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489B1 - Prefabricated column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colum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6489B1 KR101746489B1 KR1020150125741A KR20150125741A KR101746489B1 KR 101746489 B1 KR101746489 B1 KR 101746489B1 KR 1020150125741 A KR1020150125741 A KR 1020150125741A KR 20150125741 A KR20150125741 A KR 20150125741A KR 101746489 B1 KR101746489 B1 KR 1017464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frame member
- unit frame
- coupling
- prefabricated colum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시공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프레임부재와 외피부재를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 기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 형상의 단위프레임부재와, 단위프레임부재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단위외피부재를 포함하는 단위기둥부재와, 단위프레임부재와 인접하는 단위프레임부재를 상호 길이방향으로 결합하는 제 1결합유닛을 구비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build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pillar capable of assembling a plurality of frame members and a shell member to facilitate install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r-shaped unit frame member, a unit column member including a unit sheath member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nit frame member, a first coupling unit Respectively.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시공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프레임부재와 외피부재를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 기둥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build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pillar capable of assembling a plurality of frame members and a shell member to facilitate installation.
일반적으로 조립식 기둥은 파고라, 정자, 버스정류장, 벤치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시설물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식 기둥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원기둥, 사각기둥 등의 획일화된 형태로 제작되며 재질, 형상, 크기가 매우 한정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prefabricated columns are used in various types of facilities such as pagodas, sperm, bus stops, benches, and the like. However, such a prefabricated column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is made in a uniform shape such as a cylinder and a square column, and has a problem that the material, shape, and size are very limited.
이로 인하여 자연친화적인 미려함이 장점인 목재로 이루어진 기둥이 사용되고 있으나, 목재만으로 이루어진 목재기둥은 빗물이나 눈에 노출되면서 목재기둥에 흡수된 수분에 의해 수축 및 팽창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됨으로써 목재기둥이 갈라지거나 뒤틀리는 등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목재기둥은 형상과 크기가 매우 한정된다는 문제점이 있다.As a result, the wooden pillars made of wood, which is an advantage of nature-friendly beauty, are used, but the wooden pillars made of only wood are repeatedly shrinked and expanded by moisture absorbed by the wooden pillars while being exposed to rainwater or snow, There is a problem that deformation such as cracking or twisting occurs. Furth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hape and the size of the wooden column are very limit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7858호에는 조립식 기둥이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94728호에는 조립식 나무 기둥이 게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967858 discloses a prefabricated column,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94728 shows a prefabricated wooden column.
게시된 조립식 나무기둥은 관상의 심체와, 상기 심체의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나사로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에 상기 심체의 외주면과 평행하게 형성된 가이드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판의 좌우로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H형 결속구와, 상기 H형 결속구의 가이드홈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나무판을 포함한다.The posted prefabricated wooden pillar is composed of a tubular core, a fixing plate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body by screws in the axial direction, a vertical plat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fixing plate, and a guide plate formed on the vertical plate in parallel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re body A plurality of H-type binding holes forming a guide groove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vertical plate, and a wooden plate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guide grooves of the H-type binding hole.
그러나, 조립식 나무기둥은 심체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나무판을 고정하는 별도의 H형 결속구를 설치하는 비용이 추가로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However, the prefabricated wooden pillar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re body, and the additional cost of installing a separate H-type binding peg that fixes the wooden pegs is added, so that the above-mentioned problem can not be fundamentally solve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립식 기둥의 재질, 형상, 크기를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고, 조립식 기둥의 외형을 손상시키지 않고 결합할 수 있는 조립식 기둥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column capable of freely designing the material, shape, and size of the prefabricated column without deteriorating the outer shape of the prefabricated column. hav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식 기둥은 바 형상의 단위프레임부재와, 상기 단위프레임부재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단위외피부재를 포함하는 단위기둥부재와; 상기 단위프레임부재와 인접하는 단위프레임부재를 상호 길이방향으로 결합하는 제 1결합유닛;을 구비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efabricated column comprising: a unit column member including a bar-shaped unit frame member and a unit sheath member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nit frame member; And a first coupling unit coupling the unit frame member and adjacent unit frame memb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 1결합유닛은 상기 단위프레임부재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결합부를 가지는 돌기부와, 상기 단위프레임부재의 타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인접한 단위프레임부재의 돌기부와 동일한 형상을 끼워서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홈을 가지는 삽입홈부를 구비한다.The first coupling unit may include a protrusion having a coupling portion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unit frame member and a coupling portion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unit frame member and sandwiching the same shape as the protrusion of the adjacent unit frame member And an insertion groove portion having an engagement groove.
상기 단위프레임부재와 대향되는 단위프레임부재에는 임의 방향으로 하중의 인가시 조립식 기둥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호 내주면에 돌출되어 결합되는 제 2결합유닛을 더 구비한다.The unit frame member facing the unit frame member further includes a second coupling unit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prevent the prefabricated column from being opened when a load is applied in an arbitrary direction.
상기 제 2결합유닛은 상기 단위프레임부재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단부에 걸림부가 형성된 제 1결합부재와, 상기 단위프레임부재와 대향되는 단위프레임부재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호 단부가 걸려서 결합되는 제 2결합부재를 구비한다.The second coupling unit includes a first coupling member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nit frame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n engagement portion formed at an end thereof and a second coupling member formed i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nit frame member facing the unit frame member, And a second engagement member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ement member.
상기 단위기둥부재들이 결합된 조립식 기둥의 하부에 설치되어 조립식 기둥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구비한다.And a support portio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refabricated column to which the unit pillar members are coupled to support the prefabricated column.
상기 지지부는 상기 조립식 기둥이 세워질 바닥에 설치되는 하부베이스와, 상기 하부베이스에 설치된 지지핀과, 프레임부재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핀에 삽입될 수 있는 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지지결합부를 구비한다.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lower base to be installed on a floor where the prefabricated column is to be installed, a support pin provided on the lower base, and a support coupling portion formed in the frame member, the groove being insertable into the support pin, Respectively.
본 발명의 조립식 기둥은 프레임부재와 외피부재가 조립식으로 형성되어 프레임부재와 외피부재의 재질, 형상, 크기를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고, 프레임부재의 내부에서 외피부재를 결합할 수 있으므로 조립식 기둥의 외형이 손상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The prefabricated pillar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reely designed in material, shape, and size of the frame member and the sheath member by forming the frame member and the sheath member in a prefabricated manner, and the sheath member can be joined inside the frame member. This has the advantage of not being damag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의 하부를 절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식 기둥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결합유닛을 중심으로 발췌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조립식 기둥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결합유닛을 중심으로 발췌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의 사시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wer part of a prefabricated colum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exaggerated with respect to a first coupl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column of FIG. 1,
FIG. 3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column of FIG. 1 taken along the first coupl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colum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colum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colum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조립식 기둥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abricated colum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조립식 기둥의 제 1실시예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 보였다.A first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colum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s. 1 and 2. Fig.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기둥은 바 형상의 단위프레임부재(11)와, 단위프레임부재(11)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단위외피부재(12)를 포함하는 단위기둥부재(10)와, 단위프레임부재(11)와 인접하는 단위기둥부재의 단위프레임부재를 상호 길이방향으로 결합하는 제 1결합유닛(20)을 구비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prefabricated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r-shaped
단위기둥부재(10)를 이루는 단위프레임부재(11)는 길이방향을 따라 바 형상을 가진다. 단위프레임부재(11)는 일반 구조물의 기둥이나 보 등에 적용될 수 있는 강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단위외피부재(12)는 단위프레임부재(11)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단위외피부재(12)의 내주면은 단위프레임부재(11)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단위외피부재(12)의 외부 형상은 설치되는 환경에 맞게 자유로운 설계가 가능하며 다양한 재질과 크기가 적용될 수 있다.The
단위프레임부재(11)의 외주면에 단위외피부재(12)가 설치되는 경우, 단위프레임부재(11)의 내부에서 나사, 고정핀 등을 이용하여 단위외피부재(12)를 결합하거나 단위외피부재(12)와 단위프레임부재(11)의 결합부위에 접착제를 칠하여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외부에서 나사, 고정핀 등으로 외피부재를 결합하지 않고, 단위프레임부재(11)의 내부에서 단위외피부재(12)를 결합함으로써 단위외피부재(12)가 손상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When the
제 1결합유닛(20)은 단위기둥부재(10)와 인접한 단위기둥부재를 상호 길이방향으로 결합한다. 제 1결합유닛(20)은 단위기둥부재(10)의 단위프레임부재(11)에 형성된 돌기부(21)와 삽입홈부(22)를 구비한다.The
돌기부(21)는 단위프레임부재(11)의 일 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삽입홈부(22)에 결합되는 결합부(23)를 가진다. 결합부(23)는 돌기부(21)의 단부에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원형의 단면을 가진다.The
삽입홈부(22)는 단위프레임부재(11)의 타 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인접한 단위프레임부재의 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단면형상의 결합홈(26)을 가진다. The
도 3에는 제 1결합유닛(5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이러한 제 1결합유닛(50)은 제 1연결부(51)와 제 2연결부(52)를 구비한다.Fig. 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제 1연결부(51)는 단위프레임부재(11)의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다시 내측으로 절곡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제 2연결부(52)는 단위프레임부재(11)의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인접한 단위프레임부재의 제 1연결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제 1연결부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단면형상의 홈이 형성된 제 2연결부(52)를 가진다.The second connecting
제 1연결부(51)와 제 2연결부(52)는 이중으로 파지되는 구조로 결합되어 조립식 기둥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결합유닛은 제 1연결부(51)와 제 2연결부(52)의 결합구조 외에 결합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조립식 기둥은 단위기둥부재(10)들이 제 1결합유닛(20)에 의해 결합된 조립식 기둥의 하부에 설치되어 조립식 기둥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30)를 더 구비한다.The prefabricated column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지지부(3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조립식 기둥이 세워질 바닥에 설치되는 하부베이스(31)와, 하부베이스(31)에 수직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지지핀(32)과, 단위프레임부재(11)의 내부에 형성되며 지지핀(32)에 결합될 수 있는 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지지결합부(33)를 구비한다.The supporting
특히, 지지결합부(33)는 지지핀(32)이 결합될 수 있는 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부(34)와, 홈부(34)에 삽입되어 끼워진 지지핀(32)을 양측에서 잡아 고정할 수 있는 핀파지부(35)와, 핀파지부(35)와 단위프레임부재(11)의 내주면을 연결하는 리브(36)가 형성된다.Particularly, the
한편, 조립식 기둥이 보로 이용되는 경우, 지지부(30)는 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이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fabricated column is used as a beam, the supporting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을 도 4에 도시하고 있다.A prefabricated colum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본 발명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단위기둥부재(40)를 이루는 단위프레임부재(41)는 단위외피부재(42)와 접촉되는 면을 증가시켜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단위프레임부재(41)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요철이 형성된다. 단위프레임부재(41)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철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단위외피부재(42)의 내주면은 단위프레임부재(41)의 요철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단위외피부재(42)의 외주면은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을 도 5에 도시하고 있다.A prefabricated colum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본 발명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단위기둥부재(70)는 단위프레임부재(71)와 단위외피부재(72)가 결합될 수 있는 별도의 결합유닛을 구비한다. 이러한 결합유닛은 단위프레임부재(71)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73)와, 단위외피부재(72)의 내주면에 돌출부(73)에 대응되는 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74)을 구비한다.The
또한, 단위외피부재(72)의 외주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져 원형의 조립식 기둥이 형성된다.Furthe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을 도 6에 도시하고 있다.A prefabricated colum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본 발명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단위프레임부재(81)와 대향되는 단위프레임부재에는 상호 내주면에 돌출되어 결합되는 제 2결합유닛(80)을 더 구비한다.The
제 2결합유닛(80)은 단위프레임부재(81)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된 제 1걸림부(84)가 형성된 제 1결합부재(82)와, 단위프레임부재(81)와 대향되는 단위프레임부재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단부에 외측으로 절곡된 제 2걸림부(85)가 형성된 제 2결합부재(83)를 구비한다.The
제 2결합유닛(80)은 단위프레임부재(81)와 대향되는 단위프레임부재의 상호 단부에 형성된 제 1, 2걸림부(84, 85)가 걸려서 결합된다. 따라서, 제 2결합유닛(80)이 결합됨으로써 임의 방향의 하중 인가시 조립식 기둥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기둥의 작용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efabricated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본 발명의 조립식 기둥은 분리된 상태로 현장까지 운반한다. 조립식 기둥이 현장으로 운반이 끝나면 분리된 상태의 조립식 기둥을 조립하여 시공한다.The prefabricated colum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ransported to the site in a separated state. When the prefabricated column is transported to the site, assemble the prefabricated column separated and construct it.
먼저, 단위프레임부재(11)의 외주면에 단위외피부재(12)를 설치한다. 이때 단위프레임부재(11)의 내부에서 나사, 고정핀 등으로 결합하여 단위외피부재(12)를 설치하거나, 단위외피부재(12)가 단위프레임부재(11)에 설치되는 면에 접착제를 칠하여 설치할 수 있다.First, a
다음으로, 단위프레임부재(11)에 단위외피부재(12)가 설치된 단위기둥부재(10)의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21)와 인접하는 단위기둥부재의 단부에 형성된 삽입홈부(22)를 상호 길이방향으로 끼워서 결합한다. 이와 같이 상호 인접하는 단위기둥부재(10)들을 각각 결합하여 조립식 기둥을 형성한다.Next,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기둥은 조립이 단순하고 운반, 시공, 보수가 간편하여 작업시간이 단축됨으로써 설치비가 경감되는 장점이 있다.Thus, the prefabricated colum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simple to assemble and can be easily transported, constructed, and repaired, shortening the working time and reducing the installation cost.
한편, 수직으로 시공되는 조립식 기둥의 경우, 하부베이스(31)는 나사결합 등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조립식 기둥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베이스(31)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핀(32)들은 조립식 기둥의 내부에 각각 형성된 지지결합부(33)에 끼워서 결합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vertically installed prefabricated column, the
본 발명의 조립식 기둥은 조립식 기둥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부(30)를 더 구비하여 조립식 기둥을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조립식 기둥이 보로 이용되는 경우, 지지부(30)는 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이용될 수 있다.The prefabricated column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upport portion (30)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refabricated column to support the prefabricated column. However, when the prefabricated column is used as a beam, the support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임부재와 외피부재가 조립식으로 형성되어 프레임부재와 외피부재의 재질, 형상, 크기를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고, 프레임부재의 내부에서 외피부재를 결합할 수 있으므로 조립식 기둥의 외형이 손상되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rame member and the sheath member are formed in a prefabricated manner, the material, the shape and the size of the frame member and the sheath member can be freely designed and the sheath member can be joined inside the frame member, The appearance is not damag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 조립식 기둥 30: 지지부
10: 단위기둥부재 31: 하부베이스
11: 단위프레임부재 32: 지지핀
12: 단위외피부재 33: 지지결합부
20: 제 1결합유닛 80: 제 2결합유닛
21: 돌기부
22: 삽입홈부1: prefabricated column 30: support
10: unit column member 31: lower base
11: unit frame member 32: support pin
12: unit sheath member 33:
20: first coupling unit 80: second coupling unit
21: protrusion
22:
Claims (6)
인접하는 상기 단위기둥부재들을 상호 결합하기 위해, 상기 단위프레임부재와 인접하는 단위프레임부재를 상호 길이방향으로 결합하는 제 1결합유닛과;
상기 단위프레임부재와 대향되는 단위프레임부재에는 임의 방향으로 하중의 인가시 조립식 기둥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호 내주면에 돌출되어 결합되는 제 2결합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 2결합유닛은
상기 단위프레임부재의 내주면에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된 제1걸림부가 형성된 제 1결합부재와, 상기 단위프레임부재와 대향되는 단위프레임부재의 내주면에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단부에 외측으로 절곡된 제2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부에 걸리는 제2걸림부가 형성된 제 2결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기둥.A plurality of unit pillar members each including a bar-shaped unit frame member and a unit sheath member provid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nit frame member;
A first coupling unit coupling the unit frame members and adjacent unit frame members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couple adjacent unit column members to each other;
And a second coupling unit protruding from and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nit frame member so as to prevent the prefabricated column from being opened when a load is applied in an arbitrary direction,
The second coupling unit
A first engaging member protruding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nit frame member and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first engaging portion bent inward at an end thereof, and a second engaging member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nit frame member facing the unit frame member, And a second engaging member having a second engaging portion bent outwardly at an end thereof and having a second engaging portion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상기 제 1결합유닛은 상기 단위프레임부재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결합부를 가지는 돌기부와, 상기 단위프레임부재의 타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인접한 단위프레임부재의 돌기부와 동일한 형상을 끼워서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홈을 가지는 삽입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기둥.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upling unit may include a protrusion having a coupling portion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unit frame member and a coupling portion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unit frame member and sandwiching the same shape as the protrusion of the adjacent unit frame member And an insertion groove portion having an engaging groove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상기 단위기둥부재들이 결합된 조립식 기둥의 하부에 설치되어 조립식 기둥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기둥.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portio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refabricated column to which the unit pillar members are coupled to support the prefabricated column.
상기 지지부는 상기 조립식 기둥이 세워질 바닥에 설치되는 하부베이스와, 상기 하부베이스에 설치된 지지핀과, 프레임부재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핀에 삽입될 수 있는 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지지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기둥.6. The method of claim 5,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lower base to be installed on a floor where the prefabricated column is to be installed, a support pin provided on the lower base, and a support coupling portion formed in the frame member, the groove being insertable into the support pin, And a plurality of pillar-shaped pillar-shaped member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5741A KR101746489B1 (en) | 2015-09-04 | 2015-09-04 | Prefabricated colum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5741A KR101746489B1 (en) | 2015-09-04 | 2015-09-04 | Prefabricated colum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8735A KR20170028735A (en) | 2017-03-14 |
KR101746489B1 true KR101746489B1 (en) | 2017-06-14 |
Family
ID=58460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5741A Active KR101746489B1 (en) | 2015-09-04 | 2015-09-04 | Prefabricated colum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648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45645B1 (en) * | 2019-11-26 | 2021-12-31 | 휴인 주식회사 | Wooden pole for construction with inner hollow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3806Y1 (en) * | 2000-12-29 | 2001-05-15 | 주식회사세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Fabricated fence for construction site |
KR200436038Y1 (en) * | 2006-11-15 | 2007-04-25 | 주식회사 자인 | Pagora pillar structur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7858B1 (en) | 2010-01-19 | 2010-07-05 | 김세현 | A post construction |
KR101215274B1 (en) | 2010-02-17 | 2012-12-26 | 유한회사 형후 | Wooden Column Assembly |
-
2015
- 2015-09-04 KR KR1020150125741A patent/KR10174648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3806Y1 (en) * | 2000-12-29 | 2001-05-15 | 주식회사세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Fabricated fence for construction site |
KR200436038Y1 (en) * | 2006-11-15 | 2007-04-25 | 주식회사 자인 | Pagora pillar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8735A (en) | 2017-03-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5229919A (en) | Structural member for steel house | |
KR100241800B1 (en) | Partition wall system provided with floating posts | |
JP5575561B2 (en) | Seismic structure of buildings | |
KR101746489B1 (en) | Prefabricated column | |
JP2007321499A (en) | Reinforcing device of wooden framework house | |
KR101821316B1 (en) | Column and beam connecting structure | |
JP2010281192A (en) | Joint fitting, fixation fitting and fixing pin for building | |
KR101537762B1 (en) | A panel and the manufacture method thereof and the construction method for structures using the panel | |
KR20170121955A (en) | Connecting Apparatus for Rod Type Member | |
KR102459395B1 (en) | Slide type nut holder using prefabricated truss | |
JP2012067519A (en) | Attachment structure of exterior wall panel | |
KR200438242Y1 (en) | Construction composite member | |
JP6307342B2 (en) | Fence or handrail structure | |
JP5922736B2 (en) | Connecting reinforcement structure for wooden buildings | |
KR101782027B1 (en) | Pillar assembly for pergola | |
JP5528128B2 (en) | Building structure joint structure | |
KR101810361B1 (en) | Hybrid-type connecting device for wood structure | |
KR20150058855A (en) | Timber base plate metal connectors for footing-column connecting | |
KR102186905B1 (en) | Steel Connecting coupler | |
JP5629195B2 (en) | building | |
JP6968778B2 (en) | Connection structure | |
JP5342837B2 (en) | Pipe joints for wooden building shafts | |
KR200417909Y1 (en) | Exterior material extension structure of composite building material | |
JP6134500B2 (en) | Seismic structure and earthquake-resistant house incorporating this seismic structure | |
KR200150772Y1 (en) | Wooden type wall structure material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6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