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475B1 - Multilayer ceramic circular polarized antenna having a Stub parasitic element - Google Patents
Multilayer ceramic circular polarized antenna having a Stub parasitic ele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6475B1 KR101746475B1 KR1020160043235A KR20160043235A KR101746475B1 KR 101746475 B1 KR101746475 B1 KR 101746475B1 KR 1020160043235 A KR1020160043235 A KR 1020160043235A KR 20160043235 A KR20160043235 A KR 20160043235A KR 101746475 B1 KR101746475 B1 KR 1017464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electric
- ceramic
- ceramic dielectric
- antenna
- parasitic ele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6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4
- 229910018072 Al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2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claims 2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29910010293 ceram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89 dielectr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09 Tef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62 Tef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85—Dielectric resonator antennas
- H01Q9/0492—Dielectric resonator antennas circularly polarise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78—Combination of fed elements with parasitic el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8—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radiating a circular polarised wave
- H01Q9/0435—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radiating a circular polarised wave using two feed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형 이중 세라믹 유전체의 상부면에 기생소자를 형성하고, 제1세라믹 유전체와 제2세라믹 유전체 사이에 형성되는 원형링 구조의 방사소자에 급전된 전력은 방사소자와 기생소자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고유전율 제2세라믹 유전체에 의해 전자기적 결합으로 기생소자에 전력이 유도되어 안테나의 광대역화 및 이득을 향상시킨다.
유전체기판의 하부면에는 이중 프로브 급전을 위한 급전부를 형성하여 이중 프로브 급전에 의해 좌원편파(Left Hand Circular Polarization : LHCP)와 우원편파(Right Hand Circular Polarization : RHCP)의 이중편파(Dual Polarization)를 동시에 생성되도록 하고, 기생소자의 일측에는 오픈 스터브(Open stub)를 형성시켜 전자기적 결합(Coupling)에 의해 유도된 위상(Phase)을 용량성 리액턴스로 인해 안정화되도록 하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arasitic element on the top surface of a stacked dual ceramic dielectric and power supplied to the radiating element of a circular ring structure formed between the first ceramic dielectric and the second ceramic dielectric is formed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 and the parasitic element The second high dielectric constant dielectric ceramic material induces electric power to the parasitic element by electromagnetic coupling, thereby improving the antenna's wide bandwidth and gain.
A feeding part for supplying a double prob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and dual polarization of Left Hand Circular Polarization (LHCP) and Right Hand Circular Polarization (RHCP) And an open stub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parasitic element so that the phase induced by the electromagnetic coupling is stabilized by the capacitive reactan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터브 기생소자를 갖는 적층형 세라믹 원형편파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GPS 또는 Glonass와 같은 위성항법장치에 사용되는 수신용 저이득 안테나와는 달리, 위성통신을 위한 송수신용 안테나는 적어도 3dBic 이상의 고이득과 135.5㎒ 이상의 광대역 특성을 만족하여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inated ceramic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having a stub parasitic ele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w-gain antenna for use in a satellite navigation apparatus such as GPS or Glonass, A high gain of more than 3dBic and a broadband characteristic of 135.5 MHz or more.
그러므로 방사소자의 상부면에 기생소자를 형성시켜 안테나의 광대역화 및 이득(Gain)을 향상시키고, 오픈 스터브(Open Stub)에 의한 위상(Phase)을 안정화시키는 효과와 이중 프로브 급전으로 좌원편파 및 우원편파를 생성시켜 GPS 또는 Glonass와 같은 위성항법 데이터의 수신은 물론, 원활한 위성통신을 위한 스터브 기생소자를 갖는 적층형 세라믹 원형편파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Therefore, a parasitic elemen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diating element to improve the broadband and gain of the antenna, stabilize the phase by the open stub, To a laminated ceramic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having a stub parasitic element for smooth satellite communication as well as reception of satellite navigation data such as GPS or Glonass by generating polarized waves.
무선통신기술의 발달로 휴대폰,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정보통신기기의 대중화는 급속도로 인간의 실생활에 깊숙이 파고들어 있다.Due to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popularization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navigation is rapidly penetrating deep into human life.
현재 많은 제어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IoT(사물인터넷)의 지상 및 위성통신 시장은 수많은 분야에서 21세기의 새로운 혁신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The IoT (grounded Internet) ground and satellite communication market, where many control technologies are currently being developed, is emerging as a new innovation industry in the 21st century in many fields.
본 발명의 안테나는 위성 IoT를 위한 통신용 안테나로서, 구명조끼와 같은 해상 구조용 장비에 탑재될 수도 있고, 지상 이동통신용 기지국이 없는 지역에서 개인휴대 단말기인 스마트폰과 휴대용 위성통신모듈 사이에 블루투스 또는 WiFi 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으로 위성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위성통신모듈에 적용할 수 있는 소형 안테나를 제공한다.The antenn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unication antenna for satellite IoT, and may be mounted on a marine structure equipment such as a life jacket. In an area where there is no base station for terrestrial mobile communication, a Bluetooth or WiFi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ll antenna that can be applied to a portable satellite communication module that enables satellite communication with a smart phone using communication.
도 1은 종래기술의 세라믹 원형패치 안테나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eramic circular patch antenna of the prior ar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기판(11)의 상부면에 접지부(10) 및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세라믹 유전체(13)가 형성되고, 세라믹 유전체의(13)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방사패치(14)와 유전체 기판(11)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급전부(12)로 이루어진다.1, a
급전부(12)는 윌킨슨 전력분배기(Wilkinson Power Divider) 구조로서, 하나의 입력에 두 개의 출력을 가지며, 두 개의 출력 중 어느 하나의 출력단에 50Ω 특성임피던스를 가지는 λg/4 전송선로를 설치하여 위상을 90°지연시키게 되므로, 두 개의 출력단에는 크기가 반으로 나누어진 90°의 위상차를 갖는 신호가 출력되게 된다.The
위상이 90°차이가 나는 두 개의 출력단은 유전체 기판(11), 접지부(10) 및 세라믹 유전체(13)의 관통홀 내측에 마련된 두 개의 급전핀에 의해 방사패치(14)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며, λg/4 전송선로에 의해 90°뒤진 위상으로 원형편파를 생성시키게 된다.The two output terminals whose phases are different by 90 degre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하지만, 이와 같은 윌킨슨 전력분배기는 3단자 구조로서, 두 개의 입력과 하나의 출력 또는 하나의 입력과 두 개의 출력을 가지는 회로이므로, 안테나의 원형편파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결합기가 아닌 분배기로 설계되기에 두 개의 출력단 중 어느 한쪽의 출력단에만 λg/4 전송선로를 설치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므로, 좌원편파 또는 우원편파인 단일편파 안테나의 구현만이 가능한 단점을 가지고있다.However, since such a Wilkinson power divider is a three-terminal structure, it has two inputs and one output, or one input and two outputs. Therefore, in order to realize the circular polarization of the antenna, 4 transmission line is required to be installed only at one of the output ends of the output terminal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only a single polarization antenna that is a left-handed circular polarization or right-handed circular polarization.
도 8은 종래기술에 따른 세라믹 원형패치 안테나의 2D 방사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2D radiation pattern of a ceramic circular patch antenna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세라믹 원형패치 안테나는 단일 방사패치(14) 구조로서, 안테나의 최대 이득은 0㏈ic 이상을 확보하지 못하는 것을 방사패턴(900)에서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prior art ceramic circular patch antenna is a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세라믹 원형패치 안테나에 사용되는 세라믹 유전체의 유전율(εr)은 21의 고유전율을 가진 소재를 사용하고 있으나, 유전율이 21인 세라믹 소재는 가공성이 어렵고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상용화되어 있지 않은 소재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Although the dielectric constant ( r ) of the ceramic dielectric used in the conventional ceramic circular patch antenna according to the prior art uses a material having a high dielectric constant of 21, a ceramic material having a dielectric constant of 21 is difficult to process and is expensive It is a material which is not commercialized.
또한, 종래기술의 세라믹 원형패치 안테나를 비롯한 GPS 안테나들은 단일 방사패치(14) 구조이기 때문에 낮은 방사효율로 인한 저이득 안테나로서 위성신호 수신용으로는 가능하나 고이득 이중편파 구현이 불가능하므로, 위성신호 송수신을 위한 위성통신용으로는 불가능한 기술적인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GPS antennas, including the prior art ceramic circular patch antenna, are a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급전부를 브랜치라인 커플러 회로로 설계하여 이중 프로브 급전방식에 의해 좌원편파와 우원편파를 동시에 생성시켜 위성통신용 이중편파를 구현하고, 방사소자의 상부면에 기생소자를 형성하여 광대역 특성과 높은 방사효율에 의한 이득 향상과 기생소자의 일측에 오픈 스터브를 더 포함하는 스터브 기생소자를 갖는 적층형 원형편파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al-polarity waveguide circuit for a dual- And a stub parasitic element including an open stub on one side of the parasitic element and a gain enhancement due to a wide band characteristic and a high radiation efficiency.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전체 기판;의 상부면을 안테나의 접지부;로 이용하고, 상기 접지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1세라믹 유전체;와 제2세라믹 유전체;를 적층하고, 상기 제1세라믹 유전체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방사소자; 및 상기 제2세라믹 유전체의 상부면에 오픈 스터브;를 포함하는 기생소자;를 형성하고, 상기 유전체 기판의 하단면에 형성되는 급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forming a first ceramic dielectric and a second ceramic dielectric on a top surface of the ground by using an upper surfac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as a grounding portion of the antenna; A radiating element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ceramic dielectric; And a feeding part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the parasitic element including an open stub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eramic dielectric.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급전부의 두 개의 출력단은 상기 제1세라믹 유전체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방사소자와 급전핀;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output terminals of the feeder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adiating elemen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eramic dielectric through a feed pin.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및 제2세라믹 유전체 사이에는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서로 접착시키게 되며, 상기 급전부의 두 개의 입력단에 입력전력이 인가되면 각각의 입력단을 기준으로 두 개의 출력단의 위상은 서로 90°의 위상차를 가지고 상기 방사소자에 전달되며, 90°의 위상차를 가지는 신호는 좌원편파 및 우원편파를 동시에 생성시키게 되어 이중편파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eramic dielectric device, comprising the steps of: bonding a first ceramic dielectric body and a second ceramic dielectric body to each other using a double-sided tape; The phases of the two output terminals have a phase difference of 90 °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are transmitted to the radiating element. A signal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90 ° generates both left-handed and right-handed circularly polarized waves.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유전율 세라믹 유전체를 적층하고 방사소자 상단부에 형성되는 기생소자에 의해 광대역 특성과 안테나 이득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hancing the broadband characteristic and the antenna gain by stacking the high dielectric constant ceramic dielectric body and forming the parasitic element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radiating element.
또한, 일반적으로 상용화되어 있는 고유전율 세라믹 소재를 사용한 구조이기에 안테나의 가격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장점을 가지므로, 고이득 소형 광대역 안테나로서 위성통신 IoT 시장에서 충분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since it has a structure using a commonly used high permittivity ceramic material, it has a merit that the price of an antenna can be remarkably lowered, so that it is a high-gain small-size broadband antenna and can have sufficient competitiveness in the satellite communication IoT market.
또한, 기생소자의 일측에 형성된 오픈 스터브에 의해 용량성 리액턴스를 유도하여 위상이 안정화 되도록 하고, 급전부의 이중 프로브 급전으로 인한 좌원편파 및 우원편파를 동시에 생성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apacitive reactance is induced by the open stub formed on one side of the parasitic element to stabilize the phase, and simultaneously the left circular polarization and the right circular polarization due to the feeding of the double probe in the feeding part are generated.
이하,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내용에 대한 설명에서 마이크로스트립 라인(Microstrip Line)의 기술적 구조를 설명하지 않은 것은,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이해할 수 있으므로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이란 표기는 생략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microstrip line is not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of the microstrip line is omitted.
도 1은 종래기술의 세라믹 원형패치 안테나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의 (a)와 (b) 및 (c)는 본 발명에 따른 스터브 기생소자를 갖는 적층형 세라믹 원형편파 안테나의 상세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터브 기생소자를 갖는 적층형 세라믹 원형편파 안테나의 분해 사시도.
도 4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터브 기생소자를 갖는 적층형 세라믹 원형편파 안테나의 상세구성의 일 예인 상부면과 하부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터브 기생소자를 갖는 적층형 세라믹 원형편파 안테나의 공진주파수 대역과 급전점의 격리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터브 기생소자를 갖는 적층형 세라믹 원형편파 안테나의 2D 방사 패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터브 기생소자를 갖는 적층형 세라믹 원형편파 안테나의 3D 방사패턴, 그리고,
도 8은 종래기술에 따른 세라믹 원형패치 안테나의 2D 방사패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shows an embodiment of a ceramic circular patch antenna of the prior art; Fig.
2 (a), 2 (b) and 2 (c)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detailed structure of a laminated ceramic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having a stub parasitic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aminated ceramic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having a stub parasitic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 and 4 (b) are views show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which are one example of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laminated ceramic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having a stub parasitic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isolation diagram of a resonance frequency band and a feeding point of a laminated ceramic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having a stub parasitic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2D radiation pattern of a stacked ceramic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with a stub parasitic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graph showing a 3D radiation pattern of a laminated ceramic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having a stub parasitic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2D radiation pattern of a ceramic circular patch antenna according to the prior art.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터브 기생소자를 갖는 적층형 세라믹 원형편파 안테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laminated ceramic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having a stub parasitic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 of the term appropriately in order to describe it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도 2의 (a)와 (b) 및 (c)는 본 발명에 따른 스터브 기생소자를 갖는 적층형 세라믹 원형편파 안테나의 상세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2 (a), 2 (b) and 2 (c)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 laminated ceramic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having a stub parasitic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유전체기판(110), 접지부(100), 제1세라믹 유전체(200), 제2세라믹 유전체(500), 기생소자(510)로 구성되고, 제1세라믹 유전체(200)와 제2세라믹 유전체(500) 사이에는 양면테이프(400)를 형성시켜 고정되도록 하고, 유전체기판(200)의 하부면에 급전부(120)를 포함한다.2, the first ceramic dielectric 200 includes a
급전부(120)는 4단자 구조인 브랜치라인 커플러(Branch Line Coupler)로서, 두 개의 입력과 두 개의 출력을 가진 회로이며, 두 개의 입력 중 어느 한쪽에 신호가 입력되면 두 개의 출력단에는 진폭은 같고 90°의 위상차를 갖는 신호가 출력된다.The
두 개의 입력단 간의 격리도(Isolation)는 약 20dB 이상을 가지기 때문에 나머지 하나의 입력단에는 신호가 나오지 않는다.Since the isolation between the two inputs is greater than about 20dB, no signal is present at the other input.
여기서, 제1 및 제2세라믹 유전체(200, 500)의 유전율(εr)은 12이고, 손실 탄젠트(Tanδ)가 0.0016이며, 면적은 45×45㎟인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상용 알루미나(Al2O3) 소재를 사용한다.Here, the first and secon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터브 기생소자를 갖는 적층형 세라믹 원형편파 안테나의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aminated ceramic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having a stub parasitic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유전체기판(110)의 상부면에 접지부(100)를 형성시키고, 유전체기판(110)의 하부면에는 이중 프로브 급전을 위한 급전부(120)를 형성시킨다.Referring to FIG. 3, a
또한, 접지부(100)의 상단부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고유전율 제1세라믹 유전체(200)가 형성되고, 제1세라믹 유전체(200)의 상부면에 원형링 구조의 방사소자(210)를 형성시키게 된다. 방사소자(210)의 일측에는 방사소자(2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이격된 제1급전핀(310)과 제2급전핀(320)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급전핀(310, 320)은 제1급전홀(111) 내지 제3급전홀(211)의 내측을 관통하여 급전부(120)의 두 개의 출력단과 방사소자(21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때, 이중 프로브 급전을 위한 제1 및 제2급전핀(310, 320)의 위치는 안테나의 방사저항을 크게 변화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제1급전핀(310)과 제2급전핀(320)의 각도는 90°를 넘지 않도록 적절한 각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first high dielectric constant ceramic
또한, 접지부(100)에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제2급전홀(101)은 제1 및 제2급전핀(310, 3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제1 및 제2급전핀(310, 320)의 지름보다 좀 더 크게 형성시킨다.The two
급전부(120)의 두 개의 입력단에 동일한 크기의 진폭을 갖는 신호가 입력되면 제1 및 제2급전핀(310, 320)을 통하여 방사소자(210)에 전달되고, 방사소자(210)에 전달된 신호는 전자기적 결합(Coupling)에 의해 기생소자(510)에 전력이 유도되어 자유공간으로 복사가 이루어진다. 기생소자(510)는 제2세라믹 유전체(500)의 상단면에 형성되고, 제1 및 제2세라믹 유전체(200, 500)는 0.01㎜ 두께를 갖는 양면테이프(400)에 의해 고정된다.When signals having the same amplitude are inputted to the two input terminals of the
제1세라믹 유전체(200)는 안테나의 축비(Axial Ratio) 및 방사특성(Radiation Property)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2세라믹 유전체(500) 보다 두께를 얇게 형성시키고, 두께가 얇아진 제1세라믹 유전체(200)로 인해 좁아진 대역폭을 넓히기 위해 제2세라믹 유전체(500)의 두께는 제1세라믹 유전체(200)보다 좀더 두껍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first ceramic dielectric 200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ceramic dielectric 500 to improve the axial ratio and radiation property of the antenna and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first ceramic dielectric 200,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second ceramic dielectric 500 is formed thicker than the first ceramic dielectric 200 in order to widen the narrowed bandwidth.
또한, 기생소자(510)는 고유전율의 제2세라믹 유전체(500)와 방사소자(210)의 전자기적 결합에 의해 입력 임피던스 정합으로 광대역 특성을 유도하고, 두꺼워진 제2세라믹 유전체(500)로 인해 프린징 효과(Fringing Effect)로 인한 삽입손실 증가와 왜곡된 방사특성 및 편파특성은 기생소자(5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4개의 오픈 스터브(511)에 의해 용량성 리액턴스를 유도하여 입력위상의 유지 및 안정화에 의한 방사특성과 편파특성이 향상되어 안테나의 방사효율 증가로 높은 이득을 얻을 수 있다.The
도 4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터브 기생소자를 갖는 적층형 세라믹 원형편파 안테나의 상세구성의 일 예인 상부면과 하부면을 도시한 도이다.4 (a) and 4 (b) are top and bottom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laminated ceramic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having a stub parasitic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원형편파를 생성시키기 위해 출력위상이 서로 90°의 위상차를 갖는 급전부(120)를 유전체기판(110)의 하부면에 형성시킨다.Referring to FIG. 4, a
좌원편파를 생성시키기 위해 제1급전점(121)에 입력신호가 인가되면, 입력위상보다 90°뒤진 위상 신호가 제1급전핀(310)에 전달되고, 제2급전핀(320)에는 180°뒤진 위상 신호가 전달되므로 제1급전핀(310)과 제2급전핀(320)은 동일한 크기의 진폭을 갖으나 서로 90°의 위상차가 발생하여 제1급전핀(310)의 위상이 90°앞서기 때문에 좌원편파를 생성시키게 된다.When an input signal is applied to the
또한, 우원편파를 생성시키기 위해 제2급전점(122)에 입력신호가 인가되면, 입력위상보다 90° 뒤진 위상 신호가 제2급전핀(320)에 전달되고, 제1급전핀(310)에는 180° 뒤진 위상 신호가 전달되므로 제2급전핀(320)과 제1급전핀(310)은 동일한 크기의 진폭을 갖으나 서로 90°의 위상차가 발생하여 제2급전핀(320)의 위상이 90°앞서기 때문에 우원편파를 생성시키게 된다.When an input signal is applied to the
이때, 제1급전핀(310)과 제2급전핀(320)에는 입력신호보다 -3㏈의 삽입손실(Insertion loss)이 존재하게 되고, 제1 및 제2급전핀(310, 320) 일측에는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스터브를 더 포함한다.At this time, an insertion loss of -3 dB is present in the
유전체기판(110)은 유전율(εr)은 4.1이고, 손실 탄젠트(Tanδ)가 0.0035, 두께는 0.508㎜, 크기는 55×55㎟인 테프론 기판을 사용하여 급전부(120)의 크기를 줄이고, 삽입손실(Insertion loss)을 만족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기생소자(510)의 지름은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 방사소자(210)의 외부 지름보다 0.0137λ 크게 형성되고, 방사소자(210)의 내부 지름은 0.048λ로 형성되도록 하여 제1급전점(121)과 제2급전점(122) 간의 높은 격리특성(Isolation Property)을 갖도록 한다.The diameter of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터브 기생소자를 갖는 적층형 세라믹 원형편파 안테나의 공진주파수 대역과 급전점의 격리도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 isolation diagram of a resonance frequency band and a feed point of a laminated ceramic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having a stub parasitic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위성통신용 안테나는 광대역 특성이 요구되므로 주파수 대역은 L-Band 대역인 1.525㎓ ~ 1.6605㎓까지 135.5㎒의 8.5%의 대역폭을 가지며, 해당 주파수 대역의 반사손실특성(610)은 최소 -18㏈로 정재파비 1.3 이하를 유지하는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5, since the satellite communication antenna of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s a wide band characteristic, the frequency band has a bandwidth of 8.5.5% of 135.5 MHz from 1.525 GHz to 1.6605 GHz, which is an L-band band, and the reflection loss characteristic 610) has a characteristic of maintaining a standing wave ratio of 1.3 or less at a minimum of -18 dB.
또한, 좌원편파와 우원편파간의 편파 분리도(Polarization Isolation) 인 입력 급전점 간의 격리도는 -19.8㏈ ~ 25.3㏈로 양호한 격리특성(600)을 보여준다.In addition, the isolation between input feed points, which is Polarization Isolation between the left circular polarization and the right circular polarization, is -19.8 dB to 25.3 dB, which shows a good isolation characteristic (600).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터브 기생소자를 갖는 적층형 세라믹 원형편파 안테나의 2D 방사 패턴이다.6 is a 2D radiation pattern of a laminated ceramic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having a stub parasitic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위성통신용 광대역 특성이 요구되는 1.525㎓ ~ 1.6605㎓까지의 대역에서 좌원편파와 우원편파의 방사패턴(700)을 생성시키며, 안테나의 최대 이득은 4.2㏈ic(710)이고, 최대 이득 방향인 0°를 기준으로 106°(즉, ±53°)의 넓은 앙각(Elevation)방향 반전력빔폭(Half Power Beam Width : HPBW)을 가지고 있다.6, a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터브 기생소자를 갖는 적층형 세라믹 원형편파 안테나의 3D 방사패턴이다.7 is a 3D radiation pattern of a laminated ceramic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having a stub parasitic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스터브 기생소자를 갖는 적층형 세라믹 원형편파 안테나의 방사패턴은 Z축을 기준으로 반구형(Hemispherical)의 전방향성(Omni Directional) 방사패턴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좌원편파 방사패턴만 도면에 표기되었으나, 이중 프로브 급전구조는 좌원편파와 우원편파 방사패턴이 동일하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Referring to FIG. 7, the radiation pattern of the laminated ceramic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having the stub parasitic element has a hemispherical omni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characteristic with respect to the Z axis. In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only the left-handed circularly polarized radiation pattern is shown in the figu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ual-probe feeding structure has the same right and left circularly polarized radiation pattern.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20 : 급전부 200 : 제1세라믹 유전체
210 : 방사소자 310 : 제1급전핀
320 : 제2급전핀 500 : 제2세라믹 유전체
510 : 기생소자 511 : 오픈 스터브120: feeding part 200: first ceramic dielectric
210: radiating element 310: first feeding pin
320: second feed pin 500: second ceramic dielectric
510: Parasitic element 511: Open stub
Claims (20)
소정의 두께와 유전율을 갖는 유전체기판;
상기 유전체 기판의 하부면에 형성되고 전력과 위상을 제어하는 급전부;
상기 유전체기판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접지부;
상기 접지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세라믹 유전체;
상기 제1세라믹 유전체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방사소자;
상기 제1세라믹 유전체의 상부에 형성되고 입력 임피던스 정합으로 광대역 특성을 유도하는 제2세라믹 유전체;
상기 제2세라믹 유전체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안테나의 이득을 향상시키는 기생소자; 및
상기 기생소자의 일측에 형성되는 오픈 스터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세라믹 유전체는, 상기 접지부의 상단에 형성되고, 안테나의 축비 및 방사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세라믹 유전체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오픈 스터브는, 상기 기생소자의 일측에 소정의 이격된 거리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다수 개로 형성되고, 두꺼워진 상기 제2세라믹 유전체의 프린징 효과로 인해 삽입손실 증가와 왜곡된 방사특성 및 편파특성에 대하여 용량성 리액턴스를 유도시켜 입력위상의 안정화에 의한 방사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브 기생소자를 갖는 적층형 세라믹 원형편파 안테나.In a multilayer ceramic antenna having a parasitic element,
A dielectric substr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dielectric constant;
A power feeder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and controlling power and phase;
A grounding portion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A first ceramic dielectric formed on the ground;
A radiating element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ceramic dielectric;
A second ceramic dielectric formed on the first ceramic dielectric and inducing a broadband characteristic by input impedance matching;
A parasitic elemen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eramic dielectric and improving the gain of the antenna; And
And an open stub formed on one side of the parasitic element,
The first ceramic dielectric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ground portion and may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ceramic dielectric to improve the axial ratio and radiation characteristic of the antenna,
The open stub is formed by a plurality of openings having predetermined distances and predetermined lengths on one side of the parasitic element, and the increase in insertion loss, distorted radiation characteristics, and polarization due to the firing effect of the thickened second ceramic dielectric Wherein the radiation efficiency is increased by stabilizing the input phase by inducing a capacitive reactance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상기 유전체기판은,
유전율(εr)이 4.1이고, 손실 탄젠트(Tanδ)가 0.0035이며, 두께는 0.508㎜에 크기는 55×55㎟인 테프론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브 기생소자를 갖는 적층형 세라믹 원형편파 안테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electric substrate comprises:
Wherein the laminated ceramic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has a dielectric constant (? R ) of 4.1, a loss tangent (Tan?) Of 0.0035, a thickness of 0.508 mm and a size of 55 mm 55 mm.
상기 급전부는,
상기 유전체기판의 하단면에 형성되고, 입력전력을 제어하며, 두 개의 출력단은 서로 90°의 위상차를 갖는 브랜치라인 커플러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브 기생소자를 갖는 적층형 세라믹 원형편파 안테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Wherein the dielectric substrate is a branch line coupler circuit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and controlling input power and the two output terminals have a phase difference of 90 DEG with respect to each other.
상기 제1세라믹 유전체는,
두께가 2.2㎜이고, 가로와 세로의 길이는 45×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브 기생소자를 갖는 적층형 세라믹 원형편파 안테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eramic dielectric comprises:
Wherein the thickness is 2.2 mm, and the length and the length are 45 x 45 mm 2.
상기 제1세라믹 유전체는,
유전율(εr)이 12이고, 손실 탄젠트(Tanδ)가 0.0016이며,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상용 알루미나(Al2O3)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브 기생소자를 갖는 적층형 세라믹 원형편파 안테나.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ceramic dielectric comprises:
A laminated ceramic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having a stub parasitic el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dielectric constant (? R ) of 12, a loss tangent (Tan?) Of 0.0016, and a commonly used commercial alumina (Al 2 O 3 ) material.
상기 방사소자는,
상기 제1세라믹 유전체의 상부면에 원형 링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브 기생소자를 갖는 적층형 세라믹 원형편파 안테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adiating element
Wherein the first ceramic dielectric is formed in a circular ring structure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ceramic dielectric.
상기 원형 링은,
외부 지름이 0.185λ이고, 내부 지름을 0.048λ로 형성시켜 두 개의 급전점 간의 높은 격리특성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브 기생소자를 갖는 적층형 세라믹 원형편파 안테나.8. The method of claim 7,
The circular ring may include:
Wherein the outer diameter is 0.185 lambda and the inner diameter is 0.048 lambda to induce high isolation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feed points.
상기 제2세라믹 유전체는,
상기 제1세라믹 유전체의 상부에 형성되고, 두께가 얇아진 상기 제1세라믹 유전체로 인해 좁아진 대역폭에 대한 광대역 특성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제1세라믹 유전체보다 좀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브 기생소자를 갖는 적층형 세라믹 원형편파 안테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ceramic dielectric comprises:
Wherein the first ceramic dielectric is formed to be thicker than the first ceramic dielectric in order to induce a broadband characteristic for a narrower bandwidth due to the thinner first ceramic dielectric formed on the first ceramic dielectric. Laminated Ceramic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상기 제2세라믹 유전체는,
두께가 4.3㎜이고, 가로와 세로의 길이는 45×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브 기생소자를 갖는 적층형 세라믹 원형편파 안테나.10. The method of claim 1 or 9,
Wherein the second ceramic dielectric comprises: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laminated ceramic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is 4.3 mm, and the length and the length of the laminated ceramic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are 45 x 45 mm 2.
상기 제2세라믹 유전체는,
유전율(εr)이 12이고, 손실 탄젠트(Tanδ)가 0.0016이며,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상용 알루미나(Al2O3)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브 기생소자를 갖는 적층형 세라믹 원형편파 안테나.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econd ceramic dielectric comprises:
A laminated ceramic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having a stub parasitic el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dielectric constant (? R ) of 12, a loss tangent (Tan?) Of 0.0016, and a commonly used commercial alumina (Al 2 O 3 ) material.
상기 기생소자는,
상기 제2세라믹 유전체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방사소자와의 전자기적 결합에 의해 입력 임피던스 정합으로 방사효율을 증가시켜 안테나 이득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브 기생소자를 갖는 적층형 세라믹 원형편파 안테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rasitic element includes:
Wherein the second ceramic dielectric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eramic dielectric and enhances the antenna gain by increasing the radiation efficiency by input impedance matching by electromagnetic coupling with the radiating element to increase the antenna gain. .
상기 기생소자는,
상기 방사소자의 외부 지름보다 0.0137λ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브 기생소자를 갖는 적층형 세라믹 원형편파 안테나.1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12,
The parasitic element includes:
Wherein the outer diameter of the radiating element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radiating element by 0.0137 lambda.
소정의 두께와 유전율을 갖는 유전체기판;
상기 유전체 기판의 하부면에 형성되고 전력과 위상을 제어하는 급전부;
상기 유전체기판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접지부;
상기 접지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세라믹 유전체;
상기 제1세라믹 유전체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방사소자;
상기 제1세라믹 유전체의 상부에 형성되고 입력 임피던스 정합으로 광대역 특성을 유도하는 제2세라믹 유전체;
상기 제2세라믹 유전체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안테나의 이득을 향상시키는 기생소자; 및
상기 기생소자의 일측에 형성되는 오픈 스터브;를 포함하며,
제1급전핀; 및 제2급전핀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급전핀 및 제2급전핀은, 상기 유전체기판의 일측에 형성되는 두 개의 제1급전홀과, 상기 접지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두 개의 제2급전홀, 상기 제1세라믹 유전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3급전홀, 및 상기 방사소자의 일측에 형성되는 두 개의 제4급전홀의 내측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방사소자와 상기 급전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제1세라믹 유전체는, 상기 접지부의 상단에 형성되고, 안테나의 축비 및 방사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세라믹 유전체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오픈 스터브는, 상기 기생소자의 일측에 소정의 이격된 거리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다수 개로 형성되고, 두꺼워진 상기 제2세라믹 유전체의 프린징 효과로 인해 삽입손실 증가와 왜곡된 방사특성 및 편파특성에 대하여 용량성 리액턴스를 유도시켜 입력위상의 안정화에 의한 방사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브 기생소자를 갖는 적층형 세라믹 원형편파 안테나.In a multilayer ceramic antenna having a parasitic element,
A dielectric substr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dielectric constant;
A power feeder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and controlling power and phase;
A grounding portion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A first ceramic dielectric formed on the ground;
A radiating element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ceramic dielectric;
A second ceramic dielectric formed on the first ceramic dielectric and inducing a broadband characteristic by input impedance matching;
A parasitic elemen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eramic dielectric and improving the gain of the antenna; And
And an open stub formed on one side of the parasitic element,
A first feed pin; And a second feed pin,
The first feeding pin and the second feeding pin may include two first feeding holes formed on one sid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two second feeding holes formed on one side of the grounding portion, one side of the first ceramic dielectric And a fourth feeding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radiating element to electrically connect the radiating element and the feeding part,
The first ceramic dielectric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ground portion and may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ceramic dielectric to improve the axial ratio and radiation characteristic of the antenna,
The open stub is formed by a plurality of openings having predetermined distances and predetermined lengths on one side of the parasitic element, and the increase in insertion loss, distorted radiation characteristics, and polarization due to the firing effect of the thickened second ceramic dielectric Wherein the radiation efficiency is increased by stabilizing the input phase by inducing a capacitive reactance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상기 제2급전홀은,
상기 제1 및 제2급전핀과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및 제2급전핀의 지름보다 좀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브 기생소자를 갖는 적층형 세라믹 원형편파 안테나.18. The method of claim 17,
And the second feed hol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feed pins are formed to be larger in diameter than the first and second feed pins so as not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feed pins.
상기 제1급전핀 및 제2급전핀은,
상기 방사소자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거리와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되,
안테나의 방사저항을 고려하여 그 각이 45° 내지 90°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브 기생소자를 갖는 적층형 세라믹 원형편파 안테나.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first feed pin and the second feed pin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 central axis of the radiating element,
Wherein an angle of the antenna is within 45 占 to 90 占 considering the radiation resistance of the antenna.
상기 급전부는,
안테나의 원형편파를 생성시키기 위하여 이중 프로브 급전을 위한 브랜치라인 커플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브 기생소자를 갖는 적층형 세라믹 원형편파 안테나.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power-
Wherein the branch line coupler is a branch line coupler for feeding a double probe to generate a circular polarization of the antenn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3235A KR101746475B1 (en) | 2016-04-08 | 2016-04-08 | Multilayer ceramic circular polarized antenna having a Stub parasitic ele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3235A KR101746475B1 (en) | 2016-04-08 | 2016-04-08 | Multilayer ceramic circular polarized antenna having a Stub parasitic ele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5649A KR20160045649A (en) | 2016-04-27 |
KR101746475B1 true KR101746475B1 (en) | 2017-06-14 |
Family
ID=55914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3235A Active KR101746475B1 (en) | 2016-04-08 | 2016-04-08 | Multilayer ceramic circular polarized antenna having a Stub parasitic ele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647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7452Y1 (en) * | 2016-08-31 | 2018-09-17 | 사단법인 지상파유에이치디방송추진협회 | A Digital TV Set with a Built-in Antenna |
US10670580B2 (en) | 2017-06-05 | 2020-06-02 |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 Quantification of inflammatory molecules in exhaled breath condensate using differential pulse voltammetry on reduced graphene oxide sensor |
CN107768833B (en) * | 2017-10-09 | 2024-03-15 | 成都瑞德星无线技术有限公司 | Random polarization wide wave beam patch antenna |
KR101942667B1 (en) * | 2017-11-07 | 2019-01-25 | 국방과학연구소 | Microstrip patch antenna |
DE102018103288A1 (en) * | 2018-02-14 | 2019-08-14 | Turck Holding Gmbh | Antenna for communication with a transponder |
CN108808229B (en) * | 2018-05-03 | 2020-10-30 | 佛山市顺德区中山大学研究院 | A stacked hybrid patch loop antenna for wireless energy-carrying communication |
KR101992620B1 (en) * | 2018-08-09 | 2019-06-25 |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 The Antenna with High Gain and Omni-Directional characteristics |
CN109216908B (en) * | 2018-09-12 | 2023-11-10 | 华南理工大学 | Dual-band circularly polarized Beidou antenna with wide axial ratio beam |
TWI678844B (en) * | 2018-11-23 | 2019-12-01 |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 Antenna structure |
CN109742537B (en) * | 2019-02-22 | 2023-11-10 | 华南理工大学 | A three-band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for the Beidou second-generation satellite navigation system |
CN110911809B (en) * | 2019-12-29 | 2025-02-07 | 南京屹信航天科技有限公司 | A satellite-borne ceramic antenna |
KR102423963B1 (en) * | 2020-03-31 | 2022-07-21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Antenna stack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
KR102603809B1 (en) * | 2020-11-06 | 2023-11-1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Antenna device having phase change by feed circuit of angular rotation switching, array antenna using the sam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CN112736440B (en) * | 2020-12-23 | 2025-04-15 | 人民华智通讯技术有限公司 |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and communication equipment |
KR102414079B1 (en) * | 2021-03-15 | 2022-06-29 |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 Low profile dual polarization antenna |
KR102422163B1 (en) * | 2021-07-26 | 2022-07-19 | 주식회사 쏘우웨이브 | Omni antenna using electro-polarization effect |
KR102500674B1 (en) * | 2021-08-11 | 2023-02-16 |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 Polarized diversity antenna |
CN113922076B (en) * | 2021-10-15 | 2023-07-21 |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技大学 | A Miniaturized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with Disk Coupled Feed for Microwave Energy Harvesting |
KR102569685B1 (en) * | 2021-11-24 | 2023-08-23 |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 Multi-band antenn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2531736B1 (en) * | 2022-02-04 | 2023-05-10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Dual-Open-Ring Wearable Antenna |
KR102623525B1 (en) * | 2022-03-15 | 2024-01-11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Multilayer Antenna for Millimeter Wave Band |
CN115548703B (en) * | 2022-09-28 | 2023-09-22 | 安徽大学 | Phase-controllable double-frequency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
CN117254263A (en) * | 2023-02-03 | 2023-12-19 | 苏州市江海通讯发展实业有限公司 | Multi-body multi-band composite antenna with integrated conducting function |
KR102675475B1 (en) * | 2023-02-09 | 2024-06-17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Small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
CN116345164A (en) * | 2023-04-13 | 2023-06-27 | 西安电子科技大学 | Ku frequency band broadband double circularly polarized microstrip antenna |
CN117791096B (en) * | 2023-11-30 | 2024-08-13 | 极诺星空(北京)科技有限公司 | Light-weight wide-beam positioning antenn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N117810692B (en) * | 2023-11-30 | 2024-12-31 | 中国科学院国家空间科学中心 | A wide-beam broadband anti-multipath positioning antenna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60823A (en) * | 1999-08-24 | 2001-03-0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Multi-resonant dielectric antenna and in-vehicle wireless device |
-
2016
- 2016-04-08 KR KR1020160043235A patent/KR10174647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60823A (en) * | 1999-08-24 | 2001-03-0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Multi-resonant dielectric antenna and in-vehicle wireless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5649A (en) | 2016-04-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46475B1 (en) | Multilayer ceramic circular polarized antenna having a Stub parasitic element | |
CN102694263B (en) | Elliptically or circularly polarized dielectric block antenna | |
US9905932B2 (en) | Multiband multifilar antenna | |
CN104157968B (en) | New concept broadband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 |
US8487821B2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a low reflectivity compensated antenna | |
US20120146869A1 (en) | Planar Ultrawideband Modular Antenna Array | |
US20040140941A1 (en) | Low profile dual frequency dipole antenna structure | |
CN104112903B (en) | A kind of microstrip antenna applying parasitic feed metal post | |
CN104882672A (en) | Wide bandwidth wave beam circular polarization Yagi-microstrip antenna | |
CN206003958U (en) | Dual polarization medium resonator antenna unit and antenna for base station | |
CN106099333A (en) | Dual polarization medium resonator antenna unit and antenna for base station | |
CN104362426A (en) | Broadband UHF (ultra-high frequency)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antenna | |
CN110809836A (en) |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 |
CN103199336A (en) | Double-frame and notched four-bridge bridging microstrip antenna applied to compass system | |
US10804609B1 (en) |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array | |
CN110534892A (en) | A kind of Spiral slot antenna of miniaturization inside spiral couple feed | |
WO2008088099A1 (en) | Balun internal type loop antenna | |
KR101557291B1 (en) | Quadrifilar Helix Antenna | |
CN108155460B (en) | Double-frequency omni-directional coupling support-section loaded spiral antenn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WO1996035241A1 (en) | Antenna unit | |
CN110326161A (en) | Helical antenna and communication equipment | |
CN106450777A (en) | Circular polarization microstrip antenna | |
CN109904584B (en) | Dual-polarized microstrip patch antenna unit and antenna array | |
CN105428804A (en) | Minitype wide-beam circularly polarized Y type-H type groove circular patch antenna adopting cylindrical conformal electromagnetic band gap structure | |
CN106602233A (en) | Micro dual-circular-polarization antenna based on high low frequency multiplex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6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