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252B1 - Wireless network switch controller - Google Patents
Wireless network switch controll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4252B1 KR101744252B1 KR1020150122893A KR20150122893A KR101744252B1 KR 101744252 B1 KR101744252 B1 KR 101744252B1 KR 1020150122893 A KR1020150122893 A KR 1020150122893A KR 20150122893 A KR20150122893 A KR 20150122893A KR 101744252 B1 KR101744252 B1 KR 1017442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electronic switch
- switch
- power
- suppli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01H9/168—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making use of an electromagnetic wave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 H05B37/0272—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 제어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부하의 전원공급을 온오프제어하는 전자스위치를 구비한 부하제어부와, 상기 전자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무선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제어부에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전자스위치가 오프인 경우에는 상기 스위치에 공급되는 전원을 사용하고, 상기 전자스위치가 온인 경우에는 충전부에 충전된 전원을 사용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스위치가 동작하는 시간에는 유도전류와 태양광 패널을 이용하여 미세 전류를 집진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고, 스위치가 오프된 경우에는 상시 전원과 태양광 패널을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 wireless network switch control apparatus is disclosed.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network switch control apparatus including a load control section including an electronic switch for on / off controlling power supply of a loa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adio control section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on / off of the electronic switch, The power supplied to the control unit is controlled by us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switch when the electronic switch is off and by using the power charged in the charger when the electronic switch is on, And a photovoltaic panel to charge the battery. When the switch is turned off, the battery can be charged by using the power supply and the solar panel at all times. Therefore, the battery can be charged more efficiently.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위치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미 매설되어 있는 스위치의 배선을 그대로 이용하되 전원공급의 유무에 관계없이 상시 무선으로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현재 가정에는 큰방, 작은방, 거실, 화장실 등 여러곳에 전등이 설치되고, 각각의 전등을 점등 제어하기 위한 기계식 스위치들이 벽면에 매립되어 있다.In the present, electric lamps ar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such as a big room, a small room, a living room, a toilet, etc., and mechanical switches for lighting and controlling the respective lamps are embedded on the wall.
따라서, 특정 전등을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기계식스위치를 조작해야만 해당 전등을 점등 제어할 수 있게된다.Therefore, in order to turn on or off a specific lamp, a user must operate a mechanical switch installed on a wall surface so that the corresponding lamp can be lighted and controlled.
그러나, 종래의 전등 스위치들은 대부분이 벽면에 매립형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특정 전등을 점등 또는 소등 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벽면으로 이동하여 기계식 스위치를 조작해야만 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most of the conventional light switches are installed on the wall in a buried st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must move to the wall surface and operate the mechanical switch in order to turn on or off the specific electric lamp.
특히 자녀들의 경우 자신만의 시간을 가진 뒤 전등을 켠 상태로 잠을 자는 경우가 빈번한데 이러한 경우 부모가 자녀의 방에 설치된 전등을 오프시키기 위해서는 자녀의 방으로 이동하여 벽면에 설치된 기계스위치를 조작해야만 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가중되고, 또한 부모가 자녀방의 전등을 소등하는 것을 잊게 되면 그만큼 불필요한 전력이 소비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In particular, children often go to sleep with their lights turned on after having their own time. In this case, in order to turn off the light installed in the child's room, the parents move to the child's room, So that unnecessary power is consumed if the parents forget to turn off the lights of the children's room.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알에프 신호를 이용한 벽매립형 전등스위치의 무선제어장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FIG. 1 shows a conventional wireless control apparatus for a wall-embedded type light switch using an RF signal.
도면을 참고하면, 전등의 작동시간 설정을 위한 키입력부(11)와, 제어수단(3)으로부터 전송된 전등의 잔여 작동시간 및 전등의 온/오프 동작상태 등을 화면 출력하는 표시부(12)와, 제어수단(3)으로 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될때 스피커(14)를 통해 확인음을 출력하는 신호음발생부(13)와, 키이부(11) 조작에 의해 입력된 작동시간 정보 및 제어키이 등록정보를 RF신호로 무선전송하는 무선송신부(15)와, 제어수단(3)으로부터 전송된 응답신호(잔여 작동시간 및 온/오프 상태)를 수신하여 제 1 MPU(20)로 공급하는 무선수신부(17)와, 상기 무선송신부(15)의 구동전원을 제어하는 송신전원제어부(16)와, 상기 무선수신부(17)의 구동전원을 제어하는 수신전원제어부(18)와, 리모콘(20)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9)와, 상기 키입력부(11)의 조작에 따라 리모콘(20)의 고유등록정보, 동작시간정보 및 제어키이 등록정보 들을 무선송신부(15)를 통해 제어수단(3)으로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신호가 제어수단(3)으로 부터 전송되어 무선수신부(17)를 통해 수신되면 그 응답신호가 표시부(12)로 출력되도록 하면서 신호음발생부(13)를 구동시켜 확인음이 출력되도록 하는 리모콘(20)과 상기 리모콘(20)과 무선 데이타를 교신하는 무선송신부(31) 및 무선수신부(32)와, 등록된 리모콘(20)의 코드정보 및 각 전등(Lp)에 대응하는 제어키이정보와 리모콘(20)으로부터 전송된 작동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일정주기로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발생부와, 상용교류전원을 트랜스와 브릿지다이오드로서 정류 및 직류화하여 내부 구동전원으로 공급하는 직류전원부와, 리모콘(20)으로 부터 전송된 제어정보에 따라 전자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하며, 상기 클럭발생부에서 발생된 클럭으로 실시간 계수하여 그 계수값이 리모콘(20)으로부터 전송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작동시간과 일치할때 전등을 오프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해당 전자스위치로 출력하는 제 2 MPU와, 상기 제 2 MPU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되어 전등(Lp)을 점등제어하며, 상기 기계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되는 전자스위치로 구성되어 리모콘(20)으로부터 전송된 작동시간 동안 전등이 점등된 후 자동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3)으로 구성되어, 전등의 온오프를 무선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there are shown a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전자 스위치에 상시 전원이 인가되어야만 동작이 가능하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technique can only be operated when a constant power source is applied to the electronic switch.
또한, 비록 충전 배터리를 사용하여 정전시 사용할 수 있게 하더라도, 종래의 충전 배터리는 상시 전원만으로 충전하기 때문에 상시 전원이 장기간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위치를 동작시킬 수 없게 된다.Also, even if the rechargeable battery is used for power failure, the conventional rechargeable battery is always charged only by the power source, so that the switch can not be operated if the power is not supplied for a long period of time.
그리고, 상시 전원을 사용하여 충전하더라도, 실제 스위치의 동작과 관계없이 항상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하기 때문에 전등과 같은 부하에 공급되는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어 상황에 따라 부하가 정상적인 동작을 하지 못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charging is performed using a constant power source, energy is always supplied to a load such as a lamp because power is always supplied and supplied regardless of the operation of the actual switch, have.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 제어하는 스위치가 오프되어 있는 경우에만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network switch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charging a battery only when a switch for controlling on / off of a power supplied to a load is off.
또한, 본 발명은 상시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network switch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charging a battery even when power is not constantly supplied.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치가 동작하는 시간에도 유도전류와 태양광 패널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network switch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charging a battery using an induction current and a solar panel even when a switch is operated.
그리고, 본 발명은 이미 매설되어 있는 스위치의 배선을 그대로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network switch control apparatus which can be used by using the wirings of switches already embedded.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하의 전원공급을 온오프제어하는 전자스위치를 구비한 부하제어부와, 상기 전자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무선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제어부에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전자스위치가 오프인 경우에는 상기 스위치에 공급되는 전원을 사용하고, 상기 전자스위치가 온인 경우에는 충전부에 충전된 전원을 사용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There is provided a wireless network switch control apparatus including a load control section including an electronic switch for on / off controlling power supply of a loa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such a problem, and a wireless network switch control section including a wireless control section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ON / OFF of the electronic switch In the device, the power supplied to the radio control unit can be achieved by using power supplied to the switch when the electronic switch is off, and us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charging unit when the electronic switch is on have.
이러한 무선제어부는 상기 전자스위치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정전압부와, 상기 정전압부의 출력 전압으로 무선제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부하제어부의 미세 유도 전류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미세유도전류검출부와, 태양전지로 구성되어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하여 태양광패널과, 상기 정전압부, 상기 미세유도검출부 또는 상기 태양광패널의 출력전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출력전압으로 충전되는 충전부와, 외부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제어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스위치가 온오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자스위치가 온으로 제어할 경우에는 상기 정전압부의 출력전압과 상기 태양광패널의 출력전압으로 상기 충전부가 충전되도록 충전계통도룰 설정하고, 상기 전자스위치가 오프로 제어할 경우에는 상기 태양광패널과 상기 미세유도전류검출부에서 출력전압으로 상기 충전부가 충전되도록 충전계통도를 설정하도록 동작된다.
The radio control unit includes a constant voltage unit that receives power supplied to the electronic switch and converts the power to a constant voltage and outputs the constant voltage,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of the radio control unit with the output voltage of the constant voltage unit, A micro-induction current detector for detecting and outputting an induction current; and a photovoltaic panel comprising a solar cell and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for output to the solar panel, and output voltage of the solar cell,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data related to on / off control of the switch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terminal,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data for on / And controls the electronic switch to be turned on. Wherein the charging circuit is configured to charge the charging unit with the output voltage of the constant voltage unit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solar panel. When the electronic switch is controlled to be OFF, the output voltage of the solar panel and the micro- And to set the charging scheme so that the charging unit is charged.
본 발명의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 제어장치에 의하면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이 오프된 경우에만 즉 부하의 휴지시간에만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부하에 무리를 주지 않고, 짧은 시간에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ireless network switch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can be charged only when the power supplied to the load is turned off, that is, only during the idle time of the load. Therefore, the battery can be charged in a short period of time have.
또한, 본 발명의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 제어장치에 의하면 유도전류와 상시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power switch capable of charging a battery even if an inductive current and a constant power are not supplied.
또한, 본 발명의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 제어장치에 의하면 스위치가 동작하는 시간에는 유도전류와 태양광 패널을 이용하여 미세 전류를 집진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고, 스위치가 오프된 경우에는 상시 전원과 태양광 패널을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wireless network switch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witch is operated, the microcurrent is collected by using the induction current and the solar panel to charge the battery, and when the switch is off, It is possible to charge the battery more efficiently.
그리고, 본 발명은 이미 매설되어 있는 스위치의 배선을 그대로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추가적인 장치만 설치함으로써, 무선으로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다른 비용이나 공기의 추가없이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additional device that can be used by using the wirings of the already-embedded switches can be used as it is, so that the switch can be controlled wirelessly, and the installation can be effected without adding any extra cost or air.
도 1은 종래의 알에프 신호를 이용한 벽매립형 전등스위치의 무선제어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 제어장치의 주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자스위치 오프시의 충전 계통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전자스위치 온시의 충전 계통도를 예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wireless control device of a wall-embedded type light switch using a conventional RF signal.
2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network switch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rging system diagram when the electronic switch is turned of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rging system diagram of the electronic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word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sense and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light of the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rms such as " part, "" module, " .
명세서 전체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명세서 전체에서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 "and / or"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cludes all possible combinations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first item, second item and / or third item" may be presented from two or more of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s as well as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 It means a combination of all the items that can be.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Also,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명세서 전체에서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Identification codes (e.g., a, b, c, ...) in each step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s do not limit the order of each step, Unless the context clearly states a particular order, it may take place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describ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may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 제어장치의 주요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 제어장치는 부하를 제어하는 부하제어부(100)와 전원의 공급 유무와 관계없이 부하제어부(100)를 원격으로 온오프제어할 수 있는 무선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As shown in FIG. 2, the wireless network switch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부하제어부(100)는 전등이나 기타 전기에너지 소모장치로 구성되는 부하(120)와, 부하(120)에 공급되는 전기를 온오프 제어하는 전자스위치(130)를 포함한다.The
전자스위치(130)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접점이 온오프되는 스위치로, 접점이 오프되면 부하(120)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고, 접점이 온되면 부하(120)에 공급되는 전류가 도통되도록 동작한다.The
이러한 전자스위치는 솔레노이드로 동작되는 스위치일 수도 있다.Such an electronic switch may be a switch operated by a solenoid.
즉,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수동 스위치를 전자 스위치로 대체하고, 부하제어부(100)의 전자스위치(130)를 원격으로 제어하도록 하되, 상시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전원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무선제어부(200)가 전자스위치(13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ntional switch is replaced with an electronic switch, and the
무선제어부(200)는 무선으로 스위치의 온오프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술한 전자스위치(13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The
이를 위하여 무선제어부(200)는 부하제어부(100)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정전압부(210)와 정전압부(210)의 출력 전압으로 무선제어부(200)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20)와, 부하제어부(100)의 미세 유도 전류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미세유도전류검출부(260)와, 태양전지로 구성되어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하여 태양광패널(250), 미세유도전류검출부(260)와 태양광패널(250)로부터 공급되는 미세전류를 집진하는 미세전류집진부(240), 정전압부(210)와 미세전류집진부(24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로 충전되는 충전부(230), 그리고 무선통신부(270)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치부(290)를 제어하여 전자스위치(130)가 온오프제어되도록 하고, 전자스위치(130)의 온오프에 따라 충전 계통도를 달리하여 충전부(230)에 전류가 충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8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The
정전압부(210)는 부하에 의한 전압변동이 없이 전압이 일정하게 출력되게 하는 것으로, 부하제어부(100)에서 전자스위치(130)가 오프된 경우에 부하제어부(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소정 정전압을 출력하게 된다.When the
이를 위하여 정전압부(210)는 전자스위치(130)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자스위치(130)가 온되어 전류가 도통되면 양단 전압이 0이 되므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전자스위치(130)가 오프되면 양단에 전압이 인가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정전압을 출력하도록 한다.To this end, the
전원공급부(220)는 전자스위치(130)의 온오프에 따라, 무선제어부(200)의 각 구성요소로 공급하는 전원의 소스(Source)를 달리하여 공급하도록 동작된다.The
구체적으로, 전원공급부(220)는 전자스위치(130)가 오프의 경우에는 정전압부(210)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고, 전자스위치(130)가 온의 경우에는 충전부(230)의 전원이 각 구성요소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Specifically, when the
전자스위치(130)의 온오프 여부의 판단은 전원공급부(220)에서 판단하는 방법과 제어부(280)의 제어신호를 받아 판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is of course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일례로 전원공급부(220) 자체에서 판단하는 방법은 정전압부(210)에서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충전부(230)의 전원이 출력되도록 하고, 공급되면, 정전압부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the
이하에서는 전원공급부(220)가 정전압부(210)의 출력전압을 기준으로 전자스위치(130)의 온오프를 판단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충전부(230)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로 구성되고, 미세유도전류검출부(260)는 유도전류 측정용 CT(Current Transformar)를 이용한 것으로, 전원라인에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코어와, 코어에 정해진 회수로 권선되는 유도코일에 유도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이를 직류로 정류하여 검출된 전류를 출력하도록 동작된다.The
부하제어부(100)의 전자 스위치(130)가 온된 경우 전자스위치(130)의 양단에 연결된 전력선에 흐르는 미세 유도전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검출 코일(Coil)로 구성하여, 전자스위치(130)가 온(on)된 경우에 미세 유도전류를 검출하여 출력하도록 동작된다. When the
즉, 본 발명의 무선네트워크 스위치를 보면, 부하제어부(100)의 전자스위치(130)가 온된 경우와 오프된 경우 상시 검출 또는 입력되는 전류로 충전부(230)를 충전하고, 전원공급부(220)는 전자스위치가 오프된 경우에는 정전압부(210)에서 출력되는 정전압으로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여 무선제어부(200)가 동작되도록 하고, 전자스위치가 온된 경우에는 충전부(230)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무선제어부(200)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That is, in the wireless network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따라서, 무선제어부(200)는 전자스위치(130)의 온오프에 따라 충전계통도가 달라져야 한다.Accordingly, the
이러한 충전 계통도의 변화는 부하에 무리를 주지 않고 충전부를 충전하기 위함이다.Such a change in the charging scheme is intended to charge the live part without imposing a load on the load.
즉, 부하가 동작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부하제어부(100)에 공급되는 전원으로 무선제어부(200)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여유 전원으로 충전부(230)에 공급하여 충전하고, 이에 더하여 태양광 패널(250)을 이용하여 충전부(230)를 충전하고, 부하가 동작되는 상태에서는 미세 유도전류와 태양광 패널을 이용하여 충전함으로써, 부하에 무리를 주지않고 충전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load is not operated, the
무선통신부(270)는 제한된 전력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에 적용한 저전력 무선 통신 기술을 적용한 것으로, 전송 커버리지 및 활용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일반인들에게 널리 보편화된 2.5/3G 셀룰러 무선 WAN 기술, 무선 DSL이라고도 불리우는 무선 MAN 기술(휴대인터넷),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구축하는 무선 LAN 기술, 그리고 다음에서 소개될 단거리 개인 무선 통신 기술인 무선 PAN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The
이러한 무선통신부(270)는 미도시된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자스위치(130)의 제어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280)로 전송하도록 동작된다.The
본 발명에서의 태양광 패널(250)과 미세유도전류 검출부(260)는 에너지 하베스팅(Energy Harvesting)기술을 적용한 것으로, 에너지 하베스팅은 일상에서 버려지거나 소모되는 에너지들을 모아 전력으로 재활용하는 기술을 말하는 것으로, 신체에서 발생하는 체온, 정전기, 운동에너지 등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온도와 외부 기계와의 온도차를 이용해 압전에너지 기술로 에너지를 공급하는 신체 에너지 하베스팅과 대형 회전기구나 구조물의 진동, 충격 에너지를 압전에너지 기술을 응용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진동(충격)에너지 하베스팅, 화력 발전소 연료연소 후 배열, 복수기 냉각수의 온배수 등에서 배출하는 막대한 양의 잔열과 자연온도와의 온도차를 이용한 열전대 발전방식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열에너지 하베스팅, 이외에도 중력에너지 하베스팅, 위치에너지 하베스팅, 광에너지 하베스팅, 전자파 에너지 하베스팅 등 다양하다.The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전자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른 충전계통도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ON / OFF of the electronic swit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도 3의 본 발명의 전자스위치 오프시의 충전 계통도를 예시한 도면을 참고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스위치(130)가 오프(off)된 경우에는 부하(12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부하제어부(100)의 전원으로 무선제어부(2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고 충전을 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구체적으로 외부 단말기와의 통신에 의하여 스위치부(290)의 동작에 의하여 전자스위치(130)가 오프되면, 정전압부(210)에 전자스위치(130) 양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선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된다.Specifically, when the
정전압부(210)는 공급되는 전원을 무선제어부(200)에서 필요로 하는 정전압을 발생시켜 전원공급부(220)로 공급하면, 전원공급부(220)는 무선제어부(200)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한다.The
이와 동시에 정전압부(210)에서 출력되는 정전압이 충전부(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전류를 공급하게 되고, 충전부(230)는 충전된다.At the same time, the constant voltage output from the
그리고, 태양광 패널(25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는 미세전류집진부(240)에서 집진되어, 충전부(230)로 집진된 전류를 공급하여 충전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스위치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부하제어부(100)에서 공급되는 전원과 태양광 패널로부터 공급되는 미세 전류를 이용하여 충전하고, 부하제어부(100)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무선제어부(200)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여 활성화키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 electronic switch is off,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각 구성요소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외부 무선제어부(미도시)로부터 전자스위치의 수신된 온오프 데이터 신호를 무선통신부(270)가 수신하면, 이를 제어부(280)로 전송하고, 제어부(280)는 데이터를 판독하여 전자스위치(130)를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다.When the
예를 들어 전자스위치가 오프된 상태에서 온시키라는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어부(280)는 스위치부(290)에 데이터를 전송하여 전자스위치(130)가 온되도록 제어한다.For example, when data indicating that the electronic switch is turned off is received, the
이와 같이 전자스위치가 온되면, 무선제어부(200)는 충전부(230)에 충전된 전원으로 무선제어부(200)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계통도가 자동으로 변경됨과 동시에 충전계통도를 달리하여 충전부(230)에 전류가 충전되도록 한다.When the electronic switch is turned on, the
도 4의 본 발명의 전자스위치 온시의 충전 계통도를 예시한 도면을 참고하면, 정전압부(210)는 스위치의 양단에 인가되는 전위차가 0이 되므로, 충전전류를 공급받을 수 없게 된다.Referring to FIG. 4 illustrating a charging system diagram of the electronic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tential difference applied to both ends of the switch of the
따라서, 전원공급부(220)는 정전압부(210)에서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전자스위치(130)가 온된 것으로 판단하고, 충전부(230)에 충전된 전원이 각 구성 요소로 인가되게 동작한다.Therefore, the
이와 더불어, 전자스위치(130)가 온된 경우에도 충전부(230)에 계속적인 충전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전자스위치가 온된 경우에 검출되는 미세유도전류검출부(260)의 미세 유도전류와 채양광 패널(250)로부터 공급되는 미세전류가 미세전류집진부(240)에 집진되어 충전부(230)로 공급되어 충전부가 충전되도록 한다.In addition, since the charg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 제어장치는 전자스위치를 구비한 부하제어부(100)의 전자스위치 온오프 상태에 따라 무선 제어부(200)의 각 구성 요소에 공급되는 전원의 소스를 달리하여 공급하고, 전자스위치의 온오프 유무에 관계없이 상시 충전이 이루어지게 하여, 전원 공급과 관계없이 무선으로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network switch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power to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상술한 설명에서는 전자스위치가 매설된 부하제어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 제어장치는 이미 매설되어 있는 스위치의 배선을 그대로 이용하여 추가적인 장치만 설치함으로써, 무선으로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을 분만 아니라, 별다른 비용이나 공기의 추가없이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a load control unit embedded with an electronic switch is described. However, in the wireless network switch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additional device is installed using the wiring of the already embedded switch as it is, There is also the effect that it can be installed without extra cost or air addi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 부하제어부 110 : 전원
120 : 부하 130 : 전자스위치
200 : 무선제어부 210 : 정전압부
220 : 전원공급부 230 : 충전부
240 : 미세전류집진부 250 : 태양광 패널
260 : 미세유도전류검출부 270 : 무선통신부100: load controller 110: power source
120: load 130: electronic switch
200: radio control unit 210: constant voltage unit
220: power supply unit 230:
240: fine current collector 250: solar panel
260: Micro Induction Current Detection Unit 270:
Claims (10)
상기 무선제어부는
태양전지로 구성되어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태양광패널;
상기 부하제어부의 미세 유도 전류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미세유도전류검출부;
상기 미세유도전류검출부 또는 상기 태양광패널 중 어느 하나로부터 공급되는 미세전류를 집진하는 미세전류집진부;
상기 전자스위치의 양단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정전압부;
상기 미세전류집진부 또는 상기 정전압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로 충전되는 충전부;
상기 정전압부 또는 상기 충전부 중 어느 하나의 출력 전압으로 무선제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및
상기 전자스위치를 오프로 제어할 경우에는 상기 정전압부의 출력전압 및 상기 태양광패널로부터 공급되는 미세전류를 집진하는 미세전류집진부에서 출력되는 출력전압으로 상기 충전부가 충전되도록 충전계통도를 설정하고 상기 정전압부의 출력 전압이 전원공급부에 공급되어 무선제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 제어장치.
And a radio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n / off state of the electronic switch, wherein a power source supplied to the radio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switch The wireless network switch control apparatus using power supplied to the electronic switch when the electronic switch is on and using the power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when the electronic switch is on,
The radio control unit
A solar panel composed of a solar cell and converting the solar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nd outputting the same;
A micro induction current detector for detecting and outputting a microinduction current of the load controller;
A micro current sink for collecting a micro current supplied from the micro-induced current detector or the solar panel;
A constant voltage unit that receives power supplied to both ends of the electronic switch and converts the power to a constant voltage and outputs the constant voltage;
A charger which is charged with a current outputted from any one of the fine current collector and the constant voltage unit;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each component of the radio control unit with an output voltage of either the constant voltage unit or the charging unit;
Wherein when the electronic switch is controlled to be off, a charging system is set so that the charging unit is charged with an output voltage outputted from a micro-current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an output voltage of the constant voltage unit and a micro current supplied from the solar panel,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voltage to be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to supply power to each component of the radio control unit;
The wireless network switch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스위치를 온으로 제어할 경우에는 상기 태양광패널과 상기 미세유도전류검출부에서 공급되는 미세전류를 집진하는 미세전류집진부에서 출력되는 출력전압으로 상기 충전부가 충전되도록 충전계통도를 설정하고 상기 충전부의 출력전압이 전원공급부에 공급되어 무선제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Wherein when the electronic switch is controlled to be turned on, a charging system is set so that the charging unit is charged with the output voltage outputted from the micro-current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the micro current supplied from the solar panel and the micro- And an output voltage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to supply power to each component of the wireless control unit.
상기 정전압부는
상기 전자스위치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전자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스위치에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으로 정전압으로 변화하여 출력하는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 제어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nstant-
Wherein the swit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electronic switch, and changes to a constant voltage with a voltage applied to both ends of the switch according to on / off of the electronic switch.
상기 무선제어부는
외부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전자스위치의 온오프제어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무선통신부;및
상기 전자스위치를 온오프절환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부;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스위치가 온오프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 제어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radio control unit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data on and off control of the electronic switch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terminal;
A switch unit for controlling the on / off switching of the electronic switch;
And controls the switch unit so that the electronic switch is turned on and off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2893A KR101744252B1 (en) | 2015-08-31 | 2015-08-31 | Wireless network switch controll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2893A KR101744252B1 (en) | 2015-08-31 | 2015-08-31 | Wireless network switch controll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6921A KR20170026921A (en) | 2017-03-09 |
KR101744252B1 true KR101744252B1 (en) | 2017-06-12 |
Family
ID=58402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2893A Active KR101744252B1 (en) | 2015-08-31 | 2015-08-31 | Wireless network switch controll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425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4089B1 (en) * | 2017-04-20 | 2019-08-26 | 비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 Direct current power supply system for internet of things of light switch |
KR102717719B1 (en) * | 2021-12-07 | 2024-10-16 | 한국전력공사 | Power supply for ground switch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9636B1 (en) * | 2008-10-21 | 2010-09-01 | 필컴퍼니주식회사 | Wireless monitoring system for detecting abnormal current in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lin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52072B1 (en) | 2003-12-08 | 2006-02-20 | 김영수 | Wireless control device of wall-mounted light switch using RF signal |
-
2015
- 2015-08-31 KR KR1020150122893A patent/KR10174425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9636B1 (en) * | 2008-10-21 | 2010-09-01 | 필컴퍼니주식회사 | Wireless monitoring system for detecting abnormal current in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l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6921A (en) | 2017-03-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835003B (en) | Non-contact power supply system | |
US20150015076A1 (en) | Charging system and power failure device detecting power failure of led light | |
JP2010288317A (en) | Electric vehicle | |
JP2009213294A (en) | Contactless battery charger | |
US20140268697A1 (en) | Dual AC-LED/DC-LED Lamp With Alternating Power Sources | |
EP2507887A2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from a power supply to an inductive power outlet | |
US9531213B2 (en)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 |
US20160111910A1 (en) |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electric energy recycling method thereof | |
KR101744252B1 (en) | Wireless network switch controller | |
CN209196698U (en) | Emergency lighting system | |
KR20140062375A (en) |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 |
KR200453596Y1 (en) | Aquarium and lighting device us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 |
JP2010035401A (en) | Sensor-controlled flushing device an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power thereof | |
CN211046520U (en) | Wireless charging equipment and electronic lock device | |
KR101046659B1 (en) | Battery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Mobile Devices | |
KR101395427B1 (en) | Charging system for led illumination | |
KR101675495B1 (en) | Power hub device of radio charge base | |
JP5371820B2 (en) | Timed lighting device | |
KR20100010649U (en) | St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 of display regular position in non-contact charging | |
JP6808973B2 (en) | Call device, call method, and program | |
KR20070074719A (en) | Solid state charger with separate charging circuit and coil | |
JP2015232990A (en) | Led lighting device for power failure lighting | |
KR20190020167A (en) | Device and system for power transmission | |
KR20120008634A (en) | Improved structured contact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contactless charging system | |
KR101229909B1 (en) |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battery with PCB-integrated type and system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23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6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