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46116B1 - Multipurpose strap - Google Patents

Multipurpose stra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116B1
KR101746116B1 KR1020150178321A KR20150178321A KR101746116B1 KR 101746116 B1 KR101746116 B1 KR 101746116B1 KR 1020150178321 A KR1020150178321 A KR 1020150178321A KR 20150178321 A KR20150178321 A KR 20150178321A KR 101746116 B1 KR101746116 B1 KR 101746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ndle
buckle
regulating
strap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83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규배
Original Assignee
이규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배 filed Critical 이규배
Priority to KR1020150178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11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11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02Free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1/00Stocking or sock suspe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14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separate securing members
    • B65D63/16Joints using buckles, wedges, or like locking members attached to the end of th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다용도 스트랩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스트랩은, 벨트나 멜빵으로 사용하거나, 여러 물건을 결속하거나, 소품을 신체에 착용한 옷, 가방 또는 베낭에 묶어 휴대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정의 두께와 폭 및 길이로 형성되고, 장방형의 조절공들이 연이어 천공된 조절부; 소정의 두께와 폭 및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의 일단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일단이 상기 조절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묶음부; 및 상기 조절부의 타단과 상기 묶음부의 타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조절부와 묶음부의 타단을 서로 결합시키거나 결합 해제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와 묶음부의 타단에 마련된 결합수단을 서로 결합하여 물건들을 결속하거나, 벨트 또는 멜빵으로 사용하거나, 상기 묶음부의 타단을 상기 조절공으로 통과시켜 크기가 조절되는 결속공을 형성하고 양쪽의 상기 결합수단을 서로 결합하여 물건이나 소품을 묶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용도 스트랩이 조절공을 갖는 조절부와 조절공으로 삽입되어 결속공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여러 장비나 소품 등을 가방이나 옷의 견장, 벨트, 베낭이나 크로스백의 멜빵 등에 용이하게 묶어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다용도 스트랩을 허리띠나 멜빵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 multipurpose strap is disclosed. The multipurpose st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a belt or a suspenders, binds various articles, or ties a small article to clothes, bags or backpacks worn on the body, and is mad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width and length, A control unit in which rectangular control holes are continuously drilled; A bundle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one end of the regulating portion and formed separately and having one end coupled to one end of the regulating portion, the bundle portion being formed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width, and length, And an engaging mean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regulat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bundle portion, respectively,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other ends of the regulating portion and the bundle portion, wherein the regulating portion and the engaging mean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undle And the other end of the bundle portion is passed through the adjustment hole to form a binding hole whose size is adjusted and the binding means of both side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bind the article or the small article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ultipurpose strap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regulating portion having the regulating hole and the regulating hole to adjust the size of the binding hole,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equipments and accessories such as straps, belts,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that the multi-purpose strap can be used as a waistband or a suspenders.

Description

다용도 스트랩{MULTIPURPOSE STRAP}Multi-purpose strap {MULTIPURPOSE STRAP}

본 발명은 다용도 스트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에 착용한 옷이나 가방, 벨트 등에 다른 물건을 용이하게 결속하여 고정하거나, 허리벨트 등으로 사용하거나, 기타 여러 개의 물건을 묶어 결속하거나 기타 다양한 물건 등을 거치할 수 있는 다용도 스트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strap,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urpose strap which can easily bind and fix other objects such as clothes, bags, and belts worn on the body, use it as a waist bel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strap capable of mounting various objects and the like.

일반적으로 답사, 캠핑, 배낭 여행, 탐사 및 발굴 등 장기간 움직이거나 몸을 움직여야 하는 야외활동 시에 여러 장비나 소품 등을 들고 다녀야 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공간활용이 요구된다.In general, efficient use of space is required because it is necessary to carry a variety of equipment and accessories during an outdoor activity such as exploration, camping, backpacking, exploration and excavation for a long time or moving the body.

대부분의 사람들은 장비나 소품 등을 가방에 수납하거나 바지나 옷에 부착되어있는 한정된 크기의 주머니에 넣어 보관하고 있다. Most people store their equipment and accessories in a bag or in a limited-size pocket attached to their pants or clothing.

이와 같이 여러 장비나 소품 등을 가방이나 주머니에 넣어 보관하는 경우에, 가방을 추가로 휴대해야 함으로써 무게가 증가하고 비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가방이 크거나 무거울수록 활동에 제약이 생기게 되어 기동성이 떨어지며, 가방의 부피로 인해 좁은 공간으로의 진입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었다. 또한, 주머니에 내용물이 많을수록 활동에 제약이 생길 뿐만 아니라 활동 중에 예기치 않게 내용물이 바깥으로 빠질 우려가 있었다. In the case of storing various equipment or accessories in a bag or a pocket, it is necessary to carry the bag further,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weight and inefficiency in terms of cost. Further, as the bag is larger or heavier, The maneuverability is deteriorated, and it may be difficult to enter the narrow space due to the volume of the bag. In addition, the more contents in the pocket, the more restricted the activity, and the contents might be unexpectedly dropped out during the activity.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러 장비나 소품 등을 가방이나 옷의 견장, 벨트, 베낭이나 크로스백의 멜빵 등에 묶어 고정할 수 있는 스트랩이 개시되었다. 즉, 스트랩으로 장비나 소품을 옷의 견장, 벨트, 베낭이나 크로스백의 멜빵에 함께 묶음으로써, 장비나 소품을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가방이나 주머니가 불필요하게 되었다. As a means for solving such a problem, a strap is disclosed in which various equipment and accessories can be bundled and fixed to a bag, a rope, a belt, a suspenders of a bag or a cross bag. In other words, by strapping the equipment or accessories together with the straps, belts, backpacks or cross-back suspenders of the straps, a separate bag or pouch for storing equipment or accessories is no longer necessary.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0-58481호(공개일 : 2000.10.05)에는 벨크로 타입 밴드 스트랩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스트랩(1)의 일단에 스트랩(1)의 타단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2)이 형성되고, 스트랩(1)의 일면에는 암벨크로부재(4)가 구비되고 반대면에는 숫벨크로부재(5)가 구비된 구조를 갖는다. As a prior ar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0-58481 (published on October 10, 2000) discloses a Velcro type band strap. 1, an insertion hole 2 for inserting the other end of the strap 1 is formed at one end of a strap 1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A member 4 is provided, and a male Velcro member 5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urface.

이와 같은 종래의 밴드 스트랩은, 대상물을 감아서 스트랩(1)의 일단을 삽입공(2)에 넣어서 스트랩(1)의 일면을 반대면에 접촉 가압시켜 암벨크로부재(4)와 숫벨크로부재(5)가 결합됨으로써 대상물을 결속할 수 있었던 것이다. In the conventional band strap as described above, one end of the strap 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 by winding the object, and the one side of the strap 1 is contacted with the opposite side of the strap 1 so that the arm velcro member 4 and the male velcro member 5) were combined to bind the object.

그러나, 이와 같은 스트랩은 스트랩의 일면을 반대면에 접촉 가압하여 암벨크로부재와 숫벨크로부재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결합력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uch a strap has a problem in that the fastening force is low because one side of the strap is pressed against the opposite side so that the male and female velcro memb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0-58481호(공개일 : 2000.10.05)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0-58481 (published on October 10, 2000)

본 발명의 목적은, 허리띠나 멜빵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여러 장비나 소품 등을 가방이나 옷의 견장, 벨트, 베낭이나 크로스백의 멜빵 등에 묶어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ans for binding and fixing various equipment and accessories to a bag, a string, a belt, a back bag of a bag or a cross bag, as well as a belt or a suspenders.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t least partially solve the problems in the conventional arts. It can be understoo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벨트나 멜빵으로 사용하거나, 여러 물건을 결속하거나, 소품을 신체에 착용한 옷, 가방 또는 베낭에 묶어 휴대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정의 두께와 폭 및 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장방형의 조절공들이 연이어 천공된 조절부; 소정의 두께와 폭 및 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의 일단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일단이 상기 조절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묶음부; 및 상기 조절부의 타단과 상기 묶음부의 타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조절부와 묶음부의 타단을 서로 결합시키거나 결합 해제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와 묶음부의 타단에 마련된 결합수단을 서로 결합하여 물건들을 결속하거나, 벨트 또는 멜빵으로 사용하거나, 상기 묶음부의 타단을 상기 조절공으로 통과시켜 크기가 조절되는 결속공을 형성하고 양쪽의 상기 결합수단을 서로 결합하여 물건이나 소품을 묶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스트랩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achiev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belt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width and length, which is used for a belt or a suspenders, binds various articles, or ties a small article to clothes, A control unit formed in a shape of a rectangle and having rectangular apertures successively perforated; A bundle portion formed in a strip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width, and length, integrally formed at one end of the regulating portion, separately formed and having one end coupled to one end of the regulating portion; And an engaging mean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regulat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bundle portion, respectively,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other ends of the regulating portion and the bundle portion, wherein the regulating portion and the engaging mean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undle And the other end of the bundle portion is passed through the adjustment hole to form a binding hole whose size is adjusted and the binding means of both side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bind the article or the small articl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s.

상기 조절부와 묶음부가 별도로 제작되는 경우에, 상기 조절부와 묶음부의 각 일단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연결링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When the adjusting part and the bundling part are separately manufactured, each end of the adjusting part and the bundling part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on ring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상기 조절부와 묶음부는, 직물재나 플랙시블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adjusting unit and the bundling unit may be made of a fabric material or a flexible synthetic resin material.

상기 결합수단은, 루프벨크로부재 및 상기 루프벨크로부재와 가압 접착되는 후크벨크로부재 또는 상기 조절부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1 버클 및 상기 제1 버클과 서로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묶음부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 버클로 구성될 수 있다. The binding means may include a looped velcro member and a hooked Velcro member pressed or bonded to the looped velcro member or a first buckl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egulated portion and a second buckl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undle, And a second buckle.

상기 결합수단은, 3개 이상의 고정공들을 구비하여 조절부의 타단에 결합되는 버클로 이루어지고, 상기 묶음부의 타단이 상기 버클의 고정공들에 겹쳐지게 삽입되어 결합 고정될 수 있다. The coupling means may include a buckle having three or more fixing holes a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adjust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binding portion may be inserted and fixedly coupled to the fixing holes of the buckle.

3개 이상의 고정공들을 갖는 버클로 이루어지고, 상기 묶음부의 타단이 상기 버클의 고정공들에 겹쳐지게 삽입되어 결합 고정될 수 있다.  And the other end of the bundle portion may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fixing holes of the buckle so as to overlap with each other.

상기 결합수단은, 위치조절공이 연이어 형성되는 상기 묶음부의 타단이 통과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된 버클; 및 상기 삽입공으로 끼워진 상기 묶음부의 위치조절공에 끼워져 상기 조절부와 묶음부의 타단을 결합하도록 일단이 버클의 한쪽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위치조절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버클의 반대쪽에 지지되는 위치고정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Wherein the engaging means comprises: a buckle having an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other end of the bundle portion in which the position adjusting hole is formed is passed; And one end of the buckle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uckle so as to engage with the other end of the bundle, and the other end of the buckle is fitted to the position adjusting hol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uckle, The position fixing member may be formed of a metal plate.

상기 묶음부 또는 묶음부와 조절부에는, 여분의 상기 묶음부를 끼워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The bundling unit or bundling unit and the adjusting unit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fixing member for fixing and fixing the extra bundling unit.

상기 결합수단이 제1 버클과 제2 버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제1 버클은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조절부의 타단과 결합되고, 상기 묶음부의 타단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버클의 결합공들에 겹쳐지게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buckle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egulating part by a connecting member and the other end of the bundle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second buckle so as to be adjustable in length, As shown in FIG.

상기 조절부의 길이방향 양쪽 가장자리에는,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가 마련될 수 있다. The reinforcing portion for reinforcing the rigidity with respect to the load ac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provided at both longitudinal edges of the regulating portion.

상기 보강부는, 상기 조절부의 가장자리가 겹쳐진 상태로 재봉되어 형성되거나, 별도로 띠형 보강부재가 재봉되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The reinforcing portion may be formed by sewing the edges of the regulating portion in an overlapped state, or may be formed by separately sewing the band-shaped reinforcing members.

상기 조절부와 묶음부의 어느 한 면이나 양면 또는 묶음부의 어느 한 면이나 양면에는, 고무재 또는 실리콘재가 코팅되거나, 논슬립 처리되어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A rubber material or a silicone material may be coated or non-slip processed to form a non-slip portion on either or both sides of the control portion and the binding portion or both sides of the binding portion.

본 발명에 의하면, 다용도 스트랩이 조절공을 갖는 조절부와 조절공으로 삽입되어 결속공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여러 장비나 소품 등을 가방이나 옷의 견장, 벨트, 베낭이나 크로스백의 멜빵 등에 용이하게 묶어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다용도 스트랩을 허리띠나 멜빵 등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물병을 베낭의 멜빵에 거치하거나 캠핑도구의 거치나 결속, 스마트폰 거치 등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ultipurpose strap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regulating portion having the regulating hole and the regulating hole to adjust the size of the binding hole,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equipments and accessories such as straps, belts, The strap can be used as a waistband or suspenders. It is also possible to mount a water bottle on a suspenders of a backpack, to mount a camping tool, or to bind a smartphone.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스트랩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더 기대할 수 있다. Further, the multi-purpose st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expect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스트랩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둥그렇게 말 수 있어서 부피가 작아지게 되어 보관이 용이하다. First, when the strap is not used, it can be rounded so that the volume becomes small and it is easy to store.

둘째, 묶음부를 조절공으로 통과시킨 후 결합수단을 결합시키게 되면, 결속공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물건을 조이게 되므로 물건이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Second, when the bundle portion is passed through the adjustment hole and then the combining means is combined, the size of the binding hole is reduced and the object is tightened, so that the object can not be easily removed.

셋째, 조절부와 묶음부의 각 타단에 구비된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여러 개의 스트랩을 서로 연결할 수 있음으로써 길이를 확장시킬 수 있고, 따라서 부피가 큰 물건의 결속도 가능하게 된다. Third, since the plurality of strap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using the connecting mean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adjusting portion and the bundling portion, the length can be extended, so that the binding of the bulky items becomes possible.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스트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스트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다용도 스트랩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다용도 스트랩을 이용하여 물건을 베낭의 멜빵에 묶어 보관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다용도 스트랩을 허리벨트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스트랩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스트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다용도 스트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스트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스트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스트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ap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purpose stra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ultipurpose strap shown in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ulti-purpose strap shown in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ultipurpose strap shown in FIG. 2 is used as a waist belt.
6 is a plan view showing a multipurpose stra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ulti-purpose stra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ultipurpose strap shown i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purpose strap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purpose strap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ultipurpose strap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스트랩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다용도 스트랩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다용도 스트랩을 이용하여 물건을 베낭의 멜빵에 묶어 보관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다용도 스트랩을 허리벨트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ultipurpose strap shown in Fig. 2, Fig. 4 is a side view of the multipurpose strap shown in Fig. 2, and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ulti-purpose strap shown in Fig. 2 is used as a waist belt. Fig.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스트랩(10)은, 허리 벨트나 멜빵으로 사용하거나, 여러 물건을 결속하거나 또는 소품을 신체에 착용한 옷, 가방 또는 베낭에 묶어 휴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소정의 두께와 폭 및 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장방형의 조절공(22)들이 연이어 천공된 조절부(20)와, 소정의 두께와 폭 및 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조절부(20)의 일단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일단이 조절부(20)의 일단에 결합되는 묶음부(30)와, 조절부(20)의 타단과 묶음부(30)의 타단에 각각 구비되어 조절부(20)와 묶음부(30)의 타단을 서로 결합시키거나 결합 해제시키기 위한 결합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2 and 3, the multi-purpose strap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waist belt or suspenders, binds various articles, or bundles small articles in clothes, bags or backpacks A control part 20 formed in a strip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width, and length and having rectangularly shaped control holes 22 successively perforated, and a control part 2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width and length A bundle portion 30 formed integrally with one end of the regulating portion 20 or separately formed and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regulating portion 20, And coupling means 40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other end and the bundle portion 30 to couple or disengage the adjustment portion 20 and the other end of the bundle portion 30 to each other.

이와 같이 구성된 스트랩(1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strap 1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스트랩(10)의 조절부(20)와 묶음부(30)는 소정의 폭과 두께 및 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직물재, 플랙시블한 합성수지재, 고무재, 실리콘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adjusting portion 20 and the binding portion 30 of the strap 10 may be formed in a strip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thickness and length and may be formed of a fabric material, a flexible synthetic resin material, a rubber material, Lt; / RTI >

조절부(20)는, 다수개의 조절공(22)들이 등간격으로 천공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조절공(22)에는 묶음부(30)의 타단(36)에 결합수단(40)이 구비되는 경우에, 결합수단(40)이 통과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소정의 폭과 넓이를 갖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원형이나 타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절공(22)의 가장자리에는 보강링이 구비될 수 있다. 이 보강링은 결합수단(40)과 묶음부(30)의 통과를 안내하거나 지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조절부(20)가 직물재로 형성된 경우에 올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절부(20)는 대략 10 - 100cm의 길이와 5mm - 70mm의 폭, 1 - 10mm의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regulating portion 20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regulating holes 22 are perforated at regular intervals. When the coupling means 40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36 of the binding portion 30, the adjusting hole 22 is formed to have a size allowing the coupling means 40 to pass therethrough,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or an elliptical shape. A reinforcing ring may be provided at the edge of the adjusting hole 22. The reinforcing ring may function to guide or support the passage of the binding means 40 and the bundle portion 30 and may function to prevent the release of the bristles when the regulating portion 20 is formed of a fabric material have. The adjustment unit 20 may have a length of about 10 to 100 cm, a width of 5 mm to 70 mm, and a thickness of 1 to 10 mm. However, the adjustment unit 20 may be formed in various sizes and shapes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묶음부(30)는, 일단이 조절부(20)의 일단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조절부(20)와는 별도로 제작되어 일단이 조절부(20)의 일단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묶음부(30)는 소정의 폭과 두께 및 길이를 갖는다. 이때, 묶음부(30)의 폭이나 두께는 묶음부(30)가 조절공(22)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조절공(22)의 사이즈보다 대략 1-3mm 정도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e end of the bundle portion 3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one end of the regulating portion 20 or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regulating portion 20 so that one end of the bundle portion 30 may be engaged with one end of the regulating portion 20. The bundle portion 30 has a predetermined width, thickness, and length.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and the thickness of the bundle portion 30 are formed to be about 1-3 mm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adjustment hole 22 so that the bundle portion 30 can smoothly pass through the adjustment hole 22.

이와 같은 묶음부(30)에는, 결합수단(40)에 의해 길이가 조절된 여분의 묶음부(30)를 끼워 고정하기 위한 사각 링형상의 고정부재(50)가 적어도 1개 이상 마련된다. 이 고정부재(50)는, 묶음부(30)의 길이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고, 어느 한 위치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고정부재(50)는, 묶음부(30) 뿐만 아니라 조절부(20)에도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묶음부(30)의 타단(36)이 결합수단(40)의 버클(42)에 결합된 후 나풀거리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At least one rectangular ring-shaped fixing member 50 for fixing an extra bundle portion 30 whose length is adjusted by the coupling means 40 is fixed to the bundle portion 30. The fixing member 50 may be movably coup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ndle portion 30, or may be fixed at any position. At this time, the fixing member 50 may be provided not only in the bundling portion 30 but also in the adjusting portion 20. [ This is for fixing the other end 36 of the bundle portion 30 to the buckle 42 of the engaging means 40 so that it is not clipped.

그리고 고정부재(50)는 합성수지재나 연질의 고무재 또는 실리콘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표면에 미끄럼 방지돌기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미끄럼 방지돌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묶음부(30)로 물건을 결속하였을 때 물건이 결속공(38)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he fixing member 5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 soft rubber material, or a silicone material.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non-slip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50. As shown in FIG. 4, the slip prevention protrusions prevent the object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binding hole 38 when the object is bound to the binding portion 30.

묶음부(30)는, 타단(36)이 조절공(22)을 통과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가 조절되는 폐 도형 형상의 결속공(38)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결속공(38)은 타단(36)의 통과 정도에 따라 사이즈가 조절된다. When the other end 36 passes through the adjusting hole 22, the bundling portion 30 forms a binding hole 38 having a closed shape, the size of which is adjusted as shown in FIG. 4, 38 are adjusted in size according to the degree of passage of the other end 36.

이러한 묶음부(30)는 대략 10 - 100cm의 길이와 5mm - 70mm의 폭, 1 - 10mm의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undle 30 may have a length of about 10 to 100 cm, a width of 5 mm to 70 mm, and a thickness of 1 to 10 mm,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결합수단(40)은, 3개 이상의 고정공(42A,42B)들을 구비하여 조절부(20)의 타단에 결합되는 버클(42)로 이루어진다. 이때, 버클(42)은 묶음부(30)의 타단(36)에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묶음부(30)의 타단(36)은 어느 하나의 고정공(42A)으로 삽입된 후 다시 다른 하나의 고정공(42B)으로 삽입되어 서로 밀착되어 겹쳐지게 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버클(42)과 묶음부(30)의 타단(36)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engaging means 40 includes a buckle 42 having three or more fixing holes 42A and 42B a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egulating portion 20. [ At this tim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buckle 42 can be coupled to the other end 36 of the bundle 30. The other end 36 of the bundle 30 may be inserted into one of the fixing holes 42A and then inserted into the other fixing hole 42B so that the other ends are closely contacted and overlapped with each other. With this structure, the buckle 42 and the other end 36 of the bundle 30 can be firmly coupled.

한편, 조절부(20)와 묶음부(30)는 서로 별도로 제작된 후 연결링(60)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묶음부(30)의 타단(36)은 실 풀림이나 용이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부를 접은 후 재봉질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0 and the bundle unit 30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then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on ring 60. The other end 36 of the bundle unit 3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loosened or detached It can be sewn after folding a part.

이와 같이 구성된 스트랩(10)은, 도 2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보다 폭이 더 크고 대략 10 - 150cm의 길이를 갖는 띠 형상을 갖는 것으로, 길이나 두께, 폭 등에 따른 크기는 사용 용도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체적으로 5mm - 70mm의 폭과 1 - 10mm의 두께 및 10 - 150cm의 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 용도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2 and 3, the strap 10 has a strip shape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e thickness and a length of about 10 to 150 cm. The size of the strap 10 according to the length, thickness, width, It can be variously formed according to the purpose.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in a strip shape having a width of 5 mm - 70 mm as a whole, a thickness of 1 - 10 mm, and a length of 10 - 150 cm,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shape and may be formed into various shapes and structures It can b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1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The operation of the strap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스트랩(10)을 이용하여 물건(80)을 예를 들면 가방이나 벨트의 멜빵(70)에 결속하여 고정하기 위해서는,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10)을 멜빵(70) 내측으로 통과시킨 후 묶음부(30)의 타단(36)을 조절공(22)을 통과시킨다. In order to fasten and fix the object 80 to the suspender 70 of a bag or a belt using the strap 10 as shown in Fig. 4, the strap 10 may be fastened to the suspender 70 70 and then the other end 36 of the bundle 30 is passed through the adjustment hole 22.

이와 같이 묶음부(36)의 타단이 조절공(22)으로 통과됨으로써 결속공(38)이 형성되고 이 결속공(38)에 멜빵(70)이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The other end of the bundle portion 36 is passed through the adjustment hole 22 so that the binding hole 38 is formed and the suspenders 70 are positioned in the binding hole 38.

이어서, 결속공(38)에 결속할 물건(80), 예를 들면 수건이나 옷 등을 삽입한 후 타단(36)을 멜빵(70)의 내측으로 통과시켜 버클(42)의 각 고정공(42A,42B)에 차례로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때, 타단(36)의 당기는 정도에 따라 결속공(38)의 크기가 줄어들 수 있고, 이 과정으로 물건(80)과 멜빵(70)을 견고하게 묶는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After the object 80 to be bound to the binding hole 38 is inserted, for example, a towel or clothes, the other end 36 is passed to the inside of the suspenders 70, And 42B,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binding hole 38 can be reduc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pulling of the other end 36, and as a result, the article 80 and the suspenders 70 can be firmly bound with each other.

이와 같은 과정으로 버클(42)과 타단(36)이 결합되면, 물건은 멜빵(70)에 견고하게 결속되어 고정될 수 있다. When the buckle 42 and the other end 36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n this way, the article can be firmly fixed to the suspenders 70 and fixed.

그리고, 버클(42)에 결합된 타단(36)을 포함한 여분의 묶음부(30)는 조절부(20)나 묶음부(30)에 구비된 고정부재(50)에 끼워 나풀거리지 않도록 고정한다. The extra bundle 30 including the other end 36 connected to the buckle 42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50 provided in the adjusting unit 20 or the bundle unit 30 so as not to be caught.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10) 자체를 허리에 두른 후 묶음부(30)의 타단(36)을 버클(42)에 결합시킴으로써, 스트랩(10) 자체를 허리 벨트로 사용할 수도 있다. 5, the strap 10 itself is worn on the waist and then the other end 36 of the strap 30 is engaged with the buckle 42, It can also be used as a bel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10)은 물건의 보관을 위한 결속용으로 사용하거나, 허리 벨트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여러 개의 스트랩(10)을 서로 연결하여 길이를 확장시킨 후 부피가 큰 물건들을 서로 결속시키는 끈으로 사용할 수 있고, 백팩이나 크로스백 등의 멜끈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물병을 허리띠나 베낭의 멜빵에 거치하거나, 스마트폰을 거치하거나 캠핑장비 등을 결속하거나 캠핑 소품을 거치하는 등 매우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trap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binding for storage of goods or as a waist belt, and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a plurality of straps 10 to each other It can be used as a string that binds bulky items together after it has been extended. It can be used as a backpack, a crossbag, etc., and can be mounted on a suspenders of a belt or a backpack, a smartphone, And can be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such as mounting a camping accessory.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스트랩을 도시한 평면도이다.6 is a plan view showing a multipurpose stra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스트랩(10)은, 결합수단(40)이 조절부(20)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1 버클(44) 및 제1 버클(44)과 서로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묶음부(30)의 타단(36)에 결합되는 제2 버클(46)로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6, the multi-purpose strap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a first buckle 44 and a first buckle 44, to which the engaging means 4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egulating portion 20, And a second buckle (46) formed to be fitted to the other end (36) of the bundle (30).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수단(40)이 서로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1 버클(44)와 제2 버클(46)로 구성되고, 제1 버클(44)이 조절부(20)의 타단에 구비되고, 제2 버클(46)이 묶음부(30)의 타단(36)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조절부(20)와 제1 버클(44)은 연결부재(45)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묶음부(30)의 타단(36)은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제2 버클(46)의 결합공(46A)에 겹쳐지게 삽입되어 결합된다. 6, the engaging means 40 is constituted by a first buckle 44 and a second buckle 46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one-touch manner, and the first buckle 44 is connected to the regulating portion 20 And the second buckle 46 is coupled to the other end 36 of the bundle 30. At this time, the adjusting portion 20 and the first buckle 44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mber 45. The other end (36) of the bundle (30) is inserted and joined to the coupling hole (46A) of the second buckle (46)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이와 같이, 결합수단(40)이 서로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1,2 버클(44,46)으로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10)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Thus, the first and second buckles 44 and 46,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coupling means 40 in a one-touch manner, make it possible to more conveniently use the strap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스트랩을 도시한도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다용도 스트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ultipurpose strap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ultipurpose strap shown in FIG.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스트랩(10)은, 결합수단(40)이 조절부(20)의 타단과 묶음부(30) 및 타단(36)에 재봉질되어 결합되는 루프벨크로부재(48A) 및 루프벨크로부재(48A)와 가압 접착되는 후크벨크로부재(48B)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후크벨크로부재(48B)는 조절부(20)나 묶음부(30)의 양면에 모두 재봉질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7 and 8, in the multi-purpose strap 1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hen the engaging means 40 is sewn to the other end of the regulating portion 20, the bundle portion 30 and the other end 36, And a hooked hooked hook member 48B and a hooked hooked hooked hook member 48B which are press-bonded to the looped hooked hooked member 48A.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hook-and-hook fastening member 48B may be sewn on both sides of the adjusting unit 20 or the bundling unit 30 and may be combined.

이와 같이 결합수단(40)이 루프벨크로부재(48A)와 후크벨크로부재(48B)로 구성됨으로써, 묶음부(30)의 타단(36)을 조절공(22)으로 통과시킨 후 결속공(36)을 형성하여 물건(80)을 결속한 후 조절부(20)와 묶음부(30)를 결합시킬 때, 루프벨크로부재(48A)와 후크벨크로부재(48B)를 서로 가압 접착시키는 것만으로 서로 결합되으로 결합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upling means 40 is constituted by the looped Velcro member 48A and the hooked Velcro member 48B so that the other end 36 of the bundle 30 is passed through the adjustment hole 22 and then the binding hole 36 The loop hook portion 48A and the hook hook portion 48B are pressed and bonded to each other so that the loop hook portion 48A and the hook hook portion 48B are pressed and bonded to each other, The coupl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and quickly.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스트랩을 도시한 평면도이다.9 is a plan view showing a multipurpose strap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스트랩(10)은, 결합수단(40)이, 위치조절공(49C)이 연이어 형성된 묶음부(30)의 타단(36)이 통과되기 위한 삽입공(49D)이 형성된 버클(49A)과, 삽입공(49D)으로 끼워진 묶음부(30)의 위치조절공(49C)에 끼워져 조절부(20)의 타단과 묶음부(30)의 타단(36)을 결합하도록 일단이 버클(49A)의 한쪽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위치조절공(49C)에 끼워진 상태에서 버클(49A)의 반대쪽에 지지되는 위치고정부재(49B)로 이루어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9, the multipurpose strap 1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means 4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other end 36 of the bundle portion 30 in which the position adjusting hole 49C is formed is passed A buckle 49A having an insertion hole 49D formed in the insertion hole 49D and a position adjusting hole 49C of the bundle 30 inserted in the insertion hole 49D, And a position fixing member 49B whose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uckle 49A and the other end is hel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uckle 49A in a state of being fitted in the position adjusting hole 49C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스트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purpose strap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스트랩(10)은, 조절부(20)의 길이방향 양쪽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28)가 마련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다. 10, the multipurpose strap 1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is provided with reinforcing portions 28 for reinforcing the rigidity with respect to the load ac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both longitudinal edges of the regulating portion 20 ) Are provided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즉, 도 10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20)의 가장자리가 겹쳐진 상태로 재봉하여 보강부(28)를 형성하거나, 별도로 제작된 띠형의 보강부재(29)를 조절부(20)의 가장자리를 감싸듯이 재봉질하여 결합한 것이다. That is, as shown in Figs. 10B and 10C, the reinforcement member 28 may be formed by sewing the edges of the regulating portion 20 in the overlapped state, Is sewn as if it surrounds the edge of the regulating part (20).

이와 같이, 조절부(20)에 보강부(28)가 구비됨으로써, 조절부(20)는 다수개의 조절공(22)을 구비함에도 불구하고 길이방향에 대하여 충분한 강성을 갖게 된다. Since the regulating portion 28 is provided in the regulating portion 20 as described above, the regulating portion 20 has sufficient rigidit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spite of having the plurality of regulating holes 22. [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스트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ultipurpose strap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스트랩(10)은, 조절부(20)와 묶음부(30)의 어느 한 면이나 양면 또는 묶음부(30)의 어느 한 면이나 양면에, 고무재 또는 실리콘재가 코팅되거나, 논슬립 처리되어 미끄럼 방지부(90)가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다. 도 11에서는 묶음부(30)의 양면에 미끄럼 방지부(90)가 구비된 것을 기준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은다. 11, the multi-purpose strap 1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regulating portion 20 and the bundling portion 30,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bundling portion 30, Except that a rubber material or a silicone material is coated or non-slip processed to form a non-slip portion 90. [ 11, the non-slip portions 9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undle portion 3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와 같이, 조절부(20)나 묶음부(30)에 미끄럼 방지부(90)가 구비됨으로써, 묶음부(30)가 조절공(22)을 통과하여 형성되는 결속공(36)에 물건(80)을 넣어 결속할 경우에, 물건(80)이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될 수 있다. The non-slip portion 90 is provided in the adjusting portion 20 or the bundling portion 30 so that the bundling portion 30 is inserted into the binding hole 36 formed through the adjusting hole 22, , The object 80 may not be easily released.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cations or alter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스트랩 20 : 조절부
22 : 조절공 28 : 보강부
29 : 보강부재 30 : 묶음부
36 : 타단 38 : 결속공
40 : 결합수단 42,49A : 버클
42A,42B : 고정공 44 : 제1 버클
46 : 제2 버클 48A : 루프벨크로부재
48B : 후크벨크로부재 49B : 위치고정부재
49C : 위치고정공 49D : 삽입공
50 : 고정부재 60 : 연결링
70 : 멜빵 80 : 물건
90 : 미끄럼 방지부
10: strap 20:
22: regulating ball 28: reinforcing portion
29: reinforcement member 30: bundle portion
36: other end 38: joint ball
40: engaging means 42, 49A: buckle
42A, 42B: fixing hole 44: first buckle
46: second buckle 48A: looped Velcro member
48B: Hook Velcro member 49B: Position fixing member
49C: Position fixing hole 49D: Insertion hole
50: fixing member 60: connecting ring
70: suspenders 80: things
90: Non-slip portion

Claims (10)

벨트나 멜빵으로 사용하거나, 여러 물건을 결속하거나, 소품을 신체에 착용한 옷, 가방 또는 베낭에 묶어 휴대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정의 두께와 폭 및 길이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장방형의 조절공들이 연이어 천공된 조절부; 소정의 두께와 폭 및 길이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의 일단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일단이 상기 조절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묶음부; 및 상기 조절부의 타단과 상기 묶음부의 타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조절부와 묶음부의 타단을 서로 결합시키거나 결합 해제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공들은, 상기 묶음부가 통과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의 길이방향 양쪽 가장자리에는,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가 마련되되, 상기 보강부는, 상기 조절부의 가장자리가 겹쳐진 상태로 재봉되어 형성되거나, 별도로 띠형 보강부재가 재봉되어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조절부와 묶음부의 어느 한 면이나 양면 또는 묶음부의 어느 한 면이나 양면에는, 고무재 또는 실리콘재가 코팅되거나, 논슬립 처리되어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와 묶음부의 타단에 마련된 결합수단을 서로 결합하여 물건들을 결속하거나, 벨트 또는 멜빵으로 사용하거나, 상기 묶음부의 타단을 상기 조절공으로 통과시켜 크기가 조절되는 결속공을 형성하고 양쪽의 상기 결합수단을 서로 결합하여 물건이나 소품을 묶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스트랩.
It is for use as a belt or suspenders, to bind various things, to carry small articles tied to clothes, bags or backpacks worn on the body,
A control unit formed in a strip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width, and length, and having rectangular rectangular control holes successively perforated; A bundle portion formed in a ban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width, and length, integrally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regulating portion, separately formed and having one end coupled to one end of the regulating portion; And engaging means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regulat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bundle portion to couple or disengage the other ends of the regulating portion and the bundle portion,
The control holes are formed to a size such that the bundle can pass therethrough,
The reinforcing portion may be formed by sewing the edges of the adjusting portion in an overlapped state or may be formed by separately sewing the band-shaped reinforcing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gulating portion, Respectively,
A rubber material or a silicone material is coated or non-slip processed to form a non-slip part on either or both sides of the regulating part and the binding part or both sides of the binding part,
The binding port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undle portion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bind the objects or used as a belt or a suspender or the binding end portion may be passed through the adjustment hole to form a binding hole whose size is controlled, And means for binding the article or the article.
Multipurpose str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와 묶음부가 별도로 제작되는 경우에,
상기 조절부와 묶음부의 각 일단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연결링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스트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ase where the adjusting part and the bundling part are separately manufactured,
Wherein one end of each of the regulating portion and the bundling portion is coupl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on ring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Multipurpose str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와 묶음부는,
직물재, 플랙시블한 합성수지재, 고무재, 실리콘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스트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gulating unit and the bundling unit,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made of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a woven material, a flexible synthetic resin material, a rubber material, and a silicone material.
Multipurpose str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루프벨크로부재 및 상기 루프벨크로부재와 가압 접착되는 후크벨크로부재 또는 상기 조절부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1 버클 및 상기 제1 버클과 서로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묶음부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 버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스트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means comprises:
A looped velcro member and a hooked Velcro member pressingly adhered to the looped Velcro member or a first buckl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egulated portion and a second buckle formed to be fitted to the other end of the bundle, ≪ / RTI >
Multipurpose str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3개 이상의 고정공들을 구비하여 조절부의 타단에 결합되는 버클로 이루어지고, 상기 묶음부의 타단이 상기 버클의 고정공들에 겹쳐지게 삽입되어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스트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means comprises:
And the other end of the bundle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fixing holes of the buckle so as to overlap with the fixing holes of the buckle.
Multipurpose str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위치조절공이 연이어 형성되는 상기 묶음부의 타단이 통과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된 버클; 및
상기 삽입공으로 끼워진 상기 묶음부의 위치조절공에 끼워져 상기 조절부와 묶음부의 타단을 결합하도록 일단이 버클의 한쪽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위치조절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버클의 반대쪽에 지지되는 위치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스트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means comprises:
A buckle having an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other end of the bundle portion in which the position adjusting hole is formed is passed; And
One end of the buckle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uckle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position adjusting hole of the bundle portion sandwiched between the insertion hole and the other end of the buckle is coupled with the other end of the bundle portion while the other end is suppor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uckle And a position fixing member.
Multipurpose str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묶음부 또는 묶음부와 조절부에는,
여분의 상기 묶음부를 끼워 고정하기 위한 사각 링형상의 고정부재가 적어도 1개 이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스트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bundling or bundling section and the regulating section,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rectangular ring-shaped fixing member for holding and fixing the extra bundle portion is provided.
Multipurpose strap.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이 제1 버클과 제2 버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제1 버클은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조절부의 타단과 결합되고, 상기 묶음부의 타단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버클의 결합공들에 겹쳐지게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스트랩.

5.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case where the engaging means is composed of the first buckle and the second buckle,
Wherein the first buckle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egulating unit by a connecting member and the other end of the bundle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s of the second buckle so as to be adjustable in length.
Multipurpose strap.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178321A 2015-12-14 2015-12-14 Multipurpose strap Active KR1017461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321A KR101746116B1 (en) 2015-12-14 2015-12-14 Multipurpose str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321A KR101746116B1 (en) 2015-12-14 2015-12-14 Multipurpose stra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6116B1 true KR101746116B1 (en) 2017-06-13

Family

ID=59219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321A Active KR101746116B1 (en) 2015-12-14 2015-12-14 Multipurpose stra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11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884U (en) 2021-10-27 2023-05-04 이진안 Multipurpose strap for camp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098Y1 (en) * 2014-06-13 2014-11-05 양남규 Personal equipment bel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098Y1 (en) * 2014-06-13 2014-11-05 양남규 Personal equipment bel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884U (en) 2021-10-27 2023-05-04 이진안 Multipurpose strap for camp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2159B2 (en) Interlock attaching strap
US8474673B2 (en) Carrier system
US20100288207A1 (en) Daisy-Chain Pet Leash
US9839279B2 (en) Apparatus for connecting a pouch to a support article
US11771931B2 (en) Tree saddle
EP3047754A1 (en) Adjustable carrying pack
US20060113344A1 (en) Interlock attaching strap system
US10492595B2 (en) Releasable retaining clip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20210126578A (en) cinch pack
US20090057358A1 (en) Reusable, adjustable carriers for toting awkward handle-less items and related methods
US20080115332A1 (en) Retaining System for Removably Retaining Portable Objects on a Carrier Object
KR101822260B1 (en) Fastener systems
US10307636B1 (en) Neck and shoulder exercise device
US20230200462A1 (en) Load bearing pocket insert
US9714810B1 (en) Rifle sling
US20140245572A1 (en) Adjustable securing device and buckle
KR101746116B1 (en) Multipurpose strap
US20150144670A1 (en) Holders having multiple, adjustable straps
US9468244B2 (en) Buckle-free belt
JP7507510B2 (en) Mounting system with quick release
US11963622B2 (en) Lightweight detachable child carrier
US20050276664A1 (en) Retainer device for free loose ends of tightening or fastening straps or belts, or the like, particularly in articles for wearing, and buoyancy compensator vest having such a device
KR200497138Y1 (en) Multipurpose strap for camping
JP6850710B2 (en) Backpack aids and how to use them
TWI651062B (en) Connecting device with folding belt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6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