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44278B1 - Support Body For Lifting of Boundary Stone And Method Of Construction - Google Patents

Support Body For Lifting of Boundary Stone And Method Of Constr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278B1
KR101744278B1 KR1020160171488A KR20160171488A KR101744278B1 KR 101744278 B1 KR101744278 B1 KR 101744278B1 KR 1020160171488 A KR1020160171488 A KR 1020160171488A KR 20160171488 A KR20160171488 A KR 20160171488A KR 101744278 B1 KR101744278 B1 KR 101744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lock
coupling
support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14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년수
Original Assignee
김이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이순 filed Critical 김이순
Priority to KR1020160171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27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2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66C1/6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for connection to anchor inserts embedded in concret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6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minimising or preventing longitudinal or transverse swinging of loa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2Raised kerbs, e.g. for sidewalks ; Integrated or portable means for facilitating ascent or desc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 및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 및 시공방법은, 중장비를 이용한 경계석의 이동 및 설치를 위해 경계석의 양측면 홈에 결합되어 와이어에 의해 양중되는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가 상호 교차되어 상기 경계석의 양측면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와이어가 상호 교차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가 교차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중장비에 체결되어 상기 경계석의 인양중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며 상기 경계석의 수평상태를 확인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와이어연결장치와, 상기 와이어연결장치에서 연장되어 외력을 전달하는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도록 일측에 관통공이 폭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경계석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경계석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관통공을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여 연장되고,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바의 외주면 일측에 인접하며, 상기 와이어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지지바를 지지하는 결합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양중을 위한 건자재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도록 와이어의 단부에 구비되면서 사용자에 의해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해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건자재의 이동 및 설치시 평형을 유지하며 양중할 수 있어 건자재의 기울어짐으로 발생되기 쉬운 안전사고 및 자재의 파손을 방지하며, 파손되지 않은 건자재의 재활용 및 재설치가 가능해 건자재의 재사용률을 높이며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isclosed is a barrier-strength bulk support and a method of construction. The support for brittle rock and the method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for brittle rock having both sides joined to the both side grooves of the boundary stone for movement and installation of the boundary stone using heavy equipment, And the wires are crossed with each other so as to maintain the intersecting state of the wires and to support the wires during the lifting of the boundary stones to be connected to the heavy equipment, A wire connecting device extending from the wire connecting device and having a through hole extending in a width direction at one side to allow the wire to transmit an external force to pass therethrough and being connect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barrel, A plurality of support bars And a coupling block extending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support bar 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bar and connected to an end of the wire to support the support bar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wire,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work productivity by facilitating joining and separating by the user while being provided at the ends of the wire so as to be coupl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building materials for balancing, and to maintain the equilibrium when moving and installing the building materials.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nd breakage of materials, which are liable to be caused by tilting, and to recycle and re-install unbreakable building materials, thereby increasing the reuse rate of building materials and improving the economic efficiency.

Description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 및 시공방법{Support Body For Lifting of Boundary Stone And Method Of Construction}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body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본 발명은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장비를 이용해 양중하는 중량이 무거운 경계석과 같은 건자재의 양중작업에서 중장비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건자재에 편리하게 체결시킬 수 있음으로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barrier coat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rrier coating, which is capable of easily binding a wire connected to a heavy equipment to a building material in heav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ing medium for a barrier-strength medium for improving productivity and a method of apply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경계석은 자동차가 주행하는 차도와 사람이 보행하는 보도 사이에 설치됨과 동시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자동차가 보도로 진입하는 것과 우수가 보도로 침입하는 것을 막아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Generally, the barrier seats are installed between the roads where the cars are running and the people walk, and at the same time, they are formed in a stepped shape to prevent the cars from entering into the sidewalks and from entering the sidewalks.

이러한 경계석은 보도와 차도의 경계뿐만 아니라 화단 등의 다양한 곳에 미관을 위해 다양하게 설치되고 있는 추세이며, 보통 블록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되는데, 화강암과 같은 자연석을 가공하여 사용하거나 콘크리트 또는 인조경계석 등으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These boundary stones are being installed variously for aesthetic purposes not only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idewalks and the roads but also at the various places such as the flower beds, and they are usually used in the form of blocks. They are used by processing natural stones such as granite, Have been manufactured and used.

그러나 이러한 경계석과 같은 중량이 무거운 건자재의 설치는 중장비를 이용하거나 수작업에 의해 시공되는데 수작업에 의한 시공은 이동 및 설치를 위해 보통 2인 1조를 이루어 작업하기 때문에 많은 인건비가 요구되며,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없고, 인력을 이용한 작업이다 보니 작업시 안전사고의 발생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installation of heavy building materials such as heavy seams is carried out by using heavy equipment or by manual work. In case of construction by manual work, it is required to pay a lot of personnel expenses because it is usually operated by a pair of two people for moving and installing. And it is a work using a workfor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cidence of safety accidents at work is high.

또한, 중장비를 이용한 중량이 무거운 건자재의 시공시 인양을 위한 밴드 또는 운반고리를 설치하기 어려우며, 운반 및 설치를 위한 작업자 상호간에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밴드 또는 운반고리가 건자재에 정확히 설치되지 않을 경우 경계석이 밴드 또는 운반고리를 이탈하여 작업자에게 상해를 일으키는 안전사고 발생의 문제를 두고 고심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install a band or a carrier ring for lifting when heavy construction material using heavy equipment is used, and when the operators for transportation and installation do not cooperate closely or the band or carrier ring is not installed correctly on the building material There is a problem of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causing a bodily injury to the worker by leaving the band or the carrying ring.

그런데 현재 경계석과 같은 중량이 무거운 건자재에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며, 견고하게 설치되어 이탈을 방지하고, 중장비를 이용해 인양하면서도 평형을 유지하며 이동 및 설치가 가능해 안전사고 및 자재의 파손을 방지하고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계석 및 중량이 무거운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 및 시공방법의 필요성이 대두하여, 이에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However, it is easy to install and detach in heavy materials such as borders, and it is installed firmly to prevent departure. It can be lifted by using heavy equipment while maintaining equilibrium and can be moved and installe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nd damage to materials Background Art [0002] There is a need for a barrier sheet capable of improving productivity and a heavy-weight barrier sheet having a heavy weight, and a construction method.

기존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 및 시공방법의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883385호(2009.02.05)를 통해 중량이 무거운 도로경계석을 3점 지지방식으로 고정하게 되므로 크레인과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도로경계석을 운반할 수 있게 되어 도로경계석의 위치 설정이 용이하고, 도로경계석을 장비를 이용하여 운송함에 따라 작업인원이 감소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도로경계석이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하여 시공할 수 있는 경게석 양중 장치가 제안된바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a conventional barrier-coated duplex support and a construction method, a heavy-weight road boundary stone is fixed in a three-point supporting manner through Korean Patent No. 10-0883385 (2009.02.05) It is easy to set the position of the road borders by transporting the borders, and as the road borders are transported by using the equipment, the number of workers can be reduced and the labor cost can be reduced and the road borders can be firmly fixed There has been proposed a pit sizing device.

그러나 이러한 경계석 양중 장치는 3점 지지방식으로 대부분 블록형태를 이루는 경계석의 양중시 경계석의 일측이 한 부분만 지지됨으로 경계석을 양중하여 이동 또는 설치중 평형을 잃거나 이탈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일정 범위에 포함되는 경계석 또는 건자재만을 양중할 수 있어 부피가 큰 경계석 또는 건자재를 고정하여 양중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어 비효율적이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three-point supporting system, the one-side portion of the boundary stover is supported only at one side of the boundary stover when the block struc- ture is mostly block-shaped. Thus, There is a problem, and only boundary stones or building materials included in a certain range can be quantified, so it is difficult to fix bulky stones or building materials with high volume, which is inefficient.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중장비에 연결되는 와이어의 단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에 의해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해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키며, 건자재의 이동 및 설치시 평형을 유지하며 양중할 수 있어 안전사고 및 자재의 파손을 방지해 경제성의 향상이 가능한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 및 시공방법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 harness for a vehicle, which is provided at an end of a wire connected to a heavy equipmen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장비를 이용한 경계석의 이동 및 설치를 위해 와이어에 결합되는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가 상호 교차되어 상기 경계석의 양측면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와이어가 상호 교차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가 교차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중장비에 체결되어 상기 경계석의 인양중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며 상기 경계석의 수평상태를 확인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와이어연결장치와, 상기 와이어연결장치에서 연장되어 외력을 전달하는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도록 일측에 관통공이 폭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경계석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경계석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관통공을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여 연장되고,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바의 외주면 일측에 인접하며, 상기 와이어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지지바를 지지하는 결합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pporting body for a barrier-free seat which is coupled to a wire for movement and installation of barrier seams using heavy equipment, wherein the wires cross each other and extend in diagonal directions on both sides of the barrier seam, A wire connecting device provided at an intersecting position to maintain the intersecting state of the wire and to be able to confirm the horizontal state of the boundary stone while supporting the wire during lifting of the boundary stone by being fastened to the heavy equipment, A plurality of support bars extending from the apparatus and having through holes arranged at one side in a width direction so as to allow the wires to transmit external force to pass therethrough and being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boundary seals to support the boundary seals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wires, The through hole of the bar is extended through the wire, Adjacent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side of the bar is fastened to the support end of the wire, and both boundary stone comprises a coupling block, which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said wire support bar to said support moderation may be achieved by the support.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연결장치는, 상기 와이어가 상호 교차된 상태를 유지시키며, 외력의 전달에 의해 상기 와이어의 하부에서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연결장치하판과, 상기 연결장치하판의 상면을 커버하여 상기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결장치하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연결장치상판과, 상기 연결장치상판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장치하판의 중심부에 결합되도록 일측이 돌출되어 나사선이 구비되고, 타측이 상기 중장비에 체결되도록 내측이 개방되어 외력을 상기 연결장치하판으로 전달하는 결합고리와, 상기 결합고리가 결합되도록 상기 연결장치하판의 중심부에 홈이 형성되어 내주면에 나사선이 구비되는 고리결합홈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connecting apparatus includes a connection lower plate for maintaining the wires crossed with each other and supporting the wire at a lower portion of the wire by an external force, A connecting device upper plat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connecting plate so as to prevent the wir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connecting plate so as to be coupled to a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plate of the connecting device through a central portion of the connecting device upper plate, A coupling ring which is opened inside so that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heavy equipment so as to transmit an external force to the lower plate of the coupling device, and a groove form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lower plate of the coupling device so that the coupling ring is engaged, Groove.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결장치하판의 상면에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는 홈이 상호 교차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가 상호 교차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와이어가이드홈과, 상기 와이어가이드홈의 양측으로 상호 이격되어 상기 연결장치하판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장치상판을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연결장치고정홈과, 상기 연결장치고정홈에 대응되게 구비되며, 상기 연결장치고정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연결장치상판의 하면에 구비되는 연결장치결합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re guide groove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of the connection unit so that grooves for guiding the wires cross each other and keep the wires crossed with each other. A plurality of connection device fixing grooves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provided on the lower plate of the connection device and fix the connection device upper plate;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device fixing groove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device fixing grooves, And a coupling device coupling portion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device upper plate.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결장치상판의 중심부가 개방되어 상기 결합고리의 일측이 통과되도록 구비되는 고리관통공과, 상기 고리관통공과 인접하여 상기 연결장치상판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경계석의 인양 및 설치 작업중 수평상태의 확인이 가능한 레벨측정기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nector device comprising: an annular through hole having a center portion of the connecting device upper plate opened to allow one side of the engagement ring to pass therethrough; And a level meter capable of checking the horizontal state during installation work.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결합블록은,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호 결합에 의해 상기 와이어를 체결시켜 상기 지지바의 외주면 일측에 인접하는 제1블록 및 제2블록과, 상기 제1블록 및 제2블록의 일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호 대칭상태를 이루며,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을 각각 수용하는 제1수용홈 및 제2수용홈과, 상기 제1수용홈 및 제2수용홈의 양측으로 각각 이격되어 내측이 개방된 중공부가 상기 제1블록 및 제2블록의 폭 방향으로 각각 구비되어 상호 대응되는 제1블록결합홈 및 제2블록결합홈과, 상기 제1블록결합홈 및 제2블록결합홈을 각각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제1블록 및 제2블록을 상호 결합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블록결합핀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block includes a first block and a second block which ar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which are adjacent to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bar by fastening the wire by mutual coupling, A first receiving groove and a second receiving groove which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lock and symmetrical with each other and each receive a part of the wire, A first block engaging groove and a second block engaging groove which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and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block engaging groove and the second block engaging groove, And a plurality of block engaging pins for engaging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결합블록은, 상기 제1수용홈이 구비되는 위치의 상기 제1블록의 내부에 구비되며, 내측이 개방된 중공부가 상기 제1블록의 폭 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와이어고정홈과, 상기 와이어고정홈을 관통하여 상기 제1블록에 결합되며, 상기 제1수용홈 및 제2수용홈에 수용되는 상기 와이어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와이어고정핀과, 상기 와이어고정핀의 단부와 대응되며, 상기 제2수용홈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와이어고정핀과 함께 상기 제1수용홈 및 제2수용홈에 수용되는 상기 와이어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와이어고정돌기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block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block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receiving groove is provided, and a plurality of hollow portions having an opened inner side are provid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block A wire fixing pin penetrating the wire fixing groove to be coupled to the first block and pressing and fixing the wire received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And a wire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second receiving groove to press and fix the wire received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together with the wire fixing pin.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바, 블록결합핀 및 와이어고정핀의 외주면에는 마찰력을 증가시켜 이탈을 방지하는 요철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ing bar, the block connecting pin, and the wire fixing pin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ith irregularities for increasing frictional force to prevent disloc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블록 및 제2블록이 결합되는 측면의 일측에는 힌지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 또는 제2블록의 측면 일측이 상호 연결되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inge member is provided at one side of a side where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are coupled, and one side of the first block or the second block is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do.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경계석의 양측면 홈에 결합되어 중장비에 연결되는 와이어에 의해 양중되는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장비에 연결되는 와이어가 상기 경계석의 양측면 대각선 방향으로 상호 교차되어 연장되고, 상기 와이어가 교차되는 위치에 상기 와이어연결장치가 결합되어 상기 경계석의 인양중 평형이 유지되도록 조정 가능하며 상기 와이어의 파손을 방지하는 와이어 수용단계와, 상기 와이어 수용단계를 통해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상기 지지바의 관통공을 각각 통과하여 연결되고, 상기 지지바가 상기 경계석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상기 지지바결합공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경계석을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바 결합단계와, 상기 지지바 결합단계에서 상기 지지바의 관통공을 통과한 와이어의 단부에 결합블록이 체결되어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바를 지지하는 결합블록 체결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structing a barrier-coated bulk support, which is coupled to both side grooves of a barrier block and is connected to a heavy equipment by a wire connected to the heavy equipment, The wire is extended in a diagonal direction on opposite sides of the barrier, and the wire connection device is coupled to the wire at a position where the wire is crossed to adjust a balance of the lifting of the barrier, And the end portions of the wire extending through the wire receiving step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through holes of the support bar and the support bars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support bar engagement hol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rrier seats, A support bar engaging step for engaging the support And a joining block fastening step of joining the joining block to the end of the wir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support bar in the joining step to support the support bar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wire.

본 발명에 따르면, 양중을 위한 건자재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도록 와이어의 단부에 구비되면서 사용자에 의해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해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건자재의 이동 및 설치시 평형을 유지하며 양중할 수 있어 건자재의 기울어짐으로 발생되기 쉬운 안전사고 및 자재의 파손을 방지하며, 파손되지 않은 건자재의 재활용 및 재설치가 가능해 건자재의 재사용률을 높이며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wire so as to be coupl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building materials for the weight, it is easy to be joined and separated by the user to improve the work productivity and maintain the equilibrium during the movement and installation of the building materials.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nd material damage which are liable to be caused by inclination of construction materials, and to reuse and re-install unbreakable building materials, thereby increasing the reuse rate of building materials and improving the economic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에서 결합블록을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에서 와이어연결장치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에서 지지바, 블록결합핀 및 와이어고정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에서 결합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의 시공방법를 나타낸 순서도.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rrier-coated positive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for positively supporting a boundary st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nding block in a boundary seated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ire connecting apparatus in a boundary seated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support bar, a block coupling pin, and a wire fixing pin in a barrier-coated positive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onding block in the barrier-coated positive substr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upport for positively supporting a boundary st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barrier-coated positive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 및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barrier-coated support and a method of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The thickness of the lines and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easily implement the invention. But does not mean that the technical idea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imited.

또한, 하기에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definition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 및 시공방법(1)은, 중장비(4)를 이용한 경계석(3)의 이동 및 설치를 위해 경계석(3)의 양측면 홈에 결합되어 와이어(5)에 의해 양중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5)가 상호 교차되어 상기 경계석(3)의 양측면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와이어(5)가 상호 교차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5)가 교차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중장비(4)에 체결되어 상기 경계석(3)의 인양중 상기 와이어(5)를 지지하며, 상기 경계석(3)의 수평상태를 확인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와이어연결장치(300)와, 상기 와이어연결장치(300)에서 연장되어 외력을 전달하는 상기 와이어(5)가 통과하도록 일측에 관통공(110)이 폭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경계석(3)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5)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경계석(3)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바(100)와, 상기 지지바(100)의 관통공(110)을 상기 와이어(5)가 통과하여 연장되고, 상기 와이어(5)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바(100)의 외주면 일측에 인접하며, 상기 와이어(5)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지지바(100)를 지지하는 결합블록(200)을 포함한다.The support for brittle quartz and the method of construction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bonded to both side grooves of the boundary stone (3) for movement and installation of the boundary stone (3) using the heavy equipment (4) As shown in FIGS. 1 to 5, the wires 5 cross each other and extend in diagonal directions on both sides of the boundary stones 3, and are provided at positions where the wires 5 cross each other, The wire 5 is kept in an intersecting state and is supported by the heavy equipment 4 to support the wire 5 during lifting of the boundary stone 3 so as to be able to check the horizontal state of the boundary stone 3 A through hole 110 is provided in one side of the wire connecting device 300 so as to allow the wire 5 extending from the wire connecting device 300 to transmit an external force, And the wire 5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wire 5 A plurality of support bars 100 which support the barrier slab 3 when the wire 5 is applied and a through hole 110 of the support bar 100 extending through the wire 5, And a joint block 200 which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bar 100 and supports the support bar 100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wire 5.

여기서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 및 시공방법(1)은 인력으로 작업이 곤란한 상기 경계석(3)과 같은 중량의 건자재를 이동 및 설치하기 위해 중장비(4)에 연결되는 상기 와이어(5)의 단부에 결합시켜 상기 경계석(3)을 인양하는 것으로, 와이어연결장치(300), 지지바(100) 및 결합블록(200)으로 구성되며, 상기 와이어(5)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경계석(3)에 결합된 후 중장비(4)가 상기 와이어(5)를 인양하도록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barrier-coated suppor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1) are bonded to the end of the wire (5) connected to the heavy equipment (4) for moving and installing the heavy building material of the same weight as the barrier- And a connecting block 200. The connecting block 200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wire 5 and is connected to the boundary block 3, And the rear heavy equipment (4) lifts the wire (5).

전술한 중장비(4)에는 와이어연결장치(300)가 체결되는데, 이 와이어연결장치(300)는 상기 와이어(5)가 상호 교차되어 상기 경계석(3)의 양측면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와이어(5)가 상호 교차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5)가 교차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중장비(4)에 체결되어 상기 경계석(3)의 인양중 상기 와이어(5)를 지지하며 상기 경계석(3)의 수평상태를 확인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5)가 교차된 상태를 유지시켜 상기 와이어(5)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경계석(3)의 설치 및 인양 작업중 수평 유지여부를 확인 가능하도록 구비된다.The wire connecting device 300 is fastened to the heavy equipment 4 by extending the wires 5 in a diagonal direction on opposite sides of the boundary wall 3 so as to cross each other, (5) are cross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wire (5) is kept crossed and the wire (5) is fastened to the heavy equipment (4) (5)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by maintaining the cross state of the wire (5) so as to be able to confirm the horizontal state of the wire (3) As shown in FIG.

상기 와이어연결장치(300)는 상기 와이어(5)가 교차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외력의 전달에 의해 상기 와이어(5)를 지지하며, 상기 경계석(3)의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연결장치하판(310), 연결장치상판(320), 결합고리(330) 및 고리결합홈(312)으로 구성된다.The wire connection device 300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wire 5 by maintaining the wire 5 in an intersecting state or by transferring an external force, 310, a connecting device upper plate 320, a coupling ring 330, and a ring coupling groove 312.

상기 연결장치하판(310)은 상기 와이어(5)가 상호 교차된 상태를 유지시키며, 외력의 전달에 의해 상기 와이어(5)의 하부에서 상기 와이어(5)를 지지하도록 구비된다.The lower connecting plate 310 is provided to keep the wires 5 crossed with each other and to support the wire 5 at a lower portion of the wire 5 by the transmission of an external force.

상기 연결장치하판(310)의 상면에는 연결장치상판(320)이 결합되는데, 이 연결장치상판(320)은 상기 연결장치하판(310)의 상면을 커버하여 상기 와이어(5)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결장치하판(31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장치하판(310)에 지지되는 상기 와이어(5)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와이어(5)를 정위치시켜 교차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비된다.A connecting device upper plate 32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nnecting plate 310 so as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nnecting plate 310 to prevent the wires 5 from coming off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connecting plate 310 prevents the wire 5 supported by the lower connecting plate 3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lower connecting plate 310 so that the wire 5 can be properly positioned and crossed. Respectively.

상기 연결장치상판(320)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장치하판(310)에 결합고리(330)가 결합되는데, 이 결합고리(330)는 상기 연결장치상판(32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장치하판(310)의 중심부에 결합되도록 일측이 돌출되어 나사선이 구비되고, 타측이 상기 중장비(4)에 체결되도록 내측이 개방되어 외력을 상기 연결장치하판(310)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상기 경계석(3)을 설치 및 인양시 상기 결합고리(330)가 중장비(4)에 체결되어 외력을 상기 와이어(5)를 지지하는 상기 연결장치하판(310)으로 전달하도록 구비된다.A coupling ring 330 is coupled to the coupling device lower plate 310 through the coupling device upper plate 320. The coupling ring 330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coupling device upper plate 320, And the other side is opened to be coupled to the heavy equipment 4 so that an exter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connection device lower plate 310, The coupling ring 330 is fastened to the heavy equipment 4 to transmit an external force to the lower connecting plate 310 which supports the wire 5.

상기 결합고리(330)는 연결장치하판(310)에 구비되는 고리결합홈(312)에 체결되는데, 이 고리결합홈(312)은 상기 결합고리(330)가 결합되도록 상기 연결장치하판(310)의 중심부에 홈이 형성되어 내주면에 나사선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장치상판(320)의 중심부를 관통한 상기 결합고리(330)가 상기 고리결합홈(312)의 나선을 따라 회전되어 상기 연결장치하판(31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The coupling ring 330 is coupled to a coupling groove 312 formed in the lower coupling plate 310. The coupling coupling groove 312 is formed in the coupling lower plate 310 so that the coupling ring 330 is engaged, The coupling ring 330 passing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upling device upper plate 320 is rotated along the spiral of the coupling ring groove 312, And is firmly coupled to the lower plate 310.

상기 연결장치하판(310)에는 와이어가이드홈(311)이 구비되는데, 이 와이어가이드홈(311)은 상기 연결장치하판(310)의 상면에 상기 와이어(5)를 안내하는 홈이 상호 교차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5)가 상호 교차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5)를 상호 교차되는 홈의 내측으로 수용해 정위치시키며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A wire guide groove 311 is formed in the lower connecting plate 310 so that grooves for guiding the wires 5 cross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nnecting plate 310 So as to keep the wires 5 crossed with each other. The wire 5 is accommodated inside the mutually intersecting grooves to prevent the wire 5 from escaping.

상기 와이어가이드홈(311)과 이격되어 복수 개의 연결장치고정홈(313)이 구비되는데, 이 연결장치고정홈(313)은 상기 와이어가이드홈(311)의 양측으로 상호 이격되어 상기 연결장치하판(3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장치상판(320)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호 교차되어 구비되는 상기 와이어가이드홈(311)의 양측으로 각각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연결장치하판(3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기 연결장치상판(320)을 고정시키도록 구비된다.The plurality of connection device fixing grooves 313 are spaced apart from the wire guide grooves 311. The connection device fixing grooves 31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wire guide grooves 311, 310 and are spaced apart from both sides of the wire guide grooves 311 which are mutually intersecting to fix the connecting device upper plate 320. The upper part of the lower connecting plate 310 The connecting device upper plate 320 coupled to the connecting device upper plate 320 is fixed.

상기 연결장치고정홈(313)에 연결장치결합부(322)가 결합되는데, 이 연결장치결합부(322)는 상기 연결장치고정홈(313)에 대응되게 구비되며, 상기 연결장치고정홈(313)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연결장치상판(320)의 하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장치결합부(322)가 상기 연결장치고정홈(313)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장치상판(320)이 상기 연결장치하판(310)의 상면을 커버하며, 상기 와이어(5)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The connecting device engaging portion 322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device fixing groove 313 and the connecting device engaging portion 322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connecting device fixing groove 313 and the connecting device fixing groove 313 The coupling device coupling portion 322 is coupled to the coupling device fixing groove 313 so that the coupling device upper plate 320 is coupled to the coupling device fixing groove 313,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310 and prevents the wire 5 from coming off.

상기 연결장치상판(320)에는 고리관통공(321)이 구비되는데, 이 고리관통공(321)은 상기 연결장치상판(320)의 중심부가 개방되어 상기 결합고리(330)의 일측이 통과되도록 구비된다.The coupling device upper plate 320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321 through which the center of the coupling device upper plate 320 is opened to allow one side of the coupling hook 330 to pass therethrough. do.

상기 고리관통공(321)과 인접하여 레벨측정기(323)가 구비되는데, 이 레벨측정기(323)는 상기 고리관통공(321)과 인접하여 상기 연결장치상판(320)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경계석(3)의 인양 및 설치 작업중 수평상태의 확인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레벨측정기(323)에 포함되는 물방울의 위치로 기울임 정도를 확인할 수 있어 수평상태를 확인하며 작업 가능하도록 구비된다.A level meter 323 is provided adjacent to the annular through hole 321. The level meter 323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device upper plate 320 adjacent to the annular through hole 321,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horizontal state during the lifting and installation work of the barrier slab 3 and to check the degree of tilting to the position of the water drop included in the level meter 323,

상기 와이어연결장치(300)가 상기 와이어(5)를 고정하는 방법은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상기 와이어연결장치(300)는 상기 경계석(3)의 각 측면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호 교차되는 상기 와이어(5)뿐만 아니라 상기 경계석(3)의 양측면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는 와이어(5) 등 다양하게 설치되는 와이어(5)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The method for fixing the wire 5 by the wire connection device 300 is for showing an embodiment and the wire connection device 300 extends diagonally from each side of the barrier slab 3 The wire 5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fix not only the wires 5 mutually intersecting but also wires 5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arrier slab 3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한편, 상기 와이어연결장치(300)의 구성은 전술한 바가 바람직하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와이어가이드홈(311)에 수용되는 상기 와이어(5)를 견고하게 고정 시키도록 상기 와이어가이드홈(311)이 형성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상기 연결장치상판(320)의 상부를 복수 개의 연결장치고정핀(미도시)이 관통하여 상기 와이어가이드홈(311)에 수용되는 상기 와이어(5)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경계석(3)의 양중 및 설치 작업중 상기 와이어연결장치(300)에 수용되는 상기 와이어(5)의 고정된 위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Although the wire connecting device 300 is described above, the wire guide groove 311 may be formed to securely fix the wire 5 received in the wire guide groove 311, A plurality of connecting device fixing pins (not shown) penetrate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device upper plate 320 corresponding to the formed position, and the wires 5 accommodated in the wire guide grooves 311 are pressed and fixed And to prevent the fixed position of the wire 5 accommodated in the wire connecting device 300 from deviating during the operation of the boundary stone 3 and during installation work.

한편, 상기 와이어(5)에는 눈금(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연결장치(300)에 수용된 상태에서 경계석(3)의 양중 및 설치 작업중 평형을 유지하거나 기울기를 주기위한 미세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The wire 5 is provided with a graduation (not shown) so as to be finely adjustable to keep the balance stone 3 in a state of being accommodated in the wire connection device 300 and to maintain or balance the balance during installation work. do.

전술한 와이어연결장치(300)에서 연장되는 각각의 와이어(5)에는 복수 개의 지지바(100)가 연결되는데, 이 지지바(100)는 상기 와이어연결장치(300)에서 연장되어 외력을 전달하는 상기 와이어(5)가 통과하도록 일측에 관통공(110)이 폭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경계석(3)의 양측면 홈에 구비되는 지지바결합공(120)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5)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경계석(3)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경계석(3)의 인양 및 설치중 평형을 유지하도록 상기 경계석(3)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지지바결합공(120)에 복수 개의 상기 지지바(100)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5)에서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경계석(3)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A plurality of support bars 100 ar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wires 5 extending from the wire connection device 300. The support bars 100 extend from the wire connection device 300 to transmit external force A through hole 110 is provided in one side of the wire 5 to allow the wire 5 to pass therethrough and is connected to the support bar coupling hole 120 provided in both side grooves of the boundary stone 3, The support bar coupling hole 120 provid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barrier block 3 is formed to support a plurality of the support bars 3 so as to maintain an equilibrium during lifting and installation of the barrier block 3, And the bar 100 is inserted and coupled to each other and is supported to support the barrier block 3 by an exter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wire 5.

전술한 지지바(100)에서 연장되는 와이어(5)에 결합블록(200)이 체결되는데, 이 결합블록(200)은 상기 지지바(100)의 관통공(110)을 상기 와이어(5)가 통과하여 연장되고, 상기 와이어(5)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바(100)의 외주면 일측에 인접하며, 상기 와이어(5)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지지바(100)를 지지하는 것으로, 결합블록(200)은 하기에서 설명하려는 제1블록(210) 및 제2블록(220)으로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5)의 단부에 견고하게 체결되며, 상기 와이어(5)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바(100)의 외주면 일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The coupling block 200 is fastened to the wire 5 extending from the support bar 100. The coupling block 200 connects the through hole 110 of the support bar 100 with the wire 5 A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bar 100 and fastened to an end of the wire 5 to support the support bar 100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wire 5, The block 200 is composed of a first block 210 and a second block 220 to be described below and is firmly fastened to an end of the wire 5 and is connected to the wire 5 by an external force And is configured to support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bar 100.

상기 결합블록(200)은 제1블록(210) 및 제2블록(220)으로 구성되는데, 이 제1블록(210) 및 제2블록(220)은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호 결합에 의해 상기 와이어(5)를 체결시켜 상기 지지바(100)의 외주면에 인접하는 것으로, 상기 제1블록(210) 및 제2블록(220)이 결합되는 사이에 상기 와이어(5)가 개재되어 체결되며, 상기 와이어(5)의 단부는 상기 제1블록(210) 및 제2블록(220)이 결합된 상태의 단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매듭지어져 구비된다.The coupling block 200 includes a first block 210 and a second block 220. The first block 210 and the second block 220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wire 5 is fastened between the first block 210 and the second block 22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bar 100 by fastening the first block 210 and the second block 220, The end of the wire 5 is knott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end of the first block 210 and the second block 220 in a coupled state.

상기 제1블록(210) 및 제2블록(220)의 일측면에는 제1수용홈(211) 및 제2수용홈(221)이 각각 구비되는데, 이 제1수용홈(211) 및 제2수용홈(221)은 상기 제1블록(210) 및 제2블록(220)의 일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호 대칭상태를 이루며, 상기 와이어(5)의 일부분을 각각 수용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바(100)에서 연장되는 와이어(5)를 상기 결합블록(200)이 체결시키기 위해 상기 제1수용홈(211) 및 제2수용홈(221)으로 상기 와이어(5)를 수용하도록 구비된다.A first receiving groove 211 and a second receiving groove 221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block 210 and the second block 220. The first receiving groove 211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221, The grooves 221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block 210 and the second block 220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each receive a part of the wire 5, To receive the wire 5 into the first receiving groove 211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221 for fastening the coupling block 200 to the wire 5 extending from the first receiving groove 211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221.

상기 제1수용홈(211) 및 제2수용홈(221)과 이격되어 제1블록결합홈(212) 및 제2블록결합홈(222)이 각각 구비되는데, 이 제1블록결합홈(212) 및 제2블록결합홈(222)은 상기 제1수용홈(211) 및 제2수용홈(221)의 양측으로 각각 이격되어 내측이 개방된 중공부가 상기 제1블록(210) 및 제2블록(220)의 폭 방향으로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블록(210)에는 제1블록결합홈(212)이 구비되며, 상기 제2블록(220)에는 상기 제2블록결합홈(222)이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210) 및 제2블록(220)이 결합되면 상호 대응되도록 구비된다.The first block coupling groove 212 and the second block coupling groove 222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receiving groove 211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221, And the second block coupling groove 22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first receiving groove 211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221 so that a hollow portion of the first block 210 and the second block 221, The first block 210 is provided with a first block coupling groove 212 and the second block 220 is provided with the second block coupling groove 222. When the first block 210 and the second block 22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y correspond to each other.

상기 제1블록결합홈(212) 및 제2블록결합홈(222)을 각각 관통하도록 복수 개의 블록결합핀(230)이 구비되는데, 이 블록결합핀(230)은 상기 제1블록결합홈(212) 및 제2블록결합홈(222)을 각각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제1블록(210) 및 제2블록(220)을 상호 결합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1블록(210) 또는 제2블록(220)에 구비되는 제1블록결합홈(212) 또는 제2블록결합홈(222)을 상기 블록결합핀(230)이 관통하여 상기 제1블록(210)과 제2블록(220)을 상호 결합고정시키도록 구비된다.A plurality of block engaging pins 230 are provided to penetrate the first block engaging grooves 212 and the second block engaging grooves 222. The block engaging pins 230 are inserted into the first block engaging grooves 212 The first block 210 and the second block 22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econd block coupling groove 222 and the first block 210 and the second block 220, The first block coupling groove 212 or the second block coupling groove 222 included in the first block 210 and the second block 220 may be inserted through the block coupling pin 230, Respectively.

상기 제1블록(210)의 제1수용홈(211)이 구비되는 위치에는 와이어고정홈(213)이 복수 개로 구비되는데, 이 와이어고정홈(213)은 상기 제1수용홈(211)이 구비되는 위치의 상기 제1블록(210)의 내부에 구비되며, 내측이 개방된 중공부가 상기 제1블록(210)의 폭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수용홈(211)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상기 와이어(5)를 가압하는 하기에서 설명하려는 와이어고정핀(240)이 통과되도록 구비된다.A plurality of wire fixing grooves 213 are provided at positions where the first receiving grooves 211 of the first block 210 are provided. The wire fixing grooves 213 are formed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211 And a hollow portion provided inside the first block 210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block 210 is opened and a hollow portion with an open inside is provid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block 210, And a wire fixing pin 2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or pressing the wire 5 is passed.

상기 와이어고정홈(213)을 통과하도록 와이어고정핀(240)이 구비되는데, 이와이어고정핀(240)은 상기 와이어고정홈(213)을 관통하여 상기 제1블록(210)에 결합되며, 상기 제1수용홈(211) 및 제2수용홈(221)에 수용되는 상기 와이어(5)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5)를 가압하여 견고하게 체결시킴으로 상기 제1블록(210) 및 제2블록(220)에서 상기 와이어(5)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A wire fixing pin 240 is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wire fixing groove 213. The fixing pin 240 is coupled to the first block 210 through the wire fixing groove 213, The wires 5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211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221 are pressed and fixed so that the wire 5 is pressed and tightly fastened to the first block 210, And to prevent the wire 5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econd block 220.

상기 와이어고정핀(240)과 함께 상기 와이어(5)를 가압하도록 상기 제2수용홈(221)에 와이어고정돌기(223)가 구비되는데, 이 와이어고정돌기(223)는 상기 와이어고정핀(240)의 단부와 대응되며, 상기 제2수용홈(22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와이어고정핀(240)과 함께 상기 제1수용홈(211) 및 제2수용홈(221)에 수용되는 상기 와이어(5)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고정핀(240)과 함께 상기 와이어(5)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A wire fixing protrusion 223 is provided in the second receiving groove 221 so as to press the wire 5 together with the wire fixing pin 240. The wire fixing protrusion 223 is inserted into the wire fixing pin 240 And is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wires 221 protruding outward from the second receiving groove 221 and received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211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221 together with the wire fixing pin 240. [ (5) is pressed and fixed to prevent the wire (5) from coming off together with the wire fixing pin (240).

한편, 지지바(100), 블록결합핀(230) 및 와이어고정핀(240)의 구성은 전술한 바가 바람직하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지지바(100), 블록결합핀(230) 및 와이어고정핀(240)의 외주면에는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요철(S)이 구비되는데, 이 요철(S)은 상기 지지바(100), 블록결합핀(230) 및 와이어고정핀(240)이 상기 제1블록(210) 또는 제2블록(220)에 결합되어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Although the supporting bar 100, the block connecting pin 230 and the wire fixing pin 240 are preferably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ing bar 100, the block connecting pin 230,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S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lock 240 so as to increas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support block 100 and the block fixing pin 230 and the wire fixing pin 240, 210 or the second block 220 to prevent disengagement.

한편, 결합블록(200)을 구성하는 제1블록(210) 및 제2블록(220)의 구성은 전술한 바가 바람직하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블록(210) 및 제2블록(220)이 상호 결합된 상태의 일측 측면에 힌지부재(250)가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210) 및 제2블록(220)의 측면 일측이 상호 연결되는데, 이 힌지부재(250)는 상호 결합된 제1블록 및 제2블록(220)의 측면 일측에 힌지부재(250)가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210) 또는 제2블록(220)을 상호 연결하며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힌지부재(250)로 인해 상기 제1블록(210) 및 제2블록(220)이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각각 회동가능하며, 상기 제1블록(210) 및 제2블록(220)이 분리되어 있지 않아 분실을 방지하고, 상호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비된다.The first block 210 and the second block 220 constituting the coupling block 200 are preferably as described above. However, the first block 210 and the second block 220 The first block 210 and the second block 2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one side of the hinge member 250. The hinge member 250 is connected to the first block 210 and the second block 220, The hinge member 25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lock and the side of the second block 220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block 210 or the second block 220. The hinge member 250 The first block 210 and the second block 220 can be rotated while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block 210 and the second block 220 are not separated to prevent loss , So as to facilitate mutual coupling.

이와 같이 구성된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 및 시공방법(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barrier-coated suppor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1)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 및 시공방법(1)은 와이어(5)가 체결되는 지지바(100)가 경계석(3)의 양측면에 복수 개가 각각 결합되며, 와이어(5)가 중장비(4)에 체결되어 외력의 작용에 의해 경계석(3)을 인양 및 설치시 경계석(3)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작업능률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A plurality of supporting bars 100 to which the wires 5 are fastened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barrier seats 3 and a wire 5 is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barrier seats 3, It is connected to the heavy equipment (4), and the boundary stone (3) is firmly supported when lifting and installing the boundary stone (3) by the action of external force,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and productivity and preventing safety accident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연결장치(300)는 중장비(4)에 연결되어 와이어(5)의 교차상태를 유지시키고, 외력에 의해 와이어(5)를 지지하는 것으로, 중장비(4)에 의해 외력이 전달되면 지지바(100) 및 결합블록(200)으로 인해 경게석에 체결된 와이어(5)를 지지하며, 와이어(5)의 교차 상태를 유지시켜 와이어(5) 상호간에 발생되는 마찰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고, 경계석(3)의 인양 및 설치 작업중 평형을 유지시키며 작업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작업효율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wire connect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heavy equipment 4 to maintain the intersection state of the wire 5 and to support the wire 5 by an external force, When the external force is transmitted by the supporting bar 100 and the coupling block 200, the wire 5 held by the supporting block 100 is held by the support block 100 and the wire 5 is maintained in the crossed st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amage due to the accident, and to maintain the equilibrium during the lifting and installation work of the barrier seats 3, thereby preventing the safety accident and increasing the working efficienc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바(100)는 와이어(5)가 지지바(100)의 관통공(110)을 통과하여 연결되고, 경계석(3)의 양측면 홈에 구비되는 지지바결합공(120)에 각각 결합되어 외력의 전달에 의해 경계석(3)을 지지하는 것으로, 경계석(3)의 양측면의 지지바결합공(120)에 복수 개가 각각 끼움결합되어 경계석(3)의 균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인양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supporting ba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5 is connec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10 of the supporting bar 100 and the supporting bar 100 And a plurality of support bar coupling holes 120 on both sides of the barrier stone 3 are fitted and joined to each other to balance the barrier stone 3 Allows lifting in one state.

상기 경계석(3)의 일측 측면에 결합되는 지지바(100)의 관통공(110)을 와이어(5)의 일측이 통과하여 연결되고, 와이어(5)의 타측이 경계석(3)의 타측 측면 대간선 방향에 결합되는 다른 지지바(100)의 관통공(110)을 통과하여 상호 연결되며, 지지바(100)에 각각 결합되어 상호 교차되는 와이어(5)의 교차점에 와이어연결장치(300)가 결합되어 중장비(4)가 체결됨으로 경계석(3)의 평형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면서 인양할 수 있다.The through hole 110 of the support bar 10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undary stone 3 through one side of the wire 5 and the other side of the wire 5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boundary stone 3, The wire connecting device 300 is connected to the supporting bar 100 through the through holes 110 of the other supporting bars 100 coupled to the supporting bar 100 and is connected to the intersection of the mutually intersecting wires 5, And the heavy equipment (4) is joined together, so that the equilibrium of the boundary stones (3) can be effectively maintained while being lif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블록(200)은 지지바(100)의 관통공(110)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와이어(5)의 단부에 각각 채결되어 외력의 작용에 의해 지지바(100)의 일측 외주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와이어(5)가 제1블록(210) 및 제2블록(220)에 구비되는 제1수용홈(211) 및 제2수용홈(221)에 수용되고, 와이어고정핀(240)이 제1블록(210)의 제1수용홈(211)이 구비되는 위치를 관통하여 와이어(5)를 가압시키며, 블록결합핀(230)이 제1블록(210) 및 제2블록(220)의 폭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블록결합홈 및 제2블록결합홈을 관통하여 상기 제1블록(210) 및 제2블록(220)을 상호 결합고정시킴으로 와이어(5)가 견고하게 체결되어 외력의 작용에 의해 경계석(3)을 지지하는 지지바(100)를 견고하게 지지한다.The coupling block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n end of a wire 5 extending through a through hole 110 of a support bar 100 and is coupled to the support bar 100 by the action of an external force, The wire 5 is received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211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221 provided in the first block 210 and the second block 220, The pin 240 passes through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receiving groove 211 of the first block 210 is provided to press the wire 5 and the block coupling pin 230 contacts the first block 210 and the second block 210. [ The first block 210 and the second block 220 are coupled and fix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block connecting groove and the second block connecting groove provid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lock 220, And firmly supports the supporting bar 100 supporting the boundary stone 3 by the action of an external force.

상기 제1블록(210) 및 제2블록(220)의 제1수용홈(211) 및 제2수용홈(221)에 수용되는 와이어(5)의 단부는 제1수용홈(211) 및 제2수용홈(221)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원형공간의 지름보다 크게 매듭지어져 결합블록(200)에서 와이어(5)의 이탈을 방지한다.The ends of the wires 5 received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211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221 of the first block 210 and the second block 220 are inserted into the first receiving groove 211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221, And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space formed by the receiving groove 221 to prevent the wire 5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upling block 200.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지지바(100), 블록결합핀(230) 및 와이어고정핀(240)은 상기 제1블록(210) 또는 제2블록(220)에 결합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요철(S)이 지지바(100), 블록결합핀(230) 및 와이어고정핀(24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supporting block 100, the block connecting pin 230 and the wire fixing pin 24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block 210 or the second block 220 to prevent the first block 210 or the second block 220 from being separated The protrusion S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bar 100, the block coupling pin 230, and the wire fixing pin 240, thereby increasing the frictional force.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블록(210) 및 제2블록(220)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측면에 구비되는 힌지부재(250)로 인해 상호 연결되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힌지부재(250)로 인해 제1블록(210) 또는 제2블록(220)이 각각 회동되어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상호 연결되어 있음으로 분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lock 210 and the second block 2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hinge member 250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block 210 and the second block 220, The first block 210 or the second block 220 is rotated by the hinge member 250 so that the installation work is facilitated and the mutual connection is prevented.

전술한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 및 시공방법(1)을 이용해 경계석(5)을 설치 및 양중하는 방법으로는 와이어 수용단계(T300), 지지바 결합단계(T100) 및 결합블록 체결단계(T200)를 통해 이루어진다.As a method of installing and supporting the boundary stone 5 using the above-described boundary stone supporting member and the construction method (1), a method of installing and supporting the boundary stone 5 may be carried out through a wire receiving step T300, a supporting bar joining step T100 and a joining block joining step T200 .

상기 와이어 수용단계(T300)는 중장비(4)에 연결되는 와이어(5)가 경계석(3)이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체결되기 위한 준비단계로, 중장비에 연결되는 와이어(5)가 경계석(3)의 양측면 대각선 방향으로 상호 교차되어 연장되고, 와이어(5)가 교차되는 위치에 와이어연결장치(300)가 결합되어 경계석(3)의 인양중 평형이 유지되도록 조정 가능하며, 와이어(5)의 파손을 방지하는 단계이다.The wire receiving step T300 is a step for preparing a wire 5 connected to the heavy equipment 4 to exten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oundary stone 3 is positioned and fastened. And the wire connecting device 300 is coupled to a position where the wires 5 intersect to adjust the balance of the lifting of the boundary stone 3 so that the wire 5 is damaged .

상기 지지바 결합단계(T100)는 와이어(5)의 단부에 체결되는 지지바(100)가 경계석(3)의 양측면 지지바결합공(120)에 각각 결합되는 단계로, 와이어 수용단계(T300)를 통해 연장되는 와이어(5)의 단부가 지지바(100)의 관통공(110)을 각각 통과하여 연결되고, 지지바(100)가 상기 경계석(3)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지지바결합공(120)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경계석(3)을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단계이다.The supporting bar joining step T100 is a step in which the supporting bars 100 fastened to the ends of the wires 5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both side supporting bar engaging holes 120 of the boundary stone 3, And the end of the wire 5 extending through the support bar 10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10 of the support bar 100 and the support bar 10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bar engagement hole 120 and are coupled to support the boundary slab 3.

상기 결합블록 체결단계(T200)는 지지바 결합단계(T100)에서 연장되는 와이어(5)의 단부에 결합블록(200)이 체결되는 단계로, 지지바 결합단계(T200)에서 상기 지지바(100)의 관통공(110)을 통과한 와이어(5)의 단부에 결합블록(200)이 체결되어 와이어(5)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바(100)를 지지하는 단계이다.The coupling block fastening step T200 is a step in which the coupling block 200 is fastened to the end of the wire 5 extending in the supporting bar coupling step T100. The supporting block 100 is supporte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wire 5 by fastening the coupling block 200 to the end of the wire 5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hrough hole 110 of the wire 5.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 및 시공방법(1)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may be practiced in various other forms, such as those of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3 : 경계석 4 : 중장비
5 : 와이어 100 : 지지바
110 : 관통공 120 : 지지바결합공
200 : 결합블록 210 : 제1블록
211 : 제1수용홈 212 : 제1블록결합홈
213 : 와이어고정홈 220 : 제2블록
221 : 제2수용홈 222 : 제2블록결합홈
223 : 와이어고정돌기 230 : 블록결합핀
240 : 와이어고정핀 250 : 힌지부재
300 : 와이어연결장치 310 : 열결장치하판
311 : 와이어가이드홈 312 : 고리결합홈
313 : 연결장치고정홈 320 : 연결장치상판
321 : 고리관통공 322 : 연결장치결합부
323 : 레벨측정기 330 : 결합고리
S : 요철
3: Barrier 4: Heavy Equipment
5: wire 100: support bar
110: Through hole 120: Support bar coupling hole
200: combining block 210: first block
211: first receiving groove 212: first block connecting groove
213: wire fixing groove 220: second block
221: second receiving groove 222: second block connecting groove
223: wire fixing protrusion 230: block fitting pin
240: wire fixing pin 250: hinge member
300: wire connection device 310:
311: wire guide groove 312: ring engagement groove
313: connecting device fixing groove 320: connecting device top plate
321: Ring through hole 322: Connecting device coupling part
323: level meter 330: coupling ring
S: unevenness

Claims (9)

중장비를 이용한 경계석의 이동 및 설치를 위해 경계석의 양측면 홈에 결합되어 와이어에 의해 양중되는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가 상호 교차되어 상기 경계석의 양측면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와이어가 상호 교차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가 교차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중장비에 체결되어 상기 경계석의 인양중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며 상기 경계석의 수평상태를 확인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와이어연결장치;
상기 와이어연결장치에서 연장되어 외력을 전달하는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도록 일측에 관통공이 폭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경계석의 양측면 홈에 구비되는 지지바결합공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경계석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의 관통공을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여 연장되고,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바의 외주면 일측에 인접하며, 상기 와이어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지지바를 지지하는 결합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연결장치는,
상기 와이어가 상호 교차된 상태를 유지시키며, 외력의 전달에 의해 상기 와이어의 하부에서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연결장치하판;
상기 연결장치하판의 상면을 커버하여 상기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결장치하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연결장치상판;
상기 연결장치상판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장치하판의 중심부에 결합되도록 일측이 돌출되어 나사선이 구비되고, 타측이 상기 중장비에 체결되도록 내측이 개방되어 외력을 상기 연결장치하판으로 전달하는 결합고리; 및
상기 결합고리가 결합되도록 상기 연결장치하판의 중심부에 홈이 형성되어 내주면에 나사선이 구비되는 고리결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
A support for a barrier-bound positively charged with a wire, which is coupled to both side grooves of a barrier seat for movement and installation of barrier seals using heavy equipment,
The wires are crossed with each other and extend in diagonal directions on opposite sides of the boundary, and the wires are provided at intersecting positions to keep the wires crossed, and the wires are fastened to the heavy equipment, A wire connecting device for supporting a horizontal state of the barriers;
A through hol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t one side of the wire connecting device extending through the wire connecting device to allow an external force to pass therethrough and being coupled to a support bar coupling hole provided in both side grooves of the boundary block, A plurality of support bars supporting the boundary stones; And
And a coupling block extending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support bar 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bar and connected to an end of the wire to support the support bar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wire, ,
The wire connecting device includes:
A connecting device lower plate which keeps the wires crossed each other and supports the wire at a lower portion of the wire by an external force;
A connecting device upper plat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connecting plate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nnecting plate to prevent the wire from coming off;
A coupling ring which penetrates a central portion of the coupling device upper plate to have one side thereof protruded to be coupled to a cent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of the coupling device and has an inner side opened to connect the other side to the heavy equipment, And
Further comprising an annular groov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plate of the coupling unit so that the coupling ring is engaged with the coupling ring and having a threa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하판의 상면에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는 홈이 상호 교차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가 상호 교차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와이어가이드홈;
상기 와이어가이드홈의 양측으로 상호 이격되어 상기 연결장치하판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장치상판을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연결장치고정홈; 및
상기 연결장치고정홈에 대응되게 구비되며, 상기 연결장치고정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연결장치상판의 하면에 구비되는 연결장치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wire guide groov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of the connection unit so as to intersect the grooves for guiding the wires so as to keep the wires crossed with each other;
A plurality of connection device fixing grooves spaced from each other at both sides of the wire guide groove and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on device lower plate to fix the connection device upper plate; And
Further comprising a coupling device coupling portion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device upper plate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device fixing groove and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device fixing groov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상판의 중심부가 개방되어 상기 결합고리의 일측이 통과되도록 구비되는 고리관통공; 및
상기 고리관통공과 인접하여 상기 연결장치상판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경계석의 인양 및 설치 작업중 수평상태의 확인이 가능한 레벨측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annular through hole having a central portion of the connecting device upper plate opened to allow one side of the engagement ring to pass therethrough; And
Further comprising a level measuring devic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device upper plate adjacent to the annular through hole and capable of confirming a horizontal state during lifting and installation of the boundary seat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블록은,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호 결합에 의해 상기 와이어를 체결시켜 상기 지지바의 외주면 일측에 인접하는 제1블록 및 제2블록;
상기 제1블록 및 제2블록의 일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호 대칭상태를 이루며,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을 각각 수용하는 제1수용홈 및 제2수용홈;
상기 제1수용홈 및 제2수용홈의 양측으로 각각 이격되어 내측이 개방된 중공부가 상기 제1블록 및 제2블록의 폭 방향으로 각각 구비되어 상호 대응되는 제1블록결합홈 및 제2블록결합홈; 및
상기 제1블록결합홈 및 제2블록결합홈을 각각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제1블록 및 제2블록을 상호 결합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블록결합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block includes:
A first block and a second block which ar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which are adjacent to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bar by fastening the wire by mutual coupling;
A first receiving groove and a second receiving groove which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and symmetrically formed to receive a portion of the wire,
And a hollow portion spaced apart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receiving groove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and having an open inside is provid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home; And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block coupling pins coupled through the first block coupling grooves and the second block coupling grooves respectively and fixing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to each other,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결합블록은,
상기 제1수용홈이 구비되는 위치의 상기 제1블록의 내부에 구비되며, 내측이 개방된 중공부가 상기 제1블록의 폭 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와이어고정홈;
상기 와이어고정홈을 관통하여 상기 제1블록에 결합되며, 상기 제1수용홈 및 제2수용홈에 수용되는 상기 와이어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와이어고정핀; 및
상기 와이어고정핀의 단부와 대응되며, 상기 제2수용홈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와이어고정핀과 함께 상기 제1수용홈 및 제2수용홈에 수용되는 상기 와이어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와이어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
The method of claim 5,
The coupling block includes:
A plurality of wire fixing grooves provided in the first block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receiving groove is provided and in which a hollow portion with an open inside is provid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block;
A wire fixing pin penetrating the wire fixing groove to be coupled to the first block and pressing and fixing the wire received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And
A wire fixing protrusion corresponding to an end of the wire fixing pin and projecting outward from the second receiving groove to press and fix the wire received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together with the wire fixing pin;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barrier seats.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 블록결합핀 및 와이어고정핀의 외주면에는 마찰력을 증가시켜 이탈을 방지하는 요철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bar, the block engagement pin, and the wire fixing pin is provided with irregularities for increasing frictional force to prevent separation.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 및 제2블록이 결합되는 측면의 일측에는 힌지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 또는 제2블록의 측면 일측이 상호 연결되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hinge member is provided at one side of a side to which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are coupled, and one side of the first block or the second block is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청구항 1 및 청구항3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중장비에 연결되는 와이어가 경계석의 양측면 대각선 방향으로 상호 교차되어 연장되고, 상기 와이어가 교차되는 위치에 와이어연결장치가 결합되어 상기 경계석의 인양중 평형이 유지되도록 조정 가능하며 상기 와이어의 파손을 방지하는 와이어 수용단계;
상기 와이어 수용단계를 통해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지지바의 관통공을 각각 통과하여 연결되고, 상기 지지바가 상기 경계석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지지바결합공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경계석을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바 결합단계; 및
상기 지지바 결합단계에서 상기 지지바의 관통공을 통과한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결합블록이 체결되어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바를 지지하는 결합블록 체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양중용 지지체의 시공방법.
A method of constructing a barrier-coated support for a boundary sto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3 to 8,
The wire connected to the heavy equipment is extended so as to intersect diagonally with the opposite sides of the barrier seats and the wire connecting device is coupled to the intersection of the wires to adjust the balance so as to maintain the balance, A wire receiving step;
The end portions of the wire extending through the wire receiving step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through holes of the support bar and the support bars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support bar engagement hol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rrier seams to be coupled to support the barrier seats Joining the support bars; And
And a coupling block fastening step of fastening the coupling block to the end of the wir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support bar in the supporting bar coupling step to support the supporting bar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wire. A method for constructing a barrier-sheathed support.
KR1020160171488A 2016-12-15 2016-12-15 Support Body For Lifting of Boundary Stone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1017442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488A KR101744278B1 (en) 2016-12-15 2016-12-15 Support Body For Lifting of Boundary Stone And Method Of Constr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488A KR101744278B1 (en) 2016-12-15 2016-12-15 Support Body For Lifting of Boundary Stone And Method Of Constru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4278B1 true KR101744278B1 (en) 2017-06-07

Family

ID=59223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488A KR101744278B1 (en) 2016-12-15 2016-12-15 Support Body For Lifting of Boundary Stone And Method Of Constru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27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37416A (en) * 2019-11-15 2020-05-12 上海江南长兴造船有限责任公司 Mounting platform module of MARK III type enclosure system and hoisting rings thereof
KR20230108102A (en) 2022-01-10 2023-07-18 썬파크 주식회사 Supportimng structure of exterior building struc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1791Y1 (en) 1994-08-25 1999-06-01 최두영 Civil Rockfall Protection Net
JP2000247571A (en) * 1999-02-26 2000-09-12 Matsuoka Concrete Kogyo Kk Rotary suppor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1791Y1 (en) 1994-08-25 1999-06-01 최두영 Civil Rockfall Protection Net
JP2000247571A (en) * 1999-02-26 2000-09-12 Matsuoka Concrete Kogyo Kk Rotary suppor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37416A (en) * 2019-11-15 2020-05-12 上海江南长兴造船有限责任公司 Mounting platform module of MARK III type enclosure system and hoisting rings thereof
KR20230108102A (en) 2022-01-10 2023-07-18 썬파크 주식회사 Supportimng structure of exterior building structure
KR102712504B1 (en) 2022-01-10 2024-10-02 썬파크 주식회사 Supportimng structure of exterior building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4278B1 (en) Support Body For Lifting of Boundary Stone And Method Of Construction
CN104213714A (en) Lifting point reinforcing structure of ultra-large roof truss and lifting construction method
US8303006B2 (en) Apparatus for gripping and lifting construction castings
CN104452516B (en) For the instrument of the prefabricated concrete roads plate of handling
EP3705446A1 (en) Intermediate support holder for construction machinery
US3584465A (en) Earth-shoring apparatus
CN104890705B (en) Job site heavy steel member dismantled and assembled simple and easy two is taken turns conveying arrangement
ITMI20010803A1 (en) ACCIDENT PREVENTION DEVICE FOR BUILDING FOR INDIVIDUAL FALL PROTECTION OF OPERATORS IN CHARGE OF WALKING AT ALTITUDE ON EDI
JP2000255984A (en) Freely turnable coupling device for insert boom of crane
JP2016217001A (en) Elevate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CN106948603A (en) Wall plate member switching mechanism and its method for turning
KR101929621B1 (en) Construction apparatus of main cable for suspensio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20150104008A (en) A structure for assembled system scaffold and erecting method thereof
KR101999303B1 (en) Geotextile installation apparatus for reinforcing poor ground
AU20122121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lifting large off-highway truck-truck bodies
KR101250069B1 (en) Big stones lifting loop plate
KR200392361Y1 (en) Magnetic lift for pipe
KR101812678B1 (en) Manual lift member with heavy clamp device
JP2016023021A (en) Column lifting tool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011229B1 (en) Bag Strap Fixture Fastening Structure
CN212740404U (en) Special lifting appliance for large-size glass
KR200481861Y1 (en) Magnetic Crane
KR20200082677A (en) Aggregates screen moduler with embeded bending support member
CN215402559U (en) Hoisting device for equipment installation
KR102680232B1 (en) Floating and building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8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705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6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