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45434B1 - Self-assistant apparatus for dental clinic - Google Patents

Self-assistant apparatus for dental clini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434B1
KR101745434B1 KR1020160042347A KR20160042347A KR101745434B1 KR 101745434 B1 KR101745434 B1 KR 101745434B1 KR 1020160042347 A KR1020160042347 A KR 1020160042347A KR 20160042347 A KR20160042347 A KR 20160042347A KR 101745434 B1 KR101745434 B1 KR 101745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eatment
main body
driving
inp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3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민정
Original Assignee
이민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정 filed Critical 이민정
Priority to KR1020160042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434B1/en
Priority to PCT/KR2016/012022 priority patent/WO2017073986A1/en
Priority to JP2018542069A priority patent/JP2018532541A/en
Priority to CN201680063638.7A priority patent/CN1082897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43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46Dental la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7/04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03Apparatus for curing resins by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02Chairs with means to adjust position of patient; Contr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4Dental work stand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치과 치료에 사용되는 치료유닛과; 상기 치료유닛을 지지하는 유닛지지부와; 상기 유닛지지부와 상기 치료유닛을 지지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유닛지지부는 외력에 의해 수동으로 형상과 위치가 가변되게 구비되거나,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형상과 위치가 가변되게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치료유닛의 사용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는 입력패널, 터치패널, 음성인식, 모션인식방식, 풋패널 방식 중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본체는 수동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되며, 상기 본체에 개폐가능하게 복수개의 수납함이 구비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지정된 위치의 수납함이 시술자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서랍의 수납함의 위치를 조절하는 수납함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self assistant device, comprising: a treatment unit used for dental treatment; A unit support for supporting the treatment unit; Wherein the unit support portion includes a unit support portion and a main body that supports the treatment unit, wherein the unit support portion is provided with a shape and a position that can be manually changed by an external force, or the shape and position are automatically changed by a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portion, Wherein the input unit is provided at one or more of an input panel, a touch panel, a voice recognition, a motion recognition method, and a foot panel method, the input unit being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receiving a use signal of the treatment unit, A plurality of storage compartments are provided in the main body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and a plurality of storage compartments are provided in the main body so as to be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or, And a storage box driving part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torage box of the drawer.

Description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SELF-ASSISTANT APPARATUS FOR DENTAL CLINIC}[0001] SELF-ASSISTANT APPARATUS FOR DENTAL CLINIC [0002]

본 발명은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시술환경에 따라 치료유닛을 다양하게 결합하여 사용하여 의사의 치료를 보조하는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self assistan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ntal self assistant device that assists a physician in using various treatment units in combination according to a treatment environment.

치과에서는 환자의 치아를 치료하기 위해 다양한 치료기구들이 사용된다. 이를 위해 등록실용 제20-0433992호 "치과용 유닛 체어"가 사용된다. In dentistry, various treatment devices are used to treat a patient's teeth. For this purpose, a registration unit No. 20-0433992, "dental unit chair" is used.

종래 치과 치료를 위해서는 유닛 체어에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입을 벌리고, 환자의 머리 근처에 치과 의사가 앉은 상태에서 치과 치료를 하게 된다. 이 때, 의사의 옆에는 치료를 보조하기 위해 조수가 위치하게 된다. Conventional dental treatments require the patient to sit on the unit chair while lying on the floor, with the dentist sitting near the patient's head to perform dental treatment. At this time, the assistant is located next to the doctor to assist in the treatment.

조수는 석션을 환자의 입에 고정하여 구강 내부에서 발생되는 타액이나 절삭물 등의 적출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리트랙터로 연조직을 견인하거나, 광중합기를 입속에 고정하거나 부분조명을 비추는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의사는 손이 두 개 밖에 없으므로 치과 치료에 요구되는 다양한 핸드피스나 장비들을 환자의 입속에 고정하는 역할은 조수가 담당하게 된다. The tide is used to fix the suction to the mouth of the patient, to allow the exudate such as saliva or cutting wate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pull the soft tissue to the retractor, to fix the light curing device to the mouth or illuminate the partial illumination . Since the doctor has only two hands, the assistant is responsible for fixing the various handpieces and equipment required for dental treatment to the patient's mouth.

그런데, 치과치료 과정과 치과 치료장비들의 사용방법을 숙지한 조수를 구하기가 어려워 조수가 부족한 치과에서는 치과의사 혼자서 다양한 치료를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어려움이 있다. However,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assistant who knows the dental treatment process and how to use the dental treatment equipment. Therefore, in the dentist lacking the assistant, there are troubles and difficulties to perform various treatments by the dentist alone.

또한, 조수가 있더라도 의사와 조수가 장기간 함께 일을 하지 않는 경우 치과 의사와 업무 분담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고 동선이 겹쳐 오히려 술식에 방해를 주는 경우가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re is an assistant, if the doctor and assistant do not work together for a long time, the work sharing with the dentist may not be smooth and the movement may overlap, which may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또한, 여러 명의 조수가 있는 경우 조수의 머리와 손 때문에 시야 확보에 어려움이 많게 된다. 이것은 오히려 술식의 속도가 늦어지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re are several assistants, it is difficult to secure visibility due to the head and hands of the assistant. This can be a factor in slowing down the procedure.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수 없이 치과 의사 혼자서 치과 치료를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치료유닛의 사용을 보조할 수 있는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ntal self assistant device capable of assisting the use of various treatment units so that a dentist can perform dental treatment alone without assista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기진단이 가능하여 고장여부와 치과치료 또는 치과시술에 요구되는 부품들을 알려줄 수 있는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ntal self assistant device capable of self-diagnosis, and capable of informing the user of a failure and parts required for dental treatment or dental treat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공지능에 기초하여 치과의사의 선순위 치료행위에 이어져야 하는 후순위 치료행위를 스스로 수행하여 치과의사의 치료를 보조하는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ntal self assistant device that assists a dentist by performing a subordinate treatment action that should lead to a senior treatment action of a dentis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The above objects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목적은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는, 치과 치료에 사용되는 치료유닛과; 상기 치료유닛을 지지하는 유닛지지부와; 상기 유닛지지부와 상기 치료유닛을 지지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유닛지지부는 외력에 의해 수동으로 형상과 위치가 가변되게 구비되거나,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형상과 위치가 가변되게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치료유닛의 사용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는 입력패널, 터치패널, 음성인식, 모션인식방식, 풋패널 방식 중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본체는 수동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되며, 상기 본체에 개폐가능하게 복수개의 수납함이 구비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지정된 위치의 수납함이 시술자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서랍의 수납함의 위치를 조절하는 수납함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a dental self assistant device. A dental self assista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reatment unit used for dental treatment; A unit support for supporting the treatment unit; Wherein the unit support portion includes a unit support portion and a main body that supports the treatment unit, wherein the unit support portion is provided with a shape and a position that can be manually changed by an external force, or the shape and position are automatically changed by a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portion, Wherein the input unit is provided at one or more of an input panel, a touch panel, a voice recognition, a motion recognition method, and a foot panel method, the input unit being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receiving a use signal of the treatment unit, A plurality of storage compartments are provided in the main body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and a plurality of storage compartments are provided in the main body so as to be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or, And a storage box driving part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torage box of the draw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닛지지부는 유니트 체어의 유닛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nit support portion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nit body of the unit chai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닛지지부는 바닥면, 벽면 또는 천정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nit suppor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bottom surface, a wall surface, or a ceiling.

삭제delet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료유닛은 석션, 물공급노즐, 라이트, 반사경, 거울, 광중합기, 보조선반, 구강스캐너, 구강카메라, 레이져, 미백램프, 리트렉터, 치아 쉐이드 분석기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reatment unit may be at least one of a suction, a water supply nozzle, a light, a reflector, a mirror, a light curing unit, a secondary shelf, a mouth scanner, an oral camera, a laser, a whitening lamp, a retractor,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료유닛은 상기 유닛지지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reatment unit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nit suppor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료유닛은 환자의 구강에 닿는 부분은 교체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reatment unit may be replaceably provided at a portion of the patient's mouth.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료유닛이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치료유닛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치료유닛구동부는 유니트체어의 유닛본체 내부에 구비된 것을 이용하거나, 유니트체어에서 나온 유닛구동선에 연결되거나, 유니트체어 외부에 독립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reatment unit dr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treatment unit driving unit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to perform the function, and the treatment unit driving unit may use the treatment unit provided in the unit body of the unit chair, Or may be independently provided outside the unit chair.

삭제delete

삭제delet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본체구동부와; 상기 유닛지지부을 이동시키는 유닛지지부구동부와; 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본체구동부와 상기 유닛지지부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main body driving unit for moving the main body; A unit support portion driving unit for moving the unit support por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ain body driving unit and the unit supporting unit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of the input uni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구동부는 현재위치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목표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본체가 목표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경로정보를 형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로정보로 이동되도록 상기 본체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ain body driving unit senses a current position and a target posi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forms path information on which the main body can be moved to a target position, The main body driving unit can be controll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구동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기설정된 목표위치로 상기 본체가 이동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ain body driving unit may be driven to move the main body to a predetermined target position through the input uni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본체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body height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 height of the body.

삭제delet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에 구비된 치료유닛의 고장여부를 스스로 진단하는 자기진단부와; 상기 자기진단부에 의한 진단결과 고장 또는 이상이 있는 치료유닛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경고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lf-diagnosis unit may be provided for diagnosing whether a treatment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is malfunctioning or no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warning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when there is a treatment unit having a failure or abnormality as a result of the diagnosis by the self-diagnosis uni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에 결합된 각 치료유닛을 이용한 치료순서와 연관되어 사용되는 치료유닛의 사용과정이 기록된 치료순서DB와, 각 치료순서에서 해당 치료유닛이 환자의 구강 또는 유니트체어에 위치되는 위치정보가 기록된 위치정보DB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시술자가 제1치료유닛에 대한 사용신호를 인가한 후, 상기 치료순서에 기록된 선순위 치료를 수행하면, 상기 치료순서DB와 상기 위치정보DB에 기초하여 상기 선순위 치료에 후속되는 후순위 치료에 요구되는 제2치료유닛이 상기 후순위 치료에 요구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유닛지지부구동부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re is provided a treatment sequence DB in which a use procedure of a treatment unit used in association with a treatment sequence using each treatment unit coupled to the main body is recorded, When the practitioner performs the senior therapy recorded in the treatment order after applying the use signal for the first treatment unit, Based on the treatment order DB and the positional information DB, the position of the unit support part driving unit so that the second treatment unit required for the subordinate treatment following the priority treatment is moved to a position required for the subordinate treatmen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료순서DB에 기초하여 치료 과정에 따른 상기 치료유닛들의 위치 이동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voice output unit for voice-guiding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treatment units according to the treatment process based on the treatment order DB.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는 리모컨, 웨어러블기기 등으로 구비되어, 상기 본체와 이격된 원거리에서 입력신호를 인가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put unit is provided with a remote controller, a wearable device, or the like, and applies an input signal to the remote unit at a remote distanc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료유닛이 석션인 경우, 상기 석션의 선단에 구비되어 환자의 구강에 액체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액체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treatment unit is a suction,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liquid detection sensor provided at the tip of the suction for sensing whether or not liquid is present in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체감지센서가 액체를 감지하면 상기 석션이 구동되도록 구동신호를 인가하고, 기준시간 동안 상기 액체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전송되지 않거나 기준시간 동안 상기 석션을 통해 액체가 흡입되지 않으면 상기 석션의 구동이 멈추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applies a driving signal so that the suction is driven when the liquid sensing sensor senses a liquid, and when the sensing signal is not transmitted from the liquid sensing sensor for a reference time or the liquid is not sucked through the suction during a reference time, So that the driving of the suction is stopped.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는 치료유닛이 결합된 유닛지지부를 필요한 위치에 착탈시켜 시술자의 시술을 보조할 수 있게 한다. The dental self assista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unit support unit coupled with a treatment unit to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required position, thereby assist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는 시술자가 희망하는 위치로 치료유닛이 결합된 본체가 치과의사 또는 조수의 도움없이 스스로 필요한 곳으로 이동한다. 또한, 치료유닛도 자동 또는 수동으로 환자의 입으로 이동하므로, 치과의사 혼자서도 충분히 치과치료를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ntal self assista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he body coupled with the treatment unit to a position desired by the practitioner to a place where the dental practitioner himself or herself needs it without assistance of a dentist or assistant. In addition, since the treatment unit is automatically or manually moved to the mouth of the patient, the dentist alone can sufficiently treat the dental treatment.

이에 따라 손발이 맞는 조수를 구할 필요가 없으므로 인건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a result, there is no need to find a suitable tide for hands and feet, which is advantageous in reducing labor costs.

특히, 인공지능 기능을 구현하여 선순위 치료과정에 후속되는 후순위 치료과정에 요구되는 치료유닛들을 미리 환자의 구강위치로 이동시켜 시술자의 동선을 줄여 시술자의 체력적인 소모를 줄이고 빠른 시술이 가능해지게 한다. In particular, by implement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 the treatment units required for the subordinate treatment process subsequent to the priority treatment process are moved to the oral cavity position of the patient in advance to reduce the movement of the practitioner, thereby reducing the wearer's physical strength and enabling quick operation.

또한, 본체의 내부에 복수개의 수납함을 형성하고, 시술자가 요구하는 위치의 수납함이 시술자의 위치로 이동되므로 시술자의 체력적 소모를 줄이고 시술과정을 능률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storage boxes are formed in the main body and the storage box at a position required by the practitioner is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practitioner, the physical strength consumption of the practitioner can be reduced and the efficiency of the procedure can be improved.

또한, 자기진단부가 치료유닛의 이상여부를 진단하여 표시하므로, 환자의 시술전에 미리 장비를 점검하여 시술시 고장으로 인한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elf diagnosis part diagnoses and displays the abnormality of the treatment unit, it is possible to check the equipment in advance before the patient's operation so as to prevent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trouble during the operation.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의 기본구성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의 기본구성이 유니트체어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의 변형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의 변형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의 석션의 사용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동작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basic structures of a dental self assist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asic structure of a dental self assist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unit chair,
4 is a view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a dental self assist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dental self assist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ental self assist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dental self assist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a dental self assist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rocedure of using a suction of a dental self assist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procedur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dental self assist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hapes and the lik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can be exaggeratedly express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member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structions which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b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도 1의 (a) 내지 도 1의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장치(100)의 기본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 (a) to 1 (c) are views showing the basic structure of a dental self assistan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100)는 치과의사의 시술동선과 시술환경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결합되어 치과의사의 시술 또는 치료를 보조한다. The dental self assistan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various positions according to the procedure line and the procedure environment of a dentist to assist the dentist in the procedure or treatment.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100)는 치료유닛(110)과, 치료유닛(110)을 지지하는 유닛지지부(120)를 포함한다. 치료유닛(110)은 치과 치료시 필요한 다양한 치과치료기구들을 말한다. 치료유닛(110)은 환자의 입속의 적출물들을 흡입하는 석션과, 환자의 입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노즐과, 환자의 입으로 국부적인 집중조명을 제공하는 라이트와, 환자의 치아 상태를 반사하여 보여주는 반사경과, 치료상태를 환자에게 비춰주는 거울과, 치아 치료를 위해 치아 표면에 발라져 있는 약품을 경화시키는 광중합기와, 핸드피스 또는 약품 등을 적재하기 위한 보조선반 중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dental self assistant device 100 includes a treatment unit 110 and a unit support 120 for supporting the treatment unit 110. [ The treatment unit 110 refers to various dental treatment apparatuses required for dental treatment. The treatment unit 110 includes a suction unit for sucking extractions of the patient's mouth, a water supply nozzle for supplying water to the mouth of the patient, a light for providing localized illumination to the mouth of the patient, A mirror for illuminating the patient's state of treatment, a light curing unit for curing the medicament on the surface of the tooth for dental treatment, and a secondary shelf for loading a handpiece or medicines and the like .

또한, 치료유닛(110)은 레이져, 미백램프, 리트렉터, 치아 쉐이드 분석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eatment unit 110 may be any one of a laser, a whitening lamp, a retractor, and a tooth shade analyzer.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료유닛(110)은 유닛지지부(120)의 단부에 결합된다. 유닛지지부(120)는 치료유닛(110)을 치과의사가 사용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유닛지지부(120)는 치과의 바닥면, 벽면 또는 천정 등에 결합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트체어(10)의 유닛본체(11), 경우에 따라 유니트체어(10) 등 치과의사의 술식을 도울 수 있는 어떠한 장소에도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 the treatment unit 110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unit support 120. The unit support 120 supports the treatment unit 110 for use by a dentist. The unit supporting portion 120 may b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the wall surface or the ceiling of the dental unit or may be attached to the unit body 11 of the unit chair 10, And can be used in any place that can help.

이 때, 치료유닛(110)은 유닛지지부(120)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치료유닛(110)이 유닛지지부(1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한 개의 유닛지지부(120)에 서로 다른 종류의 치료유닛(110)을 호환하여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reatment unit 110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unit support unit 120 or may be detachably coupled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treatment unit 1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nit support unit 120, different types of treatment units 110 may be interchangeably used in one unit support unit 120.

치료유닛(110)이 유닛지지부(1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치료유닛(110)의 하부와 유닛지지부(120)의 상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111,121)이 구비되어 서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When the treatment unit 1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nit support unit 120, the lower part of the treatment unit 110 and the upper part of the unit support unit 120 are provided with threads 111 and 121 corresponding to each other, have.

유닛지지부(120)의 하부에는 바닥면, 천정, 또는 유닛본체(210) 등에 결합이 용이하도록 결합판(123)이 구비된다. 결합판(123)은 유닛지지부(120)의 외경에 비해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합판(123)은 금속면에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다. 결합판(123)에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부재삽입공(123a)이 구비될 수 있다. The lower portion of the unit supporting portion 12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late 123 for facilitating coupling to a floor, a ceiling, or the unit body 210. The coupling plate 123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r outer diame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unit supporting portion 120. The coupling plate 123 may be provided as a magnet so that the coupling plate 123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metal surface. The coupling plate 123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member insertion hole 123a in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inserted.

여기서, 치료유닛(110)은 환자의 구강에 닿는 부분은 교체가 가능하게 구비된다. 치료유닛(110)은 기존에 판매되던 기성품이 유닛지지부(120)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유닛지지부(120)에 맞게 별도로 제작된 형태가 사용될 수도 있다. 기성품의 치료유닛(110)을 유닛지지부(120)에 결합시킬 경우, 둘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Here, the treatment unit 110 is provided so that the portion of the treatment unit 110 that contacts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is replaceable. The treatment unit 110 may be used by being attached to the unit support 120 or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to fit the unit support 120. When the ready-made treatment unit 110 is coupled to the unit support 120, a coupling member (not shown) for coupling the two can be provided.

유닛지지부(120)는 치료유닛(11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결합대상, 즉 바닥면 또는 천정, 유닛본체(11) 등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치과치료를 위해서는 환자의 구강 근처로 치료유닛(110)을 이동시켜야 하므로 형상이 가변되게 구비된다. The unit support portion 120 maintains the state of being fixed to the coupling object, that is, the floor surface or the ceiling, the unit main body 11 when the treatment unit 110 is not used, (110) must be moved.

이를 위해 유닛지지부(120a)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이 가해지면 형상이 가변되는 주름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유닛지지부(120a)는 주름관 형태가 아니더라도 치과의사 또는 시술자가 수동으로 외력을 가해 형상을 가변시킬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unit support portion 120a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corrugated pipe having a variable shap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s shown in FIG. 1 (b). The unit support portion 120a may be provided in any form capable of manually varying the external force by a dentist or a practitioner even if it is not a corrugated tube.

한편, 유닛지지부(120a)는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구동부(150)의 구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형상이 가변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도 1의 (b)에서는 수동으로 유닛지지부(120)의 길이가 가변되거나 휘어지게 되나, 도 1의 (c)에서는 치과의사 또는 시술자가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인가하는 입력신호에 의해 지지부구동부(150)가 구동되어 유닛지지부(120b)를 회동시키거나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1 (c), the unit support portion 120a may be provided with a shape that is automatically chang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support portion driving portion 150. That is, in FIG. 1B, the length of the unit supporting part 120 is manually varied or warped. In FIG. 1C, by the input signal applied by a dentist or a practitioner through an input part The supporting unit driving unit 150 is driven to rotate or adjust the length of the unit supporting unit 120b.

지지부구동부(150)는 구동모터를 이용하거나 유압을 이용해 유닛지지부(120b)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회동시키게 된다. The supporting part driving part 150 adjusts or rotates the length of the unit supporting part 120b by using a driving motor or by using hydraulic pressure.

입력부(미도시)는 유닛지지부(120) 또는 지지부구동부(150)에 결합되게 구비되거나, 리모컨 또는 웨어러블기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not shown) may be coupled to the unit supporting unit 120 or the supporting unit driving unit 150, or may be implemented as a remote controller or a wearable device.

한편, 유닛지지부(120c)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형태로 꺽여지게 구비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외력을 인가하여 관절이 연결된 링크부분의 각도를 조절하여 본인이 원하는 위치로 조절할 수 있다.
Meanwhile, the unit supporting portion 120c may be provided to be bent in the form of a joint as shown in FIG. The user can apply an external force to adjust the angle of the link part connected to the joint to adjust the position desired by the user.

한편, 치료유닛(110)은 종류에 따라 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전원공급과 구동부의 연결이 요구되는 것이 있다. 일례로, 치료유닛(110)이 석션인 경우 전원공급선(130)이 전원에 연결되어야 하고, 유닛구동선(140)이 진공펌프에 연결되어야 한다. 물공급노즐의 경우에는 유닛구동선(140)이 물공급펌프와 연결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treatment unit 110 is required to connect the power supply and the driving unit in order to implement the function according to the type. For example, when the treatment unit 110 is a suction, the power supply line 130 must be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and the unit driving line 140 must be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In the case of the water supply nozzle, the unit drive line 140 must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ump.

이에 따라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100)는 해당 종류에 따라 단순히 바닥, 천정, 벽면, 테이블 등에 결합되는 것 뿐만 아니라 컴프레셔나 물공급펌프, 진공펌프, 에어펌프 등의 유닛구동부(미도시)에 연결되어야 제대로 동작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elf assistant apparatus 100 should be connected to a unit driving unit (not shown) such as a compressor, a water supply pump, a vacuum pump, and an air pump as well as a floor, a ceiling, Can be operated.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트체어(10)에 연결되는 경우, 유닛본체(11) 내부에 구비된 유닛구동부(미도시)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치료유닛(110)은 유닛본체(11)에 노출된 유닛구동부(미도시)의 연결단자(13,15)에 전원공급선(130) 또는 유닛구동선(140)이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The self assistant apparatus 100 may be connected to a unit driving unit (not shown) provided in the unit body 11 when the unit is connected to the unit chair 10 as shown in FIG. That is, the treatment unit 110 can be used by connecting the power supply line 130 or the unit drive line 140 to the connection terminals 13 and 15 of the unit driver (not shown) exposed to the unit body 11.

또한,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100)가 유닛본체(11)에 결합되지 않고 바닥면 또는 천정 등에 결합되더라도 유닛본체(11)와 전원공급선(130)과 유닛구동선(140)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self assistant device 100 is not coupled to the unit main body 11, the unit main body 11, the power source supply line 130, and the unit drive line 14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치료유닛(110)은 유닛본체(11)와 별개로 구비된 유닛구동케이싱(20)에 수용된 유닛구동부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eatment unit 110 can be used in connection with a unit driving unit accommodated in a unit driving casing 20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unit body 11. [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어시스턴트장치(100)는 석션, 컴프레셔, 전원, 물, 에어 등 필요한 구동력을 유니트 체어의 유닛본체와 공용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유니트 체어의 유닛본체와 공용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별도의 유닛구동케이싱(20)을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at is, the self assistan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a driving force necessary for a suction, a compressor, a power source, water, air, etc., in common with a unit body of a unit chair. If it can not be used in common with the unit body of the unit chair, a separate unit drive casing 20 may be provided and used.

이 때, 유닛본체(11)의 외부에 연결단자(13,15)나 연결선이 있는 경우 이를 이용하고, 연결단자나 연결선이 없는 경우 유닛본체(11) 내부의 구동부들로부터 연결선을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한다.
In this case, when there is a connection terminal 13 or 15 and a connection line outside the unit main body 11, the connection terminal and the connection line are used. If there is no connection terminal or connection line, the connection line is drawn out from the driving parts inside the unit main body 11 use.

한편, 셀프어시스턴트장치(100d)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스탠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자립하게 구비되는 스탠드(160)에 유닛지지부(120d)가 결합되고, 유닛지지부(120d)의 단부에 치료유닛(110)이 결합된다. Meanwhile, the self assistant device 100d may be provided in a stand on the floor as shown in FIG. 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unit support portion 120d is coupled to the stand 160, which is provided independently on the floor, and the treatment unit 110 is coupled to the end portion of the unit support portion 120d.

이 때, 스탠드(160)의 하부에는 발판(161)이 구비되어 스스로 자립할 수 있다. 여기서, 스탠드(160)로부터 전원공급선(130)과 유닛구동선(140)이 외부로 노출되게 연결할 수 있다. 기존의 유니트 체어(10)의 유닛본체(11)에 연결된 구동선(19)과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foot plate 161 is provided under the stand 160 so that the stand 160 can stand on its own. Here, the power supply line 130 and the unit drive line 140 may be connected to the stand 160 so that they are exposed to the outside. And can b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driving line 19 connected to the unit body 11 of the existing unit chair 10.

즉, 기존의 유니트 체어(10)의 유닛(18)을 구동하기 위해 연결된 구동선(19)을 본 발명의 셀프어시스턴트장치(100d)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That is, the driving line 19 connected to the unit 18 of the existing unit chair 10 may be connected to the self assistant unit 100d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셀프어시스턴트장치(100,100a,100b,100c,100d)는 유닛지지부의 형태가 어떤 방식이던 간에, 치료유닛(110)이 환자의 구강이나 어깨, 가슴상방에 위치 했을 때, 시술자가 미세위치 조절을 하여 환자의 구강내 또는 입 위의 작은 영역에서 필요한 위치로 자유자제로 미세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lf assistant devices 100, 100a, 100b, 100c, and 100d ar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treatment unit 110 is placed on the patient's mouth, shoulder, So that it can be freely and finely adjusted to a necessary position in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or a small area of the mouth.

이를 위해 치료유닛(110)과 유닛지지부(120,120a,120b,120c) 사이의 연결부위에 미세 조절이 용이하도록 주름관이나 금속관 형태 등의 형태 변형이 가능한 재질이 추가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a material that can be deformed in shape such as a corrugated tube or a metal tube may be added to facilitate the fine adjustment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treatment unit 110 and the unit supports 120, 120a, 120b, and 120c.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6은 도 5의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200)의 실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lf assistant devic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self assistant device 200 of FIG.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100)는 바닥, 벽면, 천정, 유니트체어 등에 고정되어 사용된다. 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200)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위치를 이동하며 치과시술을 보조할 수 있다. The self assistan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fixedly used on a floor, a wall surface, a ceiling, a unit chair, or the like. On the other hand, the self assistant devic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can move the position manually or automatically and assist the dental procedur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200)는 본체(210)와, 본체(21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치료유닛(220,220a,220b)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210)는 상면 또는 측면에 치료유닛(220,220a,220b)이 결합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 다각형 형태의 함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lf assistant devic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body 210 and a plurality of treatment units 220, 220a, 220b provided in the main body 210. [ The main body 21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within a range that the treatment unit 220, 220a, 220b can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r the side surface. The main body 110 may be formed in a shape of an enclosure having a circular, square or polygonal cross section as shown in the figure.

본체(210)의 하부에는 이동바퀴(215)가 구비된다. 본체(210)는 외력이 가해지면 수동으로 이동되거나, 입력부(211)의 입력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200)는 자동으로 이동되는 경우의 일례를 설명한다. A moving wheel 215 is provided below the main body 210. The main body 210 can be manually move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or can be automatically moved by an input signal of the input unit 211. [ An example of a case where the self assistant devic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utomatically moved will be described.

본체(210)에는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211)와, 본체(210)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212)와, 이동바퀴(215)를 구동하여 본체(210)를 이동시키는 본체구동부(217)가 구비된다. 입력부(211)는 입력버튼 형태로 구비되거나, 모션인식방식, 음성인식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11)는 본체(210)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리모콘 또는 스마트기기, 웨어러블기기 등의 무선입력부(211a)로 구현될 수 있다. The main body 210 includes an input unit 211 for receiving an input signal, a display unit 212 for displaying the current state of the main body 210, a main body driving unit for moving the main body 210 by driving the movement wheel 215 217 are provided. The input unit 21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input button, or may be implemented by a motion recognition method, a voice recognition method, or the like. The input unit 211 may be implemented as a remote controller or a wireless input unit 211a such as a smart device or a wearable device, which is disposed apart from the main body 210. [

본체구동부(217)는 입력신호에 따라 본체(210)를 치과의사 또는 시술자가 지정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본체구동부(217)는 구동모터를 구동하여 이동바퀴(215)를 정역회전시킨다. 이 때, 본체구동부(217)는 본체(210)의 현재위치와 치과의사에 의해 입력된 목표위치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이동해야할 경로좌표를 생성한다. 제어부(270)는 생성된 경로좌표를 따라 본체(210)가 이동되도록 본체구동부(217)를 제어한다. The main body driving unit 217 moves the main body 210 to a position designated by the dentist or the operator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The main body driving unit 217 drives the driving motor to rotate the mobile wheel 215 in normal and reverse directions. At this time, the main body driving unit 217 automatically recognize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ain body 210 and the target position input by the dentist, and generates path coordinates to be moved. The control unit 270 controls the main body driving unit 217 to move the main body 210 along the generated path coordinates.

치료유닛(220) 뿐만 아니라, 본체구동부(217)가 현재위치와 목표위치를 감지한 후, 목표위치로 이동되는 방식은 거리센서와 위치센서를 이용한 방식 외에 현재 공지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장애물을 회피하여 이동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Not only the treatment unit 220 but also the body driving unit 217 may detect the present position and the target position and then move to the target position by various methods currently known in addition to the method using the distance sensor and the position sensor. In some cases, a method of avoiding and moving obstacles may be applied.

본체구동부(217)는 이동해야할 목표위치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이동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미리 입력한 목표위치의 좌표료 이동될 수도 있다. 즉, 유니트 체어와 가까운 특정 위치를 미리 입력하고, 사용자가 해당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입력하면 본체구동부(217)가 설정된 위치로 본체(210)가 이동되도록 구동한다.
The main body driving unit 217 may be moved by automatically detecting the target position to be moved, but may be moved to the target position previously entered by the user as the case may be. That is, a specific position close to the unit chair is inputted in advance, and when the user inputs that the user moves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e main body driving unit 217 drives the main body 210 to move to the set position.

한편, 본체(210)는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210)에는 본체높이조절부(219)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높이조절부(219)는 유압실린더 등을 이용하여 상하로 이동되며 본체(2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시술자는 유니트체어(10)의 높이에 맞추어 본체(210)의 높이를 조절하여 치료유닛(220,220a,220b)을 시술자가 조작이 용이한 높이로 이동시킬 수 있다.
Meanwhile, the main body 210 may be provided to be adjustable in height. To this end, the main body 210 may be provided with a main body height adjuster 219. The body height adjusting portion 219 is vertically moved using a hydraulic cylinder or the like, and the height of the body 210 can be adjusted. Thus, the practitioner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main body 210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unit chair 10 to move the treatment units 220, 220a and 220b to a height at which the operator can easily operate the apparatus.

치료유닛(220,220a,220b)들은 본체(210)의 상부에 각각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200)는 제1치료유닛(220)으로 석션, 제2치료유닛(220a)으로 반사경, 제3치료유닛(220b)으로 물공급노즐이 구비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이는 일례일 뿐이며, 치료유닛(220,220a,220b)은 다양한 종류로 구비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로 유닛지지부(221,221a,221b)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The treatment units 220, 220a and 220b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210. [ The self assistant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treatment unit 220 is provided with suction, the second treatment unit 220a is provided with a reflector, and the third treatment unit 220b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nozzle Respectively. The treatment units 220, 220a, and 220b may be provided in various types, and may be replaced with unit supports 221, 221a, and 221b of different types, as the case may be.

각각의 치료유닛(220,220a,220b)들은 본체(210)에 일정높이 수직하게 배치된 지지관(222,222a,222b)와, 지지관(222,222a,222b)에 치료유닛(220,220a,220b)를 지지하는 유닛지지부(221,221a,221b)를 포함한다. 유닛지지부(221,221a,221b)는 앞서 설명한 도 1의 (b)와 같이 수동으로 길이와 형상이 변화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고, 자동으로 형상이 변화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Each of the treatment units 220, 220a and 220b includes support tubes 222, 222a and 222b vertically arranged in the main body 210 and treatment units 220, 220a and 220b on the support tubes 222, 222a and 222b And support unit supports 221, 221a, and 221b. The unit supporting portions 221, 221a and 221b may be provided so that the length and shape of the unit supporting portions 221, 221a and 221b may be manually changed as shown in FIG. 1 (b).

지지관(222,222a,222b)은 치료유닛(220,220a,220b)이 본체(210)로부터 일정높이에 위치하게 지지한다. 이에 의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료유닛(220,220a,220b)을 유니트 체어에 누워 있는 환자의 입을 향해 용이하게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The support tubes 222, 222a, 222b support the treatment units 220, 220a, 220b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main body 210. [ Thus, as shown in FIG. 10, the treatment units 220, 220a and 220b can be easily positioned toward the mouth of the patient lying in the unit chair.

지지관(222,222a,222b)이 없이 치료유닛(220,220a,220b)이 본체(210)에 직접 결합되는 경우, 유니트체어의 높이에 따라 치료유닛(220,220a,220b)의 높이를 조절하기 어려운 상황이 있을 수 있다. 이에 지지관(222,222a,222b)만큼 상방향에서 치료유닛(220,220a,220b)이 하부로 이동하며 환자의 입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높이조절이 용이해질 수 있다.
When the treatment units 220, 220a, 220b are directly coupled to the main body 210 without the support tubes 222, 222a, 222b,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height of the treatment units 220, 220a, 220b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nit chair This can be. The treatment units 220, 220a and 220b move downward by the support tubes 222, 222a, and 222b, and move to the mouth of the patient, so that the height adjustment can be facilitated.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셀프 어시스턴트장치(200a)의 유닛지지부(221',221a',222b')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unit supporting portions 221 ', 221a' and 222b 'of the self assistant device 200a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설명한 유닛지지부(221,221a,222b)는 복수개의 관이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어,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길이가 신장 또는 짧아지게 구비된다. 그러나, 이 경우 유닛지지부(221,221a,222b)는 단순히 직선 형태로만 길이 변화가 가능하므로 움직일 수 있는 동선에 제약이 있다. The unit supporting portions 221, 221a and 222b described above are arranged so that a plurality of pipes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the length is elongated or shorten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portion. However, 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unit supporting portions 221, 221a, 222b can be changed only in a straight line shape, so there is a restriction on the movable copper wire.

이에 제1변형예에 따른 유닛지지부(221')는 관절형태로 굽혀지며 환자위치로 치료유닛(220,220a,220b)을 안내한다. 제2변형예에 따른 유닛지지부(221a')는 접혀졌다가 펼쳐지는 형태로 구비되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3변형예에 따른 유닛지지부(221b')는 곡선형태로 굽혀지게 구비되어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The unit support 221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cation bends in the form of a joint and guides the treatment unit 220, 220a, 220b to the patient position. The unit support portion 221a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cation may be folded and unfold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The unit support portion 221b 'according to the third modification may be bent in a curved shape to be deformable in various forms.

유닛지지부(221',221a',222b')는 지지하는 치료유닛의 종류와 유니트체어와의 위치 관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The unit supporting portions 221 ', 221a', 222b 'may be combin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the treatment unit to be supported and the unit chai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프 어시스턴트장치(200)는 자동으로 유닛지지부(221,221a,221b)가 목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닛지지부(221,221a,221b)를 이동시키는 유닛지지부구동부(225,225a,225b)를 포함한다. 본체(210)의 내부에는 치료유닛(220,220a,220b)을 동작시키기 위한 치료유닛구동부(223,223a,223b)가 구비된다. 치료유닛구동부(223,223a,223b)는 컴프레셔, 진공펌프, 물공급펌프, 전원공급부 등일 수 있다. The self assistant devic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unit support portion driving units 225 and 225a for automatically moving unit supporting portions 221, 221a and 221b to move the unit supporting portions 221, , 225b. Therapy unit driving units 223, 223a, 223b for operating the treatment units 220, 220a, 220b are provided in the body 210. [ The treatment unit drive units 223, 223a, 223b may be a compressor, a vacuum pump, a water supply pump, a power supply unit, and the like.

유닛지지부구동부(225,225a,225b)는 모터를 이용한 구동메커니즘, 유압을 이용한 구동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단부에 결합된 치료유닛(220,220a,220b)이 목표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닛지지부(221,221a,221b)의 길이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unit support part driving units 225, 225a and 225b are connected to the unit supporting parts 221, 221a, and 221b so that the treatment units 220, 220a, and 220b coupled to the end parts can be moved to the target positions by using a driving mechanism using a motor, 221b can be adjusted in length and angle.

이 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시술자 또는 유니트 체어(10) 또는 환자의 구강에 위치송출기(미도시)가 배치되어 위치정보를 유닛지지부구동부(225,225a,225b)로 송출하고, 유닛지지부구동부(225,225a,225b)가 이를 인식하여 길이와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position transmitter (not shown) is disposed at the operator or the unit chair 10 or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to transmit the position information to the unit supporting unit driving units 225, 225a, 225b, a, 225b may recognize this and the length and angle may be adjusted.

경우에 따라 시술자가 각 치료유닛(220,220a,220b)이 이동되어야할 위치좌표를 미리 입력부(211)에 입력하고, 설정된 위치좌표로 치료유닛(220,220a,220b)이 이동되도록 길이와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The operator inputs the position coordinates to which the treatment units 220, 220a and 220b should be moved to the input unit 211 in advance and adjusts the length and angle so that the treatment units 220, 220a and 220b are moved to the set position coordinates .

한편, 본체(210)에는 복수개의 수납함(230)이 개폐가능하게 결합된다. 수납함(230)은 다층구조로, 각 층마다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수납함(230)은 수동으로 개폐되게 구비될 수 있고, 자동으로 개폐되게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storage boxes 230 are coupled to the main body 210 to be openable and closable. The storage box 230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storage boxes may be provided for each layer. The storage box 230 may be manually opened and closed, and may b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이 때, 치과시술 중인 치과의사가 복수개의 수납함(230) 중 본인이 필요한 수납함(230)을 본인의 앞쪽으로 본체(210)를 회전시킨 후 수납함(230)을 개방하기 어려움이 있다. 이를 위해 본체(210)에는 수납함구동부(231)가 구비된다. 수납함구동부(231)는 치과의사가 지정한 위치의 수납함이 치과의사의 정면을 향하도록 수납함(230)을 회전할 수 있다. At this time, it is difficult for a dentist performing a dental procedure to open the storage box 230 after rotating the main body 210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user's own storage box 230 among the plurality of storage boxes 230. To this end, the main body 210 is provided with a storage drive unit 231. The storage box drive unit 231 can rotate the storage box 230 so that the storage box at a position designated by the dentist faces the front of the dentist.

즉, 복수개의 수납함(230)은 본체(2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수납함구동부(231)는 각 층을 개별적으로 또는 전체 층을 한꺼번에 회전시켜 지정한 위치의 수납함이 치과의사의 정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치과의사의 정면은 본체(210)를 기준으로 특정방향이 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지정하고, 수납함구동부(231)는 선택된 수납함(230)이 전면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되도록 조절한다. That is, the plurality of storage boxes 230 are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210, and the storage drive section 231 rotates the respective layers individually or all the layers at a time so that the storage box at the designated position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dentist . The front face of the dentist specifies a specific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fac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210 and the accommodation box drive unit 231 adjusts the selected accommodation box 230 to be position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front face.

수납함(230)은 자동으로 개방되게 구비되거나, 사용자가 가볍게 터치하면 개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storage box 230 may be provided to be opened automatically or to be opened when the user touches lightly.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200)는 자기진단부(240)와 저장부(250)를 구비하여 스스로 판단하여 시술자의 시술을 돕는 인공지능을 구현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elf assistant devic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self-diagnosis unit 240 and the storage unit 250 to implement artificial intelligence to assist the practitioner by self-determination.

자기진단부(240)는 본체(210)에 결합된 복수개의 치료유닛(220,220a,220b)이 원활하게 동작하기 위해 요구되는 조건들을 미리 점검하여 이상여부를 표시부(212)에 표시하거나, 음성출력부(213)에 출력하여 시술자들이 대비할 수 있게 한다. The self-diagnosis unit 240 may check the conditions required for smooth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treatment units 220, 220a, and 220b coupled to the main body 210 to display an abnormality on the display unit 212, (213) so that practitioners can prepare for it.

일례로, 에어노즐과 연결된 에어컴프레셔의 압력이 기준압력보다 낮거나 높으면 에어컴프레셔 이상을 표시하고, 물공급노즐과 연결된 물저장조의 수위가 낮거나 물공급펌프에 이상이 있는 경우 이러한 상황을 표시한다. For example, if the pressure of the air compressor connected to the air nozzle is lower than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pressure, it indicates an air compressor abnormality, and if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reservoir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nozzle is low or the water supply pump is abnormal .

저장부(250)는 다양한 치과진료시에 요구되는 치료유닛(220,220a,220b)의 사용여부가 기록된 치료순서DB(251)가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250)에는 각 치료순서에서 요구되는 치료유닛(220,220a,220b)의 위치정보가 기록된 위치정보DB(253)가 저장된다. The storage unit 250 stores a treatment order DB 251 in which the use of the treatment units 220, 220a, and 220b required for various dental treatments is recorded. Also, the storage unit 250 stores a location information DB 253 in which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eatment units 220, 220a, and 220b required in each treatment order is recorded.

치료순서DB(251)에 저장되는 치료과정의 일례로, 하이 핸드피스 들면 석션이 바로 동작하는 것, 하이 핸드피스를 내리면 석션이 꺼지고 복귀되기, 쓰리웨이 시린지가 동작되면 석션이 동작하기, 로스피드를 들어 동작되면 석션과 에어노즐이 동시에 작동하기 등이다. As an example of a treatment process stored in the treatment order DB 251, a suction is performed immediately when a high handpiece is operated, a suction is turned off and returned when a high handpiece is lowered, a suction is operated when a three-way syringe is operated, The suction and the air nozzle are operated at the same time.

위치정보DB(253)는 상술한 각 치료순서에서 본체(2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던 치료유닛(220,220a,220b)이 시술자가 조작하기 용이하게 대기하는 위치정보가 기록된다. 일례로, 하이 핸드피스 들면 석션이 바로 동작하는 과정에서, 시술자가 하이 핸드피스를 들고 있는 상태에서 석션을 바로 잡고 원하는 위치로 석션을 가져와 두고 사용할 수 있도록 석션이 환자의 구강에서 10cm 상공으로 이동하여 대기하는 위치가 위치정보이다. The positional information DB 253 stores positional information in which each of the treatment units 220, 220a, and 220b disposed above the main body 210 waits for the operator to easily operate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treatment procedures. For example, in the course of a high-hand piece operation, when a practitioner holds a high-hand piece, the suction is straightened and the suction is moved to a desired position so that the suction moves 10 cm above the patient's mouth The position to wait is the position information.

이러한 방식으로 치료순서DB(251)와 위치정보DB(253)가 저장부(250)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후술할 제어부(270)가 시술자가 현재 사용하는 치료유닛(220,220a,220b)의 종류를 고려하여 후순위 치료과정을 예측하고 후순위 치료과정에 요구되는 치료유닛(220,220a,220b)을 시술자가 사용하기 용이한 위치정보로 미리 이동시켜 치료를 보조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전원이 인가되는 치료유닛(220,220a,220b) 또는 현재 구동중인 치료유닛구동부(223,223a,223b)를 판단하여 현재 시술중인 치료과정을 판단한다. 또한, 하이앤드피스를 들면 자동으로 석션이 저장된 위치로 오게 할 수 있다.Since the treatment order DB 251 and the positional information DB 253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0 in this manner, the controller 2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ets the types of treatment units 220, 220a, and 220b currently used by the practitioner 220a and 220b required for the subordinate treatment process can be predicted by moving the patient in advance to the positional information that the practitioner can use. The control unit 270 determines the therapy process currently being performed by determining the treatment units 220, 220a and 220b to which the power is applied or the treatment unit driving units 223, 223a, and 223b currently being driven. Also, if you have a high-end piece, you can automatically bring it to the position where the suction is stored.

선순위 치료과정을 시술자가 시술하는 동안, 제어부(270)는 치료순서DB(251)를 참조하여 선순위 치료과정에 이어지는 후순위 치료과정을 검색한다. 그리고, 후순위 치료과정에서 요구되는 치료유닛(220,220a,220b)이 무엇인지 판단하고, 치료유닛(220,220a,220b)을 시술자가 사용하기 용이한 대기위치를 위치정보DB(253)를 검색하여 판단한다. The control unit 270 refers to the treatment order DB 251 and searches for a subordinate treatment course following the senior treatment course while the practitioner performs the senior treatment course. Then, it is judged what treatment units 220, 220a and 220b are required in the subordinate treatment process, and the waiting position in which the practitioner can easily use the treatment units 220, 220a and 220b is searched in the position information DB 253 do.

또한, 경우에 따라 유니트체어(10)에 있는 핸드피스(도 3의 18)를 들고 내리는 것을 감지하고, 셀프어시스턴트(200)에 신호를 보내면 인공지능 기능이 발휘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handpiece (18 in FIG. 3) in the unit chair 10 is sensed to be lifted down and a signal is sent to the self assistant 200, the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 can be exercised.

그리고, 제어부(27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지지부구동부(225,225a,225b)와 본체구동부(217)를 구동하여 환자(A)의 구강(B) 위, 환자의 어깨상방 등의 위치로 치료유닛(220,220a,220b)을 이동시킨다. 7, the control unit 270 drives the unit supporting unit driving units 225, 225a, and 225b and the body driving unit 217 to move the patient A over the oral cavity B, To move the treatment units 220, 220a, 220b.

유닛지지부구동부(225,225a,225b)가 치료유닛(220,220a,220b)을 이동시키는 위치정보는 환자(A)의 구강(B) 또는 시술자의 몸에 위치송출기를 부착하여 유닛지지부구동부(225,225a,225b)가 자동으로 감지하여 이동되거나, 유니트체어의 체어 부위에 위치송출기를 부착하거나, 시술자가 입력부(211)를 통해 직접 입력하는 위치정보를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nit supporting part driving units 225, 225a and 225b for moving the treating units 220, 220a and 220b may be obtained by attaching a position radiator to the oral cavity B of the patient A or the body of the patient, 225b may be automatically sensed and moved, a position radiator may be attached to the chair portion of the unit chair, or the position information may be set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that the practitioner directly inputs through the input portion 211. [

여기서, 제어부(270)가 저장부(250)에 의해 인공지능을 구현할 때,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200)에 의해 구현되는 각 기능들을 음성출력부(213)로 출력하여 환자가 치료과정을 인지할 수 있게 안내한다. When the control unit 270 implement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by the storage unit 250, the functions implemented by the self assistant apparatus 200 are outputted to the voice output unit 213 so that the patient can recognize the treatment process .

즉, 석션이 환자의 구강으로 이동될 때, 음성출력부(213)를 통해 "입 안에 고인 침을 제거해 드리겠습니다"와 같은 안내멘트를 출력하여 환자가 시술과정에 대해 미리 인지하고 대비할 수 있게 한다.
That is, when the suction is moved to the patient's mouth, an announcement such as "I will remove the needle in the mouth" is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213, so that the patient can recognize and prepare for the procedure in advance.

한편, 제1치료유닛(220)이 석션인 경우, 석션의 온오프를 제어부(270)가 자동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도 6은 제1치료유닛(220)의 사용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제1치료유닛(220)의 선단에는 액체감지센서(227)가 구비될 수 있다. 시술자가 제1치료유닛(220)을 환자의 구강(B)에 배치하면, 액체감지센서(227)가 구강 내부에 혈액, 이물질, 침, 물 등의 액체(W)를 감지한다. 액체감지센서(W)가 액체를 감지하면 시술자가 구동신호를 인가하지 않더라도 제어부(270)가 제1치료유닛(220)과 연결된 진공펌프를 자동으로 구동하여 제1치료유닛(220)이 구강내의 액체(W)들을 흡입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treatment unit 220 is sucking, the control unit 270 may automatically adjust the suction on / off.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use process of the first treatment unit 220. FIG. A liquid sensing sensor 227 may be provided at the tip of the first treatment unit 220. When the practitioner places the first treatment unit 220 on the patient's mouth B, the liquid detection sensor 227 senses liquid W such as blood, foreign matter, saliva, water, etc. in the oral cavity. The controller 270 automatically drives the vacuum pump connected to the first treatment unit 220 so that the first treatment unit 220 can be operated in the oral cavity even if the liquid sensing sensor W senses the liquid, Thereby allowing the liquid W to be inhaled.

한편, 제1치료유닛(220)이 구동되는 도중에 일정 시간 동안 제1치료유닛(220)을 통해 흡입되는 액체가 없거나, 액체감지센서(227)가 액체를 감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시술자가 off신호를 인가하지 않더라도 제어부(270)가 제1치료유닛(220)과 연결된 진공펌프의 구동을 자동으로 멈춘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no liquid to be sucked through the first treatment unit 220 for a predetermined time during the first treatment unit 220 is driven, or when the liquid detection sensor 227 does not sense the liquid, The control unit 270 automatically stops the driving of the vacuum pump connected to the first treatment unit 220.

이러한 방식으로 제1치료유닛(220) 자동으로 구동되면, 시술자가 다양한 치료유닛(220,220a,220b)을 조작하는 과정에서 석션을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술과정이 보다 여유로워질 수 있고, 전기요금도 절약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treatment unit 220 is automatically driven in this manner, the operator does not have to manually operate the suction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arious treatment units 220, 220a, 220b, so that the procedure can be made more convenient, Can be saved.

한편, 본체(210)에는 유선 뿐만 아니라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통신부(260)가 구비되어 인터넷 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
Meanwhile, the main body 21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60 such as a Wi-Fi as well as a wired network so that an Internet connection is possibl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200)의 동작과정을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Operation of the self assistant devic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10. FIG.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200)는 복수개의 치료유닛(220,220a,220b)이 구비된 본체(210)를 포함하며, 본체(210)는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6, the dental self assistant device 200 includes a main body 210 having a plurality of treatment units 220, 220a and 220b, and the main body 210 is movably provided.

시술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트 체어에 누운 환자의 치아를 치료한다. 이 때, 사용자는 시계 형태의 무선입력부(211a)를 손목에 착용한 상태로 치아를 치료한다. 치아의 치료 시에 석션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석션"이라고 음성으로 명령을 인가한다. 이 외에도, 사용자는 모션인식, 페달, 입력버튼이 직접 입력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입력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The practitioner treats the teeth of the patient lying on the unit chair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user treats the teeth with the wrist-wearing wireless input unit 211a worn on the wrist. If a suction is required at the time of the treatment of the teeth, the user gives an instruction with the voice "Suction". In addition, the user can apply the input signal in various ways such as motion recognition, pedal, input button, direct input.

제어부(270)는 입력신호가 인가된 석션에 대응되는 제1치료유닛(220)이 사용자 측으로 이동되도록 제1유닛지지부(221)와, 제1치료유닛구동부(223) 및 제1유닛지지부구동부(225)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치료유닛(220)이 환자의 구강(B) 측으로 이동된다. The controller 270 controls the first unit support 221 and the first treatment unit driver 223 to move the first treatment unit 220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applied with the input signal to the user side, 225). Whereby the first treatment unit 220 is moved to the oral cavity B side of the patient, as shown in Fig.

이에 의해 시술자는 환자의 구강(B)으로 이동된 제1치료유닛(220)을 파지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원활히 치료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actitioner can grasp the first treatment unit 220 moved to the patient's mouth (B) and move the treatment unit 220 to a desired position, and the treatment process can be smoothly performed using the first treatment unit 220.

여기서, 제어부(270)는 석션에 대응되는 제1치료유닛(220)이 구동되면, 저장부(250)에 저장된 치료순서DB(251)와 위치정보DB(253)를 참조하여 후순위 치료과정에 요구되는 치료유닛(220,220a,220b)을 판단한다. Here, when the first treatment unit 220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is operated, the control unit 270 refers to the treatment order DB 251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DB 253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0, (220, 220a, 220b).

그리고, 제어부(27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순위 치료과정에 요구되는 에어노즐에 대응되는 제3치료유닛(220c)를 시술자가 조작하기 용이한 위치(h)로 자동으로 이동시켜 시술자가 시술을 보조하는 보조자 없이도 시술과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10, the control unit 270 automatically moves the third treatment unit 220c corresponding to the air nozzle required for the subordinate treatment process to a position (h) where the operator can easily operate the treatment unit, You can help the procedure to proceed without assistant to the procedure.

또한, 제1치료유닛(220)인 석션을 사용하는 도중에 시술자가 구동 및 구동해제 신호를 직접 인가하지 않더라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감지센서(227)의 구동과 제어부(270)의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 및 구동이 해지되어 시술자의 시술과정을 보조할 수 있다.
Even if the operator does not directly apply the driving and driving release signals during the suction of the first treatment unit 220, as shown in FIG. 9, the driving of the liquid sensing sensor 227 and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70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can be assist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는 치료유닛이 결합된 유닛지지부를 필요한 위치에 착탈시켜 시술자의 시술을 보조할 수 있게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dental self assista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nit support unit coupled with the treatment unit to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required position, thereby assisting the operation of the practition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는 시술자가 희망하는 위치로 치료유닛이 결합된 본체가 치과의사 또는 조수의 도움없이 스스로 필요한 곳으로 이동한다. 또한, 치료유닛도 자동 또는 수동으로 환자의 입으로 이동하므로, 치과의사 혼자서도 충분히 치과치료를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ntal self assista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he body coupled with the treatment unit to a position desired by the practitioner to a place where the dental practitioner himself or herself needs it without assistance of a dentist or assistant. In addition, since the treatment unit is automatically or manually moved to the mouth of the patient, the dentist alone can sufficiently treat the dental treatment.

이에 따라 손발이 맞는 조수를 구할 필요가 없으므로 인건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a result, there is no need to find a suitable tide for hands and feet, which is advantageous in reducing labor costs.

특히, 인공지능 기능을 구현하여 선순위 치료과정에 후속되는 후순위 치료과정에 요구되는 치료유닛들을 미리 환자의 구강위치로 이동시켜 시술자의 동선을 줄여 시술자의 체력적인 소모를 줄이고 빠른 시술이 가능해지게 한다. In particular, by implement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 the treatment units required for the subordinate treatment process subsequent to the priority treatment process are moved to the oral cavity position of the patient in advance to reduce the movement of the practitioner, thereby reducing the wearer's physical strength and enabling quick operation.

또한, 본체의 내부에 복수개의 수납함을 형성하고, 시술자가 요구하는 위치의 수납함이 시술자의 위치로 이동되므로 시술자의 체력적 소모를 줄이고 시술과정을 능률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storage boxes are formed in the main body and the storage box at a position required by the practitioner is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practitioner, the physical strength consumption of the practitioner can be reduced and the efficiency of the procedure can be improved.

또한, 자기진단부가 치료유닛의 이상 여부를 진단하여 표시하므로, 환자의 시술전에 미리 장비를 점검하여 시술시 고장으로 인한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elf diagnosis part diagnoses and displays the abnormality of the treatment unit, it is possible to check the equipment in advance before the patient's operation so as to prevent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trouble during the operation.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embodiments of the dental self assista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know very well.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유니트체어 11 : 유닛본체
13 : 펌프연결선 15 : 컴프레서연결선
17 : 전원공급선 20 : 유닛구동케이싱
100 :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 110 : 치료유닛
120 : 유닛지지부 121 : 나사산
123 : 결합판 130 : 전원공급선
140 : 유닛구동선 150 : 지지부구동부
200 : 셀프 어시스턴트 210 : 본체
211 : 입력부 211a : 무선입력부
212 : 표시부 213 : 음성출력부
215 : 이동바퀴 217 : 본체구동부
219 : 본체높이조절부 220 : 제1치료유닛
221 : 제1유닛지지부 223 : 제1치료유닛구동부
225 : 제1유닛지지부구동부 227 : 액체감지센서
220a : 제2치료유닛 220b : 제3치료유닛
230 : 수납함 231 : 수납함구동부
240 : 자기진단부 250 : 저장부
251 : 치료순서 DB 253 : 위치정보 DB
260 : 무선통신부 270 : 제어부
10: unit chair 11: unit body
13: Pump connector 15: Compressor connector
17: power supply line 20: unit drive casing
100: Self assistant device 110: Therapy unit
120: Unit support 121:
123: coupling plate 130: power supply line
140: unit driving wire 150: supporting part driving part
200: Self-assistant 210: Body
211: input unit 211a: wireless input unit
212: display section 213: audio output section
215: moving wheel 217: body driving part
219: body height adjuster 220: first treatment unit
221: first unit supporting part 223: first treatment unit driving part
225: first unit supporting part driving part 227: liquid sensing sensor
220a: second treatment unit 220b: third treatment unit
230: storage box 231: storage box drive
240: self-diagnosis unit 250: storage unit
251: Treatment order DB 253: Location information DB
26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70:

Claims (20)

치과 치료에 사용되는 치료유닛과;
상기 치료유닛을 지지하는 유닛지지부와;
상기 유닛지지부와 상기 치료유닛을 지지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유닛지지부는 외력에 의해 수동으로 형상과 위치가 가변되게 구비되거나,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형상과 위치가 가변되게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치료유닛의 사용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는 입력패널, 터치패널, 음성인식, 모션인식방식, 풋패널 방식 중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본체는 수동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되며,
상기 본체에 개폐가능하게 복수개의 수납함이 구비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지정된 위치의 수납함이 시술자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서랍의 수납함의 위치를 조절하는 수납함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
A treatment unit used for dental treatment;
A unit support for supporting the treatment unit;
And a main body for supporting the unit support portion and the treatment unit,
The unit support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shape and position that can be manually changed by an external force, or may be automatically shaped and positioned to be varied by a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portion,
And an input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for receiving a use signal of the treatment unit,
The input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nput panel, a touch panel, a voice recognition, a motion recognition method, and a foot panel method,
The main body is manually moved or automatically moved by an input signal of the input unit,
Wherein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nable and closable housings,
And a cabinet driver for adjusting a position of the cabin of the plurality of drawers so that the cabin at a designated position is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or through the inpu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지지부는 유니트 체어의 유닛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nit support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nit body of the unit cha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지지부는 바닥면, 벽면 또는 천정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nit support portion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 bottom surface, a wall surface, or a ceiling.
삭제delet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유닛은 석션, 물공급노즐, 라이트, 반사경, 거울, 광중합기, 보조선반, 구강스캐너, 구강카메라, 레이져, 미백램프, 리트렉터, 치아 쉐이드 분석기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treatment unit is at least one of a suction unit, a water supply nozzle, a light, a reflector, a mirror, a light curing unit, an auxiliary shelf, a mouth scanner, an oral camera, a laser, a whitening lamp, a retractor and a tooth shade analyz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유닛은 상기 유닛지지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treatment un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nit support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유닛은 환자의 구강에 닿는 부분은 교체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treatment unit has a portion of the patient's mouth contactab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유닛이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치료유닛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치료유닛구동부는 유니트체어의 유닛본체 내부에 구비된 것을 이용하거나, 유니트체어에서 나온 유닛구동선에 연결되거나, 유니트체어 외부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treatment unit driving unit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the treatment unit to perform the function,
Wherein the treatment unit driving unit is provided in the unit body of the unit chair, is connected to the unit driving line from the unit chair, or is independently provided outside the unit chai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본체구동부와;
상기 유닛지지부을 이동시키는 유닛지지부구동부와;
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본체구동부와 상기 유닛지지부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ain body driving unit for moving the main body;
A unit support portion driving unit for moving the unit support por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ain body driving unit and the unit supporting unit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of the input uni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구동부는 현재위치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목표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본체가 목표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경로정보를 형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로정보로 이동되도록 상기 본체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main body driving unit senses a current position and a target position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and forms path information on which the main body can be moved to a target position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ain body driving unit to move to the path information Features self-assistant devi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구동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기설정된 목표위치로 상기 본체가 이동되도록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main body driving unit is driven to move the main body to a predetermined target position through the inpu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본체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ody height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 height of the main body.
삭제dele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구비된 복수개의 치료유닛의 고장여부를 스스로 진단하는 자기진단부와;
상기 자기진단부에 의한 진단결과 고장 또는 이상이 있는 치료유닛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경고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 self-diagnosis unit for diagnosing whether or not a plurality of treatment units provided in the main body have failed;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warning signal under the control of said control unit when there is a treatment unit having a failure or abnormality as a result of the diagnosis by said self diagnosis uni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된 각 치료유닛을 이용한 치료순서와 연관되어 사용되는 치료유닛의 사용과정이 기록된 치료순서DB와, 각 치료순서에서 해당 치료유닛이 환자의 구강 또는 유니트체어에 위치되는 위치정보가 기록된 위치정보DB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시술자가 제1치료유닛에 대한 사용신호를 인가한 후, 상기 치료순서에 기록된 선순위 치료를 수행하면, 상기 치료순서DB와 상기 위치정보DB에 기초하여 상기 선순위 치료에 후속되는 후순위 치료에 요구되는 제2치료유닛이 상기 후순위 치료에 요구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유닛지지부구동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A treatment order DB in which a use procedure of a treatment unit used in association with a treatment order using each treatment unit coupled to the main body is recorded and position information on the position of the treatment unit in the patient's oral cavity or unit chair in each treatment order And a storage unit in which the recorded location information DB is stored,
Wherein,
When the practitioner applies the use signal for the first treatment unit and then performs the senior treatment recorded in the treatment sequence, the patient is requested to perform the subordinate treatment following the senior treatment based on the treatment order DB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DB And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unit support portion driving unit so that the second treatment unit is moved to a position required for the subordinate treatment.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순서DB에 기초하여 치료 과정에 따른 상기 치료유닛들의 위치 이동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And a voice output unit for voice guidance of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treatment units according to the treatment process based on the treatment order DB.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리모컨, 웨어러블기기 등으로 구비되어, 상기 본체와 이격된 원거리에서 입력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put unit is provided with a remote controller, a wearable device, or the like, and applies an input signal to the remote unit at a distance from the main uni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유닛이 석션인 경우,
상기 석션의 선단에 구비되어 환자의 구강에 액체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액체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체감지센서가 액체를 감지하면 상기 석션이 구동되도록 구동신호를 인가하고, 기준시간 동안 상기 액체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전송되지 않거나 기준시간 동안 상기 석션을 통해 액체가 흡입되지 않으면 상기 석션의 구동이 멈추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n the treatment unit is a suction,
Further comprising a liquid detection sensor provided at the tip of the suction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liquid is present in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The control unit applies a driving signal so that the suction is driven when the liquid sensing sensor senses a liquid, and when the sensing signal is not transmitted from the liquid sensing sensor for a reference time or the liquid is not sucked through the suction during a reference time, So that the driving of the suction is stopped.
KR1020160042347A 2015-10-29 2016-04-06 Self-assistant apparatus for dental clinic Active KR1017454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347A KR101745434B1 (en) 2016-04-06 2016-04-06 Self-assistant apparatus for dental clinic
PCT/KR2016/012022 WO2017073986A1 (en) 2015-10-29 2016-10-25 Dental self-assistance apparatus
JP2018542069A JP2018532541A (en) 2015-10-29 2016-10-25 Dental assistant equipment
CN201680063638.7A CN108289727A (en) 2015-10-29 2016-10-25 Dental self-auxiliar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347A KR101745434B1 (en) 2016-04-06 2016-04-06 Self-assistant apparatus for dental clinic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5434B1 true KR101745434B1 (en) 2017-06-09

Family

ID=59220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347A Active KR101745434B1 (en) 2015-10-29 2016-04-06 Self-assistant apparatus for dental clini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434B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957B1 (en) * 2017-07-18 2018-06-01 곽호정 Medical suction apparatus
WO2018117368A1 (en) * 2016-12-23 2018-06-28 곽호정 Medical suction device and dental suction device
KR101907176B1 (en) 2018-04-18 2018-10-11 김하익 Suction Auxiliary Equipment
KR102075997B1 (en) 2018-11-01 2020-02-12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Dental Assistant Device
KR102164360B1 (en) 2019-05-09 2020-10-12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Dental Assistant Device and unit chair comprising the same
KR102208416B1 (en) * 2020-02-19 2021-01-26 송정화 Suction Auxiliary Equipment
KR102325603B1 (en) * 2021-06-02 2021-11-12 유경 Denture manufacturing method with improved durability
KR20220015686A (en) 2020-07-31 2022-02-08 이명호 Self-assistant assembly device for medical apparatus
WO2025089444A1 (en) * 2023-10-24 2025-05-01 주식회사 덴티움 Dental unit chai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9998A (en) 2002-11-14 2004-06-10 Yoshida Dental Mfg Co Ltd Dental treatment supporting system with image recognition
JP2007014617A (en) 2005-07-08 2007-01-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Guidance equipment for meal serving wagon
JP3157169U (en) 2009-11-19 2010-01-28 秀美 山本 Intraoral vacuum device, vacuum tube holding stand, and dental treatment chair
JP5065672B2 (en) 2006-12-28 2012-11-07 株式会社吉田製作所 Medical unit and installation tab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9998A (en) 2002-11-14 2004-06-10 Yoshida Dental Mfg Co Ltd Dental treatment supporting system with image recognition
JP2007014617A (en) 2005-07-08 2007-01-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Guidance equipment for meal serving wagon
JP5065672B2 (en) 2006-12-28 2012-11-07 株式会社吉田製作所 Medical unit and installation table
JP3157169U (en) 2009-11-19 2010-01-28 秀美 山本 Intraoral vacuum device, vacuum tube holding stand, and dental treatment chair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368A1 (en) * 2016-12-23 2018-06-28 곽호정 Medical suction device and dental suction device
KR101863957B1 (en) * 2017-07-18 2018-06-01 곽호정 Medical suction apparatus
KR101907176B1 (en) 2018-04-18 2018-10-11 김하익 Suction Auxiliary Equipment
WO2019203479A1 (en) * 2018-04-18 2019-10-24 김하익 Suction aid equipment
KR102075997B1 (en) 2018-11-01 2020-02-12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Dental Assistant Device
KR102164360B1 (en) 2019-05-09 2020-10-12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Dental Assistant Device and unit chair comprising the same
KR102208416B1 (en) * 2020-02-19 2021-01-26 송정화 Suction Auxiliary Equipment
WO2021167182A1 (en) * 2020-02-19 2021-08-26 송정화 Suction aid equipment
US20220142846A1 (en) * 2020-02-19 2022-05-12 Dentaluv Inc. Suction aid equipment
KR20220015686A (en) 2020-07-31 2022-02-08 이명호 Self-assistant assembly device for medical apparatus
KR102325603B1 (en) * 2021-06-02 2021-11-12 유경 Denture manufacturing method with improved durability
WO2025089444A1 (en) * 2023-10-24 2025-05-01 주식회사 덴티움 Dental unit cha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5434B1 (en) Self-assistant apparatus for dental clinic
JP2018532541A (en) Dental assistant equipment
CN104840177B (en) Multifunctional gynecological is diagnosed and operation device
JP6585613B2 (en) Structure adjustment system and method for teleoperated medical system
KR102450087B1 (en) Automated structure with pre-established arm positions in a teleoperated medical system
CN109044533B (en) Minimally invasive interventional operation robot for urinary surgery
JP6725424B2 (en) Guidance setup for teleoperated medical system
CN104721004B (en) Ultrasonic monitoring pediatric surgical operation nursing station
CN105283144B (en) robot manipulator system
CN210990580U (en) Hepatobiliary surgery clinical stone removing device
CN104586599A (en) Multifunctional oral cavity comprehensive treatment machine
WO2023226400A1 (en) Operating system and method for ercp surgical robot
KR101615488B1 (en) Multi-assistant apparatus for dental clinic
KR101634060B1 (en) Self-assistant apparatus for dental clinic
JP3549435B2 (en) Endoscope device
CN113576874B (en) Automatic auxiliary sputum excretion device for severe patients
JP5244527B2 (en) Medical equipment
KR102365149B1 (en) Auxiliary apparatus for dental treatment
CN105030335A (en) Neurosurgical monitoring and microscopic operation device
CN118510462A (en) Off-screen indicator viewer UI
US11375878B2 (en)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including a flexible tubular insertion portion
CN202218952U (en) Multifunctional knee joint operation work station
CN214157266U (en) Full-automatic oral cavity illuminating lamp
KR101238029B1 (en) Arm rest for medical
JP2010017400A (en) Assistant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6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