서를 통합하여 하나의 모듈로 구성하는 실시예에서는, 음성출력모듈이 소형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voice output module must receive the electric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unit and convert it into a voice current and input the voice current to the sound wave generating unit inside the voice output module. It is preferable that the audio output module is miniaturized.

통신허브부는, 대상이 위치하는 소정의 공간 내부로 전달되어 오는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음성수신모듈 및 음성수신모듈이 수신한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통신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ommunication hub includes a voice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transmitted to a predetermined space in which a subject is located,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received by the voice receiving module and generating a communication signal .

또한, 대상이 위치하는 소정의 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음성출력모듈이 출력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여야 하므로, 통신허브부는 음성출력모듈이 설치되는 공간과 동일한 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since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voice output module install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in which the subject is located must be received, the communication hub unit is preferably installed in the same space as the space in which the voice output module is installed.

음성수신모듈은, 마이크로폰(microphone)일 수 있으며, 가청음을 전기적인 에너지(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다이나믹 방식과 콘덴서 방식을 모두 적용 가능하다.The voice receiving module may be a microphone and performs a function of converting an audible sound into an electric energy (electric signal), and both a dynamic method and a condenser method can be applied.

다이나믹 방식은, 다이어프램막이 코일과 연결되고, 코일 안쪽에는 영구자석이 구비되는 구성을 취하며, 음원에서 소리가 발생할 때 생기는 공기의 진동이 다이어프램막을 진동하면, 이에 연결된 코일도 함께 진동하는데, 이러한 코일의 운동이 영구자석에 기인한 자기장 내부에서 발생하면,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전류가 발생하게 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콘덴서 방식은, 물리적 진동뿐만 아니라, 진동판에 전압을 걸어둔 상태에서 공기의 진동에 의해 콘덴서의 간격이 넓어지고 좁아지면서 생기는 정전용량의 변화가 전기신호로 변환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다이나믹 방식은 충격이나 습도에 대해 내구성이 있으며, 콘덴서 방식은 예민하여 섬세한 음원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결정한다.In the dynamic method, the diaphragm membrane is connected to the coil and the permanent magnet is provided inside the coil. When the vibration of the air generated when sound is generated in the sound source vibrates the diaphragm membrane, the coil connected thereto vibrates together. Is generated inside the magnetic field due to the permanent magnet, the principle that the current is generated by the Fleming's left-hand rule is used. The condenser system uses not only physical vibration but also a principle in which a change in capacitance caused by widening and narrowing of a capacitor due to the vibration of air in a state where a voltage is applied to the diaphragm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 signal. The dynamic method has durability against shock and humidity, and the condenser method is sensitive, so it is possible to realize a delicate sound source.

음성수신모듈에는, 수신된 음성신호의 크기를 증폭하는 증폭기 및 수신된 음성신호를 디지털화하는 컨버터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음성수신모듈은, 수신된 음성신호의 잡음을 제거하는 등의 전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voice receiving module may include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magnitude of the received voice signal and a converter for digitizing the received voice signal. The voice receiving module performs a preprocessing function such as removing noise of the received voice signa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음성수신모듈의 감도와 관련하여, 감도가 크면,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모듈과 음성수신모듈과의 설치 거리를 크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외부의 잡음까지 수집되어, 별도의 노이즈 제거 작업이 필요할 수 있다. With respect to the sensitivity of the voice receiving module, if the sensitivity is high,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nstallation distance between the voice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voice signals and the voice receiving module, but it is also possible to collect external noise, May be required.

음성수신모듈은, 대상이 생성하는 소리 또는 상기 소정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추가로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대상이 직접 생성하는 소리 또는 소정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리는, 전술한 센싱부로부터 수집되는 정보가 아니므로, 엄밀하게는 신체정보 또는 거동정보에 해당되지 않을 것이나, 사용자에게 이러한 소리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한다면, 원격지에 위치하는 사용자가 대상의 신체 또는 거동 상태를 판단하는 데 추가 정보로 작용할 수 있음을 감안하고자 한다. 이 경우, 후술하는 통신모듈은 이들 각각의 신호를 구별하여 함께 전송하여야 할 것이며, 이들 신호를 수신하는 측에서는 이들 각각의 신호를 구별, 분리하여 활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인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상세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The sound receiving module may be used for collecting additional sound generated by the object or sound gener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and providing the collected sound to the user. The sound generated directly by the object or the sound gener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is not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sensing unit described above and therefore strictly does not correspond to the body information or the behavior information,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a user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may serve as additional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body or behavior of the subject.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module to be described later must separate these signals and transmit them together. On the side receiving these signals,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and utilize these signals separately. Will be described later.

통신모듈은, 음성수신모듈이 수신한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통신신호(후술하는 정보제공인터페이스부와의 통신 대상으로서)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유선통신방식으로 한정한다. The communication module performs a function of receiving a voice signal received by the voice receiving module and generating a communication signal (as an object of communication with a later-described information provision interface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is limited to a wired communication system.

통신모듈에 적용가능한 통신방식으로는 이더넷(ethernet), USB, 전력선통신(Power Line Commnunication), 전화선통신(Telephone Line Communication), RS232, RS422, RS485 중 어느 하나가 바람직하며, 통신모듈은 이러한 방식의 유선통신을 구현하기 위해 구성된 것을 적용할 수 있으며, 상용화된 제품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모듈이 통신허브부의 내부에 포함되는 구성에 있어서, 채택하는 통신방식에 대응하는 출력포트가 통신허브부의 케이스 등에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ethod applicable to the communication module is preferably any one of Ethernet, USB, Power Line Communication, Telephone Line Communication, RS232, RS422, and RS485. It is possible to apply a configuration configured to implement wired communication, or to apply a commercialized product.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hub portion, an output port corresponding to the adopted communication method may be provided in the case of the communication hub portion or the like.

이더넷은, 랜(LAN)으로 칭하기도 하며, IEEE 802.3v 표준에 따른 기술이다. 속도가 빠르고, 안정성과 신뢰성이 높고, 설치단가도 비교적 저렴하다. 이더넷 카드나 이더넷 모뎀을 장착하거나, 이더넷을 임베디드하여 기기구성을 시행할 수 있다.The Ethernet is also referred to as a LAN (LAN), and is a technology according to the IEEE 802.3v standard. It is fast, has high reliability and reliability, and is relatively inexpensive to install. You can install an ethernet card or Ethernet modem, or embed ethernet to implement the device configuration.

USB는, 직렬포트의 일종으로, 플러그 앤드 플레이 기능을 지원하며, 비용이 저렴하며, 컨트롤러 당 포트의 확장이 가능하며, 포트에서 자체적으로 기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USB is a type of serial port that offers plug and play capability, is inexpensive, allows port expansion per controller, and has the ability to power the device on its own.

전력선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는, 전력선을 매체로 전력선의 전원파형에 정보를 실어서 전송하는 통신방식이다. 가정에 산재되어 있는 전기배선을 통신수단으로 이용한다는 것이며, 기존의 전원콘센트에 플러그만 연결하면, 통신이 가능하다. 전력선통신은 전력선에 흐르는 50Hz의 저주파 전력선 신호에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는 기술로서, 통신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바꾸어 전송하고, 고주파 필터를 이용하여 신호를 분리 수신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is a communication method that transmits information by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power line waveform of a power line using a power line as a medium. It means that electric wiring scattered in the home is used as communication means, and communication can be done by connecting only plug to the existing power outlet. Power line communication is a technology for transmitting a high-frequency signal to a low-frequency power line signal of 50 Hz flowing through a power line. The communication line is converted into a high-frequency signal, and a signal is separately received using a high-frequency filter.

전화선통신(TLC)는, 허브나 라우터 등의 별도 장비 없이 랜 환경을 구축할 수 있으며, 기존의 전화회선을 사용한다는 장점이 있다. Telephone line communication (TLC)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uild a LAN environment without any additional equipment such as a hub or a router, and uses a conventional telephone line.

정보제공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통신허브부에 구비된 통신모듈로부터 송신된 통신신호를 수신하는 제1기능, 수신된 통신신호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신체정보 또는 거동정보를 제공하는 제2기능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는, 상기 통신신호와 기준데이터를 대비하여 생성되는 응용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3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providing interface unit performs a first function of receiving a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a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hub unit, and a second function of processing the received communication signal to provide the user with body information or behavior information. Alternatively, a third function of providing the user with the appl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comparing the communication signal with the reference data may be further performed.

제1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정보제공인터페이스부는, 정보제공인터페이스부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제공인터페이스부통신모듈은, 통신허브부에 구비된 통신모듈이 구현하고 있는 통신방식과 동일한 방식의 통신방식을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정보제공인터페이스부통신모듈과 통신허브부에 구비된 통신모듈이 서로 다른 통신방식을 구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In order to implement the first func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interface unit may include the information providing interface unit communication module. Preferably, the information providing interface unit communication module implements the same communication method as the communication method implemented by the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hub unit. However, the information providing interface uni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hub unit may be configured to implement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제2기능은, 사용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후각적으로 신체정보 또는 거동정보의 직접제공 내지 경보제공을 한다는 목적을 가진다. 정보의 제공은, 실시간 제공 뿐만 아니라, 정보를 저장해 두고, 사후적으로 제공하는 방식 등도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function has a purpose of providing the user directly or alerting the body information or behavior information visually, audibly, tactually, and smell. Th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not only in real time but also in a manner of storing the information and providing it after the fact.

신체정보 또는 거동정보는 상기 신체신호 또는 거동신호를 처리하여, 사용자가 인식 내지 해석하기에 용이하도록 가공된 것을 의미하며, 다양한 디자인의 그래프, 텍스트, 그림 등의 형식을 포괄하는 것으로 한다. 일례로, 압력센서를 통해 영아가 엎드린 자세로 자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엎드린 자세로 자고 있는 모습을 스크린에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정보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보제공의 경우, 현재의 상태를 객관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며, 이를 제공받은 사용자가 어떤 행동을 할 지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결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The body information or the behavior information means that the body signal or the behavior signal is processed to facilitate recognition or interpretation by the user and includes various types of graphs, texts, pictures, and the like. For example, if the infant is judged to be sleeping in a prone position through the pressure sensor, the user may be informed of the sleeping position by displaying the sleeping position on the screen. In the case of providing such information, the present state is objectively provided to the user, and it is said that the user directly decides what action the user who is provided with the information provides.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의 구현예로서는, 디스플레이에 텍스트, 그림, 그래프 등 다양한 형식으로 정보를 전달하거나, 다색의 경광등을 작동시키고, 사물인터넷기술을 활용하여 개별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전구를 소정의 패턴으로 구동(점등과 소등이 반복되는 패턴 등)하는 것을 들 수 있으나, 이러한 사례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Examples of the interface that visually provides information include transmitting information in various formats such as text, pictures, and graphs on the display, activating multicolored warning lights, and controlling smart bulbs that can be individually controlled by using object Internet technology, (A pattern in which lighting and light extinction are repeated, and the lik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정보를 청각적으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의 실시예로서는, 스피커를 통해 사이렌, 안내음성 등을 출력할 수 있으나, 이러한 예에 한정할 것은 아니다.As an embodiment of an interface for providing information audibly, a siren, a guidance voice, or the like can be output through a speak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정보를 촉각적으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의 실시예로는, 진동판으로 하여금 진동을 발생하게 하여, 사용자가 인식하게 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다양한 공지의 구성을 조합하여 구성가능할 것이다.As an embodiment of an interface that tactually provides information, it is possible that the diaphragm causes vibration to be generated by the user, and various other known configurations may be combined.

정보제공인터페이스부는 독자적인 기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정보제공인터페이스부는, 다양한 인터페이스 기기를 구비하게 될 것이며, 일례로, 디스플레이, 스피커, 경광등 등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정보제공인터페이스부를 일반적인 퍼스널컴퓨터, 콘솔 등을 활용하여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은 해당 퍼스널컴퓨터 또는 콘솔에 구비된 것을 활용하는 것이 될 것이다.The information providing interface unit may be constituted by a unique device.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providing interface unit may be equipped with various interface devices, for example, a display, a speaker, a warning light, and the like. However, the information providing interface unit may be implemented using a general personal computer, a console, or the like. In this case, a display, a speaker, and the like may utilize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personal computer or the console.

또한, 정보제공인터페이스부는, 대상이 위치하는 소정의 공간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이, 대상과 관련된 사용자 ? 일례로, 간병인, 의사, 보호자, 부모 등 ?으로 하여금, 대상의 상태를 직접 살펴보는 방식으로 모니터링하지 않아도 되게 한다는 데에 있기 때문이다. 이로써, 정보제공인터페이스부는, 대상이 위치하는 소정의 공간 외부로서, 상기 통신허브부와 유선통신이 가능한 환경을 갖춘 공간이면, 임의의 공간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정보제공인터페이스부는, 이동가능한 구성으로 될 수도 있으며, 고정설치식 구성으로 될 수도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information providing interface unit is installed outside a predetermined space in which the object is located. This is becaus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user- For example, caregivers, doctors, caregivers, parents, etc., do not have to monitor themselves in a way that directly examines their condition. Thereby, the information providing interface unit can be provided in an arbitrary space as long as it is a space outside the predetermined space where the object is located and has an environment capable of wired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hub unit. The information providing interface unit may be a movable configuration or a fixed installation configuration.

제3기능은, 상기 통신신호와 기준데이터를 대비하여 생성되는 응용정보(경보 또는 가이드라인 등)를 제공하는 기능이다. 앞서 설명한 제2기능이 객관적으로 대상의 신체정보 또는 거동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인 반면, 제3기능은, 대상의 신체정보 또는 거동정보에 대해 소정의 사실판단 및 가치판단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는 것이다. 일례로, 영아가 엎드려서 잠을 자는 것이 사전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알람/경보를 생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영아의 자세를 변경시키는 등의 적당한 행동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 환자가 심하게 기침을 하여 환자가 착용하고 있는 가속도센서의 측정값이 크게 관측되는 경우, 경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third function is a function of providing application information (alarm or guide line, etc.) generated by comparing the communication signal with the reference data. The third function is to perform a predetermined fact judgment and value judgment on the body information or the behavior information of the object while the second function described above communicates object information or behavior information of the object objectively to the user, And provide the results to the user. For example, if the infant is lean and slep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longer, an alarm / alarm may be generated to induce the user to take appropriate action such as changing the infant's posture. In another embodiment, an alert can be generated if the patient severely coughs and the measured value of the accelerometer worn by the patient is largely observed.

제2기능 및 제3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정보제공인터페이스부는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의 프로세서는, 입력되는 통신신호(신체정보 또는 거동정보를 그 내용으로 하는)를 처리하여 인터페이스의 종류에 적합한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예:디스플레이 장치 관련 구동신호 생성), 제공되는 정보의 포맷에 맞게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예: 텍스트 또는 그림 정보로의 변환) 등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컴퓨터를 활용하는 경우, 상기 제2기능 및 제3기능은 컴퓨터를 통해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In order to implement the second function and the third func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interface unit may include a processor, and the processor at this time processes the input communication signal (body information or behavior information as contents thereof) (E.g., generating a drive signal related to a display device) that generates a signal suitable for the display device (e.g., a display device), a function of generating information (e.g., conversion to text or picture information) Of course, if a processor is not provided separately and a computer is used, the second function and the third func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a program operating through the computer.

기준데이터는, 채택된 신체정보 또는 거동정보가 무엇인지에 따라 개별적, 구체적으로 설정되는 정보이며, 이는 제조사가 출고전에 사전 설정할 수도 있으나, 정보제공인터페이스부에 소정의 사용자 설정/입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각 신체정보 또는 거동정보에 대해 기준값을 사용자로 하여금 입력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일례로, 영아가 엎드려자는 시간에 대해 허용시간을 30분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기준데이터는, “엎드려자는 시간 : 30분“이 될 것이며, 정보제공인터페이스부는, 압력센서 등을 통해 엎드려자는 상황에 대응되는 압력신호 값을 모니터링하다가 해당 상황이 30분을 초과하는 시점에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기준데이터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 등이 참조하게 하는 구성을 갖출 수 있다.The reference data is information individually and specifically set according to what body information or behavior information is adopted and may be pre-set by the manufacturer before departure, but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information provision interface unit has a predetermined user setting / , The user may input the reference value for each body information or behavior information. For example, if the infant wants to set the allowable time to 30 minutes for the infant sleeping time, the reference data will be " infant sleeping time: 30 minutes ",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interface unit The alarm signal can be provided to the user at a time when the corresponding condition exceeds 30 minutes. Such reference data may be stored in a memory to be referred to by a processor or the like.

본 발명의 주된 목적 중 하나가, 상기 대상이 위치하는 소정의 공간의 내부를 전자파 프리(RF-free)공간으로 형성하는 데에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통신허브부와 상기 정보제공인터페이스부는 유선통신방식으로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한정하고자 한다. One of the main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n RF-free space inside a predetermined space in which the object is located.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hub unit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interface unit are connected to a wired And perform transmission and reception by a communication method.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허브부와 정보제공인터페이스부는 각각 이더넷(ethernet), USB, 전력선통신(Power Line Commnunication), 전화선통신(Telephone Line Communication), RS232, RS422, RS485 등 다양한 유선통신방식을 구현한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통신허브부와 정보제공인터페이스부에 적용되는 통신방식이 상이한 경우, 컨버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허브부에 RS232 포트가 형성되어 있고, 정보제공인터페이스부에 이더넷 포트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통신허브부에 RS232 to 이더넷 컨버터를 적용하여, 전체적으로 실제 통신은 이더넷 통신이 수행되도록 하면, 실제의 통신은 이더넷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는, 통신허브부에 RS232 to PLC(전력선통신) 컨버터를 적용하고, 정보제공인터페이스부에 이더넷 to RS232 컨버터와 RS232 to PLC 컨버터를 적용하는 경우, 실제의 통신은 전력선통신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hub unit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interface unit may be configured to implement various wired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Ethernet, USB, Power Line Communication, Telephone Line Communication, RS232, RS422, and RS485 Configuration can be adopted. When the communication methods applied to the communication hub unit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interface unit are different, a converter can be used. For example, when an RS232 port is formed in the communication hub unit and an Ethernet port is formed in the information providing interface unit, an RS232 to Ethernet converter is applied to the communication hub unit, The actual communication will be done by the Ethernet method. Alternatively, when an RS232 to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converter is applied to the communication hub unit and an Ethernet to RS232 converter and an RS232 to PLC converter are applied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interface unit, the actual communication is performed by power line communication.

통신허브부의 음성수신모듈이 대상이 직접 생성하는 소리 또는 대상이 위치한 소정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더 감지하여 제공하는 경우, 정보제공인터페이스부는 이들 소리에 관련 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정보제공인터페이스부통신모듈은, 통신신호와 대상이 직접 생성하는 소리/대상이 위치한 소정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분리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여야 하며, 다만, 이러한 대상이 직접 생성하는 소리/대상이 위치한 소정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제공을 위한 사용자의 요청을 받기 위한 구체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일례로, 물리적인 버튼, 프로그램의 부가기능-를 둘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sound receiving module of the communication hub unit detects and provides a sound generated directly by the object or a sound generated in a predetermined space in which the object is located, the information providing interface unit may further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these sounds. The information providing interface unit communication module should perform a process of separating a communication signal from a sound generated in a predetermined space where a sound / object directly generated by a target is located. However, if a sound / A specific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a request of a user for providing sound generated in a predetermined space, for example, a physical button and an additional function of a program.

도 3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전자파 프리(RF-free)기반 신체 및 거동정보 수집제공시스템의 일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 3, an embodiment of the RF-free based body and behavior information collection and provis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상기 대상의 신체 또는 거동을 센싱하여 신체신호 또는 거동신호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신체신호 또는 거동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센싱부와,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로 출력된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음성수신모듈, 상기 음성수신모듈이 수신한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통신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통신허브부와, 상기 소정의 공간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통신신호를 수신하여 스마트기기로 무선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리피터부(repeater unit)와, 상기 리피터부가 전송한 통신신호를 무선수신하고 가공하여 응용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응용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통신허브부와 상기 리피터부는 유선통신방식으로 송수신을 수행함으로써 소정의 공간 내부를 전자파 프리(RF-free) 공간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t least one sensor for sensing a body or a behavior of the object to generate a body signal or a behavior signal, and a voice output module for converting the body signal or the behavior signal into a voice signal and outputting the voice signal into the predetermined space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received by the voice receiving module and generating a communication signal by receiving the voice signal received by the voice receiving module, A repeater unit installed outside the predetermined space, the repeater unit performing a function of receiving the communication signal and wirelessly transmitting the communication signal to the smart device; A smart device that wirelessly receives and processes a communication signal to generate application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application information to a user .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hub unit and the repeater unit are formed in a predetermined space as an RF-free space by performing transmission / reception in a wire communication manner.

전술한 전자파 프리(RF-free)기반 신체 및 거동정보 수집제공장치가 별도의 정보제공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구성을 취하는 반면, 전자파 프리(RF-free)기반 신체 및 거동정보 수집제공시스템은, 스마트기기의 인터페이스모듈(스피커, 디스플레이, 진동장치 등) 및 프로세서를 활용할 수 있다. 리피터부는, 통신허브부로부터 전송되는 통신신호를 수신하여 스마트기기로 송신하는 기능을 하며, 송신 방식은 무선통신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통신방식으로는, WI-FI, ZigBee, BlueTooth, BLE, IEEE 1394, UWB 등을 적용할 수 있다. The RF-free based body and behavior information collection and provision system includes a separate information provision interface unit, while the RF-free based body and behavior information collection and provision system includes a smart device Interface modules (speakers, displays, vibrators, etc.) and processors. The repeater unit receives the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hub unit and transmits the communication signal to the smart device. Preferably, the repeater unit applies a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to the transmission scheme. A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FI, ZigBee, BlueTooth, BLE, IEEE 1394, UWB, etc. can be applied.

스마트기기는, 설치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신체정보 및 거동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고, 나아가 스마트기기의 프로세서는, 수신한 통신신호를 가공하여 응용정보를 생성한 후, 사용자에게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The smart device can transmit the body information and the behavior information to the user via the installed application. Further, the processor of the smart device processes the received communication signal to generate application information, and further provides the appl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상의 신체 및 거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처리 및 제공하는 시스템의 또다른 일실시예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4,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a system for collecting, process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body and behavior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상기 대상의 신체 또는 거동을 센싱하여 신체신호 또는 거동신호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신체신호 또는 거동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센싱부와,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로 출력된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음성수신모듈, 상기 음성수신모듈이 수신한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통신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통신허브부와, 상기 소정의 공간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통신신호를 수신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부와, 상기 게이트웨이부가 전송한 통신신호를 수신하고 가공하여 경보 또는 가이드라인 등 응용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서버와, 상기 응용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통신허브부와 상기 게이트웨이부는 유선통신방식으로 송수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를 전자파 프리(RF-free) 공간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t least one sensor for sensing a body or a behavior of the object to generate a body signal or a behavior signal, and a voice output module for converting the body signal or the behavior signal into a voice signal and outputting the voice signal into the predetermined space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received by the voice receiving module and generating a communication signal by receiving the voice signal received by the voice receiving module, A gateway unit provided outside the predetermined space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receiving the communication signal and transmitting the communication signal to a server; A server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application information such as an alarm or a guideline; The communication hub unit and the gateway unit perform transmission / reception in a wired communication manner, thereby forming an RF-free space in the predetermined space. can do.

게이트웨이부는,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모뎀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나아가 모뎀과 공유기의 조합일 수 있다. 서버와의 통신은 랜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The gateway unit may be configured as a modem for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or may be a combination of a modem and a router.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can be performed through a LAN network or the Internet.

서버는, 게이트웨이부로부터 전송받은 통신신호를 수신하여, 가공하여 저장할 수 있는데, 저장한 정보는, 추후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신호를 가공하여, 경보 또는 가이드라인 등 응용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스마트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이 있는 경우, 응용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기준데이터는 서버의 저장장치에 저장해둘 수 있다. 서버와 네트워크와의 접점에는, 엑세스포인트(중계구성)가 존재할 수 있다.The server can receive and process the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gateway unit, and the stored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user at a later request of the user. In addition, it can perform a function of processing communication signals and generating application information such as an alarm or a guideline. In this case, appli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when there is a request for an application of the smart device. The reference data can be stored in a storage device of the server. At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server and the network, an access point (relay configuration) may exist.

다만, 스마트기기를 인터넷에 접속하게 하기 위한 중개기능만을 하도록 서버를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구성 하에서는, 응용정보생성, 기준데이터 설정/저장 등의 기능은 스마트기기의 자원(프로세서, 메모리,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이다. 스마트기기와 네트워크와의 접점에는, 엑세스포인트(중계구성)가 존재할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functions such as appli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and reference data setting / storing are performed by the smart device resource (processor, memory, storage device, etc.) ). ≪ / RTI > At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smart device and the network, an access point (relay configuration) may exist.

서버는, 물리적인 서버로서 구현할 수 있지만, 클라우드망에 가상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server can be implemented as a physical server, but it can of course be implemented virtually in a cloud network.

스마트기기는, 설치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신체정보 및 거동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고, 나아가 스마트기기의 프로세서는, 수신한 통신신호를 가공하여 응용정보를 생성한 후, 사용자에게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The smart device can transmit the body information and the behavior information to the user via the installed application. Further, the processor of the smart device processes the received communication signal to generate application information, and further provides the appl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

스마트기기는, 스마트밴드, 스마트안경, 스마트폰, 스마트시계, 태블릿PC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The smart device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smart band, smart glasses, a smart phone, a smart clock, and a tablet PC.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The description sets forth the best mode of the invention, and is provided to illustrate the invention an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ake and use the invention. The written descrip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specific terminology presented.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Thus,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xampl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adaptation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n these exampl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in order to attain the intende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func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separately included or all the steps shown in the drawings are not necessarily followed in the order shown, and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1. 대상
2. 대상이 위치하는 공간
3. 대상이 위치하는 공간 내부
4. 대상이 위치하는 공간 외부
5. 신체신호, 거동신호
6. 음성신호
7. 통신신호
8. 신체정보, 거동정보
9. 사용자
20. 센싱부
21. 센서
22. 음성출력모듈
30. 통신허브부
31. 음성수신모듈
32. 통신모듈
40. 정보제공인터페이스부
50. 리피터
60. 게이트웨이부
70. 스마트기기
80. 서버
90. 엑세스포인트
100. 네트워크
1. Target
2. Space where the object is located
3. Inside the space where the object is located
4. Outside the space where the object is located
5. Body signal, behavior signal
6. Voice signal
7. Communication signal
8. Physical information, behavior information
9. User
20. sensing unit
21. Sensor
22. Audio Output Module
30. Communication hub unit
31. Voice receiving module
32. Communication module
40. Information providing interface unit
50. Repeater
60. Gateway section
70. Smart devices
80. Server
90. Access point
100. Network

Claims (9)

소정의 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대상의 신체 및 거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처리 및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상의 신체 또는 거동을 센싱하여 신체신호 또는 거동신호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신체신호 또는 거동신호를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가 전자파 프리(RF-free)공간으로 형성되도록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센싱부;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로 출력된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음성수신모듈, 상기 음성수신모듈이 수신한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통신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통신모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통신허브부;
상기 소정의 공간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통신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신체정보 또는 거동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정보제공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를 전자파 프리(RF-free)공간으로 형성하기 위해, 상기 통신허브부와 상기 정보제공인터페이스부는 유선통신방식으로 송수신을 수행하고,
상기 정보제공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통신신호와 기준데이터를 대비하여 생성되는 응용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며,
상기 응용정보는 상기 대상의 신체정보 또는 거동정보를 기초로 하는 사실정보 및 미리 설정된 가치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알람 및 경보 중 하나 이상으로 생성되며,
상기 음성수신모듈은, 상기 대상이 직접 생성하는 소리 또는 상기 소정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더 감지하고,
상기 정보제공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대상이 직접 생성하는 소리 또는 상기 소정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분리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상기 대상이 직접 생성하는 소리 또는 상기 소정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리에 대한 정보를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프리(RF-free)기반 신체 및 거동정보 수집제공장치.
An apparatus for collecting, process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a body and a behavior of an object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space,
At least one sensor for sensing a body or a behavior of the object to generate a body signal or a behavior signal, and converting the body signal or the behavior signal into a voice signal so as to form an RF-free space inside the predetermined space And a voice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the voice to the inside of the predetermined space;
And a communication module having a function of receiving a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voice receiving module and generating a communication signal by receiving the voice signal received by the voice receiving module, A communication hub unit installed inside the space;
An information providing interface provided outside the predetermined space and performing a function of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communication signal and providing the user with body information or behavior information;
, ≪ / RTI >
Wherein the communication hub unit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interface unit perform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a wired communication manner in order to form an RF-free space in the predetermined space,
The information providing interface unit further performs a function of providing the user with appl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comparing the communication signal with the reference data,
Wherein the applic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by at least one of an alarm and an alarm to the user by comparing the fact information based on the body information or the behavior information of the object and preset value information,
Wherein the sound receiving module further senses a sound generated by the object directly or a sound gener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The information providing interface unit performs a process of separating a sound generated by the object directly or a sound gener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to further provide information about a sound generated directly by the object or a sound gener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Free-based body and behavior information collection and provision apparatu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선통신방식은, 이더넷(ethernet), USB, 전력선통신(Power Line Commnunication), 전화선통신(Telephone Line Communication), RS232, RS422, RS485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프리(RF-free)기반 신체 및 거동정보 수집제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d communication method is one of an Ethernet, a USB, a Power Line Communication, a Telephone Line Communication, RS232, RS422, and RS485. Body and behavior information collection and provision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의 주파수는 20 Hz 이상 100 kHz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프리(RF-free)기반 신체 및 거동정보 수집제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equency of the voice signal is 20 Hz or more and 100 kHz or less.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는, 가속도센서, 모션센서, 압력센서, 심박센서, 진동센서, 열화상카메라센서, 체온센서, 적외선센서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프리(RF-free)기반 신체 및 거동정보 수집제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sensor is at least one of an acceleration sensor, a motion sensor, a pressure sensor, a heart rate sensor, a vibration sensor, a thermal image sensor, a body temperature sensor and an infrared sensor. Body and behavior information collection and provision device.
삭제delete 소정의 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대상의 신체 및 거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처리 및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대상의 신체 또는 거동을 센싱하여 신체신호 또는 거동신호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신체신호 또는 거동신호를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가 전자파 프리(RF-free)공간으로 형성되도록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센싱부;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로 출력된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음성수신모듈, 상기 음성수신모듈이 수신한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통신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통신모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통신허브부;
상기 소정의 공간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통신신호를 수신하여 스마트기기로 무선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리피터부;
상기 리피터부가 전송한 통신신호를 무선수신하고 가공하여 응용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응용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스마트기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를 전자파 프리(RF-free)공간으로 형성하기 위해, 상기 통신허브부와 상기 리피터부는 유선통신방식으로 송수신을 수행하고,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통신신호와 기준데이터를 대비하여 생성되는 응용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며,
상기 응용정보는 상기 대상의 신체정보 또는 거동정보를 기초로 하는 사실정보 및 미리 설정된 가치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알람 및 경보 중 하나 이상으로 생성되며,
상기 음성수신모듈은, 상기 대상이 직접 생성하는 소리 또는 상기 소정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더 감지하고,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대상이 직접 생성하는 소리 또는 상기 소정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분리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상기 대상이 직접 생성하는 소리 또는 상기 소정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리에 대한 정보를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프리(RF-free)기반 신체 및 거동정보 수집제공시스템.
A system for collecting, process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a body and a behavior of an object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space,
At least one sensor for sensing a body or a behavior of the object to generate a body signal or a behavior signal, and converting the body signal or the behavior signal into a voice signal so as to form an RF-free space inside the predetermined space And a voice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the voice to the inside of the predetermined space;
And a communication module having a function of receiving a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voice receiving module and generating a communication signal by receiving the voice signal received by the voice receiving module, A communication hub unit installed inside the space;
A repeater unit installed outside the predetermined space and performing a function of receiving the communication signal and wirelessly transmitting the communication signal to a smart device;
A smart device for wirelessly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by the repeater to generate application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application information to a user;
, ≪ / RTI >
Wherein the communication hub unit and the repeater unit perform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a wired communication manner in order to form an RF-free space in the predetermined space,
The smart device further performs a function of providing the user with appl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comparing the communication signal with the reference data,
Wherein the applic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by at least one of an alarm and an alarm to the user by comparing the fact information based on the body information or the behavior information of the object and preset value information,
Wherein the sound receiving module further senses a sound generated by the object directly or a sound gener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The smart device performs a process of separating a sound generated by the object directly or a sound gener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to further provide information on a sound generated directly by the object or a sound gener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RF-free) based body and behavior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소정의 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대상의 신체 및 거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처리 및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대상의 신체 또는 거동을 센싱하여 신체신호 또는 거동신호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신체신호 또는 거동신호를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가 전자파 프리(RF-free)공간으로 형성되도록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센싱부;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로 출력된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음성수신모듈, 상기 음성수신모듈이 수신한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통신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통신모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통신허브부;
상기 소정의 공간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통신신호를 수신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부;
상기 게이트웨이부가 전송한 통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신호와 기준데이터를 대비하고 가공하여 응용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서버;
상기 응용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스마트기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를 전자파 프리(RF-free)공간으로 형성하기 위해, 상기 통신허브부와 상기 게이트웨이부는 유선통신방식으로 송수신을 수행하고,
상기 응용정보는 상기 대상의 신체정보 또는 거동정보를 기초로 하는 사실정보 및 미리 설정된 가치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알람 및 경보 중 하나 이상으로 생성되며,
상기 음성수신모듈은, 상기 대상이 직접 생성하는 소리 또는 상기 소정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더 감지하고,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대상이 직접 생성하는 소리 또는 상기 소정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분리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상기 대상이 직접 생성하는 소리 또는 상기 소정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리에 대한 정보를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프리(RF-free)기반 신체 및 거동정보 수집제공시스템.
A system for collecting, process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a body and a behavior of an object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space,
At least one sensor for sensing a body or a behavior of the object to generate a body signal or a behavior signal, and converting the body signal or the behavior signal into a voice signal so as to form an RF-free space inside the predetermined space And a voice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the voice to the inside of the predetermined space;
And a communication module having a function of receiving a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voice receiving module and generating a communication signal by receiving the voice signal received by the voice receiving module, A communication hub unit installed inside the space;
A gateway unit installed outside the predetermined space and receiving the communication signal and transmitting the communication signal to the server;
A server receiving the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by the gateway and generating and processing application information by processing the communication signal and the reference data;
A smart device receiving the application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application information to a user;
, ≪ / RTI >
Wherein the communication hub unit and the gateway unit perform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a wire communication manner to form an RF-free space in the predetermined space,
Wherein the applic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by at least one of an alarm and an alarm to the user by comparing the fact information based on the body information or the behavior information of the object and preset value information,
Wherein the sound receiving module further senses a sound generated by the object directly or a sound gener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The smart device performs a process of separating a sound generated by the object directly or a sound gener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to further provide information on a sound generated directly by the object or a sound gener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RF-free) based body and behavior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는, 스마트밴드, 스마트안경, 스마트폰, 스마트시계, 태블릿PC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프리(RF-free)기반 신체 및 거동정보 수집제공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Wherein the smart device is one of a smart band, smart glasses, a smart phone, a smart clock, and a tablet PC.
KR1020150173106A 2015-12-07 2015-12-07 A RF-free system for collecting and providing biological and pose information of an object using voice and cable communication Expired - Fee Related KR1017486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106A KR101748672B1 (en) 2015-12-07 2015-12-07 A RF-free system for collecting and providing biological and pose information of an object using voice and cable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106A KR101748672B1 (en) 2015-12-07 2015-12-07 A RF-free system for collecting and providing biological and pose information of an object using voice and cable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893A KR20170066893A (en) 2017-06-15
KR101748672B1 true KR101748672B1 (en) 2017-06-22

Family

ID=59217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106A Expired - Fee Related KR101748672B1 (en) 2015-12-07 2015-12-07 A RF-free system for collecting and providing biological and pose information of an object using voice and cable commun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67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04707A1 (en) * 2019-02-25 2020-08-27 Olympus Winter & Ibe Gmbh Medical device and medical devic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893A (en) 201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633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vital signs remotely
JP5210264B2 (en) Device that collects and transmits biological information
JP2021191502A (en) Evaluation device
US8094013B1 (en) Baby monitoring system
US201603458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biological status through contactless sensing
WO2016108582A1 (en) Smart bed system and control method
CN104545844B (en) Multi-parameter sleep monitoring and intelligent diagnosis system based on 4G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application method of multi-parameter sleep monitoring and intelligent diagnosis system
US20210212576A1 (en) Monitoring of Physiological Parameters
KR20190035361A (en) Smartphone app based sleep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WI829300B (en) Real-time monitoring device for human body
KR20130010207A (en) System for analyze the user's health and stress
JP2010099173A (en) Sleep management system for many people, and sleep management method for many people
JP7297190B2 (en) alarm system
US20240156407A1 (en) Contact-free detection of infant biometrics using a sensorized bassinet
TWI503794B (en) Infant monitor and comfort device
JP5887676B2 (en) AIR PAD FOR BIOLOGICAL INFORMATION DETECTION, BIOLOGICAL INFORMATION DETECTION DEVICE, AND BIOLOGICAL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TW200922523A (en) Device for detection of breathing status
JP7468350B2 (en) Condition monitor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condition monitoring device
JP3419732B2 (en) Biological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using sealed air type sound sensor
KR101748672B1 (en) A RF-free system for collecting and providing biological and pose information of an object using voice and cable communication
KR20210047449A (en) Smart infant monitoring system, server and method
KR100647905B1 (en) Sleep environment control system and method
RU120557U1 (en) DEVICE FOR REMOTE WIRELESS MONITORING THE RESPIRATORY PROCESS AND DIAGNOSTICS OF RESPONSE STOP
WO2020175135A1 (en) Care assistance device, care assistance method, and care assistance system
CN109106371A (en) A kind of device and method monitoring physiological parame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6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