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690B1 - 철도차량용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완충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6690B1 KR101746690B1 KR1020150131114A KR20150131114A KR101746690B1 KR 101746690 B1 KR101746690 B1 KR 101746690B1 KR 1020150131114 A KR1020150131114 A KR 1020150131114A KR 20150131114 A KR20150131114 A KR 20150131114A KR 101746690 B1 KR101746690 B1 KR 1017466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insertion space
- diameter
- shock absorber
- buffer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11/00—Buff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11/00—Buffers
- B61G11/18—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7/00—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장치에 있어서, 제2완충유닛의 이동에 따라 제1완충유닛이 소성 변형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및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111: 삽입공간 112: 삽입안내부
114: 둘레면 114a: 제1직경부
114b: 제2직경부 114c: 가이드부
115: 안착홈 130: 보강링
132: 고정링 140: 안내샤프트
150: 제2완충유닛 152: 확관유도부
153: 경사면
Claims (13)
- 철도차량의 서로 인접한 차량 중 제1방향의 차량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개구된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확관되는 형태의 삽입안내부가 형성된 제1완충유닛;
철도차량의 서로 인접한 차량 중 제2방향의 차량에 타단부가 연결되고, 일단부의 직경이 상기 삽입공간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안내부에 안착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제1방향의 차량 및 상기 제2방향의 차량 사이 간격이 감소될 경우, 상기 삽입공간 내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완충유닛을 확관시키는 제2완충유닛; 및
상기 삽입안내부에 인접하여 상기 제1완충유닛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보강링;
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공간은,
상기 제2완충유닛의 제1방향 이동을 기준으로 초기 삽입영역보다 후기 삽입영역의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되고,
상기 보강링은,
상기 제1완충유닛 및 상기 제2완충유닛의 강성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완충유닛에 기준 이하의 외력이 인가될 경우에는 상기 제2완충유닛이 상기 제1완충유닛을 변형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완충유닛의 강도를 보강하고, 상기 제1완충유닛에 기준 초과의 외력이 인가될 경우에는 파단되어 상기 제2완충유닛이 상기 제1완충유닛을 변경시켜 확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용 완충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의 둘레면은,
상기 초기 삽입영역에 대응되는 제1직경부와, 상기 후기 삽입영역에 대응되며 상기 제1직경부보다 직경이 작은 제2직경부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완충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의 둘레면은,
상기 제1직경부 및 상기 제2직경부를 연속된 면으로 연결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완충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완충유닛의 일단부 둘레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철도차량용 완충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의 둘레면은,
제2방향으로부터 제1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되도록 형성된 철도차량용 완충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의 둘레면은 기 설정된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 철도차량용 완충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완충유닛은,
상기 삽입공간을 통해 제2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완충유닛을 관통하는 안내샤프트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완충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완충유닛의 둘레에는, 상기 보강링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철도차량용 완충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링은 복수 개의 부재로 분할된 형태로 형성된 철도차량용 완충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링의 외측을 감싸 고정시키는 고정링을 더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완충장치. - 제1항 내지 제7항,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철도차량용 완충장치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연결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1114A KR101746690B1 (ko) | 2015-09-16 | 2015-09-16 | 철도차량용 완충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1114A KR101746690B1 (ko) | 2015-09-16 | 2015-09-16 | 철도차량용 완충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3149A KR20170033149A (ko) | 2017-03-24 |
KR101746690B1 true KR101746690B1 (ko) | 2017-06-14 |
Family
ID=58500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31114A Active KR101746690B1 (ko) | 2015-09-16 | 2015-09-16 | 철도차량용 완충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669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2548B1 (ko) * | 2019-04-15 | 2020-11-02 | 현대로템 주식회사 | 철도차량용 연결기의 충돌 에너지 흡수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80316A (ja) * | 2008-01-31 | 2009-08-13 | Tokai Rubber Ind Ltd | 流体封入式筒型防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CN202264797U (zh) * | 2011-08-25 | 2012-06-06 | 南车戚墅堰机车车辆工艺研究所有限公司 | 扩张式吸能装置 |
-
2015
- 2015-09-16 KR KR1020150131114A patent/KR10174669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80316A (ja) * | 2008-01-31 | 2009-08-13 | Tokai Rubber Ind Ltd | 流体封入式筒型防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CN202264797U (zh) * | 2011-08-25 | 2012-06-06 | 南车戚墅堰机车车辆工艺研究所有限公司 | 扩张式吸能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3149A (ko) | 2017-03-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458233B (zh) | 包括能量耗散装置的连接装置 | |
JP6200966B2 (ja) | 鉄道車両の衝突エネルギー吸収装置 | |
US9694638B2 (en) | Spring rubber seat and strut-type suspension | |
RU2699201C2 (ru) | Буфер | |
US10556603B2 (en) | Collision energy absorption apparatus for rail vehicles | |
US9878728B2 (en) | Coupler | |
US8511745B2 (en) | Integrated energy absorbing vehicle crash structure | |
CN109070912B (zh) | 牵引和碰撞装置 | |
US8950713B2 (en) | Clip | |
CN104723992B (zh) | 用于减小冲击负载的充电器支架 | |
KR101746690B1 (ko) | 철도차량용 완충장치 | |
KR20170073008A (ko) | 철도차량 연결기용 완충장치 | |
US20150061202A1 (en) | Vibration damping device | |
US10625695B2 (en) | Buckling inducing-type vehicle crash boxes and vehicle back beam having same | |
CN110116702A (zh) | 包括板型负载限制器的安全带 | |
CN107787280B (zh) | 用于机动车的变形元件和具有这样的变形元件的机动车 | |
KR20170037228A (ko) | 철도차량용 탄성 조인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연결기 | |
JP2006044629A (ja) | 車両用バンパビーム構造 | |
KR101784575B1 (ko) | 철도차량용 완충기 | |
KR101800338B1 (ko) | 철도차량 충격흡수장치 | |
KR100677164B1 (ko) | 철도차량 완충 연결장치 | |
KR102172548B1 (ko) | 철도차량용 연결기의 충돌 에너지 흡수장치 | |
KR101076614B1 (ko) | 캐리어 | |
JP5309056B2 (ja) | 緩衝装置 | |
KR20190007399A (ko) | 철도 차량용 완충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6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